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176A - 램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램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176A
KR20240006176A KR1020220082919A KR20220082919A KR20240006176A KR 20240006176 A KR20240006176 A KR 20240006176A KR 1020220082919 A KR1020220082919 A KR 1020220082919A KR 20220082919 A KR20220082919 A KR 20220082919A KR 20240006176 A KR20240006176 A KR 20240006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mp device
area
detection sensor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2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176A/ko
Publication of KR2024000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60Y2200/1432Low floor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구와 인접한 차체 바닥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의 외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차체 바닥면과 지면에 대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스텝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유닛 및 상기 감지 센서 유닛을 통해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열림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에서 돌출되도록 선택적으로 승강하고, 승강 위치의 고정을 통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상기 스텝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사이에 클로징 갭이 확보되도록 가이드 하는 댐핑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램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RAMP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램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텝의 스윙 동작에 따른 닫힘 조작 시 자유낙하에 의해 출입구 주변의 탑승객에 대한 발 끼임 등과 같은 부상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램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상 버스는 차체 바닥이 낮아 출입구에 계단이 없을 뿐 아니라, 출입구에 장애인 및 노약자와 같은 교통 약자를 위한 경사판이 설치되어, 승하차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버스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일반 버스의 경우 지상으로부터 차체의 높이가 높고 계단이 존재하지만, 저상 버스의 경우에는 차체 높이가 낮고, 출입구에 경사판이 설치되어 유모차 또는 휠체어의 탑승이 가능하므로, 특히 장애인 및 노약자를 배려한 편리한 승하차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저상 버스의 출입구는 유모차 또는 휠체어가 출입할 정도의 크기로 확보되어야 하고,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는 사람 뿐 아니라, 휠체어 등의 안전을 위하여 간섭되지 않는 개폐 구조로 장착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버스의 도어가 차체 밖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개방되면, 버스의 출입구 주변에 탑승한 탑승객 또는 장애물(휠체어 등) 등과 간섭이 발생하여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저상 버스용 도어는 사람 뿐 아니라, 휠체어 등의 안전을 위하여 간섭되지 않는 개폐 구조로 장착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저상 버스의 경우, 램프(RAMP)라고 하는 경사로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램프가 유모차 또는 휠체어의 승하차 시 외부로 전개되기 때문에, 경사로를 따라 안전하게 승하차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램프는 통상 스텝, 베이스, 핸들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스텝을 스윙시킴을 통하여, 열림/닫힘 개폐를 하는 구조로, 이와 같은 열림/닫힘 전과정은 수동으로 조작된다.
그에 따라, 버스 외부에서 핸들의 수동 조작을 통해 스텝을 개폐시킴에 있어, 핸들을 파지한 상태로 스텝 조작이 이루어지게 해야 하지만, 닫힘 조작 시 핸들을 놓고 스텝을 자유낙하 시켜 닫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자유낙하 시 스텝이 닫히는 과정에서 출입구 주변의 탑승객에 대한 발 끼임 등이 발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부상 및 상해 발생 가능성이 항상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에 설치된 감지 센서를 통해, 베이스로부터 스텝의 열림 조작을 위한 회전 이동이 감지됨에 따라, 댐핑 유닛의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댐퍼가 선택적으로 승강하게 하되, 이러한 승강 상태가 스텝이 베이스에 완전 닫힘 상태로 복귀되는 시점까지 유지되게 함으로써, 스텝의 닫힘 조작 시, 스텝의 자유 낙하에 의해 출입구 주변의 탑승객에 대한 발 끼임 등과 같은 부상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램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는 출입구와 인접한 차체 바닥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의 외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차체 바닥면과 지면에 대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스텝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유닛 및 상기 감지 센서 유닛을 통해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열림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에서 돌출되도록 선택적으로 승강하고, 승강 위치의 고정을 통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상기 스텝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사이에 클로징 갭이 확보되도록 가이드 하는 댐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댐핑 유닛은 상기 베이스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구획된 제1영역에 장착되며, 상기 감지 센서 유닛을 통해 열림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부, 상기 제1영역과 연결된 제2영역에 장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영역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 블록부 및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된 제3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부가 상기 제3영역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댐퍼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열림 상태가 감지되면 정방향으로 회전하되, 클로징 갭 확보에 따른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닫힘 상태가 감지되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텝 유닛이 완전 닫힘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와 상기 댐퍼부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는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구동 기어와 맞물리게 구비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3영역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하는 랙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3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부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승강 가이드부재 및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경사면 가압에 의해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승강하여, 클로징 갭이 확보되게 하는 댐퍼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의 양측으로 돌출된 장착 가이드에 설치되고, 상기 제3영역에서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가 탄성 지지되게 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베이스 유닛에 상기 하우징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차체 바닥면의 높이 보다 높은 위치로 승강한다.
또한, 상기 댐퍼부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감지 센서 유닛은 마그네틱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 제어 방법은 감지 센서 유닛으로부터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열림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댐핑 유닛이 베이스 유닛에서 돌출되도록 승강을 제어하는 제1단계, 상기 댐핑 유닛에 대한 돌출된 승강 위치가 고정, 유지되게 하는 제2단계, 상기 스텝 유닛이 닫힘 상태로 전환됨에 있어 돌출된 상기 댐핑 유닛에 의해 상기 스텝 유닛과 상기 베이스 유닛이 사이에 클로징 갭이 확보되게 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감지 센서 유닛에서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닫힘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댐핑 유닛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승강을 제어하여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완전 닫힘 상태가 되게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에 설치된 감지 센서를 통해, 베이스로부터 스텝의 열림 조작을 위한 회전 이동이 감지됨에 따라, 승강 유닛의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댐퍼가 선택적으로 승강하게 하되, 이러한 승강 상태가 스텝이 베이스에 완전 닫힘 상태로 복귀되는 시점까지 유지되게 함으로써, 스텝의 닫힘 조작 시, 스텝의 자유 낙하에 의해 출입구 주변의 탑승객에 대한 발 끼임 등과 같은 부상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상 버스의 램프 장치에 대한 종래의 램프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에 대한 댐핑 유닛의 분리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에 대한 댐핑 유닛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에 대한 스텝 유닛의 열림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에 대한 스텝 유닛의 닫힘 상태 및 완전 닫힘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상 버스의 램프 장치에 대한 종래의 램프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에 대한 댐핑 유닛의 분리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에 대한 댐핑 유닛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에 대한 스텝 유닛의 열림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에 대한 스텝 유닛의 닫힘 상태 및 완전 닫힘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저상 버스의 경우, 램프(RAMP)(1)라고 하는 경사로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램프(1)를 핸들(1a)을 파지한 상태로 외부로 전개하게 되면, 유모차 또는 휠체어가 램프(1)의 경사면을 따라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램프(1)의 열림 및 닫힘 전과정은 수동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함에 있어, 안전하게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야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자유낙하를 통해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유낙하 시 램프(1)가 닫히는 과정에서 출입구 주변에 위치한 탑승객으로 하여금, 발 끼임 등의 발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의 (a) 및 (b)에서와 같은 종래 구조에서는 부상 및 상해 발생 가능성이 항상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에 따른 램프 장치, 더 구체적으로는 저상 버스에 적용된 램프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100), 스텝 유닛(200), 감지 센서 유닛(300) 및 댐핑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베이스 유닛(100)은 출입구와 인접한 차체 바닥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유닛(100)은 스텝 유닛(2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차체 바닥면과 비교하여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사각의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텝 유닛(200)은 베이스 유닛(100)에 설치되고, 회전 축(200a)을 기준으로 출입구의 외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에 따라, 스텝 유닛(200)은 회전 시 출입구 측 차체 바닥면과 지면에 대한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유모차 또는 휠체어가 경사면을 따라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감지 센서 유닛(300)은 베이스 유닛(100)의 내부에 장착되며, 스텝 유닛(200)에 대한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감지 센서 유닛(300)는 스텝 유닛(200)과의 거리가 근접 또는 이격됨에 따라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로 감지하는 마그네틱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댐핌 유닛(400)은 감지 센서 유닛(300)을 통해 스텝 유닛(200)에 대한 열림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베이스 유닛(100)에서 돌출되도록 선택적으로 승강한다.
댐핑 유닛(400)은 승강 위치의 고정을 통해 스텝 유닛(200)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됨에 있어서, 닫힘 상태의 스텝 유닛(200)과 베이스 유닛(100)의 사이에 클로징 갭(G)이 확보되도록 가이드 하며,
따라서, 댐핑 유닛(400)은 클로징 갭(G)이 확보되게 하여, 스텝 유닛(200)의 자유낙하 시, 출입구의 주변에 위치한 탑승객의 발 등이 베이스 유닛(100)과 스텝 유닛(200)의 사이에 끼어 발생할 수 있는 부상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댐핑 유닛(400)은 이와 같은 클로징 갭(G)이 확보되도록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410), 액츄에이터부(420), 슬라이딩 블록부(430) 및 댐퍼부(440)를 구비한다.
하우징부(410)는 베이스 유닛(100)의 내부, 더 구체적으로는 회전하는 스텝 유닛(200)의 일단부와 마주하는 일측 중심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며(도 2 참조), 그 상면은 베이스 유닛(100)과 플랫한 면을 이루며 장착된다.
액츄에이터부(420)는 하우징부(410)의 내부에 구획된 제1영역(A)에 장착되며, 감지 센서 유닛(300)을 통해 열림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전압이 인가되어, 회전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에 의해 스텝 유닛(200)이 일정 높이 이상 열리게 되면, 마그네틱 센서로 이루어진 감지 센서 유닛(300)에서 열림 상태를 감지, 액츄에이터부(420)로 전압이 인가되어, 선택적으로 정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에 의해 스텝 유닛(200)이 클로징 갭(G)을 확보하며 닫힘 상태가 되면, 감지 센서 유닛(300)에서 이를 감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전압이 액츄에이터부(420)로 인가되게 함으로써, 후술 될 슬라이딩 블록부(430)와 댐퍼부(44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블록부(430)는 제1영역(A)과 연결된 제2영역(B)에 장착되며, 액츄에이터부(420)가 회전함에 따라 제2영역(B)에서 댐퍼부(44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슬라이딩 블록부(430)는 랙 부재(432)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랙 부재(432)는 액츄에이터부(420)의 구동 기어(422)와 맞물리게 구비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부(42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슬라이드 블록부(430)로 전달, 한 쌍의 이동 가이드(430a)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부(420)가 제2영역(B)에서 제3영역(C)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댐퍼부(440)는 제2영역(B)과 연결된 제3영역(C)에 장착되고, 슬라이딩 블록부(430)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슬라이드 블록부(430)가 전술된 바와 같이 랙 부재(432)에 의해 제3영역(C)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하여, 클로징 갭(G)의 확보를 위해 베이스 유닛(100)에서 돌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댐퍼부(440)는 승강 가이드부재(442) 및 댐퍼부재(444)를 구비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재(442)는 제3영역(C)에 장착되고, 슬라이드 블록부(430)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432a)과 대응되는 경사면(442a)을 구비한다.
그에 따라, 승강 가이드부재(442)는 경사면(432a, 442a)이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블록부(430)가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경사면에 의해 밀려 올라가면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부재(444)는 승강 가이드부재(442)에 결합되고, 슬라이드 블록부(43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경사면(442a) 가압에 의해 승강 가이드부재(442)가 승강함에 따라, 하우징부(410)의 외부로 승강하여, 베이스 유닛(100)에서 돌출되게 함으로써, 클로징 갭(G)이 확보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댐퍼부재(444)는 베이스 유닛(100)에 하우징부(4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승강하여, 그 돌출된 높이가 차체 바닥면의 높이 보다 높은 위치가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댐퍼부재(444)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댐퍼부재(444)는 클로징 갭(G)을 확보하기 위해 승강이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스텝 유닛(200)이 닫힘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자유 낙하하는 스텝 유닛(200)에 대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아울러, 댐퍼부재(444)는 승강 가이드부재(442)에서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마모가 발생하거나, 또는 손상 등이 발생하는 경우, 손쉬운 교체를 통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댐퍼부(440)는 탄성부재(446)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탄성부재(446)는 승강 가이드부재(442)의 양측으로 돌출된 장착 가이드(443)에 설치되고, 제3영역(C), 더 구체적으로는 하우징부(410)의 안착홈(H) 내부에서 승강 가이드부재(442)가 탄성 지지되게 한다.
따라서, 탄성부재(446)는 제3영역(C)에서 승강 가이드부재(442)가 승강하게 되면, 하우징부(410)의 안착홈(H) 내부에서 압축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른 탄성 복원력이 작용함에 따라 승강 가이드부재(442)에 대한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구성을 바탕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100)의 내부에 스텝 유닛(200)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스텝 유닛(200)의 일면과 차체 바닥면이 플랫하게 이루어지며, 이때의 댐퍼부(440)는 하우징부(410)에서 승강하여 돌출되지 않은, 즉 초기 상태에 위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1a)을 파지한 상태로 외부로 전개하고자 하면, 감지 센서 유닛(300)으로부터 스텝 유닛(200)에 대한 열림 상태가 감지되게 되고, 그에 따라 댐핑 유닛(400)이 베이스 유닛(100)에서 돌출된다(S100).
즉,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 유닛(200)이 일정 높이 이상 열리게 되면, 감지 센서 유닛(300)이 열림 상태를 감지, 액츄에이터부(420)로 전압이 인가되고, 그에 따라 액츄에이터부(4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액츄에이터부(430)가 정방향 회전에 의해 구동 기어(422)가 회전하게 되면, 맞물리게 결합된 랙 부재(432)가 직선 운동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슬라이딩 블록부(430)의 경사면(432a)이 승강 가이드부재(442)의 경사면(442a)을 가압하여, 댐퍼부(440)가 승강하게 된다.
그에 따라, 댐퍼부재(444)는 하우징부(410)의 외부로 승강하게 되고, 베이스 유닛(100)에서 돌출된 상태가 되는데, 이처럼 댐퍼부재(444)가 승강한 상태에서는 스텝 유닛(200)이 회전되어 외부로 전개된 상태에서도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상태의 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베이스 유닛(100)에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S200).
이후, 휠체어, 유모차 등의 승하차를 위해 스텝 유닛(200)을 전개시킨 이후,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스텝 유닛(200)을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되게 하는 경우, 댐퍼부재(444)가 베이스 유닛(100)에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클로징 갭(G)이 확보될 수 있다(S300).
이와 같이 클로징 갭(G)이 확보되면,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 유닛(200)을 닫힘 상태로 전환되어 자유 낙하가 이루어지게 되더라도, 클로징 갭(G)에 의해 베이스 유닛(100)과 스텝 유닛(2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출입구 주변의 탑승객에 대한 발 끼임 등과 같은 부상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클로징 갭(G)을 확보하며 스텝 유닛(200)이 댐퍼부재(444)와 접하며 닫힘 상태로 전환 시 감지 센서 유닛(300)에서 스텝 유닛(200)에 대한 닫힘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댐핑 유닛(400)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승강을 제어하여, 스텝 유닛(200)이 완전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한다(S400).
다시 말해, 클로징 갭(G)이 확보된 상태에서, 감지 센서 유닛(300)으로부터 스텝 유닛(200)에 대한 닫힘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액츄에이터부(420)에 전압이 인가되게 하여 구동 기어(422)가 역방향 회전하게 하고, 그에 따라 랙 부재(432)가 초기 위치로 직선 운동하게 되면서, 슬라이딩 블록부(430)가 초기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 경사면(432a)에 대한 가압이 해제됨을 통하여 댐퍼부(44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부(440)가 하강하게 되면, 하우징부(410)에서 돌출이 해제되고, 하우징부(410)의 상면이 베이스 유닛(100)과 플랫한 면을 이루게 되면서, 스텝 유닛(200)이 베이스 유닛(100)의 내부에 안착,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 유닛(200)의 일면과 차체 바닥면이 플랫하게 되며, 그에 따라 출입구 주변의 탑승객으로 하여금, 돌출된 댐퍼부(440)에 의한 걸림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에 설치된 감지 센서를 통해, 베이스로부터 스텝의 열림 조작을 위한 회전 이동이 감지됨에 따라, 댐핑 유닛의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댐퍼가 선택적으로 승강하게 하되, 이러한 승강 상태가 스텝이 베이스에 완전 닫힘 상태로 복귀되는 시점까지 유지되게 함으로써, 스텝의 닫힘 조작 시, 스텝의 자유 낙하에 의해 출입구 주변의 탑승객에 대한 발 끼임 등과 같은 부상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 유닛 200 : 스텝 유닛
200a : 회전 축 300 : 감지 센서 유닛
400 : 댐핑 유닛 410 : 하우징부
420 : 액츄에이터부 422 : 구동기어
430 : 슬라이딩 블록부 430a : 이동 가이드
432 : 랙 부재 432a, 442a : 경사면
440 : 댐퍼부 442 : 승강 가이드부재
443 : 장착 가이드 444 : 댐퍼부재
446 : 탄성부재 A : 제1영역
B : 제2영역 C : 제3영역
H : 안착 홈

Claims (10)

  1. 출입구와 인접한 차체 바닥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의 외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차체 바닥면과 지면에 대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스텝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유닛; 및
    상기 감지 센서 유닛을 통해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열림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에서 돌출되도록 선택적으로 승강하고, 승강 위치의 고정을 통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상기 스텝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사이에 클로징 갭이 확보되도록 가이드 하는 댐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유닛은,
    상기 베이스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구획된 제1영역에 장착되며, 상기 감지 센서 유닛을 통해 열림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부;
    상기 제1영역과 연결된 제2영역에 장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영역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 블록부; 및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된 제3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부가 상기 제3영역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댐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열림 상태가 감지되면 정방향으로 회전하되, 클로징 갭 확보에 따른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닫힘 상태가 감지되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텝 유닛이 완전 닫힘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와 상기 댐퍼부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는,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구동 기어와 맞물리게 구비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3영역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하는 랙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3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부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승강 가이드부재; 및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경사면 가압에 의해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승강하여, 클로징 갭이 확보되게 하는 댐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의 양측으로 돌출된 장착 가이드에 설치되고, 상기 제3영역에서 상기 승강 가이드부재가 탄성 지지되게 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베이스 유닛에 상기 하우징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차체 바닥면의 높이 보다 높은 위치로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 유닛은,
    마그네틱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장치.
  10. 감지 센서 유닛으로부터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열림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댐핑 유닛이 베이스 유닛에서 돌출되도록 승강을 제어하는 제1단계;
    상기 댐핑 유닛에 대한 돌출된 승강 위치가 고정, 유지되게 하는 제2단계;
    상기 스텝 유닛이 닫힘 상태로 전환됨에 있어 돌출된 상기 댐핑 유닛에 의해 상기 스텝 유닛과 상기 베이스 유닛이 사이에 클로징 갭이 확보되게 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감지 센서 유닛에서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닫힘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댐핑 유닛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승강을 제어하여 상기 스텝 유닛에 대한 완전 닫힘 상태가 되게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082919A 2022-07-06 2022-07-06 램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06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919A KR20240006176A (ko) 2022-07-06 2022-07-06 램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919A KR20240006176A (ko) 2022-07-06 2022-07-06 램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176A true KR20240006176A (ko) 2024-01-15

Family

ID=89543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919A KR20240006176A (ko) 2022-07-06 2022-07-06 램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1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095B1 (en) Ramp assembly having a lift and lock mechanism
US6086314A (en) Foldable platform wheelchair lift
US20060104775A1 (en) Safety belt system for wheelchair lifts
JPS6129741B2 (ko)
KR101274421B1 (ko) 엘리베이터칸의 도어로크장치
EP2038199B1 (en) Elevator with a closable opening in a car sill
JP5990395B2 (ja) ステップ装置及び該ステップ装置を備えた鉄道車両
KR101372262B1 (ko) 휠체어용 승강장치
JP4167132B2 (ja) 車両とホーム間の隙間調整装置
JP2013180861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122295B2 (ja) リフト・ロック機構を備えたランプアセンブリ
KR101023520B1 (ko) 장애인용 차량
KR20240006176A (ko) 램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5127122A (ja) スライドドアのガラスインタロック装置
CA2871896C (en) Stairwell lift
JPH0920235A (ja) 列車乗降補助装置
KR100969560B1 (ko)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KR102271450B1 (ko) 휠체어용 리프트
EP1582404A2 (en) Safety device for vehicle ramp
KR200230637Y1 (ko) 전동차량의 안전발판
CN114531871B (zh) 电梯设备
KR200378545Y1 (ko) 비상시 수동조작이 가능한 전동식 안전보호대를 갖는휠체어 리프트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WO2011148419A1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NL1039038C2 (en) Lift device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