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587A - 척추 및 자세 교정용 다목적 받침대 - Google Patents

척추 및 자세 교정용 다목적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587A
KR20240007587A KR1020230058447A KR20230058447A KR20240007587A KR 20240007587 A KR20240007587 A KR 20240007587A KR 1020230058447 A KR1020230058447 A KR 1020230058447A KR 20230058447 A KR20230058447 A KR 20230058447A KR 20240007587 A KR20240007587 A KR 20240007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ractor
cervical
spine
lumba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8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백
강준한
Original Assignee
이기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백 filed Critical 이기백
Publication of KR2024000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58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목적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경추와 요추 각각의 만곡을 유지한 상태로 척추의 견인을 수행하기 위한 경추 견인기 및 요추 견인기를 포함하는 다목적 받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척추 및 자세 교정용 다목적 받침대{MULTIPURPOSE PEDESTAL FOR SPINE AND POSTURE CORRECTION}
본 발명은 다목적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추 및 요추의 만곡을 형성시키고 이를 유지한 상태로, 척추를 견인하기 위한 다목적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경추는 일반적으로 우리 몸의 척추 중에서 목뼈라고 지칭하는 부위로서 척추의 상단부에 해당한다. 경추는 7개의 척추 분절로 이루어져 있고, 각경추의 횡돌기에는 척추동맥이 지나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척추 동맥이 지나가는 구멍의 주변에는 정맥과 교감신경총이 위치하며, 아래로는 몸통과 연결되어 있고 위로는 머리와 연결되어 있는 신체의 중요한 부위라 할 수 있다. 또한, 요추는 척추 중 흉추와 천골 사이의 부분으로 허리 등뼈라고도 하며, 척추의 하단부에 해당한다. 요추는 사람의 움직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체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경추 및 요추는 사람의 자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이로 인해 유발되는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을 가지고 있다. 그 일례로서, 다른 척추 디스크와 동일하게 경추 디스크 탈출증 및 요추 디스크 탈출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추 및 요추를 뒤쪽에서 지지하는 인대에 염좌가 발생하거나, 여러 가지 원인으로 경추 근육에 경직이 발생하면, 신경을 압박하게 되어 두통, 경통, 견비통 등 다양한 근곡결계통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통계적으로, 사람은 보행하거나 앉아 있을 때 허리를 완전하게 직립하기보다는 약간 구부린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신체의 상태는 허리 및 등 쪽의 근육과 근막 그리고 각종 인대에 과다한 스트레칭을 유발하며 나아가 추간판(디스크)에 많은 압력을 가한다. 특히 앉아 있을 때 허리와 목에 가해지는 압력은 누워 있을 때 가해지는 압력 보다 8배 이상이라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좌식 생활이 많은 현대인들은 일상 생활 중 8시간 이상은 좌식 생활을 하게 된다. 따라서, 허리와 목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척추 관절의 유연성이 크게 저하되고, 요통 등을 빈번하게 유발한다. 척추 관절의 유연성이 떨어지면 자연스럽게 각종 근골격계 질환 및 디스크 즉 추간판탈출증(디스크 질환)이나 퇴행성 디스크와 같은 질병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목이나 허리에 추간판탈출증이나 퇴행성 디스크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정도가 심각하면 수술 등과 같은 외과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할 수 있으나, 그 증상이 미미한 경우 또는 질병의 예방의 차원에서 여러 물리적 치료 방법이 동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과거 환자가 병원에 내원하여 물리적인 치료를 받는 방식에서 벗어나 가정에서도 손쉽게 물리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관련된 예로서, 대한믹구 특허등록공보 제10-1173164호는 경추 견인치료기에 관한 것이고,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057444호는 경추의 정상 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 견인 기기로써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경추부를 견인하여 경추부의 질환을 개선, 치료하는 경추 견인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이미 만곡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사용자의 경추 상태에 따라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목 디스크 견인부는 머리에 압력을 가하여 머리를 견인하는 것으로써, 만곡된 척추의 견인보다는 척추의 만곡 상태를 감소시키게 되어 오히려 치료 효과가 감소되는 한계가 있다. 더불어, 척추와 디스크를 감싸고 있는 인대까지 인장시켜 느슨하게 됨에 따라, 척추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부작용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받침대는 경추 및 요추의 만곡을 유지한 상태로 경추 및 요추를 견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받침대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상이한 척추 형상에 대해서도 척추의 만곡을 유지한 상태로 교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받침대는 다목적 받침대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받침대는 제1 경사도를 가지는 제1 경사면과, 제1 경사도 이상의 경사도를 가지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2 경사면을 기초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추 견인기, 및 상기 경추 견이기와 분리 가능하며, 제3 경사도를 가지는 제3 경사면과, 제3 경사도 이상의 제4 경사도를 가지는 제4 경사면을 기초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요추 견인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추 견인기는 중앙에서 높이 방향으로 제1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며,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추 견인기는 중앙에서 높이 방향으로 제2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기는,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경추 견인기의 중앙에서 높이 방향으로 제3 깊이를 가지도록 파여진, 경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길이와 상기 경추 수용부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비율에 따른 값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의 최고점의 높이는 상기 요추 견인 장치의 최고점의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경추 견인 장치의 제2 경사도는 상기 요추 견인 장치의 제4 경사도 보다 높은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기 및 요추 견인기는, 높이 방향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 견인기의 상기 제2 돌출부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최상단의 일부가 상기 요추 견인기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는 제1 수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요추 견인기의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4 경사면에 위치한 제2 돌출부의 높이가 상기 제2 높이보다 낮은 단차가 존재하는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기는, 경추의 하단부와 흉추의 상단부에 걸쳐 위치하며, 상기 요추 견인기는, 요추의 하단부와 천추부의 상반부에 걸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받침대는 경추 및 요추의 만곡을 유지한 상태로 경추 및 요추를 견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받침대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상이한 척추 형상에 대해서도 척추의 만곡을 유지한 상태로 교정을 원할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받침대는 다목적 받침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받침대(1)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기(100)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기(100)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기(100)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기(100)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기(100)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여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기(100)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기(100)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 견인기(200)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 견인기(20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 견인기(200)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 견인기(200)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 견인기(200)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 견인기(200)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 견인기(200)의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 견인기(200)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받침대(1)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받침대의 효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받침대(1)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받침대(1)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목적 받침대(1)는 경추 부분에 배치되는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부분에 배치되는 요추 견인기(20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다목적 받침대(1) 위에 눕는 경우,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 위에 척추가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척추 중 경추와 요추의 만곡도를 유지하면서 척추의 견인을 수행하기 위해, 경추 부분에 경추 견인기(100)가 배치되며, 요추 부분에 요추 견인기(200)가 배치된다.
경추 견인기(100)는 경추의 하단부와 흉추의 상단부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요추 견인기(200)는 요추의 하단부와 천추부의 상단부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의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신체 특성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위치 및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척추에 대응하여, 경추 견인기(100) 및 요추 견인기(200)를 배치하는 경우,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는 경추와 요추의 만곡을 유지한 상태로 신체에 밀착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의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발생하며,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의 지지력에 의해 경추 및 요추에 대한 견인을 수행할 수 있다.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의 형태로 인하여 경추 및 요추의 만곡을 유지한 상태로 견인을 수행함에 따라, 척추 기립근 또한 스트레칭이 된다. 또한, 경추 및 요추를 지지하는 인대에도 전체적으로 고르게 힘이 전달됨에 따라, 과도하지 않은 압력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근육과 인대에 흔히 발생하는 염좌와 같은 부작용 없이 경추 및 요추의 견인 치료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는 척추의 만곡을 유지하기 위해 포물선 형상, 곡선 형상, 또는 유선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는 각각 배치되는 위치가 경추와 요추로 상이함에 따라 곡률, 높이, 길이 및 경사면의 경사각 등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가 척추의 만곡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와 접하는 부분이 곡률을 이루도록 단면의 일부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동일하나,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의 세부적인 형상은 용도에 의해 상이한 형상을 가진다.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의 세부적인 형상은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경추 견인기(100) 및 요추 견인기(200)는 신체에 접촉하는 부분과 바닥면의 소재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신체에 접촉하는 부분의 경도가 높은 경우, 사용자의 신체 밀착하는 부분인 감소하거나, 사용자에게 과도한 압력이 전달되어 근육 및 인대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바닥면의 경우, 경도가 낮은 경우 충분한 지지력을 척추로 전달할 수 없으며, 사용시 경추 견인기(100) 및 요추 견인기(200)의 고정을 위해 마찰 계수가 큰 재질을 사용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경추 견인기(100) 및 요추 견인기(200)를 신체에 접촉하는 상부와, 바닥면에 접촉하는 하부로 구분하여, 상부와 하부의 아스카 경도 값이 상이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하부보다 상부가 더 높은 아스카 경도 값을 가지도록 설정되는 경우, 바닥면에 접촉하는 하부의 수축 및 이완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신체에 접촉하는 상부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며, 하부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여 미끄럼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체중 및 신체적 특징에 따라 적적하게 변형이 이루어져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의 아스카 경도는 20 내지 60도의 값을 가지며, 하부의 아스카 경도는 8 내지 20도의 아스카 경도 값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의 아스카 경도는 20 내지 40도의 값을 가지며, 하부의 아스카 경도는 8 내지 15도의 아스카 경도 값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의 아스카 경도는 20 내지 40도의 값을 가지며, 하부의 아스카 경도는 8 내지 10도의 아스카 경도 값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추 견인기(100) 및 요추 견인기(200)는 실리콘이나 고무, 우레탄,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 목적 및 제조 방법에 따라 적합한 아스카 경도를 설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를 연결하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길이 조절부는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를 연결하되,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 조절부는 삽입, 배출을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구조, 연결된 블록의 개수를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블록 구조 등과 같이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기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기(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경추 견인기(100)의 견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경추 견인기(100)를 사용자의 경추 및 흉추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배치한 예시도이다. 도 3은 경추 견인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경추 견인기(100)는 제1 경사도을 가지는 제1 경사면(S1)과 제 2 경사도를 이루는 제2 경사면(S2)을 포함한다. 제1 경사면(S1)과 제2 경사면(S2)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경사면(S1)과 제2 경사면(S2)을 포함하는 경추 견인기(100)의 단면은 반원, 반타원 또는 포물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만, 경추 견인기(100)는 경추의 만곡을 유지하기 위해 제1 경사도와 제2 경사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도가 제1 경사도 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 견인기(100)가 척추에 배치되는 경우, 경사도가 낮은 제1 경사면(S1)은 흉추의 상단부 방향으로 향하고, 경사도가 높은 제2 경사면(S2)은 경추의 상단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경추 견인기(100)의 곡면의 기울기가 가장 작은 최상단부가 경추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경추와 흉추는 완만하게 연결되는 곡선을 형성한다. 하지만, 경추의 상단부와 두개골의 연결부분의 경우, 두개골로 인하여 기울기가 급격히 변화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경추와 흉추가 이루는 만곡과, 경추와 두개골이 이루는 만곡이 서로 상이하다. 경추 견인기(100)는 경추와 흉추가 이루는 만곡과 경추와 두개골이 이루는 만곡의 차이를 고려하여, 척추의 자연스러운 만곡을 유지한 상태로 척추의 견인을 수행하기 위해 제1 경사면(S1)과 제2 경사면(S2)의 경사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 견인기(100)는 바닥면의 길이가 L1이며, 높이가 H1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척추의 만곡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신체 또는 척추에 접촉하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경추 견인기(100)는 척추 견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돌출부(110) 및 경추 수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경추 견인기(100)의 돌출부(110) 및 경추 수용부(120)의 구조를 설명한다.
척추는 전주, 중주, 후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주는 신체의 전면에 위치한 부분에 해당하며, 후주는 신체의 등 부분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척추가 경추 견인기(100) 및 요추 견인기(200) 위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경추 견인기(100) 및 요추 견인기(200)는 사용자의 등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경추 견인기(100) 및 요추 견인기(200)는 전주, 중주, 후주 중 후주에 직접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척추의 견인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후주는, 척추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즉, 등 쪽에서 척추를 바라볼 때, 척추의 가운데 부분 보다 양 측면으로 후주가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경추 견인기(100) 및 요추 견인기(100)는 척추에 가하는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돌출부(110, 210) 및 경추 수용부(120)를 형성한다. 즉, 돌출부(110, 210) 및 경추 수용부(120)는 후주를 전주 방향으로 밀어 척추의 교정을 위한 압력을 증가시키며, 척추와의 접촉 면접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0)와 경추 수용부(120)는 경추 견인기(100)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돌출부(110)와 경추 수용부(120)는 서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0) 및 경추 수용부(120)는 경사도가 낮은 제1 경사면(S1)의 일부에 경추 수용부(120)가 배치되며, 제1 경사면(S1)의 일부와 제2 경사면(S2)에 돌출부(110)가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추의 만곡에 의해 경추와 두개골의 연결 부분은 ∩자 형상의 커브를 형성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경추 상단부에 충분한 압력을 전달하지 못 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10)가 경추 상단부와 두개골 연결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경추에 더욱 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경추와 요추의 연결 부분은 ∪자 형상의 커브를 형성한다. 따라서, 경추와 요추의 연결 부분에 돌출부(110)가 배치되는 경우, 과도한 압력이 척추로 전달되어 근육 및 인대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추와 요추에 과도하게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돌출부(110)가 아닌 경추 수용부(120)를 제1 경사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 견인기(100)는 바닥면의 폭(W1)이 신체에 접촉하는 상부면의 폭(W2)보다 넓은 값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의 경우, 바닥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돌출부(110)의 높이(H2)와 경추 수용부(120)의 깊이(H3), 돌출부(110)와 경추 수용부(120)의 폭(W3) 및 돌출부(110)와 경추 수용부(120)의 길이 비율은 사용자의 척추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기 위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추 견인기(100)의 바닥면의 폭(W1)은 110~130mm, 상부면의 폭(W2)는 75~95mm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경추 견인기(100)의 길이(L1)는 180~220mm, 높이(H1)는 70~90mm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돌출부(110)의 높이(H2)와 경추 수용부(120)의 깊이(H3)는 특정한 값으로 한정되는 값이 아니며, 사용자의 체중, 신장, 척추 특성, 척추 질병 유무, 질병의 진단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 견인기(2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은 요추 견인기(200)의 견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요추 견인기(200)를 사용자의 요추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배치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요추 견인기(200)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요추 견인기(200)는 제3 경사도을 가지는 제3 경사면(S3)과 제 4 경사도를 이루는 제4 경사면(S4)을 포함한다. 제3 경사면(S3)과 제4 경사면(S4)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3 경사면(S3)과 제4 경사면(S4)을 포함하는 요추 견인기(200)의 단면은 반원, 반타원 또는 포물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만, 요추 견인기(200)는 요추의 만곡을 유지하기 위해 제3 경사도와 제4 경사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4 경사도가 제3 경사도 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 견인기(100)가 척추에 배치되는 경우, 경사도가 낮은 제3 경사면(S3)은 요추의 상단부 방향으로 향하고, 경사도가 높은 제4 경사면(S4)은 요추의 하단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요추 견인기(200)의 곡면의 기울기가 가장 작은 최상단부가 요추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흉추와 요추는 완만하게 연결되는 곡선을 형성한다. 하지만, 요추의 하단부와 천추부의 연결부분의 경우, 천추부로 인하여 기울기가 급격히 변화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흉추와 요추가 이루는 만곡과, 요추와 천추부가 이루는 만곡이 서로 상이하다. 요추 견인기(200)는 흉추와 요추가 이루는 만곡과 요추와 천추부가 이루는 만곡의 차이를 고려하여, 척추의 자연스러운 만곡을 유지한 상태로 척추의 견인을 수행하기 위해 제3 경사면(S3)과 제4 경사면(S4)의 경사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 견인기(200)는 바닥면의 길이가 L2이며, 높이가 H4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척추의 만곡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신체 또는 척추에 접촉하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요추 견인기(100)는 척추 견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돌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요추 견인기(100)의 돌출부(210)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척추는 전주, 중주, 후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후주는, 척추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즉, 등 쪽에서 척추를 바라볼 때, 척추의 가운데 부분 보다 양 측면으로 후주가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요추 견인기(200)는 척추에 가하는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돌출부(210)를 형성한다. 즉, 돌출부(210)는 후주를 전주 방향으로 밀어 척추의 교정을 위한 압력을 증가시키며, 척추와의 접촉 면접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0)는 요추 견인기(200)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요추 견인기(200)의 돌출부(210)는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는 수평면(211)과 높이가 낮아지는 단차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0)는 제3 경사면(S3)과 제4 경사면(S4)에 걸쳐서 형성되되, 제3 경사면(S4)과 제4 경사면(S4)의 연결부분에 배치되는 수평면(211)을 포함한다. 또한, 돌출부(210)는 제4 경사면에 배치되는 단차부(212)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요추의 만곡에 의해 요추와 천추부의 연결 부분은 ∩자 형상의 커브를 형성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요추 하단부에 충분한 압력을 전달하지 못 할 수 있다. 하지만, 돌출부(210)가 형성됨에 따라 요추 하단부에 더욱 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하지만, 요추가 이루는 커브의 기울기는 경추가 이루는 기울기에 비하여 완만한 기울기를 가진다. 따라서, 요추에 과도한 압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추의 만곡을 고려하여 돌출부(210)는 수평면(211)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 견인기(200)의 제4 경사면(S4)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 및 요추의 만곡도를 고려하여 돌출부(210)의 부분 중 제4 경사면(S4)에 위치하는 부분의 일부는 단차부(212)가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요추 견인기(200)의 돌출부(210)는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특성 및 요추의 만곡을 고려하여 일부분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추를 견인하기 위한 적절한 압력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 견인기(200)는 바닥면의 폭(W4)이 신체에 접촉하는 상부면의 폭(W5)보다 넓은 값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의 경우, 바닥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돌출부(210)의 높이(H5), 수평면(211)의 높이(H6), 단차부(212)의 높이(H7), 돌출부(210)와 폭(W6) 및 돌출부(210), 수평면(211), 단차부(212)의 길이는 사용자의 척추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기 위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추 견인기(200)의 바닥면의 폭(W4)은 110~130mm, 상부면의 폭(W5)는 80~100mm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요추 견인기(100)의 길이(L2)는 120~240mm, 높이(H4)는 35~55mm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값들이 특정한 값으로 한정되는 값이 아니며, 사용자의 체중, 신장, 척추 특성, 척추 질병 유무, 질병의 진단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받침대(1)의 변형 사용법을 설명한다.
도 18은 다목적 받침대(1)의 변형 사용 예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의 길이 방향이 척추의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하여 다목적 받침대(1)를 사용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의 길이 방향이 척추의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여 다목적 받침대(1)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의 길이 방향이 척추의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는 경우, 경추 견인기(100)의 제1 경사면(S1)과 제2 경사면(S2), 요추 견인기(200)의 제3 경사면(S3)과 제4 경사면(S4)이 모두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지 않고, 경추 견인기(100)의 제1 경사면(S1)과 요추 견인기(200)의 제3 경사면(S3)만이 사용자의 신체에 접하게 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를 기준으로 좌, 우측을 구분하는 경우,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는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척추는 일반적으로 약간의 S자 형상을 가진다. 또한, 척추는 단순히 어느 한 방향으로 틀어짐이 발생하는 것이 아닌 3차원으로 변형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를 척추에 일렬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등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척추의 전면과 후면에 대한 교정을 수행한다.
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를 기준으로 좌, 우측을 구분하는 경우, 경추 견인기(100)와 요추 견인기(200)는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사용하는 경우, 척추의 좌, 우측 틀어짐에 대한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경추 견인기(100)의 제1 경사면(S1)과 요추 견인기(200)의 제3 경사면(S3)만이 사용자의 신체에 접하게 사용하는 경우, 돌출부(110, 210)가 사용차의 척추 뼈 사이의 골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척추와의 접촉 면접을 증가시키며, 척추의 견인을 위압 적절한 압력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19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받침대(1)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19내지 도 21은 척추 측만증이 존재하거나, 척추 교정이 필요한 대상의 기존 X-ray 사진과 1개월 이상 다목적 받침대(1)를 사용한 이후의 X-ray 사진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척추 측만증이 있거나, 교정이 필요함이 확인 가능할 정도로 척추가 휘어져 있었으나, 일정 기간 동안 다목적 받침대(1)를 사용한 경우에는 척추의 틀어짐이 감소하여 척추가 교정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다목적 받침대
100: 경추 견인기
200: 요추 견인기
110: 돌출부
120: 경추 수용부
210: 돌출부
211: 수평면
212: 단차부

Claims (7)

  1. 척추 및 자세 교정을 위한 다목적 받침대에 있어서,
    제1 경사도를 가지는 제1 경사면과, 제1 경사도 이상의 경사도를 가지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2 경사면을 기초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추 견인기, 및
    상기 경추 견이기와 분리 가능하며, 제3 경사도를 가지는 제3 경사면과, 제3 경사도 이상의 제4 경사도를 가지는 제4 경사면을 기초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요추 견인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추 견인기는 중앙에서 높이 방향으로 제1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며,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추 견인기는 중앙에서 높이 방향으로 제2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견인기는,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경추 견인기의 중앙에서 높이 방향으로 제3 깊이를 가지도록 파여진, 경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길이와 상기 경추 수용부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비율에 따른 값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다목적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견인 장치의 최고점의 높이는 상기 요추 견인 장치의 최고점의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경추 견인 장치의 제2 경사도는 상기 요추 견인 장치의 제4 경사도 보다 높은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다목적 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견인기 및 상기 요추 견인기는,
    높이 방향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다목적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 견인기의 상기 제2 돌출부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최상단의 일부가 상기 요추 견인기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는 제1 수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다목적 받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 견인기의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4 경사면에 위치한 제2 돌출부의 높이가 상기 제2 높이보다 낮은 단차가 존재하는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다목적 받침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견인기는,
    경추의 하단부와 흉추의 상단부에 걸쳐 위치하며,
    상기 요추 견인기는,
    요추의 하단부와 천추부의 상반부에 걸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다목적 받침대.
KR1020230058447A 2022-07-08 2023-05-04 척추 및 자세 교정용 다목적 받침대 KR202400075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164 2022-07-08
KR20220084164 2022-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587A true KR20240007587A (ko) 2024-01-16

Family

ID=8971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447A KR20240007587A (ko) 2022-07-08 2023-05-04 척추 및 자세 교정용 다목적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75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494B2 (en) Chair and method for correcting an improper alignment of spinal vertebrae
JP5841179B2 (ja) 熟眠用整形枕
JP5894277B2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及び治療するための矯正椅子
KR101173164B1 (ko) 경추 견인치료기
EP0202376A2 (en) Contoured body supporting mattress
KR101614621B1 (ko) 체형교정 건강베개
US20090247917A1 (en) Massaging device
KR102284813B1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KR101780277B1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RU2329014C2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деформац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и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120180219A1 (en) Anatomically-correct support systems and methods for a reclining person
KR20180068037A (ko) 경추 교정 베개
US20210236367A1 (en) Cervical traction orthotic chiropractic neck alignment device for spi-nal curve tension stretching forward head posture pain relief and phys-ical therapy
JP2005046553A (ja) 健康枕
KR200483101Y1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20240007587A (ko) 척추 및 자세 교정용 다목적 받침대
EP4316448A1 (en) Spinal traction algorithm and thermal spinal massage device to which same is applied
KR100367074B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2002161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00371610B1 (ko) 의자를 이용한 척추 교정방법
US5570703A (en) Contoured therapeutic spinal support
US20030230310A1 (en) Method and apparatus useful for reducing neuromusculoskeletal imbalance
KR200474245Y1 (ko)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JP2002345863A (ja) 整体治療の前後において使用する整体治療用補助具
KR20220129443A (ko) 척추 치료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