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278A -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278A
KR20240009278A KR1020220086555A KR20220086555A KR20240009278A KR 20240009278 A KR20240009278 A KR 20240009278A KR 1020220086555 A KR1020220086555 A KR 1020220086555A KR 20220086555 A KR20220086555 A KR 20220086555A KR 20240009278 A KR20240009278 A KR 20240009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ryer
heater
blowing module
controlling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황묵
고동건
김진백
서응렬
이호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6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278A/ko
Priority to PCT/KR2023/006770 priority patent/WO2024014685A1/ko
Publication of KR2024000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2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81Input from 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45Control of fans, e.g. on-off control
    • F24H15/35Control of the speed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55Control of heat-generating means i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95Information to users, e.g.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한 복수의 노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 상기 복수의 노즐 중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된 노즐의 종류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 모듈; 상기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 및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노즐의 종류에 따라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 방법{HAIR DRY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개시된 실시예는 모발을 건조시키는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헤어 드라이어는 사용자의 젖은 모발을 건조시키는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드라이어는 송풍 팬이 작동되면, 흡기구를 통하여 적정량의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시킨다. 이 때, 헤어 드라이어에 마련된 히터가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가열할 수 있는바, 히터의 온/오프에 따라 온풍이 토출되거나 냉풍이 토출될 수 있다.
최근에는 단순 건조 뿐만 아니라 원하는 스타일링을 가능하게 하는 헤어 드라이어에 대한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헤어 스타일링을 위해 공기가 토출되는 방식을 변경할 수 있고, 공기가 토출되는 방식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토출 방식에 맞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을 헤어 드라이어에 장착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 노즐의 종류에 따라 헤어 드라이어의 온도와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 또는 분리 복수의 노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 상기 복수의 노즐 중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된 노즐의 종류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 모듈; 상기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 및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노즐의 종류에 따라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 시간에 따라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모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알림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헤어 드라이어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이력을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적어도 하나의 선호 온도 또는 선호 풍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적어도 하나의 노즐의 종류, 선호 온도 또는 선호 풍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상기 복수의 노즐의 종류 별로 풍량 또는 온도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노즐에 매칭된 풍량 또는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상기 본체에 장착 가능한 노즐의 추가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 이후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모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알림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은, 본체에 장착되는 노즐의 종류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노즐의 종류에 따라 송풍 모듈 또는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사용 시간에 따라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모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알림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사용 이력을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은, 외부 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호 온도 또는 선호 풍량을 입력 받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것은, 노즐의 종류를 입력 받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은, 메모리에 상기 복수의 노즐의 종류 별로 풍량 또는 온도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노즐에 매칭된 풍량 또는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에 상기 복수의 노즐의 종류 별로 풍량 또는 온도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은, 상기 본체에 장착 가능한 노즐의 추가에 따라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시간이 경과하면 모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알림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헤어 드라이어 노즐의 종류에 기초하여 헤어 드라이어의 온도와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본체와 본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즐의 외관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사용이력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통신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은 모바일 기기에 표시되는 헤어 드라이어 사용 이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내지 도 13는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헤어 드라이어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발 손상 가능성에 따라 알림을 출력하는 것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 이력에 관한 것을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요소 앞에 사용되는 "제1~", "제2~"와 같은 서수는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 이들 구성요소들 사이의 연결 순서, 사용 순서, 우선 순위 등의 다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요소들의 리스트를 언급할 때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의 표현은, 요소들의 조합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오직 a, 오직 b, 오직 c, a 와 b 둘, a와 c 둘, b와 c 둘, 또는 a, b, c 모두의 조합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일 측면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본체와 본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즐의 외관도이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구성 요소들을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0), 본체(100) 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 모듈(310),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320) 및 토출되는 공기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노즐(4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공기 흡입구(110)와 공기 토출구(120) 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흡입구(110)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으로, 통기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먼지 및 머리카락 등의 외부의 이물질이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11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토출구(120)는 공기 흡입구(110)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토출구(120)에서 나오는 공기를 이용하여 모발을 건조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130)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 장치(130)는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누르거나,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는 방식으로 명령을 입력하게 할 수도 있고, 터치 패드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명령을 입력하게 할 수 도 있다. 다만, 개시된 실시예가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면 그 방식이나 형태 등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송풍 모듈(310)은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구(11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 토출구(120)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팬(311)과 송풍팬(311)을 회전시키는 송풍 팬 모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 팬 모터(312)에 의하여 공기가 헤어 드라이어(1) 내부로 유입될 때, 흡입구(110)에 형성된 필터(111)를 통과하여 들어올 수 있다. 이때, 머리카락 등의 외부의 이물질은 필터(111)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히터(320)는 송풍 팬 모터(312)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0) 측에 마련될 수 있다. 히터(320)가 동작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면, 고온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헤어 드라이어(1)에서 온풍이 출력될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1)에서 온풍이 출력되는 경우, 모발에 대한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헤어 드라이어(1)에서 가열되지 않은 공기, 즉 냉풍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발의 손상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발의 젖은 정도와 모발의 손상도 등의 인자들을 고려하여 히터(32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입력 장치(130)는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입력 장치(130)는 온풍 및 냉풍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도 있고, 더 세분화된 공기의 온도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도 있다.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은 공기 토출구(120)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사용자의 모발에 닿기 전, 공기 흐름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본체(100)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은 공기 토출구(12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형상에 따라 이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달라질 수 있고,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모발의 건조 정도 또는 모발의 스타일링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은 그 종류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1)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에 맞는 적절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을 헤어 드라이어(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은 그 종류에 따라 송풍되는 공기를 넓게 분사하는 형태로 마련되어 토출구(12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분산시켜 머리카락의 부스스함을 감소시킬 수 있고, 송풍되는 공기를 집중 시켜 섬세하게 모발의 모양을 스타일링 할 수도 있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앞서 설명한 입력 장치(130), 송풍 모듈(310) 및 히터(320)를 포함하고, 여기에 더하여 센서부(140) 및 컨트롤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헤어 드라이어는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젖은 모발을 건조시키는 장치이기 때문에, 헤어 드라이어(1)를 이용한 모발의 건조 과정에서 모발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또는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최적의 값으로 제어함으로써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헤어 드라이어(1)에 장착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에 따라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링이 가능해지는 최적의 풍량 또는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또는 온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40)는 본체(100)에 장착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40)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과의 물리적인 접촉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에 마련된 저항에 따라 분배 전압이 달라지는 회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에 마련된 마그넷에 따라 출력이 달라지는 홀(Hall) 센서 및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에 마련된 NFC 태그를 리딩하는 NFC 리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40)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마다 접촉되는 스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복수의 스위치 중 온(on) 신호를 출력되는 스위치, 즉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과 접촉된 스위치가 무엇인지에 기초하여 현재 본체(100)에 장착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140)는 저항값에 따라 분배 전압이 달라지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마다 다른 저항값을 갖는 저항이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회로의 분배 전압에 기초하여 현재 본체(100)에 장착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140)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마다 다른 가우스 값을 갖는 마그넷이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홀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현재 본체(100)에 장착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140)는 NFC 리더를 포함할 수 있고, 헤어 드라이어 노즐의 종류마다 다른 NFC 태그가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NFC 리더의 출력에 기초하여 현재 본체(100)에 장착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개시된 실시예가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헤어 드라이어의 노즐의 종류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이면 그 방식이나 형태 등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RFID, 광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방식 등도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헤어 드라이어(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외부 기기(2) 및 입력 장치(130) 등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또는 센서부(140)에서 획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헤어 드라이어(1)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10)와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20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어 드라이어(1)의 전원이 온(on)되면, 컨트롤러(200)는 센서부(140)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송풍 모듈(310) 또는 히터(3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40)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에 대응되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컨트롤러(200)가 센서부(140)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를 판단하는 과정이 메모리(21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명시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컨트롤러(200)가 센서부(140)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동작은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를 판단하고,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에 따라 해당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을 암시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0)는 헤어 드라이어(1)의 작동 중에도 센서부(140)를 통해 획득된 헤어 드라이어 노즐의 종류에 관한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변경되는 경우에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에 따라 송풍 모듈(310) 및 히터(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00)는 헤어 드라이어(1)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송풍 모듈(310) 및 히터(3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 별 풍량 또는 온도의 최적 값은은 실험, 통계,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획득될 수도 있다.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 별 풍량 또는 온도의 최적 값에 관한 데이터는 메모리(2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을 반영하여 업데이트될 수도 있고,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추가를 반영하여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다른 블록도이다.
컨트롤러(200)가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최적 값으로 풍량 또는 온도를 제어한 경우라도, 건조 시간이 길어지면 모발의 손상이 야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스피커(3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러(200)는 송풍 모듈(310)과 히터(320)를 이용한 건조 시작 후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스피커(3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청각적인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의 출력을 위해 설정된 시간은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스피커(330)를 통해 출력되는 알림은 비프음이나 멜로디를 포함할 수도 있고, 모발의 손상이 염려된다는 취지의 음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0)가 본체(100)에 장착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에 따라 송풍 모듈(310) 또는 히터(320)를 자동으로 제어한 경우라도, 사용자는 입력 장치(130)를 통해 풍량 또는 온도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00)는 입력 장치(130)가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송풍 모듈(310) 또는 히터(320)에 대한 제어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송풍 모듈(310) 및 히터(320)를 제어하는 경우에, 헤어 드라이어(1)의 사용 시간, 풍량 및 온도 등 따라 사용자의 모발이 손상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의 모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발 손상 방지를 위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모발 손상 가능성은 헤어 드라이어 노즐에 따라 다르게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어 드라이어 노즐 A와 B를 동일하게80°C로 6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잔머리를 정리하기 위해 헤어 드라이어를 모발에 밀착시켜 사용하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 A는 모발 손상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될 수 있으나, 머리의 부스스함을 줄이기 위해 넓은 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 B는 모발 손상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200)는 본체(100)에 장착되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를 고려하여 모발 손상 방지를 위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알림의 출력되는 시점은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 변경된 풍량 또는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및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에 기초하여 모발 손상 가능성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모발의 손상 가능성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발 손상 가능성은 사용자의 모발의 굵기나 모발의 영양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모발의 굵기나 모발의 영양 상태 모발 손상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사용이력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송풍 모듈(310) 및/또는 히터(320)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메모리(210)에 저장되는 사용 이력은 예시적으로, 헤어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 풍량, 온도 및 사용 시간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 노즐 A로 풍량을 강풍으로 80°C의 온도로 5분 사용했다면 도 5의 211과 같이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사용 이력에 저장되는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헤어 드라이어 사용 일자도 저장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송풍 모듈(310) 및/또는 히터(3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0)는 가장 많이 사용한 설정 값에 기초하여 송풍 모듈(310) 및/또는 히터(3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사용한 이력에 기초하여 송풍 모듈(310) 및/또는 히터(320)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헤어 드라이어 노즐 A의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한 설정 이 풍향을 강풍으로 80°C의 온도로 5분간 동작하는 것 인바, 컨트롤러(200)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 A 장착시에 풍향을 강풍으로 80°C의 온도로 5분 동안 송풍 모듈(310) 및 히터(320)를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마지막으로 사용한 이력에 기초하여 송풍 모듈(310) 및/또는 히터(320) 제어하는 경우, 헤어 드라이어 노즐 A 장착시에 마지막으로 사용한 설정인 풍향을 약풍으로 100°C의 온도로 3분 동안 송풍 모듈(310) 및 히터(320)를 제어 할 수 있다.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헤어 드라이어(1)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헤어 드라이어(1)의 조작상 불편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다른 블록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와 외부 기기 사이의 통신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앞서 설명한 입력 장치(130), 송풍 모듈(310), 히터(320), 센서부(140) 및 컨트롤러(200)를 포함하고, 여기에 더하여 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해 마련되는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와이파이(WiFi??, IEEE 802.11 기술 표준)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하거나, CDMA, WCDMA, GSM, LTE(Long Term Evolution), 5G, 와이브로 등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50)가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Bluetooth), NFC, RFID, 지그비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와 직접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를 통해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50)는 서버(3) 또는 모바일 기기(2)로부터 헤어 드라이어 사용 가이드, 헤어 드라이어 노즐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서버(3) 또는 모바일 기기(2)로 헤어 드라이어(1)의 사용 이력 등을 송신할 수 있다.
외부 기기에 표시되는 사용 이력은 사용자 사용시에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 헤어 드라이어 풍량, 헤어 드라이어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 는 모바일 기기에 표시되는 헤어 드라이어 사용 이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모바일 기기(2)는 통신부(150)로부터 헤어 드라이어 사용 이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헤어 드라이어 사용 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2)는 통신부(150)로부터 사용 이력을 수신하여 헤어 드라이어 사용 일자, 사용 일자에 따른 풍향, 온도 및 사용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 이력을 확인하여 헤어 드라이어 사용 설정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2)를 통하여 사용 이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헤어 드라이어를 제어 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5월 7일자에 사용 이력을 선택하는 경우, 컨트롤러(200)는 헤어 드라이어(1)를 강풍으로 80°C의 온도로 5분간 제어 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헤어 드라이어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컨트롤러(200)는 모바일 기기(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적어도 하나의 선호 온도 또는 선호 풍량에 기초하여, 송풍 모듈(310) 또는 히터(3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2)는 사용자의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 풍량 또는 온도의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은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 풍량 또는 온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 시간도 선택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2)는 사용자의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를 선택을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시각적 표시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와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별 용도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어 드라이어 노즐 A는 머리에 밀착 사용하여 잔머리 정리 및 생머리 연출을 할 수 있습니다."와 같이 모바일 기기(2)는 사용자에게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2)는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모발의 상태를 입력 받은 후에 그 입력에 따라 적합한 노즐 추천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2)는 사용자로부터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에 관한 입력을 받은 경우에, 헤어 드라이어 온도 선택을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 할 수 있다. 이때, 시각적 표시는 사용자가 선택한 헤어 드라이어 노즐에 대응되는 최적 온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 온도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어 드라이어 노즐 A의 최적 온도가 80 °C라는 것이 제조 과정에서 실험을 통해 얻게 된 경우, 모바일 기기(2)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 A는 80 °C인 경우 최적의 동작이 가능합니다."와 같이 사용자에게 헤어 드라이어 온도를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발 손상 가능성 또는 화상 위험 등이 있는 온도로 헤어 드라이어 온도를 선택하는 경우에, 모바일 기기(2)는 모발 손상 가능성 또는 화상 위험 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림을 통해 알릴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2)는 사용자로부터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에 관한 입력을 받은 경우에, 헤어 드라이어 풍량 선택을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 할 수 있다. 이때, 시각적 표시는 사용자가 선택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에 대응되는 최적 풍량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 풍량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어 드라이어 노즐 A의 최적 풍량이 강풍이라는 것이 제조 과정에서 실험을 통해 얻게 된 경우, 모바일 기기(2)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 A는 풍량이 강풍인 경우 최적의 동작이 가능합니다."와 같이 사용자에게 헤어 드라이어 풍량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발 손상 가능성 등이 있는 풍량으로 헤어 드라이어 풍량을 선택하는 경우에, 모바일 기기(2)는 모발 손상 가능성 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림을 통해 알릴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2)는 사용자로부터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에 관한 입력을 받은 경우에, 헤어 드라이어 시간 선택을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 할 수 있다. 이때, 시각적 표시는 사용자가 선택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에 대응되는 최적 시간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 시간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어 드라이어 노즐 A의 최적 시간이 5분이고 그 후 모발 손상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 제조 과정에서 실험을 통해 얻게 된 경우, 모바일 기기(2)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 A는 사용 시간이 5분이 지나는 경우 모발 손상 가능성이 있습니다."와 같이 사용자에게 헤어 드라이어 사용 시간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는 헤어 드라이어(1) 설정에 관한 가이드를 제안 및 사용자의 입력을 받음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드라이어(1)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2)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이 추가되거나 헤어 드라이어 사용 가이드 등이 업데이트된 경우 이를 통신부(150)에 송신하여 헤어 드라이어 소프트웨어 등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하, 컨트롤러(200)가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송풍 모듈(310) 및 히터(320)를 제어하는 과정을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과 함께 순서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고,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발 손상 가능성에 따라 알림을 출력하는 것에 관한 순서도이고,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 이력에 관한 것을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헤어 드라이어(1)에 관한 내용은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고, 후술하는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에 관한 내용 역시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의 순서도는 모두 헤어 드라이어(1)의 전원이 온(On)된 상태를 가정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 본체(100)에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을 장착하면 센서부(140)는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S1000), 컨트롤러(200)는 센서부(140)에서 획득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에 대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노즐의 종류를 판단하고 (S1100), 판단된 헤어 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에 따라 송풍 모듈(310) 또는 히터(320)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 한다 (S1200).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0)는 헤어 드라이어 제작 과정에서 실험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헤어 드라이어 노즐별 최적의 온도와 풍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의 헤어 드라이어(1)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송풍 모듈(310) 및 히터(3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헤어 드라이어(1)는 입력 장치(13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S1300).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한 헤어 드라이어의 사용 시간, 풍량 및/또는 온도에 따라 사용자의 모발이 손상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2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모발 손상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S1400). 모발 손상 가능성은 실험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의 헤어 드라이어 설정 온도, 헤어 드라이어 설정 풍량 및/또는 헤어 드라이어 사용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모발이 손상 가능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모발 손상 위험 알림을 할 수 있다 (S1500).
모발 손상 가능 알림은 손상 위험이 있는 경우, 헤어 드라이어에 설치 될 수 있는 진동 센서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모발 손상 가능 알림을 통지할 수 있다. 다만, 개시된 실시예가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모발 손상 가능 알림을 할 수 있는 장치이면 그 방식이나 형태 등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한 헤어 드라이어의 사용 시간, 풍량 및/또는 온도에 따라 판단되어 알림으로 출력될 수 있는 것은 모발 손상 가능성에 한정되지 않고, 두피 화상 위험 등과 같이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위험이 될 수 있는 요소를 판단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력 장치(130)를 이용하여 헤어 드라이어의 풍량 및 온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2)를 통하여 헤어 드라이어의 풍량 및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S3300).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송풍 모듈(310) 및/또는 히터(320)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S1610). 메모리(210)에 저장되는 사용 이력은 예시적으로, 헤어드라이어 노즐(400)의 종류, 풍량, 온도 및 사용 시간이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사용 이력에 저장되는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헤어 드라이어(1) 사용 일자도 저장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송풍 모듈(310) 및/또는 히터(3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0)는 가장 많이 사용한 설정 값에 기초하여 송풍 모듈(310) 및/또는 히터(3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사용한 이력에 기초하여 송풍 모듈(310) 및/또는 히터(320)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헤어 드라이어 사용 이력을 모바일 기기(2)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 이력을 통하여 헤어 드라이어 사용 설정에 따른 모발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헤어 드라이어 설정을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이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헤어 드라이어를 제어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기록 매체에는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가 저장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기록매체는 비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이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헤어 드라이어: 1
모바일 기기: 2
공기 흡입구: 110
공기 토출구: 120
입력 장치: 130
센서부: 140
통신부: 150
컨트롤러: 200
메모리: 210
프로세서: 220
송풍 모듈: 310
히터: 320
스피커: 330
노즐: 400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한 복수의 노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
    상기 복수의 노즐 중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된 노즐의 종류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 모듈;
    상기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 및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노즐의 종류에 따라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 시간에 따라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헤어 드라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모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알림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헤어 드라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헤어 드라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이력을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헤어 드라이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적어도 하나의 선호 온도 또는 선호 풍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헤어 드라이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적어도 하나의 노즐의 종류, 선호 온도 또는 선호 풍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헤어 드라이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의 종류 별로 풍량 또는 온도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노즐에 매칭된 풍량 또는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헤어 드라이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상기 본체에 장착 가능한 노즐의 추가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헤어 드라이어.
  10. 제 1 항에 있어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 이후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모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알림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헤어 드라이어.
  11.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한 복수의 노즐;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 모듈; 및 상기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 중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된 노즐의 종류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노즐의 종류에 따라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사용 시간에 따라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모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알림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입력을 사용 이력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이력을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외부 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호 온도 또는 선호 풍량을 입력 받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외부 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것은,
    노즐의 종류를 입력 받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메모리에 상기 복수의 노즐의 종류 별로 풍량 또는 온도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노즐에 매칭된 풍량 또는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상기 복수의 노즐의 종류 별로 풍량 또는 온도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은,
    상기 본체에 장착 가능한 노즐의 추가에 따라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송풍 모듈 또는 상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 이후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모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알림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제어 방법.
KR1020220086555A 2022-07-13 2022-07-13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9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555A KR20240009278A (ko) 2022-07-13 2022-07-13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3/006770 WO2024014685A1 (ko) 2022-07-13 2023-05-18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555A KR20240009278A (ko) 2022-07-13 2022-07-13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278A true KR20240009278A (ko) 2024-01-22

Family

ID=8953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555A KR20240009278A (ko) 2022-07-13 2022-07-13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9278A (ko)
WO (1) WO2024014685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5630B2 (en) * 2016-07-29 2019-09-10 Spur Concep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heat in a battery powered blow dryer
WO2019067716A1 (en) * 2017-09-29 2019-04-04 L'oreal SYSTEM COMPRISING A BRUSH, A HAIR DRYER AND A CLIENT DEVICE TO HELP USERS PERFORM THE BEST DRYING AND STYLING PERFORMANCE
JP2019126412A (ja) * 2018-01-22 2019-08-01 シャープ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の吹き出しノズルおよびヘアドライヤ
KR102214270B1 (ko) * 2019-04-05 2021-02-10 주식회사 터보이온코리아 음성 제어가 가능한 헤어 스타일링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4685A1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9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nhanced hair dryer
KR102657350B1 (ko) 드라이어
US9241556B2 (en) Hair dryer capable of adjusting volume of unheated air discharged at same time as hot air
CN103712311A (zh) 空调及其控制方法
EP3626105B1 (en) Dryer
US20130133218A1 (en) Hair dryer
JP2019025143A (ja) ヘアドライヤー
KR20240009278A (ko)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 방법
CN112766029A (zh) 具有可定制用户配置文件的器具
JP6473937B2 (ja) 扇風機制御システムおよび扇風機制御プログラム
JP2017196395A (ja) ヘアドライヤ
KR102214270B1 (ko) 음성 제어가 가능한 헤어 스타일링 기기
JP2012220061A (ja) 浴室換気暖房乾燥装置
CN107307561B (zh) 吹风机
KR20230109604A (ko) 핸즈프리 타입의 헤어드라이기
KR200410404Y1 (ko) 듀얼타입 헤어드라이기
JP7226846B2 (ja) 乾燥装置
KR102662081B1 (ko) 전기차의 프렁크를 활용한 건조방법
JP2021019834A (ja) ドライヤ
JP6297475B2 (ja) 送風装置
KR20210073261A (ko) 골프화를 위한 휴대용 스마트 케이스
KR20210059931A (ko) 헤어드라이어
WO2019041275A1 (zh) 一种卷发器
KR20210136769A (ko) 온풍기 겸용 헤어드라이어
JP2021068605A (ja) 誘導加熱調理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