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541A - 구조신호장치 - Google Patents

구조신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541A
KR20240008541A KR1020220085492A KR20220085492A KR20240008541A KR 20240008541 A KR20240008541 A KR 20240008541A KR 1020220085492 A KR1020220085492 A KR 1020220085492A KR 20220085492 A KR20220085492 A KR 20220085492A KR 20240008541 A KR20240008541 A KR 20240008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cue
input unit
signal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길
Original Assignee
김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길 filed Critical 김태길
Priority to KR102022008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541A/ko
Publication of KR2024000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5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2Generating a prealarm to the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Abstract

화재 등의 긴급 상황 발생 시, 거주공간의 내부에 고립된 구조요청자의 구조요청신호를 표시하는 구조신호장치를 제공한다.
구조신호장치는 거주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구조요청신호 또는 구조완료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입력부, 거주공간의 외부에 배치되고,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 또는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발광되도록 구성되는 구조신호등을 포함하는 출력부, 및 입력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에 따라 구조신호등에 적색광을 점등하고,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구조신호등에 점등된 적색광을 소등하고 녹색광을 점등하도록 구조신호등을 제어한다.

Description

구조신호장치{RESCUE SIGNAL DEVICE}
본 발명은, 구조신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화재 등의 긴급 상황 발생 시, 거주공간의 내부에 고립된 구조요청자의 구조요청신호를 표시하는 구조신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 화재 발생 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구조 대원, 건물 관리자, 또는 소방서에 최대한 신속하게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화재 발생 시, 구조 대원은 거주공간 내부에 고립된 생존자를 최단 시간 내에 찾아 구조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 다세대 주택 또는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주거 형태에 화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구조 대원이 여러 명의 사람을 구조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여러 거주공간 중 어느 거주공간에 생존자가 있는 것인지 파악이 되지 않아 구조 시간을 낭비하거나, 추가적인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소방법의 강화와 기술의 발전으로 신축하는 건물에는 화재 시스템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구축될 수 있으나, 대다수의 기존 건물은 사람이 직접 눌러서 알려야 하는 외부에 마련된 화재발신기 및 화재수신기 정도만 설치된 경우가 많아,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방재실 또는 소방서에 신고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재발신기 및 화재수신기는 화재 알람을 하는 기능만 있을 뿐, 화재 등의 상황에서 구조 대원이 신속하게 거주공간에 고립된 생존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은 없어 추가적인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6665호, 2017.09.22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화재 발생 시, 구조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입력부를 거주공간의 내부에 마련함으로써, 구조 요청자의 구조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신속한 구조를 통해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구조신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구조요청신호에 따라 적색광을 점등하고,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적색광을 소등하고 녹색광을 점등함으로써, 구조 대원이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구조요청을 파악할 수 있는 구조신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화재 발생 시, 구조 요청자의 구조요청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고 거주공간의 방재실 또는 소방서의 상황실로 화재 발생 상황을 통보할 수 있는 구조신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조신호장치는 거주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구조요청신호 또는 구조완료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입력부, 상기 거주공간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 또는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발광되도록 구성되는 구조신호등을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구조신호등에 적색광을 점등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상기 구조신호등에 점등된 적색광을 소등하고 녹색광을 점등하도록 상기 구조신호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버튼식으로 구성되는 구조요청버튼 및 구조완료버튼을 포함하는 제1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와 단말기가 서로 통신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단말기를 통한 구조요청신호 및 구조완료신호가 상기 통신부에 의해 무선 입력되도록 구성되는 제2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거주공간의 출입문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출입문의 인근에 마련되는 상기 거주공간의 외벽에 설치되는 제1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거주공간의 재해를 감시하는 방재실에 설치되거나 또는 소방서에 설치되는 제2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경보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주공간의 재해를 감시하는 방재실 또는 소방서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구조요청신호 또는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방재실 또는 상기 소방서의 전화번호로 구조 상황을 통보하고, 상기 저장부에 통보 기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거주공간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동되는 화재발신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구조신호등에 점등된 적색광에 따라 상기 거주공간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동되는 화재수신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외부전원 및 충전되어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전원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긴급 상황에 의해 차단된 상기 외부전원을 대체하도록 상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구조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입력부를 거주공간의 내부에 마련함으로써, 구조 요청자의 구조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신속한 구조를 통해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구조 요청 신호에 따라 적색광을 점등하고, 구조 완료 신호에 따라 적색광을 소등하고 녹색광을 점등함으로써, 구조 대원이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구조 요청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구조 요청자의 구조 요청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고 거주공간의 방재실 또는 소방서의 상황실로 화재 발생 상황을 통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가 단말기 등과 통신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저장부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가 설치된 거주공간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가 설치된 거주공간의 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구조신호등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경보스피커를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화재발신기 및 화재수신기를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외부로 구조상황을 통보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의 세부 블록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의 작용 원리 및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는, 컴퓨터, 서버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가 단말기 등과 통신하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의해 단말기(200), 거주공간(10)의 재해를 감시하는 방재실(300) 또는 소방서(400)의 상황실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에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 방식이 사용되며,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여러 가능한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구조신호장치(100) 및 단말기(200)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수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또한, 구조신호장치(100) 및 단말기(200) 각각은 전자장치, 전자기기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단말기(200)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저장부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프로세서(13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와 연결되는 것으로, 프로세서(130)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130)로 하여금 구조신호장치(100)를 제어하도록 야기하는(cause)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5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저장부(15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150)는 구조신호장치(100)가 설치된 거주공간(10)의 재해를 감시하는 방재실(300) 또는 소방서(400)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구조신호장치(1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구조요청신호 또는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50)와 프로세서(130)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50)와 프로세서(130)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이하의 도 3 내지 도 10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가 설치된 거주공간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가 설치된 거주공간의 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구조신호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거주공간(10)의 내부에 배치되고, 구조요청신호 또는 구조완료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입력부(110), 및 거주공간(10)의 외부에 배치되고, 입력부(100)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 또는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되는 출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입력부(110)와 단말기(200)가 서로 통신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버튼식으로 구성되는 제1 입력부(111), 및 단말기(200)를 통한 구조요청신호 및 구조완료신호가 통신부(140)에 의해 무선 입력되도록 구성되는 제2 입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11)는 거주공간(10)의 내부에 고립된 구조요청자가 수동으로 눌러 구조신호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버튼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화재 발생 시, 거주공간(10)의 내부에 고립된 구조요청자를 감지하는 복잡한 자동 감지 시스템이 아닌, 구조요청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직관적인 버튼식 제1 입력부(111)에 의해 단순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화재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11)는 버튼식으로 구성되는 구조요청버튼(111a), 및 버튼식으로 구성되는 구조완료버튼(111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거주공간(1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거주공간(10)의 내부에 고립된 구조요청자는 구조요청버튼(111a)을 눌러 구조신호장치(100)의 구조신호를 동작시킬 수 있고, 구조요청자를 구조한 구조대원은 구조완료버튼(111b)을 눌러 구조신호장치(100)의 구조신호를 해제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거주공간(10)의 출입문(11)과 인접한 거주공간(10)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력부(11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출력부(120)와 통신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00)는 출입문(11)에 설치되는 출력부(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출입문(11)에 설치될 수 있다. 이경우,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거주공간(10)의 외부에 설치되는 출력부(12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입력부(112)는 거주공간(10)의 내부에 고립된 구조요청자의 단말기(200)가 무선 스위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구조신호장치(100)를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제2 입력부(112)는 거주공간(10)의 내부뿐 아니라 외부에서도 단말기(200)를 통해 원격으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거주공간(10)의 내부에 화재가 진행되어 구조요청자가 거주공간(10)의 내부에 설치된 입력부(110)를 직접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라도, 구조요청자의 단말기(200)를 통해 원격으로 구조신호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출력부(120)는 거주공간(10)의 출입문(11)에 설치되는 제1 출력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출력부(121)는 통신부(140)를 통해 입력부(110)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거주공간(10) 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부(121)는 출입문(11)의 인근에 마련되는 거주공간(10)의 외벽(12)에 설치되거나 또는 거주공간(10)의 창문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출입문(11)에 설치되는 제1 출력부(121)는 출입문(11)의 손잡이로부터 반경 0.5m 이내로 설치될 수 있다. 출입문(11)에 설치되는 제1 출력부(121)는 출입문(11)의 하부로부터 0.8m 내지 1.5m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등의 긴급 상황 발생 시, 농연 등으로 구조 대원의 시야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구조 대원이 구조신호등(123)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입문(11)에 설치되는 제1 출력부(121)는 출입문(11)에 설치된 전자도어락과 유사한 형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출입문(11)의 인근에 마련되는 거주공간(10)의 외벽(12)에 설치되는 제1 출력부(121)는 초인종 시스템과 유사한 월패드 형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20)는 거주공간(10)의 재해를 감시하는 방재실(300)에 설치되거나 또는 소방서(400)에 설치되는 제2 출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방재실(300)에 설치되거나 또는 소방서(400)에 설치되는 제2 출력부(122)는 통신부(140)에 의해 입력부(110)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거주공간(10)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내부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외부에 배치되는 거주공간(10)의 재해를 감시하는 방재실(300)에 설치되거나 또는 소방서(400)에 설치되는 제2 출력부(122)에 의해, 거주공간(10) 내부의 화재 사실을 외부로 신속하게 통보할 수 있고, 출동한 구조 대원에 의해 신속한 화재 진압 및 인명 구조가 가능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발광되도록 구성되는 구조신호등(12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신호등(123)은 LED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신호등(123)은 적색 LED광원 및 녹색 LED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조신호등(123)으로부터 수평으로 0.5m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한 구조신호등(123)의 조도는 1 LX이상일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조신호등(123)은 프로세서(130)에 의해 입력부(110)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에 따라 적색광으로 점등될 수 있다. 구조신호등(123)은 프로세서(130)에 의해 입력부(110)에 입력된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점등된 적색광을 소등할 수 있고, 녹색광으로 점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거주공간(10)을 포함하는 건축물로 출동한 구조 대원의 인명 구조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구조 대원은 화재가 발생한 건축물의 모든 공간의 인명을 탐색할 의무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의 구조신호등(123)에 의해 건축물 내부의 모든 공간을 탐색하는 순서를 효율적으로 계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거주공간(10)을 포함하는 건축물로 출동한 구조 대원은 먼저, 화재가 발생한 거주공간(10)이 위치되는 해당층의 거주공간(10)들을 탐색하고, 다음으로 화재가 발생한 거주공간(10)이 위치되는 해당층의 직상층의 거주공간(10)들을 탐색할 수 있다.
그 후, 화재가 발생한 거주공간(10)이 위치되는 해당층 및 직상층을 제외한 모든 층의 거주공간(10)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의 구조신호등(123)에 의해 적색광이 점등된 거주공간(10)들부터 탐색할 수 있고, 다음으로, 구조신호등(123)이 미점등된 거주공간(10)들, 마지막으로 구조신호등(123)에 의해 녹색광이 점등된 거주공간(10)들을 순서대로 탐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적색광 또는 녹색광으로 점등되는 구조신호등(123)에 의해 구조 대원이 화재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추가적인 인적 물적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고, 입력부(110)에 입력된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경보스피커(124)를 포함할 수 있다.
경보스피커(124)의 음압 범위는 75 db ~ 120 db일 수 있고, NFPA 75 규정을 준수할 수 있다. 또한, 경보스피커(124)를 포함하는 제1 출력부(121)가 거주공간(10)의 출입문(10)의 인근에 배치되는 외벽(12)에 설치되는 경우, 경보스피커(124)의 음압은 약 113 db일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경보스피커(124)를 포함하는 제2 출력부(122)가 방재실(300) 또는 소방실(400)에 설치되는 경우, 경보스피커(124)의 음압 범위는 80 db ~ 85 db일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구조신호등(123)을 통한 시각적인 알림에 더하여, 경보스피커(124)를 통한 청각적인 알림을 발생할 수 있어, 화재 사실을 외부로 보다 신속하게 통보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한 거주공간(10)을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의 저장부(150)는 거주공간(10)의 재해를 감시하는 방재실(300) 또는 소방서(400)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구조요청신호 또는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방재실(300) 또는 소방서(400)의 전화번호로 화재 상황 또는 구조 상황을 통보할 수 있고, 저장부(150)에 해당 통보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구조요청신호 또는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방재실(300) 또는 소방서(400)의 전화번호로 문자를 발송할 수 있고, 저장부(150)에 문자 발송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구조신호등(123)을 통한 시각적인 알림, 및 경보스피커(124)를 통한 청각적인 알림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저장부(150)에 저장된 방재실(300) 또는 소방서(400)의 전화번호로 문자를 통보할 수 있어, 화재 사실을 더욱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에 저장된 방재실(300) 또는 소방서(400)의 전화번호로 통보한 문자 발송 내역을 저장부(150)에 저장하여 화재 발생과 대응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통신부(140)에 의해 거주공간(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발신기(500) 및 화재수신기(600)와 연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에 따라 거주공간(10)의 외부에 마련되고 통신부(140)를 통해 연동되는 화재발신기(5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에 따라 구조신호등(123)에 적색광을 점등할 수 있고, 점등된 적색광에 따라 거주공간(10)의 외부에 마련되고 통신부(140)를 통해 연동되는 화재수신기(6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거주공간(10)을 포함하는 건축물에 기 설치되어 있는 화재발신기(500) 및 화재수신기(600)와 연동됨으로써, 추가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거주공간(10)의 내부에 고립된 구조요청자가 거주공간(10)의 외부에 배치된 화재발신기(500)를 동작시킬 수 없는 상황에서도, 입력부(110)에 구조요청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화재발신기(500) 및 화재수신기(6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화재발신기(500) 및 화재수신기(600)를 구조신호장치(100)를 통해 이중으로 제어함으로써, 거주공간(10)의 화재 사실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구조신호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외부전원(161), 및 충전되어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전원(161)은 교류전압의 옥내간선으로 할 수 있고, 외부전원(161)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통상적인 상황에서 외부전원(161)을 통해 구조신호장치(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화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여 외부전원(161)의 전력이 차단된 경우, 배터리(162)를 통해 구조신호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통상적인 상황에서 외부전원(161)에 의해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화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여 외부전원(161)이 차단되더라도, 전력이 충전된 배터리(162)를 통해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배터리(162)는 내장형 배터리, 충전 가능한 형태,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62)는 구조신호장치(100)가 외부전원(161) 없이 배터리(162)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약 60분 이상 작동될 수 있는 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거주공간(10)의 출입문(11)에 설치되는 제1 출력부(121)를 구동하는 배터리(162)는 충전 가능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162)는 출입문(11)이 닫히면, 배터리(162)의 충전 단자가 외부전원(161)과 접촉되어 충전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출력부(120)를 통해 배터리(162)의 충전 전력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배터리(162)의 충전 전력을 통신부(140)를 통해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적정화된 방진 방수 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전한 방진구조를 가지는 IP 65이상의 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조신호장치(100)의 재질은 쉽게 변형, 변질, 또는 변색되지 않고, 방사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구조신호등(123)은 쉽게 깨지지 않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신호장치(100)는 인장강도와 굴곡강도가 뛰어나 얇은 두께로도 견고한 난연ABS수지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난연ABS재질을 포함함으로써, 광택성이 좋고, 내열성이 우수하며, 내구성, 및 약품에 대한 내성이 뛰어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구조신호등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거주공간(1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구조신호등(123)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거주공간(10)의 내부에 마련된 입력부(110)가 구조요청버튼(111a)을 포함하는 제1 입력부(111), 또는 단말기(200)를 통한 제2 입력부(112)에 의해 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면(S610), 프로세서(130)가 구조신호등(123)을 적색광으로 점등할 수 있다. (S620)
적색광으로 점등된 구조신호등(123)이 배치된 거주공간(10) 내부의 고립된 구조요청자를 구조한 구조 대원에 의해 입력부(110)가 구조완료버튼(111b)를 포함하는 제1 입력부(111), 또는 단말기(200)를 통한 제2 입력부(112)에 의해 구조완료신호를 수신하면, (S630) 프로세서(130)가 구조신호등(123)에 점등된 적색광을 소등할 수 있고, 녹색광을 점등할 수 있다. (S64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경보스피커를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거주공간(1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경보스피커(124)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거주공간(10)의 내부에 마련된 입력부(110)가 구조요청버튼(111a)을 포함하는 제1 입력부(111), 또는 단말기(200)를 통한 제2 입력부(112)에 의해 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면(S710), 프로세서(130)가 경보스피커(124)의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S720)
경보음을 울리는 경보스피커(124)가 배치된 거주공간(10) 내부의 고립된 구조요청자를 구조한 구조 대원에 의해 입력부(110)가 구조완료버튼(111b)를 포함하는 제1 입력부(111), 또는 단말기(200)를 통한 제2 입력부(112)에 의해 구조완료신호를 수신하면, (S730) 프로세서(130)가 경보스피커(124)의 경보음을 해제할 수 있다. (S74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화재발신기 및 화재수신기를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거주공간(1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발신기(500) 및 화재수신기(600)와 연동되는 구조신호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거주공간(10)의 내부에 마련된 입력부(110)가 구조요청버튼(111a)을 포함하는 제1 입력부(111), 또는 단말기(200)를 통한 제2 입력부(112)에 의해 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S810) 프로세서(130)가 거주공간(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발신기(5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S820)
동시에 프로세서(130)는 구조신호등(123)을 적색광으로 점등할 수 있고, (S830) 프로세서(130)가 화재발신기(500)의 구동 또는 적색광으로 점등된 구조신호등(123)에 의해 거주공간(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수신기(6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S84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외부로 구조상황을 통보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거주공간(1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상황 또는 구조 상황을 문자로 통보하고, 통보 기록을 저장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거주공간(10)의 내부에 마련된 입력부(110)가 구조요청버튼(111a)을 포함하는 제1 입력부(111), 또는 단말기(200)를 통한 제2 입력부(112)에 의해 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S910) 프로세서(130)가 저장부(150)에 저장된 방재실(300) 또는 소방서(400)의 전화번호로 화재 상황을 문자로 통보할 수 있고, 저장부(150)에 문자 통보 내역을 기록할 수 있다. (S920)
거주공간(10) 내부의 고립된 구조요청자를 구조한 구조 대원에 의해 입력부(110)가 구조완료버튼(111b)를 포함하는 제1 입력부(111), 또는 단말기(200)를 통한 제2 입력부(112)에 의해 구조완료신호를 수신하면, (S930) 프로세서(130)가 저장부(150)에 저장된 방재실(300) 또는 소방서(400)의 전화번호로 구조 상황을 문자로 통보할 수 있고, 저장부(150)에 문자 통보 내역을 기록할 수 있다. (S94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구조신호장치(100)는 저장부(150), 프로세서(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BT(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IR(Infrare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전자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구조신호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UI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읽고 쓰기가 가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신호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및 버스(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CPU(133)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 및 렌더링부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장치(100)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에 동등한 것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 사항들에 있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거주공간 11: 출입문
12: 외벽 100: 구조신호장치
110: 입력부 111: 제1 입력부
111a: 구조요청버튼 111b: 구조완료버튼
112: 제2 입력부 120: 출력부
121: 제1 출력부 122: 제2 출력부
123: 구조신호등 124: 경보스피커
130: 프로세서 140: 통신부
150: 저장부 160: 전원공급부
161: 외부전원 162: 배터리
200: 단말기 300: 방재실
400: 소방서 500: 화재발신기
600: 화재수신기

Claims (10)

  1. 거주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구조요청신호 또는 구조완료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입력부;
    상기 거주공간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 또는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발광되도록 구성되는 구조신호등을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구조신호등에 적색광을 점등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상기 구조신호등에 점등된 적색광을 소등하고 녹색광을 점등하도록 상기 구조신호등을 제어하는 구조신호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버튼식으로 구성되는 구조요청버튼 및 구조완료버튼을 포함하는 제1 입력부를 포함하는 구조신호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와 단말기가 서로 통신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단말기를 통한 구조요청신호 및 구조완료신호가 상기 통신부에 의해 무선 입력되도록 구성되는 제2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신호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거주공간의 출입문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출입문의 인근에 마련되는 상기 거주공간의 외벽에 설치되는 제1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신호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거주공간의 재해를 감시하는 방재실에 설치되거나 또는 소방서에 설치되는 제2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신호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경보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구조신호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공간의 재해를 감시하는 방재실 또는 소방서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구조요청신호 또는 구조완료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방재실 또는 상기 소방서의 전화번호로 구조 상황을 통보하고, 상기 저장부에 통보 기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구조신호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구조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거주공간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동되는 화재발신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구조신호등에 점등된 적색광에 따라 상기 거주공간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동되는 화재수신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조신호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외부전원 및 충전되어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전원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긴급 상황에 의해 차단된 상기 외부전원을 대체하도록 상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신호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구조신호장치.
KR1020220085492A 2022-07-12 2022-07-12 구조신호장치 KR20240008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492A KR20240008541A (ko) 2022-07-12 2022-07-12 구조신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492A KR20240008541A (ko) 2022-07-12 2022-07-12 구조신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541A true KR20240008541A (ko) 2024-01-19

Family

ID=8971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492A KR20240008541A (ko) 2022-07-12 2022-07-12 구조신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85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665A (ko) 2016-03-14 2017-09-22 이현기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665A (ko) 2016-03-14 2017-09-22 이현기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6466B2 (en) Backup contact for security/safety monitoring system
JP5908160B2 (ja) 救助信号発信装置
US200701833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mmand of a group
US9726503B2 (en) User-wor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ng a user in an emergency
CN103037089A (zh) 一种移动装置的求助系统
US20130076507A1 (en) Tablet computer as user interface of security system
EP2885679A1 (en) Wireless electronic lock system and method
KR102302316B1 (ko) 건물의 화재장소와 소방기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제공시스템
JP2017016609A (ja) 独居者等の監視警備連絡装置
JP6243046B2 (ja) 誘導灯
KR20240008541A (ko) 구조신호장치
TWI621103B (zh) Disaster Alert Escape Guidance System and Escape Guidance Control Module
JP6616935B2 (ja) 警報器および警報器システム
US11095473B2 (en) Doorbell prompting control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4874584B2 (ja) 警備装置及び警備方法
US10484830B1 (en) Indoor positioning system for fireman
KR101543993B1 (ko) 무선형 비상신호 가동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
CN112799306A (zh) 智能型家庭控制系统
KR101733097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US20240021065A1 (en) Emergency health alert system
JP7152346B2 (ja) 警備システム
JP6802455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
JP2022107200A (ja) 防災照明装置及び救助支援システム
KR20230014148A (ko) 화재 경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시스템
JPH021684A (ja) ワイヤレス送信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