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362A - 사용자 입력을 반영한 재생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입력을 반영한 재생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362A
KR20240002362A KR1020220079464A KR20220079464A KR20240002362A KR 20240002362 A KR20240002362 A KR 20240002362A KR 1020220079464 A KR1020220079464 A KR 1020220079464A KR 20220079464 A KR20220079464 A KR 20220079464A KR 20240002362 A KR20240002362 A KR 20240002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list
user
weight
input
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재
Original Assignee
송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현재 filed Critical 송현재
Priority to KR102022007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362A/ko
Publication of KR2024000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36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06F16/437Administration of user profiles, e.g. generation, initialisation, adaptation,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4387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by the use of play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06F16/637Administration of user profiles, e.g. generation, initialization, adaptation or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6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usin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재생목록을 구성하는 영상 및 음원의 개수와 재생 방식을 변경시킬 수 있는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재생목록을 구성하는 각각의 영상 및 음원에 중복 개수를 의미하는 가중치를 입력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 및 음원의 개수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재생목록 전체에 대해 동일한 영상 및 음원이 다시 재생될 수 있는 최소 간격을 입력하여 동일한 영상 및 음원이 짧은 간격으로 다시 재생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입력을 반영한 재생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laylists that reflect user input}
본 발명은 영상 및 음원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재생목록에 포함되는 영상 및 음원의 개수가 정해지고 사용자가 입력한 재생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종료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생목록을 구성하는 영상 및 음원은 유튜브, 유튜브 뮤직, 멜론, 스포티파이 등을 비롯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재생장치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재생목록을 구성하는 영상 및 음원은 다른 영상 및 음원에 대하여 동일한 확률로 재생된다. 랜덤 재생의 경우, n개의 영상 및 음원은 1/n의 확률로 재생된다. 다만 이미 재생된 영상 및 음원이 다시 재생될 수 있기 때문에 셔플 재생이라는 기술이 도입되었다. 셔플 재생의 경우, 재생목록 내에서 한번 재생된 영상 및 음원은 재생 시스템에서 제외되고 남은 k개의 영상 및 음원이 1/k의 동일한 확률로 재생된다. 각각의 영상 및 음원이 재생될 확률을 증가시키고 싶다면,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에는 동일한 영상 및 음원을 재생목록에 중복으로 추가해야 하며, 오프라인의 경우에는 동일한 영상 및 음원을 중복으로 저장해야 한다. 이 과정은 번거로우며 이렇게 추가된 영상 및 음원은 별개의 영상 및 음원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몇 개의 영상 및 음원이 중복으로 추가되었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우며 오프라인의 경우에는 저장용량의 문제도 있다.
기존의 방식대로 재생목록에 영상 및 음원을 중복으로 추가한 경우, 추가된 영상 및 음원이 별개의 파일로 인식되기 때문에 셔플 재생 시 동일한 영상 및 음원이 연속으로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곡을 3번 추가하면 A1, A2, A3라는 곡으로 인식되어 A1이 재생되고 재생시스템에서 제외되어도 연속으로 A2가 재생될 수 있다.
특허 문헌 1과 특허 문헌 2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음원의 재생확률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루는 선행기술문헌이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평점, 부스트 등급, 부스트 적용 시간을 바탕으로 음원의 재생확률이 변경되는 방식이며, 특허 문헌 2에서는 그래픽 객체로 표현된 각각의 음원에 대하여 그래픽의 크기를 변경함에 따라 재생확률이 변경되는 방식이다.
(특허 문헌 1) KR 10-2021-0067540 A 2021. 6. 8 (특허 문헌 2) WO 2015/131928 2015. 9. 11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직관적으로 영상 및 음원이 재생될 확률을 변경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동일한 영상 및 음원이 연속으로 재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재생목록을 구성하는 각각의 영상 및 음원에 가중치를 입력하여 영상 및 음원의 중복된 개수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A라는 음원에 가중치 5를 부여하면 해당 재생목록에는 음원A가 5곡 포함된 것으로 인식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재생목록 전체에 대하여 최소 간격을 입력하여 동일한 영상 및 음원이 연속되거나 금방 다시 재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최소 간격으로 3을 입력하면 한 음원이 재생된 후 동일한 음원이 다시 재생되기까지 최소한 서로 다른 3곡이 재생되어야 한다. 최소 간격이 0인 경우에는 동일한 곡이 연속으로 재생될 수 있다.
재생목록에 대해 입력된 가중치와 최소 간격을 바탕으로 재생순서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한 음원이 재생될 때마다 최소 간격에 기반하여 그 음원을 제외하거나 다시 포함하여 재생순서를 재연산한다. 연산 결과 최소 간격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음원의 재생을 종료한다.
가중치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쉽게 영상 및 음원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최소 간격을 입력하는 것으로 동일한 영상 및 음원이 연속해서 재생되거나 금방 다시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중치와 최소 간격을 통해 영상 및 음원이 재생되는 확률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시스템을 이용한 음원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재생장치의 화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정보를 기반으로 가능한 재생 시스템의 경우의 수를 표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음원 재생 시스템(100)은 재생목록 저장부(110), 가중치입력부(120), 최소 간격 입력부(130), 연산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재생목록 저장부(110)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받거나 사용자가 오프라인으로 제공한 영상 및 음원을 저장하여 재생목록을 생성한다.
다음, 가중치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각 영상 및 음원의 중복 개수를 의미하는 가중치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초기 가중치는 기본 1으로 설정된다.
최소 간격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동일한 영상 및 음원이 재생되지 않는 최소 간격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초기 최소 간격은 0으로 설정되며 동일한 영상 및 음원이 연속으로 재생될 수 있다.
최소 간격이 n이면, 음원 A가 재생된 후 최소 n개의 다른 음원이 재생되어야 음원A가 재생될 수 있다.
연산부(140)는 각각의 영상 및 음원에 입력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 영상 및 음원을 확률적으로 선택하고 재생목록에 입력된 최소 간격을 이용하여 선택된 영상 및 음원의 재생 여부를 결정한다.
연산부(140)에서는 재생 사이클이 진행 중일 때 영상 및 음원이 재생될 때마다 해당 영상 및 음원의 가중치는 1씩 차감되며 이는 재생 사이클이 종료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값으로 복구된다.
연산부(140)에서 영상 및 음원을 선택한 확률은 (선택 시점에서 특정 영상 및 음원의 가중치)/(선택 시점에서 재생목록 내의 전체 영상 및 음원의 가중치 합)으로 계산된다.
연산부(140)에서 선택된 영상 및 음원은 최소 간격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출력부(150)을 통해 재생된다.
연산부(140)에서 선택된 영상 및 음원이 최소 간격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재생되지 않는다.
재생목록에 남은 모든 영상 및 음원이 최소 간격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재생 사이클이 종료된다.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재생장치의 화면을 표현한 것이다.
사용자는 재생목록 저장부에 음원A, 음원B, 음원C, 음원D를 추가하였다.
사용자는 음원 A의 가중치 입력부에 5, 음원 C의 가중치 입력부에 3을 입력하였다.
사용자는 최소 간격 입력부에 3을 입력하였다.
도 3의 정보를 기반으로 가능한 재생 시스템의 경우의 수를 표현한 것이다.
100: 음원 재생 시스템, 110: 재생목록 저장부
120: 가중치 입력부, 130: 최소 간격 입력부
140: 연산부, 150: 출력부

Claims (7)

  1.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및 음원이 저장된 재생목록 저장부와,
    사용자가 재생목록을 구성하는 영상 및 음원에 가중치를 입력하는 가중치 입력부와,
    사용자가 재생목록에 대해 최소 간격 조건을 입력하는 최소 간격 입력부와,
    입력된 가중치와 최소 간격 조건을 바탕으로 재생목록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및 음원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고 조건에 따라 갱신하는 연산부,
    선택된 영상 및 음원을 파일의 형식에 맞게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기반 재생목록 생성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입력부는,
    사용자가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았을 경우, 초기 가중치는 1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기반 재생목록 생성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입력부는,
    사용자가 정수의 형태로 가중치를 부여하며, 가중치가 정수 n으로 부여된 데이터는 n개의 데이터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기반 재생목록 생성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소 간격 입력부는,
    가중치가 부여된 데이터가 연속으로 재생되거나, 금방 다시 재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기반 재생목록 생성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소 간격 입력부는,
    사용자가 정수의 형태로 재생간격을 부여하며, 재생간격이 정수 k로 입력되었을 경우, 재생된 데이터는 이후 k곡의 다른 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 재생목록에서 제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기반 재생목록 생성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가중치 입력부로부터 가중치가 부여된 상기 재생목록 저장부의 데이터들의 가중치를 모두 합한 값을 전체 데이터의 개수로 인식하여 랜덤 리스트를 생성, 재생 및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기반 재생목록 생성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재생목록에 남아있는 모든 영상 및 음원이 최소 간격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재생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기반 재생목록 생성 시스템.
KR1020220079464A 2022-06-29 2022-06-29 사용자 입력을 반영한 재생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2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464A KR20240002362A (ko) 2022-06-29 2022-06-29 사용자 입력을 반영한 재생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464A KR20240002362A (ko) 2022-06-29 2022-06-29 사용자 입력을 반영한 재생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362A true KR20240002362A (ko) 2024-01-05

Family

ID=89541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464A KR20240002362A (ko) 2022-06-29 2022-06-29 사용자 입력을 반영한 재생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36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1928A1 (de) 2014-03-04 2015-09-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r auswahl von mediendateien zur wiedergabe
KR20210067540A (ko) 2019-11-29 2021-06-08 견두헌 사용자 선택에 의해 음원 재생 확률을 변경시킬 수 있는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1928A1 (de) 2014-03-04 2015-09-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r auswahl von mediendateien zur wiedergabe
KR20210067540A (ko) 2019-11-29 2021-06-08 견두헌 사용자 선택에 의해 음원 재생 확률을 변경시킬 수 있는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3137B2 (en) Media editing
KR100898713B1 (ko)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목록 생성 방법 및 장치, 미디어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장치
DK2418594T3 (en) Visualization and grouping method of maintaining the order of the assets in a playlist.
KR100868475B1 (ko) 객체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위한 다중객체 오디오 콘텐츠파일의 생성, 편집 및 재생 방법과, 오디오 프리셋 생성방법
KR101963753B1 (ko) 음악의 분절별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GB2359916A (en) Media editing
JP201000336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2347046A (zh) 数据产生装置和方法、以及数据处理装置和方法
KR20140102131A (ko) 재생목록들의 생성
JPH09311850A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7318200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20240002362A (ko) 사용자 입력을 반영한 재생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406516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JP4401740B2 (ja) 編集装置
WO2017159569A1 (ja) 更新方法および更新装置
JP6648586B2 (ja) 楽曲編集装置
Miller The ultimate digital music guide
JP2008099012A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蓄積システム
JP2007122180A (ja) 階層化構造生成方法及び記憶装置
JP2008204506A (ja) コンテンツリスト生成装置
WO2010063495A1 (en) Time-based script trickplay sequences for automatically authoring cliplets from a media stream
Zheliezniak Specificity of audiovisual culture in multimedia space: sound aspect
JP2009129521A (ja) 楽曲再生装置
JP4862761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0267335A (ja) プレイリスト生成装置、プレイリスト生成方法、プレイリスト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