KR102288863B1 -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 - Google Patents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863B1
KR102288863B1 KR1020190022955A KR20190022955A KR102288863B1 KR 102288863 B1 KR102288863 B1 KR 102288863B1 KR 1020190022955 A KR1020190022955 A KR 1020190022955A KR 20190022955 A KR20190022955 A KR 20190022955A KR 102288863 B1 KR102288863 B1 KR 102288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patient
oral
imag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4528A (ko
Inventor
강병식
Original Assignee
케이지메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지메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지메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2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8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가 내장된 그립 하우징;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탈부착되는 만곡 형상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일측에 설치되어 응급구조가 필요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촬영하는 구강용 카메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구강용 조명; 상기 그립 하우징과 기구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강용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구강용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계기를 통해서 의사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모듈부; 상기 통신모듈부와 상기 의사 단말기를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중계기; 및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포함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 요원에게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의사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하는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또 다른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를 더 포함하는,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GENCY RESCUE AND METHOD OF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독 가스를 흡입하는 등 응급환자에 후두경 기관 삽관이 시급하게 필요한 상황이라도 현행 법률상 1급 응급구조사(2급 응급구조사는 의사 지시가 있어도 후두경 기관 삽관이 불법임)라도 의사의 지시 없는 후두경 기관 삽관은 불법이여서 처치를 못하여 안타깝게 골든 타임을 놓쳐서 생명을 잃는 현실에 대응하기 위하여, 원격의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사에게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두경은 사고 또는 기타 원인으로 인해 의식불명 상태에 있는 환자에 대한 응급조치로서 인공호흡 장치를 사용하여 인공호흡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여 인공호흡장치에 연결된 삽관튜브와 같은 튜브부재의 선단부를 환자의 기관과 같은 목적부위에 삽입하기 위한 보조기구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후두경은 숨을 쉬지 못하는 환자나 혹은 기도가 폐쇄된 환자의 구강내로 삽입하여 기도유지를 하는데 사용되는 응급처치용 도구이다.
이러한 후두경은 일반적인 맥킨토시형 후두경과 후두경의 블레이드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개선된 시야를 제공하는 비디오 후두경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인 맥킨토시형 후두경은 곡선형의 선단부를 가진 긴 부재로 이루어지며, 의식을 잃은 환자의 구강을 통해 삽입되어 선단부 측면의 적절한 부분이 혀의 뿌리부에 닿아서 이를 들어올림으로써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여 삽관튜브를 삽입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맥킨토시형 후두경은 시술자의 눈에 의존하여 기도 구조물을 확인하기 때문에, 시야의 제한이 있을 수 있고 때로는 중요한 해부학적 지표를 확인하지 못하여 삽관이 지연되거나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비디오 후두경은 기도확보를 위한 블레이드의 선단부에 구비된 CCD(charge-coupled device)와 렌즈를 구비하는 촬상부, 및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비디오 후두경은 시술자가 환자의 인두나 후두를 더 쉽게 관찰할 수 있게 하므로, 시술자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여 삽관 튜브를 삽입하는 시술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비디오 후두경의 사용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관련한 종래의 특허문헌으로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1798141호(2017.11.09. 등록, 발명의 명칭 : 비디오 후두경(VIDEO LARYNGOSCOPE))을 들 수 있다. 해당 특허문헌에서는, "배터리가 내장된 그립 하우징;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탈부착되는 만곡 형상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에 설치되어 환자 구강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그립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환자 구강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외부의 단말기로 상기 환자 구강 영상을 외부의 단말기에 와이파이 무선 전송하는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과 탈부착될 수 있는 커넥터 모듈; 개방된 바닥과, 관통구가 형성된 일단면을 가지며, 관통구를 통해 촬영되도록 내부에 상기 카메라가 고정 설치된 만곡 형상의 본체 블레이드; 상기 본체 블레이드의 끝단에서 만곡 형상으로 연장 돌출된 선단 블레이드; 및 상기 본체 블레이드의 개방된 바닥을 덮는 덮개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에 마련된 PCB 기판; 상기 PCB 기판에 탑재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PCB 기판에 탑재되어, 상기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 온도를 인체 온도와 동일한 온도가 되도록 상기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를 가열하여, 카메라의 렌즈 김서림을 방지하는 가열 소자;를 포함하는 비디오 후두경"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또다른 종래의 특허문헌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0-1600339호(2016.02.29 등록, 발명의 명칭 : 비디오 후두경(VIDEO LARYNGOSCOPE))에서는, "영상처리부 및 전원부가 구비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촬상채널; 상기 촬상채널의 일측 종단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후두, 인두 및 기관 부위를 촬영하여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처리부에 출력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채널의 외측면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몸통부와 결합된 상태로 환자의 구강을 통해 기관 부위로 삽입되는 블레이드;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몸통부와 상기 표시장치를 결합하되, 상기 표시장치가 적어도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는 측면으로 상기 환자의 기도가 확보된 후 튜브를 상기 환자의 기도에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의 폭은 상기 튜브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에 의해서 생긴 삽관용 공간을 통해서 상기 튜브의 삽관이 이루어져서, 상기 튜브의 삽관시술시 상기 튜브의 안내가 수행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환자의 후두개를 들어서 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부의 끝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촬상부의 측면에는 환자의 기도 내부 촬영을 가이드 하기 위한 촬상 가이드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촬상 가이드 격벽에는 삽관 장애를 방지하기 위한 곡면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선과 상기 전원부의 전원선에 상응되는 개수의 핀을 구비하는 수 커넥터; 상기 핀이 삽입되는 홀을 구비한 암 커넥터; 상기 수 커넥터와 상기 암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조임에 의해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슬리브; 및 일측은 상기 표시장치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암 커넥터와 결합되되, 적어도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후두경"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은, 원격의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사에게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구성에 대한 문제의식이나 기술적 특징에 대한 개시가 전혀 없는 것으로 보인다.
1. 대한민국 특허 제10-1798141호(2017.11.09. 등록, 발명의 명칭 : 비디오 후두경(VIDEO LARYNGOSCOPE)) 2. 대한민국 특허 제10-1600339호(2016.02.29 등록, 발명의 명칭 : 비디오 후두경(VIDEO LARYNGOSCOP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독 가스를 흡입하는 등 응급환자에 후두경 기관 삽관이 시급하게 필요한 상황이라도 현행 법률상 1급 응급구조사(2급 응급구조사는 의사 지시가 있어도 후두경 기관 삽관이 불법임)라도 의사의 지시 없는 후두경 기관 삽관은 불법이여서 처치를 못하여 안타깝게 골든 타임을 놓쳐서 생명을 잃는 현실에 대응하기 위하여, 원격의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사에게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은, 배터리가 내장된 그립 하우징;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탈부착되는 만곡 형상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일측에 설치되어 응급구조가 필요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촬영하는 구강용 카메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구강용 조명; 상기 그립 하우징과 기구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강용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구강용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계기를 통해서 의사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모듈부; 상기 통신모듈부와 상기 의사 단말기를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중계기; 및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포함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 요원에게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의사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하는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또 다른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강용 카메라 및 상기 구강용 조명은, 상기 응급환자의 출혈이나 타액으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내에 매립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선단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조명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1 블레이드; 조명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2 블레이드; 조명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3 블레이드; 및 조명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4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의사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지시에 따라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성대가 완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제 1 블레이드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피열근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2 블레이드를, 후두개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3 블레이드를, 후두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블레이드를,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교체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및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일체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를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상기 의사 단말기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마이크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카메라에서 획득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상기 구강 영상을 각각 표시하거나 또는 화면 분할을 통해서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가장자리는, 응급구조를 하면서 비디오 후두경이 낙하하거나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파손 방지 돌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급구조를 접수받아 구급차 출동을 지시하고, 상기 응급구조에 대응하는 상황 대기 의사의 상기 의사 단말기에 대기 알림을 송신하며, 상기 응급구조와 대응하는 비디오 후두경과 매칭시키고,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에 알림을 송신하는, 119 구조 상황실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급차 내에 배치된 생체 신호 획득부는, 상기 응급환자의 호흡, 맥박, 심박수,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및 근전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에 제공하여,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는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상기 구강 영상과 함께 상기 응급환자의 상기 생체 신호도 같이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은,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응급구조 접수에 대응하여,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하면서 가용가능한, 상기 구급차에 출동 지시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에 대응하는 상황 대기 의사의 상기 의사 단말기에 대기 알림을 송신하고, 상기 119 구조 상활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에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와 대응하는 비디오 후두경과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를 이용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포함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를 획득하고, 상기 구강용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구강용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급차 내에 배치된 생체 신호 획득부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호흡, 맥박, 심박수,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및 근전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는,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상기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응급환자 구강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성대가 완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제 1 블레이드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피열근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2 블레이드를, 후두개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3 블레이드를, 후두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블레이드를,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교체하여 부착하는 지시가 입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현장의 응급구조 요원에게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상기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를,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에 의하면,
첫째, 유독 가스를 흡입하는 등 응급환자에 후두경 기관 삽관이 시급하게 필요한 상황이라도 현행 법률상 1급 응급구조사(2급 응급구조사는 의사 지시가 있어도 후두경 기관 삽관이 불법임)라도 의사의 지시 없는 후두경 기관 삽관은 불법이여서 처치를 못하여 안타깝게 골든 타임을 놓쳐서 생명을 잃는 현실에 대응하기 위하여, 원격의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사에게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밀양 화재 사건에서 사망자 47명 중 후두경 기관 삽관만 시술되었으면 막을 수 있었던 이송 중 그리고 이송 후의 사망자가 22명에 이른 것으로 나와 있다. 본 발명을 통해서 이와 같은 이송 중 사망자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구강용 카메라 및 구강용 조명이 블레이드의 선단 내에 매립 설치되어 있으며, 블레이드 선단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응급환자의 출혈이나 타액으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원활하게 획득할 수 있다.
셋째, 응급환자 구강영상에 기초하여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성대가 완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제 1 블레이드를,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피열근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2 블레이드를, 후두개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3 블레이드를, 후두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블레이드를,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교체하여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각 응급구조의 상황에 맞게, 조명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1 블레이드, 조명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2 블레이드, 조명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3 블레이드; 및 조명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4 블레이드를 적절하여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및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일체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를 형성하되, 방수 기능을 추가하여 폭우 상황 등에서도 정상적인 기능이 작동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섯째,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여, 의사 단말기와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응급구조 상황을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섯째,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카메라에서 획득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구강 영상을 각각 표시하거나 또는 화면 분할을 통해서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곱째,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가장자리는 파손 방지 돌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여, 응급구조를 하면서 비디오 후두경이 낙하하거나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아홉째, 구급차 내에 배치된 생체 신호 획득부를 통해서, 응급환자의 호흡, 맥박, 심박수,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및 근전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의사 단말기에서는,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즉 각각 또는 함께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의 기능적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에서 구강 영상에 기초하여, 각 응급구조 상황에 맞는 제 1 블레이드 내지 제 4 블레이드 가운데 대응되게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1798141호(2017.11.09. 등록, 발명의 명칭 : 비디오 후두경(VIDEO LARYNGOSCOPE))에 기재된 설명이나 도면을 참조한다.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의 기능적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에서 구강 영상에 기초하여, 각 응급구조 상황에 맞는 제 1 블레이드 내지 제 4 블레이드 가운데 대응되게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은, 그립 하우징, 블레이드, 구강용 카메라, 구강용 조명, 디스플레이 패널,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 통신모듈부, 중계기, 및 의사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그립 하우징은, 배터리가 내장된 하우징으로서, 응급구조자가 파지하는 몸체 하우징이다. 그립 하우징의 단면은 원형, 반구형,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원통 형상에 손가락이 잘 안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손가락 형상의 그립 홈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 하우징은 블레이드와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구강용 카메라, 모니터링 카메라, 디스플레이 패널, 통신모듈부, 온도 센서, 및 가열 소자에 구동 전력을 제공한다. 후술하는 구급차 내의 전원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블레이드는,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탈부착될 수 있는 만곡 형상의 프레임이다. 블레이드는 환자의 구강을 통해 인두나 후두에 삽입되어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그립 하우징의 착탈홈에 끼워지는 구조를 가진다. 블레이드는 그립 하우징과 결합되어 기도 삽관기 역할을 하게 되는데, 따라서 그립 하우징과 블레이드가 체결 결합된 비디오 후두경은 "L"자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즉, 그립 하우징은, "L"자 중에서 수직방향의 획을 이루고, 블레이드는 "L"자 중에서 수평방향의 획을 이룬다. 블레이드가 그립 하우징과 착탈할 때, 전기공급을 위한 결합과 전기적 신호, 예를 들어 구강용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신호의 전달을 전기신호를 위한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혹은 블레이드가 그립 하우징과 착탈할 때, 전기공급을 위한 결합만 이루어지며, 구강용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신호의 디스플레이 패널로의 신호 전달은 별도의 유선 연결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블레이드는, 조명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1 블레이드, 조명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2 블레이드, 조명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3 블레이드, 및 조명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4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의사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지시에 따라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성대가 완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제 1 블레이드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피열근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2 블레이드를, 후두개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3 블레이드를, 후두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블레이드를,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교체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구강용 카메라는, 블레이드의 선단 일측 외면에 매립 설치되어 환자 구강 영상을 촬영한다. 블레이드의 외면에 매립 내장 설치됨으로써, 구강내의 침이나 타액, 출혈 등 액체 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방수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환자의 후두, 인두 및 기관 등의 구강을 촬영하여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그립 하우징에 마련된 영상처리부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구강용 카메라는 영상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는 촬상소자(예: CCD ), 광원 및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블레이드 선단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구강 영상의 획득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강용 조명이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술한 블레이드의 선단 타측에 설치되어 응급환자의 구강 방향으로 빛을 방사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립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강용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환자 구강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시술자의 선택에 따라 영상녹화기능, 영상캡쳐기능 및 화면밝기조절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립 하우징의 상단에서 상하 회전할 수 있으며, 또한 그립 하우징의 상단에서 좌우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시술자가 후두경을 이용하여 환자의 기도에 튜브를 삽관할 때 튜브의 삽입 경로를 편리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하 210°, 좌우 270°까지 회전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에도 180° 화면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시술자가 공간의 제약을 받지않고 시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내의 화면을 180°회전 가능하게 하여 시술자가 시술시 공간의 제약과 자세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패널은 고연색성 패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는,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하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은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또 다른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 방향으로 빛을 방사한다. 종래 비디오 후두경에는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또는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에 대해서 전혀 고민하지 않았지만, 본 출원에서는 원격에서의 의사 단말기에서 후두경 삽관 지시를 위하여, 모니터링 촬영용 카메라 및 조명을 이용하여 해당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구강 영상을 동시에 송신하여 종합적인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및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일체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의사 단말기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마이크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카메라에서 획득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구강 영상을 각각 표시하거나 또는 화면 분할을 통해서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가장자리는, 응급구조를 하면서 비디오 후두경이 낙하하거나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파손 방지 돌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정작 필요한 긴급한 상황에서 이동중 낙하하거나 충돌이 발생하여 예기치 못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을 막아서, 결과적으로 응급구조시 활용 가능성을 제고하게 된다.
또한, 통신모듈부는, 외부의 의사 단말기로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응급환자의 상태 영상을 외부의 의사 단말기에 중계기를 통해서 유선 또는 무선 전송한다. 따라서 주변기기들이 무선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시술장면을 실시간 보기,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교육용과 검증자료로 남길 수 있다. 특히 교육용으로 사용시에는 정확하고 선명한 화면을 각 학생들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학생들한테 보여줄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부를 통하여 구강용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주변의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설정한다. 주변의 단말기는 사전배포된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 설치하여 해당 앱을 접속하면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받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후두경의 작동 후 수 초(sec) 후에 자동으로 무선 인터넷망을 구성하도록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의과대학 등 교육장소에서 제품시연 시 주변의 모바일 기기와 대형스크린으로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하면 생생한 시술장면을 볼 수 있다. 나아가 비디오 후두경의 제조사가 배포한 앱으로만 접속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는, 그립 하우징의 하단과 탈부착될 수 있는 커넥터 모듈과, 개방된 바닥과 관통구가 형성된 일단면을 가지며 관통구를 통해 촬영되도록 내부에 구강용 카메라가 고정 설치된 만곡 형상의 본체 블레이드와, 본체 블레이드의 끝단에서 만곡 형상으로 연장 돌출된 선단 블레이드와, 본체 블레이드의 개방된 바닥을 덮는 덮개체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체 블레이드와 선단 블레이드의 재질은 SUS 316 계열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현한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 내부에 구강용 카메라를 위치에 맞게 구강용 카메라를 장착한 후 제습, 절연 효과가 있는 에폭시 작업을 하여 구강용 카메라를 완전고정하여 방진 제습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블레이드 하우징과 덮개면의 결합틈을 에폭시 처리하여 본체 블레이드 내부에 대한 방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나아가, 방수 처리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블레이드 하우징과 덮개면간의 에폭시 처리된 후 SUS 316 계열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용접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인체 내부에 삽입되는 부위인 만큼 316재질로 인체에 맞게 설계되어, 내부에 마련된 고성능 구강용 카메라는 외부와 완전히 단절되여 방수 방진에 강한 특징을 가지게 된다.
한편, 블레이드는 렌즈앞에 김서림방지코팅을 하여 김서림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사용시간이 길어지면 김서림코팅이 없어져 선명한 모니터 화질을 볼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내부에 30초 내에 구강용 카메라의 렌즈 온도를 인체온도에 맞게 가열하고 온도 유지하여 김서림 현상을 제거하도록 한다.
응급환자에 대한 구강 검사 시에 구강용 카메라의 렌즈에 맺히는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디오 후두경은,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에 마련된 PCB 기판과, PCB 기판에 탑재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PCB 기판에 탑재되어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 온도를 인체 온도와 동일한 온도가 되도록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를 가열하여 구강용 카메라의 렌즈 김서림을 방지하는 가열 소자를 구비한다.
또한, 비디오 후두경을 이용하여 환자 구강을 검사시에,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를 인체 체온(예컨대, 36.5℃)로 가열하여 구강용 카메라와 인체간의 온도차가 없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구강용 카메라(400)의 렌즈 김서림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인체 온도는, 미리 설정된 온도, 예컨대 사람의 체온인 36.5℃로 미리 설정되어, 비디오 후두경의 동작시에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를 36.5℃로 유지되도록 가열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람마다 체온이 틀리기 때문에 36.5℃로 고정된 인체 체온으로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를 유지하는 것은 구강용 카메라의 김서림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다.
이에 환자의 체온을 그때그때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PCB 기판이 안착되는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면 영역(이하, '기판 안착 내부면')에 대응되는 본체 블레이드의 외부면(이하, '기판 안착 외부면')은, SUS 316 계열의 스테인레스 재질보다 더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열전도성 필름으로 코팅되도록 한다. 그리고 온도 센서와 열전도성 필름은 열전도성 재질로 채워진 비아홀에 의해 열이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온도 센서는, 열전도성 필름을 통해서 전달되는 인체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비디오 후두경의 블레이드를 환자의 혀에 갖다대 누르면서 구강을 촬영할 경우, 블레이드 면에 환자의 혀가 닿게 되어 환자의 혀의 체온이 블레이드의 기판 안착 외부면에 닿게 되어 이러한 혀의 체온이 열전도성 필름, 비아홀, 및 기판 안착 내부면을 차례로 거쳐서 온도 센서로 전달되게 된다.
한편, 기존의 비디오 후두경의 경우 모니터 화면에 영상 구현만 하고 있을 뿐이지, 기존의 제품들은 다양하게 변화하는 현시대 의료인의 요구에 많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 가능한 화면자동끄기, 대기시간 선택, 여러 나라 언어 선택등 기능을 넣고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장착하여 시술자의 편리를 도모하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 이러한 대기 모드는,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오프시킨 후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련된 대기 알림 램프를 점등시키는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스크린패널로서, 사용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언어 선택 인터페이스 화면을 터치스크린패널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 언어를 터치 선택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언어를 터치를 통해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는 상기 통신모듈부와 상기 의사 단말기를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구성이다.
또한, 의사 단말기는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포함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 요원에게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의사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119 구조 상황실 서버는 응급구조를 접수받아 구급차 출동을 지시하고, 상기 응급구조에 대응하는 상황 대기 의사의 상기 의사 단말기에 대기 알림을 송신하며, 상기 응급구조와 대응하는 비디오 후두경과 매칭시키고,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에 알림을 송신한다.
또한, 구급차 내에 배치된 생체 신호 획득부는, 응급환자의 호흡, 맥박, 심박수,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및 근전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생체 신호를 획득한다. 이것을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에 제공하여, 의사 단말기에서는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구강 영상과 함께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도 같이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은,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응급구조 접수에 대응하여,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하면서 가용가능한, 상기 구급차에 출동 지시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에 대응하는 상황 대기 의사의 상기 의사 단말기에 대기 알림을 송신하고, 상기 119 구조 상활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에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와 대응하는 비디오 후두경과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를 이용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포함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를 획득하고, 상기 구강용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구강용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급차 내에 배치된 생체 신호 획득부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호흡, 맥박, 심박수,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및 근전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는,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상기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응급환자 구강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성대가 완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제 1 블레이드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피열근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2 블레이드를, 후두개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3 블레이드를, 후두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블레이드를,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교체하여 부착하는 지시가 입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현장의 응급구조 요원에게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상기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를,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배터리가 내장된 그립 하우징;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탈부착되는 만곡 형상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일측에 설치되어 응급구조가 필요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촬영하는 구강용 카메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구강용 조명;
    상기 그립 하우징과 기구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강용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구강용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계기를 통해서 의사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모듈부;
    상기 통신모듈부와 상기 의사 단말기를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중계기;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포함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 요원에게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의사 단말기;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하는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또 다른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를 포함하고,
    상기 구강용 카메라 및 상기 구강용 조명은, 상기 응급환자의 출혈이나 타액으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내에 매립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선단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성대가 완전하게 보이는 경우에 사용되는, 조명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1 블레이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피열근만 보이는 경우에 사용되는, 조명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2 블레이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후두개만 보이는 경우에 사용되는, 조명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3 블레이드; 및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후두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 사용되는, 조명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4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교체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및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일체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를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상기 의사 단말기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마이크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카메라에서 획득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상기 구강 영상을 각각 표시하거나 또는 화면 분할을 통해서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가장자리는, 응급구조를 하면서 비디오 후두경이 낙하하거나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파손 방지 돌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구조를 접수받아 구급차 출동을 지시하고, 상기 응급구조에 대응하는 상황 대기 의사의 상기 의사 단말기에 대기 알림을 송신하며, 상기 응급구조와 대응하는 비디오 후두경과 매칭시키고,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에 알림을 송신하는, 119 구조 상황실 서버;를 더 포함하는,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급차 내에 배치된 생체 신호 획득부는, 상기 응급환자의 호흡, 맥박, 심박수,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및 근전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에 제공하여,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는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상기 구강 영상과 함께 상기 응급환자의 상기 생체 신호도 같이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8. 제 7 항에 기재된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으로서,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응급구조 접수에 대응하여,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하면서 가용가능한, 상기 구급차에 출동 지시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에 대응하는 상황 대기 의사의 상기 의사 단말기에 대기 알림을 송신하고, 상기 119 구조 상활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에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와 대응하는 비디오 후두경과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를 이용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포함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를 획득하고, 상기 구강용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구강용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급차 내에 배치된 생체 신호 획득부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호흡, 맥박, 심박수,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및 근전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는,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상기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응급환자 구강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성대가 완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제 1 블레이드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피열근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2 블레이드를, 후두개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3 블레이드를, 후두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블레이드를,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교체하여 부착하는 지시가 입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현장의 응급구조 요원에게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상기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를,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
KR1020190022955A 2019-02-27 2019-02-27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 KR102288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955A KR102288863B1 (ko) 2019-02-27 2019-02-27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955A KR102288863B1 (ko) 2019-02-27 2019-02-27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528A KR20200104528A (ko) 2020-09-04
KR102288863B1 true KR102288863B1 (ko) 2021-08-11

Family

ID=7247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955A KR102288863B1 (ko) 2019-02-27 2019-02-27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8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90929A1 (en) * 2009-08-28 2012-07-26 Indian Ocean Medical Inc. Laryngoscope
KR101798141B1 (ko) * 2017-05-08 2017-11-16 케이지메디텍 주식회사 비디오 후두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506B1 (ko) * 2011-07-25 2013-06-04 (주)피지오랩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90929A1 (en) * 2009-08-28 2012-07-26 Indian Ocean Medical Inc. Laryngoscope
KR101798141B1 (ko) * 2017-05-08 2017-11-16 케이지메디텍 주식회사 비디오 후두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528A (ko)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rkow et al. The technology of video laryngoscopy
KR101600339B1 (ko) 비디오 후두경
JP6126224B2 (ja)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遠隔診断システム
US9572946B2 (en) Facial mask and endotracheal intubation system
JP4717843B2 (ja) 無線光学的内視鏡デバイス
EP1738789B1 (en) Endotracheal video device
KR101798141B1 (ko) 비디오 후두경
US20060020171A1 (en) Intubation and imaging device and system
TWM309971U (en) Bronchoscope with wireless-transmission monitor
US9173545B2 (en) Laryngoscopic device
KR102288863B1 (ko)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
CN201208250Y (zh) 无线视频影像喉镜装置
KR100894709B1 (ko) 비디오 기도 삽관기
CN212262104U (zh) 一种引导气管插管的可视光杖
CN102068230A (zh) 可视喉镜
JP3108837U (ja) 気管挿管用小型カメラ無線システム
CN209847135U (zh) 微细软性视频喉镜
JP2021122721A (ja) 挿管装置
TWM309970U (en) Laryngoscope with wireless image transmission
WO2021035368A1 (es) Sistema y método para intubar a un paciente
JP2008307350A (ja) 喉頭鏡システム
KR20240077657A (ko) 튜브용 스타일렛 삽입이 용이한 비디오 후두경
CN218247459U (zh) 一种动物可视气管插管辅助装置
KR102118497B1 (ko) 인투베이션을 위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비데오 스타일렛
CN219940563U (zh) 一种口腔科辅助检查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