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427B1 -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427B1
KR101362427B1 KR1020120123776A KR20120123776A KR101362427B1 KR 101362427 B1 KR101362427 B1 KR 101362427B1 KR 1020120123776 A KR1020120123776 A KR 1020120123776A KR 20120123776 A KR20120123776 A KR 20120123776A KR 101362427 B1 KR101362427 B1 KR 101362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nipple
milk powder
bottl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원
Original Assignee
신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원 filed Critical 신지원
Priority to KR1020120123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6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elongated tubes, e.g. for drinking from bottle in upright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05Teats having additional ports, e.g. for connecting syringes or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6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fluid lev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외측으로 관통된 분유공급관이 설치되어 젖꼭지에 연결되는 젖꼭지연결부재; 내외측으로 관통된 분유배출관이 설치되고, 이 분유배출관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젖병 내부로 연장되도록 일정길이의 분유흡입호스사 설치되어 젖병의 입구측에 연결되는 젖병연결부재; 상기 젖꼭지연결부재의 분유공급관과 젖병연결부재의 분유배출관에 각 일단이 연결되는 분유공급호스가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젖병에 채워진 분유를 젖꼭지 측으로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공급하는 분유자동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Milk powder feeding apparatus for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생아 및 젖먹이에게 젖이나 분유를 공급할 때 젖병과 분리된 젖꼭지만 물린 상태에서 젖병에 채워진 젖이나 분유를 자동으로 젖꼭지 측으로 자동 공급되도록 하여 보호자가 젖병을 들고 젖이나 분유를 먹이는 불편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자동 분유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생아는 물론 출생 후 일정기간을 거치는 유아기 동안 유아들은 엄마 젖을 먹거나 엄마 젖을 대체하는 분유(분말상태의 분유를 물에 탄 것)를 먹고 생활하게 된다.
또한 엄마 젖을 먹이는 경우에도, 항상 유아를 돌보지 못하는 경우에는 엄마 젖을 짜서 젖병에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마다 유아에게 젖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신생아가 출생하게 되면 젖을 떼기 전까지 일정기간 동안 유아기를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유아기 동안에는 일정기간 엄마 젖을 수유한 후에는 분유를 먹여 유아에 필요한 음식이나 영양분을 제공하게 되고, 엄마 젖이 충분하지 않거나 젖이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출생 후부터 바로 분유를 먹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유아들의 성장기에는 반드시 젖병을 필요로 하는데, 종래의 경우 젖병에 일정량의 분유나 젖, 우유(이하, 분유라 통칭함) 등을 채워서 유아들에게 급이하기 위해서는 유아들이 스스로 젖병을 파지할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반드시 보호자가 젖병을 한 손으로 잡고 젖꼭지를 유아의 입에 넣어서 유아들이 젖꼭지를 빨아 젖병에 채워진 분유를 섭취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유아들의 소화능력이 약해 그 섭취량이 적고 섭취하는 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젖병에 채워진 분유를 다 섭취하는 동안 보호자는 고정된 자세로 젖병을 손으로 파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그 자세가 불편하고, 분유를 먹이를 동안에는 어떠한 다른 일을 수행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유아가 아니더라도 신체적으로 손이나 팔을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자들이나 환자들에게 식사나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보호자나 간병인이 물병이나 젖병 등을 손으로 잡고 환자나 장애자에게 필요한 음식을 제공할 수 밖에 없어서, 음식을 먹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간병인 및 보호자의 도움이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물론, 환자들의 경우 간병인 없이도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기구에 음식물이나 약액이 담겨진 봉투를 걸어놓고 호스를 환자에게 연결하여 일정량씩 음식 또는 약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방법도 사용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기구는 병원 등과 같은 특정 시설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엇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젖병을 이용하여 유아에게 분유 급이시 발생되었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젖병을 이용하여 유아에게 필요한 분유를 제공할 때 보호자가 직접 젖병을 잡고 보조할 필요없이 유아 혼자서 필요한 분량의 분유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자동 분유급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상인의 유아 뿐만 아니라 신체가 불편한 장애자나 환자들과 같이 반드시 보호자나 간병인의 도움으로 음식을 섭취할 수 밖에 없는 경우, 액상의 음식이나 음료 등을 스스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 및 간병인의 편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동 분유급이장치는 내외측으로 관통된 분유공급관이 설치되어 젖꼭지에 연결되는 젖꼭지연결부재; 내외측으로 관통된 분유배출관이 설치되고, 이 분유배출관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젖병 내부로 연장되도록 일정길이의 분유흡입호스사 설치되어 젖병의 입구측에 연결되는 젖병연결부재; 상기 젖꼭지연결부재의 분유공급관과 젖병연결부재의 분유배출관에 각 일단이 연결되는 분유공급호스가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젖병에 채워진 분유를 젖꼭지 측으로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공급하는 분유자동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젖꼭지연결부재에는 젖꼭지의 내부에 채워진 분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와, 상기 유량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유량감지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발신하는 통신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분유자동공급부에는 상기 유량감지센서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분유공급을 제어하는 통신모듈 및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되는 피드펌프와, 상기 통신모듈과 피드펌프 및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유자동공급부에는 분유를 공급하는 피드펌프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스위치와, 피드펌프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등 및 파워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밧데리는 충방전 및 교체 가능한 2차 전지로 이루어지되, 외부에서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본체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전원입력단자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동 분유급이장치는 분유를 공급받는 피급이자가 스스로 젖병이나 분유병을 손으로 파지하기 어려운 경우, 피급이자의 입에 젖꼭지만을 물려놓은 상태에서 젖꼭지에서 분리된 젖병으로부터 분유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피급이자가 특별한 어려움 없이 음식물의 섭취가 가능하다.
또한, 보호자나 간병인이 젖병을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없어서 피급이자가 분유와 같은 음식물을 섭취하고 있는 동안에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다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젖꼭지 내부로 공급된 분유의 양이 피급이자의 섭취로 인해 줄어드는 경우, 분유자동공급부에서 자동으로 적정량의 분유가 공급되므로 분유의 섭취가 편리하며, 피급이자가 배가 불러서 더 이상 젖꼭지를 빨지 않을 경우 젖꼭지 내부에 채워진 분유의 양이 줄어들지 않게 되어 분유자동공급부는 자동으로 분유의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피급이자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분유의 공급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급이의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젖병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의 구성에서 젖꼭지연결부재의 일측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의 구성에서 분유자동공급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동 분유급이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동 분유급이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50)의 전체 구성도로서, 그 주요구성으로 젖꼭지에 연결되는 젖꼭지연결부재(12)와, 젖병의 입구측에 연결되는 젖병연결부재(22) 및 상기 젖꼭지연결부재(12)와 젖병연결부재(22) 사이에 설치되어 젖병에 채워진 분유를 젖꼭지 측으로 공급하는 분유자동공급부(30)로 구성된다.
상술한 주요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젖꼭지연결부재(12)는 젖꼭지(10)의 입구측에 형성되어 젖병과 연결되도록 내주연에 나선형이 형성된 내측체결부(11)에 결합되어 젖꼭지(10)의 내부를 밀폐하도록 구형으로 이루어지되, 구형의 외주연에는 상기 젖꼭지(10)의 내측체결부(11)와 나사 결합되도록 외측체결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체결부(13)의 선단부에는 외측체결부(13)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젖꼭지(10)의 내측체결부(11) 선단에 밀착되어 상기 젖꼭지에 결합된 젖꼭지연결부재의 연결부 사이로 분유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턱부(1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젖꼭지(10)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은 외측체결부(13)의 선단부에서 수직으로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거나 또는 외측체결부(13)의 내측으로 중공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젖꼭지연결부재(12)를 젖꼭지(10)에 결합시킬 때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5)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에는 상술한 젖꼭지연결부재(12)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젖꼭지연결부재(12)의 내부에는 내외측 방향으로 분유공급관(16)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분유공급관(16)의 양단은 젖꼭지연결부재(12)의 내외측면에서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젖꼭지연결부재(12)의 내면에 돌출된 분유공급관(16)의 일측에는 유량감지센서(17)가 설치되고, 상기 유량감지센서(17)는 젖꼭지연결부재(12)의 내측에 매립 설치된 통신모듈(18)과 연결되어 젖꼭지(10)의 내부에 채워진 유량을 감지하여 일정한 신호를 보내고, 상기 통신모듈(18)로 전달된 유량의 전기적인 신호는 후술하는 분유자동공급부(30)의 통신모듈(43)로 유량의 신호를 전달하여 분유자동공급부(3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젖꼭지연결부재(12)의 외면으로 돌출된 분유공급관(16)에는 분유자동공급부(30)로부터 분유가 공급되는 분유공급호스(31)가 연결되며, 상기 분유공급관(16)의 내부에는 젖꼭지 측으로 공급된 분유가 다시 분유공급호스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체크밸브(도시안됨)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유공급호스(31)는 연질의 플라스틱소재로 이루어져 신축성과 방향조절성이 뛰어나도록 구성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젖병(20)에 연결되는 젖병연결부재(22)는 젖병(20)의 입구측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외측체결부(21)에 연결되도록 환형으로 이루어진 일측단 내주연에 나선형의 내측체결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체결부(24)가 젖병(20)의 외측체결부(21)에 연결되어 젖병의 내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외측체결부가 형성된 타측은 밀폐된 차단벽(26)이 형성되어 젖병의 마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26)에는 일정 길이의 분유배출관(28)이 차단벽의 내외측 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차단벽(26)의 내외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단벽(26)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분유배출관(28)에는 젖병연결부재(22)가 젖병(20)과 결합되는 경우 젖병(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젖병에 채워진 분유를 흡입할 수 있는 분유흡입호스(29)가 일정길이 연장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26)의 외측면으로 돌출된 분유배출관(28)의 선단부에는 상기 분유흡입호스(29)를 통해 흡입된 분유가 배출되어 분유자동공급부(30)에 공급되도록 일정 길이의 분유공급호스(32)가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유자동공급부(30)는 젖병(20)에 연결된 젖병연결부재(22)에 채워진 분유를 흡입하여 피급이자가 입에 물고 있는 젖꼭지(10)에 연결된 젖꼭지연결부재(12)로 분유를 자동으로 공급 및 제어하는 장치로, 분유자동공급부(30)는 그 본체(30a)의 양측에 상기 젖병연결부재(22)와 젖꼭지연결부재(12)의 외측면에 각각 돌출된 분유배출관(28)과 분유공급관(16) 사이에서 분유공급호스(31,32)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분유흡입구(33)와 분유배출구(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유흡입구(33)와 분유배출구(34)는 그 본체(30a)의 내부에 설치된 피드펌프(35)에 각각 연결되어 젖병 측에서 분유를 강제흡입하여 젖꼭지 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유자동공급부(30)의 내부 구성이 도 4의 블럭도로 간단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분유자동공급부(30)에는 젖꼭지연결부재(12)에 구비되어 젖꼭지 내부에 채워지는 분유량을 감지한 유량감지센서(17) 및 통신모듈(18)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수신되는 통신모듈(36)이 구비되고, 상기 통신모듈(36)에서 수신된 신호는 마이컴(38)의 제어부를 통해 피드펌프(35)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이컴(38)에는 젖꼭지 내부에 채워지는 분유량의 하한치와 상한치 값이 기 설정되어 있어서 통신모듈(36)에 수신된 젖꼭지 내부의 분유량을 파악하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피드펌프(35)가 구동되도록 구동명령을 내리고,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피드펌프(35)의 구동을 정지시켜 분유공급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분유자동공급부(30)에 구비된 각 구성은 2차 전지로 이루어진 밧데리(39)에 의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며, 상기 밧데리(39)는 본체(30a)의 외측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전원입력단자(39a)를 통해 외부전원으로부터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유자동공급부(30)의 본체 외측면에는 분유자동공급부의 전체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파워스위치(37)가 구비되며, 본체(30a) 내부의 피드펌프(35)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등(37a)과, 피드펌프(35)의 분유공급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스위치(37b)가 추가로 구비되어 본체(30a) 내부에 구비된 마이컴(38)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동 분유급이장치(50)가 젖꼭지와 젖병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상술한 자동 분유 급이장치(50)의 동작관계가 블럭도로 간단히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급이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연결부재(12)는 젖꼭지(10)에 연결하여 피급이자의 입에 물려주고 젖병연결부재(22)는 분유가 채워진 젖병(20)에 연결한다.
젖꼭지연결부재와 젖병연결부재에는 분유자동공급부(30)의 양측에 연결된 분유공급호스(31,32)와 연결된 상태에서 분유자동공급부(30)의 본체(30a)에 구비된 파워스위치(37)를 켠다.
상기 파워스위치(37)를 켜면 피급이자의 입에 물려있는 젖꼭지연결부재에 장착된 유량감지센서에서 젖꼭지 내부의 분유량을 감지한 신호를 통신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통신모듈(18)에서 송신된 신호는 분유자동공급부(30)에 구비된 도 다른 통신모듈(43)에 수신되어 마이컴(38)의 제어부를 통해서 피드펌프(35)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피드펌프가 동작됨으로 인해서 젖병에 저장된 분유가 분유공급호스를 통해 피드펌프로 흡입된 후에 다시 분유공급호스를 통해 젖꼭지연결부재로 공급되고, 젖꼭지연결부재에 채워진 분유는 피급이자의 흡입력에 의해 젖꼭지에서 배출되어 피급이자에게 공급된다.
피드펌프에서 공급되는 분유는 젖꼭지 내부에 일정량 채워질 때까지 계속적으로 분유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며, 젖꼭지 내부에 설정된 기준량 이상의 분유가 채워지게 되면, 상기 피드펌프는 유량감지센서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그 동작이 정지되어 분유공급을 중지하게 된다.
또한, 피급이자가 젖꼭지 내부에 채워진 분유의 섭취를 계속하게 되어 젖꼭지 내부에 채워진 분유의 양이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젖꼭지 내부에 설치된 유량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다시 상기 피드펌프는 재 구동되어 젖병의 분유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분유급이장치(50)는 젖꼭지를 물고 있는 피급이자의 분유 섭취량에 따라 젖꼭지 내부에 잔류하는 분유량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젖병의 분유를 공급하게 되므로, 피급이자가 분유를 다 먹는 동안 보호자가 젖병을 들고 있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피급이자는 자신의 섭취능력에 따라 적당한 양의 분유섭취를 할 수 있어 욕구불만이나 과식으로 인한 스트레스, 과체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적용된 통신모듈(18,36)은 유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되는 것으로, 간편한 사용과 관리의 편리를 위해 무선통신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유자동공급부(30)의 본체(30a)에 구비되어 젖병으로부터 분유가 흡입되는 분유흡입구(33)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1개만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한 개 이상 즉 두 개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분유나 이유식을 동시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유흡입구(33)가 복수개로 구성될 경우, 한쪽의 분유흡입구로는 일반 분유를 제공하고 다른 한쪽의 분유흡입구로는 약물이나 기타 성장기에 필요한 각종의 이유식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서 입맛이 까다로운 젖먹이의 유아들에게도 다양한 종류의 이유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젖꼭지연결부재(12)와 젖병연결부재(22) 사이에서 분유자동공급부(30)와 연결되는 분유공급호스(31,32)는 쉽게 꼬이지 않고 내부에 분유의 찌거기 등이 쉽게 쌓이지 않는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드펌프(35)의 동작은 본체(30a)의 일측에 구비된 속도조절스위치(37b)에 의해 분유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성장하는 유아들에 맞춰서 분유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이 더욱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유자동공급부(30)에서 본체(30a)의 내부에 구비된 피드펌프(35)와 마이컴(38)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39)는 2차 전지로 구성되며, 상기 밧데리(39)는 본체(30a)의 외측으로 노출된 전원입력단자(39a)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분유자동공급부(30)의 본체(30a) 외측면에는 동작표시등(37a)이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동작표시등을 보고 피드펌프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5,20 : 젖병 10 : 젖꼭지
11 : 내측체결부 12 : 젖꼭지 연결부재
13 : 외측체결부 14 : 단턱부
15 : 파지부 16 : 분유공급관
17 : 유량감지센서 18 : 통신모듈
21 : 외측체결부 22 : 젖병연결부재
24 : 내측체결부 26 : 차단벽
28 : 분유배출관 29 : 분유흡입호스
30 : 분유자동공급부 30a : 본체
31,32 : 분유공급호스 33 : 분유흡입구
34 : 분유배출구 35 : 피드펌프
36 : 통신모듈 37 : 파워스위치
37a : 동작표시등 37b :속도조절스위치
38 : 마이컴 39 : 밧데리
39a: 전원입력단자 50 : 자동 분유 급이장치

Claims (3)

  1. 삭제
  2. 내외측으로 관통된 분유공급관이 설치되어 젖꼭지에 연결되는 젖꼭지연결부재와, 내외측으로 관통된 분유배출관이 설치되고, 이 분유배출관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젖병 내부로 연장되도록 일정길이의 분유흡입호스가 설치되어 젖병의 입구측에 연결되는 젖병연결부재와, 상기 젖꼭지연결부재의 분유공급관과 젖병연결부재의 분유배출관에 각 일단이 연결되는 분유공급호스가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젖병에 채워진 분유를 젖꼭지 측으로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공급하는 분유자동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젖꼭지연결부재에는 젖꼭지의 내부에 채워진 분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와, 상기 유량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유량감지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발신하는 통신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분유자동공급부에는 상기 유량감지센서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분유공급을 제어하는 통신모듈 및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되는 피드펌프와, 상기 통신모듈과 피드펌프 및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동 분유급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자동공급부에는 분유를 공급하는 피드펌프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스위치와, 피드펌프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등 및 파워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밧데리는 충방전 및 교체 가능한 2차 전지로 이루어지되, 외부에서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본체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전원입력단자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동 분유급이장치.
KR1020120123776A 2012-11-02 2012-11-02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 KR101362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776A KR101362427B1 (ko) 2012-11-02 2012-11-02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776A KR101362427B1 (ko) 2012-11-02 2012-11-02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427B1 true KR101362427B1 (ko) 2014-02-19

Family

ID=5027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776A KR101362427B1 (ko) 2012-11-02 2012-11-02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4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4939A (zh) * 2021-02-24 2021-05-07 常州市武进人民医院 婴儿吸食母乳实时计量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944U (ko) * 1989-07-14 1991-03-06
JPH0340056U (ko) * 1989-08-28 1991-04-17
KR100910533B1 (ko) 2008-10-24 2009-07-31 박정현 모유 수유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944U (ko) * 1989-07-14 1991-03-06
JPH0340056U (ko) * 1989-08-28 1991-04-17
KR100910533B1 (ko) 2008-10-24 2009-07-31 박정현 모유 수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4939A (zh) * 2021-02-24 2021-05-07 常州市武进人民医院 婴儿吸食母乳实时计量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886B2 (en) Medicine dispensing system
US8852144B2 (en) Nursing device
US20040188372A1 (en) Feeding device and feeding method for infants
US8568352B2 (en) Nursing device
US8568351B2 (en) Nursing device
KR101362427B1 (ko)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
CN215425348U (zh) 一种加奶式乳头矫正器
CN211272456U (zh) 一种新生儿母乳喂养辅助器
KR20100134493A (ko) 모유와 우유를 동시에 수유 가능한 젖병
CN211934890U (zh) 一种鼓励新生儿吮吸促进母乳成功喂养的设备
CN214969328U (zh) 恒温喂食装置
CN210158945U (zh) 一种改良医用型辅助加奶器
CN202961222U (zh) 自动对进食人喂食装置
CN203898750U (zh) 一种重症监护室护理用的流食喂养器
CN218485097U (zh) 一种吸吮训练装置及具有该装置的奶量补充组件
CN219614413U (zh) 可调速人工喂养装置
CN214713475U (zh) 一种重症病房病人护理专用喂食器
CN214049788U (zh) 一种具有自动关闭功能的流食输送装置
CN214511924U (zh) 一种乳旁加奶器
US11779688B2 (en) Breast shield
CN219148577U (zh) 新生儿头戴式安抚奶嘴
CN212016194U (zh) 一种乳旁加奶器
CN213697974U (zh) 一种儿科护理用喂药器
CN201299808Y (zh) 一种偏瘫病人卧床用流质饮用器
CN215690000U (zh) 一种适用于新生儿的初乳吸吮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