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776A -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 브라켓, 좌석 유닛 및 좌석 - Google Patents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 브라켓, 좌석 유닛 및 좌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4776A KR20240004776A KR1020237041294A KR20237041294A KR20240004776A KR 20240004776 A KR20240004776 A KR 20240004776A KR 1020237041294 A KR1020237041294 A KR 1020237041294A KR 20237041294 A KR20237041294 A KR 20237041294A KR 20240004776 A KR20240004776 A KR 202400047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rest
- interlocking
- side plate
- seat
- poi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9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 A47C1/03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actuated by linkages, e.g. lazy-tongs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4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e backrest-seat unit or back-rest
- A47C1/034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e backrest-seat unit or back-rest characterised by foot-rests actuated by lazy-ton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1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 브라켓, 좌석 유닛 및 좌석을 제공하고, 상기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는 베이스(1), 연동 메커니즘(2), 브라켓 측판(3) 및 등받이 메커니즘(4)을 포함하되, 연동 메커니즘(2)은 베이스(1)와 브라켓 측판(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등받이 메커니즘(4)은 브라켓 측판(3) 및 연동 메커니즘(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브라켓 측판(3) 상에는 측판 연동점(31) 및 등받이 점(32)이 설치되고, 브라켓 측판(3)은 측판 연동점(31)에서 연동 메커니즘(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브라켓 측판(3)은 등받이 점(32)에서 등받이 메커니즘(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등받이 메커니즘(4)은 등받이 장착 부재(41) 및 등받이 연동 부재(42)를 포함하고, 등받이 메커니즘(4)이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등받이 장착 부재(41)의 양단점의 연결선과, 등받이 점(32)과 측판 연동점(31)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α는 예각이다. 좌석 브라켓은 다양한 스타일의 좌석 등받이(5)의 설계를 충족할 수 있고, 좌석 유닛의 좌석 등받이(5)는 간격이 없이 벽에 밀착 설치되어 공간을 절약하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좌석 브라켓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 브라켓, 좌석 유닛 및 좌석에 관한 것이다.
다기능 소파 또는 좌석은 스마트 홈 라이프에 널리 사용되는 가구가 되었으며, 다기능 소파는 일반적으로 정상적으로 앉은 자세에서의 폴딩 위치, 다리만 뻗은 전개 위치, 다리와 등이 모두 완전히 펴진 누운 자세로 조절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위치 조절에 사용되는 기계식 폴딩 또는 전개 장치에서, 좌석 등받이가 벽에 기대고 등받이 메커니즘이 누운 자세 위치로 뒤로 회전되면, 좌석 등받이가 인접한 벽에 닿아 등받이 메커니즘의 회전을 방해하여 등받이 전개를 위한 공간을 미리 남겨두어야 하는데 이는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종래의 간격이 없이 벽에 밀착 설치되는 기능성 좌석은 다리와 등받이의 전개를 제한하거나, 등받이 메커니즘 및 좌석 등받이의 각도 조절을 제한하여, 좌석의 편안함이 좋지 못하고 종래에는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는 좌석 등받이는 한 가지 스타일밖에 없다.
본 발명은 좌석 등받이가 넓은 공간을 차지하여 간격이 없이 벽에 밀착 설치할 수 없거나 등받이 각도 조절을 제한하여 편안함이 좋지 못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는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로서,
베이스, 연동 메커니즘, 브라켓 측판 및 등받이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상기 연동 메커니즘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은 상기 브라켓 측판 및 연동 메커니즘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 측판 상에는 측판 연동점 및 등받이 점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 측판은 상기 측판 연동점에서 상기 연동 메커니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측판은 상기 등받이 점에서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은 등받이 장착 부재 및 등받이 연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등받이 점과 상기 등받이 연동 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이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의 양단점의 연결선과, 상기 등받이 점과 측판 연동점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α는 예각이다.
또한, 상기 브라켓 측판은 등받이 연결부 및 L자형의 측판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 몸체는 상기 등받이 연결부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고정 연결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 연결부는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에 연결되는 상기 브라켓 측판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 점은 상기 등받이 연결부 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이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의 양단점의 연결선과, 상기 등받이 점과 측판 연동점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α는 70° 미만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이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의 양단점의 연결선과, 상기 등받이 점과 측판 연동점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β는 45° 미만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 상에는 돌출된 프레임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장착부는 좌석의 좌석 등받이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연동 장치가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상기 프레임 장착부와 수평면의 끼인 각 γ는 35° 이하이다.
본 발명은 좌석 브라켓을 더 제공하고, 상기 좌석 브라켓은 베이스, 연동 메커니즘, 브라켓 측판 및 등받이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상기 연동 메커니즘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은 상기 브라켓 측판 및 연동 메커니즘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동 메커니즘은 제1 지지 부재, 스윙 부재, 중앙 연결 부재, 연동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는 각각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윙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 연결 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스윙 부재 및 연동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연동 부재 상에는 연동점 및 지지 연결점이 설치되고, 상기 연동 부재는 상기 연동점에서 상기 중앙 연결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 부재는 상기 지지 연결점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연동점과 상기 지지 연결점의 연결선을 L1이라 하고, 상기 지지 연결점과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베이스의 연결점의 연결선을 L2이라 하면, 상기 연동 메커니즘이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L1과 L2 사이의 끼인 각 δ는 8° 내지 15°이다.
또한, 상기 연동 메커니즘이 전방으로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수평면 사이의 끼인 각 ε는 42° 미만이다.
또한, 상기 연동점으로부터 상기 지지 연결점까지의 거리를 A1이라 하고, 상기 지지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연결점까지의 거리를 A2라고 하면, A1와 A2의 비율 범위는 0.6~0.75이다.
또한, 상기 연동 부재 상에는 측판 연결점 및 배면 연결점이 더 설치되고; 상기 측판 연결점은 상기 브라켓 측판에 연결되며, 상기 배면 연결점은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 메커니즘의 폴딩 또는 전개 과정에서, 상기 배면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저면까지의 거리 H3은 3cm 이상이다.
또한, 상기 스윙 부재 상에는 제1 연결점, 제2 연결점 및 제3 연결점이 설치되고, 상기 스윙 부재는 상기 제1 연결점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 연결점에서 상기 브라켓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점으로부터 제3 연결점까지의 거리를 B1이라 하고, 상기 제2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점까지의 거리를 B2이라 하면, B1과 B2의 비율 범위는 0.6~0.7이다.
또한, 상기 제2 연결점과 제3 연결점의 연결선과, 상기 제2 연결점과 상기 제1 연결점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θ는 예각이다.
또한, 구동 메커니즘 및 다리부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 메커니즘은 상기 브라켓 측판과 상기 연동 메커니즘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다리부 메커니즘이 폴딩 또는 전개되도록 구동하여, 상기 연동 메커니즘, 브라켓 측판 및 등받이 메커니즘의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좌석 브라켓이 앉은 자세, 전개 자세 및 누운 자세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좌석 유닛을 더 제공하고, 상기 좌석 유닛은 베이스, 연동 메커니즘, 브라켓 측판, 등받이 메커니즘 및 좌석 등받이를 포함하되, 상기 연동 메커니즘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은 상기 브라켓 측판 및 연동 메커니즘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 측판의 외측면에는 시트 프레임 장착면이 설치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 장착면이 위치하는 평면의 높이는 상기 브라켓 측판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낮으며, 상기 시트 프레임 장착면의 가장 높은 지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저면까지의 거리 H는 16cm-19cm이고;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은 등받이 장착 부재 및 등받이 연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는 상기 브라켓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연동 부재의 양단은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 및 연동 메커니즘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는 상기 좌석 등받이에 연결되고; 상기 좌석 등받이는 등받이 테일 엣지를 포함하며, 상기 좌석 브라켓이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상기 등받이 테일 엣지가 위치하는 수평면에 수직되는 평면은 초기 평면이고,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이 상기 연동 메커니즘 및 상기 브라켓 측판과 함께 폴딩 및 전개의 한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경우, 상기 등받이 테일 엣지의 후방 이동은 상기 초기 평면을 초과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좌석 등받이는 등받이 테일 윙 및 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테일 엣지는 상기 등받이 테일 윙의 후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등받이 테일 윙의 가로 폭은 상기 몸체부보다 크고,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좌석 등받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등받이 테일 윙은 좌석 팔걸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 등받이가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상기 등받이 테일 엣지로부터 상기 베이스 저면까지의 거리 H1은 70cm-85cm이다.
또한, 상기 좌석 등받이이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상기 등받이 테일 엣지로부터 상기 베이스 저면까지의 거리 H2는 50cm-65cm이다.
본 발명은, 좌석 팔걸이 및 상술한 좌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좌석 유닛은 브라켓 측판을 통해 상기 좌석 팔걸이의 내측에 고정되는 좌석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등받이 연결부와 등받이 장착 부재의 각도 관계를 제한함으로써, 좌석 전개 길이를 보장하는 전제 하에 좌석 브라켓의 전개 과정에서, 연동 메커니즘 및 브라켓 측판에 의해 등받이 메커니즘을 전방 및 상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거리가 등받이 메커니즘이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거리를 상쇄할 수 있도록 하여 좌석 등받이를 간격이 없이 벽에 밀착 설치하여 공간을 더욱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동 메커니즘은 부품의 연결 각도 및 사이즈 비율을 최적화하여 좌석 브라켓의 전방 전개 거리를 더욱 증가시키며, 연동 메커니즘과 결합된 시트 프레임 장착면의 높이를 감소하여 앉은 높이를 더욱 감소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좌석 등받이는 등받이 테일 윙이 넓은 T자형 프레임 구조로서, 종래의 팔걸이 바닥형 제품과 비교하여 T자형 좌석 등받이는 좌석 유닛의 전개 과정에서, 등받이 테일 윙이 양측의 좌석 팔걸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좌석 팔걸이는 측판 연동부재와 함께 이동하여 좌석 등받이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좌석 등받이는 팔걸이가 지면에 닿는 좌석 스타일에도 적용될 수 있고, 좌석 등받이 및 좌석 팔걸이의 설계가 더욱 유연하여 다양한 스타일의 좌석 설게를 충족시킬 수 있고 외관이 더욱 미려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데 이용되어야 하는 도면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한다.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당업자라면 창의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이러한 도면을 기반으로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좌석 브라켓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연동 메커니즘 및 등받이 메커니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연동 메커니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른 시각에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좌석 브라켓이 한계 위치까지 전개된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좌석 브라켓의 동력전달 메커니즘 및 구동 메커니즘의 연결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좌석 브라켓의 동력전달 메커니즘의 연결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좌석 유닛의 앉은 자세 상태 및 누운 자세 상태에서의 구조 위치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T자형 좌석 등받이를 갖는 좌석 유닛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팔걸이가 지면에 닿는 좌석 유닛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좌석 브라켓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연동 메커니즘 및 등받이 메커니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연동 메커니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른 시각에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좌석 브라켓이 한계 위치까지 전개된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좌석 브라켓의 동력전달 메커니즘 및 구동 메커니즘의 연결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좌석 브라켓의 동력전달 메커니즘의 연결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좌석 유닛의 앉은 자세 상태 및 누운 자세 상태에서의 구조 위치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T자형 좌석 등받이를 갖는 좌석 유닛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팔걸이가 지면에 닿는 좌석 유닛의 구조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과제의 해결 수단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된 것으로,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거나, 지시된 기술적 특징을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제2" 로 한정된 특징은 이러한 특징 중 하나 이상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장착", "연결" 등의 용어는 특별히 명시하거나 제한하지 않는 한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식 연결, 탈부착식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이 될 수 있으며,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고, 직접 연결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 연결일 수도 있으며, 두 구성요소 내부 부품 사이의 연결일 수도 있다. 당업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발명에서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본 실시예는 좌석을 제공하고, 구체적으로 흔히 보는 자세 조절 가능 소파, 레저 의자 또는 안마의자 등일 수 있으며, 좌석은 좌석 팔걸이 내측에 장착되어 좌석 자세를 조절할 수 있는 좌석 유닛을 포함하고, 좌석 유닛은 좌석이 앉은 자세, 전개 자세 및 누운 자세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앉은 자세 상태에서 좌석 유닛의 다리부 메커니즘 및 등받이 메커니즘은 모두 한계 위치까지 완전히 폴딩되고; 전개 자세에서 다리부 메커니즘은 전방으로 전개되고 등받이 메커니즘과 시트 프레임의 각도는 그대로 유지되며; 누운 자세 상태에서 다리부 메커니즘은 전방으로 한계 위치까지 전개되고 등받이 메커니즘은 후방으로 한계 위치까지 전개된다. 본 실시예에서 좌석 다리부 메커니즘의 전개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이 방향과 반대되는 다른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전개 과정에서 등받이 메커니즘이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거리는 연동 메커니즘 및 브라켓 측판에 의해 등받이 메커니즘을 전방 및 상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거리에 의해 상쇄될 수 있어, 등받이 메커니즘의 후방 공간을 최대할 수 있기에 좌석 등받이를 후방의 인접 물체와 간격이 없이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어떤 방해도 없이 누운 자세 위치로 전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간격이 없이 벽에 밀착 설치되고, 여기서 “간격이 없다”는 것은 공간을 절약하여 달성한 효과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는 베이스(1), 연동 메커니즘(2), 브라켓 측판(3) 및 등받이 메커니즘(4)을 포함하되, 연동 메커니즘(2)은 베이스(1)와 브라켓 측판(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등받이 메커니즘(4)은 브라켓 측판(3) 및 연동 메커니즘(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측판(3) 상에는 등받이 점(32) 및 측판 연동점(31)이 설치되고, 브라켓 측판(3)은 측판 연동점(31)에서 연동 메커니즘(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브라켓 측판(3)은 등받이 점(32)에서 등받이 메커니즘(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등받이 메커니즘(4)은 등받이 장착 부재(41) 및 등받이 연동 부재(42)를 포함하고, 등받이 장착 부재(41)의 양단은 각각 등받이 점(32)과 등받이 연동 부재(4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등받이 메커니즘(4)이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등받이 장착 부재(41)의 양단점의 연결선과, 등받이 점(32)과 측판 연동점(31)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α는 예각이다.
구체적으로, 도 1,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메커니즘(4)이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등받이 장착 부재(41)의 양단점의 연결선과, 등받이 점(32)과 측판 연동점(31)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α는 7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48°, 50°, 55°, 60°, 65° 또는 68°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등받이 메커니즘(4)이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등받이 장착 부재(41)의 양단점의 연결선과, 등받이 점(32)과 측판 연동점(31)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α는 65°이다. 등받이 메커니즘(4)이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등받이 장착 부재(41)의 양단점의 연결선과, 등받이 점(32)과 측판 연동점(31)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β는 45°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30°, 35°, 40° 또는 43°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등받이 메커니즘(4)이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등받이 장착 부재(41)의 양단점의 연결선과, 등받이 점(32)과 측판 연동점(31)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β는 40°이다. 등받이 장착 부재(41)가 등받이 점(32)을 중심으로 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할 경우, 끼인 각 α는 감소하고, 등받이 장착 부재(41)가 브라켓 측판(3)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실시예의 등받이 메커니즘(4)은 앉은 자세 위치에서 등받이 장착 부재(41)의 양단점의 연결선과, 등받이 점(32)과 측판 연동점(31)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α를 작게 설정함으로써, 조립 후 좌석 등받이(5)의 경사 각도가 감소하여 좌석 등받이(5)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든다. 본 실시예는 좌석 등받이의 각도를 최적화하고 제한함으로써, 좌석 등받이가 앉은 자세 상태에서 더욱 접혀지도록 하여 후방 공간을 덜 차지하도록 하고, 전개 과정에서 등받이 메커니즘에 의해 좌석 등받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거리가 좌석 등받이가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거리보다 크거나 같도록 하고, 즉 좌석 등받이(5)의 회전 과정에서 등받이 테일 엣지(51)가 초기 평면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브라켓 측판(3)은 등받이 연결부(34) 및 L자형의 측판 몸체(33)를 포함하고, 측판 몸체(33)는 등받이 연결부(34)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고정 연결된다. 등받이 연결부(34)는 등받이 메커니즘(4)에 연결되는 브라켓 측판(3)의 일단에 설치되고, 등받이 점(32)은 등받이 연결부(34) 상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등받이 장착 부재(41)는 역T자형 연결 부재이며, 등받이 장착 부재(41) 상에는 돌출된 프레임 장착부(411)가 설치되고, 프레임 장착부(411)는 좌석의 좌석 등받이(5)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며, 좌석 브라켓이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프레임 장착부(411)와 수평면의 끼인 각 γ는 35° 이하이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프레임 장착부(411)와 수평면의 끼인 각 γ는 30°, 32° 또는 35°일 수 있고, 등받이 장착 부재(41)가 후방으로 회전 및 전개하면 수평면과의 끼인 각이 감소하며, 즉 회전 각도가 증가하여 등받이 메커니즘(4)의 전체 전개 길이를 더욱 증가한다. 본 실시예의 등받이 장착부(411)의 최대 회전 각도 범위는 28°-35°이다. 바람직하게, 등받이 장착부의 최대 회전 각도는 28°, 30°, 32° 또는 35°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등받이 장착부의 최대 회전 각도가 증가하면, 등받이 전개 거리가 증가되어 누운 자세 상태에서의 머리 높이가 낮아져, 전개 후 다리가 머리보다 높은 무중력 누운 자세 상태가 되도록 하여 등받이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 측판(3)의 외측에는 시트 프레임 장착면(36)이 설치되고, 시트 프레임 장착면(36)은 좌석 시트 프레임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며, 시트 프레임 장착면(36)의 높이는 브라켓 측판(3)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낮으며, 시트 프레임 장착면(36)의 가장 높은 지점으로부터 베이스(11) 저면까지의 거리 H는 16cm-19cm이고, 바람직하게는 16cm, 17cm, 18 또는 19c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측판(3)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시트 프레임 장착면(36)이 설치되고, 시트 프레임 장착면(36)은 브라켓 측판(3)과 일체로 만곡 성형되며, 브라켓 측판(3)과 연동 메커니즘(2)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키고, 연동 메커니즘(2) 내의 부품 길이가 짧아지고 강도가 증가되며, 시트 프레임의 장착 높이가 낮아져 연동 메커니즘(2)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본 실시예의 시트 프레임 장착면의 높이가 낮은 좌석 높이를 갖는 고기능 소파 또는 좌석의 설계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연동 메커니즘(2)은 제1 지지 부재(21), 스윙 부재(22), 중앙 연결 부재(23), 연동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를 포함하고; 제1 지지 부재(21) 및 제2 지지 부재(25)는 각각 베이스(1)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스윙 부재(22)는 제1 지지 부재(21)에 연결되고, 중앙 연결 부재(23)의 양단은 각각 스윙 부재(22) 및 연동 부재(24)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연동 부재(24)에는 중앙 연결 부재(23), 브라켓 측판(3), 제2 지지 부재(25) 및 등받이 연동 부재(4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4개의 연결점이 설치된다. 연동 부재(24) 상에는 연동점(241) 및 지지 연결점(242)이 설치된다. 연동 부재(24)는 연동점(241)에서 중앙 연결 부재(23)에 연결되고, 지지 연결점(242)에서 제2 지지 부재(2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동점(241)과 지지 연결점(242)의 연결선을 L1이라 하고, 지지 연결점(242)과 제2 지지 부재(25)와 베이스(1)의 연결점의 연결선을 L2이라 하면, 연동 메커니즘(2)이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L1과 L2 사이의 끼인 각 δ는 8° 내지 15°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연동점(241)과 지지 연결점(242)의 연결선 L1과, 지지 연결점(242)과 제2 지지 부재(25)와 베이스(1)의 연결점의 연결선을 L2의 공선 위치는 제2 지지 부재(25)가 회전할 때의 사점 위치이므로, 제2 지지 부재(25)의 원활한 회전을 보장하기 위해, L1과 L2 사이의 끼인 각은 0°보다 커야 한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 연동점(241)과 지지 연결점(242)의 연결선과 제2 지지 부재(25)의 끼인 각 δ는 8°, 9°, 10°, 12° 또는 15°일 수 있고, 이때, 제2 지지 부재는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동 부재에 의한 제2 지지 부재의 전개 거리를 증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지지 부재(25)와 베이스(1) 사이에는 리미트 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고, 리미트 부재는 제2 지지 부재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이의 최대 전방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연동 지지 구조(2)가 전방으로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제2 지지 부재(25)와 수평면 사이의 끼인 각 ε는 42° 미만이고, 바람직하게, 끼인 각 ε는 38°, 40° 또는 42°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지지 부재(25)가 전방으로 회전하는 각도가 증가되고 회전 후 베이스 사이와의 끼인 각이 감소되어, 좌석 브라켓의 전체 전개 거리를 더욱 증가함으로써, 동일한 전개 길이 조건에서 본 발명의 연동 메커니즘의 부품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전체 높이를 더욱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동점(241)으로부터 지지 연결점(242)까지의 거리 A1과, 지지 연결점(241)으로부터 제2 지지 부재(25)와 베이스(1)의 연결점까지의 거리를 A2의 비율 범위는 0.6~0.75이고, 바람직하게는 0.6, 0.65, 0.67, 0.7 또는 0.75일 수있다. 상술한 제2 지지 부재(25)의 회전 각도, 제2 지지 부재(25)의 부품 길이 전개 길이 비율에 대한 최적화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의 비율 범위 내에서 연동 메커니즘의 전체 높이가 줄어들고 지지 강도가 증가되며 구조적 안정성이 증가된다.
구체적으로, 연동 부재(24) 상에는 측판 연결점(243) 및 배면 연결점(244)이 더 설치된다. 측판 연결점(243)은 브라켓 측판(3)에 연결되며, 즉 측판 연결점(243)은 측판 연동점(31)과 동일한 점이다. 배면 연결점(244)은 등받이 메커니즘(4)에 연결되고, 연동 메커니즘(2)의 폴딩 또는 전개 과정에서, 배면 연결점(244)으로부터 베이스(1) 저면까지의 거리 H3은 3cm 이상이 되도록 하여, 운동 과정에서 연동 부재(24)가 지면에 닿거나 간섭받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윙 부재(22) 상에는 제1 연결점(221), 제2 연결점(222) 및 제3 연결점(223)이 설치되고, 스윙 부재(22)는 제1 연결점(221)에서 제1 지지 부재(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연결점(222)에서 중간 연결부(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3 연결점(223)에서 브라켓 측판(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연결점(222)으로부터 제3 연결점(223)까지의 거리를 B1이라 하고, 제2 연결점(222)으로부터 제1 연결점(221)까지의 거리를 B2이라 하면, B1과 B2의 비율 범위는 0.6~0.7이다. 제2 연결점(222)과 제3 연결점(223)의 연결선과, 제2 연결점(222)과 제1 연결점(221)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θ는 예각이다. 바람직하게, 제2 연결점(222)과 제3 연결점(223)의 연결선과, 제2 연결점(222)과 제1 연결점(221)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θ는 70°, 72°, 76° 또는 8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술한 최적화는 모두 좌석 시트 프레임의 장착 높이를 더욱 낮추어, 좌석 브라켓의 전개 과정에서 전방 이동 거리를 증가하여 후방의 좌석 등받이를 위한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좌석 유닛은 좌석 등받이(5)를 더 포함하고, 좌석 등받이(5)는 등받이 장착 부재(41)에 연결되며, 좌석 등받이(5)는 등받이 테일 엣지(51)를 포함하고, 좌석 브라켓이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등받이 테일 엣지(51)가 위치하는 수평면에 수직되는 평면은 초기 평면이고, 등받이 메커니즘(4)이 연동 메커니즘(2) 및 브라켓 측판(3)과 함께 폴딩 및 전개의 한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경우, 등받이 테일 엣지(51)의 후방 이동은 초기 평면을 초과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좌석 등받이(5)는 등받이 테일 윙(52) 및 몸체부(53)를 더 포함하고, 몸체부(53)는 등받이 메커니즘(4)에 연결되며, 등받이 테일 엣지(51)는 등받이 테일 윙(52)의 후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등받이 테일 윙(52)의 가로 폭은 몸체부(53)보다 크고, 등받이 메커니즘(4)에 의해 좌석 등받이(5)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등받이 테일 윙(52)은 좌석 팔걸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연동 메커니즘(2) 및 브라켓 측판(3)의 구조 최적화 및 전체 높이의 감소로 인해 등받이 메커니즘(4)의 회전 각도가 변경되므로, 좌석 등받이(5)가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등받이 테일 엣지(51)로부터 베이스(1) 저면까지의 거리 H1은 70cm-85cm이다. 바람직하게, 등받이 테일 엣지(51)로부터 베이스(1) 저면까지의 거리 H1은 70cm, 75cm, 78cm, 80cm 또는 85cm일 수 있다. 좌석 등받이(5)이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등받이 테일 엣지(51)로부터 베이스(1) 저면까지의 거리 H2는 50cm-65cm이다. 바람직하게, 등받이 테일 엣지(51)로부터 베이스(1) 저면까지의 거리 H2는 50cm, 58cm, 60cm 또는 65cm일 수 있다. 기계적 전개 장치를 갖는 종래의 좌석 유닛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는 좌석 유닛의 좌석 등받이의 전체 높이를 감소하여 등받이의 미관 및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좌석 유닛은 브라켓 측판을 통해 좌석 팔걸이(9)의 내측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 팔걸이(9)가 브라켓 측판(3)에 고정될 경우, 즉 좌석 팔걸이(9)가 브라켓 측판(3)의 이동과 함께 팔걸이가 움직인다. 등받이 메커니즘(4)에 의해 좌석 등받이(5)가 운동하는 과정에서, 등받이 테일 윙(52)이 좌석 팔걸이(9)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등받이 메커니즘(4)이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등받이 테일 엣지(51)가 위치하는 수평면에 수직되는 평면은 초기 평면이고, 등받이 메커니즘(4)에 의해 좌석 등받이(5)가 운동하는 과정에서, 등받이 테일 엣지(51)의 이동은 초기 평면을 초과하지 않는다. 다본 실시예의 좌석은 테일 윙이 넓은 T자형 좌석 등받이를 갖고 좌석 팔걸이가 함께 움직이는 좌석 스타일로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 팔걸이(9)가 베이스(1)에 고정될 경우, 좌석 등받이(5)는 등받이 몸체(54)를 포함하고, 등받이 몸체(54)의 가로 폭은 2개의 좌석 팔걸이(9)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설명해야 할 것은, 좌석 팔걸이(9)가 수평면에 고정되는, 즉 좌석 팔걸이가 바닥에 닿는 좌석은 팔걸이가 지면에 닿는 좌석이라고 할 수도 있다. 등받이 메커니즘(4)이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등받이 테일 엣지(51)가 위치하는 수평면에 수직되는 평면은 초기 평면이고, 등받이 메커니즘(4)에 의해 좌석 등받이(5)가 전방으로 운동하는 과정에서, 등받이 테일 엣지(51)의 후방 이동은 초기 평면을 초과하지 않고, 즉 좌석 등받이(5)가 후방으로 회전 및 전개하는 과정에서 좌석의 테일단 가장자리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수직 평면에서 멀어지거나, 초기 수직 평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팔걸이가 지면에 닿는 좌석으로 설치될 경우, 위치 조절 과정에서 좌석 팔걸이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좌석 등받이(5)는 양측의 팔걸이 사이에서 수평으로 이동하고 회전하면서 조절된다.
본 실시예의 좌석 브라켓은 다리부 메커니즘(6)을 더 포함하고, 다리부 메커니즘(6)은 브라켓 측판(3)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리부 메커니즘(6)은 브라켓 측판의 전방에서 펼쳐지거나 폴딩된다.
본 실시예의 좌석 브라켓은 대향되게 설치된 2세트의 동일한 브라켓 구조로서,좌석 브라켓은 베이스(1)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2개의 대향되는 베이스(1)를 연결하는 2개의 받침대, 즉 제1 받침대(11) 및 제2 받침대(12)를 더 포함하고, 2개의 대향되게 설치된 베이스(1) 및 이를 연결하는 제1 받침대(11) 및 제2 받침대(12)는 하단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 메커니즘(7) 및 구동 메커니즘(8)을 더 포함하고, 동력전달 메커니즘(7)은 연동 브래킷(71) 및 동력전달 샤프트(72)를 포함하며, 동력전달 샤프트(72)의 양단부는 각각 양측의 다리부 메커니즘(6)에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동 브래킷(71)의 일단은 동력전달 샤프트(72)의 중앙부에 연결되며, 연동 브래킷(71)의 타단은 구동 메커니즘(8)의 슬라이딩 블록(83)에 힌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브라켓 측판(3) 상에는 관통홀이 설치되고, 동력전달 샤프트(72)의 단부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브라켓 측판(3) 외측에 설치된 다리부 메커니즘(6)의 동력전달 연결로드(61)에 연결되어, 제1 동력전달 부재(61)에 의해 다리부 메커니즘(6)의 기타 연결로드 구조를 폴딩 또는 전개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브라켓 측판(3)의 하방에는 동력전달 샤프트(72)가 관통되는 요홈 또는 간극이 설치된다. 동력전달 샤프트(72)의 단부는 요홈 또는 간극을 관통하여 브라켓 측판(3) 외측에 설치된 다리부 메커니즘(6)의 동력전달 연결로드(61)에 연결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 샤프트(72)의 길이는 2개의 브라켓 측판(3)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하여, 브라켓 측판(3) 내측 공간이 작아 운동 과정에서 부품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동력전달 샤프트(62)는 동력전달 사곽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메커니즘(8)은 구동 모터(81), 슬라이드 레일(82) 및 슬라이딩 블록(83)을 포함하고, 슬라이드 레일(82)은 수평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83)은 연동 브래킷(71)을 통해 동력전달 샤프트(7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레일(82) 일단은 제1 받침대(11) 상에 고정되고, 슬라이드 레일(82)의 타단은 구동 모터(81)에 연결되며, 구동 모터(81)는 제2 받침대(12) 상에 고정된다. 다리부 메커니즘(6) 및 등받이 메커니즘(4)이 폴딩 위치로부터 완전 전개되는 한계 위치까지 구동될 경우, 슬라이딩 블록(83)의 슬라이딩 스트로크는 26cm-33cm이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딩 블록(83)의 슬라이딩 스트로크는 26cm, 27cm, 28cm, 30cm 또는 33c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블록(83)에 의해 동력전달 샤프트(72)가 완전 폴딩 한계 위치로부터 완전 전개 한계 위치로 이동할 경우, 동력전달 샤프트(72)의 전방 이동 거리는 20cm 이상이다. 바람직하게, 20cm, 22cm 또는 25c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블록(83)의 최대 슬라이딩 스트로크가 28cm일 경우, 동력전달 샤프트(72)의 전방 이동 거리는 20cm보다 크도록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메커니즘(8)과 동력전달 메커니즘(7)은 협력하여 동력전달 샤프트(72)의 높이가 더 작은 상황에서 슬라이딩 블록(83)이 동력전달 샤프트(72)의 슬라이딩 스트로크가 더욱 길도록 구동하여, 좌석 등받이 메커니즘 및 다리부 메커니즘의 전개 거리를 증가하고 더 높은 푸시 정확도 및 푸시 효율을 갖도록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종래의 푸시로드 모터는 베이스에 비스듬히 장착되어야 하므로, 푸시로드의 스트로크가 더 길다. 종래의 좌석구동 메커니즘은 슬라이드 레일의 일단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는데,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시 슬라이드 레일이 베이스에 대해 스윙하여 무게 중심이 변하게 되며 구동 과정에서 흔들림이나 걸림이 발생하기 쉽다. 종래의 구동 메커니즘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구동 메커니즘(8)은 슬라이드 레일(82)이 수평면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드 레일(82)의 양단이 모두 고정되며, 구동 모터(81)가 슬라이딩 블록(83)을 슬라이드 레일(82) 상에서 직선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동하고, 동력전달 샤프트(72)의 높이가 낮고, 동력전달의 무게 중심 및 구동 메커니즘(8)의 무게 중심이 베이스에 가까워, 구동 과정에서 더욱 안정적이고 원활하며 푸시 정확도가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메커니즘(8)은 동력전달 메커니즘(7)이 운동하도록 구동하여, 다리부 메커니즘(6)이 전방으로 전개하도록 함으로써 연동 메커니즘(2), 브라켓 측판(3) 및 등받이 메커니즘(4)의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좌석 유닛이 앉은 자세, 전개 자세 및 누운 자세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등받이 연결부와 등받이 장착 부재의 각도 관계를 제한함으로써, 좌석 전개 길이를 보장하는 전제 하에 좌석 유닛의 전개 과정에서, 연동 메커니즘 및 브라켓 측판에 의해 등받이 메커니즘을 전방 및 상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거리를 증가하여 등받이 메커니즘이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거리를 상쇄할 수 있도록 하여 좌석 유닛의 좌석 등받이를 간격이 없이 벽에 밀착 설치하여 공간을 더욱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동 메커니즘, 등받이 메커니즘 등의 결합 개선을 통해, 좌석 유닛의 전개 거리를 증가하는 동시에 앉은 높이를 대촉 낮추어 구조적 안정성 및 좌석의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좌석 등받이는 등받이 테일 윙이 넓은 T자형 프레임 구조로서, 종래의 팔걸이 바닥형 제품과 비교하여 T자형 좌석 등받이는 좌석 유닛의 전개 과정에서, 등받이 테일 윙이 양측의 좌석 팔걸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좌석 팔걸이는 측판 연동부재와 함께 이동하여 좌석 등받이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좌석 등받이는 팔걸이가 지면에 닿는 좌석 스타일에도 적용될 수 있고, 좌석 등받이 및 좌석 팔걸이의 설계가 더욱 유연하여 다양한 스타일의 좌석 설게를 충족시킬 수 있고 외관이 더욱 미려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균등 대체, 개선 등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 베이스,
2: 연동 메커니즘,
3: 브라켓 측판,
4: 등받이 메커니즘,
31: 측판 연동점,
32: 등받이 점,
41: 등받이 장착 부재,
42: 등받이 연동 부재,
33: 측판 몸체,
34: 등받이 연결부,
411: 프레임 장착부,
5: 좌석 등받이,
36: 시트 프레임 장착면,
51: 등받이 테일 엣지,
52: 등받이 테일 윙,
53: 몸체부,
54: 등받이 몸체,
21: 제1 지지 부재,
22: 스윙 부재,
23: 중앙 연결 부재,
24: 연동 부재,
25: 제2 지지 부재,
241: 연동점,
242: 지지 연결점,
243: 측판 연결점,
244: 배면 연결점,
221: 제1 연결점,
222: 제2 연결점,
223: 제3 연결점,
6: 다리부 메커니즘,
7: 동력전달 메커니즘,
8: 구동 메커니즘,
11: 제1 받침대,
12: 제2 받침대,
61: 동력전달 연결로드,
71: 연동 브래킷,
72: 동력전달 샤프트,
8: 구동 메커니즘,
81: 구동 모터,
82: 슬라이드 레일,
83: 슬라이딩 블록,
9: 좌석 팔걸이.
2: 연동 메커니즘,
3: 브라켓 측판,
4: 등받이 메커니즘,
31: 측판 연동점,
32: 등받이 점,
41: 등받이 장착 부재,
42: 등받이 연동 부재,
33: 측판 몸체,
34: 등받이 연결부,
411: 프레임 장착부,
5: 좌석 등받이,
36: 시트 프레임 장착면,
51: 등받이 테일 엣지,
52: 등받이 테일 윙,
53: 몸체부,
54: 등받이 몸체,
21: 제1 지지 부재,
22: 스윙 부재,
23: 중앙 연결 부재,
24: 연동 부재,
25: 제2 지지 부재,
241: 연동점,
242: 지지 연결점,
243: 측판 연결점,
244: 배면 연결점,
221: 제1 연결점,
222: 제2 연결점,
223: 제3 연결점,
6: 다리부 메커니즘,
7: 동력전달 메커니즘,
8: 구동 메커니즘,
11: 제1 받침대,
12: 제2 받침대,
61: 동력전달 연결로드,
71: 연동 브래킷,
72: 동력전달 샤프트,
8: 구동 메커니즘,
81: 구동 모터,
82: 슬라이드 레일,
83: 슬라이딩 블록,
9: 좌석 팔걸이.
Claims (18)
-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로서,
베이스(1), 연동 메커니즘(2), 브라켓 측판(3) 및 등받이 메커니즘(4)을 포함하되, 상기 연동 메커니즘(2)은 상기 베이스(1)와 상기 브라켓 측판(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4)은 상기 브라켓 측판(3) 및 연동 메커니즘(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 측판(3) 상에는 측판 연동점(31) 및 등받이 점(32)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 측판(3)은 상기 측판 연동점(31)에서 상기 연동 메커니즘(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측판(3)은 상기 등받이 점(32)에서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4)은 등받이 장착 부재(41) 및 등받이 연동 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41)의 양단은 각각 상기 등받이 점(32)과 상기 등받이 연동 부재(4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4)이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41)의 양단점의 연결선과, 상기 등받이 점(32)과 측판 연동점(31)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α는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측판(3)은 등받이 연결부(34) 및 L자형의 측판 몸체(33)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 몸체(33)는 상기 등받이 연결부(34)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연결부(34)는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4)에 연결되는 상기 브라켓 측판(3)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 점(32)은 상기 등받이 연결부(34)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4)이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41)의 양단점의 연결선과, 상기 등받이 점(32)과 측판 연동점(31)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α는 7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4)이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41)의 양단점의 연결선과, 상기 등받이 점(32)과 측판 연동점(31)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β는 4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41) 상에는 돌출된 프레임 장착부(411)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장착부(411)는 좌석의 좌석 등받이(5)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연동 장치가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상기 프레임 장착부(411)와 수평면의 끼인 각 γ는 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
- 좌석 브라켓으로서,
베이스(1), 연동 메커니즘(2), 브라켓 측판(3) 및 등받이 메커니즘(4)을 포함하되, 상기 연동 메커니즘(2)은 상기 베이스(1)와 상기 브라켓 측판(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4)은 상기 브라켓 측판(3) 및 연동 메커니즘(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동 메커니즘(2)은 제1 지지 부재(21), 스윙 부재(22), 중앙 연결 부재(23), 연동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21) 및 제2 지지 부재(25)는 각각 상기 베이스(1)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윙 부재(22)는 상기 제1 지지 부재(21)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 연결 부재(23)의 양단은 각각 상기 스윙 부재(22) 및 연동 부재(24)에 연결되며;
상기 연동 부재(24) 상에는 연동점(241) 및 지지 연결점(242)이 설치되고, 상기 연동 부재(24)는 상기 연동점(241)에서 상기 중앙 연결 부재(23)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 부재(24)는 상기 지지 연결점(242)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25)에 연결되며, 상기 연동점(241)과 상기 지지 연결점(242)의 연결선을 L1이라 하고, 상기 지지 연결점(242)과 상기 제2 지지 부재(25)와 베이스(1)의 연결점의 연결선을 L2이라 하면, 상기 연동 메커니즘(2)이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L1과 L2 사이의 끼인 각 δ는 8°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브라켓.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메커니즘(2)이 전방으로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상기 제2 지지 부재(25)와 수평면 사이의 끼인 각 ε는 4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브라켓.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점(241)으로부터 상기 지지 연결점(242)까지의 거리를 A1이라 하고, 상기 지지 연결점(242)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 부재(25)와 상기 베이스(1)의 연결점까지의 거리를 A2라고 하면, A1와 A2의 비율 범위는 0.6~0.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브라켓.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24) 상에는 측판 연결점(243) 및 배면 연결점(244)이 더 설치되고; 상기 측판 연결점(243)은 상기 브라켓 측판(3)에 연결되며, 상기 배면 연결점(244)은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4)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 메커니즘(2)의 폴딩 또는 전개 과정에서, 상기 배면 연결점(244)으로부터 상기 베이스(1) 저면까지의 거리 H3은 3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브라켓.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부재(22) 상에는 제1 연결점(221), 제2 연결점(222) 및 제3 연결점(223)이 설치되고, 상기 스윙 부재(22)는 상기 제1 연결점(221)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 연결점(223)에서 상기 브라켓 측판(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점(222)으로부터 제3 연결점(223)까지의 거리를 B1이라 하고, 상기 제2 연결점(222)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점(221)까지의 거리를 B2이라 하면, B1과 B2의 비율 범위는 0.6~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브라켓.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점(222)과 제3 연결점(223)의 연결선과, 상기 제2 연결점(222)과 상기 제1 연결점(221)의 연결선 사이의 끼인 각 θ는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브라켓.
- 제7항에 있어서,
구동 메커니즘(6) 및 다리부 메커니즘(7)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 메커니즘(7)은 상기 브라켓 측판(3)과 상기 연동 메커니즘(2)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 메커니즘(6)은 상기 다리부 메커니즘(7)이 폴딩 또는 전개되도록 구동하여, 상기 연동 메커니즘(2), 브라켓 측판(3) 및 등받이 메커니즘(4)의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좌석 브라켓이 앉은 자세, 전개 자세 및 누운 자세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브라켓.
- 좌석 유닛으로서,
베이스(1), 연동 메커니즘(2), 브라켓 측판(3), 등받이 메커니즘(4) 및 좌석 등받이(5)를 포함하되, 상기 연동 메커니즘(2)은 상기 베이스(1)와 상기 브라켓 측판(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4)은 상기 브라켓 측판(3) 및 연동 메커니즘(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 측판(3)의 외측면에는 시트 프레임 장착면(36)이 설치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 장착면(36)이 위치하는 평면의 높이는 상기 브라켓 측판(3)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낮으며, 상기 시트 프레임 장착면(36)의 가장 높은 지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1) 저면까지의 거리 H는 16cm-19cm이고;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4)은 등받이 장착 부재(41) 및 등받이 연동 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41)는 상기 브라켓 측판(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연동 부재(42)의 양단은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41) 및 연동 메커니즘(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장착 부재(41)는 상기 좌석 등받이(5)에 연결되고; 상기 좌석 등받이(5)는 등받이 테일 엣지(51)를 포함하며,
상기 좌석 브라켓이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상기 등받이 테일 엣지(51)가 위치하는 수평면에 수직되는 평면은 초기 평면이고,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4)이 상기 연동 메커니즘(2) 및 상기 브라켓 측판(3)과 함께 폴딩 및 전개의 한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경우, 상기 등받이 테일 엣지(51)의 후방 이동은 상기 초기 평면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유닛.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등받이(5)는 등받이 테일 윙(52) 및 몸체부(5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테일 엣지(51)는 상기 등받이 테일 윙(52)의 후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등받이 테일 윙(52)의 가로 폭은 상기 몸체부(53)보다 크고, 상기 등받이 메커니즘(4)에 의해 상기 좌석 등받이(5)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등받이 테일 윙(52)은 좌석 팔걸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유닛.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등받이(5)가 한계 위치까지 폴딩될 경우, 상기 등받이 테일 엣지(51)로부터 상기 베이스(1) 저면까지의 거리 H1은 70cm-8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유닛.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등받이(5)이 한계 위치까지 전개될 경우, 상기 등받이 테일 엣지(51)로부터 상기 베이스(1) 저면까지의 거리 H2는 50cm-6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유닛.
- 좌석 팔걸이(9) 및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좌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좌석 유닛은 브라켓 측판(3)을 통해 상기 좌석 팔걸이(9)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121200209.4 | 2021-05-31 | ||
CN202110603973.4 | 2021-05-31 | ||
CN202110603981.9A CN113142870B (zh) | 2021-05-31 | 2021-05-31 | 一种可延长伸展的座椅伸展装置 |
CN202110603973.4A CN113287893B (zh) | 2021-05-31 | 2021-05-31 | 一种低座高零靠背间隙的座椅支架及座椅 |
CN202121198813.8U CN216316615U (zh) | 2021-05-31 | 2021-05-31 | 一种座椅机械支撑结构、伸缩单元及座椅 |
CN202110603981.9 | 2021-05-31 | ||
CN202110601360.7A CN113116072B (zh) | 2021-05-31 | 2021-05-31 | 一种用于零靠背间隙的座椅支架及座椅单元 |
CN202121198815.7U CN216797094U (zh) | 2021-05-31 | 2021-05-31 | 一种用于低座高沙发的支撑装置及沙发 |
CN202110601343.3A CN113287892B (zh) | 2021-05-31 | 2021-05-31 | 一种零靠背间隙的座椅单元 |
CN202121200209.4U CN216316606U (zh) | 2021-05-31 | 2021-05-31 | 一种座椅联动支撑装置及座椅 |
CN202110601343.3 | 2021-05-31 | ||
CN202121198813.8 | 2021-05-31 | ||
CN202121198815.7 | 2021-05-31 | ||
CN202110601360.7 | 2021-05-31 | ||
PCT/CN2022/081000 WO2022252747A1 (zh) | 2021-05-31 | 2022-03-15 | 一种用于零靠背间隙的联动装置、支架、座椅单元及座椅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4776A true KR20240004776A (ko) | 2024-01-11 |
Family
ID=8432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41294A KR20240004776A (ko) | 2021-05-31 | 2022-03-15 | 등받이 간격 제로를 위한 연동 장치, 브라켓, 좌석 유닛 및 좌석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090668A1 (ko) |
JP (1) | JP2024519174A (ko) |
KR (1) | KR20240004776A (ko) |
WO (1) | WO202225274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20236444U (zh) * | 2023-03-24 | 2023-12-26 | 德沃康科技集团有限公司 | 矮座高零靠墙的座椅支架及具有其的矮座高零靠墙座椅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71275A (en) * | 1976-03-22 | 1978-01-31 | Royal Development Company, Inc. | Recliner chair with wall avoiding action |
US7850232B2 (en) * | 2007-03-09 | 2010-12-14 | Ashley Furniture Industries, Inc. | Zero clearance recliner mechanism |
US7641277B2 (en) * | 2008-01-02 | 2010-01-05 | L & P Property Management Co. | Zero-wall clearance linkage mechanism for a high-leg seating unit |
CN102894699B (zh) * | 2012-11-01 | 2015-05-20 | 锐迈机械科技(吴江)有限公司 | 一种活动座椅靠背随动装置 |
US10420422B2 (en) * | 2016-07-29 | 2019-09-24 |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 Recliner chair having improved wall clearance and recline linkage with projected back pivot point |
US11388998B2 (en) * | 2018-11-26 | 2022-07-19 | Ultra-Mek, Inc. | Reclining seating unit with wall-proximity capability and extendable headrest |
CN113142870B (zh) * | 2021-05-31 | 2023-11-03 | 锐迈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可延长伸展的座椅伸展装置 |
CN113287893B (zh) * | 2021-05-31 | 2023-07-25 | 锐迈机械科技(吴江)有限公司 | 一种低座高零靠背间隙的座椅支架及座椅 |
CN113287892B (zh) * | 2021-05-31 | 2023-02-28 | 锐迈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零靠背间隙的座椅单元 |
CN113116072B (zh) * | 2021-05-31 | 2023-11-24 | 锐迈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零靠背间隙的座椅支架及座椅单元 |
-
2022
- 2022-03-15 KR KR1020237041294A patent/KR20240004776A/ko unknown
- 2022-03-15 JP JP2023573219A patent/JP2024519174A/ja active Pending
- 2022-03-15 WO PCT/CN2022/081000 patent/WO2022252747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
- 2023-11-30 US US18/523,879 patent/US20240090668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252747A1 (zh) | 2022-12-08 |
JP2024519174A (ja) | 2024-05-08 |
US20240090668A1 (en) | 2024-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955974B (zh) | 具有电动座椅驱动器的零墙壁间隙联动机构 | |
CN111955975B (zh) | 具有电动座椅驱动器的零墙壁间隙联动机构 | |
CN101912207B (zh) | 避开壁的可变换凳榻 | |
CN109393818B (zh) | 电动功能沙发 | |
EP3270732A1 (en) | Motorized positioning apparatus for a seating unit | |
US20240090668A1 (en) | Linkage Device for Implementing No Backrest Clearance, Supporting Frame, Seat Unit, and Seat | |
CN111839052B (zh) | 一种电动机械伸展装置 | |
WO2022000968A1 (zh) | 多功能休闲椅框架结构及其支撑就坐方法 | |
CN113287893B (zh) | 一种低座高零靠背间隙的座椅支架及座椅 | |
CN215533081U (zh) | 一种机械伸展装置 | |
CN113475898A (zh) | 一种机械伸展装置 | |
CN112890490A (zh) | 一种座椅 | |
CN210227465U (zh) | 一种可调式躺坐一体椅 | |
CN209090419U (zh) | 一种双电机驱动助站躺椅用铁架 | |
CN113287892B (zh) | 一种零靠背间隙的座椅单元 | |
CN113116072B (zh) | 一种用于零靠背间隙的座椅支架及座椅单元 | |
US20070252422A1 (en) | Seating unit convertible into chaise | |
CN203852051U (zh) | 一种多功能座躺椅 | |
CN221179933U (zh) | 一种电动椅的椅架 | |
CN105996517A (zh) | 一种用于座椅单元的伸缩机架及座椅单元 | |
CN216797094U (zh) | 一种用于低座高沙发的支撑装置及沙发 | |
CN208837379U (zh) | 一种多点限位的机械伸展装置 | |
CN205963485U (zh) | 用于座椅单元的伸缩机架及座椅单元 | |
CN216166391U (zh) | 一种超级零重力座椅框架 | |
CN216316615U (zh) | 一种座椅机械支撑结构、伸缩单元及座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