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824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824A
KR20240002824A KR1020220080896A KR20220080896A KR20240002824A KR 20240002824 A KR20240002824 A KR 20240002824A KR 1020220080896 A KR1020220080896 A KR 1020220080896A KR 20220080896 A KR20220080896 A KR 20220080896A KR 20240002824 A KR20240002824 A KR 20240002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vable plate
housing
hoo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호
박영일
이동훈
윤영주
최진수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824A/ko
Priority to US18/129,178 priority patent/US20240006812A1/en
Priority to EP23167028.2A priority patent/EP4300714A1/en
Priority to CN202310473319.5A priority patent/CN117335192A/zh
Publication of KR2024000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커넥터 내에 단자를 보호하고 정렬상태를 유지하는 가동판을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에 복수의 제1 단자가 배치된 제1 커넥터;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단자가 관통하는 단자공이 형성된 가동판; 및 상기 제1 커넥터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가동판을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이동시키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내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판의 측면에는 힌지부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의 단부가 상기 단차부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제1 커넥터 내에 단자를 보호하고 정렬상태를 유지하는 가동판을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기기의 내부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기구이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서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한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내부에는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단자가 복수로 마련되어 정렬될 수 있다.
기기의 성능이 향상되고 기능이 늘어남에 따라 커넥터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 및 신호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커넥터에 마련된 단자들의 수도 함께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단자는 얇고 길어지게 되는데, 단자가 얇고 길어지게 됨으로써 결합과정 중에 단자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커넥터의 내부에는 단자를 보호하면서 정렬상태를 유지하고, 결합 전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동판(moving plate)이 설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가동판이 부가됨으로써, 가동판의 작동과 관련된 일련의 연동구조나 부품들이 커넥터 또는 커넥터 조립체에 추가로 요구되기 때문에,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이 복잡하게 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예를 들어 제1 커넥터에 가동판이 임시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가동판은 제1 커넥터에 인가되는 원하지 않는 외력에 의해 임시 결합상태가 쉽게 훼손되고, 결국 가동판이 신뢰성 있게 단자를 보호 및 유지할 수 없다.
(특허문헌 1) KR 1342165 B1
본 발명은, 별도의 부품 없이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음과 더불어, 원하지 않는 외력이 인가되면 가동판이 임시 결합 위치에 신뢰성 있게 유지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내부에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에 복수의 제1 단자가 배치된 제1 커넥터;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단자가 관통하는 단자공이 형성된 가동판; 및 상기 제1 커넥터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가동판을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이동시키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내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판의 측면에는 힌지부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의 단부가 상기 단차부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에 삽입된 복수의 제2 단자,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단자가 관통하는 단자공이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일측에는 상기 홀더의 두께방향으로 연장한 푸쉬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푸쉬판의 자유단이 상기 힌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힌지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 조립체는 가동판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부품 없이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원하지 않는 외력이 인가되면 가동판이 임시 결합 위치에 신뢰성 있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가동판이 제1 커넥터 내에서 임시 결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가동판에 대해 힘-변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결합할 때 가동판이 임시 결합 위치로부터 완전 결합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분리할 때 가동판이 완전 결합 위치로부터 임시 결합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가동판이 제1 커넥터 내에서 임시 결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제1 커넥터(10), 가동판(20) 및 제2 커넥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0)는 제1 하우징(11)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제1 하우징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대략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의 내부, 즉 제1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간(12)에는, 제2 커넥터(30)를 구성하는 홀더(4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결합공간 내에는 제1 커넥터(10)의 복수의 제1 단자(미도시)가 돌출되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자는 제1 하우징(11)의 폐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단자 안착부(13)에 일부가 위치되고, 단부가 결합공간 내로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결합공간(12)은 제1 하우징(11)의 내면 및 폐쇄면으로 구획되고, 제1 하우징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 내면에는 각각 단차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 외면에는 각각 안내돌기(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의 폐쇄면에는 제1 걸이부(17)가 대략 판 형상으로 결합공간(12) 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이부는, 가동판(20)이 제1 커넥터(10), 즉 제1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제1 걸이부는, 가동판이 임시 결합 위치에서 제1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가동판(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대략 사각형의 판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판은 제1 하우징(11) 내 결합공간(12)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판은 그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측면(21)이 형성될 수 있다.
가동판(20)에는 복수의 단자공(22)이 천공될 수 있다. 각 단자공은 제1 커넥터(10)의 복수의 제1 단자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가동판(20)에서, 복수의 측면(21)들 중 하나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태로 대략 판 형상의 제1 후크(2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크는 가동판의 일측으로,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1)의 폐쇄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크(27)는 제1 하우징(11)의 제1 걸이부(17)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가동판(20)이 임시 결합 위치에서 제1 커넥터(10), 즉 제1 하우징(11)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규제될 수 있다.
가동판(20)의 타측에는 안내돌출판(23)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내돌출판은 가동판에 대해 대략 직각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사각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안내돌출판(23)의 측방향 양단면에는 각각 지지암(29)과 제2 후크(28)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암의 일단은 안내돌출판의 선단(edge) 쪽에 연결되고, 지지암의 타단은 안내돌출판의 측방향 단면 중간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후크는 지지암에 지지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암(29)은 안내돌출판(23)의 측방향으로 변형이 가능하게 소정의 탄성을 가진 재질 및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후크(28)는 지지암의 탄성 변형에 의해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가동판(20)은 제1 커넥터(10)의 결합공간(12) 내에 위치되어 복수의 제1 단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외력에 의한 제1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가동판은 제1 커넥터의 결합공간 내에서 임시 결합 위치와 완전 결합 위치 사이를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의 결합 또는 분리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임시 결합 위치는 가동판(20)이 제1 단자의 단부에 인접하게 있는 위치이다. 완전 결합 위치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가 완전히 결합되어 가동판이 결합공간(12)의 폐쇄면에 접촉된 위치 또는 가동판이 폐쇄면에 가장 인접하게 있는 위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서, 가동판(20)의 복수의 측면(21) 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들에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한 힌지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는 일측이 가동판의 측면에 연결되어 탄성에 의한 회전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힌지부의 타측 단부는 제1 커넥터(10)의 내면, 즉 제1 하우징(11)의 내면에 있는 단차부(14)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될 수 있다.
힌지부(24)는, 제2 커넥터(30)에 의한 힘 외의 다른 외력에 의해, 가동판(20)이 제1 커넥터(10), 즉 제1 하우징(11) 내로 깊숙이 삽입되는 것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힌지부는, 원하지 않는 다른 외력에 의해서는 가동판이 임시 결합 위치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하며, 제1 하우징의 폐쇄면 쪽으로 이동되지 않게 한다.
구체적으로, 가동판(20)의 임시 결합 위치에서, 힌지부(24)는 자체적으로 갖는 탄성에 의해 가동판의 측면(21)에 대하여 벌어지게 되고, 이로써 힌지부는 제1 하우징(11)의 내면에 있는 단차부(14)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동판(20)에 제2 커넥터(30)에 의한 힘 외의 다른 외력, 다시 말해 원하지 않는 외력이 인가되게 되면, 힌지부(24)에 의한 걸림고정으로 인하여 가동판은 제1 커넥터(10) 내 임시 결합 위치에서 그대로 유지되고 이동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서, 가동판(20)이 제1 커넥터(10) 내 임시 결합 위치에 놓이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판의 힌지부(24)가 제1 커넥터의 단차부(14)에 걸림고정됨과 더불어, 가동판의 제1 후크(27)가 제1 커넥터의 제1 걸이부(17)에 걸림고정됨으로써, 가동판은 어느 쪽으로도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가동판(20)에 원하지 않는 외력이 인가될 때 가동판은 임시 결합 위치에 신뢰성 있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가동판에 대해 힘-변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가동판(20)에 힌지부(24)가 존재함으로써, 가동판이 제1 커넥터(10) 내 임시 결합 위치에 놓이면, 힌지부는 제1 커넥터의 단차부(14)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힌지부의 회전 없이 가동판에 외력이 가해지면, 힌지부의 단부에서 해당 외력을 지탱할 수 있다. 이로써, 가동판은 원하지 않는 외력에 의해서는 이동하지 않게 된다.
통상,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결합하기 전 임의로 또는 우발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은 대략 50 N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가동판(20)은 힌지부(24)에 의해 약 217 N 정도의 힘까지 견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힌지부(24)가 적용된 가동판(20)은,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를 결합하기 전에 제1 커넥터의 단자들이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고 있으며, 원하지 않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임시 결합 위치에 유지됨으로써 변형 또는 손상에 대하여 단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구조상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커넥터(30)는 제1 커넥터(10)의 일측에, 예컨대 제1 하우징(11)의 개방면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30)는, 내부에 수용공간(32)이 형성된 제2 하우징(31), 제2 하우징의 일측으로 삽입된 복수의 제2 단자(미도시), 및 제2 하우징의 타측으로 삽입되어 수용공간 내에서 제2 하우징에 결합되는 홀더(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31)은 제2 커넥터(30)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제2 하우징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대략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의 내부, 즉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공간(3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32) 내에는, 제2 커넥터(30)를 구성하는 홀더(4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 내에는 제2 커넥터의 복수의 제2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단자 수용부(33)가 마련되고, 단자 수용부에 복수의 제2 단자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제2 하우징의 외부에는 레버(35)가 설치될 수 있다. 레버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의 결합 또는 분리시에 지렛대 역할을 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 또는 분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레버(35)는, 제2 하우징(31)의 외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게 구비된 연동판(36)을 손잡이(37)가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양측 연동판에는 연동채널(3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동채널에는 제1 하우징(11)의 안내돌기(15)가 위치되어 연동채널 내에서 상대이동할 수 있다. 연동채널의 일단은 안내돌기가 진입 가능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31)의 외면에는 안내돌기(15)의 삽입 및 이동을 위한 안내슬릿(34)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의 안내슬릿(34)과 레버(35)의 연동채널(38)은 서로 교차하여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의 안내돌기(15)가 제2 하우징(31)의 안내슬릿(34)에 삽입된 후 안내슬릿 내에서 일정 거리를 이동하여 레버(35)의 연동채널(38)에 진입한 상태에서, 레버, 즉 연동판(36)이 제1 방향(예컨대 도 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안내돌기는 연동채널의 궤적을 따라 안내슬릿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30)가 제1 커넥터(10) 쪽으로 당겨지면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다.
반면에, 레버(35), 즉 연동판(36)이 제2 방향(예컨대 도 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안내돌기(15)는 연동채널(38)의 궤적을 따라 안내슬릿(34) 내에서 이전과 반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는 결합이 해제되면서 분리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홀더(4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대략 사각형의 판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는 제2 하우징(31) 내 수용공간(32)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측면(41)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40)의 복수의 측면(41) 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들에는 체결홈(4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홈이 제2 하우징(31) 내에 구비된 체결돌기(미도시)와 압입 또는 걸림고정됨으로써, 홀더가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홀더(40)에는 복수의 단자공(42)이 천공될 수 있다. 각 단자공은 제2 커넥터(30)의 복수의 제2 단자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홀더(40)는 가동판(20)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동판과 접하게 되는 홀더의 일측에는, 가동판의 안내돌출판(23)의 삽입을 위한 안내삽입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삽입홀(43)의 내면에는 제2 걸이부(48)가 안내삽입홀 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이부(48)는 가동판(20)의 제2 후크(28)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커넥터(30)를 제1 커넥터(10)로부터 분리할 때 가동판(20)이 완전 결합 위치에서 임시 결합 위치로 홀더(40)를 따라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홀더(40)의 일측에는, 측면의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홀더의 두께방향으로 연장한 푸쉬판(44)이 형성될 수 있다. 푸쉬판의 내면은 가동판(20)의 측면의 일부와 형상맞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쉬판이 홀더의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경우에, 푸쉬판의 내면은 가동판의 모서리와 형상맞춤될 수 있다.
더욱이, 홀더(40)의 두께방향으로 연장한 푸쉬판(44)의 자유단은 가동판(20)의 힌지부(24)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홀더와 가동판이 가까워질수록 힌지부는 가동판의 측면으로 접혀지는 한편, 홀더와 가동판이 멀어질수록 힌지부는 가동판의 측면에 대해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배치된 홀더(40)는, 제2 하우징(31)에 설치된 제2 단자를 지지하고 고정시킴으로써 제2 하우징과 제2 단자 간의 결합을 보강해주고 제2 하우징으로부터 제2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31)의 내부에 결합된 홀더(40)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의 결합시 제1 하우징(11)의 결합공간(1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홀더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의 개방단은 제2 하우징의 내면과 홀더의 측면(41) 사이로 끼워질 수 있다.
제2 커넥터(30) 내에 제1 커넥터(10)가 삽입됨에 따라, 가동판(20)의 안내돌출판(23)이 홀더(40)를 관통하고, 홀더의 푸쉬판(44)이 제1 하우징(11)의 내면과 가동판의 측면(21) 사이로 끼워지면서 푸쉬판의 자유단은 가동판의 힌지부(24)와 접촉하여 힌지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40)의 푸쉬판(44)이 제1 하우징(11)의 내면과 가동판(20)의 측면(21) 사이로 끼워지게 됨으로써, 홀더와 제1 커넥터(10) 사이, 다시 말하면 홀더와 제1 하우징 사이 및 홀더와 가동판 사이의 결합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구나, 홀더(40)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의 결합 및 분리시 가동판(20)이 제1 하우징(11)의 결합공간(12) 내에서 임시 결합 위치와 완전 결합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구동력은 레버(35)를 회전시키는 힘으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가동판(20)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부품 없이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작동, 특히 결합 및 분리의 과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결합할 때 가동판이 임시 결합 위치로부터 완전 결합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상태는, 레버(35)가 기울어져 있고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이 상태는 단순히 제1 커넥터가 제2 커넥터 내에 삽입된 상태로서, 가동판(20)은 제1 하우징(11) 내에서 임시 결합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가동판(20)의 힌지부(24)가 제1 하우징(11)의 단차부(14)에 걸림고정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로써, 가동판은 원하지 않는 외력에 의해서는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30) 내에 일정 거리만큼 더욱 삽입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판(20)의 안내돌출판(23)은 안내삽입홀(43)을 통해 제2 커넥터의 홀더(40)를 관통하고, 안내삽입홀 내 제2 걸이부(48)가 가동판의 제2 후크(28)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홀더(40)의 푸쉬판(44)이 제1 하우징(11)의 내면과 가동판(20)의 측면 사이로 끼워지면서 힌지부(2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힌지부는 가동판의 측면(21)으로 접혀짐과 동시에 제1 하우징의 내면에 있는 단차부(14)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동판(20)은 임시 결합 위치로부터 제1 하우징(11)의 폐쇄면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레버(35)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하우징(11)의 안내돌기(15)가 레버의 연동판(36)에 있는 연동채널(38)의 궤적을 따라 제2 하우징(31)의 안내슬릿(34)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이동에 따라,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는 서로 쪽으로 당겨지면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가 서로 쪽으로 당겨질 때, 제2 하우징(31) 내 홀더(40)는 가동판(20)과 접촉하게 되고, 이어서 가동판을 제1 하우징(11)의 결합공간(12) 내에서 폐쇄면 쪽으로 밀어붙이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판은 임시 결합 위치로부터 완전 결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상태는, 레버(35)가 완전히 회동하여 세워지고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가 완전하게 결합하여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또한, 이 상태에서 가동판(20)은 제1 하우징(11) 내에서 완전 결합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걸림해제된 힌지부(24)가 접혀진 채로, 가동판(20)은 제1 하우징(11) 내에서 폐쇄면 쪽에 깊숙이 삽입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힌지부를 갖춘 가동판은 푸쉬판(44)을 갖춘 홀더(40)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만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분리할 때 가동판이 완전 결합 위치로부터 임시 결합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에 도시한 상태는 전술한 도 7에 도시한 상태와 동일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를 분리하기 위해, 예를 들어, 레버(35)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하우징(11)의 안내돌기(15)가 레버의 연동판(36)에 있는 연동채널(38)의 궤적을 따라 제2 하우징(31)의 안내슬릿(34) 내에서 이전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이동에 따라, 제1 커넥터(10)는 제2 커넥터(30)는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분리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가 서로로부터 이격될 때, 홀더(40)의 안내삽입홀(43) 내 제2 걸이부(48)가 가동판(20)의 제2 후크(28)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판은 완전 결합 위치로부터 임시 결합 위치로 홀더를 따라 제1 하우징(11) 내에서 상대이동할 수 있다.
가동판(20)이 임시 결합 위치에 도달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판의 제1 후크(27)는 제1 하우징(11)의 제1 걸이부(17)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가동판은 더이상 제1 하우징(11) 내에서 상대이동하지 못하도록 규제됨과 동시에 임시 결합 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홀더(40)의 제2 걸이부(48)와 가동판(20)의 제2 후크(28)를 걸림고정시키는 힘보다 큰 힘이 레버를 매개로 하여 제2 커넥터(30) 및 제1 커넥터(10)에 인가됨으로써 이들 커넥터 간 거리가 더욱 멀어지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후크는 지지암(29)의 탄성 변형에 의해 그 위치가 가변되면서 제2 걸이부와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가동판(20)과 홀더(40) 간의 연결이 해제되고 가동판과 홀더는 서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가동판과 홀더가 멀어질수록 힌지부(24)는 가동판의 측면(21)에 대해 벌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0에는 가동판의 힌지부가 제1 하우징(10)의 단차부(14)에 다시 걸림고정되기 직전의 상태를 볼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상태는 전술한 도 5에 도시한 상태와 동일하다. 다시 말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는 전기적 접속이 해제되고, 단순히 제1 커넥터가 제2 커넥터 내에 삽입되어 있다.
가동판(20)의 힌지부(24)가 제1 하우징(11)의 단차부(14)에 다시 걸림고정됨과 더불어, 가동판의 제1 후크(27)가 제1 하우징의 제1 걸이부(17)에 걸림고정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로써, 가동판은 어느 쪽으로도 이동되지 않고서 임시 결합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 조립체는 가동판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부품 없이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원하지 않는 외력이 인가되면 가동판이 임시 결합 위치에 신뢰성 있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 커넥터 11: 제1 하우징
12: 결합공간 13: 단자 안착부
14: 단차부 15: 안내돌기
17: 제1 걸이부 20: 가동판
21: 측면 22: 단자공
23: 안내돌출판 24: 힌지부
27: 제1 후크 28: 제2 후크
29: 지지암 30: 제2 커넥터
31: 제2 하우징 32: 수용공간
33: 단자 수용부 34: 안내슬릿
35: 레버 36: 연동판
37: 손잡이 38: 연동채널
40: 홀더 41: 측면
42: 단자공 43: 안내삽입홀
44: 푸쉬판 45: 체결홈
48: 제2 걸이부

Claims (8)

  1. 내부에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에 복수의 제1 단자가 배치된 제1 커넥터;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단자가 관통하는 단자공이 형성된 가동판; 및
    상기 제1 커넥터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가동판을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이동시키는 제2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내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판의 측면에는 힌지부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의 단부가 상기 단차부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에 삽입된 복수의 제2 단자,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단자가 관통하는 단자공이 형성된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일측에는 상기 홀더의 두께방향으로 연장한 푸쉬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푸쉬판의 자유단이 상기 힌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힌지부를 회전시키는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결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결합공간 내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판의 다른 측면에는 제1 후크가 상기 가동판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후크가 상기 제1 걸이부에 걸림고정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의 타측에는 안내돌출판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출판은, 측방향 단면에 연결된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에 일체로 형성된 제2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일측에는 상기 안내돌출판의 삽입을 위한 안내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삽입홀의 내면에는 제2 걸이부가 상기 안내삽입홀 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걸이부가 상기 제2 후크에 걸림고정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은,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힌지부가 상기 푸시판에 의해 걸림해제되고 상기 홀더가 상기 가동판과 접촉하여 상기 가동판을 구동시킴으로써, 임시 결합 위치에서 완전 결합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가동판은,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분리시 상기 제2 후크가 상기 제2 걸림부에 걸림고정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가동판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판을 구동시킴으로써, 완전 결합 위치에서 임시 결합 위치로 이동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이부와 상기 제2 후크를 걸림고정시키는 힘보다 큰 힘이 인가될 때,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지지암의 탄성 변형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면서 상기 제2 걸이부로부터 걸림이 해제되고, 이로써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분리가 허용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면에는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안내돌기의 삽입 및 이동을 위한 안내슬릿이 소정 길이로 형성된 커넥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에는 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동채널이 형성된 연동판, 및 상기 연동판에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채널과 상기 안내슬릿은 서로 교차하여 연통되며,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연동채널의 궤적을 따라 안내슬릿 내에서 이동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20080896A 2022-06-30 2022-06-30 커넥터 조립체 KR20240002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896A KR20240002824A (ko) 2022-06-30 2022-06-30 커넥터 조립체
US18/129,178 US20240006812A1 (en) 2022-06-30 2023-03-31 Connector assembly
EP23167028.2A EP4300714A1 (en) 2022-06-30 2023-04-06 Connector assembly
CN202310473319.5A CN117335192A (zh) 2022-06-30 2023-04-27 连接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896A KR20240002824A (ko) 2022-06-30 2022-06-30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824A true KR20240002824A (ko) 2024-01-08

Family

ID=8598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896A KR20240002824A (ko) 2022-06-30 2022-06-30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06812A1 (ko)
EP (1) EP4300714A1 (ko)
KR (1) KR20240002824A (ko)
CN (1) CN117335192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6625B2 (ja) * 2006-10-27 2012-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342165B1 (ko) 2012-05-11 2013-1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101899841B1 (ko) * 2012-07-11 2018-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101862851B1 (ko) * 2017-03-20 2018-05-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레이트 타입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35192A (zh) 2024-01-02
EP4300714A1 (en) 2024-01-03
US20240006812A1 (en)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312B1 (ko) 터미널 위치 보장 기구를 갖춘 커넥터
WO2017115693A1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装置
US7189935B1 (en) Contact arm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7052293B2 (en)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US7192307B1 (en) Quick release locking latch for a panel mount connector
US20060040535A1 (en)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with slide members
US1031262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alignment plate and secondary lock detection
US20190067874A1 (en) Connector cover and assembly structure of connector with connector cover
KR100955055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240002824A (ko) 커넥터 조립체
EP4447232A1 (en) Connector assembly
KR20210055523A (ko) 커넥터
KR20240153182A (ko) 커넥터 조립체
US11692570B2 (en) Pin and grommet fastener accommodating two directional offset and related methods
KR200466962Y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US5624284A (en) Electrical plug-type connector having an interlock mechanism
KR200496183Y1 (ko) 자기 잠금식 커넥터
KR20240034337A (ko) 레버 타입 커넥터
EP3961050B1 (en) Pin and grommet fastener accommodating two directional offset and related methods
KR19990037663A (ko) 벽에 고정하기 위한 두 플러그 반부를 가지는 장치
EP3599674B1 (en) Flexing mounting clip for an electrical assembly
KR20230172299A (ko) 무빙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KR20230002304U (ko) Lvds형 커넥터
CA2519276C (en) Connector capable of locking connected state or non-connected state
KR20240133116A (ko) 레버타입 커넥터 및 레버타입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