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275A -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 - Google Patents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275A
KR20240010275A KR1020220087629A KR20220087629A KR20240010275A KR 20240010275 A KR20240010275 A KR 20240010275A KR 1020220087629 A KR1020220087629 A KR 1020220087629A KR 20220087629 A KR20220087629 A KR 20220087629A KR 20240010275 A KR20240010275 A KR 20240010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mat
blowing
plat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현준
Original Assignee
허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현준 filed Critical 허현준
Priority to KR1020220087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275A/ko
Publication of KR2024001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2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7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permeable to liquid or air in a special w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구류의 매트로 사용하면서 쿠션성을 높이고 하절기에는 시원함 바람에 의하여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환자들에게도 위생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의 하방에 위치하여 쿠션부를 지지하면서 쿠션부로 바람을 송출시켜 쿠션부와 접촉한 이용자의 신체를 시원하게 하면서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MAT WITH VENTI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침구류에 적용되는 매트를 개선하여 통풍기능을 부여하여 외부기온과 습도가 높은 하절기에 시원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침구류에 사용되는 매트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 데, 침대에 사용하는 매트리스, 소파에 사용하는 쿠션, 방석 또는 매트 등이 있으며, 이러한 매트는 침구용 가구 또는 바닥에 밀착시킨 후 매트 위에 이용자가 앉거나 누워서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매트를 온도와 습도가 높은 하절기에 사용할 경우 신체와 접촉과정에서 불쾌감이 높아지기 때문에 쾌적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통풍기능을 가지도록 한 매트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의 선행기술을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며, 기준치 이상의 탄성과 통기성을 갖는 내부폼재(100); 상기 내부폼재(100)가 내부로 인입 가능하도록 입출구(210)를 갖는 사각형 포켓 형상으로 제작되되, 상기 입출구(210)를 개폐시키기 위한 지퍼(212)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폼재(100)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4개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상기 내부폼재(100)의 모서리가 외부로 돌출되는 개구부(220)가 형성되는 외피(200); 를 포함하는 침구용 통풍매트에 있어서,
상기 외피(200)의 모서리에 하나 또는 셋이상의 개구부(220)가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폼재(100)의 모서리가 개구부(2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지퍼(212)를 닫은 상태에서도 내부폼재(100)의 모서리를 손으로 잡고 움직여 내부폼재(100)의 안착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고, 내부폼재(100)의 안착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외피(200)의 표면을 팽팽하게 펴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내부폼재(100)를 외피(200) 내에 인입시켰을 때 상기 내부폼재(100) 모서리가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내부폼재(100)는, 웨이브를 갖는 탄성사로 제작되는 쿠션부(110)와, 상기 쿠션부(110)의 상면과 저면을 덮는 망사내피(120)와, 상기 망사내피(12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테두리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부(130)는 모서리를 만곡되게 형성하고, 망사내피(120)보다 강도가 높고 질긴 직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개구부(220)를 통해 돌출되는 내부폼재(100) 모서리 부위 중 테두리부(130)를 손으로 잡고 당기거나 미는 조작을 할 경우,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찢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외피(200)는,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망사내피(120)보다 부드러운 촉감의 직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표면에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공기의 투과가 방지되는 박막의 연질재로 이루어진 연질패드;
상기 연질패드의 상부를 통기가능하게 차폐하여 상기 연질패드의 표면으로 안내되는 공기를 격리시키면서 일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격리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연질패드의 상부에서 부풀어 오르는 형태로 팽창하는 박막커버; 및
상기 박막커버에 의해 상부가 통기가능하게 차폐된 상기 연질패드의 상부를 외부와 연통시켜서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연통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질패드는, 비닐재나 박막의 고무재 또는 박막의 연질 플라스틱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요철을 통해 상기 유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박막커버의 과도한 팽창을 제한하는 팽창제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팽창제한수단은, 상기 박막커버가 부분적으로 연질패드의 상부면에 구속되도록 박막커버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연질패드의 상부면에 고정시켜서 박막커버가 팽창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을 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82902 - 0000 호 특허등록 제 10 - 1260241 - 0000 호
없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쿠션감과 통기성을 가지는 내부폼재를 외피에 삽입하였을 때 평평하게 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에어쿠션을 제공하면서 에어를 신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통풍매트에 관한 기술내용이다.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매트의 상부에 통기공을 가지는 박막커버를 구바하여 그 사이로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매트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에어가 상방으로 토출되어 쾌적함과 시원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별도으 공기공급수단과 연결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팽창되어 에어쿠션을 제공하고,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상부로 배출되어 이용자들의 신체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쿠션감과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공기공급수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침구키트의 측방에 송풍수단과 송풍수단으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유니트 등이 노출되어 있고, 이들과의 간섭에 의하여 주변정리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들에게 불편을 제공하게 된다.
큭히 매트의 구성이 통기공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에서 에어쿠션을 생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송풍수단에 공급하여야 하는 바람의 양과 압력이 높아야만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방으로 바람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송풍수단이 커지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작동소음이 커지기 때문에 주간에도 소음이 크지만 야간에는 더욱 커지는 소음에 의하여 편안하게 숙면을 취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침구키트 외부에서 송품수단에 의하여 에어쿠션을 형성하고 바람이 배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에어쿠션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입된 바람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하도록 비닐과 같은 재질로 구성하기 때문에 질감이 좋지 않고 고급감을 구현하는 것이 힘들게 된다.
또한, 커버에는 바람이 배출되도록 부직포재질로 구성하고 있더라도 신체와 접촉시 높은 온도와 습도에 의하여 밀착되어 끈적거리거나 신체에 달라붙어 불쾌감을 높이는 원인이 되고, 땀과 습기로 인하여 부직포의 오염이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위생적인 등 여러 문제점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이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쿠션부(110)와;
상기 쿠션부(110)의 하방에 위치하여 쿠션부(110)를 지지하면서 쿠션부(110)로 바람을 송출시켜 쿠션부(110)와 접촉한 이용자의 신체를 시원하게 하면서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송풍부(130)를 포함하여;
침구류의 매트로 사용하면서 쿠션성을 높이고 하절기에는 시원함 바람에 의하여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환자들에게도 위생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침대용, 쇼파용, 일반방석과 같은 침구용 매트에 적용하여 소음이 극히 적으면서 신체와 접촉되는 매트의 상방으로 바람이 토출되는 통풍기능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외부기온과 습도가 높은 하절기에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매트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하여 침대나 쇼파에 사용하더라도 그 형상이 무너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안정감과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고 송풍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수려하게 하면서도 디자인적인 가변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를 도시한 파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의 중요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에 사용되는 매트상부커버를 도시한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에 사용되는 매트쿠션을 발췌한 사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를 도시한 파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의 중요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에 사용되는 매트상부커버를 도시한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에 사용되는 매트쿠션을 발췌한 사진으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100)는, 이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쿠션부(110)와, 상기 쿠션부(110)의 하방에 위치하여 쿠션부(110)를 지지하면서 쿠션부(110)로 바람을 송출시켜 쿠션부(1100와 접촉한 이용자의 신체를 시원하게하는 송풍부(130)로 구성한다.
상기 쿠션부(110)는, 이용자의 신체적인 하중을 지지하는 로어쿠션(111)과, 상기 로어쿠션(111)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어퍼쿠션(1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어쿠션(111)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또는 다각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지도록 하고, 어퍼쿠션(112)은 로어쿠션(111)에 대응하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며, 침대, 쇼파, 매트리스 등과 같이 사용 용처에 맞게 그 두께 또한 다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로어쿠션(111)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또는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하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지고 중공(113)이 형성된 튜브 형태의 복수의 스레드(Thread, 114)가 불규칙 망상구조(115)로 결합된 형태로 구비하여 원활한 통기성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어퍼쿠션(112)은 바닥을 구성하는 이면직층(116)과 상층을 구성하는 표면직층(117) 및 이면직층(116)과 표면직층(117)을 종방향으로 연결하여 쿠션을 부여하면서 통기성을 높일 수 있는 형태의 심재층(118)으로 이루어지는 3층직물로 구성한다.
상기 어퍼쿠션(112)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구성하여 신체와 접촉시 까질한질감을 통하여 시원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밀착성을 배제하여 수분이나 땀으로 인하여 끈적하게 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로어쿠션(111)과 어퍼쿠션(112)의 사방 측면은 바람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닐, 가죽, 인조가죽, 조직이 치밀한 직물지로 마감한 측면커버(119)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송풍부(130)는, 쿠션부(110)를 안치할 수 있도록 쿠션부(1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쿠션부(110)를 안치한 상태에서 변형이 없어 견고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 목재,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안치판(131)을 상부에 구비한다.
상기 안치판(131)에는 통풍을 위하여 송풍홀(132)을 형성하는 데, 상기 송풍홀(132)은 수 밀리미터와 같은 작은 직경을 많이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나 쿠션부(110)의 안치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송풍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100밀리미터 또는 그 이상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안치판(131)의 하방과 측방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측판(133)과 하판(134)을 연결하여 쿠션프레임(135)을 구성하고, 상기 하판(134)의 저면에는 여러 개의 서포터(136)를 고정하여 다리역할을 수행하면서 송풍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판(134)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저소음 또는 무소음 송풍홴(140)을 장착하여 외부전원이나 쿠션프레임(135)에 내장되는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쿠션부(110) 또는 송풍부(130)에는 송풍홴(140)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배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측판(133)은 측면커버(119)로 함께 마감하여도 되고 쿠션프레임(135) 고유의 질감을 그대로 노출시켜도 무방할 것이며, 상기 측판(133)에는 송풍을 위한 공기유입을 위한 공기유입홀(141)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안치판(131)과 하판(134) 사이의 공간에는 송풍홴(140)으로부터 연장되는 송풍가이드(145)를 더 구비하여 송풍홴(140)에 의하여 상방으로 보내어지는 바람이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쿠션부(110)의 상부 전체로 고르게 바람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송풍홴(140)은 대형, 중형 및 소형을 사용할 수 있는 데, 대형과 중형의 경우에는 하나 또는 수 개를 설치하여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여도 되고, 소형의 경우에는 수 십개를 설치하여 스위치에 의하여 쿠션부(110)의 X,Y방향으로의 절반, 또는 구역을 정하여 동시 또는 분할작동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활용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100)를 용도에 맞게 만들어 제공하게 되므로 침대의 매트, 쇼파용 쿠션, 방석 및 매트리스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침구류에 사용할 경우, 이용자가 쿠션부(110)의 어퍼쿠션(112)에 눕거나 앉은 자세를 취하여 사용하게 되면 일반적인 침구류가 가지는 쿠션성을 그대로 가지게 되므로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110)는, 하절기와 같이 외부기온이 높고 습도가 높은 경우 시원함과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고 또는 환자와 같이 거동이 불편한 이용자의 경우 지속적으로 누워있으므로 야기될 수 있는 습진, 욕창 등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쿠션부(110)의 하방에 설치되는 송풍부(130)에 의하여 바람이 쿠션부(110)로 공급되어 쿠션부(110)의 상방으로 배출되므로서 쿠션부(110)에 누워있거나 앉아있는 이용자들에 쿠션부(110) 자체의 통풍성에 송풍으로 인한 통풍성이 더하여져 시원함과 쾌적함이 배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송풍부(130)를 구성하는 송풍홴(140)을 작동시키면 외부공기가 쿠션프레임(135)의 하방 또는 측판(133)에 형성되는 공기유입홀(141)을 통하여 유입하여 쿠션부(110) 방향으로 보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송풍홴(140)에 의하여 생성된 바람은 쿠션프레임(135) 내부에 더 설치되는 송풍가이드(145)에 의하여 안치판(131) 전체로 고르게 분산되어지고, 안치판(131)에 형성된 송풍홀(132)을 통하여 쿠션부(110)로 공급된다.
상기 쿠션부(110)의 경우에는 로어쿠션(111)과 어퍼쿠션(112)으로 구성되는 데, 안치판(131)과 연접된 로어쿠션(111)은 중공(113)이 형성된 튜브 형태의 복수의 스레드((Thread, 114)가 불규칙 망상구조(115)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송풍홴(140)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이 어포쿠션(112)으로 원활하게 공급되어진다.
상기 로어쿠션(1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어퍼쿠션(112)은 이면직층(116)과 상층을 구성하는 표면직층(117) 및 이면직층(116)과 표면직층(117)을 종방향으로 연결하여 쿠션을 부여하면서 통기성을 높일 수 있는 형태의 심재층(118)으로 이루어진 3층구조로 이루어져 역시 통기성이 우수하게 되므로 바람이 어퍼쿠션(112)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어퍼쿠션(112) 외부로 방출되는 바람은 착석한 상태 또는 누워있는 상태의 이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므로 시원하고 쾌적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쿠션부(110)의 사방 측면은 측면커버(119)로 마감되어 송풍홴(140)에 의하여 공급되어지는 바람이 측면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바람이 최종적으로 어퍼쿠션(112)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에게 더욱 시원하고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절기에는 송풍홴(140)으로 바람을 어퍼쿠션(112) 상부로 배출시켜 쾌적함과 시원함을 유지할 수 있고, 기타 계절에는 일반적인 매트 또는 쿠션으로 사용할 수 있는 데, 이는 송풍부(130)가 하측에서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는 형태를 유지하고, 그 상방에 쿠션부(110)를 구성하는 로어쿠션(111)과 어퍼쿠션(112)이 재질 특성에 의하여 신축성 및 복원력이 높기 때문에 쿠션감이 우수하게 되는 특성에 기인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침구류의 매트로 사용하면서 쿠션성을 높이고 하절기에는 시원함 바람에 의하여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환자들에게도 위생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
100;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
110; 쿠션부
111; 로어쿠션
112; 어퍼쿠션
115; 망상구조
116; 이면직층
117; 표면직층
118; 심재층
130; 송풍부
131; 안치판
132; 송풍홀
133; 측판
134; 하판
135; 쿠션프레임
140; 송풍홴
141; 공기유입홀
145; 송풍가이드

Claims (3)

  1. 이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쿠션부(110)와;
    상기 쿠션부(110)의 하방에 위치하여 쿠션부(110)를 지지하면서 쿠션부(110)로 바람을 송출시켜 쿠션부(110)와 접촉한 이용자의 신체를 시원하게 하면서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송풍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110)는, 이용자의 신체적인 하중을 지지하는 로어쿠션(111)과;
    상기 로어쿠션(111)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어퍼쿠션(112)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쿠션(111)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또는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하는 연질 소재로 중공(113)이 형성된 튜브 형태의 복수의 스레드(Thread, 114)가 불규칙 망상구조(115)로 결합된 구조이고;
    상기 어퍼쿠션(112)은, 바닥을 구성하는 이면직층(116)과, 상층을 구성하는 표면직층(117) 및 이면직층(116)과 표면직층(117)을 종방향으로 연결하여 쿠션을 부여하면서 통기성을 높일 수 있는 형태의 심재층(118)으로 이루어지는 3층직물 구조이고;
    상기 로어쿠션(111)과 어퍼쿠션(112)의 사방 측면은 바람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감하는 측면커버(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130)는, 쿠션부(110)를 안치할 수 있는 안치판(131)과;
    상기 안치판(131)에 통풍이 가능하게 형성하는 송풍홀(132)과;
    상기 안치판(131)의 하방과 측방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측판(133)과 하판(134)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쿠션프레임(135)과;
    상기 하판(134)의 저면에 여러 개 고정하여 다리역할과 송풍 공간을 확보하는 서포터(136)와;
    상기 하판(134)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장착하여 외부바람을 유입시켜 쿠션부로 공급하는 저소음 또는 무소음 송풍홴(140)과;
    상기 측판(133)에 형성하여 외부공기 유입이 가능하게 하는 공기유입홀(141)과;
    상기 안치판(131)과 하판(134) 사이의 공간에 송풍홴(140)으로부터 연장되어 송풍홴(140)에 의하여 상방으로 보내어지는 바람이 균일하게 분배하는 송풍가이드(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
KR1020220087629A 2022-07-15 2022-07-15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 KR20240010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629A KR20240010275A (ko) 2022-07-15 2022-07-15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629A KR20240010275A (ko) 2022-07-15 2022-07-15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275A true KR20240010275A (ko) 2024-01-23

Family

ID=8971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629A KR20240010275A (ko) 2022-07-15 2022-07-15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027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241B1 (ko) 2012-07-05 2013-05-03 황원선 일회용 통풍매트 및 이에 의한 송풍식 침구키트
KR200482902Y1 (ko) 2015-12-30 2017-03-14 주식회사 지오클라비스 침구용 통풍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241B1 (ko) 2012-07-05 2013-05-03 황원선 일회용 통풍매트 및 이에 의한 송풍식 침구키트
KR200482902Y1 (ko) 2015-12-30 2017-03-14 주식회사 지오클라비스 침구용 통풍매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7279B1 (en) Multi-layer mattress with an air filtration foundation
WO2001015573A1 (fr) Literie, coussin, matelas, chaise, vetements et chaussures refroidis
JP2000512175A (ja) 座席、背もたれ及び寝椅子の詰め物
CN201814258U (zh) 枕头结构
KR100826793B1 (ko) 열전달편이 배열된 냉온풍 침대
KR101843338B1 (ko) 에어 공급수단이 구비된 통풍 베개
KR20240010275A (ko)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
JPWO2004012564A1 (ja) 除湿装置用風路
JP2005312649A (ja) マットレス本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ベッド
JP2009125255A (ja) マットレス
KR20240045826A (ko) 통풍기능을 가지는 매트
KR200426007Y1 (ko) 통풍 기능을 갖는 베개
JPH08228889A (ja) クッションマット
JP2000139653A (ja)
TWM608590U (zh) 透氣溫控床墊機構
JPH07313306A (ja) 強制通気ふとん
CN216855182U (zh) 一种通风按摩座椅
CN216876881U (zh) 一种防褥疮透气解压轮椅坐垫
KR102606372B1 (ko) 목쿠션 겸용 베개
CN212912493U (zh) 一种透气坐垫
RU222052U1 (ru) Подушка
CN212698246U (zh) 一种高透气性网椅坐垫
KR200360842Y1 (ko) 통기성 베개
KR200258724Y1 (ko) 통기성 시이트
KR200230047Y1 (ko) 양면 매트리스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