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998B1 -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998B1
KR101015998B1 KR1020080064928A KR20080064928A KR101015998B1 KR 101015998 B1 KR101015998 B1 KR 101015998B1 KR 1020080064928 A KR1020080064928 A KR 1020080064928A KR 20080064928 A KR20080064928 A KR 20080064928A KR 101015998 B1 KR101015998 B1 KR 101015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erson
unit
wat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644A (ko
Inventor
정경권
이정훈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9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08B21/08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by monitoring a device worn by the person, e.g. a bracelet attached to the swimm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시스템은 수영장, 바다 등에서 사람들의 익사, 미아, 유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시스템은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센서부와 연결되며, 센서부가 감지한 결과를 분석하여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 및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에 응급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부를 포함한다.
응급 상황 감시 장치,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센서부, 제어부, 신호 전송부, 중앙 제어부

Description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OF MONITORING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은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영장, 바다 등에서 사람들의 익사, 미아, 유괴를 방지하기 위한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수영장, 바다 등에서 사람들의 익사 사고, 유아에 대한 실종, 유괴 등의 응급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상기 응급 상황을 감시하고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영장, 바다 등에는 안전 요원이 일정 지역마다 배치되어 상기 수영장, 바다의 상황을 감시한다. 그러나 상기 안전 요원이 상기 수영장, 바다 등을 전체적으로 감시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상기 안전 요원이 자리를 비울 경우, 상기 수영장, 바다에 대한 상황을 전혀 감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안전 요원이 상기 응급 상황을 감지할 경우에도 상기 응급 상황이 발생한 지역과 상기 안전 요원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상기 응급 상황을 즉각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 수영장, 바다 등의 전체적인 상황을 기계적으로 감시하기 위하여 감시 카메라 등이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감시 카메라는 상기 응급 상황을 감지할 경우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결국 상기 안전 요원이 상기 감시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응급 상황을 인식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응급 상황에 처한 사람이 외부에 능동적으로 상기 응급 상황을 알리거나 근접한 사람들에게 상기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외부에 전송하여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응급 상황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응급 상황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장치는 수영장, 바다 등에서 사람들의 익사, 미아, 유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부, 제어부 및 신호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판단한다. 상기 신호 전송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에 응급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동작 속도가 변하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동작 패턴, 동작의 속도 변화, 체온, 바이오리듬, 혈압, 심장 박동 수 등을 포함한다. 이와 달리,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이 물에 노출된 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 감시 장치는 상기 센서부, 제어부 및 신호 전송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원 공급부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 감시 장치는 발광 수단 및 음향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알린다. 상기 음향 발생 수단은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에 음향을 제공하여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알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 감시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이 능동적으로 외부에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응급 버튼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이 상기 응급 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신호 전송부가 상기 응급 신호를 외부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 감시 장치는 상기 센서부, 제어부 및 신호 전송부를 내부에 실장하며,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은 수영장, 바다 등에서 사람들의 익사, 미아, 유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부, 제어부, 신호 전송부 및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부는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판단한다. 상기 신호 전송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응급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신호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응급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응급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알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동작 속도가 변하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은 상기 수영장, 해변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수영장, 바다의 전체적인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이에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여 상기 표시부에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은 상기 수영장, 바다 등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요원이 휴대용으로 구비한 휴대용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이에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휴대용 통신 모듈에 전송하여 상기 감시 요원이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인식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은 상기 수영장, 바다 등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수영장, 바다 등의 일 영역을 감시하며, 상기 신호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응급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감지부가 상기 응급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중앙 제어부에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은 수영장, 바다 등에서 사람들의 익사, 미아, 유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응급 상황 감시 모듈 및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응급 상황 감시 모듈은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응급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은 상기 신호 전송부로부터 응급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동작 속도가 변하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은 상기 신호 전송부로부터 상기 응급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은 상기 수영장, 해변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수영장, 바다의 전체적인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이에 상기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응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여 상기 표시부에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표시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은 수영장, 바다 등에서 사람들의 익사, 미아, 유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태그(tag), 태그 리더기(tag reader) 및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태그는 물속에 있는 사람에 부착되며, 고유번호가 저장된다. 상기 태그 리더기는 상기 태그를 스캔하여 상기 고유번호를 인식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태그 리더기와 통신하여 상기 고유번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동일한 고유번호가 설정된 회수 또는 설정된 시간 이상만큼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고유번호가 저장된 태그가 부착된 사람에 대하여 응급 상황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복수개의 태그 리더기들이 상기 수영장, 바다 등이 일정 면적만큼 분할된 각 영역마다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며, 각각의 태그 리더기는 상기 분할된 영역 내의 물속에 있는 사람에 부착된 태그를 스캔하여 상기 고유번호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위치를 파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태그 리더기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은 상기 수영장, 해변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수영장, 바다의 전체적인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예를들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가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하여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메인 컨트롤러가 상기 표시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응급 상황을 표시하도록 제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은 상기 수영장, 바다 등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요원이 휴대용으로 구비한 휴대용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가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하여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메인 컨트롤러가 상기 휴대용 통신 모듈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감시 요원이 상기 응급 상황을 인식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부의 응급 상황 감시 장치가 별도로 감시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물속에 있는 사람에 부착된 장치가 현재의 정보를 감지하여 전달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대한 감시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둘째, 응급 상황 감시 장치의 제어부가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 외부에 응급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 뿐만 아니라 광을 조사하는 발광 수단과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 발생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응급 상황을 다양한 방법으로 알릴 수 있다.
셋째, 응급 상황에 처한 사람이 응급 버튼을 눌러 응급 상황임을 알릴 수 있으므로, 응급 상황에 대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응을 강구할 수 있다.
넷째, 응급 신호를 전달받은 중앙 제어부는 감시 요원의 휴대용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전광판이나 알람 발생 수단 등을 이용하여 응급 상황을 다양하게 표현함 으로써 응급 상황에 대하여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 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한편,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응급 상황 감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부가 센싱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장치(10)는 수영장, 강, 바다 등에서 수영하는 사람들 또는 선박에 승선한 사람들 중 강, 바다 등에 빠진 사람들에 대하여 익사, 미아, 유괴 등의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한다. 이에 응급 상황 감시 장치(10)는 센서부(100), 제어부(110), 신호 전송부(120) 및 전원 공급부(130)를 포함한다.
센서부(100)는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부(100)는 물속에 있는 사람의 동작 속도가 변하는 정도를 감지한다. 이에 센서부(100)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즉,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100)가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동작의 속도 변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00)는 사람의 동작 속도를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람의 동작 속도의 변화가 사전에 설정된 속도 변화를 초과하는 경우, 센서부(100)는 감지 결과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부(100)는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00)는 물속에 있는 사람의 동 작 패턴을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00)는 감지 대상인 사람의 체온, 바이오리듬, 혈압, 심장 박동 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센서부(100)는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110)에 계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부(100)는 물에 노출된 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이 좌초되거나 선박에 탑승한 사람들이 바다, 강 등에 빠진 경우, 선박에 탑승한 사람들에게 부착된 센서부(100)는 물속에 있는 사람이 물에 노출된 시간을 감지한다. 이에 사전에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물에 노출되는 경우, 센서부(100)는 감지 결과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서부(100)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센서부(100)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제어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00)가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계속적으로 전달할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정보를 분석하여 사람이 응급 상황에 처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센서부(100)가 물속에 있는 사람의 동작 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속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속도의 변화가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에는 응급 상황으로 판단한다.
이와 달리, 센서부(100)가 물속에 있는 사람의 동작 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전에 설정된 기준을 초과할 때 제어부(110)로 상기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응급 상황으로 판 단한다.
나아가, 센서부(100)가 상기 동작 속도의 변화 이외에 체온, 바이오리듬, 혈압 등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정보들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응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센서부(100)가 감지한 정보가 시간에 대해서 다양한 크기를 갖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다양한 크기를 갖는 정보를 분석하여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판단한다. 상기 정보는 사람의 동작 속도의 변화, 동작 패턴, 체온, 바이오리듬, 혈압, 심장 박동 수 등 다양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A’구간과 같이 일정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 정보에 대해서는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하여 정상적인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10)는 ‘B’ 구간과 같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크기및 다른 주파수(주기)를 갖는 정보 및/또는 ‘C’구간과 같이 다른 범위 내의 크기 및 다른 주파수(주기)를 갖는 정보에 대해서는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하여 응급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가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된 다양항 정보들을 분석하여 응급 상황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110)는 신호 전송부(12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신호 전송부(120)는 제어부(110)와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신호 전송부(120)는 후술할 고정부(17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응급 상황 감시 장치(1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도 있다.
한편, 신호 전송부(120)는 제어부(1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에 응급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가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하여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한 경우, 신호 전송부(120)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에 응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신호 전송부(120)는 외부의 신호 수신 수단에 상기 응급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 전송부(120)가 응급 신호를 외부에 전송함으로써,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30)는 센서부(100), 제어부(110) 및 신호 전송부(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13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전원 공급부(130)는 일회용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원 공급부(130)는 물속에서도 전기적으로 안전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방수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응급 상황 감시 장치(10)는 발광 수단(140), 음향 발생 수단(150) 및 응급 버튼(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수단(140)은 제어부(110)와 연결된다. 발광 수단(140)은 제어부(1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에 광을 조사하여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즉, 제어부(110)가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발광 수단(140)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응급 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수단(140)은 발광 다이오드, 액정 디스 플레이, 형광체 등 다양한 발광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발광 수단(140)은 물속에서 충분한 광의 조사 거리가 확보되는 발광 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발광 수단(140)은 그 발광 정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응급 상황의 정도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도 있다.
음향 발생 수단(150)은 제어부(110)와 연결된다. 음향 발생 수단(150)은 제어부(1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에 일정한 음을 제공하여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즉, 제어부(110)가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음향 발생 수단(150)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로 음향을 제공하여 상기 응급 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향 발생 수단(150)은 일정한 크기 및 주기를 갖는 경고음을 외부에 전달하여 응급 상황을 알린다.
응급 버튼(160)은 제어부(110)와 연결된다. 응급 버튼(160)은 물속에 있는 사람이 응급 상황을 외부에 능동적으로 알리기 위하여 배치된다. 즉, 사람이 응급 버튼(160)을 누르는 경우, 제어부(110)는 강제적으로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신호 전송부(120)로 전송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110)의 판단 결과에 따른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신호 전송부(120)는 외부에 응급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응급 버튼(160)의 누름 동작을 통하여 제어부(110)가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발광 수단(140) 또는 음향 발생 수단(150)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발광 수단(140) 또는 음향 발생 수단(150)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로 광을 조사하거나 음향을 발생하여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 상황 감시 장치(10)는 밴드 형상으로 사람들의 손목, 발목, 어깨 등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응급 상황 감시 장치(10)는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70)는 암 밴드형, 손목 밴드형, 발목 밴드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170)는 시계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목, 발목에 착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70)는 센서부(100), 제어부(110), 신호 전송부(120), 전원 공급부(130), 발광 수단(140), 음향 발생 수단(150) 및 응급 버튼(160) 전부 또는 일부를 실장할 수 있다. 고정부(170)는 응급 상황 감시 장치(10)의 구성 요소들을 그 내부에 실장하며 사람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170)는 상기 구성 요소들이 방수되도록 상기 구성 요소들을 둘러싸면서 형성되는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물속에서 동작하는 센서부(100), 제어부(110), 신호 전송부(120), 전원 공급부(130), 발광 수단(140), 음향 발생 수단(150) 및 응급 버튼(160)가 방수되기 위한 다양한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급 상황 감시 장치(10)는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이를 분석하여 응급 상황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응급 상황 감시 장치(10)는 상기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대응함으로써 익사 등의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 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영장 및 위치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20)은 수영장, 강, 바다 등에서 수영하는 사람들 또는 선박에 승선한 사람들 중 강, 바다 등에 빠진 사람들에 대하여 익사, 미아, 유괴 등의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한다. 이에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20)은 응급 상황 감시 장치(200), 중앙 제어부(210), 표시부(220), 알람부(230) 및 휴대용 통신 모듈(240)을 포함한다.
응급 상황 감시 장치(200)는 물속에 있는 사람에 부착된 상태로 사람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이를 중앙 제어부(21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응급 상황 감시 장치(200)는 센서부, 제어부, 신호 전송부를 구비하며, 응급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신호 전송부가 중앙 제어부(210)로 응급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응급 상황 감시 장치와 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응급 상황 감시 장치(20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중앙 제어부(210)는 응급 상황 감시 장치(200)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신호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응급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중앙 제어부(210)는 퍼스널 컴퓨터, 서버용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210)와 상기 신호 전송부 간의 통신 방법은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중앙 제어부(210)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중앙 제어부(210)는 응급 상황 감시 장 치(200)의 제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중앙 제어부(210)가 상기 센서부(200)로부터의 정보를 분석하여 응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중앙 제어부(210)는 상기 신호 전송부로부터의 응급 신호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대하여도 응답하여 처리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210)는 상기 응급 신호 등에 응답하여 외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알린다. 예를 들어, 중앙 제어부(210)는 상기 제어 신호를 표시부(220), 알람부(230) 및 휴대용 통신 모듈(24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
표시부(220)는 수영장, 해변의 일 영역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표시부(220)는 전광판 형태의 표시 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영장, 바다, 해변의 전체적인 상황을 표시한다. 이에 중앙 제어부(210)가 표시부(220)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표시부(220)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응급 상황을 전광판 등에 표시한다. 따라서 수영장, 해변의 사람들 및 감시 요원이 표시부(220)를 보고 상기 응급 상황을 인식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알람부(230)는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부재들을 포함한다. 이에 중앙 제어부(210)가 알람부(230)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알람부(230)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수영장, 해변의 사람들 및 감시 요원이 알람부(230)로부터의 경고음을 듣고 상기 응급 상황을 인식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휴대용 통신 모듈(240)은 수영장, 해변의 감시 요원이 구비 가능하고 통신 기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예를 들어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폰, 경량의 노트북,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한다. 휴대용 통신 모듈(240)은 일정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242)을 더 구비한다. 이에 중앙 제어부(210)가 휴대용 통신 모듈(240)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휴대용 통신 모듈(240)의 표시창(242)에 상기 응급 상황과 관련된 내용이 표시되거나 휴대용 통신 모듈(240)의 스피커(도시되지 않음)가 일정한 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감시 요원이 휴대용 통신 모듈(240)을 통하여 상기 응급 상황을 인식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응급 상황 감시 장치(200)는 위치 감지부(250)를 더 포함한다.
위치 감지부(250)는 수영장(252), 바다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부(250)는 바둑판 형식으로 매치되어 수영장, 바다의 일 영역을 감시한다. 이 때, 위치 감지부(250)는 부표 형식으로 수영장, 바다의 물에 표류하여 감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감시 지역이 수영장인 경우, 위치 감지부(250)는 각 레일(254) 별로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어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 감지부(250)는 응급 상황 감시 장치(200)의 신호 전송부로부터 응급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위치 감지부(250)가 상기 응급 신호를 수신한 경우, 위치 감지부(250)는 중앙 제어부(210)에 물속에 있는 사람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중앙 제어부(210)가 응급 상황에 처한 사람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신호 전송부가 응급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복수개의 위치 감지부(250)들 중 상기 신호 전송부로부터 상대적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위치 감지부(250)가 상기 응급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상기 응급 신호를 수신한 위치 감지부(250)가 중앙 제어부(210)에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중앙 제어부(210)는 위치 감지부(250)들의 위치를 사전에 파악하고 있으므로, 상기 응급 신호를 수신한 위치 감지부(250)의 위치를 분석하여 상기 응급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제어부(210)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표시부(220), 알람부(230) 및 휴대용 통신 모듈(24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20)은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응급 상황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익사 등의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30)은 제1 응급 상황 감시 모듈(300) 및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310)을 포함한다.
제1 응급 상황 감시 모듈(300)은 도 1의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또는 도 4의 응급 상황 감시 장치와 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응급 상황 감시 모듈(30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310)은 도 4의 휴대용 통신 모듈(240)과 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31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표시부(320)는 도 4의 표시부(2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본 실시예의 알람부(330)는 도 4의 알람부(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표시부(320) 및 알람부(33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과 그 구성이 부분적으로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30)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응급 상황 감시 모듈(300)이 물속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응급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310)에 응급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감시 요원이 휴대용으로 구비한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310)은 상기 응급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310)의 표시창(312)에 상기 응급 상황이 표시되는 경우, 감시 요원이 상기 응급 상황을 인식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310)은 상기 응급 신호에 대응하여 표시부(320) 및/또는 알람부(330)에 상기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전광판 형태로 이루어진 표시부(320)에 상기 응급 상황이 표시되거나, 알람부(330)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일정한 경고음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제1 응급 상황 감시 모듈(300)로부터의 응급 신호를 휴대용으로 구비된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310)이 직접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대 하여 더욱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한편,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태그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태그 리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40)은 밴드형의 고정부(400)에 형성된 태그(402), 태그 리더기(410), 메인 컨트롤러(420), 표시부(430) 및 휴대용 통신 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402)는 물속에 있는 사람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태그(402)는 사람의 손목, 발목 등을 둘러싸면서 형성된 밴드 형상의 고정부(400)에 형성된다. 한편, 고정부(400)는 사람의 신체 일 부분에 접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태그(402)는 고정부(40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태그(402)에는 고정부(400)의 고유번호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태그(402)는 바코드 형식으로 고정부(400)의 고유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태그(402)는 다른 형식으로 고정부(400)의 고유번호를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태그 리더기(410)는 태그(402)를 스캔하여 상기 고유번호를 인식한다. 태그 리더기(410)는 바코드 형식의 태그(402)를 주기적 또는 계속적으로 스캔하여 고정부(400)의 고유번호를 식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태그 리더기(410)는 수영장(412), 바다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태그 리더기(410)들은 수영장(412), 바다 등이 일정 면적만큼 분할된 각 영역마다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어, 각 태그 리더기(410)는 상기 분할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태그(402)를 스캔한다. 만일 감시 지역이 수영장(412)인 경우, 태그 리더기(410)들은 각 레일(414) 별로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어 태그(402)를 스캔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태그 리더기(410)는 상기 분할된 영역 내의 물속에 있는 사람에 부착된 태그(402)를 스캔하여 고정부(400)의 고유번호를 인식함과 동시에 태그 리더기(410)가 물속에 있는 사람의 위치 파악할 수 있다. 태그 리더기(410)가 위치 파악을 할 수 있는 것은 전체 태그 리더기(410)들 중 특정 태그 리더기(410)만이 응급 상황에 처한 태그(402)를 스캔하기 때문이다. 한편, 태그 리더기(410)는 인식한 고유번호에 대한 정보를 메인 컨트롤러(420)에 전달한다.
메인 컨트롤러(420)는 태그 리더기(410)와 유무선 통신한다. 한편, 태그 리더기(410)와 메인 컨트롤러(4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태그 리더기(410)와 메인 컨트롤러(420)는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케이블 등을 통하여 유선 통신하거나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420)는 태그 리더기(410)로부터 상기 고유번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메인 컨트롤러(420)는 상기 고유번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유번호를 갖는 고정부(400)를 부착한 사람의 응급 상황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메인 컨트롤러(420)는 동일한 고유번호가 설정된 회수 또는 설정된 시간 이상만큼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고유번호가 저장된 태그(402)가 부착된 사람이 응급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한다. 즉, 태그 리더기(410)가 특정 태그(402)를 장시간 스캔하거나 연속적으로 몇 회 이상 스캔하는 경우, 메인 컨트롤러(420)는 상기 특정 태그(402)가 부착된 사람에 대한 응급 상황으로 판단한다. 이에 메인 컨트롤러(420)는 표시부(420), 휴대용 통신 모듈(440),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도시되지 않음)에 응급 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부(420)는 도 4의 표시부(2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본 실시예의 휴대용 통신 모듈(440)은 도 4의 휴대용 통신 모듈(2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표시부(420) 및 휴대용 통신 모듈(44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태그(402)만이 형성된 고정부(400)를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태그 리더기(410)가 태그(402)를 계속적으로 스캔하고 이를 전송하고, 메인 컨트롤러(420)가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실제 물속에 있는 사람에 부착된 장치가 사람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전달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대한 감시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또한, 신호 전송부 뿐만 아니라 발광 수단과 음향 발생 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응급 상황을 다양한 방법으로 알릴 수 있다. 응급 버튼을 구비하여, 응급 상황에 처한 사람이 응급 상황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알릴 수 있다. 중앙 제어부가 감시 요원의 휴대용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전광판이나 알람 발생 수단 등을 이용하여 응급 상황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응급 상황 감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부가 센싱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영장 및 위치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태그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태그 리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응급 상황 감시 장치
20, 30, 40 :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100 : 센서부 110 : 제어부
120 : 신호 전송부 130 : 전원 공급부
140 : 발광 수단 150 : 음향 발생 수단
160 : 응급 버튼 200 : 응급 상황 감시 장치
210 : 중앙 제어부 220 : 표시부
230 : 알람부 240 : 휴대용 통신 모듈
250 : 위치 감지부 300 : 제1 응급 상황 감시 모듈
310 :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 320 : 표시부
330 : 알람부 400 : 응급 상황 감시 장치
402 : 태그 410 : 태그 리더기
420 : 메인 컨트롤러 430 : 표시부
440 : 휴대용 통신 모듈

Claims (24)

  1. 수영장, 바다 등에서 사람들의 익사, 미아, 유괴를 방지하기 위한 응급 상황 감시 장치에 있어서,
    물속에 있는 사람의 동작 속도가 변하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로 구비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사람의 동작 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동작 속도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 상기 물속에 물속에 있는 사람을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에 응급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응급 상황 감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이 물에 노출된 시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제어부 및 신호 전송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발광 수단;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에 음향을 제공하여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음향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이 능동적으로 외부에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응급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이 상기 응급 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신호 전송부가 상기 응급 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제어부 및 신호 전송부를 내부에 실장하며,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장치.
  10. 수영장, 바다 등에서 사람들의 익사, 미아, 유괴를 방지하기 위한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물속에 있는 사람의 동작 속도가 변하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로 구비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사람의 동작 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동작 속도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 상기 물속에 물속에 있는 사람을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응급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부; 및
    상기 신호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응급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응급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동작 속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제어부 및 신호 전송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발광 수단;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에 음향을 제공하여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음향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영장, 해변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수영장, 바다의 전체적인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여 상기 표시부에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영장, 바다 등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요원이 휴대용으로 구비한 휴대용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휴대용 통신 모듈에 전송하여 상기 감시 요원이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인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영장, 바다 등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수영장, 바다 등의 일 영역을 감시하며, 상기 신호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응급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감지부가 상기 응급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중앙 제어부에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16. 수영장, 바다 등에서 사람들의 익사, 미아, 유괴를 방지하기 위한 제1 응급 상황 감시 모듈 및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을 포함하는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응급 상황 감시 모듈은
    물속에 있는 사람의 동작 속도가 변하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로 구비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사람의 동작 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동작 속도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 상기 물속에 물속에 있는 사람을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응급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은
    상기 신호 전송부로부터 응급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동작 속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은 상기 신호 전송부로부터 상기 응급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영장, 해변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수영장, 바다의 전체적인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응급 상황 감시 모듈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응급 상황에 대한 정보 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여 상기 표시부에 상기 물속에 있는 사람의 응급 상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80064928A 2008-07-04 2008-07-04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KR101015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928A KR101015998B1 (ko) 2008-07-04 2008-07-04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928A KR101015998B1 (ko) 2008-07-04 2008-07-04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44A KR20100004644A (ko) 2010-01-13
KR101015998B1 true KR101015998B1 (ko) 2011-02-23

Family

ID=4181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928A KR101015998B1 (ko) 2008-07-04 2008-07-04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948B1 (ko) 2021-03-17 2022-06-08 전주시시설관리공단 수영장 안전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2963B2 (en) * 2010-03-29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tracking device
US9858793B2 (en) 2015-04-23 2018-01-02 Asma Saleh HAWSAH Swimming aid to prevent drowning
KR101743863B1 (ko) * 2016-01-15 2017-06-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린이용 익수자 구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466034B1 (ko) * 2020-06-26 2022-11-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물 데이터 수집장치
KR102606871B1 (ko) * 2021-03-24 2023-11-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물 데이터 수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4574A (ja) * 1999-12-27 2001-07-06 Osaka Gas Co Ltd 水溺事故監視装置
JP2004164277A (ja) * 2002-11-13 2004-06-10 Mitsubishi Heavy Ind Ltd 遊泳者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60214805A1 (en) 2001-08-08 2006-09-28 Claire-Lise Boujon Device for security device for swimming pools and amusement par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4574A (ja) * 1999-12-27 2001-07-06 Osaka Gas Co Ltd 水溺事故監視装置
US20060214805A1 (en) 2001-08-08 2006-09-28 Claire-Lise Boujon Device for security device for swimming pools and amusement parks
JP2004164277A (ja) * 2002-11-13 2004-06-10 Mitsubishi Heavy Ind Ltd 遊泳者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948B1 (ko) 2021-03-17 2022-06-08 전주시시설관리공단 수영장 안전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44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998B1 (ko)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US111888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a person
KR200453992Y1 (ko) 위험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US200902955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etection of a Subject in Drowning or Near-Drowning Situation
US20180148144A1 (en) Personal Safety Device
KR101205411B1 (ko) 초음파와 무선신호 기반 해상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US9183721B2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erson in water
JP2007026331A (ja) 溺れ監視システム
KR101146474B1 (ko)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KR20160088990A (ko) 안전 부표
JP2007164474A (ja) 侵入警戒システム
John et al. Design of a drowning rescue alert system
KR101781018B1 (ko) 수중 실종자 탐지 시스템
JP2007235910A (ja) 安全行動支援システム
EP4128182B1 (en) Mobile base,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on of a mobile object
US20220309897A1 (en) Wearable Safety Device for Swimming
KR102406660B1 (ko) 수난구조대원 모니터링 시스템
Monish et al. Drowning alert system using rf communication and gprs/gsm
JP2001184574A (ja) 水溺事故監視装置
Dhande et al. Comprehensive survey of drowning detection and rescue techniques
EP2701130A1 (en) Drowning prevention system
CN108074375A (zh) 用于游泳者安全的监测方法
JP2878179B2 (ja) 水難通報装置
MONISH et al. Drowning Alert System
JP2005165990A (ja) 侵入感知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