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121A - 처방전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처방전 분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121A
KR20240010121A KR1020220087262A KR20220087262A KR20240010121A KR 20240010121 A KR20240010121 A KR 20240010121A KR 1020220087262 A KR1020220087262 A KR 1020220087262A KR 20220087262 A KR20220087262 A KR 20220087262A KR 20240010121 A KR20240010121 A KR 20240010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tem
drug code
items
do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휘
Original Assignee
박준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휘 filed Critical 박준휘
Priority to KR1020220087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121A/ko
Publication of KR20240010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10Bar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방전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처방전 분석 장치는 처방전을 촬영함에 따라 생성된 처방전 이미지를 입력받는 이미지 입력부, OCR을 이용하여 처방전 이미지에서 복수 개의 문자열과 각 문자열의 좌표를 검출하는 문자검출부, 복수 개의 문자열에서 투약량, 투여횟수,투약일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추출하고 문자열의 좌표를 각 항목에 대한 기준좌표로 설정하며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좌표를 설정하는 항목기준 설정부, 복수 개의 문자열에서 기설정된 길이의 숫자로 구성된 문자열을 의약품코드로 검출하고 문자열의 좌표를 매칭시키는 의약품코드 검출부, OpenCV를 이용하여 처방전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 개의 라인을 검출하는 라인검출부, 복수 개의 라인 중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좌표와 인접한 두 개의 라인을 선택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으로 설정하는 라인선택부, 의약품코드 검출부에서 검출한 각 의약품코드와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문자열에서 의약품코드별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을 획득하는 항목값 획득부 및 의약품코드 검출부에서 검출한 의약품코드와 의약품코드별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을 포함하는 복용정보를 생성하는 복용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처방전 분석 장치{APPARATUS FOR ANALYZING PRESCRIPTIONS}
본 발명은 처방전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처방전을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가 약의 복용 횟수, 복용기간, 복용량을 처방에 맞게 복용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복약순응도는 치료 효과와 약물 내성 문제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오랜 기간 약을 복용해야 하는 만성질환자일수록 복약순응도가 낮은 경우 약물에 내성이 생기고 약효가 감소하는 문제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복약 일정을 등록받아 알림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가 직접 약물과 약물별 복약 정보를 입력해야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처방전을 인식하는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처방전에서 텍스트를 인식하는 정도만 개시할 뿐 인식한 텍스트에서 복용 횟수, 복용기간, 복용량과 같은 각 항목에 대한 값을 추출하는 내용을 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OCR(Optical Character Reader)을 이용하여 처방전에서 텍스트를 검출하는 것은 구현한다 하더라도, 병원마다 발행하는 처방전의 구조가 달라 단순히 OCR을 이용한 텍스트 검출로는 각 항목(투약량, 투여횟수, 투약일수)에 대한 값을 추출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예를 들어, 각 항목에 대응하는 값이 '왼쪽 맞춤', '오른쪽 맞춤', 또는 '가운데 맞춤'으로 작성되었는지에 따라서도 각 항목의 항목명과 각 항목에 대한 값과의 거리가 달라져, 실제로는 투약량에 대한 값인데 투여횟수에 대한 값으로 검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구조가 일정하지 않은 처방전들로부터 투약량, 투여횟수, 투약일수에 해당하는 값을 정확하게 획득하여 복용일정 등록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20-000571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8-010360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OCR과 OpenCV기술을 결합하여 처방전을 촬영한 이미지에서 투약량, 투약횟수, 투약일 각각에 대응하는 값을 검출할 수 있는 처방전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처방전 분석 장치는 처방전을 촬영함에 따라 생성된 처방전 이미지를 입력받는 이미지 입력부, OCR을 이용하여 처방전 이미지에서 복수 개의 문자열과 각 문자열의 좌표를 검출하는 문자검출부, 복수 개의 문자열에서 투약량, 투여횟수,투약일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추출하고 문자열의 좌표를 각 항목에 대한 기준좌표로 설정하며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좌표를 설정하는 항목기준 설정부, 복수 개의 문자열에서 기설정된 길이의 숫자로 구성된 문자열을 의약품코드로 검출하고 문자열의 좌표를 매칭시키는 의약품코드 검출부, OpenCV를 이용하여 처방전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 개의 라인을 검출하는 라인검출부, 복수 개의 라인 중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좌표와 인접한 두 개의 라인을 선택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으로 설정하는 라인선택부, 의약품코드 검출부에서 검출한 각 의약품코드와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문자열에서 의약품코드별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을 획득하는 항목값 획득부 및 의약품코드 검출부에서 검출한 의약품코드와 의약품코드별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을 포함하는 복용정보를 생성하는 복용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OCR과 OpenCV기술을 결합하여 처방전을 촬영한 이미지에서 투약량, 투약횟수, 투약기간 각각에 대응하는 값을 획득할 수 있는 처방전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처방전 이미지를 불러오는 간단한 동작으로 복용일정을 등록하고 복약알림을 받을 수 있는 처방전 분석 장치를 제공하여 환자의 복약순응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분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분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처방전 이미지에서 검출되는 라인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경계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출력되는 일정입력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출려되는 복용일정표시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분석 장치의 블록도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분석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분석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분석 장치(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과 순서도의 단계는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전자 장치(예를 들어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명령들(instructions)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 또는 흐름도의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일치시키고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처방전 분석 장치(10)는 이미지 입력부(110), 문자검출부(120), 항목기준 설정부(130), 의약품코드 검출부(140), 라인검출부(150), 라인선택부(160), 항목값 획득부(170), 약품정보 획득부(180), 복용정보 생성부(190), 복용일정 입력부(210), 복용일정 등록부(230), 복용일정 표시부(240), 알림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입력부(110)는 처방전을 촬영함에 따라 생성된 처방전 이미지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S101).
이미지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부터 처방전을 촬영함에 따라 생성된 처방전 이미지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S101).
문자검출부(120)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하여 처방전 이미지에서 복수 개의 문자열과 각 문자열의 좌표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S103).
여기서, 각 문자열의 좌표는 이미지의 좌측 최상단을 기준(0, 0)으로 검출된 각 문자열이 포함된 문자영역의 좌측상단 좌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각 문자열의 좌표는 x축 좌표값과 y축 좌표값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항목기준 설정부(130)는 문자검출부(120)에서 처방전 이미지로부터 검출한 복수 개의 문자열에서 투약량, 투여횟수, 투약일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문자(예를 들어 "회", "일", "총")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추출하고 문자열의 좌표를 각 항목에 대한 기준좌표로 설정하며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S105).
항목기준 설정부(130)는 문자검출부(120)에서 처방전 이미지로부터 검출한 복수 개의 문자열 중 처방전 이미지의 최상단과의 y축 좌표값 차이에 따른 거리가 기설정된 임계거리(예를 들어 800)을 초과하는 문자열에 대해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문자를 포함하는 지 판단하며, 각 항목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의 좌표를 각 항목에 대한 기준좌표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S105).
예를 들어, 항목기준 설정부(130)은 도 3에 도시된 처방전 이미지에서 투약량 항목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문자 "회"가 포함된 문자열 "1회"에 대한 좌표를 투약량 항목에 대한 기준좌표로 설정하고, 투여횟수 항목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문자 "일"이 포함된 문자열 "1일투여"에 대한 좌표를 투여횟수 항목에 대한 기준좌표로 설정하며, 투약일수 항목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문자 "총"이 포함된 문자열 "총"에 대한 좌표를 투약일수 항목에 대한 기준좌표로 설정할 수 있다.
의약품코드 검출부(140)는 복수 개의 문자열에서 기설정된 길이의 숫자로 구성된 문자열을 의약품코드로 검출하고 문자열의 좌표를 매칭시키는 것일 수 있다(S105).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의약품코드 검출부(140)는 9자의 숫자로 구성된 문자열 "6529011880", "671705760", "671701350", "698004200"을 각각 의약품코드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인검출부(150)는 이미지 입력부(110)에서 처방전 이미지를 입력받은 단계(S101) 이후 OpenCV를 이용하여 처방전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 개의 라인을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S103).
라인검출부(150)는 OpenCV의 선형 도형 검출 함수(Houghline)를 이용하여 처방전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 개의 라인을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S103).
도 3에서 초록색으로 표시되는 선(1001, 1002, 1003, 1004)은 라인검출부(150)에서 검출한 라인을 의미하고, 빨간색으로 표시되는 선(1011, 1012, 1013, 1014)은 라인검출부(150)에서 검출한 각 라인의 x축 좌표값을 평균한 값에 대응되는 대표라인을 의미하며, 파란색으로 표시되는 선(1021, 1022, 1023)은 각 항목에 대한 기준좌표의 x축 좌표값에 따른 기준라인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라인선택부(160)는 라인검출부(150)에서 검출한 복수 개의 라인 중 항목기준 설정부(130)에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해 설정한 기준좌표와 인접한 두 개의 라인을 선택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S107).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라인선택부(160)는 라인검출부(150)에서 검출한 복수 개의 라인(1001, 1002, 1003, 1004) 중 투약량 항목의 기준좌표 x축 좌표값에 대응되는 기준라인(1021)과 인접한 두 개의 라인(1001, 1002)을 각각 투약량 항목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인선택부(160)는 복수 개의 라인(1001, 1002, 1003, 1004) 중 투여횟수 항목의 기준좌표 x축 좌표값에 대응되는 기준라인(1022)과 인접한 두 개의 라인(1002, 1003)을 각각 투여횟수 항목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으로 설정하고, 투약일수 항목의 x축 좌표값에 대응되는 기준라인(1023)과 인접한 두 개의 라인(1003, 1004)을 각각 투약일수 항목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으로 설정할 수 있다.
라인선택부(160)는 라인검출부(150)에서 검출한 복수 개의 라인 각각에 속하는 좌표의 x축 좌표값을 평균한 값을 x축 좌표값으로 가지는 대표라인을 생성하며 복수 개의 라인에 대한 복수 개의 대표라인을 생성하고, 복수 개의 대표라인 중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해 설정한 기준좌표와 인접한 두 개의 대표라인을 선택하여 각 항목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S107).
라인선택부(160)는 복수 개의 대표라인 중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해 설정한 기준좌표와의 x축 좌표값 차이에 따른 거리가 작은 순으로 두 개의 대표라인을 선택하여 각 항목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S107).
예를 들어 라인선택부(160)는 복수 개의 대표라인(1011, 1012, 1013, 1014) 중 투약량 항목의 기준좌표 x축 좌표값에 대응되는 기준라인(1021)과 인접한 두 개의 대표라인(1011, 1012)을 각각 투약량 항목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으로 설정하고, 투여횟수 항목의 기준좌표 x축 좌표값에 대응되는 기준라인(1022)과 인접한 두 개의 대표라인(1012, 1013)을 각각 투여횟수 항목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으로 설정하며, 투약일수 항목의 x축 좌표값에 대응되는 기준라인(1023)과 인접한 두 개의 대표라인(1013, 1014)을 각각 투약일수 항목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으로 설정할 수 있다.
라인선택부(160)는 openCV에서 검출되는 라인에서 각 항목에 대해 설정된 기준좌표를 기준으로 각 항목의 항목값 검출의 경계가 되는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을 설정할 수 있다.
라인선택부(160)는 각 항목에 대해 양측으로 경계라인을 설정하며 처방전 이미지에서 투약량, 1회 투여횟수, 투약일수와 같은 각 항목에 대한 값을 검출할 x좌표값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즉, 상기한 구성에 따라 각 항목에 대해 두 개의 경계라인을 설정하여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항목에 대한 값이 '왼쪽 맞춤', '오른쪽 맞춤', 또는 '가운데 맞춤'으로 작성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항목값을 검출할 수 있다.
항목값 획득부(170)는 의약품코드 검출부(140)에서 검출한 각 의약품코드와 라인선택부(160)에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해 설정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을 기준으로 문자 검출부(120)에서 검출한 복수 개의 문자열에서 의약품코드별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S109).
항목값 획득부(170)는 문자 검출부(120)에서 검출한 복수 개의 문자열 중 좌표가 의약품코드 검출부(140)에서 검출한 각 의약품코드의 좌표를 기설정된 좌표축으로 연장함에 따른 라인상에 위치하고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문자열을 추출하여 값으로 변환하고, 문자열에서 변환된 값을 의약품코드 및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으로 설정하며 의약품코드별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S109).
항목값 획득부(170)는 문자 검출부(120)에서 검출한 복수 개의 문자열 중 x축 좌표값이 각 항목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 사이에 포함되고 의약품코드에 매칭된 좌표의 y축 좌표값을 기준으로 가장 인접한 y축 좌표값을 가지는 문자열을 추출하여 값으로 변환하여 각 의약품코드 및 항목에 대한 항목값으로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S109).
도 3을 참조하면, 항목값 획득부(170)는 투약량 항목에 대한 제1 경계라인(1011)과 제2 경계라인(1012) 사이에 위치하고, 의약품코드 "652901880"에 매칭된 y축 좌표값에 따른 행기준라인(1031)과 가장 인접한 문자열 "1.00"을 추출하여 값 1로 변환하여, 의약품코드 "652901880" 및 투약량 항목에 대한 항목값 1을 획득할 수 있다.
항목값 획득부(180)는 투여횟수 항목에 대한 제1 경계라인(1012)과 제2 경계라인(1013) 사이에 위치하고, 의약품코드 "652901880"에 매칭된 y축 좌표값에 따른 행기준라인(1031)과 가장 인접한 문자열 "2"을 추출하여 값 2로 변환하여, 의약품코드 "652901880" 및 투여횟수 항목에 대한 항목값 2를 획득할 수 있다.
항목값 획득부(180)는 투약일수 항목에 대한 제1 경계라인(1013)과 제2 경계라인(1014) 사이에 위치하고, 의약품코드 "652901880"에 매칭된 y축 좌표값에 따른 행기준라인(1031)과 가장 인접한 문자열 "10"을 추출하여 값 10로 변환하여, 의약품코드 "652901880" 및 투약일수 항목에 대한 항목값 10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OCR기술과 openCV기술을 결합하여 구조가 상이한 처방전 이미지에서 투약량, 1회 투여횟수, 투약일수와 같은 각 항목에 대한 항목값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약품정보 획득부(180)는 복수의 의약품 각각의 의약품코드, 의약품명, 의약품 이미지, 효능효과를 내용으로 포함하는 복수 개의 약품정보가 저장된 외부 서버로 의약품코드 검출부(140)에서 검출한 의약품코드를 전송함에 따라 의약품코드에 대응하는 약품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는 복수의 의약품 각각의 의약품코드, 의약품명, 의약품 이미지, 효능효과를 내용으로 포함하는 복수 개의 약품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의약품코드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의약품코드와 동일한 의약품코드를 포함하는 약품정보를 추출하여 외부로 전송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의약품코드는 각 의약품에 부여된 13자리의 표준코드에서 3자리의 국가코드와 1자리의 검증번호를 제외한 9개의 숫자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약품정보 획득부(180)는 의약품코드 검출부(140)에서 검출한 의약품코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의약품코드의 전송에 대응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약품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의약품코드 검출부(140)에서 검출한 각 의약품코드에 대응하는 약품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복용정보 생성부(190)는 의약품코드 검출부(140)에서 검출한 의약품코드와 의약품코드별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을 포함하는 복용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S115).
복용정보 생성부(190)는 의약품코드 검출부(140)에서 검출한 각 의약품코드에 대해 약품정보 획득부(180)에서 획득한 약품정보와 의약품코드에 대해 상기 항목값 획득부(170)에서 획득한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을 포함하는 복용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S115).
상기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처방전에 기재된 의약품별 투약량, 투여횟수, 투약일수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처방전을 촬영한 처방전 이미지를 입력하는 간단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별 투약량, 투여횟수, 투약일수를 내용으로 포함하는 복용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처방량 산출부(200)는 복용정보에 포함된 의약품별 투약량, 투여횟수, 투약일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을 곱함에 따라 각 약품정보에 대한 처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용정보에 제1 약품정보에 대해 투약량에 대한 항목값 1, 투여횟수에 대한 항목값 2, 투약일수에 대한 항목값 10이 포함되는 경우, 처방량 산출부(200)는 투약량에 대한 항목값 1과 투여횟수에 대한 항목값 2와 투약일수에 대한 항목값 10을 곱함에 따라 제1 약품정보에 대한 처방량 20을 산출할 수 있다.
복용일정 입력부(210)는 복용정보 생성부(190)에서 생성한 복용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각 약품정보에 대한 투약량, 투여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감소 또는 증가 명령을 입력받으며 사용자로부터 복용시간을 입력받기 위한 일정입력영역을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출력하고, 일정입력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부터 복용정보에 포함된 각 약품정보에 대한 복용시간을 포함하는 복용일정정보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S115).
복용일정 입력부(210)는 일정입력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각 약품정보에 대한 투약량, 투여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감소 또는 증가 명령에 따라 복용정보에 포함된 약품정보별 투약량, 투여횟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을 기설정된 값만큼 감소 또는 증가시키며 각 약품정보에 대한 투약량, 투여횟수를 포함하는 일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복용일정 입력부(210)는 일정입력영역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각 약품정보에 대한 투약량, 투여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감소 또는 증가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일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대응하여, 처방량 산출부(200)에서 약품정보에 대해 산출한 처방량과 일정정보에 기초한 예상복용일을 일정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복용일정 입력부(210)는 처방량 산출부(200)에서 약품정보에 대해 산출한 처방량을 일정정보의 투약량으로 나누고, 일정정보의 투여횟수로 나눔에 따른 몫과 나머지값을 일정입력영역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처방전에서 획득된 투약량과 투여횟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투약량과 투여횟수의 조절에 따라 예상되는 복용일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복용일정 입력부(210)는 각 약품정보에 대한 일정정보의 투여횟수에 따라 복용시간을 입력받기 위한 기설정된 복수 개의 복용시간 입력칸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복용시간 입력칸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복용시간을 입력받아 각 약품정보에 대한 일정정보와 매칭시켜 각 약품정보에 대한 복용일정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복용일정정보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S115).
도 5를 참조하면, 일정입력영역(1000)은 복용정보에 포함된 각 약품정보를 표시하는 약품정보 표시영역(1010)과, 복용정보에 포함된 각 약품정보에 대한 투약량, 투여횟수, 투약일수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항목에 대한 항목값과 기설정된 복용간격값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투약량, 투여횟수, 복용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감소 또는 증가 명령을 입력받는 복용일정 조정영역(1020)과 투여횟수에 따라 기설정된 복수 개의 초기복용시간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복용시간을 입력받기 위한 복용시간 입력영역(10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복용일정 조정영역(1020)은 복용정보에 포함된 각 약품정보에 대한 투약량이 표시되는 투약량 표시칸(1021), 복용정보에 포함된 각 약품정보에 대한 투여횟수가 표시되는 투여횟수 표시칸(1022), 복용정보에 포함된 각 약품정보에 대한 투약일수가 표시되는 투약일수 표시칸(1023), 기설정된 복용간격값이 표시되는 복용간격 표시칸(1024), 사용자로부터 투약량에 대한 감소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1 감소아이콘(1021a), 사용자로부터 투약량에 대한 증가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증가아이콘(1021b), 사용자로부터 투여횟수에 대한 감소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2 감소아이콘(1022a), 사용자로부터 투여횟수에 대한 증가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2 증가아이콘(1022b), 사용자로부터 복용간격에 대한 감소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3 감소아이콘(1024a), 사용자로부터 복용간격에 대한 증가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3 증가아이콘(1024b)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복용일정 입력부(210)는 복용정보에 포함된 각 약품정보에 대한 투약량, 투여횟수, 투여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에 대한 항목값을 각각 초기투약량, 초기투여횟수, 초기투여일로 설정하고 초기투약량, 초기투여횟수, 초기투여일과 기설정된 초기간격값을 포함하는 일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복용일정 입력부(210)는 복용일정 조정영역(1020)을 통해 투약량, 투여횟수, 복용간격 각각에 감소 또는 증가 명령이 입력되는 것에 대응하여 초기투약량, 초기투여횟수, 초기간격값을 각각 기설정된 최솟값(예를 들어 1)과 최댓값(예를 들어 3) 사이에서 기설정된 값(예를 들어 1)만큼 감소 또는 증가시킴에 따른 투약량, 투여횟수, 간격값을 포함하는 일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복용일정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복용시간을 입력받기 위해 기설정된 복수 개의 복용시간 입력칸(1031, 1032, 1033) 중 일정정보의 투여횟수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복용시간 입력칸(1031, 1033)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복용시간 입력칸(1031, 1033)을 통해 각 약품정보에 대한 복용시간을 입력받아 각 약품정보에 대한 일정정보와 매칭시켜 각 약품정보에 대한 복용일정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로부터 각 약품정보에 대한 복용일정정보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각 복용시간 입력칸에는 복용시간 입력칸별로 기설정된 초기복용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복용일 산출부(220)는 처방량 산출부(200)에서 각 약품정보에 대해 산출한 처방량과 복용일정 입력부(210)에서 각 약품정보에 대해 입력받은 일정정보의 투약량, 투여횟수, 복용간격을 이용하여 의약품별 예상복용일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복용일 산출부(220)는 각 약품정보에 대한 처방량에 일정정보의 복용간격을 곱하고 일정정보의 투약량을 나눔에 따른 값을 일정정보의 투여횟수로 나눈 몫과 나머지값을 산출하며, 몫과 나머지값으로 구성된 예상복용일정보를 약품정보별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복용일정 입력부(210)는 복용정보에 포함된 각 약품정보에 대한 투약일수 항목에 대한 항목값이 표시되는 투약일수 표시칸(1023)에 각 약품정보에 대한 예상복용일정보의 몫과 나머지값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약품정보에 대한 투여횟수가 3이고, 예상복용일정보의 몫이 6, 나머지값이 2인 경우 복용일정 입력부(210)는 투약일수 표시칸에 6 2/3을 표시할 수 있다.
복용일정 등록부(230)는 복용일정 입력부(210)에서 입력받은 의약정보별 복용일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17).
복용일정 표시부(240)는 복용일정 등록부(230)에 저장된 복용일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복용일정표시영역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용일정표시영역(2000)은 각 약품정보와 약품정보에 대한 복용시간을 표시하는 약품별 일정표시영역(2010)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250)는 복용일정 등록부(230)에 저장된 복용일정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약물정보에 대한 복용시간이 도래하면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상기 약물정보와 상기 복용시간을 포함하는 복용알림메시지를 전송하며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행 병원에 따라 구조가 다른 각 처방전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의약품별 투약횟수, 투약량, 투약일과 같은 항목값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투약횟수, 투약량, 투약일을 입력하지 않아도 되며, 처방전 이미지에서 자동으로 추출된 항목값을 이용해 복약일정을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처방전 분석 장치
110 : 이미지 입력부
120 : 문자검출부
130 : 항목기준 설정부
140 : 의약품코드 검출부
150 : 라인검출부
160 : 라인선택부
170 : 항목값 획득부
180 : 약품정보 획득부
190 : 복용정보 생성부
200 : 처방량 산출부
210 : 복용일정 입력부
220 : 복용일 산출부
230 : 복용일정 등록부
250 : 복용일정 표시부
250 : 알림부

Claims (4)

  1. 처방전을 촬영함에 따라 생성된 처방전 이미지를 입력받는 이미지 입력부;
    OCR을 이용하여 상기 처방전 이미지에서 복수 개의 문자열과 각 문자열의 좌표를 검출하는 문자검출부;
    상기 복수 개의 문자열에서 투약량, 투여횟수, 투약일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추출하고 상기 문자열의 좌표를 각 항목에 대한 기준좌표로 설정하며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좌표를 설정하는 항목기준 설정부;
    상기 복수 개의 문자열에서 기설정된 길이의 숫자로 구성된 문자열을 의약품코드로 검출하고 상기 문자열의 좌표를 매칭시키는 의약품코드 검출부;
    OpenCV를 이용하여 상기 처방전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 개의 라인을 검출하는 라인검출부;
    상기 복수 개의 라인 중 상기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좌표와 인접한 두 개의 라인을 선택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으로 설정하는 라인선택부;
    상기 의약품코드 검출부에서 검출한 각 의약품코드와 상기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문자열에서 의약품코드별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을 획득하는 항목값 획득부; 및
    상기 의약품코드 검출부에서 검출한 의약품코드와 상기 의약품코드별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을 포함하는 복용정보를 생성하는 복용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처방전 분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값 획득부는
    상기 복수 개의 문자열 중 좌표가 상기 의약품코드 검출부에서 검출한 각 의약품코드의 좌표를 기설정된 좌표축으로 연장함에 따른 라인상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제1 경계라인과 제2 경계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문자열을 추출하여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문자열에서 변환된 값을 상기 의약품코드 및 상기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으로 설정하며 의약품코드별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을 획득하는 것
    인 처방전 분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의약품 각각의 의약품코드, 의약품명, 의약품 이미지, 효능효과를 내용으로 포함하는 복수 개의 약품정보가 저장된 외부 서버로 상기 의약품코드 검출부에서 검출한 의약품코드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의약품코드에 대응하는 약품정보를 획득하는 약품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처방전 분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정보 생성부는
    상기 의약품코드 검출부에서 검출한 각 의약품코드에 대해 상기 약품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한 약품정보와 상기 의약품코드에 대해 상기 항목값 획득부에서 획득한 기설정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항목값을 포함하는 복용정보를 생성하는 것
    인 처방전 분석 장치.



KR1020220087262A 2022-07-15 2022-07-15 처방전 분석 장치 KR20240010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262A KR20240010121A (ko) 2022-07-15 2022-07-15 처방전 분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262A KR20240010121A (ko) 2022-07-15 2022-07-15 처방전 분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121A true KR20240010121A (ko) 2024-01-23

Family

ID=8971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262A KR20240010121A (ko) 2022-07-15 2022-07-15 처방전 분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012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600A (ko) 2017-03-10 2018-09-19 (주)게임아레나 동맹별 경쟁 방식의 게임 대회를 위해 동맹을 결성하는 방법 및 서버
KR20200005717A (ko) 2018-07-08 2020-01-16 주식회사 제이비씨 전복 장조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600A (ko) 2017-03-10 2018-09-19 (주)게임아레나 동맹별 경쟁 방식의 게임 대회를 위해 동맹을 결성하는 방법 및 서버
KR20200005717A (ko) 2018-07-08 2020-01-16 주식회사 제이비씨 전복 장조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6791B2 (en) Recording dose data from drug injection devices us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US11430564B2 (en) Personalized patient positioning, verification and treatment
EP3244948B1 (en) Medicament dosage determination
JP2020099709A (ja) 光学式文字認識(ocr)を用いて使用者が設定した用量値を記録および表示するために注射デバイスに取り付けるための補助デバイス
US201000424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authenticating medication consumption
KR101744123B1 (ko) 의약품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312457A1 (en) Mobile imaging modality for medical devices
CN106687992A (zh) 用于执行光学字符识别的装置和方法
JP7042934B2 (ja) 光学文字認識を使用した薬物注射デバイスからの用量データの記録
KR20240010121A (ko) 처방전 분석 장치
Reddy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for Measuring Accuracy in Recognizing Hand Gestures using Feedforward Neural Network and CNN Method
CN111599436A (zh) 临床用药分发方法及其分发设备
KR102333726B1 (ko) 치과 방사선 영상 판독 소견 작성 보조 시스템
CN109616173B (zh) 药品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240130604A1 (en) Processing Device, Processing Program,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System
JP6133616B2 (ja) 2次元コードを利用した医療情報端末及びプログラム
TW201905851A (zh) 以ar技術實現穴道視覺化之方法
JP7317348B2 (ja) 処方箋情報受付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4530226A (zh) 电子处方的生成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6132781B2 (ja) 薬剤登録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TW202338859A (zh) 應用於醫療院所的視覺輔助比對系統及方法
JP608270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420143A (zh) 提供个性化健康护理的系统,方法和装置
CN114446464A (zh) 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基于深度学习的远端舌诊方法及装置
TW202244849A (zh) 製劑調製檢核系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