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884A - 3d 프린터 지지패드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3d 프린터 지지패드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884A
KR20240002884A KR1020220135864A KR20220135864A KR20240002884A KR 20240002884 A KR20240002884 A KR 20240002884A KR 1020220135864 A KR1020220135864 A KR 1020220135864A KR 20220135864 A KR20220135864 A KR 20220135864A KR 20240002884 A KR20240002884 A KR 20240002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d
output
printer support
anode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산하
김동근
필리포 다닐로 미쉘라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240002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79Handling of additively manufactured objects, e.g. using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botics (AREA)

Abstract

3D 프린터 지지패드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는, 3D 프린트로 출력되는 출력물을 지지하는 3D 프린터 지지패드로서, 기판, 기판 상에 형성되며 양극과 음극을 구비한 전극 패턴, 전극 패턴을 커버하도록 기판 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전극 패턴의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압 차를 형성하는 전원을 포함하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압 차가 형성되면, 전극 패턴 상에 배치된 출력물에 대한 정전기가 유도되어 출력물이 접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3D 프린터 지지패드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시스템{3D printer support pad and 3D print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3D 프린터 지지패드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출력물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전자접착 기술을 적용한 3D 프린터 지지패드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MEAM (압출적층조형, Material Extrusion Additive Manufacturing) 3D 프린팅은 실 형태의 고체 필라멘트를 순간적으로 녹여서 한 층씩 쌓아 올려 원하는 형태로 제작하는 적층 제조 공정이다.
MEAM 3D 프린팅의 적층 제조에서 최초 출력되는 바닥면이 안착되어 있지 않으면 출력물의 들뜸, 레이어 간의 치수 정밀도 감소 등 출력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즉, MEAM 3D 프린팅에서 형상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용융된 필라멘트를 바닥에 안착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3D 프린터는 바닥면의 접착력을 조작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안착 불량에 의한 출력 실패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접착제나 테이프를 이용하지만, 세척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공정 이후 출력물이 베드에 너무 강하게 부착되어 분리가 어려움이 있다. 또는, 헤라를 사용하거나 출력물을 가열하는 등의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고 출력물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3D 프린팅에서 출력물을 안정적으로 탈부착하기 위한 3D 프린터 지지패드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3D 프린트로 출력되는 출력물을 지지하는 3D 프린터 지지패드로서, 기판, 기판 상에 형성되며 양극과 음극을 구비한 전극 패턴, 전극 패턴을 커버하도록 기판 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전극 패턴의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압 차를 형성하는 전원을 포함하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압 차가 형성되면, 전극 패턴 상에 배치된 출력물에 대한 정전기가 유도되어 출력물이 접착되는 3D 프린터 지지패드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전극 패턴에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은 각각 복수의 개가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양극 및 복수의 상기 양극은 하나씩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양극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스트립(strip)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음극은 상기 복수의 양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스트립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은 각각 평면 나선 구조이고,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2중의 나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은,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 사이에 1kV 이상의 전압 차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은, PDMS(Polydimethylsiloxane), 테프론(Teflon) AF(amorphous fluoropolymer) 및 파릴렌(par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을 가열하는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3D 프린터 지지패드 및 상기 3D 프린터 지지패드 상에 상기 출력물을 출력하는 3D 프린터를 포함하고, 상기 3D 프린터가 상기 출력물을 생성할 때에, 상기 3D 프린터 지지패드의 상기 전원이 작동하여 상기 출력물을 부착시키는, 3D 프린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3D 프린터 지지패드 상에서 상기 출력물을 떼어내는 출력물 배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물 배출기가 상기 출력물을 상기 3D 프린터 지지패드 상에서 떼어낼 때에, 상기 3D 프린터 지지패드는 상기 전원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력물 배출기로부터 상기 출력물을 전달받아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3D 프린터 지지패드에 출력물을 부착시키는 접착력을 발생시켜 출력물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출력물을 완성한 후에 접착력을 해제하여 출력물을 쉽게 분리함으로써, 3D 프린팅 공정 전후 필요에 따라 출력물을 능동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100)는, 3D 프린트로 출력되는 출력물(10)을 지지하는 3D 프린터 지지패드(100)로서, 기판(110), 전극 패턴(120), 절연층(130) 및 전원(14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3D 프린트의 출력물(10)을 지지하는 기본 지지구조를 형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판(110)은 평판 구조로서 상면에 3D 프린트의 출력물(10)이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3D 프린터 지지패드(100)의 온도를 소정의 범위로 설정하도록, 기판(110)을 가열하는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부(150)는 기판(110)에 부착된 열전소자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150)가 설치된 기판(110)은 히팅 베드가 되고, 3D 프린팅이 일정한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극 패턴(120)은, 전력을 공급받아 출력물(10)에 대하여 커패시터의 정전기 유도 현상을 발생시킨다. 전극 패턴(120)은, 기판(110) 상에 형성되며, 양극(122)과 음극(124)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전극 패턴(120)의 양극(122) 및 음극(124)은 각각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의 양극(122) 및 복수의 양극(122)은 하나씩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양극(122)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스트립(strip)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음극(124)도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스트립일 수 있으며, 복수의 양극(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트립 형태의 양극(122)과 음극(124)이 교대로 서로 나란하게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극 패턴(120)의 구조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양극(122) 및 음극(124)의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1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3D 프린터 지지패드(200)에서, 양극(222) 및 음극(224)은 각각 평면 나선 구조일 수 있다. 이 때, 양극(222)과 음극(224)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2중의 나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양극(222)과 음극(224)이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감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3D 프린터 지지패드(200)는 출력물(10)의 형태 및 배치 방향에 따른 접착력의 차이를 최소화하도록, 3D 프린터 지지패드(200)에서 양극(222) 및 음극(224)의 방향성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절연층(130)은, 전극 패턴(120)을 출력물(10)과 절연시키도록 덮는 부분이다. 절연층(130)은 전극 패턴(120)을 커버하도록, 기판(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절연층(130)은 PDMS(Polydimethylsiloxane), 테프론(Teflon) AF(amorphous fluoropolymer) 및 파릴렌(par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간의 절연 파괴(dielectric breakdown)를 방지를 목적으로, 절연층(130)은 절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PDMS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전원(140)은, 전극 패턴(120)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전극 패턴(120)의 양극(122)과 음극(124) 사이에 전압 차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3D 프린터 지지패드(100)에서, 양극(122)과 음극(124) 사이에 전압 차가 형성되면, 전극 패턴(120) 상에 배치된 출력물(10)에 대한 정전기가 유도되어 출력물(10)이 접착될 수 잇다.
본 발명의 3D 프린터 지지패드(100)는, 이격된 양극(122)과 음극(124)에 의해 형성된 커패시터의 정전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흡착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인 원리를 설명하면, 커패시터는 전하를 저장하는 장치이고 전하가 저장된 평행판 도체 사이에는 정전기력이 발생한다. 여기서, 정전기력은 축적된 전하의 양에 비례하고 전극 간의 간격에 반비례하고, 커패시터에 저장되는 전하량은 커패시터의 정전용량 C와 인가전압 V에 비례한다. 이 때, 정전용량은 전극의 면적 A와 전극 사이 물질의 유전상수 에 비례하며 극 사이의 거리 d에 반비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3D 프린터 지지패드(100)에서 전극(양극(122)과 음극(124))과 벽면(출력물(10)의 하면)을 한 쌍의 평행판으로 생각하면 병렬 커패시터로 모델링이 가능하다. 서로 다른 전극 사이의 축적되는 전하량은 같으므로 각각의 전극판은 부호가 반대인 동일한 크기의 표면 전하밀도를 갖게 된다.
전극의 면적 A, 전극과 벽면 사이의 거리(절연층(130) 두께) d, 인가전압 V, 진공 상태의 유전율 , 절연층(130)의 비유전율 이면 정전에너지 W는 다음 식과 같다.
정전에너지를 평행판으로 인식되는 3D 프린터 지지패드(100)의 전극(양극(122)과 음극(124))과 벽면(출력물(10)의 하면) 사이의 거리 d에 대해서 미분함으로써 흡착력(F)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흡착력은 z축으로 작용하며 다음 식과 같다.
상기 식에 의하여, 출력물(10)에 대한 정전기 유도 현상으로 발생한 전기적 흡착력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극(124)과 양극(122) 사이에 1kV 이상의 전압 차를 형성하여 접착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전원(140)의 전압 제어에 의해 출력물(10)에 대한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3D 프린팅 공정에서는 전압을 인가하여 출력물(10)을 3D 프린터 지지패드(100)에 접착시키고, 공정 완료 후에는 인가된 전압을 제거하여 출력물(10)을 3D 프린터 지지패드(10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즉, 3D 프린팅 공정 전후 필요에 따라 3D 프린터 지지패드(100)에 출력물(10)을 능동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100)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100)를 제조방법은, 마스킹, 전극 형성, 절연 코팅 순으로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110)에 양극(122) 및 음극(124)에 대응되는 관통홀(22, 24)이 형성된 마스크(20)를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10) 상에 직접 PLA 필라멘트(PLA Pro White)로 마스크(2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마스크(20)에 전도성 잉크(30)를 코팅하고, 마스크(20) 제거하여 양극(122)과 음극(124)을 구비한 전극 패턴(12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크(20)가 배치된 기판(110)에 은 전도성 잉크(30)를 바코팅(bar-coating)할 수 있다. 바코팅은 막대 부재(40) 등을 이용하여 코팅액을 펴서 바르는 방법이다.
한편, 전도성 잉크(35)의 코팅은 증착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지지패드(100)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프레이 증착(spray deposition)으로 마스크(20)에 전도성 잉크(35)를 증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잉크(30)와 IPA(isopropyl alcohol)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 후에, 분사 노즐(50)로 분사 가스와 함께 압력 분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극 패턴(120)이 형성된 기판(110)에 절연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 간의 절연 파괴(dielectric breakdown)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PDMS(Polydimethylsiloxane)로 코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130) 위에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PDMS 전기 절연 테이프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를 추가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3D 프린터 지지패드(100)를 이용하여 3D 프린팅 시스템(100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10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1000)은 상술한 3D 프린터 지지패드(100)와 3D 프린터 지지패드(100) 상에 출력물(10)을 출력하는 3D 프린터(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수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D 프린터 지지패드(100)는 전압을 인가하여 출력물(10)을 접착시키고, 인가된 전압을 제거하여 출력물(10)을 히팅베드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3D 프린터(1100)가 출력물(10)을 생성할 때에, 3D 프린터 지지패드(100)의 전원(140)이 작동하여 출력물(10)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출력물(10)을 완성한 이후에는 전원(140)을 해제하여 출력물(10)을 쉽게 분리하고 다음 출력물을 3D 프린터 지지패드(100) 위에서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1000)은, 3D 프린터 지지패드(100) 상에서 출력물(10)을 떼어내는 출력물 배출기(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물 배출기(1200)가 3D 프린터 지지패드(100) 상에서 출력물(10)을 떼어낼 때에, 3D 프린터 지지패드(100)는 전원(140)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출력물 배출기(1200)는 크레인과 같이 상하로 이동하며 출력물(10)을 픽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물(10)이 완성되면, 3D 프린터 지지패드(100)의 전원(140) 작동을 중단하고 출력물 배출기(1200)가 3D 프린터 지지패드(100) 상에서 출력물(10)을 픽업하여 다른 위치로 옮길 수 있다. 이 때, 크레인을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레일(1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1000)은, 출력물 배출기(1200)로부터 출력물(10)을 전달받아 이송하는 이송부(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이송부(1300)는 컨베이어 이송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물 배출기(1200)가 출력물(10)을 이송부(1300) 상에 놓아서 안착시키면 컨베이어 이송기가 출력물(10)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3D 프린터 지지패드(100)를 구비한 3D 프린팅 시스템(1000)은, 출력 시에는 출력물(10)을 견고히 부착하고 완성 후에는 출력물(10)을 용이하게 분리되게 함으로써, 출력물(10)을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이송할 수 있는 3D 프린팅의 자동화 공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출력물
20: 마스크
30: 전도성 잉크
100, 200: 3D 프린터 지지패드
110: 기판
120: 전극 패턴
122, 222: 양극
124, 224: 음극
130: 절연층
140: 전원
1000: 3D 프린팅 시스템
1100: 3D 프린터
1200: 출력물 배출기
1300: 이송부

Claims (10)

  1. 3D 프린트로 출력되는 출력물을 지지하는 3D 프린터 지지패드로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양극과 음극을 구비한 전극 패턴;
    상기 전극 패턴을 커버하도록,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전극 패턴의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압 차를 형성하는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압 차가 형성되면, 상기 전극 패턴 상에 배치된 상기 출력물에 대한 정전기가 유도되어 상기 출력물이 접착되는, 3D 프린터 지지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에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은 각각 복수의 개가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양극 및 복수의 상기 양극은 하나씩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3D 프린터 지지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양극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스트립(strip)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음극은, 상기 복수의 양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스트립 형상인, 3D 프린터 지지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은, 각각 평면 나선 구조이고,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2중의 나선 구조를 가지는, 3D 프린터 지지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 사이에 1kV 이상의 전압 차를 형성하는, 3D 프린터 지지패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PDMS(Polydimethylsiloxane), 테프론(Teflon) AF(amorphous fluoropolymer) 및 파릴렌(par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지지패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가열하는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3D 프린터 지지패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3D 프린터 지지패드; 및
    상기 3D 프린터 지지패드 상에 상기 출력물을 출력하는 3D 프린터를 포함하고,
    상기 3D 프린터가 상기 출력물을 생성할 때에, 상기 3D 프린터 지지패드의 상기 전원이 작동하여 상기 출력물을 부착시키는, 3D 프린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D 프린터 지지패드 상에서 상기 출력물을 떼어내는 출력물 배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물 배출기가 상기 출력물을 상기 3D 프린터 지지패드 상에서 떼어낼 때에, 상기 3D 프린터 지지패드는 상기 전원의 작동을 중단하는, 3D 프린팅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물 배출기로부터 상기 출력물을 전달받아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3D 프린팅 시스템.
KR1020220135864A 2022-06-29 2022-10-20 3d 프린터 지지패드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시스템 KR202400028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79779 2022-06-29
KR1020220079779 2022-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884A true KR20240002884A (ko) 2024-01-08

Family

ID=8953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864A KR20240002884A (ko) 2022-06-29 2022-10-20 3d 프린터 지지패드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8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454B1 (ko) 정전척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제조장치
CN104054168B (zh) 传送微器件的方法
JP2018073834A (ja) 多層パネル
CA1313428C (en) Electrostatic chuck
CN102473668B (zh) 静电吸附构造体及其制造方法
US20130010398A1 (en) Materials for Electroadhesion and Electrolaminates
CN103946423A (zh) 用于半导体处理的具有二极管平面加热器区域的加热板
CN104067381A (zh) 微器件传送头加热器组件及传送微器件的方法
CN106163745A (zh) 模块化电粘附夹持系统
KR101319785B1 (ko) 정전기 부상을 이용한 기판이송장치
JP7477240B2 (ja) 面状吸引グリッパ
JP2014528168A5 (ja) 半導体処理のためのダイオード平面ヒータゾーンを伴う加熱板、それを製造する方法、基板サポートアセンブリ、及び、半導体基板をプラズマ処理するための方法
CN102017818A (zh) 用于在平坦绝缘基底上形成导电图案的设备、方法、具有该导电图案的平坦绝缘基底和形成在该平坦绝缘基底上的芯片组
US2697793A (en) Induction-conduction charging of electrostatic generators
KR20240002884A (ko) 3d 프린터 지지패드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시스템
JP2003282671A (ja) 静電保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搬送装置
JP6949751B2 (ja) 3次元積層造形のビア形成方法
CN100370373C (zh) 电子照相印刷装置
US20110265948A1 (en) Via hole forming method using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ethod
JP7047496B2 (ja) 積層構造体および印刷方法
US20150155462A1 (en) Printed Semiconductor Junctions
KR20170058685A (ko) 전기수력학적 잉크젯 장치
JP4419579B2 (ja) 静電チャック
CN106856187B (zh) 托盘组件
KR102615529B1 (ko) 이층 히터 패턴이 구비된 정전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