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564A - 네일아트장치 - Google Patents

네일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564A
KR20240005564A KR1020220156900A KR20220156900A KR20240005564A KR 20240005564 A KR20240005564 A KR 20240005564A KR 1020220156900 A KR1020220156900 A KR 1020220156900A KR 20220156900 A KR20220156900 A KR 20220156900A KR 20240005564 A KR20240005564 A KR 20240005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resent disclosure
hole
toleranc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20156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5564A/ko
Publication of KR20240005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5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06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aiming at correcting manufacturing toler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029/005Printing or stamping devices for applying images or ornaments to n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네일아트장치가 개시된다. 네일아트장치는 제1 샤프트홀이 형성된 장치베이스와, 상기 제1 샤프트홀에 삽입되며 배치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홀의 크기와 상기 제1 샤프트의 크기간에 공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 샤프트의 외면과 상기 제1 샤프트홀의 내면을 서로 접촉시켜는 공차제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일아트장치{NAIL ART APPARATUS}
본 개시는 네일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공차를 제거함으로써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과 디자인 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네일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일아트는 여성들이 자신의 외모를 가꾸거나 또는 기분전환을 하고 싶을 때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미용행위 중의 하나이다.
통상 네일아트는 사람이 수작업으로 네일에 매니큐어를 칠하나 또는 디자인을 직접 그려 놓고 있다. 최근에는 전문네일샵이 성행함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한 디자인을 네일에 그려 놓고 싶은 사람은 전문네일샵을 방문하여 받고 있다.
그런데, 사람이 수작업으로 네일아트를 하는 경우 디자인이 원하지 않는 모양으로 그려질 수 있다. 그리고 바쁜 현대인이 시간을 내어 유명 전문네일샵을 방문하기도 쉽지 않고 비용적인 측면도 부담이 될 수 있다.
최근에는 네일프린터가 개발되고 있는데, 대체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잉크카트리지를 이동시켜 네일에 디자인을 인쇄한다. 그런데 종래 네일프린터는 슬라이딩 구조의 기계적 공차로 인해 네일에 디자인이 제대로 인쇄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2019313호 (2018.07.18 출원)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라이딩 구조에서 공차를 제거함으로써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과 디자인 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네일아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한 네일아트장치는, 제1 샤프트홀이 형성된 장치베이스; 상기 제1 샤프트홀에 삽입되며 배치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홀의 크기와 상기 제1 샤프트의 크기간에 공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 샤프트의 외면과 상기 제1 샤프트홀의 내면을 서로 접촉시켜는 공차제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차제거수단은, 상기 장치베이스의 측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지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블록은 제2 방향으로 예각을 형성하며 경사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장치베이스상에서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제1 샤프트홀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되, 제2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샤프트홀은 상기 장치베이스상에서 상기 지지블록보다 제2 방향의 반대방향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차제거수단은, 상기 지지블록의 지지면과 상기 제1 샤프트의 외면에 각각 접촉되는 가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핀은, 일단부에 제3 방향으로 절곡되며 배치되고, 상기 제1 샤프트의 외면에 접촉되는 제1 절곡부; 및 중앙부에 상기 제1 절곡부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며 배치되고, 상기 지지블록의 지지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1 샤프트의 외면을 상기 제1 샤프트홀의 내면으로 가압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차제거수단은,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절곡부가 삽입되는 제1 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베이스의 측부에 형성되는 제2 샤프트홀; 및 상기 제2 샤프트홀에 삽입되며 배치되는 제2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장치베이스상에서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제2 샤프트홀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되, 제2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 샤프트홀은 상기 장치베이스상에서 상기 지지블록보다 제2 방향의 반대방향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차제거수단은, 상기 제2 샤프트홀의 내면와 상기 제2 샤프트의 외면간에 공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2 샤프트의 외면과 상기 제2 샤프트홀의 내면을 서로 접촉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핀은, 타단부에 제3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며 형성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외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2 샤프트의 외면을 상기 제2 샤프트홀의 내면으로 가압하는 제3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차제거수단은,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절곡부가 삽입되는 제2 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샤프트에 연결되고, 카트리지부재가 결합되는 수용프레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프레임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1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프레임과 상기 제1 샤프트간에 접촉되며 배치되고, 상기 제1 샤프트의 크기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간에 공차를 제거하는 공차제거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의 내측 하부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공차제거패드는 상기 안착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샤프트를 제3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1 샤프트의 크기와 상기 관통홀의 크기간에 공차를 제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차제거패드는, 상기 안착홈에 접촉되는 한 쌍의 사이드패드;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패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샤프트에 접촉되는 센터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터패드의 하부에는 센터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패드와 상기 사이드패드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된 상부절곡부와 하부가 개방된 하부절곡부가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해 슬라이딩 구조에 공차가 제거됨으로써 잉크카트리지가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네일에 디자인 인쇄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예(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의 상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빔 및 체결링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일측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타측사시도이다.
도 8c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에서 이동블록을 제거한 하부 구조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차제거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의 링크블록 및 수용프레임간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13a는 도 1에 개시된 A-A 부분단면도이다.
도 13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차제거패드 및 수용프레임간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에 의한 수용프레임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가 내장되는 장치케이싱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대략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개시된 따른 장치케이싱의 제1 실시형태에서 상부케이싱의 내부에서 하부케이싱을 내려 핑거홀을 개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대략도이다.
도 15c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가 내장되는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대략도이다.
도 16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가 내장되는 장치케이싱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b는 도 16a에 개시된 장치케이싱의 제2 실시형태에서 레그수용홈에서 레그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네일아트장치를 구성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본 개시의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가 될 수도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 본 개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의미의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의미의 "또는"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개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100)는 카트리지부재(300), 이동부재, 공차제거수단(800), 공차제거패드(900) 및 승강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카트리지부재(300)에는 잉크카트리지(미도시)가 탈착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부재(300)는 부재바디(340), 카트리지탈착홈(350), 빔브라켓(310), 링크홈(320) 및 카트리지홀(33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재바디(340)는 카트리지부재(300)의 전반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부재바디(340)의 중앙부에는 잉크카트리지가 탈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탈착홈(350)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탈착홈(350)의 하부에는 카트리지홀(3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홀(330)을 통해 잉크카트리지의 하부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의 네일이 카트리지홀(330)의 하부에 위치할 때 잉크카트리지가 네일에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다.
빔브라켓(310)은 부재바디(340)의 양측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빔브라켓(310)에는 이하 검토할 가이드빔(610)이 관통하며 삽입될 수 있다.
도 8b를 참고하면, 링크홈(320)은 부재바디(340)상에서 카트리지홀(330)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홈(320)에는 이하 검토할 링크핀(663)이 삽입될 수 있다.
빔브라켓(310) 및 링크홈(320)은 이동유닛(600)의 구조를 설명할 때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이동부재는 카트리지부재(300)를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카트리지부재(300)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이동하며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이동부재는 이동수단(500) 및 이동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수단(500)은 카트리지부재(300)를 제1 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유닛(600)은 카트리지부재(300)를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이동수단(500)은 장치베이스(510), 제1 샤프트(520), 제2 샤프트(530), 구동수단(540), 링크블록(560) 및 장력조절수단(57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베이스(510)의 중앙부(510a)는 제1 방향(X)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장치베이스(510)의 측부(510b)는 제2 방향(Y)으로 절곡되며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장치베이스(510)는 전반적으로 ]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2 샤프트(520,530)의 양측부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베이스(510)의 측부(510b)에는 승강블록(710)이 배치될 수 있다. 승강블록(710)에는 승강빔홀(7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5c에 개시된 승강빔(720)이 승강빔홀(713)에 배치되며 네일아트장치(100)의 제3 방향(Z)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0 참고하면, 장치베이스(510)의 측부(510b)에는 제1 샤프트홀(511) 및 제2 샤프트홀(513)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샤프트홀(511)에는 제1 샤프트(520)가 삽입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샤프트홀(513)에는 제2 샤프트(530)가 삽입되며 배치될 수 있다. 제1,2 샤프트(520,530)에는 이하 검토할 이동유닛(600), 구체적으로는 수용프레임(670)이 결합되고, 구동수단(540)의 동작에 의해 이동유닛(600)은 제1,2 샤프트(520,530)에 의해 안내되며 제1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수단(540)은 링크블록(560)에 의해 이하 검토할 이동유닛(600)에 결합하며, 이동유닛(600)을 제1 방향(X)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수단(540)은 모터부(541), 기어조립체(547), 제1 풀리(551), 제2 풀리(553) 및 타이밍벨트(55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541)는 장치베이스(510)의 중앙부(510a)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부(541)의 제어는 제어기판(P)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동력은 배터리(B)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기어조립체(547)는 모터부(541)의 구동축과 제1 풀리(551)를 연결할 수 있으며, 모터부(541)의 회전속도 및 회전량을 변속하여 제1 풀리(551)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기어조립체(547)는 제1 기어(542), 제2 기어(543), 제3 기어(544), 제4 기어(545) 및 제5 기어(5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542)는 모터부(541)의 구동축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어(543)의 회전축은 장치베이스(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기어(543)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1 기어(543a)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2 기어(543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1 기어(543a)는 제1 기어(542)와 맞물리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542)의 직경보다 제2-1 기어(543a)의 직경이 더 크므로, 제1 기어(542)의 회전속도 및 회전량은 제2-1 기어(543a)로 전달될 때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제2-1 기어(543a)와 제2-2 기어(543b)는 동일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1 기어(543a)와 제2-2 기어(543b)는 제1 기어(542)로부터 감소된 회전속도 및 회전량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제3 기어(544)의 회전축은 장치베이스(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3-1 기어(544a)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3-2 기어(544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1 기어(544a)는 제2-2 기어(543b)와 맞물리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제2-2 기어(543b)의 직경보다 제3-1 기어(544a)의 직경이 더 크므로, 제2-2 기어(543b)의 회전속도 및 회전량은 제3-1 기어(544a)로 전달될 때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제3-1 기어(544a)와 제3-2 기어(544b)는 동일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3-1 기어(544a)와 제3-2 기어(544b)는 제2-2 기어(543b)로부터 감소된 회전속도 및 회전량으로 동작하게 된다.
제4 기어(545)의 회전축은 장치베이스(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3-2 기어(544b)와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제4 기어(545)는 제3-2 기어(544b)로부터 동일한 회전속도 및 회전량을 전달받아 제5 기어(546)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제5 기어(546)의 회전축은 장치베이스(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5 기어(546)의 회전축은 제1 풀리(55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기어(546)는 제4 기어(545)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속도 및 회전량을 제1 풀리(551)로 전달할 수 있다.
도 9b를 참고하면, 제1 풀리(551)는 제5 기어(546)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장치베이스(510)의 중앙부(510a) 일측에 배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향하여 제2 풀리(553)는 장치베이스(510)의 중앙부(510a) 타측에 배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풀리(551)와 제2 풀리(553)는 타이밍벨트(55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도 9b에 개시된 타이밍벨트(555)는 일부에만 요철부(555a)가 형성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요철부(555a)는 타이밍벨트(555)의 내측면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555a)는 제1,2 풀리(551,553)와 맞물려 있으며, 제1 풀리(551)가 회전할 때 타이밍벨트(555)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타이밍벨트(555)의 장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제1 풀리(551)와 제2 풀리(553)에 요철부(555a)가 제대로 맞물리지 않아 타이밍벨트(555)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유닛(600)이 제1 방향(X)으로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타이밍벨트(555)의 장력을 유지하여 제1,2 풀리(551,553)에 타이밍벨트(555)의 요철부(555a)가 잘 맞물려 있도록 해야 한다.
장력조절수단(570)은 장치베이스(510)에 배치되고 제2 풀리(553)와 연결될 수 있다. 장력조절수단(570)은 제2 풀리(553)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타이밍벨트(555)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장력조절수단(570)은 고정피스(571), 이동피스(572), 탄성체(573), 고정돌기(574), 고정축빔(576) 및 걸쇠돌기(577)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피스(571)는 중앙측에 관통부(571a)가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블록일 수 있으며, 장치베이스(510)에 볼트(571b) 체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도 9b를 참고하면, 고정돌기(574)는 관통부(571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체(573)의 일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a를 참고하면, 이동피스(572)는 관통부(571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체(573)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573)는 관통부(571a)에 배치되고, 일단부는 고정돌기(574)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부는 이동피스(572)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573)는 이동피스(572)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탄성체(573)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축빔(576)은 이동피스(572)에 제2 방향(Y)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고정축빔(576)의 외측 둘레는 제2 풀리(55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풀리(553)가 고정축빔(57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축빔(576)의 단부에는 걸쇠돌기(577)가 배치될 수 있다. 걸쇠돌기(577)가 제2 풀리(553)에 걸리며 고정축빔(576)과 제2 풀리(553)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반대로 고정축빔(576)에서 제2 풀리(553)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걸쇠돌기(577)를 제2 풀리(553)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밀어서 고정축빔(576)에서 제2 풀리(553)를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탄성체(573)의 일단부가 고정돌기(574)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탄성체(573)의 탄성력은 탄성체(573)의 타단부를 통해 이동피스(572)에 인가된다.
이동피스(572)는 고정축빔(576)에 의해 제2 풀리(553)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제2 풀리(553)가 제1 풀리(551)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며, 이를 통해 제1,2 풀리(551,553)에 연결되어 있는 타이밍벨트(555)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공차제거수단(800)은 제1 샤프트홀(511)의 크기와 제1 샤프트(520)의 크기간에 공차 또는 제2 샤프트홀(513)의 크기와 제2 샤프트(530)의 크기간에 공차를 제거하기 위해, 제1 샤프트(520)의 외면과 제1 샤프트홀(511)의 내면을 서로 접촉시키거나 또는 제2 샤프트(530)의 외면과 제2 샤프트홀(513)의 내면을 서로 접촉시킬 수 있다.
제1,2 샤프트홀(511,513)의 크기와 제1,2 샤프트(520,530)의 크기간에 크기 차이로 인해 공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1,2 샤프트(520,530)가 원기둥 형상이고 제1,2 샤프트홀(511,513)이 원형 단면으로 구성됨에 따라 제1,2 샤프트홀(511,513)의 내경과 제1,2 샤프트(520,530)의 외경간의 크기차이로 인한 공차일 수 있다. 다만 제1,2 샤프트(520,530) 및 제1,2 샤프트홀(511,51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2 샤프트(520,530)를 제1,2 샤프트홀(511,513)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제1,2 샤프트(520,530)의 외경이 제1,2 샤프트홀(511,513)의 내경보다는 약간 작게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제1,2 샤프트(520,530)와 제1,2 샤프트홀(511,513)간에 공차가 발생한다. 공차가 있으면 제1,2 샤프트(520,530)를 따라 수용프레임(670)이 이동할 때 제1,2 샤프트(520,530)가 제1,2 샤프트홀(511,513)의 내부에서 제대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흔들림, 진동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이 제대로 인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공차제거수단(800)은 상술한 공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압핀(810), 지지블록(830), 제1 핀홈(840) 및 제2 핀홈(85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블록(830)은 장치베이스(510)의 측부(510b)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블록(830)은 제2 방향(Y)으로 예각(
Figure pat00001
)을 형성하며 경사질 수 있다. 이는 가압핀이 제1,2 샤프트(520,530)를 화살표(H1,H2) 방향으로 가압할 때 제2 방향의 반대방향(-Y)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블록(830)을 제2 방향(Y)으로 경사진 예각(
Figure pat00002
)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3 방향(Z)을 기준으로 하여, 장치베이스(510)의 측부(510b)에서 지지블록(830)과 제1 샤프트홀(511) 및 제2 샤프트홀(513)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하면, 제1,2 샤프트홀(511,513)은 장치베이스(510)의 측부(510b)상에서 지지블록(830)보다는 더 제2 방향의 반대방향(-Y)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가압핀(820)이 지지블록(830)의 제1면(830a)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1 샤프트(520) 또는 제2 샤프트(530)를 화살표(H1,H2)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하기 위함이다.
즉 가압핀(830)은 예각(
Figure pat00003
)으로 경사진 지지블록(830)의 지지면(830a)에 의해 이탈되지 않게 지지되며, 제1,2 샤프트(520,530)를 화살표 방향(H1,H2)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1 샤프트(520)의 외측 둘레에는 제1 핀홈(8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샤프트(530)의 외측 둘레에는 제2 핀홈(85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핀(810)은 지지블록(830)의 지지면(830a)과 제1 샤프트(520)의 외면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가압핀(810)은 지지블록(830)의 지지면(830a)과 제2 샤프트(530)의 외면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가압핀(810)은 복수회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가압핀(810)은 제1 절곡부(821), 제2 절곡부(823) 및 제3 절곡부(8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곡부(821)는 가압핀(810)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방향(Z)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절곡부(821)는 제3 방향(Z)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샤프트(520)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제3 절곡부(825)는 가압핀(810)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방향의 반대방향(-Z)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3 절곡부(825)는 제3 방향의 반대방향(-Z)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샤프트(520)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제2 절곡부(823)는 가압핀(810)의 중앙부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절곡부(821)에 대해 반대방향 또는 제3 절곡부(825)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가압핀(810)은 4회(제1 절곡부(821), 한 쌍의 제2 절곡부(823) 및 제3 절곡부(825)) 절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1에 개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통해 한 쌍의 제2 절곡부(823) 사이의 가압핀(810)이 지지블록(830)의 제1면에 접촉되며 지지되고, 제1 절곡부(821)는 제1 핀홈(840)에 끼워지고, 제3 절곡부(825)는 제2 핀홈(850)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절곡부(821)는 제1 샤프트(520)를 화살표(H1)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제3 절곡부(825)는 제2 샤프트(530)를 화살표(H2)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샤프트(520)의 외면 일부는 제1 핀홈(840)의 내면 일부에 접촉되며 제1 샤프트(520)와 제1 핀홈(840)간에 공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2 샤프트(530)의 외면 일부는 제2 핀홈(850)의 내면 일부에 접촉되며 제2 샤프트(530)와 제2 핀홈(850)간에 공차를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차제거수단(800)에 의해 제1 샤프트(520)와 제1 샤프트홀(511)간의 공차 및 제2 샤프트(530)와 제2 샤프트홀(513)간의 공차를 제거하는 경우, 다른 실시예를 통해 공차를 제거하는 것 보다 네일아트장치를 제조하기 쉬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 제1 샤프트(520) 및 제2 샤프트(530)가 제1 샤프트홀(511) 및 제2 샤프트홀(513)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1 샤프트(520) 및 제2 샤프트(530)를 자르는 공정이 네일아트장치(100) 제조 시 필요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네일아트장치(100) 제조 공정이 복잡해질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형태로 지지블록(830)의 지지면(830a)과 제1 샤프트(520)간에만 가압핀(810)이 배치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는데, 즉 가압핀(810)에 제1 절곡부(821) 및 제2 절곡부(823)만 형성된 형태인 경우, 가압핀(810)에서 한 쌍의 제2 절곡부(823)가 형성하는 부분은 지지블록(830)의 지지면(830a)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고, 제1 절곡부(821)가 제1 샤프트(520)를 화살표(H1) 방향으로 가압하며 공차를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로 지지블록(830)의 지지면(830a)과 제2 샤프트(530)간에만 가압핀(810)이 배치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는데, 즉 가압핀(810)에 제2 절곡부(823) 및 제3 절곡부(825)만 형성된 형태인 경우, 가압핀(810)에서 한 쌍의 제2 절곡부(823)가 형성하는 부분은 지지블록(830)의 지지면(830a)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고, 제3 절곡부(825)가 제2 샤프트(530)를 화살표(H2) 방향으로 가압하며 공차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2을 참고하면, 링크블록(560)은 타이밍벨트(555)와 이하 검토할 이동유닛(600)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블록(560)은 타이밍벨트(555)와 이동유닛(600)을 구성하는 수용프레임(670)을 연결할 수 있다.
구동수단(540)의 동작에 따라 타이밍벨트(555)가 이동하면 타이밍벨트(555)와 링크블록(560)에 의해 연결된 수용프레임(670)이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링크블록(560)은 수용프레임(670)에 볼트(560a) 체결되며 연결될 수 있고, 치형부(561) 및 이탈방지판(563)을 포함할 수 있다.
치형부(561)는 링크블록(56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타이밍벨트(555)의 요철부(555a)와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밍벨트(555)가 이동하면 링크블록(56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탈방지판(563)은 링크블록(560)의 상부에서 치형부(561)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방향(Z)으로 돌출된 판 형상일 수 있다. 이탈방지판(563)은 타이밍벨트(555)의 일측을 지지하며, 타이밍벨트(555)가 제1,2 풀리(551,55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을 참고하면, 타이밍벨트(555)의 일측은 이탈방지판(563)에 의해 지지되고 있고, 타이밍벨트(555)의 타측은 수용프레임(670)에 의해 지지되고 있어, 타이밍벨트(555)의 위치는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제1,2 풀리(551,55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c를 참고하면, 이동유닛(600)은 가이드빔(610), 체결링(615), 구동 유닛(620), 가이드샤프트(630), 스크류블록(640), 스크류베이스(650), 이동블록(660) 및 수용프레임(67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프레임(670)에는 카트리지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블록(560)에 의해 타이밍벨트(555)와 연결되며 제1,2 샤프트(520,530)에 의해 안내되며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수용프레임(670)에는 가이드블록(678;도 12 참고)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블록(678)에는 제2 샤프트(53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678)은 수용프레임(670)이 제2 샤프트(5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수용프레임(670)의 중앙부에는 카트리지수용부(674)가 형성되고, 카트리지부재(300)는 카트리지수용부(674)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수용부(674)의 내부 양측에는 복수개의 서포트브라켓(675)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빔(610)은 복수개의 서포트브라켓(675)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빔(610)은 복수개의 서포트브라켓(675)과 복수개의 빔브라켓(310)에 삽입되며 카트리지부재(300)와 수용프레임(67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트리지부재(300)는 가이드빔(610)에 의해 안내되며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가이드빔(610)의 외측 둘레에는 원주방향으로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개의 절개홈(6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홈(613)에는 체결링(615)이 끼워질 수 있다. 체결링(615)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끼움돌기(615a) 형성될 수 있으며, 끼움돌기(615a)가 절개홈(613)에 끼워지며 체결링(615)이 가이드빔(610)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링(615)은 가이드빔(610)이 서포트브라켓(675)과 빔브라켓(3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카트리지부재(300)가 수용프레임(67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수용부(674)의 하단 중앙부에는 서포트피스(677)가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피스(677)는 카트리지부재(300)가 제2 방향(Y)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카트리지부재(3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a 및 도 13b를 참고하면, 수용프레임(670)의 상부에는 제1 샤프트(520)가 관통하며 삽입되는 관통홀(67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수용프레임(67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672)을 통과하며 제1 샤프트(520)가 배치되며 수용프레임(670)과 제1 샤프트(520)가 연결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수용프레임(670)의 하부에 구동유닛(620)이 배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동유닛(620)은 카트리지부재(300)의 하부와 연결되며 카트리지부재(300)를 제2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유닛(620)은 모터유닛(621), 리드스크류(623), 가이드샤프트(630), 스크류블록(640), 스크류베이스(650) 및 이동블록(66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유닛(621)은 수용프레임(67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모터유닛(621)의 구동축에는 리드스크류(623)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모터부(541)의 제어는 제어기판(P)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동력은 배터리(B)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수용프레임(670)의 하부에는 스크류베이스(650)가 볼트(650a) 체결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스크류베이스(650)는 리드스크류(623)의 타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스크류블록(640)은 리드스크류(623)에 맞물려 배치될 수 있으며, 리드스크류(623)의 회전에 따라 리드스크류(623)의 길이방향, 즉 제2 방향(Y)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샤프트(630)는 스크류베이스(650)와 모터유닛(6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크류블록(640)과 연결될 수 있다. 스크류블록(640)이 가이드샤프트(630)에 연결됨에 따라 리드스크류(623)가 회전할 때 스크류블록(64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류블록(64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이동블록(660)은 구동유닛(620)과 카트리지부재(300)간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유닛(620)의 동작에 의해 카트리지부재(300)를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블록(660)에는 끼움홀(66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블록(640)은 끼움홀(661)에 삽입되며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블록(640)이 리드스크류(623)를 따라 이동하면, 이동블록(66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블록(660)에는 링크핀(663)이 배치될 수 있으며, 링크핀(663)은 상술한 카트리지홀(330)에 형성된 링크홈(3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블록(660)과 카트리지부재(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블록(660)에는 연결구홀(66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구홀(660a)에 연결구(680)가 삽입되고 카트리지부재(300)의 하단에 체결되며 이동블록(660)과 카트리지부재(30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연결구(680)는 볼트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고하면, 카트리지수용부(674)의 하부에는 가이드홀(676)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홀(676)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며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구(680)는 연결구홀(660a)에 삽입되고, 가이드홀(676)을 관통하며 카트리지부재(30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블록(660)과 카트리지부재(300)는 링크핀(663) 및 연결구(68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이동블록(660)이 이동하면 카트리지부재(30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연결구(680)는 가이드홀(676)을 따라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3a 및 도 13b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차제거패드(900)는 제1 샤프트(520)와 관통홀(672)간의 공차를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프레임(670)의 상부에는 제1 샤프트(520)가 관통하며 삽입되는 관통홀(67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용프레임(67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672)을 통과하며 제1 샤프트(520)가 배치됨에 따라 수용프레임(670)과 제1 샤프트(520)가 연결되고, 수용프레임(670)이 제1 샤프트(5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 관통홀(672)의 크기와 제1 샤프트(520)의 크기간에 크기 차이로 인해 공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1 샤프트(520)가 원기둥 형상이고 관통홀(672)이 원형 단면으로 구성됨에 따라 관통홀(672)의 내경과 제1 샤프트(520)의 외경간의 크기차이로 인한 공차일 수 있다. 다만 제1 샤프트(520) 및 관통홀(67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샤프트(520)를 관통홀(672)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제1 샤프트(520)의 외경이 관통홀(672)의 내경보다는 약간 작게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샤프트(520)와 관통홀(672)간에 공차가 발생한다. 공차가 있으면 제1 샤프트(520)를 따라 수용프레임(670)이 이동할 때 흔들림, 진동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이 제대로 인쇄되지 않을 수 있다.
공차제거패드(900)는 수용프레임(670)과 제1 샤프트(520)간에 접촉되며, 제1 샤프트(520)를 가압하여 제1 샤프트(520)의 일부가 관통홀(672)의 일부에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프레임이 제1 샤프트(520)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수용프레임(670)의 흔들림, 진동 등이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프레임(670)의 상부에는 개구부(67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671)는 관통홀(672)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3b를 참고하면, 개구부(671)의 측부에 관통홀(672)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을 참고하면 제1 샤프트(520)가 관통홀(672)에 삽입되며 개구부(671)를 통과하며 배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671)의 내측 하부에는 안착홈(67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차제거패드(900)는 안착홈(673)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홈(673)에 배치된 공차제거패드(900)는 수용프레임(670)의 상부와 제1 샤프트(520)의 하부에 접촉되며,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복원력으로 제1 샤프트(520)를 제3 방향(Z)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13a를 참고하면, 공차제거패드(900)의 양측부가 안착홈(673)을 하방향으로 화살표(M3)와 같이 힘을 인가하고, 공차제거패드(900)의 중앙부가 제1 샤프트(520)를 상방향(M1)으로 힘을 인가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샤프트(520)는 제3 방향(Z)으로 가압되고, 화살표(M2)와 같이 제1 샤프트(520)의 외면 일부가 관통홀(672)의 내면 일부에 접촉되게 된다.
궁극적으로는 수용프레임(670)의 이동간에도 제1 샤프트(520)가 관통홀(67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1 방향(X) 이동간에도 공차가 제거되어 흔들림, 진동 등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공차제거패드(900)는 사이드패드(920), 센터패드(910), 상부절곡부(931) 및 하부절곡부(93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패드(920)는 공차제거패드(900)의 양측부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으며, 안착홈(673)의 내부에 접촉될 수 있다.
센터패드(910)는 한 쌍의 사이드패드(9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샤프트(520)의 하부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센터패드(910)의 하부에는 센터절곡부(910a)가 형성되고, 센터패드(910)와 사이드패드(920) 사이에는 상부절곡부(931)와 하부절곡부(933)가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a에 개시된 형상에서는 상부절곡부(931)와 하부절곡부(933)가 센터패드(910)와 사이드패드(920) 사이에 한 개씩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672)에 제1 샤프트(520)가 삽입되면, 제1 샤프트(520)의 하부와 안착홈(673)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공차제거패드(900)는 살짝 눌려 있게 된다. 이때 센터절곡부(910a), 상부절곡부(931) 및 하부절곡부(933)가 약간 변형되며 공차제거패드(900)가 제1 샤프트(520)와 안착홈(673)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공차제거패드(900)가 제1 샤프트(520)를 제3 방향(Z)으로 가압하는 힘은 센터절곡부(910a), 상부절곡부(931) 및 하부절곡부(933)가 변형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힘이 된다. 이는 센터절곡부(910a), 상부절곡부(931) 및 하부절곡부(933)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복원력이 된다. 이 복원력이 제1 샤프트(520)의 외면 일부가 관통홀(672)의 내면 일부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공차를 제거하는 것이다.
한편, 도 14를 참고하면, 이동수단(500)의 동작에 따라 카트리지부재(30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는 상태와 이동유닛(600)의 동작에 따라 카트리지부재(30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차제거수단(800)에 의해 제1 샤프트(520)와 제1 샤프트홀(511)간의 공차 및 제2 샤프트(530)와 제2 샤프트홀(513)간의 공차가 제거되므로 카트리지부재(300)는 제1 방향(X)을 따라 흔들림, 진동 등을 억제하며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공차제거패드(900)가 제1 샤프트(520)와 수용프레임(670)간의 공차를 제거하므로, 수용프레임(670) 자체의 흔들림, 진동 등을 억제하며 이동할 수 있다.
즉 전반적으로 제1 방향(X) 이동시 흔들림, 진동 등을 억제될 수 있어,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인쇄함에 있어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유닛(600)이 수용프레임(670)에 배치되며 카트리지부재(300)를 직접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종래 제품에 비해 네일아트장치(100)의 크기 및 부피를 전반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한편,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100)가 내장되는 장치케이싱(200)의 제1 실시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장치케이싱(200)의 크기, 형상 등은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장치케이싱(200)의 제1 실시형태는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을 포함할 수 있다. 네일아트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부케이싱(210)의 내부로 하부케이싱(220)이 들어갈 수 있다. 이 경우 제품의 크기 및 부피가 축소되므로, 사용자는 휴대하기 편리하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에는 상호 연결구조가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상부케이싱(210)의 승강 구조 및 승강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네일에 디자인을 인쇄하고 싶으면, 사용자는 하부케이싱(220)을 지면, 손바닥 등의 위에 놓고 상부케이싱(210)을 잡고 상방향으로 올린다. 하부케이싱(220)에는 핑거홀(230)이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부케이싱(210)을 들어 올리면 핑거홀(230)이 노출된다. 이후 사용자는 네일이 위로 된 상태로 손가락을 핑거홀(230)의 내부로 넣는다.
도 15c를 참고하면,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의 내부에 네일아트장치(100)가 배치된 대략적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의 크기 및 형상, 핑거홀(230)과 핑거안착부(222)의 크기, 위치 및 형상은 네일아트장치(100)와의 비율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부케이싱(210)을 올리면 네일아트장치(100)가 승강빔(72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핑거홀(230)에 손가락을 넣을 공간이 생긴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핑거홀(230)에 넣고 핑거안착부(222) 위에 안착하고, 무선 콘트롤러 또는 장치케이싱(200)에 있는 버튼을 클릭하여 네일아트장치(100)를 작동시킨다.
네일아트장치(100)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네일 크기를 인식하고, 이동부재가 제1,2 방향(X,Y)으로 이동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디자인을 네일에 인쇄한다.
한편, 도 16a 및 도 16b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100)가 내장되는 장치케이싱(200)의 제2 실시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장치케이싱(200)의 제2 실시형태는 하부에 레그수용홈(251) 및 레그(253)가 배치될 수 있다. 장치케이싱(200)의 크기, 형상 등은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네일아트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레그수용홈(251)에 레그(253)를 접어서 넣을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레그(253)는 힌지에 의해 레그수용홈(251)에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를 회전시켜 레그(253)를 레그수용홈(251)에 넣을 수 있다. 이 경우 제품의 크기 및 부피가 축소되므로, 사용자는 휴대하기 편리하다.
사용자가 네일에 디자인을 인쇄하고 싶으면, 사용자는 레그수용홈(251)에서 레그(253)를 펼쳐서 지면, 손바닥 등의 위에 위치시키고 장치케이싱(200)의 하부로 손가락을 넣는다.
도 16b을 참고하면, 장치케이싱(200)의 하부에는 잉크카트리지가 노출되는 케이싱홀(2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네일이 위로 위치한 상태에서 케이싱홀(240)의 하부에 네일을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무선 콘트롤러 또는 장치케이싱(200)에 있는 버튼을 클릭하여 네일아트장치(100)를 작동시킨다. 네일아트장치(100)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네일 크기를 인식하고, 이동부재가 제1,2 방향(X,Y)으로 이동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디자인을 네일에 인쇄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슬라이딩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휴대성을 향상하고, 또한 공차를 제거함으로써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과 디자인 인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에서 네일아트장치는 상기 설명된 몇몇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몇몇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네일아트장치
200:장치케이싱 210:상부케이싱
220:하부케이싱 230:핑거홀
240:케이싱홀 251:레그수용홈
253:레그
300:카트리지부재 310:빔브라켓
320:링크홈 330:카트리지홀
340:부재바디 350:카트리지탈착홈
500:이동수단 510:장치베이스
511:제1 샤프트홀 513;제2 샤프트홀
520:제1 샤프트 530:제2 샤프트
540:구동수단 541:모터부
542:제1 기어 543:제2 기어
543a:제2-1 기어 543b:제2-2 기어
544:제3 기어 544a:제3-1 기어
544b:제3-2 기어 545:제4 기어
546:제5 기어 547:기어조립체
551:제1 풀리 553:제2 풀리
555:타이밍벨트 560:링크블록
561:치형부 563:이탈방지판
570:장력조절수단 571:고정피스
572:이동피스 573:탄성체
574:고정돌기 576:고정축빔
577:걸쇠돌기
600:이동유닛 610:가이드빔
613:절개홈 615:체결링
620:구동유닛 621:모터유닛
623:리드스크류 630:가이드샤프트
640:스크류블록 650:스크류베이스
660:이동블록 660a:연결구홀
661:끼움홀 663:링크핀
680:연결구 670:수용프레임
671:개구부 672:관통홀
673:안착홈 674:카트리지수용부
675:서포트브라켓 676:가이드홀
677:서포트피스
700:승강부재 710:승강블록
720:승강빔
800:공차제거수단 810:가압핀
821:제1 절곡부 823:제2 절곡부
825:제3 절곡부 830:지지블록
840:제1 핀홈 850:제2 핀홈
900:공차제거패드 910:센터패드
920:사이드패드 931:상부절곡부
933:하부절곡부
P:제어기판 B:배터리

Claims (1)

  1. 제1 샤프트홀이 형성된 장치베이스;
    상기 제1 샤프트홀에 삽입되며 배치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홀의 크기와 상기 제1 샤프트의 크기간에 공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 샤프트의 외면과 상기 제1 샤프트홀의 내면을 서로 접촉시켜는 공차제거수단;
    을 포함하는,
    네일아트장치.
KR1020220156900A 2022-07-05 2022-11-22 네일아트장치 KR20240005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900A KR20240005564A (ko) 2022-07-05 2022-11-22 네일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212A KR102470800B1 (ko) 2022-07-05 2022-07-05 네일아트장치
KR1020220156900A KR20240005564A (ko) 2022-07-05 2022-11-22 네일아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212A Division KR102470800B1 (ko) 2022-07-05 2022-07-05 네일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564A true KR20240005564A (ko) 2024-01-12

Family

ID=842370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212A KR102470800B1 (ko) 2022-07-05 2022-07-05 네일아트장치
KR1020220156900A KR20240005564A (ko) 2022-07-05 2022-11-22 네일아트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212A KR102470800B1 (ko) 2022-07-05 2022-07-05 네일아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70800B1 (ko)
WO (1) WO2024010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800B1 (ko) * 2022-07-05 2022-11-28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네일아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313B1 (ko) 2018-07-18 2019-09-06 주식회사 디에스앤 다용도 패턴 프린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051B1 (ko) * 2010-10-20 2011-02-14 이상영 네일아트장치
KR20180046971A (ko) * 2016-10-28 2018-05-10 주식회사 금강테크 네일아트장치
JP7443864B2 (ja) * 2020-03-23 2024-03-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254044B1 (ko) * 2020-04-01 2021-05-21 주식회사 아우라코스메틱스 곡선형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노즐을 통해 손톱 굴곡에 따라 잉크를 분사하는 네일 프린팅 머신
KR102470800B1 (ko) * 2022-07-05 2022-11-28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네일아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313B1 (ko) 2018-07-18 2019-09-06 주식회사 디에스앤 다용도 패턴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0274A1 (ko) 2024-01-11
KR102470800B1 (ko) 202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05576A (ko) 네일아트장치
KR20240005564A (ko) 네일아트장치
EP1112732A1 (en) Massage device
EP1935589A1 (en) Card cutter
CN103025196A (zh) 美甲设备
US7883484B1 (en) Belt exercising and massaging device
JP2864374B1 (ja) 携帯用マッサージ機
US20060293618A1 (en) Massage device for massaging legs and feet simultaneously
TW200911456A (en) Blade polishing machine
CN213360977U (zh) 同步带组件
EP1972316A1 (en) Belt exercising and massaging device
CN208994753U (zh) 打印机进纸机构中的张紧机构
JP3694617B2 (ja) マッサージ装置
JP2003038598A (ja) マッサージ装置
KR102584928B1 (ko) 네일아트장치
KR200228120Y1 (ko) 먹가는 장치
KR102614771B1 (ko) 네일홀더모듈
JP2000005252A (ja) 電動ローラーマッサージ装置
KR102550759B1 (ko) 네일아트장치
WO2007117071A1 (en) Apparatus for treating neck disorders
KR20200068802A (ko) 패널 헤밍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헤밍하는 방법
KR20050023095A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JP3382705B2 (ja) 丁合機用給紙装置
JPH059181Y2 (ko)
JP3161020B2 (ja) 電動式パン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