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047A - Full or empty indicating parking system - Google Patents

Full or empty indicating park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047A
KR20240009047A KR1020220086061A KR20220086061A KR20240009047A KR 20240009047 A KR20240009047 A KR 20240009047A KR 1020220086061 A KR1020220086061 A KR 1020220086061A KR 20220086061 A KR20220086061 A KR 20220086061A KR 20240009047 A KR20240009047 A KR 20240009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full
detector
detection uni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0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광식
Original Assignee
오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식 filed Critical 오광식
Priority to KR1020220086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047A/en
Publication of KR20240009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0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마주하는 주차 면을 메인 검출기로 주차 여부를 확인하게 하고, 이 메인 검출기와 근거리 통신하는 보조 검출기를 확장하여 검출유닛을 구성함으로써, 주차 여부를 감시하는 구역이 만차 상태/공차 상태인지를 쉽게 알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각 주차 면에 주차 상태를 검출하는 감지 센서를 하나 또는 두 개씩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주차 면의 배치에 맞춰 적절하게 감지 센서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검출유닛을 레이스웨이에 장착하므로, 전력 공급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메인 검출기와 보조 검출기의 장착 위치를 쉽고 편리하게 조작하여 각 감지 센서가 주차 면의 정면에서 검출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여 더욱 정확하게 주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By checking parking on the facing parking surface with the main detector and constructing a detection unit by expanding the auxiliary detector that communicates closely with the main detector, it is easy to check whether the area where parking is monitored is full or empty. It has a simple structure, so it can be manufactured inexpensively and used conveniently. In particular, by configuring one or two detection sensors to detect the parking state on each parking surface,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use the detection sensors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arking surface. In addition, since the detection unit is mounted on the raceway, power supply can be easily achieved, and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main detector and auxiliary detector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manipulated so that each detection sensor performs detection in front of the parking surface, enabling more accurate parking. You can check whether or not.

Description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FULL OR EMPTY INDICATING PARKING SYSTEM}Parking information system that displays full and empty spaces {FULL OR EMPTY INDICATING PARKING SYSTEM}

본 발명은 주차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만차와 주차를 표시하고 서로 마주하는 주차 면의 주차 상태를 검출하는 메인 검출기와 서로 마주하는 주차 면의 주차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검출기를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여러 주차 면에 대해 하나의 유닛으로 만차 상태와 공차 상태를 표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주차 면에 주차된 자동차는 그 정면에서 감지 센서를 통해 검출하고 메인 검출기와 보조 검출기 사이에 근거리 통신하게 구성함으로써, 검출 오류를 줄여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으로 시스템을 쉽게 확장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guidanc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main detector that displays full parking and parking and detects the parking status of park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at least one auxiliary detector that detects the parking status of park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By configuring it as one unit,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full status and empty space status with one unit for multiple parking surfaces. At this time, car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are detected through a detection sensor in front of them, and by configur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detector and the auxiliary detector, not only can detection errors be reduced and accurately detected, but the system can be easily expand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It was made possible.

일반적으로 대형 주차장에는 자동차가 주차되는 주차 면이 비었는지 아닌지 쉽게 알 수 있도록 주차 안내 장치가 시공된다. 이때, 주차 안내 장치는 주차장의 각 층마다 만차 상태인지 아닌지 그리고 만차가 아닌 주차층에서는 어느 구역이 만차가 아닌지를 쉽게 알 수 있게 하여 주차하려고 하는 자동차 운전자가 쉽게 만차가 아닌 주차 면을 찾아서 주차하게 안내한다. 이러한 주차 안내 장치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주차 안내를 하게 하고 있다.In general, parking guidance devices are installed in large parking lots so that people can easily tell whether the parking surface where cars are parked is empty or not. At this time, the parking guidance device makes it easy to know whether each floor of the parking lot is full or not and which areas are not full on a parking floor that is not full, so that drivers who want to park can easily find a parking surface that is not full and park there. Guide. These parking guidance devices provide parking guidance in various ways, as shown in (Patent Document 1) to (Patent Document 3) below.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672257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672257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진입차량감지부, 주차장의 주차구획부 상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가능 여부를 감지하는 주차감지부, 주차장의 이동로 상에 복수 개가 이격 설치되며,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이동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이동차량감지부, 주차장의 이동로 상에 이동차량감지부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이격 설치되며, 주차장 바닥 상부로 홀로그램 영상을 표출하는 방향안내 레이저광원모듈, 주차장의 주차구획부 상방에 각각 설치되며, 주차장의 주차구획부 바닥 상부로 홀로그램 영상을 표출하는 주차표시 레이저광원모듈, 진입차량감지부, 주차감지부, 이동차량감지부, 방향안내 레이저광원모듈, 주차표시 레이저광원모듈과 연결되며, 주차감지부와 진입차량감지부 및 이동차량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주차표시 레이저광원모듈 및 방향안내 레이저광원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주차안내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차 안내장치를 제공한다.An entry vehicle detection unit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and detects vehicles entering the parking lot, a parking detec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parking section of the parking lot and detects whether a vehicle can park, and a plurality of devices are install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arking lot. It is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 moving vehicle detection unit detects vehicles entering and moving into the parking lot. A plurality of units are installed at a distance to correspond to the moving vehicle detection unit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arking lot, and a direction guidance laser displays a holographic image on the upper part of the parking lot floor. Light source module, each installed above the parking compartment in the parking lot, parking sign laser light source module that displays a hologram image on the upper part of the floor of the parking lot, entering vehicle detection unit, parking detection unit, moving vehicle detection unit, direction guidance laser The parking guidanc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module and the parking indication laser light source module, and receives signals from the parking detection unit, entering vehicle detection unit, and moving vehicle detection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indication laser light source module and the direction guidance laser light source module. Provides a parking guidance device including: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754966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1754966

지하 및 지상에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주차 공간이 구성된 주차 타워에 설치되는 자동 주차 안내장치에서,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진입 구동패널과, 상기 진입 구동패널에 위치하며, 차량을 회전시키는 회전패널과, 상기 회전패널에 구성되어 차량의 입고가 이루어지도록 이송하는 이송레일 및 상기 회전패널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회전 작동축과, 상기 회전 작동축을 제어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 입출고부; 상기 차량 입출고부의 일측에 구성되며, 상기 회전패널로부터 이송된 차량을 주차 공간측으로 이송하는 위치 설정부; 상기 차량의 입출고를 위해 상기 승강기, 또는 주차 가이드부 측으로 인도하는 차량 인도부와, 상기 차량 인도부측으로 상기 차량을 인도받아 입고시키거나, 출차되는 차량을 상기 차량 인도부측으로 인도하는 주차 가이드부와, 상기 주차 가이드에서 이송된 차량의 주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차 파레트부를 포함하는 차량 주차부; 상기 차량 입출고부, 위치 설정부 및 차량 주차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차량의 입출고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입출고 제어부; 및 상기 입출고 제어부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현재 주차 타워 내의 주차 공간 상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automatic parking guidance device installed in a parking tower with multiple levels of parking spaces both underground and above ground, an entry drive panel that guides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and a rotation panel located on the entry drive panel that rotates the vehicle. And, a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unit including a transfer rail configured on the rotating panel to transport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an be stored, a rotating operating shaft supporting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rotating panel, and a rotating driving unit controlling the rotating operating shaft; a position setting unit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entry/exit unit and transferring the vehicle transferred from the rotation panel to the parking space; A vehicle delivery unit that guides the vehicle to the elevator or parking guide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vehicle, and a parking guide that delivers the vehicle to the vehicle delivery unit and stores it, or delivers the vehicle to the vehicle delivery unit. , a vehicle parking unit including a parking pallet unit for parking the vehicle transferred from the parking guide; An entry and exi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entry and exit unit, the position setting unit and the vehicle parking unit to sequentially enter and exit the vehicle;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current parking space situation within the parking tower 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entry/exit control unit.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662169호(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No. 10-1662169

레이저 광원과 반사경을 이용한 주차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든 종류의 전파통신기술을 배제하고 오직 광학식 반사구조만을 이용하여 구현한 빈 주차 공간 안내표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공간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어 하나의 군집형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레이저광원과 주차장 건물의 천장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을 받아 주차장의 차량진행 방향 또는 주차공간 바닥방향 쪽으로 반사시키는 하나 이상의 천장 반사경 및 상기 주차공간 내부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천장 반사경에서 반사되어 나온 빛을 상기 주차공간 상방 또는 후방으로 재차 반사시키는 바닥 반사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레이저광원 1개당 상기 천장 반사경 1개 이상과 상기 바닥 반사경 1개가 결합되어 하나의 광 경로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주차공간 상방 또는 후방에는 외형 변형 가능한 도광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닥 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되어 나온 빛을 받아 발광하는 광확산유도체가 더 설치되어 주차공간이 비어있을 때 주차공간 천장 부근을 밝게 빛나게 하며, 차량이 주차되어 있을 때에는 주차된 차량에 의해 광 경로가 자연스럽게 차단되므로 효과적인 주차안내 기능을 발휘한다.It is about a parking guidance device using a laser light source and a reflector. It is about an empty parking space guidance display technology that excludes all types of radio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uses only an optical reflection structure. It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of parking spaces as one. A plurality of laser light sources installed in a cluster, one or more ceiling reflectors disposed on the ceiling of the parking lot building to receive light from the laser light sources and reflect it toward the direction of vehicle movement in the parking lot or toward the floor of the parking space, and disposed on the floor inside the parking spa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loor reflector that reflec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ceiling reflector back to the top or rear of the parking spac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for each laser light source, at least one ceiling reflector and one floor reflector are combined to form one light path, and above or behind the parking space, it is made of a light-guiding material that can change its appearance and is reflected from the floor reflector. An additional light diffusion guide that receives and emits light is installed to brightly illuminate the area near the ceiling of the parking space when the parking space is empty. When the vehicle is parked, the light path is naturally blocked by the parked vehicle, providing an effective parking guidance function. Demonstrate.

한국등록특허 제10-1672257호 (등록일: 2016.10.28)Korean Patent No. 10-1672257 (Registration Date: 2016.10.28) 한국등록특허 제10-1754966호 (등록일: 2017.06.30)Korean Patent No. 10-1754966 (Registration Date: 2017.06.30) 한국등록특허 제10-1662169호 (등록일: 2016.09.27)Korean Patent No. 10-1662169 (Registration Date: 2016.09.27)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주차 안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these existing parking guidance devic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1) 서로 마주하는 주차 면에 대해 자동차가 주차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됨에 따라 주차 안내 장치의 전체 구성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안내 장치를 구축하는데도 비용이 많이 필요하다.(1) As it is configured to check whether cars are parked on park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not only doe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become complicated, but it also requires a lot of cost to build the guidance device.

(2) 하나의 감지 센서로 두 개 정도의 주차 면에 대해 자동차 주차 여부를 판단하게 되므로, 자동차 주차 여부에 관한 판단 오류가 자주 발생한다. 이는, 주차장이 만차 상태 또는 주차 가능 상태를 잘못 인식하게 할 우려가 있다.(2) Since one detection sensor determines whether a car is parked on two parking surfaces, errors in judgment regarding whether a car is parked frequently occur. This may cause the parking lot to be incorrectly recognized as full or available.

(3) 유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음에 따라 주차 안내 장치를 구성할 때, 구성이 복잡해 질 뿐만 아니라, 구축된 주차 안내 장치를 유지보수할 때도 어려움이 많다.(3) As data is exchanged in a wired manner, not only does the configuration become complicated when constructing a parking guidance device, but there are also many difficulties in maintaining the constructed parking guidance device.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이웃하여 마주하는 두 개의 주차 면에 대해 메인 검출기로 정면에서 주차 여부를 확인하게 하고, 이 메인 검출기와 근거리 통신하며 이웃하여 마주하는 두 개의 주차 면에 대해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보조 검출기로 확장할 수 있도록 검출 유닛을 구성함으로써, 메인 검출기와 보조 검출기로 주차 여부를 감시하는 구역이 만차 상태인지 아니면 어느 한 곳이라도 비어서 공차 상태인지를 쉽게 알 수 있게 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akes this into consideration, and checks whether parking is parked on two adjacent parking surfaces from the front using a main detector, and communicates with this main detector at a short distance to determine whether parking is parked on two adjacent parking surfaces. By configuring the detection unit so that it can be expanded to an auxiliary detector that determines parking, the main detector and auxiliary detector make it easy to know whether the area where parking is monitored is full or empty, and the structure is simp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arking guidance system that displays full and empty spaces that can be produced inexpensively and conveniently used.

특히, 본 발명은 메인 검출기와 보조 검출기에 장착되어 각 주차 면에 주차 상태를 검출하는 감지 센서를 하나 또는 두 개씩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유닛을 통해 주차 면의 배치에 맞춰 적절하게 감지 센서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one or two detection sensors that are mounted on the main detector and the auxiliary detector and detect the parking condition can be mounted on each parking surface, so that they can be adjusted to the arrangement of the parking surface through th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parking guidance system that displays full and empty spaces that can be used by appropriately installing detection sensors.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검출 유닛을 주차 면 사이의 통로에 설치되는 레이스웨이(Raceway)에 장착하게 구성함으로써, 레이스웨이를 통해 필요한 전력 공급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메인 검출기와 보조 검출기의 장착 위치를 쉽고 편리하게 조작하여 각 감지 센서가 주차 면의 정면에서 검출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여 더욱 정확하게 주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is detection unit to be mounted on a raceway installed in the passage between parking surfaces, so that the necessary power can be easily supplied through the raceway and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main detector and auxiliary detector can be easily adjusted.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parking guidance system that displays full and empty spaces that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so that each detection sensor detects from the front of the parking surface, allowing more accurate parking confirma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은, 나란하게 형성된 주차 면(L)을 따라 형성된 주행로(W)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유닛(U)을 포함하는 주차 시스템에서; 상기 검출 유닛(U)은,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제1 및 제2 경고등(11, 12), 근거리 통신 모듈, 서로 마주하는 주차 면(L)의 정면에서 주차 여부를 검출하는 제1감지 센서(13)를 갖춘 메인 검출기(10); 및 상기 메인 검출기(10)와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서로 마주하는 주차 면(L)의 정면에서 주차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상기 메인 검출기(10)로 송출하여 상기 경고등(11, 12)이 동작하게 하는 제2감지 센서(21)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검출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arking guidance system for displaying full and empty spa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detection unit (U) installed on the driving path (W) formed along the parking surface (L) formed in parallel. In a parking system that includes; The detection unit (U) includes first and second warning lights 11 and 12 that display full and empty spac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 first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the car is parked in front of the parking surface (L) facing each other. Main detector (10) with (13);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main detector 10, detects whether or not parking is parked in front of the parking surface (L) facing each other,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main detector 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indicate the warning light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auxiliary detector 20 equipped with a second detection sensor 21 that causes 11 and 12) to operate.

특히, 상기 제1감지 센서(13)와 제2감지 센서(21)는, 각각 TOF(Time Of Flight)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first detection sensor 13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21 are each a TOF (Time Of Flight) sensor.

또한, 상기 제1감지 센서(13)와 제2감지 센서(21)는, 각각 주차 면(L)이 서로 마주하지 않고 한쪽에만 있을 때는 주차 면(L)이 있는 쪽에만 센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detection sensor 13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21 ar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arking surfaces (L) do not face each other and are only on one side, the sensors are attached only to the side where the parking surface (L) is located. Do it as

마지막으로, 상기 검출 유닛(U)은, 주차 시설의 천장에 설치되는 레이스웨이(Raceway)(30)에 장착되어 주차 면(L)의 정면에서 주차 여부를 검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astly, the detection unit (U) is mounted on a raceway (30)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parking facility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arked in front of the parking surface (L).

본 발명에 따른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arking guidance system for displaying full and empty spa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서로 마주하는 주차 면의 주차 상태를 검출하는 메인 검출기에 서로 마주하는 다른 주차 면의 주차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검출기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면서 만차와 공차 상태를 안내하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저렴하고 쉽게 제작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1) By configuring a main detector that detects the parking status of park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at least one auxiliary detector that detects the parking status of other park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to guide the full and empty parking status while communicating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It has a simple structure, is inexpensive, can be easily produced, and can be used safely.

(2) 특히, 이들 메인 검출기와 보조 검출기를 통해 각 주차 면에 주차되었을 때를 만차 상태로 표시하고, 검출하는 주차 면 중에서 어느 한 주차 면에서 주차 상태가 검출되지 않으면 공차 상태로 표시하게 구성함으로, 각 주차 면 또는 서로 마주하는 주차 면에서 주차 상태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기존 장치와 비교하여 저렴하면서도 쉽게 주차 상태를 안내할 수 있다.(2) In particular, through these main detectors and auxiliary detectors, when the car is parked on each parking surface, it is displayed as full, and when the parking state is not detected on any of the detected parking surfaces, it is displayed as empty. , Compared to existing devices that check and display parking status on each parking surface or on park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parking status can be provided inexpensively and easily.

(3) 주차장의 규모에 따라 검출 유닛을 추가하거나, 하나의 검출 유닛에서 보조 검출기의 개수를 추가하는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주차안내 시스템을 쉽고 편리하게 확장하여 시설할 수 있다.(3) The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expanded and installed by adding a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rking lot or adding the number of auxiliary detectors in one detection unit.

(4) 또한, 이처럼 주차 안내 시스템을 구축함에 따라 서로 마주하지 않는 주차 면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감지 센서를 통해 주차 상태를 확인하게 되므로, 마주하는 면에 주차 면이 없을 때는 해당 감지 센서를 사용하지 않거나 분리해 냄으로써, 원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을 쉽고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다.(4) In addition, as the parking guidance system is constructed in this way, parking surfaces that do not face each other may occur.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rking status is confirmed through detection sensors installed facing each other, there is no parking surface on the facing surface. In this case, you can easily and conveniently build the desired parking guidance system by not using or removing the corresponding detection sensor.

(5) 또한, 주차 면에 주차된 자동차를 검출하는 감지 센서로 TOF(Time Of Flight)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지하 주차장과 같이 어둡거나 야간에도 주차 면에 주차된 자동차의 주차 여부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검출하여 만차와 공차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5) In addition, by using a TOF (Time Of Flight) sensor as a detection sensor to detect car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it quickly and accurately detects whether a car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is parked even in the dark or at night, such as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is allows you to display the full and empty car status.

(6) 마지막으로, 검출 유닛은 주차장과 같은 주차 시설의 천장에 설치되는 레이스웨이(Raceway)에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검출기와 보조 검출기의 장착 위치를 임의로 쉽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주차 면의 정면에서 주차 여부를 쉽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한다.(6) Lastly, the detection unit is installed on a racewa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parking facility such as a parking lot, so that not only can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main detector and the auxiliary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 easily adjusted arbitrarily, but also each It allows easy and accurate detection of parking from the front of the parking surf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이 적용된 주차장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검출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유닛 중 메인 검출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만차 상태를, (b)는 공차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유닛에서 주차 중인 자동차를 검출할 때 사용되는 감지 센서를 배치하는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유닛을 레이스웨이(Raceway)에 설치한 예를 보여주는 주차장의 평면도이다.
[Figure 1] is a plan view showing a parking lot to which a parking guidance system that displays full and empty spa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tection unit used in the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etector among the detection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shows a full state and (b) shows a tolerance state, respectively.
[FIG. 4] and [FIG. 5]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rranging a detection sensor used when detecting a parked car in a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of a parking lot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ing a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racewa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주차 안내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parking guidance system]

본 발명에 따른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에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주차 면(L)을 따라 형성된 주행로(W)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유닛(U)이 포함된다.The parking guidance system for displaying full and empty spa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detection unit (U) installed on the travel path (W) formed along the parking surface (L), as shown in [FIGS. 1] to [FIG. 6] ) is included.

특히, 상기 검출 유닛(U)에는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제1 및 제2 경고등(11, 12)과 근거리 통신 모듈, 그리고 제1감지 센서(13)를 갖춘 메인 검출기(10), 그리고 이 메인 검출기(10)와 근거리 통신하며 주차 면(L)에 주차된 자동차의 주차 여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검출기(20)가 됨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제작하면서도 주차장의 넓이에 맞춰 쉽게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detection unit (U) includes a main detector (10) equipped with first and second warning lights (11, 12) that display fullness and toleranc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 first detection sensor (13), and this main As at least one auxiliary detector 20 communicates with the detector 10 at a short distance and detects whether a car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L is parke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can be manufactured inexpensively and easily expanded to fit the size of the parking lot. This made it usable.

이때, 상기 메인 검출기(10)와 보조 검출기(20)에서 사용되는 감지 센서로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사용하고, 특히 주차 면(L)의 전면에서 주차 여부를 검출하게 구성함으로써, 주차 여부를 더욱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검출하여 만차나 공차 상태를 쉽게 알려 줄 수 있게 한 것이다.At this time, a TOF (Time Of Flight) sensor is used as the detection sensor used in the main detector 10 and the auxiliary detector 20, and is configured to detect parking in particular at the front of the parking surface (L). By more accurately and quickly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is full or empty, it is possible to easily inform the user of the full or empty vehicle status.

또한, 상기 메인 검출기(10)와 보조 검출기(20)는 각각 기본적으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주차 면(L)에 대해 주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고, 주차장의 상황에 따라 어느 한쪽 면만 있을 때는 이에 맞춰 메인 검출기(10)와 보조 검출기(20)에서 감지 센서 구성을 가감하게 해서 주차가 이루어지는 자리 면(L)에 대해서만 주차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main detector 10 and the auxiliary detector 20 are each basically configured to check whether or not parking is parked on two parking surfaces (L) facing each other, and when only one side is pres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parking lot, this is done. Accordingly, the detection sensor configuration in the main detector 10 and the auxiliary detector 20 is adjusted to detect parking only for the parking space L.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유닛(U)은 주차 시설의 천장에 설치되는 레이스웨이(Raceway)(30)에 설치하여 주차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검출 유닛(U)의 장착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센서가 주차 면(L)의 정면에서 주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설치할 수 있어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주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aceway (30)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parking facility to establish a parking system,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detection unit (U) can be arbitrarily adjusted, especially A sensor can be installed to check whether or not the car is parked in front of the parking surface (L), making it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car is park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부호 "L"은 자동차를 주차하기 위한 주차 면을, "W"는 주차 면에 주차할 수 있도록 자동차가 주행하는 주행로를 각각 나타낸다.Hereinafter,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reference symbol "L" represents a parking surface for parking a car, and "W" represents a travel path along which a car travels so that it can be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가. 검출 유닛go. detection unit

검출 유닛(U)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주행로(W)에 설치되어 나란하게 형성된 주차 면(L)에 자동차가 주차되었는지 검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경고등을 점등하여 만차 상태 또는 공차 상태인지를 다른 운전자가 알 수 있게 하는 단위 유닛이다. 여기서, 공차 상태는 하나의 검출 유닛(U)에서 관리하는 여러 주차 면(L)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비어 자동차가 주차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As shown in [FIGS. 1] to [FIG. 5], the detection unit (U) detects whether a car is parked on the parallel parking surface (L) installed on the travel road (W), and turns on a warning light based on the results. It is a unit that lights up to let other drivers know whether the vehicle is full or empty. Here, the empty space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several parking surfaces (L) managed by one detection unit (U) is empty and a car can park.

이러한 검출 유닛(U)에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메인 검출기(10),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검출기(20)가 포함된다.This detection unit (U) includes a main detector 10 and at least one auxiliary detector 20, as shown in [FIGS. 2] to [FIG. 5].

나. 메인 검출기me. main detector

메인 검출기(1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주차 면(L)에 주차 여부와 후술할 보조 검출기에서 검출하는 주차 여부에 관한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경고등을 점등하여 각 주차 면(L)마다 주차가 된 만차 상태인지, 아니면 여러 주차 면(L) 중 적어도 하나의 주차 면(L)에 주차되지 않은 공차 상태인지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As shown in [FIG. 2] to [FIG. 5], the main detector 10 turns on a warning light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regarding whether or not parking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L) facing each other and whether or not parking is detected by an auxiliary detector to be described later. This allows the driver to check whether the car is fully parked on each parking surface (L) or is empty and not parked on at least one parking surface (L) among several parking surfaces (L).

이에, 상기 메인 검출기(10)에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제1 및 제2 경고등(11, 12), 근거리 통신 모듈, 그리고 제1감지 센서(13)가 포함된다.Accordingly, the main detector 10 includes first and second warning lights 11 and 12,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 first detection sensor 13, as shown in [FIG. 2] to [FIG. 5].

1. 제1 및 제2 경고등1. 1st and 2nd warning lights

제1 및 제2 경고등(11, 12)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후술할 제1감지 센서(13)의 감지 신호와 제2감지 센서(21)의 감지 신호, 즉 주차 면(L)에 자동차가 주차된 상태인지 검출한 결과를 토대로 만차 상태인지 공차 상태인지 표시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warning lights 11 and 12, as shown in [FIG. 2] and [FIG. 3], are a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13 and a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detection sensor 2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Based on the results of detecting whether the car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L), it displays whether the car is in a full or empty state.

즉, 상기 제1 및 제2 경고등(11, 12)은 서로 다른 색상, 예를 들어서, 붉은색 경고등과 녹색 경고등을 사용하고, 각 감지 센서를 통해 하나의 검출 유닛(U)에서 감시하는 각 주차 면(L)마다 모두 주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붉은색 경고등이 점등되게 하여 다른 운전자가 해당 검출 유닛(U) 유역이 만차 상태임을 알 수 있게 하고, 각 감지 센서로 해당 검출 유닛(U)에서 감시하는 각 주차 면(L) 중 적어도 하나가 비어 있음으로 검출되면 녹색 경고등이 점등하게 해서 공차 상태임을 알려 다른 운전자가 해당 검출 유닛(U)이 감시하는 구역으로 와서 주차할 수 있게 알려주게 된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warning lights 11 and 12 use different colors, for example, a red warning light and a green warning light, and each parking light is monitored by one detection unit (U) through each detection sensor. If it is determined that each side (L) is parked, a red warning light turns on so that other drivers can see that the corresponding detection unit (U) basin is full, and each detection sensor monitors the detection unit (U). If at least one of each parking surface (L) is detected as empty, a green warning light turns on to inform the driver that the car is empty so that other drivers can come and park in the area monitored by the corresponding detection unit (U).

2. 근거리 통신 모듈2.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근거리 통신 모듈은, [도 2]와 같이, 메인 검출기(10)와 보조 검출기(20) 사이에서 근거리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다. 이는, 유선 방식으로 메인 검출기(10)와 보조 검출기(20)를 연결하지 않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확장할 때 쉽게 확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고장 검출이나 시스템을 구축할 때도 쉽고 편리하게 해 준다. 이처럼 이루어진 근거리 통신 모듈은 후술하는 감지 센서를 통해 보조 검출기(20)에서 검출된 신호를 메인 검출기(10)로 출력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경고등(11, 12)의 점등을 통해 만차 또는 공차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enabl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detector 10 and the auxiliary detector 20, as shown in [FIG. 2]. This is because the main detector 10 and the auxiliary detector 20 are not connected in a wired manner, so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expanded, maintenance is convenient, and fault detection or system construction is easy. It makes it easy and convenient to do.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in this way outputs the signal detected in the auxiliary detector 20 to the main detector 10 through a detection sensor to be described later, and turns on the first and second warning lights 11 and 12 to indicate a full or empty state. Makes it easy to chec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기와도 통신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주차장을 전체에 대해 만차 상태인지 공차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entir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entire parking lot is in a full or empty state. possible.

3. 제1감지 센서3. First detection sensor

제1감지 센서(13)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메인 검출기(1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감지 센서(13)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주차 면(L)에 대해 각각 하나씩 대응하여 주차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메인 검출기(10)에 2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1감지 센서(13)는 검출 유닛(U)을 설치하는 주차장 위치에서 주차 면(L)이 서로 마주하지 않을 때는 주차 면(L)이 있는 곳에만 설치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detection sensor 13 is mounted on the main detector 10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2] to [FIG. 5].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wo first detection sensors 13 in the main detector 10 so that they can detect parking by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o parking surfaces L facing each other. Of course, the first detection sensor 13 can be installed only where the parking surface (L) is located when the parking surface (L) does not face each other at the parking lot location where the detection unit (U) is installed. Anyone working in the field can easily understand thi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감지 센서(13)는, [도 1]과 같이, 주차 면(L)의 정면에서 자동차의 주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차 면(L)에 주차되는 자동차와 감지 센서 사이의 최단 거리에서 주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검출 감도를 높이면서도 정확도를 향상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tection sensor 13 is prefer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parking surface L to check whether the car is parked, as shown in [Figure 1]. This is to increase detection sensitivity and improve accuracy by enabling confirmation of parking at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car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L) and the detection sensor.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감지 센서(13)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지하 주차장과 같이 주변이 어두운 상황에서도 주차 면(L)에 주차하는 자동차를 쉽게 식별하여 만차 상태인지 공차 상태인지 쉽게 알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tection sensor 13 uses a TOF (Time Of Flight) sensor to easily identify car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L) even in dark surroundings such as underground parking lot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it so that it is easy to tell whether it is full or empty.

다. 보조 검출기all. auxiliary detector

보조 검출기(20)는, [도 2]·[도 4]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메인 검출기(1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상기 메인 검출기(10) 근처에서 주변의 주차 면(L)에 자동차가 주차했는지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메인 검출기(10)로 송출하여 메인 검출기(10)에서 만차 또는 공차 상태인지 표시할 수 있게 한다.As shown in [FIG. 2], [FIG. 4], and [FIG. 5], the auxiliary detector 20 communicates with the main detector 10 described above through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detects the surroundings near the main detector 10. It detects whether a car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L)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main detector 10, allowing the main detector 10 to display whether the car is in a full or empty state.

이러한 보조 검출기(20)에는, [도 2]·[도 4] 및 [도 5]와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 제2감지 센서(21)가 포함된다.This auxiliary detector 20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cond detection sensor 21, as shown in [FIG. 2], [FIG. 4], and [FIG. 5].

1. 근거리 무선 통신1.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은, 도면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보조 검출기(20)와 메인 검출기(10)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여 필요한 데이터 전송 등을 할 수 있게 연결해 주는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무선 통신 방식이다.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de up of conventional technology that allows the above-described auxiliary detector 20 and the main detector 1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transmit necessary data. .

2. 제2감지 센서2. Second detection sensor

제2감지 센서(21)는, [도 2]·[도 4] 및 [도 5]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주차 면(L)에 각각 주차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다. 이러한 제2감지 센서(21)는 상술한 제1감지 센서(13)와 같은 구성으로 장착하는 위치만 다를 뿐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detection sensor 21 i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two parking surfaces L facing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FIG. 4], and [FIG. 5]. Since this second detection sensor 21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first detection sensor 13, only the mounting position is differ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특히, 상기 제2감지 센서(21)도,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감지 센서(13)와 마찬가지로, 주차 면(L)의 정면에서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TOF(Time Of Flight) 센서를 사용하며, 주차 면(L)이 없는 곳에서는 센서를 장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4] and [FIG. 5], the second detection sensor 21, like the first detection sensor 1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ar is parked in front of the parking surface (L), and TOF ( It is desirable to use a Time Of Flight sensor and configure it so that it can be used without installing a sensor in places where there is no parking surface (L).

라. la. 레이스웨이raceway (Raceway)(Raceway)

레이스웨이(30)는, [도 6]과 같이, 주차 시설의 천장에 설치되어 케이블 등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레이스웨이에는 단순히 케이블 등을 정리하기 위해 사용한 것일 수도 있고, 케이블 정리와 더불어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도 있다. The raceway 3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parking facility and used to install cables, etc., as shown in [Figure 6]. This raceway may be used simply to organize cables, etc., and may be used to organize cables, etc. Additionally, it may be used for lighting.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레이스웨이(30)에 상술한 검출 유닛(U)을 장착함으로써, 통상적으로 레이스웨이(3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함에 따라, 메인 검출기(10)와 보조 검출기(20)를 주차 면(L)의 정면에서 주차 상태를 검출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배선된 케이블을 통해 필요한 전력 공급도 쉽게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detection unit (U) is mounted on the raceway 30, so that the main detector 10 and the auxiliary detector 20 are installed as the raceway 30 is usually install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is because not only can it be installed to detect the parking status in front of the parking surface (L), but the mounting position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necessary power supply can be easily received through the wired cab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메인 검출기와 보조 검출기로 이루어져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검출 유닛을 저렴하게 제작하여 주차 면의 만차와 공차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표시해 주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expensively manufactures a detection unit that consists of a main detector and an auxiliary detector and communicates through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o easily and conveniently display the full and empty parking status of the parking surface.

10: 메인 검출기
11, 12: 제1, 제2 경고등
13, 21: 제1, 제2감지 센서
20: 보조 검출기
30; 레이스웨이
U: 검출 유닛
W: 주행로
10: Main detector
11, 12: 1st, 2nd warning lights
13, 21: 1st and 2nd detection sensors
20: Auxiliary detector
30; raceway
U: detection unit
W: Driving path

Claims (4)

나란하게 형성된 주차 면(L)을 따라 형성된 주행로(W)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유닛(U)을 포함하는 주차 시스템에서,
상기 검출 유닛(U)은,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제1 및 제2 경고등(11, 12), 근거리 통신 모듈, 서로 마주하는 주차 면(L)의 정면에서 주차 여부를 검출하는 제1감지 센서(13)를 갖춘 메인 검출기(10); 및
상기 메인 검출기(10)와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서로 마주하는 주차 면(L)의 정면에서 주차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상기 메인 검출기(10)로 송출하여 상기 경고등(11, 12)이 동작하게 하는 제2감지 센서(21)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검출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
In a parking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detection unit (U) installed on a travel path (W) formed along a parallel parking surface (L),
The detection unit (U) is,
A main detector ( 10);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the main detector 10, detects whether or not parking is parked in front of the parking surface (L) facing each other,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main detector 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detect the warning light (11). , At least one auxiliary detector (20) equipped with a second detection sensor (21) that causes 12) to operate. A parking guidance system for displaying full and empty spaces.
제1항에서,
상기 제1감지 센서(13)와 제2감지 센서(21)는,
각각 TOF(Time Of Flight)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first detection sensor 13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21,
A parking guidance system that displays full and empty spaces, each featuring a TOF (Time Of Flight) sensor.
제1항에서,
상기 제1감지 센서(13)와 제2감지 센서(21)는,
각각 주차 면(L)이 서로 마주하지 않고 한쪽에만 있을 때는 주차 면(L)이 있는 쪽에만 센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first detection sensor 13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21,
A parking guidance system that displays full and empty space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arking surfaces (L) are only on one side and do not face each other, a sensor is attached only to the side where the parking surfaces (L) are locat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검출 유닛(U)은,
주차 시설의 천장에 설치되는 레이스웨이(Raceway)(30)에 장착되어 주차 면(L)의 정면에서 주차 여부를 검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
In any one of paragraphs 1 to 3,
The detection unit (U) is,
A parking guidance system that displays full and empty spaces, which is mounted on a raceway (30)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parking facility and detects whether or not the car is parked in front of the parking surface (L).
KR1020220086061A 2022-07-13 2022-07-13 Full or empty indicating parking system KR2024000904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061A KR20240009047A (en) 2022-07-13 2022-07-13 Full or empty indicating park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061A KR20240009047A (en) 2022-07-13 2022-07-13 Full or empty indicating park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047A true KR20240009047A (en) 2024-01-22

Family

ID=8971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061A KR20240009047A (en) 2022-07-13 2022-07-13 Full or empty indicating park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047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169B1 (en) 2015-01-05 2016-10-04 권태화 Parking guide device using LASER lights and reflectors
KR101672257B1 (en) 2015-12-04 2016-11-04 주식회사 위쥬테크 Parking guidance system
KR101754966B1 (en) 2015-10-27 2017-08-01 이미소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169B1 (en) 2015-01-05 2016-10-04 권태화 Parking guide device using LASER lights and reflectors
KR101754966B1 (en) 2015-10-27 2017-08-01 이미소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KR101672257B1 (en) 2015-12-04 2016-11-04 주식회사 위쥬테크 Parking guidanc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104B1 (en)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parking guiding,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1886325B1 (en) Warning system for vehicle at intersection of parking lot
KR20140121500A (en) Parking guidance system
KR101442750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JP5062681B2 (en) Parking facilities
KR20240009047A (en) Full or empty indicating parking system
KR20130073483A (en) Parking lighting system using optosemiconductor
KR20160095364A (en) Parking tracker
JP4178422B1 (en) Induction display device
KR20100116971A (en) Parking guide system
US11780366B2 (en) Vehicle status indicator
CN112969614A (en)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2216977B1 (en) taxi lamp auto control system using taxi call service
KR20230100788A (en) Emergency bell for parking lot with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guidance function
JP2015001919A (en) Road visual recognition apparatus with guiding function
KR20170006714A (en) management system of tunnel using LED lighting device
KR102173623B1 (en) System for parking environment management and efficient parking space guidance
JP2005264434A (en) Vacant space indicating device of parking space
KR20070120681A (en) System for parking guidance
KR20180059253A (en) LED Lamp system for parking lot
KR20130046091A (en) Safety driving warning system for side road
JPH01239700A (en) Unmanned multi-storied parking facility guiding system
KR101591201B1 (en) Apparatus of safety tripod for a motor vehicle device
KR102292213B1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driving miniature cars using wireless fidelity
JP2020086693A (en) Vehicle detection guidance device and vehicle detection guidanc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