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408A - 자동차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차를 관리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및 그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차를 관리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및 그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1408A KR20240011408A KR1020220088833A KR20220088833A KR20240011408A KR 20240011408 A KR20240011408 A KR 20240011408A KR 1020220088833 A KR1020220088833 A KR 1020220088833A KR 20220088833 A KR20220088833 A KR 20220088833A KR 20240011408 A KR20240011408 A KR 202400114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cleaning
- information
- inspection
- automobi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SAZUGELZHZOXHB-UHFFFAOYSA-N acecarbromal Chemical compound CCC(Br)(CC)C(=O)NC(=O)NC(C)=O SAZUGELZHZOXHB-UHFFFAOYSA-N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ZKHQWZAMYRWXGA-KQYNXXCUSA-J ATP(4-) Chemical compound C1=NC=2C(N)=NC=NC=2N1[C@@H]1O[C@H](COP([O-])(=O)OP([O-])(=O)OP([O-])([O-])=O)[C@@H](O)[C@H]1O ZKHQWZAMYRWXGA-KQYNXXCUSA-J 0.000 description 6
- ZKHQWZAMYRWXGA-UHFFFAOYSA-N Adenosine triphosphate Natural products C1=NC=2C(N)=NC=NC=2N1C1OC(COP(O)(=O)OP(O)(=O)OP(O)(O)=O)C(O)C1O ZKHQWZAMYRWXG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MGWGWNFMUOTEHG-UHFFFAOYSA-N 4-(3,5-dimethylphenyl)-1,3-thiazol-2-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2N=C(N)SC=2)=C1 MGWGWNFMUOTEH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JCXJVPUVTGWSNB-UHFFFAOYSA-N nitroge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N]=O JCXJVPUVTGWS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04 rad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SYUHGPGVQRZVTB-UHFFFAOYSA-N radon atom Chemical compound [Rn] SYUHGPGVQRZV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79 data visua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15 liquefied petroleum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39 volatil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RPLCPCMSCLEKRS-BPIQYHPVSA-N desogestrel Chemical compound C1CC[C@@H]2[C@H]3C(=C)C[C@](CC)([C@](CC4)(O)C#C)[C@@H]4[C@@H]3CCC2=C1 RPLCPCMSCLEKRS-BPIQYHPV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SFSSNUMVMOOMR-NJFSPNSNSA-N methanone Chemical compound O=[14CH2] WSFSSNUMVMOOMR-NJFSPNSN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5 mo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7 qual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384 small molecu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83—Filtering the quality of the filter or the air being check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클리닝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 기술로서, 자동차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 공조장치 내에 설치된 필터를 교체해야하는지, 공조장치 내부 에바포레이터를 크리닝 해야 하는지 또는, 실내 클리닝을 포함하는 세차를 해야하는지를 자동차 소유자에게 제공하고, 나아가 신차 출시부터 폐차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쳐 자동차의 클리닝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및 그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클리닝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 공조장치 내에 설치된 필터를 교체해야하는지, 공조장치 내부 에바포레이터를 크리닝 해야 하는지 또는, 실내 클리닝을 포함하는 세차를 해야하는지를 자동차 소유자에게 제공하고, 나아가 신차 출시부터 폐차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쳐 자동차의 클리닝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및 그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공조케이스 내부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매체를 서로 열교환시킴으로써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차량의 실내를 냉난방하는 장치이다.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5-0112276호에 개시된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에 외기 또는 내기를 선택적으로 흡입하는 송풍기(B)와 증발기(E) 및 히터코어(H)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공조케이스(10)와 필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터(20)는 송풍기(B)에 의해 공조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유해성분, 냄새 등을 제거하기 위해, 공조케이스(10) 내부의 증발기(E) 및 히터코어(H) 사이에 설치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를 출시하고 시간이 지나면, 자동차 시트와 대쉬보드 등 여기저기가 오염되고 세균과 곰팡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자동차 소유자는 고온, 고압의 스팀 및 친환경세제를 이용한 세차를 일정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해야 한다.
자동차 공조장치 내 필터와 실내 클리닝은 자동차 내부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시키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필터의 수명은 유입되는 실내 공기가 깨끗해야 하기 때문에, 고온, 고압의 스팀 및 국내 시험인증을 받은 세제를 이용한 실내 클리닝을 수 개월에 한번씩 해주어야 한다. 또한, 자동차 공조케이스 내 필터가 유입되는 공기중에 부유세균,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극초미세먼지, 곰팡이, 라돈, 총유기휘발성화합물, 포름알데히드, 이산화탄소, 메탄, 오존 및 이산화질소를 깨끗하게 제거하지 못하면 고온, 고압의 스팀 및 국내 시험인증을 받은 세제를 이용한 세차가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들어 자동차번호만 입력하면 자동차 시세를 알려주는 온라인 사이트가 운영되고 있으나, 객관적으로 자동차의 클리닝 상태를 정확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 공조장치 내에 설치된 필터를 교체해야하는지 또는 공조장치 내부 에바포레이터를 크리닝 해야 하는지 또는, 실내 클리닝을 포함하는 세차를 해야하는지를 자동차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자동차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차를 관리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및 그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신차 출시부터 폐차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쳐 자동차의 클리닝 정보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제공하는 자동차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차를 관리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및 그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자동차 소유자로 하여금 필터와 자동차 클리닝 상태를 점검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및 그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존에 별개로 운영되던 자동차 세차업체와 중고차 중개업체와 자동차 검사소와 자동차 정비업체들 간의 업무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및 그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는 자동차에 탑재된 통신단말과 자동차 세차업체에서 사용되는 제1 통신단말과 자동차 소유자가 사용하는 제2 통신단말 및 중고차 중개업체에서 사용되는 제3 통신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서,
복수의 자동차번호와 그에 대응하는 자동차 소유자가 사용하는 통신단말 식별정보 및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자동차에 탑재된 통신단말로부터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기준값과 측정값과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를 수신하는 자동차 공기질정보 수신부와;
상기 자동차 세차업체에서 사용되는 제1 통신단말로부터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자동차 클리닝 검사항목별 측정값을 포함하는 제1 자동차 검사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동차 검사정보 등록부와;
상기 제1 자동차 검사정보에 포함된 자동차 클리닝 후 경과된 시간과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자동차 공조장치 내에 설치된 필터를 교체해야하는지 또는 공조장치 내부 에바포레이터를 크리닝 해야 하는지 또는, 실내 클리닝을 포함하는 세차를 해야하는지를 판단하는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측정값과 기준값과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와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공기질 정보를 해당 자동차 소유자가 사용하는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자동차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는 자동차 클리닝 검사항목별 기준값과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에 따른 클리닝 레벨과 상기 클리닝 레벨에 대응하는 클리닝 인증마크정보와 스팀세차 자격증 정보를 보유한 세차 인력 정보를 저장하는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측정값과 기준값과 상기 제1 자동차 검사정보와 상기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제1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에 대응하는 제1 클리닝 레벨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클리닝 레벨과 상기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검사날짜를 이용하여 제1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클리닝 레벨과 제1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상기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의 자동차정보 제공부는 통신단말로부터 자동차번호와 사용자가 선택한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자동차번호와 사용자가 선택한 클리닝 검사항목으로 검색하여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이를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는 자동차 정비업체에서 사용되는 제4 통신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자동차 검사정보 등록부는 상기 자동차 정비업체에서 사용되는 제4 통신단말로부터 자동차번호와 정비날짜와 정비내용과 수리가 이루어진 자동차 부품, 수리 정도를 포함하는 제2 자동차 검사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는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측정값과 기준값과 상기 제1 자동차 검사정보와 상기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제2 자동차 검사정보를 이용하여 제2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제2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에 대응하는 제2 클리닝 레벨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2 클리닝 레벨과 상기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검사날짜를 이용하여 제2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클리닝 레벨과 제2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상기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는 자동차 검사소에서 사용되는 제5 통신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의 자동차 검사정보 등록부는 상기 자동차 검사소에서 사용되는 제5 통신단말로부터 자동차번호와 검사날짜와 검사내용을 포함하는 제3 자동차 검사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의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는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측정값과 기준값과 상기 제1 자동차 검사정보와 상기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제3 자동차 검사정보를 이용하여 제3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제3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에 대응하는 제3 클리닝 레벨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3 클리닝 레벨과 상기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검사날짜를 이용하여 제3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3 클리닝 레벨과 제3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은,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이다.
상기 통신단말은 사용자 입력부; 표시부; 통신부;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앱(APP)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앱(APP)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자동차 공조장치 내부의 공기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차 공조장치 내부의 공기질 정보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에 자동차번호 입력창과 복수의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자동차번호와 상기 복수의 클리닝 검사항목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자동차번호와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가시적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자동차번호 입력창과 복수의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클리닝 검사항목은 필터, 공조장치 내 공기질, 클리닝 레벨, 클리닝 인증서, 복수의 도막 측정 위치, 광도 및 광택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이 클리닝 레벨인 경우, 상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클리닝 검사날짜별 클리닝 레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이 클리닝 인증서인 경우, 상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클리닝 검사날짜와 클리닝 인증마크와 인증마크 색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이 복수의 도막 측정 위치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도막 측정 위치에서의 도막 측정값과 사고추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이 광도인 경우, 상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광도 측정값과 신차 기준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이 광택도인 경우, 상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광택 측정값과 신차 기준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는 자동차에 탑재된 통신단말로부터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기준값과 측정값과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를 수신하는 자동차 공기질정보 수신부와, 자동차 클리닝 후 경과된 시간과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자동차 공조장치 내에 설치된 필터를교체해야하는지, 공조장치 내부 에바포레이터를 크리닝 해야 하는지 또는, 실내 클리닝을 포함하는 세차를 해야하는지를 판단하는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와,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측정값과 기준값과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와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공기질 정보를 해당 자동차 소유자가 사용하는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자동차정보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현됨으로써, 통신단말 사용자는 자동차 공조장치 내에 설치된 필터를 교체해야하는지, 공조장치 내부 에바포레이터를 크리닝 해야 하는지 또는, 공조장치 내부 에바포레이터를 크리닝 해야 하는지 또는, 실내 클리닝을 포함하는 세차를 해야하는지를 점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는, 자동차 세차업체 통신단말로부터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자동차 클리닝 검사항목별 측정값을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자동차 검사정보와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제1 클리닝 레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자동차의 제1 클리닝 레벨과 상기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검사날짜를 이용하여 제1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생성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는 자동차 소유자가 변경되더라도 자동차번호를 이용해서 신차 출시부터 폐차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쳐 자동차의 클리닝 정보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소유자 통신단말 및 중고차 중개업체 통신단말에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앱(APP)이 저장됨으로써, 자동차 소유자 또는 중고차 중개업체는 언제든지 자동차의 클리닝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고차 중개업체는 중고차의 클리닝 레벨과 클리닝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중고차 판매비 또는 리스 대여비를 책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중고차 중개인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중고차의 클리닝 레벨과 클리닝 인증 정보를 출력하여 보여주고, 고객은 중고차의 상태를 어느 정도 신뢰하고 매매계약 또는 리스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도 1 은 선행문헌에 공개된 자동차 공조장치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은 도 7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에서 클리닝 레벨을 선택한 경우 그 결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도이다.
도 9 는 도 7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에서 클리닝 인증서를 선택한 경우 그 결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도이다.
도 10 은 도 7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에서 광택도를 선택한 경우 그 결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도이다.
도 11 은 도 7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에서 도막 측정 위치를 선택한 경우 그 결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 동작의 결과 중 클리닝 전후의 측정값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은 도 7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에서 클리닝 레벨을 선택한 경우 그 결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도이다.
도 9 는 도 7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에서 클리닝 인증서를 선택한 경우 그 결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도이다.
도 10 은 도 7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에서 광택도를 선택한 경우 그 결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도이다.
도 11 은 도 7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에서 도막 측정 위치를 선택한 경우 그 결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 동작의 결과 중 클리닝 전후의 측정값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부",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자동차 세차업체(110)와 자동차 소유자(120)와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사용자 조작부와 디스플레이 장치와 마이크와 스피커가 장착되고, 이동통신망을 포함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에 연결되는 통신단말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공기질 감지센서(30)와 자동차 전장부(40)와 통신부(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공기질 감지센서(30)는 자동차 공조장치를 통해 유입되는 부유세균,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극초미세먼지, 곰팡이, 라돈농도, 총유기휘발성화합물농도, 포름알데히드농도, 이산화탄소농도, 메탄농도, 오존농도 및/또는 이산화질소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공기질 감지센서(30)는 예를 들어, 도 1의 필터(20)와 히터코어(H)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자동차 전장부(40)는 엔진과 자동차의 전자제어를 총괄하고 제어한다. 일례로, 자동차 전장부(4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자동차 전장부(40)는 자동차에 장착된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계산할 수 있다.
자동차 전장부(40)는 공기질 감지센서(30)로부터 입력되는 공기질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공기질 기준값의 차이를 계산하고, 자동차 공조장치 내 공기질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일례로, 분석결과는 측정값과 기준값의 차이에 따라 좋음, 보통, 민감군에게 해로움, 모두에게 해로움, 매우 해로움, 치명적임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질 기준값은 신차 출시 당시의 공기질 측정값 또는 자동차 검사소에서 허용하는 허용기준값일 수 있다. 공기질 기준값이 신차 출시 당시의 공기질 측정값일 경우, 자동차 소유자는 현재 자동차의 상태가 신차와 비교하여 얼마나 성능이 떨어졌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 전장부(40)는 공기질 감지센서(3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예를 들어, 공기질 기준값과 측정값과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를 통신부(50)를 통해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자동차 전장부(40)는 분석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자동차 운전자는 후각적으로 자동차 실내에 퍼진 악취와 냄새를 확인할 수도 있고 기준값과 측정값과 분석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 세차업체(110) 또는 자동차 소유자(120)가 사용하는 통신단말은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각 구성들(110 내지 120)은 실시간 업무 협업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통신단말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통신단말은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앱(APP)을 저장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앱(APP)은 플레이 스토어 또는 앱 스토어에 저장되어 통신단말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데이터 통신망은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자동차 세차업체(110)는 세차장비와 세차 인력과 영업소를 운영하는 대형 업체일 수도 있고, 자동차 내부에 세차장비를 설치하고 고객 자동차가 주차된 장소로 이동하여 세차하는 개인일 수 있다.
세차장비는 바람직하게는, 스팀세차장비로 구현될 수 있다. 스팀세차장비는 세척수를 고온으로 가열하고, 고온의 스팀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차하는 장비이다. 스팀세차장비는 외부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도 있고, 자동차 배터리 전원을 승압하여 구동될 수 있다.
스팀세차장비는 자동차 내외장재에 묻은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하기 위해 고온고압의 스팀을 분사한다. 작업자 및 고객의 건강과 환경을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자는 안전한 성분으로 인증받은 세제, 예를 들어, 젤타(ZELLETA) 브랜드가 새겨진 세제를 상업적으로 구매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스팀세차 기술은 손세차, 기계세차, 워터리스세차 또는 통상적인 물세차와는 달리, 스팀세차 숙련인이 수행하는 이론수업과 실전수업으로 이루어진 소정 기간의 교육과정을 이수해야만 체득될 수 있다. 즉, 스팀세차 기술은 미경험자가 절대로 혼자서 터득할 수 없으며, 미경험자가 스팀세차를 한다 해도 제대로 된 세차가 될 수 없다.
자동차 세차업체(110)는 교육청에 스팀세차 전문교육기관으로 등록된 업체일 수 있다. 자동차 세차업체(110)는 소정 기간의 스팀세차 교육과정을 이수한 졸업자에게 전문기관 교육 수료증을 발부할 수 있다.
자동차 세차업체(110)는 통신단말을 통해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로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자동차 클리닝 검사항목별 측정값을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대상은 자동차의 본넷, 앞유리, 앞범퍼, 앞쪽 휀다, 앞문(유리 포함), 뒷문(유리 포함), 뒤쪽 휀다, 트렁크, 뒷유리, 뒷범퍼, 타이어, 엔진오일 캡, 타이밍 벨트, 브레이크 오일 캡, 배터리, 전기배선, 냉각수 저장통, 발전기, 룸미러, 기어봉 주변, 대쉬보드, 센터페시아, 핸들, 계기판, 전조등, 시트 및 발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검사항목은 광도(LUX), 도막(㎛), 광택도(GU), 세균농도, 공기청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용 단말은 예컨대 광택도 측정기(Gloss Meter Reading), 광도 측정기, 도막 두께 측정기, 공기질 측정기, 부유균 측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택작업은 난반사가 일어나는 도장표면을 정반사가 일어나도록 평면작업을 해주는 것이다. 정반사가 일어나게 만든다는 것은 빛의 굴절을 일정하게 함으로서 우리 눈에 광이 선명하게 보이게 하는 것이다. 유리의 광택도 기준을 100(GU)으로 하는데, 신차 출고 당시의 광택도를 재어보면 약 80(GU) 정도이다. 자동차는 평균 70(GU) 이상의 광택도를 유지해야 외관상 보기도 좋고 또한 페인트의 산화현상도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러기 때문에 자동차를 오랫동안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년에 1번 정도는 광택을 해주는 것이 좋다.
광도 측정기는 전조등의 밝기를 측정하는 것이다. 전조등은 로우빔, 하이빔으로 나뉘고, 전조등이 비추는 불빛을 바라보는 시점으로 좌우를 구분한다. 좌측과 우측 각각에 2개의 등이 있다면 4등식이고, 좌측과 우측 각각에 1개의 등이 있다면 2등식이다. 4등식인 경우 전조등의 광도 기준값은 12,000cd 이상이고, 2등식인 경우 전조등의 광도 기준값은 15,000cd 이상이다.
도막은 도료를 도포해 형성되는 피막을 의미한다. 도막으로 생긴 두께가 너무 얇으면 부식 방지 불량, 코팅의 벌어짐 현상, 언더 커팅이 발생할 수 있다. 코팅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코팅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깨지거나 건열이 발생한다.
판금도장을 비롯한 도장작업은 차량의 외관 향상 및 그 유지를 위해 높은 수준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판금도장은 차체를 출고 상태로 회복시키거나 도막의 광택이나 색채를 유지하여 미관을 보유토록 해준다. 판금도장은 주로 접촉사고와 같은 차량사고 시 파손부위를 원상복구하기 위해 실행된다. 판금도장을 한 부분의 도막의 두께는 판금도장을 하지 않은 부분보다 더 두껍다. 이에 판금도장 여부는 중고차를 구매하는데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자동차 사고유무 판단을 위해 도막 두께 측정기를 사용하여 본넷, 앞문, 뒷문, 휀다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질 측정기는 예컨대 부유물 감지센서, 라돈(Rn) 감지센서, 총유기휘발성화합물(TVOC) 감지센서, 포름알데히드 감지센서, 이산화탄소(CO2) 감지센서, 메탄(CH4) 감지센서, 이산화질소(NO2) 감지센서, 및/또는 오존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부유물 감지센서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부유물(Paticle)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부유물의 크기, 수 및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부유물(P)은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부유세균,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극초미세먼지 및 곰팡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공기질 측정기는 라돈농도, 총유기휘발성화합물농도, 포름알데히드농도, 이산화탄소농도, 메탄농도, 오존 및 이산화질소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각 측정값에 대해 좋음, 보통, 민감군에게 해로움, 모두에게 해로움, 매우 해로움, 치명적임으로 분류될 수 있다.
부유균 측정기는 포집된 미생물 입자의 세포로부터 추출된 아데노신3인산(ATP)이 발광물질과 반응하여 빛을 발함으로써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아데노신3인산(ATP)은 작은 분자이면서 고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는 물질이다. 아데노신3인산(ATP)은 대량의 에너지를 쉽게 저장할 수 있고 필요할 때 쉽게 방출할 수 있다.
자동차를 세차하는 작업은 내부 스팀 작업, 내부 타월 작업, 내부 청소기 작업, 드레싱 작업, 외부 초벌세차 작업, 외부 마무리세차 작업, 휠과 타이어 세차 작업, 및 타이어 드레싱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세차업체(110)는 일례로, 통신단말을 통해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로 자동차를 클리닝하기 전의 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와 자동차를 클리닝한 후의 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자동차 소유자(120)는 통신단말(예컨대, 스마트폰)을 통해 자동차 공조장치 내부의 공기질 측정값과 그 외 공기질 기준값과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 운전자는 후각적으로 자동차 실내에 퍼진 악취와 냄새를 확인할 수도 있고 기준값과 측정값과 분석결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 소유자(120)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로부터 입력된 판단결과, 예를들어 “실내 클리닝 필요”, 및/또는 “필터 교체”를 확인하고, 필터 교체를 위해 자동차 소모품 판매점이나 자동차 정비업체를 방문하거나 또는 자동차 실내 클리닝을 위해 자동차 세차업체를 방문하거나 이동식 자동스팀세차 방문요청을 예약하는 행동을 취할 수 있다.
자동차 소유자(120)는 자신의 자동차에 대해 신차 출시부터 현재까지 자동차 클리닝 정보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단말은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앱(APP)을 실행하여 자동차번호와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 요청정보를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로 전송하고,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로부터 전송된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가시적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자동차 소유자가 변경되더라도 자동차번호와 클리닝 검사항목을 입력하면, 누구든지 신차 출시부터 현재까지 자동차 클리닝 정보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중고차를 구매하거나 또는 리스하는 경우 오염된 중고차의 내부와 외부를 세차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만약 중고차가 신차와 거의 대등한 수준까지 세차되면 중고차를 구매하거나 또는 리스하려고 하는 사용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결국 계약 체결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중고차 중개인들은 오염물질이 제거된 중고차에 대해 높은 가격으로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다.
중고차 중개업체는 통신단말을 통해 입고 및 출고된 중고차 정보를 저장한다. 중고차 정보는 거래이력정보와 자동차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거래이력정보는 신차 출시부터 현재까지의 소유자 정보(예를 들어 나이, 이름, 주민번호, 주소, 연락처)와 차량모델, 연식, 주행거리, 연비, 기본 사양과 옵션 정보와 같은 자동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상태 정보는 자동차 정기 검사 정보, 종합 검사 정보 및 클리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과 자동차 세차업체(110)에서 사용되는 제1 통신단말과 자동차 소유자(120)가 사용하는 제2 통신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로부터 자동차 공조장치 내부의 공기질 측정값과 그 외 공기질 기준값과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를 입력받아 실내 클리닝이 필요한지 또는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는 복수의 자동차 세차업체(110)에서 실행한 자동차 클리닝 정보를 관리한다. 자동차 클리닝 정보는 자동차번호로 검색되기 때문에 자동차 소유자가 변경되더라도 신차 출시부터 폐차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쳐 자동차의 클리닝 정보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관리되는 것이다.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는 하나의 워크스테이션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서버 또는 하나의 워크스테이션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단지 서버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전용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자동차 세차업체(110)와 자동차 소유자(120)와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와 자동차 정비업체(310)와 자동차 검사소(3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 세차업체(110)와 자동차 소유자(120)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자동차 정비업체(310)는 정비 장비와 정비사와 영업소를 운영하는 대형 업체이거나 개인이 소규모로 운영하는 업체일 수 있다. 정비사는 정비 자격 1급 또는 2급과 같은 자격증을 소지한 인력이어야 한다. 정비사는 예를 들어, 자동차번호와 정비날짜와 정비내용과 수리가 이루어진 자동차 부품, 수리 정도를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정보를 기록한다.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는 자동차 정비업체(310)에서 사용하는 통신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는 자동차 정비업체(310)에서 사용하는 통신단말로부터 자동차번호와 정비날짜와 정비내용을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정보를 입력받는다. 자동차 정비업체(310)에서 실행한 자동차 검사정보는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자동차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신차 출고 당시에 비해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하게 되므로, 자동차 검사소에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자동차 정기검사 기준은 자동차 관리법의 자동차 안전기준과 튜닝 기준, 대기 환경보전법의 배출가스 허용기준, 소음·진동관리법의 경적음 및 배기음 허용기준에 따른다. 구체적인 검사 항목은 자동차 관리법 시행 규칙과 행정부 고시인 운전자 배출가스 검사 시행요령 등에 관한 규정 등에 따른다.
자동차 종합 검사는 특정 지역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 강화된 자동차 검사이다. 대상 지역과 차량에 따라 검사차량이 선정된다. 자동차 종합 검사는 대기 환경보전법, 수도권 대기 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 도 조례에 근거한다. 정기검사 항목에 추가해 배출가스 정밀검사가 시행되므로, 정기검사와 시기가 겹칠경우 종합검사만 받으면 된다.
자동차 검사소(320)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은 정기 검사 및 종합 검사를 받아야 하는 자동차 정보와 정기 검사 및 종합 검사를 받은 자동차 정보를 저장한다. 자동차를 검사하는 검사 장비는 예를 들어, ABS 검사 장비, 배출가스분석기, 매연측정기, 전조등 시험기, 카메라를 포함한다. 복수의 장비 PC는 각 검사 장비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ABS 검사 장비는 장비PC1과 연결되며, 배출가스 분석기는 장비PC2와 연결되며, 매연측정기는 장비PC3과 연결되며, 전조등 시험기는 장비PC4와 연결되며, 카메라는 장비PC4와 연결된다. 각 장비PC는 연결되어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입고된 자동차를 검사한다.
자동차 검사소(320)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은 정기 검사 및 종합 검사를 받은 자동차정보 일례로, 자동차번호와 자동차 소유자 정보와 조향륜 옆미끄럼량, 배출가스 농도, 제동력 측정, 경적음 및 배기소음, 속도계 오차, 액화석유가스 누출, 전조등 광도를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정보를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로 전송한다. 자동차 검사소(320)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검사정보는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는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141)와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142)와 자동차 공기질정보 수신부(143)와 자동차 검사정보 등록부(144)와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와 자동차정보 제공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는 일례로, 자동차에 탑재된 통신단말과 자동차 세차업체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과 자동차 소유자가 사용하는 통신단말 및 중고차 중개업체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141)는 복수의 자동차번호와 그에 대응하는 자동차 소유자가 사용하는 통신단말 식별정보 및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저장한다.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142)는 자동차 클리닝 검사항목별 기준값과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에 따른 클리닝 레벨과 상기 클리닝 레벨에 대응하는 클리닝 인증마크정보와 스팀세차 자격증 정보를 보유한 세차 인력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기준값은 신차 출시 당시의 측정값 또는 자동차 검사소에서 허용하는 허용기준값일 수 있다. 예컨대 공기질 기준값이 신차 출시 당시의 공기질 측정값일 경우, 자동차 소유자는 현재 자동차의 상태가 신차와 비교하여 얼마나 성능이 떨어졌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 공기질정보 수신부(143)는 자동차에 탑재된 통신단말로부터 일정한 주기, 예를 들어, 1일, 1주일, 또는 한달 간격으로 공기질 기준값과 측정값과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분석결과는 측정값과 기준값의 차이에 따라 좋음, 보통, 민감군에게 해로움, 모두에게 해로움, 매우 해로움, 치명적임으로 분류될 수 있다.
자동차 검사정보 등록부(144)는 자동차 세차업체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로부터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자동차 클리닝 검사항목별 측정값을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정보를 입력받아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한다.
자동차 검사정보 등록부(144)는 자동차 세차업체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로부터 자동차를 클리닝하기 전의 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와 자동차를 클리닝한 후의 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를 입력받아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실외 및 실내 클리닝은 수 개월, 예를 들어 5∼6개월 주기로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동차 공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역시 수 개월 주기로 교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자동차 클리닝 후 경과된 시간 및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아래 표 1과 같이 자동차 공조장치 내에 설치된 필터를 교체해야하는지, 공조장치 내부 에바포레이터를 크리닝 해야 하는지 또는, 실내 클리닝을 포함하는 세차를 해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후 경과된 시간 | 분석결과 | 판단결과 |
2개월 이하 |
좋음 | 실내클리닝과 필터 상태 양호 |
보통 | 실내클리닝과 필터 상태 양호 | |
민감군에게 해로움 | 필터 교체 요함 | |
3∼4개월 |
좋음 | 실내클리닝과 필터 상태 양호 |
보통 | 실내클리닝과 필터 상태 양호 | |
민감군에게 해로움 | 필터 교체 요함 | |
5∼6개월 |
좋음 | 실내 클리닝 요함 |
보통 | 실내 클리닝 요함 | |
민감군에게 해로움 | 실내 클리닝과 필터 교체 요함 | |
7개월 이상 |
좋음 | 실내 클리닝 요함 |
보통 | 실내 클리닝 요함 | |
민감군에게 해로움 | 실내 클리닝과 필터 교체 요함 |
위 표 1에서는 자동차 클리닝 후 경과된 시간을 2개월 간격으로 설정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월 또는 1주일, 더 나아가 1일로 설정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자동차 클리닝 검사항목별 측정값을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정보와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광도(LUX), 도막(㎛), 광택도(GU), 세균농도, 및 공기청정도 각각에 대한 측정값과 기준값의 차이값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얻은 값들을 합산함으로써 제1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자동차 세차업체에서 사용하는 통신단말에서 입력되는 자동차 클리닝 검사항목별 측정값과 자동차에 탑재된 통신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자동차 공조장치 내 공기질 기준값과 측정값을 이용하여 제1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자동차 세차업에서 1차 자동차 클리닝 검사를 받은 후 2차 자동차 클리닝 검사를 받기 전까지, 1차 자동차 클리닝 검사결과와 자동차에 탑재된 통신단말로부터 간헐적으로 입력되는 자동차 공조장치 내 공기질 기준값과 측정값을 이용하여 제1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산출된 제1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에 대응하는 제1 클리닝 레벨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가 70점 이상, 80점 미만이면 클리닝 레벨은 C등급,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가 80점 이상, 90점 미만이면 클리닝 레벨은 B등급, 그리고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가 90점 이상이면 클리닝 레벨은 A등급으로 규정될 수 있다.
자동차 검사정보에는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자동차 클리닝 검사항목별 측정값이 포함된다. 자동차 클리닝 검사항목은 광도(LUX), 도막(㎛), 광택도(GU), 세균농도, 공기청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검사정보에는 세차 인력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팀세차 자격증이 없는 사람이 스팀세차한 경우 자동차의 클리닝 레벨은 판정될 수 있으나,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는 스팀세차 기술은 손세차, 기계세차, 워터리스세차 또는 통상적인 물세차와는 달리, 스팀세차 숙련인이 수행하는 이론수업과 실전수업으로 이루어진 소정 기간의 교육과정을 이수해야만 체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추출된 자동차의 제1 클리닝 레벨과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검사날짜를 이용하여 제1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생성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는 클리닝 레벨(예, A급, B급)에 따라 구별되는 색정보(예: 금색, 은색)와 클리닝 날짜와 클리닝 인증마크를 발급하는 발급처명을 포함한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자동차의 제1 클리닝 레벨과 제1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한다.
자동차정보 제공부(146)는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측정값과 기준값과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와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공기질 정보를 해당 자동차 소유자가 사용하는 통신단말로 전송한다. 일례로, 자동차정보 제공부(146)는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된 자동차번호와 그에 대응하는 자동차 소유자가 사용하는 통신단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 공조장치 내부의 공기질 정보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자동차정보 제공부(146)는 자동차번호와 사용자가 선택한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141)를 자동차번호와 사용자가 선택한 클리닝 검사항목으로 검색하여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추출한다.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는 다른 예로, 손해보험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정보 제공부(146)는 손해보험사 서버로부터 자동차번호를 포함하는 자동차데이터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141)를 자동차번호로 검색하여 클리닝 레벨과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손해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는 또다른 예로, 자동차 정비업체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검사정보 등록부(144)는 자동차 정비업체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로부터 자동차번호와 정비날짜와 정비내용과 수리가 이루어진 자동차 부품 및 수리 정도를 포함하는 제2 자동차 검사정보를 입력받아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한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제1 자동차 검사정보와 상기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제2 자동차 검사정보를 이용하여 제2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광도(LUX), 도막(㎛), 광택도(GU), 세균농도, 및 공기청정도 각각에 대한 측정값과 기준값의 차이값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얻은 값들을 합산함으로써 제1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제2 자동차 검사정보에 포함된 수리가 이루어진 자동차 부품과 수리 정도에 따른 추가점수를 제1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에 더함으로써 제2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수리가 이루어진 자동차 부품과 수리 정도에 따른 추가점수는 정비사가 자동차 수리후 정비 메뉴얼에 따라 판정한 점수일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산출된 제2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에 대응하는 제2 클리닝 레벨을 추출한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추출된 제2 클리닝 레벨과 상기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검사날짜를 이용하여 제2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클리닝 레벨과 제2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한다.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140)는 또다른 예로, 자동차 검사소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검사정보 등록부(144)는 자동차 검사소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로부터 자동차번호와 검사날짜와 검사내용을 포함하는 제3 자동차 검사정보를 입력받아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한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제1 자동차 검사정보와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정보와 제3 자동차 검사정보를 이용하여 제3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3 자동차 검사정보는 일례로, 조향륜 옆미끄럼량, 배출가스 농도, 제동력 측정, 경적음 및 배기소음, 속도계 오차, 액화석유가스 누출, 또는 전조등 광도에 대해 합격 및 불합격 판정결과가 포함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광도(LUX), 도막(㎛), 광택도(GU), 세균농도, 및 공기청정도 각각에 대한 측정값과 기준값의 차이값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얻은 값들을 합산함으로써 제1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제3 자동차 검사정보에 포함된 합격 및 불합격 판정결과에 대응하는 점수를 제1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에 더함으로써 제3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합격 및 불합격 판정결과에 대응하는 점수는 프로그램에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산출된 제3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에 대응하는 제3 클리닝 레벨을 추출한다.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145)는 추출된 제3 클리닝 레벨과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검사날짜를 이용하여 제3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3 클리닝 레벨과 제3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단말은 주변기기(510 내지 540)와 제어부(5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주변기기는 사용자 입력부(510)와 표시부(520)와 통신부(530)와 저장부(5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510)는 키보드, 마우스뿐 아니라 소리 입력장치 또는 터치 입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520)는 LCD, LED, 또는 OLED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530)는 TCP/IP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모뎀과 3/4/5G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모뎀과 시리얼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540)는 SSD 메모리나 하드디스크(HDD)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540)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앱(APP)을 저장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앱(APP)은 플레이 스토어 또는 앱 스토어에 저장되어 통신단말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사용자 입력부(5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앱(APP)을 구동한다. 제어부(550)는 공기질데이터 수신부(551)와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 다운로드부(552)와 데이터 시각화 처리부(5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질데이터 수신부(551)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자동차 공조장치 내부의 공기질 측정값과 기준값과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와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공기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공기질데이터 수신부(551)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자동차 공조장치 내부의 공기질 정보를 예를 들어 1개월 또는 1주일, 더 나아가 1일 간격으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질 기준값은 신차 출시 당시의 공기질 측정값 또는 자동차 검사소에서 허용하는 허용기준값일 수 있다. 공기질 기준값이 신차 출시 당시의 공기질 측정값일 경우, 통신단말 사용자는 현재 자동차의 상태가 신차와 비교하여 얼마나 성능이 떨어졌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 다운로드부(552)는 자동차번호 입력창과 복수의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를 표시부(520)에 출력한다.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 다운로드부(552)는 사용자 입력부(510)로부터 입력된 자동차번호와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 요청정보를 생성한 후 통신부(530)를 통해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 다운로드부(552)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시각화 처리부(553)는 공기질데이터 수신부(551)에서 수신한 자동차 공조장치 내부의 공기질 분석결과와 판단결과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가시적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부(520)에 출력한다.
데이터 시각화 처리부(553)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 다운로드부(552)에서 수신한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가시적인 데이터, 예를 들어 그래프나 표로 변환하여 표시부(520)에 출력한다.
이하, 도 5에 도시한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을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는 자동차번호와 대응하는 통신단말(예컨대, 스마트폰)로 자동차 공조장치 내부의 공기질 정보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질 정보는 공기질 측정값과 그 외 공기질 기준값과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와 판단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11에서 통신단말은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자동차 공조장치 내부의 공기질 정보를 수신한 후, 단계 S612에서 자동차 공조장치 내부의 공기질 정보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통신단말 사용자는 자동차 공조장치 내에 설치된 필터를 교체해야하는지, 공조장치 내부 에바포레이터를 크리닝 해야 하는지 또는, 실내 클리닝을 포함하는 세차를 해야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부연하면, 본 발명은 자동차 소유자로 하여금 자동차 클리닝 상태를 점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단계 S613에서 통신단말은 자동차번호 입력창과 복수의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에는 자동차번호 입력창과 복수의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한다. 복수의 클리닝 검사항목은 필터, 공조장치 내 공기질, 클리닝 레벨, 클리닝 인증서, 복수의 도막 측정 위치, 광택도, 광도, 세균농도, 및 공기청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막 측정 위치는 예를 들어, 본넷, 앞문, 뒷문, 및 휀다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14에서 통신단말은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자동차번호와 복수의 클리닝 검사항목 예를 들어, 필터, 공조장치 내 공기질, 클리닝 레벨, 클리닝 인증서, 복수의 도막 측정 위치, 광택도, 광도, 세균농도, 및 공기청정도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다.
단계 S615에서 통신단말은 입력된 자동차번호와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를 통해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단계 S616에서 통신단말은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8를 참조하면, 클리닝 검사항목이 클리닝 레벨인 경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일례로, 클리닝 검사날짜별 필터, 공조장치 내 공기질, 클리닝 레벨과 광도, 도막, 광택도, 세균농도, 및 공기청정도 각각에 점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클리닝 검사항목이 클리닝 인증서인 경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클리닝 검사날짜와 클리닝 인증마크와 인증마크 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닝 인증마크는 클리닝 날짜와 클리닝 인증마크를 발급하는 발급처명을 포함한다. 인증마크 색정보는 클리닝 레벨 예를 들어, A급, B급에 따라 각각 금색, 은색으로 구별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클리닝 검사항목이 광택도인 경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광택 측정값과 신차 기준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클리닝 검사항목이 복수의 도막 측정 위치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도막 측정 위치에서의 도막 측정값과 사고추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클리닝 검사항목이 광도인 경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광도 측정값과 신차 기준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17에서 통신단말은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가시적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부에 출력한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 동작의 결과 중 클리닝 전후의 측정값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자동차 세차업체에 방문한 고객은 자동차 세차에 따른 결과를 수치로 확인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동차 세차업체는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자동차 클리닝 검사항목별 측정값과 기준값을 고객에게 제시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필터, 공조장치 내 공기질, 광도(LUX), 도막(㎛), 광택도(GU), 세균농도, 공기청정도 각각에 대하여 클리닝 전과 후의 클리닝 검사항목별 측정값 및 기준값을 비교 출력한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클리닝 검사항목별 기준값은 일례로 신차 출고시 자동차의 클리닝 검사항목마다 측정된 값일 수 있다. 도 12에서 필터, 공조장치 내 공기질, 광택도(GU), 세균농도, 공기청정도의 기준값은 신차 출고시 측정된 값이다.
이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은 현재 자동차의 클리닝 상태가 신차 출고시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성능 감소가 있었는지, 그리고 클리닝을 한 후에는 클리닝 이전 보다 어느 정도만큼 성능이 향상되었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클리닝 검사항목별 기준값은 자동차 운전이나 내구성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는 법 또는 조례로 정한 허용기준일 수 있다. 도 12에서 광도(LUX), 도막(㎛)의 기준값은 허용기준이 되는 값일 수 있다. 자동차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신차 출고 당시에 비해 성능이 어느 정도 저하되는 것은 필연적이다. 따라서 자동차 운전자는 정기적으로 자동차 검사소에 방문하여 자동차 검사를 받아야 하며, 검사결과는 양호 판정의 근거가 되는 허용기준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은 현재 자동차의 클리닝 상태가 자동차 검사소에서 양호 판정을 받을 정도인지 그리고 클리닝을 한 후에는 클리닝 이전 보다 어느 정도만큼 성능이 향상되었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는데,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를 기술사상을 유지한 채 다른 형태로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정기 검사 및 종합 검사를 수행하는 자동차 검사소가 클리닝 레벨을 판정하고 클리닝 인증을 부가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Claims (12)
- 자동차에 탑재된 통신단말과 자동차 세차업체에서 사용되는 제1 통신단말과 자동차 소유자가 사용하는 제2 통신단말 및 중고차 중개업체에서 사용되는 제3 통신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서,
복수의 자동차번호와 그에 대응하는 자동차 소유자가 사용하는 통신단말 식별정보 및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자동차에 탑재된 통신단말로부터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기준값과 측정값과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를 수신하는 자동차 공기질정보 수신부;
상기 자동차 세차업체에서 사용되는 제1 통신단말로부터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자동차 클리닝 검사항목별 측정값을 포함하는 제1 자동차 검사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동차 검사정보 등록부;
상기 제1 자동차 검사정보에 포함된 자동차 클리닝 후 경과된 시간과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자동차 공조장치 내에 설치된 필터를 교체해야하는지, 공조장치 내부 에바포레이터를 크리닝 해야 하는지 또는, 실내 클리닝을 포함하는 세차를 해야하는지를 판단하는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 및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측정값과 기준값과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분석결과와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공기질 정보를 해당 자동차 소유자가 사용하는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자동차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는,
자동차 클리닝 검사항목별 기준값과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에 따른 클리닝 레벨과 상기 클리닝 레벨에 대응하는 클리닝 인증마크정보와 스팀세차 자격증 정보를 보유한 세차 인력 정보를 저장하는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측정값과 기준값과 상기 제1 자동차 검사정보와 상기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제1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에 대응하는 제1 클리닝 레벨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클리닝 레벨과 상기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검사날짜를 이용하여 제1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클리닝 레벨과 제1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상기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1, 제2 또는 제3 통신단말 중 어느 한 통신단말로부터 자동차번호와 사용자가 선택한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자동차번호와 사용자가 선택한 클리닝 검사항목으로 검색하여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이를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는 자동차 정비업체에서 사용되는 제4 통신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자동차 검사정보 등록부는,
상기 자동차 정비업체에서 사용되는 제4 통신단말로부터 자동차번호와 정비날짜와 정비내용과 수리가 이루어진 자동차 부품, 수리 정도를 포함하는 제2 자동차 검사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측정값과 기준값과 상기 제1 자동차 검사정보와 상기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제2 자동차 검사정보를 이용하여 제2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제2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에 대응하는 제2 클리닝 레벨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2 클리닝 레벨과 상기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검사날짜를 이용하여 제2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클리닝 레벨과 제2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상기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는 자동차 검사소에서 사용되는 제5 통신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자동차 검사정보 등록부는,
상기 자동차 검사소에서 사용되는 제5 통신단말로부터 자동차번호와 검사날짜와 검사내용을 포함하는 제3 자동차 검사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자동차 클리닝 인증 처리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측정값과 기준값과 상기 제1 자동차 검사정보와 상기 부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제3 자동차 검사정보를 이용하여 제3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제3 자동차 클리닝 종합점수에 대응하는 제3 클리닝 레벨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3 클리닝 레벨과 상기 제1 세차 인력 정보와 자동차번호와 검사날짜를 이용하여 제3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3 클리닝 레벨과 제3 클리닝 인증마크정보를 상기 메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 청구항 2 에 기재된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으로서,
상기 통신단말은 사용자 입력부; 표시부; 통신부;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앱(APP)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앱(APP)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자동차 공조장치 내부의 공기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차 공조장치 내부의 공기질 정보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에 자동차번호 입력창과 복수의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자동차번호와 상기 복수의 클리닝 검사항목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자동차번호와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가시적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 -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번호 입력창과 복수의 클리닝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클리닝 검사항목은 필터, 공조장치 내 공기질, 클리닝 레벨, 클리닝 인증서, 복수의 도막 측정 위치, 광도, 및 광택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 -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이 클리닝 레벨인 경우,
상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클리닝 검사날짜별 클리닝 레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 -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이 클리닝 인증서인 경우,
상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클리닝 검사날짜와 클리닝 인증마크와 인증마크 색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 -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이 복수의 도막 측정 위치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도막 측정 위치에서의 도막 측정값과 사고추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 -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이 광도인 경우,
상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광도 측정값과 신차 기준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 -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클리닝 검사항목이 광택도인 경우,
상기 자동차 클리닝 데이터는 클리닝 검사날짜와 자동차를 세차하기 전과 후의 광택 측정값과 신차 기준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8833A KR20240011408A (ko) | 2022-07-19 | 2022-07-19 | 자동차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차를 관리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및 그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8833A KR20240011408A (ko) | 2022-07-19 | 2022-07-19 | 자동차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차를 관리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및 그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1408A true KR20240011408A (ko) | 2024-01-26 |
Family
ID=8971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8833A KR20240011408A (ko) | 2022-07-19 | 2022-07-19 | 자동차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차를 관리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및 그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11408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12276A (ko) | 2004-05-25 | 2005-11-30 | 한라공조주식회사 | 자동차용 공조장치 |
KR102250097B1 (ko) | 2020-07-22 | 2021-05-10 | (주)비씨에스 | 중고차 차량관리 시스템 |
-
2022
- 2022-07-19 KR KR1020220088833A patent/KR20240011408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12276A (ko) | 2004-05-25 | 2005-11-30 | 한라공조주식회사 | 자동차용 공조장치 |
KR102250097B1 (ko) | 2020-07-22 | 2021-05-10 | (주)비씨에스 | 중고차 차량관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155118B (zh) | 一种汽车健康体检系统 | |
US20080154671A1 (en) | Emissions Tracking, Such as Vehicle Emissions Tracking,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
US9990662B2 (en) | Computer-based technology for aiding the repair of motor vehicles | |
US7305325B2 (en) | Method to improve requirements, design manufacturing, and transportation in mass manufacturing industries through analysis of defect data | |
US8230362B2 (en) | Computer-assisted and/or enabled systems, methods, techniques, services and user interfaces for conducting motor vehicle and other inspections | |
Guo et al. | On-road remote sensing measurements and fuel-based motor vehicle emission inventory in Hangzhou, China | |
CN104199436B (zh) | 一种汽车节能减排和维修的自动诊断系统 | |
CN105575007A (zh) | 一种智能自助式租车管理系统及方法 | |
JPH10261009A (ja) | 中古車の評価査定の処理方法、及び中古車の評価査定の処理装置 | |
US20080288346A1 (en) | Method for Private Sellers to Certify Previously Owned Vehicles | |
CN101419646A (zh) | 一种旧机动车鉴定评估系统及方法 | |
CN107450506A (zh) | 一种车辆在线检测及诊断的系统、方法 | |
KR101189604B1 (ko) | 중고 상용차의 거래 시스템 및 방법 | |
Turoń et al. | Car-sharing in the context of car operation | |
KR20110061890A (ko) |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 | |
KR20240011408A (ko) | 자동차 공조케이스 내부 공기질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차를 관리하는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및 그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 | |
KR20230138707A (ko) | 자동차 클리닝 관리서버 및 그와 연동하는 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클리닝 정보 제공방법 | |
KR20160013426A (ko) | 차량용 데이터 저장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 |
KR102526555B1 (ko) | 중고차 클리닝 인증 시스템 | |
Harrington et al. | Coase and Car Repair Who Should Be Responsible For Emissions of Vehicles in Use? | |
CN201111052Y (zh) | 一种旧机动车鉴定评估装置 | |
Makarova et al. |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utonomous vehicles in a branded service system using big data | |
JP4615054B2 (ja) | 顧客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 | |
Liu et al. | Reliability growth test planning and verification of commercial vehicles | |
Gierl et al. | Challenges for Periodic Technical Inspections of Intelligent Ca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