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571A - optical laminate - Google Patents

optical lamin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571A
KR20240012571A KR1020237044870A KR20237044870A KR20240012571A KR 20240012571 A KR20240012571 A KR 20240012571A KR 1020237044870 A KR1020237044870 A KR 1020237044870A KR 20237044870 A KR20237044870 A KR 20237044870A KR 20240012571 A KR20240012571 A KR 20240012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adhesive layer
optical laminate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카유키 시라이시
히로마사 스즈키
도루 진노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20649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83013A/en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571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의 요오드 농도의 상승을 억제한다.
[해결수단]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과, 적어도 1층의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기능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고, 상기 접착제층은 분자량이 500 이하인 저분자 성분을 합계로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가 제공된다.
[Problem] In an optical laminate containing a polarizer in which iodine is adsorbed and oriented, an increase in the iodine concentration of the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optical laminate is suppressed.
[Solution] An optical laminate including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olarizer, and an optical function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adhesive layer, wherein the polarizer i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which iodine is adsorbed and oriented, and the adhesive layer An optical laminate containing a total of 1 mass% to 10 mass% of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having a silver molecular weight of 500 or less is provided.

Description

광학 적층체optical laminate

본 발명은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ptical laminates.

편광자는,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 부품의 하나이고,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 이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의 휴대형 정보 단말 등을 중심으로 이용되고 있는 터치 패널 방식의 표시 장치에서는, 화상 표시 소자 상에 터치 센서를 구성하기 위한 도전층이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터치 패널 방식의 표시 장치에 편광자를 포함시키는 경우, 편광자를 포함하는 적층체에 점착제층을 마련한 점착제층을 갖는 적층체를 도전층 상에 상기 점착제층이 직접 접하도록 하여 첩합하는 경우가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A polarizer is one of the optical components that constitute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it is known that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which iodine is adsorbed and oriented is used. In touch panel display devices mainly used i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s, a conductive layer for forming a touch sensor is sometimes provided on the image display element. When a polarizer is included in a touch panel display device, a laminate including a polarizer and a laminate having an adhesive layer may be bonded to a conductive layer with the adhesive layer in direct contact (for example, , Patent Document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5-052765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5-052765

점착제층을 갖는 적층체는, 편광자에 포함되는 요오드가 점착제층으로 이행하여, 점착제층 중의 요오드 농도가 커지는 경우가 있었다. 요오드의 이행은, 고온 고습 환경 하에 있어서 특히 발생하기 쉽다. 도전층이 금속층인 경우, 도전층에 접하는 점착제층 중의 요오드 농도가 커지면, 금속 전극의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In the laminate having an adhesive layer, iodine contained in the polarizer sometimes migrated to the adhesive layer, and the iodine concentration in the adhesive layer increased. Iodine migration is particularly likely to occur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When the conductive layer is a metal layer, if the iodine concentration in the adhesive layer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layer increases, problems such as corrosion of the metal electrode are likely to occur.

본 발명은,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의 요오드 농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an increase in the iodine concent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optical laminate in an optical laminate containing a polarizer in which iodine is adsorbed and oriented.

본 발명은, 이하에 예시되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cal laminate exemplified below.

[1]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과, 적어도 1층의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기능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서,[1] An optical laminate including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olarizer and an optical functional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adhesive layer,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고,The polarizer i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iodine adsorbed and oriented,

상기 접착제층은 분자량이 500 이하인 저분자 성분을 합계로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An optical laminate,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ntains a total of 1 mass% or more and 10 mass% or less of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500 or less.

[2] 상기 광학 기능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을 포함하고,[2]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includes a first retardation layer and a second retardation layer including a cured product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상기 접착제층의 적어도 1층은, 상기 제1 위상차층과 상기 제2 위상차층 사이에 적층되는, [1]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1], wherein at least one layer of the adhesive layer is laminated between the first retardation layer and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3] 상기 접착제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층이고,[3] The adhesive layer is a cured layer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상기 저분자 성분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의 미중합 모노머를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low-molecular-weight component contains an unpolymerized monomer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4] 상기 저분자 성분은, 에폭시기를 갖는 모노머, 옥세탄 고리를 갖는 모노머, 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모노머 및 메타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4]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onomer having an epoxy group, a monomer having an oxetane ring, a monomer having an acryloyloxy group, and a monomer having a methacryloyloxy group, [1 ]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3] to [3].

[5]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5]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has a protective film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6]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의 상기 광학 기능층측에 상기 보호 필름을 가지고,[6] The polarizing plate has the protective film on the optical function layer side of the polarizer,

상기 보호 필름의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에 있어서의 투습도는, 350 g/(㎡·24 hr) 이상인, [5]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5], wherein the protective film has a moisture permeability of 350 g/(m2·24 hr) or more at a temperature of 4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RH.

[7] 파장 550 ㎚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은, 43.5% 이상인,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7]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visibility-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Ty) of the polarizing plate at a wavelength of 550 nm is 43.5% or more.

[8] 상기 광학 기능층의 상기 편광판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8]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laminated on a surface of the optical function layer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본 발명에 의하면,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라도, 광학 적층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의 요오드 농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t is an optical laminate containing a polarizer in which iodine is adsorbed and oriented, an increase in the iodine concent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optical laminate can be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optical laminate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모든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 요소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축척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나타내고 있고, 도면에 나타내는 각 구성 요소의 축척과 실제의 구성 요소의 축척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all drawings below, the scale of each component is appropriately adjusted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and the scal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does not necessarily match the scale of the actual component.

<광학 적층체><Optical laminate>

도 1∼도 4는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100, 200, 300 및 400)는, 편광판(10)과 광학 기능층(20)을 이 순서로 갖는다. 편광판(10)과 광학 기능층(20)은, 직접 접하고 있어도 좋다. 편광판(10)은, 편광자(11)를 포함한다. 편광자(11)는,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다.1 to 4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of this embodiment. The optical laminates 100, 200, 300, and 400 of this embodiment have the polarizing plate 10 and the optical function layer 20 in this order. The polarizing plate 10 and the optical function layer 20 may be in direct contact. The polarizing plate 10 includes a polarizer 11. The polarizer 11 i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which iodine is adsorbed and oriented.

편광판(10)은,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11)의 편면에 보호 필름(12)을 갖는 편보호형 편광판이어도 좋다. 이때, 편광자(11)는 첩합층(24)을 통해 직접 광학 기능층(20)에 적층된다. 편광판(1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11)의 양면에 보호 필름(12) 및 보호 필름(13)을 갖는 양보호형 편광판이어도 좋다.The polarizing plate 10 may be a single-protection type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film 12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11, as shown in FIGS. 1 to 3 . At this time, the polarizer 11 is directly laminated on the optical function layer 20 through the bonding layer 24. The polarizing plate 10 may be a double-protection type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film 12 and a protective film 13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11, as shown in FIG. 4 .

광학 기능층(20)은,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위상차층, 즉 제1 위상차층(21) 및 제2 위상차층(22)을 포함하여도 좋다. 제1 위상차층(21)과 제2 위상차층(22)은, 첩합층(23)을 통해 적층되어도 좋다. 편광판(10)과 광학 기능층(20)은, 첩합층(24)에 의해 첩합되어도 좋다. 광학 기능층(20)은, 적어도 1층의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첩합층(23 및 24) 중, 한쪽이 접착제층이고, 다른 쪽이 점착제층이어도 좋고, 양방이 접착제층이어도 좋다. 광학 기능층(20)은, 이 외에도 접착제층을 포함하여도 좋다. 광학 기능층(20)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위상차층(21)과, 접착제층과, 제2 위상차층(22)이 이 순서로 접한다.The optical function layer 20 may include two retardation layers, that is, the first retardation layer 21 and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22, as shown in FIGS. 1 to 4 .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21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22 may be laminated through the bonding layer 23. The polarizing plate 10 and the optical function layer 20 may be bonded together by the bonding layer 24. The optical function layer 20 includes at least one adhesive layer. Among the bonding layers 23 and 24, one may be an adhesive layer, the other may be an adhesive layer, or both may be an adhesive layer.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20 may also include an adhesive layer in addition to this. In the optical function layer 20, preferably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21, th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2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order.

도 1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100), 및 도 4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400)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21)과 제2 위상차층(22)은, 접착제층인 첩합층(23)을 통해 적층되어 있고, 제1 위상차층(21)과 편광판(10)은 점착제층인 첩합층(24)을 통해 적층되어 있다. In the optical laminated body 100 shown in FIG. 1 and the optical laminated body 400 shown in FIG. 4,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21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22 are a bonding layer 23 that is an adhesive layer. The first retardation layer 21 and the polarizing plate 10 are laminated through a bonding layer 24, which is an adhesive layer.

도 2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200)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21)과 제2 위상차층(22)은 점착제층인 첩합층(23)을 통해 적층되어 있고, 제1 위상차층(21)과 편광판(10)은, 접착제층인 첩합층(24)을 통해 적층되어 있다. In the optical laminate 200 shown in FIG. 2,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21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22 are laminated through a bonding layer 23, which is an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21 and the polarizing plate 10 are laminated through a bonding layer 24, which is an adhesive layer.

도 3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300)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21)과 제2 위상차층(22)은 접착제층인 첩합층(23)을 통해 적층되어 있다.In the optical laminate 300 shown in FIG. 3,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21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22 are laminated through a bonding layer 23 that is an adhesive layer.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 기능층(20)은, 점착제층(30)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점착제층(30)은, 광학 기능층(20)의 편광판(10)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적층되어도 좋다. 점착제층(30)은, 제2 위상차층(22)의 편광판(10)과는 반대측에 적층되어도 좋다. 점착제층(30)은, 제2 위상차층(22)에 직접 접하여 마련되어도 좋다.1 to 4, the optical function layer 20 may have an adhesive layer 30. The adhesive layer 30 may be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unction layer 20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olarizing plate 10. The adhesive layer 30 may be lamin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10 of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22. The adhesive layer 30 may be provid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22.

광학 적층체(100)는, 보호 필름(12)과 편광자(11)와 제1 위상차층(21)과 접착제층과 제2 위상차층(22)과 점착제층(30)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광학 적층체(200)는, 보호 필름(12)과 편광자(11)와 접착제층과 제1 위상차층(21)과 제2 위상차층(22)과 점착제층(30)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광학 적층체(300)는, 보호 필름(12)과 편광자(11)와 접착제층과 제1 위상차층(21)과 접착제층과 제2 위상차층(22)과 점착제층(30)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광학 적층체(400)는, 보호 필름(12)과 편광자(11)와 보호 필름(13)과 제1 위상차층(21)과 접착제층과 제2 위상차층(22)과 점착제층(30)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The optical laminate 100 includes a protective film 12, a polarizer 11, a first retardation layer 21, an adhesive layer, a second retardation layer 22, and an adhesive layer 30 in this order. The optical laminate 200 includes a protective film 12, a polarizer 11, an adhesive layer, a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21, a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22, and an adhesive layer 30 in this order. The optical laminate 300 includes a protective film 12, a polarizer 11, an adhesive layer, a first retardation layer 21, an adhesive layer, a second retardation layer 22, and an adhesive layer 30 in this order. Includes. The optical laminate 400 includes a protective film 12, a polarizer 11, a protective film 13, a first retardation layer 21, an adhesive layer, a second retardation layer 22, and an adhesive layer 30. Include them in this order: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 적층체(100, 200, 300 및 400)에는, 금속층(40)이 적층되어도 좋다. 금속층(40)은,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30)을 통해 편광판(10)과는 반대측에 적층된다. 금속층(40)은, 점착제층(30)에 직접 접하여 마련되어도 좋다.As shown in FIGS. 1 to 4 , a metal layer 40 may be laminated on the optical laminates 100, 200, 300, and 400. The metal layer 40 is preferably lamin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10 via the adhesive layer 30. The metal layer 40 may be provid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30.

종래의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접착제층이 광경화성 접착제의 경화층인 경우, 접착제에 충분한 광조사를 행하여 경화를 행하고 있었다. 또한, 접착제에의 첨가제의 첨가량은 소량이었다. 이 때문에, 경화 후의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은 1 질량% 미만이 되는 것이 통상이었다. 그러나, 저분자 성분이 1 질량% 미만이면,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로부터 요오드의 이행을 억제할 수 없어, 광학 적층체에 적층된 금속층에 접하는 점착제층 중의 요오드 농도가 상승하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로부터 금속층에 접하는 점착제층까지의 사이에 요오드를 포착할 수 있는 저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층을 구비함으로써, 점착제층의 요오드 농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이것은, 요오드가 저분자 성분에 포착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In a conventional optical laminate, when the adhesive layer is a cured layer of a photocurable adhesive, the adhesive is cured by applying sufficient light irradiation. Additionally, the amount of additives added to the adhesive was small. For this reason,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after curing was usually less than 1% by mass. However, when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was less than 1% by mass, migration of iodine from the polarizer containing iodine could not be suppressed, and the iodine concentration in the adhesive layer in contact with the metal layer laminated on the optical laminate was increasing. The present inventors have obtained the knowledge that an increase in the iodine concentration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suppressed by providing a layer containing a low-molecular-weight component capable of capturing iodine between the polarizer containing iodine and the adhesive layer in contact with the metal layer. . This is thought to be because iodine is captured by low-molecular-weight components.

요오드를 포착할 수 있는 저분자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에폭시기를 갖는 분자, 옥세탄 고리를 갖는 분자, 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분자, 메타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분자; 아미노기, 아미드기, 아세틸기, 카르바민 골격, 이소시아네이트 골격, 아크릴레이트기, 메타크릴기, 우레아기 등을 갖는 분자; 우레탄 골격,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골격, 피리딘 골격, 피페리딘 골격, 피롤리딘 골격, 아크리딘 골격, 아크리돈 골격 등을 갖는 분자; 양이온성의 치환기를 갖는 분자; 극성 분자; 시클로덱스트린, [n]-CPP 등의 환형 분자; 은, 동, 아연 등의 금속 이온; 활성탄, 제올라이트 등의 다공질 재료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low-molecular-weight components capable of capturing iodine include molecules having an epoxy group, molecules having an oxetane ring, molecules having an acryloyloxy group, and molecules having a methacryloyloxy group; Molecules having amino group, amide group, acetyl group, carbamine skeleton, isocyanate skeleton, acrylate group, methacryl group, urea group, etc.; Molecules having a urethane skeleton, urethane acrylate skeleton, pyridine skeleton, piperidine skeleton, pyrrolidine skeleton, acridine skeleton, acridone skeleton, etc.; Molecules having cationic substituents; polar molecule; Cyclic molecules such as cyclodextrin and [n]-CPP; metal ions such as silver, copper, and zinc; Porous materials such as activated carbon and zeolite can be mentioned.

본 발명에 있어서, 요오드를 포착할 수 있는 저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층으로서, 접착제층에 주목하였다. 접착제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의 미중합 모노머, 중합 개시제, 중합 개시제의 분해물, 그 외의 첨가제를 포함하여도 좋다.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이들 저분자 성분은, 요오드를 포착할 수 있다. 접착제의 상용성의 제어가 용이하고, 고습열 환경 하에서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요오드를 포착할 수 있는 저분자 성분은, 접착제의 미중합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에 포함되는 미중합 모노머는, 바람직하게는 에폭시기를 갖는 모노머, 옥세탄 고리를 갖는 모노머, 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모노머 및 메타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접착제층 중의 미중합 모노머의 함유량은, 예컨대 접착제의 경화도를 조정함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다.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접착제층 이외의 층, 예컨대 중합성 액정 위상차층이 저분자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tention was paid to the adhesive layer as a layer containing a low-molecular component capable of capturing iodine.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a cured layer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may include unpolymerized monomers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decomposition produc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other additives. These low-molecular-weight components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can capture iodine.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it easy to control the compatibility of the adhesive and suppressing bleed-out in a high-humidity heat environ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molecular-weight component capable of capturing iodine is an unpolymerized monomer of the adhesive. The unpolymerized monomer contained in the adhesive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onomer having an epoxy group, a monomer having an oxetane ring, a monomer having an acryloyloxy group, and a monomer having a methacryloyloxy group. do. The content of unpolymerized monomer in the adhesive layer can be changed, for example, by adjusting the degree of curing of the adhesive. In the optical laminate, layers other than the adhesive layer, such as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retardation layer, may contain a low-molecular-weight component.

광학 기능층에 포함되는 접착제층은, 분자량이 500 이하인 저분자 성분을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포함하고, 3 질량% 이상이어도 좋고, 8 질량% 이하여도 좋다. 저분자 성분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요오드를 보다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저분자 성분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요오드의 이행의 억제 효과가 감소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저분자 성분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편광판의 광학 기능이 악화할 우려가 있다. 광학 기능층이 복수의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범위는 복수의 접착제층의 질량의 합계에 대한, 복수의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의 질량의 합계의 비율이다.The adhesive layer included in the optical function layer contains 1 mass% or more and 10 mass% or less of a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with a molecular weight of 500 or less, and may be 3 mass% or more, and may be 8 mass% or less. The higher the content of low-molecular-weight components, the more effective it is in capturing iodine.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low-molecular-weight component is too high, there is a risk that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migration of iodine may be reduced. Additionally, if the conten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is too high, there is a risk that the optical fun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may deteriorate. When the optical function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the above range is a ratio of the sum of the masses of the low molecular components contained in the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to the sum of the masses of the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의 비율(질량%)은,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의 질량(W2))/(접착제층의 질량(W1))에 의해 구해진다.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의 질량(W2)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먼저, 접착제층에 의해 첩합되는 복수의 층 전체를 동결 분쇄하고, 얻어진 분체를 용매에 추출한다. 이것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함으로써 분자량이 500 이하인 저분자 성분의 양을 구할 수 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질량 분석계(MS)를 접속한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저분자 성분의 작용기도 특정할 수 있다. 질량 분석에 의해, 저분자 성분 중 접착제층 유래인 성분을 특정할 수 있고,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의 질량(W2)을 산출할 수 있다. 접착제층에 의해 첩합되는 복수의 층은, 광학 기능층 전체여도 좋고, 편광자, 제1 위상차층, 접착제층 및 제2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여도 좋지만, 금속층에 첩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은 제거하고 분석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의 질량(W1)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제공된 적층체 전체의 질량)×{(접착제층의 두께)/(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제공된 적층체층 전체의 두께)}로 산출할 수 있다.The ratio (mass %) of the low-molecular compon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is obtained by (mass of the low-molecular compon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W2))/(mass of the adhesive layer (W1)). The mass (W2) of the low molecular compon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is calculated as follows. First, the entire plurality of layers joined by the adhesive layer are freeze-pulverized, and the obtained powder is extracted into a solvent. By analyzing this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amount of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with a molecular weight of 500 or less can be determined. By using a device that connects a mass spectrometer (MS) to a gas chromatograph, the functional groups of low-molecular-weight components can be specified. By mass spectrometry, the component derived from the adhesive layer among the low molecular components can be identified, and the mass (W2) of the low molecular compon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can be calculated. The plurality of layers bonded by the adhesive layer may be the entire optical function layer, or may be a laminate including a polarizer, a first phase contrast layer, an adhesive layer, and a second phase contrast layer, but the adhesive layer for bonding to the metal layer is removed. It is desirable to conduct analysis. The mass (W1)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calculated as (mass of the entire laminate subjected to gas chromatography) x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thickness of the entire laminate layer subjected to gas chromatography)}.

예컨대 제1 위상차층과 제2 위상차층이 접착제층에 의해 첩합된 적층체를 이용하여, 접착제층의 저분자 성분의 함유량은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먼저, 적층체를 동결 분쇄하고, 용매에 추출 및 여과를 행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제공하는 시험 용액을 얻는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저분자량 성분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저분자 성분의 함유량을 정량화한다. 하기 식에 의해, 저분자 성분의 함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using a laminate in which the first phase contrast layer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are bonded together by an adhesive layer, the conten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in the adhesive layer is calculated as follows. First, the laminate is freeze-pulverized, extracted with a solvent, and filtered to obtain a test solution to be subjected to gas chromatography. Gas chromatography is performed to quantify the content of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from the peak area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The conten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의 비율(질량%)}=[시험 용액 중의 접착제층 유래 저분자 성분의 함유량(㎎/mL)×시험 용액량(mL)]/[적층체의 질량(㎎)×{접착제층의 두께(㎛)/적층체의 두께(㎛)}]×100{Ratio of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mass %)} = [Content of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derived from the adhesive layer in the test solution (mg/mL) × Test solution amount (mL)] / [Mass of the laminate (mg) × {Thickness of adhesive layer (㎛)/Thickness of laminate (㎛)}]×100

광학 적층체는, 원편광판(타원 편광판을 포함한다.)을 구성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는, 화상 표시 장치의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로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유기 EL) 표시 장치, 무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무기 EL)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여도 좋다.The optical laminate can constitute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including an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The optical laminate can be used as an antireflection film for an image display device. Examples of image display devices includ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organic EL) display devices, inorganic electroluminescence (inorganic EL) display device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s. The display device may be a flexible display.

광학 적층체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의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고, 특히 터치 패널 방식의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4에 있어서, 금속층(40)은, 터치 패널 센서를 구성하는 금속 배선층이어도 좋다.The optical laminated body can be used in display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s, and can be particularly suitably used in touch panel display devices. 1 to 4, the metal layer 40 may be a metal wiring layer constituting a touch panel sensor.

이하,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aminate will be described.

[편광판][Polarizer]

편광판은, 편광자를 포함한다. 편광판은,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가져도 좋다. 편광판은, 기재 필름, 배향막 등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편광자의 편면에 보호 필름을 가질 때,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광학 기능층과는 반대측에 적층되어도 좋다. 편광자가 접착제층을 통해 직접 광학 기능층에 적층될 때, 요오드가 편광자로부터 광학 기능층으로 이행하기 쉽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광학 적층체라도, 광학 기능층이 저분자 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있을 때는, 요오드의 이행을 억제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 polarizer. The polarizing plate may have a protective film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The polariz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base film, an alignment film, etc. When having a protective film on one side of a polarizer, the protective film may be lamin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ptical function layer of the polarizer. When the polarizer is directly laminated to the optical function layer through the adhesive layer, iodine is likely to migrate from the polarizer to the optical function layer. Even in an optical laminate having such a structure, migration of iodine can be suppressed when the optical function layer contains an adhesive layer containing many low molecular components.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전광선 투과율(Ty)은, 바람직하게는 43.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4.5% 이상이고, 45.5% 이상이어도 좋다. 전광선 투과율(Ty)이 43.5% 이상일 때, 편광판의 요오드 함유량이 적은 경향이 있다. 시감도 보정 전광선 투과율(Ty)은, 분광 광도계(니혼 분코 제조의 V-7100)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visibility corrected total light transmittance (Ty) of the polarizing plate is preferably 43.5% or more, more preferably 44.5% or more, and may be 45.5% or more. When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Ty) is 43.5% or more, the iodine content of the polarizer tends to be low. The visibility-corrected total light transmittance (Ty) can be measured with a spectrophotometer (V-7100, manufactured by Nihon Bunko Co., Ltd.).

(편광자)(polarizer)

편광자는, 무편광의 광을 입사시켰을 때, 흡수축에 직교하는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시키는 성질을 갖는다. 편광자는,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다.The polarizer has the property of transmit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 vibration plane orthogonal to the absorption axis when unpolarized light is incident thereon. The polarizer i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which iodine is adsorbed and oriented.

편광자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하, 「PVA계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 요오드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 등의 막 제조 처리가 실시된 원단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염색 처리에 의해 요오드가 흡착 배향한 PVA계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그 후에, 붕산 수용액을 씻어 내는 세정 공정을 행하여도 좋다. 각 공정에는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원단 필름의 막 두께는, 예컨대 10 ㎛ 이상 10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60 ㎛ 이하이고, 15 ㎛ 이상 30 ㎛ 이하여도 좋다.The polarizer is, for example,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such as a polyvinyl alcohol film, a partially formalized polyvinyl alcohol film, and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based partially saponified film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 “PVA-based film”). A fabric film that has been subjected to film production processes such as dyeing with iodine and stretching can be used. If necessary, the PVA-based film in which iodine has been adsorbed and oriented by dyeing treatment may be treated with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and then a washing step of washing off the aqueous boric acid solution may be performed. Known methods can be adopted for each process.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abric film is, for example, 10 μm or more and 100 μm or less, preferably 10 μm or more and 60 μm or less, and may be 15 μm or more and 30 μm or less.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이하, 「PVA계 수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는, 폴리초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초산비닐계 수지는, 초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초산비닐 외에, 초산비닐과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초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계 화합물, 올레핀계 화합물, 비닐에테르계 화합물, 불포화 술폰계 화합물, 암모늄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PVA-based resin”) is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The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may be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it, in addition to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Other monomers that can be copolymerized with vinyl acetate include, for example, unsaturated carboxylic acid-based compounds, olefin-based compounds, vinyl ether-based compounds, unsaturated sulfone-based compounds, and (meth)acrylamide-based compounds having an ammonium group.

PVA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 이상 100 몰% 이하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PVA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 이상 100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5000 이하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평균 중합도가 1000 미만에서는 바람직한 편광 성능을 얻기 어렵고, 10000 초과에서는 필름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VA-based resin is usually about 85 mol% or more and 100 mol% or less, and is preferably 98 mol% or more. PVA-based resin may be modified, and polyvinyl formal, polyvinyl acetal, etc. modified with aldehydes can also be used.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1,000 or more and 10,000 or less, and preferably 1,500 or more and 5,000 or less.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determined based on JIS K 6726 (1994). If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is less than 1000, it is difficult to obtain desirable polarization performance, and if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is more than 10000, film processability may be poor.

그 외의 PVA계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은, 먼저 기재 필름을 준비하고, 기재 필름 상에 PVA계 수지 등의 수지의 용액을 도포하고, 용매를 제거하는 건조 등을 행하여 기재 필름 상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PET 등의 수지 필름이나, 후술하는 보호 필름에 이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수지층이 형성되는 면에는, 미리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의 재료로서는, 편광자에 이용되는 친수성 수지를 가교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er containing a PVA-based film is to first prepare a base film, apply a solution of a resin such as PVA-based resin onto the base film, and dry to remove the solvent, etc. to form a water solution on the base film. It may also include a step of forming a stratum. As the base film, a resin film such as PET or a film using a thermoplastic resin that can be used for a protective film described later can be used. A primer layer can be formed in advance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where the resin layer is formed.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primer layer include a resin obtained by crosslinking a hydrophilic resin used in a polarizer.

계속해서, 필요에 따라 수지층의 수분 등의 용매량을 조정하고, 그 후,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을 일축 연신한다. 계속해서, 수지층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요오드를 수지층에 흡착 배향시킨다. 필요에 따라 요오드가 흡착 배향한 수지층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붕산 수용액을 씻어 내는 세정 공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수지층인 편광자가 제조된다. 각 공정에는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amount of solvent such as moisture in the resin layer is adjusted as needed, and then the base film and the resin layer are uniaxially stretched. Subsequently, the resin layer is dyed with iodine to adsorb and orient the iodine to the resin layer. If necessary, the resin layer in which the iodine is adsorbed and oriented is treated with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and a washing step is performed to wash away the aqueous boric acid solution. Thereby, a polarizer which is a resin layer in which iodine is adsorbed and oriented is manufactured. Known methods can be adopted for each process.

요오드가 흡착 배향한 PVA계 필름 또는 PVA계 수지층을 처리하는 붕산 함유 수용액에 있어서의 붕산의 양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2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 정도이고, 5 질량부 이상 12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붕산 함유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화칼륨의 양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 정도이고, 5 질량부 이상 12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은, 통상, 60초 이상 1200초 이하이고, 150초 이상 600초 이하가 바람직하고, 200 이상 400초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붕산 함유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50℃ 이상이고, 50℃ 이상 85℃ 이하가 바람직하고, 60℃ 이상 8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boric acid in the boric acid-containing aqueous solution for treating the PVA-based film or PVA-based resin layer with iodine adsorption orientation is usually about 2 parts by mass to 15 parts by mass, and 5 parts by mass to 12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water. 2 or less is preferable. This boric acid-containing aqueous solution preferably contains potassium iodide. The amount of potassium iodide i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is usually in the range of 0.1 to 15 parts by mass, preferably 5 to 12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water. The immersion time in the boric acid-containing aqueous solution is usually 60 seconds or more and 1200 seconds or less, preferably 150 seconds or more and 600 second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00 seconds or more and 400 seconds or less. The temperature of the boric acid-containing aqueous solution is usually 50°C or higher, preferably 50°C or higher and 85°C or lower, and more preferably 60°C or higher and 80°C or lower.

기재 필름 및 PVA계 수지층의 일축 연신은, 염색 전에 행하여도 좋고, 염색 중에 행하여도 좋고, 염색 후의 붕산 처리 중에 행하여도 좋고, 이들 복수의 단계에 있어서 각각 일축 연신을 행하여도 좋다. 기재 필름 및 PVA계 수지층은, MD 방향(필름 반송 방향)으로 일축 연신하여도 좋고, 이 경우, 주속이 다른 롤 사이에서 일축으로 연신하여도 좋고, 열롤을 이용하여 일축으로 연신하여도 좋다. 또한, 기재 필름 및 PVA계 수지층은, TD 방향(필름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일축 연신하여도 좋고, 이 경우, 소위 텐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 및 PVA계 수지층의 연신은,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이어도 좋고, 용제로 PVA계 수지층을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이어도 좋다. 편광자의 성능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연신 배율은 4배 이상이고, 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5배 이상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파단 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8배 이하가 바람직하다.Uniaxial stretching of the base film and PVA-based resin layer may be performed before dyeing, may be performed during dyeing, may be performed during boric acid treatment after dyeing, or uniaxi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in each of these plural steps. The base film and the PVA-based resin layer may be uniaxially stretched in the MD direction (film transport direction). In this case, they may be uniaxially stretched between rolls with different peripheral speeds, or they may be uniaxially stretched using hot rolls. Additionally, the base film and the PVA-based resin layer may be uniaxially stretched in the TD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lm transport direction), and in this case, the so-called tenter method can be used. In addition, the stretching of the base film and the PVA-based resin layer may be dry stretching in which stretching is performed in the air, or wet stretching in which stretch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PVA-based resin layer is swollen with a solvent. In order to express the performance of the polarizer, the draw ratio is preferably 4 times or more, preferably 5 times or more, and especially 5.5 times or more. There is no particular upper limit to the stretch ratio, but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breakage, etc., 8 times or less is preferable.

기재 필름을 이용하는 제조 방법으로 제작한 편광자는, 기재 필름을 박리하거나, 또는 기재 필름과 함께 직선 편광자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편광자에 보호 필름을 적층한 후에 기재 필름을 박리하여도 좋다. 이 방법에 의하면, 편광자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The polarizer produced by a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base film may be used as a linear polarizer by peeling the base film or together with the base film. After laminating the protective film on the polarizer, the base film may be peeled. According to this method, thinning of the polarizer becomes possible.

편광자의 두께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상 또는 5 ㎛ 이상이어도 좋다. 편광자의 두께는,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이하, 10 ㎛ 이하 또는 8 ㎛ 이하여도 좋다. 편광자의 두께가 작을수록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요오드가 스며 나오기 쉽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preferably 1 μm or more, and may be 2 μm or more or 5 μm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preferably 30 μm or less, and may be 15 μm or less, 10 μm or less, or 8 μm or less. The smaller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the easier it is for iodine to seep out under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보호 필름)(protective film)

보호 필름으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연신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시클로계 및 노르보넨 구조를 갖는 환형 폴리올레핀 수지(노르보넨계 수지라고도 함);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가질 때, 양보호 필름의 수지 조성은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중 어느 것이어도 좋은 것을 의미한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도 동일한 의미이다.As a protective film, it is preferable to use a film formed of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barrier properties, isotropy, and extensibility. Specific examples of thermoplastic resins include cellulose resins such as triacetylcellulos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ersulfone resin; polysulfone resin; polycarbonate resin; Polyamide resins such as nylon and aromatic polyamide; polyimide resin;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ethylene/propylene copolymer; Cyclic polyolefin resins having cyclo-based and norbornene structures (also referred to as norbornene-based resins); (meth)acrylic resin; polyarylate resin; polystyrene resin; Polyvinyl alcohol resin, and mixtures thereof can be mentioned. When a polarizer has protective films on both sides, the resin composition of both protective film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ic” means either acrylic or methacrylic. “(meth)” in (meth)acrylate and the like also has the same meaning.

보호 필름은, 위상차를 갖는 것이어도 좋고, 반사 방지 특성, 방현 특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보호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 코트층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양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 코트층을 마련함으로써,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보호 필름으로 할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may have a phase difference and may have anti-reflection properties and anti-glare properties. The protective film may have a hard coat layer formed on a thermoplastic resin film. The hard coat laye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By providing a hard coat layer, a protective film with improved hardness and scratch resistance can be obtained.

보호 필름의 두께는,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상이어도 좋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이하 또는 30 ㎛ 이하여도 좋다.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3 μm or more, and may be 5 μm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50 μm or less, and may be 40 μm or less or 30 μm or less.

편광자의 광학 기능층측에 보호 필름을 가질 때, 보호 필름의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에 있어서의 투습도는, 바람직하게는 350 g/(㎡·24 hr) 이상이고, 500 g/(㎡·24 hr) 이상, 750 g/(㎡·24 hr) 이상 또는 1000 g/(㎡·24 hr) 이상이어도 좋다. 보호 필름의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에 있어서의 투습도는, 예컨대 2500 g/(㎡·24 hr) 이하이다. 보호 필름의 투습도가 높을 때, 요오드가 편광판으로부터 광학 기능층측으로 이행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광학 기능층이 저분자 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있을 때는, 요오드의 이행을 억제할 수 있다.When having a protective film on the optical function layer side of the polarizer,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protective film at a temperature of 4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RH is preferably 350 g/(m2·24 hr) or more, and 500 g/(m2 ·24 hr) or more, 750 g/(㎡·24 hr) or more, or 1000 g/(㎡·24 hr) or more.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protective film at a temperature of 4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RH is, for example, 2500 g/(m2·24 hr) or less. When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protective film is high, it becomes easy for iodine to migrate from the polarizing plate to the optical function layer side. However, when the optical function layer contains an adhesive layer containing many low molecular components, migration of iodine can be suppressed.

보호 필름은,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자에 적층되어도 좋다. 보호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계 접착제를 건조시켜 형성되는 접착제층에 의해 편광자에 적층된다.The protective film may be laminated on the polarizer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Th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laminated on the polarizer with an adhesive layer formed by drying a water-based adhesive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편광판의 편면에는, 반사 방지층, 방현층, 하드 코트층 등의 표면 기능층이 더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표면 기능층은, 보호 필름에 직접 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기능층은, 보호 필름의 편광자측과는 반대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surface functional layer such as an anti-reflection layer, an anti-glare layer, or a hard coat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functional layer is provided so as to directly contact the protective film. The surface functional layer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olarizer side of the protective film.

[광학 기능층][Optical functional layer]

광학 기능층은, 적어도 1층의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광학 기능층은, 보호층, 액정 경화층, 위상차층, 첩합층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광학 기능층은, 예컨대 1층 또는 2층 이상의 위상차층을 포함한다. 광학 기능층은, 예컨대 2층의 위상차층,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을 포함하고, 제1 위상차층과 제2 위상차층은 첩합층을 통해 적층되어도 좋다. 제1 위상차층과 편광판은 첩합층을 통해 적층되어도 좋다. 첩합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이어도 좋다.The optical function layer includes at least one adhesive layer. The optical function layer may include a protective layer, a liquid crystal cured layer, a retardation layer, a bonding layer, etc.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includes, for example, one or two or more layers of retardation layers.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includes, for example, a two-layer retardation layer, a first retardation layer, and a second retardation layer, and the first retardation layer and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may be laminated through a bonding layer. The first retardation layer and the polarizing plate may be laminated through a bonding layer. The bonding layer may each independently be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광학 기능층은,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으로서, λ/4층을 포함하고, 또한 λ/2층 또는 포지티브 C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위상차층이 λ/2층을 포함하는 경우, 편광판측으로부터 순서대로 λ/4층 및 λ/2층이 적층되어도 좋고, 순서대로 λ/2층 및 λ/4층이 적층되어도 좋다. 위상차층이 포지티브 C층을 포함하는 경우, 편광판측에서 순서대로 λ/4층 및 포지티브 C층이 적층되어도 좋고, 순서대로 포지티브 C층 및 λ/4층이 적층되어도 좋다.The optical function layer includes a λ/4 layer as the first phase contrast layer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and may als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λ/2 layer and the positive C layer. When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a λ/2 layer, the λ/4 layer and the λ/2 layer may be laminated in that order from the polarizing plate side, or the λ/2 layer and the λ/4 layer may be laminated in that order. When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a positive C layer, the λ/4 layer and the positive C layer may be laminated in that order on the polarizing plate side, or the positive C layer and the λ/4 layer may be laminated in that order.

광학 기능층은, 편광판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더 포함하여도 좋다. 이 점착제층은, 광학 적층체가 금속층에 적층될 때의 첩합층으로서 이용된다.The optical function layer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This adhesive layer is used as a bonding layer when the optical laminate is laminated on the metal layer.

(접착제층)(Adhesive layer)

접착제층은, 접착제 조성물 중의 경화성 성분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접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 조성물로서는, 감압형 접착제(점착제) 이외의 접착제로서, 예컨대,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by curing the curable component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s an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adhesives other tha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dhesives) include, for example, water-based adhesives and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s.

수계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수계 접착제를 이용한 경우의 건조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열풍 건조기나 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Examples of water-based adhesives include adhesives in which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water.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drying method when using a water-based adhesive, but for example, a drying method using a hot air dryer or an infrared dryer can be adopted.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무용제형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무용제형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층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include a non-solvent typ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ntaining a curable compound that hardens by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visible light, electron beams, and X-rays. By using a solvent-fre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the adhesion between layers can be improved.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는 점에서,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상기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 반응을 개시시키기 위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 등의 양이온 중합 개시제, 또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preferably contains one or both of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and a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because it exhibits good adhesiveness.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may further include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such as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or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initiating the curing reaction of the curable compound.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지환식 고리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갖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며 방향 고리를 갖지 않는 다작용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에폭시기를 하나 갖는 단작용 에폭시기(단,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에 포함되는 것을 제외함),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며 방향 고리를 갖는 다작용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 등의 에폭시계 화합물; 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옥세탄 고리를 갖는 옥세탄 화합물;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Cationic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s include, for example, alicyclic epoxy compounds having an epoxy group bonded to an alicyclic ring, polyfunctional aliphatic epoxy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epoxy groups and no aromatic ring, and monofunctional epoxy groups having one epoxy group (however, alicyclic (excluding those included in the formula epoxy compounds), epoxy-based compounds such as polyfunctional aromatic epoxy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epoxy groups and having an aromatic ring; Oxetane compounds having one or two or more oxetane rings in the molecule; A combination of these can be mentioned.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 라디칼 중합성의 이중 결합을 갖는 그 외의 비닐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s include (meth)acrylic compounds (compounds having one or two or more (meth)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other vinyl compounds hav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double bond, or these. A combination of .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 광증감 조제 등의 증감제를 함유할 수 있다. 증감제를 사용함으로써, 반응성이 향상하며, 접착제층의 기계 강도나 접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증감제로서는, 공지의 것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증감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 이상 20 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may contain a sensitizer such as a photosensitizer if necessary. By using a sensitizer, reactivity is improved and the mechanical strength and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further improved. As a sensitizer, a known one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When blending a sensitizer, the blending amount is preferably 0.1 part by mass or more and 20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amount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점착 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 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용매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may, if necessary, contain additives such as ion trapping agents, antioxidants, chain transfer agents, tackifiers, thermoplastic resins, fillers, flow regulators, plasticizers, antifoaming agents, antistatic agents, leveling agents, and solvents. You can.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한 경우는,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의 도포층을 경화시켜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의 광원으로서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마이크로 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When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is used, the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by curing the applied layer of the adhesive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visible light, electron beams, or X-rays. As an active energy ray, ultraviolet rays are preferable, and as a light source in this case, a low pressure mercury lamp, a medium pressure mercury lamp,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n ultra-high pressure mercury lamp, a chemical lamp, a black light lamp, a microwave excited mercury lamp, a metal halide lamp, etc. can be used.

접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이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굴곡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0.01 μm or more, more preferably 0.05 μm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0.1 μm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1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5 μ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flexibility.

(점착제층)(Adhesive layer)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점착제 조성물은, 그 자체를 피착체에 접착함으로써 접착성을 발현하는 것이며, 소위 감압형 접착제라고 칭해지는 것이다.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종래 공지의 광학적인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제를 특별히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적합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또는 열경화형이어도 좋다.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가교제,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The adhesive layer is formed using an adhesive composition. The adhesive composition exhibits adhesiveness by adhering itself to an adherend, and is called a so-call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s the adhesive composition, conventionally known adhesives with excellent optical transparency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restrictions. The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from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meth)acrylic resin, rubber-based resin, urethane-based resin, ester-based resin, silicone-based resin, and polyvinyl ether-based resin as the base polymer. Among them,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meth)acrylic resin excellent in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etc. as a base polymer is suitable.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of an active energy ray curing type or a thermosetting type.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comprised of a reaction product of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meth)acrylic resin, a crosslinking agent, and a silane compound, and may contain other components.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베이스 폴리머에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서는, (메트)아크릴산 화합물,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화합물,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화합물, (메트)아크릴아미드 화합물,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의,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The (meth)acrylic resin us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is one of (meth)acrylic acid esters such as but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isooctyl (meth)acrylate, and 2-ethylhexyl (meth)acrylate. Polymers or copolymers containing two or more types of monomers are suitably used. It is preferable to copolymerize a polar monomer with the base polymer. As polar monomers, (meth)acrylic acid compounds, (meth)acrylic acid 2-hydroxypropyl compounds, (meth)acrylic acid hydroxyethyl compounds, (meth)acrylamide compounds, and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mpounds. , monomers having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n amide group, an amino group, an epoxy group, etc., such as a glycidyl (meth)acrylate compound.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지만, 통상은 가교제를 더 함유한다. 가교제로서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으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카르복실산 금속염을 형성하는 금속 이온,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아민 화합물,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에폭시 화합물 또는 폴리올,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예시된다. 가교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only the base polymer, but usually further contains a crosslinking agent. The crosslinking agent is a divalent or higher metal ion, such as a metal ion that forms a carboxylic acid metal salt between carboxyl groups, a polyamine compound that forms an amide bond between carboxyl groups, and a polyepoxy that forms an ester bond between carboxyl groups. Examples include polyisocyanate compounds that form amide bonds between compounds, polyols, and carboxyl groups. The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a polyisocyanate compound.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 전에 있어서도 점착성을 가져 필름 등의 피착체에 밀착시킬 수 있고,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여 밀착력의 조정을 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 가교제에 더하여,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더 함유하여도 좋다.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 광증감제 등을 함유시켜도 좋다.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has the property of curing upon exposure to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beams, has adhesiveness even before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and can be adhered to an adherend such as a film, and can be irradiated with active energy rays. It has the property of being able to adjust the adhesion by hardening.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is preferably of an ultraviolet ray-curable type.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n active energy ray polymerizable compound in addition to the base polymer and crosslinking agent. If necessary,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photosensitizer, etc. may be contained.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작용기 함유 화합물을 2종 이상 반응시켜 얻어지고,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함유 화합물 등의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점착제 조성물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 이상 포함할 수 있고, 10 질량부 이하, 5 질량부 이하 또는 2 질량부 이하 포함할 수 있다.Examples of active energy ray polymerizable compounds include (meth)acrylate monomers having at least one (meth)acryloyloxy group in the molecule; (meth)acrylic compounds, such as (meth)acryloyloxy group-containing compounds, such as (meth)acrylate oligomers, which are obtained by reacting two or more types of functional group-containing compounds and have at least two (meth)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can be mentioned.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an active energy ray polymerizable compound in an amount of 0.1 parts by mass or more, 10 parts by mass or less, 5 parts by mass or less, or 2 parts by mass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solid conten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컨대 벤조페논, 벤질디메틸케탈,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이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때, 그 전체 함유량은, 예컨대 점착제 조성물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 질량부 이상 3.0 질량부 이하여도 좋다.Examples of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include benzophenone, benzyldimethylketal, and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y contain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When th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he total content may be, for example, 0.01 part by mass or more and 3.0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solid conten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점착제 조성물은, 광산란성을 부여하기 위한 미립자, 비드(수지 비드, 유리 비드 등), 유리 섬유,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수지, 점착성 부여제, 충전제(금속분이나 그 외의 무기 분말 등),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염료, 안료, 착색제, 소포제, 부식 방지제, 광중합 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fine particles for imparting light scattering properties, beads (resin beads, glass beads, etc.), glass fibers, resins other than the base polymer, tackifiers, fillers (metal powders and other inorganic powders, etc.), antioxidants, and ultraviolet rays. It may contain additives such as absorbents, dyes, pigments, colorants, defoaming agents, corrosion inhibitors, an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유기 용제 희석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는, 형성된 점착제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소망의 경화도를 갖는 점착제층으로 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by applying an organic solvent dilu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to a substrate and drying it. The adhesive layer can also be formed using an adhesive sheet formed using an adhesive composition. When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is used, the formed adhesive layer can be irradiated with active energy rays to form an adhesive layer having a desired degree of curing.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상 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 이상이어도 좋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it is preferably 1 μm or more and 10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3 μm or more and 50 μm or less, and may be 20 μm or more.

(위상차층)(Phase difference layer)

위상차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한다. 위상차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소망의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배향 규제력을 갖는 배향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위상차층은, 그 표면을 보호하는 오버 코트층, 위상차층을 지지하는 기재층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The retardation layer contains a cured product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he retardation layer may include an alignment layer having an orientation regulating force that orients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n a desired direction. The retardation layer may include an overcoat layer that protects the surface, a base material layer that supports the retardation layer, etc.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는, 막대형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원반형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한쪽을 이용하여도 좋고, 이들 양방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하여도 좋다. 막대형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기재층에 대하여 수평 배향 또는 수직 배향한 경우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은,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장축 방향과 일치한다. 원반형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배향한 경우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은,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원반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존재한다. 막대형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표 평성11-513019호 공보(청구항 1 등)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원반형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8732호 공보(단락 [0020]∼[0067] 등),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44038호 공보(단락 [0013]∼[0108] 등)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nclude a rod-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disc-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Either one of these may be used, or a mixture containing both of these may be used. When the rod-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horizontally or vertic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the optical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oincides with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When the disk-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oriented, the optical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exist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k surface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s a rod-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for example, thos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Hei 11-513019 (Claim 1, etc.) can be suitably used. Disk-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ar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08732 (paragraphs [0020] to [0067], etc.)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244038 (paragraphs [0013] to [0108], etc.). Those described can be suitably used.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경화물층이 면내 위상차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알맞은 방향으로 배향시키면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막대형인 경우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을 기재층 평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향시킴으로써 면내 위상차가 발현하고, 이 경우, 광축 방향과 지상축 방향은 일치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원반형인 경우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을 기재층 평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향시킴으로써 면내 위상차가 발현하고, 이 경우, 광축과 지상축은 직교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는, 배향층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조합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cured material layer formed by polymeriz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o exhibit an in-plane retardatio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oriented in an appropriate direction. Whe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rod-shaped, an in-plane retardation occurs by aligning the optical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base layer, and in this case,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slow axis direction coincide. Whe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disk-shaped, an in-plane retardation occurs by aligning the optical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base layer, and in this case, the optical axis and the slow axis are orthogonal. The alignment state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adjusted by combining the alignment layer and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기를 가지고, 또한, 액정성을 갖는 화합물이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2종류 이상을 병용하는 경우, 적어도 1종류가 분자 내에 2 이상의 중합성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기란,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를 의미하고, 광중합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중합성기란, 후술하는 광중합 개시제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중합성기로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옥세타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갖는 액정성은 서모트로픽성 액정이어도 리오트로픽 액정이어도 좋고, 서모트로픽 액정을 질서도로 분류하면, 네마틱 액정이어도 스멕틱 액정이어도 좋다.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a compound that has at least one polymerizable group and has liquid crystallinity. When using two or more types of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together,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type has two or more polymerizable groups in the molecule. A polymerizable group means a group involved in a polymerization reac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photopolymerizable group. Here, the photopolymerizable group refers to a group that can participate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by active radicals or acids generated from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described later. As polymerizable groups, vinyl group, vinyloxy group, 1-chlorovinyl group, isopropenyl group, 4-vinylphenyl group, acryloyloxy group, methacryloyloxy group, oxiranyl group, oxetanyl group, styryl group, and allyl group. etc. can be mentioned. Among them, acryloyloxy group, methacryloyloxy group, vinyloxy group, oxiranyl group and oxetanyl group are preferable, and acryloyloxy group is more preferable. The liquid crystallinity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either thermotropic liquid crystal or lyotropic liquid crystal. If thermotropic liquid crystals are classified by degree of order, they may be nematic liquid crystal or smectic liquid crystal.

위상차층의 두께는, 0.1 ㎛ 이상이어도 좋고, 0.5 ㎛ 이상이어도 좋고, 1 ㎛ 이상이어도 좋고, 2 ㎛ 이상이어도 좋고, 또한,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 ㎛ 이하여도 좋고, 5 ㎛ 이하여도 좋다.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layer may be 0.1 μm or more, 0.5 μm or more, 1 μm or more, 2 μm or more, and preferably 10 μm or less, 8 μm or less, or 5 μm or less. .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층은, 기재층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건조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은, 기재층 상에 형성된 배향층 상에 도포하여도 좋다.The cured layer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formed by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contain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on a base layer, drying the composition, and polymeriz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may be applied on the alignment layer formed on the base layer.

배향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기재층에 대하여 수직 배향한 수직 배향층이어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기재층에 대하여 수평 배향한 수평 배향층이어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기재층에 대하여 경사 배향시키는 경사 배향층이어도 좋다.The alignment layer may be a vertical alignment layer in which the molecular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vertic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or may be a horizontal alignment layer in which the molecular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horizont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or the molecule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horizont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It may be an inclined orientation layer whose axis is obliquely oriented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배향층으로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공 등에 의해 용해하지 않는 용매 내성을 가지고, 용매의 제거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위한 가열 처리에 대한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층으로서는, 배향성 폴리머로 형성된 배향성 폴리머층, 광배향 폴리머로 형성된 광배향성 폴리머층, 층 표면에 요철 패턴이나 복수의 그루브(홈)를 갖는 그루브 배향층을 들 수 있다.The alignment layer preferably has solvent resistance that does not dissolve by coating of a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has heat resistance to heat treatment for removing the solvent or align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 Examples of the orientation layer include an orientation polymer layer formed of an orientation polymer, a photo-orientation polymer layer formed of a photo-orientation polymer, and a groove orientation layer having a concavo-convex pattern or a plurality of grooves (grooves) on the layer surface.

기재층으로서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 필름을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상기한 보호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설명한 수지 재료를 이용한 필름을 들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의 점에서 1 ㎛ 이상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상 2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 이상 12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층과 함께 광학 적층체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기재층을 박리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층만, 또는, 상기 경화물층 및 배향층이 광학 적층체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기재층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층과 함께 광학 적층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재층의 두께는 30 ㎛ 미만이어도 좋고, 예컨대 25 ㎛ 이하여도 좋다.As the base layer, a film formed of a resin material can be used, for example, a film using the resin material described as the thermoplastic resin used to form the above-described protective film.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generally, from the viewpoint of workability such as strength and handleability, it is preferably 1 μm or more and 30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20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and 30 μm or more and 120 μm or less. It is more desirable. The base material layer may be included in the optical laminate together with the cured product layer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the base layer may be peeled off to provide only the cured product layer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or the cured product layer and the alignment layer may be separated into the optical laminate. It may be included in the laminate. When the base layer is included in the optical laminate together with the cured product layer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may be less than 30 μm, for example, 25 μm or less.

[금속층][Metal layer]

금속층은, 터치 패널 의 터치 센서를 구성하기 위한 도전층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금속층은, 1종 이상의 금속에 의해 형성된 층이다. 금속층은, 그 표면에 부동태 피막(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금속층은 단층 구조여도 좋고 다층 구조여도 좋다. 또한, 부동태 피막은 하나의 층으로서는 세지 않는 것으로 한다.The metal layer can be used as a conductive layer for constructing a touch sensor of a touch panel. A metal layer is a layer formed of one or more types of metal. The metal layer may have a passive film (oxide film) formed on its surface. The metal layer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or a multi-layer structure. In addition, the passivation film is not counted as one layer.

금속층을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알루미늄(Al), 동(Cu), 금(Au), 은(Ag), 티탄(Ti), 팔라듐(Pd), 크롬(Cr), 니켈(Ni), 텅스텐(W), 백금(Pt), 철(Fe), 인듐(In), 주석(Sn), 이리듐(Ir), 로듐(Rh), 네오디뮴(Nd), 몰리브덴(Mo), 또는 이들의 금속을 2종 이상 포함하는 합금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금속층은, 주성분이 알루미늄 또는 동인 것이 바람직하고, 첨가제로서 티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금속층을 구성하는 금속 중, 50 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금속을 말한다.Metals constituting the metal layer include aluminum (Al), copper (Cu), gold (Au), silver (Ag), titanium (Ti), palladium (Pd), chromium (Cr), nickel (Ni), and tungsten (W). ), platinum (Pt), iron (Fe), indium (In), tin (Sn), iridium (Ir), rhodium (Rh), neodymium (Nd), molybdenum (Mo), or two or more of these metals. alloys containing Among these, the metal layer preferably has aluminum or copper as its main component, and may contain titanium as an additive. Here, the main component refers to a metal that accounts for 50 mass% or more of the metals constituting the metal layer.

금속층은, 예컨대 투광성 기재에 형성할 수 있고, 투광성 기재의 표면 전체면에 걸쳐 형성된 연속막이어도 좋고, 투광성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 배선층이어도 좋다. 금속 배선층은, 메탈 메쉬여도 좋다. 투광성 기재는, 투광성을 갖는 것이면 좋고, 예컨대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 설명한 수지 재료를 이용한 필름, 유리 필름, 유리 기판 등을 들 수 있다.The metal layer can be formed, for example, on a translucent substrate. It may be a continuous film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or may be a metal wir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The metal wiring layer may be a metal mesh.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may be any material that has light-transmitting properties, and examples include films, glass films, and glass substrates using the resin materials described as thermoplastic resins above.

금속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투광성 기재의 표면에, 예컨대, 상기한 화학 기상 성장법, 물리 기상 성장법, 잉크젯 인쇄법, 그라비어 인쇄법, 전해 도금, 무전해 도금 등에 의해 형성하면 좋다.The method of forming the metal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by, for example, the chemical vapor growth method, physical vapor growth method, inkjet printing method, gravure printing method, electrolytic plating, electroless plating, etc. described above.

금속층의 두께는, 통상 0.01 ㎛ 이상이고, 0.05 ㎛ 이상이어도 좋고, 또한, 박형화의 관점에서,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8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metal layer is usually 0.01 μm or more, and may be 0.05 μm or more, and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it is preferably 3 μm or less, more preferably 1 μm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0.8 μm or less.

금속층이 금속 배선층인 경우, 그 선폭은, 통상 10 ㎛ 이하이고, 5 ㎛ 이하여도 좋고, 3 ㎛ 이하여도 좋고, 통상 0.5 ㎛ 이상이다.When the metal layer is a metal wiring layer, the line width is usually 10 μm or less, may be 5 μm or less, may be 3 μm or less, and is usually 0.5 μm or more.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laminate>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형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층을 첩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예컨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층을 포함하는 제1 위상차층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층을 포함하는 제2 위상차층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첩합하는 공정, 또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층을 포함하는 제1 위상차층과 편광판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첩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공정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하지 않고, 접착제층 중에 미중합 모노머가 잔존하도록, 접착제의 경화도를 조정한다. 접착제의 경화도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 활성 에너지선의 투과량의 제어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One form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laminate includes a step of bonding the layers us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for example, curing the first retardation layer including a cured layer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 process of bonding a second retardation layer including a layer with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or a step of bonding a first retardation layer including a cured layer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polarizing plate with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Includes. In this step, the degree of curing of the adhesive is adjusted so that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does not completely cure and unpolymerized monomers remain in the adhesive layer. The degree of curing of the adhesive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irradiation amount of active energy rays, the amount of penetration of active energy rays, etc.

예컨대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활성 에너지선 조사량을,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하지 않을 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UVB)의 조사량은,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할 때의 조사량의 90% 이하 또는 80% 이하로 하여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량은, 예컨대 550 mJ/㎠ 이하, 450 mJ/㎠ 이하, 400 mJ/㎠ 이하, 350 mJ/㎠ 이하 또는 300 mJ/㎠ 이하로 하여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은 통상 200 mJ/㎠ 이상이다.For example, the amount of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for curing the adhesive can be reduced to a level where the adhesive does not completely cure. The irradiation amount of active energy rays (UVB) may be 90% or less or 80% or less of the irradiation amount when the adhesive is completely cured. The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amount may be, for example, 550 mJ/cm2 or less, 450 mJ/cm2 or less, 400 mJ/cm2 or less, 350 mJ/cm2 or less, or 300 mJ/cm2 or less. The irradiation amount of active energy rays is usually 200 mJ/cm2 or more.

활성 에너지선(UVB)의 투과량은, 예컨대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접착제층으로부터 활성 에너지선 조사측의 표면의 층까지 중 어느 층에 포함되어도 좋고, 기재층 또는 점착제층에 포함되어도 좋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옥시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등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인듐, 산화주석, 탈크, 카올린, 탄산칼슘, 산화티탄계 복합 산화물, 산화아연계 복합 산화물, ITO(주석 도프 산화인듐), ATO(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등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The transmission amount of active energy rays (UVB) can be adjusted, for example, by adding an ultraviolet absorber. The ultraviolet absorber may be contained in any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to the surface layer on the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side, and may be contained in the base material layer or the adhesive layer.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ultraviolet absorber, but for example, organic UV absorbers such as oxybenzophenone ultraviolet absorbers, benzotriazole ultraviolet absorbers, salicylic acid ester ultraviolet absorbers, benzophenone ultraviolet absorbers, cyanoacrylate ultraviolet absorbers, and triazine ultraviolet absorbers. absorbent; Inorganic ultraviolet rays such as titanium oxide, zinc oxide, indium oxide, tin oxide, talc, kaolin, calcium carbonate, titanium oxide-based complex oxide, zinc oxide-based complex oxide, ITO (tin-doped indium oxide), and ATO (antimony-doped tin oxide). An absorbent may be mentioned.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저분자 성분의 비율의 산출][Calculation of the ratio of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제1 기재층/제1 위상차층/접착제층(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제2 위상차층/제2 기재층의 구성을 갖는 적층체를 이용하여,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먼저, 이 적층체로부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을 박리 제거하였다. 제1 위상차층/접착제층/제2 위상차층의 적층체를 동결 분쇄하고, 용매(아세토니트릴)에 용해 후에 여과하여, 시험 용액을 얻었다.Using a laminate having the structure of first base material layer/first retardation layer/adhesive layer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layer)/second retardation layer/second base material layer, the ratio of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was calculated. . First, the first base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 base material layer were peeled and removed from this laminate. The laminate of the first phase contrast layer/adhesive layer/second phase contrast layer was freeze-pulverized, dissolved in a solvent (acetonitrile), and then filtered to obtain a test solution.

얻어진 시험용액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제공하여, 분자량이 500 이하인 성분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저분자 성분을 정량화하였다. 질량 분석에 의하면, 분자량이 500 이하인 성분 중 약 40%가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의 미중합 모노머(에폭시기를 갖는 모노머)였다.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았다.The obtained test solution was subjected to gas chromatography, and low-molecular-weight components were quantified from the peak area of components with a molecular weight of 500 or less. According to mass spectrometry, about 40% of the components with a molecular weight of 500 or less were unpolymerized monomers (monomers having an epoxy group) of the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The measurement conditions were as follows.

장치: Agilent 6850 GC(애질런트·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Equipment: Agilent 6850 GC (Agilent Technology Co., Ltd.)

캐리어 가스: 헬륨Carrier gas: helium

유량: 1.0 mL/min.(콘스턴트 플로우)Flow rate: 1.0 mL/min. (constant flow)

컬럼: DB-5 0.25 ㎜Φ×30 m, 0.25 ㎛(애질런트·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Column: DB-5 0.25 ㎜Φ×30 m, 0.25 ㎛ (Agilent Technology Co., Ltd.)

오븐: 50℃(5 min. Hold)-10℃/min.-320℃(8 min. Hold)Oven: 50℃(5 min. Hold)-10℃/min.-320℃(8 min. Hold)

주입량: 1.0 μLInjection volume: 1.0 μL

주입구 온도: 250℃Inlet temperature: 250℃

주입 모드: 스플릿리스(스플릿 벤트 퍼지 유량: 50 mL/min., 1 min. 가스 세이버: 15 mL/min., 2 min.)Injection Mode: Splitless (Split Vent Purge Flow: 50 mL/min., 1 min. Gas Saver: 15 mL/min., 2 min.)

검출: FID(250℃, H2: 40 mL/min., Air: 400 mL/min. make-up: He, 45 mL/min.)Detection: FID (250℃, H2: 40 mL/min., Air: 400 mL/min. make-up: He, 45 mL/min.)

하기 식에 따라, 저분자 성분의 비율을 산출하였다.According to the formula below, the ratio of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was calculated.

{접착제 중의 저분자 성분의 함유량(%)}={시험 용액 중의 접착제층 유래의 저분자 성분의 함량(㎎/mL)}÷{시험 용액 조제 시의 분체량(㎎)}×{시험 용액 조제 시에 사용한 용매량(mL)}÷{접착제층의 막 두께(㎛)}×{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을 박리 제거한 적층체 전체의 두께(㎛)}×100{Content of low-molecular components in the adhesive (%)}={Content of low-molecular components derived from the adhesive layer in the test solution (mg/mL)}÷{Amount of powder when preparing the test solution (mg)}×{When preparing the test solution Amount of solvent used (mL)}÷{Film thickness of adhesive layer (㎛)}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요오드량의 측정][Measurement of the amount of iodine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광학 적층체를 25 ㎜×50 ㎜의 크기로 재단하고, 프로텍트 필름을 박리 후, 점착제를 이용하여 편광판측을 무알칼리 유리에 첩합하였다. 광학 적층체를 온도 85℃, 상대 습도 85% RH의 오븐 속에서 240시간 보관하였다. 제2 위상차층측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점착제층의 점착제를 긁어내었다. 하기의 조건에서 행한 산화 연소 이온 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해, 긁어낸 점착제에 포함되는 요오드량[ppm]을 측정하였다.The optical laminate was cut into a size of 25 mm x 50 mm, the protective film was peeled off, and the polarizing plate side was bonded to alkali-free glass using an adhesive. The optical laminate was stored in an oven at a temperature of 85°C and a relative humidity of 85% RH for 240 hours. The release film on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side was peeled off, and the adhesive of the adhesive layer was scraped off. The amount of iodine [ppm] contained in the scraped adhesive was measured by oxidation combustion ion chromatography per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시료 연소><Sample combustion>

장치: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 가가쿠 아날리테크 제조 AQF-2100HDevice: AQF-2100H manufactured by Mitsubishi Kagaku Analytech Co., Ltd.

연소 조건: 연소 온도를 1100℃로 하고, 가스 유량은, 아르곤 유량을 200 mL/분, 산소 유량을 400 mL/분, 가습 공기 유량을 100 mL/분으로 하였다.Combustion conditions: The combustion temperature was 1100°C, and the gas flow rate was 200 mL/min for argon, 400 mL/min for oxygen, and 100 mL/min for humidified air.

<이온 크로마토그래프><Ion Chromatograph>

장치: 서모 피셔 사이언티픽사 제조 IntegrionDevice: Integrion manufactured by Thermo Fisher Scientific

칼럼: 서모 피셔 사이언티픽사 제조 Ion㎩c AS19Column: IonPac AS19 manufactured by Thermo Fisher Scientific

측정 조건: 용리액을 KOH 수용액 그라디언트, 유속을 1.0 mL/분, 주입량을 100 μL, 측정 모드를 서프레서식, 검출기를 전기 전도도 검출기로 하였다.Measurement conditions: the eluent was a KOH aqueous solution gradient, the flow rate was 1.0 mL/min, the injection volume was 100 μL, the measurement mode was a suppressor type, and the detector was an electrical conductivity detector.

[저장 탄성률의 측정][Measurement of storage modulus]

점착제층을 두께 150 ㎛가 되도록 쌓아, 유리판에 접합하였다. 이 저장 탄성률 측정용 샘플에 대해서, 레오미터(Anton ㎩rr사 제조 「MCR-301」)를 이용하여, 온도 25℃, 상대 습도 50%, 응력 1%, 주파수 1 ㎐의 조건에서 저장 탄성률의 측정을 행하였다.The adhesive layer was stacked to a thickness of 150 μm and bonded to a glass plate. For this sample for storage elastic modulus measuremen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was measured using a rheometer (“MCR-301” manufactured by Anton MPr) under the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5°C, relative humidity of 50%, stress of 1%, and frequency of 1 Hz. was carried out.

[두께의 측정][Measurement of thickness]

층의 두께는, 접촉식 막 두께 측정 장치(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제조 「MS-5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접착제층, 편광자층 및 배향막의 두께는,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OLS30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The thickness of the layer was measured using a contact-type film thickness measuring device (“MS-5C” manufactured by Nikon Corporation). The thicknesses of the adhesive layer, polarizer layer, and alignment film were measured using a laser microscope (“OLS3000” manufactured by Olympus Corporation).

[시감도 보정 전광선 투과율(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Py)의 측정][Measurement of visibility-corrected total light transmittance (Ty) and visibility-corrected polarization (Py)]

파장 380 ㎚∼파장 780 ㎚의 전광선 투과율(Ty) 및 편광도(Py)는, 적분구를 갖는 분광 광도계〔니혼 분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V7100」, 2도 시야; C 광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Ty) and polarization (Py) from wavelength 380 nm to wavelength 780 nm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with an integrating sphere [“V7100” manufactured by Nippon Bunko Co., Ltd., 2-degree field of view; C light source].

[투습도의 측정][Measurement of moisture permeability]

항온 항습조를 이용하여,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 측정 시간 24시간의 측정 조건에서,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 JIS Z 0208에 준함)에 의해 수증기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수증기 투과율을,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에 있어서의 투습도로 하였다.Us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as measured by the moisture permeability test method (cup method, according to JIS Z 0208) under measurement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40°C, a relative humidity of 90% RH, and a measurement time of 24 hours. The measured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as taken as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at a temperature of 4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RH.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er]

두께 30 ㎛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을 건식 연신에 의해 약 5배로 세로 일축 연신하여,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온도 60℃의 순수에 1분간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질량비가 0.05/5/100인 온도 28℃의 수용액에 60초간 침지하였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질량비가 8.5/8.5/100인 온도 72℃의 수용액에 침지하였다. 계속해서 온도 26℃의 순수로 20초간 세정한 후, 온도 65℃에서 건조 처리를 행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두께 12 ㎛의 편광자가 얻어졌다.A 30 ㎛ thick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pproximately 2400,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9 mol% or more) was vertically uniaxially stretched approximately 5 times by dry stretching and placed in pure water at a temperature of 60°C for 1 minute while maintaining tension. After immersion, it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t a temperature of 28°C with a mass ratio of iodine/potassium iodide/water of 0.05/5/100 for 60 seconds. After that, it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t a temperature of 72°C with a mass ratio of potassium iodide/boric acid/water of 8.5/8.5/100. Subsequently, it was washed with pure water at a temperature of 26°C for 20 seconds, and then dried at a temperature of 65°C. A polarizer with a thickness of 12 μm in which iodine was oriented by adsorption o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as obtained.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조의 「KL-318」〕을 3 질량부 용해하여,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에 수용성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다오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스미레즈 레진 650(30)」, 고형분 농도 30 질량%〕를,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 질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수계 접착제를 얻었다.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water, 3 parts by mass of carbox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KL-318” manufactured by Kuraray Corporation) was dissolved to prepare an aqueous polyvinyl alcohol solution. A water-soluble polyamide epoxy resin [“Sumirez Resin 650 (30)” manufactured by Taoka Chemical Industries, Ltd., solid content concentration 30% by mass] was mixed with the obtained aqueous solution at a ratio of 1.5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water. Thus, a water-based adhesive was obtained.

편광자의 한쪽의 면에, 수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하드 코트층(이하, 「HC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갖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하, 「TAC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적층하였다. 다른 쪽의 면에는 상기 수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TAC 필름을 적층하였다. 온도 80℃에서 5분간 건조함으로써,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 1이 얻어졌다. HC층을 갖는 TAC 필름의 투습도는 450 g/(㎡·24 hr)이고, TAC 필름의 투습도는 1200 g/(㎡·24 hr)이었다. 편광판의 HC층 상에, 기재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갖는 프로텍트 필름을 적층하여, 프로텍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이하, 「PF을 갖는 편광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얻었다.A water-based adhesive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a triacetylcellulose film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TAC film”) has a hard coat layer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HC layer”). was laminated. The water-based adhesive was applied to the other side and a TAC film was laminated. By drying at a temperature of 80°C for 5 minutes, polarizing plate 1 having a protective film on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was obtained.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TAC film with the HC layer was 450 g/(m2·24 hr), and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TAC film was 1200 g/(m2·24 hr). On the HC layer of the polarizing plate, a protection film having an adhesive layer on a base film was laminated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on film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polarizing plate having PF”).

편광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요오드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농도 및 그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을 조정하여, 광학 특성이 다른 편광판 2∼4를 얻었다. 편광판 3 및 4는, 보호 필름으로서 양면에 TAC 필름을 이용하였다.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을 이용하여 측정된 전광선 투과율(Ty) 및 편광도(Py)를 표 1에 나타낸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er, the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and the immersion time in the aqueous solution were adjusted to obtain polarizing plates 2 to 4 with different optical properties. Polarizing plates 3 and 4 used TAC films on both sides as protective films.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Ty) and polarization degree (Py) measured using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film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are shown in Table 1.

양면이 박리 필름에 첩합된, 두께 5 ㎛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저장 탄성률: 125000 ㎩)을 준비하였다. PF을 갖는 편광판의 PF과는 반대측(TAC 필름측)에, 상기 박리 필름을 갖는 점착제층의 한쪽의 박리 필름을 박리한 면을 첩합하였다. 계속해서 점착제층의 다른 쪽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판을 얻었다.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판은, 프로텍트 필름/편광판(보호 필름/편광자/보호 필름)/점착제층을 이 순서로 갖는 것이었다.A 5 μm thick acrylic adhesive layer (storage modulus: 125000 Pa) was prepared, with both sides bonded to a release film. The side from which one release film of the adhesive layer with the release film was peeled was bonded to the side opposite to PF (TAC film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with PF. Subsequently, the release film on the other side of the adhesive layer was peeled, and a polarizing plate with an adhesive layer was obtained. The polarizing plate with an adhesive layer had protection film/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polarizer/protective film)/adhesive layer in this order.

[위상차층의 제작][Production of phase difference layer]

(제1 위상차층)(First phase difference layer)

투명 수지로 형성된 기재층 상에, 막대형의 네마틱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제1 기재층을 갖는 제1 위상차층을 제작하였다. 제1 위상차층은, 1/4 파장 위상차 특성(파장 550 ㎚의 위상차값이 142 ㎚)을 가지고 있었다. 제1 위상차층의 두께는 1 ㎛였다.A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containing a rod-shaped nematic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was applied onto a base layer formed of a transparent resin, and a first retardation layer having a first base layer was produced.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had 1/4 wavelength phase difference characteristics (a phase difference value of 142 nm at a wavelength of 550 nm). The thickness of the first phase contrast layer was 1 μm.

(제2 위상차층)(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2 기재층을 갖는 제2 위상차층을 제작하였다. 먼저,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0.0 질량부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10.0 질량부와,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0.0 질량부와, 광중합 개시제로서 이가큐어 907을 1.50 질량부를, 용매인 메틸에틸케톤 70.0 질량부 중에서 용해시켜,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계속해서, 광중합성 네마틱 액정 화합물 20.0 질량부와, 광중합 개시제로서 이가큐어 907을 1.0 질량부를, 용매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80.0 질량부 중에 용해시켜,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A second retardation layer having a second base material layer was produced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10.0 parts by mass of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10.0 parts by mass of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10.0 parts by mass of 1,6-hexanediol di(meth)acrylate, and Igacure 907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1.50 parts by mass was dissolved in 70.0 parts by mass of methyl ethyl ketone as a solvent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orientation layer. Subsequently, 20.0 parts by mass of the photopolymerizable nematic liquid crystal compound and 1.0 parts by mass of Igacure 907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dissolved in 80.0 parts by mass of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as a solvent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기재층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코로나 처리면에, 상기에서 조제한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로 도포하였다. 도포층에 대하여 온도 80℃에서 60초간의 열처리를 실시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중합 및 경화시켜, 기재층 상에 두께 1.8 ㎛의 배향층을 형성하였다. 배향층 상에, 상기에서 조제한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도포층에 대하여 온도 80℃에서 60초간의 열처리를 실시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중합 및 경화시켜, 배향층 상에 두께 0.7 ㎛의 액정 경화층을 형성하였다. 이상에 의해, 제2 기재층을 갖는 제2 위상차층이 얻어졌다. 제2 위상차층의 위상차값 Rth=-75 ㎚였다.Corona treatment was per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layer, and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orientation layer prepared above was applied to the corona-treated side using a bar coater. After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application layer at a temperature of 80°C for 60 seconds,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to polymerize and cure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orientation layer, thereby forming an orientation layer with a thickness of 1.8 μm on the base layer. On the alignment layer,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prepared above was applied. After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applied layer at a temperature of 80°C for 60 seconds,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to polymerize and cure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thereby forming a liquid crystal cured layer with a thickness of 0.7 μm on the alignment layer. As a result of the above,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having the second base material layer was obtained. The phase difference value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was Rth=-75 nm.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UV curable adhesive)

이하에 나타내는 양이온 경화성 성분을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조제하였다.The cationic curing components shown below were mixed to prepare an ultraviolet curing adhesive.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상품명: CEL2021P,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셀 제조): 70 질량부3',4'-Epoxycyclohexylmethyl 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Product name: CEL2021P, manufactured by Daicel Corporation): 70 parts by mass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상품명: EX-211, 나가세 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0 질량부Neopentyl glycol diglycidyl ether (Product name: EX-211, manufactured by Nagase Chemtex Co., Ltd.): 20 parts by mass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상품명: EX-121, 나가세 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0 질량부2-Ethylhexylglycidyl ether (Product name: EX-121, manufactured by Nagase Chemtex Co., Ltd.): 10 parts by mass

양이온 중합 개시제(상품명: CPI-100_50% 용액, 산아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5 질량부(실질 고형분 2.25 질량부)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Product name: CPI-100_50% solution, manufactured by San-Apro Co., Ltd.): 4.5 parts by mass (actual solid content 2.25 parts by mass)

1,4-디에톡시나프탈렌: 2.0 질량부1,4-diethoxynaphthalene: 2.0 parts by mass

(위상차층의 적층)(Stacking of phase contrast layers)

제1 기재층을 갖는 제1 위상차층의 위상차층측 및 제2 기재층을 갖는 제2 위상차층의 위상차층측에, 각각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한쪽의 코로나 처리면에, 조제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 기재층을 갖는 제1 위상차층과 제2 기재층을 갖는 제2 위상차층을 첩합하였다. 제2 기재층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경화시켜,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자외선은, 파장 315 ㎚∼280 ㎚의 UVB를 420 mJ/㎠로 조사하였다. 제2 기재층의 UVB 영역의 최대 투과율은, 36%였다. 제1 기재층/제1 위상차층(액정 경화층)/접착제층/제2 위상차층(액정 경화층/배향층)/제2 기재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 1이 얻어졌다. 경화 후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의 두께는 1.5 ㎛였다.Corona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retardation layer side of the first retardation layer having the first base material layer and the retardation layer side of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having the second base material layer, respectively. The prepared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was applied to one corona-treated surface, and the first retardation layer having the first base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having the second base material layer were bonded together. The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was cur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from the second base layer side to form an adhesive layer. UVB with a wavelength of 315 nm to 280 nm was irradiated at 420 mJ/cm2. The maximum transmittance in the UVB region of the second base layer was 36%. Laminate 1 was obtained in which the first base material layer/first phase difference layer (liquid crystal cured layer)/adhesive layer/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liquid crystal hardened layer/orientation layer)/second base material layer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The thickness of the ultraviolet curing adhesive layer after curing was 1.5 μm.

제2 기재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여, UVB의 투과율을 12%로 감소시킨 것, 및 UVB의 조사량을 510 mJ/㎠∼210 mJ/㎠ 사이에서 변화시킨 것 이외에는 적층체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체 2∼6을 제작하였다. 적층체 1∼6에 대해서,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의 비율을 산출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UVB 투과율이 작고, UVB 조사량이 적을수록, 저분자 성분의 비율은 증가하고 있었다.Laminated in the same manner as laminate 1, except that an ultraviolet absorber was added to the second base layer to reduce the UVB transmittance to 12%, and the UVB irradiation amount was changed between 510 mJ/cm2 and 210 mJ/cm2. Sieves 2 to 6 were produced. For laminates 1 to 6,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ratio of low-molecular-weight components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are shown in Table 2. As the UVB transmittance became smaller and the UVB irradiation amount decreased, the proportion of low-molecular-weight components increased.

표 3∼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 1∼6과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판 1∼4를 조합하여 적층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이때, 적층체로부터 제1 기재층을 박리하고, 제1 위상차층과,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판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였다. 또한, 양면이 박리 필름에 접착된 두께 15 ㎛의 점착제층(저장 탄성률: 25500 ㎩) 중 한쪽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제2 기재층을 박리 후의 제2 위상차층에 적층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프로텍트 필름/편광판/점착제층/제1 위상차층/접착제층/제2 위상차층/점착제층/박리 필름이 적층된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As shown in Tables 3 to 6, the laminates 1 to 6 and the polarizing plates 1 to 4 with an adhesive layer were combined and laminated to produce an optical laminate. At this time, the first base material layer was peeled from the laminate, and the first retardation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of the polarizing plate having the adhesive layer were laminated. Additionally, the release film on one side of the 15 μm thick adhesive layer (storage modulus: 25,500 Pa) adhered to the release film on both sides was peeled, and the second base material layer was laminated on the peeled second retardation layer. In this way, an optical laminate was obtained in which the protection film/polarizing plate/adhesive layer/first retardation layer/adhesive layer/second retardation layer/adhesive layer/release film were laminated.

광학 적층체로부터, 프로텍트 필름 및 제2 위상차층측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였다. 제2 위상차층측의 점착제층을 통해, 광학 적층체를 무알칼리 유리에 첩합하였다. 이 적층체를 온도 60℃, 상대 습도 95% RH에서 250시간 보존하는 고습열 시험을 행하였다. 고습열 시험 전후의 전광선 투과율(Ty) 및 편광도(Py)를 측정하여, 편광도의 변화율(ΔPy)={(시험 후 Py)-(시험 전 Py)}을 산출하였다.From the optical laminate, the protection film and the release film on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side were peeled. The optical laminated body was bonded to alkali-free glass through the adhesive layer on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side. A high-humidity heat test was performed in which this laminate was stored for 250 hours at a temperature of 6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5% RH.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Ty) and polarization degree (Py) before and after the high-humidity heat test were measured, and the rate of change in polarization degree (ΔPy) = {(Py after test) - (Py before test)} was calculated.

또한, 광학 적층체를 이용하여 요오드 농도의 측정도 행하였다. 광학 적층체로부터 프로텍트 필름을 박리하고, 무알칼리 유리에 첩합하였다. 이 적층체를 고습열 시험(온도 85℃, 상대 습도 85% RH)에 제공하였다. 제2 위상차층에 적층된 점착제층 중의 고습열 시험 후의 요오드 농도를 측정하여, 적층체 1이 적층된 광학 적층체와 비교하였을 때의 감소량 및 감소율을 산출하였다. 감소량은, {(적층체 1이 적층된 광학 적층체의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요오드 농도)-(각 광학 적층체의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요오드 농도)}로 산출된다. 감소율(%)은, {(적층체 1이 적층된 광학 적층체의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요오드 농도)-(각 광학 적층체의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요오드 농도)}/(적층체 1이 적층된 광학 적층체의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요오드 농도)로 산출된다.Additionally, the iodine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the optical laminate. The protection film was peeled from the optical laminated body and bonded to alkali-free glass. This laminate was subjected to a high-humidity heat test (temperature 85°C, relative humidity 85% RH). The iodine concentration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after the high-humidity heat test was measured, and the amount and rate of decrease compared to the optical laminate in which laminate 1 was laminated were calculated. The amount of reduction is calculated as {(iodine concentration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on which laminate 1 is laminated) - (iodine concentration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of each optical laminated body)}. The reduction rate (%) is {(iodine concentration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of the optical laminate on which laminate 1 is laminated) - (iodine concentration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of each optical laminate)} / ((iodine concentration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of each optical laminate)} / ( It is calculated as (iodine concentration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of the optical laminate).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의 비율이 1∼10 질량%일 때, 점착제층의 요오드 농도의 감소율이 25% 이상이며, 편광자로부터 점착제층에의 요오드의 이행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의 비율이 3∼8 질량%일 때, 점착제층의 요오드 농도의 감소율이 30% 이상이며, 편광자로부터 점착제층에의 요오드의 이행이 보다 억제되어 있었다.It was found that when the ratio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was 1 to 10% by mass, the rate of decrease in the iodine concentration of the adhesive layer was 25% or more, and the migration of iodine from the polarizer to the adhesive layer was suppressed. When the ratio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was 3 to 8% by mass, the rate of decrease in the iodine concentration of the adhesive layer was 30% or more, and the migration of iodine from the polarizer to the adhesive layer was further suppressed.

100, 200, 300, 400 광학 적층체, 10 편광판, 11 편광자, 12, 13 보호 필름, 20 광학 기능층, 21 제1 위상차층, 22 제2 위상차층, 23, 24 첩합층, 30 점착제층, 40 금속층.100, 200, 300, 400 optical laminate, 10 polarizer, 11 polarizer, 12, 13 protective film, 20 optical function layer, 21 first retardation layer, 22 second retardation layer, 23, 24 bonding layer, 30 adhesive layer, 40 metal layer.

Claims (8)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과, 적어도 1층의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기능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고,
상기 접착제층은 분자량이 500 이하인 저분자 성분을 합계로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An optical laminate including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olarizer, and an optical function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adhesive layer,
The polarizer i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iodine adsorbed and oriented,
An optical laminate,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ntains a total of 1% by mass to 10% by mass of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with a molecular weight of 500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층의 적어도 1층은, 상기 제1 위상차층과 상기 제2 위상차층 사이에 적층되는 것인 광학 적층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tical function layer includes a first retardation layer and a second retardation layer including a cured product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 optical laminate wherein at least one layer of the adhesive layer is laminated between the first retardation layer and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층이고,
상기 저분자 성분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의 미중합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 적층체.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a cured layer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n optical laminate wherein the low-molecular-weight component includes an unpolymerized monomer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성분은, 에폭시기를 갖는 모노머, 옥세탄 고리를 갖는 모노머, 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모노머 및 메타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 적층체.The grou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is a monomer having an epoxy group, a monomer having an oxetane ring, a monomer having an acryloyloxy group, and a monomer having a methacryloyloxy group. An optical laminate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것인 광학 적층체.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has a protective film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의 상기 광학 기능층측에 상기 보호 필름을 가지고,
상기 보호 필름의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에 있어서의 투습도는, 350 g/(㎡·24 hr) 이상인 광학 적층체.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has the protective film on the optical function layer side of the polarizer,
An optical laminate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has a moisture permeability of 350 g/(m2·24 hr) or more at a temperature of 4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RH.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장 550 ㎚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은, 43.5% 이상인 광학 적층체.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visibility 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Ty) of the polarizing plate at a wavelength of 550 nm is 43.5% or mor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의 상기 편광판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laminated on a surface of the optical function layer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KR1020237044870A 2021-05-28 2022-05-23 optical laminate KR2024001257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89985 2021-05-28
JPJP-P-2021-089985 2021-05-28
JPJP-P-2022-064992 2022-04-11
JP2022064992A JP2022183013A (en) 2021-05-28 2022-04-11 optical laminate
PCT/JP2022/021160 WO2022250025A1 (en) 2021-05-28 2022-05-23 Optical lamin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571A true KR20240012571A (en) 2024-01-29

Family

ID=8422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870A KR20240012571A (en) 2021-05-28 2022-05-23 optical laminat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12571A (en)
TW (1) TW202311039A (en)
WO (1) WO2022250025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2765A (en) 2013-09-09 2015-03-19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for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4211A (en) * 2008-08-12 2010-02-25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6391491B2 (en) * 2014-02-18 2018-09-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Organic thin film element sealant for electrostatic coating, resin protective film,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JP6690907B2 (en) * 2014-09-30 2020-04-28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9093501A1 (en) * 2017-11-10 2019-05-16 住友化学株式会社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KR20200032521A (en) * 2018-09-18 2020-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Retardation film and display device
JP7169160B2 (en) * 2018-10-26 2022-11-10 住友化学株式会社 Liquid crystal layer lamin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2765A (en) 2013-09-09 2015-03-19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for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11039A (en) 2023-03-16
WO2022250025A1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209B1 (en) Optical lamin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708826B (en) Flexible laminated body and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JP7469889B2 (en)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N110579830B (en) Optical laminate
CN109313306B (en) Polarizing plate assembly
KR20240012571A (en) optical laminate
WO2020170726A1 (en) Flexible layered body and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CN114488378A (en)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JP2022183013A (en) optical laminate
CN117242376A (en) Optical laminate
KR20240005766A (en) optical laminate
WO2021200365A1 (en) Laminated body
WO2021200364A1 (en) Multilayer body
WO2022270402A1 (en) Display device
JP2022046029A (en) Optical laminate
JP2021162856A (en) Laminate
JP2021162855A (en) Laminate
CN115136040A (en) Optical laminate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JP2023003395A (en) Display device
KR20210144728A (en) Laminate and display device
CN114675353A (en) Optical laminate and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