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734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734A
KR20240009734A KR1020220087012A KR20220087012A KR20240009734A KR 20240009734 A KR20240009734 A KR 20240009734A KR 1020220087012 A KR1020220087012 A KR 1020220087012A KR 20220087012 A KR20220087012 A KR 20220087012A KR 20240009734 A KR20240009734 A KR 20240009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posed
guide
discharge por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영
김보현
이재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7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734A/ko
Priority to CN202310849971.2A priority patent/CN117404742A/zh
Priority to US18/221,067 priority patent/US20240017199A1/en
Priority to EP23185155.1A priority patent/EP4306859A1/en
Publication of KR20240009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01D46/004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containing fixed gas displacement elements or co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1Filter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parallel rods or lamellae directing the outflow, e.g. the rods or lamellae being individually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구와,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및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된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의 상단에서 상기 제1바디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이 구비된 토출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으로부터 상기 제1바디의 중심부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진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의 상측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유동을 형성하고,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일정공간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이는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는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필터가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실내공간의 청정도를 빠르게 높이도록, 상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토출되는 필터링된 공기를 사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하는 경우, 상측에 별도의 풍향조절을 위한 팬을 배치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원거리로 보낼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1-0140930호에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원통형의 바디; 상기 바디의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상면을 형성하는 환형의 토출 그릴; 및 상기 환형의 토출 그릴로 둘러싸인 평탄면에 배치된 작동부를 포함한다.
공기청정기는 일정 공간 내에서 공기 청정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부피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큰 부피의 공기청정기가 공간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여, 공간 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선행 공개특허는 바디의 상면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면을 활용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환형의 토출구의 중심부에는 작동부가 배치되어, 공기청정기 상단의 협소한 평탄면마저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가 차지하는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기청정기의 상측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다른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다만, 상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부재에 충돌하게 되어, 토출 공기는 원거리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공기청정기의 성능의 저하로 직결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2-0007363호에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길게 연장된 원통형의 바디; 상기 바디의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상면을 형성하는 환형의 토출 그릴; 및 상기 환형의 토출 그릴로 둘러싸인 평탄면을 포함한다.
다만, 상기 선행 공개특허는 바디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상면을 활용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바디의 상면은 협소하여 물품들을 수납하기에도 적절하지 않다. 상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 구조물을 상기 상면에 올려 놓게 될 경우, 토출구를 막게 되어 공기청정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40930 A호 (공개일자 2021.11.2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07363 A호 (공개일자 2022.01.18.)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청정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흡입구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토출 공기의 제어 성능이 향상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측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토출 공기와의 유동 간섭이 개선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재실자의 사용편의성과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된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된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및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된 제2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는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의 상단에서 상기 제1바디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이 구비된 토출 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으로부터 상기 제1바디의 중심부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는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인 각각은 상기 기둥과 인접하는 일단이 타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는 상측에 상기 제2바디의 기둥이 삽입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의 상단은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인 각각은 일단이 상기 홀더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토출 그릴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측방으로 연장되어 하측을 마주하는 가이드 벽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토출 그릴과 상기 가이드 벽 사이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1바디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제1바디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제1바디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가이드 오프닝이 뚫린 토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버는 상기 제1바디의 내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 방향의 상방으로 비스듬히 개구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토출 그릴은 가이드 벽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손실을 막아 공기청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바디의 가이드 벽은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토출 공기의 제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바디의 가이드 벽의 단부는 제1바디의 둘레면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흡입구와 이격되어, 흡입구로 재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흡입구와 토출구를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흡입구로 재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바디에 의하여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공기청정기의 상부에 형성된 평탄면에 의하여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토출 그릴의 베인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간섭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입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1-A2선 절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토출 그릴의 B1-B2선 절개 입단면도이다.
도 6는 도 4에서 베인의 C1-C2선 절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A1-A2선 절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하우징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베인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하우징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송풍 하우징, 및 어퍼 하우징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D1-D2선 절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공기청정기(3)는 흡입구(112)와 토출구(17)가 구비된 제1바디(1)를 포함한다.
제1바디(1)는 높게 연장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높이가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1바디(1)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둘레벽을 포함할 수 있다. 둘레벽은 제1바디(1)의 외벽일 수 있다. 둘레벽은 어퍼 하우징(16)을 포함할 수 있다. 둘레벽은 로어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어퍼 하우징(16)과 로어 하우징(11)을 포함하고, 둘레벽은 어퍼 하우징(16)과 로어 하우징(11)의 외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벽은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1바디(1)는 원통형, 직육면체형, 피라미드형, 정육면체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바디(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고, 흡입구(112)를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의 높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4개의 흡입구(112)가 둘레벽에 사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이격되고, 둘레벽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도가 큰 오염된 공기는 제1바디(1)의 하측에 배치된 흡입구를 통해 쉽게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구(112)에는 루버(111)가 형성될 수 있다. 루버(111)는 흡입구(112)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루버(111)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루버(111)는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루버(111)는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루버(111)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루버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복수의 루버(111)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외부 공기가 제1바디(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1)로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이 루버(111)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흡입구(1)는 제1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흡입구(112)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면과 둘레벽이 개구된 것일 수 있다. 토출구(17)의 일부는 제1바디(1)가 상측으로 개구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는 제1바디(1)가 상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일측으로 개구되고, 토출구(17)는 타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에 개구되고,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는 제1바디(1)의 측면으로 흡입되어 상측으로 토출되므로, 토출된 공기가 흡입구(11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횡단면의 형상일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횡단면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면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는 원통 형상의 제1바디(1)의 상측에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로어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은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의 둘레벽에는 흡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의 둘레벽에는 루버(111)가 배치될 수 있다. 루버(111)는 로어 하우징(11)의 둘레벽에 형성된 흡입구(11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 하우징(11)은 흡입구(112)가 형성된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루버(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는 어퍼 하우징(16)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하우징(16)은 제1바디(1)의 일부일 수 있다. 어퍼 하우징(16)은 둘레벽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의 둘레벽은 로어 하우징(11)과, 어퍼 하우징(16)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어퍼 하우징(16)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 하우징(16)은 제1바디(1)의 상부를 형성하고, 토출 그릴(18)은 어퍼 하우징(16)의 상측 엣지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바디(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테이블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바디(2)는 평탄한 상면을 구비한 테이블의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제1바디(1)를 커버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바디(2)의 폭은 제1바디(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바디(2)의 엣지는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바디(2)의 폭은 제1바디(1)의 폭보다 크고, 제2바디(2)는 상면의 엣지가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원형의 테이블의 외형을 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평탄면이 구비된 플레이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제2바디(2)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4)는 제2바디(2)를 커버하도록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원판일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인디케이터(26)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공기청정기(3)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3)는 공기청정기(3)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26)는 공기청정기(3)의 운전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공기청정기(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의 상면에 형성된 슬롯(241)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26)는 길게 연장되고, 상기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의 상면에 형성된 슬롯(241)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충전 패드(271)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전자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연결 단자 없이 무선으로 전자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패드(271)는 무선 충전 모듈일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공기청정기(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에 형성된 패드홀(242)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의 상면에 형성된 원형의 패드홀(242)에 삽입되어, 제2바디(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제1바디(1)를 지지하는 베이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2)는 공기청정기(3)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32)는 제1바디(1)와 제2바디(2)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32)는 제1바디(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32)는 제1바디(1)의 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32)의 폭은 제1바디(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베이스(32)의 단부는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상협하광의 형상이고, 베이스(32)의 폭은 제1바디(1) 하단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베이스(32)는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32)는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벽(323)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벽(323)의 엣지는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3)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공기청정기(3)는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2바디(2)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2바디(2)의 하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측으로 개구되고, 제2바디(2)의 하면을 마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공기는 제2바디(2)의 하면을 따라 흐르고, 토출 공기가 흡입구(11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기울어질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측으로 개구되고,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2바디(2)와 제1바디(1)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환형의 토출구(17)는 제1바디(1)와 제2바디(2)의 연결부에서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공기는 제2바디(2)의 하면을 따라 흐르고, 토출 공기가 흡입구(11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송풍팬(12)의 축을 중심으로 한 환형의 형상일 수 있다. 토출구(17)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일 수 있고,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측으로 개구된 환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기류가 사방으로 형성되고, 공기청정기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토출구(17)의 상측에는 토출 그릴(18)이 배치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측으로 개구된 환형의 토출구(17)이고, 상기 토출구(17)의 상측에 환형의 토출 그릴(18)이 배치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길게 연장된 복수의 베인(181)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81)은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81)은 토출 그릴(18)에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81)은 제1바디(1)의 둘레벽에서 제1바디(1)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81)은 제2바디(2)의 기둥(21) 측에서 제1바디(1)의 둘레벽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 및 토출 그릴(18)은 환형이고, 복수의 베인(181)은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상단에서 상기 제1바디(1)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둘레벽으로부터 제1바디(1)의 중심부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승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내측 둘레는 외측 둘레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뾰족한 상단이 잘려진 원뿔 형상이고, 복수의 베인(181)이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81) 각각은 송풍팬(12)에 의해 상승된 기류가 제1바디(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베인(181) 각각은 송풍팬(12)에 의해 상승된 기류가 상기 송풍팬(12)의 회전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복수의 베인(181) 각각은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베인(181)의 길이 방향은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길이 방향은 제1바디(1)의 중심부에서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베인(181)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길이 방향은 방사 방향일 수 있다. 베인(181)의 길이 방향은 수평 방향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베인(181)의 길이 방향은 토출 그릴(181)의 가상의 표면에 평행하게 접할 수 있다.
베인(181)의 길이 방향의 하단과 가이드 벽(221)의 단부를 잇는 가상의 직선은 베인(181)의 길이 방향과 둔각(θ5)을 이룰 수 있다. 가상의 직선은 베인의 길이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그릴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가이드 벽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제1바디(1)의 둘레벽은 상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베인(181)이 상하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θ4a)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이 상하 방향에 대해 내측으로 기울어진 각도(θ4b)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베인(181) 각각은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테이블의 외형을 형성하는 로어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측면으로 연장되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하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벽(22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제1바디(1)의 상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제1바디(1)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의 가장자리는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의 외주단은 토출 그릴(18)의 외주단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하측을 마주할 수 있다. 가이드 벽은 제1바디(1) 측을 마주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벽(221)은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구(17)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 그릴(18)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일단은 로어 커버(22)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 그릴(18)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토출구(17)와 가이드 벽(221)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1)은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상단은 가이드 벽(22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1)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토출 그릴(18)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1)은 상기 일측에서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과 토출 그릴(18)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가이드 벽(221)의 엣지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된 토출 그릴(18)은 제2바디(2)와 연결되고, 토출 그릴(18)과 제2바디(2)의 가이드 벽(221)은 연결 지점에서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인(181)은 가이드 벽(221)과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토출 그릴(18)은 제2바디(2)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2바디(2)를 마주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2바디(2)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2바디(2)의 로어 커버(22)와 이격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로어 커버(22)와 소정 간격(m)만큼 이격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 그릴(18)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간격(m)만큼 이격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와 토출 그릴(18) 사이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m)는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과 토출 그릴(18) 사이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m)는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로어 커버(22)는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가이드 벽(221)과 토출 그릴(18) 사이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m)는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제2바디(2)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제2바디(2)의 반경 방향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단부를 향해 상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제1바디(1)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곡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벽(221)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말단으로 갈수록 곡률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기류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로어 커버(22)의 엣지까지 가이드 벽(22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과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는 0보다 클 수 있다. 가이드 벽(221)과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는 가변적일 수 있다. 가이드 벽(221)과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는 가이드 벽(221)의 엣지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베인(181)은 제1바디(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베인(181)은 제1바디(1)의 중심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베인(181)은 홀더 엣지(194)로부터 하우징 엣지(161)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베인(181)은 하우징 엣지(161)로부터 홀더 엣지(194)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이 연장되는 방향과 베인(181)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베인(181)의 길이 방향은 하우징 엣지(161)로부터 홀더 엣지(194)를 향하는 방향, 또는 홀더 엣지(194)로부터 하우징 엣지를(161)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베인(181)의 길이 방향은 베인(181)의 연장 방향이라 명명할 수 있다.
베인(181)의 길이 방향과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a)는 0보다 클 수 있다.
베인(181)의 길이 방향과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a)는, 가이드 벽(221)과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보다 클 수 있다. 베인(181)의 길이 방향과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a)와 가이드 벽(221)과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의 차이는, 가이드 벽(221)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복수의 베인(181)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단면 형상은 제1바디(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원통형의 형상이고,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에 대응되는 환형의 토출 그릴(18)일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와 제2바디(2)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어퍼 하우징(16)과 제2바디(2)의 로어 커버(22)를 연결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어퍼 하우징(16)의 엣지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로어 커버(2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어퍼 하우징(16)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바디(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15)는 어퍼 하우징(16)의 내부에 배치되고, 어퍼 하우징(16)의 엣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바디(15)의 상측 엣지는 어퍼 하우징(16)의 상측 엣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너 바디(15)는 토출 유로(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15)는 내벽인 이너 커버(152)와, 외벽인 이너 하우징(151)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유로(153)는 이너 커버(152)와 이너 하우징(15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토출 유로(153)는 이너 커버(152)와 이너 하우징(1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바디(15)는 원통형의 이너 커버(152)와, 상기 이너 커버(152)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원통형의 이너 하우징(151)을 포함하고, 이너 커버(152)와 이너 하우징(151)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의 토출 유로(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커버(152)는 홀더(19)의 일부일 수 있다. 홀더(19)는 이너 커버(152)와 어퍼 하우징(16)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18)는 토출 그릴(1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9)는 홀더 베이스(192)와, 홀더 벽(191)의 일부를 구비하는 이너 커버(152)와, 홀더 벽191()의 나머지 일부와 홀더 엣지(194)를 포함하는 어퍼 하우징(16)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토출 유로(153)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된 토출 유로(153)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바디(1)와 제2바디(2)는 분리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제2바디(2)를 고정시키는 홀더(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의 기둥(21)은 홀더(19)에 삽입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바디(1)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바디(1)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9)는 제1바디(1)의 상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바디(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바디(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바디(1)의 상면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홀더 벽(191)은 제1바디(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의 상단은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의 상단(19)은 홀더 엣지(19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엣지(194)는 하우징 엣지(161)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바디(1)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9)는 제1바디(1)의 상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9)는 홀더 베이스(192)와 홀더 벽(191)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벽(191)은 제1바디(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바디(1)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9)는 원통형의 제1바디(1)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제1바디(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인(181)은 홀더(19)와 제1바디(1)의 둘레벽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인(181)은 홀더(19)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인(181)은 홀더(19)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19)의 상단은 홀더 엣지(194)일 수 있다. 베인(181)은 일단이 홀더(19)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단과 타단은 서로 대향될 수 있다.
베인(181)은 홀더 엣지(194)와 하우징 엣지(161)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81) 각각은 일단이 홀더 엣지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 엣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엣지(194)는 하우징 엣지(161)보다 높게 형성되고, 베인(181)은 상측의 홀더 엣지(194)로부터 하측의 하우징 엣지(161)로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홀더 엣지(194)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홀더 엣지(194)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홀더 엣지(194)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1)은 홀더 엣지(194)에서 예각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토출 그릴(18)과,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벽(221)은 홀더 엣지(194)에서 연결되고,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제1바디(1)의 홀더(19)에 삽입되는 기둥(21)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21)은 홀더(19)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홀더(19)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바디(2)의 기둥(21)은 홀더(19)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홀더 벽(191)은 기둥(21)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21)은 원통형의 홀더(19)에 고정되도록 보다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인(181)은 기둥(21)과 제1바디(1)의 둘레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181)은 기둥(21)이 삽입되는 홀더(19)와 제1바디(1)의 둘레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9)의 상단은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기둥(21)과 인접하는 베인(181)의 일단은 타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에 대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베인(181) 각각은 기둥(21)과 인접하는 일단이 대향되는 타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19)는 기둥(21)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컬럼(19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컬럼(193)은 홀더(19)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컬럼(193)은 홀더(19)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컬럼(193)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컬럼(193)은 홀더(19)의 내벽에 접촉하고, 서로 이격되어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제1바디(1)로부터 탈거되도록 하는 후크(28)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28)는 기둥(21)에 인접하는 로어 커버(2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후크(28)는 기둥(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갈고리부(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갈고리부는 홀더(19)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부(미부호)에 끼워질 수 있다. 제2바디(2)는 가이드 벽(221)에 배치되고, 후크(28)의 갈고리부를 작동시키는 후크버튼(241)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버튼(281)은 제1바디(1)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후크 버튼(281)은 토출 그릴(18)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평탄면이 구비된 플레이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로어 커버(22)와 플레이트(24) 사이에 배치되는 상판(23)을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상판(23)에 형성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상판(23)으로부터 플레이트(24)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플레이트(24)에 형성된 슬롯(241)에 삽입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의 하측에는 기판(264)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264)은 인디케이터(26)를 작동시킬 수 있다. 기판(264)은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버튼 모듈(2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와 버튼 모듈(25)은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버튼 모듈(25)의 작동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제2바디(2)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하측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기판(26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로어 커버(22)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가이드 벽(221)을 형성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가이드 벽(221)의 경사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벽(221)은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지고, 버튼 모듈(25)도 상기 가이드 벽(221)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벽(221)을 따라 흐르는 토출 기류가 버튼 모듈(25)까지 도달하므로, 사용자는 토출 공기의 세기를 손으로 느끼면서 공기청정기(3)의 운전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기판(264)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인디케이터(26)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공기청정기(3)의 운전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 모듈(25)을 누르면, 공기청정기(3)의 운전이 시작되거나, 운전이 정지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제2바디(2)의 둘레 말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제2바디(2)의 기둥(21)보다 둘레 말단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튼 모듈(25)은 사용자가 쉽게 닿을 수 있게 로어 커버(22)의 둘레 말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야에 보이지 않는 버튼 모듈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인디케이터(2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과 인디케이터(26) 사이에는 기판(264)이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과, 기판(264)과, 인디케이터(26)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26)의 하측에는 기판(264)이 배치되고, 기판(264)의 하측에는 버튼 모듈(25)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야에 보이지 않는 버튼 모듈(25)을, 상면에 배치된 인디케이터(26)에 의해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디케이터(26)를 작동시키기 위해 버튼 모듈(25)과, 기판(264)을 연결하는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 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상판(23)에 형성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상판(23)으로부터 플레이트(24)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플레이트(24)에 형성된 패드홀(242)에 삽입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의 하측에는 충전 코일(272)이 배치될 수 있다. 충전 코일(272)은 로어 커버(22)와 상판(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기판(273)은 충전 코일(272)에 인접하고, 상판(2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집수로는 상판(23)에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는 플레이트(24)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는 플레이트(24)와 상판(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는 상판(23)으로부터 리세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는 메인 집수로(23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집수로(231)는 상판(23)의 중심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집수로는 슬롯 집수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 집수로(232)는 인디케이터(26)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슬롯 집수로(232)는 플레이트(24)에 형성된 슬롯(24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슬롯 집수로(232)는 슬롯(241)의 엣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의 슬롯과 인디케이터 사이의 틈으로 침투한 액체는 슬롯 집수로에 모일 수 있다.
집수로는 패드 집수로(23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집수로(233)는 충전 패드(27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패드 집수로(233)는 플레이트(24)에 형성된 패드홀(24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패드 집수로(233)는 패드홀(242)의 엣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패드 집수로(233)는 충천 패드(271)의 둘레의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바디(1)를 설명한다.
홀더(19)는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9)는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홀더(19)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19)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바디(1)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9)는 제1바디(1)의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소정의 깊이로 함몰될 수 있다.
홀더(19)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의 횡단면은 기둥(21)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9)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는 상측을 마주하는 홀더 베이스(19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베이스(192)는 제1바디(1)의 횡단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베이스(192)는 홀더(192)의 횡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9)는 원통형의 형상이고, 홀더 베이스(192)는 원형일 수 있다.
홀더(19)는 가이드 컬럼(19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컬럼(193)은 제2바디(2)의 기둥(19)의 삽입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컬럼(193)은 홀더(19)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컬럼(193)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컬럼(193)은 홀더(19)의 내벽에 형성되고, 2개의 가이드 컬럼(193)은 서로 이격되어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 엣지(194)는 홀더(19)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엣지(194)는 홀더(19)의 상측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토출구(17)는 토출 그릴(18)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홀더(19)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중심부에 홀더(19)가 배치되고,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홀더 엣지(194)와 하우징 엣지(16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중심부에 홀더(19)가 배치되고, 상기 홀더(19)의 홀더 엣지(194)로부터 제1바디(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 엣지(16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 그릴(18)은 환형일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복수의 베인(181)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복수의 베인(18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81)은 토출구(17)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181)은 토출 유로(153)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181)은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중심부에 홀더(19)가 배치된 환형의 형상이고, 베인(181)은 토출 그릴(18)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폭은 베이스(3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폭은 제1바디(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상협하광의 형상이고,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바디(1)에서 폭이 가장 좁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인(181)은 토출구(17)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각각의 베인(181)은 종방향, 즉 제1바디(1)의 높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베인(181)은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횡방향, 즉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각각의 베인(181)은 토출구(17)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토출구(17)의 둘레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베인(181)은 환형의 토출구(17)의 원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상측을 향하여 측면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상측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형의 토출 그릴(18)은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베인(181)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181)은 토출구(17)의 둘레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토출구(17)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측으로 향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토출구(17)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측을 향하고, 측면 방향으로 비스듬히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형의 토출구(17)에는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진 복수의 베인(181)이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토출구(17)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베인(181)을 통해 상측을 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공기가 제2바디(2)의 가이드 벽(221)에 부딪혀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3)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토출 그릴(18)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서 토출 그릴(18)의 B1-B2선 절개한 입단면도이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중심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상단부가 잘린 원뿔형태일 수 있다.
홀더(19)는 상승될 수 있다. 홀더(19)의 홀더 엣지(194)는 상승될 수 있다. 홀더 엣지(194)의 높이는 제1바디(1)의 하우징 엣지(161)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홀더 엣지(194)와 하우징 엣지(16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홀더 엣지(194)에서 하측의 하우징 엣지(161)로 연결되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인(181)은 종방향으로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베인(181)은 일단이 타단보다 상승될 수 있다. 베인(181)은 홀더 엣지(194)에 연결된 내측단이 하우징 엣지(161)에 연결된 외측단보다 상승될 수 있다. 베인(181)은 제1바디의 외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베인은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θ3a)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인(181)은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θ3a)로 기울어져,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베인(181)은 반경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181)은 반경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베인(181)은 홀더 벽(191)에 비스듬하게 연결될 수 있다. 베인(181)은 홀더 벽(191)의 높이 방향에 대해 측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θ1)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인(181)은 홀더 벽(191)과 하우징 엣지(161)에 연결되고, 홀더 벽(191)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때 토출구(17)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시계 방향의 상측으로 분출될 수 있다.
둘레 방향으로 기울어진 베인(181)은 공기가 유동되어 오는 방향의 면인 정압면(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정압면(182)은 측면 방향을 마주할 수 있다. 정압면(182)은 하측 방향을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류는 제1바디(1)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고,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진 베인(181)의 정압면(182)은 시계 방향측의 하방을 마주할 수 있다.
둘레 방향으로 기울어진 베인(181)은 정압면(182)의 반대면인 부압면(183)을 포함할 수 있다. 부압면(183)은 정압면(182)과 대향되는 방향의 면일 수 있다. 부압면(183)은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부압면(183)은 측면 방향을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류는 제1바디(1)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므로,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진 베인(181)의 부압면은 반시계 방향측의 상방을 마주할 수 있다.
베인(181)이 홀더(19)의 높이 방향에 대해 측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었을 때, 홀더(19)에 대해 경사진 소정의 각도(θ1)는 부압면(183)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베인(181)은 전단(184a)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단(184a)은 공기 유동 방향의 상류 측인 베인(181)의 하단이다. 전단(184a)은 베인(18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류는 제1바디(1)의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되고, 전단(184a)은 제1바디(1)의 하측 방향을 마주할 수 있다.
전단(184a)은 측면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전단(184a)은 토출구(17)의 둘레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전단(184a)은 둘레 방향을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진 베인(181)의 전단(184a)은 반시계 방향의 하측을 마주할 수 있다.
베인(181)은 후단(184b)을 포함할 수 있다. 후단(184b)은 공기 유동 방향의 하류 측인 베인(184)의 상단이다. 후단(184b)은 베인(18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류는 제1바디(1)의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되고, 후단(184b)은 제1바디(1)의 상측 방향을 마주할 수 있다.
후단(184b)은 측면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후단(184b)은 둘레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후단(184b)은 둘레 방향을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진 베인(181)의 후단(184b)은 시계 방향의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베인(181)을 설명한다.
도 6는 도 4에서 베인(181)의 C1-C2선 절개 단면도이다.
베인(181)은 어퍼 하우징(16)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인(181)은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θ2)로 기울어질 수 있다. 베인(181)은 어퍼 하우징(16)의 높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θ2)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각도(θ2)는 베인(181)의 부압면(183)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인(181)은 어퍼 하우징(16)의 높이 방향에 대해 부압면(183)이 소정의 각도(θ2)를 이루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베인(181)의 일단은 홀더 엣지(194)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 엣지(161)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인(181)은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에 대해 제1각도(θ1)만큼 기울어지게 홀더 벽(191)에 연결되고, 제2각도(θ2)만큼 기울어지게 어퍼 하우징(16)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인(181)은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에 대해 제1각도(θ1)만큼 기울어지게 홀더 엣지(194)에 연결되고, 제2각도(θ2)만큼 기울어지게 하우징 엣지(16)에 연결될 수 있다.
제1각도(θ1)와 제2각도(θ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베인(181)은 비틀린(twisted) 형상일 수 있다. 베인(181)의 정압면(182)과 부압면(183)은 곡면일 수 있다.
전단(184a)의 폭과 후단(184b)의 폭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인(181)은 전단(184a)에서 후단(184b)으로 갈수록 폭이 커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공기청정기(3)는 제1바디(1)를 지지하는 베이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하부에 배치되는 무게추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는 제1바디(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무게추는 흡입구(1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무게추는 베이스(32)와 흡입구(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무게추는 베이스(3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추는 베이스(32)에 결합되어 공기청정기(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무게추는 무게판(31)일 수 있다. 무게판(31)은 복수 개가 적층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로어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제1바디(1) 내부에 배치되는 바텀 하우징(34)과, 상기 바텀 하우징(34)을 커버하는 바텀 커버(3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부는 바텀 하우징(34)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부는 바텀 하우징(34)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텀 하우징(34)은 바텀 커버(35)가 덮을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필터(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13)는 제1바디(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13)는 로어 하우징(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13)는 제1바디(1)에 형성된 흡입구(112)를 마주할 수 있다. 흡입구(112)를 향하는 공기는 필터(113)를 통과하여 제1바디(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113)는 제1바디(1)의 내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13)는 원통형의 제1바디(1)에 대응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113)는 제1바디(1)의 내벽을 마주할 수 있다. 필터(113)는 로어 하우징(11)의 내벽을 마주할 수 있다.
흡입 유로(1120)는 필터(113)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 유로(1120)는 흡입구(112)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구(112)를 향하는 공기는 필터(113)를 통과하여 흡입 유로(1120)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 유로(1120)는 제1바디(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 유로(1120)는 로어 하우징(16)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를 통하여 흡입 유로(1120)로 들어온 공기는 송풍팬(12)에 의하여 제1바디(1)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제1바디(1) 내부에 배치되는 오리피스(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114)는 송풍팬(12)을 마주할 수 있다. 오리피스(114)는 흡입 유로(1120)를 마주할 수 있다. 오리피스(114)의 일면은 송풍팬(12)을 마주하고, 타면은 흡입 유로(1120)를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리피스(114)의 일면은 송풍팬(12)을 마주하고, 상기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은 흡입 유로(1120)를 마주할 수 있다.
오리피스(114)는 유입구(115)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유로(1120)로 유입된 공기는 오리피스(114)의 유입구(115)를 통과하여 송풍팬(12)을 향할 수 있다. 유입구(115)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114)는 유입구(115)를 형성하는 엣지가 상측을 향하여 벤딩된 유입 가이드(116)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가이드(116)는 송풍팬(12)측을 향하여 벤딩될 수 있다. 흡입 유로(1120)로 유입된 공기는 유입 가이드(116)를 통하여 손실 없이 송풍팬(1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 가이드(116)는 유입구(115)를 형성하는 오리피스(114)의 내측 엣지가 상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12)은 유입구(115)를 마주할 수 있다. 송풍팬(12)은 유입구(11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2)은 버티칼 유로(142)와 흡입 유로(1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2)은 버티칼 유로(142)와 흡입 유로(1120)를 구획할 수 있다. 송풍팬(12)은 송풍 유로(134)와 흡입 유로(1120)를 구획할 수 있다.
송풍팬(12)은 흡입구(112)를 통해 흡입 유로(1120)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7)로 이동시킬 수 있다. 흡입 유로(1120)와 토출구(17) 사이에는 버티칼 유로(142)가 배치될 수 있다. 버티칼 유로(142)는 송풍 유로(134)와 토출 유로(153)를 포함할 수 있다.
버티칼 유로(142)는 커버와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이너 커버(152)와 모터 커버(13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경사 커버(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홀더(19)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는 내측에 송풍 모터(14)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는 하측에 송풍팬(12)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는 외주단의 직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커버는 외주단의 직경이 상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커버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커버는 상측으로 갈수록 곡률이 커지는 곡면일 수 있다. 커버는 반경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와 제1바디(1)의 외벽 사이의 간격은 상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구로 이동하는 기류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커버를 따라 이동하여 제2바디로 안내될 수 있다.
하우징은 어퍼 하우징(16)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제1바디(1)의 외벽과 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하우징과 커버 사이의 간격은 상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송풍 모터(14)는 송풍팬(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축(141)은 송풍 모터(14)와 송풍팬(12)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12)은 상측에 위치한 송풍 모터(14)와 축(141)에 의해 연결되고, 송풍팬(12)의 회전에 의해 기류는 제1바디(1)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송풍 모터(14)는 송풍팬(12)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 모터(14)는 송풍팬(1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흡입 유로(1120)에서 유입구(115)를 거쳐 불어온 공기는 송풍팬(12)에 의해 상측의 송풍 유로(134)로 이동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송풍팬(12)을 설명한다.
송풍팬(12)은 제1바디(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2)은 제1바디(1)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송풍팬(12)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1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제1바디(1)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 하우징(13)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2)은 송풍 하우징(1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 모터(14)는 송풍 하우징(1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12)은 송풍 하우징(13)의 하부에 배치되고, 송풍 모터(14)는 송풍 하우징(1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2)은 중심에 송풍 모터(14)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허브(123)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123)는 하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123)는 하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허브 엣지(123a)는 원형일 수 있다.
허브(123)의 상부에는 모터 커버(132)의 하부가 삽입되어 송풍 모터(14)의 적어도 일부가 허브(123) 내부에 배치된다.
허브(123)의 중심에는 허브(123)의 상측에 배치되는 송풍 모터(14)의 축(141)이 결합된다. 허브(123)는 쉬라우드(124)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허브(123)의 하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122)가 결합된다.
송풍팬(12)은 허브(123)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앙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송풍구(125)가 형성되는 쉬라우드(124)를 포함할 수 있다. 쉬라우드(124)는 허브(12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123)는 원형의 허브 엣지(123a)를 구비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쉬라우드(124)도 원형의 쉬라우드 엣지(124a)를 가지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쉬라우드(124)는 허브(123)보다 클 수 있다.
송풍팬(12)은 허브(123)와 쉬라우드(124)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허브(123)와 쉬라우드(124)를 연결할 수 있다. 블레이드(122)의 상단은 허브(123)의 하면과 결합되고 하단은 쉬라우드(124)의 상면과 결합된다. 복수의 블레이드(122)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블레이드(122)는 평탄면을 구비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허브(123)와 쉬라우드(124) 사이에 기울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송풍팬(12)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1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블레이드(122)는 허브(123)와 쉬라우드(124) 사이에서 송풍팬(12)의 높이 방향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블레이드(122)의 부압면(122a)은 시계 방향으로 상방을 마주할 수 있다.
송풍팬(12)은 쉬라우드(12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흡입 가이드(12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가이드(121)는 유입구(115)를 마주할 수 있다. 유입구(115)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흡입 가이드(121)를 통과하여 허브(123)와 쉬라우드(124) 사이에 형성된 송풍구(125)로 이동할 수 있다. 흡입 가이드(121)는 유입구(115)로부터 송풍구(125)를 향하는 공기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송풍 하우징(13)을 설명한다.
송풍 하우징(13)은 송풍 모터(14)가 배치되는 모터 커버(13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커버(132)는 송풍 모터(14)가 배치되는 모터 설치부(135)를 구획할 수 있다. 모터 커버(132)의 외부에는 송풍팬(12)이 배치되고, 모터 커버(132) 내측에는 송풍 모터(14)가 배치될 수 있다.
모터 커버(132)에는 송풍 모터(14)와 송풍팬(12)을 연결하는 축(141)이 통과되도록 관통홀(136)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커버(132)의 내측에 있는 송풍 모터(14)와 모터 커버(132)의 외측에 있는 송풍팬(12)은 관통홀(136)을 통과하는 축(14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송풍 하우징(13)은 모터 커버(132)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 커버(131)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 커버(131)는 송풍 하우징(13)의 외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경사 커버(131)는 송풍 하우징(13)의 내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경사 커버(131)의 경사는 송풍팬(12)의 경사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 커버(131)의 경사는 송풍팬(12)의 쉬라우드(124)의 경사 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송풍 하우징(13)은 모터 커버(132)와 송풍 하우징(13)의 외벽으로 형성된 송풍 유로(134)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2)을 통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송풍 유로(134)를 통과할 수 있다. 송풍 유로(134)는 환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 유로(134)는 송풍 하우징(13)의 외벽과, 상기 송풍 하우징(13)의 내측에 배치된 모터 커버(132) 사이에 형성된 환형의 유로일 수 있다.
송풍 하우징(13)은 모터 커버(132)와 송풍 하우징(13)의 외벽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 베인(13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33)은 모터 커버(132)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33)은 하측의 송풍팬(12)으로부터 나선형으로 불어오는 공기를 상측을 향해 직선으로 흐르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33)은 송풍 하우징(13)의 높이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33)은 송풍팬(12)의 블레이드(122)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12)의 블레이드(122)는 반시계 방향을 향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가이드 베인(133)은 시계 방향을 향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33)은 송풍팬(12)에서 불어오는 공기의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송풍 유로(134)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12)으로부터 불어 나오는 공기는 시계 방향을 향해 상방으로 송풍되고, 가이드 베인(133)은 시계 방향의 상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송풍 유로(134)는 시계 방향의 상방을 마주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가이드 베인(133)을 설명한다.
가이드 베인(133)은 공기가 불어오는 방향을 마주하는 면인 정압면(1331)과, 상기 정압면(1331)과 대향되는 방향의 면인 부압면(133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33)은 기울어지고, 정압면(1331)은 하측을 마주하고, 부압면(1335)은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베인(133)은 시계 방향의 상측을 향해 기울어져 배치되고, 정압면(1331)은 시계 방향의 하측을 마주하고 부압면(1335)은 반시계 방향의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33)은 플레이트의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 베인(133)은 곡면일 수 있다. 가이드 베인(133)의 정압면(1331)은 볼록하고, 부압면(1335)은 오목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33)은 후단(1336)이 상측을 마주하도록 굽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베인(133)은, 전단(1334)은 반시계 방향의 하측을 마주하고 후단(1336)은 상측을 마주하도록, 굽어질 수 있다. 이 때, 정압면(1331)은 볼록하고, 부압면(1335)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332)는 가이드 베인(133)의 정압면(1331)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리브(1332)는 정압면(1331)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정압면(1331)의 일부에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평탄면일 수 있다.
정압면(1331)의 복수의 리브(1332) 사이에는 가이드 그루브(1333)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1332)는 공기 유동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흐르고, 리브(1332)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그루브(1333)는 리브(1332)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33)은 전단(1334)과 후단(1336)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단(1334)은 공기 유동 방향의 상류 측을 마주하고, 후단(1336)은 공기 유동 방향의 하류 측을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이동되고, 가이드 베인(133)의 전단(1334)은 공기 유동 방향의 상류 측인 하측이고, 후단(1336)은 공기 유동 방향의 하류 측인 상단일 수 있다.
후단(1336)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전단(1334)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단(1334)은 정압면(1331)에서 부압면(1335)으로 둥글게 꺾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어퍼 하우징(16)을 설명한다.
어퍼 하우징(16)은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 하우징(16)은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일 수 있다.
어퍼 하우징(16)의 상측에는 토출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토출구(17)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하우징(16)은 홀더(19)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홀더(19)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19)는 어퍼 하우징(16) 내측에 배치되고, 홀더(19)와 어퍼 하우징(16)은 토출 그릴(18)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9)는 어퍼 하우징(16)의 내측에 배치되고, 홀더(19)와 어퍼 하우징(16)은 토출 그릴(18)로 연결되고, 홀더 벽(191)과 어퍼 하우징(16) 사이에는 토출 그릴(18)의 베인(181)이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홀더(19)는 어퍼 하우징(16)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 엣지(194)의 높이는 하우징 엣지(161)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홀더 엣지(194)와 하우징 엣지(161)를 연결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내측이 상승되어,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홀더 엣지(194)에서 하우징 엣지(161)로 연결되고, 홀더 엣지(194)에서 하우징 엣지(161)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베인(181)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181)은 홀더 엣지(194)와 하우징 엣지(194)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인(181)은 홀더 엣지(194)에서 하우징 엣지(161)로 연결되고, 홀더 엣지(194)에서 하우징 엣지(161)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오리피스(114)는 송풍팬(12)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플로우 가이드(117)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우 가이드(117)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플로우 가이드(117)는 송풍팬(12)의 쉬라우드(124)의 경사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12)의 쉬라우드(124)는 송풍팬(12)의 외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고, 플로우 가이드(117)는 쉬라우드(124)의 경사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플로우 가이드(117)는 유입 가이드(116)와 흡입 가이드(121)의 틈으로 새어나간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플로우 가이드(117)는 흡입 유로(1120)에서 송풍 유로(134)로 향하는 공기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플로우 가이드(117)는 제1바디(1) 내부에서 와류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송풍팬(12)의 흡입 가이드는(121) 유입 가이드(116)를 커버할 수 있다. 흡입 가이드(121)는 유입 가이드(116)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 가이드(116)는 원통형이고, 흡입 가이드(121)는 유입 가이드(161)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유입 가이드(161)보다 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어퍼 하우징(16) 내측에 배치되고, 토출 유로(153)를 형성하는 이너 바디(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15)는 외벽을 형성하는 이너 하우징(151)과, 모터 커버(132)로부터 상기 이너 바디(15)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이너 커버(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151)은 어퍼 하우징(16)과 하우징 엣지(161)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너 커버(152)는 모터 커버(132)와 홀더 벽(19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151)은 원통형일 수 있다. 이너 커버(152)는 이너 하우징(16)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커버(152)는 원통형의 이너 하우징(151)에 대응되도록, 이너 하우징(151)보다 작은 원통형일 수 있다.
토출 유로(153)는 이너 하우징(151)과 이너 커버(152)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유로(15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 유로(153)는 토출구(17)와 송풍 유로(134)를 연결할 수 있다. 송풍 유로(134)에서 유입된 공기는 토출 유로(153)를 통해 토출구(17)로 분출될 수 있다.
이너 커버(152)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커버(152)는 원통형이고, 공기 유동 방향으로 좁아질 수 있다. 이너 하우징(151)과 이너 커버(152) 사이의 폭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넓어질 수 있다. 토출 유로(153)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넓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흐르고, 이너 커버(152)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굽어진 외벽을 가진 원통형의 형상이고, 이너 커버(152)와 이너 하우징(151) 사이에 형성된 토출 유로(153)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유동하는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곡면으로 형성된 이너 커버(152)를 타고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이너 바디(1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이너 바디(15) 내부의 토출 유로(153)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토출 그릴(18)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토출 그릴(18)의 복수의 베인(18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가이드 벽(22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굽어질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벽(221)은 제2바디(2)의 말단을 향하여 상방으로 굽어지는 곡면일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말단으로 갈수록 굽어지는 정도가 커질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말단으로 갈수록 곡률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벽(221)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코안다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2바디(2)를 마주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가이드 벽(221)을 마주할 수 있다. 토출구(17)에서 분출된 공기는 가이드 벽(221)을 따라 흐를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토출구(17)에서 분출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토출 공기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가이드 벽(221)이 구비된 로어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테이블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로어 커버(2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은 평탄한 면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공기의 유동 방향을 설명한다.
제1바디(1)의 흡입구로 들어온 공기는 송풍팬(12)의 흡입 가이드(121)로 진입한다. 흡입 가이드(121)로 진입한 공기는 허브(123)와 쉬라우드(124) 사이에 형성된 송풍구(125)를 통과하고, 블레이드(122)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송풍된다. 상기 소정의 방향은 송풍팬(12)의 회전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방향은 블레이드(122)가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1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송풍팬(12)을 통과한 공기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12)의 블레이드(122)는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송풍팬(12)을 통과한 공기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분출될 수 있다.
송풍팬(12)을 통과한 공기는 송풍 하우징(13)의 송풍 유로(134)에 진입한다. 송풍 유로(134)에 진입한 공기는, 송풍 유로(134)에 방사형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된 가이드 베인(133)에 도달한다. 가이드 베인(133)은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기울어져,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33)은 후단(1336)은 상측을 마주하고, 전단(1334)은 반시계 방향의 하측을 마주하도록 굽어질 수 있다.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불어와 가이드 베인(133)에 진입한 공기는, 상측을 향하여 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는 상측으로 향하여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12)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측의 가이드 베인(133)에 진입한 공기는, 가이드 베인(133)에 의해 회전성이 약화되고 상측을 향하는 직진성이 강화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33)을 통해 상측으로 직진한 공기는 상측의 토출 그릴(18)을 통과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베인(181)은 소정의 방향으로 기울고,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예를 들어, 토출 그릴(17)의 베인(18)은 정압면(182)이 시계 방향 하측을 마주하고, 부압면(183)이 반시계 방향 상측을 마주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토출되는 공기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측으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토출 공기는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상측으로 토출되므로, 상측에 배치된 제2바디(2)와의 마찰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3)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토출 커버(8)를 설명한다.
제1바디(1)는 상부에 배치되는 토출 커버(8)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커버(8)는 제1바디(1)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 커버(8)는 제1바디(1)에 형성된 토출구(17)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커버(8)는 토출구(17)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토출 커버(8)는 제1바디(1)의 횡단면에 대응할 수 있다. 토출 커버(8)는 제1바디(1)의 둘레벽으로부터 홀더(19)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토출 커버(8)는 제1바디(1)의 하우징 엣지(161)와 홀더 엣지(194)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원통형이고, 토출구(17)는 상기 제1바디(1)의 상측으로 개구된 환형이고, 토출 커버(8)는 상기 토출구(17)의 상측에 배치되는 환형일 수 있다.
토출 커버(8)는 가이드 오프닝(8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가 연장되는 방향에 교차되도록 토출 커버(8)에 타발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의 두께 방향, 즉 토출 커버(8)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를 펀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를 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의 두께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원형의 홀일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사각형으로 타발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으로 타발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타발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에 다양한 형상으로 타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에 원형의 홀 형상으로 타공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복수 일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토출 커버(8)를 설명한다.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에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의 둘레 방향을 따라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의 내주단으로부터 외주단을 향하여, 상기 토출 커버(8)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면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오프닝(81)은 서로 다른 크기일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오프닝(81)은 내주단에서 외주단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오프닝(81)은 외주단에서 내주단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오프닝(81)의 크기는 제1바디(1)의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주단에 인접한 가이드 오프닝의 크기가 작으므로, 통과하는 긱류의 속도가 빨라져 가이드 벽을 통한 코안다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토출 기류 제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토출 커버(8)를 설명한다.
토출 커버(8)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 커버(8)는 하우징 엣지(161)와 홀더 엣지(194)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 커버(8)는 하우징 엣지(161)로부터 홀더 엣지(194)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 커버(8)는 홀더 엣지(194)로부터 하우징 엣지(161)로 연장될 수 있다. 홀더 엣지(194)는 하우징 엣지(161)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토출 커버(8)는 제1바디(1)의 내측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 커버(8)는 제1바디(1)의 중심부에서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토출 커버(8)의 연장 방향(E2)은 토출 커버(8)의 상면과 평행할 수 있다. 토출 커버(8)의 연장 방향(E2)의 가상의 직선은 토출 커버(8)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를 관통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제1바디(1)의 외측 상방에서 제1바디(1)의 내측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제1바디(1)의 내측 하방에서 제1바디(1)의 외측 상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제1바디(1)의 내부에서 가이드 벽(221)을 향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가이드 벽(221)을 마주할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을 통해 토출되는 기류는 가이드 벽(221)에 부딪힐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상측을 향하여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이 기울어진 방향(E1)과 토출 커버(8)의 연장 방향(E2)은 예각(θ6)을 이룰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제1바디(1)의 반경 방향보다 상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가이드 오프닝(81)은 토출 커버(8)와 수직한 방향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구와,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및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된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의 상단에서 상기 제1바디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이 구비된 토출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으로부터 상기 제1바디의 중심부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진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는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 각각은 상기 기둥과 인접하는 일단이 타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바디는 상측에 상기 제2바디의 기둥이 삽입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단은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베인 각각은 일단이 상기 홀더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홀더는 상기 제1바디의 높이 방향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홀더와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홀더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외주단의 직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반경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은 상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베인이 상하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이 상하 방향에 대해 내측으로 기울어진 각도보다 클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구와,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및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된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 상단에서 상기 제1바디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된 복수의 베인을 구비하는 토출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토출 그릴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측방으로 연장되어 하측을 마주하는 가이드 벽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 그릴과 상기 가이드 벽 사이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1바디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제1바디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제1바디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벽의 외주단은 상기 토출 그릴의 외주단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벽은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이고, 상기 복수의 베인 각각은 상기 제1바디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상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벽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베인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인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1바디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가이드 벽이 연장된 방향과 상기 제1바디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인의 길이 방향의 하단과 상기 가이드 벽의 단부를 잇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베인의 길이 방향과 둔각을 이룰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베인 각각은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승된 기류가 상기 제1바디의 둘레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바디의 둘레 방향은 상기 송풍팬의 회전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송풍팬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베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베인은 상기 제1바디의 둘레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송풍팬의 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가이드 베인이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토출 그릴에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및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된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가이드 오프닝이 뚫린 토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커버는 상기 제1바디의 내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오프닝은 상측을 향하여 상기 제1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오프닝은 상기 토출 커버가 연장된 방향과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토출구의 크기는 상기 제1바디의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구와,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토출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 유동을 형성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 방향의 상방으로 비스듬히 개구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제1바디
2: 제2바디
3: 공기청정기
17: 토출구
18: 토출 그릴
22: 로어 커버
24: 플레이트
32: 베이스
111: 루버
181: 베인
221: 가이드 벽

Claims (21)

  1. 흡입구와,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및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된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의 상단에서 상기 제1바디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이 구비된 토출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으로부터 상기 제1바디의 중심부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지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는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 각각은,
    상기 기둥과 인접하는 일단이 타단보다 높게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상측에 상기 제2바디의 기둥이 삽입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단은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베인 각각은,
    일단이 상기 홀더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의 상단에 연결되는,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바디의 높이 방향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홀더와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외주단의 직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반경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은 상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베인이 상하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이 상하 방향에 대해 내측으로 기울어진 각도보다 큰,
    공기청정기.
  7. 흡입구와,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및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된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의 둘레벽 상단에서 상기 제1바디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된 복수의 베인을 구비하는 토출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토출 그릴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측방으로 연장되어 하측을 마주하는 가이드 벽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 그릴과 상기 가이드 벽 사이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1바디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제1바디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제1바디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공기청정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의 외주단은 상기 토출 그릴의 외주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공기청정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이고,
    상기 복수의 베인 각각은 상기 제1바디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상인,
    공기청정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베인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인 공기청정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1바디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가이드 벽이 연장된 방향과 상기 제1바디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큰,
    공기청정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의 길이 방향의 하단과 상기 가이드 벽의 단부를 잇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베인의 길이 방향과 둔각을 이루는,
    공기청정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인 각각은,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승된 기류가 상기 제1바디의 둘레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기울어지는,
    공기청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둘레 방향은,
    상기 송풍팬의 회전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인,
    공기청정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송풍팬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베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베인은,
    상기 제1바디의 둘레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송풍팬의 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가이드 베인이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토출 그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7.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및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된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가이드 오프닝이 뚫린 토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커버는,
    상기 제1바디의 내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공기청정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오프닝은 상측을 향하여 상기 제1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공기청정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오프닝은 상기 토출 커버가 연장된 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공기청정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오프닝의 크기는 상기 제1바디의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는 공기청정기.
  21. 흡입구와,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토출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 유동을 형성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 방향의 상방으로 비스듬히 개구되는,
    공기청정기.
KR1020220087012A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KR20240009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012A KR20240009734A (ko)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CN202310849971.2A CN117404742A (zh) 2022-07-14 2023-07-11 空气净化器
US18/221,067 US20240017199A1 (en) 2022-07-14 2023-07-12 Air cleaner
EP23185155.1A EP4306859A1 (en) 2022-07-14 2023-07-13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012A KR20240009734A (ko)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734A true KR20240009734A (ko) 2024-01-23

Family

ID=8728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012A KR20240009734A (ko)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17199A1 (ko)
EP (1) EP4306859A1 (ko)
KR (1) KR20240009734A (ko)
CN (1) CN1174047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5657A1 (en) * 2020-12-28 2022-06-30 Kenneth Perli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Clean Air Curta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930A (ko) 2020-05-14 2021-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20007363A (ko) 2020-07-10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128A1 (ko) * 2015-10-30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KR20180065164A (ko) * 2016-12-07 2018-06-18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복합형 공기청정기
KR20210071375A (ko) * 2019-12-06 2021-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20220076876A (ko)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위니아 공기청정기
CN113623807A (zh) * 2021-08-23 2021-11-09 卡富环球有限公司 空气净化器
CN113465085B (zh) * 2021-09-06 2021-12-14 深圳市安拓浦科技有限公司 空气净化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930A (ko) 2020-05-14 2021-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20007363A (ko) 2020-07-10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404742A (zh) 2024-01-16
US20240017199A1 (en) 2024-01-18
EP4306859A1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4895B (zh) Centrifugal fans and air fluid machinery using the centrifugal fan
EP4306859A1 (en) Air cleaner
KR20180068650A (ko) 송풍장치 및 송풍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20140115192A (ko) 원심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U2007234497B2 (en) Multiblade centrifugal blower
KR100657528B1 (ko) 환기장치용 원심팬
JPWO2018003017A1 (ja) 電動送風機および電気掃除機
KR20240009735A (ko) 공기청정기
KR102476795B1 (ko) 공기조화기
KR20140034383A (ko) 공기조화기
CN114616426A (zh) 扩散器、扩散器组件和具有该扩散器的空调
CN102734221A (zh) 扩压器及安装有该扩压器的离心风扇
JP2015105575A (ja) 送風機
EP2472190A1 (en) Fan unit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fan unit
CN1788165B (zh) 排水泵及具有该排水泵的空气调节装置
JP2011226407A (ja) 多翼ファン、空気調和装置及びガイド部材
US20220008855A1 (en) Air cleaner
RU2008120327A (ru)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KR1025805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08669692U (zh) 蜗壳、风机和制冷设备
KR20240009731A (ko) 공기청정기
EP4306862A1 (en) Air cleaner
CN102734188A (zh) 防止气流回流的离心风扇
KR10247679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40009733A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