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635A -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635A
KR20240012635A KR1020220089396A KR20220089396A KR20240012635A KR 20240012635 A KR20240012635 A KR 20240012635A KR 1020220089396 A KR1020220089396 A KR 1020220089396A KR 20220089396 A KR20220089396 A KR 20220089396A KR 20240012635 A KR20240012635 A KR 20240012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car
vehicle
driv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박경준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8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635A/ko
Publication of KR2024001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traffic conditions, e.g. fog, heavy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windscreen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60Q1/5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to prevent rear-end collisions, e.g. by indicating safety distance at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앞차와의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그 뒤차의 운전자가 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을 기준으로 앞에서 주행하는 두 대에 대해 거리를 쉽게 알 수 있어, 추돌 사고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는 스스로 속도를 줄이는 등 안전하게 연쇄 추돌 사고 없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특히, 검출된 거리 신호를 자동차에 장착되는 HMSL를 통해 후방 차량 운전자가 알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주행 중인 운전자가 높은 위치에서 알려주는 거리 신호를 쉽게 확인하고 안전운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거리 신호를 수치로 표시하거나, 2~5가지 색을 사용해서 구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뒤에서 주행하는 자동차 운전자가 거리 신호를 쉽고 정확하게 인식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INDICATING APPARATUS TO INFORM THE REAR VEHICLE OF THE DISTANCE LEVEL FROM THE FRONT VEHICLE}
본 발명은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 중인 자동차와 그 앞차와의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거리를 운전 중인 자동차의 뒤차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뒤차 운전자는 앞차와 그 앞차와의 거리도 쉽게 알 수 있어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거리는 HMSL(High Mounted Stop Lamp)를 통해 숫자나 색깔로 표시해 줌으로써, 뒤차 운전자가 앞차와 그 앞차 아이의 거리를 쉽게 확인하여 안전 운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할 때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확보하게 해서 급박한 상황 등이 발생하더라도 후방충돌이나 연쇄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에, 자동차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주행할 때 운전 중인 자동차의 앞이나 측면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와의 거리를 검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전자에게 안전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거나 경고하는 장치가 장착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79733호
차량의 안전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과, 차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안전거리 알림 장치는 차량 상에 장착되고, 차량의 외부에 안전거리 유도 정보를 알리는 알림부, 차량 상태 정보 및 운전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모드를 판단하고, 차량의 주행 모드가 자율 주행 모드인 경우,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정지 상태 또는 급제동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차량이 정지 상태 또는 급제동 상태인 때, 차량의 외부에 안전거리 유도 정보가 표출되도록 알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알림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39003호
차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검출 속도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의 곡선 정도를 검출하여 도로 곡선도를 출력하고,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검출 속도에 대응되는 제1 안전보장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안전보장 거리에 상기 도로 곡선도를 반영하여 제2 안전보장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외부 상태가 기준 상태 이상이면 상기 도로 곡선도에 기초해 도로 가중 곡선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안전보장 거리에 상기 도로 가중 곡선도를 반영하여 제3 안전보장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검출속도, 상기 도로 곡선도, 및 상기 외부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전보장 거리, 상기 제2 안전보장 거리, 및 상기 제3 안전보장 거리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상기 제1 안전보장 거리, 상기 제2 안전보장 거리, 상기 제3 안전보장 거리 중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실용 제20-0489951호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행하는 자동차의 앞에 나타나는 자동차 또는 장애물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거리감지센서와, 주행하는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속도 신호를 발생하는 차속감지센서와, 주행하는 자동차를 운전석에서 운전하는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발생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거리감지신호와, 차속감지센서의 속도신호와, 위치감지센서의 위치신호를 입력하여 설정된 안전거리와 안전속도와 설정위치를 비교한 후 설정된 안전거리 상태에서 안전속도를 초과했을 경우와 운전자가 설정위치에서 벗어났을 경우 경보신호와 진동신호와 제동신호를 발생하는 CPU와, 상기 CPU의 경보신호를 받아 경보를 차량의 내부와 외부에 설치하여 위험을 알리도록 경보를 발생하는 부저와, 상기 CPU의 진동신호를 받아 운전석과 승객의 좌석에 진동을 발생하는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CPU의 점등신호를 받아 점등하는 경보등과, 상기 CPU의 제동신호를 받아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브레이크작동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79733호 (공개일: 2022.06.14)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39003호 (공개일: 2021.04.09) 한국등록실용 제20-0489951호 (등록일: 2019.08.26)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자동차용 거리 표시 기술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운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그 앞차와의 검출된 거리를 바탕으로 충돌/추돌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운행함에 따라, 그 뒤에서 주행 중인 자동차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보다 앞선 여러 차량의 주행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해 사고의 위험이 있다.
(2) 즉, 예를 들어서, 1열로 주행하는 운행하는 자동차를 차례로 1번 차량(1), 2번 차량(2), 3번 차량(3)이라고 할 때, 2번 차량(2)은 1번 차량(1)의 주행 속도 등을 쉽게 알 수 있고, 3번 차량(3)은 2번 차량(2)의 주행 속도 등을 쉽게 알 수 있다. 하지만, 3번 차량(3)은 1번 차량(1)의 주행 속도나 1번 차량(1)과 2번 차량(2) 사이의 거리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없다.
(3) 이는, 3번 차량(3)의 운전자가 2번 차량(2)과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주행하더라도 1번 차량(1)과 2번 차량(2) 사이의 차간 거리(L)를 알 수 없어 1번 차량(1)에서 급제동과 같은 상황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어 추돌사고나 충돌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4) 특히, 고속도로와 같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는 여러 대의 자동차가 1열로 주행함에 따라 이처럼 안전거리 등을 확보하지 못하면 연쇄 추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주행하는 자동차에서 앞차와의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그 뒤차의 운전자가 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을 기준으로 앞에서 주행하는 두 대에 대해 거리를 쉽게 알 수 있어, 추돌 사고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는 스스로 속도를 줄이는 등 안전하게 연쇄 추돌 사고 없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한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검출된 거리 신호를 자동차에 장착되는 HMSL(High Mounted Stop Lamp)를 통해 후방 차량 운전자가 알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주행 중인 운전자가 높은 위치에서 알려주는 거리 신호를 쉽게 확인하고 안전운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한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출된 거리 신호를 수치로 표시하거나, 2~5가지 색을 사용해서 구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뒤에서 주행하는 자동차 운전자가 거리 신호를 쉽고 정확하게 인식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는, 자동차에 설치되어 앞차(F)와의 차간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10); 상기 거리 센서(10)의 신호를 받아 앞차와의 거리가 안전거리 내인지 확인하는 제어기(20); 및 상기 제어기(2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앞차와의 거리를 뒤차(R)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자동차에 설치된 디스플레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30)는, 자동차에 미리 설치된 HMSL(High Mounted Stop Lamp)이고, 상기 HMSL을 통해 2~5가지 색으로 거리를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30)는, 상기 거리 센서(10)로 검출된 앞차와의 거리를 수치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주행 중인 자동차 운전자는 자신이 운전하는 자동차와 그 앞차와의 차간 거리뿐만 아니라, 앞차와 이 앞차의 앞차까지의 차간 거리를 쉽게 알 수 있어, 돌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게 대처하여 연쇄 추돌 사고를 줄일 수 있다.
(2) 이때, 이러한 차간 거리 정보는 자동차 후방에 장착되어 앞차가 제동 상태임을 알려주는 HMSL(High Mounted Stop Lamp)에 장착해서 뒤차 운전자가 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자동차 후방에서 높게 설치되는 HMSL을 통해 이러한 차간 거리 정보를 쉽게 인식하여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다.
(3) 또한, 이러한 차간 거리 정보는 실제 치수로 표시하거나, 2~5가지 색을 통해 표시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알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후방 차량 운전자가 쉽게 식별하여 적절하게 주행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와의 차간 거리(L)를 측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로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와의 차간 거리를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서 검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로 차간 거리를 검출하고 이를 보여주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로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로 차간 거리를 검출하고 이를 보여주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로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자동차 일부를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간 거리가 표시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로, (a)는 색으로 표시되고, (b)는 수치로 표시된 것을 예로 보여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표시장치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에는,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거리 센서(10), 제어기(20), 그리고 디스플레이(30)가 장착된다.
특히, 상기 거리 센서(10)는 앞차(F)와의 차간 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기(20)는 검출된 차간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30)를 통해 뒤차(R)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차간 거리를 표시하게 구성함으로써, 주행 중인 자동차의 운전자는 자신의 자동차를 기준으로 앞차와의 차간 거리와 더불어, 앞차와 그 앞의 차와의 차간 거리를 쉽게 알 수 있어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30)는 자동차에 이미 장착된 HMSL(High Mounted Stop Lamp)를 사용함으로써,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 운전자가 상술한 차간 거리를 쉽고 편리하게 인식하여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차간 거리는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수치나 2~5가지 색으로 표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주행하면서도 후방 차량 운전자가 쉽게 차간 거리를 인식하여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F"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가 장착된 자동차 앞에서 주행하는 앞차를, "R"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가 장착된 자동차 앞에서 주행하는 뒤차를 각각 나타낸다.
가. 거리 센서
거리 센서(1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자동차에 장착되어 자동차가 주행할 때, 그 앞차(F)와의 차간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다. 이러한 거리 센서(10)는 적외선이나 초음파 등을 사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미 자동차에 이처럼 차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 예를 들어서 라이더 센서 등이 장착되어 있을 때는 이러한 라이더 센서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라이더 센서에서 검출된 차간 거리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라이더 센서는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약어로 자율주행차에서 많이 사용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3차원 영상 센서를 말한다.
이처럼 거리 센서(10)로 검출된 차간 거리에 관한 정보는 후술하는 제어기(20)로 출력하게 된다.
나. 제어기
제어기(20)는, [도 3]과 같이, 상술한 거리 센서(10)에서 검출된 차간 거리를 후술할 디스플레이(20)를 통해 뒤차 운전자가 이 차간 거리를 인식하게 해서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상기 제어기(20)는 상기 거리 센서(10)에서 검출된 차간 거리를 수치, 즉 실제 측정된 차간 거리로 표시할 수도 있고, 차간 거리를 2~5가지 색으로 표시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20)는 상기 차간 거리를 수치로 표시할 때는 [도 6(b)]와 같이 M단위를 사용하여 직접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가지 색으로 표시할 때는 차간 거리를 검출한 차량의 속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색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도 7(a)]와 같이 세 가지 색으로 차간 거리를 표시할 때는, 현재 차량의 속도를 기준으로 안전거리에 있을 때를 초록색으로 표시하고, 안전거리보다 짧을 때는 빨간색으로 표시하며, 그 사이일 때 노란색으로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자동차 속도를 예로 해서 설명하면, 통상적으로 안전거리는 시속이 50㎞ 이하에서는 15 정도를 뺀 수치, 즉 (50-15=35m) 정도를 안전거리로 하고, 시속이 50㎞ 이상일 때는 최소 시속 거리 즉 시속 수치 이상의 거리를 안전거리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시속 80㎞로 주행한다고 가정하고 안전거리를 80M로 가정하면, 안전한 범위 즉 차간 거리가 80M 이상이면 초록색을, 차간 거리보다 약 10% 정도 짧은 거리, 즉 [80*(1-0.1)=72]M일 때를 노란색으로 표시, 그리고 차간 거리가 72M 이하일 때는 빨간색으로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기(20)로 출력된 차간 거리에 관한 신호를 바탕으로 결정된 색이나 차간 거리의 치수는 디스플레이(30)로 출력된다.
다.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3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제어기(20)를 통해 차간 거리에 관한 신호를 받아 뒤에서 주행하는 뒤차(R)의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해 주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치나 2~5가지 색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30)는 별도로 제작된 것을 자동차에 장착하여 뒤차(R)에서 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자동차에 이미 HMSL가 장착된 자동차에서는, [도 6]과 같이 이 HMSL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HMSL는 'High Mounted Stop Lamp'의 약어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에 따라 제동등과 함께 보조적으로 동작하여 앞차가 제동상태임을 알려주는 보조 제동등을 말한다. 이때, 상기 HMSL은 통상적으로 트렁크 위나 뒷유리 안쪽에 설치하게 되므로, 높은 곳에 설치되어 차간 거리 정보를 뒤차(R) 운전자에게 보여주게 되므로, 뒤차(R) 운전자는 차간 정보를 쉽게 보고 식별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a)]처럼 2~5가지 색으로 차간 정보를 보여주거나, [도 7(b)]와 같이 수치로 차간 정보를 보여줄 수 있게 제작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차간 정보를 보여주는 색의 수는 더 많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반대로 개수가 많음에 따라 너무 세분화하더라도 이를 모두 기억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운전하면서 차간 거리 정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2~3가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주행하는 자동차에서 검출된 앞차와의 차간 거리 정보를 뒤차 운전자가 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뒤차 운전자가 앞차와의 차간 거리 정보와, 이 앞차와 앞차의 앞차와의 차간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연쇄추돌을 방지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10: 거리 센서
20: 제어기
30: 디스플레이

Claims (3)

  1. 자동차에 설치되어 앞차(F)와의 차간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10);
    상기 거리 센서(10)의 신호를 받아 앞차와의 거리가 안전거리 내인지 확인하는 제어기(20); 및
    상기 제어기(2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앞차와의 거리를 뒤차(R)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자동차에 설치된 디스플레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30)는,
    자동차에 미리 설치된 HMSL(High Mounted Stop Lamp)이고,
    상기 HMSL을 통해 2~5가지 색으로 거리를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30)는,
    상기 거리 센서(10)로 검출된 앞차와의 거리를 수치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
KR1020220089396A 2022-07-20 2022-07-20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 KR20240012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96A KR20240012635A (ko) 2022-07-20 2022-07-20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96A KR20240012635A (ko) 2022-07-20 2022-07-20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635A true KR20240012635A (ko) 2024-01-30

Family

ID=8971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396A KR20240012635A (ko) 2022-07-20 2022-07-20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63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951Y1 (ko) 2017-08-14 2019-08-30 이민철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KR20210039003A (ko) 2019-09-29 2021-04-09 김영기 안전거리 확보를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20079733A (ko) 2020-12-04 2022-06-14 재단법인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차량의 안전 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과, 차량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951Y1 (ko) 2017-08-14 2019-08-30 이민철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KR20210039003A (ko) 2019-09-29 2021-04-09 김영기 안전거리 확보를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20079733A (ko) 2020-12-04 2022-06-14 재단법인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차량의 안전 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과, 차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2415B1 (en)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8681016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US5091726A (en) Vehicle anti-collision system
JP5074357B2 (ja) 自動二輪車用の運転者支援システム
JP4525915B2 (ja) 運転支援装置
KR101889957B1 (ko) 비상 상황 알림 및 경고장치
US20070018801A1 (en) Digital voice/visual warning, alert, and status system for vehicles utilizing laser sensors
JP2008531388A (ja) 車両の車線変更時の衝突回避方法及び装置
JPH09188234A (ja) 道路交通での衝突状況を回避およびまたは最小限に抑える装置
US20200062246A1 (e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vehicle
JP2011523124A (ja) 駐車スペースへの自動車の駐車時に運転支援システムを作動させる方法
JP3724177B2 (ja) 車載用交差点警告装置
JP4019948B2 (ja) 車両の接触防止システム
KR20140052678A (ko) 차량용 충돌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067623B2 (ja) 交差点車両衝突事故防止システム
CN215097270U (zh) 一种车辆避让行人时防追尾碰撞预警系统
EP4188766A1 (en) Alert detection system
US20040267453A1 (en) Speed-monitoring radar-activated brake light
KR100644813B1 (ko) 자동차용 주행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방법
JPH10989A (ja) 情報表示システム
KR20240012635A (ko) 전방차량과의 거리 수준을 후방차량에 알려주는 표시 장치
KR20200077289A (ko) 후방 경고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사고 알림 방법
JP7282069B2 (ja) 車両報知装置
WO2019035640A1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KR200489951Y1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