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043A -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043A
KR20240013043A KR1020230074844A KR20230074844A KR20240013043A KR 20240013043 A KR20240013043 A KR 20240013043A KR 1020230074844 A KR1020230074844 A KR 1020230074844A KR 20230074844 A KR20230074844 A KR 20230074844A KR 20240013043 A KR20240013043 A KR 20240013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contact
alo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1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8Shield material

Abstract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관통 홀(130)이 형성되는 플러그 절연체(100);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상기 플러그 절연체(100)와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플러그 컨택트(300)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와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 관통 홀(130)을 향하는 일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화가 가능하면서도 통전 신뢰성이 유지되고, 동시에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회로기판 및 이를 다른 부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또한 소형화되고 있다. 반면, 전자기기에서 처리하는 정보의 양은 증가되어, 회로기판 또는 커넥터에 구비되는 단자의 개수는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에, 소형화된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상가와 같은 커넥터의 일 예로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를 들 수 있다. B2B 커넥터는 얇은 두께를 갖게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 휴대폰 액정 모듈 등의 모듈 기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B2B 커넥터의 수요 또한 함께 증가되고 있다.
B2B 커넥터는 플러그(plug)와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러그 및 리셉터클은 각각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자(contac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러그 및 리셉터클에 각각 구비되는 단자들이 서로 접촉되어 B2B 커넥터가 구비되는 모듈 간의 통전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및 리셉터클이 소형화됨에 따라, 플러그 및 리셉터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자들 사이의 거리가 감소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단자들을 모듈 기판과 결합하기 위한 납땜 작업의 난이도가 상승되고, 각 단자의 납땜 부분이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 간섭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더 나아가, 각 단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됨에 따라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강성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플러그 및 리셉터클 각각의 강성 저하 및 이에 따른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결합시 파손 위험이 발생된다.
따라서, 플러그 및 리셉터클을 소형화하기 위해 복수 개의 단자들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면서, 제작 편의성 및 통전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906079B1 (2009.07.06.)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937009B1 (2010.01.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협피치 구조에서 단자 간의 접촉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협피치 커넥터에서 단자 간의 절연체 부분이 좁아지면서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고강도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관통 홀(130)이 형성되는 플러그 절연체(100);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상기 플러그 절연체(100)와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플러그 컨택트(300)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와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 관통 홀(130)을 향하는 일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0)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셉터클 결합 벽(530)이 형성되는 리셉터클 절연체(500);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리셉터클 결합 벽(530)을 향하는 일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제공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크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단자 간의 접촉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초협피치 커넥터에서 단자 간의 절연체 부분이 좁아지면서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2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되는 플러그 컨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플러그 컨택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되는 플러그 PCB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절연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3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홀드다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도 13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컨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13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PCB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관로, 파이프, 배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연통은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됨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블루투스, Wi-Fi,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통신"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 전반에 걸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좌측" 및 "우측"은 X축 방향으로,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Y축 방향으로, "상측" 및 "하측"은 Z축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10)는 어느 하나의 모듈 기판(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0)는 다른 하나의 모듈 기판(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모듈 기판(미도시)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모듈 기판(미도시)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는 B2B 커넥터임을 전제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에 구비되는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기술적 특징은,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 또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를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는 그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서로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는 각각 X축 방향의 길이, Y축 방향의 폭을 갖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는 판형으로 구비된다.
한편, 전통적인 구조의 커넥터는 각 컨택트에 구비되는 모든 실장부가 같은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됨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커넥터를 작게 만들기 위해서는(즉, 저배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컨택트에 구비되는 실장부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켜야 한다.
실장부 사이의 간격이 감소됨에 따라, 실장부를 기판과 결합시키는 솔더(solder, 땜납) 등이 다른 실장부와 접촉될 위험이 있다. 상기의 경우, 실장부 사이에 의도치 않은 통전이 발생되어 커넥터의 성능 및 작동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는 플러그 컨택트(300) 및 리셉터클 컨택트(700) 사이의 간격은 유지하되, 각 컨택트(300, 700)의 실장부 사이의 간격을 전통적인 구조의 커넥터에 비해 2배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는 각 컨택트(300, 700)가 이격되는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어 길이가 감소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저배화가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커넥터(10)는 플러그 절연체(100), 플러그 홀드다운(200), 플러그 컨택트(300) 및 플러그 PCB 패턴(400)을 포함한다.
플러그 절연체(1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플러그 절연체(1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다른 구성과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 플러그 절연체(100)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어, 플러그 절연체(100)에 결합되는 각 구성 간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플러그 절연체(100)는 플러그 홀드다운(200)과 결합된다. 플러그 절연체(100)는 플러그 홀드다운(200)에 의해 부분적으로 감싸진다.
플러그 절연체(100)는 플러그 컨택트(300)와 결합된다.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는 서로 이격되어 플러그 절연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절연체(100)는 플러그 절연 몸체(110), 플러그 지지 벽(120), 플러그 관통 홀(130) 및 플러그 가동 홈(140)을 포함한다.
플러그 절연 몸체(110)는 플러그 절연체(100)의 몸체를 형성한다. 플러그 절연 몸체(11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플러그 절연 몸체(110)는 X축 방향의 길이를 갖게 형성된다.
플러그 절연 몸체(110)는 Y축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된다. 이때, 플러그 절연 몸체(110)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내부에는 플러그 관통 홀(130)이 관통 형성된다. 작업자는 플러그 컨택트(300)가 플러그 PCB 패턴(400)에 실장된 상태를 플러그 관통 홀(13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모서리 중 Y축 방향의 각 단부, 즉 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 단부에 위치되는 각 모서리는 플러그 지지 벽(120)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플러그 지지 벽(120)은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일부를 구성한다. 플러그 지지 벽(120)은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길이 방향의 각 모서리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지지 벽(120)은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모서리를 구성한다.
플러그 지지 벽(120)은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지지 벽(120)은 X축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플러그 지지 벽(120)은 플러그 컨택트(300)와 결합된다. 플러그 지지 벽(120)은 플러그 컨택트(300)를 지지한다.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는 플러그 지지 벽(120)의 길이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 지지 벽(120)에 결합된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이들 간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플러그 지지 벽(1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플러그 지지 벽(120)은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폭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플러그 지지 벽(120)은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와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지지 벽(120)은 제1 플러그 지지 벽(121) 및 제2 플러그 지지 벽(122)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플러그 지지 벽(121) 및 제2 플러그 지지 벽(122)은 플러그 관통 홀(13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플러그 지지 벽(121)은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폭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제1 플러그 지지 벽(121)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와 결합된다.
제2 플러그 지지 벽(122)은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폭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제2 플러그 지지 벽(122)은 후방 측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와 결합된다.
제1 플러그 지지 벽(121) 및 제2 플러그 지지 벽(122) 사이에는 플러그 관통 홀(130)이 형성된다.
플러그 관통 홀(130)은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Z축 방향의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에 관통 형성된다. 플러그 관통 홀(130)은 복수 개의 플러그 PCB 패턴(400) 중 Y축 방향을 따라 내측에 위치되는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과 Z축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플러그 관통 홀(130)을 통해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이 Z축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플러그 관통 홀(130)은 검사 창(inspection window)으로 기능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플러그 관통 홀(130)은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관통 홀(130)은 X축 방향의 길이를 갖고, Y축 방향의 폭을 가지며, Z축 방향의 두께를 갖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플러그 가동 홈(140)은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가 가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플러그 가동 홈(140)은 플러그 지지 벽(120)의 내측에 형성된다. 플러그 가동 홈(140)은 한 쌍의 제1 및 제2 플러그 지지 벽(121, 122)이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각 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플러그 지지 벽(121)에 형성되는 플러그 가동 홈(140)은 후방 측에, 제2 플러그 지지 벽(122)에 형성되는 플러그 가동 홈(140)은 전방 측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플러그 지지 벽(121, 122)에 각각 형성되는 플러그 가동 홈(140)은 플러그 관통 홀(13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플러그 가동 홈(140)은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의 제2 플러그 접촉부(312)를 가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제2 플러그 접촉부(312)는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에 의해 가압되어 Y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가동 홈(140)에 더 수용되는 방향 및 덜 수용되는 방향으로 가동될 수 있다(도 12의 화살표 방향).
플러그 홀드다운(200)은 플러그 절연체(100)와 결합되어, 플러그 절연체(100)의 강성을 보강하게 구성된다. 또한, 플러그 홀드다운(200)은 플러그 절연체(100)와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 PCB 패턴(400)에 실장되어, 플러그 커넥터(10)와 모듈 기판(미도시) 간의 실장력을 증가시키게 구성된다.
더 나아가, 플러그 홀드다운(200)은 리셉터클 홀드다운(600)과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플러그 홀드다운(200)에는 플러그 컨택트(300)에 통전되는 전류에 비해 더 큰 세기의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플러그 홀드다운(200)은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홀드다운(200)은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플러그 홀드다운(200)은 리셉터클 홀드다운(600)과 통전되면서, 동시에 플러그 절연체(100)의 강성 및 플러그 커넥터(10)와 모듈 기판(미도시) 간의 실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러그 홀드다운(200)은 구리(Cu) 또는 이를 포함하는 합금 등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홀드다운(20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플러그 홀드다운(200)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플러그 절연 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홀드다운(200)은 제1 플러그 홀드다운(200a) 및 제2 플러그 홀드다운(200b)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플러그 홀드다운(200a)은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길이 방향, 즉 X축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에 결합된다. 제2 플러그 홀드다운(200b)은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길이 방향, 즉 X축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에 결합된다.
제1 플러그 홀드다운(200a)은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600a)과 접촉, 통전된다. 제2 플러그 홀드다운(200b)은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600b)과 접촉, 통전된다.
플러그 컨택트(300)는 리셉터클 컨택트(700)와 접촉되어 통전된다. 플러그 컨택트(300)는 플러그 커넥터(10)가 실장되는 모듈 기판(미도시) 및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실장되는 모듈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한다. 플러그 컨택트(300)는 리셉터클 컨택트(700)와 전기적 신호 또는 전류를 주고받을 수 있다.
플러그 컨택트(30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30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러그 컨택트(300)는 구리 또는 이를 포함하는 합금 등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컨택트(300)는 플러그 절연체(100)와 결합된다. 플러그 컨택트(300)는 플러그 지지 벽(120)과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플러그 컨택트(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는 플러그 지지 벽(12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는 Y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관통 홀(1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는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가 최소한의 거리만큼만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 또는 이들과 각각 결합되는 플러그 PCB 패턴(400) 간의 의도치 않은 접촉 및 통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술될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는 그 배치 방향을 따라 다른 위치에서 플러그 PCB 패턴(4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 및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는 리셉터클 컨택트(700)와 접촉되는 모든 부분이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는 리셉터클 컨택트(700) 중 고정되는 접촉부 및 가동되는 접촉부를 모두 포함하는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리셉터클 컨택트(700)와 접촉되는 일 부분은 고정되고, 다른 부분은 가동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리셉터클 컨택트(700) 중 고정되는 접촉부만을 포함하는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컨택트(300)와 리셉터클 컨택트(700)의 접촉, 통전시 각 컨택트(300, 7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플러그 컨택트(300) 및 리셉터클 컨택트(700)의 접촉, 통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 및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는 제1 플러그 길이(pl1)만큼 연장되고,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제2 플러그 길이(pl2)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러그 길이(pl1)는 제2 플러그 길이(pl2) 이하일 수 있다.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 및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플러그 지지 벽(120)의 연장 방향, 즉 X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이격 폭(pw)만큼 서로 이격되며 교번적으로 배치된다(도 6 및 도 10 참조).
또한, 한 쌍의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 및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플러그 지지 벽(120)의 폭 방향, 즉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 및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 한 쌍이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각 플러그 컨택트(300a, 300b)는 Y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이격 거리(pd)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도 10 참조).
결과적으로, 서로 가깝게 위치되는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 모두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 및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가 각각 실장되는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 또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플러그 커넥터(10)가 소형화되어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더라도,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 간의 임의 접촉,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가 각각 실장되는 복수 개의 플러그 PCB 패턴(400) 간의 임의 접촉, 통전 또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 및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Z축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의 부분 중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 부분(후술될 제1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1))은,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의 부분 중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 부분(후술될 제2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2))에 비해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는 플러그 이격 높이(ph)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이격 높이(ph)는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 또는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는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외측에서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가 실장되는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과 충분히 이격될 수 있다.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는 리셉터클 컨택트(700)와 접촉, 통전되는 부분이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는 가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와 접촉, 통전된다.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리셉터클 컨택트(700)와 접촉, 통전되는 일 부분은 고정되게, 다른 부분은 가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각 부분이 고정되게 구성되는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와 접촉, 통전된다.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 및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전체적으로 구성이 유사하되, 구조에 있어 일부 차이가 있다. 이에, 이하의 설명에서 공통되는 부분은 제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300a, 300b)를 플러그 컨택트(300)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컨택트(300)는 플러그 접촉부(310),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0),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0) 및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0)을 포함한다.
플러그 접촉부(310)는 플러그 컨택트(300)가 리셉터클 컨택트(700)와 접촉, 통전되는 부분이다. 플러그 접촉부(310)는 리셉터클 컨택트(700)의 리셉터클 접촉부(710)와 접촉되어 통전된다. 플러그 접촉부(310)는 플러그 컨택트(300)의 일 부분을 구성한다.
플러그 접촉부(310)는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0)와 결합된다. 플러그 접촉부(310)는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0)에 의해 플러그 지지 벽(120)과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 접촉부(3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플러그 접촉부(310)는 서로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의 리셉터클 접촉부(710)와 각각 접촉, 통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접촉부(310)는 제1 플러그 접촉부(311), 제2 플러그 접촉부(312) 및 플러그 접촉 연결부(313)를 포함한다.
제1 플러그 접촉부(311)는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와 접촉되어 통전된다. 제1 플러그 접촉부(311)는 제1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1)와 결합된다. 제1 플러그 접촉부(311)는 제1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1)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플러그 접촉부(311)는 Y축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 플러그 접촉부(311)는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플러그 접촉부(312)는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와 접촉되어 통전된다.
이때,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의 제2 플러그 접촉부(312)는 제2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2)의 일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의 제2 플러그 접촉부(312)는 제2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2)의 면 중 Y축 방향의 내측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의 제2 플러그 접촉부(312)는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의 제2 플러그 접촉부(312)는 제1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1)와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의 제2 플러그 접촉부(312)는 플러그 접촉 연결부(313)에 의해 제1 플러그 접촉부(311)와 연속, 통전된다.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의 제2 플러그 접촉부(312)는 가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 접촉 연결부(313)는 제1 플러그 접촉부(311)와 제2 플러그 접촉부(312)를 연결한다. 플러그 접촉 연결부(313)는 제1 플러그 접촉부(311) 및 제2 플러그 접촉부(312)와 각각 통전된다. 플러그 접촉 연결부(313)는 제1 플러그 접촉부(311) 및 제2 플러그 접촉부(312) 사이에서 연장된다.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0)는 플러그 컨택트(300)가 플러그 지지 벽(12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0)는 플러그 접촉부(310)와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0)는 플러그 접촉부(310) 및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0)와 각각 연속, 통전된다.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0)는 플러그 접촉부(310)와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0)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0)는 제1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2)를 포함한다.
제1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1)는 제1 플러그 접촉부(311)와 결합, 통전된다. 또한,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의 제1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1)는 플러그 접촉 연결부(313)와 연속된다.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의 제1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1)는 플러그 접촉 연결부(313) 및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0)와 연속된다.
제2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2)는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에 구비된다. 제2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2)는 플러그 접촉 연결부(313) 및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0)와 각각 연속된다.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0)는 플러그 컨택트(300)가 플러그 PCB 패턴(400)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0)는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외부에 노출된다.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0)는 플러그 접촉부(310)와 연속된다.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0)는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0)에 의해 플러그 접촉부(310)와 연속되어 통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0)는 제1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2)를 포함한다.
제1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1)는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에 구비된다. 제1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1)는 제2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2)를 통해 플러그 접촉부(310)와 연속, 통전된다.
제1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1)는 Y축 방향의 내측에 위치되어, 플러그 관통 홀(130) 상에 위치된다.
제2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2)는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에 구비된다. 제2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2)는 제1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1)에 의해 플러그 접촉부(310)와 연속, 통전된다.
제2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2)는 Y축 방향의 외측에 위치되어,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외측에 노출된다.
따라서, 제1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2)는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2)가 각각 실장되는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 간의 임의 접촉,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0)은 플러그 컨택트(300)가 플러그 절연체(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0)은 Z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커팅(cutting)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0)은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에 형성되는 제1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1) 및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에 형성되는 제2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2)을 포함한다.
제1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1)은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의 Y축 방향의 일 단부 면을 구성한다. 제1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1)은 플러그 절연체(1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제1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1)은 제1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1)의 단부 중 제1 플러그 접촉부(311)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단부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2)은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의 Y축 방향의 일 단부 면을 구성한다. 제2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2)은 플러그 절연체(1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제2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2)은 제2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2)의 단부 중 제1 플러그 컨택트 유지부(321)와 연속되지 않는 다른 단부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1)은 제2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2)과 상이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Z축 방향을 따라, 제1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1)과 제2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2)은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하측 면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1)이 제2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2)에 비해 더 높게 위치된다.
또한, 제1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2)은 비도금(uncoated)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2)은 코팅을 위한 별도의 공정을 요구하지 않는다.
플러그 PCB 패턴(400)은 플러그 커넥터(10)를 모듈 기판(미도시)에 실장시킨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PCB 패턴(400)은 플러그 홀드다운(200) 및 플러그 컨택트(300)를 모듈 기판(미도시)에 실장시킨다.
플러그 PCB 패턴(400)은 플러그 홀드다운(200) 및 플러그 컨택트(300)를 모듈 기판(미도시)에 실장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러그 PCB 패턴(400)은 납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 PCB 패턴(40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플러그 PCB 패턴(400)은 플러그 홀드다운(200) 및 플러그 컨택트(300)를 각각 실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PCB 패턴(400)은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 및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0)을 포함한다.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은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를 실장한다.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은 플러그 관통 홀(130)에 위치되는 제1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1)를 실장한다. 이에,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은 Y축 방향을 따라 내측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은 X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에 각각 구비되는 제1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1)를 각각 실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는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또한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은 Y축 방향을 따라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플러그 지지 벽(121)과 결합되는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를 실장한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은, 제2 플러그 지지 벽(122)과 결합되는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를 실장한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과 Y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은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은 Y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X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으로 구성되는 각 군은, Y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동시에 X축 방향을 따라서도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간의 임의 접촉 또는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 간의 임의 접촉 또는 통전 또한 방지될 수 있다.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은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를 실장한다.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은 플러그 절연 몸체(11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2)를 실장한다. 이에,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은 Y축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은 X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에 각각 구비되는 제2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2)를 각각 실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 또한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은 Y축 방향을 따라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플러그 지지 벽(121)과 결합되는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와 결합된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은, 제2 플러그 지지 벽(122)과 결합되는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와 결합된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과 Y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은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은 Y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X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으로 구성되는 각 군은, Y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동시에 X축 방향을 따라서도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 간의 임의 접촉 또는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20) 및 제1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간의 임의 접촉 또는 통전 또한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는 X축 방향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가 협 피치(pitch), 즉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300a, 300b)를 실장하는 제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420) 또한 인접하게 배치되어야만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는 Y축 방향으로도 제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420)을 이격 배치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420) 사이의 간격이 최대한 확보되어, 이들 간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420)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예를 들면, 납)의 과다 투입(overflow)이 발생되더라도, 제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420) 사이의 간격이 최대한 확보되므로, 이들 간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0)은 플러그 홀드다운(200)을 실장한다.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0)은 플러그 절연체(100)와 플러그 홀드다운(200)의 실장력을 증가시키게 구성된다.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0)은 복수 개의 플러그 홀드다운(200a, 200b)을 각각 실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0)은 제1 및 제2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1, 4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1)은 X축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된다. 제2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2)은 제1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1)에 비해 X축 방향을 따라 내측에 위치된다. 제2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2)은 제1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1)과 제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420) 사이에 위치된다.
제2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2)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2)은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2)은 한 쌍 구비되어,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위치된다.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0)은 제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420)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홀드다운 PCB 패턴(430)은 X축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 PCB 패턴(410, 420)과 각각 이격 배치된다.
도 13 내지 도 2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 리셉터클 홀드다운(600), 리셉터클 컨택트(700) 및 리셉터클 PCB 패턴(80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절연체(500)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외형을 형성한다. 리셉터클 절연체(500)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다른 구성과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 리셉터클 절연체(500)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어, 리셉터클 절연체(500)에 결합되는 각 구성 간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리셉터클 절연체(500)는 리셉터클 홀드다운(600)과 결합된다. 리셉터클 절연체(500)는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에 의해 부분적으로 감싸진다.
리셉터클 절연체(500)는 리셉터클 컨택트(700)와 결합된다.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서로 이격되어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절연체(500)는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 리셉터클 지지 벽(520), 리셉터클 결합 벽(530), 리셉터클 검사창(540) 및 리셉터클 관통공(55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몸체를 형성한다.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는 X축 방향의 길이를 갖게 형성된다.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는 Y축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된다. 이때,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리셉터클 결합 벽(530), 리셉터클 검사창(540) 및 리셉터클 관통공(550)이 위치된다. 상기 공간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공간은 X축 방향의 길이를 갖고, Y축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된다.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모서리 중 Y축 방향의 각 단부, 즉 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 단부에는 리셉터클 지지 벽(520)이 위치된다.
리셉터클 지지 벽(52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일부를 구성한다. 리셉터클 지지 벽(52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길이 방향의 각 모서리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지지 벽(52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를 구성한다.
리셉터클 지지 벽(52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지지 벽(520)은 상기 공간을 Y축 방향, 즉 전방 측 및 후방 측에서 각각 둘러싼다.
리셉터클 지지 벽(52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지지 벽(520)은 X축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리셉터클 지지 벽(520)은 리셉터클 컨택트(700)와 결합된다. 리셉터클 지지 벽(520)은 리셉터클 컨택트(700)를 지지한다.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리셉터클 지지 벽(520)의 길이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리셉터클 지지 벽(520)에 결합된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이들 간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리셉터클 지지 벽(5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셉터클 지지 벽(52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폭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셉터클 지지 벽(520)은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와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지지 벽(520)은 제1 리셉터클 지지 벽(521) 및 제2 리셉터클 지지 벽(522)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리셉터클 지지 벽(521) 및 제2 리셉터클 지지 벽(522)은 리셉터클 결합 벽(53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리셉터클 지지 벽(521)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폭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제1 리셉터클 지지 벽(521)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와 결합된다.
제2 리셉터클 지지 벽(522)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폭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제2 리셉터클 지지 벽(522)은 후방 측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와 결합된다.
제1 리셉터클 지지 벽(521) 및 제2 리셉터클 지지 벽(522) 사이에는 리셉터클 결합 벽(530)이 위치된다.
리셉터클 결합 벽(530)은 리셉터클 컨택트(700)를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리셉터클 결합 벽(530)은 플러그 커넥터(10)에 구비되는 플러그 컨택트(300)가 리셉터클 컨택트(700)와 결합될 때, 리셉터클 컨택트(700)의 탄성 변형 정도를 제한하게 구성된다. 또한, 리셉터클 결합 벽(530)은 플러그 절연 몸체(110)와 접촉되어,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결합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리셉터클 결합 벽(53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와 결합된다. 리셉터클 결합 벽(53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하측 내면과 결합되어,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리셉터클 결합 벽(53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셉터클 결합 벽(530)은 리셉터클 지지 벽(520)과 Y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리셉터클 결합 벽(530)의 면 중 리셉터클 지지 벽(520)을 향하는 각 면에는 홈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홈은 리셉터클 컨택트(700)의 부분 중 Y축 방향의 내측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Y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결합 벽(530)을 사이에 두고 리셉터클 검사창(540)이 위치된다.
리셉터클 검사창(54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Z축 방향의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에 관통 형성된다. 리셉터클 검사창(540)은 복수 개의 리셉터클 PCB 패턴(800) 중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 및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와 결합되는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과 Z축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리셉터클 검사창(540)을 통해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의 일부가 Z축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리셉터클 검사창(540)은 리셉터클 컨택트(700)가 예정된 위치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창으로 기능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리셉터클 검사창(54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셉터클 검사창(54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리셉터클 검사창(540)은 복수 개의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과 Z축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검사창(540)은 복수 개의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 및 이를 실장하는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리셉터클 검사창(540) 사이에는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하측 면의 일부로 정의되는 리브(ri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가 형성됨에 따라,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검사창(540)은 복수 개의 군(group)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군의 리셉터클 검사창(540)은 리셉터클 결합 벽(53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검사창(540)은 한 쌍의 군으로 구비되어, 리셉터클 결합 벽(530)을 사이에 두고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리셉터클 검사창(54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리셉터클 관통공(55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X축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리셉터클 관통공(55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Z축 방향의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에 관통 형성된다. 리셉터클 관통공(550)은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을 실장하는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0)과 Z축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리셉터클 관통공(550)을 통해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0)이 Z축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리셉터클 관통공(550) 또한 검사 창으로 기능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리셉터클 관통공(55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X축 방향의 단부와 리셉터클 결합 벽(530) 사이에 위치된다.
리셉터클 관통공(55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셉터클 관통공(55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X축 방향의 각 단부와 리셉터클 결합 벽(5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관통공(550)은 한 쌍 구비되어, X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결합 벽(53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리셉터클 관통공(55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은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결합되어,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강성을 보강하게 구성된다. 또한,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은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PCB 패턴(800)에 실장되어, 리셉터클 커넥터(20)와 모듈 기판(미도시) 간의 실장력을 증가시키게 구성된다.
더 나아가,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은 플러그 홀드다운(200)과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에는 리셉터클 컨택트(700)에 통전되는 전류에 비해 더 큰 세기의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은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은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은 리셉터클 홀드다운(600)과 통전되면서, 동시에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강성 및 리셉터클 커넥터(20)와 모듈 기판(미도시) 간의 실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은 구리(Cu) 또는 이를 포함하는 합금 등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은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600a) 및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600b)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600a)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길이 방향, 즉 X축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에 결합된다.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600b)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길이 방향, 즉 X축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에 결합된다.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600a)은 제1 플러그 홀드다운(200a)과 접촉, 통전된다.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600b)은 제2 플러그 홀드다운(200b)과 접촉, 통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은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20) 및 리셉터클 홀드다운 실장 돌기(630)를 포함한다.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은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의 일 부분을 구성한다.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를 부분적으로 덮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은 상측에 위치되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상기 부분과 연속되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를 덮고, 플러그 홀드다운(200)과 접촉, 통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되는 판형으로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은 제1 PCB 패턴 결합부(611)를 포함한다.
제1 PCB 패턴 결합부(611)는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의 일 단부를 구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PCB 패턴 결합부(611)는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의 Z축 방향의 일측, 즉 하측의 단부를 구성한다.
제1 PCB 패턴 결합부(611)는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외부에 노출된다. 이를 위해,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에 Z축 방향으로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제1 PCB 패턴 결합부(611)는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2)에 실장된다. 제1 PCB 패턴 결합부(611)는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2)과 Z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20)은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의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20)은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이때,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20)과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이 연속되는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 및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20)은 한 쌍씩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은 한 쌍의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20)과 각각 연속된다. 한 쌍의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20)은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며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은 X축 방향의 외력에 대해 보다 높은 강성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 결합시 인가되는 외력에 위한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20)은 제2 PCB 패턴 결합부(621) 및 결합 만곡부(622)를 포함한다.
제2 PCB 패턴 결합부(621)는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20)의 일 단부를 구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PCB 패턴 결합부(621)는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20)의 Z축 방향의 일 측, 즉 하측의 단부를 구성한다.
제2 PCB 패턴 결합부(621)는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외부에 노출된다. 이를 위해,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20)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에 Z축 방향으로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제2 PCB 패턴 결합부(621)는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1)에 실장된다. 제2 PCB 패턴 결합부(621)는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1)과 Z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만곡부(622)는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과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20)이 연속되는 부분이다. 결합 만곡부(622)는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과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20)을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되게 결합한다.
결합 만곡부(622)는 곡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만곡부(622)는 Z축 방향의 일 측, 즉 상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결합 만곡부(62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만곡부(622)는 서로 마주하며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20) 및 이들과 각각 연속되는 한 쌍의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면(610) 사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리셉터클 홀드다운 실장 돌기(630)는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이 리셉터클 PCB 패턴(800)에 실장되는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리셉터클 홀드다운 실장 돌기(630)는 리셉터클 관통공(550)과 Z축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리셉터클 홀드다운 실장 돌기(630)는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리셉터클 홀드다운 실장 돌기(630)는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1)에 실장된다.
리셉터클 홀드다운 실장 돌기(630)는 리셉터클 관통공(550)과 Z축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이에, 리셉터클 홀드다운 실장 돌기(630)가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0)에 실장된 상태는 리셉터클 관통공(550)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플러그 컨택트(300)와 접촉되어 통전된다.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실장되는 모듈 기판(미도시) 및 플러그 커넥터(10)가 실장되는 모듈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한다.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플러그 컨택트(300)와 전기적 신호 또는 전류를 주고받을 수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구리 또는 이를 포함하는 합금 등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결합된다.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리셉터클 지지 벽(520)과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리셉터클 지지 벽(52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Y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결합 벽(5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가 최소한의 거리만큼만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길이,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 또는 이들을 각각 실장하는 리셉터클 PCB 패턴(800) 간의 의도치 않은 접촉 및 통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술될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그 배치 방향을 따라 다른 위치에서 리셉터클 PCB 패턴(8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 및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는 플러그 컨택트(300)와 접촉되는 일 부분은 고정되고, 다른 부분은 가동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는 플러그 컨택트(300) 중 고정되는 접촉부만을 포함하는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플러그 컨택트(300)와 접촉되는 모든 부분이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플러그 컨택트(300) 중 고정되는 접촉부 및 가동되는 접촉부를 모두 포함하는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컨택트(700)와 플러그 컨택트(300)의 접촉, 통전시 각 컨택트(300, 7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리셉터클 컨택트(700) 및 플러그 컨택트(300)의 접촉, 통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 및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는 제1 리셉터클 길이(rl1)만큼 연장되고,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제2 리셉터클 길이(rl2)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리셉터클 길이(rl1)는 제2 리셉터클 길이(rl2) 이하일 수 있다.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 및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리셉터클 지지 벽(520)의 연장 방향, 즉 X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이격 폭(rw)만큼 서로 이격되며 교번적으로 배치된다(도 17 및 도 24 참조).
또한, 한 쌍의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 및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리셉터클 지지 벽(520)의 폭 방향, 즉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 및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 한 쌍이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각 리셉터클 컨택트(700a, 700b)는 Y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이격 거리(rd)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도 24 참조).
결과적으로, 서로 가깝게 위치되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 모두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 및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를 각각 실장하는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 및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 또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소형화되어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더라도,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 간의 임의 접촉,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를 각각 실장되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PCB 패턴(800) 간의 임의 접촉, 통전 또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 및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Z축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의 부분 중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 부분(후술될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은,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의 부분 중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 부분(후술될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1))에 비해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는 리셉터클 이격 높이(rh)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리셉터클 이격 높이(rh)는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 또는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 및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를 실장하는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은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와 충분히 이격될 수 있다.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는 플러그 컨택트(300)와 접촉, 통전되는 일 부분은 고정되게, 다른 부분은 가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는 각 부분이 고정되게 구성되는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와 접촉, 통전된다.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플러그 컨택트(300)와 접촉, 통전되는 부분이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가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와 접촉, 통전된다.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 및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전체적으로 구성이 유사하되, 구조에 있어 일부 차이가 있다. 이에, 이하의 설명에서 공통되는 부분은 제1 및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a, 700b)를 리셉터클 컨택트(700)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리셉터클 접촉부(710),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0),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0) 및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접촉부(710)는 리셉터클 컨택트(700)가 플러그 컨택트(300)와 접촉, 통전되는 부분이다. 리셉터클 접촉부(710)는 플러그 컨택트(300)의 플러그 접촉부(310)와 접촉되어 통전된다. 리셉터클 접촉부(710)는 리셉터클 컨택트(700)의 일 부분을 구성한다.
리셉터클 접촉부(710)는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0)와 결합된다. 리셉터클 접촉부(710)는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0)에 의해 리셉터클 지지 벽(520)과 결합될 수 있다.
리셉터클 접촉부(7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셉터클 접촉부(710)는 서로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의 리셉터클 접촉부(710)와 각각 접촉, 통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접촉부(710)는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 및 리셉터클 접촉 연결부(713)를 포함한다.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는 제1 플러그 접촉부(311)와 접촉되어 통전된다.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는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2)와 결합된다.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는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2)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는 Y축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다.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는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는 제2 플러그 접촉부(312)와 접촉되어 통전된다.
이때,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의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는 Y축 방향을 따라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는 Y축 방향을 따라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에 반대되게 위치된다.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의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는 가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의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는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를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의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는 Y축 방향을 따라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는 Y축 방향을 따라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에 반대되게 위치된다.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의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는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접촉 연결부(713)는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1)와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2)를 연결한다. 리셉터클 접촉 연결부(713)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1, 722)와 각각 통전된다. 리셉터클 접촉 연결부(713)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1, 722) 사이에서 연장된다.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0)는 리셉터클 컨택트(700)가 리셉터클 지지 벽(52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0)는 리셉터클 접촉부(710)와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0)는 리셉터클 접촉부(710) 및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0)와 각각 연속, 통전된다.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0)는 리셉터클 접촉부(710)와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0)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0)는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1) 및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2)를 포함한다.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1)는 리셉터클 지지 벽(520)의 외측을 감싸게 배치된다.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1)는 Y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지지 벽(520)을 사이에 두고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2)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1)는 리셉터클 접촉 연결부(713)와 결합, 통전된다.
이때,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1)는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와 연속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는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에 실장될 수 있다.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2)는 리셉터클 지지 벽(520)의 내측을 감싸게 배치된다.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2)는 Y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지지 벽(520)을 사이에 두고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1)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2)는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0)는 리셉터클 컨택트(700)가 리셉터클 PCB 패턴(800)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0)는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외부에 노출된다.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0)는 리셉터클 접촉부(710)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0)는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0)에 의해 리셉터클 접촉부(710)와 연속되어 통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0)는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 및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2)를 포함한다.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는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에 구비된다.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는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1)를 통해 리셉터클 접촉부(710)와 연속, 통전된다.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는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외측에 위치된다.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는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2)는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에 구비된다.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2)는 직접, 또는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2)에 의해 리셉터클 접촉부(710)와 연속, 통전된다.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2)는 Z축 방향의 외측에 위치된다.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2)는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Z축 방향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와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2)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 820)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 732)의 임의 접촉,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및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 820)의 임의 접촉, 통전 또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 및 복수 개의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의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 및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의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의 단부는 각각 리셉터클 결합 벽(530)에 인접하게, X축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결합 벽(53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즉,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의 리셉터클 접촉부(710)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홈) 사이에는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의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가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모든 구성이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을 갖는 전기 절연성 물질로 형성되는 리셉터클 결합 벽(530)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는 리셉터클 컨택트(700)에 의해 그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가 결합될 때, 플러그 커넥터(10)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가 X축 방향의 길이가 1 cm 이하, Y축 방향의 길이가 0.5 cm 이하의 초소형의 커넥터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결합 및 유지에 필요한 충분한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0)은 리셉터클 컨택트(700)가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0)은 Z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커팅(cutting)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0)은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에 형성되는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1) 및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에 형성되는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2)을 포함한다.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1)은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의 Y축 방향의 일 단부 면을 구성한다.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1)은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1)은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의 단부 중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1)와 연속되지 않은 다른 단부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2)은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의 Y축 방향의 일 단부 면을 구성한다.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2)은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2)은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1)의 단부 중 리셉터클 접촉 연결부(713)와 연속되지 않는 다른 단부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1)은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2)과 상이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Z축 방향을 따라,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1)과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2)은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하측 면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1)이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2)에 비해 더 낮게 위치된다.
또한,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1) 및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2)은 비도금(uncoated)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1) 및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2)은 코팅을 위한 별도의 공정을 요구하지 않는다.
리셉터클 PCB 패턴(800)은 리셉터클 커넥터(20)를 모듈 기판(미도시)에 실장시킨다. 구체적으로, 리셉터클 PCB 패턴(800)은 리셉터클 홀드다운(600) 및 리셉터클 컨택트(700)를 모듈 기판(미도시)에 실장시킨다.
리셉터클 PCB 패턴(800)은 리셉터클 홀드다운(600) 및 리셉터클 컨택트(700)를 모듈 기판(미도시)에 실장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PCB 패턴(800)은 납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PCB 패턴(80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셉터클 PCB 패턴(800)은 리셉터클 홀드다운(600) 및 리셉터클 컨택트(700)를 각각 실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PCB 패턴(800)은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 및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0)을 포함한다.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은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를 실장한다.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은 리셉터클 지지 벽(520)의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노출되는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를 실장한다. 즉,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은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에 비해, Y축 방향의 외측에 위치된다.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은 복수 개의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에 구비되는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를 각각 실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는 복수 개 구비되어, X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와 교번적으로 나란하게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의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2)는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에 비해 Y축 방향의 내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이 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 간의 임의 접촉 및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은 복수 개의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과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 및 복수 개의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 간의 임의 통전 또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절연 몸체(510)의 Y축 방향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와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유지부(721)는 리셉터클 이격 높이(rh)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과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 간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은 복수 개의 군(group)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군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은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 개의 군의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은 한 쌍의 군으로 구성되어, Y축 방향의 양 외측, 즉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위치된다.
한 쌍의 군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 사이에는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이 위치된다.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은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를 실장한다.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은 리셉터클 지지 벽(520)의 Z축 방향으로 노출되는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의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2)를 실장한다. 즉,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은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에 비해, Y축 방향의 내측에 위치된다.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은 복수 개의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에 구비되는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2)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복수 개 구비되어, X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와 교번적으로 나란하게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는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2)에 비해 Y축 방향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이 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 간의 임의 접촉 및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은 복수 개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과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 및 복수 개의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 간의 임의 통전 또한 방지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은 복수 개의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군의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은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 개의 군의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은 한 쌍의 군으로 구성되어, Y축 방향의 내측에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각 군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 및 복수 개의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은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10)과 제2 리셉터클 컨택트 PCB 패턴(820)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0)은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을 실장한다.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0)은 리셉터클 홀드다운 실장 돌기(630)를 실장하여,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리셉터클 홀드다운(600)의 실장력을 증가시키게 구성된다.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0)은 복수 개의 리셉터클 홀드다운(600a, 600b)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0)은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1) 및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2)을 포함한다.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1)은 제2 PCB 패턴 결합부(621) 및 리셉터클 홀드다운 실장 돌기(630)를 실장한다.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1)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1)은 제2 PCB 패턴 결합부(621) 및 리셉터클 홀드다운 실장 돌기(630)를 각각 실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1)은 X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쌍으로 구비된다. 각 쌍의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1)은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각 쌍의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1)은 제1 및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600a, 600b)에 각각 구비되는 제2 PCB 패턴 결합부(621) 및 리셉터클 홀드다운 실장 돌기(630)를 각각 실장한다.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2)은 제1 PCB 패턴 결합부(611)를 실장한다.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2)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2)은 복수 개의 제1 PCB 패턴 결합부(611)를 각각 실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2)은 X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쌍으로 구비된다. 각 쌍의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2)은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각 쌍의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PCB 패턴(832)은 제1 및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600a, 600b)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PCB 패턴 결합부(611)를 각각 실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커넥터 10: 플러그 커넥터
20: 리셉터클 커넥터 100: 플러그 절연체
200: 플러그 홀드다운 200a: 제1 플러그 홀드다운
200b: 제2 플러그 홀드다운 300: 플러그 컨택트
300a: 제1 플러그 컨택트 300b: 제2 플러그 컨택트
400: 플러그 PCB 패턴 500: 리셉터클 절연체
600: 리셉터클 홀드다운 600a: 제1 리셉터클 홀드다운
600b: 제2 리셉터클 홀드다운 700: 리셉터클 컨택트
700a: 제1 리셉터클 컨택트 700b: 제2 리셉터클 컨택트
800: 리셉터클 PCB 패턴 pl1: 제1 플러그 길이
pl2: 제2 플러그 길이 pw: 플러그 이격 폭
pd: 플러그 이격 거리 ps1: 제1 플러그 PCB 패턴 거리
ps2: 제2 플러그 PCB 패턴 거리 ph: 플러그 이격 높이
rl1: 제1 리셉터클 길이 rl2: 제2 리셉터클 길이
rw: 리셉터클 이격 폭 rd: 리셉터클 이격 거리
rs1: 제1 리셉터클 PCB 패턴 거리 rs2: 제2 리셉터클 PCB 패턴 거리
rh: 리셉터클 이격 높이

Claims (15)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관통 홀(130)이 형성되는 플러그 절연체(100);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상기 플러그 절연체(100)와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300)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플러그 컨택트(300)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와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 관통 홀(130)을 향하는 일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리셉터클 커넥터(20)에 구비되는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 접촉부(310); 및
    상기 플러그 접촉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 절연체(100)의 외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제2 플러그 컨택트 실장부(332)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 절연체(10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1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1)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 절연체(10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1) 및 상기 제2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2)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1) 및 상기 제2 플러그 컨택트 커팅 면(342)은 비도금(uncoated) 면으로 형성되는,
    플러그 커넥터(10).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제1 플러그 길이(pl1)만큼 연장되고,
    상기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플러그 길이(pl1)와 상이한 제2 플러그 길이(pl2)만큼 연장되며,
    상기 제1 플러그 길이(pl1)는 상기 제2 플러그 길이(pl2) 미만인,
    플러그 커넥터(10).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플러그 컨택트(300)를 각각 실장하는 복수 개의 플러그 PCB 패턴(400)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는, 상기 플러그 관통 홀(130)에 인접한 위치에서 복수 개의 상기 플러그 PCB 패턴(400)에 각각 실장되고,
    복수 개의 상기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는, 상기 플러그 절연체(100)의 외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플러그 PCB 패턴(400)에 각각 실장되는,
    플러그 커넥터(1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절연체(10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 및 상기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 관통 홀(13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플러그 지지 벽(12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상기 플러그 지지 벽(120)이 서로 마주하는 각 측에는, 상기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가동되도록 플러그 가동 홈(140)이 형성되는,
    플러그 커넥터(10).
  8.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셉터클 결합 벽(530)이 형성되는 리셉터클 절연체(500);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700)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700)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리셉터클 결합 벽(530)을 향하는 일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는,
    플러그 커넥터(10)에 구비되는 고정형 제1 플러그 컨택트(300a)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리셉터클 접촉부(710); 및
    상기 리셉터클 접촉부(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외측에 노출되는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1)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일 측에서 플러그 커넥터(10)에 구비되는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타 측에서 상기 가동형 제2 플러그 컨택트(300b)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 및
    상기 제1 리셉터클 접촉부(711) 및 상기 제2 리셉터클 접촉부(712)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외측에 노출되는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실장부(732)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0).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1)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1) 및 상기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2)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2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1) 및 상기 제2 리셉터클 컨택트 커팅 면(742)은 비도금 면으로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20).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제1 리셉터클 길이(rl1)만큼 연장되고,
    상기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리셉터클 길이(rl1)와 상이한 제2 리셉터클 길이(rl2)만큼 연장되며,
    상기 제1 리셉터클 길이(rl1)는 상기 제2 리셉터클 길이(rl2) 미만인,
    리셉터클 커넥터(20).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500)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검사창(540)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0).
  15. 제1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700)가 각각 실장되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PCB 패턴(800)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가동형 제1 리셉터클 컨택트(700a)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외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리셉터클 PCB 패턴(800)에 각각 실장되고,
    복수 개의 상기 고정형 제2 리셉터클 컨택트(700b)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 결합 벽(530)에 인접한 위치에서 복수 개의 상기 리셉터클 PCB 패턴(800)에 각각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20).
KR1020230074844A 2022-07-21 2023-06-12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202400130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459 2022-07-21
KR20220090458 2022-07-21
KR1020220090458 2022-07-21
KR20220090459 2022-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043A true KR20240013043A (ko) 2024-01-30

Family

ID=89715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844A KR20240013043A (ko) 2022-07-21 2023-06-12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304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079B1 (ko) 2005-06-10 2009-07-0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유전체 세라믹,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100937009B1 (ko) 2009-09-22 2010-01-15 휴먼전자 주식회사 초소형 협피치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079B1 (ko) 2005-06-10 2009-07-0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유전체 세라믹,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100937009B1 (ko) 2009-09-22 2010-01-15 휴먼전자 주식회사 초소형 협피치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9050B2 (en) Electrical connector
EP1583178B1 (en) Flexible board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lexible board to circuit board
US7549882B2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CN100576657C (zh) 电转接器及其组件
EP2285195A1 (en) Socket, circuit board assembly,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7658584B (zh) 连接器
US10998662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878049B1 (ko) 커넥터
JP2015135816A (ja) 端子、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6910922B2 (en) Connector in which occurrence of crosstalk is suppressed by a ground contact
US9356407B2 (en) Connector having a terminal with a coupling portion coupling a first portion having a contact point with a second portion
CN114498200B (zh) 电连接器
US7059907B2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US10784606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127696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88850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CN105322391A (zh) 连接器
KR20240013043A (ko)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CN110867686A (zh) 电连接器组件
JP2017010807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及びコネクタ
KR20230153930A (ko) 커넥터
KR20230149239A (ko) 커넥터
CN1870353A (zh) 电连接器
CN214177406U (zh) 驱动组件、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N210838194U (zh) 电连接器组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