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664A - 선반 레일에서의 장치의 위치결정 - Google Patents

선반 레일에서의 장치의 위치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664A
KR20240011664A KR1020237034508A KR20237034508A KR20240011664A KR 20240011664 A KR20240011664 A KR 20240011664A KR 1020237034508 A KR1020237034508 A KR 1020237034508A KR 20237034508 A KR20237034508 A KR 20237034508A KR 20240011664 A KR20240011664 A KR 20240011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rail
sensor
designed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뢰쓸
니콜라 그매즈닉
Original Assignee
에스에에스-이마고탁 게엠베하
에스이에스-이마고태그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21/055914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188955A1/de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21/055916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188956A1/de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21/086144 external-priority patent/WO2023110100A1/en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에스-이마고탁 게엠베하, 에스이에스-이마고태그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에스에에스-이마고탁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4001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66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4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helf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8Electronic labels, Labels integrating electronic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선반-레일 시스템은 하나의 선반 레일, 및 이 선반 레일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레일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선반 레일 시스템은 선반 레일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선반 레일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하고/하거나, 선반 레일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선반 레일에 부착된 적어도 2개의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순차적 순서를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제공되고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반 레일에 있는 디바이스 찾기
본 발명은 선반 레일에 있는 디바이스를 찾는 것에 관한 것이다.
WO2017153481 A1에는 전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그리드에 부착할 수 있는 선반 레일을 갖는 선반-레일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잘 알려진 선반-레일 시스템의 경우, 예를 들어, 플래노그램(planogram) 등에서 추가 전자 처리에 액세스할 수 있는 위치를 만들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확한 위치를 수동으로 검출해야 하는 것이 불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단점을 방지하는 향상된 선반-레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른 선반-레일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반-레일 시스템으로서, 선반 레일, 및 이 선반 레일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레일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선반-레일 시스템은 선반 레일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선반 레일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하고/하거나, 선반 레일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선반 레일에 부착된 적어도 2개의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순차적 순서를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제공되고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선반-레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치에는 선반 레일에 유지된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절대 위치 또는 이러한 디바이스의 상대 위치가 완전히 자동으로 검출되고 추가 컴퓨터 처리, 즉 전자 처리에 액세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수반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 및 추가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과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비롯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전자 선반 라벨 시스템에 적용된다. 선반 레일은 일반적으로 제품 배치에 사용되는 선반 또는 기타 물체의 전방 에지에 설치되고, 선반-레일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전자 선반 라벨을 부착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제품 및/또는 가격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전문 용어로 "전자 선반 라벨" 또는 줄여서 ESL이라고 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표시할 정보는 서버나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중앙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해당 ESL로 전송되고, 여기서 ESL과 중앙 제어 디바이스 사이의 전자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기반 또는 케이블 기반일 수 있고 또는 혼합된 구성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ESL 액세스 포인트는 근거리 네트워크(LAN)를 통해 중앙 제어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으며, ESL 그룹은 무선을 통해 ESL 액세스 포인트 중 하나에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ESL은 무선으로 직접 어드레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온도 검출,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 검출, 또는 사용자 상호 작용 검출 등을 위해 설계된 선반-레일 디바이스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또한 각 선반 레일에는 각 선반 레일에 대한 제어 또는 중앙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추가 선반-레일 디바이스, 즉 선반-레일 제어 디바이스(이는 선반-레일 제어기라고도 함)가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선반-레일 제어기는 케이블 기반 또는 무선 기반 방식으로, 특히 앞서 언급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제어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으나, 선반 레일 내 선반 레일에 부착된 다른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제어 시스템이 인계받고, 여기서 이는 무선 기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유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반-레일 제어 디바이스는 선반 레일의 단부, 즉 선반 레일의 좌측 또는 우측 에지에 위치된다.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전기 공급은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배터리 또는 충전식 배터리의 도움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를 통한 전력"에 의해 무선 기반 전력 공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선반-레일 제어기는 선반 레일의 전방에 부착된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중앙 전력 공급 디바이스 역할도 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선반-레일 제어기 자체에는 중앙 배터리, WiFi를 통한 전력 공급 또는 심지어 케이블 유선 방식을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제1 실시예 유형에 따르면, 센서는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설치되고 선반 레일의 코딩 요소,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코딩 요소를 검출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코딩 요소는 선반 레일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연장되며, 각각의 위치에 있는 센서를 사용하여 선반 레일을 따라 본질적으로 무작위로 위치될 수 있는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코딩 요소는 예를 들어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아래에 나열된 것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 QR 코드와 같이 광학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위치별 코딩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여기서 선반 레일을 따라 QR 코드는 위치별로 구현되어 특정 위치를 명확히 나타내거나, 부위별 바코드나 컬러 코드 등을 나타낸다).
- 예를 들어, 부위별 각인 등 또는 부위별 리세스, 리세스 또는 구멍 등과 같은, 선반 레일의 표면을 변화시키는 특성과 같이 선반 레일의 형상이나 구조를 위치에 따라 변경하는 코딩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 접촉 위치에 따라 부위별 다른 저항 값을 검출하거나, 또는 부위별 코팅이나 또한 재료 두께 등과 같이 선반 레일의 부위별 용량성 또는 유도성 특성을 초래하는 부위별 설계를 검출할 수 있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이어지는 저항 스트립과 같이 선반 레일을 따라 전기적 특성이 점진적으로 변하거나 (준) 연속적으로 변하는 코딩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센서의 도움으로 각각의 코딩 요소를 쉽게 검출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각 코딩 요소를 선반 레일에 부착하거나 배치해야 한다. 선반 레일에 삽입된 선반-레일 디바이스 바로 옆에 위치된 임의의 영역은 선반 레일의 위치 지정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선반 레일에 삽입된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후방 벽에 대응하여 이어지는, 예를 들어, 선반 레일의 상위 바, 하위 바 또는 또한 중심 벽일 수 있다.
선반-레일 디바이스를 선반 레일에 부착하기 위해 선반-레일 디바이스가 삽입되는 하부가 열려 있는 샤프트와 같이 선반 레일을 의도한 대로 사용할 때 정상적으로 행동하는 고객에게는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거나 거의 보이지 않는, 선반 레일에 삽입된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인접한 영역을 선반 레일이 포함하는 경우, 코딩 요소를 거기에 배치하여 고객이나 심지어 직원의 눈에 보이지 않도록 숨기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치된 코딩 요소는 또한 환경적 영향과 잠재적인 손상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된다.
사용된 코딩 요소에 따라 센서는 검출할 코딩 요소에 맞게 조정되고, 즉, 구체적으로 센서는 코딩 요소 또는 코딩 요소들을 기계적, 전기적, 특히 저항성, 유도성, 또는 용량성 또는 광학적으로 검출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광학 검출용으로 설계된 센서는 예를 들어 CCD 센서(CCD는 "Charged Couples Device"를 나타냄) 또는 발광 다이오드와 광트랜지스터의 조합의 도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선반 레일을 따라 위치된 선반-레일 디바이스는 그 위치에서 광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코딩 요소를 덮고 있기 때문에, 즉 광이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방해하기 때문에, 센서 또는 선반-레일 디바이스는 광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코딩 요소를 조명하도록 제공되고 정렬되거나 위치되는 조명 요소(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후방측에 있는 광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코딩 요소가 거기에 제공된 센서의 도움으로 검출되면 조명 요소는 또한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후방측으로부터 광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코딩 요소를 조명한다. 이 경우, 후방측은 코딩 요소의 조명 및 검출이 일어나는 선반 레일에 직접 닿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명 요소는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후방측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 요소는 또한 선반-레일 디바이스 측에 장착될 수도 있고, 거기서부터 선반-레일 디바이스 뒤로 연장되는 선반 레일을 조명할 수 있다. 그러나, 선반-레일 디바이스 옆 측방으로 연장되는 선반 레일 구획을 검출하는 센서가 또한 정렬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 요소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것이 제공되는 경우 이것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인접한 선반 레일 영역이 조명되는 방식으로 배향될 수 있다.
기계적 검출용으로 설계된 센서는 예를 들어 코딩 요소의 각각의 특성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기계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오프셋은 센서에서 전자적으로 검출되고 추가로 처리된다. 비틀림 바(torsion bar)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등도 이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기 검출용으로 설계된 센서는 예를 들어 전기 저항 값 또는 그 변화 검출, 코일 또는 전도체 루프 유도 또는 변화 검출, 또는 또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또는 그 변화 검출에 기초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도성 또는 용량성 작용에 의해 변하는 전압 강하 또는 전류 흐름이 검출된다.
그러나, 특별한 실시예 유형에 따르면, 코딩 요소는 선반 레일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선반 레일, 특히 적어도 하나의 선반-레일 벽의 리세스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른 선반 레일의 부위별 구조적 특성이다. 선반 레일의 중심 벽에 있는 실시예는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는 임의의 경우에 선반 레일에 삽입된 선반-레일 디바이스 바로 옆에 위치하며, 적용 가능한 경우 심지어 선반-레일 디바이스와 접촉하거나 접촉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센서를 사용하여 코딩 요소를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리세스는 그리드로 형성되는 것이 또한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는 코딩 요소가 선반 레일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서로 동일한 거리에 항상 위치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코딩 요소 역할을 하는 리세스는 선반-레일 디바이스를 선반 레일에 힘 전달 방식으로 부착하도록 제공되고 설계되었다는 점이 특히 강조되어야 한다. 리세스는 두 가지 목적에 유리하게 사용된다. 힘 전달 방식으로 체결하는 기능은 체결 수단이 힘 전달 방식으로 리세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고 선반-레일 디바이스가 선반 레일의 목표 위치에 유지되도록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체결 수단에 맞춰 리세스의 위치와 치수를 정함으로써 달성된다.
코딩 요소로서의 기능은 리세스가 형상 및/또는 치수에 있어서 상이한 것에 의해 리세스로 달성된다.
코딩 요소의 명확한 구별성을 얻기 위해 모든 리세스는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코딩 요소의 도움으로 전달된 코드를 가장 간단하게 검출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또한 코딩 요소는 그 특성 중 하나, 특히 단 하나만이 다르고, 각 특성은 단 한번만 발생하는 것이 특히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전에 설명된 리세스와 관련하여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리세스의 높이일 수 있다. 높이는 일반적으로 앞서 언급된 선반 레일의 중심 벽의 평면에서 선반 레일의 길이 방향 연장부로 측정되는 것으로 가정해야 한다. 이것에는 그리드의 리세스 배열이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실시예 유형에서 또한 리세스 형상의 대부분은 코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되어 힘 전달 방식의 체결에 영향을 받지 않고 리세스의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만이 리세스마다 다른 높이로 코딩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 유형은 예를 들어 리세스마다 다른 길이를 갖는 슬롯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이 슬롯은 선반 레일의 중심 벽의 기본 높이 치수를 넘어 연장되고, 슬롯의 각각의 길이에 따라 측정 막대 또는 프로브가 슬롯에 담길 수 있다.
또한, 특성을 특징짓는 척도는 하나의 코딩 요소로부터 그 다음 코딩 요소로 가면서 단 하나의 측정 단위만큼 상이한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치수는 예를 들어 밀리미터 정도와 같이 분수 밀리미터 이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이 척도는 본질적으로 선반-레일 시스템의 디지털 기술로 알려진 그레이 코드, 특히 구조적 또는 기계적 형태의 구현에 대응한다. 특히, 이 척도는 선반 레일을 따른 위치가 견고한 방식으로 쉽게 코딩될 수 있고, 무엇보다도 각 코딩 요소의 잘못된 검출도 쉽게 검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선반 레일 자체를 사용하여 위치를 코딩하는 이전의 설명과 달리, 선반 레일을 코딩 요소로 사용하지 않는 다른 실시예 유형에 따르면, 센서는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설치되고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대해 인접한 물체까지 선반 레일을 따른 거리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 유형은 예를 들어 각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비행 시간 센서가 포함되고, 이 센서는 본질적으로 전송 및 수신 특성과 관련하여 선반 레일의 길이 방향 연장부와 평행하게 배향되고, 선반 레일을 제한하는 인접한 선반-레일 디바이스 또는 다른 물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선반-레일 디바이스가 선반-레일 제어기가 있는 상태에서 선반 레일에 삽입되면 선반-레일 제어기를 사용하여 제1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절대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제부터, 사용된 선반-레일 디바이스는 물론 선반-레일 제어기를 사용하여 이미 사용된 선반-레일 디바이스와 선반-레일 제어기 사이 또는 이미 사용된 선반-레일 디바이스와 선반 레일의 단부 사이에 다른 선반-레일 디바이스가 사용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알려진 위치에서 사용된 두 선반-레일 디바이스 사이에 다른 선반-레일 디바이스가 사용되는지 반복적으로 검사하는 이러한 조치는 선반 레일의 최대 하중까지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임의의 수에 대해 반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조치는 또한 알려진 위치에 있는 두 선반-레일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 또는 선반-레일 제어기와 선반 레일에 남아 있는 가장 가까운 선반-레일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 또는 선반 레일에 남아 있는 선반-레일 디바이스로부터 선반 레일의 단부까지의 거리를 변경하기 때문에 선반-레일 디바이스가 선반 레일로부터 제거되었는지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 유형에 따르면, 또한 각 선반-레일 디바이스는 센서로서 선반-레일 디바이스 간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선반-레일 디바이스는 위치 및/또는 순차적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두 인접한 선반-레일 디바이스 간의 통신 및/또는 신호 전송 결과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실시예 유형에서는 적외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각 선반-레일 디바이스가 본질적으로 선반 레일의 평면에 또는 선반 레일에 평행하게 설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인접한 선반-레일 디바이스로부터 그 다음 선반-레일 디바이스로 신호 전송 또는 정보 전송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전송에는 바로 인접한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ID 교환이 포함될 수 있다. 인접한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ID를 수신하는 선반-레일 디바이스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도 검출할 수 있다. 선반-레일 제어기를 구현하는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경우, 이러한 수신은 물론 일측으로부터만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립된 선반-레일 디바이스 간의 이웃 관계는 추가 처리를 위해 선반-레일 디바이스 중 임의의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선반-레일 제어기에 의해, 또는 중앙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추가 처리를 위해 이와 통신하는 개체로 전송된다.
추가 실시예 유형에 따르면, 또한 센서는 선반 레일을 따라 전파되는 신호를 검출하도록 설계되고, 특히 기계적으로 여기된 신호, 특히 바람직하게는 음향 신호의 비행 시간을 측정하도록 설계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선반 레일을 따라, 예를 들어, 버스 시스템이나 라인 등을 따 전기 신호 전파는 또한 적절하게 조정된 센서의 도움으로 검출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선반 레일의 각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또는 예를 들어 거기에 존재하는 신호 감쇠, 또는 예를 들어, 전송과 복귀 전송, 또는 복귀 전송 수신 또는 반사 신호 수신 사이의 시간 오프셋과 같은 신호 전파 타이밍과 같은 전파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이것은 선반 레일을 따라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절대 위치 또는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전파 신호는 선반 레일 내의 선반 레일을 따라 전파되는 기계적 여기에 의해 생성된 신호이다. 이 신호는 예를 들어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포함된 진동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생성은 예를 들어 두 디바이스 간의 전자 통신을 통해 예를 들어 제1 선반-레일 디바이스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된 다른 제2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의해 시작되거나 트리거된다. 제1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진동 생성 디바이스는 선반 레일 내로 진동을 안내하고, 여기서 진동은 선반 레일의 재질 내에서 선반 레일을 따라 전파되고, 진동 생성 시작(또는 기술 통신의 개시)에서부터 제2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진동이 도달할 때까지의 경과 시간이 측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진동은 음향 신호, 즉 또한 가청 신호일 수 있는 신호이다. 여기서, 가청 특성은 이 신호가 동물에게는 들리지만 인간에게는 들리지 않거나, 동물과 인간 모두에게 들리는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신호가 동물에게만 들리는 경우, 이 신호는 위치를 결정하는 데 뿐만 아니라 동물이 사업장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신호가 사람에게도 들리는 경우 이 신호는 예를 들어 화재 경보기와 같이 신호화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 신호는 예를 들어 선반 레일로 최적의 신호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선반 레일에 삽입된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경우 선반 레일과 가능한 한 접촉하는 방식으로 각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압전 확성기 또는 일반적으로 트랜스듀서의 도움으로 생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언급한 선반-레일 제어기는, 부수적으로 선반 레일에 설치된 다른 선반-레일 디바이스도 처리하여, 즉, 선택적으로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 전송을 시작하거나 개시하는 선반-레일 디바이스로 사용된다. 그러나, 선반-레일 제어기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개별 선반-레일 디바이스는 선반 레일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선반 레일에서 전파되는 신호를 상호 방출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선반 레일에서 전파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계된 각 선반-레일 디바이스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문제 없이, 특히 최적으로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선반 레일에 놓이도록 위치되거나 설계된 신호 수신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신호 수신기는 압전 MEMS 마이크로폰의 도움으로 구현될 수 있다. MEMS는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Micro-Electronic-Mechanical Systems)을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수신기, 예를 들어, 코일 기반 신호 수신기도 사용될 수 있다.
특별한 실시예 유형에 따르면, 선반-레일 시스템은 선반 레일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선반-레일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특히 또한 다른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선반-레일 제어 디바이스를 선반-레일 디바이스 중 하나로서 포함하고; 특히, 다른 선반-레일 디바이스는 전자 선반-레일 디스플레이, 또는 선반-레일 카메라, 또는 선반-레일-온도 및/또는 습도 검출 디바이스 또는 선반 레일 입력 유닛인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언급된 바와 같이, 선반-레일 제어 디바이스는 또한 선반 레일에 부착된 다른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절대 위치(들)뿐만 아니라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도 유리하게 포함될 수 있고, 중앙 제어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는 선반 레일에 존재하는 선반-레일 디바이스 구성을 만들기 위한 중앙 선반-레일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
선반-레일 제어 디바이스에서 특히 효율적이고 유리한 실시예는 선반 레일이 케이블 시스템, 특히 정확히 3개의 전도체를 갖는 케이블 시스템을 포함하고, 선반-레일 제어 디바이스는 케이블 시스템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선반-레일 디바이스는 케이블 시스템과 접촉하는 경우 존재한다. 선반 레일의 유선 동작을 통해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위치 또는 순차적 순서를 신뢰성 있게 결정할 수 있고, 이는 특히 적용 가능한 경우 선반 레일에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외부 무선 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일반적으로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는 물론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는 점을 언급해야 한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개별형이거나 또는 통합형 전자 장치로 구성되거나 또한 이 둘의 조합일 수 있다. 마이크로컴퓨터, 마이크로제어기,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등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전자 주변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의 언급된 기능 중 많은 기능은 가능하게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와 상호 작용을 통해 전자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도움으로 구현된다. 무선 통신용으로 설계된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트랜시버 모듈의 일부로서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구성을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또한 예를 들어 교체 가능하거나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는 내부 전력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또는 외부 전원 공급원 또는 또한 "LAN을 통한 전력"을 통해 유선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 및 다른 양태는 아래에 설명된 도면으로부터 발생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다양한 도면의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도면은 개략도이다.
도 1은 전방 대각선에서 볼 때 선반 레일에 3개의 선반-레일 디바이스가 부착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선반-레일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기계적 코딩 요소로서 리세스를 볼 수 있는 각도에서 후방에서 본 선반-레일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선반 레일을 따라 선반-레일 디바이스가 선반 레일에 완전히 삽입된 것을 측면에서 본 것을 도시한다.
도 4는 리세스와 선반-레일 디바이스 사이의 기계적 상호 작용을 도시한다.
도 5는 선반 레일의 전방을 따라 고정된 두 선반-레일 디바이스의 순차적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실시예가 포함된 선반-레일 시스템이다.
도 1은 3개의 선반-레일 디바이스, 즉 에지 장착형 선반-레일 제어기(이하 제어기(40)라고 함)를 갖는 선반 레일(1), 및 이 선반 레일(1)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위치하며 제품 및/또는 가격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를 위해 전방에 스크린(24)이 있는 2개의 전방 장착 선반 라벨(이하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20)이라고 함)을 포함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을 도시하고, 여기서 각각의 제품 및/또는 가격 정보는 제어기(40)와 액세스 포인트(70)의 무선 통신(71)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70)에 케이블로 연결된 서버(60)에 의해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은 디스플레이-유닛 전자 장치(자세히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제어기(40)는 제어기 전자 장치(자세히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케이블 캐리어(5)는 또한 도 1의 예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 수 있고, 이는 제어기(40)와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20) 사이의 통신 및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전기 공급을 위해 제어기 전자 장치와 디스플레이-유닛 전자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형성하는 3개의 전도체 경로(6)(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도 3 참조)를 지지한다.
도 2는 선반-레일 시스템(100)의 후방측을 도시하고, 이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20)이 보이지 않으며, 서버(60), 액세스 포인트(70) 및 무선 통신(71)의 표현이 생략되었다. 그러나, 선반 레일(1)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그리드로 배열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 리세스(13)의 순차적인 순서는 이 예시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 유닛(20)을 기계적으로 체결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선반 레일(1)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각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선반-레일 시스템(1)과 관련하여 "위"와 "아래"라고 각각 언급될 수 있는 상부측(O)과 하부측(U)이 더 도시되어 있다.
리세스(13)는 높이(H)(도 4 참조)와 관련하여 약간 다르고, 여기서 높이(H)는 선반 레일(1)의 에지측 초기 높이로부터 시작하여 하나의 리세스(13)에서 그 다음 리세스(13)로 가면서 약 0.1mm 증가한다. 여기서, 상부측(O)을 향해 배향된 리세스(13)의 상위 에지는 모두 선 또는 평면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리세스(13)의 상이한 높이는 하부측(U)을 향해 연장된다. 물론, 이러한 약간의 높이 차이는 도면의 개략도에서는 자세히 볼 수 없지만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센서(99)를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도 3은 디스플레이 유닛(20) 중 하나와 선반 레일(1)의 상호 작용을 상세히 도시하며, 여기서 선반 레일(1)은 디스플레이 유닛 옆 측방에서 절단되고, 디스플레이 유닛(20)은 선반 레일(1)에 완전히 삽입된다.
선반 레일(1)은 도면에서 수직으로 도시된 제1 경계 벽(2)(기준 벽(2))을 포함한다.
상위 단부에서 제1 경계 벽(2) 또는 기준 벽(2)은 제2 경계 벽(3)과 합쳐진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경계 벽(3)과 기준 벽(2)은 일체형, 예를 들어, 강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기준 벽(2)과 제2 경계 벽(3)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유닛(20)을 수용하기 위해 양측이 이들 벽(2 및 3)으로 제한된 캡처 영역(4)이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측면, 즉 캡처된 영역(4)의 공간 영역에서 측정된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면에서 기준 벽(2)과 제2 경계 벽(3) 사이에는 약 53°의 예각(8)이 형성된다.
제2 경계 벽(3)은 케이블 캐리어 판으로서 설계된 케이블 캐리어(5)가 삽입되는 수용 샤프트(7)를 포함한다. 케이블 캐리어(5)는 수용 샤프트(7)에 삽입되는 측이 수용 샤프트(7)의 형상에 맞춰져 있으며, 즉 본질적으로 T자형이다. 케이블 캐리어(5)는 수용 샤프트(7)에 삽입되거나 수용 샤프트로부터 제거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용 샤프트(7)에서 도 1의 이미지 평면 밖으로 또는 안으로 이동될 수 있다.
케이블 캐리어(5)에 의해 지지되는 전도체(6)는 각각 단일 코어 구리 와이어(6)로 제조되고 절연층 없이 설계된다. 와이어(6) 단면의 50%를 초과하는 부분(반경 치수의 약 2/3)이 케이블 캐리어(5) 내에 매립된다. 이 경우에, 제2 경계 벽(3)에 가장 가까운 와이어(6)는 전력 공급선이고, 중간선(6)은 신호 공급선이며, 제2 경계 벽(3)에서 가장 먼 와이어(6)는 기준 전위선이다. 와이어(6)는 기준 벽(2)을 향하는 케이블 캐리어(5) 측에 배열되어 선반 레일(1)의 버스 시스템의 라인을 형성한다.
케이블 캐리어(5)와 기준 벽(2)은 각각 이미지 평면으로부터 또는 이미지 평면 내로 측정된 길이를 나타내는 제1 치수(길이 방향 연장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둘 모두는 동일한 크기이고, 예시적으로 약 1.5m 길이이다. 그러나, 선반 레일(1)에 다른 길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케이블 캐리어(5)는 케이블 캐리어(5)의 수직 연장을 나타내는 제2 치수(높이)를 포함한다. 이에 상응하여, 기준 벽(2)은 도 1에서 기준 벽(2)의 수직 범위를 나타내는 제3 치수(높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케이블 캐리어(5)의 제2 치수는 기준 벽(2)의 제3 치수의 대략 40%이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치수는 약 3cm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케이블 캐리어(5)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절연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지고, 여기서 와이어(6)는 케이블 캐리어(5)를 제조하는 방법 동안 이미 매립되었다.
제2 경계 벽(3)은 디스플레이 유닛(20)이 삽입될 때 이 헤드측 위로 연장되는 펜촉 또는 후크 형상의 에지 영역(12)을 단부에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은 기준 벽(2)에 평행한 직선 이동을 통해 제2 경계 벽(3)의 방향으로 선반 레일(1) 내로 아래에서부터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도 1에서 위치된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은 후방 벽(22)을 갖는 하우징(21)을 포함한다. 후방 벽(22)은 선반 레일(1)에 삽입될 때 기준 벽(2)에 가장 가까운 하우징(21)의 부분을 나타낸다. 후방 벽(22)의 반대쪽에는 스크린(24)을 포함하는 전방 패널(23)이 있다. 전방 벽(23)은 선반 레일(1)의 에지 영역(12)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단차를 상위 단부에 포함한다. 전방 벽(23)과 후방 벽(22) 사이 하우징(21)에는 측벽(25)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상부측을 따라 이어지는 측벽(25)은 케이블 지지 홈(26)을 포함하고, 이의 수직 벽은 본질적으로 후방 벽(22)과 평행하다. 케이블 캐리어 홈(26)은 케이블 캐리어(5)를 수용하도록 제공되고, 그 치수에 맞는 치수를 갖는다.
하우징(21)은 하우징(21)으로부터 케이블 캐리어 홈(26) 내로 돌출하는 접점을 통해 후방 벽 측의 케이블 캐리어 홈(26)에 하우징 개구를 포함한다. 접점은 금속 접점 스트립(27)의 그룹으로 구현된다. 각각의 접점 스트립(27)은 디스플레이-유닛 전자 장치에 납땜된 제1 단부 구획을 포함한다. 더욱이, 접점 스트립(27)은 와이어(6) 중 하나와 접촉하도록 형성되거나 형성된 제2 단부 구획을 포함한다. 제2 단부 구획은 접점 구역으로서 상승된 형상을 포함한다.
도 4는 선반 레일(1)과 디스플레이 유닛(20)의 후방측 구획을 보여준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20)은 체결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그 중 단 2개의 체결 후크(33)와 이에 결합된 노브(34)만이 디스플레이 유닛(20)의 하우징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후방 벽(22)은 체결 후크(33)가 돌출하는 장착 하우징 개구를 포함한다. 버튼(34)이 눌려지지 않으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체결 후크(33)를 리세스(13)의 하위 단부로 아래쪽으로 누르고, 여기서 디스플레이 유닛(20)은 선반 레일(1) 내 상방으로 눌리거나 이동된다. 체결 후크(33)는 각각 리세스의 높이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체결 후크(33)의 이동 폭은 센서(99)를 통해 검출되고, 이 센서는 체결 후크(33)의 기계적 움직임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이 전기 신호는 디스플레이-유닛 전자 장치를 통해 검출되고, 케이블 경로(6)를 통한 통신을 통해 디지털 표현을 통해 선반-레일 제어기(40)로 전송되고, 여기서 제어기 전자 장치가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절대 위치를 결정하거나 디코딩하고, 이를 통해 선반 레일을 따른 각 위치에서 각 치수의 개별 높이와, 센서의 각 위치에서 예상되는 신호 값(또는 예상 값 범위)을 알게 된다. 선반-레일 제어기(40)는 이러한 방식으로 결정된 선반 레일(1)을 따른 절대 위치를 무선으로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위치는 선반 레일(1)과 선반-레일 제어기(40) 사이의 연결이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통신 선반-레일 제어기(40)의 검출에 의해 명확하게 결정된 영향을 받은 선반 레일(1)에 대한 지식과 함께 서버에 기록된다.
센서(99)는 두 개의 체결 후크(33) 또는 단 하나의 체결 후크(33)만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선반 레일(1)의 전방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순차적 순서를 결정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의 실시예 유형을 설명하는 도 5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 유형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20)은 센서(99)로서 좌측 송신기(LT)와 우측 송신기(RT)를 포함한다. 이는 선반 레일(1)의 전방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유닛(20) 간의 단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것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좌측 송신기(LT)는 수신기로만 설계될 수 있고, 우측 송신기(RT)는 송신기로만 설계될 수 있다. 선반-레일 제어기(40)는 또한 아날로그 고려 사항이 적용되는 센서(99)로서 송신기(T)를 포함하고, 즉, 이것이 수신용으로만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수신기로만 설계될 수도 있다. 각 선반-레일 디바이스(20 및 40)는 선반-레일 디바이스(20 및 40)의 각각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코드(ID1, ID2 및 ID3)로 식별된다. LT, RT 및 T 송신기는 적외선 기반 통신용으로 설계된다.
선반 레일(1)의 전방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선반-레일 제어기(40)는 디스플레이 유닛(20)을 순차적 순서 결정 모드로 제어한다. 이 모드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20)은 고유 코드(ID1 및 ID2)를 우측 송신기(RT)를 통해 인접한 선반-레일 디바이스, 즉 우측 디스플레이 유닛(20) 또는 선반-레일 제어기(40)로 송신한다. 우측 디스플레이 유닛(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좌측에 위치된 선반-레일 디바이스로부터 좌측 송신기(TL)를 통해 코드가 또한 수신되는 한, 이 수신된 코드(ID1)는 또한 우측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우측 송신기(RT)를 통해 방출되고, 좌측에서 수신된 코드(ID1)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이러한 통신 유형은 디스플레이 유닛(2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20)으로 전달되는 코드의 수를 증가시키고, 여기서 이것은 또한 좌측에서 획득된 하나 또는 복수의 코드가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자체 코드와 함께 우측으로 방출되는 것으로 표시된다.
궁극적으로, 본 예에서 선반-레일 제어기(40)는 바로 선반 레일(1)의 전방에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순차적 순서를 나타내는 모두 두 개의 코드(ID1 및 ID2)를 순차적 순서 표시와 함께 수신한다. 선반-레일 제어기(40)는 이 결과를 자신의 코드(ID3)와 함께 무선 통신(71)을 통해 서버(60)에 전달하고, 여기서 이 순차적 순서는 관련 선반 레일(1)에 대해 저장된다.
궁극적으로,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일 뿐, 이는 본 발명의 분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당업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지적한다. 또한 완전성을 기하기 위해, 단수형 요소는 복수의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Claims (15)

  1. 선반-레일 시스템(100)으로서,
    - 선반 레일(1), 및
    - 상기 선반 레일(1)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레일 디바이스(20, 40)
    를 포함하고,
    - 상기 선반-레일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99)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99)는 상기 선반 레일(1)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상기 선반 레일(1)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레일 디바이스(20)의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하고/하거나, 상기 선반 레일(1)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상기 선반 레일에 부착된 적어도 2개의 선반-레일 디바이스(20)의 순차적 순서를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제공되고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99)는 상기 선반-레일 디바이스(20)에 설치되고, 상기 선반 레일(1)의 코딩 요소,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코딩 요소를 검출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99)는 상기 코딩 요소 또는 상기 복수의 코딩 요소를 기계적, 전기적, 특히 저항성, 유도성 또는 용량성 또는 광학적으로 검출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요소는 상기 선반 레일(1)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상기 선반 레일(1), 특히 적어도 하나의 선반-레일 벽(2)의 리세스(1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13)는 그리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선반-레일 디바이스(20)를 상기 선반 레일(1)에 힘 전달 방식으로 체결하도록 제공되고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13)는 형상 및/또는 치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8. 제7항에 있어서,
    모든 리세스(13)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요소는 그 특성 중 하나, 특히 단 하나만이 다르고, 각 특성은 단 한 번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을 특징짓는 척도(H)는 하나의 코딩 요소로부터 그 다음 코딩 요소로 가면서 단 하나의 측정 단위만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99)는 상기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선반-레일 디바이스(20, 40)에 대해 상기 선반 레일(1)을 따라 인접한 물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각 선반-레일 디바이스(20, 40)는 센서(99)로서 선반-레일 디바이스 간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TL, TR)를 포함하고, 각각의 선반-레일 디바이스(20, 40)는 위치 및/또는 순차적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두 인접한 선반-레일 디바이스(20, 40) 간의 통신 및/또는 신호 전송 결과를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99)는 상기 선반 레일(1)을 따라 전파되는 신호를 검출하도록 설계되고, 특히 기계적으로 여기된 신호, 특히 바람직하게는 음향 신호의 비행 시간을 측정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레일 시스템(100)은 상기 선반 레일(1)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선반-레일 디바이스(20)를 제어하는 데, 특히 또한 상기 다른 선반-레일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선반-레일 제어 디바이스(40)를 상기 선반-레일 디바이스 중 하나로서 포함하고; 특히, 상기 다른 선반-레일 디바이스(20)는 전자 선반-레일 디스플레이, 또는 선반-레일 카메라, 또는 선반-레일-온도 및/또는 습도 검출 디바이스 또는 선반-레일 입력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레일(1)은 케이블 시스템, 특히 정확히 3개의 전도체(6)를 포함하는 케이블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레일 제어 디바이스(40)는 상기 케이블 시스템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선반-레일 디바이스(20)는 상기 케이블 시스템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레일 시스템(100).
KR1020237034508A 2021-03-09 2022-03-05 선반 레일에서의 장치의 위치결정 KR202400116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PCT/EP2021/055916 2021-03-09
PCT/EP2021/055914 WO2022188955A1 (de) 2021-03-09 2021-03-09 Tragevorrichtung, insbesondere regalschiene, zum tragen eines elektronischen geräts, bevorzugt einer elektronischen anzeigeeinheit
EPPCT/EP2021/055914 2021-03-09
PCT/EP2021/055916 WO2022188956A1 (de) 2021-03-09 2021-03-09 Bussystem und tragevorrichtung mit einem solchen bussystem
EPPCT/EP2021/086144 2021-12-16
PCT/EP2021/086144 WO2023110100A1 (en) 2021-12-16 2021-12-16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shelf label
PCT/EP2022/055654 WO2022189314A1 (de) 2021-03-09 2022-03-05 Lokalisierung eines gerätes an einer regalschie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664A true KR20240011664A (ko) 2024-01-26

Family

ID=80953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508A KR20240011664A (ko) 2021-03-09 2022-03-05 선반 레일에서의 장치의 위치결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05615A1 (ko)
JP (1) JP2024514407A (ko)
KR (1) KR20240011664A (ko)
AU (1) AU2022231854A1 (ko)
CA (1) CA3211260A1 (ko)
WO (1) WO20221893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534A (en) * 1991-09-10 1993-09-14 Ers Associates Limited Partnership Electronic tag location systems
US5374815A (en) * 1993-03-15 1994-12-20 Electronic Retailing Systems Int'l Inc. Technique for locating electronic labels in an electronic price display system
US6550673B2 (en) * 2000-09-19 2003-04-22 Michael J. Massaro Electronic display for store shelves
FR3048806B1 (fr) 2016-03-08 2019-07-05 Store Electronic Systems Systeme d'affichage d'information dans une surface de vente
DE102017107927A1 (de) * 2017-04-12 2018-10-18 Rehau Ag + Co Gehäuse zur Aufnahme einer elektronischen Anzeigeeinrichtung zur Anzeige von warenbezogenen Informationen
EP3984288A1 (de) * 2019-06-17 2022-04-20 SES-Imagotag GmbH Elektronisches regaletiketten-system mit standardisiertem funk-kommunikationsprotoko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9314A1 (de) 2022-09-15
JP2024514407A (ja) 2024-04-02
CA3211260A1 (en) 2022-09-15
EP4305615A1 (de) 2024-01-17
AU2022231854A1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5905B (zh) 用于库存管理的系统
US11468401B2 (en) Application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EP2600752B1 (en)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US20060097875A1 (en) Sensor devi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merchandise
KR20100061578A (ko) 룸 상황 감시방법 및 시스템
KR20240011664A (ko) 선반 레일에서의 장치의 위치결정
US20240185744A1 (en) Locating a device on a shelf rail
CN111356385B (zh) 用于库存管理的系统
CN117321657A (zh) 设备在货架导轨上的定位
JP2011090647A (ja) 情報表示システム、管理装置、情報表示装置及び電子棚札端末
CN112996417A (zh) 用于库存管理的系统
EP3908153B1 (en) Retail shelf floor divider
CN108490394A (zh) 物品位置采集分析装置及方法
KR20230000229U (ko) 상품 진열 선반에 부착하여 진열된 상품의 재고를 파악하는 재고 관리 장치
AU2013205058A1 (en)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JP2018049574A (ja) 伝送装置、ブレードおよび搭載位置特定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