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089A -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089A
KR20240008089A KR1020220085035A KR20220085035A KR20240008089A KR 20240008089 A KR20240008089 A KR 20240008089A KR 1020220085035 A KR1020220085035 A KR 1020220085035A KR 20220085035 A KR20220085035 A KR 20220085035A KR 20240008089 A KR20240008089 A KR 20240008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ype
gun
module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엄준성
김희민
Original Assignee
탈렌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탈렌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탈렌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089A/ko
Priority to US18/310,084 priority patent/US20240009793A1/en
Publication of KR20240008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2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19/22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of the ends of optic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는 한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건 타입(gun type)으로 마련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헤드 결합부를 구비하는 건 타입 하우징;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헤드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연마 대상의 광 커넥터(optical connector)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 단자대가 일측에 마련되는 착탈식 헤드 유닛; 상기 착탈식 헤드 유닛 내에 마련되며, 상기 커넥터 삽입 단자대에 삽입된 광 커넥터를 연마하는 커넥터 연마부가 일측에 마련되는 연마형 기어식 모듈;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과 일측에서 기어 맞물림 결합하며,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을 회전시키는 기어 조립체;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파지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기어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의 회전을 위해 상기 기어 조립체를 전동 방식으로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 및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동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전동 모터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Gun type optical connector grinding devic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와 취급이 쉬울뿐더러 전동 방식이라 조작이 종래보다 월등히 수월하며, 이로 인해 광 커넥터를 현장에서 쉽고 간편하게 연마할 수 있어서 현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 발전에 힘입어 전자기기의 고성능, 고속화, 집적화,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전자기기 트렌드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기술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신호 감쇄, 노이즈,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연결배선 소형화 등이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한편, 기기 내 데이터 전송에 있어 구리 배선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구리 배선은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최근의 전자기기 트렌드에 부합한 각종 기술적 이슈를 해소하지 못한다.
이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최근에 광 배선 기술이 연구, 개발되는 추세다. 광 배선 기술은 광 화이버(optical fiber)를 이용한 것으로서, 수십 채널의 병렬 전기신호 라인을 직렬 광신호 라인으로 대체하여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전술한 노이즈,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연결배선 소형화 등의 기술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광 화이버를 전자기기에 접속 또는 분기할 때는 기계식 접속자 혹은 커넥터라 불리는 소위, 광 커넥터를 이용한다. 이때, 광 커넥터는 광 화이버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 단면이 밀착되어 접해질 수 있게 공정에서 요구되는 일정한 형태로 연마된다.
이처럼 광 커넥터를 연마할 때는 그 연마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광 커넥터 연마장치가 사용된다. 광 커넥터 연마장치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873914호에 개시된 것을 포함해서 현재 여러 타입이 공지되어 있다.
다만, 현존하는 광 커넥터 연마장치의 경우에는 휴대와 취급이 곤란해서 현장 작업에 어려움이 있거나 설사 상기 문헌처럼 휴대가 가능하다 하더라도 수동 조작이라는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87391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휴대와 취급이 쉬울뿐더러 전동 방식이라 조작이 종래보다 월등히 수월하며, 이로 인해 광 커넥터를 현장에서 쉽고 간편하게 연마할 수 있어서 현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한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건 타입(gun type)으로 마련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헤드 결합부를 구비하는 건 타입 하우징;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헤드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연마 대상의 광 커넥터(optical connector)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 단자대가 일측에 마련되는 착탈식 헤드 유닛; 상기 착탈식 헤드 유닛 내에 마련되며, 상기 커넥터 삽입 단자대에 삽입된 광 커넥터를 연마하는 커넥터 연마부가 일측에 마련되는 연마형 기어식 모듈;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과 일측에서 기어 맞물림 결합하며,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을 회전시키는 기어 조립체;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파지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기어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의 회전을 위해 상기 기어 조립체를 전동 방식으로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 및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동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전동 모터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착탈식 헤드 유닛은,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헤드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기어 조립체가 일측에 배치되는 바텀 헤드(bottom head); 상기 바텀 헤드의 상부에 결합하되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탑 헤드(top head); 및 상기 탑 헤드의 개구부를 회전 개폐하되 일측에서 상기 탑 헤드와 힌지로 결합하는 회전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삽입 단자대는 상기 회전 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탑 헤드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의 커넥터 연마부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삽입 단자대는 상기 회전 커버에서 듀얼(dual)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헤드 결합부 내에는 상기 착탈식 헤드 유닛 측과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리판이 마련되며, 상기 격리판과 상기 바텀 헤드로 인해 상기 광 커넥터의 연마 시 상기 전동 모터 쪽으로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파지부 내에는 상기 전동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전동 모터로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식 배터리가 마련되며,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충전단자는 단자 캡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은, 상기 커넥터 연마부와 접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유성기어; 및 상기 유성기어의 내측에서 상기 커넥터 연마부와 연결되는 모듈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조립체는,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모터 연결 샤프트; 상기 모터 연결 샤프트의 일측이 결합하고 상기 모터 연결 샤프트와 동회전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센터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 연결 샤프트와 연결되며,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을 상기 제1 기어의 센터축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지지하는 모듈 편심 연결유닛; 상기 제1 기어보다 이빨 수가 적으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제1 기어와 일측에서 외접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의 타측과 외접하는 제3 기어; 상기 제2 기어와 상기 제3 기어보다 이빨 수가 많으면서 상대적으로 큰 작은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제3 기어와 동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기어와 동회전하는 제4 기어; 및 상기 제4 기어와 외접하는 외접 기어부와,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의 유성기어가 내접하는 내접 기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기어보다 이빨 수가 많으면서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제1 기어의 상부에서 상기 모듈 편심 연결유닛을 둘러싸게 배치되는 제5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편심 연결유닛에는 센터에서 편심되게 배치되고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의 모듈 연결부에 결합하는 편심 연결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어는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 및 제3 기어와 기어 맞물림하는 계단식 구조의 기어일 수 있으며,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은 자전 및 공전하면서 상기 광 커넥터에 대한 연마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와 취급이 쉬울뿐더러 전동 방식이라 조작이 종래보다 월등히 수월하며, 이로 인해 광 커넥터를 현장에서 쉽고 간편하게 연마할 수 있어서 현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건 타입 하우징 영역을 분리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착탈식 헤드 유닛의 회전 커버 영역을 제거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건 타입 하우징을 제거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연마형 기어식 모듈과 기어 조립체를 발췌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서 연마형 기어식 모듈을 분리한 도면이다.
도 13은 기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에서 제1 기어 영역을 제거한 도면이다.
도 15는 모듈 편심 연결유닛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들, 도 4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1에서 건 타입 하우징 영역을 분리한 도면, 도 6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에서 착탈식 헤드 유닛의 회전 커버 영역을 제거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건 타입 하우징을 제거한 도면, 도 9는 도 8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도 8에서 연마형 기어식 모듈과 기어 조립체를 발췌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배면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서 연마형 기어식 모듈을 분리한 도면, 도 13은 기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1에서 제1 기어 영역을 제거한 도면, 도 15는 모듈 편심 연결유닛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100)는 휴대와 취급이 쉬울뿐더러 전동 방식이라 조작이 종래보다 월등히 수월하다. 때문에, 광 커넥터(도 4 참조)를 현장에서 쉽고 간편하게 연마할 수 있어서 현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100)는 크게, 건 타입 하우징(110)과 착탈식 헤드 유닛(120)을 포함한다. 건 타입 하우징(110)과 착탈식 헤드 유닛(120)이 분리형이라서 부품의 설치,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높다.
건 타입 하우징(110)에 전동 모터(161), 온/오프 스위치(162) 및 충전식 배터리(163)가 배치되고, 착탈식 헤드 유닛(120)에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 및 기어 조립체(140)가 배치될 수 있다.
건 타입 하우징(110)은 한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건 타입(gun type)으로 마련되는 파지부(111)와, 파지부(111)의 상부에 배치되는 헤드 결합부(112)를 포함한다. 파지부(111)는 대략 원기둥 형태의 구조물로서 내부가 비어 있다. 파지부(111) 내의 빈 공간에 전동 모터(161)와 충전식 배터리(163)가 배치된다.
전동 모터(161)는 기어 조립체(140)와 연결되며,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의 회전을 위해 기어 조립체(140)를 전동 방식으로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동 모터(161)이 모터축(161a)은 단면이 비원형 형상을 이룬다.
전동 모터(161)의 동작을 위해 온/오프 스위치(162)가 적용된다. 온/오프 스위치(162)는 건 타입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되고 전동 모터(161)와 연결되며, 전동 모터(161)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이다. 온/오프 스위치(162)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일 수 있다. 따라서, 1회 가압하면 전동 모터(161)가 온(on) 동작한 후에 곧바로 오프(off)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온/오프 스위치(162)를 택트 스위치(tact switch)로 적용하면 구성, 구조가 간소화된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동 모터(161)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위한 개별적인 스위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스위치 외에 전동 모터(161)의 속도 조절을 위한 스위치가 더 부가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충전식 배터리(163)는 건 타입 하우징(110)의 파지부(111) 내에 마련된다. 충전식 배터리(163)는 건 타입 하우징(110)의 파지부(111) 내에서 전동 모터(161)와 연결되고 전동 모터(161)로 전력을 제공한다.
충전식 배터리(163)을 충전을 위해 충전단자(164)가 건 타입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된다. 충전단자(164)는 단자 캡(16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즉 충전단자(164)를 사용할 때만 단자 캡(165)을 열어 사용하면 된다.
착탈식 헤드 유닛(120)은 건 타입 하우징(110)의 헤드 결합부(1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물이다. 착탈식 헤드 유닛(120)에 연마 대상의 광 커넥터(optical connector)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 단자대(128)가 마련된다. 특히, 착탈식 헤드 유닛(120)의 상면에 커넥터 삽입 단자대(128)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다.
이러한 착탈식 헤드 유닛(120)은 건 타입 하우징(110)의 헤드 결합부(11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기어 조립체(140)가 일측에 배치되는 바텀 헤드(121, bottom head)와, 바텀 헤드(121)의 상부에 결합하되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부(123a)가 형성되는 탑 헤드(123, top head)와, 탑 헤드(123)의 개구부(123a)를 회전 개폐하되 일측에서 탑 헤드(123)와 힌지(127)로 결합하는 회전 커버(126)를 포함한다.
착탈식 헤드 유닛(120)이 결합하는 건 타입 하우징(110)의 헤드 결합부(112) 내에는 착탈식 헤드 유닛(120) 측과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리판(113)이 마련된다. 격리판(113)은 해당 위치에 나사 결합한다. 이러한 격리판(113)과 바텀 헤드(121)로 인해 광 커넥터의 연마 시 전동 모터(161) 쪽으로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회전 커버(126)는 전술한 것처럼 힌지(127)를 축으로 회전한다. 이처럼 회전 커버(126)가 개폐식이라서 회전 커버(126)를 열고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의 커넥터 연마부(131)를 청소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커넥터 삽입 단자대(128)는 회전 커버(126)에 마련되고 탑 헤드(123)의 개구부(123a)를 통해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의 커넥터 연마부(131)와 연통한다. 이에, 도 4처럼 커넥터 삽입 단자대(128)에 연마 대상의 광 커넥터를 집어넣고 온/오프 스위치(162)를 누르면 전동 모터(161)에 의해 기어 조립체(140)의 작용으로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이 정해진 회전수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의 커넥터 연마부(131)에 의해 광 커넥터가 연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삽입 단자대(128)는 회전 커버(126)에서 듀얼(dual) 구조로 배치된다. 따라서, 2개의 광 커넥터에 대한 연마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이 매우 높다.
한편, 착탈식 헤드 유닛(120) 내에는 광 커넥터에 대한 실질적인 연마작업을 진행하는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이 마련된다. 그리고,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은 기어 조립체(140)에 연결되어 전동으로 동작한다.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에 대해 먼저 알아보면,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은 착탈식 헤드 유닛(120) 내에 마련되며, 커넥터 삽입 단자대(128)에 삽입된 광 커넥터를 연마하는 구조물이다.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은 실질적으로 광 커넥터와 접촉해서 광 커넥터를 연마하는 커넥터 연마부(131)와, 커넥터 연마부(131)와 접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유성기어(132)와, 유성기어(132)의 내측에서 커넥터 연마부(131)와 연결되는 모듈 연결부(133)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은 전동 모터(161)의 동작 시 기어 조립체(140)의 작용으로 자전 및 공전하면서 광 커넥터에 대한 연마공정을 진행한다. 물론, 앞서 기술한 것처럼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의 회전수가 일정하기 때문에 광 커넥터에 대한 연마량은 늘 동일하다.
기어 조립체(140)는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과 일측에서 기어 맞물림 결합하며,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을 회전시키는 수단이다. 즉 기어 조립체(140)는 전동 모터(161)와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에 연결되며, 전동 모터(161)가 동작하면 소정의 기어비를 통해 정해진 회전수만큼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광 커넥터를 늘 일정하게 연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어 조립체(140)는 모터 연결 샤프트(150), 모듈 편심 연결유닛(152), 그리고, 제1 내지 제4 기어(141~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기어(141~145)들 중 일부의 주변에는 베어링(bearing)이 적용되어 해당 기어의 원활한 회전작용을 유도할 수 있다.
모터 연결 샤프트(150)는 전동 모터(161)의 모터축(161a)에 연결딘다. 모터 연결 샤프트(150)의 단부에는 전동 모터(161)의 모터축(161a)이 삽입 결합하는 비원형 모터축 결합홈(150a)이 형성된다. 모터축(161a)의 단면과 비원형 모터축 결합홈(150a)은 모두가 원형이 아닌 비원형이며, 동일하다.
모듈 편심 연결유닛(152)은 제1 기어(141)의 센터 영역에 배치되고 모터 연결 샤프트(150)와 연결된다. 모듈 편심 연결유닛(152)은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을 제1 기어(141)의 센터축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지지한다.
이러한 모듈 편심 연결유닛(152)에는 센터에서 편심되게 배치되고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의 모듈 연결부(133)에 결합하는 편심 연결대(153)가 마련된다. 모듈 연결부(133)는 후크 타입의 구조물이 다발로 배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제1 기어(141)는 모터 연결 샤프트(150)의 일측이 결합하고 모터 연결 샤프트(150)와 동회전한다. 제1 기어(141)는 평기어에 플레이트(plate)가 연결된 일측이 막힌 기어일 수 있다.
제2 기어(142)는 제1 기어(141)보다 이빨 수가 적으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가지고 제1 기어(141)와 일측에서 외접한다. 제2 기어(142)는 제1 기어(141)의 회전력을 제3 기어(143)로 전달한다.
이때, 제2 기어(142)는 일측과 타측이 제1 및 제3 기어(141,143)와 기어 맞물림하는 계단식 구조의 기어일 수 있다. 즉 제2 기어(142)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소형 기어부(142a)가 제1 기어(141)에 외접하고, 대형 기어부(142b)가 제3 기어(143)에 외접하면서 제1 및 제3 기어(141,143)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기어(143)는 제2 기어(142)의 타측과 외접한다. 즉 제3 기어(143)는 제2 기어(142)의 대형 기어부(142b)와 외접해서 제2 기어(142)의 회전력을 제4 기어(144)로 전달한다.
제4 기어(144)는 제2 기어(142)와 제3 기어(143)보다 이빨 수가 많으면서 상대적으로 큰 작은 사이즈를 가지고 제3 기어(143)와 동축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4 기어(144)는 제3 기어(143)와 동회전한다.
제5 기어(145)는 제1 기어(141)보다 이빨 수가 많으면서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가지며, 제1 기어(141)의 상부에서 모듈 편심 연결유닛(152)을 둘러싸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5 기어(145)는 제4 기어(144)와 외접하는 외접 기어부(145a)와,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의 유성기어(132)가 내접하는 내접 기어부(145b)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제5 기어(145)는 외측과 내측 모두에 기어 이빨이 형성된 기어인데,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의 유성기어(132)가 제5 기어(145)의 내접 기어부(145b)에 내접하여 공전한다.
이상 설명한 기어 조립체(140)의 제1 내지 제4 기어(141~145)에 적용되는 기어의 이빨 수는 적절하게 조율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온/오프 스위치(162)를 1회 가압할 때,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이 14회 회전한 후, 정지할 수 있게끔 설계하고 있다. 물론, 이의 회전수는 기어를 교체하는 방법으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넥터 삽입 단자대(128)에 연마 대상의 광 커넥터를 집어넣고 온/오프 스위치(162)를 누르면 전동 모터(161)에 의해 기어 조립체(140)의 작용으로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이 정해진 회전수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연마형 기어식 모듈(130)의 커넥터 연마부(131)에 의해 광 커넥터가 연마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작업은 현장에서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와 취급이 쉬울뿐더러 전동 방식이라 조작이 종래보다 월등히 수월하며, 이로 인해 광 커넥터를 현장에서 쉽고 간편하게 연마할 수 있어서 현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110 : 건 타입 하우징
111 : 파지부 112 : 헤드 결합부
113 : 격리판 120 : 착탈식 헤드 유닛
121 : 바텀 헤드 123 : 탑 헤드
123a : 개구부 126 : 회전 커버
127 : 힌지 128 : 커넥터 삽입 단자대
130 : 연마형 기어식 모듈 131 : 커넥터 연마부
132 : 유성기어 133 : 모듈 연결부
140 : 기어 조립체 141 : 제1 기어
142 : 제2 기어 143 : 제3 기어
144 : 제4 기어 145 : 제5 기어
145a : 외접 기어부 145b : 내접 기어부
150 : 모터 연결 샤프트 152 : 모듈 편심 연결유닛
153 : 편심 연결대 161 : 전동 모터
162 : 온/오프 스위치 163 : 충전식 배터리
164 : 충전단자 165 : 단자 캡

Claims (8)

  1. 한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건 타입(gun type)으로 마련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헤드 결합부를 구비하는 건 타입 하우징;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헤드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연마 대상의 광 커넥터(optical connector)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 단자대가 일측에 마련되는 착탈식 헤드 유닛;
    상기 착탈식 헤드 유닛 내에 마련되며, 상기 커넥터 삽입 단자대에 삽입된 광 커넥터를 연마하는 커넥터 연마부가 일측에 마련되는 연마형 기어식 모듈;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과 일측에서 기어 맞물림 결합하며,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을 회전시키는 기어 조립체;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파지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기어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의 회전을 위해 상기 기어 조립체를 전동 방식으로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 및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동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전동 모터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헤드 유닛은,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헤드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기어 조립체가 일측에 배치되는 바텀 헤드(bottom head);
    상기 바텀 헤드의 상부에 결합하되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탑 헤드(top head); 및
    상기 탑 헤드의 개구부를 회전 개폐하되 일측에서 상기 탑 헤드와 힌지로 결합하는 회전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삽입 단자대는 상기 회전 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탑 헤드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의 커넥터 연마부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삽입 단자대는 상기 회전 커버에서 듀얼(dual)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헤드 결합부 내에는 상기 착탈식 헤드 유닛 측과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리판이 마련되며,
    상기 격리판과 상기 바텀 헤드로 인해 상기 광 커넥터의 연마 시 상기 전동 모터 쪽으로의 누수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파지부 내에는 상기 전동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전동 모터로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식 배터리가 마련되며,
    상기 건 타입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충전단자는 단자 캡에 의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은,
    상기 커넥터 연마부와 접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유성기어; 및
    상기 유성기어의 내측에서 상기 커넥터 연마부와 연결되는 모듈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조립체는,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모터 연결 샤프트;
    상기 모터 연결 샤프트의 일측이 결합하고 상기 모터 연결 샤프트와 동회전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센터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 연결 샤프트와 연결되며,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을 상기 제1 기어의 센터축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지지하는 모듈 편심 연결유닛;
    상기 제1 기어보다 이빨 수가 적으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제1 기어와 일측에서 외접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의 타측과 외접하는 제3 기어;
    상기 제2 기어와 상기 제3 기어보다 이빨 수가 많으면서 상대적으로 큰 작은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제3 기어와 동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기어와 동회전하는 제4 기어; 및
    상기 제4 기어와 외접하는 외접 기어부와,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의 유성기어가 내접하는 내접 기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기어보다 이빨 수가 많으면서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제1 기어의 상부에서 상기 모듈 편심 연결유닛을 둘러싸게 배치되는 제5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편심 연결유닛에는 센터에서 편심되게 배치되고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의 모듈 연결부에 결합하는 편심 연결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기어는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 및 제3 기어와 기어 맞물림하는 계단식 구조의 기어이며,
    상기 연마형 기어식 모듈은 자전 및 공전하면서 상기 광 커넥터에 대한 연마공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KR1020220085035A 2022-07-11 2022-07-11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KR20240008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035A KR20240008089A (ko) 2022-07-11 2022-07-11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US18/310,084 US20240009793A1 (en) 2022-07-11 2023-05-01 Gun-type optical connector grin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035A KR20240008089A (ko) 2022-07-11 2022-07-11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089A true KR20240008089A (ko) 2024-01-18

Family

ID=8943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035A KR20240008089A (ko) 2022-07-11 2022-07-11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09793A1 (ko)
KR (1) KR202400080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914B1 (ko) 2012-04-27 2018-07-06 코닝 리서치 앤드 디벨롭먼트 코포레이션 광섬유 커넥터 연마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914B1 (ko) 2012-04-27 2018-07-06 코닝 리서치 앤드 디벨롭먼트 코포레이션 광섬유 커넥터 연마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9793A1 (en)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51745A (zh) 用户设备
JPH04256593A (ja) 産業ロボットのアーム構造
US10381899B2 (en) Sidewall coring structure directly driven by an electric motor
CN203645476U (zh) 齿轮电动机、盖体驱动装置及座便器
KR20240008089A (ko) 건 타입 광 커넥터 현장 연마장치
US20040103491A1 (en) Cleaning unit for optical connector and cleaning tool for optical connector
CN208143261U (zh) 移动终端
KR102289694B1 (ko) 휴대가 간편한 폴더형 어댑터
CN209994233U (zh) 一种输出级齿轮可断电旋转360度的减速电机
CN104345783B (zh) 一种电子设备及连接构件
CN214146468U (zh) 一种便于拆卸的谐波减速器
CN104345785B (zh) 一种电子设备及连接构件
CN203146566U (zh) 枢轴总成与使用枢轴总成的电子装置
CN107943213A (zh) 滑轨式自动开合无序折叠三屏电脑的设备
CN205978345U (zh) 一种双蜗轮蜗杆机构
CN104538783A (zh) 一种防水防尘的插座
CN207930025U (zh) 一种切换式电钻装置
CN211108892U (zh) 一种车载充电机电路板加工用存放盒
CN211173434U (zh) 一种用于门窗锁具的传动装置
CN201270366Y (zh) 一种具有旋转机构的usb接口装置
CN208239522U (zh) 一种电力施工用电力检测装置
CN112435943A (zh) 一种半导体清洗设备
CN217551393U (zh) 一种便于收纳电缆的螺柱焊机
CN212138088U (zh) 一种控制器保护机构
CN108879237A (zh) 一种高效锂电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