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013A - 고흡수성 수지층을 포함한 복합 단열재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수지층을 포함한 복합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013A
KR20240009013A KR1020220085835A KR20220085835A KR20240009013A KR 20240009013 A KR20240009013 A KR 20240009013A KR 1020220085835 A KR1020220085835 A KR 1020220085835A KR 20220085835 A KR20220085835 A KR 20220085835A KR 20240009013 A KR20240009013 A KR 20240009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absorbent polymer
blanket
composite insulation
insulation material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최재훈
이창송
김용진
오경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20085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013A/ko
Priority to CN202380013072.7A priority patent/CN117794730A/zh
Priority to PCT/KR2023/007507 priority patent/WO2024014707A1/ko
Priority to EP23839801.0A priority patent/EP4360870A1/en
Publication of KR2024000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9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12Gel
    • B32B2266/126Aerogel, i.e. a supercritically dried g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랑켓용 기재 및 상기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 및 표면에 형성된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2 이상의 블랑켓, 상기 2 이상의 블랑켓 사이에 위치하고,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흡수성 수지층을 포함한 복합 단열재{COMPOSITE INSULATING MATERIAL COMPRISING SUPER ABSORBENT POLYMER LAYER}
본 발명은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재인 블랑켓 사이에 고흡수성 수지층(SAP층)을 포함하여 이로 인한 단열 성능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겔(aerogel)은 90~99.9% 정도의 기공율과 1~100 nm 범위의 기공크기를 갖는 고다공성 물질로서, 높은 기공률과 비표면적, 그리고 종래 스티로폼의 유기 단열재보다 낮은 열전도율을 보이는 슈퍼단열성(super-insulation)을 가져 고효율의 단열재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에어로겔은 촉매화된 졸이 블랑켓용 기재에 함침 및 겔화 되어 생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로겔, 예를 들어 실리카 에어로겔의 경우 표면에 존재하는 친수성의 실라놀기에 의하여 대기 중 수분이 블랑켓 표면에 흡착되고 내부로 침투됨으로써, 상기 수분에 의하여 블랑켓의 열전도가 높아지고 결국엔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어로겔의 표면의 친수성을 소수성으로 개질하지만, 이 경우에도 장기적인 수분에 노출되는 경우 여전히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따라서, 블랑켓으로 수분이 침투되었을 때에도 블랑켓의 단열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10-2007-0052269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분에 의하여 열전도가 높아질 위험이 있는 블랑켓 사이에 고흡수성 수지층을 위치시켜, 단열성능이 개선된 복합 단열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블랑켓용 기재 및 상기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 및 표면에 형성된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2 이상의 블랑켓, 및 상기 2 이상의 블랑켓 사이에 위치하고,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 단열재에 따르면, 블랑켓 사이에 위치한 고흡수성 수지층에 포함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블랑켓에 침투할 대기 중 수분을 미리 흡수하여 단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이미 블랑켓에 수분이 침투한 경우라도 이를 흡수함으로써 복합 단열재 자체의 낮은 열전도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수분을 흡수하면 팽윤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수분을 흡수한 뒤 팽윤되어 블랑켓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런 특성은 수분이 복합 단열재의 더 깊은 내부로 이동할 수 없도록 막는 보호막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 단열재는 블랑켓용 기재 및 상기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 및 표면에 형성된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2 이상의 블랑켓, 및 상기 2 이상의 블랑켓 사이에 위치하고,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블랑켓에 있어서, 상기 블랑켓에 포함되는 블랑켓용 기재는 블랑켓의 단열성을 개선하는 측면에서 구체적으로는 다공질(porous)의 기재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블랑켓용 기재가 다공질인 경우에,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 및 표면에 에어로겔을 형성시키는 촉매화된 졸이 블랑켓용 기재의 표면에 이어 내부까지 침투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까지 균일하게 에어로겔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블랑켓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의 단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블랑켓용 기재로는 필름, 시트, 네트, 섬유 매트릭스, 부직포체 또는 이들의 2층 이상의 적층체일 수 있다. 또한, 용도에 따라 그 표면에 표면조도가 형성되거나 패턴화된 것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블랑켓용 기재는 에어로겔이 삽입되기에 용이한 공극을 포함함으로써 단열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 매트릭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랑켓용 기재는 폴리아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라미드, 아크릴수지, 페놀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올레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카본, 면, 모, 마, 부직포, 유리 섬유 또는 세라믹 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블랑켓용 기재는 열전도도가 낮아 단열 소재에 적합한 유리 섬유(glass felt, glass fib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랑켓은 상기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 및 표면에 형성된 에어로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은 블랑켓용 기재, 즉 유리 섬유로 이루어진 공극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공극은 유리 섬유의 3차원 매트릭스 구조로 인해 구성된 공간일 수 있다. 한편,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 및 표면에 형성된 에어로겔이라 함은, 상기 블랑켓용 기재와 복합화된 에어로겔의 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랑켓용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에어로겔은 일부가 블랑켓의 외표면에 노출되어 대기 등과 접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로겔은 상기 블랑켓의 내부에 존재하면서 상기 블랑켓의 외표면에 노출되지 아니한 에어로겔을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 및 표면에 형성된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블랑켓은 촉매화된 졸을 블랑켓용 기재에 함침 시키고 겔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촉매화된 졸은 염기 촉매와 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졸은 졸-겔 반응으로 다공성의 겔을 형성하는 물질로서, 무기졸, 유기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기 졸은 지르코니아, 산화이트륨, 하프니아, 알루미나, 티타니아, 세리아, 실리카, 산화 마그네슘, 산화칼슘,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플루오르화 칼슘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유기 졸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레핀, 폴리스틸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폴리푸르푸랄 알콜, 페놀 푸르푸릴 알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레조르시놀 포름알데히드, 크레졸 포름알데히드, 페놀 포름알데히드, 폴리비닐 알콜 디알데히드, 폴리시아누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블랑켓용 기재와의 우수한 결합성을 확보하여 최종적으로 낮은 열전도도를 가지는 블랑켓을 완성하기 위한 측면에서 무기 졸인 실리카 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카 졸은 실리카 전구체, 물 및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실리콘 함유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트라메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TMOS), 테트라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메틸트리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methyl triethyl orthosilicate), 디메틸 디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dimethyl diethyl orthosilicate), 테트라프로필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propyl orthosilicate), 테트라이소프로필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isopropyl orthosilicate), 테트라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 (tetrabutyl orthosilicate), 테트라세컨드리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 secondary butyl
orthosilicate), 테트라터셔리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 tertiary butyl orthosilicate), 테트라헥실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hexyl orthosilicate), 테트라시클로헥실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cyclohexyl orthosilicate), 테트라도데실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dodecyl orthosilicate)와 같은 테트라알킬 실리케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트라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O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실리카 졸 내 포함되는 실리카(SiO2)의 함량이 3 중량% 내지 3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이면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 및 표면에 형성되는 에어로겔이 지나치게 낮아 목적하는 수준의 단열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에어로겔의 형성으로 블랑켓의 기계적 물성, 특히 유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상기 졸은 유기용매 및 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졸 전구체 및 물과의 상용성의 측면에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중 1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촉매화된 졸에 포함되는 염기 촉매는 상기 졸의 pH를 증가시켜 후술하는 겔화 단계에서 겔화를 촉진시키는 물질로서, 상기 염기 촉매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의 무기 염기 또는 수산화암모늄과 같은 유기 염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산화나트륨, 암모니아, 수산화암모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촉매화된 졸을 블랑켓용 기재에 함침 시킬 수 있다. 이때, 함침이란 블랑켓용 기재에 유동성이 있는 촉매화된 졸을 투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로 인해 블랑켓용 기재 내부 및 표면의 공극에 촉매화된 졸이 침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촉매화된 실리카 졸이 블랑켓용 기재에 함침되면서 겔화가 일어나고 이에 따라 습윤겔-섬유 복합체가 얻어진다. 상기 겔화(gelation)란 촉매화된 졸로부터 망상 구조를 형성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망상 구조(network structure)는 원자 배열이 1 종 혹은 그 이상의 종류로 되어 있는 어떤 특정한 다각형이 이어진 평면 그물 모양의 구조 또는 특정 다면체의 정점, 모서리, 면을 공유하여 3 차원 골격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겔화는 블랑켓용 기재에 촉매화된 졸을 함침 시킨 후 0.5 시간 내지 2.0 시간 동안 방치함으로써 겔화를 유도할 수 있고, 20℃ 내지 5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습윤겔-섬유 복합체를 적당한 온도에 방치하여, 화학적 변화가 완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숙성할 수 있으며, 숙성은 상기 형성된 망상구조를 더 견고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블랑켓의 단열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숙성은 30℃ 내지 70℃의 온도에서 3 시간 내지 50 시간 동안 방치시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랑켓은 블랑켓용 기재에 촉매화된 졸을 함침, 겔화 및 숙성시킴으로써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 및 표면에 에어로겔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로겔은 표면에 소수성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 및 표면에 형성된 에어로겔을 건조한 직후에는 낮은 열전도율을 유지한다. 하지만 상기 에어로겔은 에어로겔의 표면에 존재하는 친수성 작용기로 인하여 수분에 대한 취약성을 나타낸다.
상기 에어로겔의 표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 작용기, 예를 들어 실리카 에어로겔일 경우 실리카 표면에 존재하는 친수성 실라놀기(Si-OH)가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열전도율이 점차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블랑켓은 단열재로 쓰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단점은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낮은 열전도율을 유지하기 위해 에어로겔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하여, 표면에 존재하는 친수성 작용기를 소수성 작용기로 치환할 필요가 있다.
상기 에어로겔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하기 위해서는 극성 용매 및 유기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표면 개질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극성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일 수 있으며, 유기실란 화합물은 트리메틸클로로실란(Trimethylchlorosilane, TMCS), 헥사메틸디실라잔(hexamethyldisilazane, HMDS),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MTMS), 트리메틸에톡시실란(trimethylethoxysilane, TMES), 에틸트리에톡시실란(ethyltriethoxysilane, ETES), 또는 페닐트리에톡시실란(phenyltriethoxysilane, PTES)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에톡시실란 또는 헥사메틸디실라잔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랑켓용 기재에 함침 및 겔화되어 형성된 에어로겔이 표면개질된 후 건조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은 표면이 소수성 작용기로 치환됨으로써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며, 이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함유 블랑켓은 낮은 열전도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에어로겔의 표면을 소수성 작용기로 치환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장기적인 수분 노출로 인해 블랑켓의 열전도도가 상승하여 단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단열재에 고흡수성 수지층을 구비함으로써, 수분에 따른 열화, 즉 에어로겔의 단열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랑켓은 하나의 블랑켓 내 위치에 따른 열전도도 편차가 3.0 mW/m·K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2.0 mW/m·K 이하 또는 1.0 mW/m·K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이가 없어 0의 값을 가지는 것 즉, 블랑켓 내 동일한 열전도도를 가지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랑켓은 그 두께 편차가 1.5 mm 이하, 1.2 mm 이하, 0.7 mm 이하, 바람직하게 0.5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열전도도 및 두께의 편차는 재단한 블랑켓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징으로, 구체적으로는 0.01 m2 내지 10.0 m2의 면적, 보다 구체적으로 0.36 m2 내지 5.0 m2의 면적에서, 양 끝단으로부터 각 30 cm 간격의 면적에서 측정한 값들 사이의 차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블랑켓의 열전도도 및 두께는 블랑켓 내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샘플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득하여, 각 샘플에 대해 NETZSCH社의 HFM 436 Lambda장비를 이용하여 상온(23±5℃)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복수의 샘플에서 양 끝단으로부터 각 30 cm 간격의 면적에서 측정된 열전도도 값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이 때 블랑켓에서의 샘플의 개수는 블랑켓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례로 2개 내지 20개, 3개 내지 10개, 3개 내지 5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랑켓은 에어로겔 및 블랑켓용 기재를 포함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 및 표면에 에어로겔이 형성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블랑켓용 기재 내부 및 표면에 다량의 에어로겔 입자가 균일하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블랑켓은 10 mW/m·K 내지 20 mW/m·K의 개선된 열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이 범위 내에서 블랑켓의 단열성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열전도도는, NETZSCH社의 HFM 436 Lambda장비를 이용하여 열유속법(heat flow method)에 따라 상온(23±5℃)에서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에 포함된 블랑켓은 에어로겔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실리카 에어로겔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에 존재하는 친수성의 실라놀기(Si-OH)가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열전도도가 점차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낮은 열전도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에어로겔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블랑켓은 이와 같이 낮은 열전도도를 유지하기 위해,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된 실리카 에어로겔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열 효과를 극대화하지 못한다. 소수성 처리를 했기 때문에 단시간 동안 수분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장기적인 수분 노출로 인한 수분 침투가 결국 블랑켓의 단열 성능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결국, 소수성 처리는 수분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는 상기 블랑켓 사이에 고흡수성 수지층을 위치시켜, 대기 중의 수분 및 블랑켓에 침투한 수분을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에 포함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가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입자 주변의 수분을 흡수하고 팽윤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복합 단열재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적어도 일부가 중화된 산성기를 갖는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내부 가교제의 가교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푸말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2-아크릴로일에탄 술폰산, 2-메타아크릴로일에탄술폰산, 2-(메타)아크릴로일프로판술폰산 또는 2-(메타)아크릴아미드-2-메틸 프로판 술폰산의 음이온성 단량체와 그 염; (메타)아크릴아미드, N-치환(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비이온계 친수성 함유 단량체; 및 (N, 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또는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아미드의 아미노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와 그의 4급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를 포함한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흡습 특성은 보다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내부 가교제로부터 유래된 가교 중합체를 포함 수 있다. 상기 내부 가교제는 앞서 기재한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들의 불포화 결합을 가교시켜 중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가교제로는 자유 라디칼 중합(Free-Radical Polymerization; FRP) 반응에 의해 가교 반응이 진행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중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교 중합체는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내부 가교제 및 중합 개시제로부터 유래된 단량체 조성물의 중합 반응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단량체 조성물에서 내부 가교제는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 가교제는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이상, 0.05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 또는 0.2 중량부 이상이고, 5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하, 또는 0.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내부 가교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가교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적정 수준 이상의 강도 구현이 어려울 수 있고, 상부 내부 가교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내부 가교 밀도가 높아져 원하는 보수능의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표면에 표면 가교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면 가교층은 표면 가교제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는데, 상기 표면 가교제는 다가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다가 에폭시 화합물은 다가 알코올의 글리시딜 에테르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ethyleneglycol diglycidyl ether), 디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diethyleneglycol diglycidyl ether), 트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triethyleneglycol diglycidyl ether),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tetraethyleneglycol diglycidyl ether), 글리세린 폴리글리시딜 에테르(glycerin polyglycidyl ether), 및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sorbitol polyglycid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다가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가교제는 후술할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약 0.001 내지 약 5 중량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 가교제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약 0.005 중량부 이상, 약 0.01 중량부 이상, 약 0.05 중량부 이상이면서, 약 4 중량부 이하, 약 2 중량부 이하, 약 2 중량부 이하, 또는 약 1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표면 가교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 표면 가교층의 가교 밀도가 너무 낮아 가압하 흡수능과 같은 흡수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표면 가교제 함량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과도한 표면 가교 반응이 진행되어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재습윤 현상의 억제가 어려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복합 단열재에 포함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입경은 10 내지 850 ㎛ 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입경이 150 ㎛ 이하인 경우는 미분, 및 150 ㎛ 초과 850 ㎛ 이하인 경우는 정상 입자로 분급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정상 입자를 주로 제품화하는 반면, 본 발명에서의 복합 단열재는 수분을 흡수하고 스스로 팽윤되는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입경의 크기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정상 입자 및 미분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경은 레이저 회절 법(laser diffraction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우선 단량체 조성물의 중합 반응을 진행한다. 상기 단량체 조성물은 앞서 서술한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내부 가교제, 그리고 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증점제(thickener), 가소제, 보존안정제, 산화방지제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조성물은 중합 반응을 통해 함수겔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함수겔 중합체를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에서,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함수겔 중합체를 건조하기 전에 조분쇄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분쇄 공정을 거치거나, 혹은 조분쇄 공정을 거치지 않은 중합 직후의 함수겔 중합체에 대해 건조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건조 단계를 거쳐 얻어진 건조된 중합체를 분쇄하여 베이스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표면 가교제의 존재 하에 상기 베이스 수지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표면 가교층을 형성하는 표면 가교 결합 반응 단계가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표면 가교제는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표면에 도포된다. 따라서, 상기 표면 가교 결합 반응은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표면 상에서 일어나며, 이는 입자 내부에는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입자의 표면 상에서의 가교 결합성을 개선시킨다. 따라서 표면 가교 결합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내부에서보다 표면 부근에서 더 높은 가교 결합도를 갖는다. 표면 가교제가 첨가된 중합체 입자를 가열시킴으로써 표면 가교 결합 반응 및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면 가교 후, 표면 가교층이 형성된 가교 중합체로 이루어진 베이스 수지를 분급하는 단계가 이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를 분쇄 및 분급과 같은 공정을 통해 고흡수성 수지 입자로 완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입경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목적에 따른 적절한 입경의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제품화할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EDANA 법 WSP 241.3에 따라 측정한 보수능(CRC)이 24 g/g 이상, 또는 25 g/g 이상, 또는 26 g/g 이상이면서, 40 g/g 이하, 38 g/g 이하, 또는 36 g/g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EDANA법 WSP 242.3에 따라 측정한 0.7 psi에서의 가압흡수능(AUP)이 18 g/g 이상, 또는 20g/g 이상 또는 22 g/g 이상이면서, 27 g/g 이하, 또는 25 g/g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에 포함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기본적으로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블랑켓에 침투할 대기 중의 수분을 미리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랑켓에 이미 침투한 수분 역시 고흡수성 수지 입자에 흡수됨으로써 복합 단열재의 단열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 단열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도 1의 (a) 및 (b)를 참고하면, 상기 복합 단열재(1)는 블랑켓(2) 사이에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3)과 블랑켓(2)이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1 (a)의 경우, 상기 블랑켓(2) 사이에 고흡수성 수지층(3)이 하나로 적층된 복합 단열재(1)이며, 도 1의 (b) 경우는 상기 블랑켓(2) 사이에 교대로 고흡수성 수지층(3), 블랑켓(2) 그리고 고흡수성 수지층(3)이 순서대로 적층되는 구조로,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3)이 2개로 적층된 복합 단열재(1)이다. 즉, 상기 복합 단열재(1)에서 단열재 역할을 하는 블랑켓(2)의 1 면 이상은 고흡수성 수지층(3)과 맞닿아 있을 수 있는데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3)에 포함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자체 무게에서 최대 50배에 해당되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단열재인 블랑켓(2) 내의 수분을 최소화하는데 탁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고흡수성 수지 입자가 수분을 흡수하여도 상기 수분 흡수에 의한 상기 복합 단열재(1)의 열전도도 저하가 크지 않을 수 있다. 즉,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양호한 흡습 특성으로 인하여 수분에 의한 블랑켓(2)의 열전도도 증가의 억제가 가능하고, 흡습된 고흡수성 수지층(3)에 의한 열전도도 증가의 정도가 크지 않기 때문에, 복합 단열재(1) 자체의 수분에 의한 열전도도의 증가가 방지되고 이로써 수분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단열 성능의 유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복합 단열재(1)는 이하 도 1의 (a) 및 (b)를 참고하면, 고흡수성 수지층(3)은 상기 2 이상의 블랑켓(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3)은 상기 블랑켓(2) 상에 형성된 코팅층일 수 있고, 고흡수성 수지 입자가 통기성 수용체 충진된 충진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층(3)은 통기성 수용체 및 상기 통기성 수용체에 충진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경우,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분산 용매 및 바인더와 교반 및 혼합하여 준비되는 코팅액을 상기 블랑켓(2) 상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진층의 경우, 별도의 통기성 수용체에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충진시키고 상기 통기성 수용체를 밀봉한 후, 상기 2 이상의 블랑켓(2) 사이에 재치하고 압압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분말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분진과 같은 흩날리는 특성이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3)을 바인더와 함께 코팅층으로 적용하는 경우라도, 복합 단열재의 표면의 일부 고흡수성 수지 입자간 상호간의 접착력이 약해짐에 따라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가 따로 떨어져 흩날리게 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3)은 충진층의 형태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기성 수용체는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통과되지 못하면서 수분 및 공기는 통과되는 망상의 구조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기성 수용체로는 나일론, 유리 섬유(glass fiber)/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부직포 소재 및 생분해 소재(예를 들면, Poly Lactic Acid; PL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기성 수용체는 서로 교차하는 2 이상의 봉합선, 상기 봉합선에 의하여 구획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봉합선은 통기성 수용체를 교차로 가로질러 봉합하는 선으로, 상기 봉합선이 생성됨으로써 고흡수성 수지 입자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수용부가 생성된다. 상기 수용부는 통기성 수용체를 평면에서 봤을 때 다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통기성 수용체에 봉합선 및 수용부 없이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충진 시킨다면, 통기성 수용체 내의 고흡수성 수지 입자가 통기성 수용체의 면적 내에 불균일하게 충진된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상의 상기 복합 단열재를 세로로 세워서 단열재로 적용하는 경우, 중력에 의하여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들이 아래로 밀집하게 되므로, 고흡수성 수지 입자들의 불균일한 분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교차하는 2 이상의 봉합선을 통해 수용부의 구획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에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충진시킴으로써, 상기 복합 단열재가 세워져 세로로 적용되는 경우에도 고흡수성 수지 입자가 상기 통기성 수용체 내에 균일하게 수용된 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흡수성 수지층의 평량은 0.08 내지 0.31 g/cm2 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0.15 내지 0.25 g/cm2 일 수 있다. 상기 평량은 고흡수성 수지층의 면적 대비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에 포함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전체 질량에 대한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흡수성 수지층의 면적에 따라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질량을 상기 범위 내로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에 포함시키는 것이 고흡수성 수지층의 흡습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량이 0.08 g/cm2 이상인 경우에,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이 복합 단열재 내의 블랑켓에 침투한 수분 및 대기 중의 침투할 수분을 적절히 흡수하여 복합 단열재 자체의 습도 또는 함수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수분 분위기 하에서의 복합 단열재의 단열 성능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평량이 0.31 g/cm2 이하인 경우에, 예를 들어 고흡수성 수지층이 과한 비중 내지 두께로 형성됨에 따른 복합 단열재 전체의 단열 성능 저하는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고흡성 수지층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수분을 흡수하면 팽윤되는 특성이 있다. 즉, 이격되어있던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가 주변의 수분 및 복합 단열재에 침투된 수분을 흡수하면서 팽윤되어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은 침투된 수분이 복합 단열재의 표면에 이어 더 깊은 내부로 이동할 수 없도록 막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복합 단열재의 파손을 막아주는 완충 효과 및 블랑켓의 파손에 의한 수분 침투를 막아주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상기 블랑켓이 파손되더라도 상기 보호막에 의해 수분이 블랑켓에 과대하게 침투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2 이상의 블랑켓의 총 두께에 대한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의 두께의 비율은 0.025 내지 0.1 일 수 있다. 상기 두께의 비율이 0.1 초과할 경우, 고흡수성 수지층의 과도하게 팽윤되어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복합 단열재의 단열 효과가 낮아질 수 있으며, 오히려 복합 단열재 자체의 수분 과다로 인한 열전도도 저하가 초래될 수 있다. 아울러, 두께 비율이 0.025 미만인 경우, 다소 얇은 고흡수성 수지층으로 인해 블랑켓의 단열에 악영향을 주는 수분을 흡수하여 복합 단열재의 단열 효과를 유지하고자 하는 고흡수성 수지층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블랑켓의 총 두께에 대한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의 총 두께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 개의 블랑켓 사이에 1개의 고흡수성 수지층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두께의 비율은 2 개의 블랑켓 두께의 합에 대한 고흡수성 수지 층의 두께 비율을 의미한다. 이 때, 두께는 버니아캘리퍼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1)블랑켓의 제조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TEOS)와 물을 1:4의 몰비로 혼합하고 TEOS와 1:5의 중량비를 갖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실리카 졸을 제조하였고, 상기 실리카 졸에 염기 촉매를 투입하여 촉매화된 졸을 제조하였다.
상기 촉매화된 졸이 담긴 반응기에 블랑켓용 기재로서 유리 섬유를 넣어 실리카 졸을 블랑켓용 기재에 함침시키고, 1 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여 겔화시켜 습윤겔-섬유 복합체를 얻은 후, 온도를 60℃로 승온시킨 후 24 시간 동안 방치하여 숙성을 진행하였다.
이후 표면 개질제로서 에탄올(함수율 8 중량%)에 트리메틸에톡시실란이 40 부피%가 되도록 희석한 용액을 준비한다. 상기 표면 개질제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60℃에서 24시간 동안 소수성 처리를 진행하여 소수성 작용기가 부여된 에어로겔을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 및 표면에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150℃ 및 상압의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오븐 건조하여 두께가 10 mm 인 판상의 블랑켓을 제조하였다.
(2)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를 장착한 3L 유리 용기에 아크릴산 100 g(1.388 mol), 내부 가교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EGDA) 0.26 g, 중합 개시제인 광중합 개시제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0.008 g 및 열중합 개시제 과황산나트륨 0.20 g, 32%의 가성소다 용액 123.5 g을 상온에서 고형분 함량이 45.0 중량%가 되도록 물과 함께 혼합하여,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단량체 조성물을 폭 10 cm, 길이 2 m의 벨트가 10 cm/min 속도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공급하였다. 이때 중합 반응은 광원이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20 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함수율이 45 중량%인 함수겔 중합체를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함수겔 중합체를 300 ㎛ 내지 5000 ㎛의 입경을 갖는 입자가 되도록 미트 쵸퍼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이후, 상기 분쇄물을 Air-flow 오븐을 이용하여 185℃의 핫 에어(hot air)에서 30분 동안 건조하였다. 상기 분쇄, 건조 및 분급을 거쳐 베이스 수지를 얻었다.
상기 베이스 수지 100 g에 물, 메탄올 및 표면 가교제인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혼합한 표면 가교 용액을 투입한 뒤 198℃에서 표면 가교 결합 반응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분쇄 및 분급하여 10 내지 850 ㎛ 입경의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제조하였다.
(3)고흡수성 수지층의 제조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에서 제조된 10 g의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64 cm2(길이 8 cm X 너비 8 cm) 면적을 갖는 판상의 통기성 수용체에 충진한 뒤, 이를 수평하게 한 뒤 충진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균일하게 분포시켰다. 이후 상기 통기성 수용체의 길이 방향으로 1개의 봉합선 및 너비 방향으로 1개의 봉합선으로 봉합하여 이들 봉합선이 교차함으로써 4개의 수용부가 구획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봉합선이 생성됨으로써 구획된 다수의 수용부에 고흡수성 수지 입자들이 균일하게 수용된 상태이며, 평량이 0.16 g/cm2 이고 두께가 1 mm 인 고흡수성 수지층을 제조하였다.
(4)복합 단열재의 제조
상기 블랑켓의 제조에 의해 준비된 10 mm의 두께 및 144 cm2(길이 12 cm X 너비 12 cm) 면적의 판상의 블랑켓 상에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을 적층시켰다. 상기 적층된 고흡수성 수지층 상에 상기 블랑켓과 동일한 블랑켓을 적층시킨 후, 압압함으로써 상기 블랑켓과 고흡수성 수지층을 접착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2 개의 블랑켓 사이에 고흡수성 수지층의 두께가 1 mm이고 평량은 0.16 g/cm2으로 위치시켰다. 따라서, 2 개의 블랑켓의 총 두께에 대한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의 총 두께의 비율이 0.05 인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고흡수성 수지 층에 충진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양이 20 g으로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의 평량이 0.31 g/cm2 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판상의 통기성 수용체에 충진한 뒤 서로 교차하는 2 이상의 봉합선을 형성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고는, 즉 별도의 수용부를 구획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고흡수성 수지 층에 충진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양이 3 g으로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의 평량이 0.05 g/cm2 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고흡수성 수지 층에 충진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양이 25 g으로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의 평량이 0.39 g/cm2 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고흡수성 수지 층을 사용하지 않고 두께가 20 mm 인 단일층의 블랑켓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복합 단열재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열전도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흡습전 흡습후
사용된
복합 단열재
복합
단열재(g)
고흡수성
수지
입자(g)
열전도도
(mw/ m·K)
흡습 조건 복합
단열재
(g)
고흡수성
수지 입자
(g)
열전도도
(mw/ m·K)
실험예 1 실시예 1 61.4 10 19.0 80℃ 95% 61.5 17.8 19.1
실험예 2 실시예 2 61.3 20 19.0 80℃ 95% 62.4 27.9 19.5
실험예 3 실시예 3 61.5 10 19.0 80℃ 95% 61.6g 10.8 19.2
실험예 4 실시예 4 61.7 3 19.0 80℃ 95% 62 10.9 22.3
실험예 5 실시예 5 61.3 25 19.0 80℃ 95% 62.4 33.5 23.5
실험예 6 비교예 1 59.1 - 19.0 80℃ 95% 63.0 - 27.4
실험예 7 비교예 1 59.1 - 19.0 물에 담굼 71.7 - 56.3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복합 단열재의 샘플을 준비하여, 상기 샘플의 무게를 AND WBA-6200 High-precision Balance(0.01g-6200g)를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샘플의 상온(23±5℃) 열전도도는 NETZSCH社의 HFM 436 Lambda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후, 상기 복합 단열재의 샘플을 항온 항습기에 투입하여 80℃ 95%의 조건하에서 흡습시킨다. 이와 같이 흡습된 상태의 샘플의 무게와 열전도도를 전술한 방법과 같이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실시예 내지 비교예의 복합 단열재의 흡습 전 열전도도는 모두 동일하지만, 흡습 조건에 노출된 뒤에는 실험예 1 내지 5의 열전도도가 낮으므로 단열 성능이 우수하게 유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흡수성 수지층의 존재가 복합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의 흡습 특성을 통해 복합 단열재 내의 블랑켓으로 침투되는 수분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예 6, 7은 비교예 1로부터 제조된 복합 단열재로서 고흡수성수지층을 구비하지 아니한 복합 단열재에 대하여, 항온조에 동일한 조건으로 보관한 경우(실험예 6), 및 상기 복합 단열재를 25℃의 항온조에 담가둔 채 수면 위로 뜨지 않도록 추를 올려두어 고정한 경우(실험예 7)에 있어서, 단열 효과인 열전도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실험예 6 및 7은 흡습 전에 비해 열전도도가 44% 및 196% 증가하여, 고흡수성 수지층이 존재하는 실험예 1에 비해 확연히 저하된 단열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복합 단열재
2: 블랑켓
3: 고흡수성 수지층

Claims (10)

  1. 블랑켓용 기재 및 상기 블랑켓용 기재의 내부 및 표면에 형성된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2 이상의 블랑켓;
    상기 2 이상의 블랑켓 사이에 위치하고,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랑켓과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이 교대로 적층되는 복합 단열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은 통기성 수용체 및 상기 통기성 수용체에 충진 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수용체는 서로 교차하는 2 이상의 봉합선, 상기 봉합선에 의하여 구획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복합 단열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의 평량은 0.08 내지 0.31 g/cm2 인 복합 단열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블랑켓의 총 두께에 대한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의 총 두께의 비율은 0.025 내지 0.1인 복합 단열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겔은 표면에 소수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적어도 일부가 중화된 산성기를 갖는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내부 가교제의 가교 중합체를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입경은 10 내지 850 ㎛인 복합 단열재.
KR1020220085835A 2022-07-12 2022-07-12 고흡수성 수지층을 포함한 복합 단열재 KR20240009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835A KR20240009013A (ko) 2022-07-12 2022-07-12 고흡수성 수지층을 포함한 복합 단열재
CN202380013072.7A CN117794730A (zh) 2022-07-12 2023-06-01 包括超吸收性聚合物层的复合绝热材料
PCT/KR2023/007507 WO2024014707A1 (ko) 2022-07-12 2023-06-01 고흡수성 수지층을 포함한 복합 단열재
EP23839801.0A EP4360870A1 (en) 2022-07-12 2023-06-01 Composite insulating material comprising super absorbent polymer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835A KR20240009013A (ko) 2022-07-12 2022-07-12 고흡수성 수지층을 포함한 복합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013A true KR20240009013A (ko) 2024-01-22

Family

ID=8953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835A KR20240009013A (ko) 2022-07-12 2022-07-12 고흡수성 수지층을 포함한 복합 단열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60870A1 (ko)
KR (1) KR20240009013A (ko)
CN (1) CN117794730A (ko)
WO (1) WO202401470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269A (ko) 2004-06-29 2007-05-21 아스펜 에어로겔, 인코포레이티드 에너지 효율적이고 절연된 건물 외피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582U (ja) * 1992-11-11 1994-06-07 三井造船株式会社 断熱壁構造
JP3018438U (ja) * 1995-05-23 1995-11-21 雄亨 齋藤 可撓性をもった断熱材
JP2000263680A (ja) * 1999-03-16 2000-09-26 Dainippon Printing Co Ltd 建装部材用断熱性複合シートおよび断熱性建装部材
KR101804345B1 (ko) * 2013-07-04 2017-12-06 알이엠텍 주식회사 단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열 소재
US10987910B2 (en) * 2015-07-27 2021-04-27 Basf Se Foam as adhesive for composites for thermal insulation
KR200490186Y1 (ko) * 2018-02-21 2019-10-08 김중기 단열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269A (ko) 2004-06-29 2007-05-21 아스펜 에어로겔, 인코포레이티드 에너지 효율적이고 절연된 건물 외피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794730A (zh) 2024-03-29
WO2024014707A1 (ko) 2024-01-18
EP4360870A1 (en) 202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78707B (zh) 隔离材料
KR102475767B1 (ko)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CN109403022B (zh) 具有亲水性或疏水性的气凝胶/非织物复合材料的制备方法及其产品
US20160060808A1 (en) Heat insulation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TW202128594A (zh) 管理電動汽車電池之熱失控問題之組件及系統
KR101804345B1 (ko) 단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열 소재
US20210131025A1 (en) Thermal insulation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60120202A (ko) 에어로겔 함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단열 블랑켓
JPH11514959A (ja) エーロゲルおよび接着剤を含有する複合材料、その製造法、ならびにその使用
JP6934593B2 (ja) 断熱材とその製造方法
KR101323618B1 (ko) 에어로겔 코팅액, 이로 코팅된 에어로겔 시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에어로겔 시트
KR20240009013A (ko) 고흡수성 수지층을 포함한 복합 단열재
CN109626954A (zh) 一种耐温防潮型二氧化硅气凝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43284B1 (ko) 실리카를 이용한 교면방수공법
KR20220049841A (ko)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에어로겔 블랭킷
KR101492441B1 (ko) 상변화물질 및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2007842A (ja) 加湿エレメント及び加湿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及び加湿器
JP4804581B1 (ja) 加湿器
CN111278772A (zh) 低粉尘二氧化硅气凝胶毡及其制造方法
KR101322046B1 (ko) 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3027B1 (ko) 에어로겔 블랭킷
KR20200077262A (ko)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KR102512474B1 (ko) 공동주택 결로구간의 결로 방지 시공 방법
WO2024033294A1 (en) Composite material based on charcoal and polymer binder
KR20240047231A (ko) 무바인더 복합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복합 단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