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215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215A
KR20240012215A KR1020220089888A KR20220089888A KR20240012215A KR 20240012215 A KR20240012215 A KR 20240012215A KR 1020220089888 A KR1020220089888 A KR 1020220089888A KR 20220089888 A KR20220089888 A KR 20220089888A KR 20240012215 A KR20240012215 A KR 20240012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panel
cable
pattern imag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9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215A/ko
Priority to PCT/KR2023/006121 priority patent/WO2024019284A1/ko
Priority to US18/197,971 priority patent/US11915630B2/en
Publication of KR2024001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컨트롤러;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대칭되는 제2 영역에 순차적으로 패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턴 영상 신호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류값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판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개시된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케이블의 연결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들 각각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에 따라 스스로 광을 방출하는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별도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영상에 따라 차단 또는 통과시키는 비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비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이 있다.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대표적인 수발광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빛을 통과/차단시키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액정층, 공급된 빛을 원하는 색으로 바꿔주는 컬러필터 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얇은 두께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면에, 픽셀마다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각각의 픽셀이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 유닛, 액정층 등의 구성요소가 필요 없고, 컬러 필터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높은 설계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얇은 두께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명암비, 밝기 및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는, 자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함 테스트를 위해 화면 전체에 백색 이미지, 적색 이미지, 녹색 이미지 또는 청색 이미지를 표시하면서 화면 상에 점(dot)이 있는지를 검사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테스트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케이블의 연결 결함과 같은 다른 결함을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개시된 발명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케이블의 연결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컨트롤러;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대칭되는 제2 영역에 순차적으로 패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턴 영상 신호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류값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전류값과 상기 제2 전류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전류값 또는 상기 제2 전류값과 기준 전류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패턴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의 판단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백색 패턴 영상에 대응하는 제1 패턴 영상 신호 또는 황색 패턴 영상에 대응하는 제2 패턴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각각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의 판단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각각의 크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의 절반 크기에 대응하는 제1 크기로 설정하거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각각의 크기를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되도록 상기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케이블의 연결 결함이 검출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대칭되는 제2 영역에 순차적으로 패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턴 영상 신호를 타이밍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되는 제1 전류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되는 제2 전류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전류값 및 상기 제2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1 전류값과 상기 제2 전류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결함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1 전류값 또는 상기 제2 전류값과 기준 전류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결함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패턴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여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패턴 영상 신호는 백색 패턴 영상에 대응하는 제1 패턴 영상 신호 또는 황색 패턴 영상에 대응하는 제2 패턴 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각각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하여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의 절반 크기에 대응하는 제1 크기로 설정되거나,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류값과 상기 제2 전류값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되도록 상기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연결 결함이 검출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케이블의 연결 결함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결함도 효과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간략히 보여준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픽셀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 내에 설정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패턴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 내에 설정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패턴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 내에 설정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패턴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에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를 의미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 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프레임(11), 후면 커버(12)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후면 커버(12)는 프레임(11)과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11)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다. 후면 커버(12)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보드(50)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성 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보드(60)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에는 다양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에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에는 2차원 평면 영상 또는 사용자의 양안의 시차를 이용한 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에는 복수의 픽셀들(P)이 형성되며, 화면 영역(S)에 표시되는 영상은 복수의 픽셀들(P) 각각이 방출하는 광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들(P)은 매스트릭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픽셀들(P)은 복수의 행들과 복수의 열들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들(P) 각각이 방출하는 광이 모자이크(mosaic)와 같이 조합됨으로써 영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들(P) 각각은 다양한 밝기 및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방출하기 위하여, 복수의 픽셀(P) 각각은 서브 픽셀들(PR, PG, PB)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픽셀(P)은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적색 서브 픽셀(PR),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녹색 서브 픽셀(PG) 및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청색 서브 픽셀(PB)을 포함할 수 있다. 적색 서브 픽셀(PR)의 적색 광, 녹색 서브 픽셀(PG)의 녹색 광 및 청색 서브 픽셀(PB)의 청색 광의 조합에 의해, 픽셀(P)은 다양한 밝기와 다양한 색상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서브 픽셀들(PR, PG, PB)의 배열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 서브 픽셀(PR), 녹색 서브 픽셀(PG) 및 청색 서브 픽셀(PB)이 일렬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적색 서브 픽셀(PR), 녹색 서브 픽셀(PG) 및 청색 서브 픽셀(PB) 각각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단위 픽셀(P)이 반드시 적색 서브 픽셀(PR), 녹색 서브 픽셀(PG) 및 청색 서브 픽셀(PB)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픽셀(P)에는 황색광이나 백색광을 출력하는 서브 픽셀이 포함될 수도 있다. 즉, 각 서브 픽셀에서 출력되는 광의 색상이나 종류, 서브 픽셀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백라이트 유닛 없이 각각의 픽셀이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각 서브 픽셀에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서브 픽셀(PR)에는 적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될 수 있고, 녹색 서브 픽셀(PG)에는 녹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청색 서브 픽셀(PB)에는 청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서브 픽셀은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나타낼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복수의 픽셀들은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측에는 케이블(20)이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20)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를 제어 보드(50) 및 전원 보드(60)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케이블(20)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 및/또는 필름 케이블(film cable)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케이블(20)을 통해 제어 보드(50)로부터 전송되는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케이블(20)을 통해 전원 보드(6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보드(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외부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된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동을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원 보드(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성 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보드(60)는 제어 보드(5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보드(5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 각각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 보드(50)와 전원 보드(60)는 각각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보드(50)와 전원 보드(60)는 인쇄 회로 기판과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 각종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보드(50)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가 실장된 제어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보드(60)는 콘덴서, 코일, 저항 소자 및 프로세서와 같은 부품들이 실장된 전원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타이밍 컨트롤러(300), 센서(410), 통신부(420), 소스 수신부(430), 입력 인터페이스(440) 및 메인 컨트롤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어 보드(50)에 타이밍 컨트롤러(300), 센서(410), 통신부(420), 소스 수신부(430), 입력 인터페이스(440) 및 메인 컨트롤러(500)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성 요소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발광 다이오드(120), 픽셀 회로(130) 및 패널 드라이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12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픽셀들(P)을 포함하고, 각 픽셀은 복수의 서브 픽셀들(PR, PG, PB)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픽셀에는 발광 다이오드(120)가 배치될 수 있다.
픽셀 회로(130)는 발광 다이오드(120)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패널 드라이버(200)는 픽셀 회로(130)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스캔 드라이버(210)와 픽셀 회로(130)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데이터 드라이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회로(130)는 패널 드라이버(200)와 연결되고, 게이트 전압과 데이터 전압이 인가됨에 기초하여 발광 다이오드(120)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픽셀 회로(130)로부터 출력된 구동 전류는 발광 다이오드(120)에 인가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120)는 인가된 구동 전류에 의해 발광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120)은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픽셀 회로(130)와 패널 드라이버(200)는 도 4와 도 5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타이밍 컨트롤러(300)는 메인 컨트롤러(50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300)는 구동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패널 드라이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300)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 신호는 스캔 드라이버(2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드라이버(2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타이밍 컨트롤러(30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10)는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출력되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410)는 타이밍 컨트롤러(300)에 포함되거나 타이밍 컨트롤러(300)와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410)는 측정된 전류값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메인 컨트롤러(500)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센서(410)에 의해 획득된 전류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비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센서(410)는 전류계, 전력계 및/또는 전압계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출력되는 전류는 외부 계측기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도 있다.
통신부(420)는 외부 장치(예: 서버, 스마트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3G 통신, 4G 통신,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Wide Band), 적외선 통신,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또는 지웨이브(Z-Wave)와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적용된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20)는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express 및/또는 USB(Universe Serial Bus)와 같은 유선 통신 기술이 적용된 유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수신부(430)는 외부 컨텐츠 소스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 수신부(430)는 컴포넌트(component, YPbPr/RGB) 단자, 컴포지트(composite video blanking and sync, CVBS) 단자, 오디오 단자,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단자,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단자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수신부(430)는 외부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를 메인 컨트롤러(500)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4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다양한 물리 버튼 및/또는 터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입력 인터페이스(44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440)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4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원 온, 전원 오프, 볼륨 조정, 채널 조정, 화면 조정, 각종 설정 변경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포함된 전자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프로세서(510)와 메모리(5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는 타이밍 컨트롤러(300)로 출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하드웨어로서,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20)와 프로세서(510)는 하나의 제어 회로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인스트럭션, 소프트웨어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또는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20)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또는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 외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다양한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결함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된 케이블(20)의 연결 상태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결함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다. 결함 테스트가 실행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에서 서로 대칭되는 영역들에 패턴 영상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에 서로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반으로 접으면 생기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제1 영역이 설정되고, 우측 영역에 제2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서로 대칭되도록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형상도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메인 컨트롤러(500)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각각의 크기를 화면 영역(S)의 절반 크기에 대응하는 제1 크기로 설정하거나, 제1 영역과 제2 영역 각각의 크기를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제2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크기와 형상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 및 제1 영역에 대칭되는 제2 영역에 순차적으로 패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턴 영상 신호를 타이밍 컨트롤러(300)로 전송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300)는 패턴 영상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패턴 영상을 표시하게 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 영상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패턴 영상은 다양한 색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컨트롤러(500)는 백색 패턴 영상에 대응하는 제1 패턴 영상 신호 또는 황색 패턴 영상에 대응하는 제2 패턴 영상 신호를 타이밍 컨트롤러(300)로 전송할 수 있다. 패턴 영상의 색상은 예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패턴 영상의 색상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에서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류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에서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류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전류값과 제2 전류값은 제어 보드(50)에 마련된 센서(410)로부터 획득되거나, 외부 계측기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되는 케이블(20)의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컨트롤러(500)는 제1 전류값과 제2 전류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에 기초하여 케이블(20)의 연결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500)는 제1 전류값 또는 제2 전류값과 기준 전류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에 기초하여 케이블(20)의 연결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가 서로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동일한 패턴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패턴 영상 신호를 전송하였음에 불구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인가되는 전류의 값들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케이블(20)의 연결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500)는 케이블(20)의 연결 결함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결함을 검출할 수도 있다.
패턴 영상의 색상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출력되는 전류가 다르다. 예를 들면, 백색 패턴 영상의 표시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소비하는 전력과 황색 패턴 영상의 표시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소비하는 전력이 다르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패턴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여 케이블(20)의 연결 상태의 판단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컨트롤러(500)는 백색 패턴 영상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면서 케이블(20)의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메인 컨트롤러(500)는 황색 패턴 영상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면서 케이블(20)의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패턴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고,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반복 측정함으로써, 케이블(20)의 연결 결함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는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120)이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 내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전달되는 구동 신호가 달라질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들(120) 각각의 구동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즉, 화면 영역(S) 내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소비하는 전력이 달라질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 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하여 케이블(20)의 연결 상태 판단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상단 모서리 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상단 모서리 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 패턴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케이블(20)의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메인 컨트롤러(500)는 제1 영역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의 중심으로 변경 설정하고, 제2 영역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의 중심으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위치 변경과 함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크기 및 형상도 변경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변경된 제1 영역과 변경된 제2 영역에 순차적으로 패턴 영상을 표시하면서 케이블(20)의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하고,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반복 확인함으로써 케이블(20)의 연결 결함을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 중 어느 부분에 화면 결함이 존재하는지도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결함 테스트의 결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케이블(20)의 연결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케이블(20)의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타이밍 컨트롤러(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에 케이블(20)의 연결 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컨트롤러(500)는 케이블(20)의 연결 결함이 검출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것은 케이블(20)의 연결 상태 정보가 제공된 후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간략히 보여준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픽셀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패널 드라이버(200)는 스캔 드라이버(210)와 데이터 드라이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드라이버(210)는 서브 픽셀을 온 또는 오프 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데이터 드라이버(220)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패널 드라이버(200)는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패널 드라이버(200)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 회로(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DDIC)로 구현될 수 있다.
스캔 드라이버(210)는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전달된 스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전압(VGATE)을 출력할 수 있고, 데이터 드라이버(220)는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압(VDATA)을 출력할 수 있다. 스캔 드라이버(210)에서 출력되는 게이트 전압(VGATE)과 데이터 드라이버(2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전압(VDATA)은 픽셀 회로(130)에 입력될 수 있다. 픽셀 회로(130)에 게이트 전압(VGATE), 데이터 전압(VDATA) 및 전원 전압(VDD)이 인가되면, 픽셀 회로(130)는 발광 다이오드(1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CD)를 출력할 수 있다. 픽셀 회로(130)로부터 출력된 구동 전류(CD)는 발광 다이오드(120)에 입력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120)는 입력된 구동 전류(CD)에 의해 발광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픽셀 회로(130)는 발광 다이오드(120)를 스위칭 트랜지스터(TR1), 구동 트랜지스터(TR2) 및 캐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12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와 구동 트랜지스터(TR2)는 PMOS 타입 트랜지스터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와 구동 트랜지스터(TR2)는 NMOS 타입 트랜지스터능 마련될 수도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의 게이트 전극은 스캔 드라이버(210)에 연결되고, 소스 전극은 데이터 드라이버(220)에 연결되며, 드레인 전극은 캐패시터(Cst)의 일단 및 구동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다. 캐패시터(Cst)의 타단에는 전원 전압(VDD)이 인가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R2)의 소스 전극에는 전원 전압(VDD)이 공급되고, 구동 트랜지스터(TR2)의 드레인 전극은 발광 다이오드(120)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발광 다이오드(120)의 캐소드에는 기준 전압(VSS)이 공급될 수 있다. 기준 전압(VSS)은 전원 전압(VDD)보다 낮은 레벨의 전압으로서, 그라운드 전압일 수 있고, 접지를 제공할 수 있다.
픽셀 회로(13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먼저, 스캔 드라이버(210)로부터 게이트 전압(VGATE)이 인가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TR1)가 온 되면, 데이터 드라이버(22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VDATA)이 캐패시터(Cst)의 일단 및 구동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에 전달될 수 있다. 캐패시터(Cst)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소스 전압(VGS)에 대응되는 전압이 일정 시간 유지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R2)는 게이트-소스 전압(VGS)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CD)를 발광 다이오드(120)의 애노드에 인가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120)를 발광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에 높은 데이터 전압(VDATA)이 전달되면, 구동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소스 전압(VGS)이 낮아져 적은 량의 구동 전류(CD)가 발광 다이오드(120)에 인가되어, 발광 다이오드(120)가 낮은 계조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 낮은 데이터 전압(VDATA)이 전달되면 구동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소스 전압(VGS)이 높아져, 다량의 구동 전류(CD)가 발광 다이오드(120)에 인가되고, 발광 다이오드(120)는 높은 계조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된 픽셀 회로(130)의 구조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에는 전술한 예시 외에도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120)을 스위칭 및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120)의 밝기 제어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120)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해,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PAM 방식과 PWM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에 서로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601).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반으로 접으면 생기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제1 영역이 설정되고, 우측 영역에 제2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결함 테스트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 및 제1 영역에 대칭되는 제2 영역에 순차적으로 패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턴 영상 신호를 타이밍 컨트롤러(300)로 전송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300)는 패턴 영상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패턴 영상을 표시하게 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화면 영역(S) 내의 제1 영역에 패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602).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에서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류값을 획득할 수 있다(603).
이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화면 영역(S) 내의 제2 영역에 패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604).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에서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류값을 획득할 수 있다(605).
메인 컨트롤러(500)는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되는 케이블(20)의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606). 예를 들면, 메인 컨트롤러(500)는 제1 전류값과 제2 전류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에 기초하여 케이블(20)의 연결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500)는 제1 전류값 또는 제2 전류값과 기준 전류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에 기초하여 케이블(20)의 연결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패턴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여 케이블(20)의 연결 상태의 판단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 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하여 케이블(20)의 연결 상태 판단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형상도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결함 테스트의 결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케이블(20)의 연결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607). 이를 통해, 사용자는 케이블(20)의 연결 결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해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 중 어느 부분에 화면 결함이 존재하는지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컨트롤러(500)는 케이블(20)의 연결 결함이 검출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것은 케이블(20)의 연결 상태 정보가 제공된 후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 내에 설정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패턴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 내에 설정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패턴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 내에 설정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패턴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에 서로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반으로 접으면 생기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제1 영역(A1)이 설정되고, 우측 영역에 제2 영역(A2)이 설정될 수 있다.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의 형상은 예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의 크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각각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의 절반 크기에 대응하는 제1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 제1 패턴 영상(G1)이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패턴 영상(G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절반에 표시된 후 우측 절반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패턴 영상(G1)은 제2 영역(A2)에 먼저 표시된 후 제1 영역(A1)에 표시될 수도 있다. 제1 영역(A1)에 제1 패턴 영상(G1)이 표시되는 동안 제2 영역(A2)에 속하는 발광 다이오드들(120)은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영역(A2)에 제1 패턴 영상(G1)이 표시되는 동안 제1 영역(A1)에 속하는 발광 다이오드들(120)은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절반에 제1 패턴 영상(G1)이 표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인가되는 제1 전류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절반에 제1 패턴 영상(G1)이 표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인가되는 제2 전류를 비교할 수 있다. 제1 전류와 제2 전류 간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케이블(20)의 연결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류와 제2 전류 각각과 기준값 간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도 케이블(20)의 연결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각각의 크기는 화면 영역(S)의 절반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이 대칭되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의 크기와 형상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의 위치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영역(A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제2 영역(A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영역(A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제2 영역(A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8의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는 제2 패턴 영상(G2)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의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는 제3 패턴 영상(G3)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패턴 영상(G1), 제2 패턴 영상(G2) 및 제3 패턴 영상(G3)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와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패턴 영상(G1), 제2 패턴 영상(G2) 및 제3 패턴 영상(G3) 각각의 색상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 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하여 케이블(20)의 연결 상태 판단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패턴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여 케이블(20)의 연결 상태의 판단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패턴 영상(G1), 제2 패턴 영상(G2) 또는 제3 패턴 영상(G3) 중 적어도 하나를 1회 이상 표시함으로써 케이블(20)의 연결 상태의 판단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블(20)의 연결 결함이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S) 중 어느 부분에 화면 결함이 존재하는지도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에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결함 테스트의 결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케이블(20)의 연결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케이블(20)의 연결 상태 정보는 표(1000)로 표시될 수 있다. 케이블(20)의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표(10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 표시된 패턴 영상의 종류, 각 패턴 영상의 표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의해 소비된 전력, 측정된 소비 전력의 값들의 차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100)에는 케이블 연결 상태가 정상인지 결함이 있는지가 나타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케이블(20)의 연결 결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메인 컨트롤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 표시되는 각 패턴 영상에 대응하여 획득되는 소비 전력 값을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컨트롤러(500)는 제1 패턴 영상(G1)이 제1 영역(A1)에 표시됨에 따라 획득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비 전력 값을 제1 영역 측정값으로 기록하고, 제1 패턴 영상(G1)이 제2 영역(A2)에 표시됨에 따라 획득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비 전력 값을 제2 영역 측정값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500)는 제1 패턴 영상(G1)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 순차적으로 표시됨에 따라 획득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비 전력 값을 기록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획득되는 소비 전력 값들을 이용하여 케이블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를 나타내는 표(1000)를 생성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500)는 표(1000)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타이밍 컨트롤러(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에 케이블(20)의 연결 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케이블의 연결 결함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결함도 효과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디스플레이 장치
100: 디스플레이 패널
120: 발광 다이오드
130: 픽셀 회로
200: 패널 드라이버
300: 타이밍 컨트롤러
500: 메인 컨트롤러

Claims (20)

  1.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컨트롤러;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대칭되는 제2 영역에 순차적으로 패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턴 영상 신호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류값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전류값과 상기 제2 전류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결함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전류값 또는 상기 제2 전류값과 기준 전류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결함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패턴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의 판단을 반복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백색 패턴 영상에 대응하는 제1 패턴 영상 신호 또는 황색 패턴 영상에 대응하는 제2 패턴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각각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의 판단을 반복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각각의 크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의 절반 크기에 대응하는 제1 크기로 설정하거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각각의 크기를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되도록 상기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케이블의 연결 결함이 검출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대칭되는 제2 영역에 순차적으로 패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턴 영상 신호를 타이밍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되는 제1 전류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패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되는 제2 전류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전류값 및 상기 제2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1 전류값과 상기 제2 전류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결함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1 전류값 또는 상기 제2 전류값과 기준 전류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 결함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패턴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여 반복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영상 신호는
    백색 패턴 영상에 대응하는 제1 패턴 영상 신호 또는 황색 패턴 영상에 대응하는 제2 패턴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각각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하여 반복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의 절반 크기에 대응하는 제1 크기로 설정되거나,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값과 상기 제2 전류값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되도록 상기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연결 결함이 검출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089888A 2022-07-20 2022-07-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12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888A KR20240012215A (ko) 2022-07-20 2022-07-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3/006121 WO2024019284A1 (ko) 2022-07-20 2023-05-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8/197,971 US11915630B2 (en) 2022-07-20 2023-05-16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888A KR20240012215A (ko) 2022-07-20 2022-07-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215A true KR20240012215A (ko) 2024-01-29

Family

ID=8961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888A KR20240012215A (ko) 2022-07-20 2022-07-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2215A (ko)
WO (1) WO20240192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492A (ko) * 2003-04-22 200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의 케이블상의 이상 유무 검출 장치 및 그방법
KR102268521B1 (ko) * 2014-12-24 2021-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7073804A1 (ko) * 2015-10-28 2017-05-04 주식회사 노크 디지털 사이니지 이상 검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44983B1 (ko) * 2016-03-28 2023-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테스트 시스템 및 테스트 컨트롤러
KR102426757B1 (ko) * 2016-04-25 2022-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9284A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8084B1 (ko) 디스플레이 패널
CN109891484B (zh) 显示装置和显示方法
US10360868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129031U (ja) 表示装置の表示制御システム
US974004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a lower power user interface on an LCD panel through localized backlight control
US10198977B2 (en) Display panel
KR20190136882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20190050334A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140285477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10685608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US10123005B2 (en) Displays with unit-specific display identification data
KR102159151B1 (ko) 전자 장치 및 표시 방법
KR202000465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6434032B2 (ja) Gammaパラメーター確定方法と装置及び表示器の表示方法と装置
KR20150139014A (ko) 감마 보정 방법 및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US20180130425A1 (en) Display apparatus
KR201800686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심 조정 방법
US20140292820A1 (en) Image control display device and image control method
US2010007936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LED backlight white balance
CN113160758A (zh) 直下式mini-LED背光模组及显示装置的亮度补偿方法和校正系统
KR202400122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1563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356933A1 (en) Display device
US10032407B2 (en)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10817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