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921A -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921A
KR20240011921A KR1020220088987A KR20220088987A KR20240011921A KR 20240011921 A KR20240011921 A KR 20240011921A KR 1020220088987 A KR1020220088987 A KR 1020220088987A KR 20220088987 A KR20220088987 A KR 20220088987A KR 20240011921 A KR20240011921 A KR 20240011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information
data collectio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환
Original Assignee
(주)펀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펀월드 filed Critical (주)펀월드
Priority to KR1020220088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921A/ko
Publication of KR20240011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92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놀이나 요트, 낚시 등 여가생활 중 물 감지로 물에 빠지거나 위치 이탈 여부를 내장된 GPS를 통하여, IoT LTE 장치로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생체의 상체 부위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춘 탈착부; 센서 기반의 환경정보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데이터수집분석부; 자체 LTE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부; 통신모듈부로부터 생체 변화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사용자의 보호자들에게 긴급 상황 알림 기능을 하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and danger alarm device}
본 발명은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놀이나 요트, 낚시 등 여가생활 중 물 감지로 물에 빠지거나 위치 이탈 여부를 내장된 GPS를 통하여, IoT LTE 장치로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 밴드 등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웨어러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해 피트니스, 웰빙,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에게 의료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위치를 측정하여 칼로리 소모량이나 이동 거리, 식사량 등 건강관리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질병에 대한 예방을 위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모니터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대부분이며, 넘어짐이나 낙상 혹은 운동으로 인한 사용자의 상태에 갑작스러운 이상이 발생할 경우의 대처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해당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노약자들이 넘어짐이나 낙상사고 혹은 침수 사고와 같은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의 미흡한 대처는, 노약자들의 생명에 큰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위험 상황 시, 노약자의 체온 변화를 센싱하고 비상상태를 노약자의 보호자나, 노약자가 위치한 환경의 사람들에게 알림할 수 있는 장치 및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30003호(2018.02.0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039467호(2015.04.10.)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2-0080495호(2022.06.14.)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IoT LTE 장치로 클라우드 서버 통신 기능을 탑재한 스포츠 헬스케어가 가능하며, 레포츠 활동 유저 및 사회적 약자의 운동량 측정과 위험 상황/사고를 예측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는 생체의 상체 부위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춘 탈착부; 센서 기반의 환경정보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데이터수집분석부; 자체 LTE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부; 상기 통신모듈부로부터 생체 변화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사용자의 보호자들에게 긴급 상황 알림 기능을 하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생체의 손, 가슴, 어깨, 목 부위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손목시계 혹은 목걸이 혹은 구명조끼 가슴 부위 탈착 구조 혹은 어깨 밴드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집분석부는 환경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수집부는 액체감지 센서를 기반으로 하여, 액체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침수데이터수집부; 와 온도센서를 기반으로 24시간 생체의 온도변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온도데이터수집부; 와 심박수 측정센서 기반의 생체의 심박수 변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심박수데이터수집부; 와 관성 측정 장치(IMU) 센서 기반의 신체의 특정한 힘, 각도 비율 및 운동량을 수집하는 운동량수집부; 및 단말기 내부의 GPS 기반 사용자 위치를 측정 및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위치정보수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집분석부는 상기 데이터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분석부는 상기 침수데이터수집부에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침수 여부를 감지하는 침수감지분석부; 상기 온도데이터수집부에 수집된 생체 온도 정보가 35℃ 이하이고, 상기 심박수데이터수집부에 수집된 데이터에서 느린 혈압과 서맥이 있는 심장박동수를 나타낼 경우에 저체온증으로 판단하는 저체온증분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분석부는 상기 운동량수집부에서 수집된 평균 운동량 데이터값이 감소하고, 상기 심박수데이터수집부에 수집된 데이터에서 느린 혈압과 서맥이 있는 심장박동수를 나타낼 경우 위험한 상황으로 판단하는 위험상황분석부; 상기 위치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된 사용자 위치 기반, 근거리 지역 부근 침수 위치 및 낙상 발현 위치를 찾아내는 침수위치도출부; 및 상기 데이터수집분석부에서 도출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부로 송신하는 데이터분석정보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분석부는 상기 운동량 데이터값 및 심장박동수를 통해서 상기 위험한 상황을 판단하며, 상기 위험한 상황은 사용자의 침수 상황 및 낙상 상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부는 자체 LTE 통신 모듈로 상기 데이터수집분석부에 수집된 상기 센서 기반의 환경정보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클라우드 보안 서버에 송신하는 데이터송신부;와 상기 클라우드 보안 서버에서 상기 센서 기반의 환경정보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클라우드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클라우드데이터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가 모니터링 되도록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송신하는 모니터링용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용송신부는 상기 데이터수집분석부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침수를 확인했을 경우, 전달된 사용자의 마지막 측정 위치 정보와 사용자 운동량 정보 및 온도 정보, 심박수 정보 및 위험 상황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모니터링용송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마지막 측정 위치 정보 및 상기 위험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기기의 정중앙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램프(LAMP)를 통해서 위험 상황을 알림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위험 상황의 상황별 램프(LAMP)의 색, 램프(LAMP)의 온-오프 주기를 달리하여 위험 상황의 정도를 나타내는 상황별알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모니터링용송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마지막 측정 위치 정보가 침수 지역 위치 혹은 낙상 발현 위치와 100m 거리에 위치한 경우, 상기 램프(LAMP)를 발현하여 미리 위험을 알림하는 위험예방알림부;를 더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GPS 기능을 통한 위치파악 및 통신사(SKT CatM1)를 통한 실시간 신속한 위치 발신이 가능하다.
둘째, 낙상 시 가속도 센서를 통한 낙상 예측 및 신고를 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야외 레포츠 사용자의 운동 효과(만보계)를 측정 가능하며, 야간 보행 시, 자전거 핸들 부착 후레쉬 역할을 할 수 있다.
넷째, 구명동의등(해양레포츠) 구명조끼 착용 가능하며, 침수 감지 기능 및SOS 버튼 호출 기능이 있다.
다섯째, 체온, 심장박동 측정을 블루투스(BLE)로 수집하여 LTE 통신사를 통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 가능하며, 지정한 위치 벗어나면 알림 통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수집부(22)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분석부(24)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부(30)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40)의 구성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놀이나 요트, 낚시 등 여가생활 중 물 감지로 물에 빠지거나 위치 이탈 여부를 내장된 GPS를 통하여, IoT LTE 장치로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는 탈착부(10), 데이터수집분석부(20), 통신모듈부(30) 및 알림부(40)를 포함한다. 탈착부(10)의 경우,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탈착부(10)는 생체의 손, 가슴, 어깨, 목 부위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손목시계 혹은 목걸이 혹은 구명조끼 가슴 부위 탈착 구조 혹은 어깨 밴드 형태를 포함한다. 데이터수집분석부(20)의 경우, 센서 기반의 환경정보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며, 통신모듈부(30)은 자체 LTE 통신이 가능하며, 알림부(40)는 통신모듈부(30)로부터 생체 변화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사용자의 보호자들에게 긴급 상황 알림 기능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써,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는 치매 노인의 생체의 상체 부위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데이터수집분석부(20)의 경우, 센서 기반의 환경정보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며, 통신모듈부(30)은 자체 LTE 통신이 가능하며, 알림부(40)는 통신모듈부(30)로부터 생체 변화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사용자의 보호자들에게 긴급 상황 알림 기능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수집부(22)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데이터수집분석부(20)는 환경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22)와 데이터수집부(22)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분석부(24)를 포함한다. 데이터수집부(22)는 침수데이터수집부(22a), 온도데이터수집부(22b), 심박수데이터수집부(22c), 운동량수집부(22d) 및 위치정보수집부(22e)를 포함한다.
침수데이터수집부(22d)의 경우, 액체감지 센서를 기반으로 하여, 액체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며, 온도데이터수집부(22b)는 온도센서를 기반으로 24시간 생체의 온도변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며, 심박수데이터수집부(22c)는 심박수 측정센서 기반의 생체의 심박수 변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한다. 운동량수집부(22d)의 경우, 관성 측정 장치(IMU) 센서 기반의 신체의 특정한 힘, 각도 비율 및 운동량을 수집하며, 위치정보수집부(22e)는 단말기 내부의 GPS 기반 사용자 위치를 측정 및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집한다. 결과적으로 데이터수집부(22)는 운동량 측정(만보기, 운동회수, 운동거리, 등), 심장박동, 체온 등과 같이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저장하여 운동이 많은 지역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위치정보수집부(22e)는 GPS 장치로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SKT IoT LTE 통신망인 CatM1 통신 모듈을 이용하며, HTTP 통신을 통하여 DMZ 서버로 보낸다. 또한, 상기 DMZ 서버와 내부 보안 DB서버 간 DB접근제어로 DMZ server, DB server만 통신으로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DMZ 서버엔 Apache 서버로 구성하고, PHP 언어로 사용자 간 UI/UX 처리를 한다. 상기 GPS기반의 위치측정 기술은 기본 10분 간격으로 GPS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요청 시 30초간 전송한다. 즉, 위치정보수집부(22e)는 단말기에 내장된 모듈에서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SKT IoT LTE 통신망을 사용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DMZ 서버로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DB 서버에 상기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써, 침수데이터수집부(22d)의 경우, 액체감지 센서를 기반으로 하여, 액체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며, 온도데이터수집부(22b)는 온도센서를 기반으로 24시간 동안, 치매 노인 생체의 온도변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며, 심박수데이터수집부(22c)는 심박수 측정센서 기반의 치매 노인 생체의 심박수 변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한다. 운동량수집부(22d)의 경우, 관성 측정 장치(IMU) 센서 기반의 신체의 특정한 힘, 각도 비율 및 운동량을 수집하며, 위치정보수집부(22e)는 단말기 내부의 GPS 기반의 치매 노인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집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위치정보수집부(22e)는 인터넷 망 데이터를 통해서 치매 노인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이후 DMZ 서버를 요청하고, DB 서버 위치 정보를 불러온다. 상기 DMZ 서버로 UId 맞게 상기 치매 노인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면,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치매 노인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분석부(24)의 구성도이다.
데이터수집분석부(20)는 환경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22)와 데이터수집부(22)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분석부(24)를 포함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데이터분석부(24)는 침수감지분석부(24a), 저체온증분석부(24b), 위험상황분석부(24c), 침수위치도출부(24d) 및 데이터분석정보송신부(24e)를 포함한다. 침수감지분석부(24a)는 침수데이터수집부(22a)에 수집된 데이터인 상기 액체감지 센서로 감지된 액체 감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침수 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저체온증분석부(24b)는 온도데이터수집부(22b)에 수집된 생체 온도 정보가 35℃ 이하이고, 심박수데이터수집부(22c)에 수집된 데이터에서 느린 혈압과 서맥이 있는 심장박동수를 나타낼 경우에 저체온증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심박수데이터수집부(22c)에 수집된 데이터는 상기 심박수 측정센서에서 감지된 생체의 심박수 변화 정보 데이터이다. 위험상황분석부(24c)는 운동량수집부(22d)에서 수집된 평균 운동량 데이터값이 감소하고, 심박수데이터수집부(22c)에 수집된 데이터에서 느린 혈압과 서맥이 있는 심장박동수를 나타내면 위험한 상황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운동량 데이터값 및 심장박동수를 통해서 상기 위험한 상황을 판단하며, 상기 위험한 상황은 사용자의 침수 상황 및 낙상 상황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침수위치도출부(24d)는 위치정보수집부(22e)에서 수집된 사용자 위치 기반, 근거리 지역 부근 침수 위치 및 낙상 발현 위치를 찾아낸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분석정보송신부(24e)는 데이터수집분석부(20)에서 도출된 정보를 통신모듈부(30)로 송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부(30)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통신모듈부(30)는 데이터송신부(30a), 클라우드데이터처리부(30b) 및 모니터링용송신부(30c)를 포함한다.
데이터송신부(30a)는 자체 LTE 통신 모듈로 상기 데이터수집분석부에 수집된 상기 센서 기반의 환경정보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클라우드 보안 서버에 송신하며, 클라우드데이터처리부(30b)는 상기 클라우드 보안 서버에서 상기 센서 기반의 환경정보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한다. 모니터링용송신부(30c)는 클라우드데이터처리부(30b)에서 처리된 데이터가 모니터링 되도록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송신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모니터링용송신부(30c)는 데이터수집분석부(20)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참수를 확인했을 경우, 전달된 사용자의 마지막 측정 위치 정보와 사용자 운동량 정보 및 온도 정보, 심박수 정보 및 위험 상황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자체 LTE 통신 모듈은 GPS 장치로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SKT IoT LTE 통신망인 CatM1 통신 모듈을 이용하며, HTTP 통신을 통하여 DMZ 서버로 보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40)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알림부(40)는 상황별알림부(40a) 및 위험예방알림부(40b)를 포함한다. 알림부(40)는 모니터링용송신부(30c)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마지막 측정 위치 정보 및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기기의 정중앙 상단에 있는 램프(LAMP)를 통해서 위험 상황을 알림 한다. 또한, 침수 지역 위치 정보 신고하는 메시지를 상기 침수 지역 근방 소방서로 송신하는 위험신고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황별알림부(40a)의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의 상황별 램프(LAMP)의 색, 램프(LAMP)의 온-오프 주기를 달리하여 위험 상황의 정도를 나타내며, 도핑 효과에 의한 발광층 내부로 정공수송이 증가하여 도핑된 소자의 발광층에서 더 많은 엑시톤이 생성되어 기준 소자 대비 휘도 증가 및 소자효율 향상으로 이어지게 된, 특히 전력효율 특성의 경우, 외부양자효율 특성 증가와 더불어 구동 전압이 많이 감소한 효과가 추가 반영되어 전력효율이 높은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램프(LAMP)를 사용함으로써 물속에서도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알림할 수 있도록 고효율의 발광효과를 나타낸다.
위험예방알림부(40b)는 모니터링용송신부(30c)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마지막 측정 위치 정보가 침수 지역 위치 혹은 낙상 발현 위치와 100m 거리에 위치한 경우, 상기 램프(LAMP)를 발현하여 미리 위험을 알림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GPS 기능을 통한 위치파악 및 통신사(SKT CatM1)를 통한 실시간 신속한 위치 발신이 가능하다. 둘째, 낙상 시 가속도 센서를 통한 낙상 예측 및 신고를 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야외 레포츠 사용자의 운동 효과(만보계)를 측정 가능하며, 야간 보행 시, 자전거 핸들 부착 후레쉬 역할을 할 수 있다. 넷째, 구명동의등(해양레포츠) 구명조끼 착용 가능하며, 침수 감지 기능 및 SOS 버튼 호출 기능이 있다. 다섯째, 체온, 심장박동 측정을 블루투스(BLE)로 수집하여 LTE 통신사를 통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 가능하며, 지정한 위치 벗어나면 알림 통보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탈착부 20: 데이터수집분석부
22: 데이터수집부 22a: 침수데이터수집부
22b: 온도데이터수집부 22c: 심박수데이터수집부
22d: 운동량수집부 22e: 위치정보수집부
24: 데이터분석부 24a: 침수감지분석부
24b: 저체온증분석부 24c: 위험상황분석부
24d: 침수위치도출부 24e: 데이터분석정보송신부
30: 통신모듈부 30a: 데이터송신부
30b: 클라우드데이터처리부 30c: 모니터링용송신부
40: 알림부

Claims (11)

  1.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춘 탈착부;
    센서 기반의 환경정보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데이터수집분석부;
    자체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부;
    상기 통신모듈부로부터 생체 변화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사용자의 보호자들에게 긴급 상황 알림 기능을 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생체의 손, 가슴, 어깨, 목 부위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손목시계 혹은 목걸이 혹은 구명조끼 가슴 부위 탈착 구조 혹은 어깨 밴드 형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집분석부는,
    환경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수집부는,
    액체감지 센서를 기반으로 하여, 액체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침수데이터수집부; 와
    온도센서를 기반으로 24시간 생체의 온도변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온도데이터수집부; 와
    심박수 측정센서 기반의 생체의 심박수 변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심박수데이터수집부; 와
    관성 측정 장치(IMU) 센서 기반의 신체의 특정한 힘, 각도 비율 및 운동량을 수집하는 운동량수집부; 및
    단말기 내부의 GPS 기반 사용자 위치를 측정 및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위치정보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집분석부는,
    상기 데이터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분석부는,
    상기 침수데이터수집부에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침수 여부를 감지하는 침수감지분석부;
    상기 온도데이터수집부에 수집된 생체 온도 정보가 35℃ 이하이고,
    상기 심박수데이터수집부에 수집된 데이터에서 느린 혈압과 서맥이 있는 심장박동수를 나타낼 경우 저체온증으로 판단하는 저체온증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분석부는,
    상기 운동량수집부에서 수집된 평균 운동량 데이터값이 감소하고,
    상기 심박수데이터수집부에 수집된 데이터에서 느린 혈압과 서맥이 있는 심장박동수를 나타낼 경우 위험한 상황으로 판단하는 위험상황분석부;
    상기 위치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된 사용자 위치 기반, 근거리 지역 부근 침수 위치 및 낙상 발현 위치를 찾아내는 침수위치도출부; 및
    상기 데이터수집분석부에서 도출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부로 송신하는 데이터분석정보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분석부는,
    상기 운동량 데이터값 및 심장박동수를 통해서 상기 위험한 상황을 판단하며, 상기 위험한 상황은 사용자의 침수 상황 및 낙상 상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부는,
    자체 LTE 통신 모듈로 상기 데이터수집분석부에 수집된 상기 센서 기반의 환경정보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클라우드 보안 서버에 송신하는 데이터송신부;와
    상기 클라우드 보안 서버에서 상기 센서 기반의 환경정보 및 생체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클라우드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클라우드데이터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가 모니터링 되도록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송신하는 모니터링용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용송신부는,
    상기 데이터수집분석부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침수를 확인했을 경우,
    전달된 사용자의 마지막 측정 위치 정보와 사용자 운동량 정보 및 온도 정보, 심박수 정보 및 위험 상황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모니터링용송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마지막 측정 위치 정보 및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기기의 정중앙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램프(LAMP)를 통해서 위험 상황을 알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위험 상황의 상황별 램프(LAMP)의 색, 램프(LAMP)의 온-오프 주기를 달리하여 위험 상황의 정도를 나타내는 상황별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모니터링용송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마지막 측정 위치 정보가 침수 지역 위치 혹은 낙상 발현 위치와 100m 거리에 위치한 경우,
    상기 램프(LAMP)를 발현하여 미리 위험을 알림 하는 위험예방알림부;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KR1020220088987A 2022-07-19 2022-07-19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KR20240011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87A KR20240011921A (ko) 2022-07-19 2022-07-19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87A KR20240011921A (ko) 2022-07-19 2022-07-19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921A true KR20240011921A (ko) 2024-01-29

Family

ID=8971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987A KR20240011921A (ko) 2022-07-19 2022-07-19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92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467A (ko)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웨어러블 아이템을 이용한 위험 상황 알림방법
KR101830003B1 (ko) 2016-10-12 2018-02-1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U―헬스 케어 기반의 위험 상황 알림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험 식별 방법
KR20220080495A (ko)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엔틱스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467A (ko)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웨어러블 아이템을 이용한 위험 상황 알림방법
KR101830003B1 (ko) 2016-10-12 2018-02-1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U―헬스 케어 기반의 위험 상황 알림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험 식별 방법
KR20220080495A (ko)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엔틱스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9765B (zh) 用于事故检测和响应的活动监测系统和方法
US10347108B2 (en) Monitoring user activity using wearable motion sensing device
CN109074715A (zh) 可穿戴式警报系统
US202000202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tential drowning incident detection
US20110224505A1 (en) User wearable portable communicative device
CN104635598A (zh) 一种智能的游泳穿戴设备及游泳监控系统
ES2748175T3 (es) Método y aparato para determinar el riesgo de que un paciente abandone un área segura
AU2013348506A1 (en) A medical monitoring system
NL2020786B1 (en) Wearable device
US20150261769A1 (en) Local Safety Network
JP6382776B2 (ja) ウェアラブルセンサシステム
CN206684903U (zh) 一种智能防溺水手环
US20170079574A1 (en) Wearable technology that monitors health and safety
CN110179442A (zh) 患病者实时监护系统
KR20210016664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응급 상황에서의 구조 요청 방법
KR20190052351A (ko) 위험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웨어러블 스마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상황 판단 방법
KR101015998B1 (ko)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KR20240011921A (ko) 생체정보 센싱 및 위험 알람 장치
Bharathiraja et al. Real-Time Fall Detection using ESP32 and AMG8833 Thermal Sensor: A Non-Wearable Approach for Enhanced Safety
KR20180056982A (ko) 가속도 센서가 내장된 센서 신발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활동성 모니터링 방법
JP2001093068A (ja) 人体異常検知通信端末
US20220309897A1 (en) Wearable Safety Device for Swimming
US20210330257A1 (en) Connected bracelet type device for individual monitoring and method for monitoring a user
CN111724569A (zh) 报警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3570823A (zh) 一种户外监测预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