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109A -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 Google Patents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109A
KR20240004109A KR1020230084594A KR20230084594A KR20240004109A KR 20240004109 A KR20240004109 A KR 20240004109A KR 1020230084594 A KR1020230084594 A KR 1020230084594A KR 20230084594 A KR20230084594 A KR 20230084594A KR 20240004109 A KR20240004109 A KR 20240004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verse
carbon
web server
points
distribu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금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구를구하는인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구를구하는인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구를구하는인간
Priority to PCT/KR2023/00921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10293A1/ko
Publication of KR2024000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90Financial instruments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e.g. environmental taxes, subsidies or financing
    • Y02P90/95CO2 emission certificates or credits tra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이 개시된다. 웹서버는 메타버스에 참여한 참여자 단말기에 대해 단위 기간 동안의 기본적인 탄소 배출 권한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할당하며, 참여자 단말기 각각에 대해 할당된 포인트를 시간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차감한다. 웹서버는 단위 기간 내에서의 참여자의 탄소 감축 활동에 대한 증명을 수신하며, 증명에 의해 감축이 입증된 탄소 배출량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차감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거나 참여자 단말기에 추가 할당함으로써 보상한다. 메타버스에 참여한 모든 참여자들에 대해 탄소 감축 활동의 결과가 소득 창출 효과로 귀결되므로, 탄소 감축과 연계된 기본소득의 지급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Method for Distributing Income associated with Carbon Emission Permits in Metaverse}
본 발명은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 배출을 감축하는 개개인의 활동에 대해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연동하여 소득 창출의 효과가 메타버스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가 전 인류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방안으로서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도입되었다. 현재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탄소를 배출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탄소배출권을 할당하여 실제 배출하는 탄소량에 따라 할당된 탄소배출권을 소진시키되, 기업 활동 영위 중에 남거나 부족하게 된 탄소배출권은 ETS(Emission Trading System)를 통해 판매 또는 구매할 수 있도록 한 제도이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기업들의 탄소 감축 노력을 촉진하여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탄소배출권 거래제의 목표이다.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도입됨에 따라 탄소 배출의 증가는 지불해야 하는 비용의 증가를 야기하나, 다른 면에서는 탄소 배출의 감소를 통해 수익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현재의 탄소배출권 거래는 법에 의해 정해진 특정 기업과 같은 한정된 일부만을 대상으로 비용 부담의 의무 및 그 반대 급부로서의 수익 창출 권리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탄소배출권 개념의 도입을 통한 온난화 방지의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대상이 모든 기업으로 확대되는 것은 물론이고 궁극적으로는 기업 뿐만아니라 모든 사람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한편, 사회 구성원 전체의 복지 측면에서 기본소득의 도입이 다양한 형태로 논의되고 있다. 기본소득이란 모든 사회 구성원의 적절한 삶을 보장하기 위해 사회 구성원 각각에게 아무런 조건 없이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소득을 의미한다. 기본소득은 사회적 약자들에게도 기본적인 삶의 영위를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복지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질 수 있으나, 기본소득의 도입에 따른 도덕적 해이나 기본소득 지급을 위한 재원 마련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로 인해 사회 구성원 전체가 납득하고 공감할 수 있는 방안의 도출이 요원한 상황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소배출권의 도입 대상은 궁극적으로 모든 사람에게로 확대되어야 한다. 탄소 배출 제한의 의무는 모든 사람이 공통적으로 부담하여야 하며, 그 의무 이행에 따른 혜택 또한 모든 사람에게 귀속되어야 한다. 그리고, 기본소득은 부작용 없는 도입 방안이 요구된다. 심각한 사회 양극화에 따라 기본소득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그에 따라 예상되는 문제점의 해결 없이는 도입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탄소배출권을 토대로 기본소득을 분배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모든 사람에게 탄소배출권을 균등하게 나누어 주고 사용하지 않은 탄소배출권에 대한 보상을 통해 기본소득을 분배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모든 사람이 탄소 배출 감축 활동에 참여하여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함과 아울러, 그 결과로 기본소득이 부여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부여되어 기본소득의 도입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참여자들이 참여자 단말기로 접속하여 활동하는 메타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a) 상기 웹서버가 상기 참여자 단말기에 대해 단위 기간 동안의 기본적인 탄소 배출 권한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할당하는 단계; b) 상기 웹서버가 상기 참여자 단말기 각각에 대해 할당된 상기 포인트를 시간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차감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가 수행되는 상기 단위 기간 내에서의 상기 참여자의 탄소 감축 활동에 대한 증명을 상기 웹서버가 상기 참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웹서버가 상기 증명에 의해 감축이 입증된 탄소 배출량에 상응하는 상기 포인트를 상기 b) 단계에서의 차감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거나 상기 참여자 단말기에 추가 할당함으로써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탄소 감축 활동은 상기 참여자의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의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 감축 활동은 상기 참여자의 오프라인 상에서의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e) 상기 웹서버가, 오프라인 상에서의 특정 활동에 대해 상기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정할지 여부에 대한 제안을 소정의 참여기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f) 상기 웹서버가 상기 특정 활동에 대해 상기 탄소 감축 활동에 포함시킬지 여부에 대해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에 검토 요청하는 단계; 및 g) 상기 웹서버가 상기 DAO 의 검토 결과를 토대로 상기 특정 활동을 상기 탄소 감축 활동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 후에, 상기 웹서버가 상기 증명을 검증하여 상기 d) 단계에서 보상할 상기 포인트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증명은 상기 탄소 감축 활동에 대하여 인증하는 외부의 인증서버에 의해 인증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의 증명은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에 의해 인증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a) 단계에서 할당된 상기 포인트가 상기 단위 기간의 종료 시점에 전소되도록 차감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a) 단계에서 할당된 상기 포인트가 상기 단위 기간의 종료 시점에 부(負)의 값을 갖도록 차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h) 상기 포인트가 부(負)의 값을 갖는 상기 참여자 단말기에 대해 상기 웹서버가 소정의 패널티를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 상기 웹서버가 상기 참여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대가를 수신하는 단계; 및 j) 상기 웹서버가 상기 대가에 상응하는 상기 포인트를 상기 참여자 단말기에 추가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k) 상기 웹서버가 각각의 상기 참여자 단말기들간의 상기 포인트의 거래를 중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l) 상기 웹서버가 상기 참여자 단말기에 대해 상기 단위 기간 경과 후 잔존하는 상기 포인트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는 블록체인 상에서 유통되는 암호화폐일 수 있다.
상기 포인트는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의 상기 참여자 단말기의 소정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대가로서 상기 웹서버에 지급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는 도과 시 소멸되는 만기가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타버스에 참여한 모든 참여자들에 대해 탄소 감축 활동의 결과가 소득 창출 효과로 귀결되도록 함으로써, 탄소 감축과 연계된 기본소득의 지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탄소 배출 감축 활동의 전면적이고 자발적인 참여가 독려되고 기본소득의 도입에 따른 부작용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메타버스를 웹서버가 참여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 1 의 메타버스를 통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메타버스를 웹서버가 참여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웹서버(20)는 인터넷 공간 상에서 메타버스를 형성하고, 이 메타버스 내에서는 복수의 참여자들이 각각 참여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접속하여 활동한다.
본 발명의 메타버스는 본 발명의 탄소배출권을 통한 소득 분배 구현의 목적 외의 다른 본래의 목적이나 부수적인 목적을 갖지 않는 가상공간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목적 외에 특정 목적의 활동을 제공하는 가상공간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기존의 온라인 네트워크 게임 플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에 부가되는 기능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참여자'는 현실 세계에서 경제 활동을 수행하는 모든 주체를 그 대상으로 한다. 예컨대 참여자는 자연인인 일반 개인일 수 있고, 기업일 수 있으며, 재단법인과 같은 비영리 법인일 수 있다. 메타버스가 본 발명의 목적만을 갖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메타버스는 참여자의 제한 없이 모든 종류의 참여자가 참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떤 정책적 목적에 따라, 예컨대 소득 분배에 의한 기본소득 지급의 대상을 소득 하위자들로 한정하고자 한다거나, 또는 특정 부류의 참여자로 일단 한정한 후 소득 분배 효과의 점진적 확대를 위해 참여자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 참여자의 자격에 대해 제한을 할 수 있다. 메타버스 자체가 특정 목적을 갖는 경우, 즉 메타버스가 가상공간에서 특정 목적의 활동을 제공하는 경우, 해당 활동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자만을 참여자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메타버스가 특정 게임에 대한 플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을 갖고 그에 따른 활동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경우, 해당 게임을 플레이할 의사가 있고 실제 플레이를 하는 플레이어만이 참여자의 풀(pool)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정 목적의 메타버스의 경우, 해당 목적을 위해 참여한 자들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참여자가 될지 여부는 강제할 수도 있고 선택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메타버스에서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탄소배출권을 통한 기본소득을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2 는 도 1 의 메타버스를 통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 의 각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각 단계는, 전 단계 진행 완료를 전제로 하여 그 후에 후 단계가 수행되는 것도 있고, 일부 단계의 경우 전 단계와 무관하게 또는 전 단계의 수행 중에 수행되는 것도 있다. 따라서 이하 기술되는 각 단계의 기술 순서가 본 발명의 전체 프로세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 단계의 논리적 흐름에 따라 한정되어야 한다.
S10 : 포인트 할당
웹서버(20)는 각각의 참여자 단말기(10)에 대해 단위 기간 동안의 기본적인 탄소배출권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각 단위 기간의 시작 시점에 할당한다. 여기에서 단위 기간은 예컨대 1주일, 1개월, 1년 등과 같이 사전에 설정되며, 각 참여자에 대해 할당하는 포인트는 기본적으로 동등하다. 일 예로서, 모든 참여자에 대해 1개월을 단위 기간으로 하여 300포인트씩 할당할 수 있다. 단위 기간에 대한 포인트의 할당은 매 단위 기간의 시작 시마다 이루어진다.
포인트는 기본적인 탄소 배출 권한을 표시한다. 예컨대 1포인트는 탄소 1kg 을 배출할 권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각 참여자는 단위 기간동안 자신에게 부여된 포인트에 상응하는 만큼의 탄소 배출 권한을 갖는다. 할당되는 포인트의 양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일반적인 개인이 통계적으로 1개월 동안 평균 300kg 의 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전체 참여자의 탄소 배출량이 장래에 이보다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300포인트를 일괄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당되는 포인트의 양은 정책적 목적 달성을 위해 개인 평균 배출량보다 적도록 설정되거나, 기본소득의 지급량을 늘리기 위하여 개인 평균 배출량보다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할당되는 포인트는 필요에 따라 참여자마다 다르도록 차등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소득 격차가 있는 다수의 참여자들에 대해 소득 재분배의 목적으로 메타버스를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 소득이 낮은 참여자에 대해 더 높은 포인트가 부여되도록 차등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게임 플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의 경우 직전의 단위 기간 동안의 게임 활동 시간에 비례하도록 각 참여자에 대해 포인트를 차등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인트를 차등 할당할지 여부는 메타버스 자체의 목적, 정책적 목적, 기타 여러 가지 필요 요소들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S20 : 포인트 차감
웹서버(20)는 참여자 단말기(10) 각각에 대해 할당된 포인트를 시간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차감한다. 이와 같은 차감은 웹서버(20)의 기본 프로세스로서 수행된다. 시간 경과에 따른 순차 차감은 기본적으로는 단위 기간동안 모든 포인트가 시간 경과에 비례하여 소진되도록 함으로써 단위 기간의 종료 시점에는 기 할당된 모든 포인트가 전소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예컨대 S10 단계에서 30일의 단위 기간에 대해 300포인트가 할당되는 경우, 매일 24시 정각에 10포인트씩 30일 동안 순차적으로 차감되도록 구성된다. 차감의 양이나 비율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단위 기간 중 절반의 기간은 일정 비율로 차감되고, 남는 절반의 기간은 매일 일정한 양이 차감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포인트의 순차 차감의 결과가 참여자마다 상이하게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어떤 참여자에 대해서는 단위 기간 종료 시점에 일부 포인트가 남아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든 참여자가 매일 10포인트씩 소진되도록 하되 S10 단계에서 지급하는 포인트를 전술한 바와 같이 참여자별로 차등 할당하거나, 모든 참여자들에 대해서 동일한 포인트를 할당하되 참여자별로 차감하는 총량에 차등을 두거나, 이 두가지 방식을 병행할 수 있다.
나아가, S10 단계에서 할당된 포인트가 상기 단위 기간의 종료 시점에 부(負)의 값을 갖도록 차감할 수도 있다. 예컨대 S10 단계에서 지급하는 포인트를 전술한 바와 같이 참여자별로 차등 할당한 후 모든 참여자에 대해 동일하게 포인트를 차감할 경우, 또는 S10 단계에서 모든 참여자에게 동일한 포인트를 할당한 후 참여자별로 매 차감 시의 차감량에 차등을 둘 경우, 일부 참여자의 포인트는 단위 기간의 종료 전에 모두 소진되어 종료 시점까지의 잔여 기간에 추가로 차감할 경우에는 마이너스(-)의 값을 가질 수 있다.
S30 : 탄소 감축 활동 증명 제출
참여자 단말기(10)는 탄소 감축 활동에 대한 증명을 웹서버(20)에 제출한다. 제출되는 증명은 상기 단위 기간 내에서의 탄소 감축 활동을 보여주는 자료이며, 특정 단위 기간 내임을 보여주기 위하여 증명에는 탄소 감축 활동을 수행한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서버(20)는 참여자 단말기(10)가 제출하는 증명을 수신하여 탄소 감축 활동을 확인하는 자료로서 사용한다.
웹서버(20)는 증명에 의해 입증되는 탄소 감축 활동으로서 인정되는 활동들을 미리 정의하여 둘 수 있다. 예컨대 재활용품 분리 수거의 실적, 승용차 대신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한 실적, 다회용 용기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커피 등의 음료를 구매함으로써 일회용 용기를 사용하지 않은 실적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탄소 감축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명 대상이 되는 탄소 감축 활동은 참여자의 메타버스 내에서의 활동, 및/또는 참여자의 오프라인 상에서의 활동 즉, 현실 세계에서의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오프라인 상의 활동에 대해 증명이 인정되는 경우, 현실 세계의 탄소 감축 활동에 대해 본 발명의 메타버스 내에서의 소득화가 가능하다.
탄소 감축 활동 중에서 메타버스 내에서의 활동에 대해서는 참여자 단말기(10)가 웹서버(20)로 직접 제출하지 않더라도 웹서버(20)가 이를 검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S30 단계의 프로세스는 웹서버(20)가 각 참여자 단말기(10)의 탄소 감축 활동을 직접 검출하는 프로세스로 대체되거나, 웹서버(20)가 검지한 탄소 감축 활동을 참여자 단말기(10)로 통지하는 프로세스로 대체되거나, 검지된 탄소 감축 활동의 통지에 대해 참여자 단말기(10)가 웹서버(20)로 확인을 전송하는 프로세스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S30 단계는, 이와 같은 변형 예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한편, 탄소 감축 활동이 메타버스 내에서의 활동이 아닌 오프라인상에서의 활동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어떤 활동이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정될지 여부가 사전에 웹서버(20)에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무수히 많은 다양한 활동 중에서 어떤 활동을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정할지, 그리고 인정할 경우 탄소 감축량을 어느 정도로 인정할지 여부에 대해서 웹서버(20)가 사전에 모두 정의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참여기관의 제안을 받는 방안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참여기관'이란 예컨대 숙박업소나 음식점 등과 같이 오프라인상에서 참여자들에게 재화나 용역을 제공하거나 참여자가 어떤 활동을 수행하는 토대를 제공하는 모든 주체를 의미한다. 다양한 참여기관(또는 참여기관들의 연합체 등)은 참여기관 단말기(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웹서버(20)에 접속하여, 특정 활동(예컨대 붸페식 음식점에서 식사 후 잔반을 남기지 않은 활동)을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정할 것을 웹서버(20)에 제안한다. 웹서버(20)는 이러한 제안을 참여기관 단말기로부터 받음에 따라, 제안된 활동에 대해 웹서버 운영자의 결정에 의거하여 탄소 감축 활동에 포함시킨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웹서버(20) 운영자가 미처 고려하지 못하거나 일일이 검토하지 못한 다양한 오프라인상에서의 활동에 대해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정받음으로써, 탄소 감축 인정 활동 대한 확장성이 확보된다. 참여기관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 결과가 탄소 절감에 의한 참여자의 소득 창출에 기여하게 되므로, 참여기관의 서비스 이용을 프로모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참여기관의 제안에 대한 검토는 웹서버(20)가 자체적으로 수행하지 않고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DAO 는 탈중앙화 자율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중앙 관리자의 지시로 운영되는 전통적인 기업 구조를 대신하여 개인의 자율적인 의사 결정으로 운영되는 조직 형태를 의미한다. DAO 는 모든 활동을 중앙 관리자 없이 공통 목적으로 모인 개인들이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을 두고 투표를 통해 의사결정을 한다. 웹서버(20)는 참여기관의 단말기로부터 제안된 활동에 대해 외부의 특정 블록체인 상에 구현되어 있는 DAO 에 검토를 요청하고, DAO 는 구성원들의 자율적 의사 결정에 의해 웹서버(20)가 검토 요청한 활동에 대해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정할지 여부, 나아가 탄소 감축량의 정도에 대해 결정한다. 이와 같이 DAO 에 의해 결정되는 방식에 의하면 다수의 DAO 구성원들의 집단 지성에 의해 탄소 감축 활동 인정 및 감축 정도의 인정이 결정되므로, 웹서버(20) 운영자의 독단적인 결정에 의존하지 않고 다수의 참여자가 납득할 수 있는 결정을 얻을 수 있다.
S30 단계는 S20 단계의 진행 중에, 즉 단위 기간 내의 어느 시점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S20 단계의 진행이 종료된 후에, 즉 단위 기간이 종료된 후의 어느 시점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증명 제출이 단위 기간 종료 후에 이루어질 경우에는 증명이 제출된 시점이 아니라 증명에 의해 탄소 감축 활동을 한 것으로 인정되는 시점이 포함되는 단위 기간에 대한 증명으로서 인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후술되는 포인트의 보상은 기 종료된 단위 기간에 대해 소급하여 이루어진다.
S40 : 증명 검증
웹서버(20)는 참여자 단말기(10)가 제출하는 증명을 검증한다. 메타버스 내에서의 활동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는 웹서버(20)에 의해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정되는 활동이 사전에 정의될 것이며, 이 경우에는 이러한 활동에 해당되는지 여부의 확인만으로도 검증된다. 메타버스 외의 활동, 특히 오프라인 상의 현실 세계에서의 활동인 경우에는 제출된 증명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검증은 예컨대 증명을 발행한 기관의 직인 등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탄소 감축 활동에 대하여 인증하는 별도의 외부 기관이 운영하는 인증서버(도시되지 않음)로 웹서버(20)가 검증 요청을 발송하고 그 결과를 인증서버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에서 외부 기관은 각 증명을 발행한 기관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검증을 전담하여 수행하는 별도의 기관일 수도 있다.
한편, 외부 기관의 인증서버를 통한 인증은 참여자 단말기(20)가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참여자 단말기(20)가 직접 수행하는 경우에는 S30 단계에서 제출되는 증명에는 인증서버를 통하여 인증된 결과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서버(20)는 이러한 검증을 통해 하기 S50 단계에서 보상할 포인트를 확인한다. 각각의 탄소 감축 활동에 대해서는 그 종류별로 감축이 인정되는 탄소의 양이 사전에 정의되어 있고, 이와 같이 정의된 감축 탄소량을 참조하여 참여자가 제출한 증명에 대해 실제 보상할 포인트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탄소 감축 활동에 대한 인증은 외부 기관이 아닌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웹서버(20)는 참여자 단말기(20)가 제출한 증명에 대해 외부의 특정 블록체인 상에 구현되어 있는 DAO 에 인증을 요청하고, DAO 는 구성원들의 자율적 의사 결정에 의해 참여자 단말기(20)가 제출한 증명에 대해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웹서버(20)는 DAO 의 인증 결과를 토대로 증명을 검증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정될 수 있는 활동의 종류에 대해 무한한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외부 기관의 인증서버에 인증을 요청하는 방식의 경우 어떤 활동을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정할지 그리고 감축 활동에 대해 어느 정도의 감축량을 인정할지 여부에 대해 해당 외부 기관이 임의로 결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은 해당 외부 기관의 임의의 판단에 대한 신뢰가 부여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활동이 탄소 감축 활동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외부 기관의 결정이 있기 전까지는 확인되지 않으므로, 무수히 많은 종류의 활동들 중 어떤 활동이 탄소 감축으로 인정되는지 여부가 불확정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DAO 에 의해 결정되는 방식에 의하면 다수의 DAO 구성원들의 집단 지성에 의해 탄소 감축 활동 인정 및 감축 정도의 인정이 결정되므로, 결정 선례가 없는 다양한 활동에 대해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정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참여자들은 자신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 탄소 절감 여부를 확인받을 수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탄소 절감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다.
S50 : 포인트 보상
웹서버(20)는 S40 단계에서 검증된 증명을 제출한 참여자 단말기(10)에 대해 인정된 탄소 배출 감축량에 상응하는 만큼의 포인트를 보상하여 준다. 포인트의 보상은 S20 단계에서 순차 차감하는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보상될 만큼의 포인트를 참여자 단말기(10)에 별도로 추가 할당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참여자 단말기(20)가 단위 기간의 종료 시점에 보유하는 포인트는 정상적인 차감에 의해 소진된 결과에 비하여 탄소 감축 활동에 의해 보상된 만큼 증가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참여자는 자신이 수행한 탄소 감축 활동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된다.
S60 : 포인트 거래 요청
메타버스 내에서 할당된 포인트는 타 참여자와의 거래를 통해 양수도 가능한 자산으로 활용된다. 웹서버(20)는 각각의 참여자 단말기(10)들간의 포인트 거래를 중개한다. 이를 위하여, 웹서버(20)는 메타버스 내에 포인트의 거래 중개를 하는 메뉴를 마련하여, 예컨대 증권 거래소에서 증권을 거래하는 방식으로 매도 희망자와 매수 희망자가 각각 매도 호가와 매수 호가를 입력하여 다수 대 다수의 호가 거래 체결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자신이 보유한 포인트를 현금으로 전환하거나, 메타버스가 블록체인 기록 방식으로 제공하여 가치를 유지/보증하는 암호화폐(crypto-currency)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포인트 거래 요청은 일정한 조건 하에서만 가능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보유한 포인트가 플러스(+) 값을 갖는 참여자의 경우에만 매도 가능하도록 제한을 가하거나, 현재 보유 중인 포인트의 양이 단위 기간의 종료 시점까지 순차 차감하더라도 종료 시점에 플러스(+) 값을 갖는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 플러스(+)에 해당되는 만큼만 매도 가능하도록 제한을 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축 활동에 의해 탄소 감축에 기여한 만큼만 소득으로 환원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60 단계의 거래 요청(및 이에 따른 S70 단계의 포인트 반영)은 각각의 단위 기간 진행 중에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각각의 단위 기간 종료 후에만 수행되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 예로서, 거래 요청이 포인트의 매도 요청일 경우에는 단위 기간의 종료 후에만 가능하도록 하고 포인트의 매수 요청일 경우에는 단위 기간 중에도 가능하도록 한다. 이 경우, 포인트 매도 희망자는 기 종료된 단위 기간 내의 탄소 감축 활동의 결과로 인한 잉여 포인트에 대해서만 매도에 의해 소득으로 환원시킬 수 있고, 포인트 매수 희망자는 현재 진행 중인 단위 기간 중에 부족하게 된 포인트를 보충할 필요성 발생 시 매수에 의해 보충이 가능하다.
한편, 포인트의 거래는 다른 참여자가 보유한 포인트에 대한 구매 요청이 아니라 웹서버(20)로부터 직접 구매 요청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참여자 단말기(10)는 웹서버(20)에 대해 추가 보유 희망하는 포인트의 구매를 요청하고, 해당 포인트에 대한 구매 대가를 지급한다. 대가를 지급받은 웹서버(20)는 대가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참여자 단말기(10)에 추가 할당한다. 당사자간 거래가 아닌 웹서버(20)에 대한 직접 거래는, 예컨대 본 발명의 메타버스 서비스 개시 직후 등과 같은 시기상의 한계로 인하여 포인트의 유통 물량이 적어서 거래가 원활하지 않을 때, 또는 참여자 풀 전체에서의 탄소 감축 활동의 저조 또는 탄소 배출 활동의 증가로 인하여 전체 참여자들이 요구하는 포인트가 과다한 경우 등의 상황 발생 등과 같이, 웹서버(20)가 직접 포인트를 추가 발행하는 것이 필요할 때 유용한 기능을 한다.
웹서버(20)가 참여자 단말기(10)로 직접 포인트를 판매하는 경우에는 포인트의 가격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포인트의 가격은 메타버스 내에서의 참여자들간의 거래 사례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고, 상시 동일한 가격으로서 미리 결정된 가격일 수 있고, 다수의 참여자 단말기(10)들에 대한 경쟁 입찰 방식의 가장 높은 호가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S70 : 거래된 포인트 반영
S60 단계에서 거래가 성사된 포인트에 대해서는 거래 당사자인 참여자 단말기(10)들이 보유한 포인트의 내역에 반영한다. 즉, 포인트 매도인에 대해서는 보유한 포인트를 매도한 양만큼 차감하고 포인트 매수인에 대해서는 보유한 포인트를 매수한 양만큼 증가시킨다.
S80 : 잔존 포인트 확인
각 단위 기간의 종료 후, 웹서버(20)는 각 참여자 단말기(20)가 보유하고 있는 잔존 포인트를 확인한다. 잔존 포인트는 각 참여자 단말기(20)의 포인트에 대한 권리로서 확정된다.
잔존 포인트는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 가능하다. 예컨대 잔존 포인트는 타 참여자 단말기(10)에 매도하여 수익으로 환원시킬 수 있다. 또한 잔존 포인트는 차회의 단위 기간에 참여자가 보유한 포인트로 전용(轉用)될 수 있다. 이 경우 참여자는 차회의 단위 기간에는 기본적으로 할당되는 포인트와 함께 그 직전의 단위 기간 종료 시 잔존하는 포인트를 보유하게 된다. 또한 잔존 포인트는 메타버스가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서비스의 이용 대가 지불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메타버스가 별도의 서비스로서 참여자들이 플레이하는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 해당 게임을 이용하는 대가의 지불에 잔존 포인트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잔존 포인트가 부(負)의 값을 갖는 경우 웹서버(20)는 해당 참여자 단말기(10)에 대해 소정의 패널티를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널티를 가하는 경우, 패널티 부과의 기준 시점이 단위 기간의 종료 시점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단위 기간의 진행 중에도 잔존 포인트가 마이너스(-) 값을 갖는 순간 즉시 패널티가 부과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잔존 포인트가 마이너스(-)에 이르면 해당 참여자에 대해서 메타버스가 제공하는 게임의 플레이를 더 이상 할 수 없도록 게임 참여 자격을 즉시 박탈한다. 이에 따라 참여자가 게임 플레이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S60 단계에서와 같이 타 참여자로부터 또는 웹서버(20)로부터 포인트를 구매하여야 한다.
S90 : 대가 지급
단위 기간 경과 후의 잔존 포인트에 대해 참여자는 웹서버(20)에 대가 지급을 요청할 수 있다. 웹서버(20)의 대가 지급은 전술한 S60 단계에서의 웹서버(20)로부터의 포인트 구매와 반대의 개념이며, 이때 지급되는 대가 산정을 위한 포인트의 가격 또한 S60 단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타버스상에서 포인트가 할당되고 이 포인트가 향후에 현금 또는 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로 전환되는 방식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지급되는 포인트 자체가 암호화폐일 수 있다. 이 경우 동 암호화폐가 통용되는 용처에서는 암호화폐는 현금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동 암호화폐는 본 발명의 메타버스 상에서 제공되는 다른 다양한 서비스(예컨대 게임 등)를 이용하는 데에 현금처럼 사용될 수 있도록 본 메타버스 자체가 용처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포인트로서 지급된 암호화폐는 본 발명의 메타버스 내에서의 참여자 단말기(10)의 서비스 영위에 대한 대가로서 웹서버(20)에 지급되며, 이를 통해 웹서버(2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이용 대가 지불 시스템의 구축이 탄소배출권과 연계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포인트에는 만기가 부여될 수 있다. 만기가 부여된 포인트는 만기 도과 시 소멸되어 사라진다. 만기의 부여는 포인트의 사용을 통한 소비 및 포인트 거래의 활성화 필요 시 도입할 수 있다. 예컨대 과도한 포인트를 보유한 사용자가 메타버스 내에서의 유용한 게임 아이템의 구매를 위해 만기가 임박한 포인트를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잉여 포인트를 보유한 참여자의 포인트의 매도를 유도하여 포인트 유통량의 확보 및 이를 통한 적정한 포인트 거래 가격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메타버스는 다양한 주체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의 운영자가 자신이 운영하는 메타버스의 활성화와 함께 탄소 감축 활동의 유도에 따른 사회적 기여를 위해 본 발명의 개념을 자신의 메타버스에 부가하는 방식으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정부 차원에서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여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방식의 일환으로서, 또한 이와 더불어 탄소 감축 활동에 전 국민적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서, 다른 부가 서비스 없이 본 발명의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메타버스를 운영할 수 있다. 나아가, 정부 차원의 이러한 메타버스 운영의 경우, 다양한 기업으로부터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의 부가적 참여를 신청받아 동 메타버스에서 제공하는 부수적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에 포인트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탄소 감축 활동에 의해 확보된 포인트의 용처 확대를 통해 본 메타버스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 국민의 적극적인 탄소 감축 활동 및 이를 통한 기본소득 창출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복수의 참여자들이 참여자 단말기로 접속하여 활동하는 메타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으로서,
    a) 상기 웹서버가 상기 참여자 단말기에 대해 단위 기간 동안의 기본적인 탄소 배출 권한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할당하는 단계;
    b) 상기 웹서버가 상기 참여자 단말기 각각에 대해 할당된 상기 포인트를 시간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차감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가 수행되는 상기 단위 기간 내에서의 상기 참여자의 탄소 감축 활동에 대한 증명을 상기 웹서버가 상기 참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웹서버가 상기 증명에 의해 감축이 입증된 탄소 배출량에 상응하는 상기 포인트를 상기 b) 단계에서의 차감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거나 상기 참여자 단말기에 추가 할당함으로써 보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감축 활동은 상기 참여자의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의 활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감축 활동은 상기 참여자의 오프라인 상에서의 활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e) 상기 웹서버가, 오프라인 상에서의 특정 활동에 대해 상기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정할지 여부에 대한 제안을 소정의 참여기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f) 상기 웹서버가 상기 특정 활동에 대해 상기 탄소 감축 활동에 포함시킬지 여부에 대해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에 검토 요청하는 단계; 및
    g) 상기 웹서버가 상기 DAO 의 검토 결과를 토대로 상기 특정 활동을 상기 탄소 감축 활동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상기 웹서버가 상기 증명을 검증하여 상기 d) 단계에서 보상할 상기 포인트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증명은 상기 탄소 감축 활동에 대하여 인증하는 외부의 인증서버에 의해 인증된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의 증명은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에 의해 인증된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a) 단계에서 할당된 상기 포인트가 상기 단위 기간의 종료 시점에 전소되도록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a) 단계에서 할당된 상기 포인트가 상기 단위 기간의 종료 시점에 부(負)의 값을 갖도록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h) 상기 포인트가 부(負)의 값을 갖는 상기 참여자 단말기에 대해 상기 웹서버가 소정의 패널티를 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상기 웹서버가 상기 참여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대가를 수신하는 단계; 및
    j) 상기 웹서버가 상기 대가에 상응하는 상기 포인트를 상기 참여자 단말기에 추가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k) 상기 웹서버가 각각의 상기 참여자 단말기들간의 상기 포인트의 거래를 중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l) 상기 웹서버가 상기 참여자 단말기에 대해 상기 단위 기간 경과 후 잔존하는 상기 포인트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는 블록체인 상에서 유통되는 암호화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는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의 상기 참여자 단말기의 소정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대가로서 상기 웹서버에 지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는 도과 시 소멸되는 만기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KR1020230084594A 2022-07-04 2023-06-30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KR20240004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9214 WO2024010293A1 (ko) 2022-07-04 2023-06-30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148 2022-07-04
KR20220082148 2022-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109A true KR20240004109A (ko) 2024-01-11

Family

ID=8953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594A KR20240004109A (ko) 2022-07-04 2023-06-30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41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567B1 (ko)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002259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nomous Entity
Fay Partial-repeat-bidding in the name-your-own-price channel
WO2020098420A1 (zh) 一种基于信用值的平台合约执行方法和装置
US84649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ing goods and services for a group of individual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US200700663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ent invitation
US201901305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etizing Intellectual Property
KR102124504B1 (ko) 단골 공유 플랫폼 제공 방법 및 단골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US20220027902A1 (en) Decentralized system for fractionalized tokens
US201803419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product sales by using distribution of sales profit according to event success
Jones Procurement practices in the Singapore civil service: Balancing control and delegation
WO202222458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30021694A (ko) 참가자의 활동에 의해 블록체인 화폐가 생성되는 미래예측 플랫폼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102227575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티켓을 서비스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219748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지불 방법
WO2023210345A1 (ja) 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382668B1 (ko) 지적재산권 분할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20120303535A1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agreement mangement
KR20240004109A (ko)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WO2024010293A1 (ko) 메타버스에서의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소득 분배 방법
CN111771221A (zh) 用于在线拍卖的方法和系统
KR102052299B1 (ko) 물품과 암호화폐의 거래 중개 시스템
US201803366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product sales by using distribution of sales profit according to event success
CN113678158A (zh) 数据处理系统、数据处理方法和程序
Iyer et al. The Importance of Holdup in Contracting: Evidence from a Field Experi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