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527A - 회전축 기구 및 회전축 기구를 포함하는 안경 - Google Patents

회전축 기구 및 회전축 기구를 포함하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527A
KR20240012527A KR1020237044317A KR20237044317A KR20240012527A KR 20240012527 A KR20240012527 A KR 20240012527A KR 1020237044317 A KR1020237044317 A KR 1020237044317A KR 20237044317 A KR20237044317 A KR 20237044317A KR 20240012527 A KR20240012527 A KR 20240012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contact portion
matching
contact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쥔 왕
양 류
Original Assignee
매트릭스 리얼리티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674144.5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391450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674067.3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376838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21911595.8U external-priority patent/CN216485796U/zh
Application filed by 매트릭스 리얼리티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매트릭스 리얼리티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12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5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63Composite hinges, e.g. for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027/0192Supplementary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8Adjustment ridges or notch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0Friction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6Coil spring pushed upon actu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27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fixed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전축 기구, 안경용 연결 기구 및 안경을 제공하며, 회전축 기구는 제1 당접부를 구비하는 제1 부재; 및 제2 당접부를 구비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부재는 제1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부재는 제1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구비한다. 제1 부재는 정합부를 포함하고, 제2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당접부와 제2 당접부가 서로 작용하여 제2 부재를 제1 위치에 유지시키며,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정합부와 제2 당접부가 서로 작용하여 제2 부재를 제2 위치에 유지시키고; 또는 제2 부재는 정합부를 포함하며; 제2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당접부와 제2 당접부가 서로 작용하여 제2 부재를 제1 위치에 유지시키고,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당접부와 정합부가 서로 작용하여 제2 부재를 제2 위치에 유지시킨다.

Description

회전축 기구 및 회전축 기구를 포함하는 안경
본 발명은 안경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축 기구 및 회전축 기구를 포함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약칭: VR),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약칭: AR) 및 혼합 현실(Mixed Reality, 약칭: MR) 등 기술이 발전하면서 점점 더 많은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가 사람들에게 친숙해지고 있다. 그 중 가장 친숙한 것이 스마트 안경이고, 스마트 안경의 안경테 연결 구조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안경다리와 안경테가 강성 연결되거나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방식으로, 이러한 연결 방식은 접을 수 없어 스마트 안경의 착용감이 좋지 않고 착용 후 견고하지 못하다. 다른 하나는 안경다리와 안경테가 힌지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러한 방식은 안경다리를 접을 수는 있지만 펼쳐진 상태에서 안경다리의 각도를 여러 방향으로 조절할 수 없으며, 또한 감쇠 효과 및 반동 효과가 좋지 못한 문제점이 존재하여 스마트 안경의 착용감이 좋지 않고 착용 후 견고하지 못하다.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회전축 기구 및 회전축 기구를 포함하는 안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채택한 기술적 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전축 기구를 제공하며, 이는 제1 회전축; 제1 당접부를 구비하는 제1 부재; 제2 당접부를 구비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부재는 제1 회전축을 통해 제1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부재는 제1 부재에 대해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구비한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제1 부재는 정합부를 포함하고, 정합부와 제1 당접부는 접속되고 양자 사이에는 제1 협각이 형성되며, 제2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당접부와 제2 당접부가 서로 작용하여 제2 부재를 제1 위치에 유지시키며,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정합부와 제2 당접부가 서로 작용하여 제2 부재를 제2 위치에 유지시키는 구성; 및 제2 부재는 정합부를 포함하고, 정합부와 제2 당접부는 접속되고 양자 사이에는 제2 협각이 형성되며; 제2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당접부와 제2 당접부가 서로 작용하여 제2 부재를 제1 위치에 유지시키고,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당접부와 정합부가 서로 작용하여 제2 부재를 제2 위치에 유지시키는 구성; 중 하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안경을 제공하며, 이는 안경테 및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안경은 전술한 회전축 기구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안경테는 제1 부재로 구성되고, 안경다리는 제2 부재를 통해 안경테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설명된 기술의 다양한 구현 또는 예시에 대한 요약은 개시된 기술의 전체 범위 또는 모든 특징의 포괄적인 개시가 아니다.
반드시 비례에 따라 작성된 것이 아닌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상이한 도면에서 유사한 부재를 설명할 수 있다. 문자 접미사가 있거나 문자 접미사가 다른 동일한 부호는 유사한 부재의 상이한 구현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면은 대체로 제한된 방식이 아닌 예시로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명세서 및 청구범위와 함께 청구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적절한 경우,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동일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칭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장치 또는 방법의 포괄적이거나 배타적인 실시예가 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위치제한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다른 위치제한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1의 제3 부재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1의 제2 부재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1의 제2 부재 및 제3 부재의 조립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1의 제1 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1의 제2 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1의 제2 회전축과 제3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1의 제2 회전축과 제3 부재가 조립된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2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2의 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2의 제3 부재가 요동하지 않을 때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2의 제3 부재가 요동할 때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2의 제3 부재가 요동할 때의 다른 구조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2의 제3 부재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2의 제2 부재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의 실시예 2의 제2 부재 및 제3 부재의 조립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1의 분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1의 제2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1의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2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분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2의 한 시각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2의 다른 시각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2의 단면도이고, 여기서 제2 부재는 제1 위치에 있다.
도 27은 도 2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2의 단면도이고, 여기서 제2 부재는 제1 위치에 있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2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2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3의 분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3의 제2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3의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4의 분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4의 제2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4의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5의 분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5의 제2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기구의 실시예 5의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제1 부재와 안경테의 분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데이터 라인의 배선 모식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실시예 1의 부분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실시예 1의 부분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실시예 1의 부분적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분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실시예 1의 다른 부분적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48은 도 47의 분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실시예 1의 안경다리가 펼쳐진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실시예 1의 안경다리가 접힌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안경 실시예 2의 부분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52는 도 51의 조립도이다.
도 53은 도 52에 데이터 라인이 추가된 구조 모식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안경 실시예 2의 제3 회전축과 서클립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안경 실시예 2의 제3 회전축과 서클립 위치를 도시하는 다른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안경 실시예 2의 부분적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57은 도 56의 분해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안경 실시예 2의 안경다리가 펼쳐진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안경 실시예 2의 안경다리가 접힌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도 60은 AR 안경의 광학 이미징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00-제1 부재; 101-제1 당접부; 102-정합부; 103-제1 이어플레이트; 104-제2 이어플레이트; 105-엔드플레이트; 106-수용부; 108-상한면; 109-하한면;
200-제2 부재; 201-제1 회전축; 202-제2 당접부; 203-피봇부; 204-스프링 시트; 205-축 시트; 206-제1 볼록부; 207-제2 볼록부; 210-압축 스프링; 211-제1 탄성 기둥; 212-제2 탄성 기둥; 213-탄성 패드; 214-탄성편; 215-탄성편 그룹; 217-제2 치아부;
300-제3 부재; 301-측벽; 302-바닥벽; 303-위치제한부; 304-제1 치아부; 305-제2 회전축; 306-접시형 탄성편; 307-마찰편; 308-제1 간극; 309-제2 간극; 310-볼록 기둥; 311, 312-돌기;
400-안경; 401-광학 이미징 시스템; 402-이미지 소스 어셈블리; 403-광학 어셈블리; 404-안경테; 405-안경다리; 406-고정홀; 407-나사; 408-데이터 라인; 409-접이식 힌지; 410-힌지 고정 시트; 411-힌지부; 412-제3 회전축; 413-관통홀; 414-노치; 415-연결 부재 커버판; 416-안경다리 커버판; 417-핀; 418-서클립; 419-와셔; 420-연결 기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장점이 보다 명확해지도록,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 실시예가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당업자가 진보적 창출에 힘쓸 필요 없이 획득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기술 용어 또는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하는 일반적인 의미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제1”, “제2” 및 이와 유사한 단어는 서로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임의의 순서, 개수 또는 중요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포함” 또는 “함유”와 같은 유사한 단어는 해당 단어 앞에 나타나는 요소나 사물이 다른 요소나 사물을 제외하지 않고 해당 단어 뒤에 나열된 요소나 사물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연결” 또는 “서로 연결”과 같은 유사한 단어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 연결에만 한정되지 않고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관계 없이 전기적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상”, “하”, “좌”, “우” 등은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데에만 사용되며, 설명되는 대상의 절대 위치가 변경되면 상대적인 위치 관계도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공기 기능 및 공지 부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경용 연결 기구를 제공한다. 안경은 렌즈를 수용하는 안경테 및 안경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기구는 제1 부재(100), 제2 부재(200) 및 제3 부재(300)를 포함한다. 제1 부재(100)는 안경테에 연결된다. 제2 부재(200)는 제1 회전축(201)을 통해 제1 부재(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부재(200)는 제1 부재(100)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 부재(300)는 안경다리에 연결된다. 제3 부재는 제2 회전축(305)을 통해 제2 부재(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부재(300)는 제2 부재(200)에 대해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축(305)의 축 방향은 제1 회전축(201)의 축 방향과 상이하다. 상기 구조를 통해, 제1 방향에서 안경다리의 개폐 및 제2 방향으로의 요동이 구현될 수 있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모두 원호형의 회전 방향이고,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십자 교차형과 유사하다. 제1 부재(100)에 대한 제2 부재(200)의 회전은 좌우 개폐(즉, 벌어짐 및 모아짐)일 수 있고, 제2 부재(200)에 대한 3 부재(300)의 회전은 상하 요동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안경테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도록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한 경우, 안경테의 길이 방향은 사용자의 좌우 눈 연결선의 연장 방향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안경테의 폭 방향은 사용자의 상하 방향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여기서 “좌우” 방향은 안경테의 길이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고, “상하” 방향은 안경테의 폭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연결 기구를 안경에 적용하면, 상이한 두방향으로 안경다리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즉, 안경의 두 안경다리를 벌려(바깥쪽으로 벌림) 상이한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적응하도록 할 수 있어 적응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안경의 두 안경다리는 상하 요동하여 상이한 착용자의 귀 높이에 적응하도록 상하 조절이 가능하여 안경의 사용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부재(200) 및 제3 부재(300)는 제1 부재와 독립적으로 안경에 별도로 적용되어 안경의 안경다리가 상하 요동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해당 예시에서, 제2 부재(200)는 기타 부재를 통해 안경테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본 발명은 안경을 제공하며, 안경은 렌즈를 수용하는 안경테, 회전축(예를 들어, 제2 회전축), 중간 연결 부재(예를 들어, 제2 부재) 및 안경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연결 부재는 안경테에 연결되고, 안경다리는 회전축을 통해 중간 연결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은 기본적으로 안경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안경다리의 부재에는 제1 치아부가 설치될 수 있고, 중간 연결 부재에는 제1 치아부와 적응되는 제2 치아부가 설치되며, 제1 치아부 및 제2 치아부는 안경다리가 중간 연결 부재에 대해 회전할 때 탄성 접촉하고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회전 감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도 3~6 및 도 9~10을 참조하면, 제2 회전축(305)을 회전축으로 제3 부재(300)와 제2 부재(20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 외에, 제3 부재(300)의 볼록 기둥(310)(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소개함)을 회전축으로 볼록 기둥(310)을 제3 부재(300)에 연결하고 제2 부재(200)에 관통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재(200)는 볼록 기둥(310)에 씌움 설치되어 볼록 기둥(3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볼록 기둥(310)은 제3 부재(300)로부터 연장되는 일체형 부재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1~12를 참조하면, 제2 회전축(305)은 제3 부재(300) 및 제2 부재(200)에 관통 설치될 수 있으므로, 제3 부재(300)와 제2 부재(2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부재(300)가 제2 회전축(30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제2 회전축(305)에는 접시형 탄성편(306)이 씌움 설치될 수 있고, 접시형 탄성편(306)은 제3 부재(300)에 회전 감쇠를 제공한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결 기구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제3 부재(300)는 위치제한부(303)를 구비하고, 위치제한부(303)는 제3 부재(300)가 제2 부재(200)에 대해 회전할 때 회전축 기구의 제1 부재(100) 또는 제2 부재(200)와 서로 작용하여 제3 부재(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부재(300)의 일단은 제1 부재(100)와 대향되고, 양자 사이에는 제1 간극(308)이 구비되며, 제3 부재(300)의 일단은 제3 부재(300)가 제2 부재(200)에 대해 회전할 때 제1 부재(100)와 서로 작용하여 제3 부재(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며, 제3 부재(300)의 일단은 위치제한부(303)를 형성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00)에서 제3 부재(300)를 향하는 일단의 상측 및 하측은 각각 상한면(108) 및 하한면(109)을 형성한다. 제3 부재(300)의 위치제한부(303)는 상부 위치제한부 및 하부 위치제한부를 포함한다. 제1 부재(100)의 상한면(108)과 상부 위치제한부는 제3 부재(300)의 상향 요동 각도(도 7 참조)를 제한하고, 제1 부재(100)의 하한면(109)과 하부 위치제한부는 제3 부재(300)의 하향 요동 각도(도 8 참조)를 제한한다.
선택적으로, 제1 부재(100)는 제1 부재 본체 및 제1 부재 본체에 연결된 회전축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회전축 연결 부재에서 제3 부재(300)를 향하는 일단의 상측 및 하측은 각각 상한면 및 하한면을 형성하여 제3 부재(300)의 요동 각도를 제한한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3 부재(300)는 2개의 측벽(301) 및 바닥벽(302)으로 둘러싸인 프레임형 구조를 포함하고, 제2 부재(200)는 프레임형 구조 내에 설치된다. 2개의 측벽(301)과 제2 부재(200) 사이에는 제2 간극(309)이 구비되고, 제3 부재(300)는 제2 부재(200)에 대해 회전할 때, 제2 부재(200)는 2개의 측벽(301)과 서로 작용하여 제3 부재(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으며, 2개의 측벽(301)은 위치제한부(303)를 형성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제2 간극(309)은 비교적 큰데,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제2 간극(309)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제2 간극(309)에 돌기(311,312)를 설치한 경우, 제3 부재(300)가 회전할 때, 제2 부재(200)는 제3 부재(300)의 2개의 측벽(301) 또는 돌기(311,312)를 간섭하여 제3 부재(300)가 계속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부재(200)는 제3 부재(300)의 회전에 대한 위치제한을 형성하여 제3 부재(3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예시에서, 바닥벽(302)에는 2개의 측벽(301)에 근접하는 위치에 돌기(311)가 설치되어 제2 부재(200)를 2개의 돌기(311) 사이에 제한하고, 제3 부재(300)가 제2 부재(200)에 대해 회전할 때, 양자의 회전 변위를 제한한다. 또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예시에서, 2개의 측벽에는 대향되게 연장되는 돌기(312)가 설치되어 제3 부재(300)가 제2 부재(200)에 대해 회전할 때, 양자의 회전 변위를 제한한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벽(302)에는 제1 치아부(304)가 설치되고, 제2 부재(200)에는 제1 치아부(304)와 적응되는 제2 치아부(217)가 설치되며, 제3 부재(300)가 제2 부재(200)에 대해 회전할 때, 제1 치아부(304)와 제2 치아부(217)는 탄성 접촉하고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회전 감쇠를 제공한다. 서로 치합되는 제1 치아부(304)와 제2 치아부(217)를 설치함으로써, 회전 과정의 저킹감을 증가시킬 수 있고, 회전된 각도에 멈출 수 있다.
제2 치아부(217)는 복수의 치아를 포함하고, 인접한 치아 사이에는 치아홈이 형성된다. 제1 치아부(304)는 복수의 치아(인접한 치아 사이에 치아홈이 형성됨)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치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 컴포넌트(300)(제3 부재)가 도 7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제1 치아부(304) 및 제2 치아부(217)에서 도면 아래에 있는 치아가 서로 치합된다. 연결 컴포넌트(300)(제3 부재)가 도 8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제1 치아부(304) 및 제2 치아부(217)에서 도면 위에 있는 치아가 서로 치합된다. 즉, 연결 컴포넌트(300)(제3 부재)가 제2 부재(200)에 대해 회전할 때, 제1 치아부(304) 및 제2 치아부(217)의 상이한 치아가 서로 치합된다.
선택적으로, 일 예시에서, 제1 치아부(304) 및 제2 치아부(217)는 탄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제1 치아부(304)가 제2 치아부(217)에 대해 이동할 때, 제1 치아부(304)와 제2 치아부(217)가 탄성 변형되어 제1 치아부(304)가 상이한 치아홈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외력 작용 없이 연결 컴포넌트(300)(제3 부재)와 제2 부재(200)는 해당 위치를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바닥벽(302)의 제1 치아부(304)는 바닥벽(302)으로부터 돌출된 치아부이고, 제2 부재(200)의 제2 치아부(217)는 제2 부재(200)의 오목부에 배치된 치아부이므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바닥벽(302)에는 프레임형 구조 내에 위치하는 볼록 기둥(310)이 설치되고, 제2 부재(200)는 프레임형 구조 내에 설치되며, 볼록 기둥(310)은 제2 부재(200)에 관통 설치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볼록 기둥(310)은 제2 회전축(305)을 대체하여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볼록 기둥(310)은 제3 부재(300)에 대해 고정된다. 제2 부재(200)는 볼록 기둥(310)에 씌움 설치되고 볼록 기둥(31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3 부재(300)가 볼록 기둥(310)을 통해 제2 부재(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볼록 기둥(310)은 중앙홀을 구비할 수 있고, 핀 축(305)은 볼록 기둥(310)의 중앙홀에 장착 설치된다. 접시형 탄성편(306)은 볼록 기둥(310)(제2 회전축)과 핀 축(305)의 헤더부 사이에 눌려진다. 이에 따라, 헤더부를 포함한 전체 핀 축(305)을 제3 부재(300)의 프레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 제품의 미관성을 향상시키고, 핀과 부속품을 보호하며,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 기둥(310)의 단부는 긴 원통형이고, 제2 부재(200)에서 볼록 기둥(310)의 단부에 대응되는 홀은 원형 홀이며, 제3 부재(300)의 볼록 기둥(310)의 중앙홀은 원형 홀인 바, 즉, 핀 축(305)과 제2 부재(200)는 상대적으로 정지(양자는 고정됨) 상태를 유지하고, 제2 부재(200)는 제3 부재(300)에 대해 볼록 기둥(31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3 부재(300)의 상하 요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볼록 기둥(310)(제2 회전축)에는 마찰편(307)이 씌움 설치될 수도 있고, 마찰편(307)은 볼록 기둥(310)과 접시형 탄성편(306) 사이에 설치된다.
접시형 탄성편(306)은 탄성을 가지고, 이의 초기 형상은 곡면(도 9 참조)이며, 핀 축(305)이 제2 부재(200)의 대응되는 홀에 조립되면, 접시형 탄성편(306)을 압착하여 강제적으로 평면(도 10 참조)으로 변형되도록 하고, 핀 축(305)과 제2 부재(200)의 대응되는 홀은 억지 끼워맞춤될 수 있어 핀 축(305)이 접시형 탄성편(306)의 반동력으로 인해 이탈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핀 축(305)과 제2 부재(200)는 리벳팅 또는 용접 등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어 마찬가지로 핀 축이 접시형 탄성편(306)의 반동력으로 인해 이탈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이때 접시형 탄성편(306)이 항상 압착되므로 회전 과정의 감쇠감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일 예시에서, 제3 부재(300)와 제2 부재(200)가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제1 치아부(304)와 제2 치아부(217)도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2개의 치아부의 최고점이 접촉하면, 제2 부재(200)가 볼록 기둥(310)의 축방향을 따라 바깥쪽(바닥벽(30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도록 하고, 2개의 치아부의 최저점이 접촉하면, 제2 부재(200)가 볼록 기둥(310)의 축방향을 따라 안쪽(바닥벽(30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도록 한다. 제2 부재(200)에 접시형 탄성편(306)이 씌움 설치되므로, 제3 부재(300)가 제2 부재(200)에 대해 회전할 때, 제1 치아부(304)와 제2 치아부(217)는 접시형 탄성편(306)의 변형 작용 하에 탄성 접촉한다.
핀 축(305)과 접시형 탄성편(306)은 정합되어 감쇠축을 형성한다. 감쇠축은 무단 감쇠감을 제공한다. 제1 치아부(304)와 제2 치아부(217)는 정합되어 단계별 감쇠감을 제공한다. 감쇠축과 치아부는 동시에 설치될 수 있고, 감쇠축 없이 치아부만 설치하거나, 치아부 없이 감쇠축만 설치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1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제2 회전축(핀 축(305))이 제3 부재(300)의 외측으로부터 제3 부재(300)를 관통한 후 제2 부재(200)에 연결된다는 것이다. 실시예 1의 제2 회전축(볼록 기둥(310))은 제3 부재(300)의 내측으로부터 제2 부재(200) 및 제3 부재(300)를 관통한다. 실시예 2의 기타 부분의 구조는 실시예 1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핀 축(305)의 단부는 긴 원통형이고, 제2 부재(200)에서 핀 축의 단부에 대응되는 홀은 서로 매칭되는 긴 원형 홀이며, 제3 부재(300)의 볼록 기둥(310)의 중앙홀은 원형 홀인 바, 즉, 핀 축(305)과 제2 부재(200)는 상대적인 정지(양자는 고정됨) 상태를 유지하고, 제3 부재(300)는 제2 부재(200)에 대해 핀 축(30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3 부재(300)의 상하 요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핀 축(305)에는 마찰편(307)이 씌움 설치될 수도 있고, 마찰편(307)은 핀 축(305)과 접시형 탄성편(306) 사이에 설치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핀 축(305)은 제2 회전축(305)일 수 있고, 핀 축(305)은 제3 부재(300)와 제2 부재(200)에 관통 설치되어 제2 부재(200)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제3 부재(300)가 핀 축(305)을 중심으로 제2 부재(200)와 회전 가능한 연결을 형성하고, 제3 부재(300)가 제2 회전축(305)을 중심으로 제2 부재(2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회전축 기구를 제공하는 바, 예를 들어, 도 19 내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제1 회전축(201)을 통해 함께 조립되어 회전축 기구를 형성한다. 회전축 기구는 제1 회전축(201), 제1 부재(100), 제2 부재(200) 및 정합부(10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부재(100)는 제1 당접부(101)를 구비한다. 제2 부재(200)는 제2 당접부(202)를 구비하고; 제2 부재(200)는 제1 회전축(201)을 통해 제1 부재(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부재(200)는 제1 부재(100)에 대해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제2 부재(200)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제1 부재(100) 또는 제2 부재(200)는 정합부(102)를 포함한다. 정합부(102)가 제1 부재(100)에 형성되면, 정합부(102)는 제1 당접부(101)에 접속되고 양자 사이에는 제1 협각(α)이 형성된다. 정합부(102)가 제2 부재(200)에 형성되면, 정합부(102)는 제2 당접부(202)에 접속되고 양자 사이에는 제2 협각(β)이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협각(α)과 제2 협각(β)은 제1 부재(100)에 대한 제2 부재(200)의 회전 각도 범위를 한정한다. 다시 말하면, 정합부(102)가 제1 부재(100)에 형성되면, 기설정된 각도 범위는 0~180°-α이고; 정합부(102)가 제2 부재(200)에 형성되면, 기설정된 각도 범위는 0~180°-β이다. α와 β의 값은 회전축 기구의 실제 적용 분야, 제품 및 실제 필요한 회전 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α와 β는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합부(102)는 제1 당접부(101)(또는, 제2 당접부(202))에 접합되고, 정합부(102)와 제1 당접부(101)(또는, 제2 당접부(202))는 동일한 부재에 설치되며, 두 부분은 연속적으로 연장되거나, 상이한 부재에 설치되고, 두 부분은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정합부(102)와 제1 당접부(101)(또는, 제2 당접부(202)) 사이에는 간격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 기구는 안경에 적용될 수 있고, 안경의 안경다리(405)는 제2 부재(200)에 연결되며, 안경의 안경테(404)는 제1 부재(100)에 연결되고, 제2 부재(200)는 안경다리(405)를 제1 부재(100) 및 안경테(404)에 대해 회전시켜 안경다리(405)를 벌릴 수 있으므로, 안경이 상이한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착용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안경다리(405)를 10°~15°벌려야 하는 경우, 제1 협각 및 제2 협각은 각각 165°~170°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축 기구는 안경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상기 안경의 안경다리는 펼쳐진 후 추가로 벌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축 기구는 상기 실시예의 제3 부재와 함께 연결 기구를 구성하여 안경에 적용될 수도 있어 상기 안경의 안경다리는 펼쳐진 후 추가로 벌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요동도 가능하다.
일 예시에서, 본 발명은 안경을 제공하며, 안경은 렌즈를 수용하는 안경테 및 안경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안경테 자체는 제1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부재는 회전축을 통해 안경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안경다리는 제2 부재를 통해 안경테에 연결된다. 안경테에는 안경테 내측벽에 위치한 제1 평면 및 제1 평면과 협각을 형성하는 경사면이 설치된다. 제2 부재에는 제2 평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2 평면은 제1 평면에 대응되는 제1 부분 및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제2 부재는 회전축을 통해 안경테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제1 위치에서, 제1 평면과 제2 평면의 제1 부분이 합착되고, 제2 위치에서, 경사면과 제2 평면의 제2 부분이 합착된다.
정합부(102)가 제1 부재(100)에 형성되고, 제2 부재(2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당접부(101)와 제2 당접부(202)가 서로 작용하여 제2 부재(200)를 제1 위치에 유지시킨다. 정합부(102)가 제1 부재(100)에 형성되고, 제2 부재(2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정합부(102)와 제2 당접부(202)가 서로 작용하여 제2 부재(200)를 제2 위치에 유지시킨다. 정합부(102)가 제2 부재(200)에 형성되고, 제2 부재(2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당접부(101)와 제2 당접부(202)가 서로 작용하여 제2 부재(200)를 제1 위치에 유지시킨다. 정합부(102)가 제2 부재(200)에 형성되고, 제2 부재(2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당접부(101)와 정합부(102)가 서로 작용하여 제2 부재(200)를 제2 위치에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축 기구는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에 정합부를 설치하고,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에 각각 당접부를 설치함으로써, 제2 부재(200)가 제1 부재(100)에 대해 회전하고, 또한 회전 시 정합부와 당접부가 서로 작용하며 당접부와 당접부 작용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제2 부재(200)가 회전된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유지될 수 있어,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 사이의 각도 조절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에 경사면을 설치하고,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에 각각 평면을 설치함으로써, 제2 부재(200)가 제1 부재(100)에 대해 회전하고, 또한 회전 시 경사면과 평면 사이의 작용(예를 들어, 경사면과 평면이 합착됨) 및 평면과 평면 사이의 작용(예를 들어, 평면과 평면이 합착됨)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용어 “평면” 및 “경사면”은 모두 기본적으로 평탄한 표면을 가질 수 있고, “경사면”은 용어 “평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명명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정합부는 곡면, 오목부 또는 돌기 등을 갖는 구조일 수도 있고, 당접부 또한 곡면, 오목부 또는 돌기 등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당접부는 제1 평면이고, 제2 당접부는 제2 평면이며, 정합부는, 제1 부재는 정합부를 포함하고, 정합부는 제1 평면에 대해 제1 협각을 이루는 경사면이며, 제2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평면과 제2 평면은 합착되고,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경사면과 제2 평면은 합착되는 구성; 및 제2 부재는 정합부를 포함하고, 정합부는 제2 평면에 대해 제2 협각을 이루는 경사면이며, 제2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평면과 제2 평면은 합착되고,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경사면과 제1 평면은 합착되는 구성; 중 하나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당접부, 제2 당접부 및 정합부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의 부위에 설치되고 제1 부재 및/또는 제2 부재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회전축 기구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탄성 부재는 제1 부재(100)과 제2 부재(200) 사이에 설치되어 제2 부재(200)에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전하는 리셋 작용력을 제공함으로써, 외력 작용 없이 제2 부재(20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리셋될 수 있도록 한다.
탄성 부재의 구체적인 구조, 설치 위치 및 작용 방식은 제2 부재(200)에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전하는 리셋 작용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에서는 이들 모두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탄성 부재는 탄성체일 수 있고, 탄성체는 제1 회전축(201)의 축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제2 부재(200)에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전하는 리셋 작용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제1 회전축(201)의 축방향에 기본적으로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리셋 작용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 기구를 안경에 적용한 실시예에서, 안경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제2 부재(200)는 제1 위치에 있고, 안경의 안경다리(405)는 벌어지지 않은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안경다리(405)가 가 제1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탄성 부재가 일정한 변형을 갖도록 하여 제2 부재(200)에 일정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안경에 외력이 인가되어 안경다리(405)가 벌어지면, 두 안경다리(405) 사이의 상대적 거리가 증가하여 상이한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적응하게 된다. 안경다리(405)가 벌어짐에 따라 제2 부재(200)는 제1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제1 부재(100)에 대해 회전하고, 제2 부재(200)는 제2 부재(200)가 제2 위치로 회전할 때까지 탄성 부재가 계속 변형되도록 한다. 정합부(102)와 제1 당접부(101) 또는 제2 당접부(202)가 서로 작용하므로, 제2 부재(200)는 제2 위치에 제한되어 계속 회전할 수 없게 되고, 탄성 부재의 변형량이 최대에 이르게 되어 안경다리(405)도 따라서 최대 수준으로 벌어진다. 제2 부재(200)가 제1 위치를 떠난 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위치에 있든 제2 위치에 있든 변형 작용에 따라 탄성 부재는 모두 제2 부재(200)에 힘을 인가하여 외력 작용 없이 제2 부재(20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리셋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는 안경을 예로 들어 제2 부재(200)의 회전 과정에서 탄성 부재의 변화를 설명하였으나,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상기 회전축 기구가 기타 장치에 적용된 경우도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회전축 기구의 구체적인 구조를 소개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2 부재(2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벌어짐이라 하고, 제2 부재(20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리셋이라 한다. 또한, “상”, “하”, “좌”, “우”는 도면 상의 위치를 의미한다.
실시예 1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정합부(102)는 제1 부재(100)에 형성되고, 탄성 부재의 일단은 제2 부재(200)에서 제1 부재(100)의 제1 당접부(101)와 작용하기 위한 부분에 당접되며, 타단은 제1 부재(100)에서 제1 당접부(101)와 대향되는 부분에 당접되고; 제1 회전축(201)은 탄성 부재에 대해 정합부(102)에 근접한다.
계속해서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210)을 포함하고, 압축 스프링(210)은 제1 회전축(201)의 축방향에 기본적으로 수직되는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해당 실시예에서는 압축 스프링(210)과 상이한 기타 유형의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2 부재(200)는 피봇부(203)를 포함하고, 제2 당접부(202)는 피봇부(203)의 제1측에 위치하며, 피봇부(203)의 제2측에는 제1 부재(100)의 제1 당접부(101)에 대응되는 부분에 스프링 시트(204)가 설치되고, 압축 스프링(210)의 일단은 스프링 시트(204)에 위치결정되며, 피봇부(203)의 제2측에는 제1 부재(100)의 정합부(102)에 대응되는 부분에 축 시트(205)가 포함되고, 제1 회전축(201)은 축 시트(205)에 관통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20 및 도 21의 제1 부재(100)의 외측벽, 전측벽 및 내측벽은 캐비티를 한정하고, 캐비티의 좌측벽(301)(즉, 외측벽)의 상부는 제1 당접부(101)를 형성하며, 좌측벽(301)의 하부는 외측으로 경사져 정합부(102)를 형성한다. 해당 예시에서, 제1 당접부(101)는 평면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정합부(102)는 경사면일 수 있다. 제2 부재(200)의 상부는 피봇부(203)를 형성하고, 피봇부(203)의 좌측(좌측벽(301)에 근접되며, 좌측벽(301)과 마주하는 일측으로 이해될 수도 있음)은 제1측이고 제2 당접부(202)를 형성하며, 제2 당접부(202)는 제1 당접부(101) 및 정합부(102)에 모두 대응된다. 해당 예시에서, 제2 당접부(202)는 평면일 수 있다. 피봇부(203)의 제2측은 제1 당접부(101)로부터 멀어지며, 이를 우측이라 할 수 있다. 피봇부(203)의 우측 상부는 함몰되어 오목부를 형성하고, 스프링 시트(204)는 오목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스프링 시트(204)는 볼록 기둥일 수 있고, 압축 스프링(210)의 일단은 볼록 기둥에 씌움 설치될 수 있다. 피봇부(203)의 우측하부(전측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부분)는 상부에 대해 볼록부를 형성하고, 볼록부는 제1 회전축(201)의 축 시트(205)로 사용되며, 제1 회전축(201)은 축 시트(205)에 관통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축(201)이 압축 스프링(210)(탄성 부재)에 대해 정합부(102)에 근접되므로, 압축 스프링(210)에 힘을 인가하는 데 편리하고, 제2 부재(200)에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전하는 리셋 작용력을 제공한다.
압축 스프링(210)은 제2 부재(200)에 안정적이고 균형적인 리셋 작용력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개, 예를 들어 2개가 병렬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재(2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압축 스프링(210)은 제1 부재(100)에 당접되도록 하는 작용력을 제2 부재(200)에 인가하고, 제2 부재(200)의 제2 당접부(202)는 제1 부재(100)의 제1 당접부(101)와 합착되어 제1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제2 부재(200)에 이를 도면의 좌측(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작용력을 인가하면, 제2 부재(200)는 제2 당접부(202)가 제1 부재(100)의 정합부(102)와 합착될 때까지 회전하고, 도 21을 참조하면, 압축 스프링(210)은 여전히 압축 상태에 있으며, 제2 부재(200)에 작용력을 인가하여 제2 부재(20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리셋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한다.
실시예 2
도 22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부(102)는 제2 부재(200)에 형성된다. 탄성 부재는 제1 회전축(201)의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탄성 기둥을 포함하고, 탄성 기둥은 제2 부재(200)를 각각 관통한다. 제2 부재(2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면, 제1 회전축(201)의 상이한 측에 위치한 탄성 기둥이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 기둥은 제2 부재(200)에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전하는 리셋 작용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재(200)는 제1측에 위치하는 제1 볼록부(206) 및 제2측에 위치하는 제2 볼록부(207)를 포함한다. 탄성 기둥은 제1 탄성 기둥(211) 및 제2 탄성 기둥(212)을 포함하고, 제1 탄성 기둥(211)은 제1 볼록부(206)를 관통하여 양단이 제1 부재(100)에 고정되며, 제2 탄성 기둥(212)은 제2 볼록부(207)를 관통하여 양단이 제1 부재(100)에 고정된다.
계속해서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제1 부재(100)는 상하로 대향되게 설치된 제1 이어플레이트(103) 및 제2 이어플레이트(104)를 포함한다. 제1 회전축(201)은 제2 부재(200)를 관통하고, 양단이 각각 2개의 이어플레이트에 연결된다. 2개의 탄성 기둥의 양단은 각각 2개의 이어플레이트에 고정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00)는 엔드플레이트(105)를 더 포함하고, 2개의 이어플레이트는 모두 엔드플레이트(105)의 플레이트면(표면)에 설치되며, 플레이트면은 제1 당접부(101)를 형성한다. 제2 부재(200)의 일단은 플레이트면을 향하고 제2 당접부(202)를 형성한다. 제1 회전축(201)은 제1 당접부(101) 및 제2 당접부(202)와 평행된다. 제1 탄성 기둥(211) 및 제2 탄성 기둥(212)는 비변형 상태(제2 부재(200)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 양자 모두 제1 회전축(201)과 평행된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재(200)가 도 26 및 도 27의 제1 위치에서 도 28의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즉, 제2 부재(200)가 도 26 및 도 28에 도시된 좌측(바깥쪽)으로 회전할 때, 제2 부재(200)의 제1 볼록부(206) 및 제2 볼록부(207)는 각각 이를 관통하는 탄성 기둥을 구동하여 탄성 변형시킨다. 도 26 및 도 28에서 좌측(외측)에 위치하는 제1 볼록부(206)는 좌측에 위치하는 제1 탄성 기둥(211)을 구동하여 도면에 도시된 상부(회전축 기구가 스마트 안경에 적용되는 경우, 제1 탄성 기둥(211)은 안경에 근접되는 전방 안경테를 향해)로 탄성 변형시킨다. 도 26 및 도 28에서 우측(내측)에 위치하는 제2 볼록부(207)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2 탄성 기둥(212)을 구동하여 도면에 도시된 하부(회전축 기구가 스마트 안경에 적용되는 경우, 제1 탄성 기둥(211)은 전방 안경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로 탄성 변형시킨다. 탄성 기둥은 변형된 후 변형을 회복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제2 부재(200)가 벌어질 때 반동력을 구현한다.
실시예 3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부(102)는 제2 부재(200)에 형성된다.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는 수용부(106)를 한정한다. 탄성 부재는 탄성 패드(213)이고, 탄성 패드(213)는 수용부(106) 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에 당접된다. 제2 부재(2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즉, 도면의 좌측에서 벌어져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부재(200)는 탄성 패드(213)를 눌러 탄성 변형시키고(도 33 참조), 탄성 위치 에너지를 축적하여 반동력을 얻음으로써, 제2 부재(200)에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전하는 리셋 작용력을 제공한다. 즉, 제2 부재(20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리셋하는 작용력은 탄성 패드(213)의 반동력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1을 참조하면, 제1 부재(100)는 캐비티를 구비하고, 제2 부재(200)의 일단은 캐비티로 연장되어 캐비티의 좌측벽(301)(외측벽)과 수용부(106)를 형성한다. 제2 부재(200)에서 캐비티로 연장된 일단의 단면은 제2 당접부(202)를 형성한다. 제1 부재(100)에서 제2 당접부(202)와 대향되는 표면은 제1 당접부(101) 및 정합부(102)를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캐비티의 바닥은 제1 당접부(101) 및 정합부(102)를 형성한다. 탄성 패드(213)의 제1측면은 제2 부재(200)에서 수용부(106) 내에 위치하는 일측면에 합착되고, 탄성 패드(213)의 제2측면은 캐비티에서 제2 부재(200)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측벽(301)면에 합착된다. 탄성 패드(213)를 고정하기 위해, 탄성 패드(213)는 캐비티의 측벽(301)면에 접착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34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4와 실시예 3의 차이점은 단지 탄성 패드(213)를 탄성편(214)으로 대체한 점이다. 탄성편(214)은 수용부(106) 내에 설치되고, 제2 부재(2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탄성편(214)은 변형되어 제2 부재(200)에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전하는 리셋 작용력을 제공한다.
실시예 4에서, 제2 부재(200)의 벌어짐 반동력은 탄성편(21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탄성편(214)은 접착 또는 용접 방식으로 제1 부재(100)의 수용부(106)의 측벽(301)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부재(200)가 바깥쪽으로 회전할 때 탄성편(214)이 압축되어 반동력을 얻는다.
실시예 5
도 37 내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는 복수의 탄성편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탄성편 그룹(215)을 포함하고; 탄성편 그룹(215)은 제2 부재(200)에서 제2 당접부(202)와 인접한 단면에 작용한다. 제2 부재(2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탄성편 그룹(215)은 변형되어 제2 부재(200)에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전하는 리셋 작용력을 제공한다.
계속해서 도 37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제1 부재(100)는 캐비티를 구비하고, 캐비티의 좌측벽(301)의 상부는 제1 당접부(101)를 형성하며, 캐비티의 좌측벽(301)의 하부는 외측으로 경사진 정합부(102)를 형성한다. 제2 부재(200)의 제1단은 캐비티로 연장되고, 탄성편 그룹(215)은 제2 부재(200)의 제1단과 캐비티의 상측벽(301) 사이에 위치한다. 복수의 탄성편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제2 부재(200)의 제1단에서 캐비티의 좌측벽(301)에 근접되는 일측은 캐비티의 좌측벽(301)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서 돌출되어 돌기를 형성하고, 탄성편 그룹(215)은 돌기의 단면에 작용한다. 제1 회전축(201)은 돌기의 아래에 위치하고 캐비티의 좌측벽(301)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위치하여 탄성편 그룹(215)이 제2 부재(200)에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리셋하는 작용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탄성편 그룹(215)에 변형 공간을 남기기 위해, 캐비티의 꼭대기 측벽은 한정되고 함몰되어 탄성편 그룹(215)의 자유단(돌기에 작용하는 단면)을 변형시키고, 캐비티의 꼭대기 측벽에는 장착부가 더 설치되어 탄성편 그룹의 고정단을 고정시킨다.
상기 각 실시예의 제1 부재(100)는 제1 부재 본체 및 회전축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 연결 부재와 제1 부재 본체는 일체형 부재일 수 있다. 또는, 회전축 연결 부재는 제1 부재 본체에 연결된다. 제1 당접부(101)는 회전축 연결 부재에 형성되고, 제2 부재(200)는 제1 회전축(201)을 통해 회전축 연결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각 실시예의 모든 탄성 부재는 모두 사전 체결력을 제공하여 제2 부재(200)가 쉽게 회전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실시예 2의 탄성 기둥이 사전 체결력을 제공하려면 탄성 기둥의 상, 중, 하 세점이 동일선 상에 있지 않아야 하는 바, 즉, 제1 이어플레이트(103) 및 제2 이어플레이트(104)는 탄성 기둥의 홀과 탄성 기둥을 관통하는 홀을 비동축으로 고정하여 사전 체결력을 미리 제공한다.
도 40 내지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또한 안경(400)을 제공한다. 안경(400)은 안경테(404) 및 안경다리(405)를 포함하고, 안경(400)은 상기 어느 한 실시예의 회전축 기구를 더 포함하며; 또는 안경(400)은 상기 어느 한 실시예의 안경용 연결 기구(420)를 더 포함한다. 안경테(404) 및 안경다리(405)는 회전축 기구 또는 연결 기구(420)를 통해 연결된다.
안경(400)이 회전축 기구를 포함하는 경우, 회전축 기구는 두세트이고, 두 세트의 회전축 기구의 제1 부재(100)는 각각 안경테(404)에 고정되며, 두 안경다리(405)는 각각 두 세트의 회전축 기구의 제2 부재(200)에 힌지 연결된다. 제2 부재(200)가 제1 부재(100)에 대해 좌우 회전이 가능하므로, 제2 부재(200)에 연결된 두 안경다리(405)를 바깥쪽으로 벌려 두 안경다리(405)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적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밖에, 안경다리(405)가 제2 부재(200)에 힌지 연결되어 수납이 편리하도록 안경다리(405)를 접을 수 있다.
안경(400)이 연결 기구(420)를 포함하는 경우, 연결 기구(420)는 두 세트이고, 두 세트의 연결 기구(420)의 제1 부재(100)는 각각 안경테(404)에 고정되며, 두 안경다리(405)는 각각 두 세트의 연결 기구(420)의 제3 부재(300)에 힌지 연결된다. 제2 부재(200)가 제1 부재(100)에 대해 좌우 회전이 가능하므로, 두 안경다리(405)를 바깥쪽으로 벌려 두 안경다리(405)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적응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부재(300)가 제2 부재(200)에 대해 상하 회전이 가능하므로, 두 안경다리(405)를 상하 조절하여 상이한 착용자의 귀 높이에 적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밖에, 안경다리(405)가 제3 부재(300)에 힌지 연결되어 수납이 편리하도록 안경다리(405)를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안경(400)은 적용성이 강하고 착용이 편리하며 사용자의 사용 경험도 우수하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400)의 안경테(404)와 제1 부재(100)는 분체형 구조일 수 있다. 안경테(404)에는 고정홀(406)이 설치될 수 있고, 제1 부재(100)는 나사(407) 등 연결 부재를 통해 안경테(404)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안경테(404)는 제1 부재(100)로 직접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안경테(404)는 제1 부재(100)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안경테(404)와 제1 부재(100)는 일체형 부재이다. 안경테(404)는 ABS\PC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회전 과정 중 마모 및 피로에 대한 저항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1 부재(100)는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M)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안경테(404)와 제1 부재(100)가 일체형 부재인 경우, 양자는 모두 금속 재료일 수 있으며, 조립이 편리하도록 일체형으로 직접 몰딩할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400)은 스마트 안경이고, 스마트 안경은 광학 이미징 시스템(401)을 더 포함한다.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이미징 시스템(401)은 이미지 소스 어셈블리(402) 및 광학 어셈블리(403)를 포함한다. 스마트 안경은 AR 안경, VR 안경 등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다. 이미지 소스 어셈블리(402)는 사람의 눈에 투사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되고, 광학 어셈블리(403)는 광로를 변경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안경다리(405)와 제3 부재(300)의 연결 방식 및 데이터 라인(408)의 배선 방식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안경(400)이 스마트 안경인 경우, 스마트 안경의 안경테(404)(디스플레이 본체)와 안경다리(405)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라인(408)을 통해 연결된다.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408)은 디스플레이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제3 부재(300)를 관통하여 안경다리(405)까지 연장된다. 도 43, 도 45 및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400)은 접이식 힌지(409) 및 힌지 고정 시트(410)를 더 포함한다. 힌지 고정 시트(410)는 안경다리(405)의 내측에 고정되고, 탈착이 편리하도록, 힌지 고정 시트(410)는 안경다리(405)에 걸림 연결되며, 버클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접이식 힌지(409)의 일단은 제3 부재(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힌지 고정 시트(410)에 고정되어 안경다리(405)가 제3 부재(3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안경다리(405)는 접이식 힌지(409)를 통해 제3 부재(300)와의 힌지 연결을 구현하고, 안경다리(405)는 접히고 펼쳐질 수 있으며, 안경다리(405)는 접힌 후 수납 및 휴대가 편리하다.
계속해서 도 46을 참조하면, 접이식 힌지(409)는 힌지부(411) 및 제3 회전축(412)을 포함하고, 힌지부(411)는 관통홀(413) 및 그 축방향 양단을 관통하여 관통홀(413)과 연통되는 노치(414)(도 49 참조)를 구비한다. 제3 회전축(412)은 관통홀(413)에 관통 설치되고 관통홀(413)과 긴밀히 정합되어 접이식 힌지(409)에 회전 감쇠를 제공한다.
계속해서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면, 데이터 라인(408)에서 안경다리(405) 내까지 연장된 부분은 힌지 고정 시트(410)를 통해 안경다리(405)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데이터 라인(408)은 안경다리(405)와 힌지 고정 시트(410) 사이에 위치결정된다. 본 실시예 1의 힌지 고정 시트(410)는 2개가 병렬로 설치될 수 있다. 접이식 힌지(409)는 2개의 나사를 통해 각각 2개의 힌지 고정 시트(410)에 조립 및 고정되어 접이식 힌지(409)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47 및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400)은 연결 부재 커버판(415) 및 안경다리 커버판(416)을 더 포함하고, 연결 부재 커버판(415)은 제3 부재(300)에 씌움 설치되어 제3 부재(300)를 관통하는 데이터 라인(408)을 덮는 데 사용된다. 안경다리 커버판(416)은 안경다리(405)에 씌움 설치되어 안경다리(405) 내의 데이터 라인(408)을 덮는 데 사용된다. 커버판은 글루 본딩 또는 스냅핑 방식으로 제3 부재(300) 또는 안경다리(405)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 부재 커버판(415)과 안경다리 커버판(416)의 대향되는 일단은 연성 연결되어 양자가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여 안경다리(405)와 함께 접힐 수 있도록 하고, 양자의 연결 위치에서 연결 커버판과 안경다리 커버판(416)도 접혀 안경다리(405)의 접힘을 방해하지 않는다. 소위 연성 연결이란 강성 연결에 대한 것으로, 연성 연결은 연결 위치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연성 벨트 등과 같이 탄성 또는 연성 변형을 발생할 수 있는 부재를 통해 연결이 구현된다. 물론, 연결 부재 커버판(415)과 안경다리 커버판(416)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안경다리(405)가 접힐 때 따라서 회전하기에 편리하여 안경다리(405)의 접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연결 부재 커버판(415)과 안경다리 커버판(416)은 간극을 두고 정합될 수도 있으며, 안경다리(405)가 접힘과 펼침 사이에서 전환될 때, 연결 부재 커버판(415)과 안경다리 커버판(416)의 대향되는 일단은 서로 간섭하지 않아 안경다리(405)의 펼침과 접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안경다리(405)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는 도 49 및 도 50을 참조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1 및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405)의 제3 부재(300)는 핀(417)과 서클립(418)의 정합을 통해 회전 가능한 연결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계속해서 도 51을 참조하면, 제3 부재(300) 및 안경다리(405)는 대향되는 단이 적응되는 프레임형 구조이고, 안경다리(405)의 단부는 제3 부재(300)의 단부 밖에 피복되며, 안경다리(405)의 상측벽(301)과 제3 부재(300)의 상측벽(301)에는 각각 대응되는 상부 장착홀이 개방 설치된다. 안경다리(405)의 하측벽(301)과 제3 부재(300)의 하측벽(301)에는 각각 대응되는 하부 장착홀이 개방 설치된다. 핀(417)은 2개일 수 있고, 2개의 핀(417)은 각각 상부 장착홀 및 하부 장착홀에 장착 설치된다. 핀(417)에서 장착홀 밖으로 연장된 부분에 서클립(418)을 설치하여 핀(417)을 장착홀 내에 위치 제한한다.
도 54를 참조하면, 핀(417)은 장착홀과 긴밀히 정합되어 회전 감쇠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핀(417)과 장착홀 사이에 와셔(419)를 설치하는 바, 즉, 도 55를 참조하면, 핀(417)에서 장착홀 내에 위치한 부분에 와셔(419)를 씌움 설치하여 회전 감쇠를 제공한다. 물론, 핀(417)은 다른 축형 부재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핀(417)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405)와 제3 부재(300)가 힌지 연결된 후, 데이터 라인(408)은 안경테(404)로부터 제3 부재(300)를 통해 안경다리(405)까지 연장된다. 도 56 및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400)는 연결 부재 커버판(415) 및 안경다리 커버판(416)을 더 포함하고, 커버판은 데이터 라인(408)을 제3 부재(300)와 안경다리(405) 내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 연결 부재 커버판(415) 및 안경다리 커버판(416)의 연결 방식, 정합 방식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58 및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405)는 제3 부재(300)에 대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으며, 접힌 후 수납 및 휴대가 편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안경(400)은 벌어질 수 있고 상하 요동할 수도 있으며, 접을 수도 있어 사용자의 안경(400) 착용 경험을 향상시킨다. 탄성 기둥, 압축 스프링(210), 탄성 패드(213), 탄성편, 탄성편 그룹(215) 등을 통해 벌어짐 및 반동 기능을 구현하고, 접시형 탄성편(306)은 요동 감쇠를 제공하여 착용 시 더 편안하다. 합리적인 구조적 배열을 통해 데이터 라인(408)을 내부로부터 관통시켜 전체 구조의 밀봉 기능을 구현한다.
위의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예에 대한 변화, 수정, 대체 및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시(또는 이의 하나 이상의 해결수단)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 또는 순열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와 해당 청구범위에 부여된 등가물의 전체 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5)

  1. 회전축 기구로서,
    제1 회전축;
    제1 당접부를 구비하는 제1 부재; 및
    제2 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1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구비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는 정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합부와 상기 제1 당접부는 접속되고 양자 사이에는 제1 협각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당접부와 상기 제2 당접부가 서로 작용하여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정합부와 상기 제2 당접부가 서로 작용하여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2 위치에 유지시키는 구성; 및
    상기 제2 부재는 정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합부와 상기 제2 당접부는 접속되고 양자 사이에는 제2 협각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당접부와 상기 제2 당접부가 서로 작용하여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당접부와 상기 정합부가 서로 작용하여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2 위치에 유지시키는 구성; 중 하나로 구성되는 회전축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기구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부재에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회전하는 리셋 작용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당접부는 제1 평면이고, 상기 제2 당접부는 제2 평면이며, 상기 정합부는,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정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합부는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제1 협각을 이루는 경사면이며,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은 합착되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2 평면은 합착되는 구성;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정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합부는 상기 제2 평면에 대해 제2 협각을 이루는 경사면이며,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은 합착되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1 평면은 합착되는 구성; 중 하나로 구성되는 회전축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부는 상기 제1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2 부재에서 상기 제1 부재의 제1 당접부와 서로 작용하기 위한 부분에 당접되며, 타단은 상기 제1 부재에서 상기 제1 당접부와 대향되는 부분에 당접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탄성 부재에 대해 상기 정합부에 근접하는 회전축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피봇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당접부는 상기 피봇부의 제1측에 위치하며, 상기 피봇부의 제2측에는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당접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탄성 부재 장착 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탄성 부재 장착 시트에 포지셔닝되며, 상기 피봇부의 제2측에는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정합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축 시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축 시트에 관통 설치되는 회전축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캐비티를 한정하는 외측벽, 전측벽 및 내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탄성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외측벽의 상부는 제1 당접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벽의 하부는 외측으로 경사져 정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부재의 상부는 피봇부를 형성하고, 상기 피봇부에서 외측벽에 근접하는 일측은 제1측으로서 상기 제2 당접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당접부는 제1 당접부와 정합부에 모두 대응되는 회전축 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회전축의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탄성 기둥 및 제2 탄성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 기둥 및 상기 제2 탄성 기둥은 상기 제2 부재를 각각 관통하며, 상기 제1 탄성 기둥 및 상기 제2 탄성 기둥을 통해 반대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2 부재에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회전하는 리셋 작용력을 제공하되, 상기 제2 부재는 제1측에 위치하는 제1 볼록부 및 제2측에 위치하는 제2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 기둥은 상기 제1 볼록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제1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2 탄성 기둥은 상기 제2 볼록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제1 부재에 고정되는 회전축 기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부는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수용부를 한정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탄성 패드 또는 탄성편이고, 상기 탄성 패드 또는 탄성편은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탄성 패드 또는 탄성편은 변형되어 상기 제2 부재에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회전하는 리셋 작용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기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복수의 탄성편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탄성편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정합부는 상기 제1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 그룹은 상기 제2 부재에서 상기 제2 당접부와 인접한 단면에 작용하고, 상기 제2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탄성편 그룹은 변형되어 상기 제2 부재에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회전하는 리셋 작용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협각 및 제2 협각 중 하나는 제1 부재에 대한 제2 부재의 기설정된 각도 범위를 한정하고, 상기 기설정된 각도 범위는 0도 내지 180도에서 상기 제1 협각 및 제2 협각 중 하나를 뺀 각도인 회전축 기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기구는 제3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2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2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회전축의 축선은 상기 제1 회전축의 축선과 수직되는 회전축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에는 접시형 탄성편이 씌움 설치되고, 상기 접시형 탄성편은 상기 제3 부재에 회전 감쇠를 제공하되,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3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부재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제2 부재가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및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3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제3 부재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중 하나로 구성되는 회전축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2개의 측벽 및 바닥벽으로 둘러싸인 프레임형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벽에는 상기 프레임형 구조 내에 위치하고 중앙홀이 구비된 볼록 기둥이 설치되며, 상기 제2 부재는 프레임형 구조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볼록 기둥은 상기 제2 부재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볼록 기둥이고, 상기 연결 기구는 핀 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핀 축은 상기 볼록 기둥의 중앙홀에 장착 설치되고, 상기 접시형 탄성편은 상기 볼록 기둥과 상기 핀 축의 헤더부 사이에 눌려지는 회전축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에는 제1 치아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재에는상기 제1 치아부와 매칭되는 제2 치아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치아부 및 상기 제2 치아부는 상기 제3 부재가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회전할 때 탄성 접촉하고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회전 감쇠를 제공하는 회전축 기구.
  15. 안경으로서,
    안경테 및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은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전축 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경테는 상기 제1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안경다리는 상기 제2 부재를 통해 상기 안경테에 연결되는 안경.
KR1020237044317A 2021-06-17 2022-06-17 회전축 기구 및 회전축 기구를 포함하는 안경 KR202400125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674067.3 2021-06-17
CN202110674144.5A CN113391450B (zh) 2021-06-17 2021-06-17 转轴机构、用于眼镜的连接机构及眼镜
CN202110674067.3A CN113376838B (zh) 2021-06-17 2021-06-17 用于眼镜的连接机构及眼镜
CN202110674144.5 2021-06-17
CN202121911595.8U CN216485796U (zh) 2021-06-17 2021-08-16 用于眼镜的连接机构及眼镜
CN202121911595.8 2021-08-16
PCT/CN2022/099418 WO2022262847A1 (zh) 2021-06-17 2022-06-17 转轴机构和包括转轴机构的眼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527A true KR20240012527A (ko) 2024-01-29

Family

ID=8452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317A KR20240012527A (ko) 2021-06-17 2022-06-17 회전축 기구 및 회전축 기구를 포함하는 안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353691A1 (ko)
EP (1) EP4357835A1 (ko)
JP (1) JP2024521518A (ko)
KR (1) KR20240012527A (ko)
WO (1) WO20222628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7636B2 (en) * 2006-09-08 2008-05-27 Chin-Jen Chen Liftable eyeglasses
CN205539770U (zh) * 2016-01-29 2016-08-31 卢耀成 一种眼镜铰链组件及眼镜
US10444516B2 (en) * 2017-04-05 2019-10-15 North Inc. Head-worn display apparatus having flexible stems
CN206892478U (zh) * 2017-06-02 2018-01-16 王成洪 一种眼镜弹性铰链及应用其的眼镜
CN212009191U (zh) * 2020-05-11 2020-11-24 深圳市嘉骏眼镜有限公司 一种具有高弹性防夹脸眼镜
CN111665636A (zh) * 2020-06-19 2020-09-15 联想(北京)有限公司 转动连接组件及ar眼镜
CN112303103B (zh) * 2020-10-26 2022-01-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可穿戴电子设备
CN216485796U (zh) * 2021-06-17 2022-05-10 闪耀现实(无锡)科技有限公司 用于眼镜的连接机构及眼镜
CN117289463A (zh) * 2021-06-17 2023-12-26 闪耀现实(无锡)科技有限公司 用于眼镜的连接机构及眼镜
CN117270212A (zh) * 2021-06-17 2023-12-22 闪耀现实(无锡)科技有限公司 转轴机构、用于眼镜的连接机构及眼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353691A1 (en) 2024-10-24
JP2024521518A (ja) 2024-05-31
EP4357835A1 (en) 2024-04-24
WO2022262847A1 (zh)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9853B1 (en) Spectacles frame having a composite hinge
JP7040465B2 (ja) ヒンジ機構、及びこのヒンジ機構を有する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CN111665633B (zh) 一种可折叠镜腿组件及头戴设备
CN111562675A (zh) 一种可折叠镜腿组件及头戴设备
CN111552084A (zh) 一种可折叠镜腿组件及头戴设备
CN216485796U (zh) 用于眼镜的连接机构及眼镜
RU2770296C1 (ru) Дужка в сборе для очков и очки
WO2017126583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7484842B2 (en) Configurable eyewear
CN111796435A (zh) 应用于眼镜的新型眼镜脚组件
CN113391450B (zh) 转轴机构、用于眼镜的连接机构及眼镜
CN113376838B (zh) 用于眼镜的连接机构及眼镜
CN112213858B (zh) 转轴机构及眼镜
CN215867353U (zh) 转轴机构、用于眼镜的连接机构及眼镜
KR20240012527A (ko) 회전축 기구 및 회전축 기구를 포함하는 안경
CN112083571B (zh) 头戴式设备支架及头戴式设备
JP7080116B2 (ja) アイウエアおよびテンプル
CN113341588B (zh) 内外角度和垂直角度可调的眼镜腿机构
CN212207858U (zh) 一种可折叠镜腿组件及头戴设备
CN212207855U (zh) 一种可折叠镜腿组件及头戴设备
JP7491012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CN112083572B (zh) 头戴式设备支架及头戴式设备
CN115128804A (zh) 一种可折叠面罩及头戴式显示设备
CN216670404U (zh) 松紧调节组件及头戴式设备
KR20230019580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