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979A - 수유기구 - Google Patents

수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979A
KR20240003979A KR1020220081943A KR20220081943A KR20240003979A KR 20240003979 A KR20240003979 A KR 20240003979A KR 1020220081943 A KR1020220081943 A KR 1020220081943A KR 20220081943 A KR20220081943 A KR 20220081943A KR 20240003979 A KR20240003979 A KR 20240003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nipple
container
feeding container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영
임소진
Original Assignee
임채영
임소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영, 임소진 filed Critical 임채영
Priority to KR1020220081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979A/ko
Publication of KR20240003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6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elongated tubes, e.g. for drinking from bottle in upright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05Teats having additional ports, e.g. for connecting syringes or stra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유기구에 관한 것으로, 모유나 분유와 같은 내용물이 담기는 수유용기(100)에 젖꼭지(300)가 수유관(200)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유용기(100)를 걸거나 높은 위치에 둔 상태에서 상기 젖꼭지(300)를 유아에게 물림으로써 상기 수유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을 상기 수유관(200)을 통해 상기 젖꼭지(300)로 공급받아 수유를 할 수 있게 되어 보호자가 수유용기(100)를 손으로 잡고 있지 않고도 수유를 할 수 있게 되는 수유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유기구{Feeding device for baby}
본 발명은 수유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자가 손으로 잡지 않고 수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유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에게 수유할 때 모유나 분유가 담긴 수유용기, 예를 들면 젖병이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보호자는 유아를 팔로 안은 채 수유를 하거나 유아를 바닥에 눕힌 상태에서 수유용기를 손으로 잡고 수유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보호자가 수유를 하는 동안 손으로 수유용기를 잡고 수유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자유로운 활동에 방해가 되므로 상당한 불편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쿠션 등을 이용해 수유용기를 받쳐두고 수유를 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이동시에는 사용할 수 없고 유아가 자세를 바꿀 경우 수유를 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는 등 여전히 불편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133947호(2012.11.23.)
본 발명은 보호자가 수유용기를 손으로 잡지 않고도 수유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멈춘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시에도 보호자가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수유를 할 수 있게 되는 수유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유나 분유와 같은 내용물이 담기는 수유용기에 젖꼭지가 수유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유용기를 걸거나 높은 위치에 둔 상태에서 상기 젖꼭지를 유아에게 물림으로써 상기 수유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상기 수유관을 통해 상기 젖꼭지로 공급받아 수유를 할 수 있게 되는 수유기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유기구에 따르면 보호자가 수유용기를 손으로 잡지 않고도 걸거나 높은 위치에 둔 상태로 수유를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멈춘 상태 또는 이동시에 구애됨 없이 보호자의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고 편리하게 수유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유기구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유기구에서 젖꼭지가 수유용기에 직접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유기구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암 결합부에 마개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 결합부에 마개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보호자가 수유용기를 손으로 잡지 않고도 수유를 할 수 있도록 하고자, 모유나 분유와 같은 내용물이 담기는 수유용기에 젖꼭지가 수유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유용기를 걸거나 높은 위치에 둔 상태에서 상기 젖꼭지를 유아에게 물림으로써 상기 수유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상기 수유관을 통해 상기 젖꼭지로 공급받아 수유를 할 수 있게 되는 수유기구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유기구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유기구는 수유용기(100)와 수유관(200), 그리고 젖꼭지(300)를 포함한다.
수유용기(100)는 모유나 분유와 같은 내용물이 담기는 것으로 팩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달리 유리나 플라스틱 용기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에서 수유용기(100)로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구는 마개로 막아줄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유용기(100)는 소정의 위치에 걸어둘 수 있도록 상단에 구멍이 형성되거나 고리가 형성되게 된다.
수유관(200)은 탄성을 가진 재질, 예를 들면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이루게 된다. 수유용기(100)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유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이 수유관(200)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젖꼭지(300)는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공갈 젖꼭지와 같은 구조를 이루고, 수유관(200)의 타단에 연결된다. 젖꼭지(300) 내부는 통로가 형성되어 수유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유기구는 수유용기(100)를 벽이나 지지대 또는 유모차 등에서 유아보다 높은 위치에 걸거나 놓아둔 상태에서 젖꼭지(300)를 유아에게 물리면 수유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이 수유관(200)을 거쳐 젖꼭지로 배출되면서 수유를 할 수 있게 된다. 수유용기(100)를 보호자가 손으로 잡고 있지 않고도 수유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수유용기(100)와 수유관(200), 그리고 젖꼭지(300)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유기구에서 젖꼭지가 수유용기에 직접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젖꼭지(300)는 수유용기(1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유용기(100)와 젖꼭지(300)가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수유용기(100)를 보호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젖꼭지(300)를 유아에게 물려서 수유를 할 수도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유기구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유기구에서 수유용기(100)와 젖꼭지(300) 및 수유관(200)은 서로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각자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인바, 이를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젖꼭지(300)를 수유관(200)을 이용해 수유용기(100)에 연결하거나 또는 수유용기(100)에 직접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수유용기(100)와 젖꼭지(300) 및 수유관(200) 간의 결합은 암수 결합 구조를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 즉, 수유용기(100)에는 암 결합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유관(200)의 일단에는 수 결합부(240)가 형성되는 한편 타단에는 암 결합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젖꼭지(300)에는 수 결합부(340)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에 따라 수유용기(100)와 수유관(200) 및 젖꼭지(300)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수유용기(100)에 형성된 암 결합부(120)가 수유관(200) 일단에 형성된 수 결합부(240)와 결합되고, 수유관(200)의 타단에 형성된 암 결합부(220)에는 젖꼭지(300)에 형성된 수 결합부(340)가 결합되어 서로 연결되게 된다.
반면 수유용기(100)에 젖꼭지(300)가 연결되는 경우 수유용기(100)에 형성된 암 결합부(120)에 젖꼭지(300)에 형성된 수 결합부(340)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연결되게 된다. 수유관(200) 없이 수유용기(100)에 젖꼭지(300)가 직접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암 결합부(120)(220)와 수 결합부(240)(340)는 각자 수유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게 형성되는바, 수유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이 젖꼭지(300)를 통해 유아에게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유용기(100)와 수유관(200) 및 젖꼭지(300)에 형성된 암 결합부(120)(220)와 수 결합부(240)(340)는 그 위치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는바, 그를 통해서도 암수 결합 방식은 동일하게 구현된다. 그리고 암 결합부(120)(220)와 수 결합부(240)(340) 간의 결합은 억지 끼움 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나사 결합 등의 구조도 채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암 결합부에 마개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수유용기(100)에 형성된 암 결합부(120)에는 마개(122)가 형성될 수 있다. 마개(122)는 암 결합부(120) 측면에 연결 끈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필요시에 암 결합부(120) 입구에 끼워짐으로써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고 외부 이물질이 수유용기(100) 내부로 유입도지 않도록 막아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마개(122)는 수유용기(100)에 형성된 암 결합부(120) 외에 다른 지점에 형성된 것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 결합부에 마개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젖꼭지(300)에 형성된 수 결합부(340)에는 마개(342)가 형성될 수 있다. 마개(342)는 수 결합부(340) 측면에 연결 끈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필요시에 수 결합부(340) 입구를 덮어서 막아주게 된다. 이물질이 젖꼭지(3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 결합부(340)를 덮는 마개(342)는 젖꼭지(300)에 형성된 수 결합부(340) 외에도 다른 지점에 형성된 것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100 : 수유용기, 120 : 암 결합부,
122 : 마개,
200 : 수유관, 220 : 암 결합부,
240 : 수 결합부,
300 : 젖꼭지, 340 : 수 결합부,
342 : 마개.

Claims (3)

  1. 모유나 분유와 같은 내용물이 담기는 수유용기(100)에 젖꼭지(300)가 수유관(200)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유용기(100)를 걸거나 높은 위치에 둔 상태에서 상기 젖꼭지(300)를 유아에게 물림으로써 상기 수유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을 상기 수유관(200)을 통해 상기 젖꼭지(300)로 공급받아 수유를 할 수 있게 되는 수유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유용기(100)와 상기 젖꼭지(300) 및 상기 수유관(200)은 서로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되,
    상기 젖꼭지(300)는 상기 수유용기(100)에 상기 수유관(200)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수유용기(1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게 되는 수유기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유용기(100) 하부에는 암 결합부(12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젖꼭지(300)에는 수 결합부(340)가 형성되고,
    상기 수유관(200)의 일단에는 수 결합부(24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유관(200)의 타단에는 암 결합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수유용기(100)와 상기 젖꼭지(300) 및 상기 수유관(200)에 형성된 암 결합부(120)(220)와 수 결합부(240)(340)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젖꼭지(300)를 상기 수유용기(100)에 상기 수유관(200)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수유용기(100)에 직접 연결할 수 있게 되는 수유기구.
KR1020220081943A 2022-07-04 2022-07-04 수유기구 KR20240003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943A KR20240003979A (ko) 2022-07-04 2022-07-04 수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943A KR20240003979A (ko) 2022-07-04 2022-07-04 수유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979A true KR20240003979A (ko) 2024-01-11

Family

ID=8953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943A KR20240003979A (ko) 2022-07-04 2022-07-04 수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9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947A (ko) 2011-06-01 2012-12-11 이문현 착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947A (ko) 2011-06-01 2012-12-11 이문현 착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3859A (en) Baby bottle feeding system
EP0414673B1 (en) Nursing bottle for infants
US20120016416A1 (en) Teething Glove
US20010027956A1 (en) Infant feeding device
US20110106156A1 (en) Pacifier and feeding device
CN216318918U (zh) 自动喂食装置
KR20240003979A (ko) 수유기구
US20150272832A1 (en) Pacifier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230147362A1 (en) Combined Infant Feeding and Pacifier Retention Device
AU5049999A (en) Infant feeding device
KR101362427B1 (ko)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
US11564869B2 (en) Combined infant feeding and pacifier retention device
KR200431695Y1 (ko) 유아용 수유 장치
KR200378031Y1 (ko) 커플링 및 이 커플링을 갖는 젖병
KR102472331B1 (ko) 기능성 젖병
KR200258851Y1 (ko) 유아용 젖병자동고정장치
CN109689008B (zh) 用于婴儿食物调温和输送的系统
KR200223432Y1 (ko) 사이폰식 우유 공급장치
KR101948762B1 (ko) 젖병
CN217724124U (zh) 一种防呛防胀气ppsu奶瓶
CN211188333U (zh) 一种防呛奶的组装型乳旁加奶器
KR200247357Y1 (ko) 유아용 수유기
JP2002065813A (ja) 哺乳用乳首
KR101383328B1 (ko) 수유용 젖병
KR200193400Y1 (ko) 유아용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