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741A - 안전화 - Google Patents

안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741A
KR20240003741A KR1020230100586A KR20230100586A KR20240003741A KR 20240003741 A KR20240003741 A KR 20240003741A KR 1020230100586 A KR1020230100586 A KR 1020230100586A KR 20230100586 A KR20230100586 A KR 20230100586A KR 20240003741 A KR20240003741 A KR 20240003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protrusion
safety shoes
safety
li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웅
Original Assignee
신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웅 filed Critical 신재웅
Publication of KR2024000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741A/ko
Priority to KR1020240013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7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toe-spacers or toe-sprea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이 착용되는 안전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돌출부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새끼발가락이 움직이는 공간을 확보하여, 발의 통증 및 부상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안전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화{SAFETY SHOES}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이 착용되는 안전화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안전화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화는 공장이나 공사 현장 등에서 발에 떨어지는 낙하물로부터 발을 보호하거나, 보행중 매우 날카롭거나 딱딱한 물체에 발의 앞 부분이 부딪혀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신발을 의미한다.
특히, 공사 현장에서 쓰이는 안전화는 무거운 물체가 떨어져 발을 상해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낙하물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외피의 두께가 아주 두꺼워야 하며, 그 두께는 산업안전 규정으로 정해져 있다.
또한, 바닥에 떨어진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물체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아웃솔 및 미드솔 등의 바닥재의 두께도 두꺼워야 한다.
이에 따라, 안전화를 전체적 구조상 발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재질 자체가 경질의 외피로 제작되며, 바닥재 또한 두께를 감안함과 동시에 활동성을 위하여, 부드럽고 압축력이 강한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안전화는 그 두께가 많이 두꺼워질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착용자의 착용감이 일반 신발에 비해 많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안전화의 경질의 외피에 의해 착용자가 답답함을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착용자가 장시간 착용시 발의 불편함, 나아가 발의 통증을 느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462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돌출부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새끼발가락이 움직이는 공간을 확보하여, 발의 통증 및 부상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안전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안전화는, 착용자의 발이 착용되는 안전화에 있어서, 상기 발이 얹어지는 안창; 상기 안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화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발을 감싸도록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화의 형상을 이루는 외피; 및 상기 발의 새끼발가락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피의 내측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새끼발가락이 움직일 내부 공간이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안전화는, 착용자의 발이 착용되는 안전화에 있어서, 상기 발이 얹어지는 안창; 상기 안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화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안전화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발의 새끼발가락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토우캡; 상기 토우캡 및 상기 발을 감싸도록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화의 형상을 이루는 외피; 및 상기 새끼발가락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피의 내측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새끼발가락이 움직일 내부 공간이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안전화는, 착용자의 발이 착용되는 안전화에 있어서, 상기 발이 얹어지는 안창; 상기 안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화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발을 감싸도록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화의 형상을 이루는 외피; 및 상기 안전화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발의 새끼발가락 위치에 전방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가 구비되는 토우캡; 상기 발의 새끼발가락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피의 내측에서 상기 오목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새끼발가락이 움직일 내부 공간이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으며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는 볼록부가 구비되고, 상기 토우캡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토우캡과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볼록부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에 의해 상기 외피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는, 내측에 상기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구비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테두리부가 연결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 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는 모두 폐쇄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오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이음부는 상기 오각형 형상의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5개의 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는, 내측에 상기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구비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테두리부가 연결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 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의 후방을 제외한 영역이 폐쇄되고, 상기 이음부의 후방은 개방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오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이음부는 상기 오각형 형상의 후방을 제외한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안전화는, 착용자의 발이 착용되는 안전화에 있어서, 상기 발이 얹어지는 안창; 상기 안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화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안전화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발의 새끼발가락 위치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새끼발가락이 움직일 내부 공간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된 토우캡; 및 상기 토우캡을 감싸며, 상기 안전화의 형상을 이루는 외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이 연결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 이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의 후방을 제외한 영역이 폐쇄되고, 상기 이음부의 후방은 개방된다.
또한, 상기 토우캡과 상기 돌출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안전화는, 착용자의 발이 착용되는 안전화에 있어서, 상기 발이 얹어지는 안창; 상기 안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화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발을 감싸도록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화의 형상을 이루고, 상기 새끼발가락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그 내측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새끼발가락이 움직일 내부 공간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는 외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화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발의 새끼발가락 위치에 전방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가 구비되는 토우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부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연질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안전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새끼발가락이 움직일 공간이 확보되어 새끼발가락이 외피의 내측 또는 토우캡의 내측에 닿아 통증이 유발되거나,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새끼발가락을 보호해줄 수 있다.
연질부재를 통해 새끼발가락이 돌출부의 내측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앞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서 외피를 벗겨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서 돌출부재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토우캡의 사시도.
도 6은 착용자의 발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돌출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서 외피를 벗겨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앞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서 돌출부재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돌출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서 외피를 벗겨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토우캡의 사시도.
도 13c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토우캡의 평면도.
도 14는 착용자의 발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앞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서 외피를 벗겨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서 외피를 벗겨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아래의 사항을 전제한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도 1 내지 도 13c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 10a, 10b, 10c)은 오른쪽 발에 사용되는 오른발용 안전화(10, 10a, 10b, 10c)를 기준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왼쪽 발용 안전화는 후술할 설명에 따른 안전화(10, 10a, 10b, 10c)와 좌우로 대칭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
이하, 도 1 내지 도 7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앞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서 외피를 벗겨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서 돌출부재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토우캡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착용자의 발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돌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는, 착용자의 발(F)이 착용되는 안전화(10)로서, 착용자의 발(F)이 얹어지는 안창(110)과, 안창(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드솔(120)과, 안창(110) 및 미드솔(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안전화(10)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130)과, 착용자의 발(F)을 감싸도록 미드솔(120) 및 아웃솔(130)의 상부에 구비되며, 안전화(10)의 형상을 이루는 외피(140)와, 발(F)의 새끼발가락(LT) 위치에 전방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60)가 구비되는 토우캡(200)과, 발(F)의 새끼발가락(LT)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외피(140)의 내측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새끼발가락(LT)이 움직일 내부 공간(411)이 형성된 돌출부재(400)와, 안전화(10)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오목부(26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으며 오목부(260)에 끼워지는 볼록부(310)가 구비되고, 토우캡(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토우캡(200)과 결합되는 결합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창(110)은 착용자의 발(F)이 얹어져 발바닥이 닿는 부분이며, 미드솔(120)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안창(110)은 토우캡(200)의 절곡부(250)의 상부에 위치한다.
안창(110)의 하부에는 미드솔(120) 및 아웃솔(130)이 구비된다.
미드솔(120)의 하부에는 안전화(10)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130)이 구비된다.
미드솔(120) 및 아웃솔(130)의 상부에 착용자의 발(F)을 감싸는 외피(140)가 구비된다.
외피(140)는 착용자의 발(F)과, 토우캡(200)의 외면을 감싸며, 안전화(10)의 외면 및 형상을 이룬다.
낙하물 및 날카로운 물체로부터 착용자의 발(F)을 보호하기 위해, 외피(140)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화(10)는 미드솔(120)과 미드솔(120)의 하부에 아웃솔(130)이 구비됨으로써, 아웃솔(130)이 안전화(10)의 바닥을 이루는 다층 겉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안전화(10)는 미드솔(120) 또는 아웃솔(130)만으로 구비됨으로써, 미드솔(120) 또는 아웃솔(130)이 안전화(10)의 바닥을 이루는 단층 겉창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우캡(200)은 안전화(10)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토우캡(200)의 전방면을 이루는 전방벽(210)과, 토우캡(200)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220)과, 토우캡(200)의 엄지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엄지발가락측벽(230)과, 토우캡(200)의 새끼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새끼발가락측벽(240)과, 전방벽(210), 엄지발가락측벽(230) 및 새끼발가락측벽(24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며, 토우캡(200)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절곡부(250)와, 새끼발가락측벽(24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200)의 전방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오목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토우캡(200)은, 전방벽(210), 상부벽(220), 엄지발가락측벽(230), 새끼발가락측벽(240)이 각각 토우캡(200)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전방벽(210), 엄지발가락측벽(230) 및 새끼발가락측벽(24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250)가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새끼발가락측벽(240)의 후방단부에는 새끼발가락측벽(24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200)의 전방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24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오목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통해, 토우캡(200)은, 바닥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전방벽(210), 상부벽(220), 엄지발가락측벽(230) 및 새끼발가락측벽(240)에 의해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이 폐쇄된 형상을 갖게 된다. 단, 이 경우, 새끼발가락측벽(240)의 일부는 오목부(260)에 의해 개방되므로, 새끼발가락측벽(240)에 오목부(260)가 형성된 측방으로 영역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전방벽(210), 상부벽(220), 엄지발가락측벽(230) 및 새끼발가락측벽(240)은 서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전방벽(210), 상부벽(220), 엄지발가락측벽(230) 및 새끼발가락측벽(240) 각각이 곡면으로 처리되어, 토우캡(200)의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전체적으로 유선형 형상을 갖는다.
절곡부(250)는 전방벽(210), 엄지발가락측벽(230) 및 새끼발가락측벽(240) 각각의 하부에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다.
절곡부(250)는 토우캡(200)의 바닥면의 일부만을 이루게 된다. 절곡부(25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U' 자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토우캡(200)의 바닥면은 'U' 자 형상의 내부가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절곡부(250)는 전방벽(210), 엄지발가락측벽(230) 및 새끼발가락측벽(240) 각각의 내면과, 절곡부(250)의 상면이 이루는 사잇각이 90°이상이 되도록, 토우캡(200)의 바닥면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 경우, 절곡부(250)의 폭은 수㎜ 내지 수십㎜의 길이를 갖는다.
토우캡(200)은 금속 재질 등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낙하물로부터 발(F)을 보호할 수 있다.
안전화(10)에 토우캡(200)이 구비될 경우, 절곡부(250)의 상부에는 안창(110)이 위치하게 된다.
전방벽(210)은 토우캡(200)의 전방면을 이루며,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전방벽(210)은 곡률을 갖는 곡선을 갖으며, 이를 통해, 전방벽(210)은 유선형 형상을 갖는다.
상부벽(220)은 전방벽(210)의 중앙 후방단부에서 연장되며, 토우캡(200)의 상면을 이룬다.
상부벽(220)은 신발 착용자의 발가락들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낙하물로부터 착용자의 발가락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엄지발가락측벽(230)은 전방벽(210)의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에서 연장되며, 토우캡(200)의 측면을 이룬다.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화(10)가 오른발용 안전화(10)일 경우, 토우캡(200)의 엄지발가락측벽(230)은 토우캡(200)의 좌측면을 이룬다.
엄지발가락측벽(230)은 후방으로 갈수록 엄지발가락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엄지발가락측벽(230)은 곡률을 갖는 곡선을 갖으며, 이를 통해, 유선형 형상을 갖는다.
새끼발가락측벽(240)은 전방벽(21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에서 연장되며, 토우캡(200)의 측면을 이룬다. 안전화(10)가 오른발용 안전화(10)일 경우, 토우캡(200)의 새끼발가락측벽(240)은 토우캡(200)의 우측면을 이룬다.
새끼발가락측벼(340) 에는 오목부(260)가 구비된다.
오목부(260)는 새끼발가락측벽(24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200)의 전방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오목부(260)는 새끼발가락측벽(24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킨다.
이러한 오목부(2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안전화(10)를 착용할 때, 새끼발가락(LT)이 토우캡(200)의 새끼발가락측벽(24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오목부(260)는 착용자가 토우캡(200)이 구비된 안전화(10)를 신을 때, 새끼발가락(LT)이 위치하는 곳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새끼발가락(LT)이 토우캡(200)의 새끼발가락측벽(24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오목부(260)는 절곡부(250)의 상부에 형성된다.
오목부(260)는 절곡부(250)와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로 인해, 오목부(260)와 절곡부(250)의 사이에는 이격부(241)가 형성된다.
이격부(241)는 오목부(260)의 하부에서 절곡부(250)와 오목부(260)를 연결하는 새끼발가락측벽(240)의 일부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오목부(260)는 절곡부(250)와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오목부(260)와 절곡부(250)의 사이에는 이격부(241)가 형성되며, 이격부(241)는 오목부(260)의 하부에서 절곡부(250)와 오목부(260)를 연결하는 새끼발가락측벽(240)의 일부분이다.
위와 같이, 오목부(260)와 절곡부(250)의 사이에 이격부(241)가 형성됨에 따라, 오목부(260)의 곡면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격부(241)가 형성됨에 따라, 토우캡(20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오목부(260)의 기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전술한 오목부(260)의 구성으로 인해, 토우캡(200)의 엄지발가락측벽(230)과 새끼발가락측벽(240)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 토우캡(200)의 엄지발가락측벽(230)과 새끼발가락측벽(240)은 상호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재(400)는, 발(F)의 새끼발가락(LT)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토우캡(200)의 외측 및 외피(140)의 내측에 구비된다. 즉, 돌출부재(400)는 토우캡(200)과 외피(140)의 사이에 개재된다.
돌출부재(400)는, 내측에 내부 공간(411)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410)와, 돌출부(4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테두리부(420)와, 돌출부(410)와 테두리부(420)가 연결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 이음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410)는 내측에 내부 공간(411)이 형성되도록 테두리부(420)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세하게, 돌출부(410)는 외피(140)에서 새끼발가락(LT)이 대응되는 위치에 테두리부(420)를 기준으로 볼록하게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경우, 돌출부(410)의 돌출 길이는 2㎜ 이상,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410)는 전체적으로 오각형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410)의 후방이 돌출부(410)의 오각형의 5개의 변 중 가장 길이가 긴 변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두리부(420)는 돌출부(4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테두리부(420)는 평평한 형상을 갖으며, 돌출부(410)는 테두리부(420)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된다.
테두리부(420)의 외측면은 돌출부(410)의 외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돌출부(410)의 내측면의 내측에 내부 공간(411)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테두리부(420)의 내측면은 돌출부(410)의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내부 공간(411)은 테두리부(420)의 내측면에서부터 돌출부(410)의 내측면까지의 공간이다.
테두리부(420)의 내측면이 토우캡(200)의 외측면에 접촉됨으로써, 돌출부재(400)의 돌출부(410)가 토우캡(200)의 오목부(260)에 대응되는 위치할 때, 테두리부(420)를 통해 돌출부재(400)가 지지될 수 있다.
이음부(430)는 돌출부(410)와 테두리부(420)가 연결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돌출부(410)가 오각형 형상을 갖을 경우, 이음부(430)는 오각형 형상의 돌출부(410)에 대응되도록 5개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음부(430)는 모두 폐쇄되게 형성된다.
이음부(430)의 면들의 경계선은 돌출부(410)의 꼭지점에 연결된다. 따라서, 돌출부(410)가 오각형 형상을 갖게 될 경우, 5개의 꼭지점은 5개의 면의 경계선들과 서로 연결된다.
돌출부재(400)는 토우캡(200)의 오목부(26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세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재(400)의 돌출부(410)는 토우캡(200)의 오목부(26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오목부(260)는 돌출부(410)의 내부 공간(41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돌출부재(400)에 의해 외피(140) 또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따라서, 안전화(10)의 전체적인 외관으로 돌출부재(400)의 형상이 보여질 수 있다.
토우캡(200), 돌출부재(400) 및 외피(140)는 열압착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재(400)의 위치가 고정되어 돌출부(410)의 내부 공간(411)은 오목부(260)의 외측에 계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끼발가락(LT)의 움직임이 보장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결합부재(300)는 토우캡(200)의 후방에 배치되며, 토우캡(200)과 전후 방향으로 결합한다.
결합부재(300)의 일측에는 볼록부(310)가 구비된다.
볼록부(310)는 오목부(26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볼록부(310)는 오목부(260)와 대응되는 위치인 결합부재(300)에서 새끼발가락 측면에 구비된다.
볼록부(310)가 오목부(260)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부재(300)와 토우캡(200)이 전후 방향으로 결합된다.
결합부재(300)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결합부재(300)는 착용자의 발등이 토우캡(200)의 상부벽(220)의 후방에 닿아 통증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결합부재(300)에 의해 볼록부(310)와 오목부(260)가 결합하게 되면, 볼록부(310)의 외측에 돌출부(410)의 내부 공간(411)이 위치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는 새끼발가락(LT)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부(260), 볼록부(310) 및 돌출부(410)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오목부(260), 볼록부(310) 및 돌출부(410)를 통해, 착용자의 새끼발가락(LT)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외피(140)의 내측면 또는 토우캡(200)의 새끼발가락측벽(240)에 새끼발가락(LT)이 닿아 답답함을 느끼거나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안전화의 경우, 경질의 외피 또는 토우캡에 의해 착용자의 발가락이 외피의 내측 또는 토우캡의 내측에 닿아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토우캡이 구비된 안전화의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토우캡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게 되면, 그만큼 안전화의 사이즈가 커지고 무거워지게 되어 피팅감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경우, 안전화(10)의 내부에 내측에 내부 공간(411)이 형성된 돌출부(410)를 별도로 구비시켜 새끼발가락(LT)이 외측 방향으로 벗어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안전화(10) 또는 토우캡(200)의 크기를 크게 형성시키지 않아도 공간이 확보되어 안전화(10)의 피팅감을 유지하면서도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300)와 볼록부(310)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볼록부(310)가 있더라도, 새끼발가락(LT)의 자유도가 보장된다. 즉, 볼록부(310)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새끼발가락(LT)이 외측 방향으로 움직일 때, 볼록부(310) 또한 내부 공간(411) 내에서 외측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새끼발가락(LT)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보장된다.
위와 같이, 새끼발가락(LT)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보장됨에 따라, 안전화(10)의 외피(140)가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착용자는 높은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는 토우캡(200)이 구비되지 않는 구조에서도 돌출부재(400)를 통해 새끼발가락(LT)의 공간 확보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a)
이하,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a)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서 외피를 벗겨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a)는, 착용자의 발(F)이 얹어지는 안창(110)과, 안창(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드솔(120)과, 안창(110) 및 미드솔(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안전화(10a)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130)과, 착용자의 발(F)을 감싸도록 미드솔(120) 및 아웃솔(130)의 상부에 구비되며, 안전화(10a)의 형상을 이루는 외피(140)와, 발(F)의 새끼발가락(LT) 위치에 전방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60)가 구비되는 토우캡(200)과, 발(F)의 새끼발가락(LT)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외피(140)의 내측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새끼발가락(LT)이 움직일 내부 공간(411)이 형성된 돌출부재(400)와, 안전화(10a)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오목부(26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으며 오목부(260)에 끼워지는 볼록부(310)가 구비되고, 토우캡(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토우캡(200)과 결합되는 결합부재(300)와, 돌출부재(400)의 돌출부(4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연질부재(4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a)는 연질부재(470)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연질부재(470)는 돌출부재(400)의 돌출부(410)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질부재(470)는 돌출부(410)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 공간(411)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질부재(470)는 내부 공간(411)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질부재(470)는 연질의 부드럽고 탄력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연질부재(470)는 스펀지, EVA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연질부재(470)는 내부 공간(411) 내부에 구비되어 새끼발가락(LT)이 돌출부(410)의 내측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하여, 착용감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즉, 새끼발가락(LT)이 연질의 푹신푹신한 연질부재(470)에 직접 닿게 되므로, 착용자는 새끼발가락(LT)이 비교적 경질의 돌출부재(400)의 돌출부(410)의 내측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보다 더욱 높은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연질부재(470)는 돌출부재(400)의 돌출부(410)의 내측에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연질부재(47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와, 후술할 제3 내지 제6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 ~ 10e)의 내부 공간(411, 411b, 271c, 143e)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
이하, 도 9 내지 도 11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앞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서 돌출부재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돌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는, 착용자의 발(F)이 얹어지는 안창(110)과, 안창(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드솔(120)과, 안창(110) 및 미드솔(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안전화(10b)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130)과, 착용자의 발(F)을 감싸도록 미드솔(120) 및 아웃솔(130)의 상부에 구비되며, 안전화(10b)의 형상을 이루는 외피(140)와, 발(F)의 새끼발가락(LT) 위치에 전방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60)가 구비되는 토우캡(200)과, 발(F)의 새끼발가락(LT)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외피(140)의 내측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새끼발가락(LT)이 움직일 내부 공간(411)이 형성된 돌출부재(400b)와, 안전화(10b)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오목부(26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으며 오목부(260)에 끼워지는 볼록부(310)가 구비되고, 토우캡(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토우캡(200)과 결합되는 결합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는 돌출부재(400b)의 형상이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의 돌출부재(400)의 형상과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돌출부재(400b)는, 발(F)의 새끼발가락(LT)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토우캡(200)의 외측 및 외피(140)의 내측에 구비된다. 즉, 돌출부재(400b)는 토우캡(200)과 외피(140)의 사이에 개재된다.
돌출부재(400b)는, 내측에 내부 공간(411b)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410b)와, 돌출부(410b)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테두리부(420b)와, 돌출부(410b)와 테두리부(420b)가 연결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 이음부(43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410b)는 내측에 내부 공간(411b)이 형성되도록 테두리부(420b)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돌출부(410b)는 외피(140)에서 새끼발가락(LT)이 대응되는 위치에 테두리부(420b)를 기준으로 볼록하게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경우, 돌출부(410b)의 돌출 길이는 2㎜ 이상,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410b)는 전체적으로 오각형 형상을 갖을 수 있다.
테두리부(420b)는 돌출부(410b)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구비된다.
하나의 예로써, 테두리부(420b)는 돌출부(410b)의 후방을 제외한, 전방, 상부, 하부를 따라 구비된다. 즉, 테두리부(420b)는 돌출부(410b)의 후방을 제외한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테두리부(420b)는 평평한 형상을 갖으며, 돌출부(410b)는 테두리부(420b)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된다.
테두리부(420b)의 외측면은 돌출부(410b)의 외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돌출부(410b)의 내측면의 내측에 내부 공간(411b)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테두리부(420b)의 내측면은 돌출부(410b)의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내부 공간(411b)은 테두리부(420b)의 내측면에서부터 돌출부(410b)의 내측면까지의 공간이다.
테두리부(420b)의 내측면이 토우캡(200)의 외측면에 접촉됨으로써, 돌출부재(400b)의 돌출부(410b)가 토우캡(200)의 오목부(260)에 대응되는 위치할 때, 테두리부(420b)를 통해 돌출부재(400b)가 지지될 수 있다.
이음부(430b)는 돌출부(410b)와 테두리부(420b)가 연결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이음부(430b)는 이음부(430b)의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음부(430b)는 이음부(430b)의 후방을 제외한 영역이 폐쇄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10b)가 오각형 형상을 갖을 경우, 테두리부(420b)가 돌출부(410b)의 후방을 제외한 둘레를 따라 구비되므로, 이음부(430b)의 후방 또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이음부(430b)는 돌출부(410b)의 후방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이음부(430b)는 돌출부(410b)의 후방에 대응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돌출부(410b), 테두리부(420b) 및 이음부(430b)의 형상에 의해, 돌출부(410b)의 내부 공간(411b)은 내측과 후방이 개방되고, 전방, 상부, 하부, 외측이 폐쇄된 형상을 갖게 된다.
이음부(430b)의 4개의 면들의 경계선은 돌출부(410b)의 꼭지점에 연결된다. 따라서, 돌출부(410b)가 오각형 형상을 갖게 될 경우, 5개의 꼭지점은 4개의 면의 경계선들과 서로 연결된다.
돌출부재(400b)는 토우캡(200)의 오목부(26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돌출부재(400b)의 돌출부(410b)는 토우캡(200)의 오목부(26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오목부(260)는 돌출부(410b)의 내부 공간(411b)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돌출부재(400b)에 의해 외피(140) 또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따라서, 안전화(10)의 전체적인 외관으로 돌출부재(400b)의 형상이 보여질 수 있다.
토우캡(200), 돌출부재(400b) 및 외피(140)는 열압착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재(400b)의 위치가 고정되어 돌출부(410b)의 내부 공간(411b)은 오목부(260)의 외측에 계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끼발가락(LT)의 움직임이 보장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의 돌출부재(400b)는 이음부(430b)의 후방이 개방된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안전화(10b)를 착용시 이음부(430b)의 후방에 의해 새끼발가락(LT)이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는 돌출부재(400b)의 후방에 형성된 면을 없앰으로써, 안전화(10b)를 착용할 때 새끼발가락(LT)이 돌출부재(400b)의 후방에 형성된 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화(10b)의 높은 착용감이 보장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의 후방이 개방된 돌출부재(400b)는 후술할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d) 및 제6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e)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후술할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d)와 같이, 토우캡(200d)에 오목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토우캡(200d)이 새끼발가락(LT)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후방이 개방된 돌출부재(400b)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6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e)와 같이, 외피(140)의 내측에 돌출부(141e)가 형성될 경우에도, 이음부(142e)는 후방이 개방된 형태, 즉, 이음부(142e)의 후방은 개방되고, 후방을 제외한 전방, 상부, 하부가 폐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c)
이하, 도 12 내지 도 13c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c)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서 외피를 벗겨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토우캡의 사시도이고, 도 13c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토우캡의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c)는, 착용자의 발(F)이 얹어지는 안창(110)과, 안창(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드솔(120)과, 안창(110) 및 미드솔(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안전화(10c)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130)과, 안전화(10c)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발(F)의 새끼발가락(LT) 위치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새끼발가락(LT)이 움질일 내부 공간(271c)이 형성된 돌출부(270c)가 구비된 토우캡(200c)과, 토우캡(200c)을 감싸고, 착용자의 발(F)을 감싸도록 미드솔(120) 및 아웃솔(130)의 상부에 구비되며, 안전화(10c)의 형상을 이루는 외피(140), 안전화(10)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토우캡(200c)의 후방에 배치되어 토우캡(200c)과 결합되는 결합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c)는 돌출부(270c)가 토우캡(200c)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토우캡(200c)의 형상 및 결합부재(300)의 형상이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와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토우캡(200c)은 안전화(10c)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토우캡(200c)의 전방면을 이루는 전방벽(210)과, 토우캡(200c)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220)과, 토우캡(200c)의 엄지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엄지발가락측벽(230)과, 토우캡(200c)의 새끼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새끼발가락측벽(240)과, 전방벽(210), 엄지발가락측벽(230) 및 새끼발가락측벽(24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며, 토우캡(200c)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절곡부(250)와, 새끼발가락측벽(240)의 후방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270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토우캡(200c)은, 전방벽(210), 상부벽(220), 엄지발가락측벽(230), 새끼발가락측벽(240)이 각각 토우캡(200)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전방벽(210), 엄지발가락측벽(230) 및 새끼발가락측벽(24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250)가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게 형성된다.
돌출부(270c)는 새끼발가락(LT) 위치에 대응되도록 새끼발가락측벽(240)의 후방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고,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돌출부(270c)는 내측에 내부 공간(271c)이 형성되도록 새끼발가락측벽(240)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세하게, 돌출부(270c)는 외피(140)에서 새끼발가락(LT)이 대응되는 위치에 새끼발가락측벽(240)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경우, 돌출부(270c)의 돌출 길이는 2㎜ 이상,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270c)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270c)의 내측면의 내측에 내부 공간(271c)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새끼발가락측벽(240)의 내측면은 돌출부(270c)의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내부 공간(271c)은 새끼발가락측벽(240)의 내측면에서부터 돌출부(270c)의 내측면까지의 공간이다.
이음부(273c)는 돌출부(270c)와 새끼발가락측벽(240)이 연결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이음부(273c)는 이음부(273c)의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음부(273c)는 이음부(273c)의 후방을 제외한 영역이 폐쇄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70c)가 사각형 형상을 갖고, 이음부(273c)의 후방이 개방되기 위해, 이음부(273c)는 돌출부(270c)의 후방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이음부(273c)는 돌출부(270c)의 후방에 대응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면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음부(273c)의 3개의 면들의 경계선은 돌출부(270c)의 꼭지점에 연결된다. 따라서, 돌출부(270c)가 사각형 형상을 갖게 될 경우, 4개의 꼭지점은 3개의 면의 경계선들과 서로 연결된다.
위와 같은 돌출부(270c), 새끼발가락측벽(240)및 이음부(273c)의 형상에 의해, 돌출부(270c)의 내부 공간(271c)은 내측과 후방이 개방되고, 전방, 상부, 하부, 외측이 폐쇄된 형상을 갖게 된다.
토우캡(200c)의 돌출부(270c)에 의해, 외피(140) 또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따라서, 안전화(10c)의 전체적인 외관으로 돌출부(270c)의 형상이 보여질 수 있다.
결합부재(300)는 토우캡(200c)의 후방에 배치되며, 토우캡(200c)과 전후 방향으로 결합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c)는 토우캡(200c)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결합부재(300)에 별도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전술한 토우캡(200c)의 돌출부(270c)에 의해, 안전화(10c)에는 착용자의 새끼발가락(LT)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외피(140)의 내측면 또는 토우캡(200c)의 새끼발가락측벽(240)에 새끼발가락(LT)이 닿아 답답함을 느끼거나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새끼발가락(LT)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보장됨에 따라, 안전화(10c)의 외피(140)가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착용자는 높은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돌출부(270c)가 토우캡(200c)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270c)의 위치가 쉽게 고정될 수 있어, 안전화(10c)의 제조가 쉽다.
또한, 돌출부(270c)의 강도가 높게 유지되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새끼발가락(LT)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돌출부(270c) 및 이음부(273c)는 토우캡(200c)에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270c) 및 이음부(273c)는 토우캡(200c)의 새끼발가락측벽(240)에 프레스 등 가공을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토우캡(200c)에 돌출부(270c) 및 이음부(273c)가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될 경우, 토우캡(200c)과 돌출부(270c) 및 이음부(273c)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위와 달리, 돌출부(270c) 및 이음부(273c)는 토우캡(200c)은 별도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토우캡(200c)의 후방단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를 감싸도록 돌출부(270c) 및 이음부(273c)가 구비된다. 따라서, 오목부에 의해 개방되며, 돌출부(270c) 및 이음부(273c)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이 내부 공간(271c)이 된다. 돌출부(270c) 및 이음부(273c)는 토우캡(200c)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토우캡(200c)에 돌출부(270c) 및 이음부(273c)가 별도로 형성될 경우, 토우캡(200c)과 돌출부(270c) 및 이음부(273c)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단, 돌출부(270c) 및 이음부(273c)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d)
이하,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d)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착용자의 발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d)는, 착용자의 발(F)이 얹어지는 안창(110)과, 안창(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드솔(120)과, 안창(110) 및 미드솔(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안전화(10d)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130)과, 착용자의 발(F)을 감싸도록 미드솔(120) 및 아웃솔(130)의 상부에 구비되며, 안전화(10d)의 형상을 이루는 외피(140)와, 안전화(10d)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발(F)의 새끼발가락(LT)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토우캡(200d)과, 발(F)의 새끼발가락(LT)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외피(140)의 내측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새끼발가락(LT)이 움직일 내부 공간(411)이 형성된 돌출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d)는 토우캡(200d)의 형상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d)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토우캡(200d)은, 토우캡(200d)의 전방면을 이루는 전방벽(210)과, 토우캡(200d)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220)과, 토우캡(200d)의 엄지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엄지발가락측벽(230)과, 토우캡(200)의 새끼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새끼발가락측벽(240)과, 전방벽(210), 엄지발가락측벽(230) 및 새끼발가락측벽(24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며, 토우캡(200)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절곡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d)는 토우캡(200d)은 오목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다.
토우캡(200d)은 새끼발가락측벽(240)의 후방단부가 새끼발가락(LT)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토우캡(200d)은 발(F)의 발가락들 중 일부만을 감싸는 형태를 갖게 된다.
돌출부재(400)의 내측에는 토우캡(200d)의 새끼발가락측벽(240)이 위치하게 된다.
새끼발가락(LT)은 돌출부(410)의 내부 공간(411) 내에서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내부 공간(411)에 의해 공간이 확보되므로, 새끼발가락(LT)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보장된다.
토우캡(200d)의 새끼발가락측벽(240)의 후방단부가 새끼발가락(LT)보다 전방에 위치하므로, 내부 공간(411) 내에서 움직이는 새끼발가락(LT)은 새끼발가락측벽(240)에 의해 움직임이 방해되지 않는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d)는 토우캡(200d)이 새끼발가락(LT)을 감싸지 않도록 하고, 돌출부재(400)가 새끼발가락(LT)이 움직일 공간을 확보해줌으로써, 안전화(10d)의 크기를 늘리거나 무게를 늘리지 않고도, 착용자가 발가락의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착용감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e)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e)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앞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서 외피를 벗겨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e)는, 착용자의 발(F)이 얹어지는 안창(110)과, 안창(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드솔(120)과, 안창(110) 및 미드솔(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안전화(10e)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130)과, 착용자의 발(F)을 감싸도록 미드솔(120) 및 아웃솔(130)의 상부에 구비되며, 안전화(10e)의 형상을 이루고, 새끼발가락(LT)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그 내측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새끼발가락(LT)이 움직일 내부 공간(143e)이 형성된 돌출부(141e)가 구비되는 외피(140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e)는 돌출부(141e)가 외피(140e)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e)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외피(140e)는, 내측에 내부 공간(143e)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141e)와, 돌출부(141e)와 외피(140e) 가 연결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 이음부(142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141e)는 내측에 내부 공간(143e)이 형성되도록 외피(140e)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돌출부(141e)의 돌출 길이는 2㎜ 이상,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41e)는 전체적으로 오각형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41e)의 후방이 돌출부(141e)의 오각형의 5개의 변 중 가장 길이가 긴 변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41e)의 내측면의 내측에 내부 공간(143e)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외피(140e)의 내측면은 돌출부(141e)의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내부 공간(143e)은 외피(140e)의 내측면에서부터 돌출부(141e)의 내측면까지의 공간이다.
이음부(142e)는 돌출부(141e)와 외피(140e)가 연결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돌출부(141e)가 오각형 형상을 갖을 경우, 이음부(142e)는 오각형 형상의 돌출부(141e)에 대응되도록 5개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음부(142e)는 모두 폐쇄되게 형성된다.
이음부(142e)의 면들의 경계선은 돌출부(141e)의 꼭지점에 연결된다. 따라서, 돌출부(141e)가 오각형 형상을 갖게 될 경우, 5개의 꼭지점은 5개의 면의 경계선들과 서로 연결된다.
돌출부(400)는 토우캡(200)의 오목부(26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세하게, 돌출부(141e)는 토우캡(200)의 오목부(26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오목부(260)는 돌출부(141e)의 내부 공간(143e)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돌출부(141e) 및 이음부(142e)는 외피(140e)에 열 가공, 프레스 가공 등을 하여 외피(140e)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피(140e)에 돌출부(141e) 및 이음부(142e)가 구비될 경우, 별도의 돌출부재가 필요 없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간편하고, 돌출부재가 움직이게 되어 돌출부(141e)의 위치의 틀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f)
이하, 도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f)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에서 외피를 벗겨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f)는, 착용자의 발(F)이 얹어지는 안창(110)과, 안창(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드솔(120)과, 안창(110) 및 미드솔(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안전화(10f)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130)과, 착용자의 발(F)을 감싸도록 미드솔(120) 및 아웃솔(130)의 상부에 구비되며, 안전화(10f)의 형상을 이루는 외피(140)와, 발(F)의 새끼발가락(LT) 위치에 전방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60)가 구비되는 토우캡(200)과, 발(F)의 새끼발가락(LT)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외피(140)의 내측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새끼발가락(LT)이 움직일 내부 공간(411)이 형성된 돌출부재(400)와, 안전화(10f)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토우캡(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토우캡(200)과 결합되는 결합부재(300ff)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f)는 결합부재(300ff)의 형상이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부재(300f)는 토우캡(200)의 후방에 배치되며, 토우캡(200)과 전후 방향으로 결합한다.
결합부재(300f)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결합부재(300f)는 착용자의 발등이 토우캡(200)의 상부벽(220)의 후방에 닿아 통증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결합부재(300f)는 오목부(260)에 결합부재(300f)가 위치하지 않도록, 결합부재(300f)의 새끼발가락(LT) 측은 짧게 형성된다. 즉, 결합부재(300f)에는 새끼발가락(LT)이 대응되는 새끼발가락 측면이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오목부(260)는 빈 공간이 그대로 유지된다.
위와 같이, 결합부재(300f)에 오목부(260)에 대응되는 부분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돌출부(410)의 내부 공간(411)에는 오목부(260)만이 위치하게 된다.
결합부재(300f)가 오목부(260)에 위치하지 않음으로써, 오목부(260)의 공간을 통해 새끼발가락(LT)의 자유도가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결합부재(300f)는 전술한 제2 내지 제6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a ~ 10e) 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10a, 10b, 10c, 10d, 10e, 10f: 안전화
110: 안창 120: 미드솔
130: 아웃솔 140, 140e: 외피
200, 200c, 200d: 토우캡 210: 전방벽
220: 상부벽 230: 엄지발가락측벽
240: 새끼발가락측벽 241: 이격부
250: 절곡부 260: 오목부
300, 300f: 결합부재 310: 볼록부
400, 400b: 돌출부재
410, 410b, 270c, 140e: 돌출부
411. 411b, 271c, 143e: 내부 공간
420, 420b: 테두리부
430, 430b, 142e: 이음부
470: 연질부재

Claims (5)

  1. 착용자의 발이 착용되는 안전화에 있어서,
    상기 발이 얹어지는 안창;
    상기 안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화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발을 감싸도록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화의 형상을 이루는 외피; 및
    상기 발의 새끼발가락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피의 내측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새끼발가락이 움직일 내부 공간이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안전화.
  2. 착용자의 발이 착용되는 안전화에 있어서,
    상기 발이 얹어지는 안창;
    상기 안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화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안전화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발의 새끼발가락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토우캡;
    상기 토우캡 및 상기 발을 감싸도록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화의 형상을 이루는 외피; 및
    상기 새끼발가락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피의 내측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새끼발가락이 움직일 내부 공간이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안전화.
  3. 착용자의 발이 착용되는 안전화에 있어서,
    상기 발이 얹어지는 안창;
    상기 안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화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발을 감싸도록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화의 형상을 이루는 외피; 및
    상기 안전화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발의 새끼발가락 위치에 전방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가 구비되는 토우캡;
    상기 발의 새끼발가락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피의 내측에서 상기 오목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새끼발가락이 움직일 내부 공간이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안전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으며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는 볼록부가 구비되고, 상기 토우캡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토우캡과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볼록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안전화.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에 의해 상기 외피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안전화.
KR1020230100586A 2022-07-01 2023-08-01 안전화 KR20240003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3914A KR20240017887A (ko) 2022-07-01 2024-01-30 발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113 2022-07-01
KR20220081113 2022-07-01
KR1020220187189A KR102595663B1 (ko) 2022-07-01 2022-12-28 안전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189A Division KR102595663B1 (ko) 2022-07-01 2022-12-28 안전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3914A Division KR20240017887A (ko) 2022-07-01 2024-01-30 발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741A true KR20240003741A (ko) 2024-01-09

Family

ID=8855789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189A KR102595663B1 (ko) 2022-07-01 2022-12-28 안전화
KR1020230100586A KR20240003741A (ko) 2022-07-01 2023-08-01 안전화
KR1020240013914A KR20240017887A (ko) 2022-07-01 2024-01-30 발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신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189A KR102595663B1 (ko) 2022-07-01 2022-12-28 안전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3914A KR20240017887A (ko) 2022-07-01 2024-01-30 발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595663B1 (ko)
WO (1) WO202400546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622B1 (ko) 2015-05-27 2015-12-04 김대호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9242B1 (ja) * 2012-11-29 2013-08-21 株式会社パンジー ストレッチ機能を有する甲被を備えた履物
KR101509233B1 (ko) * 2013-06-26 2015-04-10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안전화
US10743622B2 (en) * 2015-06-08 2020-08-18 Tbl Licensing Llc Footwear ventilation structures and methods
KR102401084B1 (ko) * 2018-12-19 2022-05-20 신재웅 토우캡
KR102177067B1 (ko) * 2019-07-18 2020-11-10 최철민 측면 확장형 토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622B1 (ko) 2015-05-27 2015-12-04 김대호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887A (ko) 2024-02-08
WO2024005465A1 (ko) 2024-01-04
KR102595663B1 (ko) 202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5678A (en) Mid-sole or sole of shoes
US7275337B2 (en) Shoe with a composite insole
JPS6233881B2 (ko)
JP2009543657A (ja) シーソー型の靴の靴底
US20050193591A1 (en) Insole for footwear
US5632103A (en) Insole of shoe
KR102595663B1 (ko) 안전화
KR102010036B1 (ko) 토우캡
JPS60158805A (ja) 靴底と運動靴
US20160295952A1 (en) Shoe of bilaterally same shape
JP7261817B2 (ja)
KR101973769B1 (ko) 토우캡
JP3822349B2 (ja) アーチパッドを有する靴中敷き
JP2003038207A (ja) 中 敷
KR102401084B1 (ko) 토우캡
KR102175901B1 (ko) 연질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우캡 조립체
JP3796049B2 (ja) トウシューズ用トウパット
JP2528487Y2 (ja) 靴の中底構造および靴の中敷
JP2009050636A (ja)
JPH0330003Y2 (ko)
CA2095272C (en) Mid-sole or sole of shoes
KR200252079Y1 (ko) 신발 깔창
JP6100653B2 (ja) ハイヒール
KR0158790B1 (ko) 환자용 신발
KR101222234B1 (ko)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