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413A - 가전기기 및 이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및 이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413A
KR20240006413A KR1020220167025A KR20220167025A KR20240006413A KR 20240006413 A KR20240006413 A KR 20240006413A KR 1020220167025 A KR1020220167025 A KR 1020220167025A KR 20220167025 A KR20220167025 A KR 20220167025A KR 20240006413 A KR20240006413 A KR 20240006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switch
node
rectifier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웅철
김정윤
박정아
박현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0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는, 제1 노드가 전원의 제1 터미널과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전원의 제2 터미널 및 정류부의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과 정류부를 단속하는 릴레이, 정류부의 제3 노드 및 제4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커패시터,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어, 릴레이가 닫힐 때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돌입전류 방지부, 및 전자장치가 운전모드일 때 릴레이가 닫히도록(ON) 제어하고, 전자장치가 대기모드일 때 릴레이가 열리도록(OFF)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 및 이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HOME APPLIANCE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TO}
본 개시는 가전기기 및 이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기전력은 사용자에 의해 가전기기의 전원이 꺼진 후 전자장치가 자체적으로 소비하는 전력이다.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가전기기가 지속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면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의 전원이 꺼지면 가전기기의 PBA(Printed Board Assembly)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전력을 전혀 소비하지 않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전원이 꺼진 후에도 가전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가전기기의 전원을 켜기 위해 전력이 필요한 경우와 같이 가전기기의 사용 또는 동작에 있어서 대기전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예시한 방법이 적용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세탁기의 경우 세탁 종료 후, 예컨대 수위 또는 온도 등의, 세탁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MCU(Micro Controller Unit)에 지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터치 패널이 부착된 경우 전원 버튼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IC(Integrated Circuit)에도 전력이 공급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 가전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 운전부, 및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운전부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동작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부는 제1 노드가 외부 전원의 제1 터미널과 연결된 정류부, 외부 전원의 제2 터미널과 정류부의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 정류부의 제2 노드 및 제4 노드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 및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된 돌입 전류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가전기기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가전기기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정류부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전파 정류됨으로써 커패시터에 전파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도록, 스위치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가전기기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정류부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반파 정류됨으로써 커패시터에 반파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도록, 스위치를 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은 프로세서가, 가전기기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은 프로세서가, 가전기기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정류부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전파 정류됨으로써 커패시터에 전파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도록, 스위치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은 프로세서가, 가전기기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정류부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반파 정류됨으로써 커패시터에 반파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도록, 스위치를 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300)의 회로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300)에서 전류가 흐르는 제1 경로를 도시한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300)에서 전류가 흐르는 제2 경로를 도시한다.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300)에서 전류가 흐르는 제3 경로를 도시한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70)가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 식별하는 기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70)가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 식별하는 기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000)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개시에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a, b 및 c 모두”, 또는 그 변형들을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부(유닛)', '모듈' 등으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개시에서,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1000)는 사용 또는 동작에 있어서 대기전력이 필요한 가전기기(10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1000)는 전자동 세탁기, 드럼 세탁기, 건조기, 식기 세척기 및 에어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가전기기(1000)의 종류는 앞서 나열한 제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1000)는 가전기기(1000)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과 가전기기(10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 별도로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가전기기(100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1000)는 제어부(1100), 운전부(1200) 및 전원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100)는 가전기기(10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100)는 입력 인터페이스(1112), 출력 인터페이스(1114), 센서(1130), 메모리(1150) 및 프로세서(1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인터페이스(1112)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프로세서(117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1112)는 버튼, 조그 휠,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1000)가 세탁기인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1112)는 사용자가 세탁물의 종류, 세탁 방법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버튼, 회전 스크롤,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 인터페이스(1114)는 프로세서(1170)에서 생성된 다양한 알림, 메시지,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1114)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1000)가 세탁기인 경우 출력 인터페이스(1114)는 세탁 단계, 세탁수 온도, 헹굼 횟수, 탈수 세기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세탁의 시작 또는 종료를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1130)는 프로세서(1170)가 가전기기(10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운전부(1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물리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물리량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프로세서(117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센서(1130)는 측정 대상이 되는 물리량에 따라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30)는 압력계, 전류 센서,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라이다 센서, 인감지 센서, 동작 감지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수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150)는 가전기기(10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데이터, 명령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1150)(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150) 등),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70)는 메모리(1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가전기기(10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70)는 메모리(115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고,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되는 기능 및/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70)는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과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7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Unit, MCU),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AP(Application Processor)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70)는 기계학습 모델의 동작을 수행하는 별도의 NPU(Neu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가전 기능 모듈(1210)이 가전기기(1000)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운전부(1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1000)가 세탁기인 경우 프로세서(1170)는 가전 기능 모듈(1210)이 세탁물을 세탁, 헹굼, 탈수 및/또는 건조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운전부(1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전원부(1300)가 제어부(1100) 및 운전부(12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원부(1300)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70)는 외부 전원(10)에 연결된 전원부(1300)가 제어부(1100) 및 운전부(120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동작하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원부(1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가전기기(1000)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가전기기(1000)가 세탁기인 경우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세탁물을 세탁, 헹굼, 탈수 및/또는 건조하고 있는 경우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가전기기(1000) 본연의 기능을 모두 수행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가전기기(1000)가 세탁기인 경우 프로세서(1170)는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가 모두 종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의 출력 인터페이스(1114)가 꺼지면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가전기기(1000)가 세탁기인 경우 프로세서(1170)는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가 모두 종료된 후 디스플레이가 꺼지면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의 전원이 꺼지면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 경우, 전원부(1300)가 제어부(1100) 및 운전부(1200)에 전력을 공급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전원부(1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인 경우, 전원부(1300)가 제어부(1100)에 전력을 공급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전원부(1300)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인 경우 운전부(120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운전부(1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1000)가 세탁기인 경우 프로세서(1170)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의 모든 스위치(1310)가 열리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인버터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전부(1200)는 가전 기능 모듈(1210) 및 전력 변환 장치(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 기능 모듈(1210)은 프로세서(1170)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가전기기(1000)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1000)가 세탁기인 경우 가전 기능 모듈(1210)은 세탁물을 담는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가전기기(1000)가 건조기인 경우 가전 기능 모듈(1210)은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고온의 공기를 드럼에 공급하는 히트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가전기기(1000)가 에어컨인 경우 가전 기능 모듈(1210)은 실외기에 설치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변환 장치(1230)는 전원부(13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가전 기능 모듈(1210)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1000)가 세탁기인 경우 전력 변환 장치(1230)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가전기기(1000)가 건조기인 경우 전력 변환 장치(1230)는 히트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가전기기(1000)가 에어컨인 경우 전력 변환 장치(1230)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부(1300)는 외부 전원(10)에 연결되어 제어부(1100) 및 운전부(1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300)는 프로세서(1170)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1100) 및 운전부(120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부(1300)는 스위치(1310), 정류부(1330), 커패시터(1350) 및 돌입 전류 제한부(1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1310)는 프로세서(1170)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 경우 스위치(1310)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1310)에 전송할 수 있고, 스위치(1310)는 프로세서(1170)의 스위치(1310)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닫힐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인 경우 스위치(1310)를 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1310)에 전송할 수 있고, 스위치(1310)는 프로세서(1170)의 스위치(1310)를 열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열릴 수 있다. 스위치(1310)의 개폐 상태에 따라 전원부(1300)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1310)는 릴레이(Relay),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directional Trans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및 IGCT(Insulated Gate Commutated Thyris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300)의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 및 동작에 관하여는 도 2,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300)의 회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부(1300)는 외부 전원(10)에 연결되어, 프로세서(1170)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1100) 및 운전부(120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원(10)은 교류 전압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류부(1330)는 풀 브릿지(full bridge)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류부(1330)는 제1 내지 제4 다이오드(D1, D2, D3, D4)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cathode)와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anode)가 연결되고,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와 제4 다이오드의 애노드가 연결되고, 제4 다이오드(D4)의 캐소드와 제3 다이오드(D3)의 애노드가 연결되고, 제3 다이오드(D3)의 캐소드와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cathode)와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anode)가 연결된 노드를 제1 노드(a),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제3 다이오드의 캐소드가 연결된 노드를 제2 노드(b), 제3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제4 다이오드의 캐소드가 연결된 노드를 제3 노드(c), 제3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가 연결된 노드를 제4 노드(d)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노드(a)는 외부 전원(10)의 제1 터미널과 연결될 수 있고, 제3 노드(c)는 스위치(1310) 및 돌입 전류 제한부(1370)를 통해 외부 전원(10)의 제2 터미널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노드(b) 및 제4 노드(d) 사이에는 커패시터(135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류부(1330)는 스위치(1310)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이한 전류 경로를 통해 외부 전력을 전파 정류 또는 반파 정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패시터(1350)는 전파 정류 또는 반파 정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입 전류 제한부(1370)는 스위치(1310)와 병렬로 연결되어 스위치(1310)가 닫힐 때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즉, 돌입 전류 제한부(1370)는 외부 전원(10)의 제2 터미널 및 정류부(1330)의 제3 노드(c)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스위치(1310)가 닫히는 순간에 저항(R)을 통한 전류 경로를 제공하여 돌입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입 전류 제한부(1370)는 전류가 외부 전원(10)의 제2 터미널에서 정류부(1330)의 제3 노드(c) 방향으로 흐르도록 전류의 방향을 제한하는 제5 다이오드(D5), 및 제5 다이오드와 직렬로 연결된 저항(R)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R)은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저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입 전류 제한부(1370)는 스위치(예: 릴레이) 대신 다이오드를 사용함으로써 스위치(1310)가 열렸을 때 외부 전원(10)의 제2 터미널에서 정류부(1330)의 제3 노드로의 전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300)는 전류 경로를 위한 추가적인 소자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제어부(11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커패시터와 운전부(1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커패시터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300)는 사용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가전기기(1000)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300)에서 전류가 흐르는 제1 경로를 도시하고,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300)에서 전류가 흐르는 제2 경로를 도시한고,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300)에서 전류가 흐르는 제3 경로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1310)의 개폐 상태에 따라 전원부(1300)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1310)는 프로세서(1170)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정류부(1330)를 통해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전파 정류됨으로써 커패시터(1350)에 전파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도록, 스위치(1310)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1310)에 전송할 수 있다. 스위치(1310)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1310)가 닫히면, 스위치(1310)를 포함하는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통해 교대로 전류가 흐름으로써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전파 정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1310)가 닫히면, 외부 전원(10)이 양전압인 경우 전류는 제1 경로를 통해 흐를 수 있고, 외부 전원(10)이 음전압인 경우 전류는 제2 경로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류는 외부 전원(10)의 주파수에 따라 교대로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원(10)의 주파수가 60Hz인 경우, 전류는 16.67ms의 주기로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통해 교대로 흐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정류부(1330)를 통해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반파 정류됨으로써 커패시터(1350)에 반파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도록, 스위치(1310)를 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1310)에 전송할 수 있다. 스위치(1310)를 열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1310)가 열리면, 돌입 전류 제한부(1370)를 포함하는 제3 경로를 통해 전류가 흐름으로써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반파 정류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경로는 외부 전원(10), 정류부(1330)의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다이오드, 커패시터(1350), 정류부(1330)의 제4 노드와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4 다이오드, 및 스위치(1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2 경로는 외부 전원(10), 스위치(1310), 정류부(1330)의 제3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 커패시터(1350), 및 정류부(1330)의 제4 노드와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3 경로는 외부 전원(10), 돌입 전류 제한부(1370), 정류부(1330)의 제3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 커패시터(1350), 및 정류부(1330)의 제4 노드와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70)가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 식별하는 기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전기기(1000)가 세탁기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가전기기(1000)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400)는 조그 휠(410) 및 디스플레이(4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그 휠(410)은 도 1의 입력 인터페이스(1112)에 대응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430)는 도 1의 출력 인터페이스(1114)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탁기(400)의 전원을 켜면 디스플레이(430)가 켜지고, 디스플레이(430)에는 "세탁 코스를 결정해주세요."라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그 휠(410)을 돌려 원하는 세탁 코스를 결정하면 세탁이 시작되고, 세탁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현재 진행 중인 세탁 과정, 남은 시간 등의 정보(예: 탈수 중, 5분)가 디스플레이(430)에 출력될 수 있다. 세탁이 종료되면 디스플레이(430)에는 "세탁이 종료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출력된 후 소정의 시간(T1)이 지난 후 세탁기(400)의 전원이 꺼지고 디스플레이(430)가 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다양한 기준에 의해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의 전원이 켜진 경우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고, 가전기기(1000)의 전원이 꺼진 경우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의 출력 인터페이스(1114)(예: 디스플레이(430))가 켜진 경우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고, 가전기기(1000)의 출력 인터페이스(1114)(예: 디스플레이(430)가 꺼진 경우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가전기기(1000) 본연의 기능을 모두 수행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예: 세탁 종료 후 T1이 지나면)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가전기기(1000)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예: 세탁 시작부터 세탁 종료까지)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고, 가전기기(1000)가 가전기기(1000) 본연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면 (예: 세탁 종료 후) 대기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000)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의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공급 방법(500)은 가전기기(1000)의 프로세서(1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510에서, 프로세서(1170)가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프로세서(1170)가,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정류부(1330)를 통해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전파 정류됨으로써 커패시터(1350)에 전파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도록, 스위치(1310)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13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프로세서(1170)가,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정류부(1330)를 통해 상기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반파 정류됨으로써 커패시터(1350)에 반파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도록, 스위치(1310)를 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13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1000)는 프로세서(1170)를 포함하는 제어부(1100), 가전 기능 모듈(1210)을 포함하는 운전부(1200), 및 외부 전원(10)에 연결되어, 프로세서(1170)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1100) 및 운전부(120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동작하는 전원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부(1300)는 제1 노드가 외부 전원(10)의 제1 터미널과 연결된 정류부(1330), 외부 전원(10)의 제2 터미널과 정류부(1330)의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1310), 정류부(1330)의 제2 노드 및 제4 노드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1350), 및 스위치(1310)와 병렬로 연결된 돌입 전류 제한부(1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정류부(1330)를 통해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전파 정류됨으로써 커패시터(1350)에 전파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도록, 스위치(1310)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13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정류부(1330)를 통해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반파 정류됨으로써 커패시터(1350)에 반파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도록, 스위치(1310)를 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13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1310)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1310)가 닫히면, 스위치(1310)를 포함하는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통해 교대로 전류가 흐름으로써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전파 정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1310)를 열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1310)가 열리면, 돌입 전류 제한부(1370)를 포함하는 제3 경로를 통해 전류가 흐름으로써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반파 정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전부(1200)는 프로세서(1170)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커패시터(13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가전 기능 모듈(1210)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이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전력 변환 장치(1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운전부(120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력 변환 장치(123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경로는 외부 전원(10), 정류부(1330)의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다이오드, 커패시터(1350), 정류부(1330)의 제4 노드와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4 다이오드, 및 스위치(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경로는 외부 전원(10), 스위치(1310), 정류부(1330)의 제3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 커패시터(1350), 및 정류부(1330)의 제4 노드와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경로는 외부 전원(10), 돌입 전류 제한부(1370), 정류부(1330)의 제3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 커패시터(1350), 및 정류부(1330)의 제4 노드와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입 전류 제한부(1370)는, 전류가 외부 전원(10)의 제2 터미널에서 정류부(1330)의 제3 노드 방향으로 흐르도록 전류의 방향을 제한하는 제5 다이오드, 및 제5 다이오드와 직렬로 연결된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1310)는 릴레이,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directional Trans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및 IGCT(Insulated Gate Commutated Thyristo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의 전원이 켜지면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가전기기(1000)의 전원이 꺼지면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100)는 프로세서(1170)에서 생성된 가전기기(100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디스플레이(430)가 켜지면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70)는, 디스플레이(430)가 꺼지면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1000)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은 프로세서(1170), 제1 노드가 외부 전원(10)의 제1 터미널과 연결된 정류부(1330), 외부 전원(10)의 제2 터미널과 정류부(1330)의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1310), 정류부(1330)의 제2 노드 및 제4 노드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1350), 및 스위치(1310)와 병렬로 연결된 돌입 전류 제한부(1370)를 포함하는 가전기기(1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1000)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은 프로세서(1170)가,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1000)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은 프로세서(1170)가,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정류부(1330)를 통해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전파 정류됨으로써 커패시터(1350)에 전파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도록, 스위치(1310)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131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1000)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은 프로세서(1170)가,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정류부(1330)를 통해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반파 정류됨으로써 커패시터(1350)에 반파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도록, 스위치(1310)를 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131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1310)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1310)에 전송하는 단계는, 스위치(1310)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1310)가 닫히면, 스위치(1310)를 포함하는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통해 교대로 전류가 흐름으로써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전파 정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1310)를 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위치(1310)에 전송하는 단계는, 스위치(1310)를 열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1310)가 열리면, 돌입 전류 제한부(1370)를 포함하는 제3 경로를 통해 전류가 흐름으로써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반파 정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1000)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은 프로세서(1170)가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운전부(120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력 변환 장치(123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경로는 외부 전원(10), 정류부(1330)의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다이오드, 커패시터(1350), 정류부(1330)의 제4 노드와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4 다이오드, 및 스위치(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경로는 외부 전원(10), 스위치(1310), 정류부(1330)의 제3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 커패시터(1350), 및 정류부(1330)의 제4 노드와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경로는 외부 전원(10), 돌입 전류 제한부(1370), 정류부(1330)의 제3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 커패시터(1350), 및 정류부(1330)의 제4 노드와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식별하는 단계는, 가전기기(1000)의 전원이 켜지면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식별하는 단계는, 가전기기(1000)의 전원이 꺼지면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식별하는 단계는, 가전기기(10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430)가 켜지면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식별하는 단계는, 가전기기(10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430)가 꺼지면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0)

  1. 가전기기(1000)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1000)는,
    프로세서(1170)를 포함하는 제어부(1100),
    가전 기능 모듈(1210)을 포함하는 운전부(1200), 및
    외부 전원(10)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1170)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100) 및 상기 운전부(120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동작하는 전원부(1300)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1300)는,
    제1 노드가 상기 외부 전원(10)의 제1 터미널과 연결된 정류부(1330);
    상기 외부 전원(10)의 제2 터미널과 상기 정류부(1330)의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1310);
    상기 정류부(1330)의 제2 노드 및 제4 노드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1350); 및
    상기 스위치(1310)와 병렬로 연결된 돌입 전류 제한부(1370);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170)는,
    상기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상기 정류부(1330)를 통해 상기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전파 정류됨으로써 상기 커패시터(1350)에 전파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도록, 상기 스위치(1310)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1310)에 전송하고,
    상기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상기 정류부(1330)를 통해 상기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력이 반파 정류됨으로써 상기 커패시터(1350)에 반파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도록, 상기 스위치(1310)를 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1310)에 전송하는, 가전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310)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1310)가 닫히면, 상기 스위치(1310)를 포함하는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통해 교대로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력이 전파 정류되는, 가전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310)를 열기 위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1310)가 열리면, 상기 돌입 전류 제한부(1370)를 포함하는 제3 경로를 통해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력이 반파 정류되는, 가전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1200)는 상기 프로세서(1170)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패시터(13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가전 기능 모듈(1210)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이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전력 변환 장치(1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170)는,
    상기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한 경우, 상기 운전부(120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력 변환 장치(1230)에 전송하는, 가전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는 상기 외부 전원(10), 상기 정류부(1330)의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다이오드, 상기 커패시터(1350), 상기 정류부(1330)의 상기 제4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4 다이오드, 및 상기 스위치(131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외부 전원(10), 상기 스위치(1310), 상기 정류부(1330)의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 상기 커패시터(1350), 및 상기 정류부(1330)의 상기 제4 노드와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경로는 상기 외부 전원(10), 상기 돌입 전류 제한부(1370), 상기 정류부(1330)의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 상기 커패시터(1350), 및 상기 정류부(1330)의 상기 제4 노드와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입 전류 제한부(1370)는,
    전류가 상기 외부 전원(10)의 상기 제2 터미널에서 상기 정류부(1330)의 상기 제3 노드 방향으로 흐르도록 상기 전류의 방향을 제한하는 제5 다이오드, 및
    상기 제5 다이오드와 직렬로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310)는 릴레이,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directional Trans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및 IGCT(Insulated Gate Commutated Thyristor) 중 어느 하나인, 가전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1170)는,
    상기 가전기기(1000)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하고,
    상기 가전기기(1000)의 전원이 꺼지면 상기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하는, 가전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프로세서(1170)에서 생성된 상기 가전기기(100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170)는,
    상기 디스플레이(430)가 켜지면 상기 가전기기(1000)가 운전 모드임을 식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430)가 꺼지면 상기 가전기기(1000)가 대기 모드임을 식별하는, 가전기기(1000).
KR1020220167025A 2022-07-06 2022-12-02 가전기기 및 이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 KR202400064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358 2022-07-06
KR20220083358 2022-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413A true KR20240006413A (ko) 2024-01-15

Family

ID=8954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025A KR20240006413A (ko) 2022-07-06 2022-12-02 가전기기 및 이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4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1275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zero standby power control in an appliance
US20050120492A1 (en) Method of controlling motor-driv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system for the same
CN104950772B (zh) 一种洗碗机及其待机功耗控制装置和方法
WO2020082982A1 (zh) 家用电器的程序推荐控制方法
CN105496331B (zh) 洗碗机及其控制方法
CN108937787B (zh) 变频驱动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40006413A (ko) 가전기기 및 이에 대한 전력 공급 방법
WO2015032433A1 (en) Electrical appliance having zero stand-by power consumption
CN104878558A (zh) 洗衣机及其控制装置和控制方法
CN110708219A (zh) 家用电器控制方法及家用电器
US20210384721A1 (en) Photovoltaic Electric Appliance System, Method and Device of Controlling Voltage Protection Value Thereof
CN106551668A (zh) 洗碗机及洗碗机的控制方法
WO2020093680A1 (zh) 开关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8183478A (ja) 洗濯機
WO2020253563A1 (zh) 家用电器及其控制方法
US5704136A (en) Drying operation adjusting method for washing machine
JP2005143531A (ja) 洗濯機
CN107780126A (zh) 一种洗衣机设计
EP2718772B1 (en) Household appliance with stand-by wake-up system
JPH1155853A (ja) 電気機器
CN203821126U (zh) 单键操作全自动洗衣机电脑程控器
JP2014176523A (ja) 洗濯機等の電源制御装置
JP6528082B2 (ja) 洗濯機
CN108549266A (zh) 变频家电的控制方法、功率控制模块和可读存储介质
JPH11239690A (ja) 洗濯機等の電源開閉装置および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