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282A -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를 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를 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282A
KR20240007282A KR1020237043189A KR20237043189A KR20240007282A KR 20240007282 A KR20240007282 A KR 20240007282A KR 1020237043189 A KR1020237043189 A KR 1020237043189A KR 20237043189 A KR20237043189 A KR 20237043189A KR 20240007282 A KR20240007282 A KR 20240007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able
passageway
tubular device
lumen
adjustable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토마스 파브로
앤드류 픽
조셉 더블유. 킹
로렌 스파키스 라이데커
트래비스 헨키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0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2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89Instruments for placement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1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he digestive tract, e.g. bowels or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13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 A61F5/0076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preventing normal digestion, e.g. Bariatric or gastric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13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 A61F5/0076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preventing normal digestion, e.g. Bariatric or gastric sleeves
    • A61F5/0079Pyloric or esophageal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9Side-to-side connections, e.g. shunt or X-conn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besit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이식형 디바이스는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조정 가능한 통로를 갖는다. 통로는 통로를 통한 물질의 접근 또는 흐름을 폐색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조절하기 위해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세장형 요소는 폐쇄 구성일 때 통로에 삽입되어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식형 디바이스는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를 폐쇄하는 비틀어진 구역을 가진 관형 디바이스일 수 있고, 세장형 디바이스는 이러한 비틀어진 구역과 맞물리고 회전되어 폐쇄된 구역을 비틀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과하는 통로를 가진 부가적인 관형 디바이스가 이식형 디바이스의 통로에 삽입되어 선택된 시간 기간 동안 통로를 개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를 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미국 가출원 제63/190,545호(출원일: 2021년 5월 19일)의 우선권의 이득을 주장하고, 이의 전체 개시내용은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의료 디바이스의 통로를 통한 접근성을 조정하기 위한 이식형 의료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흐름-조절 디바이스, 예컨대, 폐색 디바이스 또는 루멘-병렬 디바이스의 통로 직경 또는 루멘을 제어하고/하거나 변경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의료 디바이스가 의료 디바이스를 통한 물질의 통과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또는 허용하게 하기 위해 이식형 디바이스의 통로 직경을 제어하고/하거나 변경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합을 형성하거나 또는 환자의 신체 내의 통로 또는 내강을 폐색시키기 위해 다양한 이식형 디바이스가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다양한 대사 치료는 완전 내시경 시술과 함께 스텐트를 유리하게 활용한다. 이러한 시술의 결과는 때때로 예측하기 어렵고 환자 상태와 치료에 대한 반응이 다양하기 때문에 효과가 일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식형 디바이스의 조정은 단순히 치료 과정 동안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이유로 치료를 수정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게다가, 특정한 치료는 나중에 접근(적어도 일시적 접근)이 필요할 수 있는 다른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더 직접적인 경로를 폐쇄하는 것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구성을 제어하고/하거나 능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예컨대, 위장(gastrointestinal: GI) 관을 통한 영양분의 흐름을 제어하거나 또는 조정하여, 의사가 환자의 치료(예를 들어, 문합 또는 폐색)를 환자의 특정한 요구에 개인 맞춤화하고 조정하고/하거나 접근성이 감소된 해부학적 부위에 대한 선택적인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내시경적일 수 있는, 디바이스 및 수반되는 시스템 및 절차(들)가 필요하다.
본 개시내용의 이 발명의 내용 부문은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고,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 및 특징의 각각이 유리하게는 일부 경우에 별도로 또는 다른 경우에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 및 특징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 부문에 요소, 컴포넌트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것에 의해 청구된 주제의 범위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르면,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조정 가능한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 및 조정 가능한 통로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를 통해 조정 가능한 통로 내로 연장 가능한 세장형 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이들 사이의 중간 구역을 갖고, 적어도 중간 구역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를 통해 조정 가능한 통로를 폐쇄하는 폐쇄 구성으로 비틀어진다(twisted).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요소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비틀어진 중간 구역을 비틀림 해제하도록 구성된 통로 개방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통로 개방 디바이스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비틀어진 중간 구역의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맞물림 특징부는 세장형 요소의 원위 단부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통로 개방 디바이스는 카테터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요소는 조정 가능한 통로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조정 가능한 통로의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세장형 요소 위에서 해부학적 구조에 걸친 전개 부위로 가이드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조정 가능한 통로를 개방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조정 가능한 통로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루멘-제어 플러그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폐쇄 구성과 개방 구성 간에 변경 가능한 조정 가능한 통로가 관통하여 획정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 및 조정 가능한 통로를 제1 개방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조정 가능한 통로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제1 루멘-제어 플러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조정 가능한 통로를 제1 개방 구성과 상이한 크기의 제2 개방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조정 가능한 통로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제2 루멘-제어 플러그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2 루멘-제어 플러그는 제1 루멘-제어 플러그 내에 배치 가능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루멘-제어 플러그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를 통해 조정 가능한 통로 내에서 제1 루멘-제어 플러그의 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제1 단부를 따른 제1 유지 부재 및 제2 단부를 따른 제2 유지 부재를 갖고; 제1 루멘-제어 플러그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제1 유지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유지 부재, 및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에 대한 제1 루멘-제어 플러그의 이동에 저항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제2 유지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유지 부재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제1 루멘-제어 플러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조정 가능한 통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세장형 요소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루멘-제어 플러그는 세장형 요소 위에서 그리고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로 가이드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조정 가능한 통로가 관통하여 획정된 이식형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를 조정하는 방법은 조정 가능한 통로를 개방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에 획정된 조정 가능한 통로로 세장형 요소를 삽입하는 단계; 및 조정 가능한 통로를 개방하기 위해 루멘-제어 플러그를 조정 가능한 통로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루멘-제어 플러그를 삽입하는 단계는 세장형 요소 위에서 루멘-제어 플러그를 가이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가 비틀어져서 통과하는 조정 가능한 통로가 폐쇄 구성이고, 방법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통로를 비틀림 해제하기 위해 세장형 요소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조정 가능한 통로 내의 루멘-제어 플러그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특징부와 루멘-제어 플러그의 특징부를 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 특징과 이점 및 다른 특징과 이점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손쉽게 분명할 것이고, 청구된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된다. 다음의 개시내용이 양상 또는 실시형태의 면에서 제시되지만, 개별적인 양상이 해당 실시형태 또는 임의의 다른 실시형태의 양상 및 특징과 결합하여 또는 별도로 청구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되며, 도면은 개략적이고 일정 축척대로 도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은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되고, 도면에 반영된 치수, 위치, 순서 및 상대적인 크기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세사항이 식별 가능하도록 디바이스가 확대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전달 카테터 또는 내시경의 작업 채널 내에 피팅되는 것과 관련하여 축소되도록 의도된다. 명료성과 단순함을 위해, 모든 요소가 모든 도면에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당업자가 본 개시내용을 이해하게 하도록 예시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각각의 실시형태의 모든 요소가 도시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유사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함께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에 따라 형성되고 위와 소장의 일부 사이에 문합을 가진 위장 환경의 개략도에 배치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는 조직 벽을 병렬로 그리고 폐쇄 구성으로 유지하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3a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지만, 통로 개방 디바이스가 내부에 삽입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3b는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 내에 삽입된 통로 개방 디바이스의 더 먼 위치를 예시하는 도면.
도 4a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른 통로 개방 디바이스의 원위 부분의 실시형태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4b는 도 4a의 라인(IVB-IVB)을 따른 단면도.
도 5a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른 통로 개방 디바이스의 원위 부분의 실시형태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5b는 도 5a의 라인(VB-VB)을 따른 단면도.
도 6a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른 통로 개방 디바이스의 원위 부분의 실시형태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6b는 도 6a의 라인(VIB-VIB)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2의 라인(VII-VII)을 따른 확대된 단면도.
도 8은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통로 개방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 3b의 라인(VIII-VIII)을 따른 확대된 단면도.
도 9는 도 3a에 예시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의 부분(IX)의 상세도.
도 10은 루멘-제어-플러그 및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 벽의 상세사항이 도면의 명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실시형태 내에 삽입된 루멘-제어-플러그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도 1의 라인(X-X)을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실례가 되는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읽혀져야 한다. 본 개시내용이 설명된 특정한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모든 장치 및 시스템 및 방법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원리에 따라 구현되는 장치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방법의 예이다. 실시형태의 각각의 예는 설명을 위해 제공되고 이러한 원리를 구현하는 유일한 방식이 아니라 단지 예일 뿐이다. 따라서, 도면의 요소 또는 구조체 또는 특징부에 대한 참조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의 예에 대한 참조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개시내용을 예시된 특정한 요소, 구조체 또는 특징부로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개시된 원리를 구현하는 방식의 다른 예는 본 개시내용을 읽을 때 당업자에게 떠오를 것이다. 실제로, 본 주제의 범위 또는 정신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본 개시내용에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의 일부로서 예시되거나 또는 설명된 특징부는 또 다른 실시형태와 함께 사용되어 또 다른 추가의 실시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주제가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들의 등가물의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이 본 출원에서 상세사항의 다양한 수준으로 제시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한 경우에서, 당업자가 본 개시내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지 않거나 다른 상세사항을 인지하기 어렵게 만드는 상세사항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한 실시형태만을 설명할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넘어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당업자에 의해 흔히 이해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청구된 모든 디바이스 및/또는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비추어 과도한 실험 없이 이루어지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근위"는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예를 들어, 디바이스를 환자 내로 도입할 때, 또는 이식, 포지셔닝 또는 전달 동안)와 같이 사용자(의료 전문가 또는 임상의 또는 기술자 또는 조작자 또는 의사 등, 이러한 용어는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자동화된 제어기 시스템 또는 다른 것을 포함함) 등과 가장 가까이 있는 방향 또는 위치를 나타내고, "원위"는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예를 들어, 디바이스를 환자 내로 도입할 때, 또는 이식, 포지셔닝 또는 전달 동안)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가장 먼 방향 또는 위치를 나타낸다. "길이방향"은 요소의 더 긴 또는 더 큰 치수를 따라 연장됨을 의미한다. "중심"은 중심점을 적어도 일반적으로 양분하는 것을 의미하고, "중심축"은 개구에 대해, 개구가 예를 들어, 관형 요소, 버팀대, 채널, 공동부 또는 보어를 포함할 때 개구의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의 중심점을 적어도 일반적으로 양분하는 라인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르면, 이식형 디바이스는 해부학적 구조에 걸쳐 연장하여 이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식형 디바이스는 신체 관 또는 내강에 걸쳐 연장될 수 있고, 이러한 용어는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신체 관 또는 내강은 제한 없이, 통로 또는 내강의 일부, 해부학적 구조(관, 내강, 공동부, 기관 등) 사이의 관 또는 내강, 병렬된 조직 벽에 걸쳐 생성된(예컨대, 문합을 생성하기 위한) 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통로 또는 루멘(이러한 용어는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됨)을 갖고, 이를 통해 디바이스가 배치되는 신체 관을 폐색하거나 차단하거나 좁히거나 폐쇄하거나 수축하거나 조절하거나 제어하기 위해(이러한 용어 및 이의 동사 활용형은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폐색 또는 루멘-병렬 또는 문합 또는 흐름-조절 또는 흐름-제어 디바이스로 간주되고 참조될 수 있고, 이러한 용어 및 이에 대한 다양한 다른 대안은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편의를 위해 그리고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를 간단히 언급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게다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조정 가능한 부분에 대한 언급은 예컨대, 관통하는 통로의 크기(예를 들어, 직경)를 조정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임의의 부분에 대한 언급으로 이해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통로의 크기 또는 직경은 폐쇄(완전한 폐쇄 또는 실질적으로 하지만 완전한 폐쇄 아님, 예컨대, 약 80% 초과 폐쇄 내지 약 100% 폐쇄(이들 사이에 0.5%의 증분을 포함함)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됨) 구성과 개방 구성 간에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하다. 통로는 중립/휴지 구성(또 다른 디바이스 또는 통로에 행해지는 임의의 작용에 의해 영향받지 않음)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힘의 능동적인 인가 또는 이에 대한 또 다른 작용 시에만 개방 위치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 개방 위치는 통로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 및/또는 통로가 개방 위치로 변경되는 방식에 의해 선택되거나 제어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결정될 수 있다. 통로가 임의의 다양한 개방도(예를 들어, 개구의 크기가 가변적임)로 개방되어 통로를 통한 물질의 흐름(예를 들어, 용적, 속도, 양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는 다른 폐쇄 구성에서 개방 구성으로 간단히 변경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통로는 중립 개방 구성을 가질 수 있고 통로는 이러한 중립 개방 구성을 넘어 신장될(예를 들어, 확대되거나 또는 넓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는 예컨대, 비틀어짐으로써 또는 이에 대한 별개의 폐쇄 요소의 적용에 의해 중립 개방 구성에서 폐쇄 구성으로 수축될 수 있고, 이러한 중립 개방 구성을 넘어 신장되거나 넓어진 구성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라 형성된 이식형 디바이스는 폐색 디바이스로서 사용되고, 다른 폐색된 통로를 통한 물질의 통과가 요망되거나 또는 나타나면 개방 구성으로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라 형성된 이식형 디바이스는 예컨대, 루멘-병렬 디바이스 또는 또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별개의 루멘-병렬 디바이스)에 의해 병렬로 되는 내강 또는 공동부 또는 기관 또는 다른 해부학적 구조를 연결시켜서, 이들 사이의 조정 가능한 통로와 함께 문합을 생성하도록 사용된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는 본 개시내용의 원리는 예컨대, 환자에게 여전히 이식된 동안 흐름-제한 디바이스 및/또는 이의 일부를 통한 통과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면, 다양한 치료 프로토콜 및/또는 다양한 의료 시술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른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은 비만 치료 또는 다른 위장 질환의 치료와 같은, 위에서 유문을 통한 위 물질의 흐름을 제어하거나 폐색하는 것을 수반하는 다양한 위 시술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프로토콜은 유문을 통한 물질의 통과 속도를 감소시키고/시키거나 느리게 하는 것 및/또는 위로부터 유문을 폐색하는/차단하는 것을 수반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이를 통한 흐름 그리고 결과적으로 유문을 통한 물질의 흐름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전적으로) 폐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또한 환자에게 포만감을 증가시켜서, 환자의 식욕을 감소시켜서, 결과적으로 칼로리 섭취를 감소시키는 의도를 가진 것을 수반한 비만 치료에서 사용될 수 있다. 포만감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방식은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 및/또는 위가 비어지는 속도(위에서 십이지장까지 물질, 예컨대, 유체 또는 유미즙의 흐름)를 감소시키거나 느리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포만감 또는 충만감을 유도하여 음식물 섭취의 감소 및 연관된 체중 감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시술은 해부학적 구조의 다양한 부분의 벽, 예컨대, 조직 벽 또는 병렬된 조직 벽을 통한 접근을 선택적으로 획득하는 것을 수반한다. 조직 벽 또는 병렬된 조직 벽을 통한 통로를 형성하고 이러한 통로가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과적 우회 시술은 해부학적 구조에 접근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조에 대한 접근은 우회가 수행된 후 요망되거나 또는 요구될 수 있다. 하나의 예는 루앵-Y(Roux-en-Y) 위 우회를 겪는 환자가 내시경 역행 담췌관 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을 필요로 할 때이고, 의사가 유두에 내시경적으로 접근하는 직접적인 경로가 더 이상 없다. 의사는 위낭에서 차단된 위까지 임시 통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새로운 통로는 일시적(예를 들어, 3주 내지 4주)이지만, 위 물질(예를 들어, 유미즙)이 GI관의 우회 부분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비만 시술의 효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치료되는 질병에 따라, 다수의 ERCP는 환자의 질환을 완전히 치료해야 하고, 통로를 필요로 하는 시간을 더 연장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에 따르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에는 조정 가능한 통로가 관통하는 조정 가능한 부분이 형성된다. 조정 가능한 통로가 시술 동안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를 통한 (물질 또는 의료 디바이스 또는 기구의) 일시적인 접근 또는 통로를 허용할 수 있거나 또는 더 긴 시간 기간 동안 개방될 수 있다(그리고 원하거나 의학적으로 나타날 때 폐쇄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통로가 확장될 때 이를 통한 물질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확장 가능한 좁아진 조정 가능한 부분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일부가 비틀어져서, 비틀림부가 통로를 좁히거나 폐쇄한다.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이러한 비틀림부가 변경되거나 조정되고, 예를 들어, 비틀림 해제되어, 이러한 비틀림부에 의해 생성되는 통로의 폐쇄 또는 폐색의 정도를 변경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요소가 제공되어 통로를 통해 연장되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조정 가능한 부분을 조정한다. 세장형 요소는 조정 가능한 부분의 구성과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는 고유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특정한 기능으로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편의를 위해 통로 개방 디바이스로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조정 가능한 부분은 실질적으로 폐쇄 구성으로 좁아지거나 비틀어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 구성, 예컨대, 비틀림 해제로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하다. 다른 구성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정신 내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통로 개방 디바이스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폐쇄된(예를 들어, 비틀어진) 부분의 형상 또는 윤곽 또는 다른 특징부와 대응하는 특징부를 갖게 성형되거나 구성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가 비틀어진-폐쇄된 디바이스 및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이러한 디바이스의 비틀림 해제의 예를 넘어 확장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편복되거나 직조되거나 비틀어지거나 래핑되거나 뒤얽히거나 편조되거나 루핑되거나(예를 들어, 보빈넷-스타일(bobbinet-style)) 매듭지어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자가-지지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는 복수의 스트랜드 또는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레이저-절삭된 관 또는 결합된 세장형 요소 또는 또 다른 자가-지지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는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스텐트 또는 프레임워크 또는 스캐폴드로 교번하여 지칭될 수 있다.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생체적합성 금속 또는 폴리머 물질 또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물질은 형상 기억 또는 열 변형성 물질, 예컨대, 니켈-티타늄 합금(예를 들어, 니티놀)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통로 개방 디바이스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좁아진 부분 및/또는 이의 요소와 맞물리는(예를 들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와이어 사이에서 맞물리는)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부가적인 관형 디바이스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조정 가능한 통로는 직경이 증가될 수 있고 부가적인 관형 디바이스가 내부에 삽입되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통로를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통로의 완전한 개방 정도보다 더 작은 정도로 개방되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의 폐쇄된(예를 들어, 비틀어진 폐쇄된) 구역의 개방이 디바이스의 다른 변화, 예컨대, 디바이스의 축방향 길이 또는 다른 치수 또는 특성에 대한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지 부재는 조직 벽을 병렬로 유지하고/하거나 디바이스가 전개/배치되는 해부학적 위치에 대해 제자리에 디바이스를 유지하기 위해(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이동을 억제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단부에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의 폐쇄된 구역의 개방은 유지 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의 위치(예를 들어, 상대적 위치 및/또는 배향, 예컨대, 유지 부재 사이의 축방향 거리) 및/또는 유지 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의 구성(예를 들어, 조정되는 구역과 같은, 디바이스의 다른 구역의 치수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는, 직경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와 같은, 유지 부재의 치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유지 부재에 영향을 주는 이식형 디바이스의 폐쇄된 구역의 구성의 조정성은 유지 부재와 접촉하는(예를 들어, 유지 부재에 의해 병렬로 유지되는) 조직 벽에 대한 유지 부재의 유지력에 영향을 주기 위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디바이스가 디바이스를 통한 물질의 통과를 허용하는지 여부에 관계 없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부가적인 디바이스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에 삽입되어(또는 그렇지 않으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를 변경하여)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와 다른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구성에 대한 조정을 유지한다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를 통한 물질의 통과가 요망되지 않는 경우에 이러한 부가적인 디바이스는 이를 통한 통로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르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내강경유 또는 카테터경유 또는 내시경 전달을 위해 크기 설정되고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르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가 접히거나 그렇지 않으면 단면 치수가 감소되어 (개복 외과적 시술과 대조적으로) 최소-침습적 시술에서 사용되는 관형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끼워맞춤될 수 있다.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일단 배치되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자가-확장하도록 형성(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일단 전달 디바이스 내에서 더 이상 유지되거나 또는 수축되지 않는다면 디바이스를 확장시키는 형상 기억 물질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 다른 확장 가능한 디바이스, 예컨대, 확장 가능한 벌룬의 도움으로 확장될 수 있다. 전개 위치로부터 제거의 옵션을 허용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알려지거나 기술에 이전에 알려진 임의의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된 전개 구성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는 본 개시내용의 원리가 루앵-Y 위 우회 또는 다른 유형의 우회가 수행되는 위(S)에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의 하나의 실시예에 배치되는 바와 같이 도 1에 예시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S)는 위낭(GP)으로서 지칭될 수 있는 위(S)의 기능성 부분과 일반적으로 음식물의 통로에서 소화관을 따라 차단되거나 폐쇄되는 위의 우회 부분(BP)으로 분할되었다. 더 구체적으로, 위의 우회 부분(BP)은 음식물 물질(예를 들어, 유미즙, 부분적으로 소화된 음식물 물질 등)을 십이지장(D)으로 정상적으로 통과시키는 위(S)의 하부 부분이다. 위낭(GP)은 공장(J)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유문(P)을 통해 장, 예컨대, 십이지장(D)의 근위 구역뿐만 아니라 췌장관과 담관으로의 일반적인 접근이 차단된다. 이러한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더 준비가 된 접근이 요망된다면, 위의 우회 부분(BP)으로의 문합(A)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는 위공장문합술과 같은 다른 유형의 위 우회 시술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예시되지 않지만 예컨대,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18/08271530호(출원일: 2018년 3월 26일, 공개일: 2018년 9월 27일)를 참조하여 당업자에게 손쉽게 이해됨, 이 공개된 특허 출원은 모든 목적을 위해 전문이 본 명세서에 원용됨). 이러한 시술에서 위공장문합술을 형성하는 디바이스가 개방된 채로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만(그리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를 위한 일반적인 위치가 아님), 유문(P)을 통해 십이지장(D)으로의 접근을 폐쇄하거나 적어도 제한하여 공장(J)으로의 우회를 촉진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여전히 바람직하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는 유문(P)의 원하는 정도의 폐쇄를 수행하기 위해 유문(P)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면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폐쇄 정도의 선택적인 조정을 허용한다. 위 배출을 조절하기 위해 유문(P)을 통한 흐름을 조절하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배치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추가의 또 다른 잠재적인 사용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더 손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예는 제1 단부(101), 제2 단부(103)를 갖고,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105)을 갖는다. 제1 단부(101)가 넓어져서 제1 유지 부재(102)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단부(103)가 넓어져서 제2 유지 부재(104)를 형성할 수 있다. 유지 부재(102, 104)(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플랜지로서 교번하여 지칭될 수 있음)는 바람직하게는 충분히 넓도록 그리고 예컨대, 알려지거나 기술에 이전에 알려진 다양한 조직-병렬 디바이스 또는 스텐트에 따라,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를 제자리에 유지하는 충분한 유지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유지 부재(102, 104)는 임의의 다양한 형상일 수 있고, 예컨대, 오목하거나, 볼록하거나, 디스크 형상이거나, 원통형(예를 들어, 예시된 것보다 더 긴 길이방향 길이를 가짐) 등 또는 다른 구성일 수 있고, 특정한 형상 및 구성은 본 개시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루멘 내경이 중립 구성일 때 완전히 폐쇄될(즉, 0㎜의 내경을 가짐)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쇄될 때 루멘(105)의 내경은 5㎜ 미만이다. 루멘(105)은 루멘을 통한 의료 디바이스 또는 기구의 통과를 허용하는 크기로 또는 루멘을 통한 물질(예를 들어, 신체 물질 또는 섭취된 물질)의 원하는 용적 또는 흐름 속도를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루멘(105)의 최대 내경은 대략 20㎜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지 부재(102, 104)의 직경은 적어도 약 30㎜ 내지 최대 약 40㎜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의 상세사항은 본 개시내용에서 중요하지 않고 따라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가 사용되는 주어진 환경에 대해 결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맡겨진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101)와 제2 단부(103) 사이의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중간 구역(106)(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새들 구역(106)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교번하여 지칭될 수 있음)이 수축되어 루멘(105)의 단면 크기(예를 들어, 직경)를 감소시켜서 이를 통한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다(예를 들어, 흐름을 감소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조절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중간 구역(106)이 비틀어져서 중간 구역(106)을 폐쇄한다. 그러나, 다른 수축부가 중간 구역(106)에 걸친 탄성 밴드 또는 슬리브의 사용과 같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정신 내에 있어서 이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105)의 부분을 수축시킨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이러한 탄성 밴드 또는 슬리브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른 루멘(105)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확장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르면, 세장형 요소(200)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하나의 단부 및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루멘(105)에 삽입되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중간 구역(106)을 확장시킬 수 있다. 세장형 요소(200)가 일반적으로 더 손쉽게 접근 가능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단부(101, 103)에 삽입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세장형 요소(200)가 제2 단부(103)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 3a에 예시되지만, 세장형 요소(200)는 대신 제1 단부(101)에 삽입될 수 있다. 세장형 요소(200)의 원위 단부(201)가 세장형 요소(200)에 삽입되고, 근위 단부(203)가 전문 의료진에 의해 접근을 위해 배치되어 세장형 요소(200)의 전진 및 조작을 제어한다. 세장형 요소(200)가 근위로 연장될 수 있어서 이의 근위 단부(203)가 환자의 외부에 있고 제어 핸들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 구멍 내강경유 내시경 수술(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NOTES)이 사용되어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른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를 조정할 수 있고, 세장형 요소(200)가 환자의 식도를 통해 근위로 연장되어 환자의 입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내강경유 또는 관과 같이, 치료 부위로의 진입 및 접근의 대안적인 지점은 본 개시내용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위장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에 대한 직장 접근 또는 혈관계에서 사용되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에 대한 관 접근은 본 개시내용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다. 가이드와이어(예컨대, 세장형 요소(200)를 통한 루멘을 통해 삽입됨)는 세장형 요소(200)를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로 가이드하는 것을 돕도록 사용될 수 있다. 세장형 요소(200)의 원위 단부(201)가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으로 충분히 강하여(예를 들어, 충분한 압축 저항을 가짐)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중간 구역(106)의 수축된 조정 가능한 부분으로 전진되어 이를 통한 루멘(105)의 크기를 조정해서 후속하여 물질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루멘(105)을 통과하는 능력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세장형 요소(200)의 원위 단부(201)가 편복된 코일 또는 다른 구조체(예를 들어, 복합 구조체)로 보강되어 압축 저항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간 구역(106)이 비틀어진,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실시형태의 실시예에서,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세장형 요소(200)의 원위 단부(201)가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비틀림 강도를 가져서 중간 구역(106)의 비틀어진 조정 가능한 부분을 비틀림 해제하여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를 통한 루멘(105)이 개방되는 양 또는 정도를 조정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보강은 세장형 요소(200)의 비틀림 저항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실시예의 루멘(105)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세장형 요소(200)는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중간 구역(106)의 조정 가능한 부분으로 전진되고,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의 길이방향 축(L)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중간 구역(106)의 조정 가능한 부분을 비틀림 해제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원리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조정 가능한 부분의 다른 구성에 대응하는 세장형 요소의 다른 구성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정신 내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비틀어진 중간 구역(106)을 비틀림 해제하도록 구성된 세장형 요소(200)의 원위 단부(201)에는 이러한 구성을 비틀림 해제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중간 구역(106)의 비틀어진 구성과 맞물리도록 구조화되고 구성된 하나 이상의 맞물림 특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물림 특징부는 비틀어진 중간 구역(106)의 비틀림부와 또는 비틀림 사이에서 맞물리는 돌출부 또는 릿지 또는 홈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비틀어진 중간 구역(106)과 맞물리도록 구조화되고 구성된 세장형 요소(200) 상에 제공될 수 있는 맞물림 특징부의 실시예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도 4a, 도 4b, 도 5a, 도 5b, 도 6a, 도 6b, 도 7a, 도 7b에 예시된다.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요소(200')의 실시예의 원위 단부(201')는 세장형 요소(200')의 원위 단부(201')를 따라 길이방향 돌출부의 형태인 맞물림 특징부(206')를 갖는다. 도 4a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맞물림 특징부(206')가 세장형 요소(200')의 길이방향 축(L)을 중심으로 비틀어져서(예를 들어, 나선형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비선형이어서) 예컨대, 세장형 요소(200')가 사용되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비틀림부에 대응한다. 도 4b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맞물림 특징부(206')는 세장형 요소(200')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되고 임의로 적어도 이의 일부를 따라 (예를 들어, 세장형 요소(200')의 길이방향 축(L)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만곡된다. 도 4b에 예시된 맞물림 특징부(206')의 실시형태의 실시예는 세장형 요소(200')의 원위 단부(201')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이의 자유 단부에서(세장형 요소(200')의 원위 단부(201')로부터 가장 멀고 이에 부착되지 않은 맞물림 특징부(206')의 단부 또는 에지를 따라) 만곡된다.
세장형 요소(200)의 원위 단부(201) 주위에서 만곡된, 예컨대, 나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신에, 맞물림 특징부(206)는 예컨대,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세장형 요소(200'')의 실시형태의 실시예에서, 세장형 요소(200)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세장형 요소(200'')의 맞물림 특징부(206'')는 세장형 요소(200'')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 5a에 예시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맞물림 특징부(206'')는 도 4b에 예시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만곡되는 일 없이, 일반적으로 곧은 방향으로 세장형 요소(200'')의 원위 단부(201'')로부터 멀리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요소(200''')의 실시예의 원위 단부(201''')는 세장형 요소(200''')의 원위 단부(201''')를 따라 이격된 복수의 개별적인 돌출부의 형태인 맞물림 특징부(206''')를 갖는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맞물림 특징부(206''')는 세장형 요소(200''')의 원위 단부(201''')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된다. 도 6a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맞물림 특징부(206''')는 세장형 요소(200''')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여 더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한 맞물림 특징부(206''')는 서로 선형으로 그리고/또는 방사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맞물림 특징부(206)가 몰딩, 아교, 압출, 기계가공, 스탬핑 또는 절단과 같은, 임의의 알려지거나 이전에 기술에 알려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5a 및 도 5b의 실시형태는, 특히 도 5b에서, 절단 또는 퀼링에 의해 형성되는 맞물림 특징부(206)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절단부는 세장형 요소(200'')의 원위 단부(201'')의 면에 (일반적으로 비방사 방향으로) 형성되고 절단부는 세장형 요소(200'')를 형성하는 돌출부(예를 들어, 퀼 또는 핀)로 섹션을 갈라놓도록 넓어진다. 임의의 수의 맞물림 특징부(206)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비틀어진 부분과 맞물리도록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맞물림 특징부(206', 206'', 206''')의 형상 또는 구성 또는 수는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설명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도 2의 라인(VII-VII)을 따라 취해진, 도 7의 개략적인 단면도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가 복수의 와이어(108)에 의해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맞물림 특징부(206)는 와이어(108)와, 예컨대, 일대일 대응으로 또는 도 3a의 라인(VIII-VIII)을 따라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와이어(108)의 군 사이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루멘(105) 내의 세장형 요소(200)의 끼워맞춤은 와이어(108)(비틀어지고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길이방향 축(L)과 대체로 평행하지 않음)가 이동하게 하고(그리고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길이방향 축(L)과 더 밀접하게 정렬되게 하고), 세장형 요소(200)의 비틀림은 와이어(108)가 훨씬 더 멀리 이동하게 하여 루멘(105)을 개방한다.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조정 가능한 부분이 비틀어지는/비틀림 해제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가 배치되는 조직 또는 신체 관에 대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원위 부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양한 유지 특징부(110)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 상에 제공되고/되거나 형성되어 조직 또는 신체 관에 대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와 맞물리고/리거나 앵커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맞물림 돌출부(예를 들어, 갈고리, 앵커 등), 조직 내성장 특징부, 마이크로패턴, 스레드 및/또는 다른 기계적 또는 조직-기반 로킹 특징부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표면 상에 제공되어 조직과 맞물릴 수 있고 조직을 따라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가 배치된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실시형태에서, 조직 벽(T)(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가 이들 사이에 배치된다면, 공장의 벽 및 위벽)을 병렬로 유지하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가 도시된다. 도 9에 예시된 도 3a의 상세사항(X)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유지 특징부(110)(예컨대, 갈고리와 같은 조직-맞물림 돌출부의 형태임)는 조직 벽과 인접하거나 맞물리는 유지 부재(102)의 표면 상에 있다. 조직 벽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가 배치되는 조직을 둘러싸거나 조직과 인접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의 구성에서, 유지 특징부(110)는 중간 구역(106)과 대면하는 유지 부재(102)의 부분(예를 들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에 의해 병렬로 유지되는 조직 중 하나의 조직과 인접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접촉하는 내향으로 향하는 부분) 상에 제공된다. 그러나,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가 사용되는 환경 또는 시술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 특징부(110)를 위한 다른 위치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정신 내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가 신체 관 또는 내강, 예컨대, 유문(P)에 걸쳐 배치된다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가 배치되는 신체 관의 내벽과 맞물릴 바와 같이 유지 특징부(110)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횡방향-외향으로 배치된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지 특징부(110)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원위 부분 상에, 예컨대, 원위 유지 부재(102) 상에 제공되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근위 부분(일반적으로 전문 의료진에 의해 더 손쉽게 접근 가능함)이 회전되는 반면에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원위 부분은 신체(예를 들어, 조직 벽(T))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도 10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특정한 특징부, 예컨대, 벽의 상세사항은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생략됨), 본 개시내용의 별개의 그리고 독립적인 양상에 따르면, 일단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루멘(105)이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장형 요소(200)에 의해) 개방되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루멘(105)을 통한 원하는 개방을 유지한다면, 부가적인 관형 요소(300)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편의성을 위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관형 요소는 루멘-직경-제어-플러그 또는 루멘-제어-플러그(300)로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루멘-제어-플러그(300)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를 전개하고/하거나 배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와 같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디바이스 및/또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를 개방(예를 들어, 비틀림 해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와 같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디바이스로부터 전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멘-제어-플러그(300)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루멘(105)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장형 요소(200)를 사용하여 전개될 수 있으므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개방 및 루멘-제어-플러그(300)와 동일한 것의 받침 또는 플러깅 개방이 루멘(105) 내로부터 세장형 부재(200)의 사전 제거 없이 단일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용어 "플러그"는 루멘-제어-플러그(300)가 예컨대, 루멘(105)를 플러깅하거나 더 구체적으로 플러깅 개방하기 위해 배치되는 루멘(105) 내에 배치(예를 들어, 플러깅 또는 더 구체적으로, 플러깅 개방)되는 것을 참조하여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원위 단부(101)로부터 인접하고 (중간 구역(106)을 향하여) 다소 내향으로 이격된 원위 단부(201), 및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근위 단부(103)로부터 인접하고 (중간 구역(106)을 향하여) 다소 내향으로 이격된 근위 단부(103)를 가진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루멘(105)을 통해 연장되는, 도 10에 예시된 루멘-제어-플러그(300)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그러나, 원한다면, 루멘-제어-플러그(300)의 길이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길이와 더 밀접하게 매칭될 수 있으므로 대응하는 원위 단부(101, 301)와 근위 단부(103, 303)는 도 10에 예시된 것보다 함께 더 가깝다(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도 10에 예시된 실시형태의 실시예에서, 루멘-제어-플러그(300)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형상 및/또는 구성과 정합하거나 매칭되거나 대응하도록, 예컨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 내 루멘-제어-플러그(300)의 이동(예를 들어, 축방향 및/또는 방사상 상대적 이동)을 감소시키도록 성형되고/되거나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예시된 루멘-제어-플러그(300)의 실시형태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제1 유지 부재(102)와 정합(예를 들어, 맞물리고, 형상에 대응하고, 끼워맞춤되는 등)하도록 구성된 제1 유지 부재(302) 및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제1 유지 부재(104)와 정합(예를 들어, 맞물리고, 형상에 대응하고, 끼워맞춤되는 등)하도록 구성된 제2 유지 부재(304)를 갖는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루멘-제어-플러그(300)의 유지 부재(302, 304)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유지 부재(102, 104)의 이격된 벽 내에 끼워맞춤되지만, 다른 구성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유지 부재(102, 104)가 이중벽으로 예시되지만, 루멘-제어-플러그(300)의 유지 부재(302, 304)가 단일 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외부 스텐트 내에서 내부 스텐트를 유지하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특징은 본 개시내용의 기본 원리에 중요하지 않다.
루멘-제어-플러그(300)의 루멘(305)의 직경, 예컨대, 루멘-제어-플러그(300)의 중간 구역(306)의 직경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 및 루멘-제어-플러그(300)가 제공/사용되는 의도된 치료 과정에 따라 다양한 직경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루멘-제어-플러그(300)는 바람직하게는 병렬된 조직으로부터 임의의 수축 힘과 함께, 휴지 위치에서 폐쇄되도록 구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로부터 임의의 수축 힘을 견디는데 충분한 방사상 또는 후프 강도를 가져서, 루멘-제어-플러그(300)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다른 폐쇄된 조정 가능한 부분을 개방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루멘-제어-플러그(300)는 대응하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보다 더 높은 방사상 또는 후프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1개 초과의 루멘-제어-플러그(300)를 가진 키트 또는 시스템이 제공되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루멘(105) 내에 상이한 크기의 루멘-제어-플러그(300)를 삽입함으로써 치료 과정 동안 다양한 단계에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루멘(105)의 크기의 조정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가 이를 통한 물질의 흐름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배치(예를 들어, 위 배출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비만 시술 시 유문(P)에 걸쳐 배치)되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루멘(105)의 직경을 조정하여 환자의 치료 진척 또는 반응에 따라 물질의 흐름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직경의 루멘-제어-플러그(300)는 제2 상이한 직경의 루멘-제어-플러그(300)로 대체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루멘(305)이 제1 직경을 가진 제1 루멘-제어-플러그(300)가 처음에 삽입될 수 있고, 루멘(305)이 제1 직경보다 더 작은 제2 직경을 가진 제2 루멘-제어-플러그(300)가 제1 루멘-제어-플러그(300)에 삽입되어 제1 루멘-제어-플러그(300)에 의해 생성된 통로를 좁힐 수 있다. 상이한 직경을 가진 루멘-제어-플러그(300)의 이러한 세트는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 내에 함께 처음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루멘-제어-플러그(300)는 원한다면 그리고 원할 때 제거된다. 또는, 제1 루멘-제어-플러그(300)가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루멘-제어-플러그(300)가 나중에(예를 들어, 치료 과정에 따라, 몇시간, 며칠, 몇주 등 나중에) 제1 루멘-제어-플러그(300) 내에 배치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가 환자 내에 폐쇄 구성으로 남겨질 수 있고 루멘-제어-플러그(300)가 제한된 기간의 시술 동안만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루멘(105)에 삽입될 수 있고, 일단 이러한 시술이 완료되면 제거될 수 있어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를 다시 한번 폐쇄 구성으로 제자리에 둔다.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를 통과할 수 있는 기구의 크기가 (예를 들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를 통과할 기구에 기초하여) 시술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이한 크기의 루멘-제어-플러그(300)가 주어진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와 함께 사용을 위해 제공되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에 의해 폐쇄되도록 의도된 신체 내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루멘-제어-플러그(300)를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로 전달하기 위해, 루멘-제어-플러그(300)가 세장형 요소(200)를 피할 수 있으므로(예를 들어, 세장형 요소(200)가 루멘-제어-플러그(300)의 루멘(305)을 피할 수 있음) 루멘-제어-플러그(300)가 세장형 요소(200) 위에 장착되어 세장형 요소(200)에 의해 전달된다. 대안적으로, 루멘-제어-플러그(300)는 알려지거나 기술에 이전에 알려진 또 다른 전달 디바이스 또는 기구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루멘-제어-플러그(300)는 편복된 스텐트, 레이저-절삭 관형 스텐트, 또는 이의 콤팩트한 전달 구성,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의 루멘(105)을 개방하는 데 충분한 안정성을 가진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100) 내 배치 시 확장을 허용하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형태일 수 있다. 알려지거나 기술에 이전에 알려진 바와 같은, 수축 특징부(307), 예컨대, 봉합선 또는 파지 루프 또는 신칭 코드(cinching cord) 등은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축 특징부의 구성은 본 개시내용의 기본 원리의 이해에 중요하지 않다. 세장형 요소(200)는 예컨대, 치료 부위로의 세장형 요소(200)의 가이드를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와이어에 대한, 이를 통한 통로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요소(200)는 카테터이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실시형태의 다양한 구조체 및 특징부가 여러 개의 별개의 그리고 독립적인 고유 이득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구조체 및 특징부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하는 특성 및/또는 이득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해 전부 존재할 필요는 없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특징부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된 다양한 특징부가 분명히 나타나든 아니든 또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 다른 실시형태 중 임의의 실시형태의 특징부 중 하나 이상과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부 중 임의의 특징부가 혼합되고 매칭되어 하이브리드 설계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하이브리드 설계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실시형태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위의 설명은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예일 뿐, 본 개시내용의 더 넓은 양상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전술한 논의는 폭넓은 적용을 갖고 예시 및 설명의 목적을 위해 제시되었고 본 개시내용을 본 명세서에 개시된 형태 또는 형태들로 제한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 다양한 추가, 변경 및 치환이 본 개시내용의 개념,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의 원리가 본 개시내용의 개념, 정신 또는 범위 또는 특성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다른 형태, 구조, 배열, 비율로 그리고 다른 요소, 물질 및 성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특징은 본 개시내용을 간소화할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 실시형태 또는 구성으로 함께 그룹화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 실시형태 또는 구성의 다양한 특징이 대안적인 양상, 실시형태 또는 구성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이 실시형태 면에서 제공되지만, 본 주제의 다양한 별개의 특징이 전부 존재할 필요가 없어서 본 주제의 원하는 특성 및/또는 이득 또는 이러한 개별적인 특징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내용이 구조, 배열, 비율, 물질, 성분의 많은 변경 또는 변경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본 개시내용의 원리 또는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특정한 환경 및 작동 요건에 특히 조정되는 본 개시내용의 실행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 요소는 다수의 부분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도시된 다수의 부분 또는 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요소의 작동이 반전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변경될 수 있고, 요소의 크기 또는 치수가 변경될 수 있다. 유사하게, 작동 또는 작용 또는 시술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지만, 이것은 이러한 특정한 순서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서, 또는 모든 작동 또는 작용 또는 시술이 수행되어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부가적으로, 다른 구현예가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다. 일부 경우에, 청구범위에서 언급된 작용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개시된 실시형태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모든 면에서 고려되고, 청구된 주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전술한 설명 또는 특정한 실시형태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거나 또는 예시된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임의의 실시형태의 개별적인 특징이 사용될 수 있고 해당 실시형태 또는 임의의 다른 실시형태의 특징과 조합하여 또는 별도로 청구될 수 있고, 주제의 범위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전술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 및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다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어구 "적어도 하나", "하나 이상" 및 "및/또는"은 접속사와 이접사 둘 다로 작용하는 개방형(open-ended) 표현이다. 단수 표현, "제1", "제2" 등의 용어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수 표현 엔티티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하나 이상의 해당 엔티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단수 표현, "하나 이상" 및 "적어도 하나"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든 방향 언급(예를 들어, 근위, 원위, 상부, 하부, 상향, 하향, 좌측, 우측, 횡방향, 길이방향, 앞, 뒤, 상단, 하단, 위, 아래, 수직, 수평, 방사, 축방향,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등)은 본 개시내용의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식별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그리고/또는 연관된 요소의 구역을 서로 구별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위치, 방향, 또는 본 개시내용의 사용에 대해 연관된 요소를 제한하지 않는다. 연결 언급(예를 들어, 부착, 결합, 연결 및 이어짐)는 광범위하게 해석되고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요소의 집합 간의 중간 부재와 요소 간의 상대적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참조는 2개의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고정된 관계에 있음을 반드시 추론하지는 않는다. 식별 언급(예를 들어, 1차, 2차, 제1, 제2, 제3, 제4 등)은 중요성 또는 우선도를 암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특징부를 또 다른 특징부와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다음의 청구범위는 참조에 의해 이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며, 각각의 청구범위는 본 개시내용의 별개의 실시형태로서 그 자체로 성립한다. 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다/포함하는(comprises/comprising)"은 다른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개별적인 특징이 상이한 청구범위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들은 가능하게는 유리하게 조합될 수 있고, 상이한 청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서 특징의 조합이 가능하지 않고/않거나 유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단수 지시대상은 복수 지시대상을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의 참조 부호는 단지 명확한 예로서 제공되며 어떤 식으로든 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5)

  1.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조정 가능한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 및
    상기 조정 가능한 통로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조정 가능한 통로 내로 연장 가능한 세장형 요소
    를 포함하는,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이들 사이의 중간 구역을 갖고, 적어도 상기 중간 구역은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조정 가능한 통로를 폐쇄하는 폐쇄 구성으로 비틀어지는(twisted),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요소는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비틀어진 중간 구역을 비틀림 해제하도록 구성된 통로 개방 디바이스인,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개방 디바이스는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비틀어진 중간 구역의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는,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특징부는 상기 세장형 요소의 원위 단부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개방 디바이스는 카테터인,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요소는 상기 조정 가능한 통로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상기 조정 가능한 통로의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는,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가능한 통로를 개방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상기 조정 가능한 통로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루멘-제어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9.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실질적으로 폐쇄 구성과 개방 구성 간에 변경 가능한 조정 가능한 통로가 관통하여 획정된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 및
    상기 조정 가능한 통로를 제1 개방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상기 조정 가능한 통로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제1 루멘-제어 플러그
    를 포함하는,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가능한 통로를 상기 제1 개방 구성과 상이한 크기의 제2 개방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상기 조정 가능한 통로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제2 루멘-제어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루멘-제어 플러그는 상기 제1 루멘-제어 플러그 내에 배치 가능한,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멘-제어 플러그는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조정 가능한 통로 내에서 상기 제1 루멘-제어 플러그의 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는 제1 단부를 따른 제1 유지 부재 및 제2 단부를 따른 제2 유지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루멘-제어 플러그는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유지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유지 부재, 및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1 루멘-제어 플러그의 이동에 저항하기 위해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상기 제2 유지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유지 부재를 갖는,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멘-제어 플러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의 상기 조정 가능한 통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세장형 요소를 더 포함하는,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멘-제어 플러그는 상기 세장형 요소 위에서 그리고 상기 조정 가능한 관형 디바이스로 가이드되는,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237043189A 2021-05-19 2022-05-18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를 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72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90545P 2021-05-19 2021-05-19
US63/190,545 2021-05-19
PCT/US2022/029792 WO2022245914A1 (en) 2021-05-19 2022-05-18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passage through an implantab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282A true KR20240007282A (ko) 2024-01-16

Family

ID=8197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189A KR20240007282A (ko) 2021-05-19 2022-05-18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를 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70222A1 (ko)
EP (1) EP4340786A1 (ko)
JP (1) JP2024518769A (ko)
KR (1) KR20240007282A (ko)
CN (1) CN117615739A (ko)
AU (1) AU2022275863A1 (ko)
CA (1) CA3217876A1 (ko)
WO (1) WO20222459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3518B1 (fr) * 2000-09-04 2002-10-31 Claude Mialhe Dispositif d'occlusion vasculaire, appareil et procede d'utilisation
US7146984B2 (en) * 2002-04-08 2006-12-12 Synecor,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the exit orifice of a satiation pouch
US20070123994A1 (en) * 2005-11-29 2007-05-31 Ethicon Endo-Surgery, Inc. Internally Placed Gastric Restriction Device
US9775591B2 (en) * 2013-11-21 2017-10-03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Sealing devices and related delivery apparatuses
CN116369997A (zh) 2017-03-27 2023-07-04 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用于影响组织结构移动的系统和方法
EP3740163A1 (en) * 2018-01-20 2020-11-25 V-Wave Ltd.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passage between heart chambers
EP3914200A1 (en) * 2019-01-22 2021-12-01 Lean Medical Technologies, Inc. Obesity treatment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615739A (zh) 2024-02-27
US20220370222A1 (en) 2022-11-24
WO2022245914A1 (en) 2022-11-24
EP4340786A1 (en) 2024-03-27
JP2024518769A (ja) 2024-05-02
CA3217876A1 (en) 2022-11-24
AU2022275863A1 (en)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954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morbid obesity
JP4658555B2 (ja) 吻合用ワイヤリング装置
AU201720388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forming an anastomosis
US8535259B2 (en) Methods for biliary diversion
CN106999647B (zh) 用于治疗肥胖的胃内装置
JP2005103302A (ja) アンフォールディング吻合リング装置
US20080161935A1 (en) Method for inducting weight loss using a coil for insertion into a hollow body organ
JP2009219874A (ja) 中空体器官の中に挿入するための植え込み可能なコイル
US20140163599A1 (en) Lumen Occluding Stent, Delivery Catheter and Method
KR20240007282A (ko) 이식형 디바이스를 통한 통로를 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46996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uodenal exclusion and stomach capacity reduction
US20180098770A1 (en) Controlling a Size of a Pyloris
US20230149195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yloric occlusion
US20230248561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occluding an anatomical passage
US20240065868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US20240041459A1 (en) Anti-migration features of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 anastomosis
JP2023088886A (ja) インプラント
US20220354503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occluding an anatomical passage
WO2023154287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resisting migration and method of implantation thereof
CN113693680A (zh) 一种胆系支架
CN114080202A (zh) 用于管理物质通过体腔的支架和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