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488A - 물질의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물질의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488A
KR20240004488A KR1020237038582A KR20237038582A KR20240004488A KR 20240004488 A KR20240004488 A KR 20240004488A KR 1020237038582 A KR1020237038582 A KR 1020237038582A KR 20237038582 A KR20237038582 A KR 20237038582A KR 20240004488 A KR20240004488 A KR 20240004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ance
mixture
extract
substances
raff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8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디언 기셀만
로베르토 프론조니
엘리아 라모스-테르세로
데닛사 쇼포바-고스포디노바
Original Assignee
케이디 파마 벡스바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LU500093A external-priority patent/LU500093B1/d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디 파마 벡스바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케이디 파마 벡스바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40004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48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26Conditioning of the fluid carrier; Flow patterns
    • G01N30/38Flow patterns
    • G01N30/44Flow patterns using recycling of the fraction to be distribu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1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 B01D15/1814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recycling of the fraction to be distributed
    • B01D15/1821Simulated moving beds
    • B01D15/1828Simulated moving beds characterized by process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1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 B01D15/1814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recycling of the fraction to be distributed
    • B01D15/1821Simulated mov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1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 B01D15/1814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recycling of the fraction to be distributed
    • B01D15/1821Simulated moving beds
    • B01D15/185Simulated moving beds characterized by the components to be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1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 B01D15/1864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using two or more colum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물질의 혼합물에서 첫번째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첫번째 물질보다 크로마토그래피내 머무름시간이 더 큰 두번째 물질과, 첫번째 물질보다 크로마토그래피내 머무름시간이 작은 세번째 물질이 상기 물질의 혼합물에 들어있고; 이런 혼합물이 크로마토그래피를 위한 장치(1)에 공급되며, 상기 크로마토그래피에는 다수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2,3,4,5)이 연결되어있고, 상기 혼합물와 용리액이 상기 장치(1)에 공급되며, 상기 두번째 물질은 추출물로 그리고 첫번째 물질은 라피네이트로 제거되며, 상기 세번째 물질이 추출물로 취해진다.

Description

물질의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본 발명은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물질의 혼합물로부터 첫번째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물질 혼합물은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첫번째 물질보다 머무름시간이 더 두번째 물질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첫번째 물질보다 머무름시간이 더 작은 세번째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물은 다수의 상호연결된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을 포함하는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 공급되며, 상기 혼합물과 용리액이 이 장치에 공급되고, 상기 두번째 물질은 추출물로서 첫번째 물질은 라피네이트로서 제거된다.
이런 타입의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서는, 분리할 물질들의 혼합물이 예를 들어 다공성 물질로 된 패킹을 갖는 고정상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통과한다. 혼합물내 여러 물질들은 고정상을 통과할 때 머무름시간이 서로 다른바, 고정상에서의 각각 다른 다른 강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각각 다른 속도로 고정상을 통과하고, 이때문에 분리가 가능하다. 분리가 항상 단일 단계로 이루어지는 소위 배치 공정으로 크로마토그래피를 할 수도 있지만, 다수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이 서로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를 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산업적 규모로 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TMB(True Moving Bed Chromatography)와 SMB(Simulated Moving Bed Chromatography)가 있다.
SMB 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다수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이 직렬로 연결된다. 물질들의 혼합물과 용리액은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 사이의 각각 다른 연결부로 들어간다. 라피네이트와 추출물은 서로 다른 연결부에서 취해지고, 크로마토그래피내 머무름이 작은 물질은 라피네이트로, 크로마토그래피내 머무름이 큰 물질은 추출물로 간주된다. 결과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가 어떻게 처리되는지에 따라, 물질들의 혼합물은 공지의 크로마토그래피 공정을 사용해 2가지 다른 물질 혼합물로 분리될 수 있고, 첫번째 혼합물은 머무름이 작은 물질들을 함유하며 두번째 혼합물은 머무름이 큰 물질들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물질의 분리를 더욱 유연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런 목적은 세번째 물질이 추출물로서 제거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분리할 물질보다 크로마토그래피 동안 머무름이 더 크거나 작은 다른 물질들이 혼합물에 있어도 이 혼합물에서 물질을 분리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전에는 비교가능한 결과를 얻기 위해 다수의 크로마토그래피들을 차례로 해야 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1회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분리할 물질을 분리할 수 있어, 분리과정에 필요한 노력이 크게 줄어든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이 아래 구역들을 형성한다:
a) 용리액 공급기와 추출물 배출기 사이의 I 구역,
b) 추출물 배출기와 물질 혼합물을 공급기 사이의 II 구역,
c) 물질 혼합물 공급기와 라피네이트 배출기 사이의 III 구역,
d) 라피네이트 배출기와 용리액 공급기 사이의 IV 구역.
라피네이트 배출기와 용리액 공급기 사이의 구역에 세번째 물질을 추출물로서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큰 유량이 있도록 전술한 장치들을 통해 유입 및/또는 유출을 포함한 재료의 유량을 조절한다.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이렇게 설정하면, 세번째 물질이 I 구역으로 밀려가고, 이 구역에서 추출물이 취해지는데, 이는 기존의 크로마토그래피 공정과는 다르다. 세번째 물질이 첫번째 물질에 비해 낮은 머무름 때문에 기존의 크로마토그래피 공정에서는 라피네이트로서 취해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세번째 물질이 추출물로서 취해진다.
추출물로서 두번째 물질과 함께 세번째 물질을 취하는 것이 특히 유리함이 입증되었다.
일례로, 용리액 공급기, 추출물 배출기, 혼합물 공급기 및 라피네이트 배출기가 여러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공급라인이나 유도 연결부들을 갖는다. 이런 공급배출 연결부들에 밸브가 있고, 이런 밸브를 통해 유량, 특히 혼하물, 용리액, 추출물 및/또는 라피네이트의 유입 및/또는 유출이 조절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에 구역들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각각의 물질 유량이 조절된다. 이런 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 공정을 TMB나 SMB 공정으로 실행할 수 있게된다.
라피네이트내의 첫번째 물질의 함량이 물질의 혼합물내 첫번째 물질의 함량보다 크고, 추출물내 첫번째 및/또는 세번째 물질의 함량이 물질의 혼합물내의 두번째나 세번째 물질의 함량보다 클 수 있다. 라피네이트내 첫번째 물질의 함량이 현저히 최대화되고, 특히 추출물내 두번째 및/또는 세번째 물질의 함량이 최대로 된다.
편리하게도, 추출물내 첫번째 물질의 함량이 혼합물내 첫번째 물질의 함량보다 작고, 바람직하게 라피네이트내 두번째 및/또는 세번째 물질의 함량이 혼합물내 두번째 및/또는 세번째 물질의 함량보다 작다.
바람직하게, 추출물내 첫번째 물질의 함량이 라피네이트내 첫번째 물질의 함량보다 작고, 라피네이트내 두번째 및/또는 세번째 물질의 함량이 추출물내 두번째나 세번째 물질의 함량보다 작다.
또, 라피네이트나 추출물내의 전술한 함량비들의 적어도 하나가 이루어지도록 각 물질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런 세팅은 규제 및/또는 조절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는 라피네이트 및/또는 추출물의 물성,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및/또는 용리액의 물성을 판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특히 라피네이트, 추출물, 혼합물 및/또는 용리액의 성분의 함량이 결정된다.
센서에 의한 물성의 판단 결과에 따라 장치내의 혼합물, 용리액, 라피네이트 및/또는 추출물의 유량을 조절한다.
일례로, 라피네이트내 첫번째 물질의 함량이 최소로 되고 라피네이트내 두번째 및/또는 세번째 물질의 함량이 최소로 되도록 조절 및/또는 규제한다.
일례로, 혼합물은 지방산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특히 다중불포화 지방산의 혼합물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지방산 혼합물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한다.
지방산 혼합물로부터 분리될 첫번째 물질은 다중불포화 지방산, 바람직하게는 오메가-3 지방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및/또는 도코사헥사엔산(DHA)이다. EPA가 혼합물에서 분리된 첫번째 물질인 경우 DHA 및/또는 아라키돈산(ARA)은 크로마토그래피내 머무름이 더 클 수 있는 두번째 물질을 형성할 수 있다. 크로마토그래피에서 EPA보다 머무름이 더 크고 추출물로 사용되는 세번째 물질은 스테아리돈산(SDA)일 수 있다. 오메가-3 지방산, 특히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및/또는 도코사헥사엔산(DHA)을 제거하는 목적은 오메가-3 지방산을 특히 고농도로 함유하는 제품을 생산하는데 있다.
또, 이 방법은 혼합물에서 특정 물질의 함량을 낮출 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라키돈산 함량을 줄이기 위해 첫번째 물질인 아라키돈산을 제거하여 오메가-3 지방산으로부터의 라피네이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목표 제품이 추출물로 취해진다.
또, 물질의 혼합물이 카르복실산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칸나비노이드를 함유하는 혼합물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첫번째 물질은 유용한 칸나비디올(CBD)이다. 또는,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HC), 특히 A9-THC 및/또는 A8-THC가 첫번째 물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카르복실산 혼합물, 특히 칸나비노이드에서 THC를 제거해야만 할 경우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CBD가 첫번째 물질로 카르복실산에서 분리되면 칸나비디바린(CBDV), 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THCV) 및/또는 칸나비디바린산(CBDVA)이 두번째 물질에 형성될 수 있다. 세번째 물질은 칸나비게롤(CBG), 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산(THCBA), D9 및/또는 A8 THC 및/또는 칸나비게롤산(CBGA)일 수 있다.
또, 물질의 혼합물이 18-HEPE, 17-HDHA 및/또는 14-HDHA을 포함한 PRM(pre-resolving mediators)의 혼합물, 및/또는 리폭신, 레졸빈, 프로텍틴 및/또는 마레신을 포함한 SPM(specialized pre-resolving mediators)의 혼합물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첫번째 물질은 에이코사펜파엔산(EPA) 및/또는 도코사헥사엔산(DHA) 및/또는 도코사펜파엔산(DPA)을 포함한 다중불포화 지방산의 대사산물이거나 대사산물과 같은 화학조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이 EPA, DHA 및/또는 DPA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PRM 및/또는 SPM이 물질의 혼합물이거나 그로부터 유도되도록 본 발명의 방법이 실행될 수도 있다.
PRM은 물질 18-HEPE, 17-HDHA, 14-HDHA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다.
SPM는 리폭신, 레졸빈, 프로텍틴, 마레신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다.
리폭신은 LxA4(5S,6R,15S-트리하이드록시-7E,9E,11Z,13E-ETE), LxB4(5S,14R,15S-트리하이드록시-6E,8Z,10E,12E-ETE), 15-에피-LxA4(5S,6R,15R-트리하이드록시-7E,9E,11Z,13E-에이코사테트라엔산), 15-에피-LxB4(5S,14R,15R-트리하이드록시-6E,8Z,1OE,12E-에이코사트리엔산)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다.
레졸빈은 EPA, DHA 및/또는 DPA에서 유도된다.
레졸빈은 바람직하게 아래와 같다:
- RvE1(5S,12R,18R-트리하이드록시-6Z,8E,10E,14Z,16E-EPA), 18S-RvE1(5S,12R,18S-트리하이드록시-6Z,8E,10E,14Z,16E-EPA), RvE2(5S,18R-디하이드록시-6E,8Z,11Z,14Z,16E-EPA), RvE3(17R,18R/S-디하이드록시-5Z,8Z,11Z,13E,15E- EP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 RvD1(7S,8R,17S-트리하이드록시-4Z,9E,11E, 13Z, 15E,19Z-DHA), RvD2(7S, 16R,17S-트리하이드록시-4Z,8E,10Z,12E,14E,19Z-DHA), RvD3(4S,11R,17S-트리하이드록시-5Z,7E,9E,13Z,15E,19Z-DHA), RvD4(4S,5R,17S-트리하이드록시-6E,8E,10Z,13Z,15E,19Z-DHA), RvD5(7S,17S-디하이드록시-4Z,8E,10Z,13Z,15E,19Z-DHA), RvD6(4S,17S-디하이드록시-5E,7Z,10Z,13Z,15E,19Z-DH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및/또는
- RvT1(7,13R,20-트리하이드록시-8E,10Z,14E,16Z,18E-DPA), RvT2(7,8,13R-트리하이드록시-9E,11E,14E,16Z,19Z-DPA), RvT3(7,12,13R-트리하이드록시-8Z,1OE,14E,16119Z-DPA), RvT4(7,13R-디하이드록시-8E,10Z,14E,16119Z-DP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프로텍틴은 DHA 및/또는 DPA에서 유도된다.
프로텍틴은 바람직하게 아래와 같다:
- PD1 또는 NPD1(10R,17S-디하이드록시-4Z,7Z,11E,13E,15Z,19Z-DHA), PDX(1OS,17S-디하이드록시-4Z,7Z,11E,13Z,15E,19Z-DHA), 22-하이드록시-PD1(10R,17S,22-트리하이드록시-4Z,7Z,11E,13E,15Z,19Z-DHA), 17-epi-PD1 또는 . AT-PD1(10R,17R-디하이드록시-4Z,7Z,11E,13E,15Z,19Z-DHA), 10-epi-PD1 또는 ent-AT-NPD1(1OS,17S-디하이드록시-4Z,7Z,11E,13E,15Z,19Z-DH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및/또는
- PD1 n-3(10,17-디하이드록시-7,11,13,15,19-DPA), PD2n-3(16,17-디하이드록시-7, 10,12,14,19-DP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마레신은 DHA 및/또는 DPA로부터 유도된다.
Maresin은 아래 물질과 같다:
- MaR1(7R,14S-디하이드록시-4Z,8E,10E,12Z,16Z,19Z-DHA), MaR2(13R,14S-디하이드록시-4Z,7Z,9E,11E,16Z,19Z-DHA), 7-에피-MaR1(7S,14S-디하이드록시-4Z,8E,10Z,12E,16Z,19Z-DHA), MaR-Ll(14S,22-디하이드록시-4Z,7Z,10Z,12E,161,19Z-DHA), MaR-L2(14R,22-디하이드록시-4Z,7Z,10Z,12E,161,19Z-DHA)로 된 군에서 선택된 물질; 및/또는
- MaR1n-3(7S,14S-디하이드록시-8E,10E,12Z,16Z,19Z-DPA), MaR2n-3(13,14-디하이드록시-7,9,l11,16,19-DPA), MaR3n-3(13,14-디하이드록시-7,9,111,16,19-DPA)로 된 군에서 선택된 물질.
본 발명은 또한 이런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상기 크로마포그래피 컬럼, 공급기 및/또는 배출기에 더해, 본 발명의 장치는 라피네이트 및/또는 추출물의 물성, 특히 성분의 함량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검출기에 의해, 물성, 특히 광흡수, 형광, 광산란 및/또는 열전도성, 및/또는 화학적 특성, 예를 들어 색상 등이 결정되고 이에 의해 물질 함량이 결정된다.
이 장치는 물질 혼합물, 용리액, 라피네이트 및/또는 추출물의 유입 및/또는 유출을 포함한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 이 장치는 감지기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유입 및/또는 유출 장치를 통해 유입 및/또는 유출을 포함한 유량을 규제 및/또는 조절하는 장치를 갖는다.
이런 규제 및/또는 조절하는 장치는 전술한 비율들 중 적어도 하나가 라피네이트나 추출물에서 구해지도록 각각의 물질 유량을 조절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디지털 컴퓨터의 내부 메모리에 직접 로드될 수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들이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작용할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전술한 규제 및/또는 조절 장치를 구성하거나 그 일부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인터페이스로 인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검출기를 사용하여 결정 결과를 처리하고 공급 및/또는 배출 장치를 세팅한다.
전술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개별, 여러 또는 전체 프로세스 단계를 수행한다.
이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휘발성이나 비휘발성 데이터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바람직하게는 RAM, ROM, DRAM, SRAM, EPROM, EEPROM 등, 특히 개인용 컴퓨터, 프로세서가 내장된 제품,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 특히 인터넷, 데이터를 나타내는 적절한 신호 시퀀스를 통해 전송하는 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전송하는 데이터 반송신호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다른 위치의 블록도;
도 3은 레퍼런스 마크들의 그래프;
도 4와 5는 여러 혼합물들의 물질들의 머무름 시간을 나타낸 드래프.
도 1의 크로마토그래피 장치(1)에 있는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2~5)은 서로 원활하게 소통하도록 연결된다.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 사이사이에 연결부들(10~13)이 배치된다. 연결부들(10~13) 각각이 용리액 공급기(6), 추출물 배출기(7), 물질의 혼합물 공급기(8) 및 라피네이트 배출기(9)에 연결된다. 이들 디바이스(6~9) 각각에 밸브가 있고, 이런 밸브를 통해 물질이 흐르며, 특히 용리액, 추출물, 물질의 혼합물 및 라피네이트의 출입이 조절되어, 각각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추출물내 첫번째 물질의 함량을 판단하는 센서(14)와, 라피네이트내 첫번째 물질의 함량을 판단하는 센서(15)를 갖는다.
또, 이 장치(1)는 밸브를 통해 물질의 출입을 규제 및/또는 조절하는 디바이스(16)를 포함한다. 이런 규제 및/또는 조절 디바이스(16)에 내장된 프로세서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센서(14,15)에서 제공된 정보로 규제 및/또는 조절을 한다.
각종 밸브의 개폐 상태로, 용리액나 물질의 혼합물이 공급되는 위치와 추출물나 라피네이트가 배출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2~5)에 교대로 I, Ⅱ, Ⅲ, Ⅳ 구역들이 아래와 같이 형성된다:
a) 용리액이 공급되는 연결부와 추출물이 배출되는 연결부 사이의 첫번째 I 구역;
b) 추출물이 배출되는 연결부와 물질의 혼합물이 공급되는 연결부 사이의 두번째 Ⅱ 구역;
c) 물질의 혼합물이 공급되는 연결부와 라피네이트가 배출되는 연결부 사이의 세번째 Ⅲ 구역;
d) 라피네이트가 배출되는 연결부와 용리액이 공급되는 연결부 사이의 네번째 Ⅳ 구역.
규제 및/또는 조절 디바이스(16)는 센서(16)의 신호에 맞게 밸브의 위치들을 조절해 물질의 흐름, 특히 유입 및/또는 유출을 조절하도록 셋업된다. 각종 밸브들을 조절해,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2~5)에 각각 I, Ⅱ, Ⅲ, Ⅳ 구역들을 다르게 할당할 수 있다. 첫번째 물질을 라피네이트로서 제거할 수 있도록 밸브위치들을 조절한다. 도 2는 크로마토그래피 컬럼(2)이 I 구역을, 크로마토그래피 컬럼(3)이 Ⅱ 구역을, 크로마토그래피 컬럼(4)이 Ⅲ 구역을, 크로마토그래피 컬럼(5)이 Ⅳ 구역을 형성하는 밸브 스위칭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장치(1)를 보여준다.
밸브들을 스위칭하면, 크로마코그래피 컬럼들(2~5)마다 I, Ⅱ, Ⅲ, Ⅳ 구역들을 각각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밸브스위칭을 적절히 하면, 도 2와 같이, 크로마토그래피 컬럼(2)이 Ⅳ 구역을, 크로마토그래피 컬럼(3)이 I 구역을, 크로마토그래피 컬럼(4)이 Ⅱ 구역을, 크로마토그래피 컬럼(5)이 Ⅲ 구역을을 형성할 수 있다. 밸브는 기본적으로 기존의 TMB나 SMB 크로마토그래피 프로세서와 같은 방식으로 스위칭되지만, 아래 조건들을 고려해야 한다.
도 3을 참조해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물질의 혼합물의 A, B, C, D, E 물질의 반응시간을 보여준다. 물질 D는 물질의 혼합물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도 3에서 보듯이, 물질 D는 머무름 시간이 A, B, C 물질보다 길고 E보다 짧다. 물질 D를 라피네이트로서 제거하기 위해, 물질 D가 Ⅲ 구역을 통해 흐른 뒤 라피네이트로서 제거할 수 있도록 유입과 유출을 조절한다. 머무름 시간이 D보다 작은 물질 A, B, C는 I 구역에서 추출물로 취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이런 흐름이 IV 구역에서 형성되어 물질 E가 I 구역으로 압축되고 I 구역내 물질 A, B, C와 함께 추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입과 유출을 설정한다.
첫번째 실시예로, 불포화 지방산들의 혼합물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분리과정을 실시한다. 이 혼합물, 특히 생선 기름 , 조류 오일 및/또는 아마씨유와 같은 오일 혼합물에는 DHA, ARA, EPA, SDA가 있다. 해당 반응시간 그래프는 도 4와 같다. EPA는 라피네이트로서 제거되어야 한다. DHA와 ARA는 머무름 시간이 EPA보다 길다. 한편, SDA는 머무름 시간이 길다. 전술한 것처럼, 기존의 크로파토그래피 처리에 의하면 한편으로는 DHA와 ARA 분리를 먼저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EPA와 DSA 분리를 한 다음 EPA와 SDA로 기분리된 부분을 더 분리해 2 성분들을 분리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유입과 유출을 적절히 조절하면 DHA와 ARA가 추출물로 취해짐은 물론 SDA도 추출물로 취해진다. EPA는 오로지 라피네이트로서 추출된다.
표 1은 IV 구역내 유량 Qiv가 다양하게 설정되었을 경우 라피네이트에서 여러 SDA와 EPA 함량들이 구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IV 구역내 유량이 비교적 크면 SDA 함량이 최소로 될 수 있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물질 유량을 여러가지로 하면, 특히 용리액(QEluent), 물질의 혼합물(QSG) , 라피네이트(QRat) 및 추출물(QExtr)의 유입량 및/또는 유출량을 조절해 I, II, III, IV 구역들내의 유량을 여러가지로 세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4와 같은 반응시간을 보이는 동일한 물질의 혼합물로부터 ARA를 라피네이트로서 취해 아라키돈산 혼합물을 제거하도록 한다. 이 경우, EPA와 SDA가 I 구역으로 밀려들어가 DPH와 함께 추출물로 취할 수 있도록 유량을 조절한다. 이를 위해서는 종래의 SMB 크로마토그래피의 적용례에 비해 IV 구역내 유량이 커야만 한다고 본다.
또다른 실시예로, 칸나비디올을 함유한 물질의 혼합물에 분리과정을 실행한다. 도 5는 물질의 혼합물내 각 물질, 즉 CBDVA, CBD, Δ9-THC, Δ8-THC, CBGA의 반응시간 그래프이다. 의도는 물질의 혼합물에서 CBD를 얻는 것이고, 이를 위해 CBD만 라피네이트로서 제거할 수 있도록 크로마토그래피를 실행할 때의 물질 유량을 조절한다. 머무름시간이 CBD보다 작은 CBDVA는 물론, CBD보다 큰 Δ9-THC, Δ8-THC, CBGA는 모두 추출물로 취해진다.
또,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해, Δ9-THC와 Δ8-THC 둘다 라피네이트로서 제거되도록 유량을 조절해 THC에서 전술한 칸나비디올 물질을 없앨 수도 있다. 머므름시간이 Δ9-THC와 Δ8-THC보다 작은 CBDVA와 CVD, 및 Δ9-THC와 Δ8-THC보다 큰 CBGA는 둘다 추출물로 취해진다.

Claims (19)

  1.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물질의 혼합물에서 첫번째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첫번째 물질보다 크로마토그래피내 머무름시간이 더 큰 두번째 물질과, 첫번째 물질보다 크로마토그래피내 머무름시간이 작은 세번째 물질이 상기 물질의 혼합물에 들어있고;
    상기 물질의 혼합물이 크로마토그래피를 위한 장치(1)에 공급되며, 상기 크로마토그래피에는 다수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2,3,4,5)이 연결되어있고;
    상기 혼합물와 용리액이 상기 장치(1)에 공급되며, 상기 두번째 물질은 추출물로 그리고 첫번째 물질은 라피네이트로 제거되며, 상기 세번째 물질이 추출물로 취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번째 물질과 두번째 물질이 모두 추출물로 취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2,3,4,5)이 a) 용리액 공급기(6)와 추출물 배출기(7) 사이의 I 구역, b) 추출물 배출기(7)와 물질의 혼합물 공급기(8) 사이의 Ⅱ 구역, c) 물질의 혼합물 공급기(8)와 라피네이트 배출기(9) 사이의 Ⅲ 구역, d) 라피네이트 배출기(9)와 용리액 공급기(6) 사이의 Ⅳ 구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라피네이트 배출기(9)와 용리액 공급기(6) 사이의 Ⅳ 구역에 세번째 물질을 추출물로서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유량이 있도록 상기 기기들(6,7,8,9)을 통해 유입 및/또는 유출을 포함한 재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라피네이트내의 첫번째 물질의 함량이 물질의 혼합물내 첫번째 물질의 함량보다 크고, 추출물내 두번째 및/또는 세번째 물질의 함량이 물질의 혼합물내의 두번째나 세번째 물질의 함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리액 공급기(6), 추출물 배출기(7), 물질의 혼합물 공급기(8) 및 라피네이트 배출기(9)가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2,3,4,5) 사이로 다수의 공급/배출 연결부들(10,11,12,13)을 갖고, 상기 I, Ⅱ, Ⅲ, Ⅳ 구역들이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2,3,4,5)에 교대로 형성되도록 각각의 재료의 유량이 상기 공급/배출 연결부들(10,11,12,13)을 통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라피네이트 및/또는 추출물의 성분 함량을 포함한 물성이 센서(14)와 장치(1)내 물질의 혼합물, 용리액, 라피네이트 및/또는 추출물의 유량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유량이 물성의 결정에 맞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물질의 혼합물이 다중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한 불포화 지방산 혼합물, 칸나비노이드 혼합물을 포함한 카르복실산 혼합물, 18-HEPE, 17-HDHA 및/또는 14-HDHA를 포함한 PRM(pre-resolving mediators) 혼합물, 및/또는 리폭신, 레졸빈, 프로텍틴 및/또는 마레신을 포함한 SPM(specialized pre-resolving mediators)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물질이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및/또는 도코사헥사엔산(DHA)을 포함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칸나비디올(CBD) 또는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H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a) 상기 세번째 물질이 스테아리돈산(SDA)이고 상기 두번째 물질이 아라크이산(ARA) 및/또는 도코사헥사엔산(DHA)이며;
    b) 상기 세번째 물질이 스테아리돈산(SDA) 및/또는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이고 및/또는 상기 두번째 물질이 아라크이산(ARA)이며; 또는
    c) 상기 세번째 물질이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HC), CBGA 및/또는 CBG이고 상기 두번째 물질이 CBDVA, THCV 및/또는 CBD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물질이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및/또는 도코사펜타엔산(DPA)을 포함한 다중불포화 지방산의 대사산물이거나 상기 대사산물과 같은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18-HEPE, 17-HDHA 및/또는 14-HDHA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PRM(pre-resolving mediators), 및/또는 리폭신, 레졸빈, 프로텍틴 및/또는 또는 마레신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SPM(specialized pre-resolving mediators)이 상기 물질의 혼합물에서 취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물질이 PRM 및/또는 S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a) 상기 세번째 물질이 PRM 및/또는 SPM이고 상기 두번째 물질이 ARA 및/또는 DHA이고;
    b) 상기 세번째 물질이 PRM 및/또는 SPM이고 상기 두번째 물질이 EPA 및/또는 ARA이며; 또는
    c) 상기 세번째 물질이 PRM 및/또는 SPM이고 상기 두번째 물질이 EPA 및/또는 ARA이며 SPM이고 상기 두번째 물질이 D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다수의 서로 연결된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2,3,4,5)을 포함한 크로마토그래피 방법과, 물질의 혼합물 공급기, 용리액 공급기, 추출물 배출기 및 라피네이트 배출기에 의해 물질의 혼합물에서 첫번째 물질을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질의 혼합물에 두번째 물질과 세번째 물질이 있고, 상기 두번째 물질은 첫번째 물질보다 크로마토그래피내 머무름시간이 크며 상기 세번째 물질은 첫번째 물질보다 크로마토그래피내 머무름시간이 작고;
    상기 두번째 물질이 추출물로서 제거되고, 상기 첫번째 물질이 라피네이트로서 제거되며;
    상기 세번째 물질이 추출물로서 제거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번째 물질을 두번째 물질과 함께 추출물로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물질의 혼합물, 용리액 라피네이트 및/또는 추출물의 유입 및/또는 유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성분의 함량을 포함한 라피네이트 및/또는 추출물의 물성을 결정하는 센서(14,15)에 의해 결정된 결과에 따라 유입 및/또는 유출 디바이스들(6,7,8,9)을 통해 유입 및/또는 유출을 포함한 물질의 유량을 규제 및/또는 조절하는 디바이스(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디지털 컴퓨터의 내부 메모리에 직접 로딩될 수 있고, 컴퓨터에서 실행되었을 때 재료 분리 장치를 조절 및/또는 규제하는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갖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재료 분리 장치가 다수의 서로연결된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들(2,3,4,5)을 포함하고, 물질의 혼합물에서 첫번째 물질을 분리하며, 상기 물질의 혼합물은 크로마토그래피내 머무름시간이 첫번째 물질보다 머무름시간이 큰 두번째 물질과, 크로마토그래피내 머무름시간이 첫번째 물질보다 작은 세번째 물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료 분리 장치에 물질의 혼합물와 용리액이 공급되는 외에 두번째 물질이 추출물로 공급되며, 상기 첫번째 물질이 라피네이트로서 취해지고;
    상기 세번째 물질이 추출물로서 제거되도록 상기 재료 분리 장치내 물질의 혼합물, 용리액, 라피네이트 및/또는 추출물의 유입과 유출을 포함한 물질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9. 제18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전송하는 데이터 반송신호.
KR1020237038582A 2021-04-27 2022-04-27 물질의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KR202400044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500093A LU500093B1 (de) 2021-04-27 2021-04-27 Verfahren zum Trennen einer Stoffmischung
LULU500093 2021-04-27
LULU500567 2021-08-24
LU500567 2021-08-24
PCT/EP2022/061251 WO2022229284A1 (de) 2021-04-27 2022-04-27 Verfahren zum trennen einer stoffmisch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488A true KR20240004488A (ko) 2024-01-11

Family

ID=8185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8582A KR20240004488A (ko) 2021-04-27 2022-04-27 물질의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30663A1 (ko)
JP (1) JP2024518338A (ko)
KR (1) KR20240004488A (ko)
WO (1) WO20222292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502A (ja) * 1995-12-01 1997-08-12 Daicel Chem Ind Ltd 擬似移動床式分離装置
PT2519332E (pt) * 2009-12-30 2014-05-26 Basf Pharma Callanish Ltd Processo de separação cromatográfica em leito móvel simulado para a purificação de ácidos gordos poli-insaturados
DK3455213T3 (da) * 2016-05-13 2022-03-07 Symrise Ag Fremgangsmåde til at oprense cannabinoid-forbindelser via simulated moving bed-kromatograf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8338A (ja) 2024-05-01
EP4330663A1 (de) 2024-03-06
WO2022229284A1 (de)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ha et al. Separation of fish oil ethyl esters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US10723973B2 (en) Multi-step separation process
CN103826714B (zh) 用于从鱼油中生产高纯度epa的smb方法
JP6602821B2 (ja) 加熱クロマトグラフィー分離方法
Rodrigues et al. Deacidification of rice bran oil by liquid–liquid extraction using a renewable solvent
HUE026125T2 (en) Developed simulated moving bed chromatography method
WO2013083482A1 (en)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fatty acid mixtures
KR20240004488A (ko) 물질의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US10597607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containing composition
CN117255942A (zh) 用于分离物质混合物的方法
EP3640317B1 (en) Method for produc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containing composition
CN117730254A (zh) 色谱法和设备、尤其是用于超临界液相色谱的方法和设备
KR20240004978A (ko) 초임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포함한 크로마토그래피 방법과 장치
JP2024521033A (ja) クロマトグラフィー方法およびクロマトグラフィー装置、特に超臨界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LU500093B1 (de) Verfahren zum Trennen einer Stoffmischung
Meirelles et al. Mariana C. Costa, and Marcelo Lanz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