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783A - 발열 어깨 베개 - Google Patents

발열 어깨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783A
KR20240002783A KR1020220080804A KR20220080804A KR20240002783A KR 20240002783 A KR20240002783 A KR 20240002783A KR 1020220080804 A KR1020220080804 A KR 1020220080804A KR 20220080804 A KR20220080804 A KR 20220080804A KR 20240002783 A KR20240002783 A KR 20240002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user
seating portion
nape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철
Original Assignee
(주)프로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젠 filed Critical (주)프로젠
Priority to KR102022008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783A/ko
Publication of KR20240002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7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어깨 베개는 어깨와 목근육 통증 완화를 위한 발열 어깨 베게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후두부와 경추의 특정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는 구조, 사용자가 정자세로 눕는 자세를 유지하기 용이한 구조, 사용자의 어깨 후면과 바닥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받쳐줄 수 있는 구조의 베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열 어깨 베개{Shoulder pillow for fomenting}
본 발명은 어깨와 목근육 통증 완화를 위한 발열 어깨 베게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어깨와 목 부위 또는 승모근에 통증과 긴장 상태가 유발되고 있다. 사무직 직장인들은 장시간 컴퓨터 업무를 통해 근육이 뭉치고, 어깨 사용량이 많은 현장 종사자들의 경우에도 긴장과 스트레스가 유발된다. 공부하는 학생이나 중장년층, 노년층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어깨와 목 부위 또는 승모근에 통증과 긴장을 해소하기 위해 충분한 휴식을 취하거나 따로 마사지 등의 치료를 받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시간적 여유가 없는 현대인에게는 따로 시간을 할애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다.
이에, 대부분의 현대인들에게 공통적으로 할애된 시간인 수면시간에 편안한 숙면을 취하거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베개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베개는 누울 때 머리를 몸보다 살짝 높혀주기 위한 침구로써 강도, 탄성, 높이, 소재, 구조 등을 개선한 다양한 기능성 베개가 있을 수 있다.
요즘에는 기능성 베개의 소재로써 라텍스(latex)나 메모리폼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능성 베개(1)는 후두 안착부(3)의 오목한 곡면 구간에 사용자의 후두부가 안착되되, 후두부가 상기 후두 안착부(3)와 목덜미 안착부(2) 사이의 경계에서 하중이 집중 됨으로써 혈액 순환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자세로 눕는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목덜미 안착부(2)와 상기 후두 안착부(3)에 사용자의 경추 및 후두부가 정위치 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정자세로 눕는다고 하더라도 상기 목덜미 안착부(2)의 경사도와 높이 때문에 사용자의 어깨 후면과 바닥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깨에 과도한 긴장과 스트레스가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KR 1614621 B1 KR 0470791 Y1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어깨 베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먼저, 사용자의 어깨, 목 또는 승모근 부위를 찜질할 수 있는 구조의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후두부와 경추의 특정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는 구조의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정자세로 눕는 자세를 유지하기 용이한 구조의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어깨 후면과 바닥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받쳐줄 수 있는 구조의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어깨 베개는 소정의 부피를 갖는 베개 몸체부, 상기 베개 몸체부의 중앙 후단에 형성된 오목하게 굴곡지는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후두부가 안착되도록 하는 후두 안착부, 상기 베개 몸체부의 중앙 전단으로부터 상기 후두 안착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목덜미가 안착되도록 하는 목덜미 안착부, 상기 목덜미 안착부가 중앙을 향해서 오목하게 굴곡지는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경추가 상기 목덜미 안착부의 중앙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경추 정렬부, 상기 후두 안착부의 중앙에 함몰된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후두부가 상기 후두 안착부에 안착되면 후두부의 중앙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후두 노출부, 상기 목덜미 안착부의 중앙에 함몰된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목덜미가 상기 목덜미 안착부에 안착되면 경추의 중앙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경추 보호부, 상기 베개 몸체부의 양측 전단에서 하부면이 전방으로 소정 거리 돌출된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어깨 후면이 받쳐지도록 하는 어깨 안착부, 상기 경추 보호부를 회피하여 상기 목덜미 안착부에 형성되는 목 찜질부, 상기 베개 몸체부의 양측 전단으로부터 상기 어깨 안착부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가 상기 어깨 안착부로 밀착되면 어깨 상면 또는 후면이 찜질되도록 하는 어깨 찜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깨 안착부는 가장자리 쪽이 중앙보다 더 돌출되는 V자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어깨가 이완되면서 후두부와 어깨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더라도 어깨의 외측이 지속적으로 받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 찜질부 및 상기 어깨 찜질부는 그라파이트 펠트 발열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어깨 베개에는 찜질 수단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어깨, 목 또는 승모근 부위를 찜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찜질 수단은 목 찜질부 및 어깨 찜질부로 구분되어 개별 동작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어깨, 목, 승모근 부위를 선택적으로 찜질할 수 있다.
또한, 찜질 수단은 개별적으로 온도 조절 또는 시간 예약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온도 또는 사용 시간을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목덜미 안착부가 후두 안착부를 향해 상향 경사를 형성하면서 중앙을 향해서 오목하게 굴곡진 경추 정렬부가 마련되어, 후두부와 경추의 특정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정자세로 눕는 자세를 유지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베개 몸체부의 양측 전단에서 하부면이 소정 거리 돌출된 어깨 안착부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어깨 후면과 바닥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받쳐주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어깨 안착부는 가장자리 쪽이 중앙보다 더 돌출되는 V자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어깨가 이완되면서 후두부와 어깨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더라도 어깨의 외측이 지속적으로 받쳐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열 어깨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열 어깨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열 어깨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열 어깨 베개의 측면 사진이다.
도 6은 도 4의 XX'에서 바라본 측단면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열 어깨 베개의 평면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써, 찜질 수단을 표시한 사진이다.
도 8은 어깨 및 목덜미에 형성된 승모근의 모양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 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어깨 베개(10)는 베개 몸체부(100), 후두 안착부(200), 목덜미 안착부(300), 경추 정렬부(400), 후두 노출부(500), 경추 보호부(600), 어깨 안착부(700), 목 찜질부(800), 어깨 찜질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베개 몸체부(100)는 소정의 강도와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에 최적화된 소정의 부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베개 몸체부(100)의 높이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베개를 베고 누웠을 때 주먹 정도 높이로, 베개를 누른 상태에서 6~8㎝가 적당하고, 목과 어깨가 수평으로 나란해지도록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체형에 따라서도 최적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목이 길고 마른 체형이라면 통상적인 베개보다 1~2㎝ 낮은 것을 쓰고, 목이 짧고 살찐 체형은 1~2㎝ 높은 베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 환경에 따라서도 최적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푹신한 침대에 자는 경우에는 몸이 묻히므로 통상적인 베개보다 낮은 베개가 적합하다. 뒷목과 어깨가 과도한 긴장으로 뻐근한 경우에도 근육이 잘 이완되도록 낮은 베개가 적합하다. 반면, 목 척추에 퇴행성 관절염이나 목 디스크가 있으면 높은 베개가 적합하다.
한편, 상기 베개 몸체부(100)의 폭도 마찬가지이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어깨보다 넓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개 몸체부(100)는 라텍스, 메모리폼, 실리콘, 석재 또는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금형을 통해 메모리폼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부위별로 2중 경도를 적용하여 어깨를 자연스럽게 받쳐주고 목과 머리의 최적각도를 구현하며 적정 압력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친환경 PHA 발포소재를 적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등 친환경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친환경 소재는 전자파 차단 필름을 이용한 친환경 원단으로써 전선 및 컨트롤러 등에 발생할 수 있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베개 몸체부(100)의 소재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후두 안착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개 몸체부(100)의 중앙 후단에 형성된 오목하게 굴곡지는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후두부가 안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후두 안착부(200)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는 상기 베개 몸체부(100)의 중앙 전단으로부터 상기 후두 안착부(200)를 향해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목덜미가 안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의 너비는 상기 후두 안착부(200)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의 최상단에서 상기 후두 안착부(200)의 일측과 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두 안착부(200)와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의 경계에는 목덜미-후두 경계선(B)이 형성된다.
상기 목덜미-후두 경계선(B)은 부드러운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덜미-후두 경계선(B)의 높이는 상기 베개 몸체부(1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눕는 식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후두 안착부(200) 및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에는 상기 경추 정렬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경추 정렬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가 중앙을 향해서 오목하게 굴곡지는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경추가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의 중앙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경추에 좌/우 균등하게 하중이 가해질 수 있고, 양측에서 감싸지는 느낌을 받는 효과가 기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어깨 베개(10)에는 하중 경감 및 방열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중 경감 및 방열 수단에는 상기 후두 노출부(500) 및 경추 보호부(600)가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후두 노출부(500)는 상기 후두 안착부(200)의 중앙에 함몰된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후두부가 상기 후두 안착부(200)에 안착되면 후두부의 중앙 일부가 노출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후두부 중앙 부분이 상기 베개 몸체부(1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의 머리 온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상기 경추 보호부(600)는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의 중앙에 함몰된 형상으로써, 목덜미의 중앙 일부가 수용되면서 보호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사용자의 목덜미가 상기 목덜미 안착부에 안착되면 경추 라인이 상기 목덜미 안착부와 이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경추 중앙 부분에는 신경과 혈관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하중이 집중되거나 온도가 상승하면 유해할 수 있다. 특히, 사람의 목은 곡면을 이루므로 정자세로 누웠을 때 경추 중앙 부분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추 보호부(600)를 통해서 사용자의 경추 중앙 부분이 상기 베개 몸체부(1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어깨 안착부(700)는 상기 베개 몸체부(100)의 양측 전단에서 하부면이 전방으로 소정 거리 돌출된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어깨 후면이 받쳐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어깨 안착부(700)는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의 좌측,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경추가 정자세로 상기 경추 보호부(600)에 안착되었을 경우에 어깨 후면과 바닥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어깨 또는 승모근에 과한 긴장을 줄 수 있다.
즉, 상기 어깨 안착부(700)를 통해서 어깨 후면과 바닥면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을 메꿔주어 상기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깨 안착부(700)는 가장자리 쪽이 전방으로 중앙보다 더 돌출되는 V자 형상(A)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서 상기 후두 안착부(200)와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에 정자세로 눕더라도 어깨 후면과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어깨 또는 승모근이 이완되면서 후두부와 어깨 사이의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이 때 어깨 후면과 바닥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어깨 안착부(700)가 V자 형상(A)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관계 없이 어깨 후면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메꿔줄 수 있고, 어깨 또는 승모근의 이완에도 불구하고 어깨의 외측은 지속적으로 받쳐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깨 안착부(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 윗면 안착 영역(710)과 어깨 후면 안착 영역(7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어깨 윗면 안착 영역(710)은 직립된 형태로써 0 ~ 10 도 범위의 각도로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어깨를 감싸주기 위하여 상부 부분에서 돌출된 형태로도 제작될 수는 있으나,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달라지는 어깨 윗면 사이즈가 충분히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동일 선상에 있는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의 높이보다는 높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어깨 후면 안착 영역(720)은 상기 베개 몸체부(100)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소정 거리 돌출된 형태로써, 사용자의 어깨 후면이 받쳐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어깨 후면 안착 영역(720)도 상기 어깨 윗면 안착 영역(710)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따라 달라지는 어깨 후면 사이즈가 충분히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돌출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의 돌출 길이보다는 짧은 돌출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승모근 형태와 관련이 있다.
즉, 승모근은 전체적으로 십자가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에 대응되는 승모근 중앙 부분이 아래로 길게 뻗어져 있으므로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의 돌출 길이가 상기 어깨 후면 안착 영역(720)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어깨 베개(10)에는 찜질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찜질 수단을 통해 온찜질 또는 냉찜질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찜질 수단에 마련되는 발열체는 어떠한 한가지로 제한되지 않는다.
발열체의 일 실시 예로서, 그라파이트 펠트 발열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펠트 발열체는 복사 난방 및 고효율 특성을 가진다. 또한, 금속 발열체 대비 경량화되고 가공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세포 생성 효과, 생육 촉진 효과, 냄새 제거 효과, 살균 효과, 전자파 차폐 효과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찜질 수단에는 내장 센서를 통해 저온 화상 방지 기능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찜질 수단은 결합 위치에 따라서 상기 목 찜질부(800) 및 상기 어깨 찜질부(900)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목 찜질부(800)는 경추 보호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 찜질부(800)는 상기 경추 보호부(600)를 회피하여 좌측,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추 주변 또는 승모근 상부를 찜질하면서도 경추 중앙에 집중된 혈관 또는 신경이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 찜질부(800)는 사용자의 목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어깨 찜질부(900)는 상기 어깨 찜질부(900)는 상기 목덜미 안착부(300)의 좌측,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 찜질부(900)는 상기 베개 몸체부(100)의 양측 전단으로부터 상기 어깨 안착부(700)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깨 찜질부(900)는 상기 베개 몸체부(100)의 양측 전단과 상기 어깨 안착부(700)에 분절된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깨 찜질부(900)는 상기 베개 몸체부(100)의 양측 전단으로부터 상기 어깨 안착부(700)로 곡면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어깨가 상기 어깨 안착부(700)로 밀착되면 어깨 상면 또는 후면이 찜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 어깨 베개(10)에는 상기 목찜질부 및 상기 어깨 찜질부에 각각 마련되는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찜질 수단은 목 찜질부(800)와 상기 어깨 찜질부(900)로 구분되어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어깨, 목, 승모근 부위를 선택적으로 찜질할 수 있다.
상기 목 찜질부 및 상기 어깨 찜질부는 온도 및 사용 시간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찜질 수단은 개별적으로 온도 조절 또는 시간 예약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온도 또는 사용 시간을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약 기능을 통해 수면 중에 상기 목 찜질부(800)가 상기 어깨 찜질부(900)보다 먼저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온도 조절 기능을 통해 상기 목 찜질부(800)의 온도가 상기 어깨 찜질부(900)의 온도보다 낮게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 A2, B1, B2의 4-Way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찜질 수단은 3단계 온도조절기능과 자동 OFF기능이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온도 범위는 1단계(40~42도), 2단계(43~45도), 3단계(46~48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찜질 수단에 마련되는 발열체 각각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내장되어 온도에 따라 자동 OFF기능이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로는 보조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10,000mA 보조배터리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A1와 A2 부분에는 5분간 48도, 10분간 45도 이후 자동 OFF기능이 작동될 수 있다.
2. 반면, B1과 B2 부분에는 5분간 48도, 9~11시간 45도 이후 자동 OFF기능이 작동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발열 어깨 베개
100: 베개 몸체부
200: 후두 안착부
300: 목덜미 안착부
400: 경추 정렬부
500: 후두 노출부
600: 경추 보호부
700: 어깨 안착부
710: 어깨 윗면 안착 영역
720: 어깨 후면 안착 영역
800: 목 찜질부
900: 어깨 찜질부
A: V자 형상
B: 목덜미-후두 경계선

Claims (4)

  1. 소정의 부피를 갖는 베개 몸체부;
    상기 베개 몸체부의 중앙 후단에 형성된 오목하게 굴곡지는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후두부가 안착되도록 하는 후두 안착부;
    상기 베개 몸체부의 중앙 전단으로부터 상기 후두 안착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목덜미가 안착되도록 하는 목덜미 안착부;
    상기 목덜미 안착부가 중앙을 향해서 오목하게 굴곡지는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경추가 상기 목덜미 안착부의 중앙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경추 정렬부;
    상기 후두 안착부의 중앙에 함몰된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후두부가 상기 후두 안착부에 안착되면 후두부의 중앙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후두 노출부;
    상기 목덜미 안착부의 중앙에 함몰된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목덜미가 상기 목덜미 안착부에 안착되면 경추 라인이 상기 목덜미 안착부와 이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경추 보호부;
    상기 베개 몸체부의 양측 전단에서 하부면이 전방으로 소정 거리 돌출된 형상으로써, 사용자의 어깨 후면이 받쳐지도록 하는 어깨 안착부;
    상기 경추 보호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목덜미 안착부에 형성되는 목 찜질부;
    상기 베개 몸체부의 양측 전단으로부터 상기 어깨 안착부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가 상기 어깨 안착부로 밀착되면 어깨 상면 또는 후면이 찜질되도록 하는 어깨 찜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어깨 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 안착부는,
    가장자리 쪽이 중앙보다 더 돌출되는 V자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어깨가 이완되면서 후두부와 어깨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더라도 어깨의 외측이 지속적으로 받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어깨 베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 찜질부 및 상기 어깨 찜질부는 그라파이트 펠트 발열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어깨 베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 어깨 베개에는,
    상기 목찜질부 및 상기 어깨 찜질부에 각각 마련되는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목 찜질부 및 상기 어깨 찜질부는 온도 및 사용 시간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어깨 베개.
KR1020220080804A 2022-06-30 2022-06-30 발열 어깨 베개 KR20240002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804A KR20240002783A (ko) 2022-06-30 2022-06-30 발열 어깨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804A KR20240002783A (ko) 2022-06-30 2022-06-30 발열 어깨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783A true KR20240002783A (ko) 2024-01-08

Family

ID=8953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804A KR20240002783A (ko) 2022-06-30 2022-06-30 발열 어깨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78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791B1 (ko) 2003-01-17 2005-03-10 김경탁 축전지용 전극단자성형장치
KR101614621B1 (ko) 2014-12-12 2016-04-21 남문식 체형교정 건강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791B1 (ko) 2003-01-17 2005-03-10 김경탁 축전지용 전극단자성형장치
KR101614621B1 (ko) 2014-12-12 2016-04-21 남문식 체형교정 건강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780Y1 (ko) 숙면용 정형 베개
US8893334B1 (en) Orthopedic pillows
US9078528B2 (en) Therapeutic cushion for relieving lower back pain
KR101520574B1 (ko) 인체공학 베개
KR20160028191A (ko) 경추 맛사지 기구가 내장된 기능성 베개
CN206044204U (zh) 颈椎康护枕
KR102109986B1 (ko) 기능성 날개 베개
KR101930643B1 (ko) 베개
KR20180001158A (ko) 수면자세에 의한 인체맞춤형 기능성 베개
KR101805270B1 (ko) 기능성 베개
KR200483101Y1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20240002783A (ko) 발열 어깨 베개
KR102475466B1 (ko) 교정용 경추베개
KR100633026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US20220022669A1 (en) Disc Pillow for Supported Range of Motion and Attenuation
KR200461352Y1 (ko) 경추찜질베개
CN210138032U (zh) 一种新型护腰、护颈枕
CN110584408A (zh) 适合不同高度需求的枕头
KR102503206B1 (ko) 베개
KR101895003B1 (ko) 기능성 베개
CN201085708Y (zh) 颈椎治疗枕
KR102644695B1 (ko) 편안한 숙면 베개
RU30532U1 (ru) Подушка ортопедическая
KR102503202B1 (ko) 베개
CN210643528U (zh) 适合不同高度需求的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