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579A -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579A
KR20240004579A KR1020237040127A KR20237040127A KR20240004579A KR 20240004579 A KR20240004579 A KR 20240004579A KR 1020237040127 A KR1020237040127 A KR 1020237040127A KR 20237040127 A KR20237040127 A KR 20237040127A KR 20240004579 A KR20240004579 A KR 20240004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body
lid
pouch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율레 루치아 펜라트
Original Assignee
율레 루치아 펜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레 루치아 펜라트 filed Critical 율레 루치아 펜라트
Publication of KR20240004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57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6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a flexible bag being expelled by the contracting forces inherent in the bag or a sleeve fitting snugly around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05Dispensers provided with a replaceable cartridge, recharge or pouch located within the dispen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점성 물질, 특히 액체용 컨테이너는 통상적으로 토출이 예를 들어 컨테이너 위에 제공되는 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접힘 또는 펌핑 작용에 의해 실시되도록 작동된다. 종래의 컨테이너의 완전한 비움은 대부분의 경우 달성될 수 없다. 일부 잔류물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더 높은 점도를 갖는 물질의 경우, 컨테이너로부터 잔류물을 회수하는 것이 여전히 문제가 된다. 게다가, 유체의 유통기한은 컨테이너가 비워짐에 따라 컨테이너에 유입되는 주변 공기에 의해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력과 무관하게 컨테이너의 거의 완전한 토출을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아울러, 점성 유체는 유통기한이 연장되도록 진공 보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점성의 유체용 컨테이너로, 압축성, 바람직하게는 탄성의 외부 몸체(1), 및 컨테이너 밖으로 개방되며 유체를 포함하는 내부 몸체(2)를 구비한 컨테이너로서, 포획 공기가 외부 몸체(1)와 내부 몸체(2) 사이에 갇혀있고, 내부 몸체(2)는 외부 몸체(1) 안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 압축력이 외부 몸체(1) 상에 가해질 때, 포획 공기는 내부 몸체(2) 상에 힘을 전달하여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변위 및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첫 번째 부분에 따른 제품에 관한 것이다.
포장에서, 컨테이너는 선적을 비롯한 보관, 포장, 및 운송에 사용되는 제품을 유지하기 위한 임의의 리셉터클 또는 인클로저를 의미한다(NPL1 참조).
PTL1은, 점성 유체용 컨테이너로서, 압축성 외부 몸체, 및 컨테이너 밖으로 개방되며 유체를 포함하는 내부 몸체를 구비한 컨테이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술된다.
점성 물질, 특히 액체용 컨테이너에서, 토출은 예를 들어 컨테이너 위에 제공되는 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접힘 또는 펌핑 작용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종래의 컨테이너의 완전한 비움은 대부분의 경우 달성될 수 없다. 일부 잔류물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더 높은 점도를 갖는 물질의 경우, 컨테이너로부터 잔류물을 회수하는 것이 여전히 문제가 된다. 게다가, 유체의 유통기한은 컨테이너가 비워짐에 따라 컨테이너에 유입되는 주변 공기에 의해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력과 무관하게 컨테이너의 거의 완전한 토출을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아울러, 점성 유체는 유통기한이 연장되도록 진공 보존되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두 번째 부분에 따라 해결된다. 구체적으로, 유체는 밀폐형 컨테이너 상의 수동 압력에 의해 분배된다. 두 포장 몸체 사이의 공간에 유지되는 공기가 내부 몸체 안의 유체에 힘을 전달한다. 이러한 펌핑 작용에 의해 유도되는 과압은 내부 몸체의 개구로부터 유체를 내보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컨테이너는 완전히 비워질 수 있다. 포장 내의 공기 압력이 유체를 출구쪽으로 강제하기 때문에, 내용물은 심지어 장치에 작용하는 중력에 반하여 추출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는 개구가 위를 향하는 상태로 제자리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고 여전히 완전히 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컨테이너에 비해 자원의 소비를 최소화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의 요건을 추가로 충족시킨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의 외부 몸체는 재사용가능하고, 그에 따라 품질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내부 몸체는 봉지, 파우치, 또는 주머니의 형상으로 단지 얇은 직물로 제조될 수 있되, 정교한 체결구가 토출구에 장착되고 밸브는 사용되지 않는다.
외부 및 내부 몸체 사이에 갇혀있는 포획 공기(captive air)로 인해, 제안된 컨테이너는 진공 플라스크의 작동 원리와 유사하게 개선된 단열을 나타낸다.
용이하고 안전한 조작을 위해, 개선된 실시예에는, 포획 공기를 수용하는 공동 너머에 배치되는 교체용 파우치가 장착될 수 있다. 파우치의 밀봉이 컨테이너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 대해 요구되지 않으므로, 컨테이너의 보충은 사실상 아주 간단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 인근의 유체의 막힘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1은 외부 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내부 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컨테이너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컨테이너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노즐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뚜껑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파우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개방 상태에서의 제2 컨테이너의 종단면도이다.
도 1은 칼라(18)가 상단부에 형성된 탄성 외부 몸체(1)를 도시한다. 외부 몸체(1)는 후방 힌지 또는 유사한 장치에 의해 축(x, y)을 따라 개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부 몸체(1)는 어느 한 축(x, y)을 따라 분할되고, 나사결합, 클릭 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재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칼라(18) 내로 긴밀하게 결합되는 나사산 토출구(17)가 상단부에 형성된 내부 몸체(2)를 도시한다.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내부 몸체(2)에는, 이를 외부 몸체(1) 안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또는 탭형 돌출부가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예상된 연동 구성으로 외부 몸체(1) 및 내부 몸체(2)를 도시하되, 내부 몸체(2)는 칼라(18) 및 토출구(17)를 통해 컨테이너 밖으로 개방된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동(7)이 내부 몸체(2) 주위에 형성되며, 외부 몸체(1)와 내부 몸체(2) 사이에 갇혀있는 포획 공기를 수용한다. 압축력이 외부 몸체(1) 상에 가해질 때, 외부 몸체(1)는 포획 공기를 변위시킨다.
이용가능한 실시예에서, 내부 몸체(2)는 변형가능하다. 둘러싼 외부 몸체(1)는 변위된 공기가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공기는 그에 따라 내부 몸체(2)를 압축시키고, 내부 몸체(2)는 유체로 충진되어 있을 때, 토출구(17)를 통해 대응하는 부피의 상기 유체를 토출한다. 유체가 점차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내부 몸체(2)는 그 자체로 수축된다.
체크 밸브(9)가 칼라(18; 도 1)의 반대편에서 외부 몸체(1)에 끼워진다. 그에 따라, 힘이 약화되고 외부 몸체(1)가 감압될 때, 외부 몸체(1)가 완전히 복원될 때까지 추가된 부피의 공동(7)이 체크 밸브(9)를 통해 흡입되는 주변 공기로 충진되는 반면, 내부 몸체(2)는 수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압축이 반복됨에 따라, 본 실시예의 가요성 내부 몸체(2)는 서서히 부피가 감소하고 필요시 내용물을 방출하되, 외부 몸체(1) 상에 구비된 체크 밸브(9)는 계속 증가하는 부피의 공동에 공기를 공급할 것이다. 고갈시, 내부 몸체(2)는 컨테이너로부터 편리하게 제거 및 교체될 수 있는 반면, 외부 몸체(1)는 무한 재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탈착식 뚜껑(4)을 통해 컨테이너 밖으로 개방되고 일체형 파우치(3)와 정렬되는 강성 내부 몸체(2)를 구비한 개선된 실시예를 도시한다(이하 참조). 상기 일체형 파우치(3)와 뚜껑(4) 사이의 내부 몸체(2) 안에는, 실제 유체를 담는 예를 들어 직물 또는 플라스틱의 추가적인 교체용 파우치(6)가 형상-끼워맞춤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내부 몸체(2) 상에 전달되는 힘은 일체형 파우치(3)를 통해 교체용 파우치(6) 상에 간접적으로 작용한다. 이를 위해, 체크 밸브(8)가 뚜껑(4)의 반대편에서 내부 몸체(2)에 끼워진다. 압축될 때, 외부 몸체(1)는 내부 몸체(2)의 강성으로 인해 공동(7)을 감소시키고, 밸브(8)를 통해 내부 몸체(2) 내로 포획 공기를 배출한다. 이는 뚜껑(4)의 반대편에서 내부 몸체(2)에 형성되는 제2 공동(16) 내로 개방되고, 그에 따라 포획 공기는 그 안으로 강제된다. 이러한 유체 연통이 진행되고 유입된 포획 공기가 제2 공동(16) 내에 축적됨에 따라, 일체형 파우치(3)가 뚜껑(4)쪽으로 점차적으로 외전된다(evert). 그 과정에서, 일체형 파우치(3)는 교체용 파우치(6)를 변위 및 압축시켜서, 이에 형성된 마우스(12)를 경유하여, 뚜껑(4) 상에 장착되는 노즐(5)을 통해 유체를 압출한다.
힘이 약화되고 외부 몸체(1)가 감압되자마자, 감소된 공동 내의 압력이 하강한다. 그에 따라 생긴 부압(underpressure)을 균등화하고 외부 몸체(1)가 원래 형상 및 부피로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2 체크 밸브(9)가 뚜껑(4)의 반대편에서 내부 몸체(2)에 끼워진다. 이러한 제2 체크 밸브(9)를 통해, 제1 공동(7)이 완전히 복원될 때까지 배출된 포획 공기는 주변 공기로 교체된다. 이를 통해, 유체가 고갈될 때까지 압착 작용이 자유롭게 반복될 수 있고, 여기서 교체용 파우치(6)는 결국에는 뚜껑(4) 및 노즐(5)에 안착된다.
제1 공동(7)을 밀봉하기 위해, 개스킷(11)이 뚜껑(4)과 통합되고, 내부 몸체(2) 및 외부 몸체(1) 주위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밀봉 에지들(13, 15)에 형상-끼워맞춤된다. 마찬가지로, 포획 공기가 파우치들(3, 6)을 우회하여 노즐(5)을 통해 제2 공동(16)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체형 파우치(3) 주위의 내기성 리테이너(20)가 뚜껑(4)과 제1 체크 밸브(8) 사이의 중간에서 내부 몸체(2)에 원주상으로 부착된다.
컨테이너의 보충을 위해, 뚜껑(4)이 제거될 수 있고, 빈 교체용 파우치(6)가 폐기될 수 있다. 컨테이너가 개방되자마자, 포획 공기는 제2 공동(16)으로부터 내부 몸체(2)를 따라 밀봉 에지(13)로 연장되는 통기공(14)을 통해 빠져나가서, 일체형 파우치(3)가 이전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내부 몸체(2)의 구성이 복원된 상태에서, 호환가능한 교체용 파우치가 일체형 파우치(3) 위로 삽입되고, 일체형 부재(19)에 의해 칼라(18)에 걸리게 된 후, 뚜껑(4)이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체결 부재(10)가 노즐(5)과 통합되고 뚜껑(4), 토출구(17), 및 칼라(18)에 형상-끼워맞춤되어, 컨테이너가 작동을 위해 다시 준비가 될 때 노즐(5)을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열은 내부 몸체(2)가 완전히 비워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목적으로, 리테이너(20) 대신에 또는 이에 더하여, 일체형 파우치(3) 및 몸체(2)는 상보적인 체결 요소, 레일, 트랙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수평 또는 수직 직선 또는 평면에 배치될 수 있고, 형태 및 기능과 관련하여 몸체(2)에 대한 배치, 설계, 및 개수가 조정된다.
산업적 적용가능성
본 발명은 특히 포장 산업 전반에 걸쳐 적용가능하다.
1 외부 몸체
2 내부 몸체
3 일체형 파우치
4 뚜껑
5 노즐
6 교체용 파우치
7 제1 공동
8 제1 체크 밸브
9 제2 체크 밸브
10 제1 체결 부재
11 밀봉 개스킷
12 마우스
13 제1 밀봉 에지
14 통기공
15 제2 밀봉 에지
16 제2 공동
17 토출구
18 칼라
19 제2 체결 부재
20 리테이너
인용 목록
후술하는 문헌들은 상기에 인용된다.
특허 문헌
PTL 1: US 677851 A (BOOTH THOMAS C [US]) 09.07.1901
비특허 문헌
NPL 1: SOROKA, Walter. Illustrated Glossary of Packaging Terminology. Lancaster, PA, USA: DEStech Publications, Inc., 2008. ISBN 1930268270. p.51.

Claims (15)

  1. 바람직하게는 점성의 유체용 컨테이너로,
    압축성, 바람직하게는 탄성의 외부 몸체(1), 및
    상기 컨테이너 밖으로 개방되며 상기 유체를 포함하는 내부 몸체(2)를 구비한 컨테이너로서,
    포획 공기가 상기 외부 몸체(1)와 상기 내부 몸체(2) 사이에 갇혀있고,
    상기 내부 몸체(2)는 상기 외부 몸체(1) 안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 압축력이 상기 외부 몸체(1) 상에 가해질 때, 상기 포획 공기는 상기 내부 몸체(2) 상에 힘을 전달하여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상기 유체를 변위 및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직물의 일체형 파우치(3)가 상기 내부 몸체(2)와 정렬되고, 그에 따라 상기 힘 하에서 상기 포획 공기는 상기 내부 몸체(2)에 유입되며 상기 일체형 파우치(3)를 점차적으로 외전하여 상기 유체를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탈착식 뚜껑(4)이 상기 외부 몸체(1)와 상기 내부 몸체(2) 모두에 형상-끼워맞춤되고,
    상기 내부 몸체(2)는 상기 뚜껑(4)을 통해 개방되고,
    상기 힘 하에서 상기 일체형 파우치(3)는 상기 뚜껑(4)쪽으로 외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 제3항에 있어서, 노즐(5)이 상기 뚜껑(4) 상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 몸체(2)는 상기 노즐(5) 내로 개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일체형 파우치(3)가 외전될 때, 상기 유체는 상기 노즐(5)을 통해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 제4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직물 또는 플라스틱의 교체용 파우치(6)가 상기 일체형 파우치(3)와 상기 뚜껑(4) 사이의 상기 내부 몸체(2) 안에 형상-끼워맞춤되며 상기 유체를 포함하고,
    마우스(12)가 상기 교체용 파우치(6)에 형성되고 상기 뚜껑(4)으로부터 상기 노즐(5) 내로 돌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유체가 상기 마우스(12)를 경유하여 압출될 때, 상기 일체형 파우치(3)는 상기 교체용 파우치(6)가 상기 뚜껑(4) 및 상기 노즐(5)에 안착될 때까지 상기 교체용 파우치(6)를 서서히 변위 및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 제5항에 있어서, 제1 공동(7)이 상기 내부 몸체(2)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포획 공기를 수용하고,
    상기 내부 몸체(2)는 강성이며 상기 제1 공동(7)과 유체 연통하고, 그에 따라 상기 힘 하에서 상기 외부 몸체(1)는 상기 제1 공동(7)을 감소시키고 상기 내부 몸체(2) 내로 상기 포획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스프링-하중식의 제1 체크 밸브(8)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4)의 반대편에서 상기 내부 몸체(2)에 끼워지고, 그에 따라 상기 연통은 상기 제1 공동(7)으로부터 상기 내부 몸체(2)로 단방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스프링-하중식의 제2 체크 밸브(9)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4)의 반대편에서 상기 외부 몸체(1)에 끼워지고, 그에 따라 상기 힘이 약화되고 상기 외부 몸체(1)가 감압될 때, 상기 배출된 포획 공기는 상기 제2 체크 밸브(9)를 통해 주변 공기로 교체되고 상기 제1 공동(7)은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체결 부재(10)가 상기 노즐(5)과 통합되고 상기 뚜껑(4)에 형상-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0. 제9항에 있어서, 밀봉 개스킷(11)이 상기 뚜껑(4)과 통합되고,
    제1 밀봉 에지(13)가 상기 내부 몸체(2) 주위에 형성되고,
    제2 밀봉 에지(15)가 상기 외부 몸체(1) 주위에 형성되되,
    상기 개스킷(11)은 상기 밀봉 에지들(13, 15)에 형상-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공동(16)이 상기 뚜껑(4)의 반대편에서 상기 내부 몸체(2)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크 밸브(8)는 상기 제2 공동(16) 내로 개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힘 하에서 상기 포획 공기는 상기 제2 공동(16) 내로 강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통기공(14)이 상기 제1 밀봉 에지(13)로부터 상기 내부 몸체(2)를 따라 상기 제2 공동(16)으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 상기 뚜껑(4)이 제거되고, 예를 들어 상기 유체의 고갈시 상기 교체용 파우치(6)를 교체함으로써 상기 일체형 파우치(3)가 복귀될 때, 상기 포획 공기는 상기 제2 공동(16)으로부터 상기 통기공(14)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출구(17)가 상기 내부 몸체(2) 또는 상기 교체용 파우치(6)에 형성되고,
    칼라(18)가 상기 뚜껑(4)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체결 부재(10)는 상기 토출구(17) 및 상기 칼라(18)에 형상-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체결 부재(19)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우스(12) 주위에서 상기 교체용 파우치(6)와 통합되고 상기 칼라(18)에 형상-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기성 리테이너(20)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형 파우치(3) 주위에서 상기 뚜껑(4)과 상기 제1 체크 밸브(8) 사이의 중간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몸체(2)에 원주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KR1020237040127A 2021-04-30 2022-04-16 컨테이너 KR202400045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71712.9A EP4082936B1 (en) 2021-04-30 2021-04-30 Container for a preferably viscous fluid
EP21171712.9 2021-04-30
PCT/EP2022/060198 WO2022228926A1 (en) 2021-04-30 2022-04-16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579A true KR20240004579A (ko) 2024-01-11

Family

ID=75786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127A KR20240004579A (ko) 2021-04-30 2022-04-16 컨테이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2) EP4082936B1 (ko)
JP (1) JP2024516428A (ko)
KR (1) KR20240004579A (ko)
CN (1) CN117597293A (ko)
BR (1) BR112023022491A2 (ko)
CA (1) CA3217122A1 (ko)
WO (1) WO20222289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851A (en) 1900-09-28 1901-07-09 Thomas C Booth Brush for paste-tubes.
FR2844773B1 (fr) * 2002-09-24 2005-01-28 Jerome Boumnso Dispositif formant un conditionnement de produits visqueux a vidage integral par pompage manuel
US20060065132A1 (en) * 2004-09-27 2006-03-30 Conopco, Inc., D/B/A Unilever Foodsolutions Combined food product and package
US20100230438A1 (en) * 2009-03-16 2010-09-16 Sardo Jr Vincent Dispensing bottle
GB2536886A (en) * 2015-03-27 2016-10-05 Allen Chipawe Tinashe An Airless, Fluid dispensing assembly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82936A1 (en) 2022-11-02
EP4330158A1 (en) 2024-03-06
CN117597293A (zh) 2024-02-23
EP4082936B1 (en) 2023-10-18
EP4082936C0 (en) 2023-10-18
BR112023022491A2 (pt) 2024-01-16
WO2022228926A1 (en) 2022-11-03
JP2024516428A (ja) 2024-04-15
CA3217122A1 (en)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250B1 (ko) 가요성 컨테이너에 수용된 점성 물질을 배출하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키트
EA013030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теснения продукта из сохраняющей форму емкости
US6375047B1 (en) Container for storing pasty or fluidic compositions and appointed dispensing of the same
US10968032B2 (en) Refill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product
EP1714706A2 (de) Dosierpumpen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efüllten Dosierpumpenanordnung
KR20210018821A (ko) 외부적으로 깨끗한 엔드가 있는 주입 마우스피스를 갖는, 제품을 포장 및 분배하기 위한 장치
KR20070117545A (ko) 점성 제품을 유지하는 가요성 용기를 조절하는 방법
CN114206748A (zh) 用于封闭液体乃至糊状产品的容器的装置以及由这种装置封闭的再填充物
JP5461567B2 (ja) 流動性材料を貯蔵及び分配する容器
CN113226566B (zh) 分配液体与添加剂的混合物的系统和方法及其中使用的筒
CN115593672A (zh) 流体物质的再填充设备
US5203383A (en) System for using aerosols and aerosol packages
KR20240004579A (ko) 컨테이너
AU2016292713B2 (en) Sealed reusable bulk material container
CZ128397A3 (en) Reusable dispensing apparatus for viscous material
US20190232291A1 (en) Reagent Pack With Integrated Waste Reservoir
CN115593757A (zh) 用于容纳和分配流体物质的设备及其组装方法
EP3849709B1 (en) A dispenser
GB2564851A (en) A reusable, recyclable dispensing package for flowable materials
HUT73298A (en) Refillable package
US12006128B2 (en) Device for closing a container of a liquid to pasty product and refill closed by such a device
US11958066B2 (en) Sustainable packaging assemblies
DE202005021560U1 (de) Dosierpumpenanordnung
JP4904080B2 (ja) コンテナ内装容器
JP2020063070A (ja) チューブ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