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926A - 가공부재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부재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926A
KR20240010926A KR1020220088302A KR20220088302A KR20240010926A KR 20240010926 A KR20240010926 A KR 20240010926A KR 1020220088302 A KR1020220088302 A KR 1020220088302A KR 20220088302 A KR20220088302 A KR 20220088302A KR 20240010926 A KR20240010926 A KR 20240010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late
unit
block
support
mach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장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to KR102022008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926A/ko
Publication of KR2024001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52Orientable fix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4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elongated workpieces, e.g. pipes, bars o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부재의 중심축선을 설정된 높이에 일정하게 유지하고, 그 상태에서 가공부재를 레이저로 가공하는 가공부재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에서 제1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가이드프레임; 가이드프레임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동플레이트; 베이스프레임 및 제1가동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1가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승강구동부; 제1가동플레이트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동플레이트; 제1가동플레이트 및 제2가동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1가동플레이트로부터 제2가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승강구동부; 및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공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가공부재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장치{APPARATUS FOR SUPORTING WORKPIECES AND LASER MACHI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공부재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부재 가공용 레이저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형 가공부재의 중심축선을 설정된 높이에 일정하게 유지하고, 그 상태에서 바형 가공부재를 레이저로 가공하는 가공부재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 기계에는 일정한 길이의 바형 가공부재를 가공 처리하기 위하여 바형 가공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이 구비된다.
여기서, 바형 가공부재는 횡단면보다 훨씬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유연하지 않은 재료로 제조되는 긴 물건(긴 공작물)을 말한다. 바형 가공부재는 임의의 방향으로 개방된 횡단면 또는 폐쇄된 횡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횡단면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이 될 수 있다.
바형 가공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에 대한 선행기술로, 일본실용신안공개공보 소56-38742호(1981.04.11. 공개, 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가 있다.
선행기술1은 두 개의 공작물 지지부재를 공통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가위 모양으로 상호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두 개의 공작물 지지부재 사이에는 "V"자 형상의 공작물 삽입홈이 형성된다.
선행기술1은 두 개의 공작물 지지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V"자 형상의 공작물 삽입홈의 공간 크기가 점점 확장되거나 점차적으로 축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면 치수(원형 파이프의 경우 외경을 의미함)가 큰 바형 가공부재를 지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V"자 형상의 공작물 삽입홈의 공간 크기를 확장시키고, 단면 치수가 작은 바형 가공부재를 지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V"자 형상의 공작물 삽입홈의 공간 크기를 축소시켜서 사용한다.
선행기술1은 바형 가공부재의 단면 치수가 큰 경우에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없으나, 단면 치수가 점점 축소될수록 "V"자 형상의 공작물 삽입홈의 공간 크기도 함께 축소되기 때문에 바형 가공부재가 두 개의 공작물 지지부재에 끼이는 현상, 즉 협착 현상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바형 가공부재는 자체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선행기술1에서는 두 개의 공작물 지지부재 각각에 형성된 워크(가공부재) 지지면을 일정 각도를 갖는 2개의 지지면으로 구성하였다. 즉, 두 개의 공작물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단면 치수가 작은 가공부재의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면을 형성하였다.
한편, 전술한 바형 가공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은 공작 기계 중 일례로 레이저 가공장치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가공장치는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발진되어 집광된 레이저빔을 가공헤드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가공부재를 향해 조사하여 절단 가공하는 장치로서, 일례로 평판 부재 가공을 위한 레이저 가공장치와, 바형 가공부재 전용 레이저 가공장치가 있다. 평판 부재 가공을 위치한 레이저 가공장치는 주로 평판 절단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부가적으로 파이프와 같은 바형 가공부재를 가공할 수 있는 장치도 마련되어 있다(참조특허1:EP0548006A2, 참조특허2:KR10-2011-0116998A). 반면에, 바형 가공부재 전용 레이저 가공장치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4781호(2010.05.25. 공개, 참조특허3)가 있다.
일반적인 바형 가공부재 레이저 가공장치에서는 바형 가공부재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형 가공부재 하측에 바형 가공부재 지지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즉, 바형 가공부재의 단면 종류에 따라 "V"자 형상 또는 "∪"자 형상의 지지블록을 바형 가공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작업 베드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를 설치하고, 작업 베드의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게 설치하였다.
위에 언급한 지지블록은 바형 가공부재의 단면 종류, 예를 들어 원형 단면 파이프일 경우에는 "V"형상의 것으로 사용되고, 사각 단면 파이프일 경우에는 "∪"자 형상의 것으로 사용되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바형 가공부재의 단면 종류에 따라 바형 가공부재 지지장치의 지지블록을 매번 교체해주어야 함에 따른 불편한 점이 있으며, 지지블록의 교체 시간만큼 바형 가공부재 처리 능률이 감소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최근 들어 가공부재 지지장치를 교체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단면 종류의 바형 가공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 일례로, 참조특허3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형 지지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롤러형 지지부재는 롤러의 외주를 따라 개방된 홈단면 형상의 파이프 안착부가 연장되고, 이 파이프 안착부와 롤러 회전축 사이의 방사 방향 간격이 원주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참조특허3에 개시된 롤러형 지지부재는 파이프 안착부와 롤러 회전축 사이의 방사 방향 간격의 범위가 크지 않아, 다양한 크기의 단면 형상이나 단면 치수를 가지는 바형 가공부재에 대한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실용신안공개공보 소56-38742호(1981.04.11.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54781호(2010.05.25. 공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가공부재의 단면의 형상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가공부재의 중심축선을 설정된 높이로 유지할 수 있는 가공부재 지지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다양한 형상이나 크기 및 길이를 가지는 바형 가공부재에 대하여 호환성 있게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한 가공부재 지지유닛을 구비하여 가공부재의 가공 처리 능률이 향상될 수 있고, 레이저 가공을 위하여 클램핑된 가공부재의 중심축선이 클램핑축선과 항상 일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가공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는 레이저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재 지지유닛은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동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승강구동부;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동플레이트;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승강구동부;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공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이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할 시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의 위치설정블록에 밀착되며,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설정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재 지지유닛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가공부재의 단면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승강구동부에 의하여 제1높이까지 상승하거나, 상기 제1승강구동부 및 상기 제2승강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까지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재 지지유닛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스토퍼는 상기 지지블록이 이동하는 높이 방향에 교차하는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지지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재 지지유닛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블록은 상기 하부지지면에 면 접촉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면에 상응하게 형성된 상부지지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재 지지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구동부는 높이 방향으로 제1로드를 승강시키는 제1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승강구동부는 높이 방향으로 제2로드를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 상기 제1승강구동부,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2승강구동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재 지지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는,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를 향하는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로드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2실린더가 결합되는 상측연결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는, 상부에 상기 지지블록이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2로드가 결합되는 제2가동플레이트 상측몸체부와, 상기 상측연결브래킷 및 상기 제2승강구동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 상측몸체부의 양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가동플레이트 좌우측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는 길이를 가지는 가공부재가 올려지는 베드; 상기 베드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베드에 대하여 가공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드에 올려진 가공부재의 일단부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수단을 가지는 클램핑유닛; 상기 베드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클램핑유닛에 클램핑된 가공부재에 가공빔을 조사하는 가공헤드를 가지는 가공유닛; 및 상기 베드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유닛의 클램핑축선과 상기 클램핑유닛에 클램핑된 가공부재의 중심축선이 동축이 되도록 하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가공부재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스토퍼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위치설정스토퍼에 밀착되는 상기 위치설정블록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블록의 설정 높이를 미세 조절하는 설정높이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정높이조절유닛은 상기 베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블록; 일단부는 상기 이동블록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위치설정스토퍼에 결합되는 가동바;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부재; 상기 이동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부재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부재의 회전 시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블록; 및 상기 구동축부재를 회전시키는 높이조절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정높이조절유닛은 상기 고정블록에 결합되며, 외면에 눈금표시부를 가지는 커버부재; 및 상기 이동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한 단부가 상기 눈금표시부에 배치되는 눈금지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블록, 상기 위치설정스토퍼 및 상기 가동바는, 평면도 상에서 가공부재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제1승강구동부 또는 상기 제2승강구동부에 의하여 승강 이동하면서 상기 베드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상기 베드의 외부에서 내부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면의 형상이나 크기가 변경된 가공부재를 가공하고자 할 경우 가공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교체하지 않으면서도 가공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공부재의 단면 형상이나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지지블록을 교체하지 않아도 되고 지지블록의 신속한 위치 설정이 가능함으로써, 가공부재에 대한 가공 처리 능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형 가공부재가 클램핑되어 있는 상태에서 클램핑유닛에 의하여 클램핑된 클램핑축선과 바형 가공부재의 중심축선이 항상 일치되도록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바형 가공부재에 대한 원하는 가공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즉, 클램핑유닛에 의하여 클램핑된 바형 가공부재가 베드를 향하여 처지는 현상을 없애거나 최소화함으로써, 바형 가공부재에 대한 가공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의 전체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공부재 지지유닛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가공부재 지지유닛의 분리 예시도이다.
도 5는 가공부재 지지유닛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예시도이다.
도 6은 위치설정스토퍼를 포함한 가공부재 지지유닛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측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높이조절유닛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커버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11은 가동바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의 전체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는 베드(100), 클램핑유닛(200), 안내유닛(300) 및 가공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에 의하여 가공되는 가공부재(10)는 횡단면의 길이보다 종단면의 길이가 훨씬 긴 길이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유연하지 않은 재료로 제조되는 긴 부재인 바형 가공부재일 수 있다. 또한, 가공부재(10)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질 수 있고, 중공부가 없는 솔리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중공부를 가지는 가공부재(10)의 경우 임의의 방향으로 개방된 횡단면 또는 폐쇄된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공부재(10)의 횡단면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이 될 수 있고,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가공부재(10)의 경우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베드(100)는 가공을 위한 가공부재(10)가 올려지며, 가공을 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베드(100)는 가공을 위한 가공부재(10)의 길이에 상응하게 충분한 크기를 가지면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클램핑유닛(200)은 베드(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베드(100)에 올려진 가공부재(10)의 일단부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수단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클램핑수단으로는 임의의 원의 원주방향을 따라 분할되게 배열 설치된 복수의 죠(JAW)가 방사 방향으로 전후 작동되도록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이때, 클램핑축선(CL2)은 임의의 원의 중심점을 베드(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 선을 의미한다.
또한, 클램핑유닛(200)은 베드(100)의 상면에 대하여 가공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수단을 가질 수도 있다. 슬라이드수단을 통하여 가공부재(10)의 길이에 따라 클램핑유닛(200)의 위치는 조절될 수 있고, 클램핑된 가공부재(10)를 가공유닛(400) 또는 안내유닛(300) 방향으로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램핑유닛(200)은 클램핑된 가공부재(1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가질 수도 있다.
안내유닛(300)은 베드(1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베드(100)에 올려진 가공부재(10)의 타단부를 지지하면서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안내유닛(300)은 베드(100)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는데, 클램핑유닛(200)과 마찬가지 베드(100)의 상면에 대하여 가공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가공유닛(400)은 베드(1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클램핑유닛(200)에 클램핑된 가공부재(10)에 가공빔을 조사하는 가공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공유닛(400)의 가공헤드는 클램핑유닛(200)에 클램핑된 상태에서 안내유닛(300)을 통과하여 돌출된 가공부재(10)의 단부에 대하여 레이저 가공빔을 조사하면서 가공(커팅)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베드(100), 클램핑유닛(200), 안내유닛(300) 및 가공유닛(400)과 관련하여, 레이저 가공 분야에서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에 대한 추가적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는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을 포함한다.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은 단면의 치수(형상이나 크기)가 작거나 길이가 긴 가공부재(10)의 경우 양단부가 클램핑유닛(200) 및 안내유닛(300)에 각각 지지된 상태에서 가공부재(10)의 중간 영역이 베드(100)를 향하여 하부 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을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클램핑유닛(200)의 클램핑축선(CL2: 도 5 참조)과 클램핑유닛(200)에 클램핑된 가공부재(10)의 중심축선(CL1: 도 5 참조)이 항상 동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공유닛(400)을 통한 보다 정밀한 레이저 가공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은 베드(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클램핑유닛(200) 및 안내유닛(300) 사이 영역에 하나 이상의 수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가공부재 지지유닛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가공부재 지지유닛의 분리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추가 참조하면,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은 베이스프레임(510), 가이드프레임(515), 제1가동플레이트(520), 제1승강구동부(530), 제2가동플레이트(540), 제2승강구동부(550) 및 지지블록(56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510)은 베드(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베드(100)의 출입구(102: 도 11참조)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510)은 일측에 제1승강구동부(530)의 제1실린더(531)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515)은 베드(100)의 출입구(102: 도 11 참조) 내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베이스프레임(510)으로부터 가공부재(10)의 길이 방향인 제1방향(D1)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515)은 일면에 제1가동플레이트(5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1가이드블록(526)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가동플레이트(520)는 가이드프레임(515)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가동플레이트(520)는 일면에 제1가이드블록(526)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는 제1가이드레일(525)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가동플레이트(520)는 타면(제2가동플레이트(540)를 향하는 일면)에 제2가동플레이트(54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2가이드블록(546)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가동플레이트(520)는 타면(제2가동플레이트(540)를 향하는 일면)에 상측연결브래킷(521) 및 하측연결브래킷(5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측연결브래킷(521)은 제1가동플레이트(52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가동플레이트(520)에 결합되는 상측연결브래킷 몸체부(5211)와, 상측연결브래킷 몸체부(5211)에서 제1방향(D1)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상측연결브래킷 연장부(5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연결브래킷 몸체부(5211)에는 제2승강구동부(550)의 제2실린더(551)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상측연결브래킷 연장부(5212)에는 제1승강구동부(530)의 제1로드(532)가 결합되어 제1로드(532)와 연동될 수 있다.
하측연결브래킷(522)는 제1가동플레이트(5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승강구동부(550)의 제2실린더(551)의 하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승강구동부(530)는 베이스프레임(510)과 제1가동플레이트(520)를 연결할 수 있으며, 베이스프레임(510)으로부터 제1가동플레이트(520)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제1승강구동부(530)는 제1방향(D1)에 교차하는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승강구동부(530)는 각각 제1로드(532)를 높이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실린더(5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실린더(531)는 베이스프레임(510)에 고정 결합되고 제1로드(532)는 상측연결브래킷 연장부(52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가동플레이트(540)는 제1가동플레이트(520)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가동플레이트(540)는 제2가동플레이트 상측몸체부(541)와, 제2가동플레이트 상측몸체부(541)의 양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가동플레이트 좌우측연장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동플레이트 상측몸체부(541)는 상부에 지지블록(560)이 결합될 수 있고, 하부에는 제2승강구동부(550)의 제2로드(552)가 결합되어 제2로드(552)와 연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가동플레이트 좌우측연장부(542)는 일면(제1가동플레이트(520)를 향하는 일면)에 제2가이드블록(546)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는 제2가이드레일(545)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가동플레이트 좌우측연장부(542)의 사이 공간(542a)에는 제2승강구동부(550) 및 상측연결브래킷(521)이 삽입될 수 있다. 즉, 하강 위치에서 제2가동플레이트(540)는 제2승강구동부(550) 및 상측연결브래킷(521)에 간섭 없이 제1가동플레이트(520)와 제1방향(D1)에 대하여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승강구동부(550)는 제1가동플레이트(520)과 제2가동플레이트(54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제1가동플레이트(520)로부터 제2가동플레이트(540)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승강구동부(550)는 한 쌍의 제1승강구동부(530)의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클램핑유닛(200)의 클램핑축선(CL2) 및 가공부재(10)의 중심축선(CL1)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축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승강구동부(550)는 제2로드(552)를 높이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5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실린더(551)의 상단부는 상측연결브래킷 몸체부(5211)에 결합되고 제2실린더(551)의 하단부는 하측연결브래킷(52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로드(552)는 제2가동플레이트 상측몸체부(541)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블록(560)은 실질적으로 가공부재(10)를 지지하는 것으로, 제2가동플레이트 상측몸체부(541)의 상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지지블록(560)은 상부에 하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곡선 형상의 지지면을 가질 수 있다. 가공부재(10)는 중심축선(CL1)이 곡선 형상의 지지면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공부재(10)를 지지하기 위하여 최종 위치 설정된 지지블록(560)은 지지면이 가공부재(10)를 밀착 지지할 수 있고, 혹은 가공 중인 가공부재(10)가 클램핑유닛(200)에 의하여 이동(회전)될 시 간섭되지 않으면서 가공부재(10)의 처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가공부재(10)로부터 지지블록(560)의 지지면이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제1가동플레이트(520), 제1승강구동부(530), 제2가동플레이트(540) 및 제2승강구동부(550)는 제1방향(D1)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510) 및 가이드프레임(515)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승강구동부(530) 및 제2승강구동부(550)에 의하여 제1가동플레이트(520) 및 제2가동플레이트(540)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제1가동플레이트(520), 제1승강구동부(530), 제2가동플레이트(540) 및 제2승강구동부(550)는 베이스프레임(510) 및 가이드프레임(515) 사이에서 간섭 없이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이 구비될 경우, 각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을 구성하는 제1승강구동부(530) 및 제2승강구동부(550)는 동기화되어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의 지지블록(560)의 높이는 동기화되어 조절될 수 있다.
물론, 길이 방향을 따라 단면의 형상이나 크기가 변화되는 가공부재의 경우에는 각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을 구성하는 제1승강구동부(530) 및 제2승강구동부(550)가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의 각 지지블록(560)의 높이는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도 5는 가공부재 지지유닛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예시도이다.
도 5를 추가 참조하면,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의 지지블록(560)은 가공부재의 단면 형상이나 크기(직경)에 따라 제1승강구동부(530)에 의하여 제1높이(H1)만까지 상승될 수 있고, 제1승강구동부(530) 및 제2승강구동부(550)에 의하여 제1높이(H1)보다 높은 제2높이(H2)까지 상승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높이(H1)는 제1승강구동부(530)로 사용된 제1로드(532)가 최대 스트로크로 확장된 상태일 수 있고, 제2높이(H2)는 제1승강구동부(530) 및 제2승강구동부(550)로 사용된 제1로드(532) 및 제2로드(552) 모두 최대 스트로크로 확장된 상태일 수 있다.
보충 설명하면, 도 5 (a)에서와 같이,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은 미사용 시 지지블록(560)이 베드(100)의 상면(101) 아래로 하강되어 베드(100)의 출입구(102: 도 11 참조)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 (b)에서와 같이, 클램핑유닛(200)에 상대적으로 단면의 형상이나 크기(직경)가 큰 가공부재(11)가 클램핑되면, 제1승강구동부(530)의 작동으로 제1가동플레이트(520)의 상승과 함께 제2가동플레이트(540) 및 지지블록(560)이 제1높이(H1)까지 상승될 수 있다. 즉, 제1승강구동부(530)의 작동만으로 클램핑유닛(200)의 클램핑축선(CL2)과 클램핑유닛(200)에 클램핑된 상대적으로 단면의 형상이나 크기(직경)가 큰 가공부재(11)의 중심축선(CL1)이 동축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5 (c)에서와 같이, 클램핑유닛(200)에 상대적으로 단면의 형상이나 크기(직경)가 작은 가공부재(12)가 클램핑되면, 먼저 제1승강구동부(530)의 작동으로 제1가동플레이트(520)의 상승과 함께 제2가동플레이트(540) 및 지지블록(560)이 제1높이(H1)까지 상승되고, 이후 제2승강구동부(550)의 작동으로 제2가동플레이트(540) 및 지지블록(560)이 제2높이(H2)까지 추가 상승될 수 있다. 즉, 제1승강구동부(530) 및 제2승강구동부(550)를 함께 작동하여 클램핑유닛(200)의 클램핑축선(CL2)과 클램핑유닛(200)에 클램핑된 상대적으로 단면의 형상이나 크기(직경)가 작은 가공부재(12)의 중심축선(CL1)이 동축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승강구동부(530) 및 제2승강구동부(550)를 복합적으로 작동하면서, 다양한 단면 형상이나 단면 크기를 가지는 가공부재(10)에 대하여 클램핑유닛(200)의 클램핑축선(CL2)과 클램핑유닛(200)에 클램핑된 가공부재의 중심축선(CL1)이 동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가공할 가공부재(10)는 기본적으로 단면의 형상이나 크기에 대한 치수가 미리 설정되는데, 치수 정보가 미리 저장된 가공부재(10)에 대한 가공 시에는 가공 공정의 생산 수율을 고려하여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의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 설정이 요구된다.
만일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의 제1승강구동부(530) 또는 제2승강구동부(550)의 복합 구동으로 가공부재(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블록(560)의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지지블록(560)이 가공부재(10)에 강한 힘으로 밀착되거나 가공부재(10)로부터 지지블록(560)이 원하는 위치보다 많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가공부재(10)가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휘어져서 클램핑유닛(200)의 클램핑축선(CL2)과 가공부재(10)의 중심축선(CL1)이 정확히 동축을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고중량의 가공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공압이나 유압을 구동력으로 할 경우 지지블록(560)의 높이를 미세 조절하기에 많은 어려움과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가공부재(10)의 단면 형상이나 단면 크기에 대한 치수 정보에 기초하여,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의 지지블록(560)의 정확한 높이를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 6은 위치설정스토퍼를 포함한 가공부재 지지유닛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부분 측면 예시도이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추가 참조하면, 이를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은 위치설정스토퍼(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설정스토퍼(570)는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의 지지블록(560)이 미리 설정된 높이 도달 시 지지블록(560)의 상부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위치설정스토퍼(570)를 포함할 경우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의 제2가동플레이트(540)는 위치설정블록(543)을 더 가질 수 있다. 위치설정블록(543)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가동플레이트 좌우측연장부(542)의 하단부 측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위치설정스토퍼(570)는 한 쌍의 위치설정블록(543)에 상응하게 제2가동플레이트 좌우측연장부(542)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위치설정스토퍼(570)는 지지블록(560)이 미리 설정된 높이 도달 시 위치설정블록(543)에 밀착되면서 지지블록(560)의 상부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위치설정스토퍼(570)는 지지블록(560)이 이동하는 높이 방향에 교차하는 제1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방향(D1)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지지면(571)을 가질 수 있다.
즉, 경사진 하부지지면(571)을 가지는 위치설정스토퍼(570)의 제1방향(D1) 위치가 변화되면 하부지지면(571)에 밀착되는 위치설정블록(543)의 높이가 변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블록(560)의 설정 높이가 변화 및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위치설정블록(543)은 위치설정스토퍼(570)의 하부지지면(571)에 면 접촉 상태로 밀착되도록 위치설정스토퍼(570)의 하부지지면(571)에 상응한 경사진 상부지지면(543a)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승강구동부(530) 또는 제2승강구동부(550)에 의하여 상승 중인 위치설정블록(543)은 위치설정스토퍼(570)의 하부지지면(571)에 면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위치설정스토퍼(570)는 연결대(572)를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위치설정스토퍼(570)는 제1방향(D1)으로의 이동이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높이조절유닛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커버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예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8 내지 도 10을 추가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는 설정높이조절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정높이조절유닛(600)은 위치설정스토퍼(570)를 제1방향(D1)으로 미세 이동시키면서 위치설정스토퍼(570)의 하부지지면(571)에 밀착되는 위치설정블록(543)의 최대 상승 높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블록(560)의 설정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 및 설정할 수 있다.
설정높이조절유닛(600)은 고정블록(621), 이동블록(622), 가동바(623), 구동축부재(624), 너트블록(625) 및 높이조절구동부(62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록(621)은 베드(1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고정블록(621)의 상면에는 이동블록(622)의 제1방향(D1) 이동을 안내하는 제3가이드레일(621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블록(622)은 고정블록(621)의 상측에서 고정블록(621)에 대하여 제1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블록(622)의 하면에는 제3가이드레일(621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가이드블록(622a)이 구비될 수 있다.
가동바(623)는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부가 이동블록(622)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위치설정스토퍼(57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블록(622)과 연동하여 위치설정스토퍼(570)는 제1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축부재(624)는 제1방향(D1)으로 연장되며 고정블록(6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너트블록(625)은 구동축부재(624)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블록(6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너트블록(625)은 구동축부재(624)의 회전 시 제1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다.
높이조절구동부(626)는 구동축부재(62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높이조절구동부(626)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핸들이 사용될 수 있고, 수동 핸들 대신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위치설정블록(543) 및 위치설정스토퍼(570)와 함께 위치설정스토퍼(570)에 연결되는 가동바(623)는 평면도 상에서 가공부재(10)의 중심축선(CL1)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설정높이조절유닛(600)은 커버부재(627) 및 눈금지시바(622b)를 더 가질 수 있다.
커버부재(627)는 고정블록(62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외면에는 눈금표시부(627b)가 구비될 수 있다.
눈금지시바(622b)는 이동블록(6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627)의 관통슬릿(627a)을 관통한 단부가 눈금표시부(627b)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구동부(626)의 작동에 따라 이동블록(622)과 연동하는 눈금지시바(622b)가 가리키는 눈금을 보면서 지지블록(560)의 설정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 및 설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자는 미리 설정된 가공부재(10)의 단면 형상이나 단면 크기에 대한 치수 정보를 기초하여, 눈금지시바(622b)가 가리키는 눈금표시부(627b)를 보면서 해당 가공부재(10)를 지지하는 지지블록(560)의 적정 높이를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가공부재(10)의 단면 형상이나 단면 크기에 대한 치수 정보를 기초하여 지지블록(560)의 적정 높이가 설정되면,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의 제1승강구동부(530) 또는 제2승강구동부(550)에 대한 추가 정밀 제어를 하지 않더라도, 상승 중인 위치설정블록(543)이 위치설정스토퍼(570)에 밀착되는 동작만으로 지지블록(560)의 높이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
도 11은 가동바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클램핑유닛(200) 및 안내유닛(300) 사이 영역에 복수의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이 배치될 경우, 가동바(623)는 각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의 위치설정스토퍼(570)에 연결되도록 제1방향(D1)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혹은 이웃하는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의 위치설정스토퍼(57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동바(623)가 제1방향(D1)으로 연장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베드(100)의 상면에는 가동바(623)가 제1방향(D1)으로 이동할 시 가동바(623)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베드(100)의 상측에는 한 쌍의 가동바(623)를 하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판(630)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판(630)은 가동바(623)의 제1방향(D1) 이동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설정블록(543)이 위치설정스토퍼(570)에 밀착될 시 위치설정블록(543)에서 위치설정스토퍼(570) 방향으로 전달되는 상측 구동력에 의하여 길이가 긴 한 쌍의 가동바(623)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의 제1가동플레이트(520), 제2가동플레이트(540) 및 지지블록(560)은 제1승강구동부(530) 또는 제2승강구동부(550)에 의하여 승강 이동하면서 베드(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베드(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베드(100)에 형성된 출입구(102)를 통하여 출몰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처럼 가공부재 지지유닛(500)가 베드(100)에 형성된 출입구(102)를 통하여 출몰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클램핑유닛(200) 및 안내유닛(300) 사이 영역에 복수의 가공부재 지지유닛(500)이 배치될 경우, 가공되는 가공부재(10)의 길이에 따라 복수의 가공부재 지지유닛(500)들은 베드(100)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상승되면서 가공부재(10)의 지지에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베드 200: 클램핑유닛
300: 안내유닛 400: 가공유닛
500: 가공부재 지지유닛 510: 베이스프레임
515: 가이드프레임 520: 제1가동플레이트
530: 제1승강구동부 540: 제2가동플레이트
550: 제2승강구동부 560: 지지블록
570: 위치설정스토퍼 600: 설정높이조절유닛

Claims (12)

  1.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동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승강구동부;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동플레이트;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승강구동부;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공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이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할 시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의 위치설정블록에 밀착되며,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설정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부재 지지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가공부재의 단면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승강구동부에 의하여 제1높이까지 상승하거나, 상기 제1승강구동부 및 상기 제2승강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까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부재 지지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스토퍼는,
    상기 지지블록이 이동하는 높이 방향에 교차하는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지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부재 지지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블록은,
    상기 하부지지면에 면 접촉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면에 상응하게 형성된 상부지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부재 지지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구동부는 높이 방향으로 제1로드를 승강시키는 제1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승강구동부는 높이 방향으로 제2로드를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 상기 제1승강구동부,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2승강구동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부재 지지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는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를 향하는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로드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2실린더가 결합되는 상측연결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는 상부에 상기 지지블록이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2로드가 결합되는 제2가동플레이트 상측몸체부와, 상기 상측연결브래킷 및 상기 제2승강구동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 상측몸체부의 양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가동플레이트 좌우측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부재 지지유닛.
  7. 길이를 가지는 가공부재가 올려지는 베드;
    상기 베드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베드에 대하여 가공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드에 올려진 가공부재의 일단부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수단을 가지는 클램핑유닛;
    상기 베드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클램핑유닛에 클램핑된 가공부재에 가공빔을 조사하는 가공헤드를 가지는 가공유닛; 및
    상기 베드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유닛의 클램핑축선과 상기 클램핑유닛에 클램핑된 가공부재의 중심축선이 동축이 되도록 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가공부재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스토퍼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위치설정스토퍼에 밀착되는 상기 위치설정블록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블록의 설정 높이를 미세 조절하는 설정높이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높이조절유닛은,
    상기 베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블록;
    일단부는 상기 이동블록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위치설정스토퍼에 결합되는 가동바;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부재;
    상기 이동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부재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부재의 회전 시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블록; 및
    상기 구동축부재를 회전시키는 높이조절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높이조절유닛은,
    상기 고정블록에 결합되며, 외면에 눈금표시부를 가지는 커버부재; 및
    상기 이동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한 단부가 상기 눈금표시부에 배치되는 눈금지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블록, 상기 위치설정스토퍼 및 상기 가동바는, 평면도 상에서 가공부재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플레이트, 상기 제2가동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제1승강구동부 또는 상기 제2승강구동부에 의하여 승강 이동하면서 상기 베드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상기 베드의 외부에서 내부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KR1020220088302A 2022-07-18 2022-07-18 가공부재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KR20240010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302A KR20240010926A (ko) 2022-07-18 2022-07-18 가공부재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302A KR20240010926A (ko) 2022-07-18 2022-07-18 가공부재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926A true KR20240010926A (ko) 2024-01-25

Family

ID=8972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302A KR20240010926A (ko) 2022-07-18 2022-07-18 가공부재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09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781A (ko) 2007-07-17 2010-05-25 트룸프 베르크초이그마쉬넨 게엠베하 + 코. 카게 공작물 지지를 위한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바아형 공작물의 기계가공을 위한 기계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781A (ko) 2007-07-17 2010-05-25 트룸프 베르크초이그마쉬넨 게엠베하 + 코. 카게 공작물 지지를 위한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바아형 공작물의 기계가공을 위한 기계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17021B (zh) 一种三卡盘自动上下料激光切管机的使用方法
CN109732224B (zh) 一种户外家具管材全自动切割装置
US6098866A (en) Diffusion bonding apparatus for pipes
WO2022252342A1 (zh) 一种精准定位切割机及其切割方法
US3828479A (en) Multiple spindle cluster for sheet glass core drilling machine
KR102171939B1 (ko) 플라즈마 커팅기
CH653938A5 (de) Laser-bearbeitungsmaschine.
US4396185A (en) Clamping apparatus for machine tools
KR20240010926A (ko) 가공부재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KR20080076839A (ko)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KR100949734B1 (ko) 교정기용 교정롤 세팅장치
GB2085342A (en) Clamping apparatus
SU1299488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зан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истов и аналоги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US117525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machining of an end of an elementary panel for its friction stir welding
US3467367A (en) Quench press
JP4134890B2 (ja) シート材の切断方法および切断装置
CN216914178U (zh) 一种用于板件侧面拉槽的导向装置
CN108818048A (zh) 一种翻板镗床加工装夹机构
KR20010057034A (ko) 레이저용접용 판재 고정장치
KR102581807B1 (ko) 용접이음부의 높이차 미세조절이 가능한 조관장치
JPS62292214A (ja) 棒鋼圧延機のガイド移動装置
EP1040891A1 (en) A work centre having a plurality of clamps for clamping a work-piece
KR102642618B1 (ko) 샤프트 형상 부재의 벤딩 가공 장치
CN219026376U (zh) 一种焊接避错装置
CN214921530U (zh) 一种物料固定方便的激光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