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314A - 매체 정렬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정렬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314A
KR20240002314A KR1020220079374A KR20220079374A KR20240002314A KR 20240002314 A KR20240002314 A KR 20240002314A KR 1020220079374 A KR1020220079374 A KR 1020220079374A KR 20220079374 A KR20220079374 A KR 20220079374A KR 20240002314 A KR20240002314 A KR 20240002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edium
roller shaft
transfer unit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식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314A/ko
Publication of KR20240002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3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매체 정렬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정렬장치가 개시된다.
이 중에서 매체 정렬장치는 매체가 이송되는 이송로를 제공하는 제1 이송유닛과, 제1 이송유닛의 상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이송유닛과, 매체가 이송경로의 경로 센터에 위치되도록 상기 매체를 정렬하는 정렬롤러를 포함하고, 정렬롤러는 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이송유닛의 양측부에 이격 배치되는 롤러 축부와, 적어도 일부가 매체의 측부에 접촉되도록 롤러 축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롤러 스크류부를 포함하고, 롤러 축부의 회전시, 롤러 스크류부는 상기 매체를 상기 경로 센터로 정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매체 정렬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정렬장치{MEDIA ALIGNMENT ROLLER AND MEDIA ALIGNMENT APP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매체 정렬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로는 현금자동지급기(CDU; Cash Dispenser Unit), 현금자동입출금기(BRM; Bill Recycling Machine), 매체를 번들(bundle) 형태로 입금 및 리젝트 처리할 수 있는 매체(지폐 및 수표) 입금기(CCIM; CASH AND CHECK IN MODULE) 등이 있다.
일 예로, 매체 입금기는 매체(지폐 및 수표 등)가 번들 형태로 투입 및 수취 가능한 번들모듈과, 번들모듈에 투입된 매체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와, 분리부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입금 매체의 정보 및 진위를 감별하기 위한 감별부와,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부와, 감별부에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매체 또는 입금 수납이 취소된 매체를 번들모듈 측으로 이송하는 리젝트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번들모듈에 투입된 매체는 크기가 서로 다를 수도 있고, 일정한 기준으로 정렬되지 아니한 상태일 수 있다. 매체는 정렬되지 아니한 상태로 분리부로 저속으로 이송되면, 매체가 분리부로 이송되는 도중에 스큐되거나 잼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매체가 분리부에 이송되었다고 하더라도, 분리부의 매체 낱장 분리과정에서, 매체의 낱장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번들모듈에 투입된 매체가 분리부에 도달하기 전, 매체가 일정한 기준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22-0050409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속으로 이송되는 매체를 이송경로 상에서 센터 정렬할 수 있는 매체 정렬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정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매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양측에 배치되는 롤러 축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매체의 측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롤러 축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롤러 스크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축부의 회전시, 상기 롤러 스크류부는 상기 매체를 상기 이송경로의 경로 센터로 정렬시키는 매체 정렬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 스크류부는 상기 롤러 축부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상기 롤러 축부의 외면에서 상기 롤러 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 스크류부는 상기 롤러 축부의 외면에서 상기 롤러 축부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2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매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제1 이송유닛; 상기 제1 이송유닛의 상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이송유닛; 및 상기 매체가 상기 이송경로의 경로 센터에 위치되도록 상기 매체를 정렬하는 정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롤러는 상기 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이송유닛의 양측부에 이격 배치되는 롤러 축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매체의 측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롤러 축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롤러 스크류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축부의 회전시, 상기 롤러 스크류부는 상기 매체를 상기 경로 센터로 정렬시키는 매체 정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매체 정렬장치는 상기 제1 이송유닛과 상기 제2 이송유닛을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제1 이송유닛 또는 상기 제2 이송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로를 제공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매체를 상기 이송경로 상에서 이송시키는 구동력을 상기 매체에 제공하는 제1 이송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 이송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롤러는 상기 제2 이송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롤러; 및상기 경로 센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이송유닛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경로 센터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2 이송유닛의 일측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1 롤러 축부; 및 상기 제1 롤러 축부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 롤러 축부의 외면에서 상기 제1 롤러 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롤러 스크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이송유닛의 타측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2 롤러 축부; 및 상기 제2 롤러 축부의 축방향에 대하여 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2 롤러 축부의 외면에서 상기 제2 롤러 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롤러 스크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롤러 축부에 대한 제1 롤러 스크류부의 연장 방향은, 상기 경로 센터를 중심으로 상기 제2 롤러 축부에 대한 제2 롤러 스크류부의 연장 방향과 대칭되고, 상기 제1 롤러 스크류부 및 상기 제2 롤러 스크류부는, 상기 제1 롤러 축부 및 상기 제2 롤러 축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매체를 상기 이송경로의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매체가 이송로 상에서 저속으로 이송될 때, 매체를 이송로의 경로 센터에 정렬시킴으로써, 매체의 이송 도중에 발생되는 스큐 또는 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번들모듈에 투입된 매체가 분리부에 도달하기 전, 매체를 일정한 기준으로 정렬시킴으로써, 매체가 분리부에 낱장 분리될 때, 매체가 정상적으로 낱장 분리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장치의 매체 정렬롤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부에서 바라본 제2 이송유닛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장치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장치에 매체가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장치에서, 매체가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1 이송유닛이 승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는, 매체(M)를 이송경로(100a)의 경로 센터(C)에 정렬시키는 매체 정렬장치(10)와, 매체 정렬장치(10)가 설치되는 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경로(100a)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매체(M)가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체 정렬장치(10)는 이송경로(100a) 상에 위치한 매체(M)를 이송경로(100a)의 경로 센터(C)에 센터 정렬시킴으로써, 이송경로(100a)에서 발생되는 매체(M)의 스큐 또는 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 정렬장치(10)는 제1 이송유닛(100), 제2 이송유닛(200), 정렬롤러(300), 승강 액츄에이터(400) 및 컨트롤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유닛(100)은 매체(M)의 이송경로(100a)를 제공할 수 있다. 이송경로(100a)는 금융자동화기기(1)에서 매체(M)가 이송되는 이동 경로일 수 있다. 제1 이송유닛(100)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이송유닛(100)은 승강 액츄에이터(400)와 구동 연결될 수 있다. 제1 이송유닛(100)은 제2 이송유닛(200)을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승강 액츄에이터(4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이송유닛(100)은 제1 지지 플레이트(110) 및 제1 이송 벨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110)는 매체(M)의 이송을 위한 이송경로(100a)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이송 벨트(120)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지지 플레이트(110)에는 한 쌍의 제1 이송 벨트(120)가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송 벨트(120)는 매체(M)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이송경로(100a) 상에 위치한 매체(M)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이송 벨트(1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이송 벨트(120)의 작동시, 제1 지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노출된 제1 이송 벨트(120)는, 매체(M)와의 마찰력에 의해, 이송경로(100a)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매체(M)를 이송시킬 수 있다.
제2 이송유닛(200)은 제1 이송유닛(100)의 상측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송유닛(200)은 제2 지지 플레이트(210) 및 제2 이송 벨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210)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0)와 나란하도록 제1 지지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2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이송 벨트(220)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지지 플레이트(210)에는 한 쌍의 제2 이송 벨트(220)가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송 벨트(220)는 제2 이송 벨트(220)와 밀착되는 위치로 승강될 때, 매체(M)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매체(M)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이송 벨트(22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면에 노출될 수 있다. 제2 이송 벨트(220)의 작동시, 제2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면에 노출된 제2 이송 벨트(220)는, 매체(M)와의 마찰력에 의해, 이송경로(100a)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매체(M)를 이송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이송유닛(100) 및 제2 이송유닛(200)은 이송 벨트를 통해 매체(M)를 이송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제1 이송유닛(100) 및 제2 이송유닛(200)에는 이송 벨트 이외에도, 매체(M)를 이송하기 위한 다양한 이송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 개의 이송롤러가 제1 이송유닛(100) 및 제2 이송유닛(200)에 이송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정렬롤러(300)는 매체(M)가 이송경로(100a)의 경로 센터(C)에 위치되도록 매체(M)를 정렬할 수 있다. 정렬롤러(300)는 제2 이송유닛(200)의 제2 이송 벨트(220)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롤러(300a) 및 제2 롤러(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300a)는 제2 이송 벨트(220)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제2 이송유닛(200)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롤러(300b)는 제2 이송 벨트(220)의 타측에 배치되도록 제2 이송유닛(200)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제1 롤러(300a) 및 제2 롤러(300b)는 이송경로(100a)의 경로 센터(C)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롤러(300a)와 경로 센터(C)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제2 롤러(300b)와 경로 센터(C) 사이의 이격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정렬롤러(300)는 롤러 축부(310) 및 롤러 스크류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롤러(300)가 제1 롤러(300a) 및 제2 롤러(300b)를 구성되는 경우, 제1 롤러(300a)는 제1 롤러 축부(310a) 및 제1 롤러 스크류부(320a)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롤러(300b)는 제2 롤러 축부(310b) 및 제2 롤러 스크류부(320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롤러 축부(310a)는 제2 이송유닛(200)의 일측부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러 축부(310a)는 제2 이송유닛(200)의 일측부에서 제2 이송 벨트(22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러 축부(310a)의 외면에는 제1 롤러 스크류부(32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롤러 스크류부(320a)는 제1 롤러 축부(310a)의 외면에서 제1 롤러 축부(310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롤러 스크류부(320a)는 제1 롤러 축부(310a)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제2 이송유닛(200)을 하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롤러 스크류부(320a)는 매체(M)가 이송방향을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롤러 축부(310a)의 축방향에 경사지게 형성지되, 제2 롤러 스크류부(320b)와는 제2 이송 벨트(22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제2 롤러 축부(310b)는 제2 이송유닛(200)의 타측부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롤러 축부(310b)는 제2 이송유닛(200)의 타측부에서 제2 이송 벨트(22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롤러 축부(310b)의 외면에는 제2 롤러 스크류부(32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롤러 스크류부(320b)는 제2 롤러 축부(310b)의 외면에서 제1 롤러 축부(310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롤러 스크류부(320b)는 제2 롤러 축부(310b)의 축방향에 대하여 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제2 이송유닛(200)을 하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롤러 스크류부(320b)는 매체(M)가 이송방향을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롤러 축부(310b)의 축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되, 제1 롤러 스크류부(320a)와는 제2 이송 벨트(22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롤러 축부(310a)에 대한 제1 롤러 스크류부(320a)의 연장 방향은, 경로 센터(C)를 중심으로 상기 제2 롤러 축부(310b)에 대한 제2 롤러 스크류부(320b)의 연장 방향과 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롤러 축부(310a) 및 제2 롤러 축부(310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 롤러 스크류부(320a) 및 제2 롤러 스크류부(320b)는, 매체(M)를 이송경로(100a)의 경로 센터(C)로 정렬시키는 동시에, 매체(M)를 이송경로(100a)의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승강 액츄에이터(400)는 제1 이송유닛(100)과 제2 이송유닛(200)을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1 이송유닛(100) 또는 제2 이송유닛(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 액츄에이터(400)는 제1 이송유닛(100)과 구동 연결되므로, 제1 이송유닛(1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1 이송유닛(100)에 제공할 수 있다.
매체(M)의 적층 높이가 낮은 경우, 매체(M)는 정렬롤러(300)에 의한 센터 정렬이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승강 액츄에이터(400)는 제1 이송유닛(1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승강 액츄에이터(400)는 매체(M)가 정렬롤러(300)에 접촉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까지 제1 이송유닛(1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500)는 상술한 구성 요소들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500)는 제1 이송유닛(100)의 제1 이송 벨트(120), 제2 이송유닛(200)의 제2 이송 벨트(220), 정렬롤러(300)의 롤러 축부(310) 및 승강 액츄에이터(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컨트롤러(5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체(20)는 매체 정렬장치(10)가 설치되는 프레임/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0)에는 유입부를 통해 매체(M)가 투입받는 번들모듈과, 번들모듈에 투입된 매체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와, 분리부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입금 매체의 정보 및 진위를 감별하기 위한 감별부와,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부와, 감별부에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매체 또는 입금 수납이 취소된 매체를 번들모듈 측으로 이송하는 리젝트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유입부의 셔터가 오픈 상태에서, 매체(M)가 본체(20)의 유입부를 통해 번들도듈로 투입되면, 셔터가 클로우즈된다. 이후, 매체 정렬장치(10)는 매체(M)를 번들모듈에서 분리부로 이송할 수 있다. 매체(M)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매체 정렬장치(10)는 매체(M)를 이송로(100a)의 경로 센터(C)로 정렬시킬 수 있다. 매체(M)의 정렬이 완료되면, 매체 정렬장치(10)의 제1 이송유닛(100)이 승강되며, 매체는 본체(20)의 분리부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체가 이송로 상에서 저속으로 이송될 때, 매체를 이송로의 경로 센터에 정렬함으로써, 매체의 이송 도중에 발생되는 스큐 또는 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매체가 정상적인 낱장 분리를 구현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금융자동화기기
10 :매체 정렬장치 20 :본체
100 :제1 이송유닛 110 :제1 지지 플레이트
120 :제1 이송 벨트 200 :제2 이송유닛
210 :제2 지지 플레이트 220 :제2 이송 벨트
300 :정렬롤러 300a :제1 롤러
300b :제2 롤러 310 :롤러 축부
310a :제1 롤러 축부 310b :제2 롤러 축부
320 :롤러 스크류부 320a :제1 롤러 스크류부
320b :제2 롤러 스크류부 400 :승강 액츄에이터
500 :컨트롤러

Claims (9)

  1. 매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양측에 배치되는 롤러 축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매체의 측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롤러 축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롤러 스크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축부의 회전시, 상기 롤러 스크류부는 상기 매체를 상기 이송경로의 경로 센터로 정렬시키는,
    매체 정렬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스크류부는
    상기 롤러 축부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상기 롤러 축부의 외면에서 상기 롤러 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매체 정렬롤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스크류부는
    상기 롤러 축부의 외면에서 상기 롤러 축부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2열로 형성되는,
    매체 정렬롤러.
  4. 매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제1 이송유닛;
    상기 제1 이송유닛의 상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이송유닛; 및
    상기 매체가 상기 이송경로의 경로 센터에 위치되도록 상기 매체를 정렬하는 정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롤러는
    상기 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이송유닛의 양측부에 이격 배치되는 롤러 축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매체의 측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롤러 축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롤러 스크류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축부의 회전시, 상기 롤러 스크류부는 상기 매체를 상기 경로 센터로 정렬시키는,
    매체 정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유닛과 상기 제2 이송유닛을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제1 이송유닛 또는 상기 제2 이송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매체 정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로를 제공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매체를 상기 이송경로 상에서 이송시키는 구동력을 상기 매체에 제공하는 제1 이송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 이송 벨트를 포함하는,
    매체 정렬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롤러는
    상기 제2 이송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경로 센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이송유닛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경로 센터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매체 정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2 이송유닛의 일측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1 롤러 축부; 및
    상기 제1 롤러 축부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 롤러 축부의 외면에서 상기 제1 롤러 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롤러 스크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이송유닛의 타측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2 롤러 축부; 및
    상기 제2 롤러 축부의 축방향에 대하여 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2 롤러 축부의 외면에서 상기 제2 롤러 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롤러 스크류부를 포함하는,
    매체 정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축부에 대한 제1 롤러 스크류부의 연장 방향은, 상기 경로 센터를 중심으로 상기 제2 롤러 축부에 대한 제2 롤러 스크류부의 연장 방향과 대칭되고,
    상기 제1 롤러 스크류부 및 상기 제2 롤러 스크류부는, 상기 제1 롤러 축부 및 상기 제2 롤러 축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매체를 상기 이송경로의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매체 정렬장치.
KR1020220079374A 2022-06-29 2022-06-29 매체 정렬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정렬장치 KR20240002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374A KR20240002314A (ko) 2022-06-29 2022-06-29 매체 정렬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374A KR20240002314A (ko) 2022-06-29 2022-06-29 매체 정렬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314A true KR20240002314A (ko) 2024-01-05

Family

ID=8954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374A KR20240002314A (ko) 2022-06-29 2022-06-29 매체 정렬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31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409A (ko) 2020-10-16 2022-04-2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409A (ko) 2020-10-16 2022-04-2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4433B2 (en) Method for handling valuable documents having an aligning unit for aligning banknotes and checks
US8505912B2 (en) Device for aligning notes of value
JP2005096896A (ja) 紙幣処理装置
EP2058773A2 (en) Sheet handling device
WO2016147838A1 (ja) 紙葉類搬送装置
US8931613B2 (en) Device for handling notes of value, comprising a stack merging unit
KR10266423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장치
KR20240002314A (ko) 매체 정렬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정렬장치
KR10188857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KR20240002338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장치
KR10266422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장치
JP4799080B2 (ja) 紙葉類集積装置
KR2024000231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장치
US11989994B2 (en) Bundle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KR101414754B1 (ko) 지엽류 속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50833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KR20240047544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장치
JP4835194B2 (ja) 紙幣取扱装置
KR20140084742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기구
KR100554128B1 (ko) 종방향 지폐입·출금기의 픽업 번들벨트장치
KR101153639B1 (ko) 매체처리장치 및 방법과 금융기기
JP2006082947A (ja) 紙葉類繰出し収納庫
JP4158672B2 (ja) 紙葉類集積装置
KR20230102862A (ko) 매체 입금기의 매체 분리 방법
KR10142354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