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208A - 전동식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전동식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208A
KR20240002208A KR1020230081969A KR20230081969A KR20240002208A KR 20240002208 A KR20240002208 A KR 20240002208A KR 1020230081969 A KR1020230081969 A KR 1020230081969A KR 20230081969 A KR20230081969 A KR 20230081969A KR 20240002208 A KR20240002208 A KR 20240002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opening
electric
heat exchanger
path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기타하라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02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91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y or capaci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컴팩트한 레이아웃으로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를 냉각시킨다.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의 냉각에 사용하는 바람 중 어느 것을 유효 이용한다.
(해결 수단) 전동식 작업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은,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와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전기 기기와, 전기 기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하는 제 1 열교환기와,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 펌프와, 작동유를 냉각하는 제 2 열교환기와, 팬과, 제 1 유로부 및 제 2 유로부를 구비한다. 제 1 유로부는, 일단부에,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갖는다. 제 2 유로부는, 일단부에,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갖는다.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는, 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여 제 1 열교환기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한다.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는, 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여 제 2 열교환기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작업 기계{ELECTRICALLY POWERED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전동식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동식 유압 셔블 등의, 전동 모터를 구비한 전동식 작업 기계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라디에이터, 전동 모터, 인버터 등을 냉각하기 위한 팬과, 오일 쿨러를 냉각하기 위한 팬을 따로 따로 갖는 전동식 유압 셔블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1-080708호
예를 들면, 미니 셔블과 같은 후방 소선회형의 소형의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는, 기관실 내의 각 부재의 레이아웃 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소형의 전동식 작업 기계에, 특허문헌 1 의 구성, 요컨대, 라디에이터 (제 1 열교환기) 및 오일 쿨러 (제 2 열교환기) 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냉각용의 팬을 형성하는 구성을 적용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곤란하다.
또, 기관실 내에는, 전동 모터 및 전장품 (예를 들어 인버터) 등의 발열 부품이 배치된다. 발열 부품의 냉각 효율의 향상의 관점에서는,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의 냉각에 사용하는 바람 중 어느 것을, 발열 부품의 냉각 (공랭) 에 유효 이용할 수 있는 레이아웃을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컴팩트한 레이아웃으로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를 냉각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의 냉각에 사용하는 바람 중 어느 것을 유효 이용할 수 있는 전동식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된 전동식 작업 기계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와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전기 기기와, 상기 전기 기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하는 제 1 열교환기와,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작동유를 냉각하는 제 2 열교환기와, 팬과, 제 1 유로부 및 제 2 유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로부는, 일단부에,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2 유로부는, 일단부에,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는,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여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는,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여 상기 제 2 열교환기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컴팩트한 레이아웃으로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를 냉각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의 냉각에 사용하는 바람 중 어느 것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관련된 전동식 작업 기계의 일례인 유압 셔블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유압 셔블의 전기계 및 유압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상기 유압 셔블의 기관실 내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상기 기관실 내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A 부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로부터, 팬 및 하우징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A 부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으로부터, 라디에이터 및 오일 쿨러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A 부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상기 유압 셔블이 구비하는 풍도부 (風導部) 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상기 풍도부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상기 풍도부를 수평 단면으로 잘랐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전동 모터를 수용한 상태에서의 상기 풍도부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4 의 A 부를 우측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3 은, 도 4 의 A 부를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4 는, 상기 풍도부의 제 1 유로부를, 전장품을 통과하는 단면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5 는, 상기 유압 셔블의 변형예의 구성을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은, 상기 유압 셔블의 기관실 내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6 에서 나타낸 구성을, 작동유 탱크 및 충전기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7 에서 나타낸 구성을, 팬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 는, 도 18 에서 나타낸 구성을, 라디에이터 및 오일 쿨러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 은, 다른 구성의 풍도부에 적합한 하우징을 하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1 은, 상기 하우징을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2 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풍도부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도 22 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에서의 상기 풍도부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4 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풍도부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5 는, 도 24 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에서의 상기 풍도부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6 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풍도부의 커버 부재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7 은, 상기 유압 셔블의 기관실의 내부를, 상기 풍도부의 제 2 유로부를 통과하는 단면으로 잘랐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8 은, 상기 유압 셔블의 기관실의 내부를, 상기 풍도부의 제 1 유로부 및 제 2 유로부를 통과하는 다른 단면으로 잘랐을 때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동식 작업 기계〕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전동식 작업 기계의 일례인 유압 셔블 (전동 셔블) (1) 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유압 셔블 (1) 은, 하부 주행체 (2) 와, 작업기 (3) 와, 상부 선회체 (4) 를 구비한다.
여기서, 방향을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상부 선회체 (4) 의 운전 좌석 (41a) 에 착석한 오퍼레이터 (조종자, 운전자) 가 정면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그 역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따라서, 하부 주행체 (2) 에 대하여 상부 선회체 (4) 가 비선회 상태 (선회 각도 0°) 에서는, 상부 선회체 (4) 의 전후 방향은, 하부 주행체 (2) 가 전후진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운전 좌석 (41a) 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로부터 보아 좌측을 「왼쪽」으로 하고, 우측을 「오른쪽」으로 한다. 또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수직인 중력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중력 방향의 상류측을 「상」으로 하고, 하류측을 「하」로 한다. 도면에서는, 하부 주행체 (2) 에 대하여 상부 선회체 (4) 가 비선회의 상태에서 유압 셔블 (1) 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전방을 「F」, 후방을 「B」, 우방을 「R」, 좌방을 「L」, 상방을 「U」, 하방을 「D」의 기호로 나타낸다.
하부 주행체 (2) 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21) 와, 좌우 한 쌍의 주행 모터 (22) 를 구비한다. 각 주행 모터 (22) 는, 유압 모터이다. 좌우의 주행 모터 (22) 가, 좌우의 크롤러 (21) 를 각각 구동함으로써, 유압 셔블 (1) 을 전후진시킬 수 있다. 하부 주행체 (2) 에는, 정지 (整地)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블레이드 (23) 와, 블레이드 실린더 (23a) 가 형성된다. 블레이드 실린더 (23a) 는, 블레이드 (23) 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回動) 시키는 유압 실린더이다.
작업기 (3) 는, 붐 (31), 아암 (32) 및 버킷 (33) 을 구비한다. 붐 (31), 아암 (32) 및 버킷 (33) 을 독립적으로 구동함으로써, 토사 등의 굴삭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붐 (31) 은, 붐 실린더 (31a) 에 의해 회동된다. 붐 실린더 (31a) 는, 기단부가 상부 선회체 (4) 의 전방부에 지지되고, 자유롭게 신축할 수 있도록 가동한다. 아암 (32) 은, 아암 실린더 (32a) 에 의해 회동된다. 아암 실린더 (32a) 는, 기단부가 붐 (31) 의 선단부에 지지되고, 자유롭게 신축할 수 있도록 가동한다. 버킷 (33) 은, 버킷 실린더 (33a) 에 의해 회동된다. 버킷 실린더 (33a) 는, 기단부가 아암 (32) 의 선단부에 지지되고, 자유롭게 신축할 수 있도록 가동한다. 붐 실린더 (31a), 아암 실린더 (32a) 및 버킷 실린더 (33a) 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성된다.
상부 선회체 (4) 는, 하부 주행체 (2) 의 상방에 위치하고, 하부 주행체 (2) 에 대해 선회 베어링 (도시 생략) 을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부 선회체 (4) 에는, 조종부 (41), 선회 프레임 (42) (기체 프레임), 선회 모터 (43), 기관실 (44) 등이 배치된다. 상부 선회체 (4) 는, 유압 모터인 선회 모터 (43) 의 구동에 의해, 선회 베어링을 개재하여 선회한다.
상부 선회체 (4) 에는, 유압 펌프 (71) (도 2 참조) 가 배치된다. 유압 펌프 (71) 는, 기관실 (44) 의 내부의 전동 모터 (61) (도 2 참조) 에 의해 구동된다. 유압 펌프 (71) 는, 유압 모터 (예를 들어 좌우의 주행 모터 (22), 선회 모터 (43) ), 및 유압 실린더 (예를 들어 블레이드 실린더 (23a), 붐 실린더 (31a), 아암 실린더 (32a), 버킷 실린더 (33a)) 에 작동유 (압유) 를 공급한다. 유압 펌프 (71) 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어 구동되는 유압 모터 및 유압 실린더를, 통합하여 유압 액추에이터 (73) (도 2 참조) 라고 부른다.
조종부 (41) 에는, 운전 좌석 (41a) 이 배치된다. 운전 좌석 (41a) 의 주위에는, 각종 레버 (41b) 가 배치된다. 오퍼레이터가 운전 좌석 (41a) 에 착석하여 레버 (41b) 를 조작함으로써, 유압 액추에이터 (73) 가 구동된다. 이로써, 하부 주행체 (2) 의 주행, 블레이드 (23) 에 의한 정지 작업, 작업기 (3) 에 의한 굴삭 작업, 상부 선회체 (4) 의 선회,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상부 선회체 (4) 에는, 배터리 유닛 (53) 이 배치된다. 배터리 유닛 (53) 은, 예를 들면 리튬 이온 배터리 유닛으로 구성되고, 전동 모터 (61) 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축적한다. 배터리 유닛 (53) 은, 복수의 배터리를 유닛화하여 구성되어도 되고, 단일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부 선회체 (4) 에는, 도시하지 않은 급전구가 형성된다. 상기 급전구와, 외부 전원인 상용 전원 (51) 은, 급전 케이블 (52) 을 통하여 접속된다. 이로써, 배터리 유닛 (53) 을 충전할 수 있다.
상부 선회체 (4) 에는, 납 배터리 (54) 가 또한 형성된다. 납 배터리 (54) 는, 저전압 (예를 들어 12 V) 의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납 배터리 (54) 로부터의 출력은, 제어 전압으로서 예를 들어 시스템 컨트롤러 (67) (도 2 참조), 팬 (91) (도 5 참조) 의 구동부 등에 공급된다.
유압 셔블 (1) 은, 유압 액추에이터 (73) 등의 유압 기기와, 전력으로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를 병용한 구성이어도 된다. 전력으로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로는, 예를 들어, 전동 주행 모터, 전동 실린더, 전동 선회 모터가 있다.
〔2. 전기계 및 유압계의 구성〕
도 2 는, 유압 셔블 (1) 의 전기계 및 유압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유압 셔블 (1) 은, 전동 모터 (61) 와, 충전기 (62) 와, 인버터 (63) 와, PDU (Power Drive Unit) (64) 와, 정션 박스 (65) 와, DC-DC 컨버터 (66) 와, 시스템 컨트롤러 (67) 를 구비한다. 시스템 컨트롤러 (67) 는, ECU (Electronic Control Unit) 라고도 불리는 전자 제어 유닛으로 구성되고, 유압 셔블 (1) 의 각 부의 전기적인 제어를 실시한다.
전동 모터 (61) 는, 배터리 유닛 (53) 으로부터, 정션 박스 (65) 및 인버터 (63) 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전동 모터 (61) 는, 영구자석 모터 또는 유도 모터로 구성된다. 전동 모터 (61) 는, 선회 프레임 (42) 상에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 유닛 (53) 은, 전력 공급 경로 (PA) 를 통하여 전동 모터 (61) 와 연결되는 전기 기기 (EL) 의 일종이다. 즉, 유압 셔블 (1) 은 전기 기기 (EL) 를 구비하고, 전기 기기 (EL) 는 상기 배터리 유닛 (53) 을 포함한다.
충전기 (62) (급전기라고도 불린다) 는, 도 1 에서 나타낸 상용 전원 (51) 으로부터 급전 케이블 (52) 을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인버터 (63) 는, 배터리 유닛 (53) 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동 모터 (61) 에 공급한다. 이로써, 전동 모터 (61) 가 회전한다. 인버터 (63) 로부터 전동 모터 (61) 로의 교류 전압 (전류) 의 공급은, 시스템 컨트롤러 (67) 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지령에 기초하여 실시된다.
PDU (64) 은, 내부의 배터리 릴레이를 제어하여 배터리 유닛 (53) 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 유닛이다. 정션 박스 (65) 는, 충전기 릴레이, 인버터 릴레이, 퓨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충전기 (62) 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정션 박스 (65) 및 PDU (64) 를 통하여 배터리 유닛 (53) 에 공급된다. 또한, 배터리 유닛 (53) 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PDU (64) 및 정션 박스 (65) 를 통하여 인버터 (63) 에 공급된다.
DC-DC 컨버터 (66) 는, 배터리 유닛 (53) 으로부터 정션 박스 (65) 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전압 (예를 들면 300 V) 의 직류 전압을, 저전압 (예를 들면 12 V) 으로 강압한다. DC-DC 컨버터 (66) 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납 배터리 (54) 로부터의 출력과 마찬가지로, 시스템 컨트롤러 (67), 팬 (91) 의 구동부 등에 공급된다.
전동 모터 (61) 의 회전축 (출력축) 에는, 복수의 유압 펌프 (71) 가 접속된다. 복수의 유압 펌프 (71) 는, 가변 용량형 펌프 및 고정 용량형 펌프를 포함한다. 도 2 에서는, 예로서 유압 펌프 (71) 를 1 개만 도시하고 있다. 각 유압 펌프 (71) 는, 작동유를 수용 (저류) 하는 작동유 탱크 (74) 와 접속되어 있다. 전동 모터 (61) 에 의해 유압 펌프 (71) 가 구동되면, 작동유 탱크 (74) 내의 작동유가, 컨트롤 밸브 (72) 를 통하여 유압 액추에이터 (73) 에 공급된다. 이로써, 유압 액추에이터 (73) 가 구동된다. 컨트롤 밸브 (72) 는, 유압 액추에이터 (73) 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는 방향 전환 밸브이다. 이와 같이, 유압 셔블 (1) 은, 전동 모터 (61) 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 펌프 (71) 를 구비한다.
〔3. 기관실 내의 구성〕
도 3 은, 유압 셔블 (1) 의 기관실 (44) 내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4 는, 기관실 (44) 내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회 프레임 (42) 상에, 4 개의 배터리 유닛 (53) 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각 배터리 유닛 (53) 은, 좌우 방향을 따라 위치한다. 4 개의 배터리 유닛 (53) 은, 선회 프레임 (42) 상에서 후방 중앙보다 왼쪽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방의 2 개의 배터리 유닛 (53) 이, 전방의 2 개의 배터리 유닛 (53) 에 대하여 우측, 즉, 선회 프레임 (42) 의 중앙측으로 어긋나게 위치한다. 또한, 후방의 2 개의 배터리 유닛 (53) 중, 최후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유닛 (53) 은, 그 전방에 위치하는 배터리 유닛 (53) 보다 한층 우측으로 어긋나게 위치한다. 이로써, 평면에서 보아 반원형으로 형성된 선회 프레임 (42) 의 후단 가장자리 부근의, 한정된 좁은 스페이스에, 복수의 배터리 유닛 (53) 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도 4 참조). 또한, 배터리 유닛 (53) 의 수 및 배치는, 본 실시형태의 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배터리 유닛 (53) 은 일체적으로 선회 프레임 (42) 상에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배터리 유닛 (53) 은, 상판 (81) 과 하판 (82) 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끼여 있다. 상판 (81) 과 하판 (82) 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 (83) 에 의해, 복수의 지점에서 연결된다. 상판 (81) 과 연결 부재 (83) 의 연결, 및 하판 (82) 과 연결 부재 (83) 의 연결은, 예를 들어 볼트 체결에 의해 실시된다. 하판 (82) 은, 선회 프레임 (42) 상에서 지지부 (84) 에 의해 방진 지지된다. 또한, 지지부 (84) 의 설치 위치는, 도 3 및 도 4 에서 나타낸 위치에는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상판 (81) 과 운전 좌석 (41a) (도 1 참조) 사이에는, 운전 좌석 (41a) 의 토대가 되는 시트 마운트 (85) 가 위치한다. 또한, 도 3 및 도 4 에서는, 편의적으로, 시트 마운트 (85) 의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선회 프레임 (42) 상에서, 복수의 배터리 유닛 (53) 의 우측에는, 상기한 전동 모터 (61) (도 2 참조), 유압 펌프 (71) 등이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 그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는, 도 4 의 A 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 의 A 부란, 여기서는, 기관실 (44) 내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배터리 유닛 (53) 의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셔블 (1) 은, 팬 (91) 을 구비한다. 팬 (91) 은, 하우징 (90)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 (90) 은 프레임 형상으로, 좌측 및 우측이 개구되어 있다. 팬 (91) 의 회전축 (CA) 은, 좌우 방향을 따라 위치한다. 팬 (91) (하우징 (90)) 의 하방에는, 상기 유압 펌프 (71) 가 위치한다. 유압 펌프 (71) 는, 유압 호스 (H) 를 통하여 작동유 탱크 (74) (도 2 참조) 와 접속된다.
하우징 (90) 의 좌측, 즉, 하우징 (90) 과 배터리 유닛 (53) 의 사이에는, 풍도부 (100) 가 배치된다. 또한, 풍도부 (100) 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인버터 (63) 및 DC-DC 컨버터 (66) 등의 전장품 (EQ) 은, 풍도부 (100) (특히 후술하는 제 1 유로부 (110)) 에 장착된다.
도 5 에 있어서, 팬 (91) (하우징 (90)) 및 유압 펌프 (71) 의 후방측에는, 상기 서술한 충전기 (62) 가 배치된다. 충전기 (62) 는, 마운팅 스테이 (62a) 등을 통하여 선회 프레임 (42) 에 지지된다.
도 6 은, 도 5 로부터, 팬 (91) 및 하우징 (90) 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A 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유압 셔블 (1) 은, 라디에이터 (92) 와 오일 쿨러 (93) 를 추가로 구비한다. 라디에이터 (92) 는, 도 3 등에서 나타낸 전기 기기 (EL) (배터리 유닛 (53)) 와 배관을 통하여 접속되는 제 1 열교환기이고, 전기 기기 (EL) 를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한다. 라디에이터 (92) 에 있어서 열교환에 의해 냉매를 냉각하고, 라디에이터 (92) 로부터 상기 냉매를 배터리 유닛 (53) 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 유닛 (53) 을 냉각 (수랭) 할 수 있다. 상기 냉매는, 예를 들면 냉각수이다.
오일 쿨러 (93) 는, 유압 펌프 (71) 및 유압 액추에이터 (73) (도 2 참조) 등을 통하여 순환하는 유로와 접속되는 제 2 열교환기이다. 오일 쿨러 (93) 는, 유압 펌프 (71) 의 구동에 의해 상기 유로를 흐르는 작동유를 열교환에 의해 냉각한다. 오일 쿨러 (93) 는, 라디에이터 (92) 에 대하여 좌측으로 어긋나게 위치하고, 또한 전방으로 어긋나게 위치한다. 또한, 오일 쿨러 (93) 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라디에이터 (92) 와 같은 위치에 있어도 된다. 즉, 오일 쿨러 (93) 는, 라디에이터 (92) 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는, 도 5 의 하우징 (90) 의 내부에서 스테이 등을 통하여 지지된다.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는, 팬 (91) 과 풍도부 (100) 의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팬 (91) 은,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에 대하여, 풍도부 (100) 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도 7 은, 도 6 으로부터,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A 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유압 셔블 (1) 은, 풍도부 (100) 를 구비한다. 풍도부 (100) 는, 제 1 유로부 (110) 와 제 2 유로부 (120) 를 포함한다. 팬 (91) 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은, 제 1 유로부 (110) 및 제 2 유로부 (120) 를 통과한다. 이하, 풍도부 (100) 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은, 풍도부 (100) 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풍도부 (100) 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8 에서 나타낸 풍도부 (100) 를 수평 단면으로 잘랐을 때의 사시도이다.
풍도부 (100) 의 제 1 유로부 (110) 는, 제 1 유로 본체부 (111) 와,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와,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를 갖는다. 제 1 유로 본체부 (111) 의 내부는 공동 (空洞) 이다. 팬 (91) 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바람의 일부는, 제 1 유로 본체부 (111) 의 내부를 통과한다. 제 1 유로 본체부 (111) 는, 바람이 통과하는 공동을 갖는 형상이면 되고,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는, 제 1 유로 본체부 (111) 에 있어서, 상기 바람이 흐르는 유로 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는, 제 1 유로 본체부 (111) 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는 라디에이터 (92) (도 6 참조) 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즉,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는, 라디에이터 (92) 와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는, 제 1 유로 본체부 (111) 에 있어서, 상기 바람이 흐르는 유로 방향의 타단부에 형성된 개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풍도부 (100) 의 제 2 유로부 (120) 는, 제 2 유로 본체부 (121) 와,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와,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를 갖는다. 제 2 유로 본체부 (121) 의 내부는 공동이다. 팬 (91) 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바람의 일부는, 제 2 유로 본체부 (121) 의 내부를 통과한다. 제 2 유로 본체부 (121) 는, 바람이 통과하는 공동을 갖는 형상이면 되고,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는, 제 2 유로 본체부 (121) 에 있어서, 상기 바람이 흐르는 유로 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는, 제 2 유로 본체부 (121) 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는 오일 쿨러 (93) (도 6 참조) 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즉,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는, 오일 쿨러 (93) 와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는,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와 연속해서 이어져 1 개의 원을 형성하는 형상이다 (도 8 참조). 또한,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와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는, 각각 닫힌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간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는, 제 2 유로 본체부 (121) 에 있어서, 상기 바람이 흐르는 유로 방향의 타단부에 형성된 개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풍도부 (100) 는, 칸막이판 (130) 을 추가로 포함한다. 칸막이판 (130) 은, 제 1 유로부 (110) 의 제 1 유로 본체부 (111) 와, 제 2 유로부 (120) 의 제 2 유로 본체부 (121) 를 구분하는 격벽이다. 즉, 제 1 유로 본체부 (111) 및 제 2 유로 본체부 (121) 는, 칸막이판 (130) 을 격벽으로서 공유하고 있다. 칸막이판 (130) 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에서부터 좌측을 향해 연장된 후, 좌측 비스듬한 전방을 향해 굴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칸막이판 (130) 에 의해, 제 1 유로 본체부 (111) 의 내부를 흐르는 바람과, 제 2 유로 본체부 (121) 의 내부를 흐르는 바람이, 풍도부 (100) 의 내부에서 서로 섞이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한 전동 모터 (61) (도 7 참조) 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유로부 (110) 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11 은, 제 1 유로부 (110) 에 전동 모터 (61) 를 수용한 상태에서의 풍도부 (100) 의 하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모터 (61) 는, 제 1 유로부 (110) 의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에 위치하고,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를 가로지르고 있다. 따라서, 전동 모터 (61) 의 일부가 제 1 유로부 (110)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동 모터 (61) 의 전체가 제 1 유로부 (110) 의 내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전동 모터 (61) 의 출력축 (61a) 은, 제 1 유로 본체부 (111) 에 형성된 관통 구멍 (111a) 을 통과하여, 유압 펌프 (71) (도 5 등 참조) 의 입력축과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5 ∼ 도 11 을 참조하면서, 팬 (91) 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 (냉각풍) 의 흐름과,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전축 (CA) (도 5 참조) 을 중심으로 하는 팬 (91) 의 회전에 의해, 유압 셔블 (1) 의 외부로부터 기관실 (44) 의 내부에 공기가 빨려 들어간다. 또한, 외부로부터 공기가 빨려 들어가는 팬 (91) 의 구동 형식을, 여기에서는 「흡입형」이라고도 한다. 기관실 (44) 의 내부에 빨려 들어간 공기는, 하우징 (90) 의 내부를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여 흐른다.
보다 상세하게는, 팬 (91) 에 의해 외부로부터 빨려 들어간 바람의 일부는, 하우징 (90) 내에서 라디에이터 (92) 를 가로질러 흐른다. 즉, 상기 바람의 일부는, 하우징 (90) 내에서 라디에이터 (92) 의 간극을 통과하여 흐르거나, 라디에이터 (92) 를 타고 넘어가도록 라디에이터 (92) 의 표면을 따라 흐른다. 이로써, 라디에이터 (92) 가 냉각된다. 바꿔 말하면, 라디에이터 (92) 를 흐르는 냉매가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
또한, 팬 (91) 에 의해 빨려 들어간 바람의 나머지는, 하우징 (90) 내에서 오일 쿨러 (93) 를 가로질러 흐른다. 즉, 상기 바람의 나머지는, 하우징 (90) 내에서 오일 쿨러 (93) 의 간극을 통과하여 흐르거나, 오일 쿨러 (93) 를 타고 넘어가도록 오일 쿨러 (93) 의 표면을 따라 흐른다. 이로써, 오일 쿨러 (93) 가 냉각된다. 바꿔 말하면, 오일 쿨러 (93) 를 흐르는 작동유가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한 후의 바람 (라디에이터 (92) 를 스친 바람) 및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한 후의 바람 (오일 쿨러 (93) 를 스친 바람) 은, 제 1 유로부 (110) 및 제 2 유로부 (120) 를 향해 흐른다.
여기서,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유로부 (110) 는, 일단부에, 라디에이터 (92) (도 6 참조) 를 향하여 개구되는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를 갖는다. 이로써,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한 후의 바람은,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를 통하여 제 1 유로부 (110) (제 1 유로 본체부 (111)) 의 내부로 들어간다. 제 1 유로부 (110) 의 내부를 흐른 바람은 그 후,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를 통하여 하방으로 배출된다. 도 8 의 화살표 (W1) 는, 제 1 유로부 (110) 에 있어서,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한 후의 바람이 흐르는 방향 (경로) 을 나타낸다.
또한, 제 2 유로부 (120) 는, 일단부에, 오일 쿨러 (93) 를 향해 개구되는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를 갖는다. 이로써,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한 후의 바람은,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를 통하여 제 2 유로부 (120) (제 2 유로 본체부 (121)) 의 내부로 들어간다. 제 2 유로부 (120) 의 내부를 흐른 바람은 그 후,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를 통하여 하방으로 배출된다. 도 8 의 화살표 (W2) 는, 제 2 유로부 (120) 에 있어서,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한 후의 바람이 흐르는 방향 (경로) 을 나타낸다.
그런데, 오일 쿨러 (93) 에는, 유압 액추에이터 (73) (도 2 참조) 의 구동에 사용된 고온 (예를 들어 90 ℃ 정도) 의 작동유가 순환하여 되돌아온다. 이에 대해, 라디에이터 (92) 를 흐르는 냉각수는, 예를 들어 40 ℃ 정도로, 오일 쿨러 (93) 를 흐르는 작동유에 비해 저온이다. 따라서,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한 후의 바람은,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한 후의 바람에 비하면, 비교적 저온이다. 이것은, 제 1 유로부 (110) 를 흐르는 바람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한 후의 바람) 은 비교적 저온이고, 제 2 유로부 (120) 를 흐르는 바람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한 후의 바람) 은 비교적 고온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인버터 (63) 및 DC-DC 컨버터 (66) 등의 전장품 (EQ) 을, 제 1 유로부 (110) 에 장착하거나, 도 11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에 전동 모터 (61) 를 배치함으로써, 제 1 유로부 (110) 를 흐르는 비교적 저온의 바람을, 전장품 (EQ) 및 전동 모터 (61) 등의 발열 부품의 냉각 (공랭) 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유로부 (120) 를 흐르는 비교적 고온의 바람을,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를 통하여 그대로 (발열 부품에 쏘이지 않고)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1 개의 팬 (91) 의 구동에 의해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가 동시에 냉각된다. 이것으로부터, 팬 (91) 을 복수 형성하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 컴팩트한 레이아웃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1 유로부 (110) 의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는, 팬 (91) 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여 라디에이터 (92) 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한다 (도 8 의 화살표 (W1) 참조). 상기한 예에서는,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는, 라디에이터 (92) 에 대해 하류측의 유로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유로부 (120) 의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는, 팬 (91) 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여 오일 쿨러 (93) 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한다 (도 8 의 화살표 (W2) 참조). 상기의 예에서는,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는, 오일 쿨러 (93) 에 대해 하류측의 유로에 위치한다.
이로써,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의 냉각에 사용한 바람 중 어느 것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한 후의 비교적 저온의 바람을, 발열 부품의 냉각에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한 후의 비교적 고온의 바람을,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한 후의 비교적 저온의 바람과 확실히 분리하여 배출하는 관점에서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로부 (110) 의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와, 제 2 유로부 (120) 의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가 떨어져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한 후의 비교적 고온의 바람을, 공랭이 필요한 전동 모터 (61) 에 쏘이지 않고,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를 거쳐서 기외로 배출하는 레이아웃을 간단하게 실현하는 관점에서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유로부 (120) 의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는, 전동 모터 (61) 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를 통과하는 비교적 고온의 바람은, 운전 좌석 (41a) (도 1 참조) 의 플로어의 하방에서부터 전방을 향해 기외로 배출되어도 되고, 선회 프레임 (42) 의 개구부 (도시 생략) 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어도 된다.
또한,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한 후의 비교적 고온의 바람을 직접 기외로 배출하는 상기 레이아웃을 실현할 수 있으면, 전동 모터 (61) 에 대한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전동 모터 (61) 의 전방」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는, 전동 모터 (61) 보다 후방에 위치해도 된다.
도 12 는, 도 4 의 A 부를 우측에서부터, 즉, 팬 (91) 의 회전축 (CA) 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1 개의 팬 (91) 의 구동에 의해,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의 양쪽에 바람을 쏘이고, 또한 소형의 유압 셔블 (1) 에 적합한 컴팩트한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실현하는 관점에서는,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는, 하우징 (90) 의 내부에서 이하와 같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91) 의 회전축 (CA) 의 방향에서 보아, 팬 (91) 과 중첩되어 위치함과 함께, 도 6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 (CA) 과 교차하는 일 방향 (예를 들어 전후 방향) 으로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라디에이터 (92) 와 오일 쿨러 (93) 는,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해도 되지만, 이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8 참조).
도 13 은, 도 4 의 A 부를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13 에서는, 편의적으로, 상기 서술한 풍도부 (100) 및 오일 쿨러 (93)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팬 (91) 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여 전동 모터 (61) 를 냉각하는 바람의 유로 (제 1 유로부 (110) 의 내부의 유로) 를 상하 방향 (세로 방향) 으로 하고, 기관실 (44) 내에서 전동 모터 (61) 의 상방의 (좁은) 공간을 전동 모터 (61) 의 냉각 유로로서 유효 활용하는 관점에서는, 팬 (91) 의 적어도 일부가, 전동 모터 (61)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팬 (91) 의 회전축 (CA) 이 전동 모터 (61) 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팬 (91) 과 전동 모터 (61) 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를 규정하고 있다. 이로써, 전동 모터 (61) 의 상방에 종방향의 냉각 유로 (제 1 유로부 (110) 의 배치 공간) 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전동 모터 (61) 는, 출력축 (61a) (도 11 참조) 이 연장되는 방향 (도 13 에서는 좌우 방향) 으로 유압 펌프 (71) 와 연결된 상태에서, 저판 (86) 에 지지된다. 저판 (86) 은, 방진 부재 (87) 를 개재하여 선회 프레임 (42) (도 3 등 참조) 상에 지지된다. 이로써, 전동 모터 (61) 및 유압 펌프 (71) 가 선회 프레임 (42) 상에 방진 지지된다.
흡입형에 있어서,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한 후의 비교적 저온의 바람을, 전동 모터 (61) 의 냉각 (공랭) 에 확실하게 유효 이용하는 관점에서는, 도 11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모터 (61) 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유로부 (110) 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동 모터 (61) 를 냉각한 바람을 신속하게 배출하는 관점에서는, 전동 모터 (61) 는,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동 모터 (61) 는,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흡입형에 있어서,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한 후에 제 1 유로부 (110) 를 흐르는 비교적 저온의 바람을, 도 3 등에서 나타내는 전장품 (EQ) 의 냉각 (공랭) 에 유효 활용하는 관점에서는, 전장품 (EQ) 은, 제 1 유로부 (110) 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압 셔블 (1) 은, 제 1 유로부 (110) 에 배치되는 전장품 (EQ) 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장품 (EQ)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인버터 (63), DC-DC 컨버터 (66) 를 포함한다.
도 14 는, 제 1 유로부 (110) 를, 전장품 (EQ) 을 통과하는 단면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 에서는, 전장품 (EQ) 의 일례로서, DC-DC 컨버터 (66) 를 나타내고 있다. 전장품 (EQ) 으로서의 DC-DC 컨버터 (66) 는, 방열부 (66F) 를 갖는다. 방열부 (66F) 는, 예를 들어 핀으로 구성된다. 방열부 (66F) 에 저온의 바람을 쏘여, 전장품 (EQ) 의 냉각 효율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열부 (66F) 는 제 1 유로부 (110) 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열부 (66F) 가 제 1 유로부 (110) 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전장품 (EQ) 을 제 1 유로부 (110) 에 장착하는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열부가 제 1 유로부 (110) 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은, 전장품 (EQ) 으로서의 인버터 (63) 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인버터 (63) 가 방열부를 갖는 구성에서는, 냉각 효율 향상의 관점에서, 상기 방열부가 제 1 유로부 (110) 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인버터 (63) 를 제 1 유로부 (110) 에 장착하는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팬 (91) 은, 회전에 의해, 라디에이터 (92) (제 1 열교환기) 로부터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를 통하여 제 1 유로부 (110) 의 내부로 들어가는 바람을 발생시킴과 함께, 오일 쿨러 (93) (제 2 열교환기) 로부터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를 통하여 제 2 유로부 (120) 의 내부로 들어가는 바람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팬 (91) 의 구동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빨아 들여,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함과 함께, 라디에이터 (92) 의 냉각에 사용한 비교적 저온의 바람을 (발열 부품의 냉각에) 유효 이용하는 흡입형의 구성이 실현된다.
도 15 는, 흡입형의 변형예의 구성을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91) 은,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에 대해 풍도부 (100) 측, 즉 배터리 유닛 (53) (도 3 참조) 측에 위치해도 된다. 이러한 팬 (91) 의 배치여도, 흡입형이고, 라디에이터 (92) 의 냉각에 사용한 비교적 저온의 바람을 (발열 부품의 냉각에)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단, 이 구성에서는, 팬 (91) 의 구동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빨아 들여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한 바람과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한 바람이, 팬 (91) 을 가로질러, 제 1 유로부 (110) 및 제 2 유로부 (120) 를 향해 흐른다. 팬 (91) 은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한 바람과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한 바람은, 팬 (91) 을 가로지른 후에 (풍도부 (100) 의 바로 앞에서) 섞일 우려가 있다.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한 후의 비교적 저온의 바람과,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한 후의 비교적 고온의 바람이 혼합되고, 이들 혼합 바람이 예를 들면 제 1 유로부 (110) 로 유도되면, 비교적 저온의 바람을 이용한 전장품 (EQ) 및 전동 모터 (61) 의 냉각 효과가 저감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냉각 효과의 저감을 회피하는 관점에서는, 도 5 등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91) 은,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에 대해 풍도부 (100) 와는 반대측 (배터리 유닛 (53) 과는 반대측) 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기관실 내의 다른 구성〕
도 16 은, 유압 셔블 (1) 의 기관실 (44) 내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6 에서 나타낸 구성을, 작동유 탱크 (74) 및 충전기 (62) 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7 에서 나타낸 구성을, 팬 (91) 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 는, 도 18 에서 나타낸 구성을,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이후에서 나타내는 구성은, 「토출형」의 구성이다. 「토출형」이란, 팬 (91) 의 회전에 의해, 유압 셔블 (1) 의 기관실 (44) 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팬 (91) 의 구동 형식을 말한다. 토출형에서는, 흡입형에서 사용한 풍도부 (100) (도 8 등 참조) 대신에 풍도부 (100A) 를 사용하고 있다. 즉, 토출형에서는, 기관실 (44) 내에서 풍도부 (100A) 를 흐르는 공기가, 하우징 (90) 내를 흘러 유압 셔블 (1) 의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토출형에서는, 기관실 (44) 내에서의 풍도부 (100A) 의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하우징 (90) 내의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의 배치를 흡입형과는 다르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90) 내에서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를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있다. 오일 쿨러 (93) 는, 라디에이터 (92) 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는, 흡입형과 동일한 배치여도 된다. 즉,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는, 전후 방향으로 어긋난 배치여도 된다. 팬 (91) 은,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보다 우측, 즉, 풍도부 (100A) 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풍도부 (100A)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토출형에서는, 풍도부 (100A) 의 적용에 수반하여, 풍도부 (100A) 와 연결되는 하우징 (90) 의 구성도 흡입형과는 약간 상이하다. 도 20 은, 풍도부 (100A) 에 적합한 하우징 (90) 을 우측 하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1 은, 상기 하우징 (90) 을 좌측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하우징 (90) 은, 우측에 제 1 개구부 (90a) 를 갖고, 좌측에 제 2 개구부 (90b) 를 갖는 프레임체이다. 제 1 개구부 (90a) 는 원형이고, 제 2 개구부 (90b) 는 직사각형이지만, 이들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우징 (90) 의 상면의 좌측 절반은, 하방을 향해서 경사져 있다.
하우징 (90) 은, 제 1 절결부 (90c) 와, 제 2 절결부 (90d) 를 추가로 갖는다. 제 1 절결부 (90c) 는, 하우징 (90) 의 저면의 일부가 절결된 개구이다. 제 2 절결부 (90d) 는, 하우징 (90) 의 전측면의 일부가 절결된 개구이다. 제 1 절결부 (90c) 와 제 2 절결부 (90d) 는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 (90) 의 저면에서부터 전측면에 걸쳐서 부분적인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토출형에 사용되는 풍도부 (100A) 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의 설명의 편의상, 흡입형에 사용되는 풍도부 (100) 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기한다.
도 22 는, 하우징 (90) 및 풍도부 (100A) 의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도 22 에 있어서, 하우징 (90) 을 생략한 상태에서의 풍도부 (100A) 의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4 는, 하우징 (90) 및 풍도부 (100A) 의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5 는, 도 24 에 있어서, 하우징 (90) 을 생략한 상태에서의 풍도부 (100A) 의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풍도부 (100A) 는, 제 1 유로부 (110) 와 제 2 유로부 (120) 를 포함한다. 제 1 유로부 (110) 는, 제 2 유로부 (120) 의 우측에 위치한다. 제 1 유로부 (110) 는, 제 1 유로 본체부 (111) 와,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와,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와, 커버 부재 (114) 를 갖는다.
제 1 유로 본체부 (111) 는, 하방으로부터 좌측 비스듬한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형상으로, 그 내부는 공동이다. 팬 (91) 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바람의 일부는, 제 1 유로 본체부 (111) 의 내부를 통과한다.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는, 제 1 유로 본체부 (111) 의 상단에 위치한다.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는, 제 1 유로 본체부 (111) 의 하단에 위치한다. 즉, 제 1 유로부 (110) 는, 일단부에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를 갖고, 타단부에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를 갖는다.
커버 부재 (114) 는, 상기 제 1 유로 본체부 (111) 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유로 본체부 (111) 와 연결된다. 커버 부재 (114) 는, 하방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114a) 와, 연결부 (114a) 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판부 (114b) 를 갖는다. 상판부 (114b) 의 높이 위치는, 하우징 (90) 내의 라디에이터 (92) 와 오일 쿨러 (93) 의 경계의 위치에 거의 일치하고 있다.
연결부 (114a) 의 하단 가장자리의 일부는, 제 1 유로 본체부 (111) 의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의 외주연의 일부, 즉,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의 우측 가장자리 전방부, 전방 가장자리부, 및 좌측 가장자리부와 연결된다 (도 23 참조).
커버 부재 (114) 는, 하우징 (90) 의 제 2 절결부 (90d) (도 20, 도 21 참조) 를 가로질러 위치한다. 이로써, 커버 부재 (114) 의 일부는, 하우징 (90) 내에 위치한다 (도 22, 도 24 참조). 그리고, 커버 부재 (114) 의 상판부 (114b) 에 의해, 하우징 (90) 의 좌측의 공간이 상하로 분할된다.
또한, 도 26 은, 하우징 (90) 및 커버 부재 (114) 를 좌측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 (114) 의 연결부 (114a) 에 의해, 하우징 (90) 의 제 2 개구부 (90b) 의 하측 절반분보다 넓은 범위가 실질적으로 닫힌다.
제 2 유로부 (120) 는, 제 2 유로 본체부 (121) 와,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와,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를 가진다. 제 2 유로 본체부 (121)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내부는 공동이다.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는, 제 2 유로 본체부 (121) 의 상단 부근에 있어서, 하우징 (90) 측, 즉, 우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도 22, 도 23 참조).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는, 제 2 유로 본체부 (121) 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도 24, 도 25 참조). 즉, 제 2 유로부 (120) 는, 일단부에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를 갖고, 타단부에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를 갖는다.
제 2 유로 본체부 (121) 의 우측면에는, 상기 서술한 커버 부재 (114) 의 연결부 (114a) 가 첩합되어 있다 (도 23, 도 25 참조). 그 결과,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는, 커버 부재 (114) 의 상방에 위치한다.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는,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보다 좌측에 위치한다. 즉,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와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는, 떨어져 위치한다.
도 27 은, 유압 셔블 (1) 의 기관실 (44) 의 내부를, 풍도부 (100A) 의 제 2 유로부 (120) 를 통과하는 단면으로 잘랐을 때의 사시도이다. 토출형에서는, 흡입형과는 달리, 전동 모터 (61) 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유로부 (120) 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전장품 (EQ) 도, 제 2 유로부 (120) 에 형성된다. 여기서, 전장품 (EQ) 은, 인버터 (63) 및 DC-DC 컨버터 (66) 를 포함한다.
도 28 은, 유압 셔블 (1) 의 기관실 (44) 내부를, 풍도부 (100A) 의 제 1 유로부 (110) 및 제 2 유로부 (120) 를 통과하는 다른 단면으로 잘랐을 때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6 ∼ 도 28 을 참조하면서, 팬 (91) 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 (냉각풍) 의 흐름과, 그에 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입형에서의 팬 (91) 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팬 (91) 을 회전시키면, 기관실 (44) 의 내부의 공기는, 유압 셔블 (1) 의 외부로 토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팬 (91) 의 회전에 의해,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를 통해서 제 1 유로부 (110) 에 공기가 빨려 들어감과 함께,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를 통해서 제 2 유로부 (120) 에 공기가 빨려 들어온다.
제 1 유로부 (110) 에 빨려 들어간 공기는, 제 1 유로 본체부 (111) 의 내부를 상방으로 흐르고,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를 통해 하우징 (90) 내에 도입된다. 하우징 (90) 내에서는, 상기 공기는, 커버 부재 (114) 의 연결부 (114a) 및 상판부 (114b) 를 따라서 진행하여, 라디에이터 (92) 측을 향한다. 즉, 커버 부재 (114) 에 의해,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이, 상방향에서 우방향으로 절곡된다.
하우징 (90) 내에서 라디에이터 (92) 를 향하는 공기가 되는 바람은, 라디에이터 (92) 를 가로질러 흐른다. 즉, 상기 바람은, 하우징 (90) 내에서 라디에이터 (92) 의 간극을 통과하여 흐르거나, 라디에이터 (92) 를 타고 넘어가도록 라디에이터 (92) 의 표면을 따라 흐른다. 이로써, 라디에이터 (92) 가 냉각된다. 바꿔 말하면, 라디에이터 (92) 를 흐르는 냉매가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한 후의 바람 (라디에이터 (92) 를 스친 바람) 은, 팬 (91) 을 가로질러 기관실 (44) 의 외부로 토출된다. 도 28 중의 화살표 (W3) 는, 토출형이고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하는 바람의 경로를 나타낸다.
한편,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를 통해서 제 2 유로부 (120) 에 빨려 들어간 공기는, 제 2 유로 본체부 (121) 의 내부를 상방으로 흐르고,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를 통해서 하우징 (90) 내에 도입된다. 하우징 (90) 내에서는 상기 공기는 커버 부재 (114) 의 상판부 (114b) 를 따라 진행하고, 오일 쿨러 (93) 를 향한다.
하우징 (90) 내에서 오일 쿨러 (93) 를 향하는 공기가 되는 바람은, 오일 쿨러 (93) 를 가로질러 흐른다. 즉, 상기 바람의 나머지는, 하우징 (90) 내에서 오일 쿨러 (93) 의 간극을 통과하여 흐르거나, 오일 쿨러 (93) 를 타고 넘어가도록 오일 쿨러 (93) 의 표면을 따라 흐른다. 이로써, 오일 쿨러 (93) 가 냉각된다. 바꿔 말하면, 오일 쿨러 (93) 를 흐르는 작동유가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한 후의 바람 (오일 쿨러 (93) 를 스친 바람) 은, 팬 (91) 을 가로질러 기관실 (44) 의 외부로 토출된다. 도 28 중의 화살표 (W4) 는, 토출형이고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하는 바람의 경로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27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유로부 (120) 에 전동 모터 (61) 및 전장품 (EQ) 등의 발열 부품을 배치해 두면, 제 2 유로부 (120) 를 흐르는 바람을 발열 부품에 쏘여, 발열 부품을 냉각 (공랭) 할 수 있다. 또한, 오일 쿨러 (93) 에는 원래 고온의 작동유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발열 부품의 공랭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바람을 오일 쿨러 (93) 에 쏘여도,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한편, 라디에이터 (92) 에는, 제 2 유로부 (120) 를 흐르는 바람보다 저온의 바람을, 제 1 유로부 (110) 를 통해 쏘여, 라디에이터 (92) 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토출형이어도, 흡입형과 마찬가지로, 제 1 유로부 (110) 의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는, 팬 (91) 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여 라디에이터 (92) 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하고,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는, 팬 (91) 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여 오일 쿨러 (93) 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한다.
따라서, 토출형이어도,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의 냉각에 사용하는 바람의 일방을, 전동 모터 (61) 등의 발열 부품의 냉각에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오일 쿨러 (93) 의 냉각에 사용하는 바람 (제 2 유로부 (120) 를 흐르는 바람) 을, 발열 부품의 냉각에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또한, 1 개의 팬 (91) 에 의해 라디에이터 (92) 및 오일 쿨러 (93) 를 냉각하여 컴팩트한 레이아웃을 실현할 수 있는 점은, 흡입형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오일 쿨러 (93) 의 냉각에 사용하는 바람을 전동 모터 (61) 의 냉각에 유효 이용하는 관점에서는, 전동 모터 (61) 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유로부 (120) 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를 통해서 제 2 유로부 (120) 의 내부에 도입된 바람을, 전동 모터 (61) 에 확실히 쏘여서 전동 모터 (61) 를 확실하게 냉각하는 관점에서는, 전동 모터 (61) 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유로부 (120) 의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23)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관실 (44) 의 내부의 한정된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하는 점에서는, 풍도부 (100A) 의 제 1 유로부 (110) 는, 유압 펌프 (71) 와 나란히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1 유로부 (110) 는, 유압 펌프 (71) 의 전방에 나란히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유로부 (110) 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이아웃으로 형성하여, 컴팩트한 배치를 실현하는 관점에서는,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로부 (110) 의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3) 는, 전동 모터 (61) 의 하방에 위치하는 선회 프레임 (42) (기체 프레임) 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일 쿨러 (93) 의 냉각에 사용하는 바람을, 전장품 (EQ) 의 냉각에 유효 이용하는 관점에서는,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장품 (EQ) 은, 제 2 유로부 (120) 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압 셔블 (1) 은, 제 2 유로부 (120) 에 배치되는 전장품 (EQ) 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장품 (EQ) 이 방열부를 갖는 구성에서는, 방열부는, 제 2 유로부 (120) 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7 의 예에서는, 전장품 (EQ) 으로서의 인버터 (63) 가, 방열부 (63F) 를 갖고 있다. 방열부 (63F) 는, 예를 들어 핀으로 구성된다. 인버터 (63) 는, 방열부 (63F) 가 제 2 유로부 (120) 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 2 유로부 (120) 에 장착된다 (매립된다).
이상과 같이, 팬 (91) 은, 회전에 의해, 제 1 유로부 (110) 를 통과하고,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를 통하여 라디에이터 (92) (제 1 열교환기) 를 향해 흐르는 바람을 발생시킴과 함께, 제 2 유로부 (120) 를 통과하고,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2) 를 통하여 오일 쿨러 (93) (제 2 열교환기) 를 향해 흐르는 바람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팬 (91) 의 구동에 의해, 오일 쿨러 (93) 의 냉각에 사용하는 바람을 (발열 부품의 냉각에도) 유효 이용할 수 있는 토출형의 구성이 실현된다.
또한, 풍도부 (100A) 는, 도 28 등에서 나타내는 커버 부재 (114) 를 구비한다. 커버 부재 (114) 는, 팬 (91) 의 구동에 의해 라디에이터 (92) 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하여, 바람을 반사시킴으로써 바람이 흐르는 방향을 바꾸는 편향 부재이다. 커버 부재 (114) 는, 라디에이터 (92) 와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2) 사이의 유로에 위치하여 상기 유로를 구부린다. 이러한 커버 부재 (114) 를 사용함으로써, 팬 (91) 의 구동에 의해 제 1 유로부 (110) 의 내부를 상향으로 흐르는 바람의 방향을, 우측 방향, 즉 라디에이터 (92) 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변환하여, 라디에이터 (92) 에 바람을 쏘일 수 있다. 이로써, 컴팩트한 구성으로 라디에이터 (92) 를 냉각할 수 있다.
〔5. 보충〕
이상에서는, 전동식 작업 기계로서, 건설 기계인 유압 셔블 (1) 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전동식 작업 기계는 유압 셔블 (1) 에 한정되지 않고, 휠 로더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여도 된다. 또한, 전동식 작업 기계는, 콤바인, 트랙터 등의 농업 기계여도 된다.
〔6. 부기〕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유압 셔블 (1) 은, 이하의 부기에 나타내는 전동식 작업 기계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부기 (1)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와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전기 기기와,
상기 전기 기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하는 제 1 열교환기와,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작동유를 냉각하는 제 2 열교환기와,
팬과,
제 1 유로부 및 제 2 유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로부는, 일단부에,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2 유로부는, 일단부에,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는,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여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는,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여 상기 제 2 열교환기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한다.
부기 (2)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1) 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부는, 타단부에,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2 유로부는, 타단부에,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와 상기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는, 떨어져 위치한다.
부기 (3)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기 및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상기 팬의 회전축의 방향에서 보아 상기 팬과 중첩되어 위치함과 함께, 상기 회전축과 교차하는 일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위치한다.
부기 (4)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동 모터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부기 (5)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는,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축적하는 배터리 유닛을 포함한다.
부기 (6)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유로부의 내부에 배치된다.
부기 (7)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2) 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는, 상기 제 1 유로부의 상기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에 위치한다.
부기 (8)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부에 배치되는 전장품을 추가로 구비한다.
부기 (9)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8) 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은, 방열부를 갖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 1 유로부의 내부에 위치한다.
부기 (10)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2) 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부의 상기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는, 상기 전동 모터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부기 (11)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팬은,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 1 유로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바람을 발생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 2 유로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바람을 발생시킨다.
부기 (12)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는,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향해 개구되고,
상기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는, 상기 제 2 열교환기를 향해 개구된다.
부기 (13)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유로부의 내부에 배치된다.
부기 (14)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2) 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유로부의 상기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부기 (15)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1) 내지 (5), (13),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부는, 상기 유압 펌프와 나란히 위치한다.
부기 (16)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2) 또는 (13) 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하방에 위치하는 기체 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로부의 상기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는, 상기 기체 프레임에 형성된다.
부기 (17)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1) 내지 (5), (13)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부에 배치되는 전장품을 추가로 구비한다.
부기 (18)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17) 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은, 방열부를 갖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 2 유로부의 내부에 위치한다.
부기 (19)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1) 내지 (5), (13)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팬은,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유로부를 통과하고, 상기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향해 흐르는 바람을 발생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유로부를 통과하고, 상기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열교환기를 향해 흐르는 바람을 발생시킨다.
부기 (20) 의 전동식 작업 기계는, 부기 (1) 내지 (5), (13)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동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하는 편향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편향 부재는, 상기 제 1 열교환기와 상기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사이의 상기 유로에 위치하여, 상기 유로를 구부린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확장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건설 기계, 농업 기계 등의 작업 기계에 이용 가능하다.
1 : 유압 셔블 (전동식 작업 기계)
42 : 선회 프레임 (기체 프레임)
53 : 배터리 유닛 (전기 기기)
61 : 전동 모터
63 : 인버터 (전장품)
63F : 방열부
66 : DC-DC 컨버터 (전장품)
66F : 방열부
71 : 유압 펌프
91 : 팬
92 : 라디에이터 (제 1 열교환기)
93 : 오일 쿨러 (제 2 열교환기)
110 : 제 1 유로부
112 :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13 :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114 : 커버 부재 (편향 부재)
120 : 제 2 유로부
122 :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123 :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
CA : 회전축
EL : 전기 기기
EQ : 전장품
PA : 전력 공급 경로

Claims (20)

  1.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와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전기 기기와,
    상기 전기 기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하는 제 1 열교환기와,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작동유를 냉각하는 제 2 열교환기와,
    팬과,
    제 1 유로부 및 제 2 유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로부는, 일단부에,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2 유로부는, 일단부에,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는,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여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는,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여 상기 제 2 열교환기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하는, 전동식 작업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부는, 타단부에,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2 유로부는, 타단부에,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와 상기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는, 떨어져 위치하는, 전동식 작업 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기 및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상기 팬의 회전축의 방향에서 보아 상기 팬과 중첩되어 위치함과 함께, 상기 회전축과 교차하는 일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는, 전동식 작업 기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동 모터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전동식 작업 기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는,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축적하는 배터리 유닛을 포함하는, 전동식 작업 기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유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동식 작업 기계.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는, 상기 제 1 유로부의 상기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에 위치하는, 전동식 작업 기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부에 배치되는 전장품을 추가로 구비하는, 전동식 작업 기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은, 방열부를 갖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 1 유로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동식 작업 기계.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부의 상기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는, 상기 전동 모터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전동식 작업 기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바람을 발생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유로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전동식 작업 기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는,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향하여 개구되고,
    상기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는, 상기 제 2 열교환기를 향하여 개구되는, 전동식 작업 기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유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동식 작업 기계.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유로부의 상기 제 2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전동식 작업 기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부는, 상기 유압 펌프와 나란히 위치하는, 전동식 작업 기계.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하방에 위치하는 기체 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로부의 상기 제 1 유로 타단부측 개구부는, 상기 기체 프레임에 형성되는, 전동식 작업 기계.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부에 배치되는 전장품을 추가로 구비하는, 전동식 작업 기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은, 방열부를 갖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 2 유로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동식 작업 기계.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유로부를 통과하고, 상기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향하여 흐르는 바람을 발생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유로부를 통과하고, 상기 제 2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제 2 열교환기를 향하여 흐르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전동식 작업 기계.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가로지르는 바람의 유로에 위치하는 편향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편향 부재는, 상기 제 1 열교환기와 상기 제 1 유로 일단부측 개구부 사이의 상기 유로에 위치하여, 상기 유로를 구부리는, 전동식 작업 기계.
KR1020230081969A 2022-06-28 2023-06-26 전동식 작업 기계 KR202400022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03637 2022-06-28
JP2022103637A JP2024004138A (ja) 2022-06-28 2022-06-28 電動式作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208A true KR20240002208A (ko) 2024-01-04

Family

ID=8685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969A KR20240002208A (ko) 2022-06-28 2023-06-26 전동식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417022A1 (ko)
EP (1) EP4299839A1 (ko)
JP (1) JP2024004138A (ko)
KR (1) KR20240002208A (ko)
CN (1) CN1173066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80708A (ja) 2019-11-18 2021-05-27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6006A1 (de) * 2019-03-08 2020-09-10 Wacker Neuson Linz Gmbh Arbeitsmaschine mit Elektroantrieb und Kühlvorrichtung
JP2022077853A (ja) * 2020-11-12 2022-05-24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80708A (ja) 2019-11-18 2021-05-27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17022A1 (en) 2023-12-28
CN117306628A (zh) 2023-12-29
JP2024004138A (ja) 2024-01-16
EP4299839A1 (en)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0908B2 (en) Hybrid-type working machine
US10066358B2 (en) Hybrid-type working machine
JP4434123B2 (ja) ハイブリッド式建設機械
JP3998025B2 (ja) ハイブリッド式建設機械
WO2008015798A1 (fr) Véhicule hybride
JP5421225B2 (ja) 作業機械、電気制御ユニット、およびインバータ
JP2004169466A (ja) 建設機械の機器配置構造
CN111201349B (zh) 建筑机械
KR20240002208A (ko) 전동식 작업 기계
US20240133156A1 (en) Electric Work Machine
KR20240002189A (ko) 전동식 작업 기계
US20240175238A1 (en) Electric Work Machine
EP4357536A1 (en) Electric work machine
US20240018744A1 (en) Electric Work Vehicle
US20240018745A1 (en) Electric Work Vehicle
US20230131436A1 (en) Electric Work Machine
JP2024004139A (ja) 電動式作業機械
JP2024004141A (ja) 電動式作業機械
US20230167623A1 (en) Electric Working Machine
CN118110218A (zh) 电动式作业机械
KR20240010429A (ko) 전기 작업 기계