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330A - 전주도금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주도금 시뮬레이팅 방법 - Google Patents

전주도금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주도금 시뮬레이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330A
KR20240009330A KR1020230009322A KR20230009322A KR20240009330A KR 20240009330 A KR20240009330 A KR 20240009330A KR 1020230009322 A KR1020230009322 A KR 1020230009322A KR 20230009322 A KR20230009322 A KR 20230009322A KR 20240009330 A KR20240009330 A KR 20240009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plate
electrode plate
electroplating
nega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범
이준하
김인경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4000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33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10Moulds; Masks; Masterfor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치형의 구조를 가지면서 연속형 전주도금 장치를 신뢰성 있게 모사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는,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에 배치되며 모사하고자 하는 드럼형 음극판이 전해액에 침지되는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극판과, 상기 원호 형상의 음극판에 대향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음극판의 원호 형상에 대응되는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양극판과,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장치와, 상기 도금조에 채워지는 전해액과, 상기 전해액이 상기 원통형의 도금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전해액 유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주도금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주도금 시뮬레이팅 방법 {ELECTROPLATING SIMULATOR AND ELECTROPLATING SIMUL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치형의 구조를 가지면서 연속형 전주도금 장치를 신뢰성 있게 모사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한 전주도금 시뮬레이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OLDE 디스플레이의 증착 공정에 사용되는 파인메탈마스크(fine metal mask)는 인바 합금(Fe-36%Ni) 박(foil)이 주로 사용된다. 종래 파인메탈마스크에 사용되는 합금 박은 인바 합금을 주조, 압연, 열처리, 습식 에칭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해 왔다.
그런데 종래의 압연공정을 통해서는 두께 25㎛ 이하의 인바 박판 제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압연 후 습식 에칭을 통해 현재 두께 약 13㎛ 수준까지 가공하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스마트폰에 적용되고 있는 OLED 디스플레이는 QHD급(600ppi) 수준인데 차세대 UHD급(1,000ppi 이상)으로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증착 공정에서 Fe-Ni 인바 합금으로 만들어지는 FMM(Fine Metal Mask)의 구멍 벽 높이가 OLED 물질의 증착을 방해하지 않도록 FMM의 두께가 10㎛ 이하로 얇아져야 한다.
두께 10㎛ 이하의 극박의 경우 압연-에칭과 같은 탑-다운 방식으로 개재물의 존재나 생산비용의 증가 등의 이유로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바텀-업 방식인 전주도금법(Electroforming)을 이용하여 Fe-Ni 합금 박 또는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인 FMM을 직접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전주도금을 통해 Fe-Ni 합금 박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장치로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해액이 수용되는 도금조와, 도금조에 부분적으로 침지되어 회전하는 드럼형 음극과, 부분적으로 침지된 드럼형 음극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침지된 음극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양극과 상기 음극과 양극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e-Ni 합금 박과 같은 합금 도금의 경우, 전해액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균일도, 극간 간격, 전류 밀도, 기포의 생성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 음극 상에 전착되어 형성되는 합금 박의 상태가 달라지는데, 대량생산용으로 제작된 전주도금 장치를 사용하여 각종의 시험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해액(42)을 투입한 도금조(41)와, 판상으로 이루어진 음극(43)과 이 음극(43)에 소정 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배치되는 판상의 양극(44)과, 상기 음극(43)과 양극(44)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는 전원장치(45)를 구비하는 배치형 전주도금 장치를 통해, 전착 조건 및 전착된 합금 박의 상태를 연구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장치로는 실제 연속식으로 전주도금이 이루어지는 조건을 신뢰성 있게 모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79080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배치형 구조를 가지면서 드럼형 음극을 사용하는 전주도금 장치를 신뢰성 있게 모사할 수 있는 배치형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치형 전주도금 장치를 사용하여 드럼형 음극을 사용하는 전주도금 방법에 근접하게 모사할 수 있는 시뮬레이팅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원통형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에 배치되며 모사하고자 하는 드럼형 음극판이 전해액에 침지되는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극판과, 상기 원호 형상의 음극판에 대향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음극판의 원호 형상에 대응되는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양극판과,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장치와, 상기 도금조에 채워지는 전해액과, 상기 전해액이 상기 원통형의 도금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전해액 유동 수단을 구비하는,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측면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는 실제조 시에 사용되는 음극이 전해액에 침지되었을 때의 형상에 모사하여 음극판의 형상을 정하고, 이 음극판에 대응하도록 양극판을 형성한 후, 음극판과 양극판 사이에 전해액이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는 종래에 비해 실제 도금 환경에 가깝게 모사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은 상기 도금조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원통형의 도금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전해액이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를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의 간격에 따른 모사 실험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 내에 배치되는 전극 지지대와, 상기 전극 지지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전극판과, 상기 제1 전극판에 대향하여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지지대의 상부는 전해액이 공급되는 측이 전해액이 배출되는 측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금조에 배치되었을 때 전해액이 공급되는 측과 전해액이 배출되는 측을 격리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금조의 일측에서 상기 전극 지지대의 전해액이 공급되는 측으로 전해액을 공급하여 전해액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를 통해 전해액이 유동한 후 상기 전극 지지대의 전해액이 배출되는 측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는,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 측면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는 도금조 내에 전극 지지대의 일측을 타측에 비해 높게 형성하고, 양측의 위치에너지 차이를 통해 전해액이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를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도금장치를 보다 신뢰성 있게 모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판에는 양극 또는 음극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전극판은 음극 또는 양극으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판은 상기 전극 지지대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격 조절이 가능한 고정수단을 통해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의 간격에 따른 모사 실험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원통형의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에 배치되며 모사하고자 하는 드럼형 음극판이 침지되는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극판과, 상기 음극판에 대향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음극판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양극판과,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전해액이 상기 원통형의 도금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여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 사이를 통과하여 유동되도록 하면서 전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속형 전주도금 조건을 모사하는 전주도금 시뮬레이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연속형 전주도금 장치의 드럼형 전극 중 전해액에 침지된 형상을 모사한 음극판과, 이 음극판에 대응되는 형상의 양극을 사용하고, 원통형 도금조 내의 전해액을 원주 방향으로 유동시키면서 전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배치형의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회전하는 드럼형 음극판을 구비하는 연속형 전주도금장치를 신뢰성 있게 모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해액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전해액을 유동시키는 전주도금장치를 신뢰성 있게 모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를 구성하는 전극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를 구성하는 전극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전극 지지대에 양극판과 음극판을 체결한 전극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의 양극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에서 양극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드럼형 음극을 구비한 연속 전주도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배치형 전주도금 시뮬레이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내지 그 효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또 특별한 어려움 없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의 개념도이다. 이 개념도는 평면도로 작성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극판은 도 9에서 드럼형 음극이 전해액에 침지되는 부분의 형상을 그대로 모사한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양극판은 상기 음극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시뮬레이터에서 도금조를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도금조에 채워진 전해액을 원주방향(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교반(유동)시키면, 연속형 전주도금장치의 음극판의 형상 및 양극판의 형상을 실제와 동일하게 모사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음극판과 양극판 사이를 평행하게 통과하게 되어 음극판과 양극판 사이에 전해액이 층류(laminar flow)에 가깝게 유동하게 되므로, 연속형 전주도금 장치에 극히 유사한 모사가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구현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를 구성하는 전극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를 구성하는 전극 지지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전극 지지대에 양극판과 음극판을 체결한 전극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배치형 전주도금 시뮬레이터(10)는, 전해액을 수용하는 도금조(100)와, 상기 도금조(100) 내에 배치되는 전극 지지대(200)와, 상기 전극 지지대(200)의 일측에 고정되는 양극판(400)과, 상기 양극판(400)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음극판(300)과, 상기 도금조(100) 내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배출하는 전해액 주입구(510)와 전해액 배출구(520)와 교반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금조(10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도금조(100) 내에 채워지는 전해액이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금조(100)는 도금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로 성형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리 비이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지지대(200)는 하부 지지대(210)와, 하부 지지대(210)의 일측에 고정된 양극판 지지대(220)와, 양극판 지지대(220)의 상부측에 고정되는 음극판 지지대(230)와, 전극 지지대(200)를 도금조(100)에 고정하는 고정클립(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지지대(210)는 음극판(300)과 양극판(4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3개의 음극판(300)의 거리 조절용 홈(211a)이 다수개 형성된 3개의 제1 지지대(211)과 제1 지지대(211) 사이를 연결하는 1개의 제2 지지대(212)와 제1 지지대(211)와 연결되고 일단이 상측을 향해 돌출단을 형성하는 제3 지지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양극판 지지대(220)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4 지지대(221)와 제4 지지대(22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매립된 다수의 자석(222)과,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음극판 지지대(230)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극판 지지대(230)는 상기 체결홈(223)에 고정되는 제5 지지대(231)와, 제5 지지대(231)에 관통되어 제5 지지대(231)에 대해 수직하게 고정되는 제6 지지대(232)와 제6 지지대(23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음극판(300)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단부 고정부(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부 고정부(233)는 상기 제6 지지대(232)로부터 돌출한 고정구(232a)와 고정구(232a)에 체결되는 고정볼트(232b)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클립(240)은 상기 체결홈(223)이 형성된 제4 지지대(221)의 상단부의 이면에 접착제와 같은 수단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음극판(300)은 음극재로 사용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티타늄(Ti)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음극판(300)의 형상은 모사하고자 하는 연속형 전주도금장치에 있어서 전해액에 부분적으로 침지되는 부분의 음극의 형상과 면적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400)은 양극재로 사용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불용성 양극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양극판(400)의 형상도 모사하고자 하는 연속형 전주도금장치에 있어서 전해액에 침지되어 있는 양극의 형상과 면적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전착이 이루어진다.
먼저, 전극 지지대(200)에 음극판(300)과 양극판(400)을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한 후 고정한다. 이때, 제1 지지대(211)에 형성된 거리 조절용 홈(211a)을 사용하여 음극판(300)과 양극판(400) 사이의 거리를 모사하고자 하는 극간 간격에 맞추어 조절한다.
음극판(300)과 양극판(400)에 체결된 전극 지지대(200)를 도금조(100) 내에 배치하고 고정클립(240)을 사용하여 도금조(100)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다음으로, 전해액 주입구(510)를 통해 도금조(100)에 전해액을 주입한다. 전해액이 음극판(300)과 양극판(400)을 모두 침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주입된 후에는 전해액을 교반수단(600)을 사용하여 전해액이 원통형의 도금조(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유동하도록 교반한다.
이어서, 상기 음극판(300)과 양극판(400)에 연결된 전원장치(미도시)를 사용하여 음극판(300)과 양극판(400)에 전류를 인가하여,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 이온이 음극판(300)에 전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착되어 생성된 금속 박의 물성 등을 평가하여 전해조건(전해액의 성분, 농도, 극간 간격, 전류 밀도 등의 조건)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배치형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연속형 전주도금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전주도금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의 양극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에서 양극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2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는 일측에서 전해액이 양극과 음극 사이에 주입되어 흐르는 과정에 전착이 이루어지는 형태의 전주도금 장치를 모사하기 위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10')는, 전해액을 수용하는 도금조(100')와, 상기 도금조(100') 내에 배치되는 음극 지지대(200')와, 상기 음극 지지대(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음극판(300')과, 상기 음극판(300')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양극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금조(100')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극 지지대(200')을 사이에 두고 도금조(100')의 하부에는 도금액을 주입하는 주입구(11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도금액을 배출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극 지지대(200')는 일측이 타측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금조(100')에 배치되었을 때 주입되는 전해액과 배출되는 전해액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전해액 주입구(110')과 전해액 배출구(120')을 격리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극판(300')은 음극 지지대(200')의 상면에 판상으로 형성된다. 음극 지지대(200')의 소재는 전주도금의 음극으로 사용되는 소재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400')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전주도금의 양극으로 사용되는 소재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400')은 상기 음극판(300')으로부터 설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간격 조절수단(500')에 의해 상기 음극 지지대(200') 또는 음극판(300')에 고정된다. 상기 간격 조절수단(500')은 코일 스프링(510')과 코일 스프링(510')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정 나사(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양극판(400')의 일측에는 도금조(100')의 일측에 부착된 힌지부(600')가 형성되어 있어, 양극판(300')을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전착이 이루어진다.
먼저, 간격 조절수단(500')의 고정 나사(520')를 고정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양극판(400')과 음극판(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다음으로, 전해액 주입구(510')를 통해 도금조(100')의 일측에 전해액을 주입한다. 주입된 전해액은 음극 지지대(200')의 일측을 따라 상승한 후, 음극 지지대(200')의 상면에 다다르면 자중에 의해 음극판(300')과 양극판(400')의 사이로 흐른다. 이어서, 상기 음극판(300')과 양극판(400')에 연결된 전원장치(미도시)를 사용하여 음극판(300')과 양극판(400')에 전류를 인가하여,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 이온이 음극판(300')에 전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착되어 생성된 금속 박의 물성 등을 평가하여 전해조건(전해액의 성분, 농도, 극간 간격, 전류 밀도 등의 조건)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해액이 흐르는 형태의 연속형 전주도금장치를 신뢰성 높게 모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100: 도금조
200: 전극 지지대
300: 음극판
400: 양극판
510: 전해액 주입구
520: 전해액 배출구
600: 교반수단

Claims (6)

  1. 원통형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에 배치되며 모사하고자 하는 드럼형 음극판이 전해액에 침지되는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극판과,
    상기 원호 형상의 음극판에 대향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음극판의 원호 형상에 대응되는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양극판과,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장치와,
    상기 도금조에 채워지는 전해액과,
    상기 전해액이 상기 원통형의 도금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전해액 유동 수단을 구비하는, 전주도금 시뮬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은 상기 도금조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원통형의 도금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전해액이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를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전주도금 시뮬레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주도금 시뮬레이터.
  4.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 내에 배치되는 전극 지지대와,
    상기 전극 지지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전극판과,
    상기 제1 전극판에 대향하여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지지대의 상부는 전해액이 공급되는 측이 전해액이 배출되는 측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금조에 배치되었을 때 전해액이 공급되는 측과 전해액이 배출되는 측을 격리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금조의 일측에서 상기 전극 지지대의 전해액이 공급되는 측으로 전해액을 공급하여 전해액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를 통해 전해액이 유동한 후 상기 전극 지지대의 전해액이 배출되는 측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는, 전주도금 시뮬레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판은 상기 전극 지지대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인, 전주도금 시뮬레이터.
  6. 원통형의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에 배치되며 모사하고자 하는 드럼형 음극판이 전해액에 침지되는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극판과, 상기 음극판에 대향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음극판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양극판과,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전해액이 상기 원통형의 도금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여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 사이를 통과하여 유동되도록 하면서 전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속형 전주도금 조건을 모사하는 전주도금 시뮬레이팅 방법.
KR1020230009322A 2022-07-13 2023-01-25 전주도금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주도금 시뮬레이팅 방법 KR202400093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253 2022-07-13
KR20220086253 2022-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330A true KR20240009330A (ko) 2024-01-22

Family

ID=8971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322A KR20240009330A (ko) 2022-07-13 2023-01-25 전주도금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주도금 시뮬레이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3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080B1 (ko) 2016-12-21 2018-07-16 주식회사 포스코 철-니켈 합금 포일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080B1 (ko) 2016-12-21 2018-07-16 주식회사 포스코 철-니켈 합금 포일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1227A (ko) 도금용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 장치
KR20180057495A (ko) 프레임 일체형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Huang et al. Mass transfer and electrolyte flow during electrodeposition on a conically shaped electrode under the influence of a magnetic field
Josell et al. Superconformal bottom-up nickel deposition in high aspect ratio through silicon vias
JP6408936B2 (ja) めっき装置
JP2010095762A (ja) 電気めっき方法
KR20240009330A (ko) 전주도금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주도금 시뮬레이팅 방법
JP4579306B2 (ja) 円形めっき槽
KR100645630B1 (ko) 주기적 방향성을 갖는 자기장을 이용한 인쇄회로기판의전해 도금방법
KR102010001B1 (ko) Oled 화소 형성 마스크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주도금 모판
US68029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ting uniformity
JP2015518520A (ja) 試料を流体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機器
CN102373497A (zh) 电镀装置及电镀方法
Morimoto et al. Long-Term Electrodeposition under a Uniform Parallel Magnetic Field. 1. Instability of Two-Dimensional Nucleation in an Electric Double Layer
Zhao et al. Fabrication of metal microfluidic chip mold with coplanar auxiliary cathode in the electroforming process
KR100806032B1 (ko) 전해도금장치
JP2007270313A (ja) 電気めっき装置
CN217007103U (zh) 一种对称四电极体系边界限制型电解池装置
CN108893771B (zh) 一种正多边形柱体阳极及电沉积制备大面积金属微结构的方法
Wu et al. Diffusion boundary layer studies in an industrial wafer plating cell
CN114045539B (zh) Pcb电镀方法
CN102392292B (zh) 一种封装基板的电镀方法
TW200839038A (en) Device and method with improved plating film thickness uniformity
JP3637214B2 (ja) ウエハのメッキ方法
Gu et al. The shape evolution and application studies of electrodeposited bumps in electrofor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