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759B1 - 네일아트장치 - Google Patents

네일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759B1
KR102550759B1 KR1020230052615A KR20230052615A KR102550759B1 KR 102550759 B1 KR102550759 B1 KR 102550759B1 KR 1020230052615 A KR1020230052615 A KR 1020230052615A KR 20230052615 A KR20230052615 A KR 20230052615A KR 102550759 B1 KR102550759 B1 KR 102550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nail
lever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3005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029/005Printing or stamping devices for applying images or ornaments to n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네일아트장치가 개시된다. 네일아트장치는 전면부에는 네일홀더모듈이 탈착되는 네일투입부가 배치되고 내부에는 네일프린터모듈이 배치되는 모듈하우징 및, 상기 모듈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듈하우징의 크기를 변형하는 크기변형부를 포함하되, 휴대성이 우수하고, 사용자의 네일(nail)에 디자인을 정확하고 빠르게 프린팅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일아트장치{NAIL ART APPARATUS}
본 개시는 네일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휴대성이 우수하고, 사용자의 네일(nail)에 디자인을 정확하고 빠르게 프린팅할 수 있는 네일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일아트(nail art)는 사람의 손톱 또는 발톱 등에 여러가지 디자인을 새겨넣는 예술작업이다.
과거에는 네일아트가 발전하기 전에는 단순히 단색의 매니큐어를 칠하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최근에는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이지고, 기분 전환을 위해 네일을 조금 더 아름답게 보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에 발맞춰 네일아트는 보다 다양한 색상과 모양으로 다양한 디자인이 연출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일반적인 네일아트는 사람이 직접 네일에 디자인을 그려넣고 있다. 이러한 수작업 방식의 경우, 네일아트를 하는 비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네일아트를 작업하는 동안 사람은 한동안 한자리에 머물러 있어야 하기도 한다.
또한 사람이 디자인을 그려넣는 중에 손가락(또는 발가락)이 움직일 수 있어 원하는 디자인이 제대로 그려지지 않을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2441817 (2022.09.05 등록)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성이 우수하고, 사용자의 네일(nail)에 디자인을 정확하고 빠르게 프린팅할 수 있는 네일아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한 네일아트장치는, 전면부에는 사용자의 네일이 투입되는 네일투입부가 배치되고, 내부에는 네일프린터모듈이 배치되는 모듈하우징; 및 상기 모듈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듈하우징의 크기를 변형하는 크기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듈하우징은, 내부에 네일프린터모듈이 배치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전면부에는 네일투입부가 배치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크기변형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을 승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부를 형성하고, 잉크카트리지를 교체를 위한 교체개방부가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네일프린터모듈이 배치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판 방향으로 돌출되며 배치되는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기변형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이 서로 탈착되도록 하는 레버유닛; 및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에 배치되고, 하단면에는 레버스위치가 배치되는 레버바디; 상기 레버바디에 관통되며 형성되는 제1 레버홀; 및 상기 제1 레버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판후크에 탈착되는 레버고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유닛은, 상기 레버바디의 일단부와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레버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유닛은, 상기 레버바디에 관통되며 형성되는 제2 레버홀; 상기 제1 레버홀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버연결라인; 및 상기 하부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연결라인에 걸리는 레버연결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바디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레버연결후크의 폭은 상기 제2 레버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바디의 측면부를 지지하며 레버바디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레버가이드; 상기 레버바디의 측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형성되는 레버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서 상기 레버돌출부의 양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바디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레버리미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유닛은, 상기 레버바디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바디가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서 분리될 때 회전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레버바디의 측부에 링크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링크; 일단부는 상기 지지링크에 제1 스프링핀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레버바디의 측부에 제2 스프링핀으로 고정되는 링크스프링; 및 상기 지지링크의 내부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링크스프링이 수용되는 링크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링크를 눌러 상기 지지링크가 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공되는 링크누름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가이드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승강을 가이드하고, 상기 상부하우징에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승강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승강가이드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부폴;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승강라인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부폴; 및 상기 승강라인과 상기 하부폴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폴은 상기 상부폴의 내부에 형성된 승강라인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가이드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2 승강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승강가이드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상기 복수개의 하부폴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승강빔; 상기 베이스판에서 상기 복수개의 상부폴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서브승강빔이 삽입되며 배치되는 서브승강홀이 형성되는 서브폴; 및 상기 서브승강빔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승강홀에 배치되는 서브슬라이더;을 포함하되, 상기 서브슬라이더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서브승강홀의 내부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네일투입부는, 일단부는 유동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타단부는 상기 네일투입부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장착가이드빔; 상기 장착가이드빔의 일단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고정후크; 상기 네일투입부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사이드홈; 및 상기 네일투입부의 하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중앙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네일홀더모듈 및 네일아트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해, 네일아트장치는 비사용 중에는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해질 수 있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나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본 개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예(들)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전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후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에서 상부바디를 제거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에서 홀더부 및 하부바디간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에서 홀더부가 사용자의 손가락 형상에 따라 변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에서 상부하우징을 상승시켜 네일투입부를 개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에서 커버를 제거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에서 상부하우징을 제거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에서 캡핑부 및 와이핑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캡핑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캡핑부에서 압력판 및 압력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캡핑부의 캡핑걸림부 및 이동유닛간의 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와이핑부 및 스핏팅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스핏팅부의 흡착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와이핑부의 와이핑걸림부 및 이동유닛간의 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상부하우징이 하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상부하우징이 상승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상부하우징이 하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상부하우징이 상승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승강가이드유닛의 제1 승강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승강가이드유닛의 제2 승강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이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이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도 3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이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이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후측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공차제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공차제거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 26에 개시된 G-G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에 사용자의 네일을 고정하는 네일홀더모듈을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가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네일홀더모듈 및 네일아트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본 개시의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가 될 수도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 본 개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의미의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의미의 "또는"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개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전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후측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에서 상부바디를 제거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에서 홀더부 및 하부바디간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에서 홀더부가 사용자의 손가락 형상에 따라 변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100)은 사용자의 네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홀더케이싱(110) 및 홀더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케이싱(110)은 사용자의 네일이 투입되고, 네일홀더모듈(100)의 전반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홀더케이싱(110)은 상부바디(120), 하부바디(130) 및 승강가이드수단(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바디(120)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블록 형상일 수 있으며, 내부에는 홀더부(140)가 수용될 수 있다.
상부바디(120)의 전면부에는 관통된 개구홀(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홀(121)을 통해 사용자의 네일이 투입될 수 있다.
개구홀(121)의 상단면에는 상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상단곡면부(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개구홀(121)의 하단면에는 하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하단곡면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홀(121)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투입될 때, 상단곡면부(122) 및 하단곡면부(123)가 곡면 형상이므로, 손가락의 곡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바디(120)의 상부에는 관통된 개방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홀(121)을 통해 투입된 사용자의 네일은 개방부(127)에서 외부에 개방되게 놓이게 되는데, 이는 이동부재(700)에 의해 잉크카트리지가 네일의 상부를 이동하며 네일에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부바디(120)에는 상부가이드라인(129) 및 상부탈착홈(1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가이드라인(129)은 직선 형상일 수 있으며, 상부바디(120)의 상단면에 상부바디(120)의 길이방향(Y)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탈착홈(128)은 상부가이드라인(129)에서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네일아트장치(200)에 배치되는 네일투입부(360)를 확인할 수 있다. 네일투입부(360)에 네일홀더모듈(100)이 삽입되며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네일투입부(360)에는 장착가이드빔(361) 및 고정후크(362)가 형성되어 있어 네일투입부(360)에 삽입된 네일홀더모듈(100)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가이드빔(361)의 일단부(361a)는 개방될 수 있고, 타단부(361b)는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가이드빔(361)은 직선 형상일 수 있으며, 네일홀더모듈(100)의 투입방향(Y)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장착가이드빔(361)의 일단부(361a)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후크(362)가 배치될 수 있다.
네일투입부(360)에 네일홀더모듈(100)을 투입하면, 상부바디(120)의 상부가이드라인(129)은 장착가이드빔(361)의 하면부를 따라 이동하고, 어느 정도 삽입된 후에는 고정후크(362)가 상부탈착홈(128)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가이드빔(361)의 일단부(361a)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고정후크(362)가 상부가이드라인(129)의 상단면을 이동할 때는 장착가이드빔(361)의 일단부(361a)가 약간 상방향으로 꺾인 상태에 있게 된다. 이후 고정후크(362)가 상부탈착홈(128)에 끼워진 후에는 장착가이드빔(361)의 일단부(361a)는 다시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탄성력에 의해 상부탈착홈(128)에 고정후크(362)는 가압되며 끼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네일투입부(360)에 네일홀더모듈(100)을 고정할 수 있다.
네일홀더모듈(100)을 네일투입부(360)에서 분리할 때는, 사용자가 네일홀더모듈(100)을 잡고 당기면, 당기는 힘에 의해 장착가이드빔(361)의 일단부(361a)가 상방향으로 약간 들리면서 고정후크(362)가 상부탈착홈(128)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네일홀더모듈(100)을 더 당겨서 네일투입부(360)으로부터 뺄 수 있다.
그리고, 상부바디(120)의 측면부에는 유동방지돌기(125)가 배치될 수 있다. 유동방지돌기(125)는 상부바디(120)의 측면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개구홀(121)의 반대방향(Y)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네일투입부(360)의 하단 측부에는 오목하게 사이드홈(36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네일홀더모듈(100)을 네일투입부(360)에 삽입하면, 유동방지돌기(125)는 사이드홈(366)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부바디(120)가 네일투입부(36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Z) 및 좌우방향(X)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동방지돌기(125)는 사이드홈(366)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사이드홈(366)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바디(120)의 양측면 하부에서는 유동방지돌기(125)가 사이드홈(366)에 삽입되어 상부바디(120)를 네일투입부(360)에 고정하고, 상부바디(120)의 상단면에 형성된 상부가이드라인(129)은 장착가이드빔(361)의 하단부에 접촉되면서 고정되며, 상부탈착홈(128)에는 고정후크(362)가 끼워짐에 따라 네일홀더모듈(100)은 네일투입부(36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바디(120)의 측면부에는 측단간격돌기(126)가 배치될 수 있다. 측단간격돌기(126)는 상부바디(12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바디(120)가 네일투입부(360)에 원활하게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부바디(120)의 측면부와 네일투입부(360)의 내측면(360a;도 11 참조)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소정 간격이 형성되는 경우, 네일투입부(360)의 내부에서 네일홀더모듈(100)이 좌우로 흔들릴 수 있으며, 네일에 디자인이 제대로 프린팅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네일투입부(360)에서 상부바디(120)를 원활하게 탈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네일투입부(360)의 내측면(360a)에 상부바디(120)가 삽입되었을 때는 상부바디(12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부바디(120)의 측면 일부에 측단간격돌기(126)를 배치할 수 있다.
즉, 네일홀더모듈(100)을 네일투입부(360)에 삽입하면, 상부바디(120)의 측면부에 배치된 측단간격돌기(126)가 네일투입부(360)의 내측면(360a)에 접촉되며 네일홀더모듈(100)이 좌우방향(X)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바디(13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일 수 있으며, 상부바디(120)의 하부에 볼트(120a;도 1 참조) 체결되며 연결될 수 있다.
하부바디(130)의 내부에는 홀더부(1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바디(130)는 홀더부(14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바디(130)의 하면 일부에는 하단간격돌기(138)가 배치될 수 있다. 하단간격돌기(138)는 하부바디(130)의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바디(130)가 네일투입부(360)에 원활하게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하부바디(130)의 하단부와 네일투입부(360)의 하면(360b;도 11 참조)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소정 간격이 형성되는 경우, 네일투입부(360)의 내부에서 네일홀더모듈(100)이 상하방향(Z)으로 흔들릴 수 있으며, 네일에 디자인이 제대로 프린팅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측단간격돌기(126)와 마찬가지로, 네일투입부(360)에서 하부바디(130)를 원활하게 탈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네일투입부(360)의 하면(360b)에 삽입되었을 때는 하부바디(13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단간격돌기(138)를 배치할 수 있다.
즉, 네일홀더모듈(100)을 네일투입부(360)에 삽입하면, 상부바디(120)의 상부가이드라인(129)은 장착가이드빔(361)에 접촉되고, 하부바디(130)의 하단간격돌기(138)가 네일투입부(360)의 하면(360b)에 접촉되면서, 네일홀더모듈(100)이 상하방향(Z)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홀더부(140)는 홀더케이싱(1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홀더케이싱(110)과 연계하여 네일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홀더부(14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손가락의 상부는 개구홀(121)의 상단곡면부(12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140)는 손가락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며 손가락의 하면 일부를 감싸며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홀더부(140)는 사용자의 손가락 투입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블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블록은 손가락의 하부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로 승강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록이 손가락의 하부 형상에 따라 승강되어 사용자의 네일이 비교적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홀더부(140)는 제1 홀더블록(150), 제2 홀더블록(160) 및 핑거스토퍼(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블록(150)은 홀더케이싱(110)의 내부에서 개구홀(12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더블록(150)의 상부면에는 제1 핑거안착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핑거안착부(151)는 하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의 하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가락의 하면이 제1 핑거안착부(151)에 안착될 때, 손가락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제1 홀더블록(15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스프링홈(153)과 하부바디(130)의 상부 사이에는 제1 스프링(156)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바디에는 제1 스프링돌기(132)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스프링(156)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스프링(156)은 제1 홀더블록(15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제1 핑거안착부(151)에 안착된 손가락의 상부가 개구홀(121)의 상단곡면부(122)에 가압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스프링(156)은 제1 홀더블록(150)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홀더블록(160)은 홀더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손가락의 투입방향(Y)을 기준으로 제1 홀더블록(15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홀더블록(160)의 상부면에는 제2 핑거안착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핑거안착부(161)는 하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의 하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가락의 하면이 제2 핑거안착부(161)에 안착될 때, 손가락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제2 홀더블록(16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스프링홈(163)과 하부바디(130)의 상부 사이에는 제2 스프링(166)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바디에는 제2 스프링돌기(134)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제2 스프링(166)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스프링(166)은 제2 홀더블록(16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제1 홀더블록(150)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홀더블록(160)에는 핑거스토퍼홀(165)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핑거스토퍼홀(165)에는 핑거스토퍼(1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핑거스토퍼(170)를 기준으로 하여 제2 홀더블록(160)이 승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핑거안착부(151)는 사용자의 손가락 투입방향(Y)으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핑거안착부(161)는 사용자의 손가락 투입방향(Y)으로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가락은 여러 마디로 이뤄져 있고, 네일이 있는 마지막 손가락마디는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손가락마디 중에 중간에 있는 손가락마디가 안착되는 제1 핑거안착부(151)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고, 마지막 손가락마디가 안착되는 제2 핑거안착부(161)는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의 하면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편안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홀더부(140)에 포함된 복수개의 블록 중 개구홀(121)에 대향하는 일 말단에 위치하는 블록(제2 홀더블록(160))에 구비된 누름부를 사용자가 누른 경우, 복수개의 블록이 연계하여 하강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록이 서로 겹쳐지게 배치된 돌출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블록이 연계하여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블록이 같이 하강하는 경우 사용자는 네일홀더모듈(100)에 손가락을 쉽게 넣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홀더블록(150)의 후측 하부에는 제2 홀더블록(160) 방향으로 돌출되게 후면돌출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홀더블록(160)의 전측 상부에는 제1 홀더블록(150) 방향으로 돌출되게 전면돌출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면돌출부(162)는 후면돌출부(152)의 상부에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홀더블록(150)과 제2 홀더블록(160)간에 승강 움직임을 연계시킬 수 있다. 즉, 제1 홀더블록(150)이 상승할 때는 후면돌출부(152)가 전면돌출부(162)를 밀어 올려 제2 홀더블록(160)도 함께 상승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2 홀더블록(160)이 하강할 때는 전면돌출부(162)가 후면돌출부(152)를 밀어 내려 제1 홀더블록(150)도 함께 하강할 수 있다.
한편, 핑거스토퍼(170)는 하부바디(130)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네일이 투입되는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이때 핑거스토퍼(170)에서 개구홀(121)을 마주하는 측에는 핑거곡면부(171)가 형성될 수 있다. 핑거곡면부(171)는 핑거스토퍼(170)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람의 손가락 끝은 곡면으로 이뤄져 있으므로, 손가락 끝이 핑거스토퍼(170)에 접촉할 때 핑거곡면부(171)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핑거스토퍼(170)는 중앙부에 내측으로 함몰된 중앙지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지시홈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도록 중심 축을 보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가락의 중심을 중앙지시홈에 맞춰서 네일홀더모듈(10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종래의 네일아트장치는 카메라가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네일아트장치의 내부로 손가락을 넣으면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통해 네일이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고, 네일의 중심이 내부의 중심축에 위치되도록 손가락을 움직여야 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경우, 카메라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네일아트장치의 가격을 향상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 개시에 따라 핑거스토퍼(170)의 중앙부에 중앙지시홈이 위치하고, 네일홀더모듈(100)이 네일아트장치(200)에 탈착가능한 구조를 갖는 경우 사용자는 카메라 없이도 네일홀더모듈(100) 안에서 필요한 위치에 손가락이 위치하도록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네일아트장치(200)에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없어도 되므로, 네일아트장치(200)의 제조 단가가 낮아질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100)은 승강가이드수단(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수단(180)은 홀더케이싱(110)과 홀더부(140)간에 연계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홀더케이싱(110)의 내부에서 홀더부(14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가이드수단(180)은 승강홀(182), 이탈방지후크(183), 제1 승강돌기(184) 및 제2 승강돌기(185)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홀(182)은 하부바디(130)에 상하방향(Z)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탈방지후크(183)는 하부바디(130)에서 승강홀(18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승강돌기(184)는 제1 홀더블록(150)의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승강홀(182)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홀더블록(150)이 승강할 때, 제1 승강돌기(184)는 승강홀(18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홀더블록(150)의 상하 이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홀(182)의 상부에서는 이탈방지후크(183)가 형성되어 있어 제1 승강돌기(184)가 제1 스프링(156)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홀(18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승강돌기(185)는 제2 홀더블록(160)의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승강홀(182)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홀더블록(160)이 승강할 때, 제2 승강돌기(185)는 승강홀(18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 홀더블록(160)의 상하 이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홀(182)의 상부에서는 이탈방지후크(183)가 형성되어 있어 제2 승강돌기(185)가 제2 스프링(166)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홀(18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100)의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 작동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홀더블록(160)을 누르면(정확하게 제2 홀더블록(160)의 일 말단에 위치하는 누름부를 누르면), 제1 홀더블록(150)이 제2 홀더블록(160)과 함께 하방으로 하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홀더블록(150)는 제2 홀더블록(160)의 타 말단에 위치하는 블록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개구홀(121)을 통해 손가락(F)을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손가락(F)을 삽입하면 제1 홀더블록(150) 및 제2 홀더블록(160)은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상승 정도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하부 형상 또는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사용자마다 제1 홀더블록(150) 및 제2 홀더블록(160)의 상승 정도가 다를 수 있으며, 대체로는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네일(N)측으로 갈수록 손가락의 굵기가 작아지므로, 제1 홀더블록(150)이 제2 홀더블록(160)보다 조금 더 하강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손가락을 쭉 밀어넣으면 손가락의 단부가 핑거스토퍼(170)의 핑거곡면부(171)에 접촉하게 된다. 손가락은 더 이상 들어갈 수 없게 되고, 제1 스프링(156)이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손가락의 상부가 개구홀(121)의 상단곡면부(122)에 가압 접촉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손가락의 단부, 하부 및 상부가 각각 고정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손가락 하부 형상에 따라 제1,2 홀더블록(150,160)이 하강해 있으므로, 사용자의 네일은 비교적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로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정밀하게 프린팅하기 위해 네일은 수평하게 위치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홀(121)의 상단곡면부(122), 제1,2 홀더블록(150,160)의 제1,2 핑거안착부(151,161) 및 핑거스토퍼(170)의 핑거곡면부(171)는 사람의 손가락 형상에 대응되게 곡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고정된 사용자의 손가락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이후, 도 3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가락(F)을 밀어 넣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네일홀더모듈(100)을 네일아트장치(200)의 네일투입부(360)에 삽입,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탈착홈(128)에 장착가이드빔(361)의 고정후크(362)가 끼워지며 네일투입부(360)의 내부에 네일홀더모듈(100)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네일홀더모듈(100)과 네일투입부(360)의 내측면(360a)과의 간격은 측단간격돌기(126)가 제거하게 되고, 네일홀더모듈(100)과 네일투입부(360)의 하면(360b)과의 간격은 하단간격돌기(138)가 제거하게 되며, 장착가이드빔(361)이 상부바디(120)의 상부가이드라인(129)을 지지하게 되므로, 네일투입부(360)의 내부에서 네일홀더모듈(100)은 흔들리지 않게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네일(N)에 디자인 프린팅이 끝나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당기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네일투입부(360)에서 네일홀더모듈(100)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네일홀더모듈(100)에서 손가락을 분리할 때는, 손가락으로 제2 홀더블록(160)을 누르면, 제1 홀더블록(150) 및 제2 홀더블록(160)이 같이 하강하여 제1,2 스프링(156,166)이 압축된다. 이 경우, 손가락의 상부가 개구홀(121)의 상단곡면부(122)에 가압되던 것이 해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개구홀(121)에서 손가락을 빼면 네일홀더모듈(100)에서 손가락을 분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홀더모듈(100)은 상술한 구조 및 작동방식을 통해 사용자는 간단하게 손가락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손가락이 고정되는 동안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네일아트장치(200)에 흔들림 없이 장착될 수 있어, 네일에 디자인이 정밀하게 프린팅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에서 상부하우징을 상승시켜 네일투입부를 개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에서 커버를 제거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에서 상부하우징을 제거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에서 캡핑부 및 와이핑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캡핑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캡핑부에서 압력판 및 압력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캡핑부의 캡핑걸림부 및 이동유닛간의 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와이핑부 및 스핏팅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스핏팅부의 흡착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와이핑부의 와이핑걸림부 및 이동유닛간의 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상부하우징이 하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상부하우징이 상승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상부하우징이 하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상부하우징이 상승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승강가이드유닛의 제1 승강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승강가이드유닛의 제2 승강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이고, 도 2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고, 도 3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이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이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고, 도 3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이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고, 도 3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이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후측 사시도이고, 도 3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공차제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의 공차제거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 26에 개시된 G-G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에 사용자의 네일을 고정하는 네일홀더모듈을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가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200)는 모듈하우징(300), 크기변형부(400) 및 네일프린터모듈(1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모듈하우징(300)은 네일아트장치(200)의 전반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면부에는 네일투입부(360)가 배치될 수 있다. 네일투입부(360)에는 사용자의 네일을 고정하는 네일홀더모듈(100)이 탈착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듈하우징(300)의 내부에는 네일프린터모듈(12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하우징(300)은 상부하우징(310) 및 하부하우징(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310)은 하부하우징(350)의 상부에서 하부하우징(350)을 덮으며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네일프린터모듈(12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310)의 일측부에는 단자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P)에 USB 단자(U)가 배치될 수 있으며, USB 단자(U)는 단자홀(3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데이터를 전송, 배터리(B) 충전 등을 위해 USB 단자(U)에 케이블에 연결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부하우징(310)의 전면부에는 전면홀(313)이 형성될 수 있다.
크기변형부(400)가 상부하우징(310)을 하강시켜 상부하우징(310)이 하부하우징(350)을 덮고 있는 경우에는 전면홀(313)이 네일투입부(360)의 하부 일부만을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크기변형부(400)가 상부하우징(310)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전면홀(313)은 네일투입부(360)의 전부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상부하우징(310)은 커버(319), 상판(320), 측판(330) 및 베이스판(3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버(319)는 상부하우징(3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버튼(M)이 노출되는 버튼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버튼(M)은 제어부(P)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버튼(M)을 눌러 제어부(P)를 동작할 수 있으며, 제어부(P)는 네일프린터모듈(120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P)에는 표시부(C)가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부(C)는 버튼(M)에 인접하여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C)는 점등을 통해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319)의 전면측에는 손잡이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손잡이홈(322)을 잡고 들어 올려 커버(319)를 개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부하우징(310)에서 커버(319)를 제거한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커버(319)를 제거하면 상부하우징(310)의 상판(320)이 노출될 수 있다.
상판(320)은 상부하우징(31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판(320)에는 관통된 교체개방부(314)가 배치될 수 있다. 교체개방부(314)를 통해 카트리지부재(11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잉크카트리지(K)를 교체할 때, 커버(319)를 제거하고 교체개방부(314)를 통해 카트리지부재(1100)에서 잉크카트리지(K)를 교체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판(340)은 상부하우징(310)의 내부에서 상판(3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판(340)에 네일프린터모듈(120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판(330)은 베이스판(34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판(320) 방향으로 돌출되며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하우징(310)과 하부하우징(350)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측판(330)에는 걸림피스(331)가 배치되고, 하부하우징(350)에는 걸림턱(35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걸림피스(331)는 측판(33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 형태일 수 있다. 걸림턱(352)은 하부하우징(350)의 상단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피스(331)가 걸림턱(352)에 걸리며 측판(330)이 하부하우징(350)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크기변형부(400)가 상부하우징(310)을 상승시킬 때, 걸림피스(331) 및 걸림턱(352)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상부하우징(310)은 하부하우징(350)과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측판(330)에 걸림피스(331)를 배치하고 하부하우징(350)의 상단 둘레를 따라 걸림턱(352)을 배치함으로써, 상승과정에서 상부하우징(310)이 하부하우징(350)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상부하우징(310)과 하부하우징(350)을 분리하고자 할 때는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걸림피스(331)를 측판(330)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 놓고 걸림턱(352)에 걸리지 않도록 한 후에, 상방향으로 측판(330)을 잡아당기면 상부하우징(310)을 하부하우징(35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하부하우징(350)은 상부하우징(3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하우징(310)이 하강할 때는 상부하우징(3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반대로 상부하우징(310)이 상승할 때는 노출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350)의 전면부에는 네일투입부(36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부하우징(310)이 상승하는 경우, 네일투입부(360)가 완전히 노출되면서 네일홀더모듈(100;도 37 참조)이 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네일투입부(360)는 하부하우징(350)의 전면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다. 네일투입부(360)의 내측면(360a)에는 장착가이드빔(361), 고정후크(362) 및 사이드홈(366)이 배치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빔(361)은 네일홀더모듈(100)의 투입방향(Y)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가이드빔(361)의 일단부(361a)는 유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형태일 수 있고, 타단부(361b)는 네일투입부(360)의 내측면(360a)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후크(362)는 장착가이드빔(361)의 일단부(361a)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홈(366)은 네일투입부(360)의 내측면(360a)에서 하단측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네일홀더모듈(100)의 상부바디(120)의 상단부에는 직선 형상으로 상부가이드라인(129)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가이드라인(129)상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상부탈착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네일홀더모듈(100)을 네일투입부(360)에 투입하면 상부가이드라인(129)은 장착가이드빔(361)의 하단면을 따라 이동하고, 이후 고정후크(362)가 상부탈착홈(128)에 끼워지며, 네일홀더모듈(100)이 네일투입부(36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부바디(120)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유동방지돌기(125)가 사이드홈(366)에 삽입되며 유동을 완화해준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네일투입부(360)의 하측면(360b)에는 중앙돌기(364)가 배치될 수 있다. 중앙돌기(364)는 네일투입부(360)의 하측면(360b)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네일투입부(360)에 네일홀더모듈(100)이 투입되면, 중앙돌기(364)는 하부바디(130)의 하면에 접촉되며 하부바디(130)를 지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바디(130)에는 하단간격돌기(138)가 형성되고, 하단간격돌기(138)는 네일투입부(360)의 하측면(360b)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네일홀더모듈(100)의 하부바디(130)와 네일투입부(360)의 하측면(360b)은 하단간격돌기(138) 및 중앙돌기(364)에 의해 서로 접촉되며 지지된다. 그리고 네일홀더모듈(100)의 상부바디(120)는 상부가이드라인(129)과 장착가이드빔(361)간에 서로 접촉되며 지지되게 된다. 또한 네일홀더모듈(100)의 측면은 측면간격돌기와 네일투입부(360)의 내측면(360a)이 서로 접촉되며 지지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네일투입부(360)의 내부에서 네일홀더모듈(100)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네일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으므로, 네일프린터모듈(1200)이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과정에서 흔들림, 진동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밀한 디자인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11 및 도 19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크기변형부(400)는 모듈하우징(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모듈하우징(300)의 크기를 변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크기변형부(400)는 하부하우징(35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하우징(310)을 승강시키며, 전체적인 모듈하우징(300)의 크기를 변형할 수 있다.
이러한 크기변형부(400)는 레버유닛(410) 및 승강가이드유닛(4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레버유닛(410)은 하부하우징(35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하우징(310)과 하부하우징(350)이 서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유닛(410)은 레버바디(411), 제1 레버홀(412), 레버고정바(417), 레버스프링(414), 제2 레버홀(413), 레버연결라인(416b), 레버연결후크(416a), 레버가이드(419c), 레버리미트부(419a,419b) 및 지지유닛(430)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바디(411)는 전반적으로 일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된 사각 블록 형상일 수 있으며, 레버바디(411)의 하단면에는 레버스위치(411a)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하우징(350)의 하부에는 스위치홀(351)이 배치될 수 있으며, 레버스위치(411a)는 스위치홀(35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레버스위치(411a)를 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레버바디(41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레버홀(412)은 레버바디(411)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고정바(417)는 제1 레버홀(412)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판(340)의 하부에는 베이스판후크(418)가 배치되어 있는데, 도 19에서와 같이, 베이스판후크(418)가 제1 레버홀(412)에 삽입되고 레버고정바(417)에 걸리면, 상부하우징(310)이 하강하여 하부하우징(350)을 덮은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20에서와 같이, 레버바디(411)가 화살표(S1) 방향으로 이동하면, 베이스판후크(418)가 레버고정바(417)에서 이탈하게 되고, 이하 검토할 승강가이드유닛(440)의 승강스프링(442)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하부하우징(350)과 레버바디(411)가 화살표(S2) 방향으로 하강하면, 베이스판후크(418)가 제1 레버홀(412)에서 이탈되며 상부하우징(310)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레버스프링(414)은 레버바디(411)의 일단부와 하부하우징(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레버스위치(411a)를 도 21에 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레버스프링(414)은 압축된다. 이후 사용자가 레버스위치(411a)를 놓으면, 레버스프링(414)이 레버바디(411)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도 22에 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레버바디(411)를 이동시킨다.
제2 레버홀(413)은 레버바디(411)에 관통되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연결라인(416b)은 제2 레버홀(413)의 내부에서 레버바디(411)의 이동방향(X)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레버연결후크(416a)는 하부하우징(350)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2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레버연결후크(416a)는 레버연결라인(416b)에 걸릴 수 있다.
레버연결후크(416a)가 레버연결라인(416b)에 걸리면서 레버바디(411)가 하부하우징(35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레버바디(411)의 이동방향(X)을 기준으로 하여 레버연결후크(416a)의 폭은 제2 레버홀(413)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레버바디(411)가 이동할 때, 레버연결후크(416a) 또한 제2 레버홀(413)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버바디(411)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레버가이드(419c)는 하부하우징(350)의 상부에서 레버바디(411)의 이동방향(X)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레버바디(411)의 측면부를 지지하며 레버바디(411)의 이동방향(X)을 안내할 수 있다. 레버가이드(419c)는 하부하우징(350)의 상부에서 레버바디(411)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베이스판(340)의 하부에는 레버바디(411)의 양측부에 가이드삽입부(349a,349b)가 함몰되며 형성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310)이 하강하는 경우, 한 쌍의 레버가이드(419c)가 가이드삽입부(349a,349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베이스판(340)이 하강할 때, 레버가이드(419c)가 베이스판(340)의 하강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레버바디(411)의 측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레버돌출부(411e)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리미트부(419a,419b)는 베이스판(340)의 하부에서 레버돌출부(411e)의 양측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레버바디(411)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레버스위치(411a)를 잡고 이동시킬 때, 레버돌출부(411e)가 레버리미트부(419a,419b)에 걸리면서 레버바디(411)의 X축 방향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레버바디(411)의 이동은 베이스판후크(418)를 레버고정바(417)에서 분리시키고, 제1 레버홀(412)에서 이탈시킬 수 있는 정도의 이동이면 충분하므로, 레버리미트부(419a,419b)를 통해 지나친 이동을 제한한다.
한편,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지지유닛(430)은 레버바디(411)의 측부에 배치되고, 레버바디(411)가 베이스판(340)에서 분리될 때 회전하며 베이스판(3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지지유닛(430)은 레버바디(411)에서 레버돌출부(411e)의 반대편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유닛(430)은 지지링크(431), 링크스프링(433), 링크수용홈(434) 및 링크누름블록(43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링크(431)는 긴 바 형상일 수 있으며, 레버바디(411)의 측부에 링크축(431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22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링크스프링(433)의 일단부는 지지링크(431)에 제1 스프링핀(433a)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단부는 레버바디(411)의 측부에 제2 스프링핀(433b)으로 고정될 수 있다.
링크수용홈(434)은 지지링크(431)의 내부에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링크스프링(433)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베이스판(340)이 하강하면, 지지링크(431)는 회전한 후 눕혀지게 되는데, 이때 링크수용홈(434)의 내부에 링크스프링(433)이 수용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링크누름블록(435)은 하부하우징(3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레버바디(411)의 이동에 따라 지지링크(431)를 눌러 지지링크(431)가 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레버스위치(411a)를 조작하여 레버바디(411)를 화살표(S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레버바디(411)에 링크축(431a)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지링크(431)도 화살표(S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지지링크(431)의 상부를 링크누름블록(435)이 누르고 있다가, 지지링크(431)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링크누름블록(435)이 지지링크(431)의 상부에서 이탈되게 된다. 이때 레버스프링(414)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바디(411)가 원위치로 되돌아오게 되고, 레버바디(411)가 원위치로 돌아오면서 레버바디(411)에 연결된 링크스프링(433)이 지지링크(431)의 하부를 탄성력으로 당기게 되고, 지지링크(431)는 링크스프링(433)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회전하며 서게 된다.
즉, 도 20에 개시된 화살표(S2)와 같이 지지링크(431)가 상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링크(431)의 상단은 베이스판(340)의 하단면에 접촉되며 지지하게 된다.
이하 검토할 승강가이드유닛(440)의 승강스프링(442)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부하우징(310) 및 베이스판(340)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추가적으로 지지링크(431)가 베이스판(340)의 하단면을 접촉 지지하면서 상부하우징(310) 및 베이스판(340)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레버유닛(410)을 다시 조작하여 레버바디(411)를 화살표(S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레버바디(411)에 연결된 링크축(431a)이 같이 화살표(S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링크스프링(433)이 지지링크(431)의 하부를 밀게 되고, 지지링크(431)는 하방향으로 회전하며 눕게 된다. 이때 상부하우징(310) 및 베이스판(340)을 하강시키면, 도 21에 개시된 것과 같이, 링크누름블록(435)이 지지링크(431)를 눌러 하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눕힌 상태로 있게 한다. 이후에는 도 19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부하우징(310)이 하강함에 따라 베이스판(340)의 하부가 눕혀져 있는 지지링크(431)에 접촉하며 지지링크(431)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부하우징(310)이 하강한 상태에서 지지링크(431)가 눕혀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승강가이드유닛(440)은 상부하우징(310)과 하부하우징(350)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부하우징(31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가이드유닛(440)은 제1 승강가이드부(441) 및 제2 승강가이드부(44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승강가이드부(441)는 하부하우징(350)과 상부하우징(310)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부하우징(31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제1 승강가이드부(441)는 상부하우징(310)에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부하우징(310)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승강가이드부(441)는 하부폴(445), 상부폴(443) 및 승강스프링(44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폴(445)은 하부하우징(350)의 가장자리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는 4개가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폴(443)은 베이스판(340)의 가장자리에 하부폴(445)에 대응되는 개수가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높이방향(Z)으로 승강라인(4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폴(443)의 상단부는 볼트(443a;도 11)에 의해 상판(3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판(320)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홀에 볼트(443a)가 체결되며 상부폴(443)이 상판(320)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스프링(442)은 승강라인(444)과 하부폴(445)의 상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폴(445)의 상부에는 스프링지지대(445b:도 21참조)가 돌출되어 있어 승강스프링(44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폴(445)은 상부풀의 내부에 형성된 승강라인(444)을 따라 상하방향(Z)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부하우징(310)이 상승할 때는 승강스프링(442)이 상부폴(443)에 탄성력을 인가하고 상부폴(443)이 상판(320)을 밀어 올려 상부하우징(310)이 상승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승강스프링(442)의 탄성력이 상부하우징(310)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부하우징(310)이 하강할 때는 상부폴(443)의 내부에 형성된 승강라인(444)으로 하부폴(445)이 투입된다. 상부하우징(310)이 하부하우징(350)을 덮으며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부폴(443)과 하부폴(445)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 승강가이드부(446)는 하부하우징(350)과 상부하우징(310)간에 연계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하우징(31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승강가이드부(446)는 제1 승강가이드부(441)에 보조하여 상부하우징(31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승강가이드부(446)는 서브승강빔(448), 서브폴(449) 및 서브슬라이더(447)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승강빔(448)은 하부하우징(350)에서 복수개의 하부폴(44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하부하우징(350)에서 하부폴(445) 사이에 서브승강빔(448)이 배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서브승강빔(448)의 하부는 한 쌍의 고정피스(448a)에 의해 하부하우징(350)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피스(448a)는 서브승강빔(448)에 연결된 상태에서, 하나의 고정피스(448a)는 하부하우징(350)의 하단면(도 10 참조)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피스(448a)는 하부하우징(350)의 상단면(도 21 참조)에 배치되며, 서브승강빔(448)을 하부하우징(350)에 고정할 수 있다.
서브폴(449)은 베이스판(340)에서 복수개의 상부폴(4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서브폴(449)의 상단은 볼트(449a)에 의해 상판(3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폴(449)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브승강홀(449d)이 형성되고 서브승강빔(448)이 삽입되며 배치될 수 있다.
서브슬라이더(447)는 서브승강빔(448)에 결합될 수 있으며, 서브승강홀(449d)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서브슬라이더(447)의 크기와 서브승강홀(449d)의 크기는 대체로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서브승강홀(449d)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 서브슬라이더(447)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이때 서브슬라이더(447)의 외경과 서브승강홀의 내경은 대체로 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대응구조는 서브승강빔(448)이 서브승강홀(449d)의 내부에서 상하방향(Z)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서브슬라이더(447)가 서브승강홀(449d)의 내부면을 따라 가이드되며 이동하므로 상부하우징(31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흔들림, 진동 등을 완화할 수 있다.
상술한 승강가이드유닛(440)의 구성을 통해 상부하우징(310)은 하부하우징(350)에 대해 상하방향(Z)으로 상승과 하강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승강스프링(442)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하우징(310)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8, 도 25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네일프린터모듈(1200)은 모듈하우징(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네일프린터모듈(1200)은 캡핑부(500), 와이핑부(600), 스핏팅부(650), 이동부재(700), 공차제거수단(1000) 및 카트리지부재(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캡핑부(500)는 모듈하우징(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를 캡핑(capping)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핑부(500)는 베이스판(340)의 상부에서 네일투입부(360)를 기준으로 하여 베이스판(34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캡핑부(500)는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를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핑부(600)는 모듈하우징(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잉크카트리지의 동작 전 또는/및 동작완료 후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에 잔류하여 존재하는 잉크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핑부(600)는 베이스판(340)의 상부에서 네일투입부(360)를 기준으로 하여 베이스판(34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핏팅부(650)는 모듈하우징(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잉크카트리지의 동작 전 또는/및 동작완료 후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에서 분출되는 잉크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핏팅부(650)는 와이핑부(6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P)는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가 프린팅하는 디자인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와이핑 및 스핏팅을 실행할 수 있다.
이동부재(700)는 모듈하우징(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잉크카트리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700)는 베이스판(3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잉크카트리지를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우선,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캡핑부(500)는 캡핑베이스(510), 캡핑블록(520), 캡핑걸림부(523), 캡핑가드(550), 캡핑판(560), 압력조절홀(562), 압력조절판(570), 압력조절라인(571), 캡핑스프링(540) 및 캡핑승강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캡핑베이스(510)는 모듈하우징(300)의 내부에서 베이스판(34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캡핑블록(520)은 캡핑베이스(5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캡핑걸림부(523)는 캠핑블록의 상부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부재(1100)의 빔브라켓(1110)에 걸리도록 제공될 수 있다.
캡핑가드(550)는 캡핑블록(520)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하부에 있는 프린트헤드의 가장자리를 캡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캡핑가드(55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일 수 있다.
캡핑판(560)은 캡핑가드(5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프린트헤드의 중심부를 캡핑할 수 있다.
압력조절홀(562)은 캡핑판(560)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압력조절판(570)은 캡핑판(56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조절라인(571)은 압력조절판(570)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압력조절라인(571)의 일측에는 압력조절판(570)의 가장자리에서 외부와 연통되는 제1 통공홈(57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에는 압력조절홀(562)과 연통되는 제2 통공홈(571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압력조절라인(571)은 제1 통공홈(571a)과 제2 통공홈(571b) 사이에서 복수회로 절곡된 고리 형상을 형성될 수 있다.
캡핑가드(550) 및 캡핑판(560)으로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를 캡핑하는 때에, 프린트헤드의 가열로 인해 캡핑 영역의 공기가 팽창하여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탄성재질의 캡핑가드(550)의 형상이 변형되며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데, 이는 프린트헤드를 원활하게 캡핑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캡핑 영역에서 정해진 경로를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캡핑가드(550) 및 캡핑판(560)이 프린트헤드를 캡핑하는 것이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캡핑판(560)에 압력조절홀(562)을 형성하고, 공기가 압력조절홀(562)을 통과하여 압력조절라인(57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압력조절라인(571)은 복수회로 절곡된 고리형상으로 형성하여 캡핑 영역의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간의 교류 가능성을 낮춰, 프린트헤드가 건조해지는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캡핑스프링(540)은 캡핑베이스(510)와 캡핑블록(5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캡핑블록(520)을 베이스판(340)의 전면방향(B1)으로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캡핑스프링(540)의 탄성력에 의해 캡핑블록(520)은 캡핑베이스(510)의 전면측에 밀어진 위치에 있게 된다.
캡핑승강부(530)는 캡핑베이스(510)와 캡핑블록(520)간에 연계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캡핑블록(52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캡핑승강부(530)는 경사홈(531) 및 캡핑승강핀(532)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홈(531)은 캡핑베이스(510)의 측부에서 베이스판(340)의 전면방향(B1)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캡핑승강핀(532)은 캡핑블록(52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경사홈(531)에 삽입되며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캡핑승강핀(532)이 경사홈(531)을 따라 전면방향(B1)으로 이동하면 캡핑베이스(510)의 내부에서 캡핑블록(520)은 약간 하강한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캡핑블록(520)의 하강은 캡핑스프링(540)이 캡핑블록(520)에 탄성력을 인가하므로 자연스럽게 이뤄진다.
반대로, 캡핑승강핀(532)이 경사홈(531)을 따라 후면방향(B2)으로 이동하면 캡핑베이스(510)의 내부에서 캡핑블록(520)은 약간 상승한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캡핑블록(520)의 상승은 카트리지부재(1100)의 빔브라켓(1110)에 캡핑걸림부(523)에 걸리며 이뤄진다. 즉 이동부재(700)가 후면방향(B2)으로 이동하면 캡핑블록(520)이 상승하게 된다.
캡핑부(500)의 동작방식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잉크카트리지가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중에는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를 캡핑하지 않는다. 이 경우 캡핑가드(550) 및 캡핑판(560)이 잉크카트리지의 움직임에 간섭을 일으키면 안된다. 따라서 캡핑블록(520)을 캡핑베이스(510)의 내부 하측으로 하강하여 캡핑가드(550) 및 캡핑판(560)의 높이를 낮출 필요가 있다.
카트리지부재(1100)의 빔브라켓(1110)에 걸리지 않는 경우, 캡핑스프링(540)이 캡핑블록(520)에 탄성력을 인가하므로 캡핑블록(520)의 캡핑승강핀(532)은 자연스럽게 경사홈(531)을 하강하며 캡핑블록(520)의 높이를 낮추게 된다.
이후, 잉크카트리지가 네일에 디자인 프린팅을 완료한 후에는 프린트헤드를 캡핑하여 보관해야 한다. 이 경우 캡핑가드(550) 및 캡핑판(560)의 높이를 높여 프린트헤드를 덮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에는 도 15를 참조하면, 이동부재(700)가 우선 전방이동(F1)하고, 다음 측방이동(F2)하여 캡핑베이스(510)의 상부로 카트리지수용부(974)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이동부재(700)의 카트리지부재(1100)에 형성된 빔브라켓(1110) 사이로 캡핑걸림부(523)가 위치하고 걸리게 된다.
이후, 이동부재(700)가 후방이동(F3)을 하면, 캡핑블록(520)의 캡핑승강핀(532)이 경사홈(531)을 따라 상방이동(F4)하고, 캡핑가드(550) 및 캡핑판(560)이 프린트헤드로 상승하며 프린트헤드를 캡핑하게 된다.
한편,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핑부(600)는 와이핑베이스(610), 와이핑블록(620), 와이핑걸림부(623), 와이퍼(630), 와이퍼케이싱(631) 및 와이퍼스프링(640)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핑베이스(610)는 모듈하우징(300)의 내부에서 베이스판(34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와이퍼케이싱(631)은 와이핑베이스(610)의 내부 전면측에 고정되며 배치될 수 있다. 와이퍼케이싱(631)의 상부는 개방된 형태일 수 있으며, 와이퍼케이싱(631)의 하부에는 하판(631a)이 연결될 수 있으며, 하판(631a)은 와이핑베이스(610)에 볼트(미도시) 체결되며 고정될 수 있다.
와이퍼(630)는 와이퍼케이싱(631)의 내부에 와이퍼고정바(633)에 의해 지지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부재(700)에 의해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가 전후방향(Y)으로 이동할 때, 와이퍼(630)가 프린트헤드의 표면에 잔류하는 잉크를 와이핑(wiping)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와이퍼(630)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와이핑블록(620)은 와이핑베이스(6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면부에는 와이퍼케이싱(631)이 탈착되는 케이싱탈착홈(624)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핑블록(620)이 전면방향(C1)으로 이동하면, 와이퍼케이싱(631)이 케이싱탈착홈(624)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케이싱탈착홈(624)에 와이퍼케이싱(631)이 수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와이핑블록(620)이 후면방향(C2)으로 이동하면 와이퍼케이싱(631)은 케이싱탈착홈(624)에서 이탈될 수 있다.
와이핑걸림부(623)는 와이핑블록(62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부재(1100)의 빔브라켓(1110)에 걸리며, 이동부재(700)의 카트리지수용부(974)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와이퍼스프링(640)은 와이핑베이스(610)와 와이핑블록(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와이퍼스프링(640)은 와이핑블록(620)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핑블록(620)은 와이핑걸림부(623)가 빔브라켓(1110)에 걸리기 전에는 도 16에서와 같이, 탄성력에 의해 전면방향(C1)으로 이동한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스핏팅부(650)는 스폰지(651) 및 흡착패드(65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폰지(651)는 와이퍼케이싱(631)의 내부에서 와이퍼(63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폰지(651)는 프린트헤드의 분출잉크를 흡수할 수 있다.
흡착패드(653)는 와이퍼케이싱(631)에서 스폰지(65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폰지(651)에서 배출되는 잉크를 흡착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흡착패드(653)가 스폰지(651)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도 18을 참조하면, 흡착패드(653)는 와이퍼케이싱(631)에 형성된 하판(631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핑부(600) 및 스핏팅부(650)의 동작방식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잉크카트리지가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중에는 와이핑부(600) 및 스핏팅부(650)가 잉크카트리지의 움직임에 간섭을 일으키면 안된다. 따라서 와이핑블록(620)은 와이퍼스프링(640)의 탄성력에 의해 와이핑베이스(610)의 내부 전방측에 밀어진 상태로 있게 된다.
네일의 크기는 작으므로, 실제로 잉크카트리지가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하기 위해 좌우방향(X)을 따라 움직이는 거리는 크지 않으므로, 와이핑걸림부(623)까지 이동하지 않는다.
잉크카트리지가 네일에 디자인 프린팅을 시작하기 위해 프린트헤드를 디캡핑(decapping)하기 전에는 우선 사용 전 프린트헤드의 표면에서 잔류잉크 및 분출잉크를 제거해야 한다.
잉크카트리지가 네일에 디자인 프린팅을 완료한 후에도 프린트헤드를 캡핑(capping)하기 전에 사용 후 프린트헤드의 표면에서 잔류잉크 및 분출잉크를 제거해야 한다.
이때,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에 대해 스핏팅 후 와이핑하는 순서로 진행할 수 있고, 또는 와이핑 후 스핏팅하는 순서로 진행할 수 있다. 이는 설계사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스핏팅 후 와이핑 작업을 하는 순서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에는 도 18을 참조하면, 이동부재(700)가 우선 전방이동(R1)하고, 다음 측방이동(R2)하여 와이핑베이스(610)의 상부로 카트리지수용부(974)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이동부재(700)의 카트리지부재(1100)에 형성된 빔브라켓(1110) 사이로 와이핑걸림부(623)가 위치하고 걸리게 된다. 이때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와 와이퍼케이싱(631)이 상하방향으로 일치된 위치로 있게 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와이퍼케이싱(631)의 직사각 형상은 일반적인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의 직사각 형상에 덮을 수 있는 크기,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P)는 제어를 통해 잉크카트리지가 스핏팅하며 잉크를 분출하도록 한다.
잉크카트리지가 스핏팅을 하여 잔류잉크를 분출하면 잔류잉크는 스폰지(651)로 분출된다. 스폰지(651)는 잔류잉크를 흡수하며, 스폰지(651)에 스며든 잉크가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흐르면 흡착패드(653)에서 잉크를 흡수하게 된다. 이때 와이퍼케이싱(631)이 프린트헤드에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이므로, 프린터헤드에서 분출되는 잉크가 와이퍼케이싱(631)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이동부재(700)가 후방이동(R3)을 하면, 와이핑블록(620)이 카트리지수용부(974)와 함께 후방이동(R4)을 한다.
이때, 와이퍼(630)가 카트리지수용부(974)가 수용되어 후방이동(R3)을 하는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 표면를 닦게 된다. 와이핑 작업은 왕복이동하며 복수회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는 네일투입부(360)를 가운데 위치시킨 상태에서, 네일투입부(360)의 일측에는 캡핑부(500), 네일투입부(360)의 타측에는 와이핑부(600) 및 스핏팅부(650)를 대칭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잉크카트리지가 네일에 디자인 프린팅을 시작할 때는, 제어부(P)가 잉크카트리지를 캡핑부(500)에서 디캡핑(decapping)하고, 이동부재(700)를 이용하여 와이핑부(600) 및 스핏팅부(650)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제어부(P)는 제어를 통해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를 스핏팅하여 잉크가 분출되도록 하고, 이동부재를 통해 제2 방향(Y)으로 이동시켜 프린트헤드의 표면에 잔류하는 잉크를 와이핑한다.
잉크카트리지가 네일에 디자인 프린팅을 완료한 후에는, 제어부(P)는 이동부재를 이용하여 잉크카트리지를 와이핑부(600) 및 스핏팅부(650)의 상부로 이동한 후 제1,2 방향(X,Y)으로 움직이며 분출잉크 및 잔류잉크를 제거하고, 다시 캡핑부(500)의 상부로 이동한 후 제1,2 방향(X,Y)으로 움직이며 프린트헤드를 캡핑하며, 미사용 중 잉크카트리지를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대칭적 배치 구조는 이동부재(700)의 움직임과 병행하여 와이핑 및 스핏팅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팅 중에는 캡핑부(500)를 하강시켜 간섭을 방지하고, 미사용 중에는 캡핑부(500)를 다시 상승시켜 프린트헤드를 캡핑함으로써, 모듈하우징(300)의 내부에서의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25 및 도 33을 참조하면, 카트리지부재(1100)는 잉크카트리지가 탈착될 수 있으며, 부재바디(1140), 카트리지탈착홈(1150), 빔브라켓(1110), 링크홈(1120) 및 카트리지홀(113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재바디(1140)는 카트리지부재(1100)의 전반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부재바디(1140)의 중앙부에는 잉크카트리지가 탈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탈착홈(1150)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탈착홈(1150)의 하부에는 카트리지홀(1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홀(1130)을 통해 잉크카트리지의 하부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의 네일이 카트리지홀(1130)의 하부에 위치할 때 잉크카트리지의 하부에 형성된 프린트헤드가 네일에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다.
빔브라켓(1110)은 부재바디(1140)의 양측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빔브라켓(1110)에는 이하 검토할 가이드빔(910)이 관통하며 삽입되고, 체결바(910a;도 25 및 도31 참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캡핑걸림부(523) 및 와이핑걸림부(623)는 빔브라켓(1110)과 걸림브라켓(979) 사이에 걸리며 카트리지부재(1100)와 함께 제2 방향(Y)을 따라 전후 이동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링크홈(1120)은 부재바디(1140)상에서 카트리지홀(1130)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홈(1120)에는 이하 검토할 링크핀(963)이 삽입될 수 있다.
빔브라켓(1110) 및 링크홈(1120)은 이동유닛(900)의 구조를 설명할 때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도 25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700)는 카트리지부재(1100)를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카트리지부재(1100)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이동하며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이동부재(700)는 이동수단(800) 및 이동유닛(9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수단(800)은 카트리지부재(1100)를 제1 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유닛(900)은 카트리지부재(1100)를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5 및 도 30을 참조하면, 이동수단(800)은 장치베이스(810), 제1 샤프트(820), 제2 샤프트(830), 구동수단(840), 링크블록(860) 및 장력조절수단(87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베이스(810)의 중앙부(810a)는 제1 방향(X)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장치베이스(1010)의 측부(810b)는 제2 방향(Y)으로 절곡되며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장치베이스(810)는 전반적으로 ]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2 샤프트(820,830)의 양측부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할 수 있다.
도 10 참조하면, 장치베이스(1010)의 측부(510b)에는 제1,2 샤프트(820,83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2 샤프트(820,830)에는 이하 검토할 이동유닛(900), 구체적으로는 수용프레임(970)이 결합되고, 구동수단(840)의 동작에 의해 이동유닛(900)은 제1,2 샤프트(820,830)에 의해 안내되며 제1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구동수단(840)은 모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구동수단(1040)의 회전축은 제1 풀리(851)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풀리(851)와 제2 풀리(853)는 타이밍벨트(855)에 의해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수단(840)은 장치베이스(810)의 중앙부(810a) 일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수단(840)의 제어는 제어부(P)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동력은 배터리(B)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제어부(P)는 구동수단(840)의 회전속도 및 회전량을 제어하여 제1 풀리(851)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1 풀리(851)는 장치베이스(810)의 중앙부(810a) 일측에 배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향하여 제2 풀리(853)는 장치베이스(810)의 중앙부(810a) 타측에 배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풀리(851)와 제2 풀리(853)는 타이밍벨트(85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도 30에 개시된 타이밍벨트(855)는 일부에만 요철부(855a)가 형성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요철부(855a)는 타이밍벨트(855)의 내측면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855a)는 제1,2 풀리(851,853)와 맞물려 있으며, 제1 풀리(851)가 회전할 때 타이밍벨트(855)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타이밍벨트(855)의 장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제1 풀리(851)와 제2 풀리(853)에 요철부(855a)가 제대로 맞물리지 않아 타이밍벨트(855)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유닛(900)이 제1 방향(X)으로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타이밍벨트(855)의 장력을 유지하여 제1,2 풀리(851,853)에 타이밍벨트(855)의 요철부(855a)가 잘 맞물려 있도록 해야 한다.
장력조절수단(870)은 장치베이스(1010)에 배치되고 제2 풀리(853)와 연결될 수 있다. 장력조절수단(870)은 제2 풀리(853)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타이밍벨트(855)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장력조절수단(870)은 고정피스(871), 이동피스(872), 장력스프링(873) 및 풀리축(876)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피스(871)는 중앙측에 피스관통부(871a)가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블록일 수 있으며, 장치베이스(810)에 볼트(871b) 체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동피스(872)는 피스관통부(871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피스(872)에는 풀리축(876)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풀리축(876)에는 제2 풀리(853)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2 풀리(853)에는 클러치부(853a)가 형성되어 있어, 타이밍벨트(855)가 구동되면, 제2 풀리(853)와 풀리축(876)은 함께 회전한다.
장력스프링(873)은 피스관통부(871a)에 배치되고, 일단부는 고정피스(87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이동피스(872)에 연결될 수 있다. 장력스프링(873)은 이동피스(872)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장력스프링(873)은 코일스프링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장력스프링(873)의 일단부가 고정피스(871)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장력스프링(873)의 탄성력은 이동피스(872)에 인가된다.
이동피스(872)는 풀리축(876)에 의해 제2 풀리(853)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제2 풀리(853)가 제1 풀리(851)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며, 이를 통해 제1,2 풀리(851,853)에 연결되어 있는 타이밍벨트(855)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25 및 도 35를 참조하면, 장치베이스(810)에는 제1,2 샤프트(820,83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공차제거수단(1000)은 제1 샤프트홀(811)의 크기와 제1 샤프트(820)의 크기간에 공차 또는 제2 샤프트홀(813)의 크기와 제2 샤프트(830)의 크기간에 공차를 제거하기 위해, 제1 샤프트(820)의 외면과 제1 샤프트홀(811)의 내면을 서로 접촉시키거나 또는 제2 샤프트(830)의 외면과 제2 샤프트홀(813)의 내면을 서로 접촉시킬 수 있다.
제1,2 샤프트홀(811,813)의 크기와 제1,2 샤프트(820,830)의 크기간에 크기 차이로 인해 공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1,2 샤프트(820,830)가 원기둥 형상이고 제1,2 샤프트홀(811,813)이 원형 단면으로 구성됨에 따라 제1,2 샤프트홀(811,813)의 내경과 제1,2 샤프트(820,830)의 외경간의 크기차이로 인한 공차일 수 있다. 다만 제1,2 샤프트(820,830) 및 제1,2 샤프트홀(811,81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2 샤프트(820,830)를 제1,2 샤프트홀(811,813)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제1,2 샤프트(820,830)의 외경이 제1,2 샤프트홀(811,813)의 내경보다는 약간 작게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제1,2 샤프트(820,830)와 제1,2 샤프트홀(811,813)간에 공차가 발생한다. 공차가 있으면 제1,2 샤프트(820,830)를 따라 수용프레임(970)이 이동할 때 제1,2 샤프트(820,830)가 제1,2 샤프트홀(811,813)의 내부에서 제대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흔들림, 진동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이 제대로 인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공차제거수단(1000)은 상술한 공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압핀(1010), 지지블록(1030), 제1 핀홈(1040) 및 제2 핀홈(105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블록(1030)은 장치베이스(1010)의 측부(510b)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블록(1030)은 제2 방향(Y)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는 가압핀(1010)이 제1,2 샤프트(820,830)를 화살표(H1,H2) 방향으로 가압할 때 제2 방향의 반대방향(-Y)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블록(1030)을 제2 방향(Y)으로 절곡되게 형성하는 것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제3 방향(Z)을 기준으로 하여, 장치베이스(810)의 측부(810b)에서 지지블록(1030)과 제1 샤프트홀(811;도25 참조) 및 제2 샤프트홀(813;도25 참조)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하면, 제1,2 샤프트홀(811,813)은 장치베이스(1010)의 측부(510b)상에서 지지블록(1030)보다는 더 제2 방향의 반대방향(-Y)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가압핀(1010)이 지지블록(1030)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1 샤프트(820) 또는 제2 샤프트(830)를 화살표(H1,H2)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1 샤프트(820)의 외측 둘레에는 제1 핀홈(10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샤프트(830)의 외측 둘레에는 제2 핀홈(105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핀(1010)은 지지블록(1030)과 제1 샤프트(820)의 외면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가압핀(1010)은 지지블록(1030)과 제2 샤프트(1030)의 외면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가압핀(1010)은 복수회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가압핀(1010)은 제1 절곡부(1021), 제2 절곡부(1023) 및 제3 절곡부(10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곡부(1021)는 가압핀(1010)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방향(Z)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절곡부(1021)는 제3 방향(Z)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샤프트(820)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제3 절곡부(1025)는 가압핀(1010)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방향의 반대방향(-Z)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3 절곡부(1025)는 제3 방향의 반대방향(-Z)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샤프트(820)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제2 절곡부(1023)는 가압핀(1010)의 중앙부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절곡부(1021)에 대해 반대방향 또는 제3 절곡부(1025)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가압핀(1010)은 4회(제1 절곡부(1021), 한 쌍의 제2 절곡부(1023) 및 제3 절곡부(1025)) 절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35에 개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통해 한 쌍의 제2 절곡부(1023) 사이의 가압핀(1010)이 지지블록(1030)에 접촉되며 지지되고, 제1 절곡부(1021)는 제1 핀홈(1040)에 끼워지고, 제3 절곡부(1025)는 제2 핀홈(1050)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절곡부(1021)는 제1 샤프트(820)를 화살표(H1)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제3 절곡부(1025)는 제2 샤프트(1030)를 화살표(H2)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샤프트(820)의 외면 일부는 제1 핀홈(1040)의 내면 일부에 접촉되며 제1 샤프트(820)와 제1 핀홈(1040)간에 공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2 샤프트(1030)의 외면 일부는 제2 핀홈(1050)의 내면 일부에 접촉되며 제2 샤프트(830)와 제2 핀홈(1050)간에 공차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30 및 도 34를 참조하면, 링크블록(860)은 타이밍벨트(855)와 이하 검토할 이동유닛(900)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블록(860)은 타이밍벨트(855)와 이동유닛(900)을 구성하는 수용프레임(970)을 연결할 수 있다.
구동수단(1040)의 동작에 따라 타이밍벨트(855)가 이동하면 타이밍벨트(855)와 링크블록(860)에 의해 연결된 수용프레임(970)이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링크블록(860)은 수용프레임(970)에 볼트(960a) 체결되며 연결될 수 있고, 치형부(861;도30 참조) 및 이탈방지판(863)을 포함할 수 있다.
치형부(861)는 링크블록(86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타이밍벨트(855)의 요철부(855a)와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밍벨트(855)가 이동하면 링크블록(86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탈방지판(863)은 링크블록(860)의 상부에서 치형부(861)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방향(Z)으로 돌출된 판 형상일 수 있다. 이탈방지판(863)은 타이밍벨트(855)의 일측을 지지하며, 타이밍벨트(855)가 제1,2 풀리(851,85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타이밍벨트(855)의 일측은 이탈방지판(863)에 의해 지지되고 있고, 타이밍벨트(855)의 타측은 수용프레임(970)에 의해 지지되고 있어, 타이밍벨트(855)의 위치는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제1,2 풀리(851,85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링크블록(860)의 하부에는 샤프트수용홀(869)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수용홀(869)에는 제2 샤프트가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26, 도 29,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이동유닛(900)은 가이드빔(910), 구동유닛(920), 가이드샤프트(930), 스크류블록(940), 스크류베이스(950), 이동블록(960) 및 수용프레임(97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프레임(970)에는 카트리지부재(11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블록(860)에 의해 타이밍벨트(855)와 연결되며 제1,2 샤프트(820,830)에 의해 안내되며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31을 참조하면, 수용프레임(970)의 중앙부에는 카트리지수용부(974)가 형성되고, 카트리지부재(1100)는 카트리지수용부(974)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수용부(974)의 내부 양측에는 복수개의 서포트브라켓(975)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빔(910)은 복수개의 서포트브라켓(975)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빔(910)은 서포트브라켓(975)과 빔브라켓(1110)에 삽입되고 빔브라켓(1110)과는 한 쌍의 체결링(910a;도 25 및 도 31 참조)에 의해 결합되며 카트리지부재(1100)와 수용프레임(97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트리지부재(1100)는 가이드빔(910)에 의해 안내되며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카트리지수용부(974)의 하단 중앙부에는 서포트피스(977)가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피스(977)는 카트리지부재(1100)가 제2 방향(Y)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카트리지부재(11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5를 참조하면, 수용프레임(970)의 상부에는 제1 샤프트(820)가 관통하며 삽입되는 개구부(971) 및 관통홀(97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프레임(97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972)을 통과하며 제1 샤프트(820)가 배치되며 수용프레임(970)과 제1 샤프트(820)가 연결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9,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수용프레임(970)의 하부에 구동유닛(920)이 배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동유닛(920)은 카트리지부재(1100)의 하부와 연결되며 카트리지부재(1100)를 제2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유닛(920)은 모터유닛(921), 리드스크류(923), 가이드샤프트(930), 스크류블록(940), 스크류베이스(950) 및 이동블록(96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유닛(921)은 수용프레임(97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모터유닛(921)의 구동축에는 리드스크류(923)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모터부(841)의 제어는 제어부(P)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동력은 배터리(B)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수용프레임(970)의 하부에는 스크류베이스(950)가 볼트(950a) 체결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스크류베이스(950)는 리드스크류(923)의 타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스크류블록(940)은 리드스크류(923)에 맞물려 배치될 수 있으며, 리드스크류(923)의 회전에 따라 리드스크류(923)의 길이방향, 즉 제2 방향(Y)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샤프트(930)는 스크류베이스(950)와 모터유닛(9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크류블록(940)과 연결될 수 있다. 스크류블록(940)이 가이드샤프트(930)에 연결됨에 따라 리드스크류(923)가 회전할 때 스크류블록(94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리드스크류(923)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동블록(960)은 구동유닛(920)과 카트리지부재(1100)간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유닛(920)의 동작에 의해 카트리지부재(1100)를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블록(960)에는 끼움홀(96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블록(940)은 끼움홀(961)에 삽입되며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블록(940)이 리드스크류(923)를 따라 이동하면, 이동블록(96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블록(960)에는 링크핀(963)이 배치될 수 있으며, 링크핀(963)은 상술한 카트리지홀(1130)에 형성된 링크홈(11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블록(960)과 카트리지부재(11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블록(960)에는 연결구홀(96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구홀(960a)에 연결구(964)가 삽입되고 카트리지부재(1100)의 하단에 체결되며 이동블록(960)과 카트리지부재(110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연결구(964)는 볼트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1을 참조하면, 카트리지수용부(974)의 하부에는 가이드홀(976)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홀(976)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며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구(964)는 연결구홀(960a)에 삽입되고, 가이드홀(976)을 관통하며 카트리지부재(110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블록(960)과 카트리지부재(1100)는 링크핀(963) 및 연결구(96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이동블록(960)이 이동하면 카트리지부재(110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연결구(964)는 가이드홀(976)을 따라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3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차제거패드(1060)는 제1 샤프트(820)와 관통홀(972)간의 공차를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프레임(970)의 상부에는 제1 샤프트(820)가 관통하며 삽입되는 관통홀(97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5 및 도 3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용프레임(97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972)을 통과하며 제1 샤프트(820)가 배치됨에 따라 수용프레임(970)과 제1 샤프트(820)가 연결되고, 수용프레임(970)이 제1 샤프트(8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 관통홀(972)의 크기와 제1 샤프트(820)의 크기간에 크기 차이로 인해 공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1 샤프트(820)가 원기둥 형상이고 관통홀(972)이 원형 단면으로 구성됨에 따라 관통홀(972)의 내경과 제1 샤프트(820)의 외경간의 크기차이로 인한 공차일 수 있다. 다만 제1 샤프트(820) 및 관통홀(97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샤프트(820)를 관통홀(972)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제1 샤프트(820)의 외경이 관통홀(972)의 내경보다는 약간 작게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샤프트(820)와 관통홀(972)간에 공차가 발생한다. 공차가 있으면 제1 샤프트(820)를 따라 수용프레임(970)이 이동할 때 흔들림, 진동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이 제대로 인쇄되지 않을 수 있다.
공차제거패드(1060)는 수용프레임(970)과 제1 샤프트(820)간에 접촉되며, 제1 샤프트(820)를 상방향으로 가압(화살표 D1)하여 제1 샤프트(820)의 상부가 관통홀(972)의 상부에 접촉 가압(화살표 D2)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샤프트(820)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도 수용프레임(970)의 흔들림, 진동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공차제거패드(1060)와 수용프레임(970) 사이에는 공차스프링(1070)이 배치될 수 있다. 공차스프링(1070)은 공차제거패드(1060)를 상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공차제거패드(1060)는 탄성재질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공차제거패드(1060) 및 공차스프링(1070)이 함께 탄성력을 제1 샤프트(820)에 인가하여 제1 샤프트(820)가 관통홀(972)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공차제거패드(1060)의 재질이 반드시 탄성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공차제거수단(1000)을 이용하여 흔들림, 진동 제거를 제거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제1 방향(X) 이동시 흔들림, 진동 등을 억제할 수 있어,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인쇄함에 있어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유닛(900)을 수용프레임(970)에 배치하며 카트리지부재(1100)를 직접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종래 제품에 비해 네일아트장치(200)의 크기 및 부피를 전반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한편,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면, 네일홀더모듈(100) 및 네일아트장치(200)를 사용하는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우선, 도 3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네일아트장치(200)를 잡고 네일아트장치(200)의 하부에 있는 레버스위치(411a)를 손가락으로 조작한다. 이에 따라 크기변형부(400)가 동작하면서 하부하우징(350)을 덮고 있던 상부하우징(310)이 상승한다. 그리고 하부하우징(350)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있던 네일투입부(360)가 완전하게 개방된다. 크기변형부(400)에 의한 승강방식은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손가락을 네일홀더모듈(100)에 투입하여 고정한다. 네일홀더모듈(100)이 사용자의 손가락을 고정하는 작동방식은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네일홀더모듈(100)을 네일투입부(360)에 삽입한다. 장착가이드빔(361)의 고정후크(362)가 상부바디(120)의 상부탈착홈(128)에 끼워지며 네일홀더모듈(100)은 네일투입부(360)에 고정된다. 이때 상술한 측단간격돌기(126), 하단간격돌기(138) 및 중앙돌기(364)에 의해 네일투입부(360)의 내부에서 네일홀더모듈(100)은 단단히 고정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버튼(M)을 누른다. 버튼(M)은 제어부(P)에 동작신호를 주고, 제어부(P)는 네일프린터모듈(1200)을 작동시킨다.
도 3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네일이 네일홀더모듈(1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네일투입부(360)에 배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P)는 이동부재(700)를 제1 방향(X)으로 이동시켜 잉크카트리지(K)를 캡핑부(500)에서 디캡핑하고 와이핑부(600) 및 스핏팅부(650)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캡핑스프링(540)에 의해 캡핑블록(520)은 전면방향으로 이동하고 캡핑승강부(530)를 따라 하방향으로 경사지며 이동한다. 자세한 작동설명은 도 16 내지 도 18에 대한 내용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P)는 잉크카트리지(K)를 동작하여 프린트헤드에서 잉크를 스핏팅하여 분출시키고, 이동부재(700)를 제2 방향(Y)으로 후면방향으로 구동하여 프린트헤드를 와이핑한다. 자세한 동작설명은 도 13 내지 도 15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제, 제어부(P)는 이동부재(700)를 구동하여 잉크카트리지를 네일의 상부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이동부재(700)를 좌우방향(E1) 및 전후방향(E2)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한다.
네일에 디자인 프린팅을 완료하면, 제어부(P)는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에 잔류하는 잉크를 제거하기 위해, 이동부재(700)를 구동하여 잉크카트리지를 와이핑부(600) 및 스핏팅부(65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잔류잉크 및 분출잉크를 제거한다.
이후, 잉크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를 캡핑하여 보관하기 위해, 제어부(P)는 이동부재(700)를 구동하여 잉크카트리지를 캡핑부(50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5를 통해 상술한 동작방식에 따라 캡핑걸림부(523)에 카트리지부재(1100)의 빔브라켓(1110)이 걸리면서 제2 방향(Y)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 캡핑가드(550) 및 캡핑판(560)이 상승하면서 프린트헤드를 캡핑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작동을 완료하게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장치는 상술한 구조 및 작동방식을 통해 비사용 중에는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나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네일(nail)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휴대성이 우수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네일 프린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개시에서 네일홀더모듈 및 네일아트장치는 상기 설명된 몇몇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몇몇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네일홀더모듈
110:홀더케이싱 120:상부바디
121:개구홀 122:상단곡면부
123:하단곡면부 125:유동방지돌기
126:측단간격돌기 127:개방부
128:상부탈착홈 129:상부가이드라인
130:하부바디 132:제1 스프링돌기
134:제2 스프링돌기 138:하단간격돌기
140:홀더부 150:제1 홀더블록
151:제1 핑거안착부 152:후면돌출부
153;제1 스프링홈 156:제1 스프링
160:제2 홀더블록 161:제2 핑거안착부
162:전면돌출부 163;제2 스프링홈
165:스토퍼홀 166:제2 스프링
170:핑거스토퍼 171:곡면부
180:승강가이드수단 182:승강홀
183:이탈방지후크 184:제1 승강돌기
185:제2 승강돌기
200:네일아트장치
300:모듈하우징 310:상부하우징
312:단자홀 313:전면홀
314:교체개방부 319:커버
320:상판 321:버튼홀
322:손잡이홈 330:측판
331:걸림피스 340:베이스판
349a,349b::가이드삽입부 350:하부하우징
351:스위치홀 352:걸림턱
360:네일투입부 361:장착가이드빔
362:고정후크 364:중앙돌기
366:사이드홈
400:크기변형부 410:레버유닛
411:레버바디 411e:레버돌출부
411a:레버스위치 412:제1 레버홀
413:제2 레버홀 414:레버스프링
416a:레버연결후크 416b:레버연결라인
417:레버고정바 418:베이스판후크
419a,419b:레버리미트부 419c:레버가이드
430:지지유닛 431:지지링크
431a:링크축 433:링크스프링
434:링크수용홈 435:링크누름블록
440:승강가이드유닛 441:제1 승강가이드부
442:승강스프링 443:상부폴
444:승강라인 445:하부폴
446:제2 승강가이드부 447:서브슬라이더
448:서브승강빔 449:서브폴
500:캡핑부 510:캡핑베이스
520:캡핑블록 523:캡핑걸림부
530:캡핑승강부 531:경사홈
532:캡핑승강핀 540:캡핑스프링
550:캡핑가이드 560:캡핑판
562:압력조절홀 570:압력조절판
571:압력조절라인
600:와이핑부 610:와이핑베이스
620:와이핑블록 623:와이핑걸림부
624:케이싱탈착홈 630:와이퍼
631:와이퍼케이싱 631a:와이퍼케이싱의 하판
633:와이퍼고정바 640:와이퍼스프링
650:스핏팅부 651:스폰지
653:흡착패드
700:이동부재
800:이동수단 810:장치베이스
811:제1 샤프트홀 813:제2 샤프트홀
820:제1 샤프트 830:제2 샤프트
840:구동수단 851:제1 풀리
853:제2 풀리 855:타이밍벨트
860:링크블록 861:치형부
863:이탈방지판 870:장력조절수단
871:고정피스 872:이동피스
873:장력스프링 876:제2 풀리축
900:이동유닛 910:가이드빔
920:구동유닛 921:모터유닛
923:리드스크류 930:가이드샤프트
940:스크류블록 950:스크류베이스
960:이동블록 960a:연결구홀
961:끼움홀 963:링크핀
964:연결구 970:수용프레임
971:개구부 972:관통홀
973:안착홈 974:카트리지수용부
975:서포트브라켓 976:가이드홀
977:서포트피스 979:걸림브라켓
1000:공차제거수단 1010:가압핀
1021:제1 절곡부 1023:제2 절곡부
1025:제3 절곡부 1030:지지블록
1040:제1 샤프트홈 1050:제2 샤프트홈
1060:공차제거패드 1070:공차스프링
1100:카트리지부재 1110:빔브라켓
1120:링크홈 1130:카트리지홀
1140:부재바디 1150:카트리지탈착홈
1200:네일프린터모듈

Claims (14)

  1. 전면부에는 사용자의 네일이 투입되는 네일투입부가 배치되고, 내부에는 네일프린터모듈이 배치되는 모듈하우징; 및
    상기 모듈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듈하우징의 크기를 변형하는 크기변형부;를 포함하는,
    네일아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하우징은,
    내부에 네일프린터모듈이 배치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전면부에는 네일투입부가 배치되는 하부하우징;
    을 포함하되,
    상기 크기변형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을 승강시키는,
    네일아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부를 형성하고, 잉크카트리지 교체를 위한 교체개방부가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네일프린터모듈이 배치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판 방향으로 돌출되며 배치되는 측판;
    을 포함하는,
    네일아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변형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이 서로 탈착되도록 하는 레버유닛; 및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유닛;
    을 포함하는,
    네일아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에 배치되고, 하단면에는 레버스위치가 배치되는 레버바디;
    상기 레버바디에 관통되며 형성되는 제1 레버홀; 및
    상기 제1 레버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판후크에 탈착되는 레버고정바;
    를 포함하는,
    네일아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유닛은,
    상기 레버바디의 일단부와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레버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네일아트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유닛은,
    상기 레버바디에 관통되며 형성되는 제2 레버홀;
    상기 제1 레버홀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버연결라인; 및
    상기 하부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연결라인에 걸리는 레버연결후크;
    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바디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레버연결후크의 폭은 상기 제2 레버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네일아트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바디의 측면부를 지지하며 레버바디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레버가이드;
    상기 레버바디의 측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형성되는 레버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서 상기 레버돌출부의 양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바디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레버리미트부;
    를 포함하는,
    네일아트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유닛은,
    상기 레버바디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바디가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서 분리될 때 회전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유닛;
    을 더 포함하는,
    네일아트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레버바디의 측부에 링크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링크;
    일단부는 상기 지지링크에 제1 스프링핀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레버바디의 측부에 제2 스프링핀으로 고정되는 링크스프링; 및
    상기 지지링크의 내부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링크스프링이 수용되는 링크수용홈;
    을 포함하는,
    네일아트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링크를 눌러 상기 지지링크가 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공되는 링크누름블록;
    을 더 포함하는,
    네일아트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승강을 가이드하고, 상기 상부하우징에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승강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승강가이드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부폴;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승강라인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부폴; 및
    상기 승강라인과 하부폴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승강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하부폴은 상기 복수개의 상부폴 각각의 내부에 형성된 승강라인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네일아트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2 승강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승강가이드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상기 복수개의 하부폴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승강빔;
    상기 베이스판에서 상기 복수개의 상부폴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서브승강빔이 삽입되며 배치되는 서브승강홀이 형성되는 서브폴; 및
    상기 서브승강빔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승강홀에 배치되는 서브슬라이더;
    을 포함하되,
    상기 서브슬라이더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서브승강홀의 내부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네일아트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일투입부는,
    일단부가 유동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타단부는 상기 네일투입부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장착가이드빔;
    상기 장착가이드빔의 상기 일단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고정후크;
    상기 네일투입부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사이드홈; 및
    상기 네일투입부의 하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중앙돌기;
    를 포함하는,
    네일아트장치.
KR1020230052615A 2023-04-21 2023-04-21 네일아트장치 KR10255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615A KR102550759B1 (ko) 2023-04-21 2023-04-21 네일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615A KR102550759B1 (ko) 2023-04-21 2023-04-21 네일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759B1 true KR102550759B1 (ko) 2023-07-03

Family

ID=8715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615A KR102550759B1 (ko) 2023-04-21 2023-04-21 네일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7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6441A (ja) * 2013-03-14 2014-09-25 Casio Comput Co Ltd ネイルプリント装置及びネイルプリント装置の印刷方法
KR102441817B1 (ko) 2022-03-21 2022-09-08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네일 홀더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6441A (ja) * 2013-03-14 2014-09-25 Casio Comput Co Ltd ネイルプリント装置及びネイルプリント装置の印刷方法
KR102441817B1 (ko) 2022-03-21 2022-09-08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네일 홀더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22199B1 (en) Service station for an ink-jet printer
CN2671803Y (zh) 墨盒和喷墨打印机
CN102886984B (zh) 指甲打印装置
JP3616677B2 (ja) プリントカートリッジ用のサービスステーションおよび保守方法
CN1281416C (zh) 用于成像装置的墨盒的滑架
JP700028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およびカッティングヘッド付き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20020084992A (ko)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EP0696505B1 (en) Cap alignment and wiper positioning for ink jet printer service
KR102550759B1 (ko) 네일아트장치
KR20110010761A (ko) 프린터 장치
JP2013526974A (ja) ネイルアート装置
US11457784B2 (en) Vacuum cleaner with dust bag
US5997126A (en) Removable service station sled for inkjet printer
JP2004291481A (ja) プリンタのメンテナンス装置
KR102614771B1 (ko) 네일홀더모듈
KR102584928B1 (ko) 네일아트장치
JP7131201B2 (ja) ネイルプリンタ
JP376756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014051B1 (ko) 네일아트장치
JP2023165787A (ja) 印刷装置
US5906143A (en) Ink cartridge opener
JP2004243769A (ja) プリンタの固体インク・スティック除去の特徴
KR102470800B1 (ko) 네일아트장치
KR101246082B1 (ko) 써멀프린터의 커버프레임 개폐장치
CN221266113U (en) Quick detach formula glues hair 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