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852A -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852A
KR20240002852A KR1020220080958A KR20220080958A KR20240002852A KR 20240002852 A KR20240002852 A KR 20240002852A KR 1020220080958 A KR1020220080958 A KR 1020220080958A KR 20220080958 A KR20220080958 A KR 20220080958A KR 20240002852 A KR20240002852 A KR 20240002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tacking
hanger
anchovie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진
강환규
Original Assignee
정형진
강환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진, 강환규 filed Critical 정형진
Priority to KR1020220080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852A/ko
Publication of KR20240002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the stack being lowered by mobile grippers or holders onto ad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B65G65/4881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멸치를 채반에 담을 시 누수되는 물의 보충과 수위 조절이 용이하고, 채반 적층시 이탈의 염려가 없고, 채반걸이의 승강동작에 따른 꺽임과 복원으로 채반의 순차적인 적층이 채반이송가이드에 위에서 지지 적층시킨 후 이송 배출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적층 신뢰성과 동작이 정숙하며,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선상에서의 설치 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이점을 갖도록 한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는, 채반을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의 설정된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으로 투입하기 위해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채반투입선반과;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으로 이송 위치된 채반에 생멸치를 자동 정량공급하는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와;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을 통과한 채반을 순차적으로 채반적층구간에서 설정된 갯수까지 상향 적층시키는 채반적층장치와; 자동 정량공급구간으로 진입한 채반을 채반적층장치의 출구측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채반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Fresh anchovy quantitative automatic supply and drive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멸치를 채반에 담을 시 누수되는 물의 보충과 수위 조절이 용이하고, 채반 적층시 이탈의 염려가 없고, 채반걸이의 승강동작에 따른 꺽임과 복원으로 채반의 순차적인 적층이 채반이송가이드에 위에서 이루어진 후 이송 배출되도록 하며,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선상에서의 설치 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이점을 갖도록 한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장에서 갓 잡아올린 멸치는 신선도 유지와 잡냄새 제거 등을 위해 어선에 설치된 자숙기(대형솥)에서 바로 자숙(삶거나 찜)된 다음, 육지의 건조장으로 옮겨지고, 건조 후 선별 포장된다. 잡아올린 멸치는 원활하고 효과적인 자숙과 건조를 위하여 넓은 채반에 적정량씩 고르게 퍼담기고, 멸치발이 적층된 채반 적재물 형태로 자숙기에 투입된다. 멸치 담는 작업은 통상적으로 여러 명의 작업자가 뜰채나 삽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일일이 채반에 퍼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인력소모가 크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인해 노동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생멸치의 신선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968263호(특허문헌 1)로서, '멸치를 멸치발에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잡아올린 멸치를 일련의 공정을 통해 연속해서 멸치발에 적정량씩 담아내어 작업속도와 작업량을 늘리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멸치발이 투입, 이동, 적재되는 과정과, 어획된 멸치가 이동되는 멸치발에 담기는 연속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반해 설치면적을 넓게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생멸치를 멸치발에 정량씩 공급 조절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생멸치의 공급과 함께 소모 누수되는 물을 보충할 수단을 찾아볼 수 없다. 또한 멸치발 적재부의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의 염려가 커진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다른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20-0072010호(특허문헌 2)로서, '멸치 공급 자동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멸치발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모터가 구비된 몸체부; 빈 멸치발 적재물이 수용되고, 멸치발 한 개씩을 상기 몸체부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멸치발 투입부; 어획한 멸치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여 멸치만을 선별하는 멸치 선별부; 상기 멸치발 투입부에서 이송되어 온 빈 멸치발에 상기 선별된 멸치를 일정량씩 투하하는 멸치 투하부; 및 상기 멸치 투하부를 통해 멸치가 담긴 멸치발을 하나씩 적재하는 멸치발 적재부를 포함하여 자동화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그러나 이 배경기술도 생멸치를 멸치발에 정량씩 공급 조절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생멸치의 공급과 함께 소모 누수되는 물을 보충할 수단을 찾아볼 수 없다. 또한 또한 멸치발 적재부의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의 염려가 커진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968263호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20-0072010호
본 발명은 생멸치를 채반에 담을 시 누수되는 물의 보충과 수위 조절이 용이하고, 채반 적층시 이탈의 염려가 없고, 채반걸이의 승강동작에 따른 꺽임과 복원으로 채반의 순차적인 적층이 채반이송가이드에 위에서 지지 적층시킨 후 이송 배출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적층 신뢰성과 동작이 정숙하며,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선상에서의 설치 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이점을 갖도록 한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는, 채반을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의 설정된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으로 투입하기 위해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채반투입선반과;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으로 이송 위치된 채반에 생멸치를 자동 정량공급하는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와;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을 통과한 채반을 순차적으로 채반적층구간에서 설정된 갯수까지 상향 적층시키는 채반적층장치와; 자동 정량공급구간으로 진입한 채반을 채반적층장치의 출구측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채반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는 생멸치를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부피를 갖는 호퍼와; 일정량의 물을 호퍼의 내부로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측에 고정 설치된 로타리 구동모터와; 로타리 구동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호퍼의 하부 배출구측에 배치되어 채반의 진행 반대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하여 생멸치와 물을 흘려 채반에 쏟아 담는 정량공급로타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채반적층장치는 채반적층구간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에 고정 설치된 채반적층 감속모터와; 채반적층 감속모터의 출력축 양단에 일단이 각기 연결되어 회전운동하는 크랭크와; 크랭크의 타단측 슬라이딩 핀과 장공간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크랭크의 회전마다 일정 높이의 승강 이동을 수행하는 상승슬라이드 블록과; 상승슬라이드 블록의 상단 양쪽에 2쌍으로 입설되어 승강 연동하는 상승봉과; 2쌍의 상승봉마다 상단에 설치되어 크랭크의 회전마다 채반적층구간에 진입한 채반을 걸이하여 상승 위치시키는 채반걸이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채반걸이뭉치는 각 쌍의 상승봉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채반걸이 하우징과; 채반걸이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적으로 설치된 걸이회전축과; 걸이회전축의 양단에 각기 고정 설치되어 채반적층구간의 내부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어 채반적층구간에 진입한 채반을 걸이하는 채반 걸이와; 걸이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어 설치되어 걸이회전축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는 스프링 압축레버와; 일단이 스프링 압축레버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채반걸이 하우징을 삽통하여 설치된 스프링 지지대와; 스프링 지지대에 삽입되어 일단이 스프링 압축레버에 지지되고 타단이 채반걸이 하우징의 바닥측에 지지되어, 크랭크의 회전마다 채반 걸이의 상향 회전 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걸이 복원스프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잡어 및 이물질이 정량공급로타리에 끼여 미작동시 로터리 구동모터의 구동을 차단시킨 후 수동으로 로터리 모터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잡어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로터리 구동모터의 출력축에는 동력을 단속시키는 클러치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채반적층구간에는 채반의 진입을 안내하고 적층시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채반의 진입 및 적층시 스프링힘으로 닫혀있다가 적층된 채반의 배출시에는 밀고 나오는 힘에 열렸다가 스프링힘으로 닫힘되는 적층채반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의 구동 제어방법은, (a) 채반을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의 본체측 채반투입선반에 올려 놓고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으로 밀어 넣어 투입감지기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b) 투입감지기의 감지신호로 채반 이송컨베이어가 구동되어 채반을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의 출구측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c) 채반이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의 출구에 도달되면, 정량공급로타리를 채반의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호퍼에 담긴 멸치를 채반에 쏟아 넣는 단계와; (d) 생멸치를 담은 채반이 이송하여 채반적층구간에 배치된 적층감지기를 작동시키면 채반적층 감속모터가 구동하고 상승슬라이드 블록이 연동하여 채반걸이뭉치의 채반걸이가 하강 및 상승하면서 채반을 걸어 올려주는 단계와; (e) 계속해서 채반 걸이는 채반이 채반적층구간에 도달 완료할 때마다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고, 조작반에서 적층감지기의 온 신호로 채반의 걸이 횟수를 카운터하면서 하강하여 채반을 설정한 갯수만큼 쌓아 놓는 단계와; (f) 마지막 채반이 채반 걸이에 적층된 후 상승하지 않고 채반 이송가이드(14)에 올려 놓아진 상태로 있다가 채반이송컨베어에 의해 적재선반으로 이송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c) 단계에서, 잡어 및 이물질이 정량공급로타리에 끼임될 시 클러치를 수동 조작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을 차단시킨 후, 수동으로 로터리 모터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잡어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e) 단계에서, 적층된 채반들은 채반 이송가이드에 지지시켜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퍼내에 물공급관이 설치되어 정량공급로타리의 틈새로 누수되는 물의 보충과 생멸치의 크기에 따른 물 수위 비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채반적층구간에서 채반의 진입 및 적층시 적층채반 가이드에 의해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채반걸이뭉치의 채반걸이가 승강 동작을 하면서 꺽임과 복원 동작으로 채반을 상방으로 걸어올려 채반이송가이드에 위에서 지지 적층시킨 후 이송 배출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정된 개수만큼 신뢰성 있는 적층이 이루어지며, 적층 및 이송 동작이 정숙하다. 또한,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와 생멸치 채반적층장치가 가까이 위치하여 생멸치 자동 공급과 채반의 적층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후 진입방향으로 이송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적층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선상에서의 설치 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의 타측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에서 채반적층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일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에서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를 통한 생멸치를 채반에 자동 공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에서 채반걸이의 상승 및 하강에 따른 동작을 각기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에 적용된 상승걸이뭉치의 정면도 및 일측면도.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채반적층장치를 통한 채반 적층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각각의 작동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10)는 채반(5)을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10)의 본체(12)측 설정된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P1)으로 투입하기 위한 채반투입선반(20)과,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P1)으로 이송 위치된 채반(5)에 생멸치(물이 포함됨)를 자동 정량공급하는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30)와,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P1)를 통과한 채반(5)(생멸치만을 담고 있는 상태)을 채반적층구간(P2)에서 설정된 갯수까지 상향 적층시키는 채반적층장치(40)와, 정량공급구간으로 진입한 채반(5)을 채반적층장치(40)의 출구측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채반 이송컨베이어(50)를 포함한다. 채반(5)은 생멸치의 새어나감은 막고 물이 새어나갈 수 있도록 바닥과 벽면에는 구멍을 갖는 넓은 사각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비어 있는 채반(5)을 채반투입선반(20)으로 밀어넣으면, 채반 이송컨베이어(50)의 구동에 의해 채반(5)이 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P1)에 위치한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30)에 위치한다. 채반(5)이 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P1)의 출구측에 도달되면 채반(5)에 도 7과 같이 생멸치가 자동 정량공급된다. 이후 채반적층구간(P2)에 채반(5)이 위치되면 적층감지기(120)에 의해 카운트가 이루어지고, 채반적층장치(40)의 승강 동작에 의해 도 8과 같이 채반(5)이 상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이 이루어져 설정된 갯수에 도달되면 채반 이송컨베이어(50)에 의해 채반 적재선반(24)으로 이송 배출된다.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30)는 생멸치와 물을 일정량 담아 저장할 수 있는 부피를 갖는 호퍼(32)와, 일정량의 물을 호퍼(32)의 내부에 공급하는 물공급관(34)과, 호퍼(32)의 하부에 설치된 로타리 구동모터(35)와, 로타리 구동모터(35)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호퍼(32)의 하부측 배출구에 배치되어 채반(5)의 진행 반대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하면서 생멸치와 물을 흘려 채반(5)에 쏟아 담는 정량공급로타리(36)를 포함한다.
따라서 채반(5)이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P1)에 도달을 완료하게 되면, 로타리 구동모터(35)의 구동으로 도 7과 같이 정량공급로타리(36)가 채반(5)의 진행방향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호퍼(32)에 담긴 생멸치와 물을 흘려 채반에 고르게 쏟아 담는다. 이때 생멸치의 담은 양은 물의 양과 정량공급로타리(36)의 회전속도(열린시간)로 조절될 수 있다. 정량공급로타리(36)의 작동은 채반투입선반(20)의 하부에 설치된 투입감지기(110)가 작동된 상태에서 채반(5)이 자동 정량공급구간(P1)의 출구 통과시까지 이루어진다.
여기서 잡어 및 이물질이 정량공급로타리(36)에 끼여 채반(5)에 생멸치의 자동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미작동시에는 도 3에 도시된 클러치(37)를 사용할 수 있다. 클러치(37)는 로터리 구동모터(35)의 출력축에 동력을 단속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잡어 및 이물질이 정량공급로타리(36)에 끼임될 경우, 클러치(37)를 조작하여 로터리 구동모터(35)의 구동을 차단시킨 후 수동으로 로터리 모터(3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잡어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생멸치의 자동공급을 원할이 수행할 수 있다.
채반적층장치(40)는 채반적층구간(P2)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12)에 고정 설치된 채반적층 감속모터(41)와, 채반적층 감속모터(41)의 출력축(411) 양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운동하는 크랭크(42)와, 크랭크(42)의 타단측 슬라이딩 핀(421)과 장공(431)간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크랭크(42)의 회전마다 일정 높이의 승강 이동을 수행하는 상승슬라이드 블록(43)과, 상승슬라이드 블록(43)의 상단 양쪽에 2쌍으로 입설되어 승강 연동하는 상승봉(44)과, 2쌍의 상승봉(44)마다 상단에 설치되어 크랭크(42)의 회전마다 채반적층구간(P2)에 진입한 채반을 걸이하여 상승 위치시키는 채반 걸이(53)를 갖는 채반걸이뭉치(45)를 포함한다.
여기서, 채반 걸이(53)의 상사점 및 하사점의 각기 위치 확인은 상승슬라이드 블록(43)에 가까이 위치하여 본체(12)측에 상,하로 고정 설치된 상부 리미트 스위치(LS1)와 하부 리미트 스위치(LS2)의 작동 신호에 의해 이루진다. 따라서 상승슬라이드 블록(43)이 상승 위치(상사점 도달)할 때 상승슬라이드 블록(43)에 설치된 도그(45)에 의해 상부 리미트 스위치(LS1)가 온(ON) 동작하고, 상승슬라이드 블록(43)이 하강 위치(하사점 도달)할 때 동일한 도그(45)에 의해 상부 리미트 스위치(LS1)가 온(ON) 동작한다.
도 9와 같이 채반걸이뭉치(50)는 각 쌍의 상승봉(44)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채반걸이 하우징(51)과, 채반걸이 하우징(5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설치된 걸이회전축(52)과, 걸이회전축(52)의 양단에 고정 설치되어 채반적층구간(P2)의 내부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어 채반적층구간(P2)에 진입한 채반을 걸이하는 채반 걸이(53)와, 걸이회전축(52)에 일단이 고정되어 설치된 스프링 압축레버(54)와, 일단이 스프링 압축레버(54)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채반걸이 하우징(51)을 삽통하여 설치된 스프링 지지대(55)와, 스프링 지지대(55)에 삽입되어 상승 위치한 채반 걸이(53)를 탄성력으로 원위치시키는 걸이 복원스프링(56)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8의 (a)와 같이 채반 걸이(53)는 상승시에 진입 위치한 채반(5)을 상승시키고, 하강시에는 도 8의 (b)와 같이 채반 걸이(53)에 걸려 상향 회전하여 꺽임된 후 다시 걸이 복원스프링(56)에 의해 복원되어 채반적층구간(P2)에 후차적으로 진입한 채반(5)을 걸어 올릴 수 있는 준비를 마치게 된다.
여기서, 채반적층구간(P2)에는 도 5와 같이 본체(12)측에 설치된 적층채반 가이드(60)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적층채반 가이드(60)는 채반(5)의 진입 및 적층시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채반(5)의 진입 및 적층시 스프링힘으로 닫혀있다가 적층된 채반의 배출시에는 밀고 나오는 힘에 열렸다가 스프링힘으로 다시 닫힘된다.
본체(12)에는 도 1과 같이 제어반(100)이 설치된다. 제어반(100)은 채반의 투입을 감지함과 동시에 채반의 적층 개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투입감지기(110), 채반이 채반적층구간(P2)에 도달함을 감지하는 적층감지기(120), 채반 걸이(53)의 상사점 위치를 감지하는 상부 리미트 스위치(LS1), 채반 걸이(53)의 하사점 위치를 감지하는 하부 리미트 스위치(LS2)의 입력 신호를 받아 로타리 구동모터(35), 채반이송컨베어(72)를 작동시키는 컨베어 모터(70), 채반적층 감속모터(41)의 구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채반적층구간(P2)에서 일어나는 채반의 적층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채반(5)이 채반적층구간(P2)에 진입 정지하면 도 10과 같이 적층감지기(120)가 온(ON) 동작하여 제어반(100)이 카운팅하고, 채반 감속모터(41)를 구동시켜 채반걸이(53)를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하강시킨다. 이때 채반(5)은 채반이송가이드(14)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채반걸이(53)는 채반(5)지나는 도중에 상향으로 회전 꺽임된 후 다시 압축코일 스프링(56)에 의해 도 11과 같이 원위치로 복귀(걸기 준비 단계 완료)한다.
그 다음, 도 12와 같이 채반걸이(53)의 하사점 도달 후 채반 감속모터(41)에 의해 다시 상사점으로 이동시켜 채반(5)을 상승시키고, 적층감지기(120)는 오프(OFF) 동작된다.
이와 같이 채반적층구간(P2)에서 채반(5)이 진입 완료될 때마다 채반걸이(53)를 상사점과 하사점간의 하강 및 상승이동을 반복함으로써 도 13 및 도 14와 같이 본체(12)측에 특별히 거치하는 장치없이 채반걸이(53)만으로 채반이송가이드(14)에 설정된 갯수만큼 채반(5)을 적층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반(100)에서 설정된 채반(5)의 적층 개수만큼의 카운트가 완료되면, 채반 감속모터(41)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채반이송컨베어(72)의 구동에 의해 도 15와 같이 적재된 채반(5)들을 적재선반(24)으로 이송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의 작동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7과 같이 빈 채반(5)을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10)의 본체(12)측 채반투입선반(20)에 올려 놓고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P1)으로 밀어 넣으면 투입감지기(110)가 온(ON) 작동한다.
그 다음, 투입감지기(S1)의 온(ON) 신호로 채반 이송컨베이어(50)가 구동되어 채반(5)을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30)의 출구측으로 이송시킨다.
그 다음, 채반이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30)의 출구에 도달되면, 정량공급로타리(36)가 채반(5)의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호퍼(32)에 담긴 멸치를 채반(5)에 쏟아 넣는다. 이때 생멸치를 쏟아 담는 양은 물의 양과 정량공급로타리(36)의 회전속도(열린시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물공급관(34)을 통해 물이 호퍼(32)내로 공급되어 정량공급로타리(36)의 틈새로 누수되는 물이 보충되고 생멸치의 크기에 따른 물 수위 비율이 조절된다.
이 과정에서 잡어 및 이물질이 정량공급로타리(36)에 끼임될 시 클러치(37)를 수동 조작하여 구동모터(35)의 구동을 차단시킨 후, 수동으로 로터리 모터(3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잡어 및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 생멸치를 담은 채반이 이송하여 채반적층구간(P2)에 배치된 적층감지기(120)를 온(ON) 작동시키면 1차 카운트가 개시되고 채반적층 감속모터(41)가 구동하며, 크랭크(42)에 의해 상승슬라이드 블록(43)이 연동하여 채반걸이뭉치(50)의 채반걸이(53)가 하강 및 상승하면서 1차 채반(5)을 도 12와 같이 걸어 올려준다. 따라서 상승된 1차 채반(5)의 하부로 새로운 2차 채반(5)을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층감지기(120)는 다시 오프(OFF) 상태가 된다.
그 다음, 후속으로 동일 과정에 의해 생멸치를 담은 2차 채반(5)이 채반적층구간(P2)에 진입하게 되고, 적층감지기(120)를 온(ON) 작동시키면 2차 카운트가 개시되고 동일 동작으로 채반걸이뭉치(50)의 채반걸이(53)가 다시 하강 및 상승하면서 2차 채반(5)을 걸어 올려준다. 따라서 2차 채반(5)의 상부로 1차 채반(5)이 적층된 상태가 된다. 2차 채반(5)은 채반이송가이드(14)에 올려져 지지된다.
이와 같이 계속해서 채반 걸이(53)는 동일 동작으로 3차, 4차, 5차에 걸쳐 채반(5)이 채반적층구간(P2)에 도달 완료할 때마다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고, 조작반(100)에서 적층감지기(120)의 온(ON) 신호로 채반(5)의 걸이 횟수를 카운터하면서 하강하여 채반(53)을 설정한 갯수만큼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채반적층구간(P2)에서 채반이송가이드(14) 위로 쌓아 놓게 된다.
여기서 적층채반 가이드(60)는 채반적층구간(P2)에서 채반(5)의 진입 및 적층시 이탈을 방지하며 적층된 채반들을 지지한다. 또한 적층채반 가이드(60)는 채반(5)의 진입 및 적층시 스프링힘으로 닫혀있게 된다.
이후, 마지막 채반(5)이 채반 걸이(53)에 적층된 후 상승하지 않고 채반 이송가이드(14)에 올려 놓아진 5개의 적층된 채반(5)들이 도 15와 같이 채반이송컨베어(72)에 의해 적재선반(24)으로 이송 배출된다. 적층된 채반의 배출시에 적층채반 가이드(60)는 밀고 나오는 힘에 열렸다가 스프링힘으로 닫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호퍼(32)내에 물공급관(34)이 설치되어 정량공급로타리(36)의 틈새로 누수되는 물의 보충과 생멸치의 크기에 따른 물 수위 비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채반적층구간(P2)에서 채반(5)의 진입 및 적층시 적층채반 가이드(60)에 의해 채반(5)의 이탈 방지와 원활한 이송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채반걸이뭉치(50)의 채반걸이(53)가 승강 동작을 하면서 꺽임과 복원 동작으로 채반(5)을 상방으로 걸어올려 채반이송가이드(14)에 위에서 지지 적층시킨 후 이송 배출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카운트 조정에 따른 채반 적층 개수의 조절이 쉽고, 동작이 정숙하다. 또한,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30)와 생멸치 채반적층장치(40) 및 이송 배출이 채반(5)의 이송 진행 방향에서 모두 이루어져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10)를 콤팩트하고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선상에서의 설치 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이점을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본체
20: 채반투입선반
30: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
32: 호퍼
34: 물공급관
35: 로타리 구동모터
36: 정량공급로타리
37: 클러치
40: 채반적층장치
41: 채반적층 감속모터
42: 크랭크
43: 상승슬라이드 블록
44: 상승봉
45: 채반걸이뭉치
50: 채반 이송컨베이어
51: 채반걸이 하우징
52: 걸이회전축
53: 채반 걸이
54: 스프링 압축레버
55: 스프링 지지대
56: 걸이 복원스프링
60: 적층채반 가이드

Claims (3)

  1. 채반(5)을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10)의 설정된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P1)으로 투입하기 위해 본체(12)의 일측에 설치된 채반투입선반(20)과;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P1)으로 이송 위치된 채반(5)에 생멸치를 자동 정량공급하는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30)와;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P1)을 통과한 채반(5)을 순차적으로 채반적층구간(P2)에서 설정된 갯수까지 상향 적층시키는 채반적층장치(40)와;
    자동 정량공급구간(P1)으로 진입한 채반(5)을 채반적층장치(40)의 출구측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채반 이송컨베이어(50)를 포함하고;
    상기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30)는, 생멸치를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부피를 갖는 호퍼(32)와, 일정량의 물을 호퍼(32)의 내부로 공급하는 물공급관(34)과, 호퍼(32)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112)측에 고정 설치된 로타리 구동모터(35)와, 로타리 구동모터(35)의 출력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호퍼(32)의 하부 배출구측에 배치되어 채반(5)의 진행 반대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하여 생멸치와 물을 흘려 채반에 쏟아 담는 정량공급로타리(36)를 포함하며;
    상기 채반적층장치(40)는, 채반적층구간(P2)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12)에 고정 설치된 채반적층 감속모터(41)와, 채반적층 감속모터(41)의 출력축 양단에 일단이 각기 연결되어 회전운동하는 크랭크(42)와, 크랭크(42)의 타단측 슬라이딩 핀(421)과 장공(431)간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크랭크(42)의 회전마다 일정 높이의 승강 이동을 수행하는 상승슬라이드 블록(43)과, 상승슬라이드 블록(43)의 상단 양쪽에 2쌍으로 입설되어 승강 연동하는 상승봉(44)과, 2쌍의 상승봉(44)마다 상단에 설치되어 크랭크(42)의 회전마다 채반적층구간(P2)에 진입한 채반을 걸이하여 상승 위치시키는 채반걸이뭉치(45)를 포함하는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걸이뭉치(50)는, 각 쌍의 상승봉(44)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채반걸이 하우징(51)과, 채반걸이 하우징(51)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적으로 설치된 걸이회전축(52)과, 걸이회전축(52)의 양단에 각기 고정 설치되어 채반적층구간(P2)의 내부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어 채반적층구간(P2)에 진입한 채반을 걸이하는 채반 걸이(53)와, 걸이회전축(52)에 일단이 고정되어 설치되어 걸이회전축(52)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는 스프링 압축레버(54)와, 일단이 스프링 압축레버(54)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채반걸이 하우징(51)을 삽통하여 설치된 스프링 지지대(55)와, 스프링 지지대(55)에 삽입되어 일단이 스프링 압축레버(54)에 지지되고 타단이 채반걸이 하우징(51)의 바닥측에 지지되어, 크랭크(42)의 회전마다 채반 걸이(53)의 상향 회전 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걸이 복원스프링(56)을 포함하고;
    잡어 및 이물질이 정량공급로타리(36)에 끼여 미작동시 로터리 구동모터(35)의 구동을 차단시킨 후 수동으로 로터리 모터(3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잡어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로터리 구동모터(35)의 출력축에는 동력을 단속시키는 클러치(37)가 더 설치되며;
    상기 채반적층구간(P2)에는 채반(5)의 진입을 안내하고 적층시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채반(5)의 진입 및 적층시 스프링힘으로 닫혀있다가 적층된 채반의 배출시에는 밀고 나오는 힘에 열렸다가 스프링힘으로 닫힘되는 적층채반 가이드(6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
  3. (a) 채반(5)을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10)의 본체(12)측 채반투입선반(20)에 올려 놓고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구간(P1)으로 밀어 넣어 투입감지기(110)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b) 투입감지기(S1)의 감지신호(ON)로 채반 이송컨베이어(50)가 구동되어 채반(5)을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30)의 출구측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c) 채반이 생멸치 자동 정량공급장치(30)의 출구에 도달되면, 정량공급로타리(36)를 채반(5)의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호퍼(32)에 담긴 멸치를 채반(5)에 쏟아 넣는 단계와;
    (d) 생멸치를 담은 채반이 이송하여 채반적층구간(P2)에 배치된 적층감지기(120)를 작동시키면 채반적층 감속모터(41)가 구동하고 상승슬라이드 블록(43)이 연동하여 채반걸이뭉치(50)의 채반걸이(53)가 하강 및 상승하면서 채반(5)을 걸어 올려주는 단계와;
    (e) 계속해서 채반 걸이(53)는 채반(5)이 채반적층구간(P2)에 도달 완료할 때마다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고, 조작반(100)에서 적층감지기(120)의 온 신호로 채반(5)의 걸이 횟수를 카운터하면서 하강하여 채반(53)을 설정한 갯수만큼 쌓아 놓는 단계와;
    (f) 마지막 채반(5)이 채반 걸이(53)에 적층된 후 상승하지 않고 채반 이송가이드(14)에 올려 놓아진 상태로 있다가 채반이송컨베어(72)에 의해 적재선반(24)으로 이송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잡어 및 이물질이 정량공급로타리(36)에 끼임될 시 클러치(37)를 수동 조작하여 구동모터(35)의 구동을 차단시킨 후, 수동으로 로터리 모터(3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잡어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e) 단계에서, 적층된 채반(53)들은 채반 이송가이드(14)에 지지시켜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의 구동 제어방법.
KR1020220080958A 2022-06-30 2022-06-30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 KR20240002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958A KR20240002852A (ko) 2022-06-30 2022-06-30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958A KR20240002852A (ko) 2022-06-30 2022-06-30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852A true KR20240002852A (ko) 2024-01-08

Family

ID=8953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958A KR20240002852A (ko) 2022-06-30 2022-06-30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85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263B1 (ko) 2018-07-16 2019-04-11 조우혁 멸치를 멸치발에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
KR20200072010A (ko) 2018-12-12 2020-06-22 조우혁 멸치를 멸치발에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263B1 (ko) 2018-07-16 2019-04-11 조우혁 멸치를 멸치발에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
KR20200072010A (ko) 2018-12-12 2020-06-22 조우혁 멸치를 멸치발에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641B1 (ko) 굴 세척 및 포장 장치
US202200537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squito pupae sorting, counting and packaging
US5022218A (en) Device for filling outers with filled bags
KR102390637B1 (ko)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
CN110558864A (zh) 油炸系统
US90040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waste from a soiled container
KR101968263B1 (ko) 멸치를 멸치발에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
KR20240002852A (ko) 생멸치 정량 자동공급기 및 이의 구동 제어방법
US7754147B2 (en) Staining machine for treatment of tissue specimens
CN113581557A (zh) 一种自动奶茶机
JP4034792B2 (ja) 炊飯水交換装置とそれを用いる炊飯システム
JP3877355B2 (ja) ミルクサンプリング装置
KR20200072010A (ko) 멸치를 멸치발에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
KR20220125105A (ko) 멸치와 채반 자동공급장치
US297505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handling raw materials in the production of hydrolyzed feather meal and other poultry by-product meal
US2410515A (en) Box dumping machine
KR102497917B1 (ko) 수산물 및 채반 공급 장치
CN110623563A (zh) 油炸控制方法
CN211687196U (zh) 一种鸡爪清洗机的入料装置
CN117022926B (zh) 一种定量给料机
CN210788409U (zh) 一种用于剔除袋装鱼制品中鼓包次品的清洗机
CN115590368A (zh) 全自动取米计量淘洗蒸饭一体机及其蒸饭方法
CN207887218U (zh) 一种米粒浸泡装置
SU162537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ыгрузки навоза
CN220722152U (zh) 一种带有称重功能的碳酸胍生产用自动化料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