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787A - 변형 가능한 용기, 키트 및 포장재 - Google Patents

변형 가능한 용기, 키트 및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787A
KR20240005787A KR1020237040876A KR20237040876A KR20240005787A KR 20240005787 A KR20240005787 A KR 20240005787A KR 1020237040876 A KR1020237040876 A KR 1020237040876A KR 20237040876 A KR20237040876 A KR 20237040876A KR 20240005787 A KR20240005787 A KR 20240005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ial
deformable
valve
internal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세페 디오니기
Original Assignee
돔페 파르마써티씨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돔페 파르마써티씨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돔페 파르마써티씨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40005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7Flexible ampoules, the contents of which are expelled by squee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5Rigid ampoules, e.g. glass ampo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18Threaded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Piercing means having one piercing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51Connecting means having tap means, e.g. tap means activated by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55Connecting means having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65Connecting means having aligning and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79Filtering means
    • A61J1/2086Filtering means for fluid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53Syringes, pipettes or oral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46Cups, bottles or b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의료용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용기는 유체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체적을 획정하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유체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접근부, 유체 물질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분배 유출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충전 접근부에 배치된 밸브를 포함한다. 몸체는 내부 체적의 범위를 정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을 포함한다. 본 개시는 추가로, 변형 가능한 용기의 충전 접근부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커플링 부분 및 바이알의 내부 격실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커플링 부분을 포함하는 연결 부속품에 관한 것이다. 용기와 연결 부속품은 연결 부속품이 용기의 충전 접근부에 결합되는 결합 구성으로 구성 가능하며, 용기의 밸브는 개방 구성에 있다.

Description

변형 가능한 용기, 키트 및 포장재
본 발명은 후속 분배용 유체, 즉,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변형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변형 가능한 용기를 바이알과 유체 연통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 부속품에 관한 것으로, 바이알은 약제, 즉, 액체 용액 또는 분말 형태의 약물을 수용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의료 분야 및 약물 투여에 관한 것이며, 의료용 액체를 그 투여를 위해 유리 바이알로부터 변형 가능한 용기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의 분야에 속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변형 가능한 용기 및 연결 부속품을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연결 부속품이 있거나 없는 변형 가능한 용기를 수용하는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추가로, 연결 부속품을 통해 변형 가능한 용기를 바이알에 연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압착) 변형 가능한 용기의 압축을 통해 비강 스프레이, 경구 점안액, 또는 점안액으로서 투여될 액체의 전달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의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용기는, 압력이 가해질 때, 미리 정의된 도스(dose)의 액체(용액 또는 현탁액)가 액적이나 스프레이 형태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변형 가능한 벽을 포함한다.
그러나,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용기의 충전은 특정 생산 라인을 필요로 하며, 일부 회사에서는 임상 시험을 위한 소규모 배치(batch) 생산의 경우에서와 같이 자체 유리 바이알 라인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기반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용기의 재료는 필요한 유효 기간 전체에 걸쳐 의료용 액체와 접촉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즉, 소위 장기 안정성을 지원하기 위해).
바늘을 사용하지 않고 유리 바이알과 주사기 사이(예를 들어, WO2012004784A1) 또는 2개의 유리 바이알 사이(예를 들어, WO2017203511A1 또는 WO2011104711A1)의 액체 전달을 단순화하는 장치가 있긴 하지만, 나중에 각각의 단계에서 멸균성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투여용 액체의 분취량을 운반하는 데 사용될 동일한 압축 시스템을 사용하여 변형 가능한 다회용 용기로 이러한 액체를 전달할 수 있는 장치가 현재까지는 없다.
DE102006009611은 치료 목적으로 건조한 물질과 매체를 혼합하여 형성된 유동성 매체를 준비하고 이용 가능하게 만드는 시스템을 설명하며; 이 시스템은, a) 유체를 수용하는 제1 용기로서, 용기 체적을 변경하기 위한 복원력에 대항하여 변형될 수 있는 벽부를 갖는 제1 용기, b) 건조한 물질을 수용하는 제2 용기, 및 c) 제1 용기와 제2 용기 사이의 유체 연통을 생성하기 위한 전달 장치를 포함한다.
EP0702968은 약품용 아코디언 용기를 보여주며, 해당 용기는 그 본체의 일 단부에 약품을 추출하기 위한 부분을 갖는다. 본체의 타단부에는 일방향 밸브 및 휨 유형의 후크가 설치되어 있다. 일방향 밸브를 통해 본체 내외로 약품이 주입 및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해결 방안의 단점 및/또는 한계 중 하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제1 목표는 액체 용액, 특히, 무방부제 의료 용액을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목적은 시간이 지나도 용액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특히, 액체 용액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용액을 수용하며 용액을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변형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용액을 수용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시로 용액을 운반할 수 있도록, 즉, 적합한 다회용 운반 용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변형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변형 가능한 용기로부터의 후속 전달을 위해 바이알로부터 변형 가능한 용기로의 용액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용기 및 연결 부속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변형 가능한 용기 및 전달 중에 용액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멸균 방식으로 바이알로부터 변형 가능한 용기로의 용액 전달을 허용할 수 있는 연결 부속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변형 가능한 용기 및 바이알로부터 변형 가능한 용기로의 전달 동안 용액의 오염 위험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연결 부속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변형 가능한 용기 및 바이알로부터 변형 가능한 용기로 용액을 빠르고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연결 부속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변형 가능한 용기 및 변형 가능한 용기 내 용액의 수명을 최대화하기 위해, 바이알로부터 변형 가능한 용기로 용액을 멸균 상태로 전달할 수 있는 연결 부속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당업자가 사용 중에 전술한 목적을 쉽고 안전하게 달성할 수도 있도록 변형 가능한 용기 및 연결 부속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더 분명해질 이러한 목적 등은 이하의 청구범위 및/또는 양태 중 하나 이상에 따른 변형 가능한 용기 및 연결 부속품에 의해 실질적으로 달성된다.
제1 양태는 의료용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용기(1)로서, 변형 가능한 용기(1)는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체적(3)을 획정하는 몸체(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는;
- 몸체(2)의 내부 체적(3)을 충전하기 위해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접근부(8);
- 내부 체적(3)으로부터 일정량의 유체 물질(4)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분배 유출구(10);
- 충전 접근부(8)에 배치된 밸브(20)로서,
o 상기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구성과,
o 상기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방지하는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20)를 포함하며;
몸체(2)는 내부 체적(3)의 범위를 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을 포함하는 것인, 변형 가능한 용기(1)에 관한 것이다.
제2 양태는 의료용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용기(1)로서, 변형 가능한 용기(1)는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체적(3)을 획정하는 몸체(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는;
- 몸체(2)의 내부 체적(3)을 충전하기 위해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접근부(8);
- 내부 체적(3)으로부터 일정량의 유체 물질(4)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분배 유출구(10);
- 충전 접근부(8)에 배치된 밸브(20)로서,
o 상기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구성과,
o 상기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방지하는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20)를 포함하는 것인, 변형 가능한 용기(1)에 관한 것이다.
제3 양태는 키트(50)로서,
- 의료용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용기(1)로서, 변형 가능한 용기(1)는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체적(3)을 획정하는 몸체(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는;
o 몸체(2)의 내부 체적(3)을 충전하기 위해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접근부(8);
o 내부 체적(3)으로부터 일정량의 유체 물질(4)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분배 유출구(10);
o 충전 접근부(8)에 배치된 밸브(20)로서,
­ 상기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구성과,
­ 상기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방지하는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는 내부 체적(3)의 범위를 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을 포함하는 것인, 변형 가능한 용기(1); 및
- 연결 부속품(51)으로서,
o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커플링 부분(52), 및
o 바이알(101)의 내부 격실(102)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커플링 부분(60)으로서, 특히, 바이알(101)의 내부 격실(102)이 유체 물질(4)을 수용하는 것인, 제2 커플링 부분(60),
o 제1 커플링 부분(52)이 제2 커플링 부분(60)과 유체 연통하도록 또는 그 반대로 하기 위한 내부 통로(70)를 포함하는 연결 부속품(51)을 포함하며,
키트(50)는,
- 연결 부속품의 제1 커플링 부분(52)이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결합되며, 및
- 용기(1)의 내부 체적(3)이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과 유체 연통하도록 용기(1)의 밸브(20)가 개방 구성에 있으며, 특히, 용기(1)의 내부 체적(3)이 바이알(101)의 격실(102)과 유체 연통하는 결합 구성으로 구성 가능한 것인, 키트(50)에 관한 것이다.
제4 양태는 조립체(100)로서,
- 제3 양태에 따른 키트(50); 및
-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격실(102)을 획정하는 바이알(101)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체(100)는,
- 변형 가능한 용기(1)와 연결 부속품(51)이 결합 구성에 있으며, 및
-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이 바이알(101)에 연결되는 조립 구성으로 구성 가능하며;
조립 구성에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내부 체적(3)은 상기 연결 부속품(51)을 통해 바이알(101)의 격실(102)과 유체 연통하는 것인,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제5 양태는 키트(50)를 포함하는 조립체(100)로서, 키트(50)는,
- 의료용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용기(1)로서, 변형 가능한 용기(1)는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체적(3)을 획정하는 몸체(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는;
o 몸체(2)의 내부 체적(3)을 충전하기 위해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접근부(8);
o 내부 체적(3)으로부터 일정량의 유체 물질(4)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분배 유출구(10);
o 충전 접근부(8)에 배치된 밸브(20)로서,
­ 상기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구성과,
­ 상기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방지하는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20)를 포함하며;
몸체(2)는 내부 체적(3)의 범위를 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을 포함하는 것인, 변형 가능한 용기(1); 및
- 연결 부속품(51)으로서,
o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커플링 부분(52), 및
o 바이알(101)의 내부 격실(102)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커플링 부분(60)으로서, 특히, 바이알(101)의 내부 격실(102)이 유체 물질(4)을 수용하는 것인, 제2 커플링 부분(60),
o 제1 커플링 부분(52)이 제2 커플링 부분(60)과 유체 연통하도록 또는 그 반대로 하기 위한 내부 통로(70)를 포함하는 연결 부속품(51)을 포함하며,
키트(50)는,
- 연결 부속품의 제1 커플링 부분(52)이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결합되며, 및
- 용기(1)의 내부 체적(3)이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과 유체 연통하도록 용기(1)의 밸브(20)가 개방 구성에 있으며, 특히, 용기(1)의 내부 체적(3)이 바이알(101)의 격실(102)과 유체 연통하는 결합 구성으로 구성 가능하며;
조립체(100)는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격실(102)을 획정하는 바이알(101)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조립체(100)는,
- 변형 가능한 용기(1)와 연결 부속품(51)이 결합 구성에 있으며, 및
- 상기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이 바이알(101)에 연결되는 조립 구성으로 구성 가능하며;
조립 구성에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내부 체적(3)은 상기 연결 부속품(51)을 통해 바이알(101)의 격실(102)과 유체 연통하는 것인,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제6 양태는 변형 가능한 용기(1) 내에서 유체 물질(4)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200)으로서,
- 제1 양태 내지 제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립체(100)를 제공하는 단계(201);
-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202);
- 조립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연결하는 단계(203);
- 내부 체적(3)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압착, 특히,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204);
-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몸체(2)의 탄성 복귀를 허용하기 위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해제하는 단계(205);
- 유체 물질(4)이 변형 가능한 용기(1) 내로 완전히 이동될 때까지 압착 단계 및 해제 단계를 선택적으로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방법(200)에 관한 것이다.
제1 양태 내지 제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7 양태에 있어서, 용기(1)의 내부 체적(3)은 유체 물질(4)의 존재 또는 부재와 실질적으로 무관하다.
제1 양태 내지 제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8 양태에 있어서, 내부 체적(3)의 범위를 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재료는 실리콘, 고무,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재료는 플라스틱이며 용기 몸체는 오로지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능한 대안은 또한, 실리콘, 고무, 플라스틱 또는 기타 변형 가능한 탄성 재료 중 하나보다 많은 재료를 포함하는 다중 재료 용기이다.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9 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은 0.5 mm 내지 0.9 mm에 포함된 두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 이루어진 변형 가능한 용기는 상기 범위 이내의 두께, 예를 들어, 0.7 mm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양태 내지 제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0 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에서의 몸체(2)의 변형이 내부 체적(3)의 감소를 결정한다.
제1 양태 내지 제1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1 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에서의 몸체(2)의 압착이 내부 체적(3)의 감소를 결정한다.
제1 양태 내지 제11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2 양태에 있어서, 용기(1)의 몸체(2)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은 측벽(7)이다.
제1 양태 내지 제12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3 양태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몸체(2)는 압착된 후에 원래의 형상을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 내지 제1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4 양태에 있어서, 특히, 용기(1)에 외부 하중이 없을 때, 예를 들어, 용기(1)가 사용자에 의해 압착되지 않을 때,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몸체(2)는 미리 정의된 크기의 내부 체적(3)을 획정하는 휴지 시의 원래의 형상을 갖는다.
제1 양태 내지 제1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5 양태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몸체는 몸체(2)가 사용자에 의해 압착될 때 감소된 크기의 내부 체적(3)을 획정하는 압착된 형상을 가지며, 특히, 내부 체적(3)의 감소된 크기가 내부 체적(3)의 미리 정의된 크기보다 작다.
제1 양태 내지 제1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6 양태에 있어서, 용기(1)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은 사용자가 몸체(2)를 압착으로부터 해제한 후 압착된 형상으로부터 원래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 내지 제1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7 양태에 있어서, 밸브(20)는 휴지 상태에서 폐쇄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자체 밀봉 밸브(20)이다.
제1 양태 내지 제1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8 양태에 있어서, 밸브(20)는 연결 부속품(51)이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결합될 때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 내지 제1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9 양태에 있어서, 충전 접근부(8)와 연결 부속품(51) 사이의 연결은 밸브(20)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전환을 결정한다.
제1 양태 내지 제1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0 양태에 있어서, 충전 접근부(8)와 연결 부속품(51) 사이의 분리는 밸브(20)의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전환을 결정한다.
제1 양태 내지 제2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1 양태에 있어서, 밸브(20)는 충전 접근부(8)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 양태 내지 제21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2 양태에 있어서, 충전 접근부(8)는 상기 밸브(20)를 둘러싸는 칼라(9)를 획정하며, 특히, 상기 칼라(9)가 상기 밸브(20)를 완전히 둘러싼다.
제1 양태 내지 제22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3 양태에 있어서, 밸브(20)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통과를 결정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재(21)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2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4 양태에 있어서, 밸브(20), 특히, 변형 가능한 부재(21)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재(21)는 실리콘과 고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다.
제1 양태 내지 제2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두 번째 제24 양태에 있어서, 밸브(20)는 이동 몸체 및 이동 몸체에 작용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외력이 없을 때 스프링이 이동 몸체에 대항 작용하여 밸브를 폐쇄 위치에 유지한다. 특히, 연결 부속품이 변형 가능한 몸체에 결합되면, 돌출부(54)가 이동 몸체에 작용하며 스프링력을 극복함으로써(변형 가능한 몸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밸브(20)를 개방한다.
제1 양태 내지 제2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5 양태에 있어서, 밸브(20)는 슬릿(22)을 구비한 변형 가능한 부재(21)를 포함하며, 상기 슬릿(22)은 연결 부속품(51)으로의 충전 접근부(8)의 결합 시에 유체 통로를 개방하며 충전 접근부(8)가 분리될 때 유체 통로를 폐쇄한다.
제1 양태 내지 제2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6 양태에 있어서, 밸브(20)의 변형 가능한 부재(21)는 충전 접근부(8)가 연결 부속품(51)에 결합될 때 변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변형이 슬릿(22)을 개방되도록 한다.
제1 양태 내지 제2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7 양태에 있어서, 밸브(20)는 충전 접근부(8)가 연결 부속품(51)에 결합될 때 연결 부속품(51)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 내지 제2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8 양태에 있어서, 충전 접근부(8)는 상기 밸브(20)를 둘러싸는 칼라(9)를 획정하며, 칼라는 접근부(8)의 내부를 향한 접근부를 획정하는 단단한 테두리를 구비하며, 밸브(20)가 접근부를 폐쇄하며, 특히, 밸브(20)는, 충전 접근부(8)가 연결 부속품(51)에 결합될 때, 변형 가능한 용기의 내부 체적(3)을 향해 단단한 테두리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는 연결 부속품(51)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 내지 제2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9 양태에 있어서, 용기(1)의 몸체(2)는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제1 양태 내지 제2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30 양태에 있어서, 몸체(2)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제1 양태 내지 제3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31 양태에 있어서, 용기(1)의 몸체(2)는 길이가 종축선(X)을 따라 그리고 폭이 횡축선(Y)을 따라 연장된다.
제31 양태에 따른 제32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 상기 폭보다 더 길며, 특히 상기 길이가 상기 폭의 적어도 1.5배이며, 특히 상기 길이가 상기 폭의 적어도 2배이며, 특히 상기 길이가 상기 폭의 적어도 3배이다.
제1 양태 내지 제32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33 양태에 있어서, 용기(1)의 몸체(2)는 충전 접근부(8)를 지탱하는 제1 단부 부분(5), 분배 유출구(10)를 지탱하는 제2 단부 부분(6), 및 상기 제1 단부 부분(5)과 상기 제2 단부 부분(6)의 사이에 개재된 측벽(7)을 포함한다.
제33 양태에 따른 제34 양태에 있어서, 충전 접근부(8)와 분배 유출구(10)는 용기(1)의 몸체(2)의 측벽(7)에 대해 서로 대향한다.
제1 양태 내지 제3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35 양태에 있어서, 충전 접근부(8)와 분배 유출구(10)는 공통 축선을 따라 서로 정렬된다.
제1 양태 내지 제3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36 양태에 있어서, 몸체(2)는 몸체(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선택적으로 측벽(7)에 평행한 종축선(X)을 획정한다.
제36 양태에 따른 제37 양태에 있어서, 측벽(7)은 길이가 상기 종축선(X)을 따라 연장된다.
제36 양태 또는 제37 양태에 따른 제38 양태에 있어서, 분배 유출구(10)와 충전 접근부(8)는 몸체(2)의 상기 종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일치하는 축선을 따라 서로 정렬된다.
제1 양태 내지 제3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39 양태에 있어서, 용기(1)의 몸체(2)는 30 mm 내지 60/80 mm에 포함된 길이 및 10 mm 내지 25 mm에 포함된 폭 또는 직경을 갖는다.
제1 양태 내지 제3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40 양태에 있어서, 용기(1)의 내부 체적(3)은 3 ml 내지 15 ml, 특히 4 ml 내지 12 ml에 포함된다.
제1 양태 내지 제4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41 양태에 있어서, 몸체(2)는 단일편이다.
제1 양태 내지 제41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42 양태에 있어서, 용기(1)는 플라스틱 다회용 압착 용기이다.
제1 양태 내지 제42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43 양태에 있어서, 분배 유출구(10)는 개개의 개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유체 용액의 복수의 이산 체적량을 분배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상기 이산 체적량은 이산 시간 간격으로 전달 가능하다.
제43 양태에 따른 제44 양태에 있어서, 몸체(2)의 내부 체적(3)이 분배 유출구(10)에 의해 매번 분배되는 각각의 이산 체적량보다 더 크며, 특히, 내부 체적(3)은 5회 내지 500회의 이산 체적량을 분배할 수 있게 한다.
제1 양태 내지 제4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두 번째 제44 양태에 있어서, 몸체(2)의 내부 체적(3)이 전달된 유체(예를 들어, 바이알로부터)의 체적보다 더 크며, 특히, 내부 체적(3)은 전달된 유체의 체적보다 적어도 5배 더 크며, 특히, 내부 체적(3)이 전달된 유체의 체적보다 적어도 10배 더 크며, 특히, 내부 체적(3)이 전달된 유체의 체적보다 적어도 20배 더 크며, 특히, 내부 체적(3)은 전달된 유체의 체적보다 적어도 30배 더 크다.
제1 양태 내지 제4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45 양태에 있어서, 분배 유출구(10)에 의해 분배된 유체 물질(4)의 각각의 이산 체적량은 0.020 ml 내지 0.2 ml에 포함된다.
제1 양태 내지 제4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46 양태에 있어서, 분배 유출구(10)는 점적기이다.
제1 양태 내지 제4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47 양태에 있어서, 용기(1)는 분배 유출구(10)에 연결되거나 연결되도록 구성된 분배 부속품(11)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분배 부속품(11)은 내부 체적(3)에 수용된 유체 물질(4)을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 내지 제4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48 양태에 있어서, 상기 분배 부속품(11)은 점적기 또는 스프레이 노즐이다.
제1 양태 내지 제4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49 양태에 있어서, 상기 분배 부속품(11)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유체 물질(4)의 개별 액적을 분배하기 위한 밸브(20)로서 작용하는 내부 막(13)을 포함하는 점적기이다.
제49 양태에 따른 제50 양태에 있어서, 상기 막(13)은,
- 막(13)이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분배 유출구(10)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밀봉 위치, 특히, 유체 물질(4)이 용기(1)의 분배 유출구(10)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는, 밀봉 위치와,
- 막(13)이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분배 유출구(10)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전달 위치, 특히, 이산량의 유체 물질(4)이 용기(1)의 분배 유출구(10)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허용되는, 전달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49 양태 및 제50 양태의 분배 부속품의 주요 목적은 각각의 약물 도스 운반 도중 및 그 이후(방부제가 없는 경우에도) 변형 가능한 용기에 수용된 액체의 오염(외부로부터의)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1 양태 내지 제5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51 양태에 있어서, 분배 부속품(11)은 밀봉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막(13)에 대해 편향되는 탄성 부재(14)를 추가로 포함하며, 특히 상기 탄성 부재(14)는 금속 스프링이다.
제1 양태 내지 제51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52 양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14)는 막(13)이 용기(1)의 내부 체적(3) 내부의 미리 정의된 압력에 기초하여 밀봉 위치로부터 전달 위치로 전환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 내지 제52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53 양태에 있어서, 용기(1)는 분배 유출구(10)에 배치 가능한 캡(15)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캡(15)은 분배 유출구(10)가 캡(15)에 의해 덮여 있는 덮인 위치와 분배 유출구(10)가 덮여 있지 않은 덮이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캡(15)은 덮인 위치에서 덮이지 않은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 가능하다.
제1 양태 내지 제5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54 양태에 있어서, 충전 접근부(8)는 연결 부속품(51)으로의 연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53)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5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55 양태에 있어서, 충전 접근부(8)는 내부 체적(3)으로부터 멀리 돌출하여 칼라(9)를 획정하며, 특히, 밸브(20)가 상기 칼라(9) 내에 배치된다.
제1 양태 내지 제5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56 양태에 있어서, 상기 칼라(9)는 연결 부속품(51)으로의 연결을 위한 부착 요소(9a)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 요소(9a)는 나사산, 베이어닛 커플링, 스냅-온 커플링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5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57 양태에 있어서, 충전 접근부(8)의 칼라(9)는 연결 부속품(51)에 대한 연결을 위한 외부 나사산(9a)을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5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58 양태에 있어서, 용기(1)의 상기 칼라(9)와 몸체(2)는 함께 조립된 2개의 별개의 조각이다.
제1 양태 내지 제5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59 양태에 있어서, 충전 접근부(8)는 연결 부속품(51)에 대한 연결을 위한 루어 커넥터, 예를 들어, 암형 루어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5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60 양태에 있어서, 용기(1)는 분배 유출구(10)에 배치된 제거 가능하며 재부착 가능한 캡(15)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6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61 양태에 있어서, 용기(1)의 내부 체적(3)은 의료용 유체, 즉, 식염수 또는 멸균수 또는 용매 또는 희석제를 수용한다. 그리고, 위에 언급된 조건에서, 의료용 유체는 유리 바이알에 수용된 친액 물질, 건조한 또는 분말형 약물 또는 농축 용액을 재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양태 내지 제61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62 양태는 키트(50)로서,
- 의료용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용기(1)로서, 변형 가능한 용기(1)는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체적(3)을 획정하는 몸체(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는;
o 몸체(2)의 내부 체적(3)을 충전하기 위해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접근부(8);
o 내부 체적(3)으로부터 일정량의 유체 물질(4)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분배 유출구(10);
o 충전 접근부(8)에 배치된 밸브(20)로서,
­ 상기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구성과,
­ 상기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방지하는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20)를 포함하며;
몸체(2)는 내부 체적(3)의 범위를 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을 포함하는 것인, 변형 가능한 용기(1); 및
- 연결 부속품(51)으로서,
o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커플링 부분(52), 및
o 바이알(101)의 내부 격실(102)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커플링 부분(60)으로서, 특히, 바이알(101)의 내부 격실(102)이 유체 물질(4)을 수용하는 것인, 제2 커플링 부분(60),
o 제1 커플링 부분(52)이 제2 커플링 부분(60)과 유체 연통하도록 또는 그 반대로 하기 위한 내부 통로(70)를 포함하는 연결 부속품(51)을 포함하며,
키트(50)는,
- 연결 부속품의 제1 커플링 부분(52)이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결합되며, 및
- 용기(1)의 내부 체적(3)이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과 유체 연통하도록 용기(1)의 밸브(20)가 개방 구성에 있으며, 특히, 용기(1)의 내부 체적(3)이 바이알(101)의 격실(102)과 유체 연통하는, 결합 구성으로 구성 가능한 것인, 키트(50)에 관한 것이다.
제1 양태 내지 제62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63 양태에 있어서, 결합 구성에서,
-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이 용기(1)의 밸브(20)에 맞대어지며, 및
- 용기(1)의 밸브(20)가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제1 양태 내지 제6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64 양태에 있어서, 결합 구성에서, 연결 부속품(51)은 변형 가능한 용기(1)와 바이알(101)의 사이에 유동적으로 개재된다.
제1 양태 내지 제6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64 양태에 있어서, 결합 구성에서, 연결 부속품(51)은 종축선(X)을 따라 변형 가능한 용기(1)와 바이알(101)의 사이에 개재된다.
제1 양태 내지 제6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65 양태에 있어서,
-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는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9a) 부분을 포함하며,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은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9a) 부분에 대한 연결을 위해 개개의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53) 부분을 포함하며, 및/또는
-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와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은 상호 결합을 허용하는 스냅-온 커플링을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6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66 양태에 있어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는 루어 커넥터를 포함하며,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은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루어 커넥터에 대한 연결을 위해 개개의 루어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6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67 양태에 있어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루어 커넥터는 암형 루어 커넥터이며,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의 루어 커넥터는 수형 루어 커넥터이다.
제1 양태 내지 제6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68 양태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의 수형 루어 커넥터는 충전 접근부(8)의 단단한 테두리에 들어가며, 결합 구성에 있을 때,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밸브(20)에 맞대어져, 밸브(20)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돌출부(54)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6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69 양태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은 바이알(101)에 대한 연결을 위한 중공형 바늘(61)을 포함하며, 연결 부속품(51)이 바늘(61), 내부 통로(70), 및 제1 및 제2 커플링 부분(52, 60)을 통해 유체 통로를 획정한다.
제1 양태 내지 제6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70 양태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은 칼라(62)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62)는 바이알(101)의 개개의 부분에 결합되어 연결 부속품(51)을 바이알(101)에 기계적으로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제69 양태에 따른 두 번째 제70 양태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의 칼라(62)가 바늘(61)을 외부적으로 둘러싸며, 특히, 바늘(61)은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의 칼라(6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제1 양태 내지 제7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71 양태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의 칼라(62)는 바이알(101)에 대한 연결을 위한 스냅-온 커플링을 획정한다.
제1 양태 내지 제71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72 양태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의 칼라(62)는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결합하는 도중에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구성된 2개 이상의 가요성 벽 또는 핑거(63)를 포함하며, 특히, 연결 부속품(51)은 3개 내지 12개, 특히, 4개 내지 8개의 상기 가요성 벽 또는 핑거(63)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72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73 양태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은 단일편이다.
제1 양태 내지 제7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74 양태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대안으로서 제1 커플링 부분(52), 제2 커플링 부분(60), 및 내부 통로(7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바늘(61)은 금속, 즉,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PC)가,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연결 부속품(51)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양태 내지 제7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75 양태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과 제2 커플링 부분(60)은 공통 연결 축선(Z)을 따라 정렬되며, 특히, 제1 커플링 부분(52), 제2 커플링 부분(60) 및 내부 통로(70)가 동일한 연결 축선(Z)을 따라 정렬된다.
제1 양태 내지 제7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두 번째 제75 양태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은 밸브를 포함하지 않는다.
제1 양태 내지 제7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세 번째 제75 양태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의 내부 통로(70)는 제1 커플링 부분(52)을 제2 커플링 부분(60)과 유체 연통하게 하는 채널이다.
제1 양태 내지 제7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네 번째 제75 양태에 있어서, 제1 커플링 부분(52)은 항상 제2 커플링 부분(60)과 유체 연통한다.
선택적으로 제1 양태 내지 제7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76 양태는 조립체(100)로서,
- 제1 양태 내지 제7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키트(50); 및
-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격실(102)을 획정하는 바이알(101)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체(100)는,
- 변형 가능한 용기(1)와 연결 부속품(51)이 결합 구성에 있으며, 및
-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이 바이알(101)에 연결되는 조립 구성으로 구성 가능하며;
조립 구성에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내부 체적(3)은 상기 연결 부속품(51)을 통해 바이알(101)의 격실(102)과 유체 연통하는 것인,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제1 양태 내지 제7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77 양태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은 연결 부속품(51)의 내부 통로(70)를 바이알(101)의 격실(102)에 유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중공형 바늘(61)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 구성에서 상기 바늘(61)은 바이알(101)의 격실(102) 내부로 돌출한다.
제1 양태 내지 제7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78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바이알(101)은 연결 부속품(51)의 바늘(61)에 의해 관통 가능한 다이어프램(110)을 포함한다.
제78 양태에 따른 제79 양태에 있어서, 상기 조립 구성에서, 연결 부속품(51)의 바늘(61)은 바이알(101)의 다이어프램(110)을 통과한다.
제1 양태 내지 제7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80 양태에 있어서, 바이알(101)의 다이어프램(110)은 탄성 재료, 특히,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제1 양태 내지 제8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81 양태에 있어서, 바이알(101)의 격실(102)은 유체 물질(4), 의료용 액체 및 분말 형태의 물질 중 하나를 수용한다.
제1 양태 내지 제81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82 양태에 있어서, 바이알(101)은 액체 또는 분말 형태의 안구용의 의료용 멸균 제품을 수용한다.
제1 양태 내지 제82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83 양태에 있어서, 바이알(101)은 측벽(104), 바닥 벽, 및 바닥 벽(105) 반대편의 상단 가장자리(106)를 포함한다.
제83 양태에 따른 제84 양태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110)은 상단 가장자리(106)에 배치된다.
제1 양태 내지 제84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따른 제85 양태에 있어서, 바이알(101)은 내부 격실(102)을 획정하는 하우징(103)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유리로 형성된다.
제1 양태 내지 제8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86 양태에 있어서, 바이알(101)의 격실(102)은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비슷하거나 실질적으로 같거나 더 작은 체적을 갖는다.
제1 양태 내지 제8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87 양태에 있어서, 바이알(101)의 격실(102)의 체적은 3 ml 내지 15ml, 특히, 4 ml 내지 12 ml에 포함된다.
제1 양태 내지 제8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88 양태에 있어서, 조립 구성에서 조립체(100)는 용기(1)의 내부 체적(3), 바이알(101)의 격실(102), 및 연결 부속품(51)의 내부 통로(70)의 조합으로서 획정된 폐쇄 체적을 획정한다.
제1 양태 내지 제8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89 양태에 있어서, 상기 폐쇄 체적은 유밀식이다.
제1 양태 내지 제8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90 양태에 있어서, 조립 구성에 있을 때, 용기(1)의 종축선(X), 연결 부속품(51)의 연결 축선(Z) 및 바이알의 바이알 축선(V)은 서로 정렬된다.
제1 양태 내지 제9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91 양태는 변형 가능한 용기(1) 내에서 유체 물질(4)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200)으로서,
- 제1 양태 내지 제9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립체(100)를 제공하는 단계(201);
-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202);
- 조립 구성을 획정하기 위해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연결하는 단계(203);
- 내부 체적(3)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압착, 특히,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204);
-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몸체(2)의 탄성 복귀를 허용하기 위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해제하는 단계(205);
- 유체 물질(4)이 변형 가능한 용기(1) 내로 완전히 이동될 때까지 압착 단계 및 해제 단계를 선택적으로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방법(200)에 관한 것이다.
제1 양태 내지 제91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92 양태에 있어서,
-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 및
- 조립 구성을 획정하기 위해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연결하는 단계는,
바이알(101)의 격실(102)이 연결 부속품(51)을 통해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유체 연통하도록 결정한다.
제1 양태 내지 제92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93 양태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 전에,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있는 밸브(20)가 폐쇄 위치에 있다.
제1 양태 내지 제9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94 양태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는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밸브(20)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유체 통과를 허용하도록 결정한다.
제1 양태 내지 제9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95 양태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는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밸브(20)의 변형 가능한 부재(21)의 변형을 결정하며, 상기 변형으로 인해 밸브(20)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유체 통과를 허용한다.
제1 양태 내지 제9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96 양태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는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 상에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을 회전에 의해 나사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9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97 양태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연결하는 단계는,
- 바이알(101)의 상단 가장자리(106) 상에서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밀어내는 단계; 또는
-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회전에 의해 나사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9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98 양태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연결하는 단계는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에 배치된 중공형 바늘(61)을 바이알(101)의 다이아프램(110)에 관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는 중공형 바늘(61)이 바이알(101)의 격실(102)에 들어가 바이알(101)의 격실(102)을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유체 연통하도록 결정한다.
제1 양태 내지 제9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99 양태에 있어서, 용기(1)가 초기에 비어 있는 경우, 용기(1)의 내부 체적(3)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는 용기(1)의 내부 체적(3)으로부터 바이알(101)의 격실(102)로의 가스 또는 공기의 통과를 결정함으로써, 특히, 바이알(101) 내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제1 양태 내지 제9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00 양태에 있어서, 용기(1)가 초기에 의료용 액체, 즉, 식염수 또는 멸균수를 수용하는 경우, 용기(1)의 내부 체적(3)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는 용기(1)의 내부 체적(3)으로부터 바이알(101)의 격실(102)로의 상기 의료용 액체의 통과를 결정한다.
제1 양태 내지 제10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01 양태에 있어서, 용기(1)가 초기에 의료용 액체를 수용하며 바이알(101)이 초기에 분말 물질 또는 다른 농축 액체를 수용하는 경우,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는 용기(1)의 내부 체적(3)으로부터 바이알(101)의 격실(102)로의 상기 의료용 액체의 통과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격실(102)에서 의료용 액체를 상기 분말 물질 또는 농축 액체와 혼합하며, 상기 혼합이 유체 물질(4)을 생성한다.
제1 양태 내지 제101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02 양태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용기(1)를 해제하는 단계는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몸체(2)의 탄성 복귀를 초래하며, 상기 탄성 복귀는 용기(1)가 바이알(101)로부터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내부 체적(3)으로 유체 물질(4)을 흡입하는 흡입 단계를 야기한다.
제1 양태 내지 제102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03 양태에 있어서, 내부 체적(3)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 동안, 방법은 바이알(101)의 위에 변형 가능한 용기(1)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10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04 양태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몸체(2)의 탄성 복귀를 허용하기 위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해제하는 단계 동안, 방법은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위에 바이알(101)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10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05 양태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는 내부 체적(3)을 감소시킨다.
제1 양태 내지 제10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06 양태에 있어서, 방법(200)은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종축선(X)을 바이알(101)의 바이알 축선(V)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내지 제10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다른 제107 양태에 있어서, 방법(200)은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종축선(X)을 바이알(101)의 바이알 축선(V) 및 연결 부속품(51)의 연결 축선(Z)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종축선(X), 바이알 축선(V) 및 연결 축선(Z)이 서로 일치하거나 서로 평행하다.
액체의 전달을 위한 밸브를 구비한 장치의 실시예
본 실시예는 의료용 액체를 그 투여를 위해 유리 바이알로부터 다른 용기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의 분야에 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플라스틱 압착 용기의 압축을 통한 비강 스프레이, 경구 점안액, 또는 점안액으로서 투여될 액체의 전달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바닥 상에 양방향 밀봉 밸브를 구비하며 상단에 액체 디스펜서를 구비한 플라스틱 다회용 압착 용기로 구성된 장치를 포함한다. 밸브는 루어 작동식이며, 즉, 바이알 어댑터의 상단에 연결되면 개방되어 개방된 상태로 남아 있다. 후자는, 장치 밸브를 개방하며 장치 자체에 바이알 어댑터를 잠금 결합하기 위해 상부 부분에 수형 루어를 구비하는 것 외에도, 유리 바이알의 고무 스토퍼를 관통하여 내용물에 접근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부에 바늘을 구비한다. 하나의 용기로부터 다른 용기로, 예를 들어, 유리 바이알로부터 플라스틱 압착 용기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해, 바이알 어댑터가 장치 밸브와 유리 바이알 모두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렇게 조립된 시스템은 액체 전달을 위한 준비가 되며 사용자는 유리 바이알이 상단에 배치되도록 방향을 조정하여야 한다. 플라스틱 용기의 측벽을 압착하고 해제함으로써, 용기 내의 공기가 강제로 유리 바이알 안으로 들어가 그 안에 수용된 액체가 바이알 어댑터의 바늘과 개방 밸브를 통해 플라스틱 압착 용기로 흘러 들어가도록 한다.
일단 액체가 전달되고 나면, 바이알 어댑터와 유리 바이알로 구성된 유닛이 플라스틱 압착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압착 용기는 장치 밸브에 의해 밀봉된 상태로 남아 있다. 그런 다음 압착 용기는, 일단 캡이 제거되면, 그 분배 선단을 통해 스프레이 또는 액적 형태로 액체 도스를 방출하기 위한 일반적인 압착 용기로서 사용될 준비가 된다.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에서, 장치와 바이알 어댑터로 구성된 유닛은 사전 조립 상태로 공급된다. 이 실시예에서, 장치 밸브는 처음부터 개방된 채로 있거나(이미 바이알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음), 바이알 어댑터가 밀어져 유리 바이알 고무 스토퍼를 관통할 때에만 개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바이알 스토퍼를 관통하는 동시에 장치의 밸브를 개방하여 시스템이 액체 유동을 위해 연통하도록 하는 이동부가 바이알 어댑터 상단에 있어야 한다. 실시예는 또한, 유리 바이알에 수용된 분말의 재구성(또는 농축 액체의 희석)을 촉진하는데 적합하다. 이 경우, 장치의 플라스틱 압착 용기에는 희석제가 미리 채워져 있으며, 일단 유리 바이알에 연결되면, 용기가 압착되어 희석제가 바닥에 위치한 유리 바이알로 흘러들어가도록 된다. 희석제가 유리 바이알에 수용된 분말에 용해되었을 때(또는 액체가 희석되었을 때), 시스템이 뒤집혀 이제 유리 바이알이 상단에 오게 된다. 이 시점에서 처음 부분에 설명된 절차가 반복되어 유리 바이알로부터 장치의 플라스틱 압착 용기로 액체가 다시 전달된다. 실시예가 바늘이 달린 주사기의 도움 없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완전히 격리된 상태에서 하나의 용기로부터 다른 용기로의 액체 전달을 허용하여, 이에 따라 액체 자체의 미생물학적 품질을 보존하는 방법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염 위험을 더욱 줄이기 위해, 장치의 디스펜서는 다회용의 무방부제 멸균 액체(예를 들어, 특허 WO2014048668A1에서와 같이 점안액)를 분배하도록 설계된 시판 장치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장치 밸브에 연결될 바이알 어댑터 또한 시판되고 있는 멸균 필터가 장착된 것 중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의 일 예가 아래에 설명된다: (A) 조합될 준비가 된 3개의 요소, 즉, 디스펜서와 양방향 루어 작동식 밸브가 장착된 플라스틱 압착 용기, 바이알 어댑터 및 전달될 액체를 수용한 유리 바이알로 구성된 장치. 용기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스프레이나 액적용 디스펜서처럼, 압착 가능한 측벽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휴지 상태의 루어 작동식 밸브의 이동 요소가 용기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완전히 격리된 상태로 유지한다. 바이알 어댑터는 그 상단에 장치 밸브를 개방할 수형 루어 커넥터 및 어댑터를 밸브에 잠금 결합할 루어 잠금부 모두를 구비하며, 그 기부에는 바이알의 고무 스토퍼를 뚫을 바늘을 구비한다. (B) 서로 연결된 동일한 3개의 요소. 이 구성에서는, 장치의 개방 밸브에서 장치의 변형된 이동 요소 및 유리 바이알의 고무 스토퍼를 뚫은 어댑터의 바늘을 볼 수 있다. 플라스틱 압착 용기의 벽을 눌렀다가 해제함으로써, 용기에 수용된 공기가 유리 바이알 내로 밀려들어가, 액체가 중력에 의해 어댑터의 바늘과 개방 밸브를 통해 아래의 플라스틱 용기로 떨어지게 된다. (C) 이제 처음에 유리 바이알에 수용되었던 액체를 수용하는, 장치로부터 분리된 바와 같은 유리 바이알에 연결된 바이알 어댑터로 구성된 유닛. 이제 밸브는 휴지 위치에 있으며 플라스틱 용기를 밀봉된 상태로 유지한다. 그런 다음 장치는 디스펜서로부터 캡을 제거하여 액체를 스프레이 또는 액적 형태로 방출함으로써 보통 일반적인 압착 다회용 용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C') 예를 들어, 생성된 액체를 용기로 다시 전달하기 전에 내용물을 재구성하거나 희석하기 위해 장치가 또한 플라스틱 용기로부터 유리 바이알로의 희석제의 전달을 허용하는 방법. 이 작업은 항상 용기의 벽을 눌렀다 해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용기는 바이알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이로 인해 희석제가 중력에 의해 바이알 자체로 떨어지게 될 것이다. 프로세스 종료 시에 시스템을 거꾸로 뒤집으면 구성(B)으로 돌아간다. (D) 스페이서가 장착된 장치와 바이알 어댑터가 단일 블록으로 사전 조립되는 본 발명의 변형예. 스페이서 요소는 밸브를 개방하지 않고 수정된 루어의 잠금 탭을 통해 바이알 어댑터에 연결된 장치를 유지하며, 따라서 밸브는 휴지 위치에 있다. (E) 이미 바이알 어댑터와 연결된 유닛이 유리 바이알에 연결되는, (D)에 설명된 상이한 실시예. 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해 가해진 압력이 또한 밸브를 개방하며, 전술한 바와 같은 액체의 통과를 허용한다. 탭은 시스템을 새로운 구성으로 잠금 결합하며 밸브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F) (C)와 유사하게, 이제 액체를 수용하며 정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치로부터 분리된, 유리 바이알과 상기 요소 모두에 연결된 수정된 어댑터로 구성된 유닛.
제1 조합에 있어서, 일 단부에 디스펜서가 그리고 타단부에 바이알 어댑터에 연결된 때에만 개방되는 양방향 루어 작동식 밀봉 밸브가 장착되어, 압착 용기의 탄력적인 벽을 눌렀다 해제함으로써 세 가지 뚜렷한 작업; - 내용물을 재구성하거나 희석하려는 경우, 용기로부터 어댑터에 연결된 유리 바이알로 액체를 밀어 넣으며, - 어댑터에 연결된 바이알로부터 액체를 흡입하며, 어댑터가 밸브로부터 분리되고 나면, - 디스펜서를 통해 다회용의 액체를 방출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압착 다회용 용기로 구성된 액체 준비 및 투여용 장치가 제공된다.
제1 조합에 따른 제2 조합에 있어서, 밸브의 고정부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또는 기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며, 밸브의 이동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폴리머,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의 단일 요소로 구성되거나, 고무 또는 실리콘 요소 및 금속 또는 플라스틱 스프링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조합 또는 제2 조합에 따른 제3 조합에 있어서, 압착 용기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기타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 또는 탄력적인 플라스틱 재료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제1 조합 내지 제3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4 조합에 있어서, 압착 용기는 밸브가 열 밀봉되거나 접착되는 튜브이다.
제1 조합 내지 제4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5 조합에 있어서, 디스펜서는 스프레이 또는 액적의 형태로 약품 또는 기타 액체를 방출한다.
제1 조합 내지 제5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6 조합에 있어서, 디스펜서는,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각각의 분배 시에 자체 밀봉이 이루어지는 막, 및/또는 분배할 액체와 접촉하여 멸균 처리하는 요소가 장착된, 다회용의 무방부제 멸균 액체의 분배를 허용하는 유형이다.
제1 조합 내지 제6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7 조합에 있어서, 제1 조합에 설명된 바이알 어댑터는 유리 바이알의 고무 스토퍼를 관통하기 위한 목적의 중공형의 뾰족한 요소 및 반대측 상의, 장치의 밸브와 비슷한 수형 루어 커넥터 및 루어 잠금부를 구비한다.
제1 조합 내지 제7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8 조합에 있어서, 제7 조합에 설명된 바이알 어댑터는 오염된 액체 또는 공기가 용기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멸균 필터를 포함한다.
제1 조합 내지 제8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9 조합에 있어서, 장치는 바이알 어댑터에 사전 조립되어, 사용자는 단일 작업을 통해 이와 같이 구성된 전체 유닛을 유리 바이알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조합 내지 제9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0 조합에 있어서, 플라스틱 스페이서는 바이알 어댑터와 장치가 사전 조립됨으로써 장치의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어댑터가 유리 바이알에 연결될 때까지 밸브가 폐쇄 상태로 남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 및 일부 양태가 단지 예시 목적으로 제공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 도 1은 분해 상태의 변형 가능한 용기, 연결 부속품 및 바이알의 종축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 도 2는 조립 구성의 변형 가능한 용기, 연결 부속품 및 바이알의 종축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 도 3은 액체가 바이알로부터 전달되고 나면 용기가 연결 부속품 및 빈 바이알로부터 분리되는 조립 구성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변형 가능한 용기, 연결 부속품 및 바이알의 종축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 도 4는 분해 상태의 변형 가능한 용기, 연결 부속품 및 바이알의 추가의 실시예의 종축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 도 5는 변형 가능한 용기, 연결 부속품 및 바이알이 조립 구성에 있는, 도 4의 추가의 실시예의 종축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 도 6은 액체가 바이알로부터 전달되고 나면 용기가 연결 부속품 및 빈 바이알로부터 분리되는, 조립 구성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도 4의 추가의 실시예의 종축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 도 7은 분해 상태의 변형 가능한 용기, 연결 부속품 및 바이알의 추가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 도 8은 변형 가능한 용기와 연결 부속품을 결합 구성으로 수용하는 포장재를 보여주며;
- 도 9는 변형 가능한 용기를 수용하는 패키지 및 연결 부속품을 수용하는 추가의 포장재를 보여주며;
- 도 10a 내지 도 10f는 용기가 초기에 비어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가능한 용기 내의 유체 물질을 획득하기 위한 주요 단계를 나타내며;
- 도 11a 내지 도 11m은 용기가 초기에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가능한 용기 내의 유체 물질을 획득하기 위한 주요 단계를 나타내며;
- 도 12는 변형 가능한 용기 내의 유체 물질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의 주요 단계를 포함하는 흐름도이며;
- 도 13a 내지 도 13f는 변형 가능한 용기가 재구성 또는 희석용 액체를 수용하며 바이알이 분말 또는 액체 농축액을 수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 가능한 용기 내의 유체 물질을 획득하기 위한 주요 단계를 나타낸다.
정의
본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도면에 도시된 대응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도면은 실제 크기 비율이 아닌 표현을 통해 본 발명을 예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과 관련하여 도면에 도시된 부분 및 구성 요소는 개략적인 표현에만 관련될 수도 있다.
상세 설명
이하의 개시 내용은 변형 가능한 용기(1) 및 변형 가능한 용기(1)와 연결 부속품(51)을 포함하는 키트(50)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또한, 변형 가능한 용기(1), 연결 부속품(51) 및 바이알(101)을 포함하는 조립체(100)를 개시한다. 또한, 설명은 연결 부속품(51)을 통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바이알(101)에 유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200)을 추가로 개시한다. 변형 가능한 용기(1), 키트(50) 및 조립체(100)는 약물 투여를 위한 의료 분야에 속한다. 특히, 변형 가능한 용기(1), 키트(50) 및 조립체(100)는 가정용으로 약국에서 판매될 수도 있다. 특히, 변형 가능한 용기(1), 키트(50) 및 조립체(100)는 환자 스스로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의료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사용될 필요는 없다. 변형 가능한 용기(1), 키트(50) 및 조립체(1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액체 형태의 의료 물질(4)을 분배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질은 안구용 제품일 수도 있으며, 변형 가능한 용기(1)는 용액을 수용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시간 간격을 두고 이산량으로 용액을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즉, 여러 번의 전달): 특히, 변형 가능한 용기(1)에 수용된 안구용 제품은 액적 형태로 분배될 수도 있다. 유체 물질(4)은 중등도(지속성 상피 결함) 또는 중증(각막 궤양) 신경영양성 각막염의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유체 물질은 세네게르민(Cenegermin) 용액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세네게르민 용액은 신경영양성 각막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멸균성 무방부제 약제이다. 신경영양성 각막염은 눈 표면을 공급하는 삼차 신경이 손상되어 감각 상실과 자연 치유되지 않는 병변을 유발하는 눈 질환이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 가능한 용기(1)는 의료용 물질을 스프레이 형태로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변형 가능한 용기(1), 키트(50) 및 조립체(100)의 구조와 관련된 세부 사항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변형 가능한 용기(1)
도면 부호 1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변형 가능한 용기(1)는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체적(3)을 획정하는 몸체(2)를 포함한다. 몸체(2)는 제1 단부 부분(5), 제2 단부 부분(6), 및 제1 단부 부분(5)과 제2 단부 부분(6)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개재된 측벽(7)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단부 부분(5)과 제2 단부 부분(6)은 측벽(7)에 대해 서로 대향할 수도 있다. 몸체(2)의 측벽(7)은 길이가 측벽(7)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종축선(X)을 따라 연장된다. 종축선(X)은 제1 단부 부분(5) 및 제2 단부 부분(6)에 직교할 수도 있다. 몸체(2)의 폭이 종축선(X)에 직교하는 횡축선(Y)을 따라 연장된다. 특히, 측벽(7)은 몸체(2)의 최대 폭을 획정할 수도 있다. 제1 단부 부분(5)과 제2 단부 부분(6)은 실질적으로 횡축선(Y)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몸체(2)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 제1 단부 부분(5)과 제2 단부 부분(6)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측벽(7)은 원통형 형상을 가져,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몸체(2)의 직경을 정의한다. 대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특히, 종축선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은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 즉,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을 갖는 측벽(7)을 획정할 수도 있다. 몸체(2)는 장방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종축선을 따른 길이가 횡축선을 따른 개개의 폭보다 더 크다. 특히, 길이가 폭의 적어도 1.5배일 수도 있으며, 특히, 길이가 상기 폭의 적어도 2배일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길이가 폭의 적어도 3배 또는 5배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2)의 길이는 몸체의 폭의 1.5배 내지 5배, 특히, 2배 내지 4배일 수도 있다.
용기의 몸체(2)는 길이가 20 mm 내지 90 mm, 특히 30 mm 내지 60 mm로 연장될 수도 있다. 용기의 몸체(2)는 폭 또는 직경이 5 mm 내지 30 mm, 특히 10 mm 내지 25 mm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 즉, 몸체(2)의 측벽(7)은 0.5 mm 내지 0.9 mm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몸체(2)의 내부 체적(3)은 일반적으로 3 ml보다 크며; 이것은 특히 압착되지 않은 휴지 상태에서 3 ml 내지 15 ml, 더욱 특히 4 ml 내지 12 ml의 범위일 수도 있다.
특히, 몸체(2)는 내부 체적(3)의 범위를 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을 포함한다. 특히, 변형 가능한 벽은 몸체(2)의 측벽(7)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변형 가능한 벽은 측벽(7)에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몸체의 제1 단부 부분(5) 및/또는 제2 단부 부분(6)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몸체는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적어도 측벽(7)과 제2 단부 부분(6)은 단일편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다 특히, 몸체는 단일편으로서, 특히 이음매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다른 가요성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폴리에틸렌, 즉, LDPE가 사용된다.
몸체(2)는 사출 성형 또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표현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elastically deformable)"은 몸체(2)의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벽을 지칭하며, 변형 가능한 벽이 사용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압착된 후 원래의 형상, 예를 들어, 원래의 원통형 형상으로 실질적으로 복귀할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변형 가능한 용기의 몸체(2)는 압착 후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구성되며: 원래 형상이 원통형 형상일 수도 있다. 사실, 특히 용기에 외부 하중이 없을 때, 예를 들어, 용기가 사용자에 의해 압착되지 않을 때, 변형 가능한 용기는 미리 정의된 크기의 내부 체적을 획정하는 휴지 시의 원래 형상을 갖는다.
특히, 용기(1)의 내부 체적(3)은 유체 물질의 존재 또는 부재와 실질적으로 무관하다: 사실, 용기 내부의 유체의 존재는 용기 자체를 팽창시키지 않으며, 유체의 부재가 용기의 붕괴를 초래하지도 않는다. 변형 가능한 용기의 몸체(2)는 사용자에 의해 몸체가 압착될 때 내부 체적의 감소된 크기를 정의하는 압착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특히, 내부 체적의 감소된 크기는 내부 체적의 미리 정의된 크기보다 작다. 사실상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사용자가 압착하면 원래의 형상이 변하고, 내부 체적의 크기가 감소된다.
몸체(2)를 제조하기 위해 위에서 언급한 재료, 즉,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유사한 기계적 및 탄성 특성을 갖는 기타 재료는 몸체가 이러한 탄성 및 변형 가능한 거동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몸체(2)는 몸체(2)의 내부 체적(3)을 충전하기 위한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접근부(8)를 포함한다. 충전 접근부(8)는 몸체(2)에 구멍을 획정하여 내부 체적(3)과의 유체 연통을 허용함으로써, 유체가 충전 접근부(8)를 통해 내부 체적(3)으로부터 빠져나갈 수도 있으며 및/또는 유체 물질이 사용자 필요에 따라 후속 분배를 위해 충전 접근부(8)를 통해 내부 체적(3)에 들어갈 수도 있다. 변형 가능한 용기의 충전 절차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설명의 다음 섹션에서 이후 제공된다. 충전 접근부(8)는 최소 크기, 즉, 3.5 mm 내지 5 mm에 포함된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접근부(8)는 몸체(2)의 제1 단부 부분(5)에 의해 지탱될 수도 있다. 충전 접근부(8)는, 특히, 제1 단부 부분(5)으로부터 시작하여 내부 체적(3)으로부터 멀리 돌출하여 칼라(9)를 획정할 수도 있다. 칼라는 2 mm 내지 5 mm에 포함된 높이로 제1 단부 부분(5)으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칼라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칼라에 의해 내부적으로 획정된 내강은 3.5 mm 내지 5 mm에 포함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칼라(9)는 연결 부속품(51)에 대한 연결을 위한 부착 요소(9a)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부착 요소는 나사산, 베이어닛 커플링, 및 스냅-온 커플링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연결 부속품(51)으로의 연결을 위한 외부 나사산을 구비한 충전 접근부(8)의 칼라(9)를 포함한다. 특히, 용기(1)의 칼라(9)와 몸체(2)는 함께 조립된 2개의 별개의 조각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용기(1)의 칼라(9)와 몸체(2)가 단일편으로서, 특히 이음매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충전 접근부(8)는 연결 부속품(51)에 대한 연결을 위한 루어 커넥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충전 접근부(8)의 루어 커넥터는 첨부 도면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루어 커넥터일 수도 있다.
변형 가능한 용기(1)는 충전 접근부(8)에 배치되며, 밸브(20)가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구성과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방지하는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20)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밸브(20)는 개방 위치에 배치될 때 유체가 충전 접근부(8)를 통해 용기(1)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또한 충전 접근부(8)를 통해 용기(1)의 내부 체적(3)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한다. 다시 말해, 밸브(20)는 개방 위치에 배치될 때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 모두로의 유체 통과를 허용한다. 반대로, 밸브는 폐쇄 위치에 배치될 때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 모두로의 유체 통과를 방지한다. 특히,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또는 그 반대의 통과는 몸체(2)의 내부 체적(3) 내부의 압력에 좌우되지 않으며: 밸브(20)는 내부 압력을 가함으로써 개방 가능하지 않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20)는 충전 접근부의 칼라(9)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므로, 칼라(9)가 밸브(20)를 외부적으로, 특히 전체적으로 둘러싼다. 따라서, 밸브(20)는 밸브에 대한 측면 보호부를 획정하는 칼라(9)에 의해 외부적으로 전체적으로 둘러싸일 수도 있다.
밸브(20)는 휴지 상태에서 폐쇄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자체 밀봉 밸브일 수도 있다: 따라서, 밸브는 "손대지 않은(untouched)”는 폐쇄 부분에 있을 때 유체가 충전 접근부(8)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며, 실제로 용기를 밀봉한다. 밸브(20)는 연결 부속품(51)이 변형 가능한 용기의 충전 접근부(8)에 결합될 때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충전 접근부(8)와 연결 부속품(51) 사이의 연결은 밸브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밸브의 전환을 결정한다. 반대로, 충전 접근부(8)와 연결 부속품(51) 사이의 분리는 밸브(20)의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전환을 결정한다.
밸브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통과를 결정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재(21)를 수용하는 외부 몸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특히,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와 연결 부속품(51)의 연결에 의해 야기되는 변형 가능한 부재(21)의 변형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및 그 반대의 통과를 결정한다. 변형 가능한 부재(21)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고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외부 몸체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변형 가능한 부재와 외부 몸체 모두 개개의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도 있다. 밸브(20)의 변형 가능한 부재(21)는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에 결합할 때 유체 통로를 개방하며 충전 접근부(8)가 분리될 때 유체 통로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슬릿(22)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밸브(20)의 변형 가능한 부재(21)는 충전 접근부(8)가 연결 부속품(51)에 결합될 때 변형되도록 구성되므로, 이러한 변형이 슬릿(22)을 개방되도록 한다. 밸브(20)의 개방 위치 활성화를 허용하는 연결 부속품(51)의 구조에 대한 추가의 세부 사항은 키트(50)와 관련된 다음 섹션에서 제공된다.
용기의 몸체(2)는 내부 체적(3)으로부터 일정량의 유체 물질(4)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분배 유출구(10)를 추가로 포함한다. 분배 유출구(10)는 몸체(2)의 제2 단부 부분(6)에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몸체(2)의 제2 단부 부분(6)이 분배 유출구(10)를 지탱할 수도 있어, 측벽(7)이 제1 단부 부분(5)과 제2 단부 부분(6)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개재된다. 선택적으로, 충전 접근부(8)와 분배 유출구(10)는 용기(1)의 몸체(2)의 측벽(7)에 대해 서로 대향할 수도 있다: 특히, 충전 접근부(8)와 분배 유출구(10)는 몸체(2)의 종축선(X)에 평행한 공통 축선을 따라 정렬되거나, 몸체(2)의 종축선(X)을 따라 정렬될 수도 있다.
설명의 시작 부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용기(1)는, 예를 들어, 액적 또는 스프레이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유체 물질을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분배 모드, 즉, 액적 또는 스프레이와 무관하게, 분배 유출구(10)는 개개의 개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유체 용액(4)의 복수의 이산 체적량을 분배하도록 구성되며: 이산량은 이산 시간 간격으로 전달 가능할 수도 있다. 용어 "이산(discrete)"은 유체 물질의 2번의 후속 운반 사이에 시간 간격이 개재됨을 나타낸다: 시간 간격은 분배 유출구(10)가 물질 액적을 분배하는 빈도 또는 치료 빈도를 정의할 수도 있다. 보다 일반적인 용어로서, 용어 "이산"은 분배 유출구(10)가 "한번 이상”의 운반 물질을 분배하도록 구성됨을 나타낸다. 특히, 분배 유출구(10)는 용기(1)의 내부 체적(3)에 포함된 전체 물질을 한 번에 분배하는 것을 방지한다: 분배 유출구(10)는 운반을 여러 번으로, 즉, 복수의 이벤트로 분할하도록 구성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용기(1)는 저장 기간, 예를 들어, 1일 내지 28일, 일반적으로 적어도 1주 또는 2주 동안 유체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이 동안 분배 유출구(10)는, 예를 들어, 저장 기간 동안 하루에 한 번, 두 번 또는 세 번 이상 사용자 필요에 따라 이산량의 유체 물질을 분배한다.
예를 들어, 용기 내의 의료용 유체는 0.5 ml 내지 10 ml의 범위일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변형 가능한 용기로 전달되는 의료용 유체는 2 ml 내지 6 ml이다.
따라서, 몸체(2)의 내부 체적(3)은 내부로 전달되는 의료용 유체의 총량보다 더 크며, 분배 유출구(10)에 의해 매번 분배되는 각각의 이산 체적량보다 더 크다: 내부 체적(3)은 전달된 유체의 체적보다 적어도 5배 또는 10배 또는 20배 더 크며, 특히, 내부 체적(3)은 전달된 유체의 체적보다 적어도 30배 더 크며; 더욱이 내부 체적(3)은 5회 내지 500회의 이산 체적량의 분배를 허용할 수도 있다. 분배 유출구(10)에 의해 분배되는 유체 물질의 각각의 이산 체적량은 0.020 ml 내지 0.2 ml에 포함된다.
용기는 분배 유출구(10)에 연결되거나 연결되도록 구성된 분배 부속품(1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분배 부속품(11)은 몸체(2)와는 별개의 구성 요소일 수도 있으며 몸체(2)에 제조 중에 조립될 수도 있다. 분배 부속품(11)은 점적기 또는 스프레이 노즐일 수도 있다. 분배 부속품(11)은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 또는 스냅-온 커플링을 통해 용기(1)의 몸체(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 부속품(11)은 하우징(12) 및 하우징(12)의 내부에 배치된 내부 막(13)을 포함하는 점적기이며, 내부 막(13)은 유체 물질(4)의 개별 액적을 분배하기 위한 밸브(20)로서 작용한다. 막(13)은 밀봉 위치와 전달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밀봉 위치에서, 막(13)은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분배 유출구(10)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한다: 특히, 유체 물질이 용기의 분배 유출구(10)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전달 위치에서, 막(13)은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분배 유출구(10)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며: 따라서, 이산량의 유체 물질이 용기의 분배 유출구(10)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허용된다.
하우징(12)은 분배 부속품(11)의 외부 구조를 획정하며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2)은 용기의 몸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하우징(12)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막(13)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고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막(13)은 용기(1)의 몸체(2)의 종축선(X)에 평행하거나 일치할 수도 있는 분배기 축선을 따라 밀봉 위치와 전달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분배 부속품(11)은 밀봉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막(13)에 대해 편향되는 탄성 부재(14)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탄성 부재(14)는 금속 스프링일 수도 있다. 탄성 부재(14)는 용기(1)의 내부 체적 내부의 미리 정의된 압력에 기초하여 막이 밀봉 위치로부터 전달 위치로 전환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용기(1) 내부의 압력은 몸체(2)를 압착함으로써 증가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몸체(2)의 측벽(7)을 압착할 수도 있으므로, 내부 압력은 밀봉 위치로부터 전달 위치로의 전환을 결정하는 임계값을 초과하여 증가한다. 대안으로서, 탄성 부재(14)가 막(13)의 일부일 수도 있어, 탄성 부재(14)와 막(13)은 단일편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막의 탄성 재료는 밀봉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탄성 부재(14)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 유출구(10)는 몸체와 단일편으로 형성된 점적기이다(첨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
용기는 분배 유출구(10)에 배치 가능하며 덮인 위치에서 덮이지 않은 위치로 및 그 반대로 이동 가능한 캡(15)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덮인 위치에서, 캡(15)은 분배 유출구(10)를 덮어 분배 유출구(10)를 보호하며 멸균 상태로 유지한다. 특히, 캡(15)은 덮인 위치에 배치될 때 분배 유출구(10) 또는 분배 부속품(11)에 유밀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캡(15)이 덮이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분배 유출구(10)는 덮여 있지 않아 액체 물질 운반을 허용한다.
특히, 용기(1)의 내부 체적(3)이 원래 어떠한 물질도 없이 비어 있을 수도 있으며, 즉, 용기(1)가 판매 시에 비어 있을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용기(1)의 내부 체적(3)이 원래 의료용 액체, 즉, 식염수 또는 멸균수로 채워져 있을 수도 있다. 용기(1)에 수용된 의료용 액체의 양은 내부 체적의 최대 크기보다 작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용기는 내부 체적(3)의 최대 크기의 1/10, 1/3, 1/2 또는 2/3까지 채워져 있을 수도 있다.
키트(50)
본 개시는 추가로 키트(50)에 관한 것이다. 키트는 설명의 선행 섹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양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따른 변형 가능한 용기(1)를 포함한다. 키트(50)는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연결되거나 연결되도록 구성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연결 부속품(51)을 추가로 포함한다. 연결 부속품(51)은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커플링 부분(52)을 포함한다. 연결을 위해,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은 용기의 충전 접근부(8)의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 부분(부착 요소(9a))에 대한 연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와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은 상호 결합을 허용하는 스냅-온 커플링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은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루어 커넥터에 대한 연결을 위한 루어 커넥터를 포함한다. 특히,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의 루어 커넥터는 수형 루어 커넥터일 수도 있는 반면,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루어 커넥터는 암형 루어 커넥터일 수도 있다.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의 수형 루어 커넥터는 결합 구성에 있을 때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밸브(20)에 맞대어져, 밸브(20)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돌출부(54)를 포함한다. 결합 구성은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이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결합될 때 정의된다. 특히, 돌출부(54)는 결합 구성에 있을 때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밸브(20)의 변형 가능한 부재(21)에 맞대어진다. 돌출부(54)는 결합 구성에 있을 때 밸브(20)의 변형 가능한 부재(21)의 슬릿(22) 내로 관통함(또는 임의의 경우 변형됨)으로써, 슬릿을 개방하여 이에 의해 개방 유체 통로를 획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이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결합될 때, 연결 부속품의 돌출부(54)는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칼라(9)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특히,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이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결합될 때 용기(1)의 칼라(9)가 연결 부속품의 돌출부(54)를 완전히 둘러쌀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밸브(20)의 변형 가능한 부재(21)는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이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결합될 때 칼라(9)와 돌출부(54)의 사이에서 압착, 특히, 개재될 수도 있다. 특히, 키트(50)가 결합 구성에 있을 때 용기(1)의 밸브는 개방 구성에 있다: 따라서, 용기(1)의 내부 체적과 연결 부속품의 제1 커플링 부분(52) 사이의 유체 연통은 키트(50)가 결합 구성에 있을 때에만 허용된다.
연결 부속품(51)은 바이알(101)의 내부 격실(102)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커플링 부분(60)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것은 조립체(100)와 관련된 다음 섹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된다. 제2 커플링 부분(60)은 연결 부속품(51)의 내부 통로(70)를 통해 제1 커플링 부분(52)과 유체 연통한다. 제1 커플링 부분(52)과 제2 커플링 부분(60)의 사이에 내부 통로(70)가 개재된다. 특히, 제1 커플링 부분(52)과 제2 커플링 부분(60)은 공통 연결 축선(Z)을 따라 정렬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커플링 부분(52), 제2 커플링 부분(60) 및 내부 통로(70)는 동일한 연결 축선(Z)을 따라 정렬될 수도 있다. 연결 축선(Z)은 직선이다.
따라서, 제1 커플링 부분(52), 제2 커플링 부분(60) 및 연결 부속품(51)의 내부 통로(70)는 조합하여, 바이알(101)의 내부 체적과 용기(1)의 내부 체적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유체 통로를 획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통로를 통과하는 액체를 여과하기 위해 멸균 필터가 내부 통로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멸균 필터는 전달 동안 오염 위험을 더욱 감소시킨다.
제1 커플링 부분(52)은 제1 커플링 부분(52)의 돌출부(5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적으로 둘러싸는 칼라(55)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커플링 부분(52)의 칼라(55)는 높이가 제2 커플링 부분(60)으로부터 멀리 연결 축선(Z)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특히, 제1 커플링 부분(52)의 칼라(55)는 연결 축선(Z)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커플링 부분(52)의 칼라(55)는 충전 접근부(8)의 칼라(9)의 부착 요소(9a)에 대한 연결을 위한 부착 요소(55a)를 구비할 수도 있다. 부착 요소(55a)는 나사산, 베이어닛 커플링, 스냅-온 커플링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나사산은 제1 커플링 부분(52)의 칼라(55)의 내부 벽 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나사산은 돌출부(54)에 대면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커플링 부분(52)의 칼라(55)는 결합 구성에 있을 때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칼라(9)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1 내지 도 3 및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속품(51)은, 예를 들어, 사출에 의해 형성된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단일편이다.
연결 부속품의 추가의 실시예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연결 부속품(51)은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의 칼라(55)를 용기(1)의 칼라(9)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커넥터(56)를 포함한다. 커넥터(56)는 연결 부속품(51)의 칼라(55)에 대해 별개의 구성 요소이다. 커넥터(56)는 연동 결합 또는 접착제에 의해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의 칼라(55)에 연결된다. 커넥터(56)는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의 칼라(55)를 외부적으로 둘러싼다. 또한, 커넥터(56)는 결합 구성에 있을 때 용기의 칼라(9)를 외부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특히, 커넥터(56)는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의 칼라(55)의 외부 표면과 용기(1)의 칼라(9)의 외부 표면에 구속되도록 구성된 내부 표면을 획정하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은 바이알(101)에 대한 연결을 위한 중공형 바늘(61)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바늘(61)은 바이알(101)의 격실(102)과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기 위해 중공형이다. 따라서, 연결 부속품(51)은 바늘(61), 내부 통로(70), 및 제1 및 제2 커플링 부분(52, 60)을 통한 유체 통로를 획정한다. 바늘(61)은 연결 축선(Z)을 따라 정렬될 수도 있다. 바늘(61)은 게이지, 즉, 내강의 직경이 0.83 mm 내지 0.32 mm에 포함된 G18 내지 G24 중 하나일 수도 있다. 물론, 다른 바늘이 사용될 수도 있다. 바늘이 부속품의 전체 수직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며 찔릴 위험이 감소되도록 바늘의 길이는 유리 바이알 상단과 결합된 칼라(62)의 높이보다 낮다. 바늘은 4 mm 내지 10 mm에 포함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바늘(61)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즉, 제1 커플링 부분(52), 제2 커플링 부분(60) 및 내부 통로(70)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바늘(61)이 금속, 즉,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은 바늘(61)을 둘러싸고 있는 칼라(62)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칼라(62)는 연결 부속품(51)을 바이알(101)에 기계적으로 구속하기 위해 바이알(101)의 개개의 부분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의 칼라(62)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알에 대한 연결을 위한 스냅-온 커플링을 획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플링 부분(60)의 칼라(62)는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결합하는 동안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구성된 2개 이상의 가요성 벽 또는 핑거(63)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연결 부속품(51)은 3개 내지 12개의 가요성 벽 또는 핑거(63), 특히, 4개 내지 8개의 가요성 벽 또는 핑거(63)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요성 벽 또는 핑거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가요성 벽 또는 핑거가 금속,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속품(51)이 단일편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조립체(100)
본 개시는 또한,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조립체(100)는 용기(1), 연결 부속품(51) 및 바이알(101)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조립체(100)는 키트(50) 및 바이알(101)을 포함한다. 조립체(100)는 사용자(제품을 적용하는 사람), 예를 들어, 환자 또는 환자에게 약물을 분배하는 사람이 바이알(101)의 격실(102)에 수용된 물질을 용기(1)의 내부 체적(3)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바이알(101)은 유체 물질(4), 의료용 액체, 또는 분말 형태의 물질을 수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이알(101)은 액체 또는 분말 상태의 안구용 제품을 수용할 수도 있다.
바이알(101)은 내부 격실(102)을 획정하는 하우징(103)을 포함한다. 하우징(103)은 유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것은 내부 물질의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03)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대안으로서 하우징이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유리 약제 바이알은 일반적으로 고무 마개와 고무 마개를 막는 알루미늄 링을 구비한다. 이들은 또한, 캡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종종 플라스틱 플립-오프(flip-off) 기능을 갖는다. 바이알의 격실(102)은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비슷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체적을 가질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내부 체적(3)이 격실(102)의 체적보다 더 클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체적이 격실(102)의 체적보다 1.5배 또는 5배 더 클 수도 있다. 특히, 바이알의 격실(102)의 체적은 3 ml 내지 15 ml, 특히, 4 ml 내지 12 ml에 포함될 수도 있다. 바이알(101)의 하우징(103)은 측벽(104), 바닥 벽(105), 및 바닥 벽(105) 반대편의 상단 가장자리(1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측벽은 바이알 축선(V)을 따라 바닥 벽과 상단 가장자리(106) 사이의 길이로 연장된다. 바이알이 원통형 형상을 가질 때, 바이알 축선은 원통형 축선이다.
바이알은 연결 부속품(51)의 바늘(61)이 관통 가능한 다이어프램(110)을 추가로 포함하며: 다이어프램(110)은 하우징(103)의 상단 가장자리(106)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이어프램(110)은 바이알 축선에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도 있다. 바이알의 다이어프램(110)은 탄성 재료, 즉,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이어프램(110)은 유밀 방식으로 바이알(101)의 상단 가장자리(106)에 구속되어, 바이알(101)에 수용된 유체가 보존된다: 따라서, 바이알(1)의 격실(102)은 연결 부속품의 바늘(61)이 격실 내로 다이어프램(110)을 관통하기 전에 기밀 방식으로 폐쇄된다.
조립체(10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조립 구성으로 구성 가능하며, 여기서 변형 가능한 용기(1)와 연결 부속품(51)은 결합 구성에 있으며,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은 바이알에 연결된다. 특히,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은 가요성 벽 또는 핑거(63)를 통해 바이알(101)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0d, 도 10e 및 도 11g 내지 도 11l은 또한, 조립 구성의 조립체(100)를 보여준다.
조립 구성에서, 연결 부속품(51)의 바늘(61)이 바이알(101)의 다이어프램(110)을 통과한다. 따라서, 조립 구성에서는,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내부 체적(3)이 연결 부속품(51)을 통해 바이알(101)의 격실(102)과 유체 연통한다. 특히, 조립체(100)는 조립 구성에 있을 때 용기(1)의 내부 체적(3), 바이알(101)의 격실(102), 및 연결 부속품(51)의 내부 통로(70)의 조합으로서 획정된 폐쇄 체적을 획정한다.
특히, 조립 구성에서, 바이알(101), 변형 가능한 용기(1) 및 연결 부속품(51)은 공통 축선을 따라 정렬되며, 연결 부속품(51)은 이 공통 축선을 따라 바이알과 용기의 사이에 개재된다. 공통 축선은 변형 가능한 용기의 종축선(X)과 일치할 수도 있다. 특히, 조립 구성에 있을 때, 바이알(101)의 바이알 축선(V)은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종축선과 일치할 수도 있다. 더욱 특히, 조립 구성에 있을 때, 바이알(101)의 바이알 축선(V)은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종축선 및 연결 부속품(51)의 연결 축선(Z)과 일치할 수도 있다.
방법(200)
본 개시는 추가로, 바이알(101)로부터 용기(1)로 의료용 용액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200)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방법(200)은 전술한 변형 가능한 용기(1) 내의 유체 물질(4)을 이동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방법(200)의 다수의 단계를 흐름도로 보여준다. 또한, 도 10, 도 11 및 도 13은 방법 단계를 차례로 나타낸다.
방법(200)은 전술한 설명에 따라 조립체(100)를 제공하는 단계(201)(도 10a, 도 10b 및 도 11a, 도 11b 참조)를 포함한다. 특히, 방법(200)은 변형 가능한 용기(1), 연결 부속품(51) 및 바이알(101)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1)에서, 용기(1)는 도 1 내지 도 3, 도 5, 도 8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는 비어 있을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단계(201)에서, 용기(1)는 초기에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액체(4a), 즉, 식염수 또는 멸균수를 수용할 수도 있다. 단계(201)에서, 바이알(101)은 유체 물질(4), 의료용 액체 및 분말 물질 중 하나를 수용한다. 용기(1)의 의료용 액체(4a)와 바이알(101)의 분말 물질 사이의 혼합은 사용자에게 후속하여 운반될 유체 물질(4)을 생성한다. 분명하게는, 바이알(101)이 대안으로서 변형 가능한 용기에 포함된 희석제에 의해 희석되어야 하는 액체 농축물도 수용할 수도 있다. 분말 형태의 물질은 동결 건조된 물질일 수도 있다.
단계(201)는 제조 후, 즉, 운송 및 보관 중에 변형 가능한 용기(1)를 보호하도록 구성된 포장재(300)(도 10b 및 도 11b 참조)로부터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201)는 제조 후, 즉, 운송 및 보관 중에 연결 부속품(51)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추가의 포장재(301)(도 10b 및 도 11b 참조)로부터 연결 부속품(51)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201)는 제조 후, 즉, 운송 및 보관 중에 바이알(101)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포장재로부터 바이알(101)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단계(201)에서, 용기(1) 및 연결 부속품(51)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포장재에 수용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용기(1) 및 연결 부속품(51)은 결합되지는 않지만 동일한 포장재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추가의 대안의 실시예에서, 단계(201)에서, 용기(1) 및 연결 부속품(5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패키지(302)에 결합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202)(도 10c 및 도 11d, 도 11e 참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202)는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밸브(20)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유체 통과를 허용하도록 결정한다. 특히, 단계(202)는 용기의 밸브(20)의 변형 가능한 부재(21)의 변형을 결정하여, 밸브가 개방 위치에서 이동하게 한다.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202)는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 상에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을 회전에 의해 나사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단계(202)는 스냅-온 커플링을 달성하기 위해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대항하여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조립 구성을 획정하기 위해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0)에 연결하는 단계(203)를 추가로 포함한다(도 10c 내지 도 10d 및 도 11f 및 도 11g 참조).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연결하는 단계(203)는, 가요성 벽 또는 핑거(63)의 변형을 결정하기 위해, 바이알(101)의 상단 가장자리(106) 상에서 연결 부속품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밀어내어, 이에 의해 가요성 벽 또는 핑거(63)가 바이알(101)의 상단 가장자리(106)에 구속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단계(203)는 회전에 의해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나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연결하는 단계(203)는 중공형 바늘(61)에 의해 바이알(101)의 다이어프램(110)을 관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다이어프램(110)을 통한 바늘(61)의 관통은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연결하는 단계(203) 동안 발생한다. 따라서, 단계(203)는 바이알(101)의 격실(102)을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유체 연통하도록 하기 위해 중공형 바늘(61)이 바이알(101)의 격실(102)에 들어가도록 한다. 특히, 단계(202, 203)는 바이알의 격실(102)이 연결 부속품(51)을 통해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유체 연통하게 하여 조립 구성을 획정한다. 반대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202) 전에,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있는 밸브(20)는 폐쇄 위치에 있다.
상기 방법은 내부 체적(3)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압착, 특히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204)를 추가로 포함한다(도 10d 및 도 11i 참조). 단계(203)는, 예를 들어, 사용자, 예를 들어, 환자가 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수행하며: 사용자는 측면 벽(7)에서 용기를 압착하여, 이로 인한 변형이 내부 체적(3)의 감소를 야기한다. 용기(1)가 초기에 비어 있는 경우,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204)는 용기의 내부 체적(3)으로부터 바이알(101)의 격실(102)로의 가스 또는 공기의 통과를 결정함으로써, 바이알 내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바이알(101)이 빈 압축성 용기의 상단에 있는 경우, 이 압력은 용기 벽이 해제될 때 액체가 바이알로부터 변형 가능한 용기로 흐르게 할 것이다. 특히, 용기(1)가 초기에 비어 있는 경우, 바이알은 액체 상태인 유체 물질(4)을 수용한다. 대안으로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가 초기에 의료용 액체(4a), 즉, 식염수 또는 멸균수를 수용하는 경우,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204)는 용기(1)의 내부 체적(3)으로부터 바이알(1)의 격실(102)로의 이 의료용 액체(4a)의 통과를 결정한다. 이 절차는 바이알(101)이 액체가 담긴 압축성 용기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용기(1)가 도 11a에서와 같이 초기에 의료용 액체(4a)를 수용하는 경우, 단계(204)는 용기(1)의 의료용 액체(4a)를 바이알(101)의 물질, 즉, 액체 또는 분말 물질과 혼합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용기(1)의 의료용 액체(4a)와 바이알(101)의 물질 사이의 혼합은 액체 상태의 유체 물질(4)을 생성한다. 용기(1)가 초기에 의료용 액체(4a)를 수용하는 경우, 방법(200)은 도 1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바이알(101)의 위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변형 가능한 용기(1)는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204) 동안 바이알(101)의 위에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방법은 몸체(2)의 탄성 복귀를 허용하기 위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해제하는 단계(205)를 추가로 포함한다(도 10e 및 도 11l 참조). 단계(205) 동안, 몸체(2)는 원래의 형상, 즉, 단계(201)에서 몸체가 가지는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변형 가능한 용기(1)를 해제하는 단계(205)는 내부 체적(3)이 압착된 후 다시 확장되도록 한다. 특히, 몸체(2)의 탄성 복귀는 용기(1)가 바이알(101)로부터 용기(1)의 내부 체적(3)으로 유체 물질(4)을 흡입하는 흡입 단계를 야기한다.
특히, 방법(200)은 도 10e 및 도 11l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해제하는 단계(205) 동안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위에 바이알(101)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200)은 또한, 유체 물질(4)이 변형 가능한 용기(1) 내로 완전히 이동될 때까지 압착 단계 및 해제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방법은 용기(1)로부터 바이알(101) 및 연결 부속품(51)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제 사용자는 의사가 처방한 시간 간격으로 유체 물질(4a)을 분배할 수 있다. 방법은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종축선(X)을 바이알(101)의 바이알 축선(V)과 정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방법(200)은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종축선(X)을 바이알(101)의 바이알 축선(V) 및 연결 부속품(51)의 연결 축선(Z)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종축선(X), 바이알 축선(V) 및 연결 축선(Z)이 서로 일치하거나 서로 평행하다. 특히, 단계(201, 202, 203, 204, 205)는 이 번호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3의 특정 예를 살펴보면, 여기서 방법은 바이알(101)이 재구성되거나 희석되어야 하는 물질(16)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지칭된다. 즉, 바이알(101)은 분말 형태의 약제 또는 농축 용액을 수용한다. 이에 상응하여, 변형 가능한 용기는 물질(16)을 재구성하거나 희석하기 위한 액체 용액(4)을 수용한다.
변형 가능한 용기(1)는 그 포장재(300) 내에 있으며 연결 부속품(51)은 개개의 추가의 포장재(301) 내에 수용된다(도 13a 참조). 멸균 포장재가 개방되며, 밸브가 개방 위치로 이동되도록 연결 부속품(51)이 변형 가능한 용기(1)에 결합된다(도 13b). 그런 다음, 키트는 도 13c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바이알(101)에 추가로 결합되어, 변형 가능한 용기(51)의 내부 체적(3)과 바이알(101)의 내부 격실(102) 사이의 유동 통로를 형성한다. 대안으로서, 연결 부속품(51)이 반대로 먼저 바이알(101)에 결합된 다음, 두 번째로 변형 가능한 용기(1)에 결합될 수도 있다(도 13의 순서에는 도시되지 않음).
사용자는 도 13d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변형 가능한 용기(2)의 측벽을 누른다. 액체(4)는 통로(70)를 통해 바이알(101) 내로 아래로 밀려 들어가 바이알 내의 물질(16)과 혼합된다. 2개의 성분이 적절하게 혼합되면, 조립체(100)는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집힌다. 변형 가능한 용기(1)(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린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됨)는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다시 눌려지고 변형된다. 공기가 바늘을 통해 바이알(101)로 들어가 내부 격실(102)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사용자가 압력을 해제하자마자 변형 가능한 용기(1)는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복귀하기 시작하고, 혼합 액체가 변형 가능한 용기(1) 내로 아래쪽으로 흐른다. 전체 용액이 통과하고 나면, 바이알(101)은 조립체로부터 제거되며 용기(1)는 약물을 운반할 준비가 된다.
사용자는 도 13f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변형 가능한 용기의 측벽을 다시 누른다. 이제 밸브(20)가 폐쇄되므로, 내부 압력으로 인해 분배 부속품(11)이 제품을 방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점적기는 물방울이 빠져나가도록 한다. 도 13f를 다시 참조한다.

Claims (41)

  1. 키트(50)로서,
    - 의료용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용기(1)로서, 변형 가능한 용기(1)는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체적(3)을 획정하는 몸체(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는;
    o 몸체(2)의 내부 체적(3)을 충전하기 위해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접근부(filling access)(8);
    o 내부 체적(3)으로부터 일정량의 유체 물질(4)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분배 유출구(10);
    o 충전 접근부(8)에 배치된 밸브(20)로서,
    ­ 상기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구성과,
    ­ 상기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방지하는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20)
    를 포함하며,
    몸체(2)는 내부 체적(3)의 범위를 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을 포함하는 것인, 변형 가능한 용기(1); 및
    - 연결 부속품(51)으로서,
    o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커플링 부분(52), 및
    o 바이알(101)의 내부 격실(102)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커플링 부분(60)으로서, 특히, 바이알(101)의 내부 격실(102)이 유체 물질(4)을 수용하는 것인, 제2 커플링 부분(60),
    o 제1 커플링 부분(52)이 제2 커플링 부분(60)과 유체 연통하도록 하기 위한 그리고 그 반대로 하기 위한 내부 통로(70)
    를 포함하는 연결 부속품(51)
    을 포함하며,
    키트(50)는 결합 구성(coupled configuration)으로 구성 가능하며, 상기 결합 구성에서,
    - 연결 부속품의 제1 커플링 부분(52)이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결합되며,
    - 용기(1)의 내부 체적(3)이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과 유체 연통하도록 용기(1)의 밸브(20)가 개방 구성에 있으며, 특히, 용기(1)의 내부 체적(3)이 바이알(101)의 격실(102)과 유체 연통하는 것인,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성에서,
    -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이 용기(1)의 밸브(20)에 맞대어지며,
    - 용기(1)의 밸브(20)가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며,
    - 연결 부속품(51)은 변형 가능한 용기(1)와 바이알(101)의 사이에 유동적으로 개재 가능한 것인, 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기(1)의 밸브(20)는 휴지 상태에서 폐쇄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자체 밀봉 밸브(20)이며,
    밸브(20)는, 연결 부속품(51)이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결합될 때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 충전 접근부(8)와 연결 부속품(51) 사이의 연결은, 밸브(20)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전환을 결정하며,
    - 충전 접근부(8)와 연결 부속품(51) 사이의 분리는, 밸브(20)의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전환을 결정하는 것인, 키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체적(3)의 범위를 정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탄성 재료는 실리콘, 고무,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이며, 특히, 폴리에틸렌이며,
    용기(1)의 내부 체적(3)은 유체 물질(4)의 존재 또는 부재와 실질적으로 무관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은 선택적으로, 0.5 mm 내지 0.9 mm에 포함된 두께를 갖는 것인, 키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1)의 몸체(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은 몸체(2)의 측벽(7)을 포함하며,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몸체(2)는 압착된 후에 원래의 형상을 복원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키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몸체(2)는,
    - 특히, 용기(1)에 외부 하중이 없을 때, 예를 들어, 용기(1)가 사용자에 의해 압착되지 않을 때 미리 정의된 크기의 내부 체적(3)을 획정하는 휴지 시의 원래 형상;
    - 몸체(2)가 사용자에 의해 압착될 때 감소된 크기의 내부 체적(3)을 획정하며, 특히, 내부 체적(3)의 감소된 크기가 내부 체적(3)의 상기 미리 정의된 크기보다 작은 것인, 압착된 형상
    을 가지며,
    용기(1)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은, 사용자가 몸체(2)를 압착으로부터 해제한 후 상기 압착된 형상으로부터 상기 원래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키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20)는 충전 접근부(8)의 내부에 배치되며, 충전 접근부(8)는 상기 밸브(20)를 둘러싸는 칼라(collar)(9)를 획정하며, 상기 칼라(9)는 상기 밸브(20)를 완전히 둘러싸며, 충전 접근부(8)의 내부를 향한 접근부를 획정하는 단단한 테두리를 구비하며, 밸브(20)는 상기 접근부를 폐쇄하며, 밸브(20)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통로를 결정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재(21)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재(21)는 실리콘 및 고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인, 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밸브(20)의 변형 가능한 부재(21)는 슬릿(22)을 구비하며, 상기 슬릿(22)은,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에 결합할 때 유체 통로를 개방하며, 충전 접근부(8)가 분리될 때 유체 통로를 폐쇄하며, 밸브(20)의 상기 부재는 충전 접근부(8)가 연결 부속품(51)에 결합될 때 변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변형은 슬릿(22)이 개방되도록 하며, 특히, 밸브(20)는 충전 접근부(8)가 연결 부속품(51)에 결합될 때 연결 부속품(51)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키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2)는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인, 키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1)의 몸체(2)는, 길이가 종축선(X)을 따라 연장되고 폭이 횡축선(Y)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길이는 상기 폭보다 더 길며, 특히, 상기 길이가 상기 폭의 적어도 1.5배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길이는 상기 폭의 적어도 2배이며, 특히 상기 길이는 상기 폭의 적어도 3배이며,
    특히, 용기(1)의 몸체(2)는 30 mm 내지 60 mm에 포함된 길이 및 10 mm 내지 15 mm에 포함된 폭 또는 직경을 갖는 것인, 키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1)의 몸체(2)는, 충전 접근부(8)를 지탱하는 제1 단부 부분(5), 분배 유출구(10)를 지탱하는 제2 단부 부분(6), 및 상기 제1 단부 부분(5)과 상기 제2 단부 부분(6)의 사이에 개재된 측벽(7)을 포함하며,
    충전 접근부(8)와 분배 유출구(10)는 용기(1)의 몸체(2)의 측벽(7)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것인, 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몸체(2)는, 몸체(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선택적으로 측벽(7)에 평행한 종축선(X)을 획정하며, 분배 유출구(10)와 충전 접근부(8)는 몸체(2)의 상기 종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일치하는 축선을 따라 서로 정렬되는 것인, 키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1)의 내부 체적(3)은 3 ml 내지 15 ml, 더욱 특히 4 ml 내지 12 ml에 포함되며, 용기는 플라스틱 다회용 압착 용기이며, 분배 유출구(10)는 개개의 개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유체 용액의 복수의 이산 체적량을 분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산 체적량은 이산 시간 간격으로 전달 가능하며, 몸체(2)의 내부 체적(3)은 분배 유출구(10)에 의해 매번 분배되는 각각의 이산 체적량보다 더 크며, 특히 내부 체적(3)은 5회 내지 500회의 이산 체적량을 분배할 수 있게 하는 것인, 키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1)는 분배 유출구(10)에 연결되거나 연결되도록 구성된 분배 부속품(11)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분배 부속품(11)은 내부 체적(3)에 수용된 유체 물질(4)을 분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배 부속품(11)은 점적기 또는 스프레이 노즐인 것인, 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부속품(11)은, 하우징 및 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유체 물질(4)의 개별 액적을 분배하기 위한 밸브(20)로서 작용하는 내부 막(13)을 포함하는 점적기이며, 상기 막(13)은,
    - 막(13)이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분배 유출구(10)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밀봉 위치, 특히, 유체 물질(4)이 용기(1)의 분배 유출구(10)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는 밀봉 위치와,
    - 막(13)이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분배 유출구(10)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전달 위치, 특히, 이산량의 유체 물질(4)이 용기(1)의 분배 유출구(10)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허용되는 전달 위치
    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인, 키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부속품(11)은, 밀봉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막(13)에 대해 편향되는 탄성 부재(14)를 추가로 포함하며, 특히, 상기 탄성 부재(14)는 금속 스프링이며,
    상기 탄성 부재(14)는 용기(1)의 내부 체적(3) 내부의 미리 정의된 압력에 기초하여 막(13)이 밀봉 위치로부터 전달 위치로 전환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용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는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9a) 부분을 포함하며,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은,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 부분(9a)으로의 연결을 위해 해당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53) 부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와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은 이들의 상호 결합을 허용하는 스냅-온 커플링(snap on coupling)을 포함하는 것인, 키트.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는 루어 커넥터(Luer connector)를 포함하며,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은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루어 커넥터로의 연결을 위해 해당 루어 커넥터를 포함하며,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루어 커넥터는 암형 루어 커넥터이며,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의 루어 커넥터는 수형 루어 커넥터인 것인, 키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의 수형 루어 커넥터는, 충전 접근부(8)의 단단한 테두리에 들어가는 돌출부로서, 결합 구성에 있을 때,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밸브(20)에 맞대어져 밸브(20)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돌출부(54)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은,
    ● 바이알(101)에 대한 연결을 위한 중공형 바늘(61)로서, 연결 부속품(51)이 바늘(61), 내부 통로(70), 및 제1 커플링 부분(52)과 제2 커플링 부분(60)을 통해 유체 통로를 획정하는 것인, 중공형 바늘(61);
    ● 연결 부속품(51)을 바이알(101)에 기계적으로 구속하기 위해 바이알(101)의 해당 부분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칼라(62)로서, 제2 커플링 부분(60)의 칼라(62)가 바늘(61)을 외부적으로 둘러싸며, 특히, 바늘(61)은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의 칼라(6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는 것인, 칼라(62)
    를 포함하며,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의 칼라(62)는 바이알(101)에 대한 연결을 위한 스냅-온 커플링을 획정하며,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결합하는 동안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구성된 2개 이상의 가요성 벽 또는 핑거(finger)(63)를 포함하며, 특히, 연결 부속품(51)은 3개 내지 12개의 상기 가요성 벽 또는 핑거(63)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속품(51)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단일편이며, 대안으로서 제1 커플링 부분(52), 제2 커플링 부분(60), 및 내부 통로(7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바늘(61)은 금속, 즉,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는 것인, 키트.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과 제2 커플링 부분(60)은 공통 연결 축선(Z)을 따라 정렬되며, 특히, 제1 커플링 부분(50), 제2 커플링 부분(60) 및 내부 통로(70)가 동일한 연결 축선(Z)을 따라 정렬되는 것인, 키트.
  23. 의료용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용기(1)로서, 변형 가능한 용기(1)는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체적(3)을 획정하는 몸체(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는,
    - 몸체(2)의 내부 체적(3)을 충전하기 위해 유체 물질(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접근부(8);
    - 내부 체적(3)으로부터 일정량의 유체 물질(4)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분배 유출구(10);
    - 충전 접근부(8)에 배치된 밸브(20)로서,
    o 상기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구성과,
    o 상기 밸브(20)가 상기 충전 접근부(8)를 통한 유체 통과를 방지하는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20)
    를 포함하며,
    몸체(2)는 내부 체적(3)의 범위를 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을 포함하는 것인, 변형 가능한 용기.
  24. 조립체(100)로서,
    -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키트(50); 및
    -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격실(102)을 획정하는 바이알(101)
    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체(100)는 조립 구성으로 구성 가능하며, 상기 조립 구성에서,
    - 변형 가능한 용기(1)와 연결 부속품(51)은 결합 구성에 있으며,
    -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이 바이알(101)에 연결되고,
    상기 조립 구성에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내부 체적(3)은 상기 연결 부속품(51)을 통해 바이알(101)의 격실(102)과 유체 연통하는 것인, 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은 연결 부속품(51)의 내부 통로(70)를 바이알(101)의 격실(102)에 유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중공형 바늘(61)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 구성에서 상기 바늘(61)은 바이알(101)의 격실(102) 내부로 돌출하는 것인, 조립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알(101)은 연결 부속품(51)의 바늘(61)이 관통 가능한 다이어프램(110)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 구성에서 연결 부속품(51)의 바늘(61)이 바이알(101)의 다이어프램(110)을 통과하며,
    특히, 바이알(101)의 다이어프램(110)은 탄성 재료, 특히,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인, 조립체.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알(101)의 격실(102)은 유체 물질(4), 의료용 액체 및 분말 형태의 물질 중 하나를 수용하며, 바이알(101)은 내부 격실(102)을 획정하는 하우징(103)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유리로 형성되는 것인, 조립체.
  28.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알(101)은 액체 또는 분말 형태의 안구용 의료 멸균 제품을 수용하는 것인, 조립체.
  29.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알(101)의 격실(102)은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비슷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체적을 가지며,
    바이알(101)의 격실(102)의 체적은 3 ml 내지 15 ml, 특히, 4 ml 내지 12 ml에 포함되는 것인, 조립체.
  30.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구성에 있을 때 조립체(100)는 용기(1)의 내부 체적(3), 바이알(101)의 격실(102) 및 연결 부속품(51)의 내부 통로(70)의 조합으로서 획정된 폐쇄 체적을 획정하는 것인, 조립체.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구성에서, 용기(1), 연결 부속품(51) 및 바이알(101)은 공통 축선을 따라 서로 정렬되는 것인, 조립체.
  32. 변형 가능한 용기(1) 내의 유체 물질(4)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200)으로서, 상기 방법은,
    - 제29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체(100)를 제공하는 단계(201);
    -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202);
    - 조립 구성을 획정하기 위해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연결하는 단계(203);
    - 내부 체적(3)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압착, 특히,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204);
    -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몸체(2)의 탄성 복귀를 허용하기 위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해제하는 단계(205);
    - 유체 물질(4)이 변형 가능한 용기(1) 내로 완전히 이동될 때까지 상기 압착하는 단계 및 해제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를 적어도 포함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 및
    - 조립 구성을 획정하기 위해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연결하는 단계는,
    바이알(101)의 격실(102)이 연결 부속품(51)을 통해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유체 연통하도록 결정하는 것인, 방법.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 전에,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에 있는 밸브(20)가 폐쇄 위치에 있으며,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는,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밸브(20)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유체 통과를 허용하도록 결정하는 것인, 방법.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충전 접근부(8)를 연결 부속품(51)의 제1 커플링 부분(52)에 연결하는 단계는, 용기(1)의 충전 접근부(8)의 밸브(20)의 변형 가능한 부재(21)의 변형을 결정하며, 상기 변형은 밸브(20)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유체 통과를 허용하게 하는 것인, 방법.
  36.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을 바이알(101)에 연결하는 단계는, 연결 부속품(51)의 제2 커플링 부분(60)에 배치된 중공형 바늘(61)을 바이알(101)의 다이어프램(110)에 관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시키는 단계는, 바이알(101)의 격실(102)이 용기(1)의 내부 체적(3)과 유체 연통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중공형 바늘(61)이 바이알(101)의 격실(102)에 들어가도록 결정하는 것인, 방법.
  37. 제32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용기(1)가 초기에 비어 있는 경우,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는 용기(1)의 내부 체적(3)으로부터 바이알의 격실(102)로의 가스 또는 공기의 통과를 결정함으로써, 특히, 바이알(101)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며,
    - 용기(1)가 초기에 의료용 액체, 즉, 식염수 또는 멸균수를 수용하는 경우,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는 용기(1)의 내부 체적(3)으로부터 바이알(101)의 격실(102)로의 상기 의료용 액체의 통과를 결정하는 것인, 방법.
  38. 제32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1)가 초기에 의료용 액체를 수용하며 바이알(101)이 초기에 분말 물질 또는 다른 농축 액체를 수용하는 경우,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는, 용기(1)의 내부 체적(3)으로부터 바이알(101)의 격실(102)로의 상기 의료용 액체의 통과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격실(102) 내에서 의료용 액체를 상기 분말 물질 또는 다른 농축 액체와 혼합하며,
    상기 혼합에 의해 유체 물질(4)이 생성되는 것인, 방법.
  39. 제32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용기(1)를 해제하는 단계는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몸체(2)의 탄성 복귀를 초래하며,
    상기 탄성 복귀는, 용기(1)가 바이알(101)로부터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내부 체적(3)으로 유체 물질(4)을 흡입하는 흡입 단계를 야기하는 것인, 방법.
  40. 제32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체적(3)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수동으로 압착하는 단계 동안, 바이알(101)의 위에 변형 가능한 용기(1)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변형 가능한 용기(1)의 몸체(2)의 탄성 복귀를 허용하기 위해 변형 가능한 용기(1)를 해제하는 단계 동안,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위에 바이알(101)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1. 제32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법(200)은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종축선(X)을 바이알(101)의 바이알 축선(V)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특히, 방법(200)은 변형 가능한 용기(1)의 종축선(X)을 바이알(101)의 바이알 축선(V) 및 연결 부속품(51)의 연결 축선(Z)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종축선(X), 바이알 축선(V) 및 연결 축선(Z)이 서로 일치하거나 서로 평행한 것인, 방법.
KR1020237040876A 2021-05-07 2022-05-03 변형 가능한 용기, 키트 및 포장재 KR202400057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21000011387 2021-05-07
IT102021000011387A IT202100011387A1 (it) 2021-05-07 2021-05-07 Dispositivo con valvola per il trasferimento di liquidi
PCT/EP2022/061844 WO2022233866A1 (en) 2021-05-07 2022-05-03 Deformable container, kit and packag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787A true KR20240005787A (ko) 2024-01-12

Family

ID=7712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876A KR20240005787A (ko) 2021-05-07 2022-05-03 변형 가능한 용기, 키트 및 포장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4333793A1 (ko)
JP (1) JP2024517007A (ko)
KR (1) KR20240005787A (ko)
CN (1) CN117255669A (ko)
AU (1) AU2022268577A1 (ko)
CA (1) CA3216197A1 (ko)
IL (1) IL307460A (ko)
IT (1) IT202100011387A1 (ko)
WO (1) WO2022233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713A1 (en) * 2022-08-16 2024-02-22 Oyster Point Pharma, Inc. Drug transfer system configured for aseptic transfer of liquid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9388A (en) * 1990-06-07 1992-12-08 Gensia Pharmaceuticals, Inc. Pressure-activated medication dispenser
WO1995027522A1 (en) * 1994-04-12 1995-10-19 Tsukada Medical Research Co., Ltd. Accordion container for chemical
JP3561960B2 (ja) * 1994-07-19 2004-09-08 ニプロ株式会社 輸液用容器
US5941867A (en) * 1997-07-15 1999-08-24 Kao; Ti Formulation of pharmaceutical solutions in free fall
WO2001074291A1 (fr) * 2000-04-04 2001-10-11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Recipient pour liquide et corps de raccordement associe a ce recipient
CN1243576C (zh) * 2001-07-17 2006-03-01 贝尔恩德·汉森 用于排出介质的器械
DE102006009611A1 (de) * 2006-03-02 2007-09-06 Bernd Hansen System zum Zubereiten und Bereitstellen eines durch Vermischen einer Trockensubstanz mit einem Fluid gebildeten fließfähigen Mediums
EP2512399B1 (en) 2010-02-24 2015-04-08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Fluid transfer assembly with venting arrangement
WO2012004784A1 (en) 2010-07-04 2012-01-12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Vial adapter with syringe stabilizer
TW201216951A (en) * 2010-10-21 2012-05-01 Aptalis Pharma Ltd Oral dosing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medication
DE102012217338A1 (de) 2012-09-25 2014-05-28 Aptar Radolfzell Gmbh Flüssigkeitsspender
WO2017001921A1 (en) * 2015-07-02 2017-01-05 Marc Andrew Koska Multiple-dose dispensing device
IL245800A0 (en) 2016-05-24 2016-08-31 West Pharma Services Il Ltd A device with two vial adapters includes two identical vial adap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202100011387A1 (it) 2022-11-07
AU2022268577A1 (en) 2023-10-26
WO2022233866A1 (en) 2022-11-10
JP2024517007A (ja) 2024-04-18
IL307460A (en) 2023-12-01
CA3216197A1 (en) 2022-11-10
EP4333793A1 (en) 2024-03-13
CN117255669A (zh)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5797B2 (ja) 圧力調整システム、圧力調整シリンジ組立体、及び液体を移注する方法
US6558365B2 (en) Fluid transfer device
AU696759B2 (en) Pre-filled syringe drug delivery system
US78828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xing and transferring medications
KR102506175B1 (ko) 단일 또는 다중 용기를 위한 병합 장치
WO1996030066A1 (en) Syringe barrel for lyophilization, reconstitution and administration
MX2007014875A (es) Contenedor con aguja hueca.
KR20220002472A (ko) 이중 루멘 iv 스파이크를 갖는 액체 전달 디바이스
KR20240005787A (ko) 변형 가능한 용기, 키트 및 포장재
WO1998013088A9 (en) Syringe system accommodating separate prefilled barrels for two constituents
JP2001502938A (ja) 2成分の別個の充填済みバレルを含むシリンジシステム
WO2023126699A1 (en) Pressure compensation device for reconstitution, withdrawal and transfer of a drug from a vial or other vacuum container,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above said device
EA046517B1 (ru) Вакцина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профилактике и/или лечении заболевания
TW202228806A (zh) 用以注入一可回溶液體混合物之裝置、注入套件及方法
AU738397B2 (en) Syringe system accommodating separate prefilled barrels for two constitu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