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904A -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904A
KR20240008904A KR1020237043135A KR20237043135A KR20240008904A KR 20240008904 A KR20240008904 A KR 20240008904A KR 1020237043135 A KR1020237043135 A KR 1020237043135A KR 20237043135 A KR20237043135 A KR 20237043135A KR 20240008904 A KR20240008904 A KR 20240008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ipolar plate
fuel cell
longitudinal direction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하우스만
위르겐 발트슈미트
도미니크 비트카
하우케 포르만
귄터 린
Original Assignee
슝크 코렌슈토프테크닉 게엠베하
셀센트릭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슝크 코렌슈토프테크닉 게엠베하, 셀센트릭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슝크 코렌슈토프테크닉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40008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13Gas-impermeable carbon-contain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1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6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를 향하는 표면(13, 15)이 있는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2, 3)와 이러한 표면(13, 15)의 영역에 있는 정렬 부재(9)로 구성되는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정렬 부재는 높이(H)를 갖는 융기부(14)와 깊이(T)를 갖는 대응하는 오목부(12)를 갖는다. 본 발명은, 모든 융기부(14)와 대응하는 오목부(12)가 횡방향(Q)보다 종방향(L)으로 더 큰 범위(L1, L2)를 가지며, 상기 정렬 부재(9)의 대응하는 부분들 중 4개가 각각의 표면(13, 15)에 배치되고, 상기 부분들 중 각 2개는 공통 직선(10, 11)에 놓이고 동일한 방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상세하게 규정된 유형에 따른, 특히 서로 접착되는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로 이루어진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기본적으로 DE 10 2009 036 039 A1호에 공개되어 있다.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언급한 독일 공개 공보에 설명된 금속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경우에는 재료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예를 들어 용접된 2개의 절반부 또는 층으로 구성된다.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 또는 층을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서로에 대해 정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플레이트 절반부의 서로를 향하는 표면에 정렬 부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정렬 부재는 높이를 갖는 융기부와 깊이를 갖는 대응하는 오목부로 구성된다.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 또는 층이 서로 상하로 위치 설정되면, 융기부가 오목부에 맞물려 부품들을 서로 정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언급한 독일 공개 공보에서, 이는 도 4 이후의 실시예에서 상응하게 기술된다. 이때 구조는, 한 방향으로는 하나의 부재를 통해 위치 설정이 이루어지고, 다른 방향으로는 2개의 부재를 통해 위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플레이트 중 하나의 플레이트에서 오목부는 다른 플레이트의 융기부보다 훨씬 더 크게 구현되고, 상기 융기부는 또한 오목부와 다른 모양을 갖는다. 이는 비교적 복잡하다. 또한, 정렬을 위한 부재들이 실제 유동장 옆에 제공되어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형상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또는 나중에 분리되어야 하는 경우 상당한 추가 제조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규정된 유형에 따른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로 이루어진 개선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 및 여기에서 특히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의 특징을 갖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의해 해결된다. 이러한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바람직한 구성 및 개선예는 이를 인용하는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에서, 상기 방식의 선행 기술과 유사하게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로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는 적어도 서로를 향하는 표면의 영역에 정렬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정렬 부재는 높이를 갖는 융기부와 깊이를 갖는 대응하는 오목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융기부와 대응하는 오목부는 제 1 종방향으로 제 2 횡방향보다 큰 범위를 가지며,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은 서로 수직이고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4개의 정렬 부재가 각각의 표면에 배치된다. 정렬 부재 중 각각 2개는 공통 직선에 놓이고 동일한 방향을 갖는다. 즉, 공통 직선에 놓인 2개의 정렬 부재의 종방향은 예를 들어 플레이트 절반부의 외부 모서리 또는 플레이트 절반부의 중앙 대칭 라인에 대해 동일하게 정렬되는 한편, 제 1 직선과 바람직하게 교차하는 제 2 직선에 놓인 다른 2개의 정렬 부재도 이러한 동일한 방향을 갖는다. 따라서 방향은 한 쌍씩 동일하지만, 쌍들 간에는 바람직하게 상이하다. 그 결과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의 상응하게 간단하고 효율적인 위치 설정이 가능해지고, 상기 플레이트 절반부는 이어서 간단하게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특히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은 이때 바람직하게 삽입된 또는 플레이트 절반부 중 하나의 절반부 상에 도포된 밀봉- 및 접학 컴파운드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매우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2개의 정렬 부재의 종방향은 직선을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종방향은 2개의 각각의 정렬 부재를 연결하는 직선을 따라 또는 직선에 대해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배치되므로, 이러한 직선을 따른 및 종방향을 따른 위치의 조정이 어느 정도까지 가능하며, 이는 한편으로 오목부와 다른 한편으로 이에 대응하는 융기부 사이의 불가피한 최소 크기 차이로 인해 발생하지만, 수십 분의 1 밀리미터 범위의 오차를 보정해야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매우 작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다른 매우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직선 중 적어도 하나의 직선은 플레이트 절반부의 외부 치수 사이의 대칭 라인과 일치하지 않는다. 원칙적으로, 정렬 부재 중 2개는 해당 플레이트 절반부의 중앙에 있는 하나의 동일한 직선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직선이 편심으로 연장되어 구조 중앙의 이러한 대칭 라인에서 벗어나는 경우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직선은 특히 이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므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정렬 부재들은 예를 들어 각각의 플레이트 절반부의 대각선으로 마주 놓인 코너에 배치된다.
그러나 다른 매우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대칭 라인에서 벗어나는 직선이 대칭 라인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고 종방향의 치수의 두 배 미만만큼 대칭 라인으로부터 평행하게 벗어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직선은 이러한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서 대칭 라인에 대해 "약간" 이동하여, 정렬 및 접착 전에 플레이트 절반부들의 서로에 대해 가능한 비틀림이 효율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는 오류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높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다른 매우 바람직한 구성은 또한, 융기부와 대응하는 오목부가 동일한 모양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횡방향으로 및 높이에 있어서 융기부는 종방향으로, 횡방향으로 및 깊이에 있어서 오목부보다 작은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융기부의 동일한 모양과 세 공간 방향 모두에서 오목부에 비해 최소한으로만 더 작은 융기부의 구성은 각각의 융기부가 각각의 오목부에 의해 효율적인 수용을 가능하게 하여, 안전하고 확실한 정렬이 달성될 수 있고, 이는 매우 작은 공차로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의 서로에 대한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플레이트의 최소 제조 공차를 효율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플레이트 절반부는 탄소 함유 물질이 분포되어 배치된 플라스틱 매트릭스로 형성된다. 종종 흑연 플레이트 또는 탄소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라고도 하는 이러한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해당 몰드에서 제조된다. 몰드에 의해 작은 공차로 필요한 모양 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이폴라 플레이트에는 비교적 작은 제조 공차가 적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플레이트를 최적으로 서로 결합하려면, 융기부와 대응하는 오목부의 동일한 모양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 언급한 선행 기술에 기술된 금속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달리, 금속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용접 시 이에 따라 팽창하므로 융기부 및 대응하는 오목부의 동일한 형태는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든다.
다른 매우 바람직한 구성은 또한, 표면에 대해 가로로 연장되는 융기부의 면은 표면에 대해 오목부의 대응하는 면과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즉, 정렬 부재 내에서 융기부 및 오목부는 모두 표면에 대해 가로로 연장되는 영역에서 동일한 각도를 갖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 각도는 예를 들어 약 5 내지 15°일 수 있으므로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의 접착을 위해 다른 플레이트 절반부에 대한 하나의 플레이트 절반부의 위치의 동시 정렬로 정렬 부재의 영역에서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를 서로 확실하게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매우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의도한 선호 방향을 확실하게 정의하기 위해, 정렬 부재의 횡방향 범위는 종방향 범위의 1/3미만일 수 있으며, 높이와 깊이는 횡방향 범위의 절반보다 작다. 이로써 오목부의 바닥에 융기부가 놓이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으므로, 실제 플레이트 절반부와 그 표면 사이의 접착에 의해 이를 위해 제공된 영역에서 접촉 및 밀봉이 수행된다.
종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에서 종방향은 예를 들어 2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유동 안내 영역과 플레이트 절반부의 외부 모서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은 동시에, 플레이트 절반부들의 서로 확실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충분하다. 처음에 언급한 선행 기술과 달리, 정렬을 위한 부재들을 적절히 위치 설정하기 위해, 추후 사용 시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고 불필요한 무게를 수반하거나 이에 따라 번거롭게 완성된 바이폴라 플레이트에서 제거해야 하는 돌출부나 러그홀(lug hole)과 같은 추가 부재들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실시예에 제시된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분해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하나의 플레이트 절반부의 가능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하나의 플레이트 절반부의 가능한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정렬 부재의 오목부의 종단면과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따른 오목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렬 부재의 융기부의 횡단면과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따른 융기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하나의 플레이트 절반부의 플레이트의 가능한 제 3 실시예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하나의 플레이트 절반부의 가능한 제 4 실시예의 평면도.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이폴라 플레이트(1)가 분해도로 도시된다.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2, 3)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절반부는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봉- 및 접착 컴파운드(4)를 사용하여 서로 결합된다. 공개된 방식으로, 이러한 바이폴라 플레이트(1)로 구성된 연료 전지의 유리체(educt) 중 하나, 특히 대기 산소 또는 수소를 위한 유동장(5)이 위쪽으로 도시된 표면에 제공된다. 냉각 매체 유동장은 일반적으로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2, 3) 사이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장 중 하나의 절반만, 즉 하부 플레이트 절반부(3)에 위치하는 절반만을 볼 수 있다. 상기 유동장은 도면부호 6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밖에 바이폴라 플레이트(1) 내에 매체의 공급 및 제거를 위한 개구부(7)가 제공되며, 이는 공개된 방식으로 설계된다. 그러한 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 그렇게 중요하지 않고 당업자에게 익숙한 임의의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상세한 도시는 생략된다. 도 2에 하부 플레이트 절반부(3) 및 이에 대응하는 냉각 매체를 위한 유동장(6)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유동장(6)은 각각의 플레이트 절반부(2, 3) 및 추후에 접착에 의해 이들 플레이트 절반부(2, 3)로 형성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의 외부 가장자리(8) 내의 이미 언급한 개구부(7)와 함께 배치된다. 각 플레이트 절반부(2, 3)는 프레스 몰드(press mold)로부터 얻어지며 예를 들어 흑연과 같은 탄소 함유 물질과 대응하는 플라스틱 매트릭스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완성된 플레이트 절반부 (2, 3)는 연료 전지의 전체 스택에 걸쳐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인터페이스 플레이트라고도 하는 연료 전지의 가장자리 영역에 있는 2개의 바이폴라 플레이트(1)의 경우에만 플레이트 절반부(2, 3) 중 하나만 필요하며 대안적인 인터페이스 플레이트 절반부와 결합되거나 2개의 조정된 플레이트 절반부가 사용된다. 그러나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의 플레이트 절반부(2, 3)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부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2, 3)의 서로에 대한 정렬을 단순화하기 위해, 이제 서로를 향하는 플레이트 절반부(2, 3)의 표면에 정렬 부재(9)가 제공되며, 상기 정렬 부재는 각각 플레이트 절반부(2, 3) 중 하나의 플레이트 절반부에 상승부 또는 융기부(14; 도 6 참조)와 다른 플레이트 절반부(3, 2)의 동일한 영역에 대응하는 오목부(12; 도 4 참조)로 형성된다. 도 2에서 2개의 정렬 부재(9)는 유동장(6)과 관련하여 대략 중앙에 그리고 여기서는 관류되는 채널의 주 방향에 대해 가로로 형성된다. 이들은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라운드된 모서리가 있는 2개의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점선으로 도시되고 10으로 표시된 직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이들은 플레이트 절반부(3)의 외부 가장자리(8) 내에 및 실제 유동장(6)의 외부에 위치한다. 다른 한 쌍의 정렬 부재(9)도 외부 가장자리(8)와 개구(7) 사이에 위치하며, 다른 직선(11)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두 쌍의 정렬 부재(9)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방향은 후속해서 도 4 이하에 설명될 각각의 정렬 부재(9)의 종방향과 정렬되고 또는 직선(11 또는 10)을 따라 정렬된다. 직선(10, 11)은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므로, 각각 서로 쌍을 이루는 정렬 부재(9)의 종방향도 이에 상응하게 서로 수직이다. 직선 중 적어도 하나, 여기에서 직선(11)은 플레이트 절반부(2, 3)의 대칭 라인(S)에 대해 오프셋 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플레이트 절반부(2, 3)의 비틀린 조립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대칭 라인(S)과 직선(11) 사이의 오프셋은 이 경우 정렬 부재(9)의 종방향 범위의 2배보다 작고, 즉 바람직하게 전체 플레이트 절반부(3) 또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의 치수와 관련하여 비교적 작다.
도 3에 개별 정렬 부재(9)의 대안적인 배치가 도시된다. 직선(10, 11)은 여기에서 각각 한쪽 모서리로부터 다른 모서리로 대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플레이트 절반부(3)의 대략 중앙에서 교차한다. 여기에서도, 각각의 직선(10 또는 11)을 통해 서로 연결된 2개의 정렬 부재(9)는 또한 각각 동일하게 정렬되어 형성되지만, 이러한 정렬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의 직선(10, 11)과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배향될 필요는 없다. 각각의 직선(10, 11)을 통해 서로 연결된 정렬 부재(9)의 각 쌍의 배향의 정렬은, 예를 들어 2개의 직선(10, 11) 사이의 교차 각도보다 큰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배향은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80 내지 100°의 각도 범위에 놓이게 된다.
도 4 및 후속 도면에서 정렬 부재(9)의 오목부(12) 및 융기부(14)의 가능한 구성이 확대하여 도시된다. 도 4에는 이 경우 예를 들어 플레이트 절반부(2)가 도시되고, 상기 플레이트 절반부는 도 1에서 상부 플레이트 절반부에 해당하고, 순전히 예시적으로 애노드 플레이트에 해당한다. 도면 좌측에 오목부(12)의 종방향(L)을 따른 종단면이 도시되고, 그 옆 우측에 횡방향(Q)을 따른 횡단면이 도시된다. 오목부(12)는 종방향을 따라, 예를 들어 플레이트 절반부(2)의 표면(13)을 향하는 영역에, 종방향(L)으로 제 1 범위(L1)와 횡방향(Q)으로 제 1 범위(Q1)를 갖는다. 표면(13)과 오목부(12)의 가장 깊은 지점 사이의 깊이는 T이다.
예를 들어, 종방향 범위(L1)는 예를 들어 약 6mm일 수 있는 한편, 깊이(T)는 0.5mm로 실현될 수 있으며, 횡방향(Q) 범위는 Q1 = 1.5mm로 실현될 수 있다. 오목부(12)는 이 경우, 도 4의 화살표 V에 따른 시선 방향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된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 또는 직선 모서리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는 이제 도 4의 오목부(12)에 대응하는 융기부(14)가 도시되며, 여기에서도 좌측의 종단면과 우측의 횡단면을 볼 수 있다. 융기부(14)는 이에 따라 제 2 플레이트 절반부(3)의 표면(15)을 넘어 돌출한다. 융기부는 또한 표면(15)과의 교차 라인의 영역에 종방향(L)으로 치수(L2)를 가지며, 횡방향(Q)으로는 치수(Q2)를 갖는다. 융기부는 표면(15)에 대해 높이(H)를 갖는다. 이 경우 모양은 도 6의 화살표 VII에 따른 도 7의 관점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2)의 구성과 유사하다. 그러나 치수는 다소 작아서, L2는 L1보다 작아서, 예를 들어 L1 = 6mm이므로, L2 = 5.8mm가 된다. Q2는 이에 따라 Q1보다 작고, 예를 들어 Q1 = 0.5mm이고 Q2 = 0.135 내지 0.145mm이다. 높이(H)는 또한 이에 따라, 센터링을 달성하지만, 표면(13, 15)이 서로 또는 이들 사이에 배치된 접착- 및 밀봉 컴파운드(4)와의 접촉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깊이(T)보다 작다. 깊이(T)는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0.5mm일 수 있는 한편, 높이 H는 0.45mm에 불과하다.
물론 당업자는 언급된 조치를 순전히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알고 있다. 특히, 깊이(T)는 플레이트 절반부(2, 3)의 안정성이 불필요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 플레이트 절반부(2, 3)의 두께의 1/3보다 작아야 한다.
도 8은 도 2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따른 정렬 부재들(9)의 배치는 십자형으로 기술될 수 있다. 도 8에 따른 정렬 부재(9)의 배치 또한 이와 유사하게 십자형으로 기술될 수 있고, 도 8의 십자형은 도 2와 달리 측면에 대해 틸팅되고 또는 45°회전되었다.
도 9에 따른 실시예는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디자인 부재들을 결합하고, 여기서 정렬 부재(9)의 배치는 원형으로 기술될 수 있고, 도 8에 따른 실시예에서 2개의 정렬 부재는 좌측 하단 및 우측 상단에 도 3과 같이 배치되고, 2개의 정렬 부재(9)는 도 9와 같이 좌측 상단 또는 우측 하단에 배치된다.
물론, 역방향 배치, 즉 플레이트 절반부(3)의 오목부(12)와 플레이트 절반부(2)의 융기부(14)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다른 모양도 가능하다. 물론, 각각의 플레이트 절반부(2, 3)의 오목부(12) 및 대응하는 융기부(14)의 위치 설정은 또한 제공된 4개의 정렬 부재(9) 각각에 대해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정렬 부재(9)의 각 쌍은, 예를 들어, 각각의 플레이트 절반부(2, 3)에 오목부(12) 및 융기부(1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서로의 쌍의 다른 구성도 고려될 수 있다.

Claims (10)

  1.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1)로서, 서로를 향하는 표면(13, 15)이 있는 2개의 플레이트 절반부(2, 3)와 이러한 표면(13, 15) 영역에 있는 정렬 부재(9)로 구성되고, 상기 정렬 부재는 높이(H)를 갖는 융기부(14)와 깊이(T)를 갖는 대응하는 오목부(12)를 갖는 것인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있어서,
    모든 융기부(14)와 대응하는 오목부(12)가 종방향(L)으로 횡방향(Q)보다 큰 범위(L1, L2)를 가지며, 상기 정렬 부재(9)의 대응하는 부분들 중 4개가 각각의 표면(13, 15)에 배치되고, 상기 부분들 중 각 2개는 공통 직선(10, 11)에 놓이고 동일한 방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정렬 부재(9)의 종방향(L)은 각각의 상기 직선(10, 11)을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10, 11)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플레이트 절반부(2, 3)의 외부 치수 사이의 대칭 라인(S)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10, 11)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정렬 부재(9)의 종방향(L)의 치수(L1, L2)의 두 배 미만만큼 상기 대칭 라인(S)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14)와 상기 오목부(12)가 동일한 모양을 갖고, 종방향(L)으로, 횡방향(Q)으로 및 높이(H)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14)는 상기 오목부(12)의 대응하는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13, 15)에 대해 가로로 연장되는 상기 융기부(14)의 면은 상기 표면(12, 13)에 대해 상기 오목부(12)의 대응하는 면과 동일한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방향(Q)의 범위(Q1, Q2)는 종방향(L)의 범위(L1, L2)의 1/3 미만이고, 상기 높이(H)와 상기 깊이(T)는 횡방향(Q)의 범위(Q1, Q2)의 절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L)의 범위(L1, L2)는 2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절반부(2, 3)는 플라스틱 매트릭스에 분포 배치된 탄소 함유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부재(9)는 유동 안내 영역(6)과 각각의 플레이트 절반부(2, 3)의 외부 모서리(8)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KR1020237043135A 2021-07-22 2022-07-20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KR202400089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207840.0A DE102021207840A1 (de) 2021-07-22 2021-07-22 Bipolarplatte für eine Brennstoffzelle
DE102021207840.0 2021-07-22
PCT/EP2022/070298 WO2023001870A1 (de) 2021-07-22 2022-07-20 Bipolarplatte für eine brennstoffzel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904A true KR20240008904A (ko) 2024-01-19

Family

ID=8294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135A KR20240008904A (ko) 2021-07-22 2022-07-20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374439A1 (ko)
KR (1) KR20240008904A (ko)
CN (1) CN117378067A (ko)
CA (1) CA3220513A1 (ko)
DE (1) DE102021207840A1 (ko)
TW (1) TW202312546A (ko)
WO (1) WO2023001870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8810B2 (ja) * 2001-12-27 2007-0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DE102009036039B4 (de) 2009-08-03 2014-04-17 Reinz-Dichtungs-Gmbh Bipolarplatt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13020840A1 (de) * 2013-12-17 2015-06-18 Daimler Ag Bipolarplatte für eine Brennstoffzelle, Brennstoffzel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ipolarplatte
DE102020007731A1 (de) * 2020-12-17 2021-03-04 Daimler Ag Bipolarplatte für eine Brennstoffze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20513A1 (en) 2023-01-26
TW202312546A (zh) 2023-03-16
EP4374439A1 (de) 2024-05-29
WO2023001870A1 (de) 2023-01-26
DE102021207840A1 (de) 2023-01-26
CN117378067A (zh)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0083B2 (ja) 燃料電池セル
US7981569B2 (en) Fuel cell
US8974980B2 (en) Fuel cell
JP2007213971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セ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US9450252B2 (en) Insulating structure,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US20060024560A1 (en) Separator and cell using the same for use in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US7534518B2 (en) Cell for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with improved gas flow sealing
US20160190610A1 (en) Membrane electrode assembly with frame, fuel cell single cell, and fuel cell stack
CA2894731A1 (en) Fuel cell
US8221930B2 (en) Bipolar separators with improved fluid distribution
US7005209B1 (en) Fuel cell stack assembly
US10403907B2 (en) Separator for a fuel cell
KR20240008904A (ko)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EP2696414B1 (en) Fuel cell
US20140363733A1 (en) Sealed battery
KR20150003782A (ko) 스택 내 압력 분배를 개선하기 위한 단부 판 조립체를 가진 연료 셀 스택
CA2871344C (en) Fuel cell stack with displacement absorbing projections
WO2012137820A1 (ja) 燃料電池セル
EP2054965A1 (en) Bipolar separators with improved fluid distribution
KR20170130185A (ko) 전기화학 전지 스택
US7001687B1 (en) Unitized MEA assembli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CA2435899A1 (en) Fuel cell stack for vehicle
TW202221962A (zh) 進階流道整合快速成形固態氧化物燃料電池平板型連接板的方法
US20240055617A1 (en) Bipolar plate, electrochemical cell,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chemical cell
KR101951163B1 (ko) 연료 전지의 단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