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637A - 실길이 계측장치 및 편사의 버퍼장치 - Google Patents

실길이 계측장치 및 편사의 버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637A
KR20240004637A KR1020237040730A KR20237040730A KR20240004637A KR 20240004637 A KR20240004637 A KR 20240004637A KR 1020237040730 A KR1020237040730 A KR 1020237040730A KR 20237040730 A KR20237040730 A KR 20237040730A KR 20240004637 A KR20240004637 A KR 20240004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rotating member
knitting
measuring device
length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쓰시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4000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20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filamentary material during forwarding, e.g. for buffer storage
    • B65H51/22Reels or cages, e.g. cylindrical, with storing and forwarding surfaces provided by rollers o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1/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metering predetermined lengths of runn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delivery of a measured length of material, completion of winding of a package, or filling of a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밀도의 실길이 계측을 실현할 수 있는 실길이 계측장치 및 편사의 버퍼장치를 제공한다.
소정의 부착부재(회전 지지부(22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재(210)와, 상기 회전부재(210)의 회전축선(B)상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고, 급사방향 상류측에서 풀린 편사(Y)를 상기 급사방향 하류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입부(211)와, 상기 유입부(211)로부터 유입된 편사(Y)를 상기 급사방향 하류측의 급사경로(A)로 유출시키는 유출부(212)와, 상기 회전부재(210)의 회전량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량 검출부(2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실길이 계측장치 및 편사의 버퍼장치
본 발명은, 버퍼장치에서 풀리는 편사(編絲)의 실길이를 계측할 수 있는 실길이 계측장치 및 편사의 버퍼장치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버퍼장치에서 풀려 편성기에 급사(給絲)되는 편사의 실길이를 계측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다.
특허문헌1에는, 회전드럼에 축적된 실이 인출될 때의 인출량을 계측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회전드럼의 주위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90도씩 간격을 두고 4군데에 광학센서를 배치하고, 인출되는 실에 의한 빛의 차단을 각 광학센서가 검출함으로써, 실의 인출량을 계측한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허 제625027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4군데에 광학센서가 배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들 상호간을 지나는 실까지는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실길이 계측의 정밀도 향상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정밀도의 실길이 계측을 실현할 수 있는 실길이 계측장치 및 편사의 버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고,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실길이 계측장치는, 소정의 부착부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선상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고, 급사방향 상류측에서 풀린 편사를 상기 급사방향 하류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편사를 상기 급사방향 하류측의 급사경로로 유출시키는 유출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량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량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정밀도의 실길이 계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선상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편사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상기 회전축선상까지의 최단거리가 20㎜보다도 짧아지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더 고정밀도의 실길이 계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량 검출부는,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검출부의 회전에 수반되는 상기 피검출부의 표면의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회전량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더 고정밀도의 실길이 계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버퍼장치는, 본 발명에 관한 실길이 계측장치와, 편사가 감겨 저장되고, 상기 실길이 계측장치보다도 급사방향 상류측에 배치되는 보빈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정밀도의 실길이 계측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고정밀도의 실길이 계측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실길이 계측장치 및 버퍼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횡편기의 제어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실길이 계측장치 및 버퍼장치를 구비하는 급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는, 실길이 계측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5는, 회전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6에 있어서, (a)는 실길이 계측장치에서의 편사의 실길이의 계측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는 상기 (a)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도7에 있어서, (a)는 제2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는 제3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c)는 제4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에 있어서, (a)는 제5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는 제6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 중의 화살표U, 화살표D, 화살표F, 화살표B, 화살표L 및 화살표R로 나타내는 방향을 각각 상측방향, 하측방향, 앞쪽방향, 뒤쪽방향,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부의 부재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적절히 생략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급사장치(100)를 구비하는 횡편기(1)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편기(1)는, 주로 니들베드(10), 캐리지(20), 얀가이드 레일(30), 서보모터(40), 얀 스탠드(50), 제어부(60) 및 급사장치(100)를 구비한다.
도1에 나타내는 니들베드(10)는, 니들베드갭(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후의 니들베드(10)는, 예를 들면 전후 중앙측(서로 대향하는 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역V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니들베드(10)에는, 상기 니들베드(10)의 길이방향(좌우방향)을 따라 다수의 편침(編針)(11)이 배열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후의 니들베드(10)는, 서로 스티치의 교환(트랜스퍼)을 실시할 때에, 상대적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캐리지(20)는, 전후의 니들베드(10)에 대하여 상방에서 대향하도록 전후 한 쌍이 배치된다. 전후의 캐리지(20)는, 복수의 얀가이드 레일(30)을 넘도록 배치된 브리지(20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캐리지(20)는, 서보모터(40)(도2 참조)에 의하여 니들베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다. 캐리지(20)에는, 니들베드(10)의 편침(11)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선침기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나 캠기구(21)(도2 참조)가 설치된다.
도1에 나타내는 얀가이드 레일(30)은, 니들베드갭의 상방에 있어서, 니들베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복수 배치된다. 얀가이드 레일(30)에는, 편사(Y)를 급사하는 얀 캐리어(31)가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내는 얀 스탠드(50)에는, 편사(Y)가 감긴 얀콘(51)이 설치된다. 얀콘(51)으로부터의 편사(Y)는, 급사경로(A)를 거쳐 얀 캐리어(31)로 급사된다. 여기에서 급사경로(A)는, 얀콘(51)에서 얀 캐리어(31)까지의 사이의 편사(Y)가 급사되는 경로이다. 또한 얀콘(51)의 상방에는, 톱텐션(52)이 설치된다. 톱텐션(52)은, 얀콘(51)으로부터 인출되어 급사방향 하류측(얀 캐리어(31) 측)으로 급사되는 편사(Y)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톱텐션(52)은, 급사경로(A) 상에 위치한다.
도2에 나타내는 제어부(60)는, 횡편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60)는, CPU 등의 연산처리부, RAM이나 ROM 등의 기억부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60)의 기억부에는, 횡편기(1)의 제어에 사용되는 다양한 정보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제어부(60)는, 횡편기(1)의 적당한 장소(예를 들면, 횡편기(1)의 본체 내(뒤쪽 니들베드(10)의 하방))에 설치된다.
제어부(60)는, 서보모터(40)와 접속하여, 상기 서보모터(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서보모터(4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캐리지(20)를 임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60)는, 서보모터(40)의 회전수에 의거하여 캐리지(2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캐리지(20)(더 상세하게는, 캠기구(21))와 접속하여, 상기 캐리지(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미리 작성된 편성 프로그램 등에 의거하여 횡편기(1)의 각 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0)는 서보모터(4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니들베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캐리지(20)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에, 캐리지(20)에 탑재된 캠기구(21) 등에 의하여 편침(11)을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시킴으로써, 니트(knit), 턱(tuck), 미스(miss) 등의 편성동작과, 전후의 니들베드(10) 사이에서의 스티치의 교환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캐리지(20)의 왕복이동을 반복함으로써, 편성포(K)가 편성된다.
다음에, 도1∼도6을 사용하여 급사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급사장치(100)는, 얀콘(51)으로부터의 편사(Y)를 저장함과 아울러, 저장한 편사(Y)를 얀 캐리어(31)로 대략 일정한 텐션으로 급사하는 것이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사장치(100)는, 횡편기(1)의 측방(도면의 예에서는, 좌측)에 배치된다. 급사장치(100)는, 급사경로(A)에 위치한다. 또한 도면의 예에서는, 하나의 급사장치(100)를 나타내고 있지만, 급사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복수(예를 들면, 얀 캐리어(31)의 수에 따른 수) 설치할 수 있다. 급사장치(100)는, 주로 지지부(110), 버퍼장치(120), 저항 부여부(130), 실길이 계측장치(200) 및 제어부(300)를 구비한다.
도3에 나타내는 지지부(110)는, 후술하는 버퍼장치(120)나 실길이 계측장치(200) 등을 지지하는 것이다. 지지부(110)는, 예를 들면 복수의 판형상의 부재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지지부(110)는, 적당한 설치대상에 설치된다. 지지부(110)는, 상측 가이드부(111) 및 하측 가이드부(112)를 구비한다.
상측 가이드부(111)는, 톱텐션(52)으로부터의 편사(Y)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상측 가이드부(111)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편사(Y)가 통과하는 구멍을 가진다. 상측 가이드부(111)는, 지지부(110)의 우측면에서 우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적당한 암(arm)을 통하여 지지된다.
하측 가이드부(112)는, 후술하는 버퍼장치(120)로부터의 편사(Y)가 유출되는 부분이다. 하측 가이드부(112)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편사(Y)가 통과하는 구멍을 가진다. 하측 가이드부(112)는, 상측 가이드부(111)보다도 하방에 있어서, 지지부(110)의 우측면에서 우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적당한 암을 통하여 지지된다.
도3에 나타내는 버퍼장치(120)는, 얀콘(51)으로부터 편사(Y)를 인출함과 아울러, 편사(Y)를 저장하는 것이다. 버퍼장치(120)에 저장된 편사(Y)는, 필요에 따라 급사방향 하류측으로 인출된다(풀린다). 버퍼장치(120)는, 상측 가이드부(111)와 하측 가이드부(11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부(110)에 설치된다. 버퍼장치(120)는, 하우징(121), 구동부(122), 권취부(123) 및 보빈(124)을 구비한다.
하우징(121)은, 후술하는 구동부(122)를 내부에 수용하는 것이다. 하우징(121)은, 지지부(110)의 우측면에 고정된다.
도2 및 도3에 나타내는 구동부(122)는, 후술하는 권취부(123)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구동부(122)는, 하우징(121)의 내부에 설치된다. 구동부(122)는, 적당한 구동원(예를 들면, 모터 등)을 구비한다.
도3에 나타내는 권취부(123)는, 상측 가이드부(111)로부터의 편사(Y)를 후술하는 보빈(124)에 감는 것이다. 권취부(123)는, 하우징(121)의 하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하우징(12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권취부(123)는, 구동부(122)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하방향을 향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권취부(12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3 및 도4에 나타내는 보빈(124)은, 편사(Y)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보빈(124)은, 축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하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빈(124)은, 권취부(123)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21)에 설치된다. 보빈(124)은, 외주면(外周面)에 편사(Y)를 감음으로써 편사(Y)를 저장한다. 보빈(124)에는, 일정한 권취방법으로(1바퀴당 실길이가 대체로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권취부(123)에 의하여 편사(Y)가 감긴다.
보빈(124)에 저장된 편사(Y)는, 횡편기(1)(캐리지(20)나 얀 캐리어(31) 등)의 편성동작에 수반하여 인출되어(풀려), 급사방향 하류측으로 급사된다. 보빈(124)에서 풀리는 편사(Y)의 위치는, 보빈(124)의 외주면을 따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도록 변한다.
도3 및 도4에 나타내는 저항 부여부(130)는, 보빈(124)으로부터 인출되는 편사(Y)에 마찰에 의한 저항을 부여하는 것이다. 저항 부여부(130)는, 보빈(124)의 하방에 배치된다. 저항 부여부(130)는, 편사(Y)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개구(開口)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저항 부여부(130)는, 접촉부(131), 수용부(132) 및 가압부(133)를 구비한다. 또한 도3 및 도4에서는, 저항 부여부(130)를 단면도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접촉부(131)는, 보빈(124)의 하단부(下端部)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접촉부(131)는, 상하를 거꾸로 한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서, 상하로 개구하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131)는, 보빈(124)과 접촉하는 면이,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방을 향할수록 확경(擴徑)되는 경사면 모양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경사면의 수평방향에 대한 각도를 대략 25도 정도로 형성하고 있다. 접촉부(131)는, 예를 들면 필름 등에 의하여 형성된다.
수용부(132)는, 후술하는 가압부(133)의 가압력을 받는 부분이다. 수용부(132)는, 접촉부(131)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수용부(132)는, 상하로 개구하는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32)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의 내경은, 하부에 형성된 개구의 내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133)는, 수용부(132)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가압부(133)로서는,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다. 가압부(133)의 상단부(上端部)는, 수용부(132)의 상부(개구의 주위의 부분)와 접촉한다. 가압부(133)의 하단부는, 적당한 부재(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회전 지지부(220))를 통하여 지지부(110)에 지지된다. 가압부(133)는, 수용부(132)를 통하여 접촉부(131)가 보빈(124)의 하단부를 밀어붙이도록 가압한다.
상기와 같은 저항 부여부(130)의 접촉부(131)가 보빈(124)의 하단부를 밀어붙임으로써, 접촉부(131)와 보빈(124) 사이의 편사(Y)에 마찰에 의한 저항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편사(Y)가 급사방향 하류측으로 인출되었을 때에, 접촉부(131)와 보빈(124)의 사이를 통과하는 편사(Y)에 어느 정도의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보빈(124)으로부터 인출되는 편사(Y)가 관성에 의하여 너무 많이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저항 부여부(130)(접촉부(131), 수용부(132) 및 가압부(133)) 전체에는, 보빈(124)으로부터 인출되는 편사(Y)를 통과시키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131)에 의하여 장력이 부여된 편사(Y)는,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하측 가이드부(112) 측으로 급사된다.
또한 횡편기(1)에 있어서는, 하측 가이드부(112)보다도 급사방향 하류측에, 하측 가이드부(112)로부터 인출된 편사(Y)의 늘어짐을 잡는 적당한 텐셔너(tensioner)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캐리지의 이동에 수반하여 편사(Y)에 늘어짐이 생긴 경우에도, 텐셔너에 의하여 편사(Y)의 늘어짐을 흡수할 수 있다.
도4∼도6에 나타내는 실길이 계측장치(200)는, 보빈(124)으로부터 인출되는 편사(Y)의 실길이를 계측할 수 있는 것이다. 실길이 계측장치(200)는, 보빈(124)의 하방(급사방향 하류측)에 배치된다. 실길이 계측장치(200)는, 회전부재(210), 회전 지지부(220) 및 회전량 검출부(230)를 구비한다.
도4 및 도5에 나타내는 회전부재(210)는, 보빈(124)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회전부재(210)는, 축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하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회전부재(21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시의 진동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회전부재(210)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비교적 짧게(예를 들면, 후술하는 원반부(231)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하고 있다. 회전부재(210)의 상하방향의 길이로서는, 예를 들면 50㎜∼100㎜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210)는, 상부가 하부보다도 확경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부재(210)의 상부의 반경은, 보빈(124)의 편사(Y)가 감긴 부분의 반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210)는, 후술하는 회전 지지부(220)에, 상하방향을 향하는 회전축선(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회전축선(B)은, 회전부재(210)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중앙에 위치한다(도6(b) 참조).
회전부재(210)는, 보빈(124)의 하방에 설치된다. 회전부재(210)는, 대략 상반부(上半部)가 저항 부여부(130)(접촉부(131), 수용부(132) 및 가압부(133))의 개구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회전부재(21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회전축선(B)이 보빈(124)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중앙과 대체로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회전부재(210)는, 유입부(211) 및 유출부(212)를 구비한다.
유입부(211)는, 보빈(124)으로부터의 편사(Y)를 급사방향 하류측으로 유입시키는 것이다. 유입부(211)는, 회전부재(210)의 상부에 있어서 수평방향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된다. 유입부(211)는, 회전부재(210)의 상부의 외주면과 회전부재(210)의 내부공간을 연통(連通)하도록 형성된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입부(211)는, 회전축선(B)상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유입부(211)는 회전축선(B)보다도 지름방향의 외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입부(211)에서 회전축선(B)까지의 최단거리(L)(지름방향의 거리)가 20㎜보다도 짧게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최단거리(L)는, 유입부(211) 중의 회전축선(B)에 대하여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회전부재(210)의 상부의 외주면)에서 회전축선(B)까지의 거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단거리(L)는 회전부재(210)의 상부의 반경이다.
유출부(212)는, 유입부(211)로부터 유입된 편사(Y)를 급사방향 하류측의 급사경로(A)로 유출시키는 것이다. 유출부(212)는, 회전부재(210)의 하단부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된다. 유출부(212)는, 회전부재(210)의 내부공간과 연통함과 아울러, 회전축선(B)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4 및 도6(a)에 나타내는 회전 지지부(220)는, 회전부재(210)를 회전축선(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회전 지지부(22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에 회전부재(210)의 하부가 삽입된다. 회전 지지부(220)는, 회전부재(210)를 매끄럽게 회전시키기 위한 적당한 베어링(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을 구비한다. 회전 지지부(220)는, 저항 부여부(13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지지부(110)의 우측면에 고정된다. 회전 지지부(220)의 상면에는, 가압부(133)의 하단부를 홀딩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4 및 도6에 나타내는 회전량 검출부(230)는, 회전부재(210)의 회전량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회전량 검출부(230)는, 회전 지지부(220)의 내부에 수용된다. 회전량 검출부(230)는, 원반부(231) 및 센서부(232)를 구비한다.
원반부(231)는, 회전부재(210)와 일체적(一體的)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원반부(231)는, 두께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하는 대략 원반형상으로 형성된다. 원반부(23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중앙의 개구부에 회전부재(210)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부재(210)에 고정된다.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부(231)의 표면에는, 적당한 슬릿(23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6(b)에서는, 원반부(231)의 표면의 일부에 슬릿(231a)을 나타내고 있지만, 슬릿(231a)은 원반부(231)의 표면의 대략 전체(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센서부(232)는, 원반부(231)의 회전에 수반되는 상기 원반부(231)의 표면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센서부(232)는, 광학식의 인코더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32)는, 원반부(231)의 슬릿(231a)을 거친 빛(예를 들면, 적외선)의 통과나, 슬릿(231a) 이외의 부분에 의한 빛의 차폐를 검출함으로써, 원반부(231)의 표면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광학식 센서이다. 센서부(232)의 검출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원반부(231)(회전부재(210))의 회전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32)로서는, 빛의 통과 또는 차폐의 검출에 의하여 원반부(231)의 표면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반부(231)의 표면에 조사된 빛의 반사를 검출함으로써, 원반부(231)의 표면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32)는, 광학식의 인코더를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기식 등 다른 방식의 인코더를 구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32)로서는, 광학식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자기센서 등의 원반부(231)의 표면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32)는, 인코더를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반부(231)의 표면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다른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센서부(232)는, 원반부(231)의 회전량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반드시 원반부(231)의 표면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어도 좋다.
도2에 나타내는 제어부(300)는, 급사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300)는, CPU 등의 연산처리부, RAM이나 ROM 등의 기억부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300)의 기억부에는, 급사장치(100)의 제어에 사용되는 다양한 정보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제어부(300)는, 버퍼장치(120)의 구동부(122)와 접속되어, 상기 구동부(1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회전량 검출부(230)(센서부(232))와 접속되어, 센서부(232)의 검출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어부(6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제어부(60)와의 정보의 교환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300) 및 제어부(60)를 별개의 것으로 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제어부(300) 및 제어부(60)를 일체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하에서는, 급사장치(100)에 의한 급사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300)는, 버퍼장치(120)에 편사(Y)를 저장한다. 제어부(300)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122)(권취부(123))를 구동시킴으로써, 얀콘(51)으로부터 편사(Y)를 인출함과 아울러 보빈(124)에 감아 저장한다. 이때에 제어부(300)는, 보빈(124)에 감긴 편사(Y)의 1바퀴당 실길이나 구동부(122)의 구동량 등에 의거하여 권취부(123)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일정량의 편사(Y)를 보빈(124)에 감을 수 있다. 또한 편사(Y)의 1바퀴당 실길이로서는, 적당한 값을 제어부(300)에 입력하여도 좋고, 미리 기억시켜 놓은 보빈(124)의 원주나 직경 등의 정보를 사용하여 제어부(300)에서 산출시켜도 좋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124)에 저장된 편사(Y)는, 횡편기(1)의 편성동작에 수반하여 보빈(124)으로부터 인출된다. 보빈(124)으로부터 인출된 편사(Y)의 실길이는, 실길이 계측장치(200)에 의하여 계측된다. 또한 실길이 계측장치(200)에 의한 실길이의 계측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어부(300)는, 보빈(124)으로부터 인출된 편사(Y)의 실길이의 계측결과를 취득함과 아울러, 실길이의 계측결과에 의거하여 구동부(122)(권취부(123))를 구동시킴으로써, 편사(Y)를 인출함과 아울러 보빈(124)에 감는다. 이와 같이 인출된 분량의 길이의 편사(Y)를 보빈(124)에 감음으로써, 일정량의 편사(Y)를 보빈(124)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6을 사용하여 실길이 계측장치(200)에 의한 실길이의 계측에 대하여 설명한다.
횡편기(1)의 편성동작에 수반하여 보빈(124)으로부터 편사(Y)가 인출되면, 편사(Y)의 동작에 수반하여 회전부재(210)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더 상세하게는, 보빈(124)에 감긴 편사(Y)가 인출되는 때에는, 보빈(124)에서 풀리는 편사(Y)의 위치는, 보빈(124)의 외주면을 따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도록 변한다. 이와 같은 편사(Y)의 동작에 수반하여, 회전축선(B)상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 회전부재(210)의 유입부(211)가 편사(Y)로 가압된다(도6(a) 참조). 이에 따라 회전부재(210)는, 회전축선(B)을 중심으로 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량 검출부(230)는, 상기 회전부재(210)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원반부(231)의 표면의 변화를 검출한다. 제어부(300)는, 회전량 검출부(230)의 검출결과를 취득함과 아울러, 상기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보빈(124)으로부터 인출된 실길이를 계측한다. 제어부(300)는, 예를 들면 회전부재(210)의 회전량(보빈(124)으로부터 인출된 편사(Y)의 바퀴수)과, 보빈(124)에 감긴 편사(Y)의 1바퀴당 실길이를 사용한 산출을 실시함으로써, 보빈(124)으로부터 인출된 실길이를 계측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계측한 실길이를 기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어부(60)로부터 취득한 서보모터(40)의 회전수나 캐리지(20)의 동작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편성동작마다(예를 들면, 루프길이당) 소비되는 실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급사장치(100)는, 고정밀도의 실길이 계측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보빈(124)의 주위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4군데에 광학센서를 배치한 급사장치에서는, 인출되는 편사(Y)에 의한 빛의 차단을 각 광학센서가 검출함으로써, 편사(Y)의 인출량을 계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것에서는, 4군데에 광학센서를 배치하였다고 하더라도 각 광학센서의 사이를 지나는 실까지는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실길이의 계측의 정밀도 향상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실길이 계측의 정밀도 향상을 목적으로 광학센서의 수를 늘리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는 비용의 증가를 고려하여야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사장치(100)는, 급사방향 하류측의 급사경로(A)로 유출되는 편사(Y)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부재(210)가 회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재(210)의 회전량을 검출함으로써, 고정밀도의 실길이 계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은, 예를 들면 편사(Y)를 검출하는 광학센서의 수를 늘리는 것과 같은 구성에 비하여 간이한 구성으로 고정밀도의 실길이 계측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실길이 계측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급사장치(100)의 구성에 의하면, 보빈(124)의 주위에 광학센서를 설치하는 경우보다도, 회전량 검출부(230)의 지름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부재(210)의 유출부(212)를 회전축선(B)상에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회전부재(210)의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편사(Y)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부재(210)의 유입부(211)를 회전축선(B)상까지의 최단거리(L)가 비교적 짧아지는(20㎜보다도 짧아지는)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편사(Y)의 유출이 정지된 경우(즉, 편사(Y)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에, 회전부재(210)가 관성에 의하여 계속 회전하는 것을 쉽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더 고정밀도의 실길이 계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사(Y)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부재(210)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원반부(231)(회전량 검출부(230))의 표면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더 고정밀도의 실길이 계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원반부(231)는, 본 발명에 관한 피검출부의 실시의 일형태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 지지부(220)는, 본 발명에 관한 소정의 부착부재의 실시의 일형태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당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부재(210)의 유입부(211)를 회전축선(B)상까지의 최단거리(L)가 20㎜보다도 짧아지는 위치에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최단거리(L)는, 20㎜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저항 부여부(130)의 접촉부(131)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경사면의 수평방향에 대한 각도를 대략 25도 정도로 하여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사면의 수평방향에 대한 각도를 더 큰 각도(예를 들면, 대략 45도 정도)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경사면의 수평방향에 대한 각도를 25도보다도 작은 각도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저항 부여부(130)의 접촉부(131)를 상하를 거꾸로 한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접촉부(131)를 대략 원반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원반의 상면을 보빈(124)의 하단면과 접촉시킨다. 또한 이 경우에는, 원반의 중앙에 보빈(124)으로부터의 편사(Y)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회전부재(210)의 다른 실시형태(제2∼제6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a)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210A)는, 유입부(211)의 구성이 제1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210)와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부재(210A)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210)보다도 상하방향의 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210A)는, 유입부(211)가 비스듬히 상측방향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210A)는, 상부의 외주면의 일부가 비스듬히 상측방향을 향하도록 절단되어 있고, 이 상측방향을 향하는 면에 유입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210A)의 유출부(212)는 회전부재(210B)의 회전축선(B)상에 위치하고, 유입부(211)는 회전축선(B)보다도 지름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210A)의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보빈(124)과 회전부재(210A)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 경우에도, 유입부(211)에 편사(Y)를 쉽게 유입시킬 수 있다.
도7(b)에 나타내는 제3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210B)는, 축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하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210B)는, 상면에 있어서 상측방향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유입부(211)가 형성되고, 하면에 있어서 하측방향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유출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유출부(212)는 회전부재(210B)의 회전축선(B)상에 위치하고, 유입부(211)는 회전축선(B)보다도 지름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회전부재(210B)는, 유입부(211)와 유출부(212)를 연통하도록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7(c)에 나타내는 제4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210C)는, 대략 L자형상으로 꺾어서 구부린 판상(板狀)의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210C)는, 수평방향을 향하는 판면을 관통하도록 유입부(211)가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향하는 판면을 관통하도록 유출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유출부(212)는 회전부재(210C)의 회전축선(B)상에 위치하고, 유입부(211)는 회전축선(B)보다도 지름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판상의 부재에 구멍을 냄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회전부재(210C)를 형성할 수 있다.
도8(a)에 나타내는 제5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210D)는, 보빈(124)에 대하여 회전축선(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체(213)와, 회전체(213)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암(214)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213)는, 적당한 부재(예를 들면, 회전 지지부(220))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회전부재(210D)의 유입부(211)는, 상하방향으로 개구하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암(214)의 선단(先端)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210D)의 유출부(212)는, 상하방향으로 개구하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체(213)의 하방에 있어서 회전축선(B)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의 예에서는 유출부(212)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유출부(212)는 회전부재(210D)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5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210D)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회전량 검출부(230)(인코더)를 사용할 수 있다.
도8(b)에 나타내는 제6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210E)는, 유입부(211)의 구성이 제5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210D)와 다르게 되어 있다. 회전부재(210E)는, 유입부(211)가 편사(Y)를 걸 수 있는 훅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편사(Y)를 유입부(211)에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제6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해서도, 유출부(212)가 회전축선(B)상에 형성됨과 아울러, 유입부(211)가 회전축선(B)상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 회전부재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제6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당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버퍼장치(120)와 실길이 계측장치(200)를 별개의 것으로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버퍼장치(120)와 실길이 계측장치(200)를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실길이 계측장치(200)를 보빈(124)에 설치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실길이 계측장치(200)를 보빈(124)에 설치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8에 나타내는 제5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210D) 및 제6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부재(210E)의 유출부(212)를 유입부(211)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유출부(212)는, 적당한 부재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도 좋고,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부재(210)의 유출부(212)를 회전축선(B)상에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유출부(212)를 회전축선(B)상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하여도 좋다. 다만 편사(Y)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킨다는 관점에서, 유출부(212)를 회전축선(B)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편성기의 일례로서 횡편기(1)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의 다양한 편성기(예를 들면, 환편기(丸編機), 경편기(經編機)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각종 편성기의 급사경로(A)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사장치(10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급사장치(100)에 설치된 제어부(300)에 의하여 실길이의 계측을 실시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부(30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급사장치(100)와는 별도로 설치된 제어부(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등)로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길이의 계측을, 횡편기(1)의 외부에 배치된 PC나 제어부(60)에 의하여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버퍼장치에서 풀리는 편사의 실길이를 계측할 수 있는 실길이 계측장치 및 편사의 버퍼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 : 횡편기
100 : 급사장치
120 : 버퍼장치
200 : 실길이 계측장치

Claims (5)

  1. 소정의 부착부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선상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고, 급사방향 상류측에서 풀린 편사(編絲)를 상기 급사방향 하류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편사를 상기 급사방향 하류측의 급사경로로 유출시키는 유출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량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량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적(一體的)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선상까지의 최단거리가 20㎜보다도 짧아지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급사방향 하류측의 급사경로로 유출되는 편사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실길이 계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선상에 형성되는
    실길이 계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적으로 또한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실길이 계측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량 검출부는,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검출부의 회전에 수반되는 상기 피검출부의 표면의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회전량을 검출하는
    실길이 계측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의 실길이 계측장치와,
    편사가 감겨 저장되고, 상기 실길이 계측장치보다도 급사방향 상류측에 배치되는 보빈을
    구비하는 편사의 버퍼장치.
KR1020237040730A 2021-04-28 2022-03-29 실길이 계측장치 및 편사의 버퍼장치 KR20240004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75968 2021-04-28
JP2021075968 2021-04-28
PCT/JP2022/015484 WO2022230558A1 (ja) 2021-04-28 2022-03-29 糸長計測装置及び編糸のバッフ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637A true KR20240004637A (ko) 2024-01-11

Family

ID=8384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730A KR20240004637A (ko) 2021-04-28 2022-03-29 실길이 계측장치 및 편사의 버퍼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32036A1 (ko)
JP (1) JPWO2022230558A1 (ko)
KR (1) KR20240004637A (ko)
CN (1) CN117242027A (ko)
WO (1) WO20222305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4058B2 (ja) * 1977-12-08 1984-06-06 東レ株式会社 貯溜給糸装置
DE3238376C2 (de) * 1982-10-16 1984-08-09 Schubert & Salzer Maschinenfabrik Ag, 8070 Ingolstadt Fadenspeicher
JP2010047407A (ja) * 2008-08-25 2010-03-04 Murata Machinery Ltd 糸巻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自動ワインダ
ITMI20112046A1 (it) 2011-11-11 2013-05-12 Btsr Int Spa Dispositivo alimentatore di filo ad accumulo perfeziona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230558A1 (ko) 2022-11-03
EP4332036A1 (en) 2024-03-06
WO2022230558A1 (ja) 2022-11-03
CN117242027A (zh)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34132T3 (es) Dispositivo de alimentación con almacenamiento de hilo mejorado
TWI486496B (zh) 具有給紗至編織針的裝置之用於襪類之針織機
EP1087048A3 (en) Automatic fabric density adjusting device and yarn feeding control mechanism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3405542A (en) Cam apparatus for independent needle knitting machines
BRPI0621827A2 (pt) distribuidor de fios com sensor de fio moderno
JPS6036628Y2 (ja) 編物機械の正送り装置
KR20240004637A (ko) 실길이 계측장치 및 편사의 버퍼장치
EA038412B1 (ru) Устройство нитеподачи для вязальных машин для трикотажа
GB1571667A (en) Yarn supply device especially for knitting machines
CN100410436C (zh) 用于提供纱线量的装置
US4690083A (en) Automatic upper thread tension control for a sewing machine
EP3567148B1 (en) Tension measuring device for knitting machine and tension measuring method
US6945490B1 (en) Traveling yarn tension compensating system
KR20160119658A (ko)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JPS62282050A (ja) 編機用糸張力調整装置
US5144817A (en) Yarn feed assembly
KR102621331B1 (ko) 재봉틀용 실 장력조절 장치
KR100902097B1 (ko) 원사공급기의 장력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10094056B2 (en) Automatic thread tensioning
CN108946327A (zh) 用于纺织设备的断纱传感器
US4178779A (en) Stitch cam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JPS5844775B2 (ja) 整経機
CN104891272A (zh) 纺织机的具有上蜡装置的工作站
JP2022104202A (ja) 編機への糸供給装置
US1138717A (en) Yarn-take-up mechanism for knitting-mach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