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580A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580A
KR20230019580A KR1020210101250A KR20210101250A KR20230019580A KR 20230019580 A KR20230019580 A KR 20230019580A KR 1020210101250 A KR1020210101250 A KR 1020210101250A KR 20210101250 A KR20210101250 A KR 20210101250A KR 20230019580 A KR20230019580 A KR 20230019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es
eyeglass
temple
rota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3670B1 (ko
Inventor
배유환
Original Assignee
(주)월드트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트렌드 filed Critical (주)월드트렌드
Priority to KR102021010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67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9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에 안경다리의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경의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안경테의 양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관통구를 구비하는 안착부; 안착부와 대응되게끔 안경다리의 일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원형의 회전구; 안착부와 회전구에 안경테로부터 안경다리가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끔 장착되고, 안착부와 회전구의 유격을 줄여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끔 구비하는 회전수단; 및 안경다리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비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테 상에 안경다리가 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착되면서도 긴밀함과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더라도 유격이 극히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착력과 밀착력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쳤을 때에 원만한 압력으로 인해 유격이 없어 사용감이 뛰어나면서도 안정감이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spectacle frame and spectacle leg}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테 상에 안경다리가 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착되면서도 긴밀함과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더라도 유격이 극히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착력과 밀착력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쳤을 때에 원만한 압력으로 인해 유격이 없어 사용감이 뛰어나면서도 안정감이 탁월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 유지 및 회복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외부의 강한 햇빛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경은 렌즈를 삽설한 안경테 상에 안경다리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사용자의 코와 귀에 안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장시간 사용 시 안경테와 안경다리에는 크고 작은 유격이 점점 더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안경다리는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된다.
일예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468589호에 따르면, '안경테(1)의 양측에 형성한 결합홈(2)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 고정장석(10)과, 안경다리(3)에 삽입 결합되는 회동장석(20)이 서로 간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경첩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석(10)은 몸체(11)의 중앙에 ㄱ자로 꺾여진 굴절부(15)와, 회동장석(20)의 탄성편(24)이 맞닿는 지지면(16)이 구성되고, 상기 몸체(11)의 일측에는 회동장석(20)의 결합고리(23)에 결합되는 결합핀(14)이 상하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장석(20)은 몸체(21) 일측으로 안경다리(3)에 삽입되는 삽입편(22)이 구성되고, 몸체(21)의 타측에는 고정작석(10)의 결합핀(14)이 삽입되는 결합고리(23)가 상하로 구성되며, 몸체(21)의 중앙에는 고정장석(10)의 지지면(16) 및 결합핀(14)과 접촉하면서 탄성을 가하는 탄성편(24)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의 착탈식 경첩구조.'를 제시한다.
하지만, 상기한 안경테의 착탈식 경첩구조는 착탈을 통해 분리 및 결합의 용이함을 가져오지만 장시간에 걸쳐 사용할 경우에는 결착력과 밀착력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다른 예로 한국 공개 특허 제2012-0024327호에 따르면, '프론트의 양단과 다리의 선단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고정 힌지부와 회동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 힌지부에는 힌지축이 고정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 힌지부는 고정 힌지부에 고정된 힌지축을 관통하여 힌지핀을 중심으로 공회전하도록 구성된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의 외경면과 이와 내접하는 회동 힌지부의 내경면에는 걸림돌기와 이를 탄력적으로 견착하는 걸림홈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 힌지부는 걸림돌기와 걸림홈 사이에 형성된 견착력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력이 제공되면 회동하지 아니하고, 상대적으로 큰 외력이 제공되면 회동하는 체커기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는 걸림돌기를 통해 면밀한 밀착력을 가져오지만 탄성 걸림 턱으로만 고정되는 구성에 불과함에 따라 크고 작은 충격에 의해 분리 또한 쉬운 문제가 발생하는 애로가 있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468589호 "안경테의 착탈식 경첩구조" 한국 공개 특허 제2012-0024327호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테 상에 안경다리가 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착되면서도 긴밀함과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더라도 유격이 극히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착력과 밀착력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쳤을 때에 원만한 압력으로 인해 유격이 없어 사용감이 뛰어나면서도 안정감이 탁월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테 상에 안경다리를 회전 가능하면서 고정 가능하도록 하는 안경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의 양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관통구를 구비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대응되게끔 안경다리의 일 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원형의 회전구; 상기 안착부와 회전구에 안경테로부터 안경다리가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끔 장착되고, 안착부와 회전구의 유격을 줄여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끔 구비하는 회전수단; 및 상기 안경다리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비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회전수단은 안착부의 관통구에 삽설하여 돌출되게끔 제1관통공을 갖는 돌출부 및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판이 형성되는 지지대와, 돌출되는 돌출부를 수용하여 관통이 되게끔 제2관통공을 형성하면서 원형 회전구의 원활한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관통구와 회전구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안내부는 원형 회전구의 원활한 회전을 안내하게끔 수용되는 안착홈과 회전되는 회전구를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돌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수단은 방지판과 안내부 사이에 돌출되는 돌출부를 수용하여 관통이 되게끔 제3관통공을 형성하면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유격을 방지하게끔 일정한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스토퍼는 안경다리 또는 회전수단의 안내부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형성하고, 돌출 형성됨에 따라 안경다리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테 상에 안경다리가 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착되면서도 긴밀함과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더라도 유격이 극히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착력과 밀착력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쳤을 때에 원만한 압력으로 인해 유격이 없어 사용감이 뛰어나면서도 안정감이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타 측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타 측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와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안경테(1) 상에 안경다리(2)를 회전이 가능하면서 고정이 가능하게끔 형성되는 안경 구조에 관련되며, 안착부(10) · 회전구(20) · 회전수단(30) · 스토퍼(40)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10)는 상기 안경테(1)의 양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관통구(11)를 구비한다. 안착부(10)는 안경테(1)의 양측으로 각각 넓게 판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처럼 넓어지는 판 형태의 안착부(10) 상에 각각의 관통구(11)가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안착부(10)는 안경테(1)에 분리 형태로 부착하여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체로 함께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안착부(10)를 다양한 형태의 모양과 다양한 색감을 안경테(1)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장식미와 심미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구(20)는 상기 안착부(10)와 대응되게끔 안경다리(2)의 일 측에 체결공(21)이 형성된 원형으로 형성된다. 회전구(20)는 상술한 안착부(10)와 대응되는 것으로, 안착부(10)가 안경테(1)에 형성된다면 회전구(20)는 안경다리(2)에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구(20)는 원형으로 안경다리(2) 상에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단(30)은 상기 안착부(10)와 회전구(20)에 안경테(1)로부터 안경다리(2)가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게끔 장착되고, 안착부(10)와 회전구(20)의 유격을 줄여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회전수단(30)은 안경테(1)의 안착부(10)와 안경다리(2)의 회전구(20)를 서로 연결시켜 안경테(1)로부터 안경다리(2)가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30)은 안착부(10)의 관통구(11)에 삽설하여 돌출되게끔 제1관통공(34)을 갖는 돌출부(32)와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판(33)이 형성되는 지지대(31) 및 돌출되는 돌출부(32)를 수용하여 관통이 되게끔 제2관통공(36)을 형성하면서 원형 회전구(20)의 원활한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35)와, 관통구(11)와 회전구(20) 상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고정볼트(3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수단(30)은 지지대(31)의 돌출부(32)가 안경테(1)의 전면에서 안착부(10)의 관통구(11)로 삽설하여 방지판(33)을 통해 지지대(3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관통구(11)로 돌출부(32)가 돌출되어 제1관통공(34)은 노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노출된 돌출부(32)를 안내부(35)의 제2관통공(36)으로 재차 삽설하게 되어 원형의 회전구(20)가 안내부(35)와 밀착된 상태로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 후, 고정볼트(37)가 지지대(31)의 제1관통공(34)과 안경다리(2)에 형성된 회전구(20)의 체결공(21)에 삽설하여 고정함에 따라 안경다리(2)가 안경테(1)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부(35)는 원형 회전구(20)의 원활한 회전을 안내하게끔 수용되는 안착홈(35a)과 회전되는 회전구(20)를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돌부(35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내부(35)는 원형의 회전구(20)가 밀착된 상태로서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 측에 원형의 회전구(20)가 밀착한 상태로서 회전이 가능하게끔 중앙에 안착홈(35a)이 형성되고, 안착홈(35a)을 중심으로 양측에 원형의 회전구(20)를 감싸면서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돌부(35b)가 형성된다. 즉, 원형의 회전구(20)는 안내부(35)의 안착홈(35a)에 밀착한 상태로서 한 쌍의 회전돌부(35b)가 지지함에 따라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30)은 방지판(33)과 안내부(35) 사이에 돌출되는 돌출부(32)를 수용하여 관통이 되게끔 제3관통공(39)을 형성하면서 안경테(1)와 안경다리(2)의 유격을 방지하게끔 일정한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3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수단(30)은 상술한 방지판(33)과 안내부(35) 사이에 삽설하여 안경테(1)와 안경다리(2)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판스프링(38)을 구비한다. 이러한 판스프링(38)은 중앙에 지지대(31)의 돌출부(32)가 삽설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제3관통공(39)을 구비하고,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38)을 통해 안착부(10)와 안내부(35)를 가압하게 됨에 따라 안경테(1)와 안경다리(2)는 유격이 아예 발생하지 않아 사용감과 안정감이 뛰어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40)는 상기 안경다리(2)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비한다. 이러한 스토퍼(40)는 안경다리(2)가 안경테(1)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전됨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대략 80~120ㅀ가량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40)는 안경다리(2) 또는 회전수단(30)의 안내부(35) 가운데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형성하고, 돌출 형성됨에 따라 안경다리(2)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토퍼(40)는 안경다리(2)가 회전수단(30)을 통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할 때, 일정한 각도의 회전만이 가능하게끔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안경다리(2) 또는 회전수단(30)의 안내부(35)에 돌출 형성하여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즉, 안경다리(2)에 설치되는 스토퍼(40)는 안경다리(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됨에 따라 안경다리(2)가 펼쳐질 경우 스토퍼(40)는 안경테(1)에 밀착하게 되어 안경다리(2)의 회전을 제한한다. 그리고 안내부(35) 상에 돌출될 경우 안경다리(2)의 끝단을 막아주게 됨에 따라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테 상에 안경다리가 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착되면서도 긴밀함과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더라도 유격이 극히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착력과 밀착력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경다리를 접거나 펼쳤을 때에 원만한 압력으로 인해 유격이 없어 사용감이 뛰어나면서도 안정감이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안경테 2: 안경다리
10: 안착부 11: 관통구
20: 회전구 21: 체결공
30: 회전수단 31: 지지대
32: 돌출부 33: 방지판
34: 제1관통공 35: 안내부
35a: 안착홈 35b: 회전돌부
36: 제2관통공 37: 고정볼트
38: 판스프링 39: 제3관통공
40: 스토퍼

Claims (5)

  1. 안경테에 안경다리의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경의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의 양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관통구(11)를 구비하는 안착부(10);
    상기 안착부(10)와 대응되게끔 안경다리(2)의 일측에 체결공(21)이 형성된 원형의 회전구(20);
    상기 안착부(10)와 회전구(20) 상에 안경테(1)로부터 안경다리(2)가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끔 장착되고, 안착부(10)와 회전구(20)의 유격을 줄여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끔 구비하는 회전수단(30); 및
    상기 안경다리(2)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비하는 스토퍼(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30)은 안착부(10)의 관통구(11)에 삽설하여 돌출되게끔 제1관통공(34)을 갖는 돌출부(32) 및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판(33)이 형성되는 지지대(31)와, 돌출되는 돌출부(32)를 수용하여 관통이 되게끔 제2관통공(36)을 형성하면서 원형 회전구(20)의 원활한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35) 및 관통구(11)와 회전구(20)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고정볼트(3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35)는 원형의 회전구(20)의 원활한 회전을 안내하게끔 수용되는 안착홈(35a)과 회전되는 회전구(20)를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돌부(35b)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30)은 방지판(33)과 안내부(35) 사이에 돌출되는 돌출부(32)를 수용하여 관통이 되게끔 제3관통공(39)을 형성하면서 안경테(1)와 안경다리(2)의 유격을 방지하게끔 일정한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3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5. 제1항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는 안경다리(2) 또는 회전수단(30)의 안내부(35)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형성하고, 돌출 형성됨에 따라 안경다리(2)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
KR1020210101250A 2021-08-02 2021-08-02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2553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250A KR102553670B1 (ko) 2021-08-02 2021-08-02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250A KR102553670B1 (ko) 2021-08-02 2021-08-02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580A true KR20230019580A (ko) 2023-02-09
KR102553670B1 KR102553670B1 (ko) 2023-07-10

Family

ID=8522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250A KR102553670B1 (ko) 2021-08-02 2021-08-02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67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589B1 (ko) 2003-06-04 2005-01-27 한국전기연구원 선형전동기의 위치 검출방법 및 그 장치
JP2005257785A (ja) * 2004-03-09 2005-09-22 Sasaki Celluloid Kogyosho:Kk 眼鏡のばね蝶番及びこの組立方法
KR101024317B1 (ko) * 2010-10-05 2011-03-23 김용구 안경다리와 장석의 결합구조
JP3171795U (ja) * 2011-06-01 2011-11-17 美月 侯 メガネ構造
KR20120024327A (ko) 2010-09-06 2012-03-14 진정욱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KR20130042832A (ko) * 2011-10-19 2013-04-29 이성백 안경다리의 착탈이 용이한 안경
KR20130057124A (ko) * 2011-11-23 2013-05-31 김영호 안경테와 안경다리 결합구조
KR20130075215A (ko) * 2011-12-27 2013-07-05 이경안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1296022B1 (ko) * 2012-04-18 2013-08-12 이상윤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1795B2 (ja) * 1996-09-04 2001-06-04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車両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589B1 (ko) 2003-06-04 2005-01-27 한국전기연구원 선형전동기의 위치 검출방법 및 그 장치
JP2005257785A (ja) * 2004-03-09 2005-09-22 Sasaki Celluloid Kogyosho:Kk 眼鏡のばね蝶番及びこの組立方法
KR20120024327A (ko) 2010-09-06 2012-03-14 진정욱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KR101024317B1 (ko) * 2010-10-05 2011-03-23 김용구 안경다리와 장석의 결합구조
JP3171795U (ja) * 2011-06-01 2011-11-17 美月 侯 メガネ構造
KR20130042832A (ko) * 2011-10-19 2013-04-29 이성백 안경다리의 착탈이 용이한 안경
KR20130057124A (ko) * 2011-11-23 2013-05-31 김영호 안경테와 안경다리 결합구조
KR20130075215A (ko) * 2011-12-27 2013-07-05 이경안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1296022B1 (ko) * 2012-04-18 2013-08-12 이상윤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670B1 (ko)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7873B2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接続構造
US6939003B2 (en) Multi-faceted detachable magnetic hinge system
KR101969215B1 (ko)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WO2017197824A1 (zh) 一种组合眼镜结构、无框眼镜、半框眼镜和全框眼镜
KR20070007147A (ko) 안경
KR1025536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US5896186A (en) Eyeglass assembly having pivotable receiving means
CA2537967C (en) Multi-faceted detachable magnetic hinge system
US6076926A (en) Face conforming eyewear
JP4824475B2 (ja) 眼鏡フレーム
KR10209953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JP4494120B2 (ja) 化粧用眼鏡フレーム及びこれを備えた化粧用眼鏡並びに化粧用キット
KR200174219Y1 (ko) 안경
JP3201422U (ja) 跳ね上げ式メガネフレーム
JP2006317670A (ja) 内掛眼鏡フレーム及び眼鏡フレームセット
CN220289968U (zh) 一种战术眼镜
CN112882251B (zh) 一种可以用于运动环境的眼镜
JP3201423U (ja) 跳ね上げ式メガネフレーム
CN210376906U (zh) 一种组装式便携眼镜
CN217718307U (zh) 一种镜架及眼镜
KR101488791B1 (ko) 클립안경
JP5427508B2 (ja) 跳ね上げ式メガネフレーム
KR20210141231A (ko) 선글라스 착탈 안경
JP2001142030A (ja) 眼鏡の鼻当て具の取付構造、鼻当て具及びブリッジ
JP2023088304A (ja) 可動式補助レンズ装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