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444A -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444A
KR20240008444A KR1020220085031A KR20220085031A KR20240008444A KR 20240008444 A KR20240008444 A KR 20240008444A KR 1020220085031 A KR1020220085031 A KR 1020220085031A KR 20220085031 A KR20220085031 A KR 20220085031A KR 20240008444 A KR20240008444 A KR 20240008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rcass
temperature
eco
frien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두
Original Assignee
(주)동그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그라미 filed Critical (주)동그라미
Priority to KR1020220085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444A/ko
Publication of KR20240008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44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28B1/02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using water or other liquid as the cool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28B1/06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using air or other gas as the cooling med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 사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체처리장치는, 사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제거하는 제습부와, 상기 건조부로부터 수분이 제거된 사체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사체에 포함된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사체처리장치{Eco-friendly corps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사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 사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람의 시신을 처리하기 위한 장법으로 화장(火葬), 토장(土葬), 수장(水葬), 풍장(風葬)과 같은 4대 장법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토장이나 화장을 이용한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토장은 말 그대로 사체를 땅에 매장하는 장법을 의미하며, 화장은 사체를 불에 태워 처리하는 장법을 의미한다.
다만,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가 좁은 국가에서는 토장으로 처리할 수 있는 양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화장을 통해 사체를 처리하고, 유골은 납골당과 같은 시설을 만들어서 보관하거나, 땅에 매장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을 통한 사체 처리방식은 소각 시 사체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해 저온 연소 과정이 진행되어 유독성 배기가스나 다이옥신과 같은 공해물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장 후 유골 등을 땅에 매장할 때 사체에 포함된 금속물질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매장 후 토양을 오염시킨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액화질소를 이용해서 사체를 급속 냉동시킨 후 삼중점 이하의 압력에서 사체에 포함된 수분을 승화시키고, 물리적인 힘을 가해서 사체를 분쇄하는 빙장 기술이 제시되었으나, 빙장의 경우 사체의 처리과정이 친환경적이나 설비의 구성이 복잡하고 대형화된 설비가 사용되므로 완전한 해결책이 되지 못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종래 발명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3745호에서는 친환경 사체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사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와, 수분이 제거된 사체에 충격을 인가해서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는 분쇄부와, 분쇄된 사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분리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제거하는 제습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에 적재된 사체는 진공상태에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체 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친환경 사체처리장치의 경우, 별도의 온도센서가 없어 어느 정도의 출력 및 온도에서 얼마의 시간 동안 작동시켜야 최적의 건조 및 멸균작용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겨울철과 같이 실내외 온도차가 큰 경우에는 압력을 조금만 낮추더라도 수분이 바로 증발할 수 있어 계절 및 주변온도에 따라 작동되는 시간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습부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습부는 저온의 물이나 냉매가 흐르는 증발부재와, 증발부재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고온, 고압상태로 압축하는 압축부재, 전달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부재,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증발부재에 전달하는 팽창부재 또는 열교환부재와 같은 구성이 설치된다. 여기서, 건조부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바로 진공펌프로 전달되는 경우 습식진공펌프와는 달리 건식진공펌프는 수증기로 인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나, 습식진공펌프는 건식대비 펌프의 부피가 커서 설치공간이나 기타 조건에 따라 적절한 제습부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1223745호(2013.01.22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사체를 건조 및 멸균하는 건조부의 작동을 최적화시키고, 다양한 형태의 제습부 구성을 통해 수증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분쇄된 사체에 남아있는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유부가 포함된 친환경 사체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체처리장치는, 사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제거하는 제습부와, 상기 건조부로부터 수분이 제거된 사체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사체에 포함된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유부와, 상기 각 처리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조부는,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펌프부재와, 사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발생부재와, 상기 건조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재로부터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사체에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교반시키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마이크로파가 가해지면서 가열되는 사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와, 상기 건조부 내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T1)가 제2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T2)보다 기 설정된 온도(Tx) 이상 높아지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재의 작동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쇄부는, 건조된 사체를 단위부피로 분쇄하는 분쇄부재와, 상기 분쇄부재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된 사체를 단위부피보다 작게 분쇄된 경우에만 배출되도록 형성된 스크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유부는,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사체분말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사체분말을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하면서 압착하는 이송피더와, 상기 이송피더에 의해 이송되면서 압착된 유분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펌프부재는,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열교환기 및 기액분리기를 통과하거나 전기집진기를 통과하여 흡수되는 건식진공펌프 또는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열교환기만을 통과하여 흡수되는 습식진공펌프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조부의 둘레를 따라 열교환부재 및 상기 열교환부재와 연결되어 저온의 냉매 또는 저온의 물을 제공하는 냉각기 또는 응축기가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부재에 흐르는 저온의 냉매 또는 저온의 물에 의해 건조부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내부에서 응결시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유입시켜 제거하는 제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체와 건조부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고 일정 온도차 이상 발생하면 마이크로파 발생작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자동화를 통해 사체처리장치의 작동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유부의 구성을 통해 사체분말에 남아있는 유분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체처리장치의 전체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체처리장치에 있어서, 건조부 및 제습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체처리장치에 있어서, 건식진공펌프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체처리장치에 있어서, 건조부 둘레에 열교환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체처리장치에 있어서, 분쇄부가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체처리장치에 있어서, 제유부가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체처리장치에 있어서, 온도센서간의 온도차이에 따른 작동방식을 도시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체처리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체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체처리장치는, 사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100)와, 상기 건조부(10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제거하는 제습부(200)와, 상기 건조부(100)로부터 수분이 제거된 사체를 분쇄하는 분쇄부(300) 및 상기 분쇄부(300)로부터 분쇄된 사체에 포함된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유부(400)와, 상기 각 처리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건조부(100)는 내부에 사체가 놓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부(100) 내부 저면에 사체가 놓일 수 있는 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으며, 사체가 플레이트에 위치된 상태에서 건조부(100) 내부를 폐쇄한 후 건조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부(100)는,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펌프부재(110)와, 사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발생부재(120)와, 상기 건조부(1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재(120)로부터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사체에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교반시키는 교반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프부재(110)는 건조부(100)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진공상태에서 마이크로파를 통해 사체를 건조시킬 경우에는 대기압 상태에서 건조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사체 내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건조부(100)가 펌프부재(110)에 의해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마이크로파발생부재(120)에 의해 사체를 향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면서 사체를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재(120)는 건조부(100)의 상부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생된 마이크로파가 건조부(100) 내의 사체에 가해지면서 사체 내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건조 작용과 함께 멸균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진공상태에서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게 되면 직접 열을 가해 사체를 태워서 건조시키는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가열시킬 수 있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사체 표면과 내부를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어 사체 표면을 태우지 않고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사체를 태우면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재(120)로부터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사체에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교반시키는 교반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재(130)는 건조부(1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재(120)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를 교반함으로써 사체가 균일하게 가열되고 수분의 제거가 용이해진다. 상기 교반부재(130)의 일 실시예로, 건조부(100)의 상측 내주면 중앙에 설치된 프로펠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재(120)에 의해 발생된 마이크로파가 가해지면서 가열되는 사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140)와, 상기 건조부(100) 내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140)로부터 측정된 온도(T1)가 제2온도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온도(T2)보다 기 설정된 온도(Tx) 이상 높아지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재(120)의 작동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온도센서(140)는 건조부(100) 내에 위치한 사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고, 제2온도센서(150)는 건조부(100) 내부의 공기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건조부(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이렇게 각각의 온도센서가 설치된 상태에서 마이크로발생부재(120)를 통해 사체가 가열되는 상태의 실시간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사체 내부에 물은 가열작용이 계속됨에 따라 상변화가 일어난 후 완전히 수증기로 바뀌게 되고, 사체의 온도는 물이 액체상태일 때까진 상승하다가 상변화시 일정온도가 유지되고, 상변화가 종료된 이후부터 다시 상승하게 된다. 건조부(100)의 온도는 가열이 점차 진행됨에 따라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점차 상승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사체처리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온도센서(140)를 통해 측정된 사체의 온도(T1)가 제2온도센서(150)로부터 측정된 건조부(100)의 온도와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Tx)보다 높아지는 순간 사체처리장치의 작동이 종료되도록 이루어져, 관리자가 본 사체처리장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상변화 후에 사체가 지속적으로 가열되어 타버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온도(Tx)는 관리자가 건조부(100)의 크기나 마이크로파발생부재(120)의 개수나 출력, 사체의 크기, 계절에 따른 건조부(100)의 온도변화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한 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부(10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제거하는 제습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200)는 건조부(100)에서 사체가 가열되면서 발생한 수증기가 건조부(100) 내부에 정체될 경우 건조효율이 저하될 수 있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술한 펌프부재(110)가 건조부(100)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기 위해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수하여 진공을 잡아주는데, 여기서, 상기 펌프부재(110)는 기타 다양한 설비를 통해 수증기를 기액분리한 후 진공펌프가 진공을 잡아주는 건식진공펌프 방식과, 습기가 포함된 상태로 흡수하여 진공을 잡아주는 습식진공펌프 방식이 존재한다. 이러한 방식은 설치되는 환경이나 공간, 비용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펌프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펌프부재(110)는, 상기 건조부(10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열교환기(111) 및 기액분리기(112)를 통과하거나 전기집진기(118)를 통과하여 흡수되는 건식진공펌프 또는 상기 건조부(10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열교환기(111)만을 통과하여 흡수되는 습식진공펌프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식진공펌프의 다양한 실시예를 개시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상기 건조부(100)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배출되면서 저온의 물 또는 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로 유입되어 수증기와 저온의 물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수증기가 응결된다.
이렇게 응결된 수증기는 기액분리기(112)을 통과하면서 기상과 액상이 분리된 상태에서 액상을 제거한 후 건식진공펌프를 통해 수증기를 흡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111)는 냉각기와 연결되어 저온의 물을 공급해주고, 열교환되어 가열된 고온의 물이 배출되는 냉각기(113)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열교환기(111) 대신에 저온의 냉매를 공급하여 수증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11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114)는 저온의 냉매를 고온, 고압상태로 압축하는 압축기(115)와, 상기 압축기(115)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저온, 고압상태로 응축하는 응축기(116) 및 응축기(116)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저온, 저압상태로 팽창시켜 증발기(114)에 전달하는 팽창기(117)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건조부(100)에서 배출된 수증기에 전기장을 작용시켜 전기를 띄게하는 방식을 통해 효과적으로 기액분리를 하기 위한 전기집진기(118)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집진기(118)를 통과한 수증기는 이후 기액분리기(112)를 통해 기상과 액상이 분리되어 액상을 제거하고 건식진공펌프를 통과해 수증기를 흡수하면서 진공상태를 만들 수도 있다.
전술한 건식진공펌프의 경우 수증기 내 수분이 펌프 내부로 함께 유입되면서 기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습식진공펌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건조부(10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열교환기(111)만을 통과하여 별도의 기액분리장치를 통해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펌프로 흡수되는 습식진공펌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을 통해 수증기 내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건조부(100)의 둘레를 따라 열교환부재(119) 및 상기 열교환부재(119)와 연결되어 저온의 냉매 또는 저온의 물을 제공하는 냉각기(113) 또는 응축기(116)가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부재(119)에 흐르는 저온의 냉매 또는 저온의 물에 의해 건조부(100)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내부에서 응결시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기(113)나 응축기(116)를 통해 저온의 물이나 냉매를 제공하는 방식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고, 다만 건조부(100),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건조부(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열교환부재(119)가 일정간격으로 감기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렇게 열교환부재(119)가 설치되는 경우, 별도의 열교환장치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건조부(100) 내부에서 수증기가 열교환되어 응결되고, 응결된 물을 배출시킴으로써 공간 활용적이면서 설치비용이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쇄부(300)는, 건조된 사체(330)를 단위부피로 분쇄하는 분쇄부재(310)와, 상기 분쇄부재(310)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된 사체가 단위부피보다 작게 분쇄된 경우에만 배출되도록 형성된 스크린부재(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부재(310)는 사체를 작은 단위부피로 분쇄하기 위한 구성으로, 사체에 진동을 인가하는 플레이트를 통해 사체를 분쇄한 후 배출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분쇄칼날이 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사체를 단위부피로 분쇄하는 분쇄부재(310)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부재(310)를 통해 분쇄된 사체가 일정부피 이상으로 배출된 경우, 이후 과정에서 해당 사체조각에 의해 공정이 멈추거나 늦어질 수 있어, 분쇄되는 사체의 단위부피를 정하고 그 이하일 때만 배출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분쇄부재(310) 하부에는 분쇄된 사체가 단위부피보다 작은 경우에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위부피보다 작은 크기의 타공(320a)이 형성된 스크린부재(3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재(320)는 관리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여 크기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분쇄된 사체의 부피가 작은 경우에만 배출되도록 하고 아니라면 계속 분쇄부재(310)에 의해 분쇄되도록 함으로써 분쇄과정의 정밀성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유부(400)는, 상기 분쇄부(300)에 의해 분쇄된 사체분말이 투입되는 투입부(410)와, 상기 투입부(410)로 투입된 사체분말을 테이퍼링된 이송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하면서 압착하는 이송피더(420)와, 상기 이송피더(420)에 의해 이송되면서 압착된 유분을 배출하는 배출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유부(400)는 사체가 분쇄된 이후에 사체 내에 남아있는 지방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분쇄된 사체를 압착방식을 통해 압착하여 발생하는 유분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쇄부(300)를 통해 단위부피로 분쇄된 사체분말이 제유부(400)의 투입부(410)로 투입되고, 투입된 사체분말은 이송피더(420)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크류의 회전과 내주면 사이에 압착되어 사체로부터 유분이 분리된다. 여기서, 압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피더(420)의 일단에서 끝단을 향할수록 제유부(420)의 내부공간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이송피더(420)와 제유부(400) 사이 간격이 최소화된 시점에 지방성분이 최대한 압착될 수 있으며, 그 시점의 하부에 유분배출부(4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분리된 유분은 이송피더(420)의 끝단 하부에 위치한 유분배출부(430)를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유분이 분리된 사체분말은 이송피더(420)에 의해 사체분말배출부(440)로 이송되고, 분리된 유분은 하부 유분배출부(430)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유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처리부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가 처리장치 내에 설치되어 분쇄속도 조절, 이송스크류 회전, 온도조절, 과열방지, 마이크로파 조사, 진공펌프, 열교환기, 냉각기 등을 제어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건조부
110 : 펌프부재
111 : 열교환기
112 : 기액분리기
113 : 냉각기
114 : 증발기
115 : 압축기
116 : 응축기
117 : 팽창기
118 : 전기집진기
119 : 열교환부재
120 : 마이크로파발생부재
130 : 교반부재
140 : 제1온도센서
150 : 제2온도센서
200 : 제습부
300 : 분쇄부
310 : 분쇄부재
320 : 스크린부재
330 : 사체조각
400 : 제유부
410 : 투입부
420 : 이송피더
430 : 유분배출부
440 : 사체분말 배출부
500 : 제어부

Claims (8)

  1. 사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제거하는 제습부;
    상기 건조부로부터 수분이 제거된 사체를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사체에 포함된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유부; 및
    상기 각 처리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펌프부재와, 사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발생부재와, 상기 건조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재로부터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사체에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교반시키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마이크로파가 가해지면서 가열되는 사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와, 상기 건조부 내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T1)가 제2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T2)보다 기 설정된 온도(Tx) 이상 높아지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재의 작동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건조된 사체를 단위부피로 분쇄하는 분쇄부재와, 상기 분쇄부재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된 사체가 단위부피보다 작게 분쇄된 경우에만 배출되도록 형성된 스크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유부는,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사체분말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사체분말을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하면서 압착하는 이송피더와, 상기 이송피더에 의해 이송되면서 압착된 유분을 배출하는 유분배출부와, 유분이 제거된 사체분말을 배출하는 사체분말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재는,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열교환기 및 기액분리기를 통과하거나 전기집진기를 통과하여 흡수되는 건식진공펌프 또는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열교환기만을 통과하여 흡수되는 습식진공펌프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의 둘레를 따라 열교환부재 및 상기 열교환부재와 연결되어 저온의 냉매 또는 저온의 물을 제공하는 냉각기 또는 응축기가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부재에 흐르는 저온의 냉매 또는 저온의 물에 의해 건조부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내부에서 응결시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유입시켜 제거하는 제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KR1020220085031A 2022-07-11 2022-07-11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KR20240008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031A KR20240008444A (ko) 2022-07-11 2022-07-11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031A KR20240008444A (ko) 2022-07-11 2022-07-11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444A true KR20240008444A (ko) 2024-01-19

Family

ID=8971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031A KR20240008444A (ko) 2022-07-11 2022-07-11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84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745B1 (ko) 2011-03-25 2013-01-22 조영두 친환경 사체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745B1 (ko) 2011-03-25 2013-01-22 조영두 친환경 사체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745B1 (ko) 친환경 사체 처리장치
JP4386950B2 (ja) 生ごみ処理装置及び生ごみ処理方法
KR101812104B1 (ko)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열매체유 보일러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폐쇄회로형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242794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901940B1 (ko) 수증기열 재활용 슬러지 건조장치
JP2016530992A (ja) 生ごみの真空乾燥処理システム
KR102315743B1 (ko) 농산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130667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8898735U (zh) 一种污泥复合热干化系统
KR20240008444A (ko) 친환경 사체처리장치
KR10163081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3564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JP2015131296A (ja) 廃水蒸気を活用する廃水スラッジの乾燥及びリサイクル装置
KR101308308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
KR101341018B1 (ko) 헬리컬 코일형 가열기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 자원화 시스템
CN102435082B (zh) 一种两相换热器及利用水泥窑余热干化污泥的系统
KR101207598B1 (ko) 슬러지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시스템
US200800837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hydration and/or sterilization of organic materials
JP2005024160A (ja) 除湿乾燥装置及び除湿乾燥方法
CA25576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hydration and/or sterilization of organic materials
JPH10211483A (ja) 生ゴミ処理装置、及び生ゴミ処理方法
KR20120014980A (ko) 친환경 화장방법
KR20130125453A (ko) 히트펌프와 진공고주파를 이용한 건조기
JP2002066598A (ja) 水分含有被処理物の加熱処理方法と処理施設
KR101246674B1 (ko) 냉난방기를 이용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