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060A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060A
KR20240008060A KR1020220084950A KR20220084950A KR20240008060A KR 20240008060 A KR20240008060 A KR 20240008060A KR 1020220084950 A KR1020220084950 A KR 1020220084950A KR 20220084950 A KR20220084950 A KR 20220084950A KR 20240008060 A KR20240008060 A KR 2024000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prevention device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vortex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여지
서범수
권영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4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060A/ko
Publication of KR2024000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06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와류방지장치를 포함하며, 와류방지장치는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하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의 상단부와 팬 어셈블리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와류를 저감하여 소음과 소비전력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류의 발생을 방지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킬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응축기-팽창기구-증발기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스탠드형 공기 조화기,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와 천장형 공기 조화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 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실내기 내부에서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가 토출되는 단수 또는 다수의 공기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 토출부에는 실내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베인 또는 루버가 배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 조화기에서 토출되는 저온의 공기에 의해, 천장형 공기 조화기에는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슬 맺힘 현상은 단열재의 사용을 통해 방지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경우 공기를 정화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용량이 정해지며 해당 용량에 맞는 열교환기와 팬의 크기 등의 스펙이 정해진다. 공기조화기의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실내기 크기를 확대할 수 있으며, 스펙이 정해진 열 교환기와 팬을 적절히 배치할 필요가 있다. 실내기 크기 확대를 통해 용량 증가의 효과를 가지려면 실내기 내부에 와류 발생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와 관련한 선행문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공개특허 10-2009-0041467 (공개일자 2009.04.29)
2. 발명의 명칭: 송풍팬
위 선행문헌은 송풍팬의 회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송풍팬에 관한 것으로서, 블레이드의 내경이 쉬라우드 측에서 허브 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변화함으로써 허브 측에서의 공기의 와류를 감소시키는 사상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따른 송풍팬에 의하면 블레이드 형상에 의해 와류를 저감할 수 있으나, 송풍팬과 본체 상면이 이격되어 빈 공간이 발생하며, 빈 공간에 발생하는 와류로 인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용량 증대를 위해 팬을 유지한 채 실내기 크기를 확대하는 경우 빈 공간이 커지게 되고, 와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열교환기나 팬의 스펙에 따라 생기는 빈 공간에 와류가 발생할 수 있다. 와류는 유체의 흐름의 일부가 교란하여 본류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소용돌이 치는 현상으로 와류의 발생으로 인해 팬의 효율 저하, 소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팬의 효율이 저하되면 소비전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실내기 크기를 확대한 효과를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저감하여 팬의 효율 저하, 소음 및 진동 발생을 방지하도록 실내기 본체의 상면과 팬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와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기 본체 내부에서 와류를 방지하면서도 모터 어셈블리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팬 어셈블리 상부에 위치하는 와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팬 어셈블리의 상부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팬 어셈블리의 상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와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의 용량에 따라 필요한 열교환기와 팬 어셈블리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열교환기와 팬 어셈블리의 주변 공간에 발생하는 와류를 저감하는 와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팬 어셈블리의 재설계 없이도 실내기 본체 내부의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와류를 저감하기 위하여 열교환기를 향하지 않는 바이패스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와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기 내부의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팬 어셈블리 및 열교환기를 향하지 않는 바이패스 유동을 차단하는 와류방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팬 어셈블리 상부와 본체 내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와류발생을 저감하고 소음을 개선할 수 있으며, 팬 효율 방지를 통해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어셈블리는 모터가 회전시키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중심에서 하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허브, 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블레이드의 하부에서 연결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블레이드를 향하도록 가이드 하는 쉬라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상기 바이패스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벽은, 상기 팬 어셈블리의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상기 차단벽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플레이트를 바라보는 바닥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은 상기 플레이트와 인접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닥면은 상기 플레이트와 평행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벽 및 바닥면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와 와류방지장치 또는 상기 플레이트와 본체의 상부 사이의 공간에 발생하는 와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다수 개의 홀을 구비하여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은 상기 모터의 방열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허브에 홀이 형성됨으로써 모터의 방열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바닥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더라도 모터의 방열에는 문제가 없을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를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바닥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이 와류를 발생시키는 공간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중앙에 모터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에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와 와류방지장치가 차지하는 용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벽은 열교환기의 내측면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여, 와류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내측면과 외측면, 그리고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면은 본체의 상단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벽은 상기 상측면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의 반경방향 너비는 플레이트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팬 어셈블리를 둘러싸도록 적어도 1회 이상 절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내기는, 흡입부 및 토출부가 구비되는 하단부 및 천장에 매립되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어셈블리로서,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에 구비되며, 모터가 연결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어셈블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하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와류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팬 어셈블리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팬 어셈블리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하단부에 평탄한 면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한 면의 네 모서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한 면은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은 차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은 다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벽이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한 면은, 상기 차단벽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플레이트와 마주보면서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상기 본체 내부의 중심에서 열교환기로 향하는 제 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은 팬 어셈블리의 반경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어셈블리에서, 상기 허브는 상기 플레이트에서 하방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허브의 만곡된 부분에는, 상기 모터의 방열을 위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되어, 모터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모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브라켓은, 상기 장착홈의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내측면과 외측면, 그리고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는 상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벽은, 상기 상측면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향하여 내측 반경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전체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서로 연결되는 제 1 파트 내지 제 4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는 상기 제 2 파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파트는 상기 제 2 파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파트는 상기 제 3 파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파트와 상기 제 4 파트는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격된 공간에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주변 부품들이 배치되어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상기 다수 개의 측면 중 인접한 2개의 측면을 연결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 1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열교환기를 상기 본체에 지지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상기 지지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 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단열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내기 내외부의 온도차로 인한 응축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방지장치가 상기 본체의 상단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와류방지장치의 내부는 상기 단열재로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저감하여 팬의 효율 저하, 소음 및 진동 발생을 방지하도록 실내기 본체의 상면과 팬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와류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기 본체 내부에서 와류를 방지하면서도 모터 어셈블리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팬 어셈블리 상부에 위치하는 와류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팬 어셈블리의 상부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팬 어셈블리의 상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와류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의 용량에 따라 필요한 열교환기와 팬 어셈블리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열교환기와 팬 어셈블리의 주면 공간에 발생하는 와류를 저감하는 와류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팬 어셈블리의 재설계 없이도 실내기 본체 내부의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와류를 저감하기 위하여 열교환기를 향하지 않는 바이패스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와류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 1에 도시된 2-2'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 1에 도시된 3-3'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팬과 열교환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 어셈블리와 와류방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내부구조의 일부 구성인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와류방지 장치 및 모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방지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와 모터 브라켓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 1에 도시된 3-3'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 공기의 유동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대하여, 실내기의 풍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전력이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13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대하여, 실내기에서의 유동 분포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삭제, 변경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도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을 2-2' 방향과 3'3'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천장형 실내기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천장형 실내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흡입부(120) 및 토출부(110)가 구비되는 하단부 및 천장에 매립되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220)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어셈블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230)는, 상기 열교환기(220)의 내측에 구비되며, 모터(251)가 연결되는 허브(231)와, 상기 허브(23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232); 및 상기 플레이트(232)의 원주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체(20)의 내부에는, 팬 어셈블리(230)에서 반경방향으로 토출된 공기가 열교환기(220)를 향하지 않고 정체하거나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와류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즉, 팬 어셈블리(230)와 열교환기(220)의 주변 영역에 와류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류 영역으로 인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유동손실로 인하여 팬 효율이 저하되고 소비전력의 상승이 유발될 수 있다.
이때, 와류를 저감하고 소음 발생 및 소비 전력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실내기(1)는, 상기 팬 어셈블리(23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220)를 바이패스 하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와류방지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팬 어셈블리(23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팬 어셈블리(230)와 상기 본체(20)의 상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는, 상기 본체(20)의 상단부와 상기 팬 어셈블리(2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는 상기 본체(20)의 상단부 내면에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경우, 패널이 본체 상측에 구비되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 설치 모습에서는 본체가 천장에 매립되는 형태로, 패널은 본체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천장면에는 패널이 노출된다.
방향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실내기가 천장에 설치된 모습을 기준으로 패널이 본체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도 이 방향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실내 공간의 천장 내부에 삽입되는 본체(20)와,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120) 및 외관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패널(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10)은 상기 본체(20)의 하단에 장착되므로 하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본체(20)의 하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널(10)은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10)은 상기 흡입부(120)에 흡입 그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10)은 상기 본체에서 열 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10)와 토출 공기의 풍향 또는 풍량을 조절하는 베인(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110)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토출부(11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토출부(110)와 베인(111)은 단수개 또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토출부(110)와 상기 베인(110)은 상기 패널(10)의 네 변을 따라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토출부(110)가 정의하는 네 변의 내측으로 상기 흡입부(12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부(120)의 외측에 상기 토출부(11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미도시)는 상기 패널(10)의 중앙부 즉, 상기 흡입부(120)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미도시)는 실내 공기가 통과되어 흡입부(120)를 향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20)의 상측에는 드레인팬(210)과 팬 어셈블리(2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드레인팬(210)과 팬 어셈블리(230) 사이에는 실내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팬 어셈블리(230)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는 에어가이드(211)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실내기의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열이 교환되는 열 교환기(220)와, 실내 공기의 흡입과 토출을 강제하는 팬 어셈블리(230)와, 모터 어셈블리(250)와, 상기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가이드(211) 및 상기 열교환기(220)를 하방에서 지지하며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2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기(1)는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S1)에 와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와류방지장치(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는, 팬 어셈블리(230) 상부와 본체(20) 내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와류발생을 저감하고 소음을 개선할 수 있으며, 팬 효율 방지를 통해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하단부에 평탄한 면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한 면의 네 모서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한 면은 상기 와류방지장치의 하면으로, 상기 하면은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은 차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은 다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벽이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면은 4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벽은 4개의 차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241)은 상기 차단벽(245)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플레이트(232)를 바라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241)은, 상기 플레이트(232)와 인접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닥면(241)은 상기 플레이트(232)와 평행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면(241)이 상기 플레이트(232)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플레이트(232)가 회전할 때 상기 바닥면(241)과의 마찰이 발생하여 소음 발생 및 부품 마모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따른 와류방지장치(240)는 상기 플레이트(232)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플레이트(232)와의 이격된 간격이 커질수록 이격된 공간(S2)으로 와류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격된 공간(S2)을 형성하되 그 공간을 좁히는 것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232)와 상기 바닥면(241)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면서도 와류발생 영역을 줄여 와류를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 어셈블리(230)의 허브(231)에는 홀(236)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홀(236)에 의해 허브(231) 오목하게 패인 공간 내부에서 회전하는 모터(251)로부터 발생한 열이 빠져나와 냉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허브(231)는, 다수 개의 홀(236)을 구비하여 상기 모터(251)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홀(236)은 허브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원형 홀일 수 있다. 홀의 개수, 크기에 따라 냉각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홀의 개수, 모양 및 크기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32)와 상기 바닥면(240) 사이의 공간(S2)은 모터(251)의 방열을 위한 공간(S2)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허브(231)에 홀(236)이 형성됨으로써 모터(251)의 방열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232)와 상기 바닥면(240) 사이의 공간(S2)이 줄어들더라도 모터(251) 방열에는 문제가 없을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면(241)과 상기 플레이트(232) 사이를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바닥면(241)과 상기 플레이트(232) 사이의 공간(S2)이 와류를 발생시키는 공간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팬과 열교환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 어셈블리와 와류방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내부구조의 일부 구성인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열교환기(220)는 상기 팬 어셈블리(2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220)는 모서리가 절곡되어 연장되는 다수의 파트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220)는 제 1 파트(221), 제 2 파트(222), 제 3 파트(223) 및 제 4 파트(2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파트는 상기 팬 어셈블리(230)를 바라보는 면인 열교환기(220)의 내측면(221a, 222a, 223a, 224a), 상기 내측면(221a, 222a, 223a, 224a)의 반대면인 상기 열교환기(220)의 외측면(221b, 222b, 223b, 224b) 및 본체(20) 내부의 상방을 향하는 면인 상기 열교환기(220)의 상측면(221c, 222c, 223c, 224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열교환기(220)는, 내측면(221a, 222a, 223a, 224a)과 외측면(221b, 222b, 223b, 224b), 그리고 상기 내측면(221a, 222a, 223a, 224a)과 외측면(221b, 222b, 223b, 224b)을 연결하는 상측면(221c, 222c, 223c, 224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팬 어셈블리(23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220)의 상기 내측면(221a, 222a, 223a, 224a)을 통하여 상기 외측면(221b, 222b, 223b, 224b)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하고, 그 과정에서 상기 열교환기(220)와 열교환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20)는 팬 어셈블리(230)를 둘러싸도록 적어도 1 회 이상 절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교환기(220)는 전체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서로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파트(221)는 상기 제 2 파트(222)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파트(223)는 상기 제 2 파트(222)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파트(224)는 상기 제 3 파트(223)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220)의 제 1 파트와 제 4 파트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격된 공간에 열교환기(220)와 연결되는 주변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는 주변 부품은, 일례로, 냉매관 또는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체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어셈블리(230)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팬 어셈블리(230)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심팬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면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자세히, 상기 팬 어셈블리(230)의 중앙에는 모터(250)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하방을 향하여 만곡되는 보울(Bowl) 형상의 허브(23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허브(231)는 상기 플레이트(232)에서 하방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허브(231)의 만곡된 부분에는, 상기 모터(251)의 방열을 위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홀(23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231)의 중앙에는 모터와 연결되는 중심축(2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허브(231)는 중심축(235)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홀(2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어셈블리(230)는 상기 허브(231)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어셈블리(230)는 상기 플레이트(232)의 하방에 원주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팬 어셈블리(23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233)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어셈블리(230)는, 상기 플레이트(232)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233)를 연결하는 쉬라우드(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234)는,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233)의 하방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233)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에어가이드(211)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233)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허브(231), 상기 플레이트(232),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233) 상기 쉬라우드(234) 및 상기 중심축(235)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방지장치(240)는 본체(20) 내부의 중심에서 열교환기(220)로 향하는 제 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벽(24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방향은 팬 어셈블리(230)의 반경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벽(245)은, 일례로, 본체(20) 상부의 내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벽(245)은, 상기 팬 어셈블리(230)의 플레이트(232)를 둘러싸는 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는, 상기 차단벽(245)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플레이트(232)와 마주보면서 인접하게 형성되는 평탄한 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벽(245)은, 상기 본체(20) 내부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는 본체(20) 내부의 중심에서 열교환기(220)로 향하는 반경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본체(20) 내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차단벽(24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단벽(245)은, 상기 열 교환기의 내측면(221a, 222a, 223a, 224a)에서 상기 플레이트(23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여 와류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벽(245)은, 상기 열교환기(220)의 상측면(221c, 222c, 223c, 224c)에서 상기 플레이트(232)를 향하여 내측 반경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닥면(241)의 반경 방향 너비는 플레이트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241)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류방지장치(240)의 돌출된 상기 바닥면(245)의 너비 또는 직경은 상기 플레이트(232)의 직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와류방지장치 및 모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방지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와 모터 브라켓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기(220)는 열교환기(220)로 냉매를 유입시키거나, 열교환기(220)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것을 가이드 하는 주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부품은 냉매관 또는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는, 상기 열교환기(220)를 본체(20)에 지지하고, 상기 열교환기(220)의 내측면(221a, 222a, 223a, 224a)에 돌출되는 지지 브라켓(31, 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31, 32)은, 상기 본체에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거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31, 32)은, 상기 열교환기(220)의 상하방향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열교환기(220)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31, 32)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지지 브라켓(31, 32)은, 일례로, 상기 열교환기(220)의 제 1 파트 내지 제 4 파트 중 적어도 2 개의 파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20)의 제 1 파트(221)과 제 4 파트(224)는 상기 주변 부품이 구비되는 공간만큼 다소 이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는 모터 어셈블리(25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S3)을 형성하는 장착홈(2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장착홈(244)은, 상기 와류방지장치(240)의 바닥면(241)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250)가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장착홈(244)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홈(244)에 장착된 모터 어셈블리(250)는 상기 팬 어셈블리(23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팬 어셈블리(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는 상기 열교환기(220) 및 상기 열교환기(220)의 주변 부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섭방지 구조는 상기한 열교환기의 주변부품의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하는 제 1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홈은 상기 와류방지 장치의 모서리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는, 다수 개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측면 중 인접한 2 개의 측면을 연결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 1 홈(2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는, 상기 간섭방지 구조로, 상기 지지 브라켓(31, 32)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 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는 상기 열교환기(220)의 주변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홈과, 상기 열교환기(220)의 지지 브라켓(31, 32)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2 홈(2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홈(243)을 통해 상기 열교환기(220)의 헤더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는 단열재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류방지장치(240)가 단열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는 와류를 방지할 뿐 아니라 단열을 통해 외부 온도와 열 교환기(220)의 온도 차이로 인해 응축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를 스티로폼으로 형성할 수 있다. 와류방지장치(240)를 스티로폼으로 형성하는 경우 단열 효과와 함께 가볍기 때문에 와류방지장치(240)의 무게로 인한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는, 상기 본체(@0)의 상단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232)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와류방지장치(240)의 내부는 상기 단열재로 채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와류방지장치(240)가 솔리드 형태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모터 어셈블리(250)는 팬 어셈블리(230)를 회전시키는 모터(251), 상기 모터(251)를 지지 및 고정하는 모터 브라켓(252) 및 상기 모터(25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결축(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브라켓(252)에 의해 모터(251)가 지지되므로, 본체 내부와 접촉하지 않아 소음 및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모터 브라켓(252)은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장착홈(244)의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 1에 도시된 3-3'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 공기의 유동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패널(10)의 흡입부(120)를 통하여 팬 어셈블리(230)의 축방향으로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고, 팬 어셈블리(230)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한다. 팬 어셈블리(230)의 반경 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는 열교환기(220)를 통과하여 토출부(110)를 통해 하방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상기 팬 어셈블리(230)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토출된 공기가 상기 팬 어셈블리(230)의 상부를 향해 유동할 수 없도록 한다.
즉, 상기 와류방지장치(240)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열교환기(220)를 향하도록 가이드 되어 와류를 저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팬의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방지장치(240)와 상기 플레이트(232)가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대한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와류방지장치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와류를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와류방지장지(240)가 단열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와류방지장치(240)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본체(20)의 외부와 열교환기(220)의 온도 차이로 인해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대하여, 실내기의 풍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전력이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고, 도 13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대하여, 실내기에서의 유동 분포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도면이다.
종래의 실내기는 특정 높이의 실내기의 본체(20)에 대하여, 팬이 실내기 본체 상면과 이격하도록 배치되고, 본 발명의 와류방지장치(240)가 구비되지 않은 실내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도 12는 종래의 실내기와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방지장치(240)를 포함한 실내기에 대하여, 풍량에 대비 소비전력을 실험으로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풍량이 커질수록 본 발명의 실내기(1)의 소비전력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운전점에서 소비전력이 종래 실내기에 비해 상기 와류방지장치(240)를 포함한 본 발명의 와류방지장치(240)를 포함한 실내기(1)가 12% 저감된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은 종래의 실내기와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방지장치(240)를 포함한 실내기에 대하여, 실내기로 흡입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분포를 보여준다.
종래의 실내기의 경우 팬 어셈블리(230) 상부에 공기가 유동하여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반해, 본 발명의 와류방지장치(240)를 포함하는 실내기(1)는 상기 와류방지장치(240)의 상기 차단벽(245)에 의해 팬 어셈블리(230) 하부를 향하는 공기의 유동이 차단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와류방지장치(240)의 와류의 저감 효과를 확인해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기 본체(20)의 높이를 확대하여 용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와류방지장치(240)에 의해 본체(20)의 내부공간(S1)에 발생할 수 있는 와류가 저감되고, 와류가 저감됨으로써 팬 효율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음 저감, 소비전력 저감의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와류방지장치(240)는 중앙의 장착홈(244)을 통하여 모터 어셈블리(250)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와류방지장치(240)로 인해 모터 어셈블리(250) 주위에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와류방지장치(240)가 단열재로 형성되는 경우, 와류방지장치(240)의 단열 효과로 인해 이슬 맺힘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응축수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와류방지장치(240)를 이용하는 경우, 실내기(1)의 용량을 증대하기 위해 실내기(1)의 크기를 증가시키더라도, 팬의 재설계 없이 와류방지장치(240)의 차단벽(245)과 바닥면(241)을 통해 와류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기존의 팬을 활용할 수 있어, 재설계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팬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이다.
1: 실내기 10: 패널
20: 본체 110: 토출부
111: 베인 120: 흡입부
210: 드레인팬 220: 열교환기
230: 팬 어셈블리 240: 와류방지장치
241: 바닥면 245: 차단벽
250: 모터 어셈블리

Claims (15)

  1. 흡입부 및 토출부가 구비되는 하단부 및 천장에 매립되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어셈블리로서,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에 구비되며, 모터가 연결되는 허브;
    상기 허브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팬 어셈블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하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와류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팬 어셈블리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팬 어셈블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하단부에 평탄한 면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한 면의 네 모서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평탄한 면은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은 차단벽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다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벽이 다수 개로 제공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한 면은,
    상기 차단벽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플레이트와 마주보면서 인접하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상기 본체 내부의 중심에서 열교환기로 향하는 제 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플레이트에서 하방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허브의 만곡된 부분에는, 상기 모터의 방열을 위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되어, 모터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모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브라켓은, 상기 장착홈의 내부에 지지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내측면과 외측면, 그리고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는 상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벽은, 상기 상측면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향하여 내측 반경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전체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서로 연결되는 제 1 파트 내지 제 4 파트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트와 상기 제 4 파트는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격된 공간에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주변 부품이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상기 다수 개의 측면 중 인접한 2개의 측면을 연결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 1 홈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열교환기를 상기 본체에 지지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상기 지지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 2 홈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단열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방지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단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와류방지장치의 내부는 상기 단열재로 채워진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220084950A 2022-07-11 2022-07-11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240008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950A KR20240008060A (ko) 2022-07-11 2022-07-11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950A KR20240008060A (ko) 2022-07-11 2022-07-11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060A true KR20240008060A (ko) 2024-01-18

Family

ID=8971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950A KR20240008060A (ko) 2022-07-11 2022-07-11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80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42431A (ja) 空気調和機
JP201401608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EP2933570A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702323B1 (ko) 천장형 공기조화장치
JP6420478B2 (ja) 天井設置形空気調和機および熱交換器
KR20240008060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90141479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076012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3614649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252204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41994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789817B1 (ko) 공기조화기용 원심팬
KR10085093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581898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18025357A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4045247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CN210740859U (zh) 柜式饮料售卖机集成制冷机组
KR100335082B1 (ko)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기
WO2023152802A1 (ja) 室内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10061149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83384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230087064A (ko) 천장형 타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272518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블로워 고정구조
KR20230121325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23012132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