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849A -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 Google Patents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849A
KR20240012849A KR1020220090322A KR20220090322A KR20240012849A KR 20240012849 A KR20240012849 A KR 20240012849A KR 1020220090322 A KR1020220090322 A KR 1020220090322A KR 20220090322 A KR20220090322 A KR 20220090322A KR 20240012849 A KR20240012849 A KR 20240012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rotation
arm
charger
charg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균
Original Assignee
이브이시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브이시스 (주) filed Critical 이브이시스 (주)
Priority to KR1020220090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849A/ko
Publication of KR2024001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84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케이블이 길지 않아도 충전구 위치에 관계없이 충전이 이루어지는 한편 충전 케이블이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내장된 충전 회로에서 전기자동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본체의 상면에 일정 길이를 갖는 충전암의 일측을 회동축으로 결합하여 충전암의 타측이 충전기 본체의 전,후방으로 회동되게 하고, 상기 충전암의 선단에는 충전 건이 구비된 충전 케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충전기 본체의 상면과 충전암 사이에는 회동 스프링을 설치하여 충전암이 회동 스프링의 텐션을 받아 회동축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동되게 하며, 상기 충전암의 전,후 회동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고정핀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Electric vehicle charger having the charging arm for moving charging gun}
본 발명은 전기차에 충전 건을 꽂아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있어서, 충전기의 전,후방으로 회동하는 충전암에 충전 케이블을 설치하여 충전 케이블이 길지 않아도 충전구 위치에 관계없이 충전이 이루어지는 한편 충전 케이블이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의 충전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10)의 일측에 일정 길이의 충전 케이블(11)(12)을 설치하고, 충전 케이블(11)(12)의 선단에 끼워진 충전 건(13)을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꼿아 충전을 하게 된다.
종래의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도 1과 같이 충전 케이블(11)의 길이를 5m 내외로 길게 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위치에 관계없이 충전을 할 수 있으나, 충전 케이블(11)의 길이가 길면 충전 케이블(11)이 바닥에 닿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스프링 발란서(15)를 설치하여 충전 케이블(11)의 중간지점을 스프링의 텐션이 가해지는 와이어로 잡아주도록 함으로써 충전 건(13)을 사용하여 충전을 하는 경우에는 스프링 발란서(15)에서 와이어가 풀리면서 충전 케이블(11)을 늘려서 사용하고,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충전 건(13)을 거치구(14)에 거치하는 경우에는 발란서(15)에서 와이어를 당겨서 충전 케이블(11)이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로 거치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스프링 발란서(15)의 스프링 텐션이 강한 경우에는 충전시 충전 케이블(11)을 늘려주기가 쉽지 않고, 반대로 스프링 텐션이 약한 경우에는 충전 완료시 충전케이블(11)을 당겨주지 못하여 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스프링 발란서(15)에 내장된 스프링 대신 동력을 사용하여 충전 케이블(11)을 당겨주거나 풀어줄 수 있는데, 이 방식은 오작동이 많고, 동력을 사용하여 강한 힘으로 충전 케이블(11)이 당겨질 때 사람이 충전 케이블(11)에 감겨 넘어지는 문제가 있어, 실용화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 2와 같이 충전 케이블(12)을 짧게 하여, 충전시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고, 충전이 완료된 후에도 충전 건(13)을 거치구(14)에 거치할 때 충전 케이블(12)이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충전 케이블(12)의 길이가 짧아 전기자동차 충전구가 차량 앞뒤가 아닌 차량 중간 부분에 있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까지 충전 건(13)이 다다르지 않아 충전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문헌1] 특허등록 10-2394068호(2022.05.04. 공고) [문헌2] 특허등록 10-10-2353509호(2022.01.20. 공고) [문헌3] 특허공개 10-2022-0051455호(2022.04.26. 공개) [문헌4] 특허공개 10-2021-0026907호(2021.03.10. 공개) [문헌5] 특허공개 10-2018-0115963호(2018.10.24. 공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을 모든 전기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전 케이블의 길이가 5m 이상이 필요하나, 충전 케이블이 길으면 충전 케이블이 바닥에 닿지 않게 스프링 발란서를 사용하거나 동력을 사용하는 발란서를 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충전 케이블을 3m 정도로 짧게 하면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위치에 따라 충전을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 대기 중에는 충전 케이블이 늘어져 바닥에 닿지 않으면서 모든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케이블을 3m 이내의 길이로 하면서, 충전 케이블 인출구를 충전 대기 상태에서는 충전기의 오른쪽이나 왼쪽 후방에 머물러 있다가 충전 시에는 충전 케이블 인출구가 충전기 전방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충전 케이블이 바닥에 끌리지도 않고 충전 케이블이 2-3미터 정도로 짧아도,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충전 건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충전기의 상부에 일정 길이를 갖는 충전암을 설치하되 상기 충전암은 스프링의 텐션을 이용하여 전,후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정지되게 하고, 상기 충전암의 선단에서 충전 케이블이 인출되게 설치함으로써 충전시는 충전암을 충전기의 전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충전 건을 이용한 충전이 이루어지고, 충전 완료 후에는 충전암을 충전기의 후방으로 회동시킨 후 충전 건을 거치구에 거치시키도록 함으로써, 충전 건을 잡고 이동할 때는 충전암이 회동할 때 충전 케이블이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로 이동되는 한편 짧은 길이의 충전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충전 회로가 내장되고, 전기자동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상면 또는 측면, 또는 상기 충전기 본체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충전대, 디스펜서(dispenser), 또는 충전기 보호용 캐노피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지지부에 일측 선단이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타측 선단이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으로 회동되고,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암: 상기 충전암의 타측 선단에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 케이블; 상기 충전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끼워지거나 상기 충전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거치구에 거치되는 충전 건; 상기 지지부와 충전암 각각에 형성되는 충전암용 스프링핀 사이에 결합되고, 충전암의 회동이 유지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회동 스프링; 및 상기 지지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충전암의 회동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 스프링에 의해 지지부 전,후로 회동하는 상기 충전암은, 상기 지지부에 양쪽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핀에 닿을 때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충전 회로가 내장되고, 전기자동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상면 또는 측면, 또는 상기 충전기 본체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충전대, 디스펜서, 또는 충전기 보호용 캐노피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지지부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과 지지부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 스프링핀 사이에 끼워지고, 회전판의 회전이 유지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회전 스프링; 상기 회전판의 회전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고정돌기 및 회전판용 고정핀; 상기 회전축에 일측 선단이 회동되게 결합되고, 타측 선단은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으로 회동되며,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암: 상기 충전암의 타측 선단에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 상기 충전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끼워지거나 상기 충전기의 일측에 형성된 거치구에 거치되는 충전 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충전암에 각각 형성되는 충전암용 스프링핀 사이에 결합되고, 충전암의 회동이 유지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회동 스프링; 및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충전암의 회동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충전암용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지지부에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 스프링은, 상기 회전 스프링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회전판용 고정핀에 닿을 때 정지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충전암은, 상기 회동 스프링에 의해 회전판의 상부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하되, 상기 충전암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충전암이 상기 충전암용 고정핀에 받쳐질 때 회전이 정지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회전판의 외측 테두리가 끼워지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 테두리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워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충전 회로가 내장되고, 전기자동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상면 또는 측면, 또는 상기 충전기 본체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충전대, 디스펜서, 또는 충전기 보호용 캐노피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지지부에 끼워진 채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상기 회전축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타측의 상기 회전축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상측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선단이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으로 회동되고,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암: 상기 충전암의 타측 선단에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 상기 충전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끼워지거나 상기 충전기의 일측에 형성된 거치구에 거치되는 충전 건;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와 충전암 사이에 결합되고, 충전암의 회동이 유지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회동 스프링; 상기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를 제외한 고정부재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충전암의 회동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충전암용 고정핀; 상기 회전바와 지지부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 스프링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탄성을 제공하는 회전 스프링; 및 상기 지지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회전부재용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암은, 상기 회동 스프링에 의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하되, 상기 충전암용 고정핀에 받쳐질 때 회전이 정지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끼움홀에 상기 회전축이 끼워져 회전하되, 상기 회전바가 상기 회전부재용 고정핀에 받쳐질 때 회전이 정지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회동 스프링은, 지지틀; 및 상기 지지틀과 상기 충전암용 스프링핀 사이에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장력제공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틀 또는 상기 지지틀과 상기 장력제공 수단에 의하여 회동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충전암의 정지 및 회전 시에 상기 회동영역 내에 위치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회전 스프링은, 지지틀; 및 상기 지지틀과 상기 회전 스프링핀 사이에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장력제공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틀 또는 상기 지지틀과 상기 장력제공 수단에 의하여 회동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동영역 내에 위치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상면에서 전,후로 회동하는 일정 길이의 충전암을 설치하고, 상기 충전암의 선단에 짧은 길이의 충전 케이블을 설치하는 것으로, 충전시는 충전암을 전방으로 돌출시켜 충전 케이블의 길이가 짧더라도 충전 작업을 할 수 있고, 충전 완료 후에는 충전암을 후방으로 회동시켜 충전 케이블의 보관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충전 케이블의 이동시 바닥에 닿지 않는 이점이 있고, 발란서를 사용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기의 상면에 좌,우로 회동하는 회전판을 설치한 후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충전암을 설치함으로써, 충전암이 충전기의 전,후로 회동되게 하는 한편 회전판을 이용하여 충전암이 충전기의 좌,우측에서 전,후로 회동되게 하는 것이어서, 전기자동차의 위치나 충전구의 방향에 관계없이 충전이 이루어지는 한편 충전 케이블이 바닥에 늘어지는 경우를 없애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란서를 사용하는 기존의 충전기 사시도
도 2는 충전 케이블의 길이가 짧은 기존의 충전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충전 대기 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충전상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요부 분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 회전판의 회전을 위한 가이드 레일을 보인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요부 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요부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 탄성부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 사용상태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 요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 요부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다른 실시예 평면도
본 발명은 충전 케이블이 구비된 충전암을 충전기의 상면에서 회동 스프링에 의해 전,후로 회동되게 설치하되 충전암의 전,후 한계위치를 고정핀으로 잡아주도록 하여 충전암의 회전을 무동력으로 하면서도 정지 위치에서 충전암의 불필요한 회전이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으로, 충전암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충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충전 후에는 충전암을 후방으로 회동시켜 힘들이지 않고 충전 케이블을 이동시키는 한편 충전 케이블의 길이가 짧아도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바닥에 늘어져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기의 상면에서 좌,우로 회동되는 회전판을 하나 이상 더 구비할 수 있고, 설치된 회전판의 상부에 충전암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충전암이 전,후로 회동하는 한편 회전판이 좌,우로 회동하는 것이어서, 결국, 충전암이 충전기의 좌,우측에서 전,후로 회동이 이루어지고 정지 위치를 셋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자동차나 충전구의 위치에 관계없이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충전 회로가 내장되고, 전기자동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의 상면에 일측 선단이 회동축으로 결합되어 타측 선단이 충전기의 전,후방으로 회동되고,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암: 상기 충전암의 타측 선단 하측에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 케이블; 상기 충전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끼워지거나 충전기의 일측에 형성된 거치구에 끼워지는 충전 건; 상기 충전기의 상면과 충전암 사이에 결합되고, 충전암의 전,후 회동이 유지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회동 스프링; 및 상기 충전기의 상면에 돌출되어 고정되고, 충전암의 전,후 회동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충전 회로가 내장되고, 전기자동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의 상면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과 충전기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판의 좌,우 회전이 유지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회전 스프링; 상기 회전판의 좌,우 회전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고정돌기 및 고정핀; 상기 회전판을 결합시키는 회전축에 일측 선단이 회동되게 결합되고, 타측 선단은 충전기의 전,후방으로 회동되며,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암: 상기 충전암의 타측 선단 하측에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 상기 충전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끼워지거나 충전기의 일측에 형성된 거치구에 끼워지는 충전 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충전암 사이에 결합되고, 충전암의 전,후 회동이 유지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회동 스프링; 및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돌출되어 고정되고, 충전암의 전,후 회동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충전 회로가 내장되고, 전기자동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의 상면에 끼워진 채로 좌,우로 회전되는 회전부재; 상기 충전기의 상측으로 회전부재에 3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상측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타측 선단이 충전기의 전,후방으로 회동되고,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암: 상기 충전암의 타측 선단 하측에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 상기 충전 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끼워지거나 충전기의 일측에 형성된 거치구에 끼워지는 충전 건; 상기 고정부재와 충전암 사이에 결합되고, 충전암의 전,후 회동이 유지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회동 스프링;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돌출되어 고정되고, 충전암의 전,후 회동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고정핀; 상기 충전기의 상부 하측으로 결합되는 회전부재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스프링핀이 형성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스프링핀과 충전기 상면 하부에 결합되고, 회전부재를 좌우 회전시키는 탄성을 제공하는 회전 스프링; 상기 충전기의 상면 하부에 형성되고 회전바의 좌,우 회전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회동 스프링 또는 회전 스프링은, 지지틀; 및 상기 지지틀과 상기 회전 스프링핀 사이에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장력제공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틀 또는 상기 지지틀과 상기 장력제공 수단에 의하여 회동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동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회전축 또는 회동축은 충전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그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회전축 또는 회동축은 충전기 본체의 상면 뿐 아니라 측면, 충전기 본체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충전대, 디스펜서(dispenser), 또는 충전기 보호용 캐노피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지지부를 통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회전축 또는 회동축이 충전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하여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회로가 구비된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에 회동축(33)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충전암(30)의 일측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충전암(30)의 선단에서 충전 케이블(36)을 인출시키되 상기 충전 케이블(36)의 선단에 충전 건(37)을 설치하며, 상기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과 충전암(30)의 상측에는 돌출된 스프링핀(31)(32)을 각각 설치하여 회동 스프링(40)을 끼워주고, 상기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에는 충전암(30)의 전,후방 회전 한계위치에 고정핀(34)(35)을 설치함으로써 충전암(30)이 고정핀(34)(35) 사이에서 회동되게 한다.
충전암(30)과 충전 케이블(36)에는 내측으로 충전선로가 구비되어 충전기 본체(20)에서 충전 건(37)으로 충전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에 고정된 스프링핀(31)과 회동축(30)은 충전기 본체(20)의 측방향으로 동일 연장선에 설치하고, 고정핀(34)(35)은 회동축(33)의 측방향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설치함으로써, 충전암(30)은 회동 스프링(40)에 의해 텐션이 가해지게 되고, 충전암(30)이 고정핀(34)(35) 중 어느 하나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충전암(30)은 충전기 본체(20)의 상부에서 회동축(33)으로 회동되게 설치되고, 회동 스프링(40)은 충전암(30) 및 회동축(33)의 상부 말단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충전암(30)의 회동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와 같이 충전 대기 시에는 충전암(30)이 회동 스프링(40)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고정핀(34)에 닿은 채로 A지점에 있다가 충전시에 충전 케이블(36) 또는 충전암(30)을 잡고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충전암(30)은 회동축(33)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하여 도 6과 같이 회동 스프링(40)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고정핀(35)에 닿을 때까지 B지점으로 이동하여 정지하게 된다. 이때, 충전암(30)의 길이를 1m 정도로 하고, 충전암(30)은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하는데 100o 정도 회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충전암(30)이 A지점에 있을 때 충전 케이블(36) 또는 충전암(30)을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회동 스프링(40)이 늘어나 장력이 증가하면서 충전암(30)은 C점과 나란하게 되어 장력이 최대가 되는 지점을 지나 B지점으로 이동한 후 고정핀(35)에 닿아 정지되고, 충전암(30)이 A,B지점에 위치할 때는 회동 스프링(40)이 충전암(30)을 당기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충전암(30)의 위치 변화 없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충전암(30)의 흔들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충전기 본체(20)의 전방에 전기자동차(1)를 위치시킨 후 A지점에 놓여있는 충전 케이블(36) 또는 충전암(30)을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충전암(30)은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B지점에서 고정핀(35)에 닿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충전 케이블(36)의 충전 건(37)을 이용하여 충전을 하며, 충전 후에는 충전암(30)을 후방으로 회동시켜 A지점에서 고정핀(34)에 닿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충전 케이블(36)의 길이가 짧더라도 충전이 용이하게 되고, 충전 케이블(36)의 이동시 바닥에 닿을 정도로 늘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충전기 본체(20)의 좌측이나 우측의 어느 한 쪽에서 충전암(30)이 전,후방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의 충전구가 전방이나 좌측에 위치한 경우이거나, 전방이나 우측에 위치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모든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에 대응하여 충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충전기 본체(2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쪽에 한정되어 충전암(30)의 전,후 회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전구가 전기자동차의 좌측에 있는 경우 및 우측에 있는 경우 등 모든 경우에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제1실시예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회전판(50)을 이용하여 좌,우 회동이 이루어지게 한 상태에서 제1실시예의 충전암(30)을 회전판(50)의 상측에 설치하여 회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2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7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회로가 내장된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에서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회전판(50)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판(50)과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에는 스프링핀(61)(62)을 각각 돌출되게 형성한 후 스프링핀(61)(62)에 회전 스프링(60)을 끼워서 회전판(50)이 좌,우 회전되게 하고, 상기 회전판(50)의 좌,우 회전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고정돌기(63)를 회전판(50)의 일측면에 설치하는 한편,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에 양쪽으로 고정핀(64)(65)을 설치하여 회전판(50)의 회전 각도가 고정핀(64)(65) 사이로 제한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50)의 상부에 회전축(51)에 일정 길이를 갖는 충전암(30)의 일측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충전암(30)의 선단에서 충전 케이블(36)을 인출시키되 상기 충전 케이블(36)의 선단에 충전 건(37)을 설치하며, 상기 회전판(50)의 상부와 충전암(50)의 상측에는 돌출된 스프링핀(31)(32)을 설치하여 회동 스프링(40)을 끼워주고, 상기 회전판(50)의 상부에는 충전암(30)의 전,후방 회전 한계위치에 고정핀(34)(35)을 설치함으로써 충전암(30)이 고정핀(34)(35) 사이에서 회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암(30)과 충전 케이블(36)에는 내측으로 충전선로가 구비되어 충전기 본체(20)에서 충전 건(37)으로 충전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회전판(50)의 상부에 고정된 스프링핀(31)과 회전축(51)의 연장선을 사이에 두고 고정핀(34)(35)은 소정 거리 이격하여 설치함으로써, 충전암(30)은 회동 스프링(40)에 의해 텐션이 가해지게 되고, 충전암(30)이 고정핀(34)(35)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충전암(30)은 충전기 본체(20)의 상부에서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설치되고, 회동 스프링(40)은 충전암(30)의 회동 시에 회전축(51)에 걸리거나 간섭되지 않도록 충전암(30) 및 회전축(51) 일단부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로 충전암(30)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회전판(50)의 회전 시에 스프링핀(61)(62) 사이에 설치된 회전 스프링(60)이 회전축에 걸리거나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판(50)을 기준으로 충전암(30)이 설치된 면이 아닌 그 배면 측에 스프링핀(61)(62) 및 회전 스프링(60)을 설치하여, 회전판(50)의 회전 시에 회전 스프링(60)이 회전축(51)에 걸리거나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축(51) 타단부보다 더 아래쪽에 회전 스프링(60)이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충전암(30)이 설치된 면이 아닌 회전판(50)의 반대쪽 면에 스프링핀(61)(62) 및 회전 스프링(60)을 설치하는 일예로서, 도 11에는 회전판(50)의 회전을 위하여 가이드 레일이 적용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따르면, 회전판(50)은 충전기 본체(20)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 레일(70)에 끼워진 채로 회전되게 할 수 있으며, 회전판(50)은 회전 스프링(60)에 의해 텐션을 받게 되고, 소정 각도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핀(64)(65)을 설치함으로써 회전판(50)이 소정 각도(도 11의 예시에서는 180O) 회전한 후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회전 스프링(60)은 회전판(50)의 저면에 설치되게 함으로써 회전판(50)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동 스프링(40) 및 회전축(51)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암 관절구조는, 도 12와 같이 충전암(30)이 우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충전암(30)을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켜 전기자동차의 우측에 충전구가 위치한 경우에 충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충전구가 전기자동차의 좌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암(30)을 전방으로 회동하여 충전암(30)이 고정핀(35)에 받쳐진 상태에서 충전 케이블(36)을 좌측으로 당기게 되면, 도 13과 같이 충전암(30)에서 고정핀(35)으로 가해진 좌측 방향의 힘에 의해 회전판(50)이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회전판(50)은 가이드 레일(70)에 끼워진 채로 좌측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고, 회전 스프링(60)에 의해 회전판(50)의 고정돌기(63)가 고정핀(65)에 닿은 상태에서 회전판(50)의 회전은 정지된다.
이때는 충전암(30)이 충전기 본체(20)의 좌측에 위치한 상태이기 때문에 좌측에 충전구가 위치한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고, 충전구가 전기자동차의 우측에 경우에는 이 상태에서 충전암(30)을 우측으로 회동시켜 충전암(30)이 고정핀(34)에 닿은 상태에서 충전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판(50)을 80O만 회동되게 하여도 전기자동차(1)의 좌,우측 충전구 위치에 관계없이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암(30)의 회동 스프링(40)에 의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 나아가, 도 12 및 도 13에는 회전판(50)이 약 80O 정도만 회전하도록 고정핀(64)(65)이 설치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회전 각도를 더 크게 하여, 예컨대 180O 정도로 회전 각도를 설정하면, 회전판(50)의 고정돌기(63)가 고정핀(64)에 닿은 상태에서는 충전 대기 상태에서 충전암(30)을 고정핀(34) 위치에 두고 충전암(30)이 고정핀(35) 위치에 있을 때는 전기자동차의 우측 충전구에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50)의 고정돌기(63)를 고정핀(65) 위치에 둔 상태에서는 충전 대기 상태에서 충전암(30)을 고정핀(35) 위치에 두고 충전암(30)을 고정핀(34) 위치로 회동시켜 전기자동차의 좌측 충전구에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암 관절구조에서 회전판(50)이 정지된 상태에서 충전암(30)의 회동이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충전암(30)이 고정핀(34)(35)을 미는 힘에 의하여 회전판(50)의 회전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충전암(30)을 회동시키는 회동 스프링(40)의 장력은 회전판(50)을 회전시키는 회전 스프링(60)의 장력보다는 약하게 설정함으로써, 고정핀(34)(35)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충전암(30)의 회동에 의하여 회전판(5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암 관절구조에서 회전판(50)은 원형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축(51)에 회전 결합되어 외부에 설치된 고정핀(64)(65)에 의하여 설정된 회전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원형인 제2실시예의 회전판(50)을 대신하여 바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부재(80)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80)를 사용하여 충전기 본체(20)의 상부에서 소정 각도로 충전암(30)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회전부재(80)는 제2실시예와는 달리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 하부에 회전 스프링(6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부재(80)의 회전축이 충전기 본체(20)의 상면을 관통하여 회전결합하고, 충전기 본체(20)의 상면 하부에 회전 스프링(60)을 설치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되, 회전부재(80)에 형성된 고정부재(82)(83) 사이에서 충전암(30)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충전 회로가 내장된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에 끼움홀(22)을 형성하여 회전축을 구비한 회전부재(80)가 끼워져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되게 하고, 회전부재(80)에는 충전기 본체(20)의 상부에 노출되는 3개의 고정부재(81)(82)(8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고정부재(81)(82)(83)에는 스프링핀(31)과 고정핀(34)(35)을 각각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80)의 상측에는 베어링(38)을 매개로 하여 충전암(30)을 결합시키되 충전암(30)의 상부에는 스프링핀(32)을 형성하여 고정부재(81)에 형성된 스프링핀(31) 사이에 회동 스프링(40)을 결합함으로써, 충전암(30)은 고정부재(82)(83)에 형성된 고정핀(34)(35) 사이에서 회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충전암(30)에는 충전 케이블(36)을 인출시키되 상기 충전암(30)과 충전 케이블(36)에는 충전선로가 구비되어 충전 건(37)으로 충전 전력이 공급되게 하고, 회전부재(80)의 하측에는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 하부에 위치시키는 회전바(84)가 형성되되 회전바(84)에는 스프링핀(62)이 형성되어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핀(61)과의 사이에 회전 스프링(60)이 끼워지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 하부에는 회전부재(80)의 회전시 회전바(84)가 받쳐짐으로써 회전부재(8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고정핀(64)(65)을 형성하여 회전바(84)의 회전 한계가 소정 각도로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80)는 회전바(84)와 고정부재(81)(82)(83)가 한 몸체로 회전되고, 충전암(30)은 회동 스프링(40)으로 텐션이 가해진 상태에서 고정핀(34)(35) 사이에서 회동하게 되며, 회전바(84) 및 회전부재(80)는 회전 스프링(60)의 텐션이 가해진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회전부재(80)는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에 형성된 끼움홀(22)에 끼워진 채로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회전부재(80)의 회전바(84)가 고정핀(64)(65)에 닿아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충전암(30)의 회동이 이루어지고, 또한, 충전암(30)이 고정핀(34)(35)에 닿아 고정핀(34)35)를 미는 동작에 의하여 회전부재(8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전암(30)에 설치된 회동 스프링(40)의 장력은 회전부재(80)에 설치된 회전 스프링(60)의 장력보다는 약하게 설정함으로써, 고정핀(34)(35) 사이에서 충전암(30)의 회동이 이루어질 때 회전부재(80)의 회전이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80)은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에 축결합하여 회전한다는 점에서 회전판(50)이 가이드 레일(70)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제2실시예와 구조적인 차이가 있으나, 회전부재(80) 및 충전암(30)의 회전 메커니즘은 제2실시예의 회전판(50) 및 충전암(30)과 동일하므로 제3실시예의 회전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는, 회전판(50) 또는 회전부재(80)의 회전 시에 회전 스프링(60)이 회전축 또는 충전암(30)에 걸리거나 간섭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 스프링(60)을 회전판(50) 또는 회전부재(80)를 기준으로 충전암(30)과는 반대쪽에 설치하는 구성으로서, 회전판(50) 또는 회전부재(80)를 다단으로 구성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회전 스프링(60)와 충전암(30)을 회전판(50) 또는 회전부재(80)의 같은 면에 설치함으로써, 회전판(50) 또는 회전부재(80)를 다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회동 스프링(40) 및 회전 스프링(60) 각각은, 하나의 스프링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와 비탄성체가 결합된 복합 탄성체일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 탄성부(100)는 제2 및 제3실시예에서 회전판(50)과 회동부재(80)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회전 스프링(60)이 충전암(30)이 설치된 회전판(50) 면의 반대면, 또는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 하부에 설치되는 것에 반하여 충전암(30)이 설치된 회전판(50) 면과 같은 면, 또는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 상측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 및 다단의 관절구조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 탄성부(100)는, 회동 스프링(40) 또는 회전 스프링(60)을 대체하여 적용함으로써, 구조적으로 회동축(33) 또는 회전축(51)이 회동 스프링(40) 또는 회전 스프링(60)과 교차해야하는 경우에도 회동 스프링(40) 또는 회전 스프링(60)이 회동축(33) 또는 회전축(51)에 걸리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 탄성부(100)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회동 스프링(40) 또는 회전 스프링(60)을 대체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 탄성부(100)는, 스프링핀(61)(62) 사이에 결합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둘 이상의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 및 지지틀(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하였다시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 탄성부(100)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회동 스프링(40) 또는 회전 스프링(60)을 대체하는 구성으로서, 지지틀(90), 또는 지지틀(90)과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에 의하여 형성되는 회동영역(92)에 회동축(33) 또는 회전축(51)이 위치하도록 충전암(30) 또는 회전판(50)에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충전암(30) 또는 회전판(50)이 회전할 때 회전 탄성부(100)와 회동축(33) 또는 회전축(51)이 서로 걸리거나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 탄성부(100)의 장력제공 수단이 탄성력을 가진 4개의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가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력제공 수단은 하나 이상이면 족하고 적어도 일부는 비탄성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7에는 충전암(30) 또는 회전판(50)의 회전 시에 회동축(33) 또는 회전축(51)이 위치하는 회동영역(92)이 지지틀(90)에 형성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회동영역(92)의 형성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틀(90)과 장력제공 수단이 형성하는 회동영역(92)에 회동축(33) 또는 회전축(51)을 위치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도 17에는 지지틀(90)이 장력제공 수단을 통하여 스프링핀(61)(62)에 결합하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으나, 그 결합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틀(90)의 일측은 스프링핀(61)(62) 중 어느 하나에 직접적으로 결합하고 지지틀(90)의 타측은 장력제공 수단을 통하여 스프링핀(61)(62) 중 다른 하나에 결합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 탄성부(100)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틀(90), 또는 지지틀(90)과 장력제공 수단에 의하여 형성되는 회동영역(92)에 회동축(33) 또는 회전축(51)이 위치하여 충전암(30) 또는 회전판(50)이 회전할 때 회전 탄성부(100)와 회동축(33) 또는 회전축(51)이 서로 걸리거나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회전 탄성부(100)는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4개의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 사이에 지지틀(90)이 결합되고, 회동축(33) 또는 회전축(51)이 위치하는 회동영역(92)은 지지틀(90)에 형성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에 도시된 회전 탄성부(100)를 적용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충전암 관절구조는 도 18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에 회전축(51)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되게 회전판(50)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판(50)에는 고정돌기(63)가 형성되는 한편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에는 회전판(5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고정돌기(63)를 받치는 고정핀(64)(65)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51)에는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충전암(30)의 일측을 결합시키며, 상기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에서 회전축(51)이 내측의 회동영역(92)으로 끼워지는 지지틀(90)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틀(90)의 모서리에는 각각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을 설치하되 장력제공 수단(60a)(60b)은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에 설치된 스프링핀(61)에 끼워주는 한편 장력제공 수단(60c)(60d)은 회전판(50)의 상면에 설치된 스프링(62)에 끼워주되 상기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은 동일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전체적으로 마름모 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지지틀(90)에 결합된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은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전판(50)이 회전하여 스프링핀(61)(62)과 회전축(51)이 일직선을 이룰 때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이 최대한 당겨지는 힘을 받고, 일직선을 벗어나는 순간, 벗어나는 방향으로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의 복귀하는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회전판(5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회전판(50)의 회전은 고정돌기(63)가 고정핀(64)(65)에 닿는 순간 회전이 정지되어 소정의 회전 각도를 갖는 한편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의 복귀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지지틀(90)에 끼워진 회전축(51)에는 충전암(30)을 설치하여 전,후방향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하고, 회전판(50)의 상면에는 충전암(30)의 회전 한계를 설정하는 고정핀(34)(35)을 설치함으로써, 충전암(30)을 소정 방향으로 밀어주면, 충전암(30)이 고정핀(34)(35)에 받쳐질 때까지 충전암(30)이 회동하고, 충전암(30)이 고정핀(34)(35)에 받쳐진 후에도 회동하는 힘을 가하게 되면, 회전판(5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회전판(50)은 고정돌기(63)가 고정핀(64)(65) 중 어느 하나에 닿을 때까지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전암(30)을 회동시켜 충전암(30)이 고정핀(34)(35)에 닿아 고정된 상태에서 충전암(30)을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게 되면, 충전암(30)이 회전판(50)을 회전시켜 회전판(50)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지지틀(90)에 마름모 형태로 설치된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의 장력에 의해 회전판(50)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회전판(50)의 고정돌기(63)가 고정핀(64)(65)에 닿을 때 회전이 정지된다.
본 발명에서 회전판(50)은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51)은 지지틀(90)에 형성된 회동영역(92) 내에 위치해 있게 되고, 지지틀(90)과 스프링핀(61)(62) 사이를 결합하는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은 회전판(50)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회전판(50)이 회전하여 스프링핀(61)(62)이 회전축(51)과 일직선을 이루는 상태가 될 때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은 최대한 신장되어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고, 이 상태에서 어느 한쪽으로 회전판(5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순간부터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은 복귀하려는 힘을 회전판(50)에 가하기 때문에 회전판(50)은 고정돌기(63)가 고정핀(64)(65) 중 어느 하나에 닿을 때까지 회전한 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회전판(5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한편 회전축(51)에 결합된 충전암(30)의 회동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충전암(30)을 회동시키는 회동스프링(40)이 회전축(51)에 걸리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동 스프링(40)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 탄성부(100)로 대체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판(50)의 회전 과정에서 회전판(50)에 가해지는 힘은 지지틀(90)에 결합된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에 의해 전달되는 것으로, 회전판(50)의 회전시 스프링핀(61)(62)과 회전축(51)이 일직선을 이룰 때는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의 장력이 최대로 된 후 어느 한쪽으로 회전될 때부터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며, 회전판(50)의 회전 시에 회전축(51)은 지지틀(90)의 회동영역(92) 내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회전 탄성부(100)를 충전기 본체(20)의 상부에 설치하여도 회전축(51)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전술된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회동영역(92)이 형성된 도 20의 지지틀(90)을 이용하거나, 도 21과 같은 바형상의 지지틀(91)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1에 따르면, 회전축(51)의 일측으로 지지틀(91)을 설치한 다음 지지틀(91)의 양쪽으로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을 연결하되 장력제공 수단(60a)(60b)은 충전기 본체(20)의 상면(21)에 고정된 스프링핀(61)에 끼워주는 한편 장력제공 수단(60c)(60d)은 회전판(50)에 설치된 스프링핀(62)에 끼워주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구성을 통하여, 회전축(51)이 위치하는 회동영역(92)은 장력제공 수단(60a)(60b)과 지지틀(91)로 둘러싸인 영역으로 정의되며, 회전판(50)의 회전 시에 회전판(50)의 회전에 필요한 스프링 장력을 제공하되 회전축(51)에 의한 방해는 받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지지틀(90, 91)에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을 연결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회전판(50)의 회전시에 회전축(51)이 장력제공 수단(60a)(60b)(60c)(60d)과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아, 안정된 회전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회전 스프링(60) 또는 회동 스프링(40)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회전 스프링(60) 또는 회동 스프링(40)의 위치에 구애를 받지않음으로 인하여 회전판(50)을 복수 개로 구비하여 충전암(30)의 회전을 다단으로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0 : 충전기 본체 21 : 상면
30 : 충전암 31,32 : 스프링핀
33 : 회동축 34,35 : 고정핀
36 : 충전 케이블 37 : 충전 건
40 : 회동 스프링 50 : 회전판
60 : 회전 스프링 70 : 가이드 레일
80 : 회전부재 81,82,83 : 고정부재
84 : 회전바 90, 91 : 지지틀
92 : 회동영역 100 : 회전 탄성부

Claims (11)

  1. 충전 회로가 내장되고, 전기자동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상면 또는 측면, 또는 상기 충전기 본체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충전대, 디스펜서(dispenser), 또는 충전기 보호용 캐노피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지지부에 일측 선단이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타측 선단이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으로 회동되고,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암:
    상기 충전암의 타측 선단에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 케이블;
    상기 충전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끼워지거나 상기 충전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거치구에 거치되는 충전 건;
    상기 지지부와 충전암 각각에 형성되는 충전암용 스프링핀 사이에 결합되고, 충전암의 회동이 유지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회동 스프링; 및
    상기 지지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충전암의 회동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스프링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서 전,후로 회동하는 상기 충전암은, 상기 지지부에 양쪽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핀에 닿을 때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3. 충전 회로가 내장되고, 전기자동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상면 또는 측면, 또는 상기 충전기 본체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충전대, 디스펜서, 또는 충전기 보호용 캐노피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지지부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과 지지부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 스프링핀 사이에 끼워지고, 회전판의 회전이 유지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회전 스프링;
    상기 회전판의 회전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고정돌기 및 회전판용 고정핀;
    상기 회전축에 일측 선단이 회동되게 결합되고, 타측 선단은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으로 회동되며,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암:
    상기 충전암의 타측 선단에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
    상기 충전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끼워지거나 상기 충전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거치구에 거치되는 충전 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충전암에 각각 형성되는 충전암용 스프링핀 사이에 결합되고, 충전암의 회동이 유지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회동 스프링; 및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충전암의 회동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충전암용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지지부에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 스프링은, 상기 회전 스프링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회전판용 고정핀에 닿을 때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암은, 상기 회동 스프링에 의해 회전판의 상부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하되, 상기 충전암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충전암이 상기 충전암용 고정핀에 받쳐질 때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회전판의 외측 테두리가 끼워지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 테두리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워져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7. 충전 회로가 내장되고, 전기자동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상면 또는 측면, 또는 상기 충전기 본체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충전대, 디스펜서, 또는 충전기 보호용 캐노피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지지부에 끼워진 채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상기 회전축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타측의 상기 회전축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상측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선단이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으로 회동되고,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암:
    상기 충전암의 타측 선단에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충전선로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
    상기 충전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끼워지거나 상기 충전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거치구에 거치되는 충전 건;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와 충전암 사이에 결합되고, 충전암의 회동이 유지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회동 스프링;
    상기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를 제외한 고정부재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충전암의 회동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충전암용 고정핀;
    상기 회전바와 지지부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 스프링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탄성을 제공하는 회전 스프링; 및
    상기 지지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회전부재용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암은, 상기 회동 스프링에 의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하되, 상기 충전암용 고정핀에 받쳐질 때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끼움홀에 상기 회전축이 끼워져 회전하되, 상기 회전바가 상기 회전부재용 고정핀에 받쳐질 때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10. 제1항, 제3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스프링은,
    지지틀; 및
    상기 지지틀과 상기 충전암용 스프링핀 사이에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장력제공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틀 또는 상기 지지틀과 상기 장력제공 수단에 의하여 회동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충전암의 정지 및 회전 시에 상기 회동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11.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프링은,
    지지틀; 및
    상기 지지틀과 상기 회전 스프링핀 사이에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장력제공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틀 또는 상기 지지틀과 상기 장력제공 수단에 의하여 회동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동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KR1020220090322A 2022-07-21 2022-07-21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KR20240012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322A KR20240012849A (ko) 2022-07-21 2022-07-21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322A KR20240012849A (ko) 2022-07-21 2022-07-21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849A true KR20240012849A (ko) 2024-01-30

Family

ID=8971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322A KR20240012849A (ko) 2022-07-21 2022-07-21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849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963A (ko) 2017-04-14 2018-10-24 인우시스템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
KR20210026907A (ko)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스필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KR102353509B1 (ko) 2021-05-04 2022-01-20 중앙제어 주식회사 광각형 관절을 구비한 전기 차량용 충전 장치
KR20220051455A (ko) 2020-10-19 2022-04-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KR102394068B1 (ko) 2021-12-30 2022-05-04 중앙제어 주식회사 충전 건 이동용 관절동력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963A (ko) 2017-04-14 2018-10-24 인우시스템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
KR20210026907A (ko)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스필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KR20220051455A (ko) 2020-10-19 2022-04-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KR102353509B1 (ko) 2021-05-04 2022-01-20 중앙제어 주식회사 광각형 관절을 구비한 전기 차량용 충전 장치
KR102394068B1 (ko) 2021-12-30 2022-05-04 중앙제어 주식회사 충전 건 이동용 관절동력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811B1 (ko) 힌지 기구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
EP3733435B1 (en) Locking mechanism, lock assembly, quick-swap support frame assembly and electric vehicle
CN108399861B (zh) 柔性显示设备支撑组件及柔性显示设备
CN100458650C (zh) 监视器装置
US8634887B2 (en) Protective fram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10463157B1 (en) Portable folding chair
KR101237570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CN103259893B (zh) 桌面型通用底座
CN218569918U (zh) 折叠式无线充电支架
US9501101B2 (en) Bag computer display panel frame
CN105887428A (zh) 衣物处理装置
CN102067588A (zh) 显示装置的支承装置
CN208605865U (zh) 一种转接适配装置及摄像稳定器
CN100392923C (zh) 一种具有旋转式插头的适配器
KR20240012849A (ko) 충전 건 이동용 충전암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EP1786180B1 (en) Communication terminal
CN208353394U (zh) 充电支架
CN212624259U (zh) 共享充电宝存放装置
CN209237004U (zh) Ct注射器的支架及ct注射器组件和ct机
KR200247291Y1 (ko)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보조받침판 절첩장치
KR101236826B1 (ko) 이동 로봇 탑재 장치
KR102291149B1 (ko)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CN215870830U (zh) 一种基于现代生活方式的共享充电宝
CN220934868U (zh) 移动电源
CN217728794U (zh) 机器人的头部组件和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