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558A - 신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558A
KR20240003558A KR1020220081288A KR20220081288A KR20240003558A KR 20240003558 A KR20240003558 A KR 20240003558A KR 1020220081288 A KR1020220081288 A KR 1020220081288A KR 20220081288 A KR20220081288 A KR 20220081288A KR 20240003558 A KR20240003558 A KR 20240003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oe
shoe sole
so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훈
김민우
박자연
김준석
Original Assignee
한국소재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소재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소재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8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558A/ko
Publication of KR20240003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12Stuck or cemented footwea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제조방법은, 갑피에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조립 준비가 이루어지는 갑피 준비 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갑피가 설정 공간에 보관되는 갑피 저장 단계; 상기 갑피 준비 단계와 비동기화되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며, 신발창에 가열에 의해서 재활성화되는 성질을 가지는 접착제가 도포 및 건조되어 조립 준비가 이루어지는 신발창 준비 단계; 접착제가 도포 및 건조된 신발창이 설정 공간에 보관되는 신발창 저장 단계; 상기 갑피 준비 단계 및 신발창 준비 단계와 비동기화되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며, 설정 공간에 저장된 갑피와 신발창이 투입되어 조립이 이루어지는 신발 조립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신발 조립 단계에서는, 가열을 통해서 신발창에 도포된 접착제가 재활성화된 후 갑피와 신발창이 압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발 제조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shoes}
본 발명은 신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외부의 위험요소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그 형태에 따라서 운동화, 단화, 워커 등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체중을 지탱하는 신발창과 발등을 보호하는 갑피로 구분될 수 있다. 주로 신발창과 갑피는 서로 별도로 제조된 후 접착제에 의해서 서로 접착 조립되어 신발로 제조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6428호에는 준비 공정을 거친 고무창과 갑피를 접착단계에 투입하여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 조립하여 신발을 제조하는 신발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최근에는 자동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신발의 제조에도 자동화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주로 작업자의 수작업과 자동화 설비에 의한 자동 작업이 복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연속 생산을 위해서 갑피 준비 공정, 신발창 준비 공정, 조립 공정이 동기화되어 이루어지는 신발 제조방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상세히, 신발창과 갑피가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되는 신발의 제조방법에서는, 갑피와 신발창의 조립 전 갑피 준비 공정 및 신발창 준비 공정이 이루어지진다.
갑피와 신발창의 준비 공정에서는 제골, 세척, 표면처리 등의 공정이 이루어지며, 작업자의 수작업과 자동화 설비에 의해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준비 공정이 완료된 갑피와 신발창은 컨베이어와 같은 자동화 설비에 의해서 조립 설비로 즉시 투입되고,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조립된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신발창과 갑피 준비 공정 및 조립 공정이 동기화되어 이루어지는 신발 제조방법의 경우, 자동화 공정과 수작업 공정의 사이클 타임 괴리로 라인밸런싱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특히, 라인밸런싱 시 주로 택타임이 느린 수작업 공정에 맞춰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신발창과 갑피가 제조된 후 조립 공정으로 바로 투입됨에 따라 다품종 소량생산 및 맞춤형 생산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려우며, 생산 스케줄의 유연한 조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6428호
본 발명은, 공정 사이의 라인밸런싱 문제가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신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생산 스케쥴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신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제조방법은, 갑피에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조립 준비가 이루어지는 갑피 준비 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갑피가 설정 공간에 보관되는 갑피 저장 단계; 상기 갑피 준비 단계와 비동기화되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며, 신발창에 가열에 의해서 재활성화되는 성질을 가지는 접착제가 도포 및 건조되어 조립 준비가 이루어지는 신발창 준비 단계; 접착제가 도포 및 건조된 신발창이 설정 공간에 보관되는 신발창 저장 단계; 상기 갑피 준비 단계 및 신발창 준비 단계와 비동기화되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며, 설정 공간에 저장된 갑피와 신발창이 투입되어 조립이 이루어지는 신발 조립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신발 조립 단계에서는, 가열을 통해서 신발창에 도포된 접착제가 재활성화된 후 갑피와 신발창이 압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갑피 준비 단계는, 스팀 가열기에 의해서 갑피에 스팀 분사가 이루어지는 스팀 가열 단계; 상기 스팀 가열 단계 후, 갑피가 골격재에 씌워지는 제골 단계; 상기 제골 단계 후, 신발창과 결합되는 갑피의 접착부의 경계를 표시하는 게이지마킹이 이루어지는 게이지마킹 단계; 상기 게이지마킹 단계 후, 갑피의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지는 이물질 제거 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 후, 상기 접착부에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표면처리되는 프라이머 도포 단계;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 후, 갑피가 가열되어 프라이머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갑피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발창 준비 단계는, 갑피와 접착되는 신발창의 결합부에 접착제의 도포가 이루어지는 접착제 도포 단계; 상기 접착제 도포 단계 후, 접착제의 도포 상태 이상 유무에 대한 검사 이루어지는 도포 검사 단계; 상기 도포 검사 단계 후, 신발창이 가열되어 접착제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신발창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발 조립 단계는, 신발창에 도포 및 건조된 접착제가 가열되어 접착 가능한 상태로 재활성화되는 접착제 활성화 단계; 상기 접착제 활성화 단계 후, 접착제가 재활성화된 신발창과 갑피의 가조립이 이루어지고, 가조립된 갑피와 신발창이 가압되어 접착 조립되는 압착 단계; 상기 압착 단계 후, 조립된 갑피와 신발창이 냉각되어 접착제의 안정화가 이루어지는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는 우레탄 접착제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갑피 준비 공정, 신발창 준비 공정, 신발 조립 공정이 비동기화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 공정 사이의 라인밸런싱 문제가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 준비된 갑피와 신발창을 보관하여, 신발 조립이 필요한 적시에 신발 조립 공정에 투입하여 신발을 조립 제조 가능하다. 따라서, 신발의 조립 생산 스케쥴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갑피 준비 공정, 신발창 준비 공정, 신발 조립 공정이 비동기화되어 독립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 공정 간 모듈화로 부분 부품 외주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접착 준비된 갑피와 신발창을 다양한 사양별로 저장하여 활용 가능함에 따라, 다품종 소량 생산, 맞춤형 생산에 효과적으로 대응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제조방법이 적용된 제조 설비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갑피 준비 단계를 세부적으로 보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창 준비 단계를 세부적으로 보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조립 단계를 세부적으로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제조방법이 적용된 제조 설비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갑피 준비 단계를 세부적으로 보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창 준비 단계를 세부적으로 보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조립 단계를 세부적으로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제조방법(S1)은 갑피와 신발창이 별도로 제조되어 제공되는 갑피와 신발창의 조립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제조방법(S1)은 갑피와 신발창을 조립을 위해서 준비하는 공정과, 갑피와 신발창을 접착 조립하는 공정이 분리되어 비동기화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제조방법(S1)은, 갑피 준비 단계(S100), 갑피 저장 단계(S200), 신발창 준비 단계(S300), 신발창 저장 단계(S400), 신발 조립 단계(S500), 검사 및 포장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갑피 준비 단계(S100)는 제조된 갑피에 접착을 위한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신발창과의 조립 준비가 이루어지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갑피 저장 단계(S200)는 프라이머가 도포된 갑피가 설정된 저장 설비나 공간에 보관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신발창 준비 단계(S300)는 제조된 신발창에 접착을 위한 접착제가 도포되어 갑피와의 조립 준비가 이루어지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신발창 저장 단계(S400)는 접착제가 도포된 신발창이 설정된 저장 설비나 공간에 보관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신발 조립 단계(S500)는 조립 준비된 갑피와 신발창이 투입되어 접착 조립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신발 조립 단계(S500)에서는 신발창에 도포된 접착제가 재활성화되고 갑피와 신발창이 압착되어 조립되는 신발 조립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검사 및 포장 단계(S600)는 조립된 신발의 품질 이상 유무의 판별이 이루어지고, 양품의 신발의 포장이 이루어지는 단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제조방법(S1)의 각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제조방법(S1)에서 갑피, 신발창, 접착 조립된 신발의 설비 및 장치 사이의 이동은 작업자, 컨베이어, 로봇 등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갑피 준비 단계(S100)는, 갑피 투입 단계(S100), 스팀 가열 단계(S120), 제골 단계(S130), 게이지마킹 단계(S140), 이물질 제거 단계(S150), 프라이머 도포 단계(S160), 갑피 건조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갑피 투입 단계(S100)에서는, 제조된 갑피가 갑피 준비 설비(100)의 갑피 입고대(110)로 투입될 수 있다. 이 때, 갑피는 AGV와 같은 로봇 또는 작업자에 의해서 갑피 입고대(110)로 투입될 수 있다.
갑피는 전용 파렛트에 놓여 파렛트 단위로 투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갑피 입고대(110)는 파렛트가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갑피 입고대(110)의 갑피는 상기 스팀 가열 단계(S12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스팀 가열 단계(S120)에서는 스팀 가열기(120)에 의해서 갑피에 스팀 분사가 이루어지는 스팀 가열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팀 가열기(120)는 내부에 갑피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투입된 갑피에 스팀을 분사하도록 구성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스팀 가열기(120)로 투입된 갑피에는 100℃~110℃ 수준으로 가열된 스팀이 분사될 수 있다. 이 때, 갑피에는 20초~30초 정도의 시간으로 스팀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 가열 공정에 의해서 갑피는 유연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스팀 가열 공정이 완료된 갑피는 상기 제골 단계(S13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제골 단계(S130)에서는 제골기(130)에 의해서 갑피가 골격재에 씌워지는 제골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골기(130)는 작업자가 갑피를 골격재에 씌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 갑피를 골격재에 자동으로 씌우는 기능을 하는 장치일 수 있다.
골격재는 갑피의 3차원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골격재에 갑피를 씌움으로써 갑피의 3차원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제골 공정이 완료된 갑피는 상기 게이지마킹 단계(S14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게이지마킹 단계(S140)는 갑피에서 프라이머가 도포될 부분의 경계를 표시하는 게이지마킹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지마킹 공정은 작업자에 의해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기설정된 위치에 경계를 마킹 가능하도록 구성된 게이지 압착기(140)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게이지마킹은 갑피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지마킹 공정이 완료된 갑피는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S15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S150)에서는 프라이머가 도포될 접착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S150)에서는 세척 용제가 뭍은 직물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물질 제거 공정이 완료된 갑피는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S16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S160)에서는 상기 접착부에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표면처리되는 프라이머 도포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S160)에서 갑피는 프라이머 도포 작업대(160)로 이동될 수 있으며, 작업자에 의해서 수작업으로 상기 접착부에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표면처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S160)에서 갑피는 접착부 영역에 자동으로 프라이머를 도포 가능하도록 구성된 프라이머 도포 장치로 투입되어 자동으로 프라이머 도포될 수도 있다.
프라이머 도포 공정이 완료된 갑피는 상기 갑피 건조 단계(S17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갑피 건조 단계(S170)에서는 도포된 프라이머를 건조시키는 갑피 건조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갑피 건조 공정은 프라이머 건조기(170)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라이머 건조기(170)는 내부에 갑피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갑피를 가열시키는 가열원이 구비된 다양한 건조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갑피 건조 공정에서는 60℃~65℃ 온도 분위기, 2~3분 정도의 시간으로 갑피의 가열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갑피 건조 공정이 완료된 갑피는 상기 갑피 저장 단계(S200)로 투입되어, 갑피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갑피 저장고(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갑피는 골격재에 씌워진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발창 준비 단계(S300)는 상기 갑피 준비 단계(S100)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신발창 준비 단계(S300)와 상기 갑피 준비 단계(S100)는 서로의 사이클 타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비동기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창 준비 단계(S300)는, 신발창 투입 단계(S310), 접착제 도포 단계(S320), 도포 검사 단계(S330), 신발창 건조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창 투입 단계(S310)에서는, 제조된 신발창이 신발창 준비 설비(300)의 신발창 입고대(310)로 투입될 수 있다. 이 때, 신발창은 AGV와 같은 로봇 또는 작업자에 의해서 신발창 입고대(310)로 투입될 수 있다.
신발창은 전용 파렛트에 놓여 파렛트 단위로 투입될 수도 있으며, 상기 신발창 입고대(310)는 파렛트가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발창 입고대(310)의 신발창은 상기 접착제 도포 단계(S32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 단계(S320)에서는 갑피와 접착되는 신발창의 결합부에 접착제의 도포되는 접착제 도포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제 도포 공정은 작업자에 의해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거나, 접착제 도포기(320)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제 도포기(320)가 적용되는 경우, 접착제 도포기(320)는 신발창의 결합부의 위치 및 영역을 확인하는 기능, 결합부에 접착제를 고르게 분사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접착제 도포기(320)는 결합부의 위치를 확인하여 접착부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로봇팔 구조의 도포 로봇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 단계(S320)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가열에 의해서 재활성화되는 성질을 가지는 접착제로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재활성화는 접착제의 접착력이 되살아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활성화는 열 반응성에 의해서 접착제의 접착력이 회복되거나, 용융에 의해서 잡착제에 접착력이 형성되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접착제는 열에 의해서 접착력이 회복되는 반응성 우레탄 접착제로 적용될 수 있다.
접착제 도포 공정이 완료된 신발창은 상기 도포 검사 단계(S33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도포 검사 단계(S330)에서는 신발창의 결합부에 접착제가 적절한 양으로 고르게 도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도포 검사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포 검사 공정은 작업자에 의해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거나, 도포 검사기(330)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포 검사기(330)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도포 검사기(330)는 신발창의 결합부에 도포된 접착제의 양, 접착제의 미도포 영역 검출을 위한 비전검사 기능을 가지며, 설정값에 따라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포 검사 공정에서 접착제 도포 상태에 이상이 없는 양품으로 확인된 신발창은 상기 신발창 건조 단계(S34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신발창 건조 단계(S340)에서는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신발창 건조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창 건조 공정은 접착제 건조기(340)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제 건조기(340)는 내부에 신발창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신발창을 가열시키는 가열원이 구비되는 다양한 건조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접착제 건조기(340)는 건조 오븐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신발창 건조 공정에서는 60℃~65℃ 온도 분위기, 2~3분 정도의 시간으로 신발창의 가열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창 건조 공정에 의해서 신발창에 도포된 접착제는 안정화될 수 있다. 즉, 접착제가 경화되어 접착력이 감소하거나 사라질 수 있다.
신발창 건조 공정이 완료된 신발창은 상기 신발창 저장 단계(S400)로 투입되어, 신발창의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신발창 저장고(4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갑피 준비 단계(S100)와 신발창 준비 단계(S300)에서는 최종 제품의 신발 사양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다양한 사양의 갑피와 신발이 준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갑피 준비 단계(S100)를 통해 갑피 준비 공정이 이루어진 갑피는 상기 갑피 저장고(200)에 사양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발창 준비 단계(S300)를 통해 신발창 준비 공정이 이루어진 갑피는 상기 신발창 저장고(400)에 사양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신발의 조립 생산 스케쥴에 따라, 상기 갑피 저장고(200)의 갑피와 신발창 저장고(400)의 신발창이 상기 신발 조립 단계(S500)로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조립 단계(S500)는 접착제 활성화 단계(S510), 압착 단계(S520), 냉각 단계(S530), 탈골 단계(S54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신발의 조립 생산 스케쥴에 따라, 대응하는 사양의 갑피와 신발창을 상기 접착제 활성화 단계(S51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활성화 단계(S510)에서는 건조된 접착제가 가열되어 접착이 가능하도록 재활성화되는 접착제 재활성화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제 재활성화 공정은 액티베이터(510)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티베이터(510)는 내부에 가열 공간을 형성하며, 가열 공간에 위치된 대상물을 설정 온도로 가열 가능하도록 적외선 램프, 전열기, 고주파 가열기 등의 발열 장치를 구비한 다양한 가열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액티베이터(510)는 내부에 적외선 램프가 구비된 오븐 구조를 가지는 가열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제 활성화 단계(S510)에서는 신발창만 가열될 수 있다. 또는, 보다 효과적인 접착제 재활성화와 접착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 신발창과 갑피가 모두 가열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접착제 활성화 단계(S510)에서 신발창과 갑피가 모두 가열되는 것을 일례로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액티베이터(510)의 내부에는 신발창이 놓이는 신발창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신발창 안착부는 선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티베이터(510)의 내부에는 갑피가 놓이는 갑피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갑피 안착부는 선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외선 램프의 열이 갑피의 하면으로 투입 가능하도록 빛이 투과 가능한 구조 또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갑피 안착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막대로 구성된 선반, 격자 선반과 같이 빛의 투과 공간이 개구된 선반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액티베이터(510) 내부로 투입된 신발창은 도포된 접착제가 재활성화되도록 60℃~80℃ 온도 분위기에서 가열될 수 있다.
이 때, 적외선 램프는 신발창의 접착제가 도포된 영역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가 보다 효과적으로 재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티베이터(510) 내부로 투입된 갑피는 골격재에 씌워진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액티베이터(510) 내부로 투입된 갑피는 갑피는 골조에 씌워진 상태로 상기 갑피 안착부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갑피는 60℃~80℃ 온도 분위기에서 가열될 수 있다. 이 때, 적외선 램프는 갑피의 하면 및 하부 둘레를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갑피의 접착부가 효과적으로 가열되어 신발창과 안정적으로 접착될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갑피는 소재에 따라 신발창과 다른 온도 분위기로 가열될 수 있다. 예로들어. 갑피는 상기 액티베이터(510)에 신발창과 별도로 투입되거나, 신발창이 투입되는 액티베이터와 다른 별도의 액티베이터에 투입되어 가열될 수 있을 것이다.
접착제 재활성화 공정이 완료된 갑피와 신발창은 상기 압착 단계(S52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압착 단계(S520)에서는 갑피와 신발창이 가조립된 상태로 가압되어 압착되는 압착 공정이 루어질 수 있다. 즉, 접착제와 재활성화된 신발창과 갑피가 가압 및 접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압착 공정은 압착기(520)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갑피와 신발창은, 프라이머가 도포된 접착부와 접착제가 재활성화된 결합부가 서로 접하도록 가조립 된 상태로 상기 압착기(520)에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기(520)는 투입된 갑피와 신발창을 가압하여 서로 밀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재활성화된 접착제가 가압에 의해서 갑피의 접착부와 고르게 밀착되어, 갑피와 신발창이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압착 공정에 의해서 제조된 신발 조립체는 상기 냉각 단계(S53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단계(S530)에서는 재활성화된 접착제를 냉각시켜 안정화시키는 냉각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냉각 공정은 내부에 신발 조립체가 수용되는 냉각 공간을 형성하며, 저온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냉각기(530)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각기(530)는 저온 분위기의 형성을 위해 냉각 사이클을 구비하는 다양한 냉장 또는 냉동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냉각 공정에서는 -5℃~10℃ 온도 분위기로 신발 조립체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조립체가 상기 냉각기(530) 내부에서 냉각됨에 따라, 재활성화된 접착제가 안정화될 수 있다. 그리고, 갑피와 신발창이 완전히 접착될 수 있다.
냉각 공정이 완료된 신발 조립체는 상기 탈골 단계(S54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탈골 단계(S540)에서는 갑피로부터 골격재를 분리하는 탈골 공정이 루어질 수 있다.
탈골 공정은 작업자에 의해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거나, 탈골기(540)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탈골기(540)는 작업자가 골격재를 갑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 골격재를 자동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일 수 있다.
탈골 공정이 완료됨으로써 신발의 형상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탈골 공정이 완료된 신발은 검사 설비(600)로 투입될 수 있으며, 상기 검사 및 포장 단계(S600)를 통해서 품질 이상 유무에 대한 검사 및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제조방법(S1)에 의하면, 갑피 준비 공정, 신발창 준비 공정, 신발 조립 공정이 비동기화되어 독립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 공정 사이의 라인밸런싱 문제가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 준비된 갑피와 신발창을 보관하여, 신발 조립이 필요한 적시에 신발 조립 공정에 투입하여 신발을 조립 제조 가능하다. 따라서, 신발의 조립 생산 스케쥴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갑피 준비 공정, 신발창 준비 공정, 신발 조립 공정이 비동기화되어 독립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 공정 간 모듈화로 부분 부품 외주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접착 준비된 갑피와 신발창을 다양한 사양별로 저장하여 활용 가능함에 따라, 다품종 소량생산, 맞춤형 생산에 효과적으로 대응 가능한 효과가 있다.
S1: 신발 제조방법
S100: 갑피 준비 단계
S110: 갑피 투입 단계
S120: 스팀 가열 단계
S130: 제골 단계
S140: 게이지마킹 단계
S150: 이물질 제거 단계
S160: 프라이머 도포 단계
S170: 갑피 건조 단계
S200: 갑피 저장 단계
S300: 신발창 준비 단계
S310: 신발창 투입 단계
S320: 접착제 도포 단계
S330: 도포 검사 단계
S340: 신발창 건조 단계
S400: 신발창 저장 단계
S500: 신발 조립 단계
S510: 접착제 활성화 단계
S520: 압착 단계
S530: 냉각 단계
S540: 탈골 단계
S600: 검사 및 포장 단계
100: 갑피 준비 설비
110: 갑피 입고대
120: 스팀 가열기
130: 제골기
140: 게이지 압착기
150: 이물질 제거 작업대
160: 프라이머 도포 작업대
170: 프라이머 건조기
200: 갑피 저장고
300: 신발창 준비 설비
310: 신발창 입고대
320: 접착제 도포기
330: 도포 검사기
340: 접착제 건조기
400: 신발창 저장고
500: 조립 설비
510: 액티베이터
520: 압착기
530: 냉각기
540: 탈골기
600: 검사 설비
700: 포장 설비

Claims (5)

  1. 갑피에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조립 준비가 이루어지는 갑피 준비 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갑피가 설정 공간에 보관되는 갑피 저장 단계;
    상기 갑피 준비 단계와 비동기화되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며, 신발창에 가열에 의해서 재활성화되는 성질을 가지는 접착제가 도포 및 건조되어 조립 준비가 이루어지는 신발창 준비 단계;
    접착제가 도포 및 건조된 신발창이 설정 공간에 보관되는 신발창 저장 단계;
    상기 갑피 준비 단계 및 신발창 준비 단계와 비동기화되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며, 설정 공간에 저장된 갑피와 신발창이 투입되어 조립이 이루어지는 신발 조립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신발 조립 단계에서는,
    가열을 통해서 신발창에 도포된 접착제가 재활성화된 후 갑피와 신발창이 압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준비 단계는,
    스팀 가열기에 의해서 갑피에 스팀 분사가 이루어지는 스팀 가열 단계;
    상기 스팀 가열 단계 후, 갑피가 골격재에 씌워지는 제골 단계;
    상기 제골 단계 후, 신발창과 결합되는 갑피의 접착부의 경계를 표시하는 게이지마킹이 이루어지는 게이지마킹 단계;
    상기 게이지마킹 단계 후, 갑피의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지는 이물질 제거 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 후, 상기 접착부에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표면처리되는 프라이머 도포 단계;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 후, 갑피가 가열되어 프라이머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갑피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 준비 단계는,
    갑피와 접착되는 신발창의 결합부에 접착제의 도포가 이루어지는 접착제 도포 단계;
    상기 접착제 도포 단계 후, 접착제의 도포 상태 이상 유무에 대한 검사 이루어지는 도포 검사 단계;
    상기 도포 검사 단계 후, 신발창이 가열되어 접착제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신발창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조립 단계는,
    신발창에 도포 및 건조된 접착제가 가열되어 접착 가능한 상태로 재활성화되는 접착제 활성화 단계;
    상기 접착제 활성화 단계 후, 접착제가 재활성화된 신발창과 갑피의 가조립이 이루어지고, 가조립된 갑피와 신발창이 가압되어 접착 조립되는 압착 단계;
    상기 압착 단계 후, 조립된 갑피와 신발창이 냉각되어 접착제의 안정화가 이루어지는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우레탄 접착제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제조방법.
KR1020220081288A 2022-07-01 2022-07-01 신발 제조방법 KR20240003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288A KR20240003558A (ko) 2022-07-01 2022-07-01 신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288A KR20240003558A (ko) 2022-07-01 2022-07-01 신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558A true KR20240003558A (ko) 2024-01-09

Family

ID=8953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288A KR20240003558A (ko) 2022-07-01 2022-07-01 신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5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428B1 (ko) 2016-05-04 2017-04-12 김혁주 신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428B1 (ko) 2016-05-04 2017-04-12 김혁주 신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84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shoes
US8821669B2 (en) Process and machine for water proofing semimanufactured footwear, clothing items and accessories, and semimanufactured products obtained with said process or machine
US11425967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shoe, especially of a sports shoe
JP2012504068A (ja) 効率的および局所的なシューズの生産方法
CN105686215A (zh) 一种制鞋装置及操作方法
JP2018089380A (ja) 全体成形されるアッパーの製造方法
KR20240003558A (ko) 신발 제조방법
EP385818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 upper, shoe upper, and shoe
CN111000334A (zh) 冷粘成型军用鞋自动化产线
US20200245712A1 (en) Waterproof Knit Articles and Methods
CN205831236U (zh) 一种制鞋装置
CN105433515B (zh) 橡胶双密度鞋靴自动化制作工艺
EP0223562B1 (en) Attaching soles to shoes
US1158389A (en) Art of manufacturing rubber footwear.
CN110811056A (zh) 一种制鞋工艺
CN117752155A (zh) 一种鞋帮面制造方法及鞋
KR20110044605A (ko) 내답판 일체형 중창 제조방법
CN109875183B (zh) 一种水鞋成型生产工艺
WO2017103107A1 (en) Manufacturing articles of footwear
CN109491340A (zh) 一种集中式生产线自动化控制方法
CN205597299U (zh) 用于压制物体的表面的热压机以及用于热压制物体的系统
CN201270841Y (zh) 一种工作桌
WO2020178601A1 (en) Waterproof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30009067A (ko) 방탄섬유판을 이용한 내답판 일체형 중창 제조방법
JPS62114503A (ja) ソ−ルの取り付け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