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053A -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053A
KR20240010053A KR1020237044823A KR20237044823A KR20240010053A KR 20240010053 A KR20240010053 A KR 20240010053A KR 1020237044823 A KR1020237044823 A KR 1020237044823A KR 20237044823 A KR20237044823 A KR 20237044823A KR 20240010053 A KR20240010053 A KR 20240010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mass
microneedle
aci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지 구와하라
게이이치로 츠루시마
마사후미 오노
마사토 와카마츠
데츠로 다테이시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일례에 관련된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는, 지지체와, 지지체의 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적어도 일부가 점착제층 내에 위치하는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를 구비하고, 점착제층이, 수용성 고분자 및 물을 포함하고, 환경 온도 25 ℃ 및 주파수 1 Hz 인 측정 조건하에서의 점착제층의 손실 정접이 0.20 ∼ 0.41 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는, 미세 바늘이 부착된 첩부제가 기재되어 있다. 이 첩부제는, 점착층의 내부에 이 점착층으로부터 첩착면측으로 돌출 가능한 1 개 이상의 미세 바늘 부재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2 에는, 지지체와, 지지체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고, 또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제층과, 기판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 니들을 갖는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를 구비하는 첩부제가 기재되어 있다. 마이크로 니들은, 점착제층 중에서 노출되어 피부에 박힌 후에, 탄성에 의해 그 피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9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51380호
피부로부터 벗길 때에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가 피부 상에 남지 않는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가 요망되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관련된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는, 지지체와, 지지체의 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적어도 일부가 점착제층 내에 위치하는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를 구비하고, 점착제층이, 수용성 고분자 및 물을 포함하고, 환경 온도 25 ℃ 및 주파수 1 Hz 인 측정 조건하에서의 점착제층의 손실 정접이 0.20 ∼ 0.41 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 있어서는, 마이크로 니들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점착제층의 손실 정접이 상기의 수치 범위 내로 설정된다. 점착제층이 그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피부에 적용한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를,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를 그 피부 상에 남기는 일 없이 벗길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피부로부터 벗길 때에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가 피부 상에 남지 않는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에서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의 사시도이다.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는, 파프제, 테이프제 등으로서 사용되는 제제이다. 일례에서는,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는, 지지체 (12) 와, 지지체 (12) 의 주면의 대략 전체에 형성된 점착제층 (14) 과, 점착제층 (14) 의 작용면에 박리 가능하게 첩부된 박리 시트 (16) 와, 점착제층 (14) 내에 매립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를 구비한다. 점착제층 (14) 의 작용면이란,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의 사용시에 사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면을 말한다.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의 치수는, 사용자의 증상, 연령, 체중, 성별 등에 따라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의 면적은 1 ∼ 500 ㎠ 여도 되고, 10 ∼ 400 ㎠ 여도 된다. 그 면적을 1 ㎠ 이상으로 함으로써, 활성 성분의 충분한 피부 투과성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면적을 500 ㎠ 이하로 함으로써,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지지체 (12) 는, 시트상의 부재이다. 지지체 (12) 는 신축성을 가져도 된다. 지지체 (12) 의 재질은, 물리적 성질 (두께, 신장, 인장 강도, 첩부 작업성 등), 첩부시의 감촉, 피부의 밀폐성, 활성 성분의 지지체 (12) 로의 이행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그 재질은, 직포, 부직포, 수지 필름, 발포 시트, 또는 종이여도 된다. 직포의 예로서 편포를 들 수 있다. 지지체 (12) 로서 직포, 부직포, 또는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그들의 소재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폴리우레탄, 및 면을 들 수 있다. 이들 소재는 1 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조합에 의해 사용되어도 된다. 지지체 (12) 는 단층 구조를 가져도 되고 다층 구조를 가져도 된다. 지지체 (12) 는 시트상의 다공질재 또는 시트상의 발포체여도 된다.
편포의 예로서, 폴리에스테르계, 나일론계, 폴리프로필렌계, 레이온계 등의 재료를 1 종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편포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성분과의 상호 작용이 적은, 폴리에스테르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편포가 사용되어도 된다.
지지체 (12) 가 편포 또는 부직포인 경우, 물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지지체 (12) 에 전연 (展延) 하면, 지지체 (12) 의 망목을 통해 점착제 조성물이 지지체의 이측으로 스며나오게 될 우려가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편포 또는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은 50 ∼ 150 g/㎡ 여도 되고, 75 ∼ 125 g/㎡ 여도 된다. 겉보기 중량을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이 지지체 (12) 의 간극을 통해 지지체 (12) 의 이측으로 스며나오는 일 없이 그 점착제 조성물을 전연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더하여, 지지체 (12) 와 점착제층 (14) 사이의 투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지지체 (12) 의 신축성에 대해서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50 % 모듈러스 (50 % 신장시 하중) 가 0.5 ∼ 10 N/50 ㎜ 여도 된다. 여기서, 「종방향」 이란, 편포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흐름의 방향을 말하고, 「횡방향」 이란, 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폭 방향을 말한다. 모듈러스의 측정 방법은 JIS L 1018 : 1999 에 기초한다.
지지체 (12) 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 1000 ㎛ 의 범위에서 설정되어도 된다. 그 두께를 5 ㎛ 이상으로 하는 것은,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 두께를 1000 ㎛ 이하로 하는 것은, 지지체 (12) 의 경도가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의 부착성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점착제층 (14) 은, 인간의 피부에 첩부하는 것이 가능한 점착성을 갖는 층이다. 일례에서는, 점착제층 (14) 은, 수용성 고분자 및 물을 함유한다. 점착제층 (14) 은 활성 성분 (생리 활성 물질) 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점착제층이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이란, 점착제층 (14) 이 그 중에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양태와, 활성 성분이 점착제층 (14) 의 작용면에 부착된 양태의 쌍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수용성 고분자는, 친수성기를 갖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친수성기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 (14) 이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함으로써,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중의 수분을 보다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아크릴산 중화물 (이들을 「수용성 아크릴 폴리머」 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이어도 된다. 점착제층 (14) 이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 중화물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부착성을 갖는 점착제층 (14) 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성 아크릴 폴리머는, 수용성을 발휘하는 관능기 (친수성기) 를 갖는 아크릴로일기 함유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머이다. 점착제층 (14) 은, 물과 함께 수용성 아크릴 폴리머를 함유함으로써, 부착성을 발휘한다. 수용성 아크릴 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혹은 그 중화물,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산아미드 등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머이다. 수용성 아크릴 폴리머는, 1 종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호모폴리머여도 되고, 2 종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코폴리머여도 된다.
친수성기는, 카티온성 친수성기, 아니온성 친수성기, 및 비이온성 친수성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카티온성 친수성기의 예로서, 4 급 암모늄기를 들 수 있다. 아니온성 친수성기의 예로서, 카르복시기, 술포기, 및 인산기를 들 수 있다. 비이온성 친수성기의 예로서, 하이드록시기, 및 아미노기를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이 점착제층 (14) 에 포함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점착제층 (14) 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1 ∼ 5 질량% 가 되도록 조정되어도 되고, 0.5 ∼ 4 질량% 가 되도록 조정되어도 된다. 폴리아크릴산의 함유량을 0.1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점착제층 (14) 의 성형성 및 보형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폴리아크릴산의 함유량을 5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제층 (14) 의 경도가 높아지기 어렵고,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점착제층 (14) 의 폴리아크릴산의 함유량을 늘리면, 손실 정접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폴리아크릴산 중화물은, 폴리아크릴산 완전 중화물이어도 되고,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이어도 되고,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폴리아크릴산 중화물로는, 폴리아크릴산염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암모늄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크릴산 중화물로서, 초기적인 부착력도 경시적인 부착력도 높아지는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이 사용되어도 된다.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은, 하나의 폴리머 사슬에 있어서, 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아크릴산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임의의 비율로 존재하고 있는 조성물이다.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로서, 하나의 폴리머 사슬 중의 카르복시기 중, 20 ∼ 80 몰% 가 중화된 것이 사용되어도 된다.
수용성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 중화물이 점착제층 (14) 에 포함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점착제층 (14) 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 ∼ 10 질량% 가 되도록 조정되어도 되고, 2 ∼ 7 질량% 가 되도록 조정되어도 된다. 폴리아크릴산 중화물의 함유량을 1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폴리아크릴산 중화물의 부착력이 충분히 얻어지게 된다. 폴리아크릴산 중화물의 함유량을 7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제층 (14) 의 성형성 및 보형성이 향상된다. 점착제층 (14) 의 폴리아크릴산 중화물의 함유량을 늘리면, 손실 정접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과 폴리아크릴산 중화물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을 병용하는 경우의, 각각의 바람직한 함유량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다.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산에스테르에 있어서, 아크릴산에스테르 부분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여도 된다. 이 알킬 부분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이어도 되고, 탄소수 1 ∼ 8 의 알킬이어도 된다.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산에스테르에 있어서는, 친수성기는 이 알킬 부분에 존재해도 된다.
수용성 고분자로서, 수용성 아크릴 폴리머 이외의 성분이 점착제층 (14) 에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점착제층 (14) 은,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알긴산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카르멜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카라기난, 글루코만난, 한천, 구아검, 잔탄검, 젤란검, 펙틴, 또는 로커스트빈검을 포함해도 된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조합에 의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카르멜로오스나트륨, 젤라틴, 또는 폴리비닐알코올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들 성분은 수용성 아크릴 폴리머와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점착제층 (14) 이 수용성 아크릴 폴리머 이외의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점착제층 (14) 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1 ∼ 30 질량% 가 되도록 조정되어도 되고, 3 ∼ 18 질량% 가 되도록 조정되어도 되고, 3 ∼ 10 질량% 가 되도록 조정되어도 된다. 수용성 아크릴 폴리머 이외의 수용성 고분자의 함유량이 3 질량% 이상이면, 점착제층 (14) 의 응집력이 높아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 함유량이 10 질량% 이하이면, 점착제층 (14) 에 포함되는 활성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점착제층 (14) 의 수용성 아크릴 폴리머 이외의 수용성 고분자의 함유량을 늘리면, 손실 정접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점착제층 (14) 이 물을 함유함으로써, 활성 성분의 피부 투과성이 향상되어, 활성 성분의 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물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14) 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0 ∼ 90 질량% 여도 되고, 15 ∼ 88 질량% 여도 되고, 18 ∼ 85 질량% 여도 된다.
점착제층 (14) 은,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체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종래의 첩부제는, 점착제층 (14) 의 중량이 작으면, 물 함유량이 저하되기 쉽고, 부착력이 저하되기 쉽다. 점착제층 (14) 이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점착제층 (14) 의 질량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도, 장시간 경과한 후에도 충분한 부착력이 유지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점착제층 (14) 은, 추가로 그 밖의 성분으로서 용해 보조제, 가교제, 보습제, 청량화제, 안정화제, 충전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무기 분체, 착색료, 착향료, 또는 pH 조정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
용해 보조제는 활성 성분을 용해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용해 보조제로는, 예를 들어, 크로타미톤 ; N-메틸피롤리돈 ;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폴리부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아디프산디에틸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 폴리옥시알킬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 폴리소르베이트 80 등의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용해 보조제는, 1 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조합에 의해 사용되어도 된다. 용해 보조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14) 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1 ∼ 10 질량% 가 되도록 조정되어도 된다.
가교제는, 점착제층 (14) 을 강고하게 함과 함께 보수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가교제의 예로는, 아미노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키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경화성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유기계 가교제, 황산칼륨알루미늄 (명반), 규산알루미늄, 황산마그네슘, 그리고,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 등의 무기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14) 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01 ∼ 10 질량% 여도 되고, 0.01 ∼ 6.5 질량% 여도 되고, 0.01 ∼ 3 질량% 여도 되고, 0.05 ∼ 2 질량% 여도 되고, 0.1 ∼ 1 질량% 여도 된다. 점착제층 (14) 의 가교제의 함유량을 늘리면, 손실 정접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보습제는,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는 점착제층 (14) 으로부터의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보습제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소르비톨,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및 1,4-부탄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고, 히알루론산, 콜라겐, 세라미드, 우레아, 및 헤파린도 들 수 있다. 이들 보습제는, 1 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조합에 의해 사용되어도 된다. 보습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14) 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1 ∼ 70 질량% 가 되도록 조정되어도 되고, 3 ∼ 70 질량% 가 되도록 조정되어도 된다.
점착제층 (14) 이 다가 알코올을 함유함으로써, 점착제층 (14) 이 보다 부드러워져,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의 부착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점착제층 (14) 의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을 늘리면, 손실 정접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 글리세린이 점착제층 (14) 에 포함되는 경우, 글리세린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14) 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5 ∼ 50 질량이어도 되고, 10 ∼ 40 질량% 여도 되고, 15 ∼ 35 질량% 여도 된다.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5 질량% 이상이면,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의 사용 중에 있어서 점착제층 (14) 의 건조를 보다 늦출 수 있어,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의 부착력을 보다 장시간 유지하기 쉬워진다.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하이면, 글리세린이 점착제층 (14) 으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워, 점착제층 (14) 의 표면이 보다 끈적거리기 어려워진다. 점착제층 (14) 의 글리세린의 함유량을 늘리면, 손실 정접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청량화제로는, 예를 들어, 티몰, l-멘톨, dl-멘톨, l-이소풀레골, 박하유 등을 들 수 있다. 청량화제로서 l-멘톨이 사용되어도 된다. 청량화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14) 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5 ∼ 3 질량% 가 되도록 조정되어도 된다.
안정화제로는, 예를 들어, 옥시벤존,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BHT), 에데트산나트륨, UV 흡수제 (예를 들어,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안정화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14) 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01 ∼ 3 질량% 가 되도록 조정되어도 된다.
충전제의 예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염 (예를 들어,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등), 규산, 황산바륨, 황산칼슘, 아연산칼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충전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14) 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01 ∼ 10 질량% 여도 되고, 3 ∼ 9 질량% 여도 된다. 점착제층 (14) 의 충전제의 함유량을 늘리면, 손실 정접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방부제의 예로는,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에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및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을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의 예로는,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염, 피로인산염, 헥사메타인산염, 및 글루콘산 등을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14) 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01 ∼ 1 질량% 여도 되고, 0.05 ∼ 0.5 질량% 여도 되고, 0.1 ∼ 0.3 질량% 여도 된다. 점착제층 (14) 의 킬레이트제의 함유량을 늘리면, 손실 정접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pH 조정제의 예로는, 아세트산, 락트산, 옥살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등의 유기산 ;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무기산 ; 그리고, 그 유기산 및 그 무기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14) 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01 ∼ 1 질량% 여도 되고, 0.05 ∼ 0.5 질량% 여도 되고, 0.1 ∼ 0.3 질량% 여도 된다. 점착제층 (14) 의 pH 조정제의 이용에 의해, 점착제층 (14) 의 pH 가 감소하면 손실 정접은 감소하고, 점착제층 (14) 의 pH 가 증가하면 손실 정접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무기 분체, 착색료, 및 착향료로는,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를 구성하는 점착제층 (14), 즉,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가 제조되어, 물성 변화 (예를 들어 가교 반응) 가 수속된 후의 점착제층 (14) 의 손실 정접 (tanδ) 은 0.20 ∼ 0.41 이어도 된다. 물성 변화가 수속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은 점착제층 (14) 의 조성에 따라 상이하고, 예를 들어 손실 정접 또는 겔 강도의 경시 변화의 수속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손실 정접 (tanδ) 은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고분자 및 물을 함유하는 점착제층 (14) 을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로부터 벗기고, 이 벗겨진 점착제층 (14) 을 2 개의 판 사이에 끼우고, 편방의 판에 주기적으로 진동하는 변형을 부여했을 때의 응력의 변화를 측정한다. 동적 점탄성 측정은 JIS K7244-10 : 2005 (ISO 6721-10 : 1999) 에 기초한다. 손실 정접은 하기 식 (1) 에 의해 얻어진다.
손실 정접 (tanδ) = 손실 탄성률 (G")/저장 탄성률 (G') … (1)
동적 점탄성 측정은, 예를 들어, 회전식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환경 온도 25 ℃ 및 주파수 1 Hz 인 측정 조건하에서 실시된다. 0.20 ∼ 0.41 이라는 손실 정접의 상기의 수치 범위는, 그 측정 조건하에서의 측정값으로부터 얻어진다. 이 손실 정접은, 수용성 고분자 또는 물의 함유량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제 1 예에서는, 손실 정접이 0.20 ∼ 0.41 인 점착제층은, 총량이 11 ∼ 20 질량% 인 수용성 고분자와, 3.5 ∼ 7 질량% 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2 질량% 이상이고 또한 5 질량% 미만인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과, 0.22 ∼ 1 질량% 인 가교제를 포함한다. 수용성 고분자의 총량이란, 1 종류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의 질량% 의 합계를 말한다.
제 2 예에서는, 손실 정접이 0.20 ∼ 0.41 인 점착제층은, 총량이 11.5 ∼ 18.5 질량% 인 수용성 고분자와, 3.5 ∼ 6 질량% 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3 ∼ 4.58 질량% 인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과, 0.24 ∼ 1 질량% 인 가교제를 포함한다.
제 3 예에서는, 손실 정접이 0.20 ∼ 0.41 인 점착제층은, 총량이 11 ∼ 20 질량% 인 수용성 고분자와, 0.5 질량% 이상이고 또한 3.5 질량% 미만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1 질량% 이상이고 또한 5 질량% 미만인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과, 1 ∼ 9 질량% 인 가교제를 포함한다.
제 4 예에서는, 손실 정접이 0.20 ∼ 0.41 인 점착제층은, 총량이 11.5 ∼ 18.5 질량% 인 수용성 고분자와, 1 질량% 이상이고 또한 3.5 질량% 미만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2 ∼ 4.58 질량% 인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과, 1 ∼ 6.24 질량% 인 가교제를 포함한다.
제 5 예에서는, 손실 정접이 0.20 ∼ 0.41 인 점착제층은, 총량이 11 ∼ 20 질량% 인 수용성 고분자와, 0.5 질량% 이상이고 또한 3.5 질량% 미만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5 ∼ 10 질량% 인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과, 0.18 ∼ 0.7 질량% 인 가교제를 포함한다.
제 6 예에서는, 손실 정접이 0.20 ∼ 0.41 인 점착제층은, 총량이 11.5 ∼ 18.5 질량% 인 수용성 고분자와, 1 질량% 이상이고 또한 3.5 질량% 미만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5 ∼ 8 질량% 인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과, 0.2 ∼ 0.5 질량% 인 가교제를 포함한다.
제 7 예에서는, 손실 정접이 0.20 ∼ 0.41 인 점착제층은, 총량이 11 ∼ 20 질량% 인 수용성 고분자와, 3.5 ∼ 7 질량% 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2 질량% 이상이고 또한 5 질량% 미만인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과, 0.22 ∼ 1 질량% 인 가교제와, 0.1 ∼ 5 질량% 인 폴리아크릴산과, 1 ∼ 6 질량% 인 폴리비닐알코올과, 0.01 ∼ 1 질량% 인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을 포함하고, 또한, 가교제에 대한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의 비율이 0.04 ∼ 2 이다.
제 8 예에서는, 손실 정접이 0.20 ∼ 0.41 인 점착제층은, 총량이 11.5 ∼ 18.5 질량% 인 수용성 고분자와, 3.5 ∼ 6 질량% 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3 ∼ 4.58 질량% 인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과, 0.24 ∼ 1 질량% 인 가교제와, 0.1 ∼ 5 질량% 인 폴리아크릴산과, 1 ∼ 6 질량% 인 폴리비닐알코올과, 0.01 ∼ 1 질량% 인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을 포함하고, 또한, 가교제에 대한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의 비율이 0.04 ∼ 1.67 이다.
제 9 예에서는, 손실 정접이 0.20 ∼ 0.41 인 점착제층은, 총량이 11 ∼ 20 질량% 인 수용성 고분자와, 0.5 질량% 이상이고 또한 3.5 질량% 미만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1 질량% 이상이고 또한 5 질량% 미만인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과, 1 ∼ 9 질량% 인 가교제와, 0.1 ∼ 5 질량% 인 폴리아크릴산과, 1 ∼ 6 질량% 인 폴리비닐알코올과, 0.01 ∼ 1 질량% 인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을 포함하고, 또한, 가교제에 대한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의 비율이 0.04 ∼ 2 이다.
제 10 예에서는, 손실 정접이 0.20 ∼ 0.41 인 점착제층은, 총량이 11.5 ∼ 18.5 질량% 인 수용성 고분자와, 1 질량% 이상이고 또한 3.5 질량% 미만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2 ∼ 4.58 질량% 인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과, 1 ∼ 6.24 질량% 인 가교제와, 0.1 ∼ 5 질량% 인 폴리아크릴산과, 1 ∼ 6 질량% 인 폴리비닐알코올과, 0.01 ∼ 1 질량% 인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을 포함하고, 또한, 가교제에 대한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의 비율이 0.04 ∼ 1.67 이다.
제 11 예에서는, 손실 정접이 0.20 ∼ 0.41 인 점착제층은, 총량이 11 ∼ 20 질량% 인 수용성 고분자와, 0.5 질량% 이상이고 또한 3.5 질량% 미만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5 ∼ 10 질량% 인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과, 0.18 ∼ 0.7 질량% 인 가교제와, 0.1 ∼ 5 질량% 인 폴리아크릴산과, 1 ∼ 6 질량% 인 폴리비닐알코올과, 0.01 ∼ 1 질량% 인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을 포함하고, 또한, 가교제에 대한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의 비율이 0.04 ∼ 2 이다.
제 12 예에서는, 손실 정접이 0.20 ∼ 0.41 인 점착제층은, 총량이 11.5 ∼ 18.5 질량% 인 수용성 고분자와, 1 질량% 이상이고 또한 3.5 질량% 미만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5 ∼ 8 질량% 인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과, 0.2 ∼ 0.5 질량% 인 가교제와, 0.1 ∼ 5 질량% 인 폴리아크릴산과, 1 ∼ 6 질량% 인 폴리비닐알코올과, 0.01 ∼ 1 질량% 인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을 포함하고, 또한, 가교제에 대한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의 비율이 0.04 ∼ 1.67 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환경 온도란, 측정 또는 시험이 실시되는 작업 환경의 온도를 말한다. 일례에서는, 환경 온도는, 작업 공간의 온도와, 측정 기기 중, 적어도 점착제층에 접하는 부분의 온도의 쌍방을 말한다. 작업 공간은 실내여도 되고 옥외여도 되고, 따라서, 작업 공간의 온도는 실온일 수도 있고 외기온일 수도 있다.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프리 라디칼 포착제, 보습제, 탈색소제, 지방 조절제, 자외선 반사제, 습윤제, 항균제, 알레르기 방지약, 항여드름약, 노화 방지약, 주름 방지약, 살균제, 진통제, 기침약, 가려움 억제약, 국소 마취약, 탈모 방지제, 육모 조성제, 육모 억제제, 비듬 방지제, 항히스타민제, 각질 용해약, 항염증약, 청량 음료수, 치료약, 항감염약, 염증 방지제, 제토약, 항콜린 작용약, 혈관 수축약, 혈관 확장약, 외상 치유 보조제, 펩티드, 폴리펩티드, 단백질, 체취 방지제, 제한제, 피부 연화제, 피부의 보습액, 유연제, 헤어 컨디셔너, 모발 연화제, 모발 보습제, 선탠제, 미백제, 항진균제, 탈모제, 외용 진통약, 반대 자극제, 치질약, 살충제, 덩굴옻나무 치료약, 유독 옻나무 치료약, 화상 치료약, 항기저귀 발진약, 땀띠약, 화장수, 비타민, 아미노산, 아미노산 유도체, 허브 엑기스, 레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감각 마커, 스킨 컨디셔너, 헤어 라이트너, 킬레이트제, 세포 턴오버 인핸서, 착색제, 자외선 방지제, 마취약, 면역 부활제, 자양약, 수분 흡수제, 피지 흡수제, 피부 미용 성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어도 된다.
활성 성분은, 국소적인 피부의 병의 치료를 위해서, 예를 들어 추출물 또는 틴크제 등과 같은 식물의 조합액을 포함해도 된다. 추출물 또는 틴크제의 예로서, 오크의 나무 껍질의 추출액, 호두의 추출액, 아르니카의 틴크제, 조록나무의 추출물, 창질경이의 추출물, 팬지의 추출물, 타임 혹은 세이지의 추출물 ; 세인트존스워트의 틴크제, 삼잎국화의 추출물, 캐모마일 플라워의 추출물, 혹은 금잔화의 틴크제 ; 몹시 지친 및 손상된 피부의 손질을 위한, 예를 들어 자작나무 잎의 추출물, 쐐기풀의 추출물, 콜즈풋의 추출물, 컴프리의 틴크제, 토필의 추출물, 혹은 알로에의 추출물 ; 칠엽수 및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의 추출물, 아르니카, 금잔화, 및 고추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활성 성분으로서, 아미노산은, 그 염, 에스테르, 또는 아실 유도체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단백질의 가수분해로부터 얻어지는 아미노산을 포함해도 된다. 그러한 아미노산 약품의 예로는, 예를 들어 알킬아미드알킬아민, 글루탐산스테아릴아세틸, 카프릴로일실크아미노산, 카프릴로일콜라겐아미노산 등의 양쪽성 아미노산 ; 카프릴로일케라틴아미노산 ; 카프릴로일완두콩아미노산 ; 코코다이모늄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산실크 ; 콘 글루텐 아미노산 ; 시스테인 ; 글루탐산 ; 글리신 ; 머리 케라틴아미노산 ; 예를 들어 아스파르트산, 스레오닌, 세린, 글루탐산,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하프시스틴, 발린, 메티오닌, 이소류신, 류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시스테인산, 리신, 히스티딘, 아르기닌, 시스테인, 트립토판, 시트룰린 등의 머리 아미노산 ; 리신 ; 실크아미노산 ; 밀아미노산 ; 및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활성 성분으로서, 펩티드, 폴리펩티드, 및 단백질은,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가 적어도 약 10 인 긴 사슬, 및 예를 들어 적어도 1000 인 높은 분자량을 갖는 폴리머를 포함하고, 그것들은 아미노산의 자기 축합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한 단백질의 예로는, 콜라겐 ; 디옥시리보뉴클레아제 ; 요오드화 콘 단백질 ; 케라틴 ; 유단백질 ; 프로테아제 ; 혈청 단백질 ; 실크 ; 감편도 단백질 ; 밀맥아 단백질 ; 밀 단백질 ; 밀 단백질, 케라틴 단백질의 알파 및 베타 헬릭스 ; 예를 들어 중간 필라멘트 단백, 고황 함량의 단백질, 매우 높은 황 함량의 단백질, 중간 필라멘트 관련 단백질, 고티로신 단백질, 고글리신·티로신 단백질, 트리코하이얼린,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의 머리 단백질을 들 수 있다.
항주름 성분의 예로는,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레티놀 (비타민 A), 실리빈펩티드류 (HTC 콜라겐, 팔미토일펜타, 펩티드 3, 아지렐린), 아미노산류, 하이드록시프롤린, 레티노산토코페릴, 우르솔산, 비타민 C 유도체, 코엔자임 Q10, 아스타잔틴, 풀러렌, 폴리페놀류, α리포산, 대두 엑기스, 풀루란, 활성형 이소플라본, 당류, 다당류, 글리세린, 글리세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항주름 성분은 이들 조성물 중 적어도 2 개의 혼합이어도 된다.
비타민의 예로는, 비타민 B 복합체 ; 티아민, 니코틴산, 비오틴, 판토텐산, 콜린, 리보플라빈, 비타민 B6, 비타민 B12, 피리독신, 이노시톨, 카르니틴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비타민 A 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 A, C, D, E, K 및 그들의 유도체 ; 그리고 예를 들어 판테놀 (프로비타민 B5) 및 판테놀트리아세테이트 등의 프로비타민 ;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항균 물질의 예로는, 바시트라신, 에리트로마이신, 네오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염화벤제토늄,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피부 연화제 및 피부의 보습제의 예로는, 광유, 라놀린, 식물유, 이소스테아릴산이소스테아릴, 라우르산글리세릴, 메틸글루세스-10, 메틸글루세스-20,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헤어 컨디셔너의 예로는,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수첨 폴리데센,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지용성 화합물 뿐만 아니라, 베헨아미도프로필 PG-디모늄클로라이드, 염화트리세틸암모늄, 수첨 탈로우아미드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메토술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의 4 급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자외선 방지제의 예로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메톡시신남산옥틸, 옥시벤존, 옥토클리렌, 살리실산옥틸,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아미노벤조산에틸하이드록시프로필, 안트라닐산멘틸, 아미노벤조산, 시녹세이트, 메톡시신남산디에탄올아민, 아미노벤조산글리세린,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옥시벤존, 파디메이트 O, 적색 바셀린, 및 그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선탠제의 예로서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을 들 수 있다.
피부 미백제의 예로는, 하이드로퀴논 및 그 유도체, 카테콜 및 그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 엘라그산 및 그 유도체, 코지산 및 그 유도체,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레조르시놀 유도체, 태반 추출물, 알부틴, 유용성 감초 엑기스,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항염증 진통약의 예로는, 아세트아미노펜,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모노글리콜, 아스피린, 메페남산, 플루페남산,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 아클로페낙, 디클로페낙나트륨,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나프록센, 프라노프로펜, 페노프로펜, 술린닥, 펜클로페낙, 클리다낙, 플루르비프로펜, 펜티아작, 부펙사막, 피록시캄, 페닐부타존, 옥시펜부타존, 클로페존, 펜타조신, 메피리졸, 및 염산티아라미드를 들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진통약의 예로는, 하이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솔론,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플루오시놀론아세토니드, 아세트산하이드로코르티손, 아세트산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트산덱사메타손, 베타메타손, 발레르산베타메타손, 플루메타손, 플루오로메톨론, 및 디프로피온산베클로메타손을 들 수 있다.
항히스타민약의 예로는, 염산디펜히드라민, 살리실산디펜히드라민, 디펜히드라민, 염산클로르페니라민, 말레산클로르페라민, 염산이소티펜딜, 염산트리펠렌아민, 염산프로메타진, 및 염산메트딜라진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국소 마취약의 예로는, 염산디부카인, 디부카인, 염산리도카인, 리도카인, 벤조카인, p-부틸아미노벤조산2-(디에틸아미노)에틸에스테르염산염, 염산프로카인, 테트라카인, 염산테트라카인, 염산클로로프로카인, 염산옥시프로카인, 메피바카인, 염산코카인, 염산피페로카인, 디클로닌, 및 염산디클로닌을 들 수 있다.
살균약 및 소독제의 예로는, 티메로살, 페놀, 티몰,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클로로헥시딘, 포피돈요오드, 염화세틸피리디늄, 오이게놀, 및 브롬화트리메틸암모늄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혈관 수축약의 예로는, 질산나파졸린, 염산테트라하이드로졸린, 염산옥시메타졸린, 염산페닐에프린, 및 염산트라마졸린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지혈약의 예로는, 트롬빈, 피토나디온, 황산프로타민, 아미노카프로산, 트라넥삼산, 카르바조크롬, 카르바조크롬술폰산나트륨, 루틴, 및 헤스페리딘을 들 수 있다.
화학 요법약의 예로는, 술파민, 술파티아졸, 술파디아진, 호모술파민, 술피속사잘, 술피소미딘, 술파메티졸, 및 니트로푸라존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항생 물질의 예로는, 페니실린, 메티실린, 옥사실린, 세팔로틴, 세팔로딘, 에리트로마이신, 린코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메타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 카나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겐타마이신, 바시트라신, 및 시클로세린을 들 수 있다.
항바이러스약의 예로는, 프로테아제 저해제, 티미딘키나제 저해제, 당 또는 당 단백 합성 저해제, 구성 단백질 합성 저해제, 부착 및 흡착 저해제, 그리고 예를 들어 아시클로버, 펜시클로버, 발라시클로버, 및 간시클로버 등의 뉴클레오시드 유사체를 들 수 있다.
발모 또는 육모약의 예로는, 미녹시딜, 염화카르프로늄, 펜타데칸산글리세리드, 아세트산토코페롤, 피록톤올아민, 글리시리진산,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히노키티올, 쓴풀 추출액, 세라미드 및 전구체, 니코틴산아미드 및 고추 틴크를 들 수 있다.
미용 활성 성분의 예로는, D-알파-토코페롤, DL-알파-토코페롤, D-알파-아세트산토코페릴, DL-알파-아세트산토코페릴, 팔미트산아스코빌, 비타민 F 및 비타민 F 글리세리드, 비타민 D, 비타민 D2, 비타민 D3, 레티놀, 레티놀에스테르, 팔미트산레티닐, 프로피온산레티닐, 베타-카로틴, 코엔자임 Q10, D-판테놀, 파르네솔, 아세트산파르네실 ; 필수 지방산 중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호호바유 및 블랙 커런트유 ; 5-n-옥타노일살리실산 및 그 에스테르, 살리실산 및 그 에스테르 ; 예를 들어 시트르산, 락트산, 글리콜산 등의 알파-하이드록시산의 알킬에스테르 ; 아시아틱산, 마데카식산, 아시아티코사이드, 병풀의 총추출물, 베타-글리시레트산, 알파-비사보롤, 예를 들어 2-올레오일아미노-1,3-옥타데칸 등의 세라미드 ; 피탄트리올, 폴리 불포화 필수 지방산 중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해양 기원의 인지질, 에톡시퀸 ; 로즈메리의 추출물, 밤의 추출물, 케르세틴, 건조 미세 조류의 추출물,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 등의 항염증약, 그리고 예를 들어 호르몬 또는 지방 및/혹은 단백질의 합성에 의한 화합물과 같은 생화학적 자극제를 들 수 있다.
비타민 C 는, 콜라겐 (결합 조직) 합성, 지질 (지방) 및 탄수화물의 대사, 그리고 신경 전달 물질의 합성을 촉진한다. 비타민 C 는 또, 면역계의 최적인 유지에 공헌할 수 있다. 비타민 C 는, 광범위한 암 세포, 특히 멜라노머에 대해 유독하다. 멜라닌 및 다른 색소로 변화하는 티로신의 호기성의 활동을 촉매하는 티로신 산화 효소도, 비타민 C 의 존재에 의해 활동을 방해할 수 있다. 비타민 C 는, 많은 바이러스 및 세균의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을 촉매하는 것에 있어서 효과적인 것이 발견되고 있다. 상기 서술한 많은 적용에 더하여, 비타민 C 는 콜라겐 합성 및 외상 치료에 필수이다.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는, 비타민 C, 비타민 E, 그리고 예를 들어 보습제, 콜라겐 합성 촉진제, 및 스크럽 세안료와 같은 다른 성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컨디셔너 성분은, 광물유, 바셀린, 식물유 (예를 들어 대두유 또는 말레인화 대두유 등), 디메티콘, 디메티콘코폴리올, 카티온성 모노머 및 폴리머 (예를 들어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및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 그리고 그 혼합물을 포함해도 된다. 보습제는, 예를 들어 소르비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헥실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자일리톨, 프락토오스, 및 그 혼합물 등의 폴리올이어도 된다.
피부 미용 성분은, 차 엑기스 (예를 들어 가라츠차 엑기스, 우레시노차 엑기스, 시즈오카차 엑기스 등), 주박 엑기스 (예를 들어 준마이 다이긴죠 주박 엑기스, 다이긴죠 주박 엑기스, 준마이 긴죠 주박 엑기스, 긴죠 주박 엑기스 등), 감귤류 엑기스 (예를 들어 겐코우 엑기스, 스다치 엑기스, 온주 밀감 엑기스 등), 해조 엑기스 (예를 들어 해태 엑기스 등), 및 식물 엑기스 (예를 들어 아스파라거스 엑기스 등), 그리고 그 혼합물을 포함해도 된다.
이들 활성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류 이상 병용되어도 된다.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이면, 무기염 혹은 유기염 중 어느 형태의 활성 성분도 당연히 포함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을 피부에 직접 도포하고, 그 후에 피부의 동일한 부분에, 후술하는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를 대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피부를 잡아늘이는 효과와 피부 상에 있어서의 ODT (밀봉 포대 요법) 효과에 의해, 활성 성분의 피부로의 침투를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점착제층 (14) 의 질량은, 예를 들어, 500 g/㎡ 이상이어도 되고, 700 g/㎡ 이상이어도 된다. 점착제층 (14) 의 질량은, 예를 들어, 2000 g/㎡ 이하여도 되고, 1500 g/㎡ 이하여도 된다. 점착제층 (14) 의 질량은 700 ∼ 1500 g/㎡ 여도 되고, 이 경우에는, 피트감을 높임과 함께, 보다 장기간에 걸쳐서 부착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점착제층 (14) 의 질량을 상기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전체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는 피부에 추종하기 쉽고 또한 박리되기 어려워진다.
박리 시트 (16) 는,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의 사용 전에 있어서 점착제층 (14) 을 보호하는 시트상의 부재이다.
박리 시트 (16) 에는, 그 전체 길이 또는 전체 폭에 걸쳐서 약화부 (16a) 가 형성되어도 된다. 약화부 (16a) 는, 박리 시트 (16) 를 분단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도 1 의 예에서는 약화부 (16a) 는 직선상의 절취선이지만, 약화부 (16a) 의 양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약화부 (16a) 는 박육이어도 되고, 하프 컷이어도 되고, 다른 형태여도 된다. 약화부 (16a) 는 파형이나 톱니형 등을 나타내도 된다.
박리 시트 (16) 로서, 폴리프로필렌 (예를 들어,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이나 연신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등의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어도 되고, 합성 수지, 합성지, 또는 합성 섬유에 실리콘 가공하여 얻어지는 실리콘 가공지가 사용되어도 되고, 알루미늄박 또는 크라프트지에 폴리에틸렌 등을 라미네이트하여 얻어지는 라미네이트 가공지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박리 시트 (16) 는 무색이어도 되고, 적어도 일부가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는, 피부를 천자 혹은 압압하기 위한 기구이다. 도 1 의 예는 하나의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를 나타내지만,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가 점착제층 (14) 에 매립되어도 된다.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형상 및 치수가 통일되어 있어도 되고, 형상 및 치수의 적어도 일방이 서로 상이해도 된다.
일례에서는,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의 적어도 일부는 점착제층 (14) 에 의해 메워진다 (즉,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의 적어도 일부가 점착제층 (14) 내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마이크로 니들 (22) 의 적어도 일부가 점착제층 (14) 내에 위치해도 된다.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전체가 점착제층 (14) 에 의해 메워져도 된다 (즉, 각각의 마이크로 니들 (22) 전체가 점착제층 (14) 내에 위치해도 된다).
도 2 는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일례에서는,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는, 기판 (21) 과, 그 기판 (21)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니들 (22) 을 구비한다.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기판 (21) 및 마이크로 니들 (22)) 의 재료로서, 예를 들어, 실리콘, 이산화규소, 세라믹, 금속 (스테인리스, 티탄, 니켈, 몰리부텐, 크롬, 코발트 등), 합성 또는 천연의 수지 소재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혹은, 마이크로 니들 (22) 의 항원성 및 재료의 단가를 고려하여,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트산-co-폴리글리콜리드, 풀루란, 카프로락톤, 폴리우레탄, 폴리 무수물 등의 생분해성 폴리머가 사용되어도 되고, 비분해성 폴리머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메틸, 경질 염화비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합성 또는 천연의 수지 소재가 사용되어도 된다. 혹은, 다당류인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풀루란, 덱스트란, 덱스트린 혹은 콘드로이틴황산,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마이크로 니들 (22) 이 피부 상에서 부러질 가능성을 고려하여 생분해성 수지가 채용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이 사용되어도 된다. 폴리락트산에는, 폴리 L-락트산, 폴리 D-락트산 등의 폴리락트산 호모폴리머, 폴리 L/D-락트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체 등이 존재하지만, 이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되어도 된다. 폴리락트산의 평균 분자량이 클수록 그 강도는 강해지고, 예를 들어 평균 분자량이 40000 ∼ 100000 인 폴리락트산이 사용되어도 된다. 기판 (21) 및 마이크로 니들 (22) 은, 동일한 소재로 제조되어도 되고, 서로 상이한 소재로 제조되어도 된다.
기판 (21) 은, 마이크로 니들 (22) 을 지지하기 위한 토대이다. 본 개시에서는, 마이크로 니들 (22) 이 세워져 있는 쪽의 면을 기판 (21) 의 주면이라고 하고, 그 주면의 반대측을 기판 (21) 의 이면이라고 한다. 도 1 의 예에서는, 기판 (21) 의 이면은 지지체 (12) 의 주면에 접한다. 기판 (21) 의 치수는 점착제층 (14) 의 치수를 고려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도 1 의 예에서는 기판 (21) 의 면적은 점착제층 (14) 의 면적보다 작다. 다른 예에서는, 기판 (21) 과 점착제층 (14) 에서 면적이 동일해도 된다. 혹은, 기판 (21) 쪽이 점착제층 (14) 보다 면적이 커도 되고, 이 경우에는, 기판 (21) 의 일부가 노출되게 된다. 기판 (21) 의 면적은 0.5 ㎠ ∼ 300 ㎠ 여도 되고, 1 ㎠ ∼ 100 ㎠ 여도 되고, 1 ㎠ ∼ 50 ㎠ 여도 된다. 혹은, 기판 (21) 의 면적은 0.5 ㎠ ∼ 10 ㎠, 0.5 ㎠ ∼ 5 ㎠, 1 ㎠ ∼ 5 ㎠, 0.5 ㎠ ∼ 3 ㎠, 또는 1 ㎠ ∼ 3 ㎠ 여도 된다. 이 기판 (21) 을 몇 개 연결함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기판을 형성해도 된다. 기판 (21) 의 두께의 하한은 5 ㎛ 여도 되고 20 ㎛ 여도 되고, 그 두께의 상한은 1000 ㎛ 여도 되고 300 ㎛ 여도 된다.
마이크로 니들 (22) 은, 기판 (21) 의 주면으로부터 세워진 미소한 구조물이다. 마이크로 니들 (22) 은, 기판 (21) 과 접속하는 바닥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가늘어지는 테이퍼상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니들」 은, 넓은 의미에서의 바늘 형상의 구조물, 및 바늘 형상을 포함하는 구조물 뿐만 아니라, 끝이 뾰족하지 않은 형상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마이크로 니들 (22) 의 밀도의 하한은 예를 들어 0.05 개/㎠, 1 개/㎠, 100 개/㎠, 200 개/㎠, 300 개/㎠, 또는 400 개/㎠ 여도 된다. 한편, 그 밀도의 상한은 예를 들어 10000 개/㎠, 5000 개/㎠, 2000 개/㎠, 또는 850 개/㎠ 여도 된다. 밀도의 하한은, 1 mg 의 활성 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바늘의 개수와 필요한 면적으로부터 환산한 값이다. 밀도의 상한은, 바늘의 형상을 고려한 후의 한계값이다.
마이크로 니들 (22) 의 길이의 하한은 20 ㎛ 여도 되고 50 ㎛ 여도 되고, 그 상한은 1000 ㎛ 여도 되고 600 ㎛ 여도 되고 500 ㎛ 여도 된다. 마이크로 니들 (22) 의 길이란, 기판 (21) 과 접속하는 바닥부로부터 선단까지의 거리이다. 마이크로 니들 (22) 의 길이를 20 ㎛ 이상으로 하는 것은, 활성 성분의 경피 흡수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마이크로 니들 (22) 의 길이를 600 ㎛ 이하로 함으로써, 마이크로 니들 (22) 이 신경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여, 통증을 발생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킴과 함께, 출혈의 가능성을 회피할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의 길이가 500 ㎛ 이하이면, 피내에 들어가야 할 양의 활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투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저막을 천공시키지 않고 활성 성분을 투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일례에서는, 마이크로 니들 (22) 의 길이는, 통상 사용에 있어서 피부의 각질층을 관통하지 않게 선택되지만, 일부의 마이크로 니들 (22) 이 각질층을 관통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즉, 마이크로 니들 (22) 에 의해 표피가 잡아늘어져 얇아지고, 그 침투하기 쉬워진 표피에 활성 성분이 침투하지만, 각질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활성 성분의 일부가 피부 내에 비집고 들어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도 2 의 예에서는, 마이크로 니들 (22) 은 입체 형상이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니들 (22) 은 원추여도 되고, 사각추 등의 임의의 각추여도 된다. 마이크로 니들 (22) 은 추체가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선단부가 평탄하거나 둥그스름하거나 하고 있어도 된다. 평탄하거나 또는 둥그스름한 선단부는, 의도적으로 가공함으로써 얻어지는 경우도 있고, 그러한 가공을 하지 않아도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경우도 있다. 선단부가 평탄한 경우에는, 그 평탄부의 면적은 20 ∼ 600 ㎛2 여도 되고, 50 ∼ 250 ㎛2 여도 된다. 선단부가 둥그스름한 경우에는, 선단부의 곡률 반경이 2 ∼ 100 ㎛ 여도 되고, 5 ∼ 30 ㎛ 여도 된다.
입체 형상의 마이크로 니들 (22) 을 갖는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의 제법으로서, 실리콘 기판을 사용한 웨트 에칭 가공 또는 드라이 에칭 가공, 금속 또는 수지를 사용한 정밀 기계 가공 (방전 가공, 레이저 가공, 다이싱 가공, 핫 엠보스 가공, 사출 성형 가공 등), 및 기계 절삭 가공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공법에 의해, 기판 (21) 과 마이크로 니들 (22) 이 일체로 성형된다. 마이크로 니들 (22) 을 중공으로 하는 수법으로서, 마이크로 니들 (22) 을 제조한 후에 레이저 가공 등으로 이차 가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 (22) 에 활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코팅이 마이크로 니들 (22) 의 표면 상에 형성되어도 된다.
마이크로 니들 (22) 은 평면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니들 (22) 은 삼각형이어도 되고, 마름모꼴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평면 형상의 마이크로 니들 (22) 은, 기판 (21) 을 타발하여 마이크로 니들 (22) 을 형태를 만들고, 그 마이크로 니들 (22) 을 기판 (21) 으로부터 세움으로써 완성된다. 따라서, 기판 (21) 과 마이크로 니들 (22) 에서 두께가 동일하다. 기판 (21) 이 금속이면, 약액으로 그 시트를 타발함으로써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 (22) 을 형성하고, 그 마이크로 니들 (22) 을 일으킴으로써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를 형성할 수 있다. 기판 (21) 이 비금속이면, 레이저로 그 기판 (21) 을 타발함으로써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 (22) 을 형성하고, 금속 시트의 경우와 동일하게 그 마이크로 니들 (22) 을 일으키면 된다. 이들과 같이 에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마이크로 니들 (22) 의 주위에 공극이 발생한다.
마이크로 니들 (22) 이 입체 형상인지 평면 형상인지에 관계없이, 마이크로 니들 (22) 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 (마이크로 니들 (22) 의 선단 방향) 은, 기판 (21) 의 면에 대해 수직이어도 되고, 그 면에 대해 예각의 방향 (즉, 마이크로 니들 (22) 의 경사 각도가 0 도보다 크고 또한 90 도 미만) 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박리 시트 (16)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전연시킴으로써 점착제층 (14) 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개개의 마이크로 니들 (22) 의 적어도 일부가 점착제층 (14) 내에 메워지도록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를 점착제층 (14) 상에 배치한다. 계속해서, 지지체 (12) 의 주면과 기판 (21) 의 이면이 접하도록 지지체 (12) 를 점착제층 (14) 및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상에 얹는다. 이 결과, 점착제층 (14) 및 마이크로 니들 (22) 은, 지지체 (12) 와 박리 시트 (16) 에 의해 끼워 넣어진다.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는 포장백의 내부에서 보관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보관 방법에 의해, 점착제층 (14) 의 물 함유량의 저하를 억제함과 함께, 점착제층 (14) 에 대한 먼지 등의 부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는 복수회 절첩된 상태로 포장백에 보관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의 보관에 필요한 스페이스가 절약되므로, 포장백에 사용하는 자재를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에서는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0) 는 대략 직사각형을 나타내지만,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는 다른 형상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는 정방형, 원, 타원, 초승달형, 굽은 구슬형, 다른 다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의 예에서는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0) 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이지만,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는 다른 형상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는 정방형, 원, 타원, 초승달형, 다른 다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의 형상은,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의 형상과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부기]
본 개시는 이하에 나타내는 양태를 포함한다.
(부기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점착제층 내에 위치하는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를 구비하고,
상기 점착제층이, 수용성 고분자 및 물을 포함하고,
환경 온도 25 ℃ 및 주파수 1 Hz 인 측정 조건하에서의 상기 점착제층의 손실 정접이 0.20 ∼ 0.41 인,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부기 2)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기 1 에 기재된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부기 3)
상기 점착제층이, 다가 알코올을 추가로 포함하는,
부기 1 또는 2 에 기재된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부기 4)
상기 다가 알코올이 글리세린인,
부기 3 에 기재된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부기 5)
상기 손실 정접이 0.202 ∼ 0.404 인,
부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부기 6)
상기 손실 정접이 0.208 ∼ 0.385 인,
부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부기 1 에 의하면, 마이크로 니들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점착제층의 손실 정접이 상기의 수치 범위 내에 설정된다. 점착제층이 그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피부에 적용한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를,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를 그 피부 상에 남기는 일 없이 벗길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 (단위 : 질량%) 에 따라 6 종류의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6 종류의 점착제 조성물의 각각을 사용하여, 상기에 예시한 제조 방법에 의해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를 제조하였다.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는, 면적이 15 ㎠ 인 대략 직사각형으로 하였다. 점착제층의 질량은 1000 g/㎡ 였다.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에 대해서는, 두께가 700 ㎛ 이고 면적이 1.4 ㎠ 인 원형의 기판 상에, 길이가 500 ㎛ 인 마이크로 니들을 640 개/㎠ 의 밀도로 형성하였더. 지지체로서, 겉보기 중량이 100 g/㎡ 인 PET 제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마이크로 니들의 전체가 메워지도록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하에서는, 6 종류의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를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 4 로서 구별한다.
Figure pct00001
제조로부터 14 일간, 환경 온도 25 ℃ 및 상대습도 50 % 의 조건하에서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를 포재 중에서 보관함으로써, 6 종류의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의 각각의 가교 반응을 충분히 수속시켰다. 그리고, 각각의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로부터 점착제층을 벗기고, 레오미터 「HAAKE MARS」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이하의 측정 조건하에서 그 점착제층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측정된 저장 탄성률 (G') 및 손실 탄성률 (G") 로부터 상기 (1) 에 의해 손실 정접 (tanδ) 을 산출하였다.
[측정 조건]
·시료부 : 직경 20 ㎜ 의 평판
·갭 간격 : 1 ㎜
·시료량 : 0.8 ∼ 1.2 g
·환경 온도 : 25 ℃ (이 환경 온도는, 작업 공간의 온도와, 레오미터 중, 점착제층에 접하는 부분의 온도의 쌍방에 대응한다.)
·주파수 : 1 Hz
·변형 : 1 %
비교예 1 을 제외한 5 종류의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의 각각에 대해 90°박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에서는 점착제층의 부착성이 낮고,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가 첩부 대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탈락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 비교예 1 은 평가에서 제외하였다.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를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판에 첩부하고, 그 15 분 후에, 오토그래프를 사용하여 환경 온도 25 ℃ 및 박리 속도 50 ㎜/min 의 조건으로 90°박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을 제외한 5 종류의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의 각각에 대해, 이 시험을 3 회 실시하였다. 시험시에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가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로부터 탈락하지 않았던 경우의 스코어를 「1」 로 하고, 탈락한 경우의 스코어를 「0」 으로 하여, 3 회의 스코어의 평균값을 최종적인 스코어로서 얻었다.
비교예 1 을 제외한 5 종류의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의 각각에 대해 박리 관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5 명의 피험자의 상완부에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를 첩부하고, 그 15 분 후에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를 피부로부터 벗겼다. 이 박리시에,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가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로부터 탈락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시험시에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가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로부터 탈락하지 않았던 경우의 스코어를 「1」 로 하고, 탈락한 경우의 스코어를 「0」 으로 하여, 5 명의 스코어의 평균값을 최종적인 스코어로서 얻었다.
상기의 표 1 은, 산출된 손실 정접과, 2 종류의 시험의 결과에 대해서도 나타낸다. 실시예 1, 2 의 90°박리 시험 스코어 및 박리 관능 시험 스코어가 모두 1 인 것은,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가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로부터 한번도 탈락하지 않았던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2 의 90°박리 시험 스코어 및 박리 관능 시험 스코어가 모두 0 인 것은, 모든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에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가 탈락한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3, 4 에서의 박리 관능 시험 스코어가 0.4 인 것은, 5 명 중 3 명에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가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로부터 탈락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6 종류의 점착제 조성물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하기의 표 2 ∼ 표 6 에 나타내는 조성 (단위 : 질량%) 에 따라 추가로 38 종류의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각각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를 제조하였다. 이하에서는, 38 종류의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를 실시예 3 ∼ 18 및 비교예 5 ∼ 26 으로서 구별한다. 추가한 38 종류의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의 각각에 대해서도, 상기 6 종류의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와 동일하게, 점착제층의 손실 정접을 산출하고, 90°박리 시험 및 박리 관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단,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를 제조할 수 없었던 비교예와, 점착제층의 부착성이 낮아,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가 첩부 대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탈락한 비교예에 대해서는, 평가로부터 제외하였다. 비교예 12 에 대해서는, 90°박리 시험의 스코어가 「0」 이었던 것을 받아, 박리 관능 시험을 생략하였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표 2 ∼ 표 5 는, 「수용성 고분자」, 「가교제」, 및 「EDTA/가교제」 라는 3 행을 추가로 포함하는 점에서 표 1 과 상이하다. 「수용성 고분자」 행은,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및 폴리비닐알코올의 질량% 의 합계를 나타낸다. 즉, 「수용성 고분자」 행은 수용성 고분자의 총량을 나타낸다. 「가교제」 행은, 명반 및 규산알루미늄의 질량% 의 합계를 나타낸다. 「EDTA/가교제」 행은, 가교제에 대한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의 비율을 나타낸다. 표 1 에 나타내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 4 는, 필요에 따라 표 2 ∼ 표 5 에서도 다시 나타낸다.
표 2 는 상기의 제 1 ∼ 제 12 예에 관련된다. 표 2 는, 수용성 고분자의 총량이 11 ∼ 20 질량% 의 범위에서 벗어나면, 손실 정접이 0.20 ∼ 0.41 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나타낸다.
표 3 은 상기의 제 1, 제 2, 제 7, 및 제 8 예에 관련한다. 표 3 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의 양이 3.5 ∼ 7 질량% 의 범위에서 벗어나거나,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의 양이 2 질량% 이상이고 또한 5 질량% 미만의 범위에서 벗어나거나, 또는 가교제의 양이 0.22 ∼ 1 질량% 의 범위에서 벗어나면, 손실 정접이 0.20 ∼ 0.41 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나타낸다.
표 4 는 상기의 제 3, 제 4, 제 9, 및 제 10 예에 관련된다. 표 4 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의 양이 0.5 질량% 이상이고 또한 3.5 질량% 미만의 범위에서 벗어나거나,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의 양이 1 질량% 이상이고 또한 5 질량% 미만의 범위에서 벗어나거나, 또는 가교제의 양이 1 ∼ 9 질량% 의 범위에서 벗어나면, 손실 정접이 0.20 ∼ 0.41 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나타낸다.
표 5 는 상기의 제 5, 제 6, 제 11, 및 제 12 예에 관련된다. 표 5 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의 양이 0.5 질량% 이상이고 또한 3.5 질량% 미만의 범위에서 벗어나거나,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의 양이 5 ∼ 10 질량% 의 범위에서 벗어나거나, 또는 가교제의 양이 0.18 ∼ 0.7 질량% 의 범위에서 벗어나면, 손실 정접이 0.20 ∼ 0.41 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나타낸다.
표 6 은, 표 2 ∼ 표 5 와 동일하게, 「수용성 고분자」, 「가교제」, 및 「EDTA/가교제」 라는 3 행을 포함한다. 단, 표 6 에서의 「가교제」 행은, 명반, 규산알루미늄, 및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의 질량% 의 합계를 나타낸다. 실시예 15 는, 명반을 사용하지 않아도 손실 정접을 0.20 ∼ 0.41 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6, 17 은, 글리세린을 사용하지 않아도 손실 정접을 0.20 ∼ 0.41 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8 은, 타르타르산을 사용하지 않아도 손실 정접을 0.20 ∼ 0.41 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10 :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12 : 지지체
14 : 점착제층
16 : 박리 시트
16a : 약화부
20 :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1 : 기판
22 : 마이크로 니들.

Claims (5)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점착제층 내에 위치하는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점착제층이, 수용성 고분자 및 물을 포함하고,
    환경 온도 25 ℃ 및 주파수 1 Hz 인 측정 조건하에서의 상기 점착제층의 손실 정접이 0.20 ∼ 0.41 인,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다가 알코올을 추가로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이 글리세린인,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 정접이 0.202 ∼ 0.404 인,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KR1020237044823A 2021-08-19 2022-08-19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KR20240010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33878 2021-08-19
JP2021133878 2021-08-19
PCT/JP2022/031373 WO2023022228A1 (ja) 2021-08-19 2022-08-19 マイクロニードル貼付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053A true KR20240010053A (ko) 2024-01-23

Family

ID=8523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823A KR20240010053A (ko) 2021-08-19 2022-08-19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327803A1 (ko)
JP (1) JP7313579B1 (ko)
KR (1) KR20240010053A (ko)
CN (1) CN117769409A (ko)
BR (1) BR112023024860A2 (ko)
CA (1) CA3225717A1 (ko)
WO (1) WO202302222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1938A (ja) 2005-06-24 2007-01-11 Daikyo Yakuhin Kogyo Kk 微細針付き貼付剤
JP2015151380A (ja) 2014-02-18 2015-08-24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2703A (zh) 2019-06-12 2019-12-03 青岛华澳现代医疗美容有限公司 用于微针的用肌肤自修复抗衰老的护肤组合物以及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1938A (ja) 2005-06-24 2007-01-11 Daikyo Yakuhin Kogyo Kk 微細針付き貼付剤
JP2015151380A (ja) 2014-02-18 2015-08-24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13579B1 (ja) 2023-07-24
EP4327803A1 (en) 2024-02-28
BR112023024860A2 (pt) 2024-03-05
CA3225717A1 (en) 2023-02-23
WO2023022228A1 (ja) 2023-02-23
TW202320880A (zh) 2023-06-01
JPWO2023022228A1 (ko) 2023-02-23
CN117769409A (zh) 202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5491B (zh) With an array of micro-protrusions
EP2835147B1 (en) Puncture device
US20030175328A1 (en) Patch for the controlled delivery of cosmetic, dermatological, and pharmaceutical active ingredients into the skin
US20030175333A1 (en) Invisible patch for the controlled delivery of cosmetic, dermatological, and pharmaceutical active ingredients onto the skin
US20070259029A1 (en) Water-dispersible patch containing an active agent for dermal delivery
KR20240010053A (ko) 마이크로 니들 첩부제
TWI842068B (zh) 微針貼附劑
JP5797644B2 (ja) 微小突起付きアレイ
JP2024074537A (ja) マイクロニードル貼付剤
US20200297549A1 (en) Flexible hollow structure, adhesive tape, and functional adhesiv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