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816A - 보관 시스템 및 보관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보관 시스템 및 보관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816A
KR20240005816A KR1020237041266A KR20237041266A KR20240005816A KR 20240005816 A KR20240005816 A KR 20240005816A KR 1020237041266 A KR1020237041266 A KR 1020237041266A KR 20237041266 A KR20237041266 A KR 20237041266A KR 20240005816 A KR20240005816 A KR 20240005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container
storage
wall portio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래스테어 오뷔송
니콜라스 맥라니
이안 팍스
데이비드 홀트
Original Assignee
오카도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카도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오카도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22/061612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229453A1/en
Publication of KR20240005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8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tins,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64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8Reinforcements of dissimilar materials, e.g. metal frames in p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3Containers presenting a continuous stacking profile along the upper or lower edge of at least two opposit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5Containers with stacking feet or corn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6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nesting the containers when empty and for stacking them when full
    • B65D21/068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nesting the containers when empty and for stacking them when full the movable parts consisting of walls or parts thereof, i.e. deform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0Ha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tins, boxes
    • B65D7/08Trays or like containers without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1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of skeleton or like apertured construction, e.g. baskets or carriers formed of wire mesh, of interconnected bands, bars, or rods, or of perforated sheet metal
    • B65D7/1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of skeleton or like apertured construction, e.g. baskets or carriers formed of wire mesh, of interconnected bands, bars, or rods, or of perforated sheet metal made of apertured or perforated sheet met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65D7/30Fastening devices for holding collapsible containers in erected state, e.g. integral with container walls
    • B65D7/32Fastening devices for holding collapsible containers in erected state, e.g. integral with container walls separate from container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formed by rolling, or by rolling and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formed by soldering, welding, or otherwise uniting opposed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42Details of metal walls
    • B65D7/44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42Details of metal walls
    • B65D7/48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65D77/045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 B65D77/0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and being a tray or like shal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컨테이너(828)는, 복수의 그리드 공간을 포함하는 그리드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세트의 수평 평행 트랙을 포함하는 트랙 시스템, 및 이 트랙 시스템 아래에 위치되는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를 포함하고, 각 적층체는 단일 그리드 공간을 차지한다. 보관 컨테이너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829)를 포함하고, 이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하나의 단일체 본체로 형성되고 트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컨테이너 바닥 벽(814)과 상향 기립 기부 측벽 부분 및 단부벽 부분(841)을 갖는 기부 부분(830), 및 박스형 구조 내에 하나 이상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개방 단부를 갖는 박스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기부 측벽 부분 및 단부벽 부분(841)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그에 연결되는 상측 측벽 부분(832)과 단부벽 부분(836)을 갖는 별개의 상측 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관 시스템 및 보관 컨테이너
본 발명은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에 적층되어 있는 보관 컨테이너를 취급하기 위해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에 위치되어 있는 트랙 상에서 작동하는 로드(load) 취급 장치를 포함하는 보관 시스템, 및 이러한 보관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보관 컨테이너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일부 상업 및 산업 활동에는, 많은 다양한 제품을 보관하고 회수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다수의 제품 라인에서 물품의 보관 및 회수를 위한 시스템의 알려진 유형 중 하나는, 보관 컨테이너(상자 또는 토트(tote)로도 알려져 있음)를 서로 상하로 적층체로 배열하는 것을 포함하며, 그 적층체는 열을 지어 배치된다. 보관 컨테이너는 적층체로부터 제거되고 로드 취급 장치에 의해 위쪽에서 접근되어, 열 사이의 통로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그리하여 많은 수의 컨테이너가 주어진 공간에 보관될 수 있다.
WO2015/185628A에는, 보관 컨테이너의 적층체가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 내에 배치되는 보관 및 주문 처리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그 컨테이너는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정상부에 위치되는 트랙 상에서 작동하는 로드 취급 장치에 의해 접근된다.
이러한 보관 시스템의 보관 컨테이너는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물질로 만들어지며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또는 블로우 몰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물질의 예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보관 시스템에서 열가소성 보관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데 따른 문제는, 그 보관 컨테이너는 가연성이 높을 수 있고 또한 보관 시스템이 수백 또는 수천 개의 보관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관 컨테이너는 화재 발생 시에 상당한 위험을 준다는 것이다.
본 출원은 2021년 4월 29일에 출원된 영국 출원 제 2106170.0 호 및 2022년 2월 11일에 출원된 영국 출원 제 2201849.3 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영국 출원은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보관 컨테이너를 금속으로 제작함으로써 위의 문제를 완화시켰다. 플라스틱 재료와 비교하여, 보관 컨테이너의 제작에 금속을 사용하면, 보관 컨테이너는 분해되기 전에 훨씬 높은 온도를 견딜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시에 독성 연기를 매우 적게 방출하거나 또는 전혀 방출하지 않는다. 또한, 보관 컨테이너의 재료 중 더 많은 부분이 용이하게 재활용 가능하여, 본 발명의 보관 컨테이너는 더욱 환경 친화적으로 된다. 보관 컨테이너의 제작에 금속을 사용하면,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보관 컨테이너가 서로 상하로 적층될 수 있게 해주는 견고한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컨테이너를 제공하며, 그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은 제 1 세트의 평행 레일 또는 트랙 및 복수의 그리드 공간 또는 그리드 셀을 포함하는 그리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평인 평면 내에서 제 1 세트의 평행 트랙에 대해 횡으로 있는 제 2 세트의 평행 레일 또는 트랙, 및 트랙 시스템 아래에 위치되는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를 포함하며,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 각각은 단일 그리드 공간 또는 그리드 셀을 차지한다. 보관 컨테이너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포함하고, 이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하나의 단일체 본체로 형성되고 트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컨테이너 바닥 벽과 상향 기립 기부 측벽 부분 및 단부벽 부분을 갖는 기부 부분, 및 박스형 구조 내에 하나 이상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개방 단부를 갖는 박스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기부 부분의 각각의 기부 측벽 부분 및 단부벽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그에 연결되는 상측 측벽 부분과 단부벽 부분을 갖는 별개의 상측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가 제공되며,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의 각 보관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바닥 벽 및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과 단부벽을 포함하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포함한다.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 각각은 트랙 시스템 아래에 위치되며 단일 그리드 공간 또는 그리드 셀을 차지한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금속 컨네이너 본체가 보관 컨테이너라는 점에서 보관 컨테이너의 일체적인 부분을 형성할 수 있거나, 금속 컨테이너 본체가 보관 컨테이너의 일부분, 예컨대 금속 라이닝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보관 컨테이너의 별개의 부분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당업계의 보관 컨테이너는 하나의 단일체 본체로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전형적인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수천 개의 보관 컨테이너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보관 컨테이너는 이 보관 컨테이너의 운반시에 상당한 부피를 나타내는데, 이 결과, 궁극적으로, 상당한 운반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보관 컨테이너를 내화성이 있게 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은, 당업계에서 어려운 과제이다. 본 발명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켰는데, 여기서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 각각의 금속 본체는 하나의 단일체 본체로 형성되는 기부 부분 및 박스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그 기부 부분에 연결되는 별개의 상측 부분을 갖는다. 금속 컨테이너의 분해를 위해, 상측 부분은 기부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써, 보관 컨테이너의 포장이 더 용이하게 되며, 분해시에, 금속 컨테이너는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보다 더 작은 부피를 차지한다. 특히, 기부 부분은 트레이를 형성하는 컨테이너 바닥 벽, 상향 기립 기부 측벽 부분 및 단부벽 부분의 구조로 인해 적층 가능하다. 따라서, 금속 컨테이너를 분해할 때,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적층될 수 있다.
트랙 시스템 상에서 작동하며 컨테이너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로봇형 로드 취급 장치가 보관 컨테이너를 들어 올리고 내려 보낼 수 있으며, 그래서, 그리드 셀을 점유하는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적층체 위쪽에 위치될 때, 리프팅 기구는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적층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관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수용 공간 안으로 들어 올리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리프팅 기구는 그래버 장치를 포함하고, 이 그래버 장치는, 사용 시에, 보관 컨테이너를 해제 가능하게 잡고 그 보관 컨테이너를 복수의 금속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적층체로부터 컨테이너 수용 공간 안으로 들어 올리도록 구성된다. 그래버 장치가 보관 컨테이너를 해제 가능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그래버 장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방 단부를 둘러싸는 주변 테두리와 결합 가능한 적어도 2개의 그리퍼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테두리는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함몰부를 포함하며, 그래서 하나 이상의 그리퍼 요소 각각이 보관 컨테이너의 테두리의 그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함몰부 안으로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테두리 부분이라고도 불리는 주변 테두리는 박스형 구조의 개방 단부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연장되고, 테두리 부분은 로드 취급 장치의 그래버 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함몰부를 포함한다. 테두리 부분은 상측 측벽 부분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의 상측 가장자리에 위치될 수 있다. 테두리 부분은, 하나 이상의 그리퍼 요소를 보관 컨테이너에 부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보관 컨테이너의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킨다. 선택적으로, 테두리 부분은 상측 측벽 부분 및/또는 단부벽 부분에 별개로 연결된다. 이로써, 금속 컨테이너가 모듈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고 또한 테두리 부분이 상측 측벽 부분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의 나머지와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어, 선택적으로 더 큰 중량 절감을 제공한다.
"상측 측벽 부분", "상측 측벽부" 및 "상부 측벽"이라는 용어는 본 특허 출원 전체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유사하게, "상측 단부벽 부분", "상측 단부벽부" 및 "상측 단부벽"이라는 용어는 본 특허 출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하측 측벽 부분", "상향 기립 기부 측벽 부분" 및 "기부 측벽 부분"이라는 용어는 본 특허 출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하측 단부벽 부분", "상향 기립 기부 단부벽 부분" 및 "기부 단부벽 부분"은 본 특허 출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기부 부분의 하나의 단일체 본체는, 보관 컨테이너에 보관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대개 식료품임)의 즙이 적층체에 있는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에 보관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새지 않는 트레이를 제공한다.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가 서로 상하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테두리 부분은, 적층체에서 위쪽에 있는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바닥 벽을 지지하기 위해 상측 측벽 부분 및/또는 단부벽 부분으로부터 안쪽으로 그리고/또는 바깥쪽으로 전환된 돌출 립을 포함한다. 따라서,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의 각 보관 컨테이너는 적층 가능하다. 안쪽으로 그리고/또는 바깥쪽으로 전환된 돌출 립으로 인해, 아래에 있는 보관 컨테이너의 내용물이 적층체에서 위쪽에 있는 수직으로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의 바닥 컨테이너 벽에 의해 짓눌리거나 손상되거나 또는 더럽혀지는 일이 없이, 그 수직으로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바닥 벽이 돌출 립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돌출 립이 보관 컨테이너의 측벽 및 단부벽으로부터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그 돌출 립은, 보관 컨테이너 바로 위쪽의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바닥 벽이 보관 컨테이너의 테두리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 표면을 제공한다.
보관 컨테이너의 상측 부분은 기부 부분과는 별개이며, 그래서 상호 대향 상측 측벽들 및/또는 단부벽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여,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더 쉽게 포장 가능하다. 상호 대향 상측 측벽 및/또는 단부 벽의 분리는, 그 상호 대향 상측 측벽 및 단부 벽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또는 단부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상호 대향 상측 측벽 및/또는 단부벽이 컨테이너 바닥 벽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호 대향 상측 측벽 및/또는 단부벽의 분리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벽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된 경우에 보관 컨테이너의 다른 부분을 교체할 수 있다. 이는 벽 중의 어느 하나가 손상된 경우에 보관 컨테이너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보관 컨테이너의 어느 부분이라도 예비 부품으로 교체될 수 있으므로 환경 친화적이다. 선택적으로, 상측 측벽 부분은 단부벽 부분에 별개로 고정된다.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보관 컨테이너가, 적층에서 아래쪽에 있는 보관 컨테이너의 내용물을 더럽히지 않고, 다른 보관 컨테이너 위에 적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관 컨테이너의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적층체에 있는 인접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바닥 컨테이너 벽을 지지하기 위해 보관 컨테이너의 입구부 안으로 돌출되고 보관 컨테이너의 대각선 방향 상호 대향 코너들에 위치되는 복수의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복수의 정지부는, 보관 컨테이너 내의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층체에서 위쪽에 있는 인접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바닥 벽에 의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테이너 바닥 벽의 위쪽에서 이격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보관 컨테이너는 이 보관 컨테이너의 대각선 방향 상호 대향 코너에서 2개 이상의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정지부는 보관 컨테이너의 입구부 안으로 내측으로 돌출되며, 적층체에 있는 인접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바닥 컨테이너 벽을 지지하도록 성형된다. 2개 이상의 정지부는, 보관 컨테이너 바로 위쪽에 있는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가 보관 컨테이너의 내용물을 짓누르거나 더렵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테이너 바닥 벽의 위쪽에서 그리고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대각선 방향 상호 대향 코너에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완전히 로딩된 보관 컨테이너의 중량은 35kg까지 된다. 30kg은 재고 또는 물품의 중량이며, 5kg은 보관 컨테이너의 전형적인 중량이다. 20개의 완전히 로딩된 보관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적층체의 경우, 적층체의 보관 컨테이너가 지탱해야 할 하중은 700kg(6,867 뉴턴)이 될 것이다. 적층체에 있는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의 지지를 증가시키기 위해, 보관 컨테이너의 네 코너 모두가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정지부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보관 컨테이너의 대각선 방향 상호 대향 코너에 만입부가 있다.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일부 구현예에서,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이 적층체에서 많은 수의 보관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트랙 시스템 상에서 주행하는 매우 많은 수의 로봇형 로드 취급 장치가 있을 수 있다. 보관 및 회수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상당수의 보관 컨테이너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중심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공기 순환을 방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보관 및 회수 시스템 내에 저장되는 동안에 보관 컨테이너 및 그의 내용물을 냉각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보관 컨테이너의 내용물 때문에 그리고/또는 보관 컨테이너의 내용물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단부벽 중의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통기 개구를 포함한다.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단부벽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기 개구는, 보관 컨테이너가 적층체에 유지될 때 차가운 공기가 그 보관 컨테이너 내에서 순환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냉각된 공기가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 주위로 순환되는 냉각 구역에서, 보관 컨테이너의 내용물을 차갑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단부벽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기 구멍이 차가운 공기를 보관 컨테이너 내부에서 순환시킨다. 추가로, 금속의 높은 열 전도성으로 인해, 열이 보관 컨테이너의 측벽과 단부벽을 통해 쉽게 전달될 수 있다. 이는 보관 컨테이너 내의 내부 공간을 그 보관 컨테이너 외부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로 유지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절연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보관 컨테이너에 비해 보관 컨테이너의 측벽과 단부벽의 열전도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 외부의 냉각이 보관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으로 빠르게 전달된다. 그러나,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단부벽에 하나 이상의 통기 구멍이 존재하는 것은 선택적인 사항이다. 중실의 상향 기립 측벽 및 단부벽은,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 있는 하나 이상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 사이에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데에 이점이 있다.
이상적으로는, 보관 컨테이너의 중량이 보관 컨네이너 내용물의 중량의 작은 비율을 나타내야 한다. 일반적으로, 당업계에서 보관 컨테이너의 중량은 약 5kg 정도이다. 이는 리프팅 모터를 포함하는 리프팅 기구가 보관 컨테이너의 중량에 부담을 받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더 큰 중량의 내용물이 보관 컨테이너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형적으로, 리프팅 모터는 미리 결정된 중량을 들어 올리도록 크기 결정되며, 리프팅 모터는 그 미리 결정된 중량을 넘는 보관 컨테이너의 중량을 들어 올리려고 할 것이다. 보관 컨테이너의 중량을 비교적 낮게 유지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은 접힌 판금 블랭크로 형성되며, 그래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은 쉽게 운반 가능하고 또한 사용을 위해 세워질 수 있다는 점에서 접힘 가능하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의 접힘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다수의 보관 컨테이너가 포장될 수 있고 예컨대 공급업체 또는 다른 보관 및 회수 시스템으로부터 운반될 수 있고 또한 사용을 위해 세워질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가 블랭크 금속 시트로부터 세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상향 기립 측벽 중의 적어도 하나는 활(living) 힌지에 의해 상향 기립 단부벽 중의 적어도 하나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측벽과 단부벽은 별개로 함께 조립되어, 개방 정상부 또는 입구부를 갖는 박스형 구조를 갖는 보관 컨테이너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과 단부벽 중의 적어도 하나를 별개로 함께 조립하기 위해, 상측 측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측 단부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다. 상측 측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측 단부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에 고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상측 측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측 측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측 단부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에 고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포함한다. 각 플랜지는 인접한 플랜지 위에 아래에 겹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측 측벽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는 접착제의 사용 또는 용접 또는 리벳팅에 의해 상측 단부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측 측벽 부분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의 플랜지는 기계적 클린칭 공정에 의해 함께 체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측 측벽 부분은 스냅 끼워맞춤 조인트 또는 인터로킹 조인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측 단부벽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냅 끼워맞춤 조인트는 캔틸레버 조인트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터로킹 조인트는 토글 랫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각 코너는 복수의 겹치는 층을 포함한다. 이 복수의 겹치는 층은, 특히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가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에 배치될 때, 위에 배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보관 컨테이너로부터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코너를 강화한다. 따라서, 겹치는 층으로부터 금속 보관 컨테이너의 코너를 통해 강성이 있다. 각 코너에는 2개, 3개 또는 4개의 겹치는 층이 있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보관 컨테이너는 로드 취급 장치의 그래버 장치의 정렬을 위해 보관 컨테이너의 각 코너에서 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가이드를 사용하면, 그래버 장치를 금속 컨테이너의 테두리 부분에 있는 개구 또는 함몰부와 쉽게 정렬할 수 있다. 가이드는 상측 측벽 부분 및/또는 단부벽 부분의 플랜지에 있는 기다란 수직 함몰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를 잡기 위해, 그래버 장치는 이 그래버 장치의 각 코너 근처에 또는 그 코너에 있는 가이드 핀을 사용하며, 이 가이드 핀은 보관 컨테이너 네 코너에 형성된 대응하는 개구 또는 함몰부와 짝을 이루게 된다.
선택적으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은 딥 드로잉된 판금 블랭크로 형성되며, 이 경우, 판금 블랭크는 펀치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 형성 다이 안으로 끌려 들어가게 된다.
대안적으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일부분만이 딥 드로잉된 판금 블랭크로 형성된다. 이로써,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나머지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접힘 가능하여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측 측벽 부분과 하측 측벽 부분을 포함하고/하거나 상향 기립 상호 대향 단부벽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측 단부벽 부분과 하측 단부벽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딥 드로잉된 판금 블랭크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얕은 부분을 형성하며, 그래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얕은 부분의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들 및 단부벽들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호 대향 하측 측벽 부분 및 하측 단부벽 부분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상측 측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각각의 하측 측벽 부분에 피봇식으로 부착되고/되거나 상측 단부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각각의 하측 단부벽 부분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딥 드로잉된 금속 블랭크의 상호 대향 측벽 및 단부벽은 각각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하측 측벽 부분 및 하측 단부벽 부분을 형성한다. 하측 측벽 부분 및 하측 단부벽 부분의 높이는 상측 측벽 부분 및 상측 단부벽 부분의 높이와 함께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호 대향 측벽 및 단부벽의 전체 높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금속 컨테이너의 측벽은 하측 측벽 부분과 상측 측벽 부분의 조합일 수 있다. 유사하게,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단부벽은 하측 단부벽 부분과 상측 단부벽 부분의 조합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측 측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각각의 하측 측벽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되거나 상측 단부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각각의 하측 단부벽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예를 들어, 딥 드로잉된 판금 블랭크의 벽은,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 및 단부벽을 딥 드로잉된 판금 블랭크 내에 수용함으로써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 및 단부벽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상향 기립 상호 대향 단부벽 중의 어느 하나가 적층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의 중량으로 인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 중의 적어도 하나 및/또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향 기립 상호 대향 단부벽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지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벽 보강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측벽 보강재 및/또는 단부벽 보강재는, 기립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기립 상호 대향 단부벽 중의 어느 하나를 강화하기 위한 인서트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위쪽에 있는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의 적층체의 중량을 견디기 위해 보관 컨테이너의 구조적 무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의 기립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기립 상호 대향 단부벽에 필요한 구조적 무결성을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측벽 보강재 및/또는 단부벽 보강재가 주조, 예를 들어 다이캐스팅된다.
대안적으로, 컨테이너 바닥벽,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상향 기립 상호 대향 단부벽 및/또는 상측 벽 부분 중의 어느 하나가 주조된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바닥벽,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단부벽 및/또는 상측 측벽 및/또는 상측 단부 벽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조립되는 패널로 되게 주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컨테이너 바닥 벽 및/또는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상향 기립 상호 대향 단부벽 중의 어느 하나는 적어도 중공 부분 및 이 중공 부분에 배치되는 충전재를 포함한다. 이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벽의 특성, 예컨대 음향적 특성 및/또는 내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보조 재료를 사용하는 이점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충전재는 절연재 및/또는 내화성 재료이다.
보관 컨테이너에 보관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이 식료품 또는 식품인 경우, 그 식료품은 금속 보관 컨테이너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되는 것이 중요하다. 식료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내부 표면은 중합체 코팅을 포함한다. 중합체 코팅은 보관 컨테이너에 보관되는 식료품을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근원적인 부식으로부터 보호한다. 중합체 코팅 또는 라이닝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와 그 안에 보관되는 식품 사이의 상호 작용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인 식품 보관 규정을 만족한다. 중합체 코팅은 또한 유출로 인해 보관 컨테이너로부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보관 컨테이너의 내부 표면에 밀폐 코팅을 제공한다. 중합체 코팅의 예는 수지계 코팅, 아크릴계 코팅 및/또는 비닐계 코팅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컨테이너 바닥벽 및/또는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상호 대향 단부벽 중의 어느 하나를 강화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 바닥벽 및/또는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상호 대향 단부벽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나 이상의 리브에 의해 강화된다. 하나 이상의 리브 각각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벽을 강화하기 위해 그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벽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및/또는 안쪽으로 돌출할 수 있다. 바닥 컨테이너 벽 및/또는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단부벽이 주름지도록 하나 이상의 리브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바닥 컨테이너 벽 및/또는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단부벽에 통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측 측벽 부분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은 그 상측 측벽 부분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리브 또는 비크(beak)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 부분은 이 기부 부분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컨테이너 바닥 벽 내에 엠보싱된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적층되는 접힐 수 있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그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은 트랙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 트랙 시스템은, 제 1 세트의 평행 레일 또는 트랙 및 복수의 그리드 공간 또는 그리드 셀을 포함하는 그리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평인 평면 내에서 제 1 세트의 평행 트랙에 대해 횡으로 있는 제 2 세트의 평행 레일 또는 트랙을 포함하고, 접힐 수 있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포함하고, 이 컨테이너 본체는, 컨테이너 바닥 벽,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과 단부벽, 및 테두리를 포함하고, 이 테두리는 보관 컨테이너의 입구부에서 안쪽 및/또는 바깥쪽으로 전환된 돌출 립을 포함하며, 그래서 하나 이상의 접힐 수 있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가 다른 컨테이너 위쪽에 적층될 수 있으며,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은 접힘 가능한 판금의 단일체 블랭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접힘 가능한 판금 블랭크는 0.5mm 내지 2mm 범위,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1mm 범위, 예를 들어 0.55mm, 0.6mm, 0.7mm, 0.8mm 또는 0.9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접힘 가능한 판금의 단일체 블랭크로부터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면, 보관 컨테이너의 금속 컨테이너 본체가 쉽게 운반 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당업계에 있는 기존의 몰딩된 플라스틱 보관 컨테이너와 비교하여 운반을 위해 큰 물품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더 많은 수의 금속 컨테이너 본체가 타이트하게 포장되어, 본 발명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을 수용하는 주문 처리 센터에 운반될 수 있으며, 거기서 컨테이너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해 세워질 수 있다.
접힐 수 있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적층되도록 구성된 접힐 수 있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그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은 트랙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 트랙 시스템은, 제 1 세트의 평행 레일 또는 트랙 및 복수의 그리드 공간 또는 그리드 셀을 포함하는 그리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평인 평면 내에서 제 1 세트의 평행 트랙에 대해 횡으로 있는 제 2 세트의 평행 레일 또는 트랙을 포함하고, 접힐 수 있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포함하고, 이 컨테이너 본체는, 컨테이너 바닥 벽,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과 단부벽, 및 테두리를 포함하고, 이 테두리는 보관 컨테이너의 입구부에서 안쪽 및/또는 바깥쪽으로 전환된 돌출 립을 포함하며, 그래서 하나 이상의 접힐 수 있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가 다른 컨테이너 위쪽에 적층될 수 있으며,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은 주조된다. 주조에 의해, 벽(컨테이너 바닥 벽,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단부벽)이 튼튼하게 되어, 적층체에 있는 수직으로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의 중량을 지탱하는 견고한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다이캐스팅 또는 인베스트먼트 주조될 수 있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알루미늄이나 강으로 주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관 컨테이너는 식품 등급 재료로 형성된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의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비가연성이며 그래서 임의의 유형의 식품 등급 재료가 보관 컨테이너의 라이너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보관 컨테이너의 라이너는 비가연성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라이너는 식품 등급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셀룰로오스계 재료를 포함한다. 셀룰로오스 재료가 내습성 및/또는 내유성을 갖게 하도록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셀룰로오스는 왁스 재료로 코팅되거나 함침된다. 선택적으로, 셀룰로오스 재료는 종이 또는 판지이다. 종이 또는 판지 라이너를 제공하는 한 가지 방법은, 접힌 종이 또는 판지 블랭크로부터 라이너를 형성하는 것이다. 라이너는 종이 또는 판지를 포함하므로, 선택적으로 라이너는 일회용이다. 라이너는 보관부의 박스형 구조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위한 덮개를 제공하기 위해 얕은 기부 또는 트레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라이너는 박스형 구조의 내부 표면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로부터 식품의 즙이 누출되어 적층체에서 아래쪽에 있는 보관 컨테이너 내의 식품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라이너는 새지 않는 컨테이너이다. 선택적으로, 그 새지 않는 컨테이너는 예컨대 블로우 몰딩 또는 딥 드로잉 몰딩 공정에 의한 일체형의 열성형된 컨테이너이다.
본 발명은 보관 컨테이너를 조립하기 위한 키트를 추가로 제공하며, 이 키트는,
i) 하나의 단일체 본체로 형성되고 트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컨테이너 바닥 벽과 상향 기립 기부 측벽 부분 및 단부벽 부분을 갖는 기부 부분; 및
ii) 상측 측벽 부분과 상측 단부벽 부분을 포함하는 별개의 상측 부분을 포함한다.
보관 컨테이너는 별개의 상측 부분과 기부 부분을 포함하므로, 이는 유리하게는 부품의 키트로서 공급될 수 있고 또한 예컨대 토글 랫치, 스냅 끼워맞춤 조인트 등을 이용하고 그리고/또는 상측 부분을 기부 부분에 점용접하여 함께 조립될 수 있다. 키트의 보관 컨테이너는 전술한 특징들 중 임의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키트는 상측 측벽 부분 및/또는 단부벽 부분에 별개로 연결 가능한 2개 이상의 테두리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양태는 도면을 참조하는 일 실례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화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프레임워크 구조물 내에 배치된 상자의 적층체를 위에서 아래로 본 개략도이다.
도 3은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 상에서 작동하는 공지된 로드 취급 장치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로드 취급 장치의 본체 내에 있는 컨테이너 수용 공간을 나타내는 로드 취급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는 도 4의 로드 취급 장치의 개략적인 절취 사시도로, (a)는 로드 취급 장치의 컨테이너 수용 공간을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나타내고, (b)는 로드 취급 장치의 컨테이너 수용 공간을 나타낸다.
도 6은 보관 컨테이너 위쪽에 위치되는 그래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a는 보관 컨테이너에 장착되는 그래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b는 보관 컨테이너와 결합하는 그래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딥도로잉 공정으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딥도로잉 공정으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딥도로잉 공정으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a)는 보관 컨테이너의 어셈블리 구성 요소의 분해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립된 보관 컨테이너를 나타낸다.
도 11은 딥도로잉 공정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a)는 보관 컨테이너의 어셈블리 구성 요소의 분해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조립된 보관 컨테이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에 따른 딥도로잉 공정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딥도로잉 공정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a)는 보관 컨테이너의 조립전 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에 따른 조립된 보관 컨테이너를 나타낸다.
도 14는 딥도로잉 공정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a)는 보관 컨테이너의 조립전 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형태에 따른 조립된 보관 컨테이너를 나타낸다.
도 14c는 해제 가능한 토글 랫치에 의한 상측 벽 부분의 연결을 보여주는 조립된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d는 도 14c에 나타나 있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측 벽 부분들을 함께 연결하기 위한 해제 가능한 토글 랫치의 사시도이다.
도 14e는 적층체에 있는 도 14b 및 14b에 나타나 있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개별적인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딥도로잉 공정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a)는 보관 컨테이너의 조립전 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 형태에 따른 조립된 보관 컨테이너를 나타낸다.
도 15c 및 15d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 형태에 따른 보관 컨테이너의 상측 측벽 및 상측 단부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e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 형태에 따른 보관 컨테이너의 상측 부분의 코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딥도로잉 공정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딥도로잉 공정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a)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 형태에 따른 보관 컨테이너의 조립도를 나타내고, (b)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 형태에 따른 보관 컨테이너의 조립전 도를 나타내며, (c)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 형태에 따른 보관 컨테이너의 테두리 부분을 나타내고, (d)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 형태에 따른 보관 컨테이너의 상측 부분의 코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e)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 형태에 따른 보관 컨테이너의 상측 부분과 기부 부분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 형태에 따른 보관 컨테이너의 조립도를 나타내는, 딥도로잉 공정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도 17과 유사한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딥도로잉 공정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a)는 보관 컨테이너의 조립전 도를 나타내고, (b)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립된 보관 컨테이너를 나타낸다.
도 20은 딥도로잉 공정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a)는 보관 컨테이너의 조립전 도를 나타내고, (b)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립된 보관 컨테이너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19 또는 도 20의 조립전 보관 컨테이너의 적층체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a) 접힘 가능한 금속 시트의 블랭크 및 (b) 본 발명의 제 14 실시 형태에 따른 블랭크로부터 세워진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3은 (a) 접힘 가능한 금속 시트의 단일체 블랭크 및 (b) 본 발명의 제 15 실시 형태에 따른 그 단일체 블랭크로부터 세워진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된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 형태에 따른 중공 벽을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6은 비가연성 인클로저와 부분적인 라이너를 형성하는 내화성 본체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나 있는 내화성 본체의 부분적인 라이너의 개략도이다.
도 28은 비가연성 인클로저와 전체 높이 라이너를 형성하는 내화성 본체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개략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나 있는 내화성 본체의 전체 높이 라이너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관 컨테이너(10)(상자 또는 토트(tote)로도 알려져 있음)가 서로 상하로 적층되어 적층체(12)를 형성한다. 이 적층체(12)는 창고 또는 제조 환경에서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14) 안에 배치된다.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은 복수의 보관 칼럼 또는 그리드 칼럼으로 구성된다.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 내의 각 그리드는 컨테이너 적층체의 보관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리드 칼럼을 갖는다. 도 1은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14)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레임워크 구조물(14) 내부에 배치되는 컨테이너(10)의 단일 적층체(12)를 위에서 아래로 본 도이다. 각 컨테이너 또는 상자(10)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제품(나타나 있지 않음)을 담으며, 컨테이너(10) 내부의 제품은 동일하거나 용도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제품일 수 있다. 각 컨테이너(10)는 예컨대 식료품(즉, 음식물)을 보관하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자(10)는 복수의 상이한 재고 물품들을 수용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 상자(10)는 재고 물품의 보관을 위한 보관 컨테이너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것이며, 배달 컨테이너(DT)는 고객에 의해 주어진 고객 주문을 이행하기 위해 채워졌거나 채워질 예정인 컨테이너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 용어는 본 문서에서 참조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상자(10)와 컨테이너(DT)는 동일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배달 컨테이너(DT)는 보관 시스템 또는 그 일부분 내의 상자(10)에 보관될 수도 있다.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14)은 수평 부재(18, 2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직립 부재 또는 직립 칼럼(16)을 포함한다. 제 1 세트의 평행한 수평 그리드 부재(18)가 제 2 세트의 평행한 수평 그리드 부재(20)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직립 부재(16)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수평 그리드 구조물을 형성한다. 부재(16, 18, 20)는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제조되고 일반적으로 함께 용접되거나 볼트 체결되거나 이 둘의 조합이 이루어진다. 컨테이너(10)는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14)의 부재(16, 18, 20) 사이에 적층되며, 그래서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14)은 컨테이너(10)의 적층체(12)의 수평 방향 이동을 억제하고 컨테이너(10)의 수직 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14)의 정상부 레벨은, 적층체(12)의 정상부를 가로질러 그리드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는 레일(22)을 포함한다. 도 3을 추가로 참조하면, 레일(22)은 복수의 로드 취급 장치(30)를 안내한다. 제 1 세트(22a)의 평행한 레일(22)은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14)의 정상부를 가로지르는 제 1 방향(예컨대, X-방향)으로의 로봇형 로드 취급 장치(30)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 1 세트(22a)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세트(22b)의 평행한 레일(22)은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예컨대, Y-방향)으로의 로드 취급 장치(3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렇게 해서, 레일(22)에 의해 로봇형 로드 취급 장치(30)는 수평 X-Y 평면에서 옆으로 2차원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래서 로드 취급 장치(30)는 임의의 적층체(12) 위쪽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각 로드 취급 장치(30)는 적층체(12) 위쪽에서 그리드 프레임 구조물(14)의 트랙 또는 레일(22) 상에서 X 및 Y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차량(32)을 포함한다(도 4 참조). 도 4 및 도 5는 PCT 특허 공개 제 WO2015/019055 호(Ocado Innovation Limited) 및 국제 특허 출원 WO 2015/140216(Ocado Innovation Limited)에 설명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로드 취급 장치(30)를 나타내며, 이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다. 로드 취급 장치(30)는 차량 본체(32)를 포함하고, 이 차량 본체에는, 위쪽에서 보관 컨테이너 또는 상자(10)(토트(tote)로도 알려져 있음)를 들어 올리기 위해 윈치 또는 크레인 기구(35)를 포함하는 리프팅 기구(33)(도 4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크레인 기구(35)는 스풀 또는 릴에 감기는 윈치 케이블(38)과 그래버 장치(39)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리프팅 장치는, 보관 컨테이너(10)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래버 장치(39)의 네 코너 근처에 또는 그 코너에 연결된 일 세트의 리프팅 테더(tether)(38)(그래버 장치의 네 코너 각각의 근처에 하나의 테더가 있음)를 포함한다. 그래버 장치(39)는 보관 컨테이너(10)의 정상부를 잡고 또한 도 1 및 2에 나타나 있는 유형의 보관 시스템에 있는 컨테이너 적층체로부터 그 보관 컨테이너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그래버 장치(39)는 리프팅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래버 장치의 추가 세부 사항은 아래에서 논의된다.
차량 본체(32)는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을 포함한다(도 5의 (a 및 b) 참조). 하측 부분에는, 보관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정상부에 있는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두 세트의 바퀴(34, 36)가 장착되어 있다. 차량 본체(32)의 상측 부분은 로드 취급 장치의 부피가 큰 구성 요소의 대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본체의 상측 부분은, 구동 기구와 리프팅 기구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온-보드(on-board) 재충전식 전력 공급원과 함께 바퀴와 리프팅 기구 둘 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를 수용한다.
차량 본체(32)의 하측 부분은, 레일을 따라 각각 X 및 Y 방향으로 차량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동되는 바퀴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차량(32)의 전방부에 있는 한 쌍의 바퀴(34) 및 차량(32)의 후방부에 있는 한쌍의 바퀴(34)로 이루어지는 제 1 바퀴(34) 세트는 레일(22)의 제 1 세트(22a)의 두 인접하는 레일과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유사하게, 차량(32)의 각 측면에 있는 한 쌍의 바퀴(36)로 이루어지는 제 2 세트의 바퀴(36)는 레일(22)의 제 2 세트(22b)의 두 인접하는 레일과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하나의 또는 양 바퀴 세트는 수직으로 움직여 각 바퀴 세트가 각각의 레일로부터 벗어나게 들어 올려지며, 그리하여 차량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바퀴(34) 세트가 제 1 트랙 또는 레일(22a) 세트와 결합되고 제 2 바퀴(36) 세트가 트랙 또는 레일(22)에서 벗어나게 들어 올려질 때, 바퀴(34)는 차량(32)에 내장되어 있는 구동 기구(나타나 있지 않음)를 통해 로드 취급 장치(30)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로드 취급 장치(30)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바퀴(34) 세트는 트랙 또는 레일(22)에서 벗어나게 들어 올려지고, 제 2 바퀴(36) 세트는 하강되어 제 2 트랙 또는 레일(22a) 세트와 결합된다. 그런 다음 구동 기구가 사용되어 제 2 바퀴(36) 세트를 구동시켜 Y 방향으로의 이동을 달성하게 된다. 하나의 또는 양 바퀴 세트는 수직으로 움직여 각 바퀴 세트가 각각의 레일에서 벗어나게 들어 올려질 수 있고, 그리하여 차량이 트랙 시스템 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퀴는 하측 부분에 있는 공동부 또는 오목부(컨테이너 수용 오목부(40)로 알려져 있음)의 주변부 주위에 배치된다. 도 5a 및 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목부(40)는, 보관 컨테이너 또는 상자가 크레인 기구에 의해 들어 올려질 때 그 보관 컨테이너 또는 상자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오목부에 있을 때, 컨테이너는 아래의 레일로부터 벗어나게 들어 올려지고, 그래서 로드 취급 장치가 옆으로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목표 위치, 예컨대 다른 적층체, 보관 시스템 내의 접근 지점 또는 컨베이어 벨트에 도달하면, 상자 또는 보관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수용 공간으로부터 하강되어 그래버 장치(39)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앙 집중식 제어 유틸리티(나타나 있지 않음)의 제어 하에서 하나 이상의 로봇형 로드 취급 장치(30)가 프레임 구조물(14)에서 적층체(12)의 트랙(12)의 정상 표면 주위로 이동할 수 있다. 각 로봇형 로드 취급 장치(30)에는, 상자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요구되는 물품에 접근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상자(10)를 적층체(12)로부터 들어 올리기 위한 리프팅(38)가 제공되어 있다.
차량(32)의 본체는 상자(10)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부(40) 형태의 컨테이너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 이 공동부(40)는 상자 또는 보관 컨테이너(10)를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리프팅 기구는, 보관 컨테이너에의 해제 가능한 연결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리프팅 프레임(나타나 있지 않음)(달리 그래버 장치로 알려져 있음)의 네 코너에 연결되는 일 세트의 리프팅 테더(38)를 포함한다(그래버 장치의 네 코너 각각의 근처에 하나의 테더가 있음). 그래버 장치는 보관 컨테이너의 정상부를 잡아, 도 1 및 3에 나타나 있는 유형의 보관 시스템에 있는 컨테이너 적층체로부터 그 보관 컨테이너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된다. 리프팅 기구는 상자(10)를 적층체(12)로부터 차량(32) 본체 내의 공동(40) 내부로 들어 올린다. 상자(10)가 윈치 수단에 의해 들어 올려질 때 그 상자를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 수용 공간(40)이 도 4에 나타나 있는 차량 본체(32) 내부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은 컨테이너 수용 공간(40)이 차량 본체(32) 내부에 위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로드 취급 장치의 차량 본체가 WO2019/238702(Autostore Technology AS)에 설명된 바와 같은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경우에서와 같이 컨테이너 수용 공간이 캔틸레버 아래에 위치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차량 본체" 라는 용어는, 그래버 장치가 캔틸레버 아래에 위치되도록 캔틸레버를 선택적으로 덮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 수용 공간은 차량 본체 내부의 공동부 또는 오목부 내에 배치된다. 컨테이너 수용 공간은 다수의 제품이 언제든지 그리드 및 적층체 내의 다수의 위치로부터 접근될 수 있게 해준다.
로봇형 로드 취급 장치(30)는 재고 물품(나타나 있지 않음)을 담고 있는 상자(10)를 제거하고 이 상자(10)를 픽(pick) 스테이션(나타나 있지 않음)에 운반하며, 이 픽 스테이션에서, 요구되는 재고 물품(28)이 상자(10)로부터 제거되어, 배달 컨테이너(DT)를 포함하는 상자(10) 안으로 배치된다. 배달 컨테이너(DT)는 상자(10) 내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자(10)는 재고 물품을 포함할 수 있거나 배달 컨테이너(D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달 컨테이너(DT)는 적어도 하나의 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재고 물품은 픽 스테이션(나타나 있지 않음)에서 백 안으로 직접 픽킹된다.
빈 상자(10) 또는 배달 컨테이너(DT)를 포함하는 상자 또는 배달 컨테이너(DT)와 백을 포함하는 상자는 모두 적층체(12) 내에 보관될 수 있다. 모든 상자(1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형상 및 구성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형적인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을 나타내며, 이 시스템은 적층체(12) 위의 그리드 상에서 작동하는 복수의 로드 취급 장치(30)를 갖는다. 도 1 및 3은 보관 시스템 내의 적층체(12)에 있는 상자(10)를 나타낸다. 임의의 주어진 보관 시스템에는 많은 수의 보관 컨테이너 또는 상자(10)가 있을 수 있고 많은 상이한 물품들이 적층체(12)의 상자(10)에 보관될 수 있으며 각 상자(10)는 단일 적층체(12) 내에서 상이한 범주의 재고 물품을 담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위에서 또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영국 특허 출원 제 GB1410441.8(Ocado Innovation Limited) 호에서 더 설명된 하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은 고객의 주문품이 담긴 배달 컨테이너(DT)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일련의 상자(10)를 포함하거나 픽킹을 기다리고 있는 재고 물품이 내부에 들어 있는 상자(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상이한 상자(10) 및 그의 조합은 보관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로봇형 로드 취급 장치(30)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
도 6은 도 1 내지 3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한 형태의 상자(10) 위에 위치되는 그래버 장치를 나타낸다. 보관 컨테이너 또는 상자(10)는, 개방 정상부(43), 컨테이너 바닥 벽(44) 및 상호 대향 측벽(46)(a 및 b) 및 단부벽(48)(a 및 b)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박스형이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특정 예에서, 상자(10)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컨테이너 바닥 벽(44)을 가지고 있어, 상호 대향 측벽(46)(a 및 b)의 길이는 상호 대향 단부벽(48)(a 및 b)의 길이보다 길다. 상자의 상호 대향 측벽(46)(a 및 b))과 단부벽(48)(a 및 b)은 보관 컨테이너의 측벽과 단부벽을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한다. 복수의 상자(10)가 자기 지지(self-supporting) 적층체(12)에서서 적층될 수 있고, 복수의 적층체(12)가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14) 내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유형의 보관 시설에는 많은 수의 상자(10), 어떤 경우에는 수십만 개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상자(10)는 적층체에 있는 다수의 상자(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상자 적층체의 하중은 완전히 로딩된 20개 상자의 최대 하중으로 지탱된다. 완전히 로딩된 상자의 중량은 약 35kg이며, 그 중의 5kg은 상자 단독의 중량이다. 예를 들어, 20개의 상자(10)의 적층체는 700kg 또는 6,867N의 하중을 나타낼 것이다. 상호 대향 측벽 및 단부벽에 있는 하나 이상의 리브는 그 측벽과 단부벽을 강화하여, 적층체에서 측벽과 단부벽이 그러한 하중 하에서 좌굴을 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자가 적층체에 유지될 때 상자(10) 내에서 공기가 흐르도록 하기 위해, 상자(10)의 측벽(46)(a 및 b) 및/또는 단부벽(48)(a 및 b)은 하나 이상의 슬롯 또는 개구 또는 통기 구멍(50)을 포함한다. 측벽(46)(a 및 b) 및/또는 단부벽(48)(a 및 b)에 있는 슬롯 또는 개구(50)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 내에서 그리고 그 주위로 순환하는 공기가 상자(10) 내에서 흐르도록 허용한다. 이는, 상자(10)가 냉장 또는 공조 유닛으로부터의 차가운 공기가 식료품과 같은 물품을 저온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순환되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냉각 구역에 위치되는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국제 특허 공개 제 WO2016/193419(Ocado Innovation Limited) 호에 설명된 것과 같은 냉각 시스템에서는, 공기가 보관 시스템 내에서 그리고 상자(10) 및 상자(10)의 적층체(12)를 통해 흐를 필요가 있다. 이 국제 특허 출원에 설명된 시스템은 이로써 참조로 포함되며, 온도 제어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열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냉각기, 보관 시스템을 통해 온도 제어 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팬; 및 온도 제어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플레넘(plenum)을 포함하는 보관 시스템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과일 및 야채와 같이 냉각이 필요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일부분을 더 낮은 온도로 냉각해야 하는 경우, 시스템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보관될 물품을 냉각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 형태는 보관 시스템을 냉각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설명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보관 시스템에 보관되는 물품이 유사한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위의 설명은 공기 흐름을 언급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시스템을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가스가 순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자 내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 외에도, 상자(10)의 슬롯(50)은 상자(10)의 구조적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컨테이너(10)의 중량을 줄이면서 동일한 양의 보관 부피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 컨테이너(DT) 또는 상자(10)에 구멍(50)을 제공하면, 각 컨테이너(DT) 또는 상자의 비용이 또한 감소된다. 수십만 개의 컨테이너와 상자를 포함하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1)에서 이는 상당한 절약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상자(10)의 도면에서, 컨테이너 또는 상자의 두 측면은 개구 또는 구멍(50)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핸들(52)이 상자(10)의 단부벽(48)(a 및 b)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보관 컨테이너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픽업될 수 있게 해준다. 측벽(46)(a 및 b) 및/또는 단부벽(48)(a 및 b)에 있는 개구 또는 통기 구멍(50)은 새지 않는 기부를 제공하기 위해 보관 컨테이너(10)의 바닥 벽(44) 위쪽의 미리 결정된 높이에 위치되며, 그리하여, 보관 컨테이너의 내용물로부터 우발적으로 빠져 나가 적층체 내의 인접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한다.
또한 도 6에는, 상자(10)의 위쪽에 위치되는 그래버 장치(39)(로봇형 로드 취급 장치의 리프팅 기구(33)의 일부분을 형성함)가 나타나 있다.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수용 공간 안으로 들어 올리기 위해 사용되는 리프팅 기구(33)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윈치 또는 크레인 기구를 포함한다(도 4 참조). 크레인 기구는 스풀 또는 릴에 감기는 윈치 케이블(38)과 그래버 장치(39)를 포함한다. 그래버 장치(39)는 컨테이너(10)의 정상부를 잡아, 도 1 및 2에 나타나 있는 유형의 보관 시스템에 있는 컨테이너의 적층체로부터 그 컨테이너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그래버 장치(39)는 프레임(54)으로 구성되고 4개의 리프팅 테더(38)가 그래버 장치(39)의 각 코너에 고정된다(도 5b 참조). 최대의 안정성 및 하중 용량을 위해, 일반적으로 4개의 리프팅 테더(38)가 그래버 장치(39)를 윈치로 감아 올리기 위해 사용되며, 그래버 장치(39)의 각 코너 근처에 또는 각 코너에 하나의 테더가 배치되지만, 예를 들어 더 적은 수의 테더를 사용하는 다른 배치도 원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각 테더의 한 단부, 예컨대 제 1 단부는 로드 취급 장치의 스풀에 감기고 다른 단부, 예컨대 제 2 단부는 적절한 브라켓(나타나 있지 않음)에 의해 일반적으로 그래버 장치의 각 코너에서 그래버 장치(39)에 고정된다. 그래버 장치에 부착되는 테더의 수는, 컨테이너(10)를 들어올릴 때 작업 중에 그래버 장치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능력, 및 미리 결정된 가해지는 인장 응력 하에서 연장되거나 신장됨이 없이(즉, 연장 불가능) 컨테이너(최대 40kg의 중량을 가질 수 있음)를 들어 올릴 때 테더에 가해지는 장력을 견딜 수 있는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필요한 물리적 특성(영률)을 갖기 위해, 테더는 일반적으로 테이프 형태이지만, 컨테이너를 윈치로 감아 올리기 위해 필요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다른 테더도 적층체로부터 상자를 윈치로 감아 올리는 데에 허용된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특정 실시 형태에서, 그래버 장치의 프레임(54)은 4개의 코너 부분(56), 정상측 및 바닥측을 갖는다. 컨테이너(10)를 잡기 위해, 그래버 장치(39)는 이 그래버 장치(39)의 각 코너 근처에서 또는 그 코너에서 4개의 위치 결정 핀 또는 안내 핀(58)을 포함하고, 이 핀은 컨테이너(10)의 4개의 코너에 형성된 대응하는 절개부 또는 구멍(60)과 짝을 이루며, 그래버 장치는, 또한, 그래버 장치(39)의 바닥 측에 배치되어 상자(10)의 테두리(64)와 결합하는 4개의 그리퍼 요소(62)(도 7a 참조)를 포함한다. 위치 결정 핀(50)은 그리퍼 요소(62)를 컨테이너의 테두리에 있는 대응하는 구멍(60)과 적절하게 정렬시키는 것을 도와 준다. 도 7a에 나타나 있는 특정 실시 형태에서, 각 그리퍼 요소(62)는 컨테이너의 테두리(64)에 있는 대응하는 구멍(60)에 수용 가능하도록 접힘 가능한 한쌍의 날개부(66)를 포함하며, 이는 컨테이너(10) 상에 잠금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치수에 있어서 컨테이너(10)의 테두리(64)에 있는 구멍(62) 보다 큰 크기를 갖는 개방 확대 구성을 갖는다(도 7b 참조). 날개부는 구동 기어(나타나 있지 않음)에 의해 개방 구성으로 구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날개부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는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복수의 치부를 포함하고, 그래서, 그리퍼 요소(62)가 작동될 때, 구동 기어의 회전에 의해 한쌍의 날개부가 접힘 가능한 구성(도 7a)으로부터 개방 확대 구성(7b)으로 회전된다.
접힌 또는 폐쇄된 구성으로 있을 때, 그리퍼 요소(62)는 도 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컨테이너(10)의 테두리(64)에 있는 대응 구멍(60)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한쌍의 날개부 각각의 발부는 정지부(68)(도 6 참조), 예컨대 보스(boss)를 포함하고, 그래서, 컨테이너(10)의 테두리(64)에 있는 대응하는 구멍(60)에 수용되면, 그래버 장치(39)가 로드 취급 장치의 컨테이너 수용 공간을 향해 위쪽으로 윈치로 감아 올려질 때 정지부(68)는 컨테이너 상에 잠금되도록 확대 개방 구성으로 있을 때 테두리(64)의 밑면과 결합하게 된다. 도 7b는 로봇형 로드 취급 장치의 컨테이너 수용 공간 안으로 상자(10)를 들어 올리기 위한 확대 구성으로 있는 그리퍼 요소의 구성을 나타낸다.
그리퍼 요소(64)는, 그래버 장치(39)가 그래버 장치의 밑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깊이 센서(나타나 있지 않음)에 의해 측정될 때 컨테이너의 테두리 위쪽의 미리 결정된 높이에 있을 때, 컨테이너(10)의 테두리(64)에 있는 구멍(60)에 수용된다. 이 깊이에서, 그리퍼 요소(64)는 그래버 장치(39)의 밑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깊이 센서(나타나 있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컨테이너(10)를 잡도록 작동된다.
전형적으로, 상자(10)는 주로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며, 사출 성형되거나 블로우 몰딩된다. 보관 컨테이너의 몰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열가소성 재료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의 문제점은 가연성이 있고 독성 연기를 방출한다는 것이다. 일단 보관 및 회수 시스템 내에서 화재가 시작되면, 상자(10) 재료의 가연성 및 발열 특성으로 인해 화재가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전체로 확산되어 생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컨테이너(10)가 가연성일 뿐만 아니라, 연소되는 열가소성 재료에서 방출되는 연소 연기는 발암 물질로 알려진 벤젠을 포함해서 독성이 매우 높다. 연소하는 잔해로 인해 미세한 입자를 흡입하면, 호흡기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재의 급속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클러, 연기/열 감지 유닛 등의 극단적인 화재 예방 방법과 시스템이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 통합된다. 화재의 급속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지만(상자(10)의 화재가 화재의 확산에 주된 역할을 함),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전체에 걸쳐 화재가 확산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바닥 벽, 상호 대향 측벽들 및 상호 대향 단부벽들을 포함하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를 제공함으로써 위의 문제를 완화시켰다. 도 8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유형의 보관 컨테이너의 예에서, 보관 컨테이너 전체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가 보관 컨테이너라는 점에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관 컨테이너는 전체적으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로 형성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관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분은 다른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보관 컨테이너의 금속 라이닝을 형성할 수 있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는, 또한 배달 컨테이너가 컨테이너 바닥 벽, 상호 대향 측벽들 및 상호 대향 단부벽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배달 컨테이너(DT)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보관 컨테이너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설명의 용이를 위해, 이하의 예에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보관 컨테이너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에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현재 존재하는 보관 컨테이너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컨테이너 바닥 벽 및 상호 대향 측벽들과 단부벽들을 갖는다. 금속 보관 컨테이너는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전통적인 플라스틱 보관 컨테이너 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금속 보관 컨테이너의 내화염성 거동은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에서 내화염성 장벽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보관 컨테이너의 복수의 적층체가 플라스틱 보관 컨테이너의 복수의 적층체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내염성 장벽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금속 보관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내화염성 장벽은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 내에 화염을 봉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를 제조하는 많은 방법이 있다. 자동화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해, 보관 컨테이너의 주요 특징은 중량이 8kg 미만, 바람직하게는 6k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kg 미만의 경량이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는 또한 적층체에 배치될 때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기에 충분한 구조적 강성을 가져야 한다.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은 20개 보관 컨테이너의 높이 만큼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를 유지할 수 있다. 각 보관 컨테이너의 중량은 최대 35kg까지 나가는 것을 고려하면, 이는 700kg의 중량이다. 아래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상이한 보관 컨테이너의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예들이 나와 있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가 식료품의 보관에 사용되는 경우, 보관 컨테이너에서 식품이 새어 나가 적층체 내의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에 보관되어 있는 다른 식품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관 컨테이너는 새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유체는 보관 컨테이너의 기부에 가라앉는 경향이 있으므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기부는 새지 않게 만들어지며,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측벽 및/또는 단부벽에 있는 통기 구멍은 유체가 그 통기 구멍을 통해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테이너 바닥 위쪽의 미리 결정된 높이에 위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금속 컨테이너 본체(112)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110)의 일 예이며, 여기서 보관 컨테이너(110)는, 컨테이너 바닥 벽(115) 및 상호 대향 측벽(116)(a 및 b) 및 상호 대향 단부벽(118)(a 및 b)을 포함하는 판금 블랭크의 딥 드로잉 프레스 작업물로 형성된다. 판금 블랭크는 펀치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 보관 컨테이너의 형상과 유사한 형성 다이 안으로 기계적으로 드로잉된다. 다른 금속 형성 공정에 비해 딥 드로잉 공정의 이점은, 새지 않는 보관 컨테이너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보관 컨테이너(110)는 0.5mm 내지 2.0mm 범위의 두께를 갖는 스테인레스강 판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 두께는 0.55mm, 0.6mm, 0.7mm, 0.8mm, 0.9mm 및 1mm일 수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금속이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 벽의 필요한 구조적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판금 블랭크의 두께는 약 2mm 이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보관 컨테이너(110)는, 보관 컨테이너가 하나의 또는 단일체 판금 블랭크를 사용하여 완전 딥 드로잉 공정으로 형성되는 예이다. 위에서 설명한 보관 컨테이너와 유사하게, 보관 컨테이너(110)의 상호 대향 측벽(116)(a 및 b) 및 단부벽(118)(a 및 b)은, 보관 컨테이너 내의 공기 흐름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슬롯 또는 개구 또는 통기 구멍(120)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슬롯(120)은 딥 드로잉 공정 전에 판금 블랭크에 절단 형성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슬롯은 딥 드로잉 공전 후에 보관 컨테이너의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단부벽에 절단 형성되거나 스탬핑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보관 컨테이너의 벽을 강화하여, 형성된 보관 컨테이너의 구조적 무결성 또는 견고성을 개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리브(122)가 보관 컨테이너기(110)의 측벽(116)(a 및 b) 및 단부벽(118)(a 및 b)에 스탬핑될 수 있다. 당업계의 보관 컨테이너와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핸들(124)이 보관 컨테이너의 측벽 및/또는 단부벽에 형성된다. 리프팅 기구의 그래버 장치가 보관 컨테이너의 테두리와 결합하여 그 보관 컨테이너를 로봇형 로드 취급 장치의 컨테이너 수용 공간 안으로 들어 올리기 위해, 그래버 장치가 테두리와 결합할 수 있게 해주는 립 또는 플랜지(126)가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다. 립 또는 플랜지(126)를 생성하기 위해,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상호 대향 단부벽의 상측 가장자리는 안쪽 및/또는 바깥쪽으로 전환되어 있거나 구부려져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특별한 예에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호 대향 단부벽의 상측 가장자리에 있는 테두리는 바깥쪽으로 전환되어 있어, 그래버 장치, 특히 그리퍼 요소가 보관 컨테이너의 테두리와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 또는 립(126)을 형성한다. 이 립 또는 플랜지(126)는 그리퍼 요소가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나타나 있지 않음)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보관 컨테이너가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서로 상하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관 컨테이너는 보관 컨테이너(110)의 코너에서 하나 이상의 정지부(128)를 포함한다. 적층체에서 위쪽에 있는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바닥 벽은 아래에 있는 보관 컨테이너의 하나 이상의 정지부에 맞대어지거나 그에 의해 지지되어,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바닥 벽이 적층체에서 아래에 있는 보관 컨테이너의 내용물을 오염시키거나 짓누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에서, 정지부(128)는, 코너로부터 금속 컨테이너 본체(112)의 내부 공간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만입부로 형성된다.
적층체에 배치될 때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도 8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딥 드로잉 보관 컨테이너에 추가의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코너 포스트(230)가 외부 또는 내부에서 보관 컨테이너(220)의 코너에 장착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 형태에서, 코너 포스트(230)가 외부에서 보관 컨테이너(220)의 각 코너에 장착된다. 보관 컨테이너의 코너에 있는 각 코너 포스트(230)는 보관 컨테이너(220)의 전체 높이 또는 깊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그래서 코너 포스트(230)가 적층체에서 위쪽에 있는 인접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전체 중량을 지탱하고 금속 컨테이너 본체(212)는 단순히 물품을 보관 컨테이너 내부에 봉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코너 포스트(230)는 적층체에 있는 인접하는 보관 컨테이너를 위한 안착 표면을 제공한다. 필요한 구조적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코너 포스트는 금속으로 주조되며, 바람직하게는 다이캐스팅된다. 코너 포스트의 두께가 판금 블랭크로 제작되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벽보다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다른 경량 재료가 코너 포스트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관 컨테이너의 재료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형성하는 금속과 그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코너에 있는 플라스틱 코너 포스트의 조합일 수 있다. 플라스틱 코너 포스트를 사용하면, 보관 컨테이너의 전체 중량을 낮게, 예컨대, 6kg 미만, 바람직하게는 5kg 미만으로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도 10(a 및 b)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3 실시 형태에서, 보관 컨테이너(310)의 딥 드로잉 금속 컨테이너 본체(312)의 상호 대향 측벽(316)(a 및 b) 및/또는 상호 대향 단부벽(318)(a 및 b) 중의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인서트 또는 벽 보강재(332)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벽 인서트(332)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312)의 상호 대향 단부벽(316)(a 및 b) 각각에 접해 배치되며 컨테이너 바닥 벽(315)으로부터 금속 컨테이너 본체(312)의 상측 가장자리에 있는 테두리(334)까지 연장된다. 적층체에서 인접하는 보관 컨테이너를 적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지지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벽 인서트(332)의 상측 가장자리는 바깥쪽으로 전환되어 있어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테두리에 립(326)을 형성한다. 바깥쪽으로 전환된 립(326)은, 그래버 장치가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테두리와 결합하고 그 보관 컨테이너를 그의 적층체로부터 들어 올릴 수 있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개구(336)를 포함한다. 벽 보강재 또는 인서트(332)는 판으로 주조, 바람직하게 다이캐스팅되어, 적층체에 있는 인접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중량을 지탱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적 무결성을 보관 컨테이너(310)의 벽에 제공할 수 있다. 금속, 예를 들어. 강 또는 알루미늄이 벽 보강재(332)를 주조하는 데에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구조적 일체형 재료도 벽 보강재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벽 보강재(332)는 보관 컨테이너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관 컨테이너(310)의 테두리 또는 입구부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338)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즉, 벽 보강재에 있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338)는, 적층체에서 위쪽에 있는 인접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바닥 벽과 상호 협력하는 지지 표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정지부를 제공한다. 벽 보강재(332)의 하측 가장자리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312)의 컨테이너 바닥 벽(315)에 맞대어 있거나, 바닥 컨테이너 벽(315)의 슬롯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탭(340)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312)의 벽, 즉 상호 대향 측벽(316)(a 및 b) 및 상호 대향 단부벽(318)(a 및 b)은 컨테이너 바닥 벽(315)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그래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312)는 테이퍼져 있다. 테이퍼형 본체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가 다른 금속 컨테이너 본체 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가 서로의 내부에 깔끔하게 적층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더 작은 보관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사용시에, 벽 보강재(332)는 하나 이상의 보관 컨테이너가 서로의 위에 지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해 금속 컨테이너 본체(312)의 측벽(316)(a 및 b) 및/또는 단부벽(318)(a 및 b) 중의 하나 이상에 대해 삽입될 수 있다. 이동 중에, 벽 보강재(332)는 복수의 금속 컨테이너 본체(312)가 깔끔하게 함께 적층될 수 있도록 별개로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및 제 3 실시 형태의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완전 딥 드로잉 판금 블랭크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금속 컨테이너 본체 전체는 단일체 판금 블랭크로부터 딥드로잉될 수 있다. 형성된 딥드로잉 구조는 페틀링(fettling)되거나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페틀링의 예는 딥드로잉 구조의 가장자리를 절단 및/또는 줄질(filing)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완전 딥드로잉 공정은, 보관 컨테이너는 운반 중에 보관 공간의 상대적으로 큰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제품의 부피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전형적인 보관 시스템에는 수천 개의 보관 컨테이너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부피가 큰 제품을 운반하고 보관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운반 중에 또는 사용을 위해 보관될 때 부피가 큰 제품을 나타내지 않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가 필요하다. 도 8 내지 10(a 및 b)를 참조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완전 딥드로잉 공정에 의해 보관 컨테이너의 금속 본체를 형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도 11(a 및 b) 내지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접을 수 있는 측벽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블랭크를 세우는 것과 딥 드로잉 공정을 결합한 2-단계 형성 공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1(a 및 b) 내지 20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하측 부분(달리 기부 부분으로 알려져 있음) 및 상측 부분을 포함한다. 하측 부분과 기부 부분이라는 용어는 본 특허 출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하측 부분은, 얕은 기부 또는 트레이를 형성하는 컨테이너 바닥 벽 및 상호 대향 측벽과 단부벽을 포함하는 딥드로잉 기부를 포함한다. 하측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딥드로잉 공정에 의해,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기부 부분은 새지 않게 될 수 있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측 부분은, 그 상측 부분이 접힌 판금 블랭크로부터 세워질 수 있거나 피봇식으로 함께 연결되는 판으로 주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접힘 가능하다. 시트(948) 금속 블랭크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측벽 및 단부벽을 규정하기 위해 판금 블랭크의 접힘을 돕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접는 선을 포함할 수 있다. 2-단계 형성 공정으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형성하는 것의 이점은, 운반을 위해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을 포함하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보관은 보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수의 기부가 운반을 위해 함께 적층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수의 판금 블랭크 또는 판이 편평하게 함께 포장된 다음에 사용지점에서 세워질 수 있다.
도 11(a 및 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2-단계 형성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금속 컨테이너 본체(412)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이다. 도 11a는 두 부분, 즉 하측 부분(444)과 상측 부분(442)으로 형성된 금속 컨테이너(410)를 나타내고, 도 11b는 서로 별개인 부분(444, 442)이 함께 모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금속 컨테이너 본체(412)의 박스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는데, 즉 하측 부분(444)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기부 부분을 형성하고 상측 부분(442)은 그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측 부분을 형성한다. 하측 부분(444)은, 컨테이너 바닥 벽(415)과 상향 기립 상호 대향 기부 측벽(446)(a 및 b) 및 단부벽(448)(a 및 b)을 포함하는 얕은 기부 또는 트레이(444)를 형성하기 위해 판금 블랭크를 딥 드로잉하거나 스탬핑하여 형성된다. 상측 부분(442)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412)의 상호 대향 상측 측벽(452)(a 및 b) 및 단부 벽(454)(a 및 b)을 형성하도록 접혀지는 2개의 별개의 판금 블랭크(450)(a 및 b)로 형성된다. 제 1 판금 블랭크(450a)는 접혀서 금속 컨네이너 본체의 하나의 상측 단부벽(454a)과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한쌍의 상호 대향 상측 측벽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제 2 판금 블랭크(450b)는 접혀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다른 상측 단부벽(454b)과 금속 본체의 한쌍의 상호 대향 상측 측벽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상호 대향 상측 측벽 부분은 활(living) 힌지(460) 또는 다른 적절한 피봇 가능한 연결부에 의해 제 1 및 제 2 판금 블랭크(450)(a 및 b)의 각각의 상측 단부벽(454)(a 및 b)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제 1 및 제 2 판금 블랭크(450)(a 및 b)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측 측벽 및 단부벽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판금 블랭크의 접힘을 보조하는 하나 이상의 접는 선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판금 블랭크는 접혀서 2개의 각각의 C-형 접힘부를 형성하며, 그래서 도 1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세워지고 조립되거나 함께 모아지면 각각의 제 1 판금 블랭크(450a) 및 제 2 판금 블랭크(450b)로부터의 상호 대향 상측 측벽 부분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직 평면에 있다. 다시 말해, C-형 접힘부는 함께 모여,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측 부분을 형성하는 관형 구조를 형성한다. 이 관형 구조는 하측 또는 기부형 부분(444)에 제공되며, 여기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412)의 하측 부분(444)의 얕은 기부 내에 삽입되어, 도 1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개방 단부 또는 입구부를 갖는 박스형 구조를 형성한다. 함께 조립되면, 금속 컨테이너 본체(412)의 상호 대향 측벽(416)(a 및 b)은 상측 측벽 부분과 하측 측벽 부분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금속 컨테이너 본체(412)의 상호 대향 단부벽(418)(a 및 b)은 상측 단부벽 부분 및 하측 단부벽 부분을 포함한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얕은 부분의 상호 대향 측벽(446)(a 및 b) 및 단부벽(448)(a 및 b)은 각각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하측 측벽 부분 및 하측 단부벽 부분을 형성한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412)의 상측 부분의 상호 대향 측벽 및 단부벽은 금속 본체의 상측 측벽 부분 및 상측 단부벽 부분을 형성한다. 딥드로잉된 얕은 기부와 C-형 접힘부의 조합에 의해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운반의 용이를 위해 접힐 수 있다. 판금 블랭크를 포함하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접을 수 있는 부분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내부 공간 내에서 유체(예컨대, 공기)의 순환을 보조하기 위해 판금 블랭크에 스탬핑되는 복수의 통기 구멍(462)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하측 부분 및/또는 상측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판금 블랭크의 두께는 0.5mm 내지 1mm 일 수 있고, 스테인레스강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제조에는 알루미늄과 같은 다른 금속도 사용될 수 있다. 하측 부분의 상호 대향 측벽 및 단부벽은, 얕은 기부(444)의 벽(446(a 및 b), 448(a 및 b))이 약간 테이퍼지도록, 컨테이너 바닥 벽(415)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로써, 다수의 얕은 기부 또는 트레이(444)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리하게 함께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도 11(a 및 b)에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412)의 코너에 하나 이상의 정지부(464)가 나타나 있는데, 이 정지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수직으로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가 서로 상하로 적층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코너에 있는 정지부(464)는, 적층체에서 위쪽에 있는 인접한 보관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바닥 벽이 아래쪽 보관 컨테이너의 내용물을 짓누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테이너 바닥 벽(415)의 위쪽에서 이격되어 있다. 도 11(a 및 b)에 나타나 있는 특정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정지부(464)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코너에서 함몰부를 스탬핑하여 형성되지만, 정지부를 형성하는 다른 수단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테두리에 있는 상호 대향 벽 중 적어도 하나의 정상 가장자리는, 로드 취급 장치의 그래버 장치가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여 적층체로부터 픽킹하기 위한 립(466)을 형성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전향되어 있다.
도 11(a 및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얕은 기부 안으로 C-형 접힘부를 삽입함으로써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측 부분이 하측 부분의 얕은 기부에 의해 지지되는 대신에, 도 12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5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측벽 부분(570)(a 및 b) 및 단부벽 부분(572)(a 및 b)은 예컨대 리벳팅 또는 용접에 의해 얕은 기부의 각각의 하측 측벽 부분(또는 상향 기립 기부 측벽)(546)(a 및 b) 및 단부벽 부분(또는 상향 기립 단부벽 부분)(548)(a 및 b)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박스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형 접힘부의 단부는 함께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측 부분을 형성하고, 이는 다시 금속 컨테이너 본체(512)의 하측 부분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C-형 접힘부의 단부들은 한 단부를 다른 단부에 겹쳐 함께 연결된다. 단부들은 예컨대 단부를 함께 용접하거나 리벳팅하여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도 11(a 및 b) 및 12에 나타나 있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실시 형태에 대한 대안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612)의 상측 부분에 있는 측벽(670)(a 및 b)과 단부벽(672)(a 및 b)이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674, 676)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도 13(a 및 b)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이다. 도 11(a 및 b) 및 12에 나타나 있는 다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측 부분은 접힌 판금 블랭크로부터 세워진다는 점에서 접을 수 있다. 2개의 판금 블랭크(650)(a 및 b)가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 두 판금 블랭크(650)(a 및 b) 각각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612)의 각각의 측벽과 단부벽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측벽(670)(a 및 b) 및 단부벽(672)(a 및 b)을 규정하기 위해 접힐 수 있다. 다시 말해, 두 판금 블랭크(650)(a 및 b) 각각은 실질적으로 L-형 구조를 규정하기 위해 접힐 수 있다. 두 L-형 구조는 함께 모여, 하측 부분의 얕은 기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관형 구조를 생성한다.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676)가 사용되어, 접힌 판금 블랭크(650)(a 및 b)를 얕은 기부의 벽(646(a 및 b), 648(a 및 b)) 내에 함께 고정시킨다. 도 13a에 나타나 있는 특정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는, 접힌 판금 블랭크를 함께 고정하기 위해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호 대향 단부에 있는 C-형 채널 관(676)을 포함한다. 도 1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조립 동안에, 접힌 판금 블랭크(650)(a 및 b)는 C-형 채널 관(676) 내에 수용된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612)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612)의 테두리를 규정하기 위해 접힌 판금 블랭크(650)(a 및 b)의 상측 가장자리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별개의 테두리 부분(674)을 포함한다. 이 별개의 테두리 부분은, 접힌 판금 블랭크를 함께 고정하고 또한 로드 취급 장치의 그래버 장치가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테두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표면을 제공하는 이중의 목적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674, 676)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주조될 수 있다. 상측 부분은, 피봇 가능하게 함께 연결되는 접힘 가능한 판금 블랭크로 형성되기보다는 주조 금속 판일 수 있다.
도 11(a 및 b), 도 12 및 도 13(a 및 b)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상측 측벽 부분은 예컨대 활 힌지에 의해 각각의 단부벽 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단부벽 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측벽 부분을 포함하는 판금 블랭크를 갖는 대신에, 금속 컨테이너 본체(712)의 상호 대향 측벽(770)(a 및 b)과 단부벽(772)(a 및 b)은 함께 조립되는 별개의 부분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a 및 b)에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7 실시 형태에서, 상측 부분의 벽(770(a 및 b), 772(a 및 b))은 예컨대 스탬핑에 의해 별개의 부분들로 형성되고 이어서 함께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상측 측벽 부분과 상측 단부벽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상측 부분의 별개의 벽 부분들의 연결은 스냅 끼워맞춤 조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부분의 별개의 부분들은 또한 하측 부분의 하측 상호 대향 측벽 부분(746)(a 및 b) 및 하측 단부벽 부분(748)(a 및 b)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도 14a에 나타나 있는 같은 접힌 또는 분해된 상태에서는, 상측 부분의 별개의 부분들은 접힌 상태에서 하측 부분의 얕은 기부(744) 내에 편리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그래서 보관 컨테이너는 운반을 위해 더 적은 보관 공간을 차지한다. 별개의 상측 측벽 부분(770)(a 및 b) 및 단부벽 부분(772)(a 및 b)은 판금 블랭크로부터 스탬핑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0.5mm 내지 1mm의 두께를 갖는다. 도 11(a 및 b) 내지 13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측 부분은 딥 드로잉 공정에 의해 형성되거나 판금 블랭크로부터 스탬핑된다. 사용 지점에서, 상측 부분의 별개의 측벽 부분(770)(a 및 b)과 단부벽 부분(772)(a 및 b)은 예컨대 스냅 끼워맞춤 조인트에 의해 하측 부분에 연결되어, 도 1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박스형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얕은 기부의 상측 가장자리는, 상측 측벽 부분 및 단부벽 부분의 대응하는 결합 부분과 스냅 끼워맞춤되는 결합 부분(750)을 포함한다. 도 14(a 및 b)에 나타나 있는 특정 실시 형태에서, 그 결합 부분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하측 및 상측 부분의 측벽 부분 및 단부벽 부분 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측 부분의 상측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전환되어, 로드 취급 장치의 그래버 장치와 결합하기 위해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테두리에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 또는 개구를 갖는 립(766)을 형성한다. 사용시에, 측벽 부분(770)(a 및 b)과 단부벽 부분(772)(a 및 b)을 포함하는 별개의 벽들은 얕은 기부(744)의 벽에 개별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그래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호 대향 측벽 각각은 하측 측벽 부분 및 상측 측벽 부분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호 대향 단부벽 각각은 하측 단부벽 부분 및 상측 단부벽 부분을 포함한다.
도 14c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형태의 다른 예시적인 변형예에서, 별개의 상측 측벽 부분(771)(a 및 b) 및 상측 단부벽 부분(773)(a 및 b)은, 얕은 기부(744)로부터의 금속 컨테이너 본체(711)의 신속한 조립 및 분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해제 가능한 랫치 기구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상측 부분의 별개의 부분들은 하측 부분(744)의 하측 상호 대향 측벽 부분(747)(a 및 b) 및 하측 단부벽 부분(749)(a 및 b)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도 14c에 나타나 있고 또한 도 14d에 더 명확하게 나타나 있는 특정 실시 형태에서, 상측 측벽 부분(771)(a 및 b) 및 상측 단부벽 부분(773)(a 및 b)은, 상측 측벽 부분과 상측 단부벽 부분의 각각의 원위 또는 상호 대향 단부에 있는 훅크와 토글 랫치(760)의 상호 협력에 의해 함께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측벽 부분(771)(a 및 b)의 상호 대향 단부들은, 상측 단부벽 부분(773)(a 및 b)의 상호 대향 단부들에 있는 훅크와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토글 랫치(760)를 포함한다. 2개의 토글 랫치(760)가 상측 측벽 부분(771)(a 및 b)의 상호 대향 단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조립은, 상측 측벽 부분과 단부벽 부분의 단부를 함께 제공하고 그것들을 토글 랫치로 함께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측 측벽 부분의 상호 대향 단부에 있는 2개의 토글 랫치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개수의 토글 랫치가 상측 측벽 부분의 상호 대향 단부에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토글 랫치는 반드시 상측 측벽 부분의 상호 대향 단부에 있을 필요는 없고, 상측 단부벽 부분의 상호 대향 단부에 있을 수 있다. 해제 가능한 랫치의 이점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711)의 신속한 조립 및 분해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개별 벽 부분(771(a 및 b), 773(a 및 b))은 판금 블랭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금속판 판으로서 스탬핑되거나 주조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d)에 나타나 있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다른 예에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별개의 벽 부분은 보관 또는 이동을 위해 적층될 수 있다. 도 14e에 나타나 있는 특정 실시 형태에서, 다수의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별개의 부분들은 편리하게 적층될 수 있으며(780) 그래서 조립된 상태에 있는 것에 비해 보관 공간을 덜 차지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사용 지점에서 함께 조립되는 별개의 부분들을 가짐으로써, 그 별개의 부분들 중의 어떤 것이라도 손상된다면 쉽게 교체 도는 교환될 수 있는데, 즉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별개의 부분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e)에 나타나 있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다른 변형예에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790)는, 별개의 상호 대향 측벽 및 단부벽과 조합되는 딥드로잉 공정을 포함하는 2-단계 형성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도 14(a 내지 e)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상측 부분의 벽은 예컨대 스탬핑에 의해 별개의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이어서 함께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상측 측벽 부분(794) 및 상측 단부벽 부분(795)을 형성한다. 도 14(a 내지 e)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별개의 상호 대향 측벽(794) 및 상호 대향 단부벽(795)은, 함께 조립될 때 금속 컨테이너 본체(790)의 비틀림을 완화하도록 보강되어 있다. 도 13(a 및 b)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별개의 테두리 부분(798, 799)이 상측 측벽 부분(794) 및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상측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금속 컨테이너 본체(790)의 테두리를 규정한다. 그러나, 도 13(a 및 b)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와는 달리, 상측 측벽 부분(794) 및 상측 단부벽 부분(795) 각각에 별개의 테두리 부분(798, 799)이 장착된다. 테두리 부분(798, 799)은 로드 취급 장치의 그래버 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구멍(810, 811)을 포함한다. 테두리 부분(798, 799)의 프로파일은 상측 측벽 부분(794) 및/또는 단부벽 부분(795)과 상호 협력하여 기다란 중공 부분(802, 805)을 형성한다. 그 기다란 중공 부분(802, 805)은 테두리 부분에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구멍(810) 아래에 위치되며, 기다란 중공 부분은 테두리 부분(798, 799)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그래버 장치의 그리퍼 요소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 그리고 도 15(c 및 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금속 컨테이너 본체(790)의 상측 측벽 부분(794) 및 단부벽 부분(795)은 단일 스킨 또는 시트의 금속 블랭크로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판금 블랭크를 스탬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부분(798, 799)은 동등하게 단일 스킨 또는 시트의 판금 블랭크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부분(798, 799)의 상측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전환되어, 로드 취급 장치의 그래버 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 또는 개구(810, 811)를 갖는 립(815, 816)을 형성한다. 테두리 부분(798, 799)의 기다란 중공 부분(802, 805)은 립(815, 816) 아래에 위치된다. 도 15(c 및 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함몰부 또는 곡부(803, 804)가 상측 측벽 부분(794)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도 5 및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그래버 장치의 그리퍼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부를 규정하기 위해 테두리 부분이 상측 측벽 부분(794)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795)에 장착될 때 그 함몰부 또는 곡부는 테두리 부분(798, 799)에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 또는 개구(810, 811)와 상호 협력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함몰부 또는 곡부(803, 804)는 상측 측벽 부분(794)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돌출부(800, 801) 사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측벽 부분(794)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상측 가장자리의 함몰부 또는 곡부(803, 804) 및 한 쌍의 돌출부(800, 801)는, 도 1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테두리 부분(794, 795)의 기다란 중공 부분(802, 805) 내에 끼워지도록 설계된다. 또한, 테두리 부분(798, 799)은 상측 측벽 부분(794)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외부에 클립되거나 스냅 끼워 맞춤되도록 구성된다. 도 15(c 및 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측벽 부분(794)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790)의 각 코너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2개의 함몰부 또는 곡부(803, 804) 및 두 쌍의 돌출부(800, 801)가 있다. 유사하게, 도 15(c 및 d)에 나타나 있는 테두리 부분(798, 799)에 위치되는 2개의 구멍 또는 개구(810, 811)가 있으며, 이는 금속 컨테이너(790)의 각 코너에 인접하여 그리고 상측 측벽 부분(794)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795)에 있는 2개의 함몰부 또는 곡부(803, 804)와 수직으로 정렬되어 위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상측 측벽 부분(794)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길이를 가로질러, 특히 그리퍼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영역 주위에서 테두리 부분(798, 799)과 상측 측벽 부분(794)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795) 사이에 양호한 연결이 보장된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박스형 구조의 구조적 무결성을 개선하고 상측 측벽 부분과 단부벽 부분이 함께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플랜지(806, 807)가 상측 측벽 부분(794) 및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상호 대향 단부들에 형성된다. 박스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측 측벽 부분 및 상측 단부벽 부분이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하측 부분(791)과 함께 모아질 때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플랜지(807)는 상측 측벽 부분(794)의 인접하는 플랜지(806) 위에 겹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플랜지(807)는 상측 측벽부(794)의 인접하는 플랜지(806) 위에 겹치도록 구성된다. 이는 도 15e에 나타나 있다. 인접하는 상측 측벽 부분 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의 플랜지 각각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코너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그 코너를 강화시킨다.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체결구가 사용되어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코너에서 상측 측벽 부분(794) 및 단부벽 부분(795)을 그의 각각의 플랜지를 사용하여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용접, 예컨대, 점용접, 리벳팅 및/또는 접착제의 사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에서, 상측 측벽 부분(794) 및 단부벽 부분(795)의 플랜지(806, 807)는 기계적 클린칭(clinching)이라 불리는 공정에 의해 함께 고정되거나 연결된다. 클린칭은 리벳팅과 유사하지만, 별개의 리벳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판금 층들 사이의 물리적 인터로크를 생성하기 위해 특수한 펀치 및 다이를 사용하여 금속 시트를 소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박스형 구조의 구조적 무결성을 더 개선하기 위해, 상측 단부벽 부분(795)에 장착된 테두리 부분(798)은 또한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각 플랜지(807) 위에 겹치는 테두리 플랜지(812)를 각 코너에서 포함한다.
그래버 장치의 그리퍼 요소가 보관 컨테이너의 테두리 부분에 있는 구멍 또는 개구(810, 811)와 적절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이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박스형 구조의 각 코너에서 가이드(796)를 포함하며, 이 가이드는, 그래버 장치의 안내 핀 또는 위치 지정 핀을 수용하기 위해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스형 구조의 높이를 따라 연장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796)는 그리퍼 요소(62)를 보관 컨테이너의 테두리 부분(798, 799)에 있는 개구(810, 811)와 적절하게 정렬시키기 위해 그래버 장치의 안내 핀 또는 위치 지정 핀과 상호 협력하도록 성형된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코너에 있는 가이드(796)는 상측 측벽 부분(794) 및/또는 단부벽 부분( 795)의 플랜지(807)에 있는 기다란 수직 함몰부에 의해 형성된다. 기다란 수직 함몰부(796)는 상측 측벽 부분(794)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판금에 있는 하나 이상의 곡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에서, 기다란 수직 함몰부(796)는 도 15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플랜지(807)에 형성된다. 대응하는 기다란 함몰부(813)가 상측 단부벽 부분(795)에 장착된 테두리 부분(798)에 형성되고, 이는 도 15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플랜지(807)에 형성된 기다란 수직 함몰부(796)와 상호 협력하도록 성형된다.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플랜지(807)에 있는 기다란 수직 함몰부(796)는, 도 15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측벽 부분(794)과 상측 단부벽 부분(795)이 함께 모아질 때 금속 컨테이너 본체(790)의 박스형 구조의 코너에서 상측 측벽 부분(794)의 플랜지(806) 위에 겹치도록 구성된다. 상측 측벽 부분(794)과 상측 단부벽 부분(795)의 겹치는 플랜지(806, 807)는 테두리 부분(798)의 플랜지(812)에 있는 겹치는 기다란 수직 함몰부(813)와 함께, 3개의 겹치는 층을 갖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790)의 코너를 제공한다. 이로써, 특히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가 보관 컨테이너의 적층체에 배치될 때, 위에 배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보관 컨테이너로부터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금속 컨테이너 본체(790)의 코너가 강화된다. 따라서, 도 15e에 나타나 있는 3-부분 코너 구조로부터 금속 보관 컨테이너(790)의 코너를 통해 강성이 존재한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코너 부분에 있는 테두리 부분의 가장자리(797)는 상측 측벽 부분의 플랜지(806) 주위를 감싸도록 프로파일링되어 있어, 상측 측벽 부분에 대한 테두리 부분의 연결을 개선한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금속 컨테이너의 제 9 실시 형태에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818)는 딥드로잉된 기부 부분(820), 상측 측벽 부분(822) 및 상측 단부벽 부분(824)을 포함한다. 각각의 상측 측벽 부분(822) 및 상측 단부벽 부분(824) 상에는 테두리 부분(823, 825)이 장착된다. 딥드로잉된 기부 부분(820)은, 가부 부분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또한 운반 시스템에서 아래에 있는 롤러에 대한 그립을 증가시키기 위해 컨테이너 바닥 벽 내에 엠보싱된 패턴을 포함한다. 도 16에서, 엠보싱된 표면은 육각형 패턴을 포함하지만, 도 1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정사각형 패턴과 같은 임의의 종류의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나 있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와 대조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 상측 단부벽 부분(824)에 장착된 테두리 부분(825)의 플랜지(821)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818)의 코너의 정상부로부터 딥드로잉된 기부 부분(820)까지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는 테두리 부분(825)의 플랜지(821)와 상측 단부벽 부분(824)의 플랜지(827) 모두가 금속 컨테이너 본체(818)의 코너의 전체 수직 길이를 따라 증가된 강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6은 또한 금속 컨테이너는 상측 측벽 부분(822) 각각에 있는 절개부(819)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절개부(819)는 증가된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테두리 부분(823)에 의해 둘러싸이고 강화되며, 테두리 부분(823)은, 이 테두리 부분(823)이 그 절개부(819)의 높이보다 더 큰 수직 높이를 갖도록, 절개부(819)의 양측에서 아래로 연장된다. 상측 측벽 부분(822) 각각에서 절개부(819)를 가짐으로써, 금속 컨테이너 본체(818)는 배달 토트를 유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금속 컨테이너는 또한 딥드로잉된 기부 부분(820)의 코너에 끼워지는 코너 편(piece) 또는 발부(826)를 포함한다. 그 코너 편(826)은 배달 토트 기계에 적합한 높이에서 배달 토트가 금속 컨테이너 본체(818) 내에 안착될 수 있게 해준다.
4개의 테두리 부분을 포함하는 도 15 및 16에 나타나 있는 금속 보관 컨테이너와 대조적으로, 도 17에 나타나 있는 금속 보관 컨테이너(828)는 2개의 테두리 부분(834)을 포함하고 이들 테두리 부분은 각 상측 단부벽 부분(836)에 장착된다. 테두리 부분(834)은 도 17c에 더 자세히 나타나 있으며, 기다란 중심 부분(837)과 이 기다란 중심 부분의 양쪽에 있는 2개의 함몰부(838)를 포함한다. 2개의 함몰부(838)는 그리퍼 장치가 금속 보관 컨테이너(828)와 결합하는 것을 허용한다. 테두리 부분(834)은 돌출 립(849) 내로 연장되며, 그래서, 테두리 부분(834)이 상측 단부벽 부분(836)에 장착될 때 돌출 립(839)은 적층체에서 위쪽에 있는 인접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기부 부분(830)의 컨테이너 바닥 벽을 지지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인접하는 보관 컨테이너는 또한 상측 단부벽 부분의 상측 가장자리에 있는 정상 가장자리 리턴(831)에 의해 지지되며, 이는 짧게 논의될 것이다. 테두리 부분(834)은 도 17c에서 하나의 구성 요소로서 나타나 있지만, 기다란 중심 부분(837)의 중간에서 결합되고 함께 점용접되는 2개의 구성 요소로서 동등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테두리 부분(834)은 상측 단부벽 부분(836)의 상측 가장자리에 있는 정상 가장자리 리턴(831) 상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정상 가장자리 리턴(831)은 대략 20mm의 폭을 가지며, 테두리 부분(834)의 기다란 중심 부분(837)과 결합하고 그리퍼 장치가 테두리 부분(834)의 함몰부(838)를 통해 금속 보관 본체(828)와 결합하도록 접근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테두리 부분(834)은 점용접을 사용하여 정상 가장자리 리턴(831) 상에 끼워지고 고정된다. 점용접은 금속 보관 본체의 다른 부분들을 함께 고정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예를 들어, 도 1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단부벽 부분(836)은 3개의 점용접부(833)에 의해 기부 부분(830)에 부착되고, 상측 측벽 부분(832)은 4개의 점용접부에 의해 기부 부분(830)에 부착되지만, 상측 측벽 및/또는 단부벽은 임의의 수의 점용접부, 예컨대, 2, 5, 6, 7, 8 또는 9개의 점용접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 단부벽 부분(836) 및 상측 측벽 부분(832)은 기부 부분의 상향 기립 기부 측벽 부분 및 단부벽 부분에 부착된다.
상측 측벽 부분(832) 및 상측 단부벽 부분(836)은 금속을 성형하여 형성되는 리브 또는 비크(beak)(835)를 포함한다. 리브 또는 비크(835)는 상측 측벽 부분(832) 및 단부벽 부분(836)의 기부 근처에 위치된다. 리브 또는 비크(835)는 상측 단부벽 및 측벽 부분(832, 836)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도 1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브 또는 비크(835)는 상측 측벽 부분(832) 및 상측 단부벽 부분(835)의 길이를 따라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리브 또는 비크(835)는 박스형 구조로 조립될 때 상측 측벽 부분(832)과 단부벽 부분(836)의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도 1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단부벽 부분(836)에 3개의 리브 또는 비크(835)가 위치되며, 상측 측벽 부분(832)에는 7개의 리브 또는 비크가 위치된다. 상측 측벽 부분(832) 및 상측 단부벽 부분(836)에는 임의의 수의 리브 또는 비크, 예컨대 각 상측 측벽 부분(832) 및/또는 단부벽 부분(836)에 4, 5, 6, 8 또는 9개의 리브 또는 비크가 있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828)의 각 상측 측벽 부분(832)과 상측 단부벽 부분(836)은 각 코너에서 플랜지(840a, 840b)를 포함한다. 도 17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측벽 부분(832) 및 상측 단부벽 부분(836)이 기부 부분(830) 내에 위치되어 박스형 구조(828)를 형성할 때 각 플랜지(840a, 840b)는 다른 인접하는 플랜지 위에 또는 아래에 겹치게 된다. 도 17d는 상측 단부벽 부분(836)의 플랜지(840a) 내부에 위치되는 상측 측벽 부분(832)의 플랜지(840b)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하나의 플랜지가 다른 플랜지 위에 겹치는 이러한 구조는 코너를 강화하여 더 큰 수직 구조적 강성을 제공한다. 도 15e에 나타나 있는 코너와 대조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코너는 3개가 아닌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이는 도 15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비해 비용 이점을 제공한다. 상측 측벽 부분(832) 및 상측 단부벽 부분(836)은, 도 17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측벽(832) 또는 상측 단부벽(836)을 기부 측벽 또는 단부벽(841) 내에 배치하고 두 각각의 벽을 함께 점용접하여 기부 부분(830)에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금속 보관 컨테이너(828)는 상측 측벽 부분 또는 단부벽 부분의 하나 이상의 플랜지에서 구멍을 포함한다. 도 1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단부벽 부분(836)의 각 플랜지(840a)에 구멍(839)이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측 측벽 부분(832)의 각 플랜지(840b)에도 하나 이상의 구멍이 위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멍(839)은, 금속 보관 컨테이너(828)가 필요한 경우 동일한 위치에 정확하고 반복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 설정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배달 토트 기계에서 컨테이너의 위치 및 정렬을 확인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위해 금속 보관 컨테이너의 외부에 위치되는 바코드(나타나 있지 않음)를 사용한다. 이는 도 16의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코너 편 또는 발부의 사용에 대한 대안이다.
도 18에 나타나 있는 금속 보관 컨테이너(842)의 제 11 실시 형태는 도 17의 실시 형태와 유사하다. 그러나 도 18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는 각 상측 측벽 부분(845)에 위치되는 오목부(843)를 더 포함한다. 이 오목부스(843)는 C-형이고, 정렬 도구가 오목부(843)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그래서 예를 들어 배달 토트 기계에서 금속 보관 컨테이너의 정확한 정렬을 보장한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제 11 실시 형태의 금속 보관 컨테이너(842)는 각각의 상측 측벽 부분(845)에서 절개부(847)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측 측벽 부분(845)에서 절개부(847)를 가짐으로써, 금속 컨테이너 본체(842)는 배달 토트를 유지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4 내지 18은 기부 부분과는 별개인 상측 측벽 부분 및 단부벽 부분을 갖는 금속 보관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860)의 상측 측벽 부분(870)(a 및 b) 및 단부벽 부분(872)(a 및 b)은, 도 19(a 및 b)에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2 실시 형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힌지(880), 예컨대 활 힌지에 의해 중공 기부 또는 트레이(844)의 대응하는 하측 측벽 부분(846)(a 및 b) 및 단부벽 부분(848)(a 및 b)에 피봇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사용 지점에서, 상측 측벽 부분(870)(a 및 b)과 단부벽 부분(872)(a 및 b)은 도 1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피봇 가능한 연결부(880)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그래서 상측 측벽 부분(870)(a 및 b)과 단부벽 부분(872)(a 및 b)의 인접하는 단부들이 결합하여 박스형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측 측벽 부분(870)(a 및 b)과 단부벽 부분(872)(a 및 b)의 인접하는 단부들 사이의 이음은 스냅 끼워맞춤 조인트, 용접, 리벳팅 또는 심지어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테두리에 있는 측벽과 단부벽의 상측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전환되어 있어, 그래버 장치와의 해제 가능한 결합을 위한 립 또는 플랜지(866)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상측 측벽 부분(970)(a 및 b)과 단부벽 부분(972)(a 및 b)의 상호 대향 단부들은, 도 20(a 및 b)에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3 실시 형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코너 포스트(930)에 의해 금속 컨테이너 본체(912)의 코너에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주조될 수 있는 코너 포스트(930)는, 그리드 프레임워크 구조물에 있는 다른 보관 컨테이너와 함께 적층될 때 금속 컨테이너 본체(912)의 벽이 좌굴되지 않도록 구조적 무결성을 제공한다. 도 2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조립 상태에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912)의 측벽은 하측 측벽 부분(946)(a 및 b)과 상측 측벽 부분(970)(a 및 b)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금속 컨테이너 본체(912)의 단부벽은 하측 단부벽 부분(948)(a 및 b)과 상측 단부벽 부분(972)(a 및 b)을 포함한다.
도 14(a 및 b) 내지 도 20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얕은 기부의 기부 측벽 부분과 기부 단부벽 부분은 컨테이너 바닥 벽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그래서 다수의 금속 컨테이너 본체가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운반의 용이를 위해 서로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도 19 및 20에 나타나 있는 제 12 및 제 13 실시 형태에서 상측 측벽 부분과 상측 단부벽 부분을 얕은 기부의 각각의 하측 측벽 부분 및 하측 단부벽 부분에 피봇식으로 부착함으로써,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부분이 이동 중에 분실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사용 지점에서 금속 컨테이너의 쉬운 조립이 가능하다.
딥드로잉된 기부 및 하나 이상의 접힌 판금 블랭크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형성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도 22 및 23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제 14 및 제 15 실시 형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기부 및 상측 부분은 하나 이상의 패턴화된 판금 블랭크로 형성될 수 있다. 식료품의 보관을 위해, 하나 이상의 플랜지가 판금 블랭크의 가장자리에서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있으며, 그래서, 플랜지는, 세워지면, 측벽과 단부벽을 함께 직립 위치로 유지시키고 또한 유체가 금속 컨테이너 본체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인접하는 측벽과 단부벽 사이의 이음부를 밀봉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대안적으로 또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인접하는 벽들(측벽과 단부벽) 사이의 이음부에서 플랜지를 제공하는 것과 함께, 금속 컨테이너 본체 내의 내부 공간은 보관 컨테이너의 내용물로부터 빠져나가는 누출물을 담기 위한 중합체 라이너 또는 내부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a 및 b)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4 실시 형태에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1012)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1012)의 컨테이너 바닥 벽(1015), 측벽(1016)(a 및 b) 및 단부벽(1018)(a 및 b)을 형성하도록 세워지는 2개의 판금 블랭크(1050)(a 및 b)로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판금 블랭크(1050)(a 및 b)로부터 금속 컨테이너 본체(1012)를 세우면, 금속 컨테이너 본체가 운반 및 보관의 용이를 위해 편평하게 포장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도 22a에 나타나 있는 특정 실시 형태에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1012)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1012)의 컨테이너 바닥 벽(1015) 및 상호 대향 측벽(1016)(a 및 b)을 형성하는 주 섹션(1050a), 및 금속 컨테이너 본체(1012)의 단부벽(1018)(a 및 b)을 형성하는 별개의 단부 판(1050b)으로 형성된다. 판금 블랭크의 주 섹션(1050a)은 주 섹션(1050a)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이어지는 접는 선(1052)(점선으로 나타나 있음)을 포함한다. 사용 지점에서, 판금 블랭크의 주 섹션(1050a)은 접는 선(1052)을 따라 접혀서, 상호 대향 개방 단부를 갖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1012)의 컨테이너 바닥 벽(1015) 및 상호 대향 측벽(1016)(a 및 b)을 생성하는데, 즉 상호 대향 측벽들이 컨테이너 바닥 벽에 실질적으로 직각이 되도록 접힌다. 그런 다음에 단부 판(1050b)이 사용되어 상호 대향 개방 단부를 덮어, 도 2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박스형 구조를 형성한다. 주 섹션(1050a) 및/또는 단부 판(1050b)의 가장자리 또는 원위 단부가 접혀서, 단부 판(1050b)을 판금 블랭크의 접힌 주 섹션(1050a)에 고정하기 위한, 즉 단부 판(1050b)을 측벽(1016)(a 및 b)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1054)를 생성한다. 도 22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에서, 판금 블랭크의 주 섹션의 상호 대향 가장자리들은 플랜지(1054)를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단부 판(1050b)을 판금 블랭크(1050a)의 플랜지(1054)에 고정하는 것은 용접, 접착제의 사용 또는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2b에 나타나 있는 특정 실시 형태에서, 단부 판(1050b)은 리벳팅에 의해 판금 블랭크(1050a)의 플랜지(1054)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주 섹션(1050a) 및/또는 단부 판(1050b)은, 통기 구멍(1020) 및/또는 핸들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판금 블랭크(1050a) 또는 단부 판(1050b)에 스탬핑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기 구멍(1020)을 포함할 수 있다. 판금 블랭크의 주 섹션 및 단부 판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또는 단부는, 도 2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조립된 박스형 구조의 주변부 주위의 테두리에 립(1064)을 생성하기 위해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테두리에 있는 립(1064)은 로드 취급 장치의 그래버 장치가 적층체로부터 보관 컨테이너를 들어 올릴 때 금속 컨테이너 본체와 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1112)는 단일 부품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3(a 및 b)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제 15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단일 판금 블랭크(1150)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판금 블랭크(1150)는 컨테이너 바닥 벽(1115) 및 상호 대향 측벽(1116)(a 및 b)을 형성하는 중심 섹션 및 예컨대 활 힌지에 의해 중심 섹션(1115)에 부착되는 단부벽(1118)(a 및 b) 섹션을 포함한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세우는 것은, 도 2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박스형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상호 대향 측벽과 단부벽 섹션(1116)(a 및 b)을 컨테이너 바닥 벽 섹션(1115)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접는 것을 포함한다. 판금 블랭크(1150)는, 상호 대향 측벽 및 단부벽 섹션의 접힘을 돕기 위해 접는 선(115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 및/또는 단부벽 및/또는 컨테이너 바닥 벽 부분의 가장자리들은 접혀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벽들을 함께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를 생성하고 또한 새지 않는 컨테이너 본체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 내의 내부 공간은 보관 컨테이너로부터의 누출물을 담기 위해 중합체 라이너 또는 내부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를 사용하여 상호 대향 측벽 및 단부벽을 수직 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호 대향 측벽과 단부벽의 상측 가장자리 또는 단부는 예컨대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전환되어, 박스형 구조의 테두리에서 립(1164)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테두리는, 그래버 장치가 금속 컨테이너 본체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1160)를 포함한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다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공기가 금속 컨테이너 본체 내부에서 순환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통기 구멍(1120)이 예컨대 스탬핑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판금 블랭크에 절단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23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컨대 딥드로잉 공정으로 또는 판금 블랭크를 접어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제작하기 위해 판금 블랭크를 이용하는 모든 실시 형태에서, 그 판금 블랭크는 적층 구조로 중합체 라이닝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에의 노출로부터 식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보관 컨테이너의 내용물이 식품을 포함하는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추가적으로, 판금 블랭크는, 세워진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구조적 무결성을 개선하기 위해 판금 블랭크에 하나 이상의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스탬핑으로 주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컨테이너 바닥 벽(1215), 상호 대향 측벽(1216)(a 및 b) 및 단부 벽(1218)(a 및 b)을 포함하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1212)는 하나의 단일체 본체로서 주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컨테이너는 다이 캐스팅되거나 대안적으로 인베스트먼트 주조 공정으로 주조될 수 있다. 도 24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6 실시 형태에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1212)는 하나의 단일체 본체로서 다이 캐스팅된다. 위에서 논의된 다른 실시 형태와 같이 접을 수 있는 보관 컨테이너를 제공하지 않지만,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하나의 단일체 본체로 주조하면, 단일 부품에서 강도가 개선되어, 금속 컨테이너 본체가 적층체에 배치될 때 그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벽의 좌굴이 방지된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약 1 내지 1.5mm의 벽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으로 주조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경량 금속을 사용하여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주조할 수 있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주조하는 것의 다른 이점은, 보관 컨테이너로부터 유체가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새지 않은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통기 구멍(1220)이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주조시에 현장에서 형성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통기 구멍은 일단 주조되면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벽에 기계 가공될 수 있다. 통기 구멍(1220)은 유출물을 잡기 위한 새지 않는 기부를 제공하기 위해 컨테이너 바닥 벽 위쪽의 미리 결정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리브(1222)가 금속 컨테이너 본체(1212)의 벽(측벽 및 단부벽)에 주조되어, 금속 컨테이너 본체가 적층체에 있을 때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구조적 무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벽은 중실 재료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중실형이고, 또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내부 표면이 식품에 안전하게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코팅을 포함하거나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벽 보강재 및/또는 인서트 및/또는 코너 포스트가 금속 컨테이너 본체에 통합되어 보관 컨테이너의 구조적 무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벽은 보조 충전재의 통합을 위해 중공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5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7 실시 형태에서, 상호 대향 측벽(1316)(a 및 b)과 단부벽(1318)(a 및 b), 그리고 선택적으로 컨테이너 바닥 벽(1315)은 중공형이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벽 내의 중공 공간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1312)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충전재로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재는 보관 컨테이너에 방음적 음향 특성을 제공하는 중합체 폼(foam)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충전재는 내화성일 수 있다. 가볍고 내화성이 있는 전형적인 내화성 재료는 질석(vermiculite)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충전재는 또한 보관 컨테이너가 적층체에 유지될 때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그 보관 컨테이너의 구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5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보관 컨테이너의 구조적 무결성을 개선하기 위해 보관 컨테이너의 벽에 하나 이상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하는 측벽과 단부벽 사이의 이음부는 용접, 접착제의 사용, 리벳 또는 간단히 설부(tongue)-홈 조인트에 의해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닥 벽, 측벽 및 단부벽은, 운반의 용이를 위해 사용 지점에서 함께 조립되는 별개의 부분들일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의 내용물이 식료품인 경우, 그 식료품은 식품 안전 표준을 준수하는 컨테이너에 보관되어야 한다. 식품 안전 표준을 준수하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의 종류는 제한되어 있다. 그러한 금속은 304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다양한 스테인리스강 재료를 포함한다. 그러나, 스테인레스강으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금속이 더 낮은 등급의 강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다른 종류의 금속 보다 밀도가 낮고 또한 일반적으로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 결과적으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벽은 업계에서 비슷한 중량을 지닌 그것의 카운터파트 플라스틱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을 것이다. 화재에 취약한 보관 컨테이너의 영역은 그 보관 컨테이너의 외부 표면이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내화성이 있으므로,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보관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 안으로의 화재 진입을 방지하거나 또는 제한하기 위해 비가연성 인클로저를 형성하는 내화성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비가연성 인클로저로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식료품 보관을 위한 식품 안전 표준을 준수하기 위해, 내화성 본체는 식품 등급 재료로 형성된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식품 등급 재료의 예는 다양한 식품 등급 플라스틱 재료, 종이 또는 판지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라이너를 내습성으로 되게 하기 위해, 종이 또는 판지 라이너는 식품 안전 왁스로 함침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내화성 본체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라이너(1420)의 높이가 도 26 및 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1412)의 전체 높이 또는 도 28 및 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금속 컨테이너 본체(1412)의 전체 높이 라이너(1422)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식품 안전 또는 등급 재료로 형성된 라이너(1420, 1422)를 포함한다. 식료품 보관에 적합한 라이너(1420, 1422)를 사용하면, 내화성 본체를 위해 상이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특정 실시 형태에서, 내화성 본체(1412)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다양한 세라믹 재료 및 다양한 내화성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내화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다른 내화성 재료가 내화성 본체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내화성 본체는 저밀도 재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현재의 플라스틱계 보관 컨테이너와 동일한 구조적 무결성과 하중 지탱 용량을 보유한다. 결과적으로, 내화성 본체의 벽은 더 두껍게 만들어질 수 있어, 적층체에 있는 다수의 보관 컨테이너의 중량을 지지하는 충분한 하중 지탱 용량이 보관 컨테이너의 벽에 주어질 수 있다.
도 26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에서, 내화성 본체는, 바닥 벽(1415),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1416a, 1416b) 및 단부벽(1418a, 1418b)을 포함하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1412)를 포함한다. 금속 컨테이너 본체(1412)는 부분적으로 라이너(1420)로 라이닝되어 있다. 도 27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에서, 라이너(1420)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1412)에 인서트로서 형성된 트레이 또는 얕은 기부이다. 트레이(1420)는 식품 등급 재료로 형성되며 새지 않아서 고기와 같은 식료품의 즙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누출 방지 라이너를 형성하는 다양한 예가 있다. 이 예는, 라이너가 식품 등급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단일편 라이너의 블로우 몰딩, 열성형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라이너가 종이 또는 판지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그 라이너는, 왁스 재료로 함침되거나 코팅된 접힘 가능한 시트 블랭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의 높이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될 필요가 있고,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전체 높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나 있는 예에서, 트레이(1420)의 높이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1412)의 높이의 절반에 걸쳐 연장된다. 이는 보관 컨테이너에 보관되는 식료품이 보관 컨테이너의 바닥 벽에만 접촉하고 그 보관 컨테이너의 상호 대향 측벽 및 단부벽을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경우에 허용 가능한 것으로 생각되며 그리고/또는 근처의 보관 컨테이너 안에 있는 다른 식료품을 오염시키는 식료품의 즙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만 필요하다. 그러나, 이는 라이너가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도 28 및 29는 라이너(1422)가 금속 컨테이너 본체(1412)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되는 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에도, 라이너(1422)는 도 2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금속 컨테이너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인서트로서 기능한다.
종이 또는 판지를 기반으로 하는 라이너를 가짐으로써, 라이너는 일회용이 되어 상이한 종류의 식료품이 금속 컨테이너 본체에 보관될 수 있으며 보관 컨테이너의 내부 표면을 지속적으로 세척할 필요성이 제한된다. 보관 컨테이너가 금속 컨테이너 본체, 특히 저등급 강을 포함하는 경우, 보관 컨테이너를 세척하기 위해 물을 사용하면, 금속 컨테이너 본체가 부식되거나 녹슬어 그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식료품의 보관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 식품 등급 재료로 이루어진 라이너를 사용함으로써, 금속 컨테이너 본체를 세척할 필요가 없어져 그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수명이 연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위에서 설명된 상이한 특징들을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다양한 수정 및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의 상이한 조합이 청구 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다음의 번호가 매겨진 조항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조항 1.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컨테이너로서, 그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은, 제 1 세트의 평행 레일 또는 트랙 및 복수의 그리드 공간 또는 그리드 셀을 포함하는 그리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평인 평면 내에서 상기 제 1 세트의 평행 트랙에 대해 횡으로 있는 제 2 세트의 평행 레일 또는 트랙을 포함하는 트랙 시스템, 및 이 트랙 시스템 아래에 위치되는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를 포함하며,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 각각은 단일 그리드 공간 또는 그리드 셀을 차지하며, 제 1 지연성 보관 컨테이너는, 박스형 구조 내부에 하나 이상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개방 단부를 갖는 박스형 구조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바닥 벽,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 및 단부벽을 포함하며,
보관 컨테이너는 비가연성 인클로저를 형성하는 내화성 컨테이너 본체를 포함하고, 그 내화성 본체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식품 등급 재료로 형성되는 라이너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
조항 2. 조항 1에 있어서, 내화성 컨테이너 본체는 세라믹 컨테이너 본체인, 보관 컨테이너.
조항 3. 조항 1에 있어서, 내화성 컨테이너 본체는 플라스틱 컨테이너 본체인, 보관 컨테이너.
조항 4. 이전 조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향 기립 상호 대향 측벽 및/또는 단부벽 중의 적어도 하나는 분리 가능한, 보관 컨테이너.
조항 5. 이전 조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라이너는 식품 등급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셀룰로오스계 재료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
조항 6. 조항 5에 있어서, 셀룰로오스계 기재는 왁스 재료로 코팅되거나 함침되어 있는, 보관 컨테이너.
조항 7. 조항 6에 있어서, 셀룰로오스계 재료는 종이 또는 판지인, 보관 컨테이너.
조항 8. 조항 7에 있어서, 라이너는 접힌 종이 또는 판지 블랭크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
조항 9. 이전 조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라이너는 일회용인, 보관 컨테이너.
조항 10. 이전 조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라이너는 얕은 기부 또는 트레이인, 보관 컨테이너.
조항 11. 이전 조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라이너는 새지 않는 컨테이너인 보관 컨테이너.
조항 12. 조항 11에 있어서, 새지 않는 컨테이너는 일체형의 열성형된 컨테이너인, 보관 컨테이너.

Claims (27)

  1.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컨테이너(828)로서, 상기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은, 제 1 세트의 평행 레일 또는 트랙 및 복수의 그리드 공간 또는 그리드 셀을 포함하는 그리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평인 평면 내에서 상기 제 1 세트의 평행 트랙에 대해 횡으로 있는 제 2 세트의 평행 레일 또는 트랙을 포함하는 트랙 시스템, 및 이 트랙 시스템 아래에 위치되는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를 포함하며, 복수의 보관 컨테이너 적층체 각각은 단일 그리드 공간 또는 그리드 셀을 차지하며, 상기 보관 컨테이너는 금속 컨테이너 본체(829)를 포함하고, 이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하나의 단일체 본체로 형성되고 트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컨테이너 바닥 벽(814)과 상향 기립 기부 측벽 부분 및 단부벽 부분(841)을 갖는 기부 부분(830), 및 박스형 구조 내에 하나 이상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개방 단부를 갖는 박스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부 부분의 각각의 기부 측벽 부분 및 단부벽 부분(841)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그에 연결되는 상측 측벽 부분(832)과 단부벽 부분(836)을 갖는 별개의 상측 부분을 포함하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기부 부분(830)은 딥 드로잉된 판금 블랭크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상기 박스형 구조의 개방 단부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연장되는 테두리 부분(834, 798)을 포함하고, 이 테두리 부분은 로드(load) 취급 장치의 그래버(grabber) 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함몰부(838, 811)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부분(834, 798)은, 적층체에서 위쪽에 있는 인접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바닥 벽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측 측벽 및/또는 단부벽 부분(836, 795)으로부터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전향된 돌출 립(849, 816)을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부분(834, 798, 799)은 상기 상측 측벽 및/또는 단부벽 부분(836, 794, 795)에 별개로 연결되는, 보관 컨테이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측벽 부분(832)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836)은 리브 또는 비크(beak)(835)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컨테이너 본체의 각 코너는 복수의 겹치는 층을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측벽 부분(794)은 상기 단부벽 부분(795)에 별개로 고정되는, 보관 컨테이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측벽 부분(794)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795) 각각은 상측 측벽부분을 상측 단부벽 부분에 고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806, 807)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 플랜지(806, 807)는 인접하는 플랜지 위에 또는 아래에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관 컨테이너.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측벽 부분 및/또는 상측 단부벽 부분(794, 795)의 플랜지(806, 807)는 기계적 클린칭(clinching) 공정에 의해 함께 체결되는, 보관 컨테이너.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측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스냅 끼워맞춤 조인트 및/또는 토글 랫치(toggle latch)(760)에 의해 상기 상측 단부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관 컨테이너.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컨테이너는 상기 로드 취급 장치의 그래버 장치의 정렬을 위해 보관 컨테이너의 각 코너에서 가이드(796)를 더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796)는 상측 측벽 부분 및/또는 단부벽 부분의 플랜지(807)에 있는 기다란 수직 함몰부로 형성되어 있는, 보관 컨테이너.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컨테이너의 금속 컨테이너 본체는, 적층체에 있는 인접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바닥 컨테이너 벽을 지지하기 위해 보관 컨테이너의 입구부 안으로 내측으로 돌출되고 보관 컨테이너의 대각선 방향 상호 대향 코너들에 위치되는 복수의 정지부(128)를 포함하며, 이 복수의 정지부는, 보관 컨테이너 내의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층체에서 위쪽에 있는 인접하는 보관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바닥 벽에 의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테이너 바닥 벽의 위쪽에서 이격되어 있는, 보관 컨테이너.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부분(820)은 컨테이너 바닥 벽 내에 엠보싱된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컨테이너는 식품 등급 재료로 형성된 라이너(1420, 1422)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식품 등급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셀룰로오스계 재료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재료는 왁스 재료로 코팅 또는 함침되어 있는, 보관 컨테이너.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재료는 종이 또는 판지인, 보관 컨테이너.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접힌 종이 또는 판지 블랭크로 형성되는, 보관 컨테이너.
  22.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일회용인, 보관 컨테이너.
  23. 제 17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얕은 기부 또는 트레이인, 보관 컨테이너.
  24.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새지 않는 컨테이너인, 보관 컨테이너.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새지 않는 컨테이너는 일체형의 열성형된 컨테이너인, 보관 컨테이너.
  26. 제 1 항의 보관 컨테이너를 조립하기 위한 키트로서,
    i) 하나의 단일체 본체로 형성되고 트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컨테이너 바닥 벽과 상향 기립 기부 측벽 부분 및 단부벽 부분(841)을 갖는 기부 부분(830); 및
    ii) 상측 측벽 부분(832)과 상측 단부벽 부분(836)을 포함하는 별개의 상측 부분을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를 조립하기 위한 키트.
  27. 제 26 항에 있어서,
    ⅲ) 상기 상측 측벽 부분(794) 및/또는 단부벽 부분(836, 795)에 별개로 연결 가능한 2개 이상의 테두리 부분(837, 798, 799)을 더 포함하는 키트.
KR1020237041266A 2021-04-29 2022-04-29 보관 시스템 및 보관 컨테이너 KR202400058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106170.0A GB2614018A (en) 2021-04-29 2021-04-29 Storage system and storage container
GB2106170.0 2021-04-29
GB2201849.3A GB2607381A (en) 2021-04-29 2022-02-11 Storage system and storage container
GB2201849.3 2022-02-11
PCT/EP2022/061612 WO2022229453A1 (en) 2021-04-29 2022-04-29 Storage system and storage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816A true KR20240005816A (ko) 2024-01-12

Family

ID=7630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266A KR20240005816A (ko) 2021-04-29 2022-04-29 보관 시스템 및 보관 컨테이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330150A1 (ko)
JP (1) JP2024521013A (ko)
KR (1) KR20240005816A (ko)
CN (1) CN117580767A (ko)
AU (1) AU2022267027A1 (ko)
CA (1) CA3216854A1 (ko)
GB (3) GB26140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019712D0 (en) * 2020-12-14 2021-01-27 Ocado Innovation Ltd Gripp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6656A (en) * 1964-01-02 1966-08-16 Charles E Kridle Demountable shipping case
US3374915A (en) * 1966-07-21 1968-03-26 Verhein Donald Collapsible and stackable container
US6155446A (en) * 1994-03-17 2000-12-05 National Seal Corporation Method for encapsulating waste material and systems therefor
US5529199A (en) * 1995-02-22 1996-06-25 Foster; Hensley Container capable of disassembly into an integral unit following use
US6722515B2 (en) * 2002-01-23 2004-04-20 Donald Rumpel Folding crate
US9278775B2 (en) * 2006-12-13 2016-03-08 Rehrig Pacific Company Crate with collapsible wall
DE102009049184A1 (de) * 2009-04-15 2010-11-04 Ifco Systems Gmbh Kiste mit faltbaren Seitenwänden und Verriegelungsmechanismen mit Überlastschutz
GB201310784D0 (en) * 2013-06-17 2013-07-31 Ocad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rder Processing
CN105667946A (zh) * 2016-03-15 2016-06-15 苏州良才物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定制型蜂窝板周转箱
GB201707922D0 (en) * 2017-05-17 2017-06-28 Ocado Innovation Ltd Modular storage systems and methods
GB201902230D0 (en) * 2019-02-19 2019-04-03 Ocado Innovation Ltd Storage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607381A8 (en) 2024-01-17
GB2614018A (en) 2023-06-28
GB202206320D0 (en) 2022-06-15
AU2022267027A1 (en) 2023-11-16
CA3216854A1 (en) 2022-11-03
CN117580767A (zh) 2024-02-20
GB2608255A (en) 2022-12-28
GB202106170D0 (en) 2021-06-16
EP4330150A1 (en) 2024-03-06
JP2024521013A (ja) 2024-05-28
GB2607381A (en) 2022-12-07
GB202201849D0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7928B1 (en) Foldably constructed pallet
US7644831B2 (en) Lightweight stackable horizontal dispensing container
JP2013518001A (ja) 商品を取り扱うためのパレット、パレット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商品の取り扱いにおいてパレットを使用する方法
US9422081B2 (en) Container having non-linear and linear tracks for supporting movable dunnage
KR20240005816A (ko) 보관 시스템 및 보관 컨테이너
MX2012003592A (es) Bandeja para horno.
CA2390899C (en) Economical, stackable container for retail goods
US20230271750A1 (en) Transport and storage enclosure
US20070221718A1 (en) Stackable multi-component tote having corner supports
WO2022229453A1 (en) Storage system and storage container
US6896142B2 (en) Dunnage
US9688437B1 (en) Cover for a stackable transport pallet
JP3993934B2 (ja) コンテナ
US3294307A (en) Collapsible bin box
US20140263305A1 (en) Multi-Part Product Shipping Box and Display Tray
US20030038052A1 (en) Shipping cage and vertical cargo
RU107777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акетированного или упакованного в коробки груза (варианты)
JP4181726B2 (ja) ロール製品輸送用コンテナ
US11724856B2 (en) Hybrid collapsible container
WO2017003377A1 (en) A container assembly
WO1999006290A1 (en) Transport pallet
CA3045513A1 (en) Pallet support block and a pallet constructed with pallet support blocks
JPH02258551A (ja) ボックス状の組立式コンテナ
JPH0678236U (ja) トランクルームコンテ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